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589A - Fishing reel - Google Patents

Fishing r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589A
KR20230160589A KR1020220060280A KR20220060280A KR20230160589A KR 20230160589 A KR20230160589 A KR 20230160589A KR 1020220060280 A KR1020220060280 A KR 1020220060280A KR 20220060280 A KR20220060280 A KR 20220060280A KR 20230160589 A KR20230160589 A KR 20230160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pool
cam
magnet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6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589A/en
Publication of KR2023016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5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풀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이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홀더에 장착되어, 스풀의 대면부에 대한 마그넷의 간격 조절로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낚싯줄이 권사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의 일측단에 연결된 대면부를 갖는 스풀; 및 상기 대면부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홀더와, 상기 대면부에 대한 대향면을 갖도록 상기 홀더에 장착된 마그넷을 포함한 마그넷 브레이크; 상기 홀더를 전후진시키는 제동력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shing reel in which a magnet that generates braking force on a spool is mounted on a holder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and the braking for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magnet with respect to the facing portion of the spool. The purpos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ool having a drum portion on which fishing line is wound, and a facing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um portion; and a magnet brake including a holder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cing portion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and a magnet mounted on the holder to have an opposing surface to the facing portion. and a braking force control means for moving the holder forward and backward.

Description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 변위되는 마그넷을 구비한 낚시 릴{FISHING REEL}Fishing reel equipped with a magnet whose position is displ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FISHING REEL}

본 발명은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 변위되는 마그넷을 구비한 낚시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이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홀더에 장착되어, 스풀의 대면부에 대한 마그넷의 간격 조절로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eel having a magnet whose position is displ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holder in which the magnet that generates a braking force on the spool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It relates to a fishing reel that is mounted on a fishing reel and can adjust the braking force b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magnet with respect to the facing portion of the spool.

일반적으로 낚시 릴을 캐스팅할 때, 루어의 비행 속도보다 낚싯줄이 풀리는 스풀의 회전 속도가 더 빨라져, 루어의 비거리가 짧아지거나 낚싯줄이 엉키는 것을 백 래쉬(backlash) 현상이라고 한다.In general, when casting a fishing reel, the rotation speed of the spool where the fishing line is released becomes faster than the flight speed of the lure, which shortens the distance of the lure or causes the fishing line to become tangled, which is called a backlash phenomenon.

이러한 백 래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낚시 릴은 크게 물리적인 마찰을 이용하는 마찰 브레이크와, 자성의 인력 작용을 이용하는 마그넷 브레이크를 사용한다.To prevent this backlash phenomenon, fishing reels largely use friction brakes that use physical friction and magnet brakes that use magnetic attraction.

이 중 마그넷 브레이크는 마찰 브레이크와 다른 비접촉식 브레이크로써, 릴 본체에 구비된 복수개의 마그넷 브레이크의 자성을 이용해, 회전하는 스풀에 자성의 인력이 작용하여 스풀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킨다.Among these, the magnet brake is a non-contact brak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riction brake. It uses the magnetism of a plurality of magnet brakes provided in the reel body to apply magnetic attraction to the rotating spool, thereby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pool.

종래의 마그넷 브레이크는 스풀의 일측면에 링 타입의 플레이트를 장착하고, 플레이트와 이격된 일측에 복수개의 마그넷을 원형 배열하여 마그넷과 플레이트가 서로 대면하게 함으로써, 스풀이 고속 회전할 때 마그넷의 자력이 플레이트에 작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백 래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nventional magnet brake mounts a ring-type plate on one side of the spool, and arranges a plurality of magnets in a circle on one sid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so that the magnets and plates face each other, so that when the spool rotates at high spee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s increases. By acting on the plate to generate braking force, it prevents backlash from occurring.

이러한 종래의 마그넷 브레이크는 상기 마그넷이 장착된 홀더를 스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하게 구성되어 있다.This conventional magnet brak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braking force by moving the holder on which the magnet is moun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to adjust the gap.

그런데 종래의 마그넷 브레이크는 서로 대면하게 배치된 마그넷과 플레이트 사이에 미세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므로 제동력의 조정 범위가 좁을 수밖에 없고, 이에 제동력의 조정 범위를 넓히도록 홀더의 이동 거리를 멀게 하면 그만큼 낚시 릴의 본체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agnet brake adjusts the fine gap between the magnets and the plat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adjustment range of the braking force is inevitably narrow. Therefore, 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holder is increased to widen the adjustment range of the braking force, the fishing reel's There is a problem with the main body becoming large.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15-000669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4480호, 공개특허 제10-2012-0112132호, 공개특허 제10-2012-0133584호 등이 있다.For reference, related prior art includes Publication Patent No. 10-2015-0006698,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4480, Publication Patent No. 10-2012-0112132, and Publication Patent No. 10-2012-013358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스풀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이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홀더에 장착되어, 스풀의 대면부에 대한 마그넷의 간격 조절로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shing reel in which a magnet that generates braking force on the spool is mounted on a holder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and the braking for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magnet with respect to the facing portion of the spool.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낚싯줄이 권사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의 일측단에 연결된 대면부를 갖는 스풀; 및A spool having a drum portion on which fishing line is wound, and a facing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um portion; and

