KR20230163790A -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790A
KR20230163790A KR1020220063537A KR20220063537A KR20230163790A KR 20230163790 A KR20230163790 A KR 20230163790A KR 1020220063537 A KR1020220063537 A KR 1020220063537A KR 20220063537 A KR20220063537 A KR 20220063537A KR 20230163790 A KR20230163790 A KR 20230163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parking
parking lot
par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유현
장희숙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6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790A/en
Publication of KR2023016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79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 G06T2207/30264Parking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comprising: receiving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the first vehicle; It may include generating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parking space and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Description

IoT 서비스 기반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ased on IoT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

본 발명은 IoT 서비스 기반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based on IoT services.

차량의 증가로 인해 주차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는 부족한 주차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노상 주차장, 공용 주차장 등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차 공간을 수시로 확대하고 있다.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parking problems are emerging as a social issue.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are installing and operating street parking lots and public parking lots to secure insufficient parking spaces, and are constantly expanding parking spaces.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심의 주차장은 가득차기 쉽고, 빈 주차 공간이 있더라도 이러한 정보가 제대로 공유되지 못하여, 많은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여 주차 공간을 찾지 못한다거나, 빈 주차 공간이 없는 주차장을 헤매기 쉽다. Despite these efforts, parking lots in the city tend to fill up, and even if there are empty parking spaces, this information is not shared properly, so it is easy for many vehicles to enter the parking lot and not find a parking space, or to wander through a parking lot without an empty parking space. .

이에, 주차 공간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다양한 주차 공간 공유 서비스들이 연구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parking space sharing services are being studied to share real-time information about parking spaces.

KR20170030370A (발명의 명칭: 주차장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과 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KR20170030370A (Title of invention: Parking lot information sharing device and method and parking suppor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주차장 내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하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update information inside a parking lot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에 주차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갖추지 않아도, 주차장 내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update information inside the parking lot in real time without requiring separate equipment for generating parking information in the parking lo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receiving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the first vehicle. It may include generating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또한, 상기 복수의 차량은 제3 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3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ehicles further includes a third vehicle, and the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vehicles includes receiving second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the second vehicle, the second image data I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third vehicle.

또한, 상기 제2 차량은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고,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는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갱신한 정보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vehicle is a vehicle that entered the parking lot after the first vehicle entered the parking lot, and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updates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입구 영역에 상기 제1 차량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detecting the arrival of the first vehicle at the parking lot entrance area. Step, receiving a request for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first vehicle, transmitting the parking lot information to the first vehicle according to the request, obtaining a first image of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the first vehicle moving according to the parking lot information It may include receiving data, generating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또한, 상기 복수의 차량은 제3 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 입구 영역에 상기 제2 차량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3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ehicles further includes a third vehicle,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cond vehicle includes detecting whether the second vehicle arrives at the parking lot entrance area, and receiving the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vehicle. Receiving a request,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according to the request, receiving second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the second vehicle moving according to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It may include generating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third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차량이 주차 완료 후 상기 주차장을 출차할 때까지 제3 차량이 주차장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주차장 내에 기주차된 다른 차량에게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 of receiv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vehicle when the third vehicle does not request parking lot information until the second vehicle leaves the parking lot after completion of parking, 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another vehicle already parked in the parking lot.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 may be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주차장에 주차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갖추지 않아도, 주차장 내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updating information inside the parking lot in real time without requiring separate equipment for generating parking information in the parking lot.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차량과의 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식 시스템이 차량 진입로에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보정 필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HSV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공유 과정을 전체 관점에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Figures 1 and 2 briefly show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in more detail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a thir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a system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vehicl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ccess road.
Figure 9 schematically shows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corre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an HSV grap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the information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overall perspective.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explain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는 후술할 서버 또는 서버에 포함된 프로세서일 수 있다. Figures 1 and 2 briefly show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performing the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rver or a processor included in the serv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복수의 차량은 제3 차량 등 다수의 차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Additionally, in some cases, the plurality of vehicles may further include multiple vehicles such as a third vehicle.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10),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1, the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a first vehicle (S110), and receiving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a first vehicle. It may include generat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S120) and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S130).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중간 구성인 서버가 포함되도록 설명되어 있으나, 서버가 제외되고 차량간 다이렉트로 정보가 공유될 수도 있다. 이때, 차량간 다이렉트로 정보가 공유되는 경우, 데이터 통신의 방식은 V2V 통신일 수 있고, 비전 인식 및 주차 공간 정보 획득을 위한 프로세서는 차량 단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as an intermediate component is included in order to exchange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vehicles, but the server may be excluded and information may be shared directly between vehicles. At this time, when information is shared directly between vehicles,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may be V2V communication, and the processor for vision recognition and acquisition of parking spac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on a vehicle bas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제2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40), 수신한 제2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50) 및 생성된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제3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second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a second vehicle (S140), and selecting a second parking space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mage data. I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information (S150)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third vehicle (S160).

