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030A -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030A
KR20230161030A KR1020220060541A KR20220060541A KR20230161030A KR 20230161030 A KR20230161030 A KR 20230161030A KR 1020220060541 A KR1020220060541 A KR 1020220060541A KR 20220060541 A KR20220060541 A KR 20220060541A KR 20230161030 A KR20230161030 A KR 20230161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frame
angle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국
Original Assignee
신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국 filed Critical 신용국
Priority to KR102022006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030A/ko
Publication of KR2023016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은 불완전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한 렌즈가 삽입장착되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경다리로 구성된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는 연결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되, 상기 연결구는 수직방향으로 2분할되어 서로 상하로 회동하게 구성되어 있어 안경테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인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은 코받침 구성이 없기에 코받침으로 인한 통증, 피로, 눌림, 자국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더불어 코받침으로 인한 안경테의 변형, 파손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두 안구의 림으로 착용자의 양쪽 콧대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코받침 있는 안경테에서 발생하는 흘러내림의 현상도 발생하지 않으며, 안경테의 프론트를 상하방향으로 손쉽게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착용자가 스스로 자기 콧대 높이에 따라 경사각을 조절하는 핏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착용자의 얼굴 형상과 이미지에 맞추어 연출도 손쉽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Glasses with easy-to-adjust frame angles}
본 발명은 불완전한 시력을 보완하는데 사용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받침 구성이 없이도 안경테의 림으로 콧대 부위를 지지하면서 더불어 안경테의 프론트를 상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개인별 얼굴 형상에 따라 맞추어 핏팅(fitting)할 수 있는 안경테 프론트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요즘시대의 안경은 시력보완용 역할을 벗어나 패션의 한 아이템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안경은 불완전한 시력을 보완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고 있어야 한다.
특히,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즐겨보는 현 세대에는 시력이 점차 나빠지고 있기에 안경을 쓰는 사람들의 수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는 일반적인 안경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57188호에 한 쌍의 렌즈지지부(111)의 사이에 연결부(112)가 마련된 메인프론트(110);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상부에 덮어씌워지는 캡(120); 각 캡(120)에 내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템플(130); 각 캡(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코받침(140);을 포함하고,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내측 상부에 제1걸림턱부(114)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외측 상부에 제2걸림턱부(115)가 마련되고, 캡(120)의 내부 상부에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의 내측에 메인프론트(110)의 제1걸림턱부(114)에 결합되는 제1걸림부(124)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의 외측에 메인프론트(110)의 제2걸림턱부(115)에 결합되는 제2걸림부(125)가 마련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에 있어서, 메인프론트(110)의 제2걸림턱부(115)의 상부에 체결돌기(116)가 마련되고, 캡(120)의 전면 외측 상부에 마련된 메인프론트 체결돌기 삽입홈(127)이 메인프론트(110)의 체결돌기(116)에 삽입 결합되는 동시에 캡(120)의 제2걸림부(125)의 상부에 마련된 끼움돌기부(126)가 메인프론트(110)의 체결돌기(116)의 상부 공간에 끼워져 캡(120)의 외측 부위가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후면 내측 상부에 코받침 접속구멍(117)이 마련되고, 캡(120)의 후면 내측 하부에 코받침 접속구멍(128)이 마련되고, 코받침(140)이 캡(120)의 코받침 접속구멍(128)을 통해 메인프론트(110)의 코받침 접속구멍(117)에 삽입 결합되어 캡(120)의 내측 부위가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안경은 착용자의 콧등에 지지되는 코받침이 구성되어 있어 상기 코받침에 의한 착용자의 콧등에 압박감을 주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로감이 누적적됨은 물론 안경을 벗으면 코받침에 의한 자국이 얼굴에 남기 때문에 미용상으로도 좋치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받침이 없는 안경이 다양하게 개발되고도 있다.
