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330A -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330A
KR20230161330A KR1020230003323A KR20230003323A KR20230161330A KR 20230161330 A KR20230161330 A KR 20230161330A KR 1020230003323 A KR1020230003323 A KR 1020230003323A KR 20230003323 A KR20230003323 A KR 20230003323A KR 20230161330 A KR20230161330 A KR 20230161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sub
item
police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주희
김홍준
박현주
윤정원
최근훈
Original Assignee
(주)비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피에스 filed Critical (주)비피에스
Priority to KR102023000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330A/en
Publication of KR2023016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33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함으로써, 현장 경찰관 등에 대한 법집행력을 강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mmersive virtu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strengthen the law enforcement power of on-site police officers by providing realistic virtual training that reflects various on-site situations for police officers dispatched to the scene.

Description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and in particular, to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that provides realistic virtual training reflecting various field situations to police officers dispatched to the field.

교육 훈련 시스템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가치관이나 태도 따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짜서 이룬 조직이나 제도이다.A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s an organization or system that is systematically designed to learn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to perform a job and to change values and attitudes in a desirable direction.

이러한 교육 훈련 시스템은 실제 현장 상황과 법집행 간의 부조화로 인해 현장에 배치되는 경찰관 등이 교육 훈련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This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does not properly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police officers deployed in the field due to the mismatch between actual field situations and law enforcement.

또한, 범죄·사고 현장에서의 경찰의 안전이 항상 위협받고 있어, 안전사고 및 범인 피습에 대응한 현장 경찰관의 현장지원 장비 개발 및 교육·훈련 등이 필요한 상태이다.In addition, the safety of police officers at crime and accident scenes is always under threat, so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on-site support equipment and education/training for on-site police officers to respond to safety accidents and criminal attacks.

한국등록특허 제10-2116390호 [제목: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Korean Patent No. 10-2116390 [Title: Disaster response training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creating new training]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that provides realistic virtual training reflecting various field situations to police officers dispatched to the fiel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법집행 공정성,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 역량 모델을 근거로 다양한 상황별로 학습자가 수행하는 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valuate the content performed by learners in various situations based on a competency model created considering law enforcement fairness,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job sincerity,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etc.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and method that provides evaluation resul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는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 대처 단계 및 사후조치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및 미리 설정된 항목별 행동지표를 근거로 평가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평가 결과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경찰의 직무분류 및 성과평가와 교육훈련 체계를 바탕으로 현장경찰관의 직무를 분석하여 경찰의 역량을 분석하고, 경찰헌장과 경찰청장 취임사 및 경찰교육기관의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경찰 조직의 요구를 분석하고, 경찰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해 수집된 신문기사와 논문을 통해 시민의 요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경찰의 역량과 경찰 조직의 요구와 시민의 요구에 따라 현장 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서 인권존중 항목, 현장에서의 소통 항목, 직무의 성실성 항목,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법집행 공정성 항목을 설정하고, 5개의 현장 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 시민과 업무에 따른 지향점과 개인적인 차원과 집단적 차원으로 구분하며, 상기 인권존중 항목은, 시민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현장에서의 소통 항목은, 시민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고, 상기 직무의 성실성 항목은, 업무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 항목은, 업무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고, 상기 법집행 공정성 항목은, 시민과 업무 및 개인과 집단에 모두 작동할 뿐 아니라 현장 경찰관의 법집행력을 강화하는데 준거가 되는 통합적 역량이며, 상기 제어부는, 현장 경찰의 역량 파악을 위해서 상기 인권존중 항목, 상기 현장에서 소통 항목, 상기 직무의 성실성 항목, 상기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상기 법집행 공정성 항목에 따라 상기 항목별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항목별 행동지표, 상기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근거로 상기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A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a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related to a weapon attack; and realistic content for the preparation stage, which randomly selects one training scenario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and each corresponds to a preset preparation stage, response stage, and follow-up stage among the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Coping step Realistic content and follow-up step Controlling the realistic content to be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udio output unit,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preparation step according to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coping step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and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follow-up step are controlled to be received by each trainer, and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ceived for each trainer. , generates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preset behavioral index for each item, and displays the generated evaluation result on the display unit and the voi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capabilities of the police by analyzing the duties of field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police's job classif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d analyzes the police charter and the police chief's inauguration speech and Analyze the nee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police training institution, analyze the needs of citizens through newspaper articles and papers collected o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olice, and analyze the capabilities of the police and the nee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alyzed above. According to the demands of citizens and citizens, the core competencies of field police were set as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sincerity of duties,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fairness in law enforcement, and the five core competencies of field police were set. It is divided into citizen and work orientation, personal level, and collective level. The above respect for human rights item is a citizen-oriented individual level competency, the above communication item in the field is a citizen-oriented group level competency, and the sincerity of the above job. The item is a task-oriented individual-level competency, the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item is a task-oriented group-level competency, and the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 not only works on both citizens and work, and individuals and groups, but also applies to on-site police officers. It is an integrated competency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strengthening enforcement power, and the control department is responsible for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on-site communication, job sincerity,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law enforcement fairness in order to determine the capabilities of on-site police officers. Deriving the behavior index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item, the derived behavior index for each item,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of the received sub-training situations,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The evaluation result can be generated based on another input valu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 대처 단계 및 사후조치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및 미리 설정된 항목별 행동지표를 근거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평가 결과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경찰의 직무분류 및 성과평가와 교육훈련 체계를 바탕으로 현장경찰관의 직무를 분석하여 경찰의 역량을 분석하고, 경찰헌장과 경찰청장 취임사 및 경찰교육기관의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경찰 조직의 요구를 분석하고, 경찰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해 수집된 신문기사와 논문을 통해 시민의 요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경찰의 역량과 경찰 조직의 요구와 시민의 요구에 따라 현장 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서 인권존중 항목, 현장에서의 소통 항목, 직무의 성실성 항목,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법집행 공정성 항목을 설정하고, 5개의 현장 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 시민과 업무에 따른 지향점과 개인적인 차원과 집단적 차원으로 구분하며, 상기 인권존중 항목은, 시민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현장에서의 소통 항목은, 시민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고, 상기 직무의 성실성 항목은, 업무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 항목은, 업무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고, 상기 법집행 공정성 항목은, 시민과 업무 및 개인과 집단에 모두 작동할 뿐 아니라 현장 경찰관의 법집행력을 강화하는데 준거가 되는 통합적 역량이며, 상기 항목별 행동지표는, 현장 경찰의 역량 파악을 위해서 상기 인권존중 항목, 상기 현장에서 소통 항목, 상기 직무의 성실성 항목, 상기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상기 법집행 공정성 항목에 따라 도출될 수 있다.A realistic virtual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andomly selecting, by a control unit, one training scenario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related to a weapon attack pre-stored in a storage unit; By the control unit, preparation stage realistic content, response stage realistic content, and follow-up stage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preset preparation stages, response stages, and follow-up stages are generated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Controlling sequential output through a display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By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preparation step according to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coping step, and a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follow-up step. Controlling to receive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trainer; Based on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preset behavioral index for each item. generating an evaluation result; And a step of controlling, by the control unit, to output the generated evaluation result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field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police job classif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alyze the capabilities of the police by analyzing their duties, analyze the nee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based on the police charter, the police chief's inauguration speech, and the educational goals of police training institutions, and analyze the nee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through newspaper articles and papers collected o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olice. Analyze the needs of the police, and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police analyzed above, the deman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demands of the citizens, the core capabilities of the police in the field are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integrity of work, and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s are set, and the five core competencies of police officers in the field are divided into citizens and work-oriented and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The above human rights respect item is a citizen-oriented individual level competency, and in the field, The communication item is a citizen-oriented group-level competency, the job sincerity item is a work-oriented individual-level competency, the collaboration item with colleagues is a work-oriented group-level competency, and the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 is , it is an integrated competency that not only works for citizens, work, individuals, and groups, but also serves as a standard for strengthening the law enforcement power of police officers in the field. It can be deriv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item, the job sincerity item, the collaboration item with colleagues, and the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

본 발명은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함으로써, 현장 경찰관 등에 대한 법집행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law enforcement power of on-site police officers by providing realistic virtual training that reflects various on-site situations for police officers dispatched to the scene.

또한, 본 발명은 법집행 공정성,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 역량 모델을 근거로 다양한 상황별로 학습자가 수행하는 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치안 현장 대응력 및 교육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훈련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and evaluates the content performed by learners in various situations based on a competency model created in consideration of law enforcement fairness,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job sincerity,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etc. By providing results,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ecurity field response and training efficiency, and improving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effectiven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경찰관 역량 모델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역량, 행동지표 및 평가준거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ield police officer competency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behavioral indicators, and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49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user interfa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specifically defined in a different sense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over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teral or excessively reduced sense. Additionally, if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rect technical terms that do not accurately express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be replaced with technical terms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not be included. It may be possible,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constituent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음성 출력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 voice output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It is composed. No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1. And,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with fewer components.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메타버스(Metaverse)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통해 다양한 훈련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또는 훈련자/학습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can be used in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foldab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laptop computer, Slate PC,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s (including, for example, smartwatch, smart glass, head mounted display (HMD), etc.), Wibro terminal,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smar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TV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s, A/V (Audio/Video) systems, flexible terminals, and digital signage devices. At this time,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mixed reality (MR), metaverse, etc. It may be a terminal owned by a user (or trainer/learner) who wants to perform various training functions through content.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버(미도시), 다른 단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ny internal component or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external arbitrary terminal may include a server (not shown), another terminal (not shown), etc. Her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Direct, etc. may be included. Additionally,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includ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coaxial cables, etc.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transmit information to and from any terminal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단말, 상기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support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V -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wireless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base station, the terminal, the server, etc.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된(또는 수집된) 다양한 정보 등을 상기 단말, 상기 서버 등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or col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to the terminal, the server,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20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s (UIs), graphic user interfaces (GUIs), etc.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20 store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to operate.

즉,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60)에 의하여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작동(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unit 120 contains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Commands can be saved.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dditionally,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exist on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of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installed in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and performs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by the control unit 160. It can be driven to do so.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작동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20 is a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of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dditionally,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may operate web storage that performs the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20 on the Internet, or may operate in relation to the web storage.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된(또는 수집된) 다양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120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or col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The input unit 130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button operation or selection of an arbitrary function, or receives a command or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 operation such as touching/scrolling the displayed screen.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예를 들어 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포함),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조이스틱,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30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uses a key pad, dome switch, and touch pad (e.g., contact capacitive type, pressure type). Resistive film method, infrared detection method, surface ultrasonic conduction method, integral tension measurement method, piezo effect method, etc.), touch screen, jog wheel, jog switch, jog shuttle, joystick, mouse ( Various devices such as a mouse, a stylus pen, and a touch pen may be used.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미도시)와 카메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영상 회의 모드, 영상 통화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사용자의 음성(음성 신호 또는 음성 정보) 포함)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not shown) and a camera (not shown) for receiving audio or video signals. The microphone receives external sound signals (including the user's voice (voice signal or voice information)) through a microphone in call mode,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video conference mode, video call mode, etc., and generates an electric voice. Process it as data. Additionally,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150 or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dditionally, the microphone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acoustic signal.

또한, 상기 카메라는 영상 통화 모드, 촬영 모드, 영상 회의 모드 등에서 이미지 센서(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코덱(CODEC)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해당 화상 데이터들을 각 규격에 맞도록 인코딩/디코딩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는 객체(또는 피사체)(사용자 영상 또는 화상 회의자)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Additionally, the camera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camera module or camera) in video call mode, shooting mode, video conference mode, etc. That is, the image data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s encoded/decoded according to the codec (CODEC) to meet each standard.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As an example, the camera captures an object (or subject) (user image or video conference participant) and outputs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subject image).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단말, 상기 서버 등에 전송될 수 있다.Additionally,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camer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or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server, etc.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또한, 상기 입력부(130)에 포함된 조이스틱은 사용자 제어(또는 사용자 조작/작동)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조이스틱은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메뉴(또는 항목/버튼) 중에서 해당 사용자 제어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메뉴(또는 항목/버튼)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제어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joystick included in the input unit 130 receiv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user control (or user manipulation/operation). At this time, the joystick provides information (or control signal/data) can be received.

상기 표시부(또는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or display unit) 140 can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using the user interface and/or graphic user interfa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there is.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ncludes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a menu screen including data such as icons, list menus, and combo boxes. 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140 may be a touch screen.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4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a flexible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 e-ink display,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HMD(Head Mounted Display), 구글 글래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d Mounted Display (HMD), Google Glass, and a wearable display.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한다.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realistic cont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5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50 outputs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60. Here, the audio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receiver, speaker, buzzer, etc.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Additionally, the voice output unit 150 outputs a guidance voic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60.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감형 콘텐츠 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정보) 등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audio output unit 150 outputs audio information (or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listic content,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160)는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The controller (or microcontroller unit (MCU) 160) execute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execute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using the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The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RAM, ROM, CPU, GPU, and a bus, and the RAM, ROM, CPU, GPU, et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The CPU can access the storage unit 120, perform booting using the O/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nd use various programs, content, data,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This allows you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서버 등과의 연동에 의해, 상기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실감형 콘텐츠 출력 기능 등을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는 아이디, 이메일 주소, 패스워드(또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또는 전화번호), 주소지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registers as a user to receive realistic virtual training functions, realistic content output functions, etc. through a dedicated app and/or website provided by the server, etc. by linking with the server, etc. and register personal information, etc. on the server. At this time,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ID, email address, password (or password), name, gender, date of birth, contact information (or phone number), address, etc.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SNS 계정 정보 또는 모바일 메신저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등에 사용자로 회원 가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NS 계정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네이버, 페이코(PAYCO)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메신저 계정은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바이버(viber), 위챗(wechat), 와츠앱(whatsapp), 텔레그램(Telegram), 스냅챗(snapchat)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may register a user as a member of the server, etc. using SNS account information or mobile messenger account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Here, the SNS account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Facebook, Twitter, Kakao Story, Naver, PAYCO, etc. In addition, the mobile messenger account contains information related to KakaoTalk, Line, Viber, WeChat, Whatsapp, Telegram, Snapchat, etc. You can.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제어부(160)는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 등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the control unit 160 must complete the authentication function through an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including mobile phone, credit card, i-PIN, etc.) to normally complete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for the server, etc. there is.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특정 앱)을 해당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실감형 콘텐츠 출력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앱일 수 있다.In addition, after membership registration is completed, in order to us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etc., the control unit 160 selects a dedicated app (or application/application/specific app) provided from the server, etc. to the corresponding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Install at (100). At this time, the dedicated app may be an app for performing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function, a realistic content output function, etc.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현재 경찰의 직무분류 및 성과평가와 교육훈련 체계를 바탕으로 현장경찰관의 직무를 분석하여, 경찰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analyzes the duties of field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current police job classif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d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police officers' capabilitie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경찰헌장과 경찰청장 취임사 및 경찰교육기관의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경찰 조직의 요구를 파악(또는 분석)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identifies (or analyzes) the nee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based on the police charter, the police chief's inauguration speech, and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police training institution.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경찰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해 수집된 신문기사, 논문 등을 통해 시민의 요구를 파악(또는 분석)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identifies (or analyzes) citizens' demands through newspaper articles, papers, etc. collected regard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olice.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분석된 정보들에 따라 도출한 현장경찰의 역량에 대해 경찰청의 실무자, 경찰인재개발원의 실무자, 현장 경찰관 등으로 이루어진 전문가 협의 회의에서의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다음의 [표 1]과 같이, 현장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서 인권존중, 현장에서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법집행 공정성 등을 확인(또는 확정/설정)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reflects the results of a review at an expert consultation meeting consisting of staff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staff at the Poli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and field police officers regarding the capabilities of field police officers derived according to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then As shown in [Table 1], the core competencies of field police officers are confirmed (or confirmed/established) such as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sincerity of duties,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fairness in law enforcement.



