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528A - Automatic rack and tray load dismantling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rack and tray load dismantl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528A
KR20230162528A KR1020230043795A KR20230043795A KR20230162528A KR 20230162528 A KR20230162528 A KR 20230162528A KR 1020230043795 A KR1020230043795 A KR 1020230043795A KR 20230043795 A KR20230043795 A KR 20230043795A KR 20230162528 A KR20230162528 A KR 20230162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frame
trays
rack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남순
이병헌
Original Assignee
이남순
이병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순, 이병헌 filed Critical 이남순
Publication of KR2023016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5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 B65G57/308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by means of endless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가 거치되는 적층걸이대; 상기 적층걸이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시키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적층걸이대로부터 트레이를 동시에 상기 본체프레임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본체프레임 외측으로 복수 개의 트레이가 배출될 때에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출 측에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납하는 대차를 위치시켜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배출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가 동시에 수납되도록 대차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거치하여 승강시키는 거치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conveyor extending outward from the internal space; A plurality of laminated hangers are mov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on which a tray on which a moving object is mounted is mounted; a height adjustment unit that sequentially places trays supplied along the conveyor on the stacking rack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acking rack; A supply unit that simultaneously discharges tray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from a plurality of stacked hangers that are stacked while maintaining distance from each other by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when a plurality of tray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a cart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trays is position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main frame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tray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frame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unting and lowering part tha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frame and raised.

Description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Stacker) 자동해체기(Un-stacker) {Automatic rack and tray load dismantling machine}Automatic rack and tray load dismantling machine {Automatic rack and tray load dismantling machine}

본 발명은 래크 및 트레이 자동 적재 자동 해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가공식품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대량으로 수납하여 이동하는 대차에 공급하여 수납하고, 이동된 대차로부터 트레이를 배출하여 컨베이어에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트레이를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어 가공식품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store trays on which a plurality of processed foods are mounted in large quantities and supply them to a moving cart for storage, and to discharge the trays from the moved cart and transport them to a conveyor. It relates to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disassembly machine that can deliver or discharge multiple trays,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transport processed food.

근래 들어, 사회의 고도화 및 복잡화와 함께 정보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현대인의 생활은 더욱 더 바빠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informatization has rapidly progressed along with the advancement and complexity of society, modern people's lives have become busier, and as a result, demand for fast food and instant food is rapidly increasing.

이에 따라 단시간에 손쉽게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보존이 간단하며 수송 및 휴대가 편리한 인스턴트식품, 농축수산 가공식품 또는 빵 등의 소비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Accordingly, the consumption of instant foods, processed agricultural,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or bread, etc., which can be easily cooked in a short time, are easy to store and preserve, and are convenient to transport and carry, is also increasing.

일반적으로 이러한 인스턴트식품, 가공식품 또는 빵 등의 포장은 경제성 및 성형의 용이성 측면에서 높은 위생성을 지니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제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containers made of synthet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ich have high hygiene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and ease of molding, are widely used to package such instant foods, processed foods, or bread.

따라서 식품제조공장이나 식품가공공장에서는 이러한 인스턴트식품이나 가공식품의 포장을 위한 용기를 높은 자동화 공정을 통해서 정확하게 공급하는 일은 공정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하다.Therefore, in food manufacturing plants or food processing plants, it is important in terms of process efficiency to accurately supply containers for packaging such instant foods or processed foods through a highly automated process.

일반적으로 용기 공급장치는, 설치대를 마련한 후, 이 설치대의 안쪽에 마련한 용기 이송기구와, 설치대의 윗쪽에 마련한 용기 공급기구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container supply device is composed of a container transfer mechanism provided inside the installation stand after providing an installation stand, and a container supply mechanism provided above the installation stand.

상기한 용기 이송기구는 설치대의 안쪽에서 임의의 구간을 등속도로 이송하는 체인 콘베이어와, 체인 콘베이어의 양측 체인에 연결된 채 폭 방향으로 다수의 용기받침구멍들을 가지는 몰드플레이트로 구성된다.The container transport mechanism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chain conveyor that transports a certain section at a constant speed inside the installation table, and a mold plate that is connected to chains on both sides of the chain conveyor and has a plurality of container support holes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용기 공급기구는 상기한 설치대의 상측면 양쪽에 입설시킨 지지폴과, 지지폴의 상단에 조립된 수평 방향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위에서 상기한 몰드플레이트의 용기받침구멍들 위치와 일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마련한 다수의 용기적층수단와, 지지프레임 상에 구비하되, 용기적층수단의 용기들을 그 아래의 용기받침구멍들로 하나씩 공급하게 되는 낱개 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supply mechanism matches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l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installation table,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assemb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pole, and the container support holes of the mold plate above the support fram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ntainer stacking mean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s much as possible, and an individual supply means that is provided on a support frame and supplies the containers of the container stacking means one by one to the container support holes below.

이때, 종래의 낱개 공급수단은 용기적층수단에 적층되어 있는 용기의 테두리가 걸리도록 임의의 기본 간격부와, 넓은 간격부를 가지는 한 쌍의 받침부재, 받침부재들의 선단에 각각 연결하되 빗면을 가짐으로써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한 쌍의 나이프부재, 한 쌍의 받침부재와 한 쌍의 나이프부재들을 상호 연결한 후,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조립틀부재, 조립틀부재와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연결하여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조립틀부재의 위치를 전후진시킬 수 있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individual supply means has a pair of support members having an arbitrary basic gap and a wide gap so that the rims of the containers stacked on the container stacking means are caught, and are each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upport members but have an inclined surface. A pair of knife members whos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a pair of support members and a pair of knife members interconnected, an assembly frame member that can move simultaneously, a support frame connected between the assembly frame member and the support frame. It consists of a pneumatic cylinder that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assembly frame member forward and backward.

