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047A -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047A
KR20230161047A KR1020220060570A KR20220060570A KR20230161047A KR 20230161047 A KR20230161047 A KR 20230161047A KR 1020220060570 A KR1020220060570 A KR 1020220060570A KR 20220060570 A KR20220060570 A KR 20220060570A KR 20230161047 A KR20230161047 A KR 20230161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thoracic pressure
air
thoracic cavity
uni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한용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케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케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케어텍
Priority to KR102022006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047A/ko
Priority to PCT/KR2023/006656 priority patent/WO2023224376A1/ko
Publication of KR2023016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0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4Artificial pneumothorax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61B5/03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by means introduced into body 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allowing gas passage, but preventing liquid passage, e.g. liquophobic, hydrophobic, water-repellent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1Pleur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흉강에 삽입한 바늘로부터 흉강 내압을 측정하므로 간편하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흉강 내압 측정 및 확인이 가능하며 흉강 내압 조절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흉강 내압을 측정 및 확인하고 흉강 내압의 조절이 가능하여 현재 폐 상태 진단 및 기흉의 진단, 예방 또는 치료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Intrapleural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시간 흉강 내압 측정 및 확인이 가능하며 동시에 흉강 내압 조절이 가능하므로 흉강 내압 측정 및 조절과 기흉 진단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흉강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벽측 흉강과 장측 흉강 사이 공간으로서 흉강 내압은 흉강 내의 압력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흉강 내의 압력은 음압으로 알려진 대기압보다 약간 낮다.
기흉(pneumothorax)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강 내에 공기가 차게 되면 폐가 눌려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없는 질환으로서, 호흡 곤란과 가슴 통증의 증상이 나타난다. 기흉의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근본적인 예방법이 없으며, 폐질환이 없는 젊은 연령층에서도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할 수 있다.
기흉에는 기관, 기관지, 폐포와 같은 호흡기도가 파열돼 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는 밀폐 기흉(자연 기흉)과 흉벽에 생긴 외상성 상처를 통해 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는 개방성 기흉(외상성 기흉)이 있으며, 이중 밀폐 기흉(자연 기흉)이 더 흔하게 발생한다.
기흉의 진단은 현재 엑스레이(X-Ray) 영상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가슴 엑스선 검사에서 특징적인 공기 음영이 나타나며, 25% 이상의 폐허탈을 동반한 기흉에서는 청진상 호흡음이 감소되고 소실된다. 흉부 엑스선 사진에서 벽측 흉강과 장측 흉강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흉의 크기를 계산하기도 하며 기흉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가슴에 가는 흉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는 시술을 할 수 있다.
엑스레이(X-Ray) 영상을 이용한 기흉의 진단은 정지화상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공기가 새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응급 질환인 기흉은 진단 후 빠른 시술이 진행되어야 환자의 호흡 곤란과 가슴 통증을 완화하고 추가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간 흉강 내압 측정 및 조절이 가능하며 기흉 진단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흉강에 삽입한 바늘로부터 흉강 내압을 측정하므로 간편하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흉강 내압 측정 및 확인이 가능하며 흉강 내압 조절이 가능하므로 흉강 내압 측정 및 조절과 기흉 진단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조절 장치를 이용한 흉강 내압 조절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언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및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 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조절 장치는
흉강에 배치되는 흉강삽입부;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상기 측정된 흉강 내압의 데이터 수치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흉강삽입부는 주사바늘 및/또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내에서 벽측흉강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 흉강과 벽측 흉강 사이에 있는 흉강에 삽입되는 것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주사바늘 및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공기배출부는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며 이를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펌프에 의한 공기의 배출방향은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일방향이며 속도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공기배출부의 펌프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 본 발명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속도를 일정속도 범위로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적절한 속도로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경우 일정속도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일예로 배출속도는 50 내지 200 cc/min, 구체적으로는 85 내지 200 cc/min,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cc/min의 속도로 흉강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의 배출속도가 50 cc/min 미만일 경우 일예로 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에 비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너무 느려 긴장성 기흉 등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배출속도가 200 cc/min를 초과할 경우 흉강 내의 공기를 급격히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폐 조직 또는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압력측정부는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제어부는 흉강 내압의 데이터 수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압력측정부를 통해 흉강 내압을 최초 측정한 때 또는 최초 측정한 때로부터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해 흉강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안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과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출된 결과데이터를 바탕으로 기흉 여부를 진단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시간 흉강 내압 측정 및 기흉 여부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속도를 일정속도 범위로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적절한 속도로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경우 일정한 배출속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일예로 배출속도는 50 내지 200 cc/min, 구체적으로는 85 내지 200 cc/min,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cc/min의 속도로 흉강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공기의 배출속도가 50 cc/min 미만일 경우 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에 비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너무 느려 긴장성 기흉 등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배출속도가 200 cc/min를 초과할 경우 흉강 내의 공기를 급격히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폐 조직 또는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조절 장치는 아날로그신호인 압력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신호변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압력데이터 또는 상기 결과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압력데이터 또는 산출된 결과데이터를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식별정보획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환자식별정보와 