기준


standard
국민기대national expectations 경찰조직의 요구Requests from police organizations 경찰 역량police competency
선행연구
뉴스('01~'20)
Prior research
News ('01~'20)
경찰
윤리헌장
police
Ethics Charter
경찰청장
취임사
police chief
inauguration speech
신임경찰관
교육목표
new police officer
Educational Goals
경찰
성과측정
요소
police
Performance measurement
Element
지역
경찰
region
police

경찰

police
지구대
경찰
earth belt
police
인권존중respect for human rights 인권Human rights 인권Human rights 인권Human rights 국민우선People first 인권Human rights -- -- -- 법집행 공정성Law Enforcement Fairness 절차적
공정성
procedural
fairness
공정성fairness 법과 원칙에 따른 공정Fairness according to law and principles 법과 원칙을 준수Comply with laws and principles 법집행
공정성
law enforcement
fairness
공정성fairness 공정업무처리
법이해/적용력
Fair work processing
Legal understanding/application ability

절차
수행
law
procedure
Perform
직무의 성실성Integrity of duty -- 성실성sincerity 적극성positiveness -- -- 성실성
적극성
sincerity
positiveness
업무성실성
업무적극성
Work sincerity
work proactivity
--
현장에서 소통communicate on site 의견
경철
opinion
Gyeongcheol
친절성kindness -- 국민우선People first 시민에 대한 봉사
친절성
service to citizens
kindness
시민지향
의사소통
Citizen-oriented
Communication
대민공감력/의사소통Public empathy/communication 민원경청
의사소통
Listening to civil complaints
Communication
동료와의 협업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 화합과 단결harmony and unity -- -- -- 팀워크teamwork 팀워크teamwork 협업Cooperation 기타etc 전문성professionalism 청렴성
국민의 안전
integrity
public safety
안전
중립성
일관성
safety
neutrality
consistency
현장중심
올바른
인성과 감성
Field-oriented
proper
Personality and Sensitivity
청렴성
중립성
방범능력
범인검거능력
신속성
integrity
neutrality
Crime prevention ability
Ability to apprehend criminals
speed
민첩성
체력
네트워크
문제해결능력
대상식별능력
agility
health
network
problem solving ability
Target identification ability
청렴성
대인관계
문제해결력
정보수집관리
상황판단력
통합적사고능력
integrity
human relationship
problem solving skills
Information collection management
situational judgment
Integrated thinking ability
--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확인된(또는 확정된/설정된) 5개의 핵심 역량을 구조화하여 잠정 역량 모형을 생성(또는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5개의 현장경찰관의 핵심 역량은 시민과 업무에 따라 지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역량을 개인적 차원과 집단적/업무적 차원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즉, 지향과 차원의 2가지 기준에서 역을 재배치하면 상기 인권존중 역량은 시민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현장에서의 소통 역량은 시민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다. 또한, 상기 직무의 성실성은 업무지향의 개인차원의 역량이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능력은 업무지향의 집단차원의 역량이다. 또한, 상기 법집행 공정성은 시민과 업무 및 개인과 집단에 모두 작동할 뿐 아니라 현장경찰관의 법집행력을 강화하는데 준거가 되는 통합적 역량이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creates (or configures) a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by structuring the five confirmed (or confirmed/set) core competencies. Her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above five field police officers are oriented according to citizens and tasks. In addition, capabilities can be divided into personal level and collective/work level. In other words, if the roles are rearranged in the two criteria of orientation and level, the competency to respect human rights is a citizen-oriented individual-level competency, and the competency to communicate in the field is a competency at the individual level. is a citizen-oriented group-level competency. In addition, the sincerity of the job is a task-oriented, individual-level competency, and the ability to collaborate with colleagues is a task-oriented, group-level competency.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aw enforcement fairness is an integrated competency that not only works for citizens, work, individuals, and groups, but also serves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law enforcement power of field police officer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각 역량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의 행동지표를 도출(또는 생성/정의/설정)한다. 이때, 상기 법집행 공정성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타당성, 실효성, 일관성을 포함하고, 상기 인권존중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생명권, 안전권, 자유권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에서 소통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구두소통, 문서소통, 배려를 포함하고, 상기 직무의 성실성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기초지식, 직무자세, 업무완수를 포함하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업무분장, 자원공유, 화합단결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derives (or creates/defines/set) a preset number (for example, 3) of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competency through big data analysis. At this time,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the fairness of law enforcement include validity, effectiveness, and consistency,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respect for human rights include the right to life, the right to safety, and the right to liberty, and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communication in the field include oral communication, It includes document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and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the sincerity of the above job include basic knowledge, job attitude, and work completion, and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include division of work, resource sharing, and harmony and unity. .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잠정 역량 모형을 지역경찰관서에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로 이루어진 협의회의 의견(또는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경찰관 역량 모델(또는 현장경찰관 역량 모형)을 생성(또는 구성)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reflects the opinions (or review results) of a council of practitioners working at local police stations with the generated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to create a field police officer competency model (or review result), as shown in FIG. 2. Or create (or configure) a field police officer competency model).

이에 따라, 수정된 행동지표는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revised behavioral indicators are as follows.

즉,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법집행 공정성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규범적 타당성, 사실적 실효성, 일관성을 포함하고, 상기 인권존중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권리보장, 안전보호, 긴급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에서 소통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전달, 수용, 배려를 포함하고, 상기 직무의 성실성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기초판단, 실행관리, 직무완수를 포함하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업무분장, 자원공유, 화합단결을 포함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2,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law enforcement fairness include normative validity, factual effectiveness, and consistency, and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respect for human rights include rights guarantee, safety protection, and emergency rescue.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communication in the field include delivery, acceptance, and consideration,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the sincerity of the above job include basic judgment, execution management, and job completion, and th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collaboration with the above colleagues. Includes division of work, resource sharing, and harmony and unity.

이러한 개별 행동지표는 각기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심동적 영역에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현장경찰관의 역량이기 때문에 심동적 영역에 속한 행동지표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These individual behavioral indicators can express characteristics in the cognitive domain, emotional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respectively. In addition, because it is a field police officer's competency, it can be confirmed tha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behavioral indicators belonging to the psychodynamic domain are include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평가준거를 고려하여 행동지표를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각 행동지표의 영역에 맞추어 상·중·하의 수준을 정하고,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문서 형태로 수준에 적합하게 평가준거를 도출(또는 생성/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적 정의는 사회 조사를 위해 사물 또는 현상을 객관적이고 경험적으로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operationally defines behavioral indicators in consideration of evaluation criteria.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e level of high, medium, and low according to the area of each behavioral indicator, and as shown in Figures 3 to 7, derives (or generates) evaluation criteria appropriate for the level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document. /set). Here, the operational definition refers to an objective and empirical description of an object or phenomenon for social research.

즉, 상기 제어부(160)는 각 행동지표를 사용자(또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영역을 정하고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수준에 따라 평가준거를 작성(또는 구성/생성)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and operationally defines the area for each behavioral indicat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or learner), and then writes (or configures/generates)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level.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현장경찰관에 대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평가를 위해서 상기 역량 모델(또는 상기 현장경찰관 역량 모델/상기 현장경찰관 역량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0 can provide realistic virtual training for field police officers and generate the competency model (or the field police officer competency model/the field police officer competency model) for subsequent evaluation.

이렇게 생성된 역량 모델은 현장경찰관을 위한 교육훈련체계를 만들고,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나아가 경력개발체계를 개발하는데 기초로 사용할 수 있다.The competency model creat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a basis for creating a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field police officers, developing a curriculum, and further developing a career development system.

또한, 상기 역량 모델은 모듈화된 교안의 교육방법으로 실감형 가상훈련 기반의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mpetency model can be applied to using content based on realistic virtual training as a modular teaching method.

또한, 상기 역량 모델은 현장경찰관의 역량진단도구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mpetency model can be used to create a competency diagnosis tool for field police officer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사전에 수집된 복수의 학습용 데이터세트를 지속적인 기계학습(또는 딥러닝)의 데이터로 활용한다. 여기서, 상기 기계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세트(또는 학습용 데이터세트)는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7:3)로 훈련 세트(train set)와 테스트 세트(test set)로 분할하여, 훈련 및 테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세트는 추후 수집되는 서브 훈련 상황별 입력값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계학습을 위한 출력 데이터세트는 예측하고 싶은 부분으로, 서브 훈련 상황에 따른 학습자의 평가 결과 등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uses a plurality of pre-collected learning datasets as data for continuous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Here, the input dataset (or learning dataset) for machine learning is divided into a training set and a test set at a preset ratio (for example, 7:3), and training and testing functions are performed.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input dataset for machine learning includes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that are collected later. In addition, the output dataset for machine learning is the part to be predicted and includes the learner's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sub-training situation.

즉,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학습용 데이터를 통해 역량 모델(또는 역량 모형)에 대해서 특정 로우 데이터와 관련해서 서브 훈련 상황에 따른 학습자의 평가 결과를 설정(또는 결정/생성)하기 위한 학습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로우 데이터(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입력값 등 포함)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또는 학습용 데이터 등 포함)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학습, 훈련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계학습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및 심층 강화 학습(Deep Reinforcement Learning)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60 has a learning function to set (or determine/generate) the learner's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ub-training situation in relation to specific raw data for the competency model (or competency model) through preset learning data. Perform.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stores raw data (including, for example,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etc.) in parallel and distributed, and unstructured data included in the stored raw data (or including learning data, etc.), Structured data and semi-structured data are refined, preprocessing including classification into metadata is performed, analysis including data mining is performed on the preprocessed data, and at least one type is analyzed. Big data can be built by conducting learning, training, and test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At this time, at least one type of machine learning is 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Reinforcement Learning, and Deep Reinforcement Learning. It may b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m.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학습용 데이터 등을 통해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s) 형태의 상기 역량 모델에 대해서 학습 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a learning function on the competency model in the form of neural networks through the learning data.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메타버스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훈련 내용 중 어느 하나의 훈련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훈련 내용 선택 메뉴(또는 항목/버튼), 선택된 훈련 내용에 대응하는 훈련 시나리오와 관련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작 메뉴,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훈련 내용은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흉기난동 대응 메뉴, 집단폭력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집단폭력 대응 메뉴, 치매노인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치매노인 보호조치 메뉴, 정신질환자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정신질환자 보호조치 메뉴, 집회시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집회시위 대응 메뉴, 가정폭력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가정폭력 조치 메뉴, 주취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주취난동자 보호조치 메뉴, 살인사건 현장에 대한 초동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살인현장 초동조치 메뉴, 자살기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자살기도 대처요령 메뉴,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 방법을 훈련하기 위한 성폭력 피해자 조사 메뉴 등을 포함하며, 디폴트로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 훈련을 위해서 흉기난동 대응 메뉴가 선택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HMD(Head Mounted Display), 구글 글래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동일 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훈련 내용(또는 훈련 과정)에 따라, 동일한 실감 콘텐츠를 복수의 훈련자가 각각 착용(또는 소지/보유) 중인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훈련 과정 중 서로 다른 실감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훈련자가 각각 착용 중인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executes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and displays an app execution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edicated app on the display unit 140. At this time, the app execution result scree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metaverse, etc., and a training content selection menu (or item/ button), a start menu to provide realistic content related to the training scenario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raining content, and a settings menu to set dedicated app functions. Here, the plurality of training contents includes a weapon attack response menu to train response to a weapon rampage, a group violence response menu to train response to group violence, and protection measur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train measures to take against the elderly with dementia. Menu, menu of protective measures for mentally ill people, menu of protective measures for mentally ill people, menu of response to protests, menu of response to protests, menu of measures to protect people with mental illness, menu of measures of domestic violence for training in measures of measures against domestic violence, menu of protective measures for drunk people. Menu of protective measures for drunken rioters, menu of first action at a murder scene to train first action at a murder scene, menu of how to respond to a suicide attempt to train on response to a suicide attempt, and menu of investigation methods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It includes a sexual violence victim investigation menu for training, and by default, the knife attack response menu may be selected for training in response to a knife attack. 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140 may be a Head Mounted Display (HMD), Google Glass, a wearable display, etc. Here, when there are multiple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same training,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display unit ( 140) and/or control th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50, or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trainers wearing different realistic content during the training process. You can also control each output through .

이때, 사전에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훈련자(또는 학습자)의 고유 아이디(또는 고유 코드), 해당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 로그인 절차(또는 훈련자 정보 입력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전용 앱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자가 패용(또는 착용/소지) 중인 신분증에 구성된 RFID 또는 NFC를 통해 해당 훈련자의 고유 아이디 등을 인식하여, 상기 전용 앱 실행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ogin procedure (or the trainee information input procedure) when running the dedicated app using the unique ID (or unique code) of the trainer (or learner) to perform training in advance, a barcode or QR code containing the ID, etc. By performing , one or more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dedicated app (including, for example, realistic virtual training functions, etc.)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trainee's unique ID can be recognized through RFID or NFC configured on the ID card the trainee is wearing (or wearing/possessing), and a login procedure can be performed when the dedicated app is run.

또한,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상기 시작 메뉴(또는 항목/버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는 준비 단계, 대처 단계, 사후조치 단계, 평가 수행 단계, 평가결과 제공 단계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start menu (or item/button) is selected on the app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according to user selection (or user input/touch/control) through the input unit 130, The control unit 160 randomly selects one training scenario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related to a weapon attack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Here, the training scenario includes a preparation stage, a response stage, a follow-up stage, an evaluation performance stage, an evaluation result provision stage, etc.

