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855A - 매장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매장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855A
KR20230161855A KR1020220102457A KR20220102457A KR20230161855A KR 20230161855 A KR20230161855 A KR 20230161855A KR 1020220102457 A KR1020220102457 A KR 1020220102457A KR 20220102457 A KR20220102457 A KR 20220102457A KR 20230161855 A KR20230161855 A KR 20230161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omputing device
receipt information
store
det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엽
김대인
Original Assignee
디퓨전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퓨전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퓨전랩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8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는 매장 관리 방법은 매장의 포스(POS) 장치와 통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에 의한 매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하나 이상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매장의 배달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포스 장치로부터 상기 배달 내역에 해당되는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수집된 배달 내역과 상기 영수증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비교를 통하여 상기 배달 내역의 누락 여부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장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STORE}
본 발명은 매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의 관리자는 포스 장치나 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에 로그인한 후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관리자 웹 페이지를 통하여 주문 및 배달에 따른 매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배달 서비스 업체가 하나 이상이기 때문에 관리자는 각 배달 서비스 업체의 배달 서비스 장치에 로그인하여 해당 배달 서비스 업체를 통한 주문 및 배달 현황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관리자는 각 배달 서비스 업체를 통한 주문 및 배달 현황을 취합해야 하므로 관리자의 매장 관리 업무량 및 매장 관리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배달 서비스 업체를 통한 주문 및 배달 현황을 취합하는 과정에서 누락과 같은 실수가 발생하여 매장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공개특허 10-2020-0119398 (공개일 : 2020년10월20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은 다양한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매장 관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매장의 포스(POS) 장치와 통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에 의한 매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하나 이상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매장의 배달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포스 장치로부터 상기 배달 내역에 해당되는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수집된 배달 내역과 상기 영수증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비교를 통하여 상기 배달 내역의 누락 여부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정형 상태의 상기 수집된 배달 내역과 비교불가능한 비정형 상태의 상기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비정형 상태의 상기 영수증 정보를 상기 수집된 배달 내역과 비교가능한 정형 상태의 상기 영수증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정형 상태의 수집된 배달 내역과 상기 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에 모두 포함된 주문 번호를 추출하고, 동일한 주문 번호를 가지는 상기 배달 내역과 상기 영수증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배달 내역의 제1 항목과 상기 영수증 정보의 상기 제1 항목의 명칭이 서로 다를 경우, 상기 배달 내역의 제1 항목의 명칭과 상기 영수증 정보의 상기 제1 항목의 명칭을 서로 매칭시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매장의 관리자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로그인 정보를 통하여 서로 다른 상기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들로 접속하여 상기 서로 다른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들에 저장된 상기 매장의 배달 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포스 장치는 상기 포스 장치의 운영체제가 영수증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배달 내역에 대한 영수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포스 장치로부터 상기 수집된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포스 장치에 축적된 다수의 상기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배달 내역 및 상기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상기 배달 내역 관련 사용자의 댓글을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댓글에 대한 답글을 일괄적으로 상기 포스 장치 또는 상기 매장의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은 배달 내역과 영수증 내역의 이용 및 비교를 통하여 다양한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매장 관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웹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배달 내역에 대한 실제 프린트된 영수증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101)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의 구현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0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101)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팅 장치(101)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컴퓨팅 장치(101)는 서로 통신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정보 제공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 메모리(130)를 포함하며, 버스(11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통신 인터페이스(17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컴퓨팅 장치(101)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CP(Commun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DPU(Data Processing Unit)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은,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 HDD, ODD, SDD, 및 