이러한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8958호에 슬라이드가 연장될 수 있는 슬라이드 슬롯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측면 렉 시트를 갖는 주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렌즈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는 주 프레임에 대한 이동을 위해 렌즈 프레임을 구동하도록 주 프레임의 슬라이드 슬롯내에 변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글을 읽거나 쓰기위해 그의 머리를 숙일 때 렌즈의 중앙이 시각 라인상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투명하게 가까이서 볼수 있도록 렌즈의 중앙의 굴절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이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423호에 무테 안경의 렌즈(1)와 안경다리(2')를 연결한 연결구(2)를 조립구성하도록 된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연결구(2)는 선단부분 내측에 단차부(3)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3)는 안경렌즈(1)와 밀착고정되는 렌즈밀착부(4')를 가진 렌즈고정편(4)과, 렌즈측면의 곡면형태에 맞도록 형성한 렌즈지지용 곡면부(5)로 형성하고, 상기 렌즈 밀착부(4')는 0.5°∼ 3°가량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연결구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열거한 종래기술의 안경은 안경테의 프론트 각도가 대부분 정면또는 하부를 주시하기 용이한 각도로 고정되어 있기에 착용자의 개인별 얼굴 형상에 따라 맞춤 피팅(Fitting)이 어려워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며, 착용자의 개인별 얼굴 형상에 따라 맞춤 피팅(Fitting)이 어려움에 착용자는 장시간 안경을 착용할 경우 착용자에게는 피로감이 누적되며 또한, 안경의 흘러내림도 여전히 발생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코받침 대신 림(Rim)으로 지지를 대신함으로써 코받침으로 인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없애면서 또한 안경테 전면부의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손쉽게 착용자 본인이 얼굴 형상에 맞추어 핏팅이 용이함은 물론 안경테의 다양한 경사각 조절로 인한 착용자의 얼굴에 맞는 다양한 이미지의 패션 연출이 가능한 구조의 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은 불완전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한 렌즈가 삽입장착되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경다리로 구성된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는 연결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되, 상기 연결구는 수직방향으로 2분할되어 서로 상하로 회동하게 구성되어 안경테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은 코받침 구성이 없기에 코받침으로 인한 통증, 피로, 눌림, 자국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더불어 코받침으로 인한 안경테의 변형, 파손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두 안구의 림으로 착용자의 양쪽 콧대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코받침 있는 안경테에서 발생하는 흘러내림의 현상도 발생하지 않으며, 안경테의 프론트를 상하방향으로 손쉽게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착용자가 스스로 자기 콧대 높이에 따라 경사각을 조절하는 핏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착용자의 얼굴 형상과 이미지에 맞추어 연출도 손쉽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사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또 다른 측면에서 사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 측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에 따른 안경테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비교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또 다른 형상의 연결구 일부분 상세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다단 회동조절에 따른 제1실시의 연결구 일부분 상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다단 회동조절에 따른 제1실시의 연결구 일부분 확대 상세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다단 회동조절에 따른 제2실시의 연결구 일부분 상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다단 회동조절에 따른 제2실시의 연결구 일부분 확대 상세 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연결구의 변형된 예시의 사시도 개요도.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은 불완전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한 렌즈가 삽입장착되는 안경테(110)와, 상기 안경테(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경다리(120)로 구성된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10)와 안경다리(120)는 연결구(14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되, 상기 연결구(140)는 수직방향으로 2분할되어 서로 상하로 회동하게 구성되어 안경테(11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연결구(140)는 수직방향으로 2분할되어 제1몸체(141)는 안경테(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몸체(142)는 일단이 안경다리(120)에 고정되어 있되,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는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대향면은 착용자의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141)에 대향하는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는 내부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14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42)에 대향하는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는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도록 원호형상의 돌기부(14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를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한 후, 제2몸체(142)와 제1몸체(141)의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에 힌지축(143)을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는 서로 힌지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1몸체(141)에 대향하는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상부측 면은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하부측 면은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갭(144)을 형성하여 상기 갭(144)에 의해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여 제1몸체(141)는 상하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는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되는 요철부(141-2)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 접촉되는 홈부(142-1)에는 요철부(141-2)를 향하여 탄성을 지닌 스토퍼(142-5)를 돌출형성하되, 그 끝단부가 요철부(141-2)에 