또한,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복수의 훈련 내용 메뉴(또는 항목/버튼) 중에서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훈련 내용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된 훈련 내용 메뉴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훈련 내용별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선택된 훈련 내용 메뉴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content menus (or items/butt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one training content menu is selected according to user selection (or user input/touch/control) through the input unit 13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60 randomly selects one training scenario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raining content menu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for each training content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in response to the selected training content menu. You can also choose.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훈련 내용과 관련해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복수의 훈련 내용 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훈련 내용 메뉴와 관련해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0 randomly selects a training scenario in relation to preset training content, or related to a specific training content menu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training content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o any one training scenario can be selected at random.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160)는 집단폭력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 치매노인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내용, 정신질환자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내용, 집회시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 가정폭력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내용, 주취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내용, 살인사건 현장에 대한 초동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내용, 자살기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 방법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 등과 관련해서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for training to respond to violent assaulters is mainly dealt with,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trol unit 160 includes content for training to respond to group violence, and train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Contents for training measures, content for training measures for mentally ill people, content for training responses to protests, content for training measures against domestic violence, content for training on protective measures for drunkards. , realistic virtual training functions can be provided in relation to content to train first responders to a murder scene, content to train responses to suicide attempts, content to train investigation methods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etc.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경찰차 차량 내부 화면 영역, 흉기난동 현장 입구/주변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신고 접수에 따른 신고 접수 내용(또는 신고 녹취록) 출력 정보(또는 데이터/상황 정보),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 등의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는 신고 접수 내용 이해에 따라 학습자가 정확한 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또는 판단)하기 위해서, 신고 접수 내용 이해 정보(또는 신고 접수 내용 이해 정보/항목)(예를 들어 신고자에게 연락 등 포함), 신고자 연락에 따라 학습자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상황 정보 수집을 위한 정보(또는 신고자에게 연락 항목)(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상태, 난동행위자 인원, 흉기소지 여부, 흉기 종류, 피해자 부상 정도, 현장의 정확한 위치, 현장의 밀집도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는 파악된 현장 상황 정보에 따른 현장 상황 종합 정리 정보(예를 들어 흉기난동, 피해자 있음, 피해자 없음, 난동행위자 1명, 다수의 난동행위자 등 포함), 흉기난동 대응에 필요한 업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상황 종합 정리 정보에 대응하는 현장 업무 계획 정보(예를 들어 신분고지, 행위자 제압, 피해자 구조, 행위자 체포 및 수색, 피해 조사, 증거확보, 증원인력 도착 확인, 가/피해자 분리, 블랙박스 작동확인 등 포함), 동료와 함께 처리해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학습자 역할 분담 정보(예를 들어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는 현장 도착 시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현장 도착 상황 보고 여부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112 치안종합상황실 보고 정보, 현장 진입 전 증원 인력이 도착했는지 여부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증원 인력 도착 확인 정보, 안전을 위해 흉기난동 상황 대응 전 안전장비 착용 필요성을 알고 어떤 장비를 착용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 장구 착용 정보(또는 방검 장비 착용 정보)(예를 들어 방검복, 안전 장갑, 방패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preparation stage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preparation stage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 Here, the realistic content in the preparation stage includes a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screen area inside the police car vehicle, an entrance/surrounding area at the scene of a knife attack, a system message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display area for option option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etc. Multiple sub-training situations (or multiple sub-training situations) such as report reception content (or report transcript) output information (or data/situation information), dispatch and on-site situ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sit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information, and preparation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site.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At this time, the dispatch and on-site situ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to confirm (or determine) whether the learner knows what to do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on-site situa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port reception content (or report receipt information). Information/item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including, for example, contacting the reporter, etc.), information for collecting on-site situ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learner knows what to check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on-site situation according to the reporter's contact (or contact items to the reporter) (including, for example, the status of the disorderly person, the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the disorderly conduct, whether or not a weapon is possessed, the type of weapon, the extent of the victim's injuries, the exact location of the scene, the density of the scene, etc.), etc. In addition, the above on-sit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information includes comprehensive summary information on the on-site situa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ed on-site situation information (e.g., weapon rampage, victim present, no victim, 1 disorderly person, multiple disorderly persons, etc.), response to a weapon rampag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necessary work is accurately understood, field work plan information (e.g., identification, suppression of the actor, rescue of the victim, arrest and search of the actor, investigation of damage, securing of evidence, arrival of reinforcements) corresponding to comprehensive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eld situation Confirmation, separation of offender/victim, black box operation check, etc.), and learner role alloc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learner knows what tasks need to be handled with colleagues (e.g., apprehending the actor and blocking risk factors, rescuing the victim) and damage investigation, etc.). In addition, the preparation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scene is used to check whether the 112 General Security Situation Room reports information on arrival at the scene upon arrival at the scene and whether reinforcements have arrived before entering the scene. In order to confirm the arrival of reinforcement personnel, information on wearing safety equipment (or information on wearing safety equipment) to ensure that people know the need to wear safety equipment and what equipment to wear before responding to a knife attack situation for safety (e.g. (including bulletproof clothing, safety gloves, shields, etc.)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a plurality of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in the preparation stage according to user input (or user selection/touch/control/rea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30.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input values are received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or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for each trainer for evaluation of each train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부(130)에 포함된 조이스틱을 이용해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학습자의 음성 정보에 대해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대응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ystick included in the input unit 130 is mainly used to perform functions selected by the us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unit 16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input unit 130. ) can perform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on the learner's voic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ncluded in the device, and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in response to the results of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준비 단계와 관련해서,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In this way, in relation to the preparation stage included in the training scenario, content related to a plurality of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of the preparation stage is output, and each sub-training situation is classified by a plurality of trainer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sponse accordingly. Multiple input values can each be received (or collected).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실감형 콘텐츠에 대해서 훈련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훈련자의 선택에 따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realistic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to provide a sub-train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 trainer's sele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rainer. Multiple input values can be receive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처 단계에 대응하는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흉기 난동 발생 장소 화면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 물리력 대응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 난동현장 조치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 피해자 이송 정보, 피해자 인계 정보, 주변 조사 정보 등의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는 위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거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 장소에서의 위험 요소 차단 정보(예를 들어 깨진 술병, 가위, 프라이팬 등 포함), 도주로 차단 필요성을 알고 적합한 자리/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경찰관의 안전을 위한 안전거리 확보 필요성을 알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거리를 고려한 난동행위자에게 접근하기 위한 정보(또는 난동행위자에 접근 정보)(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앞, 난동행위자 옆 등 포함), 필요한 고지 사항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신분 및 촬영 고지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 난동행위 중단 경고의 필요성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행동(또는 난동)에 따른 난동행위 중단 경고를 위한 정보, 흉기를 버릴 것을 경고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흉기 소지 시 흉기 버릴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는 난동행위자의 상태, 저항 수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상황 및 현장 상황 판단 정보(예를 들어 행위자 상태, 난동 상황, 위험물 소지 여부, 음주, 흥분 상태, 가/피해자 분리, 가/피해자 미분리 등 포함), 부적절/불필요하거나 난동행위자를 도발하지 않고 난동행위자를 미리 설정된 '순응' 상태로 이끌어내기(또는 유도하기) 위한 상황과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행동(또는 난동)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 정보(예를 들어 행위 중단 설득, 행위 중단 경고, 무기 사용 고지, 총기 사용 고지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리력 대응 정보는 적합한 물리력 대응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범죄 종류, 대상자(또는 훈련자/경찰관) 수, 흉기 종류, 난동행위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 피해 상황, 저항 강도, 위해 급박성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저항 정도에 대한 정보(또는 난동행위자 저항 수준 파악 정보)(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순응, 소극적 저항, 적극적 저항, 폭력적 공격, 치명적 공격 등 포함), 학습자가 선택한 저항 정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저항 정도에 따른 물리력 행사 수단 선택 정보(예를 들어 대화, 삼단봉/방패, 가스분사기, 테이저건, 권총 등 포함), 적합한 신체 부위에 물리력을 사용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물리력 행사 정보(예를 들어 머리, 팔, 복부, 허벅지, 손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는 행위자 체포 정보,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권리 고지 정보, 난동행위자가 추가 위해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지를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수색 정보, 난동행위자 제압 후 난동행위자의 부상 여부 확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부상 확인 정보, 행위자 연행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동현장 조치 정보는 난동 현장 위험요소 차단 정보, 증거 사진/영상이 필요함을 알고 이를 확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 현장 촬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는 본인(또는 학습자)이 아닌 119 구조 대원이 피해자 부상 정도를 확인하게 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의 부상 정도(예를 들어 피해자가 부상을 입지 않음, 피해자가 경미한 부상을 입음, 피해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음 등 포함)에 따른 119 구조대원에게 피해자 부상 여부 확인 요청 정보(예를 들어 119 구조대원에 확인 요청 등 포함), 피해자에게 치료 필요 여부를 물어보았고, 피해자의 상태에 적합한 대처 방법을 결정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 병원 치료 여부 확인 정보(예를 들어 부상 없음, 경미한 부상, 심각한 부상 등 포함), 피해자 병원 치료 여부 정보(예를 들어 피해자 병원 치료 거절, 피해자 병원 치료 요청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해자 이송 정보는 피해자에게 피해 진술 절차와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 등으로의 이송 여부를 안내하고, 피해자가 진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병원 치료 거절 시, 지구대(또는 파출소, 치안센터)로 피해자 이송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 피해 진술 절차 안내, 진술 가능 상태 확인, 지구대 동행 안내, 피해자-가해자 분리하여 이송 등 포함), 피해자의 상태에 적합한 대처 방법을 결정하였고 피해자에게 병원으로 이송됨을 안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병원 치료 요청 시, 119에 피해자 인계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119에 피해자 인계, 피해자에게 119로 인계됨을 안내,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보고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해자 인계 정보는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시 피해 진술 절차 및 지구대 동행 안내 정보, 119에 피해자 인계시 피해자에게 병원 이송 안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변 조사 정보는 필요한 목격자 정보를 수집하고 추후 출석 및 증거자료 요구 가능성을 공지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목격자 정보 확보, 피해 상황 및 초기 발생 상황 관련 정보를 수집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조사, CCTV 확보 필요성을 인지하고 CCTV 자료를 확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증거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realistic content of a coping stage corresponding to a preset coping stage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do. Here, the realistic content in the response stage includes a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screen area where a violent attack occurs with a weapon, a system message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n option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provides access, notification, and risk to violent actors. Multiple information such as element blocking information, information on responding to rioters, information on responding to physical force, information on apprehension of the actor according to separation of learner roles, information on measures taken at the scene of the disorder, information on victim rescue according to separation of roles as learners, information on transporting victims, information on handing over victims, information on surrounding investigation, etc. Includes other sub-training situations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accessing, notifying, and blocking risk factors to the rioters includes information on blocking risk factors in the damaged area (including, for example, broken liquor bottles, scissors, frying pans, etc.) to ensure that the risk factors have been accurately identified and removed. Information to approach a disorderly person considering a safe distance (or access to a disorderly person) to determine whether the need to block escape routes is known and an appropriate spot/position can be selected, and the need to secure a safe distance for the safety of police officers is known and implemented. information) (including, for example, in front of a disorderly person, next to a disorderly person, etc.), information to guide identification and filming notices to ensure that they are accurately aware of the necessary notices, and to check whether they are aware of the need for a warning to stop disorderly conduct. For this purpose, it includes information to warn people to stop violent acts due to the actions (or riots) of rioters, information to warn people to throw away weapons when in possession of a weapon to check whether they are aware of the need to warn people to throw away weapons, etc.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responding to the disorderly person is information on the actor's situation and on-site situation judgment (e.g., state of the actor, disorderly situation, possession of dangerous substances, drunk , excited state, separation of victim/victim, non-separation of offender/victim, etc.), situations and language to bring (or induce) the disorderly person into a pre-set 'compliant' state without being inappropriate/unnecessary or provoking the disorderly person. In order to check whether a choice can be made, information on the learner's reaction according to the disorderly person's behavior (or disorder) (including, for example, persuasion to stop the behavior, warning to stop the behavior, notice of use of weapon, notice of use of firearm, etc.) is included. In addition, the physical force response information properly includes the type of crime, number of subjects (or trainers/police officers), type of weapon, physical and health status of the rioter, situation of damage, intensity of resistance, imminence of harm, etc.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method of responding to physical force.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learner understands the level of resistance of the disorderly person (or information on the level of resistance of the disorderly person) (e.g., including preset compliance, passive resistance, active resistance, violent attack, fatal attack, etc.), information selected by the learner In order to confirm whether you are accurately aware of the means of applying physical force that can be used at the level of resistance, information on the selection of means of using physical force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istance of the disorderly person (e.g., including conversation, baton/shield, gas spray, Taser gun, pistol, etc.) Information on the use of force (e.g., head, arms, abdomen, thighs, hands, etc.) is included to determine whether force was used on the appropriate body part. In addition, the actor arr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of learner roles includes actor arrest information, actor rights notic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Miranda principle has been notified, actor search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disorderly person is aware of whether he or she is in possession of additional dangerous item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need to check for injuries to the disorderly person after suppressing the disorderly person is recognized, information on confirming the disorderly person's injuries and information on the perpetrator's arrest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riot scene ac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blocking risk factors at the riot scene, and information on filming the riot scene to confirm that evidence photos/videos are necessary and have been secured. In addition, the victim rescu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of learner roles is based on the extent of the victim's injuries (e.g., the victim is not injured, the victim is We asked 119 rescuers to confirm whether the victim was injured (including whether the victim suffered minor injuries, the victim suffered serious injuries, etc.), asked the victim whether he or she needed treatment, and asked 119 rescuers to confirm whether the victim was injur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victim was treated at a hospital (e.g., no injuries, minor injuries, serious injuries, etc.), information on whether the victim was treated at a hospital (e.g., whether the victim refused hospital treatment, whether the victim was treated at a hospital) including requests for treatment, etc.). In addition, the above victim transport information guides the victim on the victim statement procedure and whether to transfer to the district police station, police station, public security center, etc., and to confirm whether the victim is in a state capable of making a statement, when the victim refuses hospital treatment, the district district ( or information for transporting the victim to a police station or police center) (including, for example, transporting the victim to a local police station, guidance on victim statement procedures, confirmation of the state of being able to make a statement, guidance on accompanying a local police station, separate transport of the victim and perpetrator, etc.), appropriate for the victim's condition. In order to confirm that a response method has been decided and the victim has been informed that the victim will be transferred to the hospital, when the victim requests hospital treatment, information for handing over the victim to 119 (for example, handing over the victim to 119, informing the victim that the victim will be transferred to 119, 112 Public Safety Comprehensive) (including reporting to the situation room, etc.) In addition, the victim handover information includes damage statement procedures and information on accompanying the victim when transferring the victim to the local police station, and hospital transport guidance to the victim when handing over the victim to 119. In addition, the above surrounding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used to collect necessary witness information and confirm whether the possibility of future attendance and request for evidence has been announced, to secure witness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mage situation and initial occurrence situation has been collected, to conduct damage investigation, CCTV, etc. This includes securing evidence in order to recognize the need for security and confirm whether CCTV data has been secure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다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a plurality of response steps corresponding to user input (or user selection/touch/control/rea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3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Different input values are received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or multiple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for each trainer for evaluation of each trainer.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대처 단계와 관련해서,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In this way, in relation to the coping step included in the training scenario, content relat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coping step realistic content is output, and sub-training situations for a plurality of trainer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sponse accordingly. Each can receive (or collect)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실감형 콘텐츠에 대해서 훈련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훈련자의 선택에 따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realistic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to provide a sub-train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 trainer's sele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rainer. Multiple different input values can be receive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후조치 단계에 대응하는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흉기 난동 발생 장소 화면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상황 종료를 보고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건 종결에 따른 발생보고 정보, 상황 종료 후 어떤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보고서 작성 정보(예를 들어 물리력 사용 보고서, 경찰 사용 장구 보고서, 현행범 체포서, 범죄신고 접수대장, 사건발생 검거보고 등 포함) 등의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생보고 정보는 촬영된 난동 현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수집된 증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고서 작성 정보는 난동 현장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형식의 하나 이상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displays post-action stage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post-action stage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output through Here, the realistic content in the post-action stage includes a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screen area where a weapon attack occurred, a system message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n option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the situation is terminated at the 112 General Public Safety Situation Room. In order to check whether you have reported the incident re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e incident, report prepar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you know what report to write after the situation is over (e.g. report on use of physical force, report on police equipment used, active criminal arrest report, crime report) It includes multiple other sub-training situations (or multiple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such as reception desk, incident arrest report, etc. At this time, the occurrence report information includes video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lmed riot scene, collected evidence, etc. Additionally, the report wri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writing one or more reports in a preset format related to the scene of the riot.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other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ost-action stage realistic content according to user input (or user selection/touch/control/rea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30.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are received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or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for each trainer for evaluation of each trainer.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해서,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In this way, in relation to the post-action stage included in the training scenario, content relat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of the post-action stage is output, and training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iner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sponse accordingly.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can be received (or collected)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실감형 콘텐츠에 대해서 훈련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훈련자의 선택에 따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realistic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to provide a sub-train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 trainer's sele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rainer. Multiple additional input values can be received.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감형 콘텐츠(예를 들어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등 포함)에 각각 포함되는 정보(또는 데이터/항목)는 미리 설정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해성 경찰장비의 사용 기준 등에 관한 규정, 경찰 물리력 행사의 기준과 방법에 관한 규칙, 경찰관 직무집행법, 관련 판례, 피해자 보호관 임무 체크리스트, 피해자 보호 및 지원에 관한 규칙 등이 적용된(또는 반영된/근거로) 상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or data/items) included in each of the various realistic cont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for example, realistic content in the preparation stage, realistic content in the coping stage, realistic content in the follow-up stage, etc.) is preset. Act on aggravated punishment for specific crimes, regulations on standards for use of hazardous police equipment, rules on standards and methods of police use of physical force, Police Officers' Duties Execution Act, related precedents, victim protection officer duties checklist, rules on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etc. This may be the applied (or reflected/based on) state.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항목별 행동지표,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등 포함) 등을 근거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항목별 행동지표는 법집행 공정성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규범적 타당성, 사실적 실효성, 일관성 등 포함), 인권존중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권리보장, 안전보호, 긴급구조 등 포함), 현장에서 소통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전달, 수용, 배려 등 포함), 직무의 성실성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기초판단, 실행관리, 직무완수 등 포함), 동료와의 협업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업무분장, 자원공유, 화합단결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 결과는 해당 훈련을 수행한 복수의 훈련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팀에 대한 평가 결과이며, 총평, 훈련결과, 세부 훈련기록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총평(또는 전체 평가 결과/종합 평가 결과)은 복수의 훈련자명, 훈련 시나리오, 훈련 소요시간, 훈련 점수, 방사형 그래프 형태의 복수의 역량별 결과, 훈련 총평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훈련결과(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 결과)는 미리 설정된 5대 역량과 관련한 시민지향(예를 들어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등 포함), 업무지향(예를 들어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 포함), 통합(예를 들어 법집행 공정성 등 포함) 등의 훈련 방향에 대한 결과(예를 들어 상, 중, 하 등 포함), 세부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부 훈련기록은 복수의 훈련자명, 훈련 시나리오, 훈련 소요시간, 훈련 점수, 훈련일자 및 시각 정보,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강평 문항별 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강평 문항별 결과는 상기 복수의 훈련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 중에서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또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 훈련 입력값을 근거로 미리 설정된 현장 대처 계획 수립 항목(또는 역할 분담 항목),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항목(또는 신분고지 및 상황설명 항목), 난동행위자 대처 항목(또는 물리력 행사 기준 적용 항목), 피해자 구조 항목(또는 피해자 부상 확인 요청 항목), 물리력 대응 평가 항목(또는 언어적 통제 항목/대상자 행위 수준 판단 및 물리력 행사 항목), 현장 진입 전 준비 항목(또는 보고 및 업무 분장 항목/안전 장구 착용 확인 항목) 등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이며, 사용자 입력값에 따른 정답 여부에 대한 정보, 관련된 법 조항(또는 코멘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강평은 작품이나 연기, 또는 실습 등에 대해 총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기능을 의미한다(또는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동일 항목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훈련자로부터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 경우, 먼저 입력된 입력값을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preset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item, input values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e.g.,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sub-training Evaluation results for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re generated based on (including multiple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ituation). At this time, the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item includ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law enforcement fairness (e.g., normative validity, factual effectiveness, consistency, etc.), and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respect for human rights (e.g., rights guarantee, safety protection, emergency rescue, etc.) (including),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communication in the field (including, for example, delivery, acceptance, consideration, etc.),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job sincerity (including, for example, basic judgment, execution management, job completion, etc.),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Includes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this (e.g., division of duties, resource sharing, harmony and unity, etc.). Here, the evaluation result is an evaluation result of one team including a plurality of trainers who performed the training, and includes an overall evaluation, training results, detailed training records, etc. At this time, the overall evaluation (or overall evaluation result/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 includes multiple trainee names, training scenarios, training time, training scores, multiple competency-specific results in the form of a radial graph, and overall training evaluation. In addition, the above training results (or results for multiple pre-set competencies) are citizen-oriented (including, for example,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etc.) and work-oriented (for example, job sincerity, etc.) related to the five pre-set competencies. It includes results (including, for example, high, medium, low, etc.), detailed results, etc. for training directions such as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etc.), integration (including, for example, law enforcement fairness, etc.). In addition, the detailed training record includes a plurality of trainee names, training scenarios, training time, training scores, training date and time information, and results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critique ques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et critique items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trainers and correspond to one or more specific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preset among input values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Based on one or more specific sub-training inputs entered (or received), preset field response plan establishment items (or role division items), approaching disorderly persons, notification, and blocking risk factors (or identification notification and situation explanation) items), items for dealing with disorderly persons (or items for application of standards for use of physical force), items for rescuing victims (or items for requesting verification of victim injuries), items for evaluating response to physical force (or items for verbal control/judgment of the level of behavior of the target and use of physical force items), on-site It is the result of evaluating pre-entry preparation items (or reporting and job assignment items/confirmation of wearing safety gear), etc., and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according to user input, related legal provisions (or comments), etc. Here, the critique refers to (or represents) the function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evaluating a work, performance, or practice. 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input values from the plurality of trainers for the same item, the control unit 160 may use the input value input first as the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tem.