이때, 제2 차량은 제1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한 이후에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고, 제2 주차 공간 정보는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갱신한 정보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vehicle is a vehicle that entered the parking lot after the first vehicle entered the parking lot, and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updates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또한, 서버(100)는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기초로 주자창 정보를 구성하고, 이후 생성된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기초로 구성된 주차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rver 100 may update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hat is, the server 100 may configure parking lot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and then update the parking lot information constructed based on the generated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공간 정보라 함은, 주차장을 구성하는 주차 공간의 점유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을 구성하는 각각의 주차 공간은 식별을 위한 식별인자를 가질 수 있고, 주차 공간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빈 공간인지에 대한 정보와 식별인자가 모두 포함된 정보가 주차 공간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주차 공간 정보 및 제2 주차 공간 정보는 주차장을 구성하는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가 시계열 순서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Parking sp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parking space constituting a parking lot is occupied. Each parking space constituting the parking lot may have an identifier for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that includes both the identifier a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or empty may be parking space information.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parking spaces constituting a parking lot generated in time series order.

일 예로, 제1 주차 공간 정보는 A12 영역의 주차 공간이 빈 주차 공간이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A12 영역은 주차 공간을 구별하여 식별할 수 있는 식별인자의 예시일 수 있고, 빈 주차 공간이라는 정보는 주차 공간이 점유된 상태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의 예시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the parking space in area A12 is an empty parking space. In this case, area A12 may be an example of an identifier that can distinguish and identify parking spaces, and the empty parking space may be an empty parking space. The space information may be an example of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parking space is occupi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차량과의 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in more detail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a thir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입구 영역에 제1 차량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10),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S220), 요청에 따른 주차장 정보를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230), 전송된 주차장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40), 수신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50) 및 생성된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ure 3, the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Detecting the arrival of a vehicle (S210), receiving a request for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first vehicle (S220), transmitting the requested parking lot information to the first vehicle (S230), moving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parking lot information Receiving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a first vehicle (S240), generating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first image data (S250), and generating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o the second vehicle (S260).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차량은 제3 차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4, the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vehicle.

이때,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130 or S260)는 주차장 입구 영역에 상기 제2 차량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61), 제2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S262), 요청에 따라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263), 제1 주차 공간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제2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64), 제2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65) 및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제3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266)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cond vehicle (S130 or S260) includes detecting the arrival of the second vehicle at the parking lot entrance area (S261), receiving a request for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vehicle (S262), and requesting parking lot information. Accordingly,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S263), receiving second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the second vehicle moving according to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S264), second It may include generating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image data (S265)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third vehicle (S26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a system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은 서버(100), 제1 차량(200) 및 제2 차량(300)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 및 차량 인식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ure 5, the system for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00,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a first vehicle 200 and a second vehicle 300, and a vehicle recognition system.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차량(200) 및 제2 차량(300)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차량 인식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the first vehicle 200 and the second vehicle 300,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 vehicle recognition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는 차량 인식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장 입구 영역에 제1 차량(200) 등 주차장 진입 차량의 도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차량(200)으로부터 주차장 정보를 요청받고, 받은 요청에 따른 주차장 정보를 제1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arrival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such as the first vehicle 200, at the parking lot entrance area through a vehicle recognition system. The server 100 may receive a request for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first vehicle 200 and transmit the parking lo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request to the first vehicle 200.