플래쉬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로직,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 외에 본 발명의 커퓨팅 장치(101)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라 불릴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컴퓨팅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컴퓨팅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시리얼 포트, 패러렐 포트, PS/2, ADB(Apple Desktop Bus),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USB, HDMI, DVI-I, 썬더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컴퓨팅 장치(101)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포스 장치(POS : Point Of Sale)(104),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 관리자의 단말기(108)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 지그비 통신, 와이파이 통신, 셀룰러 통신 및 유선 랜(LAN)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셀룰러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GSM 또는 IMT-2020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162)는 LAN, WAN, 인터넷, 인트라넷, 전화망(telephone network), 이동통신망 및 블록체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은 매장의 포스(POS) 장치와 통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10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방법은 컴퓨팅 장치(101)가 하나 이상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에 접속하여 매장의 배달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컴퓨팅 장치(101)가 포스 장치(104)로부터 배달 내역에 해당되는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컴퓨팅 장치(101)가 수집된 배달 내역과 영수증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컴퓨팅 장치(101)가 비교를 통하여 배달 내역의 누락 여부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101)는 관리자의 단말기(108), 매장의 포스 장치(104) 및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108)로 포스 장치(104) 및 컴퓨팅 장치(101)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매장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의 단말기(108)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는 '배달의 민족'이나 '요기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를 통하여 매장에 주문된 물품을 사용자에게 배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는 사용자의 단말기 및 매장의 포스 장치(104)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장의 관리자는 포스 장치(104)나 관리자의 단말기(108)를 통하여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에 로그인한 후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가 제공하는 관리자 웹 페이지를 통하여 주문 및 배달에 따른 매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배달 서비스 업체가 하나 이상이기 때문에 관리자는 각 배달 서비스 업체의 배달 서비스 장치에 로그인하여 해당 배달 서비스 업체를 통한 주문 및 배달 현황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관리자는 각 배달 서비스 업체를 통한 주문 및 배달 현황을 취합해야 하므로 관리자의 매장 관리 업무량 및 매장 관리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배달 서비스 업체를 통한 주문 및 배달 현황을 취합하는 과정에서 누락과 같은 실수가 발생하여 매장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배달 내역의 수집을 위하여 각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가 제공하는 관리자 웹페이지(web page)를 스크래핑(scraping)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를 통하여 포스 장치(104)로 요청된 주문 및 배달에 대한 영수증 정보를 수집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주문 및 배달 요청에 대한 수집된 배달 내역과 영수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배달 내역의 누락 여부를 도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수집된 배달 내역과 수집된 영수증 정보를 통하여 매장에 대한 매출 분석, 리뷰 분석, 메뉴 분석, 원부자재분석, 배달 분석, 가맹점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포스 장치(104)는 포스 장치(104)의 운영체제가 영수증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배달 내역에 대한 영수증 정보를 수집하고, 컴퓨팅 장치(101)는 포스 장치(104)로부터 수집된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포스 장치(104)의 운영체제는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부터 주문 및 배달 요청이 이루어질 때마다 영수증 정보에 해당되는 IRP(Input/output Request Protocol) 데이터를 영수증 프린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영수증 정보의 수집은 포스 장치(104)에 설치된 에이전트 프로그램(agent program)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포스 장치(104)의 운영체제가 영수증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영수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영체제가 영수증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영수증 정보를 수집하므로 다양한 배달 서비스 회사의 영수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매장이 다수의 배달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배달 서비스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은 영수증 정보를 하나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락 여부를 도출하는 단계에서 배달 내역의 누락은 포스 장치(104), 네트워크 및 컴퓨팅 장치(101) 중 적어도 하나의 비정상적인 동작이나 동작 중지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배달 내역에 대한 누락이 발생할 경우 컴퓨팅 장치(101)가 하나 이상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를 통하여 수집된 배달 내역들을 취합한 결과가 실제 거래 내역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를 통하여 수집된 배달 내역과 영수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관리자가 누락된 배달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1)는 정형 상태의 수집된 배달 내역과 비교불가능한 비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고, 비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를 수집된 배달 내역과 비교가능한 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가 제공하는 관리자의 웹 페이지는 사람이 인식가능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포스 장치(104)의 운영체제가 영수증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영수증 정보는 비정형 상태의 주문 내역 데이터는 바이너리 데이터(binary data)의 일종으로 사람이 인식하기 어려운 데이터일 수 있다.