따라서, 공압실린더가 작동하기 전에는 조립틀부재를 포함한 한 쌍의 받침부재가 기본간격부에 최하층 용기의 테두리가 얹히도록 하여 양쪽을 받치고 있게 된다.Therefore, before the pneumatic cylinder operates, a pair of support members including an assembly frame member support both sides with the rim of the lowest container resting on the basic gap.

그 상태에서 공압실린더의 로드가 빠지면 조립틀부재와 나이프부재를 포함한 한 쌍의 받침부재가 좌측으로 후퇴하게 되고, 그 후퇴에 따라 나이프부재의 빗면은 최하층의 바로 위에 있는 용기의 테두리를 받치면서 용기들 전체를 위로 밀어 올리고, 이와 동시에 한 쌍의 받침부재는 그 넓은 간격부에 최하층 용기의 테두리가 위치하기 때문에 이 용기는 아래로 자연 낙하하여 떨어진다.In that state, when the rod of the pneumatic cylinder is removed, the pair of support members including the assembly frame member and the knife member retreat to the left, and as the knife member retreat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knife member supports the rim of the container immediately above the lowest layer, thereby supporting the container. The entire container is pushed upward, and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pair of support members positions the rim of the lowest container in the wide gap, the container naturally falls downward.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최하층의 용기부터 그 위로 모든 용기들을 받쳐주기 위한 한 쌍의 받침부재와, 적시에 최하층의 용기를 아래로 떨어트리기 위해 그 위의 용기들을 일시적으로 밀어 올리기 위한 나이프부재와,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공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구성품이 많아서 제조 공정이 많고 조립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This conventional configuration includes a pair of support members to support all containers starting from the lowest layer container, a knife member to temporarily push up the containers above in order to drop the lowest layer container down at the right time, and , Since it contains a pneumatic cylinder to provide power,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which not only requires a long manufacturing process and difficult assembly work, but also increases production costs.

또한, 용기 받침부재와, 나이프부재와, 조립틀부재, 공압실린더들을 구성하였을 때 이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설치대를 크게 확보하여야 하는 등의 불리함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support member, knife member, assembly frame member, and pneumatic cylinder are configured, the space they occupy is very large, so there is a disadvantage such as having to secure a large installation stand.

특히, 용기의 재질이 합성수지재일 경우 적층된 용기들의 내부로 공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바, 최하층의 용기을 제외하고 그 바로 위의 컵을 받쳐도 최하층의 컵이 자연낙하하지 못한다.In particular, when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is synthetic resin,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stacked containers, so they are maintained in an almost vacuum state, so even if you support the cup directly above it, except for the container on the lowest layer, the cup on the lowest layer will not fall naturally. .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강제로 최하층의 컵을 끌어 내려서 빼야 하는데 종래의 구성에서는 이러한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cup on the lowest layer must be forcibly pulled down and remov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such means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하기 위해 트레이 공급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는, 선반과, 선반을 따라 순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몸체의 상단에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를 갖는 트레이를 적층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입구 컨베이어와, 컨베이어를 통해 수송된 적층 상태의 트레이 일부를 하부로 자유낙하 시키는 묶음 공급부, 및 묶음 공급부를 통해 자유낙하 된 복수개의 트레이를 낱개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낱개 공급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공급장치에서, 낱개 공급부는 묶음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선반에 설치되고, 묶음 공급부를 통해 자유낙하 된 트레이 플랜지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플랜지의 면적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복수개가 배치되며, 트레이 플랜지가 끼움 결합되어 정지되도록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트레이 멈춤수단과, 트레이 멈춤수단을 통해 지지된 적층 상태의 트레이 중 최하부의 트레이 몸체를 양 측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2 좌우 가압바와, 제1,2 좌우 가압바에 각각 연결되어 제1,2 좌우 가압바를 좌, 우로 벌리고 오므리는 제1 구동기구와, 선반에 설치되고 제1 구동기구에 연결되어 제1 구동기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기구, 및 트레이 멈춤수단에 의해 적층된 트레이 중 최하부에 위치한 트레이가 제1,2좌우 가압바에 의해 가압되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구동기구와 제2 구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ray supply device was developed, and the tray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tacks a shelf and a tray that is installed to rotate circularly along the shelf and has a flange protruding along the edge at the top of the body. It includes an entrance conveyor that transports the trays in a stacked state, a bundle supply unit that freely falls to the bottom of some of the stacked trays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and an individual supply unit that separates and supplies a plurality of trays that have freely fallen through the bundle supply unit. In the tray supply device, the individual supply unit is installed on a shelf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undle supply unit, and a plurality of trays are arranged to have a gap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lange so as to contact the side of the tray flange that freely falls through the bundle supply unit. A tray stopper having an uneven surface formed so that the flange is fitted and stopped, and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pressure bars that press the lowermost tray body among the stacked trays supported by the tray stopp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both sides; A first driving mechanism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pressure bars, respectively, to open and retract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pressure bars to the left and right, and a first driving mechanism that is installed on the shelf and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chanism to move the first driving mechanism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echanism and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so that the tray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acked trays by the second driving mechanism and the tray stop means can be moved downward by being pr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pressure bars. Includes control panel.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7787호(2018년 02월 0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트레이 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27787 (announced on February 5, 2018, title of the invention: tray supply device).