제1 차량(200)은 주차장 정보에 따라 주차장 내부를 주행(또는 자율주행)하며, 주행과 함께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제1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first vehicle 200 may drive (or autonomously drive) inside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parking lot information, and generate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while driving. 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first image data from the first vehicle 200 and generat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first image data.

서버(100)는 주차장 내부의 빈 주차 공간과 차량에 의하여 점유된 주차 공간을 구별하기 위하여 주차장 내부를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로 구성된 빅데이터를 미리 학습한 학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제1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공간에 빈 주차 공간이 위치한다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가 빈 주차 공간을 인식하고 그 위치를 탐색하는 과정은 아래의 예시와 같을 수 있다. The server 100 may include a learning module that learns in advance a plurality of image data taken inside the parking lot or big data consisting of video data to distinguish between empty parking spaces inside the parking lot and parking spaces occupied by vehicles. . Accordingly, the server 100 may generate information that an empty parking space is located in a specific space based on the first image data. The process by which the server 100 recognizes an empty parking space and searches for its location may be as shown in the example below.

일 예시에 따르면, 서버(100)는 학습 모듈에서의 학습값을 기초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비전 인식을 진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학습값을 기초로 제1 이미지 데이터에서 빈 주차 공간과 점유된 주차 공간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은 종래 알려진 비전 인식 기술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server 100 may perform vision recognition on the first image data based on learning values from the learning module. The server 100 can recognize empty parking spaces and occupied parking spaces in the first image data based on the learning value. At this time, the technology used may be a conventionally known vision recognition technology.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비전 인식 기술을 적용하기에 앞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필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필터에 대한 내용은 후술한다. However, 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a filter that can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before applying the vision recognition technology to the first image data, and details about the filter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일 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제1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는 위치 정보 또는 제1 이미지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장 공간은 미리 정해진 식별인자를 이용하여 각각 구별될 수 있다. 이때, 식별인자는 표식, 숫자, 기호 등이 될 수 있다. 식별인자는 주차장 공간 각각의 전면에 위치하거나, 주차장 공간에 위치한 기둥 등에 표시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이미지 데이터에서 식별인자를 추출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정보 또는 제1 이미지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server 10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first image data is generated or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first image data. Specifically, parking space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using a predetermined identifier. At this time, the identifier may be a mark, number, symbol, etc. The identifier may be located on the front of each parking space or displayed on a pillar located in the parking space. The server 100 may extract an identifier from the first image data and obtain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first image data was created or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first image data.

따라서, 서버(1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주차 공간의 점유 여부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제1 주차 공간 정보로 정의하거나, 제1 주차 공간 정보는 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rver 100 can obtain the occupancy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space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define this as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or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bov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는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한 차량이 출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버는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한 제2 차량이 주차 완료 후 상기 주차장을 출차할 때까지 제3 차량 등 다른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지 않고나 주차장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scenario when a vehicle that has received parking space information leaves the vehicle. In other words, th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est parking space information or other vehicles such as a third vehicle enter the parking lot until the second vehicle that has received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leaves the parking lot after completing parking. It can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scenarios.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는 제3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지 않거나, 주차장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출차 요청을 전송한 제2 차량(300)으로부터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주차장 내에 기주차된 다른 차량에게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주차 공간 정보가 생성되어 제2 차량(300)에 전달된 경우, 출차 요청을 전송한 제2 차량(300)으로부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주차장 내에 기주차된 다른 차량에게 전달할 수 있다. If the third vehicle does not enter the parking lot or does not request parking lot information, 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vehicle 300 that transmitted the exit request, and receives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vehicle already parked in the parking lot. Similarly, when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delivered to the second vehicle 300,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vehicle 300 that sent the request for parking, and the received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is It can be passed on to other vehicles parked in the parking lot.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통신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6, the ser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0.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 may control other components by execut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20. The processor 110 may execut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20.