상기 대면부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홀더와, 상기 대면부에 대한 대향면을 갖도록 상기 홀더에 장착된 마그넷을 포함한 마그넷 브레이크;a magnet brake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cing portion and including a holder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direction of the spool, and a magnet mounted on the holder to have an opposing surface to the facing portion;

상기 홀더를 전후진시키는 제동력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raking force control means for moving the holder forward and backwar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And 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The braking force control means is,

상기 홀더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홀더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다이얼 캠과,a dial cam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has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holder inward or outward to advance or retract;

사이드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 캠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과,An operating dial provided on the side cover to rotate the dial cam,

상기 홀더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후진 또는 전진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lder outward or inward to move it backward or for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Also 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The braking force control means is,

상기 홀더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홀더를 내외측으로 가압하여 전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다이얼 캠과,a dial cam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has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holder inward and outward to move it forward and backward;

사이드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 캠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operation dial provided on the side cover to rotate the dial cam.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In addition, in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The braking force control means is,

상기 홀더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의 축 방향으로 전후진하고, 상기 홀더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작동 캠과,An operating cam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has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holder inward or outward to advance or retreat;

상기 작동 캠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 캠을 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진시키는 다이얼 캠과,a dial cam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cam and presses the operating cam in the axial direction to advance it;

사이드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 캠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과,An operating dial provided on the side cover and rotating the dial cam,

상기 홀더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후진 또는 전진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lder outward or inward to move it backward or forward.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마그넷이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스풀의 대면부와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마그넷의 이동 거리를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마그넷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보다 넒은 범위에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agne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to adjust the gap with the facing part of the spool, thereby maximiz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agnet, which has the effect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braking force of the magnet brake over a wider range.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의 요부 결합 사시도.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b, 도 7c는 도 7a의 작동 상태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프링 타입의 클릭음 발생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b and 7c are side views of Figure 7a in each operating state.
Figure 8 is a mai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ball spring type clicking sound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posting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signs, especially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same tens, one's, and alphabet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can be understood as a member that complies with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simplified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as a resul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reted as limited.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 examples (sun, aspect, aspect)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by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 names are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For convenience in explaining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 approximate, non-strict direction standard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irection in which gravity acts is set to the bottom, and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e determined as shown, and the directions related to other drawings ar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the direction is specifi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this stand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ish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 변위되는 마그넷을 구비한 낚시 릴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미도시)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스풀(10), 상기 스풀(10)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브레이크, 상기 마그넷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동력 조절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eel having a magnet whose position is displ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As shown in FIGS. 1 to 7C, the spool (10) is largely installed on a frame (not shown) and rotates. ), a magnet brake that generates braking force on the spool 10, and a braking force adjustment means that adjusts the braking force of the magnet brake.

그리고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스풀 커버(30)가 결합된 팜(palm)측 사이드 커버(70)가 프레임의 일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팜측 사이드 커버(70)의 탈착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사이드 커버(70)의 내측에서 상기 스풀 커버(30)의 외주면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락킹 레버(L)가 프레임에 걸림 구조로 탈착되는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And in the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palm side cover 70 to which the spool cover 30 is coupled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rame is representatively shown, and in this case, the palm side cover 70 The detachment structure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In the drawing, the locking lever (L) coupled to rotate abou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cover 30 on the inside of the side cover 70 as an axis is locked to the frame. An example of detachment can be confirmed.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 등의 낚시 릴의 나머지 기본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The remaining basic components of the fishing reel, such as the frame not shown in the drawings, are known, and description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낚싯줄이 권사되는 드럼부(11)와, 상기 드럼부(11)의 일측단에 연결된 대면부(12)를 갖는 스풀(10); 및A spool (10) having a drum portion (11) on which fishing line is wound, and a facing portion (1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um portion (11); and

상기 대면부(12)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스풀(10)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홀더(20A)(20B)(20C)(20D)와, 상기 대면부(12)에 대한 대향면을 갖도록 상기 홀더(20A)(20B)(20C)(20D)에 장착된 마그넷(M)을 포함한 마그넷 브레이크;Holders 20A, 20B, 20C, and 20D are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cing portion 12 and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and on the facing portion 12. A magnet brake including a magnet (M) mounted on the holder (20A) (20B) (20C) (20D) to have an opposing surface to the holder (20A) (20B) (20C) (20D);

상기 홀더(20A)(20B)(20C)(20D)를 전후진시키는 제동력 조절수단;을 포함한다.It includes a braking force adjustment means for moving the holders (20A) (20B) (20C) (20D) forward and backward.