상기 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장치의 상기 흉강 삽입부, 압력측정부, 제어부 및 공기배출부는 연결관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 상에는 공기 배출시 역류를 방지하고, 공기이외의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을 조절하는 방법은,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흉강 삽입부를 흉강에 삽입하는 단계;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 수치를 기반으로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에 대한 결정에 의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흉강 삽입부가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흉강 삽입부를 흉강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주사바늘을 흉강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흉강 내압을 조절하는 방법은 기흉을 처치,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식화한 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는 흉강에 배치되는 흉강 삽입부(11);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12); 상기 측정된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 상기 측정된 흉강 내압의 데이터 값을 생성하는 제어부(14); 및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15);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흉강삽입부(11)는 흉강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흉강삽입부는 주사바늘 및/또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내에서 벽측흉강을 관통하여 폐의 외부를 감싸는 장측 흉강과 벽측 흉강 사이에 있는 흉강에 배치되는 것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주사바늘 및 이에 연결된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를 이용해 흉강 내압을 측정하여 기흉 여부를 진단할 수 있으며 환자의 폐가 손상되어 공기 또는 유체가 들어가는 경우(예를 들어, 기흉이 발생하거나 흉수가 차는 경우 등)에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하여 공기 또는 유체를 배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는 흉강 내압을 측정하기 위해 흉강삽입부(11)의 주사바늘을 흉강에 찔러서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흉강삽입부(11)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 기재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흉강삽입부(11)의 일실시예는 주사바늘 및/또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바늘을 흉강에 찔러서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흉강삽입부의 주사바늘과 연결되어 압력측정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상황에 따라 상이한 길이의 관을 교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가 소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연결관 없이 내부에 존재할 수 있고,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의 하우징에 주사 바늘이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사바늘은 일회용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관은 일회용 주사바늘을 탈부착할 수 있는 말단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흉강 내압 조절 장치에서 압력측정부(12)는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압력측정부(12)는 압력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압력데이터는 상기 흉강 내부의 압력데이터 수치 일 수 있으며, 압력측정부(12)는 흉강삽입부(11)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 흉강 내압 조절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13)는 제어부(14)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결과데이터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는 결과데이터 외의 사용자(즉, 의료진)에게 제공할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등)를 표시(출력)한다.
본 발명 흉강 내압 조절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3)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흉강 내압 조절 장치에서 제어부(14)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압력측정부(12)로부터 수신한 압력데이터를 처리하는 정보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는 상기 압력측정부(12)를 통해 흉강 내압을 최초 측정한 때 또는 최초 측정한 때로부터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해 흉강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안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흉강 내압을 산출하기 위해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공기배출부(15)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속도를 일정속도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기의 배출 전후의 압력데이터 값 및/또는 결과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공기배출부(15)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 상기 공기배출부(15)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속도를 일정속도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일예로 50 내지 200 cc/min의 속도로, 구체적으로는 85 내지 200 cc/min,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cc/min의 속도로 흉강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압력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하는 결과데이터는, 상기 압력측정부(12)를 통해 흉강 내압을 최초 측정한 때 또는 상기 최초 측정한 때로부터 상기 공기배출부(15)를 통해 흉강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안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일 수 있으며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압력데이터 수치는 실시간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측정을 시작할 때 초기화를 수행하고, 최초 측정한 때로부터 상기 공기배출부(15)를 통해 흉강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까지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 할 수 있으며 이때 압력데이터 값은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 후, 제어부(14)는 압력데이터 값 및/또는 결과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3)상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수치를 나타내는 텍스트, 그래프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5)는 상기 제어부(14)와 연결되어 흉강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며 이때, 공기의 배출방향은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일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속도는 제어부(14)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를 이용할 경우 실시간 흉강 내압 측정이 가능하며, 흉관 삽관이나 절개수술이 필요한 공기누출에 대응하는 실시간 흉강 내압 데이터를 산출한 다음 흉관 삽관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추가 등의 추가 치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과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누적된 결과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폐 상태의 변화를 산출 또는 예측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의 상기 흉강 삽입부(11), 압력측정부(12); 상기 측정된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 상기 측정된 흉강 내압의 데이터 값을 생성하는 제어부(14); 및/또는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15)는 튜브형의 연결관으로 이어질 수 있고 상기 연결관상에는 공기 배출시 역류를 방지하고, 공기이외의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피 또는 체액 배출 시 이를 저장하는 용기, 공기를 흉강내로부터 외부로의 일 방향으로만 배출시키며 외부 공기가 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기 및/또는 공기만 통과시키기 위한 공기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여과기는 기체 여과를 위한 제균 목적을 가지며 작은 용량의 유기용매를 여과시킬 수 있고 기체상의 고체상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관이 튜브형일 때는 T자 연결관(T connector)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T자 연결관의 형태는 일례로서 사용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연결관은 3방향의 출입구를 가진 형태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연결관의 중간에 설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자 연결관의 제1방향은 폐에 삽입된 주사바늘과 연결된 튜브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방향은 압력측정부, 제어부 및/또는 디스플레이부와 이어질 수 있고 제3방향은 공기배출부에 포함되는 튜브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제3방향과 연결된 튜브 외에 공기 배출을 위한 펌프 및 공기의 배출을 위한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 펌프는 상기 제3방향과 연결된 튜브 및/또는 외부로의 공기 배출을 위한 튜브와 연결 될 수 있다.