프로세서(110)는, 연산을 수행하고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주로, 중앙 연산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그래픽스 처리 장치(GPU)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CPU, AP 또는 GPU는 그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CPU, AP 또는 GPU는 작동 전압과 클락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다만, CPU 또는 AP는 직렬 처리에 최적화된 몇 개의 코어로 구성된 반면, GPU는 병렬 처리용으로 설계된 수 천 개의 보다 소형이고 효율적인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is a component that can perform calculations and control other devices. Mainly, it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etc. Additionally, the CPU, AP, or GPU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therein, and the CPU, AP, or GPU may operate using an operating voltage and clock signal. However, while a CPU or AP consists of a few cores optimized for serial processing, a GPU can consist of thousands of smaller, more efficient cores designed for parallel processing.

프로세서(1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can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iscussed above,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메모리(120)는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20)에 저장되고, 서버(100)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상기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memory 12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server 100. The memory 12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server 100, data for operating the server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dditionally,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20, installed on the server 100, and driven by the processor 11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server 100.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mory 120 is a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solid state disk type, SDD type (Silicon Disk Drive type), and multimedia card micro type. ), card-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dditionally, the memory 120 may include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n the Internet.

통신 모듈(130)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 또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와 정보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통신 모듈(130)은 변조부, 복조부, 신호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30)은 유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a base station or a camera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an antenna.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include a modulator, demodulator, signal processor, etc.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perform a wired communication function.

무선 통신은, 통신사들이 기존에 설치해둔 통신 시설과 그 통신 시설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망을 사용한 통신을 말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통신 모듈(130)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상용화 중인 5G 통신뿐만 아니라, 추후 상용화가 예정되어 있는 6G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구애됨이 없이 기설치된 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다.Wireless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on using communication facilities already installed by communication companie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uses the frequencies of those communication facilities.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It can be used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access), an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can also be used i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etc. In addition, not only 5G communication, which has recently been commercialized, but also 6G, which is scheduled for commercialization in the future, can be used. However, this specification can utilize a pre-installed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being limited to such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또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Beac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 UWB (Ultra Wideband), ZigBee, etc. may be used.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200, 300)은 카메라 장치(210), 메모리(220) 및 통신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포함되는 메모리(220) 및 통신 모듈(230)에 대한 설명은 서버(도 6의 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7, vehicles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device 210, a memory 220, and a communication module 230. The description of the memory 220 and communication module 230 inclu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with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100 in FIG. 6).

카메라 장치(210)는 차량의 주차장 내부 주행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ADAS용 카메라, 블랙박스용 카메라, 자율주행용 카메라 등의 카메라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210)는 주차장 내부의 이미지 데이터 생성을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장치일 수도 있지만, 기존의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210)의 기본 구조는 후술한다. The camera device 210 is a component for generating image data when a vehicle is driving inside a parking lot, and may refer to a camera device such as an ADAS camera, a black box camera, or an autonomous driving camera. The camera devic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parate device for generating image data inside a parking lot, but a camera device installed in an existing vehicle can be used as is. The basic structure of the camera devic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식 시스템이 차량 진입로에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vehicl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ccess road.

