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699A - 나노 입자-crispr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입자-crispr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699A
KR20230160699A KR1020220184348A KR20220184348A KR20230160699A KR 20230160699 A KR20230160699 A KR 20230160699A KR 1020220184348 A KR1020220184348 A KR 1020220184348A KR 20220184348 A KR20220184348 A KR 20220184348A KR 20230160699 A KR20230160699 A KR 20230160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na
aptamer
present
nanoparticles
cas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석
배지현
염지현
주민주
유민경
현하나
심세훈
김차영
박성철
정재철
정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이에스바이오테크놀러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이에스바이오테크놀러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이에스바이오테크놀러지
Priority to PCT/KR2023/0066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24352A1/ko
Publication of KR2023016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6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2Mutageniz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5Aptamers, i.e. nucleic acids binding a target molecule specifically and with high affinity without hybridising therewith ; Nucleic acids binding to non-nucleic acids, e.g. apta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16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N9/22Ribonucleases RNAses, DN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6Apta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20Type of nucleic acid involving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s 단백질 및 가이드 RNA가 결합하도록 제작된 나노 입자 전달체 및 이에 결합된 Cas 단백질 및 가이드 RNA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나노 복합체를 이용할 경우, 목적 세포 내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동시에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 입자-CRISPR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 및 이의 제조 방법 {Genetic manip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based on gold nanoparticle-CRISPR conjugate}
본 발명은 나노 입자 및 이에 결합된 Cas 단백질 및 가이드 RNA를 포함하는 CRISPR-Cas 시스템을 위한 나노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방법으로서, 상기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세포 내로 전달하여 목적 유전자를 편집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유전자는 모든 생물체가 가지고 있는 유기 물질로, 생물체의 구성, 유지 및 세포의 유기적인 상호관계를 이루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가 담겨있다. 유전자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유전자의 손상은 다양한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는 교정(editing)을 통해 유전 정보를 자유롭게 교정할 수 있으며, 유전자 교정(gene editing) 기술은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 식물, 나아가 미생물의 유전 정보를 변화시켜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유전자 가위라고 불리는 유전자 편집을 위한 기술은 유전자의 교정을 가능하게 하고, 유전정보의 활용 및 활용 영역을 확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유전자 가위는 징크핑거와 같은 1세대, TALEN과 같은 2세대 유전자 가위를 거쳐, 최근에는 CRISPR(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Cas(CRISPR-associated) 9이라는 3세대 유전자 가위가 개발되어 있다. CRISPR/Cas9은 세균의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에서 유래한 것으로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 유전자를 절단함으로서 박테리아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3세대 기술에서는 유전자 절단 기능을 가지는 CRISPR-Cas9 과 서열 선택성을 부여하는 sgRNA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전자를 절단할 수 있는 Cas9 단백질은single guide RNA(sgRNA)와 complex를 이루고 있는 형태로서, 활성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를 형성하여 파지 또는 플라스미드가 침입한 경우, 이의 유전적 요소를 분해하여 숙주 세포를 보호한다.
이러한 CRISPR-Cas9 시스템 유래의 RNA-가이드 뉴클레아제(RNA-guided nuclease)는 유전자 편집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단일 가이드 RNA(sgRNA)와 Cas 단백질을 이용하여 세포 및 기관의 유전체를 편집할 수 있으며, 특히 손상된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수정하여 유전자 손상에 의한 질환을 치료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기 위하여 CRISPR-Cas9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Cas9 단백질과 sgRNA 등을 목적 유전자가 위치한 세포 내로 전달하기 위하여, 렌티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AAV와 같은 바이러스성 운반체를 이용하거나, 리포솜, 나노입자, 엑소좀, 미세운반체(microvesicle) 등의 비 바이러스성 운반체를 이용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CRISPR-Cas9 시스템에 사용되는 바이러스성 운반체 기술은 바이러스 고유의 증식 기전을 이용한 유전자 운반체로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아데노부속바이러스 (Adeno-Associated Virus, AAV) 등이 대표적이다. 바이러스성 운반체 기술은 유전자의 전달 효율은 높으나, 병원성이 있는 바이러스이므로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등의 안전성 문제가 있으며, 바이러스 벡터 내 삽입 가능한 유전자 크기에 한계가 있어 적용 가능한 유전자가 제한적이다.