이때, 상기 훈련자에 대한 평가 결과 생성 시,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 중인 훈련자와 관련한 영상 정보를 수집(또는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훈련자별 훈련 집중도를 계산(또는 산출/생성)하고, 상기 계산된 훈련자별 훈련 집중도를 상기 평가 결과에 반영(또는 적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generating evaluation results for the trainee, the control unit 160 collects (or monitors) video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inee in training, analyzes the collected video information, and calculates (or calculates/generates) the training concentration for each trainer. ), and the calculated training concentration for each trainer may be reflected (or applied) to the evaluation results.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 중인 훈련자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눈을 감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또는 영상 분석에 따라 조는/자는 경우로 판정되는 경우), 훈련자가 하품을 하는 경우, 훈련자가 휴대폰 등의 훈련에 필요한 장치(또는 디바이스) 이외에 다른 장치를 조작(또는 제어)하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상기 훈련자별 훈련 집중도에 적용(또는 차감/반영)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when the trainee in training keeps his/her eyes clos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is determined to be dozing/sleeping according to image analysis), when the trainee yawns, and when the trainee yawns. If a device other than a device (or device) required for training, such as a mobile phone, is operated (or controlled), a preset point is applied (or subtracted/reflected) to the training concentration of each trainee.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현장 경찰의 역량 파악을 위해서 인권존중 항목, 현장에서 소통 항목, 직무의 성실성 항목, 동료와의 협업 항목, 법집행 공정성 항목 등에 따라 항목별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항목별 행동지표,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등 포함)을 근거로 상기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0 derives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item according to respect for human rights, on-site communication, job sincerity,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law enforcement fairness in order to determine the capabilities of the police in the field. The derived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item, input values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e.g.,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other input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The above evaluation results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values (including values, etc.).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출된 항목별 행동지표를 근거로 상기 역량 모델을 업데이트(또는 재생성/보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may update (or regenerate/supplement) the competency model based on the derived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item.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업데이트된(또는 재생성된/보완된) 역량 모델,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등 포함)을 근거로 상기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updated (or regenerated/supplemented) competency model, input values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e.g., multiple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multiple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The evaluation result may be generated based on (including other input values, multiple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etc.).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해당 복수의 훈련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팀에 대한 평가 결과 등을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평가 결과는 총평 항목(또는 총평 탭), 훈련결과 항목(또는 훈련결과 탭), 세부 훈련기록 항목(또는 세부 훈련기록 탭) 등으로 분류하여 표시되며, 각 항목(또는 탭)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세부 정보(예를 들어 총평, 훈련결과, 세부 훈련기록 등 포함)가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the evaluation results for one team including the plurality of trainers crea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At this time, the evaluation results are displayed by categorizing them into general evaluation items (or overall evaluation tab), training result items (or training results tab), detailed training record items (or detailed training record tab), etc., and each item (or tab) is selected. If available, detail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ncluding, for example, overall evaluation, training results, detailed training records, etc.) may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훈련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팀 단위로 상기 평가 결과를 생성 및 표시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별 행동지표,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등 포함)을 근거로 훈련자별로 복수의 역량 항목 및 미리 설정된 강평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또는 계산/산출/설정/결정)하고,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 복수의 역량 항목 및 미리 설정된 강평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 등을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역량 항목은 시민지향 항목(예를 들어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등 포함), 업무지향 항목(예를 들어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 포함), 통합 항목(예를 들어 법집행 공정성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inly explained that the evaluation results are generated and displayed as a team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rain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e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preset item. , Based on the input values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including, for example,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etc.) Generate (or calculate/calculate/set/determine) evaluation results for a plurality of competency items and preset critique items for each trainer, and evaluate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multiple competency items and preset critique items for each trainer. I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Here, the plurality of competency items include citizen-oriented items (including, for example,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etc.), work-oriented items (including, for example, job sincerity,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etc.), and integrated items (for example, For example, fairness in law enforcement, etc.).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을 근거로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또는 계산/산출/설정/결정)하고,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 단계별 평가 결과 등을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generates (or calculates/calculates/settings/determines) a step-by-step evaluation result for the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for each trainer based on the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and the generated trainee Evaluation results for each stage, etc.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해당 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또는 종합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may synthesize the generated step-by-step evaluation results to generate overall evaluation results (or 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s) for each trainee for the corresponding training scenario.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로 단계별 평가 결과,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또는 종합 평가 결과), 훈련에 참여한 훈련자 정보(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고유 코드, 이름 등 포함) 등을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includes step-by-step evaluation results for each generated trainer, overall evaluation results (or 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s) for each generated trainer, and information on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e.g., unique ID/unique code, name, etc.) ), etc.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현장경찰관의 가상현실 교육이 학습자의 서열화가 아닌 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을 충분히 인식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교육·평가하는 도구이므로 학습의 정도를 평가하는 성취평가(또는 종합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is an achievement evaluation (or comprehensive)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learning because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of field police officers is a tool for training and evaluating learners to fully recognize and act on their capabilities for work performance rather than ranking them. evaluation) can be conducted.

즉, 상기 제어부(160)는 가상현실 매체를 이용한 학습에 대한 검토 및 비교 자료들이 부족함에 따라 기존의 유사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최대한 단순화(예를 들어 3단계, 예: 우수, 보통, 미흡)하여 초기 평가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60 simplifi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xisting similar curricula as much as possible (e.g., 3 levels, e.g., excellent, average, poor) due to the lack of review and comparative data on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media. This can be set as an initial evaluation standar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시스템 운영을 통해 일정기간(3~6개월) 동안 가상현실 교육을 현장에서 운영하여 성취 기준을 점검하고 평가 기준 재설정(5단계 기준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an operate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on si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3 to 6 months) through system operation to check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reset the evaluation standards (setting 5-level standard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초기 평가 시 팀평가로 진행되나, 반복학습자의 확대 또는 이후 평가 시 경찰청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추후 개인별 평가가 가능하도록 구성(세부 평가 방안 변경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a team evaluation during the initial evaluation, but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when expanding the number of repeat learners or during subsequent evaluations, the control unit 160 can be configured to enable individual evaluation at a later date (including changing the detailed evaluation metho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각각의 역량별 평가 목적과 평가 결과를 성취기준에 따라 표기하고, 방사형 그래프를 이용하여 현장경찰관 5대 역량의 균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또는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displays the evaluation purpose and evaluation results for each competency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and can support (or display) the balance of the five major competencies of field police officers using a radial graph.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평가문항은 모두 선다형으로 구성하며, 단일 또는 다중 답안으로 구성하고, 배점은 문항의 중요도와 특성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onfigures all evaluation questions as multiple choice, single or multiple answer options, and assigns point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즉, 상기 제어부(160)는 전체 합산 점수를 100점으로 하고, 학습자 2인의 문항 총 수는 기준으로 총점을 문항별로 배분한다. 단, 강평이 진행되는 문항에 있어서는 강평이 미진행되는 문항보다 미리 설정된 가산 점수(예를 들어 50%)를 부여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60 sets the total total score to 100 points and distributes the total score to each question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for two learners. However, for questions for which a critique is in progress, a preset additional score (for example, 50%) is given compared to questions for which no critique is in progres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정답 선택 여부에 따라 0점 또는 문항별 배점 전체 부여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assigns 0 points or all points for each ques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correct answer is selecte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문항 특성에 따라 배점 구성하고, 다중 답안 중 선택된 답안의 개수만큼의 비율 배점을 부여하며, 오답을 선택한 경우 배점을 미부여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onfigures score allocation according to item characteristics, assigns percentag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answers selected among multiple answers, and does not assign points when an incorrect answer is selecte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콘텐츠 내 평가 단계 중 현장경찰관 5대 업무역량 분야별 주요 분기를 각 1개씩 선택(단, 분야별 주요 학습사항이 다수 발생하거나 가상현실 교육 특성에 따라 업무 수행 과정 평가가 다수 존재할 경우 분야별 강평 제공 빈도가 조정될 수 있음)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selects one major branch for each of the five fields of field police officer work competency during the content evaluation stage (however, many major learning items for each field occur or there are many work performance process evaluation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training). If it exists, the frequency of providing critiques by field may be adjuste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콘텐츠 내 평가 단계 중 현장경찰관 5대 업무역량 분야별 주요 분기를 각 1개씩 선택하여 학습자의 선택 답안과 정답을 제시하고 주요 학습 필요사항을 함께 제공(또는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selects one major branch for each of the field police officer's five job competency fields during the content evaluation stage, presents the learner's selected answer and correct answer, and provides (or displays) the main learning needs together.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평가 결과를 학습자(또는 훈련자)별로 관리하고, 해당 학습자의 인사정보와 연계하여 지역, 직급, 근무연차 등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학습 결과를 연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manages the generated evaluation results for each learner (or trainee), and connects them with the learner's personnel information to utilize the learning result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region, position, and years of service. there i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평가 결과를 반복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평가 결과 제공에 활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can utilize the generated evaluation results to provide various evaluation results for repeat learner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기간, 대상, 콘텐츠 등의 항목별 조건에 따라 데이터 산출에 활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60 can be used to calculate data according to conditions for each item such as period, target, and content.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현장경찰관의 법집행력 강화라는 가상현실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가상현실 학습 과정 중 발생한 학습자(또는 훈련자)의 주요 선택과 행위를 법령 또는 업무 매뉴얼에 근거하여 평가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 확인될 경우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고 현장 적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of strengthening the law enforcement ability of field police officers,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main choices and actions of the learner (or trainee) that occurred during the virtual reality learning process based on laws or work manuals. When evaluations are made and areas requiring improvement are identified, accurat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help learners learn on their own and apply them in the fiel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제한된 가상환경을 통해 경찰의 업무의 가변성을 모두 표현하지 못하고 제한적으로 학습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반복 학습 시 발생할 수 있는 흥미 및 참여도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annot express all the variability of police work through a limited virtual environment and is designed to learn limitedly, so it can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the decrease in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at may occur during repetitive learning. there is.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평가 수행 단계와 관련해서,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등 포함)을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또는 인공지능/딥 러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또는 인공지능 결과/딥 러닝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또는 계산/산출/설정/결정)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sub-training situation, Machine learn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deep learning) is performed using multiple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training situation, multiple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etc.) as inputs to the pre-learned competency model, and the machine learning results are Based on the (or artificial intelligence results/deep learning results), each trainer generates (or calculates/calculates/settings/determines) step-by-step evaluation results for each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즉,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machine learning using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preparation stage received for each trainer as input values of the competency model, and performs machine learning for each trainee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results. Generates evaluation results related to the preparation phase.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다른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machine learning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coping step received for each trainer as input values of the competency model, and trains the trainee based on other machine learning results. It generates evaluation results related to the above coping steps separately.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또 다른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machine learning by using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follow-up step received for each trainer as input values of the competency model, and produces another machine learning result. Based on this, evaluation results related to the above follow-up steps are generated for each trainer.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예를 들어 훈련자별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 등 포함)를 종합하여 해당 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또는 종합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synthesizes the generated step-by-step evaluation results (including, for example, evaluation results related to the preparation step for each trainer, evaluation results related to the coping step, evaluation results related to the follow-up step, etc.) An overall evaluation result (or 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 is generated for each trainee for the relevant training scenario.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평가결과 제공 단계와 관련해서,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로 단계별 평가 결과,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또는 종합 평가 결과), 훈련에 참여한 훈련자 정보(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고유 코드, 이름 등 포함) 등을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step-by-step evaluation results for each generated trainee and an overall evaluation result (or 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 for each generated trainee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result provision stage among the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 information on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including, for example, unique ID/unique code, name, etc.)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서 전용 앱 형태로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실감형 콘텐츠 출력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용 앱 이외에도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상기 실감형 콘텐츠 출력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performs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function, a realistic content output function, etc. in the form of a dedicated ap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ddition to the dedicated app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function, the realistic content output function, etc. may be performed through a website provided on the server.

이와 같이,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realistic virtual training that reflects various field situations can be provided to police officers dispatched to the field.

또한, 이와 같이, 법집행 공정성,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 역량 모델을 근거로 다양한 상황별로 학습자가 수행하는 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created in consideration of law enforcement fairness,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job sincerity,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etc., the content performed by the learner is evaluated and evaluated in various situations. Results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을 도 1 내지 도 4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alistic virtual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9.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60)는 해당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메타버스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훈련 내용 중 어느 하나의 훈련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훈련 내용 선택 메뉴(또는 항목/버튼), 선택된 훈련 내용에 대응하는 훈련 시나리오와 관련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작 메뉴,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훈련 내용은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흉기난동 대응 메뉴, 집단폭력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집단폭력 대응 메뉴, 치매노인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치매노인 보호조치 메뉴, 정신질환자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정신질환자 보호조치 메뉴, 집회시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집회시위 대응 메뉴, 가정폭력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가정폭력 조치 메뉴, 주취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주취난동자 보호조치 메뉴, 살인사건 현장에 대한 초동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살인현장 초동조치 메뉴, 자살기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자살기도 대처요령 메뉴,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 방법을 훈련하기 위한 성폭력 피해자 조사 메뉴 등을 포함하며, 디폴트로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 훈련을 위해서 흉기난동 대응 메뉴가 선택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HMD(Head Mounted Display), 구글 글래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동일 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훈련 내용(또는 훈련 과정)에 따라, 동일한 실감 콘텐츠를 복수의 훈련자가 각각 착용(또는 소지/보유) 중인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훈련 과정 중 서로 다른 실감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훈련자가 각각 착용 중인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60 executes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and displays an app execution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edicated app on the display unit 140. At this time, the app execution result scree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metaverse, etc., and a training content selection menu (or item/ button), a start menu to provide realistic content related to the training scenario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raining content, and a settings menu to set dedicated app functions. Here, the plurality of training contents includes a weapon attack response menu to train response to a weapon rampage, a group violence response menu to train response to group violence, and protection measur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train measures to take against the elderly with dementia. Menu, menu of protective measures for mentally ill people, menu of protective measures for mentally ill people, menu of response to protests, menu of response to protests, menu of measures to protect people with mental illness, menu of measures of domestic violence for training in measures of measures against domestic violence, menu of protective measures for drunk people. Menu of protective measures for drunken rioters, menu of first action at a murder scene to train first action at a murder scene, menu of how to respond to a suicide attempt to train on response to a suicide attempt, and menu of investigation methods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It includes a sexual violence victim investigation menu for training, and by default, the knife attack response menu may be selected for training in response to a knife attack. 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140 may be a Head Mounted Display (HMD), Google Glass, a wearable display, etc. Here, when there are multiple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same training,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display unit ( 140) and/or control th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50, or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trainers wearing different realistic content during the training process. You can also control each output through .