정형 상태의 배달 내역과 비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는 서로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비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를 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비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를 사람이 인식가능한 문자열을 포함하는 반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로 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컴퓨팅 장치(101)는 비정형 상태의 IRP 데이터를 베이스 64(base 64) 인코딩 방법을 통하여 비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글자나 숫자 등의 반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미리 설정된 템플릿(template)에 따라 반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로부터 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템플릿은 배달 서비스 회사가 발행하는 영수증의 포맷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템플릿은 기준 문자열에 대한 정보와 기준 문자열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영수증에 해당되는 템플릿의 경우, '요기요'이라는 타이틀에 해당되는 기준 문자열, 주문 매장에 해당되는 기준 문자열, 주문일시에 해당되는 기준 문자열, 주문번호에 대한 기준문자열, 배달완료예정시간에 해당되는 기준 문자열, 결제방법에 대한 기준문자열, 배달주소에 대한 기준문자열, 메뉴에 대한 기준문자열, 금액에 대한 기준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영수증의 경우, 타이틀, 주문 매장, 주문일시, 주문번호, 배달완료예정시간, 결제방법, 배달주소, 메뉴, 금액 순으로 표시되므로 상기 영수증에 해당되는 템플릿은 타이틀, 주문 매장, 주문일시, 주문번호, 배달완료예정시간, 결제방법, 배달주소, 메뉴, 금액 각각에 해당되는 기준문자열의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컴퓨팅 장치(101)는 비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를 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로 변환하여 스크래핑에 의하여 수집된 정형 상태의 배달 내역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1)는 정형 상태의 수집된 배달 내역과 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에 모두 포함된 주문 번호를 추출하고, 동일한 주문 번호를 가지는 배달 내역과 영수증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매장은 다양한 배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배달 서비스를 통해서 많은 주문 및 배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1)가 배달 내역과 영수증 정보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주문에 대한 배달 내역과 영수증 정보를 검색하여 비교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컴퓨팅 장치(10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번호를 통하여 동일한 주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1)는, 배달 내역의 제1 항목과 영수증 정보의 제1 항목의 명칭이 서로 다를 경우, 배달 내역의 제1 항목의 명칭과 영수증 정보의 제1 항목의 명칭을 서로 매칭시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및 배달이 이루어지는 매장의 이름의 경우, 도 3의 배달 내역에서는 '상호명'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만 도 4와 같은 영수증에서는 '주문매장'이라는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항목에 대해서 배달 내역의 명칭과 영수증 정보의 명칭이 서로 다를 경우 컴퓨팅 장치(101)가 배달 내역과 영수증 정보를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동일한 항목에 대한 배달 내역의 명칭과 영수증 정보의 명칭을 매칭시켜 미리 저장함으로써 배달 내역과 영수증 정보의 비교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1)는 매장의 관리자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며, 로그인(login) 정보를 통하여 서로 다른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들로 접속하여 서로 다른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들에 저장된 매장의 배달 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장의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 각각에 로그인하여 도 3과 같은 관리자 웹 페이지에서 배달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컴퓨팅 장치(101)는 다수의 배달 서비스로부터 배달 내역을 수집해야 하므로 서로 다른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 각각의 로그인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저장된 로그인 정보로 서로 다른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에 접속하여 관리자 웹 페이지에서 배달 내역을 스크래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의 관리자는 다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일일이 로그인하여 배달 내역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배달 서비스를 이용한 배달 내역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1)는 설정된 시간동안 포스 장치(104)에 축적된 다수의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주문배달 요청이 생길때마다 영수증 정보를 포스 장치(104)로부터 전송받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8시간, 24시간 등)동안 발생한 주문배달 요청에 대한 영수증 정보를 축적하고 설정된 시간에 이르면 축적된 영수증 정보를 포스 장치(104)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스 장치(104)에 설치된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수집한 영수증 정보를 포스 장치(104)의 메모리에 일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포스 장치(104)에 설치된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이러한 경우뿐만 아니라 포스 장치(104), 네트워크, 컴퓨팅 장치(101) 및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작동이나 고장 등이 발생하여 원활한 정보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수증 정보에 해당되는 IRP 데이터를 백업하고 정상 상태가 되면 백업된 정보를 컴퓨팅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포스 장치(104)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영수증 정보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영수증 정보의 전송 전에 three-way handshake를 수행하여 컴퓨팅 장치(101)가 영수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1)는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를 통한 배달 내역 및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를 통한 배달 내역 관련 사용자의 댓글을 수집할 수 있다.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를 통한 사용자의 댓글에 대한 답글을 일괄적으로 포스 장치(104) 또는 매장의 관리자의 단말기(108)로부터 전송받아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장의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에 접속한 후 관리자 웹 페이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댓글을 확인할 수 있다.