상기 T자 연결관이 사용 되는 경우, 흉강 삽입부와 연결된 T자 연결관 사이(제1방향)에 역류방지기 및/또는 공기 여과기가 존재할 수 있고, 공기배출부와 연결된 T자 연결관 사이(제3방향)에 역류방지기 및/또는 공기 여과기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기 및/또는 공기 여과기는 흉강 삽입부와 연결된 T자 연결관 사이(제1방향) 및 공기배출부와 연결된 T자 연결관 사이(제3방향)에 각각 또는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흉강 삽입부와 연결된 T자 연결관 사이(제1방향)에 역류방지기 및/또는 공기 여과기가 존재하는 경우 흉강내로부터 공기배출시 공기 이외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전자적 특성이 있는 압력측정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에 공기 이외의 불순물이 도달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와 연결된 T자 연결관 사이(제3방향)에 역류방지기 및/또는 공기 여과기가 존재하는 경우 공기배출펌프에 공기 이외의 불순물이 도달하지 못하게 하여 공기배출펌프가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호변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는 아날로그신호인 압력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신호변환부는 Analog-to- Digital Convertor가 해당될 수 있다. 신호변환부는 아날로그신호로 획득되는 압력데이터를 제어부(14)가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어부(14)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실시간 흉강 내압 측정값) 또는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데이터 (예를 들어, 측정시간 내 흉강 내압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즉, 메모리는 측정데이터 또는 산출데이터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결과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일시적으로 측정데이터 또는 산출데이터를 저장하고, 무선통신을 통한 서버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삭제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측정된 압력데이터 또는 산출된 결과데이터를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무선인터넷모듈 또는 근거리통신 모듈이 해당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는, 식별정보획득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획득부는 환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획득부는 바코드인식모듈이 해당될 수 있고, 환자가 가지고 있는 바코드를 읽어 들여서 환자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식별정보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환자의 식별정보는 측정되는 환자의 흉강 내압데이터(즉, 결과데이터)와 매칭될 수 있고, 무선통신부는 상기 환자식별정보와 상기 결과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외부서버에 저장된 결과데이터를 환자별로 구별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전원은 유무선 전원 및/또는 휴대가 가능한 포터블 배터리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제어부(14)는 0점조절버튼 조작에 따라 현재상태를 게이지압력 0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흉강 내압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측정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앞선 도 1을 통해 설명된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을 통해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2에도 적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흉강 내압 측정방법은, 상기 흉강삽입부(11)를 흉강에 삽입하는 단계(S210);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단계(S220);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 수치를 기반으로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30); 및 상기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에 대한 결정에 의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S240);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흉강삽입부(11)가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흉강삽입부(11)를 흉강에 삽입하는 단계(S210)는, 상기 주사바늘을 상기 흉강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먼저 단계 S210에서, 사용자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의 흉강삽입부(11)를 흉강에 삽입한다. 일 예로, 상기 흉강삽입부(11)가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주사바늘을 상기 흉강에 찔러서 삽입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흉강 내압을 측정한다. 이때 흉강 내압 조절 장치(10)의 제어부(14)가 압력측정부(12)를 통해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 수치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압력데이터 및/또는 결과데이터(예를 들어, 실시간 압력 측정값, 특정기간 내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등)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형태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텍스트 또는 그래프 형태로 결과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S230에서는, 상기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 수치를 기반으로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S240에서는, 상기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에 대한 결정에 의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장치의 공기배출부(15)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며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14)와 연결된 공기배출부(15)를 통해 일정 속도로 공기를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며 이때 공기의 배출방향은 흉강내로부터 외부로의 일 방향으로만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5)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공기배출부(15)를 통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속도를 일정속도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일예로 50 내지 200 cc/min의 속도로, 구체적으로는 85 내지 200 cc/min,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cc/min의 속도로 흉강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15)는 흉강내로부터 외부로의 일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밸브는 평소에 차단되어 있고,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흉강 내압 조절 장치
11: 흉강삽입부
12: 압력측정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제어부
15: 공기배출부

Claims (14)

  1. 흉강에 배치되는 흉강 삽입부;