이에 비해, 비바이러스성 운반체 기술은 인체 세포 내 바이러스 유전 물질의 유입이 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며, 운반체 내 삽입 유전자의 크기를 무제한으로 할 수 있고, 숙주에 대한 면역 반응이 낮아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바이러스성 운반체에 비해 세포 내 전달 효율이 낮은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자의 이전 연구에서 유전자를 목적 세포 내로 전달하기 위한 금나노 운반체(특허 제10-1230913호), 항체 전달을 위한 금 나노 입자 전달체(특허 제10-2236120호)를 개발한 바 있다. 유전자 운반체는 금 나노 입자에 유전자의 결합을 위한 결합 파트너를 도입하여 타겟 유전자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였다. 항체 전달을 위한 운반체의 경우, 상기 항체의 결합에 적합한 앱타머를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CRISPR-Cas9 시스템과 같이, 유전자와 단백질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서 이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운반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 특허 제10-1230913호 한국특허 특허 제10-2236120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CRISPR-Cas9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sgRNA 및 Cas 단백질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입자 전달체로서, 나노 물질 표면에 공유 결합으로 sgRNA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파트너로서의 cargo DNA 및 Cas 단백질과 결합 가능한 앱타머를 포함하여 이를 동시에 목적 세포 내로 운반할 수 있는 복합체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 입자,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연결된 DNA 결합 파트너 및 앱타머를 포함하는 전달체; 및 이에 결합된 운반 대상으로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노 입자,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연결된 DNA 결합 파트너 및 앱타머를 포함하는 전달체; 및 이에 결합된 운반 대상으로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세포의 유전자 편집용 조성물 및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노 입자,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연결된 DNA 결합 파트너 및 앱타머를 포함하는 전달체; 및 이에 결합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노 입자,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연결된 DNA 결합 파트너 및 앱타머를 포함하는 전달체; 및 이에 결합된 운반 대상으로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세포의 유전자 편집용 조성물 및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CRISPR-Cas 시스템에서 Cas (CRISPR associated protein) 단백질, 가이드 RNA를 전달하기 위한 복합체로서, 나노 입자,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연결되어 가이드 RNA를 전달하기 위한 DNA 결합 파트너 및 Cas 단백질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앱타머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전달체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 입자 전달체는 가이드 RNA와 Cas 단백질을 목적 세포 내로 함께 전달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전달체에 비해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하며, 특히 동물, 식물 세포 모두에서 CRISPR-Cas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이 가능한 나노 복합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나노 입자,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연결되어 가이드 RNA를 전달하기 위한 DNA 결합 파트너 및 Cas 단백질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앱타머를 포함하며, 상기 DNA 결합 파트너에 결합된 가이드 RNA 및 상기 앱타머에 결합된 Cas 단백질을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제공한다.
손상된 유전자를 치료하거나, 기존의 유전자를 조작하기 위하여,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된 유전자 편집 기술 중, CRISPR-Cas 유전자 가위 시스템은 유전체, 또는 유전자의 단일 염기 수준에서 유전자의 편집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편집 대상이 되는 유전자에 대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의 세포 내 이동이 필요하며, 본 발명의 나노 복합체는 독성이 없고, 외래 유전자 및 단백질을 세포 내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정상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고 타겟 유전자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 입자(NP, nanoparticle)'는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1-100 nm 크기를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노 입자는 나노 크기를 갖는 물질이라면 형태 및 모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예컨대, 입자, 튜브, 막대기 또는 정사면체와 같은 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 입자”는 나노 단위의 직경, 바람직하게는 8-1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12-14 nm의 직경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의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나노 입자는 나노 크기를 갖는 입자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나노 입자는 금 나노 입자를 의미한다. 금 나노 입자는 안정한 입자의 형태로 제조가 쉬울 뿐만 아니라 0.8 nm에서 200 nm까지 다양하게 사용 목적에 맞추어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금은 다양한 종류의 분자들, 예컨대 펩타이드, 단백질, 핵산 등과 함께 결합하여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고, 다양한 파장에서 빛에 반사하는 바, 이를 이용해 세포 내에서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 나노 입자는 망간, 알루미늄, 카드늄, 납, 수은, 코 발트, 니켈, 베릴륨 등의 중금속과 달리 인체에 무해하여 높은 생체친화성을 가진다.