도 8에 따르면, 차량 진입로의 일측에는 차량 인식 시스템(40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진입로에는 차량 차단 장치(420)가 설치되어, 차량 인식 시스템(400)에서 차량 번호의 인식이 완료되기 전까지 진입로를 차단할 수 있다. 차량 차단 장치(420)는 차량 인식 시스템(400)에서 차량 번호의 인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진입로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차단 장치는 서버와 연결되어, 인식한 차량 번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 인식 시스템(400)은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해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장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8, a vehicle recognition system 4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a vehicle access road. Additionally, a vehicle blocking device 42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ccess road, so that the access road can be blocked until the vehicle recognition system 400 completes recognition of the vehicle number. When the vehicle blocking device 420 receives a message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system 400 that recognition of the vehicle number has been completed, the vehicle blocking device 420 may unblock the access road. Additionally, the vehicle blocking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server and transmit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to the server. As such, the vehicle recognition system 400 may include a camera device 410 that generates image data to recognize a vehicle license plat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9 schematically shows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210)는 광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10)는 측벽에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관통홀에 설치된 렌즈(1321) 및 렌즈(1321)를 구동하는 구동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렌즈(1321)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321)는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The camera devic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image data from an optical image. The camera device 210 may include a housing including a through hole on a side wall, a lens 1321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nd a driving unit 1323 that drives the lens 1321.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lens 1321. Lens 1321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구동부(1323)는 렌즈(132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렌즈(1321)와 구동부(1323)는 종래 알려진 방식으로 연결되고 렌즈(1321)는 구동부(1323)에 의하여 종래 알려진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23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lens 1321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he lens 1321 and the driving unit 1323 are connected in a conventionally known manner, and the lens 1321 can be controlled by the driving unit 1323 in a conventionally known manner.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보정 필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HSV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corre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shows an HSV grap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따르면, 필터의 종류와 기능이 나타나 있다. 즉, CNN 알고리즘은 복수의 레이어를 사용하는 학습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한, CNN 알고리즘은 이미지 분류 정확도를 최대화하는 필터를 자동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이라고 하는 새로운 층을 풀리 커넥티드 계층 이전에 추가함으로써 원본 이미지에 필터링 기법을 적용한 뒤에 필터링된 이미지에 대해 분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CNN 알고리즘은 합성곱 계층 (convolutional layer)과 풀링 계층 (pooling layer)이라고 하는 새로운 층을 fully-connected 계층 이전에 추가함으로써 원본 이미지에 필터링 기법을 적용한 뒤에 필터링된 이미에 대해 분류 연산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ure 10, the types and functions of filters are shown. In other words, the CNN algorithm may be a learning algorithm that uses multiple layers. In addition, the CNN algorithm can automatically learn filters that maximize image classification accuracy, and by adding new layers called convolutional layers and polling layers before the fully connected layer, the filtered image is obtained after applying the filtering technique to the original image. A classific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 The CNN algorithm is configured to apply a filtering technique to the original image by adding a new layer called a convolutional layer and a pooling layer before the fully-connected layer, and then perform a classification operation on the filtered image. You can.

이때, CNN 알고리즘을 사용한 이미지 필터에 대한 연산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formula for the image filter using the CNN algorithm i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단, (step,

: 행렬로 표현된 필터링된 이미지의 i번째 행, j번째 열의 픽셀, : Pixel of the ith row and jth column of the filtered image expressed as a matrix,

: 필터, : filter,

: 이미지, : image,

: 필터의 높이 (행의 수), : Height of filter (number of rows),

: 필터의 너비 (열의 수)이다. ) : Width (number of columns) of the filter. )

바람직하게는, CNN 알고리즘을 사용한 이미지 필터에 대한 연산식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Preferably, the calculation equation for the image filter using the CNN algorithm i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단, (step,

: 행렬로 표현된 필터링된 이미지의 i번째 행, j번째 열의 픽셀, : Pixel of the ith row and jth column of the filtered image expressed as a matrix,

: 응용 필터 : Application filter

: 이미지, : image,

: 응용 필터의 높이 (행의 수), : height of application filter (number of rows),

: 응용 필터의 너비 (열의 수)이다.) : Width (number of columns) of the application filter.)

바람직하게는, 는 응용 필터로서 차량 및 주차 공간 식별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고,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차량 및 주차 공간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되는 필터일 수 있다. 특히, 차량 및 주차 공간 식별정보의 경우 형태 및 색감의 차이를 기초로 분류될 수 있으므로, 형태 및 색감 등을 효과적으로 인지하기 위한 응용 필터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응용 필터 는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하여 연산될 수 있다. Preferably, is an application filter that learns image data containing vehicle and parking sp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y be a filter applied to the image data to recognize the vehicle and parking sp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data. In particular, vehicle and parking sp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based on differences in shape and color, so an application filter may be necessary to effectively recognize shape and color. To meet these needs, application filters Can be calculated by Equation 3 below.

[수학식 3] [Equation 3]

(단, : 필터, : 계수, : 응용 필터)(step, : filter, : Coefficient, : application filter)

이때, 각 에 따른 필터는 도 10에 따른 엣지 인식 필터(Edge detection), 샤픈 필터(sharpen) 및 박스 블러 필터(Box blur) 중 어느 하나의 행렬일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The filter according to may be any one of the edge detection filter (Edge detection), sharpen filter (sharpen), and box blur filter (Box blur) matrix according to FIG. 10.