형성된 오목부에 안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는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되는 요철부(141-2)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 접촉되는 홈부(142-1)에는 내부로 안착홈(142-2)을 더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142-2)에 스프링(142-3)을 장착하되, 상기 스프링(142-3)과 돌기부(142-1)의 요철부(141-2) 사이에는 볼베어링(142-4)을 장착함으로써 제1몸체(141)가 상하로 회동할 때 상기 볼베어링(142-4)은 돌기부(142-1)의 요철부(141-2)에 형성된 오목부에 안착되기에 제1몸체(141)는 상하방향으로 단계별 회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사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또 다른 측면에서 사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 측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에 따른 안경테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비교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100)은 불완전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한 렌즈가 삽입장착되는 안경테(110)와, 상기 안경테(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경다리(120)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안경(100)의 구성에서 안경테(110)는 안경다리(120)와 힌지로 연결되는 바같쪽 부분을 프론트라 하고, 착용자의 콧등 쪽인 안쪽 부분을 림(Rim)이라 표현하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론트와 림(Rim)을 안경테로 통칭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안경테(110)와 안경다리(120)는 연결구(140)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구(140)는 수직방향으로 2분할하여 서로 상하로 회동하게 구성함으로써 안경테(11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연결구(140)는 수직방향으로 2분할되어 제1몸체(141)는 안경테(110)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제2몸체(142)는 일단이 안경다리(120)에 고정되도록 하되,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는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도록 하였다.
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상기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대향면은 착용자의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제1몸체(141)에는 안경테(110)가 12°정도 하향하게 체결되어 있어 코받침이 없이 안경테(110)의 하면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코받침에 의해 착용자의 얼굴에 발생하는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41)에 대향하는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는 내부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142-1)를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142)에 대향하는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는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도록 원호형상의 돌기부(141-1)가 형성하였다.
이에, 상기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를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한 후, 제2몸체(142)와 제1몸체(141)의 좌우측면을 모두 관통하는 관통구(도면부호 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에 힌지축(143)을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는 서로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몸체(141)에 대향하는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상부측 면은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하부측 면은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갭(144)을 형성하였다.
이에, 상기 갭(144)에 의해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여 제1몸체(141)는 상하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1몸체(141)의 상하회동은 제1몸체(141)에 체결되어 있는 안경테(110)의 상하방향 회동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10)가 정면을 주시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12°정도 하향되도록 하고, 안경테(110)를 하향하게 회동시키게 되면 18°정도 하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하부측 면과 제1몸체(141)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형상의 갭(14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또 다른 형상의 연결구 일부분 상세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41)에 대향하는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상부측 면과 상기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하부측 면의 기울기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함으로써 갭(144)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몸체(141)에 대향하는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상부측 면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하부측 면의 기울기가 더 착용자의 얼굴쪽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2몸체(142)의 하부측 면과 제1몸체(141) 사이에 갭(144)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르게는 한 쌍의 돌기부(141-1)를 형성하여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141-1) 사이에 제2몸체(142)가 위치하도록 하여 좌우측면을 서로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힌지축(143)을 삽입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안경테(110)를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하로 회동시 다단으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다단 회동조절에 따른 제1실시의 연결구 일부분 상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다단 회동조절에 따른 제1실시의 연결구 일부분 확대 상세 개요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10)의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는 수단으로는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는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되는 요철부(141-2)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 접촉되는 홈부(142-1)에는 요철부(141-2)를 향하여 스토퍼(142-5)를 돌출형성하되, 그 끝단부가 요철부(141-2)에 형성된 오목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142-5)는 요철부(141-2)의 오목부 형상에 대응하여 가로방향 즉 수평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도 바람직할 일 실시가 될 것이다.