종래기술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는, 한 번의 공정에 의해 하나의 트레이만을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수 개의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공정이 연속되게 진행될 때에 트레이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송대상물이 빵과 같이 연성재질의 음식물인 경우에는 다수 개의 이송대상물을 동시에 이동시킬 때에 이송대상물들 사이에 발생되는 충돌에 의해 이송대상물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tray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only transfer one tray in one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ray transfer when the process of moving multiple trays is carried out continuously. , when the transfer object is a soft food material such as bre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port object is deformed or damaged due to collisions that occur between the transport objects when moving multiple transport objects simultaneously.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가공식품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대량으로 수납하여 이동하는 대차에 공급하여 수납하고, 이동된 대차로부터 트레이를 배출하여 컨베이어에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트레이를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어 가공식품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rays on which a plurality of processed foods are placed in large quantities, supplies them to a moving cart, stores them, discharges the trays from the moved cart and delivers them to the conveyor, and processes by supplying or discharging a plurality of trays. The purpose is to provide automatic rack and tray loading and disassembling machines that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transport food.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가 거치되는 적층걸이대; 상기 적층걸이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시키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적층걸이대로부터 트레이를 동시에 상기 본체프레임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본체프레임 외측으로 복수 개의 트레이가 배출될 때에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출 측에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납하는 대차를 위치시켜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배출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가 동시에 수납되도록 대차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거치하여 승강시키는 거치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conveyor extending outward from the internal space; A plurality of laminated hangers are mov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on which a tray on which a moving object is mounted is mounted; a height adjustment unit that sequentially places trays supplied along the conveyor on the stacking rack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acking rack; A supply unit that simultaneously discharges tray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from a plurality of stacked hangers that are stacked while maintaining distance from each other by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when a plurality of tray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a cart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trays is position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main frame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tray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frame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unting and lowering part tha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frame and raised.

또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가 거치되는 적층걸이대; 상기 적층걸이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시키는 높이조절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유입 측에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납하는 대차를 위치시켜 대차의 수납걸이대와 상기 적층걸이대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대차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거치하여 승강시키는 거치승강부; 및 대차로부터 복수 개의 트레이를 동시에 거치하여 상기 적층걸이대 측으로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conveyor extending outward from the internal spac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laminated hangers are mov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on which a tray on which a moving object is mounted is mounted; a height adjustment unit that sequentially places trays supplied along the conveyor on the stacking rack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acking rack; A mounting and lowering unit that positions a cart storing a plurality of trays on the inlet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raises and lowers the cart on the main body frame so that the storage hanger of the bogie and the stacking hanger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a pull-out portion that simultaneously mounts a plurality of trays from the cart and pulls them out toward the stacking rack.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승강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및 대차를 상기 승강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승강프레임과 대차에 동시에 승강되도록 대차를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거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ed lif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frame slid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drive unit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lifting frame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a mounting fixing part that secures the bogie to the lifting frame so that the bogie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lifting frame and is simultaneously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frame and the bogi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구비되는 랙부재; 상기 랙부재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피니언부재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ck member provided on the lifting frame; a pinion member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to be gear-connected to the rack member; and a lifting moto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pinion member to provide forward or reverse power to the pinion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고정부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대차의 하단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받침대; 및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어 대차의 상단을 구속하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승강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차의 상단 내벽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대차의 상단을 구속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fix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frame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ogie; and an upper fixing par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frame and restraining the upper end of the bogie, wherein the upper fixing part includes: a hinge par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frame; and a fixing bar rotatably installed by the hinge portion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of the bogie to restrain the upper end of the bogi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적층부는, 상기 적층걸이대; 및 복수 개의 상기 적층걸이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적층걸이대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를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시킬 수 있고, 상기 적층걸이대를 하강시키면서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되는 트레이를 상기 컨베이어에 안착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minated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aminated hanger; And a plurality of the laminated hangers are support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and the tray supplied along the conveyor can be placed on the laminated hanger while the laminated hanger is raised, and the tray is mounted on the laminated hanger while the laminated hanger is lower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eight adjustment part that can seat the tray on the conveyo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적층걸이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체인부재; 및 상기 체인부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적층걸이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조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in member on which a plurality of the laminated hanger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 adjustment drive unit that drives the chain member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aise or lower the laminated hang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급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블록; 상기 공급블록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벨트; 상기 공급벨트의 양단부가 권취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고, 공급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급피니언; 및 상기 공급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적층걸이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피니언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되면 트레이를 상기 수납걸이대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급연장대 및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block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supply belt connected to the supply block and installed to be circulateable on the main body frame; A supply pinion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frame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ly belt are wound, and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supply motor; And a supply extension and a pressure member extending from the supply block and disposed between the stacking racks, and discharging the tray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rack when the supply pin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dvanc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블록; 상기 인출블록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벨트; 상기 인출벨트의 양단부가 권취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고, 인출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인출피니언; 상기 인출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적층걸이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출피니언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되면 대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출연장대; 및 상기 인출연장대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출연장대가 대차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 개의 트레이에 동시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ll-o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ll-out block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pull-out belt connected to the pull-out block and circulat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a take-out pinion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frame so that both ends of the take-out belt are wound, and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take-out motor; a pull-out extension bar extending from the pull-out block and disposed between the stacking racks,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ogie when the pull-out pin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dvanced; And a plurality of hook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pull-out extens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trays when the pull-out extens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placed adjacent to the cart. do.