바람직하게, 를 구하는 연산식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다. 이때, 는 필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하나의 변수로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단위는 무시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alculation formula for calculating is the same as Equation 4 below. At this time, can be interpreted as a variable us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ilter, and its unit can be ignored.

[수학식 4][Equation 4]

단, 이미지 촬영에 사용된 카메라 장치(도 9의 210 or 410)의 렌즈의 직경(지름)은 mm 단위이고(복수개의 렌즈인 경우 평균값), 렌즈의 f값은 렌즈의 조리개값(F number)이며, HSV평균값은 이미지에 따른 색좌표를 HSV 그래프를 통하여 크기값으로 변환한 값을 평균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HSV값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However, the diameter of the lens of the camera device (210 or 410 in FIG. 9) used to capture the image is in mm (average value in case of multiple lenses), and the f value of the lens is the aperture value (F number) of the lens. , and the HSV average value may mean the average value of the color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image converted to size values through the HSV graph. Specific details about the HSV value are as follows.

도 1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HSV 그래프는 지각적인 특성이 반영된 색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H(Hue, 0~360°)는 색조를 의미할 수 있고, S(Saturation, 0~100%)는 채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V(Value, 0~100%)는 명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색조, 채도 및 명도 값을 HSV 값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Adobe illustrator cc 2019 등 그래픽 툴을 이용하여 쉽게 추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11, the HSV grap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color space that reflects perceptual characteristics. H(Hue, 0~360°) can mean hue, S(Saturation, 0~100%) can mean saturation, and V(Value, 0~100%) can mean brightness. .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values can be referred to as HSV values, which can be easily extracted using graphic tools such as Adobe Illustrator CC 2019.

본 발명에 따른 HSV 평균값은 도 11의 HSV 3차원 좌표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HSV 평균값은 그래픽 툴을 통하여 획득된 HSV 값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HSV 3차원 좌표상의 원점좌표를 기준점으로 측정된 HSV 좌표의 거리값은 상술한 HSV 평균값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는 차량 및 주차 공간 식별정보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이미지의 HSV 색상좌표는 HSV 3차원 좌표 중 일정 영역에서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HSV 평균값은 일정 영역의 색상에 대한 HSV 좌표들의 평균을 이용한 평균 좌표를 기초로 계산된 원점좌표와의 거리값을 의미할 수 있다. The HSV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HSV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FIG. 11. That is, the HSV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HSV value obtained through a graphic tool. The distance value of the HSV coordinates measured with the origin coordinates on the HSV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s the reference point can constitute the above-described HSV average value. That is, th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mages of vehicle and parking sp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HSV color coordinates of the image may be distributed in a certain area among HSV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Therefore, the HSV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the distance value from the origin coordinate calculated based on the average coordinate using the average of the HSV coordinates for the color of a certain area.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응용 필터 F'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차 공간 점유 여부 및 주차 공간 식별정보에 대한 인식 정확도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아래 표는 해당 기술분야 전문가 10명에게 의뢰하여, 필터 적용 여부 등에 따라 인식 결과의 정확도를 수치로서 나타낸 것이다. When applying the application filter F'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accuracy of parking space occupancy and parking sp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 follows. The table below is a numerical representation of the accuracy of recognition results based on whether or not filters are applied, based on requests from 10 experts in the relevant technology field.

필터 적용 없음No filter applied 필터 적용filter apply 필터 적용filter apply 평균 정확도 (점수)Average Accuracy (Score) 7575 9090 9797

상기 표 1는 전문가로부터 평가된 정확도에 대한 점수를 각 케이스별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실험예는 동일한 빅데이터를 통하여 미리 학습된 학습 모듈에 대하여, 필터 적용 여부에 따른 정확도를 조사한 것이다. Table 1 above shows the accuracy scores evaluated by experts for each case. This experimental example investigates the accuracy of a learning module previously learned using the same big data,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filter is applied.