이때, 사전에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훈련자(또는 학습자)의 고유 아이디(또는 고유 코드), 해당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 로그인 절차(또는 훈련자 정보 입력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전용 앱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자가 패용(또는 착용/소지) 중인 신분증에 구성된 RFID 또는 NFC를 통해 해당 훈련자의 고유 아이디 등을 인식하여, 상기 전용 앱 실행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ogin procedure (or the trainee information input procedure) when running the dedicated app using the unique ID (or unique code) of the trainer (or learner) to perform training in advance, a barcode or QR code containing the ID, etc. By performing , one or more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dedicated app (including, for example, realistic virtual training functions, etc.)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trainee's unique ID can be recognized through RFID or NFC configured on the ID card the trainee is wearing (or wearing/possessing), and a login procedure can be performed when the dedicated app is run.

또한,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상기 시작 메뉴(또는 항목/버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는 준비 단계, 대처 단계, 사후조치 단계, 평가 수행 단계, 평가결과 제공 단계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start menu (or item/button) is selected on the app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according to user selection (or user input/touch/control) through the input unit 130, The control unit 160 randomly selects one training scenario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related to a weapon attack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Here, the training scenario includes a preparation stage, a response stage, a follow-up stage, an evaluation performance stage, an evaluation result provision stage, etc.

일 예로, 제 1 제어부(160)는 해당 제 1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현장경찰관 실감형 가상훈련 전용 앱을 실행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경찰관 실감형 가상훈련 전용 앱에 따른 증강현실 형태의 앱 실행 결과 화면(900)을 제 1 훈련자(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 000001, 홍길동) 및 제 2 훈련자(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 000007, 장발장)가 각각 착용 중인 HMD 형태의 제 1 표시부(140) 및 제 2 표시부(140)에 각각 표시하고, 해당 앱 실행 결과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 1 훈련자 및 상기 제 2 훈련자가 각각 착용 중인 제 1 음성 출력부(150) 및 제 2 음성 출력부(150)에 각각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훈련자 및 제 2 훈련자는 협업에 의해 특정 현장 상황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고자 하는 훈련자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160 executes an app dedicated to on-site police officer realistic virtual training pre-installed on the first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00, and, as shown in FIG. 9, provides on-site police officer realistic virtual training. The app execution result screen 900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dedicated app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HMD worn by the first trainer (for example, unique ID 000001, Hong Gil-dong) and the second trainee (for example, unique ID 000007, Jean Valjean). The first audio output unit 15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4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40, respectively, and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 execution result screen is worn by the first trainer and the second trainer, respectively. and output to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15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trainer and the second trainer may be trainers who want to train to respond to a specific field situation through collaboration.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제 1 입력부(130)에 포함된 양손에 쥐고 있는 제 1 조이스틱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형태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앱 실행 결과 화면(900) 중에서 상기 시작 메뉴(910)를 선택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제 1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제 3 훈련 시나리오(예를 들어 1명의 음주 상태의 난동행위자가 1명의 피해자에게 경미한 부상을 입힌 상태에서, 유리병을 든 채로 위협하고 있는 시나리오)를 선택한다(S810).In addition, the start menu 910 is selected from the app execution result screen 9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in both hands included in the first input unit 130. ),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a third training scenario (for example, one drunken rioter inflicts a minor injury on one victim)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related to a violent attack with a weapon pre-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20. Select the scenario where the person is injured and is threatening while holding a glass bottle (S81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경찰차 차량 내부 화면 영역, 흉기난동 현장 입구/주변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신고 접수에 따른 신고 접수 내용(또는 신고 녹취록) 출력 정보(또는 데이터/상황 정보),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 등의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고 접수 내용 출력 정보는 서버(미도시)(또는 112 치안종합상황실)에서 경찰차(또는 순찰차)로 집단폭력 사건 신고가 발생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112 치안종합상황실에서 전달해준 신고녹취록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는 신고 접수 내용 이해에 따라 학습자가 정확한 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또는 판단)하기 위해서, 신고 접수 내용 이해 정보(또는 신고 접수 내용 이해 정보/항목)(예를 들어 신고자에게 연락 등 포함), 신고자 연락에 따라 학습자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상황 정보 수집을 위한 정보(또는 신고자에게 연락 항목)(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상태, 난동행위자 인원, 흉기소지 여부, 흉기 종류, 피해자 부상 정도, 현장의 정확한 위치, 현장의 밀집도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는 파악된 현장 상황 정보에 따른 현장 상황 종합 정리 정보(예를 들어 흉기난동, 피해자 있음, 피해자 없음, 난동행위자 1명, 다수의 난동행위자 등 포함), 흉기난동 대응에 필요한 업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상황 종합 정리 정보에 대응하는 현장 업무 계획 정보(예를 들어 신분고지, 행위자 제압, 피해자 구조, 행위자 체포 및 수색, 피해 조사, 증거확보, 증원인력 도착 확인, 가/피해자 분리, 블랙박스 작동확인 등 포함), 동료와 함께 처리해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학습자 역할 분담 정보(예를 들어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는 현장 도착 시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현장 도착 상황 보고 여부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112 치안종합상황실 보고 정보, 현장 진입 전 증원 인력이 도착했는지 여부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증원 인력 도착 확인 정보, 안전을 위해 흉기난동 상황 대응 전 안전장비 착용 필요성을 알고 어떤 장비를 착용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 장구 착용 정보(또는 방검 장비 착용 정보)(예를 들어 방검복, 안전 장갑, 방패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preparation stage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preparation stage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audio output unit 150. . Here, the realistic content in the preparation stage includes a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screen area inside the police car vehicle, an entrance/surrounding area at the scene of a knife attack, a system message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display area for option option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etc. Multiple sub-training situations (or multiple sub-training situations) such as report reception content (or report transcript) output information (or data/situation information), dispatch and on-site situ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sit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information, and preparation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site.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At this time, the above report reception content output information indicates that a group violence incident has been reported from the server (not shown) (or 112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to a police car (or patrol car), and is included in the report transcript delivered from the 112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Includes information about In addition, the above information on dispatch and on-site situation is used to check (or determine) whether the learner knows what to do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on-site situa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port received. Information on understanding the report received (or report received) Information/item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including, for example, contacting the reporter, etc.), information for collecting on-site situ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learner knows what to check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on-site situation according to the reporter's contact (or contact items to the reporter) (including, for example, the status of the disorderly person, the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the disorderly conduct, whether or not a weapon is possessed, the type of weapon, the extent of the victim's injuries, the exact location of the scene, the density of the scene, etc.), etc. In addition, the above on-site response plan establishment information includes comprehensive summary information on the on-site situa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ed on-site situation information (e.g., weapon rampage, victim present, no victim, 1 disorderly person, multiple disorderly persons, etc.), response to a weapon rampag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necessary work is accurately understood, field work plan information (e.g., identification, suppression of the actor, rescue of the victim, arrest and search of the actor, investigation of damage, securing of evidence, arrival of reinforcements) corresponding to comprehensive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eld situation Confirmation, separation of offender/victim, black box operation check, etc.), and learner role alloc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learner knows what tasks need to be handled with colleagues (e.g., apprehending the actor and blocking risk factors, rescuing the victim) and damage investigation, etc.). In addition, the preparation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scene is used to check whether the 112 General Security Situation Room reports information on arrival at the scene upon arrival at the scene and whether reinforcements have arrived before entering the scene. In order to confirm the arrival of reinforcement personnel, information on wearing safety equipment (or information on wearing safety equipment) to ensure that people know the need to wear safety equipment and what equipment to wear before responding to a knife attack situation for safety (e.g. (including bulletproof clothing, safety gloves, shields, etc.)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a plurality of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in the preparation stage according to user input (or user selection/touch/control/rea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30.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input values are received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or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for each trainer for evaluation of each trainer.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준비 단계와 관련해서,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In this way, in relation to the preparation stage included in the training scenario, content related to a plurality of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of the preparation stage is output, and each sub-training situation is classified by a plurality of trainer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sponse accordingly. Multiple input values can each be received (or collected).

일 예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3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제 1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확인하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제 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000) 및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100)를 상기 제 1 훈련자와 관련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훈련자와 관련한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주점 흉기난동과 관련해서 112 치안종합상황실(또는 신고센터)에서의 신고 접수 상태와 관련한 콘텐츠(예를 들어 무전기 선택 시 112 치안종합상황실 코멘트 및 코멘트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포함하고(또는 나타내고), 상기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신고자의 신고 접수 내용(또는 신고 녹취록)과 관련한 콘텐츠(예를 들어 무전기 선택 시 신고 접수 내용에 대응하는 텍스트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000) 및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100)의 좌측 일측에 표시되는 사람 모양의 아이콘은, 사람 수가 한 명인 경우 훈련자별로 수행해야 할 업무가 나눠졌을 때 훈련자 중 한 명이 선택할 수 있는 인터랙션을 나타내고, 사람 수가 두 명인 경우 2명의 훈련자가 각각 선택할 수 있는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 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의 출력이 종료된 후,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특정 객체(예를 들어 무전기 아이템)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As an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checks the first preparation stage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preparation stage among the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hird training scenario, and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000 and the 1-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100 included in the first preparation stage realistic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voice related to the first trainer. It is output through an output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related to the second trainer,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s content related to the status of reporting at the 112 General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or reporting center) in relation to the bar attack with a weapon (for example, when selecting a radio, 112 General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comments and comments) includes (or represents)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and the 1-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s content related to the reporter's report receipt (or report transcript) (e.g., text corresponding to the report receipt when selecting a walkie-talkie) and voi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erson-shaped icon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000 and the 1-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100 indicates the tasks to be performed by each trainer when there is only one person. When divided, it represents an interaction that one of the trainees can select, and when there are two people, it represents an interaction that each of the two trainers can select. At this time, after the output of the 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s terminated,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or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When a specific object (for example, a radio item) being displayed is selected, the first control unit displays the 1-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Each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또한, 상기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100)의 출력이 종료된 후,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신고 접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한 상태로 정확한 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할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2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신고자 연락 항목, 112 치안종합상황실 연락 항목(또는 112 치안종합상황실 연락 항목), 소속 지역관서에 연락 항목, 주변 순찰차에 무전 항목, 추가 연락 불필요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에 상기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또는 상기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등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output of the 1-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100 is terminated, the first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ccurate on-site situation with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properly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report received.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trainee knows what to do for the training,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display and the first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200 containing information that the trainee must perform in the next state. They are output through the first audio output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include reporter contact items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112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contact items (or 112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contact items), and affiliated local government office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Includes contact items, radio items to nearby patrol cars, and items that require no additional contact.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or text included in the 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 the sub-training situation-specific option display area.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200)에서 신고자 연락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신고자 연락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reporter contact item is selected from the 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2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first control unit contacts the selected reporter. The 000001-1-3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items, etc.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200)에서 상황실 연락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상황실 연락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situation room contact item is selected from the 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2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selected situation room contact The 000007-1-3 sub-training input value containing items, etc. is received.