상기 금 나노 입자는 직경이 100 nm 이상으로 커질 경우 나노 입자로서의 특성이 소멸될 뿐 아니라, 나노 입자의 특성이 없는 금 표면과 티올기 등의 작용기와의 결합이 약해지기 때문에 금 입자를 매개로 하여 올리고T가 결합된 입자를 제조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 나노 입자의 직경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8-1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12-14 n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금 나노 입자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HAuCl4를 금 공급원으로 하고, 소듐 시트레이트를 환원제로 하여 HAuCl4를 환원시켜 금 나노 입자를 제조한다. 이 경우, 금 나노 입자의 크기는 첨가하는 시트레이트를 달리 해줌으로써 조절이 가능한다. 즉, 시트레이트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핵형성(nucleation)이 많이 되기 때문에 금 나노 입자의 크기는 감소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RNA를 전달하기 위한 DNA 결합 파트너는 가이드 RNA와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서열을 포함하며, 상기 DNA 결합 파트너는 본 발명의 나노 복합체의 운반 대상(Cargo)인 DNA 로서, 목적 유전자의 편집 대상이 되는 서열로부터 유래된 염기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DNA 결합 파트너는 나노 복합체와 가이드 RNA의 결합을 매개하며, 상기 나노 복합체에 결합된 가이드 RNA가 세포 내로 이동하여, 세포 내에서 타겟 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DNA 결합 파트너는 본 발명자의 선행 특허인 한국 특허 제10-1230913호에 기재된 유니버셜 결합 파트너로서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니버셜 결합 파트너를 포함하는 경우 특별히 유래 서열 또는 생물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서열로 이루어진 가이드 RNA를 운반할 수 있는 나노 복합체를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니버셜 결합 파트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카운터 파트너 서열이 상기 가이드 RNA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선행 특허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RNA'는 편집 대상이 된 목적 유전자로부터 유래한 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표적 DNA에 특이적인 RNA (예컨대, DNA의 표적 부위와 혼성화 가능한 RNA)를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 RNA는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CRISPR RNA (crRNA), trans-activating crRNA (tracrRN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중 가이드 RNA (dual guide RNA), 또는 단일 가이드 RNA (sgRNA)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가이드 RNA(sgRN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RNA는 sgRN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전자 표적 부위와 혼성화 가능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유전자 표적 부위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보다 구체적으로, 유전자 표적 부위의 DNA 이중 가닥 중 PAM이 존재하는 가닥의 반대 가닥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95% 이상, 99% 이상, 또는 100%의 서열 상보성을 갖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한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Cas 단백질은 가이드 RNA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편집의 타겟이 되는 DNA 서열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RNA가 타겟 서열을 인지하여 결합되며, 복합체를 형성한 Cas 단백질이 작용하여 타겟 DNA를 절단한다. 상기 Cas 단백질은 Cas1, Cas1B, Cas2, Cas3, Cas4, Cas5, Cas6, Cas7, Cas8, Cas9, Cas10, Cas12a, Cas12b, Cas12c, Cas12d, Cas12e, Cas13a, Cas13b, Cas13c, Cas13d, Csy1, Csy2, Csy3, Cse1, Cse2, Csc1, Csc2, Csa5, Csn2, Csm2, Csm3, Csm4, Csm5, Csm6, Cmr1, Cmr3, Cmr4, Cmr5, Cmr6, Csb1, Csb2, Csb3, Csx17, Csx14, Csx10, Csx16, CsaX, Csx3, Csx1, Csx15, Csf1, Csf2, Csf3 및 Csf4 등이 알려져 있고, 특히 Cas9, Cas12a(Cpf1) 및 Cas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Cas 단백질은 Cas9 단백질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as 단백질은 앱타머에 의해 금 나노 입자에 결합되며, 상기 앱타머는 그 Cas 단백질을 부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면 서열 및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is-tag 앱타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 복합체는 세포 및/또는 유기체의 유전자 교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포 및/또는 유기체는 진핵 세포 또는 진핵 유기체일 수 있다. 