또한, 본 실험예는 120개의 서로 다른 주차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로 실험된 것이며, 인식 결과값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주차장 공간의 차량 점유 여부 및 식별번호에 대한 인식의 정확도를 전문가 10명으로부터 설문 조사한 것이다. In addition, this experimental example was tested with video data including images of 120 different parking spaces, and the accuracy of recognition of the vehicle occupancy an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arking space included in the video data was tested for the recognition results. This was a survey from 10 experts.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필터 적용 없는 경우,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존재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정확도로 평가되었다. 이에 비하여, 일반 CNN 필터 F를 적용한 경우 다소 정확도가 높았으나, 응용 필터 F'를 적용하는 경우의 정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 확인된다.As can be seen in Table 1, when no filter was applied,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an error would occur in image recognition, so the accuracy was evaluated to be relatively low. In comparison, the accuracy was somewhat higher when the general CNN filter F was appli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applied filter F' was appli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공유 과정을 전체 관점에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2 shows the information sha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overall perspective.

도 1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 5의 200, 이하 동일)은 주차장 입구에 도착하고, 서버(도 5의 100, 이하 동일)는 차량 인식 시스템(도 5의 400, 이하 동일)을 통하여 차량(200)의 도착을 감지할 수 있다. 차량(200)은 서버(100)에 주차장 정보를 요청하고, 차량(200)이 서버(100)를 통하여 요청한 주차장 정보가 부재한 경우, 차량(200)은 빈 주차 공간까지 주행(또는 자율주행)하여 이동하고, 이동하면서 주차장 내부에 대한 주변 주차공간 정보(제1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200)은 빈 주차 공간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주차될 수 있다. 서버(100)는 다음 차량이 주차장 정보를 요청시, 획득한 주차장 정보(제1 주차 공간 정보)를 다음 차량(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12,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umber 200 in FIG. 5, hereinafter the same) arrives at the parking lot entrance, and the server (number 100 in FIG. 5, hereinafter the same) operates the vehicle recognition system (number 400 in FIG. 5, hereinafter the same). Through this, the arrival of the vehicle 200 can be detected. The vehicle 200 requests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00, and if there is no parking lo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vehicle 200 through the server 100, the vehicle 200 drives (or autonomously drives) to an empty parking space. It is possible to move and obtain surround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while moving. Vehicle 200 can be parked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an empty parking space. When the next vehicle requests parking lot information, th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obtained parking lot information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next vehicle 300.

도 12에 따르면, 차량(300)은 서버(100)에 주차장 정보를 요청하고, 차량이 서버(100)를 통하여 요청한 주차장 정보에 따른 제1 주차 공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차량(300)은 빈 주차 공간으로 주행하여 주차할 수 있다. 이때, 차량(300)은 복수의 주차 공간이 있는 경우, 주차 공간의 크기와 현 차량의 크기 또는 출입구까지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하나의 주차 공간을 도출할 수 있다. 차량(300)은 도출된 하나의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고, 이동시 주변 주차공간 정보(제2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300)은 서버(100)로 추가적으로 획득한 주차장 정보(제2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100)는 제2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2, the vehicle 300 requests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00, and if there is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arking lo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vehicle through the server 100, the vehicle 300 is empty. You can drive to the parking space and park. At this tim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the vehicle 300 may derive one parking space based on the size of the parking space, the size of the current vehicle, or the distance from the entrance or exit. The vehicle 300 moves to one derived parking space, and can obtain surround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second image data) when moving. The vehicle 300 transmits additionally acquired parking lot information (second image data) to the server 100, and the server 100 updates information about empty parking spaces in the current parking lot based on the second image data. You can.