이때, 상기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200) 중에서 오답에 해당하는 상기 112 치안종합상황실 연락 항목, 소속 지역관서에 연락 항목, 주변 순찰차에 무전 항목, 추가 연락 불필요 항목 등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현재 단계에서의 학습자의 올바른 대응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n incorrect answer is selected from the 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200, such as the 112 General Public Safety Situation Room contact item, the contact item to the affiliated local government office, the radio item to a nearby patrol car, and the item that requires no additional contact, The first control unit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s correct response plan at the current stag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신고자 연락 항목과 관련해서 해당 신고와의 통화에 따라 학습자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현장과 관련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3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현장에서의 난동행위자 및 피해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행위자 상태 항목, 난동행위자 인원 항목, 흉기소지 여부 항목, 흉기 종류 항목, 피해자 부상 정도 항목, 난동행위자의 성별 항목, 피해자의 성별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learner knows what to check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on-site situation according to the call with the reporter in relation to the selected reporter contact item and provides situa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te. In order to collect, as shown in FIG. 13, the 1-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3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first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300. 2 ar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1-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include a disorderly person status item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 number of disorderly persons item, a weapon possession item, and a weapon type item in order to check the status of the rioter and the victim at the scene. , includes items such as the degree of injury to the victim, the gender of the rioter, and the gender of the victim.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300)에서 제 1 난동행위자 상태(예를 들어 음주), 제 1 난동행위자 인원(예를 들어 1명), 제 1 흉기소지 여부(예를 들어 유리병 소지), 제 1 흉기 종류(예를 들어 유리병), 제 1 피해자 부상 정도(예를 들어 경미한 부상)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4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isorderly person state (for example, drunk) in the 1-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3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number of first violent offenders (e.g. 1 person), possession of the first weapon (e.g. possession of a glass bottle), type of first weapon (e.g. glass bottle), degree of injury to the first victim (e.g. minor injuries) ) and receives the 000001-1-4 sub-training input value.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300)에서 제 1 난동행위자 상태(예를 들어 음주), 제 1 난동행위자 인원(예를 들어 1명), 제 1 흉기소지 여부(예를 들어 유리병 소지), 제 1 흉기 종류(예를 들어 유리병), 제 1 피해자 부상 정도(예를 들어 경미한 부상)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4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state of the first disorderly person (for example, drunk) in the 1-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3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number of first violent offenders (e.g. 1 person), possession of the first weapon (e.g. possession of a glass bottle), type of first weapon (e.g. glass bottle), degree of injury to the first victim (e.g. minor injuries) ) and receives the 000007-1-4 sub-training input value.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현장 상태를 제대로 파악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현장 상황 파악을 위해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4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흉기난동 항목, 자해 항목, 피해자 있음 항목, 피해자 없음 항목, 난동행위자 1명 항목, 다수의 난동행위자 항목, 추가 증원 요청 필요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re properly aware of the field situation and knows what to check to understand the field situation, as shown in Figure 14. As shown, the 1-5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400 includ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voice output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voice. Each output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Here, the 1-5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include a weapon rampage item, self-harm item, victim present item, no victim item, one violent offender item, and multiple items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Includes items such as disorderly conductors and items requiring additional reinforcement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400)에서 흉기 난동 항목, 피해자 있음 항목, 난동행위자 1명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a violent weapon item, a victim, and one violent offender from the 1-5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4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000001-1-5 sub-training input value containing items, etc.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400)에서 흉기 난동 항목, 피해자 있음 항목, 난동행위자 1명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a weapon rampage item, a victim present item, and one violent offender from the 1-5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4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Receive the 000007-1-5 sub-training input including items,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파악한 현장 상태에 따라 해당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또는 현장 업무 계획 정보)을 포함하는 제 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5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 장구 착용 항목, 신분고지 항목, 행위자 제압 항목, 피해자 구조 항목, 피해 조사 항목, 증거확보 항목, 증원인력 도착 확인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블랙박스 작동확인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at the first control unit needs to do to respon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identified by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s shown in FIG. 15, the trainer must perform in the following state. The 1-6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500 including to-do information (or field work plan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Here, the 1-6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include safety gear wearing items, identification items, actor suppression items, victim rescue items, damage investigation items, evidence securing items, and confirmation of arrival of reinforcement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s. It includes items such as separation of victims/victims, items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black box,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500)에서 안전 장구 착용 항목, 신분고지 항목, 행위자 제압 항목, 피해자 구조 항목, 피해자 조사 항목, 증거확보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블랙박스 작동확인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safety gear wearing items, identity notification items, and actor suppression items from the 1-6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5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 receives sub-training input values 000001-1-6, including victim rescue items, victim investigation items, evidence securing items, victim/victim separation items, black box operation confirmation items,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500)에서 신분고지 항목, 행위자 제압 항목, 피해자 구조 항목, 피해자 조사 항목, 증거확보 항목, 블랙박스 작동확인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identity notification item, actor suppression item, victim rescue item, The 000007-1-6 sub-training input value, which includes victim investigation items, evidence securing items, black box operation confirmation items, etc.,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훈련에 참여 중인 제 1 학습자와 제 2 학습자에 대한 역할 분담을 위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별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제 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6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별 역할 분담을 위해서,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항목,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llocate roles to the first and second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1-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600) to select a role for each learner, as shown in FIG. 16. )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1-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include items such as apprehension of actors and blocking risk factors, rescue of victims, and damage investigation items, etc. for role allocation for each trainer.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600)에서 제 1 학습자 선택에 의한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7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arrests the actor and blocks risk factors by selecting the first learner in the 1-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6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000001-1-7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items, etc.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600)에서 제 2 학습자 선택에 의한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항목 등을 포함하는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7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victim rescue and damage investigation items selected by the second learner in the 1-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6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Receive the 000007-1-7th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현장 진입 전 준비해야 할 일들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7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112 치안종합상황실 보고 항목, 증원 인력 도착 확인 항목, 방검 장비 착용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re aware of the tasks to be prepared before entering the field, the first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17, provides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following state. The 1-8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700 including the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1-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include 112 General Security Situation Room reporting items, reinforcement personnel arrival confirmation items, anti-attack equipment wearing items,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s.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700)에서의 112 치안종합상황실 보고 항목(1710)이 선택될 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현장 도착, 현장 진입 등에 따른 상황을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보고하기 위한 제 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8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현장 도착, 현장 진입 등에 따른 실시간 상황을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보고하기 위한 무전기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1-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700 being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or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When the 112 General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report item 1710 in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8, the first control unit is used to report the situation according to arrival at the scene, entry into the scene, etc. to the 112 General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8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1-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radio items to report real-time situations to the 112 General Public Safety Situation Room,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rrival at the scene, entry into the scene,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do.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700)에서의 증원 인력 도착 확인 항목(1720)이 선택될 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현장 도착, 현장 진입 등에 따른 증원 인력의 도착 상태를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확인하기 위한 제 1-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9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현장 도착, 현장 진입 등에 따른 증원 인력의 도착 여부, 도착 예정 시각 등을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확인하기 위한 무전기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1-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700 being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or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When the confirmation item 1720 for the arrival of reinforcement personnel in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9, the first control unit sets a system to check the arrival status of reinforcement personnel according to arrival at the scene, entry into the scene, etc. to the 112 General Public Security Situation Room. 1-1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9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1-1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include arrival at the scene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rrival of reinforcements due to entering the scene, etc., and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112 General Public Safety Situation Room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Includes radio items to check.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700)에서의 방검 장비 착용 항목(1730)이 선택될 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안전을 위해 흉기난동 상황 대응 전 안전장비 착용 필요성을 알고, 어떤 장비를 착용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복수의 안전 장구 항목을 포함하는 제 1-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0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방패 항목, 방검복 항목, 안전장갑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1-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1700 being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or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When the item 1730 to wear safety equipment is selected,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control unit knows the need to wear safety equipment before responding to a knife attack situation for safety, and knows what equipment to wear.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1-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000 including a plurality of safety equipment items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Print each. Here, the 1-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shield items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bulletproof clothing items, safety gloves items,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000)에서 방패 항목, 방검복 항목, 안전장갑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1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shield item, bulletproof clothing item, safety glove item, etc. in the 1-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0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sub-training input value containing 000001-1-11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000)에서 방패 항목, 방검복 항목, 안전장갑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1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S820).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shield item, bulletproof clothing item, safety glove item, etc. in the 1-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0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sub-training input value containing 000007-1-11 is received (S82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처 단계에 대응하는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흉기 난동 발생 장소 화면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 물리력 대응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 난동현장 조치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 피해자 이송 정보, 피해자 인계 정보, 주변 조사 정보 등의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는 위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거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 장소에서의 위험 요소 차단 정보(예를 들어 깨진 술병, 가위, 프라이팬 등 포함), 도주로 차단 필요성을 알고 적합한 자리/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경찰관의 안전을 위한 안전거리 확보 필요성을 알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거리를 고려한 난동행위자에게 접근하기 위한 정보(또는 난동행위자에 접근 정보)(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앞, 난동행위자 옆 등 포함), 필요한 고지 사항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신분 및 촬영 고지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 난동행위 중단 경고의 필요성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행동(또는 난동)에 따른 난동행위 중단 경고를 위한 정보, 흉기를 버릴 것을 경고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흉기 소지 시 흉기 버릴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는 난동행위자의 상태, 저항 수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상황 및 현장 상황 판단 정보(예를 들어 행위자 상태, 난동 상황, 위험물 소지 여부, 음주, 흥분 상태, 가/피해자 분리, 가/피해자 미분리 등 포함), 부적절/불필요하거나 난동행위자를 도발하지 않고 난동행위자를 미리 설정된 '순응' 상태로 이끌어내기(또는 유도하기) 위한 상황과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행동(또는 난동)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 정보(예를 들어 행위 중단 설득, 행위 중단 경고, 무기 사용 고지, 총기 사용 고지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리력 대응 정보는 적합한 물리력 대응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범죄 종류, 대상자(또는 훈련자/경찰관) 수, 흉기 종류, 난동행위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 피해 상황, 저항 강도, 위해 급박성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저항 정도에 대한 정보(또는 난동행위자 저항 수준 파악 정보)(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순응, 소극적 저항, 적극적 저항, 폭력적 공격, 치명적 공격 등 포함), 학습자가 선택한 저항 정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저항 정도에 따른 물리력 행사 수단 선택 정보(예를 들어 대화, 삼단봉/방패, 가스분사기, 테이저건, 권총 등 포함), 적합한 신체 부위에 물리력을 사용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물리력 행사 정보(예를 들어 머리, 팔, 복부, 허벅지, 손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는 행위자 체포 정보,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권리 고지 정보, 난동행위자가 추가 위해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지를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수색 정보, 난동행위자 제압 후 난동행위자의 부상 여부 확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부상 확인 정보, 행위자 연행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동현장 조치 정보는 난동 현장 위험요소 차단 정보, 증거 사진/영상이 필요함을 알고 이를 확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 현장 촬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는 본인(또는 학습자)이 아닌 119 구조 대원이 피해자 부상 정도를 확인하게 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의 부상 정도(예를 들어 피해자가 부상을 입지 않음, 피해자가 경미한 부상을 입음, 피해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음 등 포함)에 따른 119 구조대원에게 피해자 부상 여부 확인 요청 정보(예를 들어 119 구조대원에 확인 요청 등 포함), 피해자에게 치료 필요 여부를 물어보았고, 피해자의 상태에 적합한 대처 방법을 결정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 병원 치료 여부 확인 정보(예를 들어 부상 없음, 경미한 부상, 심각한 부상 등 포함), 피해자 병원 치료 여부 정보(예를 들어 피해자 병원 치료 거절, 피해자 병원 치료 요청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해자 이송 정보는 피해자에게 피해 진술 절차와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 등으로의 이송 여부를 안내하고, 피해자가 진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병원 치료 거절 시,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 피해 진술 절차 안내, 진술 가능 상태 확인, 지구대 동행 안내, 피해자-가해자 분리하여 이송 등 포함), 피해자의 상태에 적합한 대처 방법을 결정하였고 피해자에게 병원으로 이송됨을 안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병원 치료 요청 시, 119에 피해자 인계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119에 피해자 인계, 피해자에게 119로 인계됨을 안내,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보고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해자 인계 정보는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시 피해 진술 절차 및 지구대 동행 안내 정보, 119에 피해자 인계시 피해자에게 병원 이송 안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변 조사 정보는 필요한 목격자 정보를 수집하고 추후 출석 및 증거자료 요구 가능성을 공지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목격자 정보 확보, 피해 상황 및 초기 발생 상황 관련 정보를 수집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조사, CCTV 확보 필요성을 인지하고 CCTV 자료를 확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증거확보 등을 포함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realistic content of a coping stage corresponding to a preset coping stage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do. Here, the realistic content in the response stage includes a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screen area where a violent attack occurs with a weapon, a system message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n option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provides access, notification, and risk to violent actors. Multiple information such as element blocking information, information on responding to rioters, information on responding to physical force, information on apprehension of the actor according to separation of learner roles, information on measures taken at the scene of the disorder, information on victim rescue according to separation of roles as learners, information on transporting victims, information on handing over victims, information on surrounding investigation, etc. Includes other sub-training situations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accessing, notifying, and blocking risk factors to the rioters includes information on blocking risk factors in the damaged area (including, for example, broken liquor bottles, scissors, frying pans, etc.) to ensure that the risk factors have been accurately identified and removed. Information to approach a disorderly person considering a safe distance (or access to a disorderly person) to determine whether the need to block escape routes is known and an appropriate spot/position can be selected, and the need to secure a safe distance for the safety of police officers is known and implemented. information) (including, for example, in front of a disorderly person, next to a disorderly person, etc.), information to guide identification and filming notices to ensure that they are accurately aware of the necessary notices, and to check whether they are aware of the need for a warning to stop disorderly conduct. For this purpose, it includes information to warn people to stop violent acts due to the actions (or riots) of rioters, information to warn people to throw away weapons when in possession of a weapon to check whether they are aware of the need to warn people to throw away weapons, etc.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responding to the disorderly person is information on the actor's situation and on-site situation judgment (e.g., state of the actor, disorderly situation, possession of dangerous substances, drunk , excited state, separation of victim/victim, non-separation of offender/victim, etc.), situations and language to bring (or induce) the disorderly person into a pre-set 'compliant' state without being inappropriate/unnecessary or provoking the disorderly person. In order to check whether a choice can be made, information on the learner's reaction according to the disorderly person's behavior (or disorder) (including, for example, persuasion to stop the behavior, warning to stop the behavior, notice of use of weapon, notice of use of firearm, etc.) is included. In addition, the physical force response information properly includes the type of crime, number of subjects (or trainers/police officers), type of weapon, physical and health status of the rioter, situation of damage, intensity of resistance, imminence of harm, etc.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method of responding to physical force.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learner understands the level of resistance of the disorderly person (or information on the level of resistance of the disorderly person) (e.g., including preset compliance, passive resistance, active resistance, violent attack, fatal attack, etc.), information selected by the learner In order to confirm whether you are accurately aware of the means of applying physical force that can be used at the level of resistance, information on the selection of means of using physical force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istance of the disorderly person (e.g., including conversation, baton/shield, gas spray, Taser gun, pistol, etc.) Information on the use of force (e.g., head, arms, abdomen, thighs, hands, etc.) is included to determine whether force was used on the appropriate body part. In addition, the actor arr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of learner roles includes actor arrest information, actor rights notic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Miranda principle has been notified, actor search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disorderly person is aware of whether he or she is in possession of additional dangerous item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need to check for injuries to the disorderly person after suppressing the disorderly person is recognized, information on confirming the disorderly person's injuries and information on the perpetrator's arrest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riot scene ac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blocking risk factors at the riot scene, and information on filming the riot scene to confirm that evidence photos/videos are necessary and have been secured. In addition, the victim rescu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of learner roles is based on the extent of the victim's injuries (e.g., the victim is not injured, the victim is We asked 119 rescuers to confirm whether the victim was injured (including whether the victim suffered minor injuries, the victim suffered serious injuries, etc.), asked the victim whether he or she needed treatment, and asked 119 rescuers to confirm whether the victim was injur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victim was treated at a hospital (e.g., no injuries, minor injuries, serious injuries, etc.), information on whether the victim was treated at a hospital (e.g., whether the victim refused hospital treatment, whether the victim was treated at a hospital) including requests for treatment, etc.). In addition, the above victim transport information guides the victim on the victim statement procedure and whether to transfer to a district post, police station, public order center, etc., and to check whether the victim is in a state capable of making a statement. If the victim refuses hospital treatment, to the district district. Information for transporting the victim (including, for example, transporting the victim to the local area, guidance on victim statement procedures, confirmation of the state of being able to make a statement, guidance on escorting the victim to the local area, transportation of the victim and perpetrator separately, etc.), a response method appropriate to the victim's condition was determined, and the victim was advised.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victim has been notified of being transferred to the hospital, when the victim requests hospital treatment, information for handing over the victim to 119 (e.g., handing over the victim to 119, informing the victim that the patient will be transferred to 119, including reporting to the 112 General Public Safety Situation Room, etc.) Includes. In addition, the victim handover information includes damage statement procedures and information on accompanying the victim when transferring the victim to the local police station, and hospital transport guidance to the victim when handing over the victim to 119. In addition, the above surrounding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used to collect necessary witness information and confirm whether the possibility of future attendance and request for evidence has been announced, to secure witness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mage situation and initial occurrence situation has been collected, to conduct damage investigation, CCTV, etc. This includes securing evidence in order to recognize the need for security and confirm whether CCTV data has been secure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다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a plurality of response steps corresponding to user input (or user selection/touch/control/rea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3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Different input values are received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or multiple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for each trainer for evaluation of each trainer.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대처 단계와 관련해서,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In this way, in relation to the coping step included in the training scenario, content relat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coping step realistic content is output, and sub-training situations for a plurality of trainer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sponse accordingly. Each can receive (or collect)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일 예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3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처 단계에 대응하는 제 2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확인하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제 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1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피해 현장에서의 위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거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깨진 술병 항목, 가위 항목, 프라이팬 항목, 티슈케이스 항목, 휴지통 항목 등을 포함한다.As an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checks the second action step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action step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hird training scenario, and, as shown in FIG. 21, the second action step. The 2-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100 included in the coping step realistic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2-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broken liquor bottle items, scissors items, frying pan items, tissue case items, and trash cans,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and remove risk factors at the damage site. Includes items,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100)에서 술병 항목, 가위 항목, 프라이팬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liquor bottle item, a scissors item, a frying pan item, etc. in the 2-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1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000001-2-1 sub-training input value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100)에서 술병 항목, 가위 항목, 프라이팬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liquor bottle item, a scissors item, a frying pan item, etc. in the 2-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1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000007-2-1 sub-training input value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도주로 차단 필요성을 알고, 적합한 자리를 선택(또는 선점)할 수 있고 경찰관의 안전을 위한 안전거리 확보 필요성을 알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가 이동할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2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가 위치할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 현장 내에서의 복수의 위치 영역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re aware of the need to block the escape route, can select (or occupy) an appropriate position, and are aware of the need to secure a safe distance for the safety of police officers and execute this. To confirm, as shown in FIG. 22, the 2-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200 including information for selecting a location to which the learner moves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first display unit. 2 ar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2-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 plurality of location areas within the damage site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select an area where the trainer will be locat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200)에서 제 1 위치(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옆)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position (for example, next to the disorderly person) in the 2-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2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000001-2-2 sub-training input value containing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200)에서 제 2 위치(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앞)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location (for example, in front of the disorderly person) in the 2-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2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000007-2-2 sub-training input value containing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필요한 고지 사항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3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신분고지 항목, 난동행위 중단경고 항목, 동영상 촬영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ccurately know the necessary notices, the first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23, controls the second learner includ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e in the next state. -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3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2-3 sub 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n identity notification item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 warning item to stop disorderly conduct, a video recording notification item,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300)에서 신분고지 항목, 난동행위 중단경고 항목, 동영상 촬영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identity notification item, disorderly conduct cessation warning item, and video recording in the 2-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3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000001-2-3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notice items, etc.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300)에서 신분고지 항목, 난동행위 중단경고 항목, 동영상 촬영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identity notification item, disorderly conduct cessation warning item, and video recording in the 2-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3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000007-2-3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notice items, etc.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난동행위자의 상황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4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음주 항목, 흥분 상태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가/피해자 미분리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ccurately know the situation of the disorderly person, the first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24,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following state. 2-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4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2-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 drinking item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n excited state item, a pro/victim separation item, and a pro/victim non-separation item,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400)에서 음주 항목, 흥분 상태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4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a drinking item, an excited state item, and a victim/victim separation item from the 2-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4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Receive the 000001-2-4th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400)에서 음주 항목, 흥분 상태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4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a drinking item, an excited state item, and a victim/victim separation item from the 2-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4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Receive the 000007-2-4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부적절/불필요하거나 난동행위자를 도발하지 않고 난동행위자를 '순응' 상태로 이끌어내기 위한 상황과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5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행위 중단 설득 항목, 행위 중단 경고 항목, 무기 사용 고지 항목, 총기 사용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s to check whether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can select the situation and language to bring the rioter into a 'compliant' state without being inappropriate/unnecessary or provoking the disorderly actor. As shown in Figure 25, the 2-5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5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first display unit. 2 Each is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Here, the 2-5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ction cessation persuasion items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ction cessation warning items, weapon use notification items, firearm use notification items,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500)에서 행위 중단 경고 항목, 무기 사용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n action cessation warning item, a weapon use notice item, etc. in the 2-5 sub training situation content 25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Receives the 000001-2-5 sub-training input value.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500)에서 행위 중단 경고 항목, 무기 사용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n action stop warning item, a weapon use notice item, etc. in the 2-5 sub training situation content 25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sub-training input value 000007-2-5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적합한 물리력 대응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범죄 종류, 경찰관 수, 흉기 종류, 난동행위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 피해 상황, 저항 강도, 위해 급박성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6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폭력적 공격 항목, 치명적 공격 항목, 적극적 저항 항목(또는 적극적 공격 항목), 소극적 저항 항목(또는 소극적 공격 항목), 순응 항목(또는 순응 상태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ype of crime, number of police officers, type of weapon, physical and health status of the rioter, situation of damage, intensity of resistance, and imminence of harm in order for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to select an appropriate physical force response method.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ollowing is properly understood, as shown in FIG. 26, the 2-6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6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e in the next stat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display unit 2600. 1 ar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2-6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violent attack items, fatal attack items, active resistance items (or active attack items), and passive resistance items (or passive aggression items), compliance items (or compliance status items),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600)에서 폭력적 공격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2-6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6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000001-2- including a violent attack item, etc. 6 Receive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600)에서 폭력적 공격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000007-2- including a violent attack item in the 2-6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6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6 Receive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파악한 저항 강도(또는 저항 정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7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대화 항목(또는 말로 설득 항목), 삼단봉/방패 항목, 가스분사기 항목, 테이저건 항목, 권총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irst control unit accurately knows the means of applying physical force that can be used at the resistance strength (or degree of resistance) identified by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s shown in FIG. 27, the following state 2-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7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2-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 dialogue item (or verbal persuasion item)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 baton/shield item, a gas spray item, a Taser gun item, and a pistol,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Includes items,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700)에서 삼단봉/방패 항목, 가스분사기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7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triple baton/shield item, a gas spray item, etc. in the 2-7 sub training situation content 27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000001-2-7 sub-training input value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700)에서 삼단봉/방패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7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000007-2 including a triple baton/shield item, etc. in the 2-7 sub training situation content 27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7 Receive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선택한 물리력 행사 수단을 이용해서 제대로 물리력을 행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8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물리력 행사 수단의 적절 위치 항목, 부적절 위치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앞서 단계에서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 중에서 안전 장구 항목을 선택하지 않은 학습자에 대해서는 부상을 입어 전체 학습 과정을 종료하는 화면(또는 콘텐츠)을 상기 제 1 표시부 및/또는 제 2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properly exercise physical force using the selected means of exercising physical force, the first control unit provides information that the trainer must perform in the following state, as shown in FIG. 28. The 2-8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8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2-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ppropriate location items and inappropriate location items of means of applying physical force to some areas of the body of the disorderly person,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unit displays a screen (or content) that terminates the entire learning process due to injury for the learner who did not select the safety equipment item among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in the previous step. Alternatively, it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800)에서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선택한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적용할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8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applies a physical force selected by the learner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disorderly person in the 2-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8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The 000001-2-8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pply the event means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800)에서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선택한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적용할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8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applies a physical force selected by the learner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disorderly person in the 2-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8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000007-2-8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pply the event means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앞서 제 1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항목에 따라, 해당 제 1 학습자가 난동행위자 체포와 관련한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행위자 체포 항목, 행위자 권리 고지 항목, 행위자 수색 항목, 행위자 부상 확인 항목, 행위자 연행 항목, 난동 현장 위험요소 차단 항목, 난동 현장 촬영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first learner accurately understand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arrest of disorderly persons according to the actor arrest and risk factor blocking items previously selected by the first learner, as shown in FIG. 29. As shown, the 2-9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9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e in the next state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Here, the 2-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ctor arrest items, actor rights notice items, actor search items, actor injury confirmation items, actor arrest items, and disorderly conduct,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Includes items such as blocking on-site risk factors and filming riot scen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의 행위자 체포 항목, 행위자 권리 고지 항목, 행위자 수색 항목, 행위자 부상 확인 항목, 행위자 연행 항목, 난동 현장 위험요소 차단 항목, 난동 현장 촬영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될 때,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추가 서브 훈련 상환 콘텐츠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actor arrest item, actor rights notification item, in the 2-9 sub training situation content 29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When any one of the actor search item, actor injury confirmation item, actor arrest item, riot scene risk factor blocking item, and riot scene photography item is selected, additional sub-training redemp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s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