상기 진핵 세포 및/또는 진핵 유기체는, 예컨대, 진핵 세포 (예컨대, 효모 등의 균류, 진핵 동물 유래 및/또는 진핵 식물 유래 세포 (예컨대, 배아세포, 줄기세포, 체세포, 생식 세포 등), 진핵 동물 (예컨대, 인간, 원숭이 등의 영장류, 개, 돼지, 소, 양, 염소, 마우스, 래트 등), 및 진핵 식물(예컨대, 녹조류 등의 조류, 옥수수, 콩, 밀, 벼 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전자는 식물체에 포함된 식물 세포로서, 식물 원형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 원형질체"란, 식물 세포에서 세포벽이 제거된 것을 의미한다. 식물 원형질체는 식물 세포에 셀룰라아제(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자일라나아제(xylanase) 등의 효소를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원형질체는 다양한 식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 복합체는 유전자 편집을 위한 CRISPR-Cas 시스템에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의 운반체로서 유전자 편집을 위한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나노 입자,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연결된 DNA 결합 파트너 및 앱타머를 포함하는 전달체; 및 이에 결합된 운반 대상으로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나노 복합체 제조 방법은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Cas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앱타머 및 편집 대상인 타겟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DNA 결합 파트너를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공유결합으로 결합시켜 나노 전달체를 제작하는 단계; 및 운반 대상이 되는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상기 나노 입자에 결합하여 나노 복합체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작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하여 세포의 목적 유전자를 교정(editing)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Cas 단백질 및 가이드 RNA가 결합하도록 제작된 나노 입자 전달체 및 이에 결합된 Cas 단백질 및 가이드 RNA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방법으로서, 목적 세포 내로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동시에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나노 전달체에 따른 Cas9 단백질 및 sgRNA의 세포 내 전달력을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나노 전달체에 따른 Cas9 단백질 및 sgRNA의 세포 내 전달능을 웨스턴 블랏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나노 전달체에 결합된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 유전자 조작 결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나노 전달체를 이용하여 목적 유전자의 타겟 부위를 증폭한 후 시퀀싱하여 삽입 및 결실 서열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기능화된 금 나노 입자 (AuNP His -Cas9RNP 컨쥬게이트)의 제조
sgRNA 및 Cas9 단백질을 금 나노 입자에 공유 결합시켜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 과정의 모식도는 도 1과 같다.
1-1. 13nm 금 나노 입자 제조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금 나노 입자는 HAuCl4를 금 공급원으로 하고, 소듐 시트레이트를 환원제로 하여 HAuCl4를 환원시켜 금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0.92 mM의 HAuCl4 용액 545ml과 388 mM의 소듐 시트레이드 용액 5 ml을 섞은 후, 100C에서 15분간 반응하였다. 반응물을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여 나노 입자의 합성 여부 및 크기를 확인하였다 (도2).
1-2. His- Aptamer의 전처리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운반체를 제조하기 위해, Histidine 탐지하여 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DNA-앱타머를 사용하였다(특허10-159655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스티딘-tag DNA 앱타머는 3’말단이 티올기로 변형된 앱타머로서, 5' - GCTATGGGTGGTCTGGTTGGGATTGGCCCCGGGAGCTGGCAAAAAAAAAA - 3'의 염기 서열로 이루어졌다. 건조된 상기 앱타머를 최종 농도가 100 μM이 되도록 물에 녹인 후, 150 μl의 올리고에 20μl의 3M sodium acetate와 30 μl의 1N DTT(dithiothreitol)를 넣고,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원하지 않은 티올기 분자를 포함한 DTT를 제거하기 위해,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0 μl를 넣고 섞은 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이후 에탄올 침전법(EtOH precipitating method)을 이용하여 DNA 앱타머를 침전시켰다.
1-3. 금 나노 입자와 DNA 앱타머(AuNP-Apt his ) 결합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전처리하여 침전시킨 DNA 앱타머를 물에 녹인 후, 상기 실시예 1-1에서 합성된 금 나노 입자에 첨가한 후, Salt aging 방법으로 결합시켰다.