본 발명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는, 다수 개의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 다수 개를 동시에 대차에 수납시킬 수 있는 공급부가 구비되고, 대차로부터 다수 개의 트레이를 동시에 인출하여 컨베이어에 연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인출부가 구비되므로 다수 개의 이송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대차에 수납시키거나 대차로부터 인출할 때에 다수 개의 트레이를 동시에 공급 또는 인출할 수 있어 이송대상물 공급 및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upply unit that can simultaneously store a plurality of trays on which a plurality of transfer objects are seated in a bogie, and simultaneously withdraws a plurality of trays from the bogie and continuously transports them to the conveyor. Since a pull-out unit that can discharge multiple objects is provided, when trays on which multiple objects are seated are stored in or removed from the bogie, multiple trays can be supplied or pulled out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objects. There is a significant saving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내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내부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f racks and t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f racks and t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out portion of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out portion of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ull-out portion of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withdrawal unit of the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ull-out portion of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ck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automatic unlock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도시된 내부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utomatic loading and automatic release of racks and t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operation showing the automatic loading and automatic release of racks and t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and Figure 6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out portion of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ck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pulling out portion of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automatic unlock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ull-out portion of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의 인출부가 도시된 내부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10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draw-out portion of the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ck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automatic loading and unlocking machine for racks and t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ead-out part.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12)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10)과, 본체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1)가 거치되는 적층걸이대(52)와, 적층걸이대(52)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컨베이어(12)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1)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층걸이대(52)에 거치시키는 높이조절부(54)와, 높이조절부(54)의 작동에 의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적층걸이대(52)로부터 트레이(1)를 동시에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70)와, 공급부(70)의 작동에 의해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복수 개의 트레이(1)가 배출될 때에 본체프레임(10)의 배출 측에 복수 개의 트레이(1)를 수납하는 대차(3)를 위치시켜 본체프레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1)가 동시에 수납되도록 대차(3)를 본체프레임(10)에 거치하여 승강시키는 거치승강부(30)를 포함한다.1 to 11, the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space and a main body frame (12) extending outward from the internal space is installed. 10), and a plurality of stacked hangers 52, which are movab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frame 10 and on which the tray 1 on which the moving object is placed is mounted, and a stacked hanger 52 A height adjustment unit 54 that sequentially places the trays 1 supplied along the conveyor 12 on the stacking rack 52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ray, and a gap between them by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A supply unit 70 that simultaneously discharges the trays 1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from the plurality of stacking hangers 52 that are held and stacked, and a plurality of trays 1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70. When the tray (1) is discharged, the cart (3)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trays (1) is plac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so that the plurality of trays (1)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frame (10) are stored simultaneously. Preferably, it includes a mounting and lowering unit 30 for mounting and lowering the bogie 3 on the main body frame 10.

따라서 컨베이어(12)를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트레이(1)를 대차(3)에 옮겨 실을 때에는 컨베이어(12)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1)가 본체프레임(10) 내부공간에 배치되면 컨베이어(12)의 구동이 정지된 후에 높이조절부(54)가 구동되어 적층걸이대(52)가 상승하면서 하나의 트레이(1)를 한 쌍의 적층걸이대(52)에 거치시키고, 높이조절부(54)의 구동이 중단되면 다시 컨베이어(12)가 구동되어 다른 트레이(1)가 본체프레임(10) 내측으로 배치된 후에 다시 높이조절부(54)가 구동되어 적층걸이대(52)가 상승하면 또 하나의 트레이(1)가 한 쌍의 적층걸이대(52)에 거치되어 상승하게 된다.Therefore, when transferring the tray 1 continuously supplied along the conveyor 12 to the cart 3, if the tray 1 supplied along the conveyor 12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rame 10, the conveyor ( After the operation of 12) is stopped,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is driven and the stacking hanger 52 rises to place one tray (1) on the pair of stacking hangers 52,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54 When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12 is stopped, the conveyor 12 is driven again and another tray 1 is placed inside the main body frame 10, and then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is driven again and the stacking hanger 52 rises, another tray 1 is placed inside the main body frame 10. The tray (1) is raised by being mounted on a pair of stacked hangers (52).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면 다수 개의 트레이(1)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공급부(70)의 작동에 의해 적층된 다수 개의 트레이(1)가 동시에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배출된다.When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a plurality of trays (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rays (1) stacked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70) are simultaneously plac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is discharged as