즉,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의 행위자 체포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0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되는 수갑 아이템을 이용해서 난동행위자에 대한 체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That is, whe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the actor arrest item in the 2-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9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As shown in Figure 30, the 2-1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0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e in the next state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Here, the 2-1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items for arresting a disorderly person using handcuff items displayed on a screen contain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do.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000)에서의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선택한 수갑 아이템을 적용하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2-10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learner to select a part of the body of the rioter in the 2-1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0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Receives the 2-10th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information on applying the handcuff item select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난동행위자 체포 후,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행위자 권리 고지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1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미란다 원칙 내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arresting a disorderly person, the first control unit displays an actor's rights notice item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in the 2-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9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When selected, as shown in FIG. 31, the 2-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1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 Here, the 2-1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Miranda principle content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착용 중인 상기 제 1 입력부에 포함된 제 1 마이크를 통해 해당 제 1 훈련자의 미란다 원칙 고지 내용을 포함하는 제 2-1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receives the 2-11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Miranda principle notification of the first trainer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included in the first input unit worn by the first trainer.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미란다 원칙 고지 후,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행위자 수색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2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해당 난동행위자가 위해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notification of the Miranda principle,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an actor search item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in the 2-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9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When this happens, as shown in FIG. 32, the 2-12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2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e in the next state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Here, the 2-1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nd items to check whether the rioter is in possession of a dangerous object, etc., in order to check the trainee's next action.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200)에서의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선택한 위해 물건 소지 확인을 적용할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2-1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learner to select a part of the body of the rioter in the 2-1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2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Receives the 2-12th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pply confirmation of possession of the selected object.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난동행위자의 위해 물건 소지 여부 확인 후,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행위자 부상 확인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3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행위자의 부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와 관련한 360도 영상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checking whether the rioter possesses a harmful object, the first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is selected in the 2-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9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When the actor injury confirmation item is selected, as shown in FIG. 33, the 2-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3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voice. It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Here, the 2-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360-degree video items related to the disorderly person in order to check the trainee's next action,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nd whether the disorderly person is injur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300)에서의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부상 여부 확인을 적용할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2-1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learner to select a part of the body of the rioter in the 2-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3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Receives the 2-13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o which injury confirmation is appli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난동행위자의 부상 여부 확인 후,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행위자 연행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4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행위자의 일측에 해당 제 1 훈련자가 위치하여 연행하는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는 내용을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추가로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disorderly person is injured, the first control unit arrests the actor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in the 2-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29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When an item is selected, as shown in FIG. 34, the 2-14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4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voice output unit. Print out. Here, the 2-1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items in which the first trainer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rioter,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nd is taken to check the next action of the trainee.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unit may additionally output content notifying the Miranda Principles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난동행위자의 연행 후, 피해 현장에서의 위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거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5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깨진 술병 항목, 가위 항목, 프라이팬 항목, 티슈케이스 항목, 휴지통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trainer must perform in the following state, as shown in FIG. 35,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and remove risk factors at the scene of damage after the violent offender is arrested. The 2-15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5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Here, the 2-15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 broken liquor bottle item, a scissors item, a frying pan item, a tissue case item, a trash can item, etc.,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500)에서의 깨진 술병 항목, 가위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2-1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broken liquor bottle item, a scissors item, etc. in the 2-15 sub training situation content 35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Receives the 2-15th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위험 요소 제거 후, 피해 현장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6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 현장 내의 복수의 구역별로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36, in order to obtain image information about the damaged site after removing the risk element, provides a 2-16 sub-training situation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following state. Content 36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Here, the 2-16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items for filming a video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riot scene,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600)에서의 난동 현장 촬영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구역 등을 포함하는 제 2-1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one or more areas where riot scene photography is required in the 2-16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6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etc. The 2-16th sub-training input value containing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앞서 제 2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항목에 따라, 해당 제 2 학습자가 피해자 구조와 관련한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7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자의 부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주체를 선택하기 위해서 119 구급 대원 항목, 경찰 본인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s used to check whether the second learner accurately understands the contents related to victim rescue according to the victim rescue and damage investigation items previously selected by the second learner, as shown in FIG. 37. , the 2-17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7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e in the next state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Here, the 2-1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the 119 paramedic item, the police officer item,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and to select a subject to confirm the degree of injury of the victim,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clud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700)에서의 119 구급 대원 항목 또는 경찰 본인 항목이 선택될 때,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추가 서브 훈련 상환 콘텐츠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the 119 paramedic item or the police officer item in the 2-1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7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When selected, additional sub-training redemp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즉,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700)에서의 119 구급 대원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8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자의 부상 정도(예를 들어 부상을 입지 않음, 경미한 부상, 심각한 부상 등 포함)를 파악하고, 파악된 피해자의 부상 정도에 따라 추가로 병원 치료 의사를 물어보기 위한 항목, 병원 치료 의사를 물어보지 않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That is, whe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the 119 paramedic item in the 2-17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7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As shown in FIG. 38, the 2-18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8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e in the next state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Here, the 2-1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dentifies the victim's injury level (including, for example, no injury, minor injury, serious injury, etc.),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And,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identified victim's injuries, additional items include an item to ask about the doctor for hospital treatment and an item not to ask about the doctor for hospital treatment.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800)에서의 병원 치료 의사를 물어보기 위한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9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자의 병원 치료 여부에 따른 의사에 따라 후속 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119에 피해자 연계 항목, 피해자에게 119 인계 안내 항목, 상황실 보고 항목,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 항목, 피해자 귀가 조치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n item for asking about a doctor for hospital treatment in the 2-18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8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When selected, as shown in FIG. 39, the 2-19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9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 Here, the 2-1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victim linkage items to 119 to perform follow-up actions according to the doctor's doctor according to the victim's hospital treatment,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and the victim It includes 119 handover guidance items, situation room reporting items, victim transfer items to the district, and victim return home item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900)에서의 피해자의 의사에 따른 119에 피해자 연계 항목, 피해자에게 119 인계 안내 항목, 상황실 보고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2-19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links the victim to 119 according to the victim's intention in the 2-19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39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Receives 2-19 sub-training inputs including items, 119 handover guidance items to victims, situation room report items,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피해자 구조 후, 목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0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 현장을 목격한 목격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목격자 정보 확인 항목, 피해조사 항목, 증거 확보 항목, 창업 비용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eyewitness information after rescuing the victim, the first control unit generates the 2-20th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0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as shown in FIG. 40. It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Here, the 2-2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eyewitness information confirmation items, damage investigation item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an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witnesses who witnessed the scene of the riot,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cludes items such as securing evidence and start-up cost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000)에서의 목격자 정보 확인 항목이 선택될 때, 목격자와의 인터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그에 따른 목격자와의 인터뷰 진행 결과 등을 포함하는 제 2-20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a witness information confirmation item in the 2-2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0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2-20 sub-training input including output of additional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interview with the eyewitness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ith the eyewitness accordingly, etc. Receive a value.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목격자 정보 확인 후, 피해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000)에서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피해조사 항목이 선택될 때,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1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 상황 확인 항목, 흉기난동 초기 발생 상황 확인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confirming eyewitness informa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in the 2-2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0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o confirm the damage situation. Accordingly, when a damage investigation item is selected, as shown in FIG. 41, the 2-2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1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voice. It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Here, the 2-2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a damage situation confirmation item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n initial occurrence situation confirmation item of a weapon attack,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100)에서의 피해 상황 확인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2-2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damage situation confirmation item in the 2-2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1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2-21 Receive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피해 상황 확인 후,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000)에서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증거확보 항목이 선택될 때,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2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해당 난동 현장을 관리 중인 관리자에게 CCTV 촬영 여부를 확인하고, CCTV 자료를 입수하기 위해서, 목격자 정보 확인 항목, 피해조사 항목, 증거 확보 항목, 창업 비용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confirming the damage situatio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in the 2-20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0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order to secure evidence. When the evidence securing item is selected, as shown in FIG. 42, the 2-2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200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rainer in the next stat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voice output. Output through department. Here, the 2-2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s used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to check whether CCTV is being filmed by the manager managing the scene of the riot,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and to obtain CCTV data, and to obtain CCTV data. It includes information confirmation items, damage investigation items, evidence securing items, and start-up cost item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200)에서의 증거 확보 항목이 선택될 때, 주점 내부에 구성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제 2 훈련자가 착용 중인 상기 제 2 입력부에 포함된 제 2 마이크를 통해 해당 제 2 훈련자의 CCTV 촬영 여부 확인 코멘트, CCTV 자료 입수를 위한 코멘트 등을 포함하는 제 2-2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S830).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rol unit selects the evidence securing item in the 2-2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2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the main point A process of collecting evidence about video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n internally configured CCTV, a comment confirming whether the second trainee was filmed on the CCTV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included in the second input unit worn by the second trainer, and CCTV data. The 2-22nd sub-training input value including comments for acquisition, etc. is received (S83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후조치 단계에 대응하는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흉기 난동 발생 장소 화면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상황 종료를 보고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건 종결에 따른 발생보고 정보, 상황 종료 후 어떤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보고서 작성 정보(예를 들어 물리력 사용 보고서, 경찰 사용 장구 보고서, 현행범 체포서, 범죄신고 접수대장, 사건발생 검거보고 등 포함) 등의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생보고 정보는 촬영된 난동 현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수집된 증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고서 작성 정보는 난동 현장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형식의 하나 이상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60 displays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with post-action stage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post-action stage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output through Here, the realistic content in the post-action stage includes a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screen area where a weapon attack occurred, a system message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n option display area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the situation is terminated at the 112 General Public Safety Situation Room. In order to check whether you have reported the incident repor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e incident, report prepar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you know what report to write after the situation is over (e.g. report on use of physical force, report on police equipment used, active criminal arrest report, crime report) It includes multiple other sub-training situations (or multiple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such as reception desk, incident arrest report, etc. At this time, the occurrence report information includes video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lmed riot scene, collected evidence, etc. Additionally, the report wri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writing one or more reports in a preset format related to the scene of the riot.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other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ost-action stage realistic content according to user input (or user selection/touch/control/rea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30.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are received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or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for each trainer for evaluation of each trainer.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해서,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In this way, in relation to the post-action stage included in the training scenario, content relat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sub-training situations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of the post-action stage is output, and training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iner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sponse accordingly.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can be received (or collected)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일 예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3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후조치 단계에 대응하는 제 3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확인하고,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제 3-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3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3-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고, 피해 현장과 관련해서 사건 종결을 위해 필요한 보고를 선택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발생보고 항목, 보고서 작성 항목, 훈련 종료 항목, 목격자 지구대 이송 항목 등을 포함한다.As an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checks the third post-action stage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eset post-action stage among the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hird training scenario, and, as shown in FIG. 43, In the third follow-up step, the 3-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300 included in the realistic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 Here, the 3-1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occurrence report items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report writing items, Includes items such as completion of training, transfer of witnesses to the emergency team,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200)에서 발생보고 항목이 선택될 때,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4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3-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 현장에서의 사건 처리 종료를 위해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보고하기 위한 현장 종결 보고 항목, 발생보고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3-1 sub-training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or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When an occurrence report item is selected in the situation content 4200, as shown in FIG. 44, the 3-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40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output through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3-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ncludes field closure report items and occurrences to report to the 112 General Public Safety Situation Room to terminate incident handling at the scene of a riot,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Includes reporting items,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400)에서 현장 종결 보고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3-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000001-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4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including field termination report items, etc. -2 Receive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400)에서 현장 종결 보고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3-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000007-3 including a field completion report item in the 3-2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4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2 Receive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200)에서 보고서 작성 항목이 선택될 때,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5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3-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고 상황 종료 후 작성해야 하는 보고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 상황에 대해서 전반적인 보고서 작성을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3-1 sub-training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or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When a report writing item is selected in the situation content 4200, as shown in FIG. 45, the 3-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50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output through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Here, the 3-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is an item for writing an overall report on the disorderly situation, including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in order to confirm the trainee's next action and what report should be written after the situation is over. Includes etc.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500)에서 보고서 종류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3-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3-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500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the first joystick held by the first trainer, 000001-3- including a report type item, etc. 3 Receive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500)에서 보고서 종류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3-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000007-3- including report type items in the 3-3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500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the second joystick held by the second trainer. 3 Receive sub-training input values.