매장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에 접속하여 일일이 답글을 달아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기요' 및 '배달의 민족'을 사용하는 매장의 경우, 매장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요기요'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접속한 후 관리자 웹 페이지에 기록된 사용자의 댓글에 대한 답글을 기록할 수 있다.
이후 매장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배달의 민족'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로그인한 후 관리자 웹 페이지에 기록된 사용자의 댓글에 대한 답글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컴퓨팅 장치(101)에 접속한 후 여러 배달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댓글에 대한 일괄적인 확인 및 답글 달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컴퓨팅 장치(101)는 미리 저장된 관리자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접속한 후 관리자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댓글을 스크래핑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컴퓨팅 장치(101)에 접속한 후 다양한 배달 서비스에 대한 댓글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요기요'의 홈페이지 및 '배달의 민족' 홈페이지 각각에 로그인하여 댓글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컴퓨팅 장치(101)에서 제공하는 '요기요' 및 '배달의 민족'에서의 댓글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컴퓨팅 장치(101)에 다양한 배달 서비스에 대한 댓글을 확인하고 상기 댓글에 대한 답글을 작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관리자의 답글을 해당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에 전송하여 자동으로 댓글에 대한 답글을 기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컴퓨팅 장치(101)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와 같은 자동화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와 같은 자동화 프로그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108) 또는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컴퓨팅 장치(101)에 '배달의 민족' 서비스에 대한 댓글 A 및 B에 해당하는 답글 a 및 b를 작성하고 '요기요' 서비스에 대한 댓글 C 및 C에 해당하는 답글 c 및 d를 작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작업자의 로그인 정보로 '배달의 민족' 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접속하여 댓글 A 및 B에 해당하는 답글 a 및 b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작업자의 로그인 정보로 '요기요' 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접속하여 댓글 C 및 D에 해당하는 답글 c 및 d를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의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108)나 포스 장치(104)를 통하여 다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 각각에 접속하여 댓글을 확인할 필요없이 컴퓨팅 장치(101)를 통하여 다양한 배달 서비스에 대한 댓글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1)는 답글 유형에 대한 템플릿(template)을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복수의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답글을 쉽게 달 수 있다. 예를 들어, 답글 유형은 '고객님 고맙습니다.', '고객님 불편함을 드려 죄송합니다.', '다음에는 주의하도록 하겠습니다.'와 같을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른 다양한 답글 유형이 템플릿에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집된 배달 내역과 수집된 영수증 정보를 통하여 매장에 대한 매출 분석, 리뷰 분석, 메뉴 분석, 원부자재분석, 배달 분석, 가맹점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수집된 배달 내역이나 영수증 정보를 통하여 매장의 매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내역이나 영수증 정보는 주문 메뉴에 대한 가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매장의 매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댓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에 접속하여 해당 배달 서비스에 대한 댓글을 스크래핑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댓글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단어나 단어열을 식별하고 의미를 추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음성 분석, 음소 인식, 단어 인식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문장 해석 및 의미 추출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매장별 리뷰 현황 분석이나 댓글을 통한 매장의 평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메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배달 내역이나 영수증 정보를 통하여 전체 메뉴 중 판매량이 많은 메뉴나 계절에 따라 인기있는 메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원부자재에 대한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컴퓨팅 장치(101)는 메뉴별 소요되는 원부자재의 종류 및 원부자재별 소요량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배달 내역 및 영수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배달이 이루어진 메뉴를 파악하고 메뉴에 따라 소모된 원부자재의 종류와 소요량을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컴퓨팅 장치(101)는 현재 재고량에 소요량을 반영함으로써 현재 재고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업데이트된 현재 재고량이 기준 재고량보다 낮아질 경우 포스 장치(104)나 관리자의 단말기(108)로 원부자자에 대한 재고 알람을 전송함으로써 관리자의 재고 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지도 기반 주문배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내역이나 영수증 정보는 배달이 이루어질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배달 내역이나 영수증 정보로부터 배달이 이루어질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디지털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지털 지도는 자체 개발된 것이거나 API를 통하여 제공된 구글 지도 또는 네이버 지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컴퓨팅 장치(101)는 메뉴별 선호 지역이나 비선호 지역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1)는 본사와 가맹점간의 의사소통 및 공지사항 전달 채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1)