이때, 거치승강부(30)의 작동에 의해 대차(3)의 수납걸이대(5)가 적층걸이대(52)에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본체프레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1)는 모두 대차(3)의 수납걸이대(5)에 안착된다.At this time, the storage rack 5 of the bogie 3 is maintained facing the stacked rack 52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30, so that a plurality of trays 1 are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frame 10. ) are all seated on the storage rack (5) of the bogie (3).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면서 대차(3) 내부에 트레이(1)가 모두 수납되면 거치승강부(30)의 작동에 의해 대차(3)가 지면으로 하강하여 안착되고, 작업자는 대차(3)를 밀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 and all of the trays (1) are stored inside the bogie (3), the cart (3) is lowered to the ground and settl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30), and the operator moves the cart (3) You can move to the next process by pushing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래크 및 트레이(1) 자동적재 자동해제기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12)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10)와, 본체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1)가 거치되는 적층걸이대(52)와, 적층걸이대(52)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컨베이어(12)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1)를 순차적으로 적층걸이대(52)에 거치시키는 높이조절부(54)와, 본체프레임(10)의 유입 측에 복수 개의 트레이(1)를 수납하는 대차(3)를 위치시켜 대차(3)의 수납걸이대(5)와 적층걸이대(52)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대차(3)를 본체프레임(10)에 거치하여 승강시키는 거치승강부(30)와, 대차(3)로부터 복수 개의 트레이(1)를 동시에 거치하여 적층걸이대(52) 측으로 인출시키는 인출부(8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of the rack and tray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frame 10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conveyor 12 extending outward from the internal space is installed, and a main body frame ( A plurality of stacked hangers 52 are arranged to be movabl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ternal space of 10), on which the tray 1 on which the moving object is placed is mounted, and a conveyor (52) is installed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acked hangers 52. A height adjustment unit 54 that sequentially mounts the trays 1 supplied along 12 on the stacking rack 52, and a cart 3 that stores a plurality of trays 1 on the inflow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 to place the storage rack (5) and the stacking rack (52) of the carriage (3) on the same plane, and a mounting and lifting unit (3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riage (3) on the main body frame (10); It includes a pull-out portion 80 that simultaneously holds a plurality of trays 1 from the cart 3 and pulls them out toward the stacking holder 52.

따라서 트레이(1)가 수납된 대차(3)를 자동인출기에 인접하게 배치시킨 후에 거치승강부(30)의 작동에 의해 수납걸이대(5)와 적층걸이대(52)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대차(3)를 상승시킨 후에 인출부(80)를 구동시켜 대차(3)로부터 복수 개의 트레이(1)를 본체프레임(10) 내부공간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되고, 적층부(50)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트레이(1)를 컨베이어(12)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면서 컨베이어(12)를 따라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연속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placing the cart 3 containing the tray 1 adjacent to the automatic dispenser, the storage rack 5 and the stacking rack 52 are placed on the same plan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30. After raising (3), the pull-out unit 80 can be driven to pull out a plurality of trays (1) from the cart (3)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rame (10), and by the operation of the stacking unit (50). By sequentially seating a plurality of trays (1) on the conveyor (12), they can be continuous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along the conveyor (12).

본 실시예의 거치승강부(30)는, 본체프레임(1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32)과, 승강프레임(32)을 본체프레임(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34)와, 대차(3)를 승강프레임(32)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켜 승강프레임(32)과 대차(3)에 동시에 승강되도록 대차(3)를 승강프레임(32)에 고정시키는 거치고정부(36)를 포함한다.The mounted lifting unit 3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lifting frame 32 that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and the lifting frame 32 is moved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The lifting drive unit 34, which provides the power to move, and the bogie 3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lifting frame 32, so that the bogie 3 is raised and lowered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frame 32 and the bogie 3. It includes a mounting fixing part (36) that is fixed to the frame (32).

승강프레임(32)을 본체프레임(10)과 비교하여 작은 사각틀 모양으로 형성되어 본체프레임(10) 일측면에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프레임(32)의 상단 및 하단에 거치고정부(36)가 구비되어 대차(3)를 승강프레임(32)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Compared to the main body frame 10, the lifting frame 32 is formed in a small square shap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to be able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and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frame 32 And a mounting fixing part 36 is provided at the bottom, so that the bogie 3 can be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32.

또한, 본 실시예의 승강구동부(34)는, 승강프레임(32)에 구비되는 랙부재(34a)와, 랙부재(34a)에 기어연결되도록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는 피니언부재(34b)와, 피니언부재(34b)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동력을 제공하도록 피니언부재(34b)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승강모터(34c)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drive unit 34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rack member 34a provided on the lifting frame 32, a pinion member 34b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10 to be gear-connected to the rack member 34a, and , and includes a lifting motor 34c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pinion member 34b to provide forward or reverse power to the pinion member 34b.

따라서 승강모터(34c)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랙부재(34a)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승강프레임(32) 및 대차(3)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lifting motor 34c is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rack member 34a rises or falls, thereby raising or lowering the lifting frame 32 and the bogie 3.

본 실시예의 거치고정부(36)는, 승강프레임(32)의 하단에 구비되어 대차(3)의 하단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받침대(36a)와, 승강프레임(32)의 상단에 구비되어 대차(3)의 상단을 구속하는 상부고정부(36b)를 포함하고, 상부고정부(36b)는, 승강프레임(32)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부(37)와, 힌지부(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차(3)의 상단 내벽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대차(3)의 상단을 구속하는 고정바(38)를 포함한다.The mounting fixing part 36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36a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frame 32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art 3, and a plurality of supports 36a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frame 32 to support the cart 3. ) includes an upper fixing part (36b) that restrains the upper end of the, and the upper fixing part (36b) is rotatable by a hinge part (37) provided at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32) and the hinge part (37). It is installed and includes a fixing bar 38 that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of the bogie 3 and restrains the upper end of the bogie 3.