    흉강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상기 측정된 흉강 내압의 데이터 수치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일정속도 범위로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속도는 50 내지 200 cc/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삽입부는 흉강에 삽입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주사바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삽입부, 압력측정부, 제어부 및 공기배출부는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상에는 공기 배출시 역류를 방지하고, 공기이외의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하기위한 필터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측정된 흉강 내압의 데이터 수치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압력측정부를 통해 흉강 내압을 최초 측정한 때 또는 상기 최초 측정한 때로부터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해 흉강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안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과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결과데이터를 바탕으로 기흉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내압 조절 장치는 실시간 흉강 내압 측정 및 기흉 여부 진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 조절 장치.
  10. 흉강 내압 조절 장치의 흉강 삽입부를 흉강에 삽입하는 단계;
    측정된 흉강 내압 데이터 수치를 기반으로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에 대한 결정에 의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을 조절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에 대한 결정에 의해 흉강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배출 속도가 일정속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을 조절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속도는 50 내지 200 cc/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을 조절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삽입부는 흉강에 삽입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주사바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을 조절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흉강 내압을 조절하는 것은 기흉을 처치, 예방 또는 치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강 내압을 조절하는 방법.
KR1020220060570A 2022-05-18 2022-05-18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230161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70A KR20230161047A (ko) 2022-05-18 2022-05-18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PCT/KR2023/006656 WO2023224376A1 (ko) 2022-05-18 2023-05-17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70A KR20230161047A (ko) 2022-05-18 2022-05-18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47A true KR20230161047A (ko) 2023-11-27

Family

ID=8883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570A KR20230161047A (ko) 2022-05-18 2022-05-18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1047A (ko)
WO (1) WO20232243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8705B1 (fr) * 1982-12-29 1987-12-31 Vincent Michel Appareil medical pour l'exsufflation des pneumothorax
CN2491023Y (zh) * 2001-04-29 2002-05-15 韩麟 仿生胸腹腔负压引流治疗机
KR101660362B1 (ko) * 2015-03-27 2016-09-27 (주)비스토스 불순물 및 모유 역류차단기능을 포함한 배리어부재가 구비된 유축기
KR101755546B1 (ko) * 2015-10-20 2017-07-0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흉막내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N210542626U (zh) * 2018-09-13 2020-05-19 十堰市太和医院 一种新型胸腔抽气用护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376A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7863B (zh) 用于感测生理数据以及引流和分析体液的系统、设备和方法
US20190117930A1 (en) Assistive capnography device
US8776790B2 (en) Wireless, gas flow-powered sensor system for a breathing assistance system
JP6549154B2 (ja) インピーダンスを測定する装置
US9433737B2 (en) Cuff pressure measurement device for a tracheal tube
US201201362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 Ventilator Patient With A Capnograph
EP38278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state of airway, and ventilator
US9180268B2 (en) Cuff pressure measurement device for a tracheal tube
US201401904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inimal ventilation support with volume ventilation plus software and remote monitoring
US20150196225A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JP2023507149A (ja) 体液の排出および分析並びに健康状態を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KR101755546B1 (ko) 흉막내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RU27537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блюдения, зонд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и система наблюдения
KR20230161047A (ko) 흉강 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220257151A1 (en) Method for stabilizing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EP2539003A1 (en) Mechanically deployable tracheal tube sensor
US20170291016A1 (en) Medical pressure gauge
AU201628225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patient specific data
US11247010B2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and diagnostics within mechanical ventilation
WO2018065448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energy during bag valve mask ventilation
KR20090000679A (ko)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JP2017159039A (ja) 換気応答測定システム
US20200139062A1 (en) Airway Cuff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20220395655A1 (en) Portable microprocessor-controlled peristaltic suction apparatus
WO2023208699A1 (en) Ultrasound velocity/flow measurements for cpr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