포스 장치(104)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106)
관리자의 단말기(108)

Claims (8)

  1. 매장의 포스(POS) 장치와 통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에 의한 매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하나 이상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매장의 배달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포스 장치로부터 상기 배달 내역에 해당되는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수집된 배달 내역과 상기 영수증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비교를 통하여 상기 배달 내역의 누락 여부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정형 상태의 상기 수집된 배달 내역과 비교불가능한 비정형 상태의 상기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비정형 상태의 상기 영수증 정보를 상기 수집된 배달 내역과 비교가능한 정형 상태의 상기 영수증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정형 상태의 수집된 배달 내역과 상기 정형 상태의 영수증 정보에 모두 포함된 주문 번호를 추출하고,
    동일한 주문 번호를 가지는 상기 배달 내역과 상기 영수증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배달 내역의 제1 항목과 상기 영수증 정보의 상기 제1 항목의 명칭이 서로 다를 경우, 상기 배달 내역의 제1 항목의 명칭과 상기 영수증 정보의 상기 제1 항목의 명칭을 서로 매칭시켜 미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매장의 관리자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로그인 정보를 통하여 서로 다른 상기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들로 접속하여 상기 서로 다른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들에 저장된 상기 매장의 배달 내역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장치는 상기 포스 장치의 운영체제가 영수증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배달 내역에 대한 영수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포스 장치로부터 상기 수집된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포스 장치에 축적된 다수의 상기 영수증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배달 내역 및 상기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상기 배달 내역 관련 사용자의 댓글을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댓글에 대한 답글을 일괄적으로 상기 포스 장치 또는 상기 매장의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복수의 배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방법.
KR1020220102457A 2022-05-19 2022-08-17 매장 관리 방법 KR20230161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67 2022-05-19
KR20220061667 2022-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55A true KR20230161855A (ko) 2023-11-28

Family

ID=8895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457A KR20230161855A (ko) 2022-05-19 2022-08-17 매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8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398A (ko) 2019-03-28 2020-10-20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힐 지능형 매장관리 통합 솔루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398A (ko) 2019-03-28 2020-10-20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힐 지능형 매장관리 통합 솔루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2455A1 (en) Synchronization server for clipboard and synchronization system for clipboard having the same
US117481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diting, assign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bots that automate tasks, includ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9141680B2 (en) Data consistency and rollback for cloud analytics
RU2699400C2 (ru) Автоматизируемый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й сбор и сверка данных
US9110752B2 (en) Enterprise portal mobile applications installs
US20120254118A1 (en) Recovery of tenant data across tenant moves
US8751567B2 (en) Quantify and measure micro-blogging for 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ERP)
US9531790B2 (en) SAAS network-based backup system
EP3815342B1 (en) Adaptive user-interface assembling and rendering
US93173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execution control uni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stop method using the same
CN103970828B (zh) 网络系统和信息报告方法
CN110895472A (zh) 一种识别业务变更的方法和装置
CN107657155B (zh) 用于鉴定用户操作权限的方法和装置
CN104778545A (zh) 基于移动设备的工作任务管理系统
AU2023210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s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ance
KR20230161855A (ko) 매장 관리 방법
JP6486956B2 (ja) 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00057733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enabling access to enterprise information
KR20230138797A (ko) 재고량 도출 방법
CN110244934B (zh) 产品需求文档、测试信息的生成方法及装置
CN113312900A (zh) 数据校验的方法和装置
KR20220053652A (ko) 화장품 소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N112540747A (zh) 平台开发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74095B1 (ko)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58729A (ko) 경영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전자장치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