따라서 대차(3)를 승강프레임(32)에 밀착되게 배치시키면 승강프레임(32)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받침대(36a)에 의해 대차(3)가 지지되고, 고정바(38)를 힌지부(37)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바(38)가 대차(3)의 상단 내벽에 밀착되면서 대차(3)의 상단이 승강프레임(32)에 밀착된 상태로 구속되므로 승강프레임(32)과 대차(3)가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ogie 3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ifting frame 32, the bogie 3 is supported by a pair of supports 36a protruding forward from the bottom of the lifting frame 32, and the fixing bar 38 When rotated around the hinge portion 37, the fixing bar 38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of the bogie 3, and the upper end of the bogie 3 is restr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ifting frame 32, so that the lifting frame 32 ) and the bogie (3) can rise or fall at the same time.

본 실시예의 적층부(50)는, 적층걸이대(52)와, 복수 개의 적층걸이대(5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적층걸이대(52)를 상승시키면서 컨베이어(12)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1)를 적층걸이대(52)에 거치시킬 수 있고, 적층걸이대(52)를 하강시키면서 적층걸이대(52)에 거치되는 트레이(1)를 컨베이어(12)에 안착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54)를 포함한다.The stacking unit 50 of this embodiment supports the stacking hanger 52 and the plurality of stacking hangers 52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and the tray supplied along the conveyor 12 while raising the stacking hanger 52. (1) can be mounted on the laminated hanger 52,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can seat the tray (1) mounted on the laminated hanger 52 on the conveyor 12 while lowering the laminated hanger 52. ) includes.

또한,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부(54)는, 복수 개의 적층걸이대(5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체인부재(56)와, 체인부재(5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적층걸이대(5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조절구동부(5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hain member 56 o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ed hangers 52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laminated hanger (56) by driving the chain member 56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 It includes an adjustment drive unit 57 that raises or lowers 52).

따라서 한 쌍의 적층걸이대(52)에 하나의 트레이(1)의 양단부가 안착되어 거치된 상태로 조절모터(59)가 구동되면 조절피니언(58)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체인부재(5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시키게 되므로 적층걸이대(52)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적층걸이대(52)에 안착된 트레이(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both ends of one tray (1) are seated and mounted on a pair of laminated hangers (52) and the control motor (59) is driven, the control pinion (58) is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the chain member (56) Because it circul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tray 1 seated on the laminated hanger 52 is raised or lowered as the laminated hanger 52 rises or falls.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54)의 작동에 의해 다수 개의 트레이(1)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본체프레임(10) 내부에 위치된 후에 공급부(70)의 작동에 의해 다수 개의 트레이(1)가 동시에 대차(3) 측으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rays 1 are placed inside the main body frame 1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and then a plurality of trays 1 are placed inside the main body frame 10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70. Two trays (1) are simultaneously discharged to the cart (3).

본 실시예의 공급부(70)는, 본체프레임(10)에 전후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블록(72)과, 공급블록(72)이 연결되고, 본체프레임(10)에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벨트(74)와, 공급벨트(74)의 양단부가 권취되도록 본체프레임(10)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고, 공급모터(77)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급피니언(76)와, 공급블록(72)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층걸이대(52) 사이에 배치되고, 공급피니언(76)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되면 트레이(1)를 수납걸이대(5)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급연장대(78) 및 가압부재(79)를 포함한다.The supply unit 70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supply block 72 that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main body frame 10, and the supply block 7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0 to enable circulation. A supply belt 74 is installed and a supply fram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frame 10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ly belt 74 are wound, and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supply motor 77. It extends from the pinion 76 and the supply block 72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tacking hanger 52, and when the supply pinion 76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dvances, the tray (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hanger (5). Includes a supply extension unit (78) and a pressurizing member (79).

따라서 공급모터(77)가 구동되어 공급피니언(76)이 회전되면 공급벨트(74)가 순환되면서 공급블록(72), 공급연장대(78) 및 가압부재(79)를 대차(3) 측으로 전진시키게 되므로 다수 개의 트레이(1)가 가압부재(79)에 의해 대차(3) 측으로 이동되면서 대차(3) 내부에 수납되어 수납걸이대(5)에 안착된다.Therefore, when the supply motor 77 is driven and the supply pinion 76 rotates, the supply belt 74 circulates and the supply block 72, supply extension 78, and pressure member 79 advance toward the bogie (3).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trays (1) are moved toward the cart (3) by the pressing member (79), are stored inside the cart (3), and are seated on the storage rack (5).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대차(3) 내부에 다수 개의 트레이(1)가 적층되면 작업자가 대차(3)를 자동해제기 측으로 이동시키고, 대차(3)를 자동해제기에 연결한 후에 인출부(80)를 구동시키면 다수 개의 트레이(1)가 동시에 본체프레임(10) 내측으로 인출된 후에 순차적으로 컨베이어(12)에 안착되도록 높이조절부(54)가 구동되어 다수 개의 트레이(1)가 연속하여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배출된다.When a plurality of trays (1) are stacked inside the cart (3) by the operation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moves the cart (3) to the automatic release machine, connects the cart (3) to the automatic release machine, and then connects the cart (3) to the automatic release machine. When (80) is driven,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is driven so that a plurality of trays 1 are simultaneously pulled out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and then sequentially seated on the conveyor 12, so that a plurality of trays 1 are continuously Thi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본 실시예의 인출부(80)는, 본체프레임(10)에 전후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블록(82)과, 인출블록(82)이 연결되고, 본체프레임(10)에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벨트(84)와, 인출벨트(84)의 양단부가 권취되도록 본체프레임(10)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고, 인출모터(87)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인출피니언(86)과, 인출블록(82)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층걸이대(52) 사이에 배치되고, 인출피니언(86)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되면 대차(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출연장대(88)와, 인출연장대(88)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출연장대(88)가 대차(3)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 개의 트레이(1)에 동시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고리(89)를 포함한다.The draw-out unit 80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draw-out block 82 tha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10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draw-out block 8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0 and can be circulated. A take-out belt 84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frame 10 so that both ends of the take-out belt 84 are wound, and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ake-out motor 87. It is disposed between the pull-out pinion 86 and the pull-out block 82 and the laminated hanger 52, and when the pull-out pinion 86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dvanced, the pull-out extens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gie 3 ( 88 and a plurality of drawer extensions 88 are rotatab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when the drawer extensions 88 ar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placed adjacent to the cart 3, a plurality of trays 1 ) and includes a locking ring (89) that is fastened to the locking ring at the same time.