구체적으로, 6 nM의 금 나노 입자에 DNA 앱타머를 넣고(AuNP : His 앱타머 비율 = 1:300) 충분히 섞은 후, 농도가 0.1M 이 되도록 NaCl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4시간 후 농도가 0.2M 이 되도록 NaCl을 첨가하여 4시간 혼합하였다. 4시간 후 농도가 0.3M 이 되도록 NaCl을 첨가하여 12시간 혼합하였다. 12시간 후 DNA 앱타머와 금 혼합물은 ~10,000*g에서 20 분간 원심 분리하여 모은 뒤 상층액에 있는 반응하지 않은 DNA 앱타머를 제거하였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최종 금 나노 입자-DNA 앱타머 결합물은 0.1 M NaCl를 포함하는 10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7.4)에 넣고 분산시켰다. 제조된 금 나노 입자-DNA 앱타머 결합물을 10% acrylamide 8M Urea gel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으로 분석한 결과, 한 개의 금 나노 입자에 130~150개의DNA 앱타머가 결합됨을 확인하였다.
1-4. 나노 복합체(AuNP-Apt-Cas9/Cargo DNA-sgRNA)의 제조
상기 제작된 나노 전달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Cas9 및 sgRNA를 결합시킨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의 제조 과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2. 기능화된 AuNP His 를 이용한 Cas9 protein 전달능 확인
2-1.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한 세포 내 전달능 확인
5 X 104 개의 HeLa (Human cervical carcinoma) 세포를 10% FBS를 포함하는 배지 하에서 24-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 하였다. Cas9 단백질 및 sgRNA를 염색한 후 제조된 AuNPHis를 최종 농도 1 nM이 되도록 HeLa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고, 24시간 후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로부터 방출되는 형광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AuNPHis과 비교하기 위하여 Alexa546(빨강)으로 염색한 Cas9과 FITC(녹색)로 염색한 guide RNA를 넣지 않은 HeLa cel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듯이, 대조군(control)과 비교하여, AuNPHis -Cas9RNP의 경우, 세포 내 전달능이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웨스턴 블랏을 이용한 타겟 전달능 확인
상기2-1과 같이, AuNPHis -Cas9RNP의 타겟 전달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5 X 104 개의 HeLa (Human cervical carcinoma) 세포를 10% FBS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한 세포에 전달체인 AuNP-AptHis만 처리 또는 AuNP-AptHis전달체에 Cas9단백질과 guide RNA 복합체(Cas9His-sgRNABRAF-V600E)를 결합시켜 처리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샘플은 Control 역할을 한다. 샘플 처리 후, 각각 4시간과 24시간 후에 Cell을 모아 세포질 및 핵을 분획하여 total 단백질을 추출하고 Western blot을 진행하였다. 각 항체는 Cas9 antibody, 세포질에서만 관찰되는 베타 튜블린으로 세포질 단백질의 마커로서 사용하였고 핵에서 더 많이 관찰되는 XRCC5를 핵 단백질의 마커로서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세포에 금 나노입자-Cas RNP 복합체를 처리하고 4시간뒤의 핵 분획에서 많은 양의 Cas9이 확인(밴드가 가장 두꺼움)하였으며, 이는 핵으로 금 나노 전달체가 Cas9 RNP를 잘 전달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
실시예 3. 기능화 된 금나노 입자에 결합한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 유전자 조작
담배 속 식물인 Nicotiana benthamiana에서 유래된 원형질체(Protoplast) 를 분리하여, 본 발명의 나노 복합체에 포함된 AuNP-Cas9, AuNP, Cas9 및 sgRNA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하기의 도 4과 같이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각 DNA에 T7E1 효소 처리를 통하여 Cas9 전달 여부를 관찰하였다. T7E1 은 게놈 편집 효율성 분석에 이용되며, heteroduplex DNA의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잘라서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듯이, 기존의 PEG 기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Cas9 RNP 전달체가 원형질체 내부로 전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시퀀싱을 통한 금 나노 복합체의 CRISPR-cas9 시스템 전달능 확인
상기 본 발명의 나노 복합체를 이용하여 목적 유전자의 타겟 부위를 증폭한 후 시퀀싱하여 Indel (삽입 및 결실) 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형질체에 형질 전환을 위해 사용하던 PEG 기법보다는 금나노 입자를 이용한 전달 시 보다 높은 indel 서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나노 입자;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앱타머; 및
    상기 나노 입자 표면에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DNA 결합 파트너를 포함하고,
    상기 앱타머는 Cas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DNA 결합 파트너는 가이드 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나노 복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8-100nm의 크기를 가지는 나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금 나노 입자(AuN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복합체는 가이드 RNA 및 Cas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as 단백질은 Cas9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RNA는 sgRNA(single guide RNA), crRNA(crispr RNA) 또는 tracrRNA(trans-activating RNA)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NA 결합 파트너는 편집 대상이 되는 목적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서열로서, 가이드 RNA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체.