상기 스토퍼(142-5)는 탄성을 지닌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있기에 그 끝단부가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하로 휘어지고,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인 일자형태가 유지되는 정도의 유연성을 지니고 있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퍼(142-5)의 탄성력 즉 유연성 정도는 안경테(110)의 하중을 이기는 정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태에서는 스토퍼(1425-)가 수평으로 일자상태를 유지하여 안경테(110)의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경테(110)를 강제로 상하 회동시키게 되면 비로소 제2몸체(142)에 형성된 스토퍼(142-5)가 요철부(141-2)의 볼록부에서는 휘어진 상태가 되고, 요철부(141-2)의 오목부에서는 일자 형태가 되면서 안경테(110)가 상하회동하는 것을 억제시켜 주도록 한다.
또 다른 조절수단으로 아래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다단 회동조절에 따른 제2실시의 연결구 일부분 상세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의 다단 회동조절에 따른 제2실시의 연결구 일부분 확대 상세 개요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는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되는 요철부(141-2)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 접촉되는 홈부(142-1)에는 내부로 안착홈(142-2)을 더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42-2)에는 스프링(142-3)을 장착하고, 상기 스프링(142-3)과 돌기부(142-1)의 요철부(141-2) 사이에는 볼베어링(142-4)을 장착하여 상기 볼베어링(142-4)은 돌기부(141-1)의 요철부(141-2)에 형성된 오목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에, 제1몸체(141)가 상하로 회동할 때 상기 볼베어링(142-4)은 돌기부(142-1)의 요철부(141-2)에 형성된 오목부 마다 안착되기에 제1몸체(141)는 상하방향으로 단계별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제1몸체(141)가 회동하여 돌기부(141-1)의 볼록부에 볼베어링(142-4)이 위치하게 되면 스프링(142-3)은 압축되고, 볼베어링(142-4)이 오목부에 위치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42-3)의 복원력에 의해 볼베어링(142-4)은 안정적으로 돌기부(141-1)의 오목부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대향면 상부측도 갭(14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구(140)는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가 2분할되어 힌지연결에 의해 회동하는 기본 적인 구성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하기 도 10에 도시된 연결구(140)의 형상도 다양한 예시의 하나일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연결구의 변형된 예시의 사시도 개요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41)와 대항하는 제2몸체(142)의 일면에 상하고 관통되는 공간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450 내에 제1몸체(141)가 삽입하여 힌지결합되어 힌지축(143)에 의해 상하로 회동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안경다리(120)에 체결되는 제2몸체(142)의 일면에도 완전히 절첩되는 힌지결합수단과 더불어 본 발명의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체결구조와 같이 힌지결합되는 회동수단(146)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은 코받침 구성이 없기에 코받침으로 인한 통증, 피로, 눌림, 자국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더불어 코받침으로 인한 안경테의 변형, 파손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두 안구의 림으로 착용자의 양쪽 콧대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코받침 있는 안경테에서 발생하는 흘러내림의 현상도 발생하지 않으며, 안경테의 프론트를 상하방향으로 손쉽게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착용자가 스스로 자기 콧대 높이에 따라 경사각을 조절하는 핏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착용자의 얼굴 형상과 이미지에 맞추어 연출도 손쉽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안경
110. 안경테
120. 안경다리
130. 렌즈
140. 연결구 141. 제1몸체 141-1. 돌기부
141-2. 요철부 142. 제2몸체 142-1. 홈부
142-2. 안착홈 142-3. 스프링 142-4. 볼베어링
142-5. 스토퍼
143. 힌지축 144. 갭 145. 공간부
146. 회동수단

Claims (6)

  1. 불완전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한 렌즈(130)가 삽입장착되는 안경테(110)와, 상기 안경테(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경다리(120)로 구성된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10)와 안경다리(120)는 연결구(14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되, 상기 연결구(140)는 수직방향으로 2분할되어 서로 상하로 회동하게 구성되어 안경테(11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인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40)는 수직방향으로 2분할되어 제1몸체(141)는 안경테(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몸체(142)는 일단이 안경다리(120)에 고정되어 있되,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는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의 