따라서 인출모터(87)가 구동되어 인출피니언(86)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인출벨트(84)가 순횐되면서 인출블록(82), 인출연장대(88) 및 걸림고리(89)가 대차(3) 측으로 이동되고, 다수 개의 걸림고리(89)가 회전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면서 다수 개의 트레이(1)에 걸림결합된 후에 인출모터(87)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인출벨트(84)가 역방향으로 순환되면서 다수 개의 트레이(1)를 적층걸이대(52) 측으로 이동시켜 본체프레임(10) 내측에 배치시키고, 높이조절부(54)가 구동되어 적층걸이대(52)가 하강하게 되면 트레이(1)가 순차적으로 컨베이어(12)에 안착된 후에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ake-out motor (87) is driven and the take-out pinion (86)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take-out belt (84) rotates and the take-out block (82), take-out extension (88), and catch ring (89) are connected to the bogie (3). When the pull-out motor 87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being moved to the side and the plurality of locking rings 89 are simultaneously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otary drive unit and engage with the plurality of trays 1, the pull-out belt 84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circulating, a plurality of trays (1) are moved toward the stacking hanger (52) and placed inside the main body frame (10). When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is driven and the stacking hanger (52) is lowered, the tray (1) After being sequentially placed on the conveyor 12,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and moves to the next process.

이로써, 복수 개의 가공식품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대량으로 수납하여 이동하는 대차에 공급하여 수납하고, 이동된 대차로부터 트레이를 배출하여 컨베이어에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트레이를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어 가공식품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체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rays on which a plurality of processed foods are placed can be stored in large quantities, supplied to a moving cart for storage, trays can be discharged from the moved cart and delivered to the conveyor, and a plurality of trays can be supplied or discharged to provide processed fo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rack and tray automatic disassembly system that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또한,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적재 해제기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f racks and tray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un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products other than the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f racks and tray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 : 트레이 3 : 대차
5 : 수납걸이대 10 : 본체프레임
12 : 컨베이어 30 : 거치승강부
32 : 승강프레임 34 : 승강구동부
34a : 랙부재 34b : 피니언부재
34c : 승강모터 36 : 거치고정부
36a : 받침대 36b : 상부고정부
37 : 힌지부 38 : 고정바
50 : 적층부 52 : 적층걸이대
54 : 높이조절부 56 : 체인부재
57 : 조절구동부 58 : 조절피니언
59 : 조절모터 70 : 공급부
72 : 공급블록 74 : 공급벨트
76 : 공급피니언 77 : 공급모터
78 : 공급연장대 79 : 가압부재
80 : 인출부 82 : 인출블록
84 : 인출벨트 86 : 인출피니언
87 : 인출모터 88 : 인출연장대
89 : 걸림고리
1: Tray 3: Truck
5: storage rack 10: main body frame
12: Conveyor 30: Mounting lift unit
32: Elevating frame 34: Elevating port eastern part
34a: rack member 34b: pinion member
34c: lifting motor 36: mounting fixture
36a: stand 36b: upper fixing part
37: Hinge portion 38: Fixing bar
50: Laminated part 52: Laminated hanger
54: height adjustment unit 56: chain member
57: Control drive unit 58: Control pinion
59: control motor 70: supply unit
72: supply block 74: supply belt
76: Supply pinion 77: Supply motor
78: Supply extension 79: Pressure member
80: withdrawal unit 82: withdrawal block
84: pull-out belt 86: pull-out pinion
87: Draw-out motor 88: Draw-out extension
89: Hook