  8. Cas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앱타머를 제조하는 단계;
    편집(editing) 대상이 되는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서열을 포함하는 DNA 결합 파트너를 제작하는 단계;
    나노 입자 표면에, 상기 앱타머 및 DNA 결합 파트너를 공유결합으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앱타머 및 DNA 결합 파트너에 각각 Cas 단백질 및 가이드 RNA를 결합시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의 상기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유전자 편집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편집용 조성물은 진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를 포함하는 개체에 적용하기 위한 것인 유전자 편집용 조성물.
  11. 제1항의 상기 나노 복합체를 편집 대상인 세포 또는 개체에 주입하여 목?? 유전자를 편집하는 방법.
KR1020220184348A 2022-05-16 2022-12-26 나노 입자-crispr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60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6602 WO2023224352A1 (ko) 2022-05-16 2023-05-16 나노 입자-crispr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9778 2022-05-16
KR1020220059778 2022-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699A true KR20230160699A (ko) 2023-11-24

Family

ID=8897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348A KR20230160699A (ko) 2022-05-16 2022-12-26 나노 입자-crispr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069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13B1 (ko) 2009-11-06 2013-02-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입자-기반된 유전자 운반체
KR102236120B1 (ko) 2019-09-25 2021-04-0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차량 주행용 구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13B1 (ko) 2009-11-06 2013-02-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입자-기반된 유전자 운반체
KR102236120B1 (ko) 2019-09-25 2021-04-0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차량 주행용 구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v et al. Nanoparticle‐mediated gene transformation strategies for plant genetic engineering
Lee et al. Synthetically modified guide RNA and donor DNA are a versatile platform for CRISPR-Cas9 engineering
US11492670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argeting cancer-specific sequence variations
EP0941318B9 (de) Hantelförmige expressionskonstrukte für die gentherapie
CN109312315B (zh) 基因编辑蛋白和组合物向细胞和组织的无载体递送
CN110959039A (zh) 新型cas13b直向同源物crispr酶和系统
CA2932475A1 (en) Delivery, use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of the crispr-cas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targeting disorders and diseases using particle delivery components
CA2915845A1 (en) Delivery, engineering and optimization of system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argeting and modeling diseases and disorders of post mitotic cells
CN106029880A (zh) 核苷酸重复障碍中CRISPR-Cas系统的组合物和使用方法
US10316320B2 (en) Systems comprising non-immunogenic and nuclease resistant nucleic acid origami devices for molecular computation
Mahmoud et al. A cationic lipid mediated CRISPR/Cas9 technique for the production of stable genome edited citrus plants
Wu et al. Genetically encoded DNA origami for gene therapy in vivo
CN106572974A (zh) 用于将分子有效递送到细胞的具有脂质聚集体的组合物和方法
JP2013507934A (ja) 遺伝子療法適用のためのスーパーコイル状ミニサークルdna
Vats et al. Opportunity and challenges for nanotechnology application for genome editing in plants
Sioson et al. Challenges in delivery systems for CRISPR-based genome editing and opportunities of nanomedicine
Yong et al. Clay nanoparticles efficiently deliver small interfering RNA to intact plant leaf cells
KR20230160699A (ko) 나노 입자-crispr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4402B1 (ko) 나노입자-올리고t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메신저 rna 운반체
EP3912629A1 (en) Method for delivering gene in cells
WO2023224352A1 (ko) 나노 입자-crispr 결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유전자 조작 및 이의 제조 방법
RU2663347C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макромолекул в клетки растений
Liu et al. A biomimetic nanoparticle for pDNA delivery and expression in plant cells in a pH-dependent manner
Xue et al. Silica nanoparticle is a possible safe carrier for gene therapy
CN115484990A (zh) 诱导具有基因组序列变异的细胞凋亡的组合物及使用组合物诱导细胞凋亡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