또한,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전체 훈련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3-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6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S840).In addition, as shown in FIG. 46, the first control unit displays the 3-4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 4600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ntire training has been completed to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voice output unit, and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They are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S84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항목별 행동지표,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등 포함) 등을 근거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항목별 행동지표는 법집행 공정성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규범적 타당성, 사실적 실효성, 일관성 등 포함), 인권존중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권리보장, 안전보호, 긴급구조 등 포함), 현장에서 소통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전달, 수용, 배려 등 포함), 직무의 성실성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기초판단, 실행관리, 직무완수 등 포함), 동료와의 협업과 관련한 행동지표(예를 들어 업무분장, 자원공유, 화합단결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 결과는 해당 훈련을 수행한 복수의 훈련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팀에 대한 평가 결과이며, 총평, 훈련결과, 세부 훈련기록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총평(또는 전체 평가 결과/종합 평가 결과)은 복수의 훈련자명, 훈련 시나리오, 훈련 소요시간, 훈련 점수, 방사형 그래프 형태의 복수의 역량별 결과, 훈련 총평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훈련결과(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량별 결과)는 미리 설정된 5대 역량과 관련한 시민지향(예를 들어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등 포함), 업무지향(예를 들어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 포함), 통합(예를 들어 법집행 공정성 등 포함) 등의 훈련 방향에 대한 결과(예를 들어 상, 중, 하 등 포함), 세부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부 훈련기록은 복수의 훈련자명, 훈련 시나리오, 훈련 소요시간, 훈련 점수, 훈련일자 및 시각 정보,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강평 문항별 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강평 문항별 결과는 상기 복수의 훈련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 중에서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에 대응하여 입력된(또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 훈련 입력값을 근거로 미리 설정된 현장 대처 계획 수립 항목(또는 역할 분담 항목),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항목(또는 신분고지 및 상황설명 항목), 난동행위자 대처 항목(또는 물리력 행사 기준 적용 항목), 피해자 구조 항목(또는 피해자 부상 확인 요청 항목), 물리력 대응 평가 항목(또는 언어적 통제 항목/대상자 행위 수준 판단 및 물리력 행사 항목), 현장 진입 전 준비 항목(또는 보고 및 업무 분장 항목/안전 장구 착용 확인 항목) 등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이며, 사용자 입력값에 따른 정답 여부에 대한 정보, 관련된 법 조항(또는 코멘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강평은 작품이나 연기, 또는 실습 등에 대해 총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기능을 의미한다(또는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동일 항목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훈련자로부터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 경우, 먼저 입력된 입력값을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60 selects a preset behavior index for each item, an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e.g.,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sub-training Evaluation results for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re generated based on (including multiple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ituation). At this time, the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item include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law enforcement fairness (e.g., normative validity, factual effectiveness, consistency, etc.), and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respect for human rights (e.g., rights guarantee, safety protection, emergency rescue, etc.) (including),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communication in the field (including, for example, delivery, acceptance, consideration, etc.),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job sincerity (including, for example, basic judgment, execution management, job completion, etc.),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Includes behavioral indicators related to (e.g., division of duties, resource sharing, harmony and unity, etc.). Here, the evaluation result is an evaluation result of one team including a plurality of trainers who performed the training, and includes an overall evaluation, training results, detailed training records, etc. At this time, the overall evaluation (or overall evaluation result/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 includes multiple trainee names, training scenarios, training time, training scores, multiple competency-specific results in the form of a radial graph, and overall training evaluation. In addition, the above training results (or results for multiple pre-set competencies) are citizen-oriented (including, for example,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etc.) and work-oriented (for example, job sincerity, etc.) related to the five pre-set competencies. It includes results (including, for example, high, medium, low, etc.), detailed results, etc. for training directions such as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etc.), integration (including, for example, law enforcement fairness, etc.). In addition, the detailed training record includes a plurality of trainee names, training scenarios, training time, training scores, training date and time information, and results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critique ques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et critique items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trainers and correspond to one or more specific sub-training situation contents preset among input values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 Based on one or more specific sub-training inputs entered (or received), preset field response plan establishment items (or role division items), approaching disorderly persons, notification, and blocking risk factors (or identification notification and situation explanation) items), items for dealing with disorderly persons (or items for application of standards for use of physical force), items for rescuing victims (or items for requesting verification of victim injuries), items for evaluating response to physical force (or items for verbal control/judgment of the level of behavior of the target and use of physical force items), on-site It is the result of evaluating pre-entry preparation items (or reporting and job assignment items/confirmation of wearing safety gear), etc., and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according to user input, related legal provisions (or comments), etc. Here, the critique refers to (or represents) the function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evaluating a work, performance, or practice. 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input values from the plurality of trainers for the same item, the control unit 160 may use the input value input first as the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tem.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해당 복수의 훈련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팀에 대한 평가 결과 등을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평가 결과는 총평 항목(또는 총평 탭), 훈련결과 항목(또는 훈련결과 탭), 세부 훈련기록 항목(또는 세부 훈련기록 탭) 등으로 분류하여 표시되며, 각 항목(또는 탭)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세부 정보(예를 들어 총평, 훈련결과, 세부 훈련기록 등 포함)가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the evaluation results for one team including the plurality of trainers crea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and/or the audio output unit 150. At this time, the evaluation results are displayed by categorizing them into general evaluation items (or overall evaluation tab), training result items (or training results tab), detailed training record items (or detailed training record tab), etc., and each item (or tab) is selected. If available, detail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ncluding, for example, overall evaluation, training results, detailed training records, etc.) may be displayed.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현장경찰관의 법집행력 강화라는 가상현실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가상현실 학습 과정 중 발생한 학습자(또는 훈련자)의 주요 선택과 행위를 법령 또는 업무 매뉴얼에 근거하여 평가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 확인될 경우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고 현장 적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of strengthening the law enforcement ability of field police officers,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main choices and actions of the learner (or trainee) that occurred during the virtual reality learning process based on laws or work manuals. When evaluations are made and areas requiring improvement are identified, accurat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help learners learn on their own and apply them in the field.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제한된 가상환경을 통해 경찰의 업무의 가변성을 모두 표현하지 못하고 제한적으로 학습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반복 학습 시 발생할 수 있는 흥미 및 참여도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annot express all the variability of police work through a limited virtual environment and is designed to learn limitedly, so it can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the decrease in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at may occur during repetitive learning. there is.

일 예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별 행동지표, 상기 수신된 제 000001-1-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4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11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1 서브 훈련 입력값, 제 000001-2-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4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8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0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1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3-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3-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수신된 제 000007-1-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4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11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1 서브 훈련 입력값, 제 000007-2-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4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8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9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20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21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2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3-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3-3 서브 훈련 입력값 등을 근거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제 1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강평 문항에 대응하는 상기 제 000001-1-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11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11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8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8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1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9 서브 훈련 입력값 등을 근거로 제 1 세부 훈련기록(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강평 문항별 결과)을 생성한다.As an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reset behavior index for each item, the received 000001-1-3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1-4 sub-training input value, and the 000001-1-5 sub-training input value. 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1-6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1-7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1-11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1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2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3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4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5 sub-training input value, the The 000001-2-6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7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8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10th sub-training input value, and the 2-11th sub-training input value.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12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13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15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16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3 -2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3-3 sub-training input value, the received 000007-1-3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1-4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1 -5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1-6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1-7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1-11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1 sub-training input value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2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3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4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5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6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7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8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19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20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21st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22nd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3-2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3-3 sub-training input Based on the values, etc., a first evaluation result for each step of the training situation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000001-1-7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1-11 sub-training input value, and the 000007-1-7 sub-training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set critique items. value, the 000007-1-11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3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3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6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7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1-2-8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6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7th sub-training input value, the 000007-2-8 A first detailed training record (or a resul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et critique questions) based on the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11 sub-training input value, the 2-19 sub-training input value, etc. creates .

또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제 1 평가 결과에 포함된 제 1 훈련자(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 000001, 홍길동) 및 제 2 훈련자(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 000007, 장발장)와 관련한 제 1 총평(4700)을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7,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trainer (e.g., unique ID 000001, Hong Gil-dong) and the second trainer (e.g., unique ID 000007, etc.) included in the generated first evaluation result. The first general review 4700 related to Jean Valjean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1 평가 결과 중에서 훈련결과 항목(4710)이 선택될 때,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평가 결과에 포함된 제 1 훈련결과(48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training result item 4710 is selected from the first evaluation resul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48, the first control unit displays the first training result included i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48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1 평가 결과 중에서 세부 훈련기록 항목(4810)이 선택될 때,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평가 결과에 포함된 제 1 세부 훈련기록(4900)을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S850).In addition, when the detailed training record item 4810 is selected from the first evaluation resul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49,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etailed training record included i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training record 490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udio output unit, respectively (S85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하여, 현장 경찰관 등에 대한 법집행력을 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alistic virtual training reflecting various on-site situations for police officers dispatched to the scene, thereby strengthening law enforcement power for police officers on the sce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법집행 공정성,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 역량 모델을 근거로 다양한 상황별로 학습자가 수행하는 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여, 치안 현장 대응력 및 교육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훈련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learners to learn in various situations based on a competency model created in consideration of law enforcement fairness, respect for human rights, communication in the field, job sincerity,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etc. By evaluating what is being done and providing evaluation results, it is possible to increase security field response and training efficiency, and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ten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입력부
140: 표시부 150: 음성 출력부
160: 제어부
100: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1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20: storage unit 130: input unit
140: display unit 150: audio output unit
160: control unit

Claims (2)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 대처 단계 및 사후조치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및 미리 설정된 항목별 행동지표를 근거로 평가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평가 결과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경찰의 직무분류 및 성과평가와 교육훈련 체계를 바탕으로 현장경찰관의 직무를 분석하여 경찰의 역량을 분석하고, 경찰헌장과 경찰청장 취임사 및 경찰교육기관의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경찰 조직의 요구를 분석하고, 경찰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해 수집된 신문기사와 논문을 통해 시민의 요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경찰의 역량과 경찰 조직의 요구와 시민의 요구에 따라 현장 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서 인권존중 항목, 현장에서의 소통 항목, 직무의 성실성 항목,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법집행 공정성 항목을 설정하고, 5개의 현장 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 시민과 업무에 따른 지향점과 개인적인 차원과 집단적 차원으로 구분하며,
상기 인권존중 항목은, 시민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현장에서의 소통 항목은, 시민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고,
상기 직무의 성실성 항목은, 업무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 항목은, 업무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고,
상기 법집행 공정성 항목은, 시민과 업무 및 개인과 집단에 모두 작동할 뿐 아니라 현장 경찰관의 법집행력을 강화하는데 준거가 되는 통합적 역량이며,
상기 제어부는,
현장 경찰의 역량 파악을 위해서 상기 인권존중 항목, 상기 현장에서 소통 항목, 상기 직무의 성실성 항목, 상기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상기 법집행 공정성 항목에 따라 상기 항목별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항목별 행동지표, 상기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근거로 상기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A storage unit that stores multiple training scenarios related to weapon violence; and
Randomly select any one training scenario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and prepare realistic content and response corresponding to preset preparation stages, response stages, and follow-up stages among the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s. Stage realistic content and post-action stage Realistic content is controlled to be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udio output unit, and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preparation stage according to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response stage, and Controlling each trainer to receive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follow-up step, and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ceived for each trainer, An evaluation result is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preset behavioral index for each item, and the generated evaluation resul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voi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output through the unit,
The control unit,
Analyze the capabilities of the police by analyzing the duties of field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police's job classif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alyze the nee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based on the police charter, the police chief's inauguration speech, and the educational goals of police training institutions. , analyzing the demands of citizens through newspaper articles and papers collected o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olice, and respecting human rights for the core capabilities of field police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police analyzed above, the deman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demands of citizens. , the field communication items, job sincerity items, collaboration items with colleagues, and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s are set, and the five core competencies of field police officers are divided into citizen and work orientation, personal level, and collective level,
The above item of respect for human rights is a citizen-oriented individual competency,
The above communication items in the field are citizen-oriented group-level capabilities,
The above job sincerity item is a work-oriented individual competency,
The collaboration item with colleagues is a task-oriented group-level competency,
The above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 is an integrated competency that not only works for citizens, work, individuals, and groups, but also serves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law enforcement power of field police officers,
The control unit,
In order to determine the capabilities of police officers in the field,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item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above respect for human rights, on-site communication items, sincerity of duties,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and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s, and the derived Generating the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behavioral indicator for each item,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ceived,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어부에 의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 대처 단계 및 사후조치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및 미리 설정된 항목별 행동지표를 근거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평가 결과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경찰의 직무분류 및 성과평가와 교육훈련 체계를 바탕으로 현장경찰관의 직무를 분석하여 경찰의 역량을 분석하고, 경찰헌장과 경찰청장 취임사 및 경찰교육기관의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경찰 조직의 요구를 분석하고, 경찰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해 수집된 신문기사와 논문을 통해 시민의 요구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경찰의 역량과 경찰 조직의 요구와 시민의 요구에 따라 현장 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서 인권존중 항목, 현장에서의 소통 항목, 직무의 성실성 항목,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법집행 공정성 항목을 설정하고, 5개의 현장 경찰의 핵심 역량에 대해 시민과 업무에 따른 지향점과 개인적인 차원과 집단적 차원으로 구분하며,
상기 인권존중 항목은, 시민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현장에서의 소통 항목은, 시민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고,
상기 직무의 성실성 항목은, 업무지향의 개인차원 역량이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 항목은, 업무지향의 집단차원 역량이고,
상기 법집행 공정성 항목은, 시민과 업무 및 개인과 집단에 모두 작동할 뿐 아니라 현장 경찰관의 법집행력을 강화하는데 준거가 되는 통합적 역량이며,
상기 항목별 행동지표는,
현장 경찰의 역량 파악을 위해서 상기 인권존중 항목, 상기 현장에서 소통 항목, 상기 직무의 성실성 항목, 상기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상기 법집행 공정성 항목에 따라 도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
Randomly selecting, by the control unit, one training scenario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ining scenarios related to a weapon attack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By the control unit, preparation stage realistic content, response stage realistic content, and follow-up stage realistic content corresponding to preset preparation stages, response stages, and follow-up stages are generated among a plurality of step-by-step trai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enario. Controlling sequential output through a display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By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preparation step according to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coping step, and a sub-training situation related to the follow-up step. Controlling to receive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trainer;
Based on a plurality of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 plurality of other input values for each sub-training situation, and a preset behavioral index for each item. generating an evaluation result; and
A step of controlling, by the control unit, to output the generated evaluation result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The control unit,
Analyze the capabilities of the police by analyzing the duties of field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police's job classif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alyze the nee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based on the police charter, the police chief's inauguration speech, and the educational goals of police training institutions. , analyzing the needs of citizens through newspaper articles and papers collected o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olice, and the core capabilities of field police according to the analyzed capabilities of the police, the demands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demands of citizens,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 the field communication items, job sincerity items, collaboration items with colleagues, and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s are set, and the five core competencies of field police officers are divided into citizen and work orientation, personal level, and collective level,
The above item of respect for human rights is a citizen-oriented individual competency,
The above communication items in the field are citizen-oriented group-level capabilities,
The above job sincerity item is a work-oriented individual competency,
The collaboration item with colleagues is a task-oriented group-level competency,
The above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 is an integrated competency that not only works for citizens, work, individuals, and groups, but also serves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law enforcement power of field police officers,
The behavioral indicators for each item above are:
A realistic virtual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rived according to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item, the communication item at the scene, the sincerity of duty item, the collaboration item with colleagues, and the law enforcement fairness item in order to identify the capabilities of field police officers.
KR1020230003323A 2022-05-17 2023-01-10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KR202301613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323A KR20230161330A (en) 2022-05-17 2023-01-10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22 2022-05-17
KR1020230003323A KR20230161330A (en) 2022-05-17 2023-01-10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322 Division 2022-05-17 2022-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330A true KR20230161330A (en) 2023-11-27

Family

ID=8896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323A KR20230161330A (en) 2022-05-17 2023-01-10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33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90B1 (en) 2017-10-16 2020-06-01 ㈜유엔이 Disaster Countermeasures Training method capable to make training scene and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90B1 (en) 2017-10-16 2020-06-01 ㈜유엔이 Disaster Countermeasures Training method capable to make training scene and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gel Crisis management and emergency planning: preparing for today's challenges
Winton From zero tolerance to student success in Ontario, Canada
Coleman et al. Police interactions with persons with a mental illness: Police learning in the environment of contemporary policing
Louvar Reeves et al. School behavioral threat assessment and management
Railey et al. An exploration of law enforcement officers’ training needs and interactions with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Liu et al. Evolving best practices in crisis communication: Examining US higher education’s responses to the COVID-19 pandemic
Forber-Pratt et al. Trauma-informed care in schools: Perspectives from school resource officers and school security professionals dur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Mace et al. A new child protection strategy for Aboriginal communities in Western Australia
KR102459506B1 (en)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KR20230161330A (en)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KR20230160701A (en) 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Reuter et al. Special issue on human computer interaction in critical systems I: Citizen and volunteers
Dlamini et al. An investigation into campus safety and security
Hollywood et al. Real time crime centers in chicago
World Health Organization Risk communication strategy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in the WHO South-East Asia Region: 2019–2023
DeMar Next generation 9-1-1: policy implications of incident related imagery on the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Esposito et al. New York City Fire Department chief officer's evaluation of the citywide incident management system as it pertains to interagency emergency response
Mohaupt First-responders and emergency department healthcare provider interaction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A grounded theory study
Arble et al. Four fundamental principles to enhance police performance and community safety
Timmons Radio interoperability: addressing the real reasons we don't communicate well during emergencies
Ogbonna Mitigating situational disabilities in information systems for situational awareness in flood situation with universal design
Fennelly Security officers in the 21st century
Barton et al. An evaluation of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trauma informed multi-agency early action together (ACE TIME) training: National roll out to police and partners
Copple Law enforcement recruitment in the 21st century
Richardson Identifying Best Practices in the dissemination of intelligence to first responders in the fire and EMS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