Claims (9)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가 거치되는 적층걸이대;
상기 적층걸이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시키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적층걸이대로부터 트레이를 동시에 상기 본체프레임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본체프레임 외측으로 복수 개의 트레이가 배출될 때에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출 측에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납하는 대차를 위치시켜 상기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배출되는 복수 개의 트레이가 동시에 수납되도록 대차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거치하여 승강시키는 거치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A main body fram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on which a conveyor extending outward from the internal spac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laminated hangers are mov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on which a tray on which a moving object is mounted is mounted;
a height adjustment unit that sequentially places trays supplied along the conveyor on the stacking rack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acking rack;
A supply unit that simultaneously discharges tray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from a plurality of stacked hangers that are stacked while maintaining distance from each other by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When a plurality of tray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a cart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trays is position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main frame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tray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frame at the same time.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ounting and lifting part tha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frame and lifted.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안착되는 트레이가 거치되는 적층걸이대;
상기 적층걸이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시키는 높이조절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유입 측에 복수 개의 트레이를 수납하는 대차를 위치시켜 대차의 수납걸이대와 상기 적층걸이대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대차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거치하여 승강시키는 거치승강부; 및
대차로부터 복수 개의 트레이를 동시에 거치하여 상기 적층걸이대 측으로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A main body fram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on which a conveyor extending outward from the internal spac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laminated hangers are mov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on which a tray on which a moving object is mounted is mounted;
a height adjustment unit that sequentially places trays supplied along the conveyor on the stacking rack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acking rack;
A mounting and lowering unit that positions a cart storing a plurality of trays on the inlet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raises and lowers the cart on the main body frame so that the storage hanger of the bogie and the stacking hanger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omprising a pull-out unit that simultaneously mounts a plurality of trays from a cart and pulls them out toward the stacking ra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승강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및
대차를 상기 승강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승강프레임과 대차에 동시에 승강되도록 대차를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거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tationary lifting unit,
A lifting frame installed to be slid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 lifting drive unit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lifting frame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A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for racks and tray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unting fixing part that fixes the bogie to the lifting frame so that the bogie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lifting frame and is simultaneously rais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frame and the bogi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구비되는 랙부재;
상기 랙부재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피니언부재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fting mechanism is,
A rack member provided on the lifting frame;
a pinion member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to be gear-connected to the rack member; and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comprising a lifting motor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pinion member to provide forward or reverse power to the pinion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고정부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대차의 하단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받침대; 및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어 대차의 상단을 구속하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승강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차의 상단 내벽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대차의 상단을 구속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unting fixing part is,
A plurality of support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ifting frame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ogie; and
It includes an upper fixing part provided at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and restraining the top of the bogie,
The upper fixing part is,
A hinge porti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and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hinge portion and includes a fixing bar that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of the cart and restrains the top of the ca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는,
상기 적층걸이대; 및
복수 개의 상기 적층걸이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적층걸이대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트레이를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시킬 수 있고, 상기 적층걸이대를 하강시키면서 상기 적층걸이대에 거치되는 트레이를 상기 컨베이어에 안착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amination unit,
The laminated hanger; and
A plurality of the laminated hangers are supported to maintain regular intervals, trays supplied along the conveyor can be placed on the laminated hangers while the laminated hangers are raised, and trays are mounted on the laminated hangers while the laminated hangers are lowered.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unit that can be seated on the convey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적층걸이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체인부재; 및
상기 체인부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적층걸이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조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chain member on which a plurality of the stacked hanger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rack and tray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omprising an adjustment drive unit that drives the chain member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aise or lower the stacked 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블록;
상기 공급블록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벨트;
상기 공급벨트의 양단부가 권취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고, 공급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급피니언; 및
상기 공급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적층걸이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피니언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되면 트레이를 상기 수납걸이대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공급연장대 및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ly unit,
A supply block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supply belt connected to the supply block and installed to be circulateable on the main body frame;
A supply pinion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frame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ly belt are wound, and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supply motor; and
An automatic rack and tray comprising a supply extension and a pressing member that extends from the supply block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tacking racks, and discharges the tray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rack when the supply pin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dvanced.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블록;
상기 인출블록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벨트;
상기 인출벨트의 양단부가 권취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고, 인출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인출피니언;
상기 인출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적층걸이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출피니언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되면 대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출연장대; 및
상기 인출연장대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출연장대가 대차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 개의 트레이에 동시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크 및 트레이 자동적재 자동해제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thdrawal unit,
A pull-out block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pull-out belt connected to the pull-out block and circulat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a take-out pinion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frame so that both ends of the take-out belt are wound, and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take-out motor;
a pull-out extension bar extending from the pull-out block and disposed between the stacking racks,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ogie when the pull-out pin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dvanced; and
A plurality of pull-out extensions are rotatab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when the pull-out extension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placed adjacent to the cart, it includes a locking ring that is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trays.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f racks and trays.
KR1020230043795A 2022-05-20 2023-04-03 Automatic rack and tray load dismantling machine KR2023016252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2371 2022-05-20
KR1020220062371 2022-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528A true KR20230162528A (en) 2023-11-28

Family

ID=8895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795A KR20230162528A (en) 2022-05-20 2023-04-03 Automatic rack and tray load dismantl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52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679B1 (en) Automated rack unloading apparatus
AU20132861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layered stacking a support
AU2013286116B2 (en) Device for layered stacking a support
US20100104412A1 (en) System for stacking and unstacking mold units
US10106293B2 (en) Pallet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articles
JPS61206709A (en) Tray delivery apparatus
KR101970933B1 (en) Device for layered stacking a support
EP1842803B1 (en) An automatic warehouse
JP2992200B2 (en) Box article 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US6283703B1 (en) Automatic conveying apparatus for JEDEC carrier members
KR20230162528A (en) Automatic rack and tray load dismantling machine
JPS61206708A (en) Tray delivery apparatus
EP2580149A1 (en) A storage system with carrier shelves moveable along a track and each having a driveable conveyor belt organ as supporting surface.
JPH0742376Y2 (en) A patrol transport dining table equipped with a used tableware transport mechanism and a lifting control device for used tableware trays
JP7331601B2 (en) Stocker
CN217534672U (en) Accurate hacking machine fixes a position
CN213504261U (en) Three-dimensional intelligent storage
WO20161300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lletizing packages from a rack to a supporting device
JPH08208040A (en) Depiler system
KR20230083040A (en) Elevator type automatic storage
US20190382219A1 (en) Devic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large-volume foam blocks
JPH08301408A (en) Stocking device for storing product in corrugated fiberboard box or other container
JP2001010702A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