도 12에 따르면, 차량(300)은 서버(100)에 주차장 정보를 요청하고, 차량(300)이 서버(100)를 통하여 요청한 주차장 정보에 따른 제1 주차 공간 정보가 존재하되, 빈 주차 공간이 없는 경우, 차량(300)은 제1 주차 공간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시 주변 주차공간 정보(제3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300)은 서버(100)로 추가적으로 획득한 주차장 정보(제3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100)는 제3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주자창의 빈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2, the vehicle 300 requests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00, and there is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arking lo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vehicle 300 through the server 100, but there is an empty parking space. If there is none, the vehicle 300 can move to an area not included in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and obtain surround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third image data) when moving. The vehicle 300 transmits the additionally acquired parking lot information (third image data) to the server 100, and the server 100 updates the information about the empty parking space in the current parking lot based on the third image data. You can.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모델링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model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program-recorded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isk), SDD (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also includes those model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is specifica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In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ach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or combin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ny respect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서버
200: 제1 차량
300: 제2 차량
400: 차량 인식 시스템
100: server
200: first vehicle
300: 2nd vehicle
400: Vehicle recognition system

Claims (7)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In a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Receiving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a parking lot from the first vehicle;
generating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image data; and
Including,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A method of sharing parking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은 제3 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3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rality of vehicles further includes a third vehicle,
The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vehicles is:
Receiving second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from the second vehicle;
generating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image data; an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third vehicle,
A method of sharing parking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vehic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은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이고,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는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갱신한 정보인 것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cond vehicle is a vehicle that entered the parking lot after the first vehicle entered the parking lot, and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updates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A method of sharing parking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vehicles.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입구 영역에 상기 제1 차량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주차장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In a method of sharing parking lot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Detecting whether the first vehicle has arrived at the parking lot entrance area;
Receiving a request for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first vehicle;
transmitting the parking lot information to the first vehicle according to the request;
Receiving first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a parking lot from the first vehicle moving according to the parking lot information;
generating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image data; and
Including,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A method of sharing parking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vehic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은 제3 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 입구 영역에 상기 제2 차량의 도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상기 주차장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2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주차 공간 정보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주차장 내부에 대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제3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plurality of vehicles further includes a third vehicl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cond vehicle is,
detecting whether the second vehicle has arrived at the parking lot entrance area;
Receiving a request for the parking lot information from the second vehicle;
transmitting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according to the request;
Receiving second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a parking lot from the second vehicle moving according to the first parking space information;
generating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image data; and
Comprising transmitt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third vehicle,
A method of sharing parking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vehicles.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이 주차 완료 후 상기 주차장을 출차할 때까지 제3 차량이 주차장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주차장 내에 기주차된 다른 차량에게 상기 제2 주차 공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복수의 차량간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4,
If the third vehicle does not request parking lot information until the second vehicle leaves the parking lot after completing parking, receiv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another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lot,
A method of sharing parking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vehicles.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comprising: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220063537A 2022-05-24 2022-05-24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 KR202301637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537A KR20230163790A (en) 2022-05-24 2022-05-24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537A KR20230163790A (en) 2022-05-24 2022-05-24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790A true KR20230163790A (en) 2023-12-01

Family

ID=8912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537A KR20230163790A (en) 2022-05-24 2022-05-24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379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370A (en) 2015-09-09 2017-03-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parking garage?s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par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370A (en) 2015-09-09 2017-03-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parking garage?s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par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3930B (en) Lane line gen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9840880B (en) Pavement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EP3568334B1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parking vehicle
US20200027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a model to generate poi data using federated learning
CN110348297B (en) Detection method, system,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stereo garage
EP4152204A1 (en) Lane line detec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US11694251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ecommending a service
US11240629B2 (en) Artific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2034375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892760B (en) Positioning terminal equipment based on deep learning
US20200101600A1 (en) Control system to control intelligent robot device
US20200090192A1 (en) Artific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6371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of vehicle
CN105144260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variable-message signs
US20200104323A1 (en) User profiling method using event occurrence time
CN112753038A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lane change trend of vehicle
EP3703008A1 (en) Object detection and 3d box fitting
CN110853085A (en) Semantic SLAM-based mapp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613193A (en) Calculation force sharing-based parking space acquisition method, storage medium, system and vehicle
CN113189989A (en) Vehicle intention predi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739333B (en) Empty parking space identification method
CN111460866B (en) Lane line detection and driv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P3813035A1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4648709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etermining image difference information
KR20230163790A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ARKING INFORMATION USING Io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