대향면은 착용자의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141)에 대향하는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는 내부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14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42)에 대향하는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는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도록 원호형상의 돌기부(14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를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한 후, 제2몸체(142)와 제1몸체(141)의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에 힌지축(143)을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는 서로 힌지결합되는 것이 특징인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41)에 대향하는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상부측 면은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142)의 대향면에서 홈부(142-1)보다 하부측 면은 제1몸체(141)의 대향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갭(144)을 형성하여 상기 갭(144)에 의해 제1몸체(141)와 제2몸체(142)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여 제1몸체(141)는 상하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는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되는 요철부(141-2)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 접촉되는 홈부(142-1)에는 요철부(141-2)를 향하여 탄성을 지닌 스토퍼(142-5)를 돌출형성하되, 그 끝단부가 요철부(141-2)에 형성된 오목부에 안착되는 것이 특징인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142)의 홈부(142-1)에 삽입되는 제1몸체(141)의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되는 요철부(141-2)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141-1)의 원호면에 접촉되는 홈부(142-1)에는 내부로 안착홈(142-2)을 더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142-2)에 스프링(142-3)을 장착하되, 상기 스프링(142-3)과 돌기부(142-1)의 요철부(141-2) 사이에는 볼베어링(142-4)을 장착함으로써 제1몸체(141)가 상하로 회동할 때 상기 볼베어링(142-4)은 돌기부(142-1)의 요철부(141-2)에 형성된 오목부에 안착되기에 제1몸체(141)는 상하방향으로 단계별 회동하는 것이 특징인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KR1020220060541A 2022-05-18 2022-05-18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KR20230161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41A KR20230161030A (ko) 2022-05-18 2022-05-18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41A KR20230161030A (ko) 2022-05-18 2022-05-18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30A true KR20230161030A (ko) 2023-11-27

Family

ID=8896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541A KR20230161030A (ko) 2022-05-18 2022-05-18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0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72661A (zh) * 2024-01-02 2024-02-20 浙江方氏眼镜制造有限公司 一种松紧度可调的眼镜铰链结构及调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72661A (zh) * 2024-01-02 2024-02-20 浙江方氏眼镜制造有限公司 一种松紧度可调的眼镜铰链结构及调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01591A (en) Head engaging spectacle structure
US9239470B2 (en) Adjustable eyewear
JP5611211B2 (ja) 眼鏡アセンブリ
WO2017110858A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20230161030A (ko) 안경테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안경
MXPA01007456A (es) Anteojos para maquillaje.
EP0424166A2 (en) Attachable eyeglasses
US6174059B1 (en) Eyeglasses and method of viewing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KR102596535B1 (ko) 안경프론트의 경사각도 조절기능이 구성된 안경
CN214252777U (zh) 一种具有多焦点眼镜镜片的智能眼镜
KR200348930Y1 (ko) 코받침과 귀걸이가 없는 패션안경
US5005965A (en) Spectacle frames
CN220040879U (zh) 一种眼镜架
CN212933170U (zh) 一种宽度可调眼镜
CN214896066U (zh) 一种无螺丝的眼镜结构
DK180723B1 (da) Brille omfattende to ringformede rammeelementer, der er forbundet af en næsebro
CN221507274U (zh) 一种新型眼镜框架结构
CN219320593U (zh) 一种具有可拆卸眼镜脚结构的眼镜
CN217639812U (zh) 一种可调节两镜腿之间宽度的眼镜
KR20100084880A (ko) 안경 코받침
CN215416146U (zh) 挂耳式眼镜
KR1025626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CN213934444U (zh) 一种一体式眼镜
CN216646985U (zh) 方便调节式鼻垫结构及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