여기서 상기 마그넷(M)의 대향면이란 자력이 크게 발생하는 일정 면적 이상의 양면이 상기 스풀(10)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내외측으로 서로 대면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Here, the opposing surface of the magnet (M) refers to a form in which both surfaces of a certain area or more, where a larg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face each other inside and outsid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종래의 마그넷 브레이크의 경우 스풀(10)의 축 방향을 향하는 마그넷(M)의 내측면이 스풀(10)의 일측 플레이트에 대해 대면하는 형태로써, 마그넷(M)의 자력이 스풀(10)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반해,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agnet brake,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 (M) fac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faces one side plate of the spool (10),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 is applied to the axis of the spool (10). While it acts in the direction

본 발명은 마그넷(M)의 자력이 스풀(10)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스풀(10)의 직경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 act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이에 상기 스풀(10)은 상기 마그넷(M)의 내외측 대향면 중 일면에 대면하도록, 상기 대면부(12)가 상기 드럼부(11)의 일측단에서 상기 스풀(10)의 축 방향으로 연장 연결되어 원통 형상을 갖는다.Accordingly, the facing portion 12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from one end of the drum portion 11 so that the spool 10 faces one of the inner and outer opposing surfaces of the magnet M. They are connected and have a cylindrical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상기 드럼부(11)의 일측단에서 직각(80~90도)에 가깝게 절곡되어 외경이 넓어지는 측벽부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13)가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어 있는 스풀(10)(딥 스풀)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예를 들어 스풀(10) 전체가 완전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the flange portion 13 is connected to protrud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portion that is bent close to a right angle (80 to 90 degrees) at one end of the drum portion 11 and has a wide outer diameter. The spool 10 (deep spool) is representatively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ntire spool 10 may be formed in a completely cylindrical shape).

본 명세서와 같은 딥 스풀의 경우 스풀(10)의 일측 플랜지부(13)에 상기 대면부(12)가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다.In the case of a deep spool a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acing portion 12 protrudes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13 on one side of the spool 10.

그리고 상기 홀더(20A)(20B)(20C)(20D)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And the holders 20A, 20B, 20C, and 20D are divided into plural pieces and arranged radially.

즉, 극단적인 일례로 원호 형상을 갖는 1개의 홀더가 구비되어 대면부(12)의 일부면에 대해 자력이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복수개의 홀더(20A)(20B)(20C)(20D)를 스풀(10)의 둘레 방향으로 방사상 배열하여 스풀(10)의 대면부(12) 전체에 마그넷(M)의 자력이 균일하게 작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an extreme example, it is possible for one holder having an arc shape to apply magnetic force to a part of the face of the facing portion 12, but a plurality of holders 20A, 20B, 20C, and 20D are used.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 magnets radi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so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s M acts uniformly on the entire facing portion 12 of the spool 10.

이때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A)(20B)(20C)는 상기 대면부(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마그넷(M)이 상기 대면부(12) 내측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마그넷(M)의 자력이 상기 대면부(12)이 내주면에 작용할 수도 있고,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to 6B, the holders 20A, 20B, and 20C are radially arrang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cing portion 12, so that the magnet M is positioned on the facing portion 12. By being accommodated inside the portion 12,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 may ac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cing portion 12,

또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홀더(20D)는 상기 스풀(10)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대면부(12)의 외측에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며,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7A to 7C, the fourth holder 20D may be arranged outside the facing portion 12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동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홀더(20A)(20B)(20C)가 대면부(12)의 내측에 배열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예를 기초로 제4 홀더(20D)가 대면부(12)의 외측에 배열된 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한다.In relation to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holders 20A, 20B, and 20C are arranged inside the facing portion 12, and the fourth holder based on the first embodiment An embodiment in which (20D) is arranged outside the facing portion 12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발명의 핵심으로써, 상기 마그넷 브레이크와 제동력 조절수단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지며, 실시예별로 동일한 명칭의 구성을 제1, 제2, 제3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A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 brake and the braking force adjustment means varies depending on the specific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with the same name are divided into first, second, third, etc. for each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써,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First,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A to 3B,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The braking force control means is,

제1 홀더(20A)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1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홀더(20A)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제1 다이얼 캠(40A)과,A first dial cam (40A)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on one side of the first holder (20A) and has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first holder (20A) inward or outwar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class,

사이드 커버(7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다이얼 캠(40A)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50)과,An operation dial 50 provided on the side cover 70 to rotate the first dial cam 40A,

상기 제1 홀더(20A)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후진 또는 전진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It include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holder 20A outward or inward to move it backward or forward.

3개의 홀더(20A)가 채용된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1 홀더(20A)는 원호 형상으로 외주면에 제1 장착홈(21)을 구비하고, 내측에 제2 장착홈(22)을 구비한다.Describing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ree holders (20A) are employed, first, the first holder (20A) has a first mounting groove (2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shape of an arc,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22) on the inner side. ) is provided.

상기 제1 장착홈(21)에는 상기 마그넷(M)이 끼워져 장착되며, 이때 마그넷(M)의 형태 및 개수에 제한이 없다.The magnet (M)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21), and 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 to the shape and number of magnets (M).

다만 1개의 제1 홀더(20A)에 코인형 마그넷(M)을 복수개 장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별로 마그넷(M)의 개수를 조절하여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desirable to allow a plurality of coin-type magnets (M) to be mounted on one first holder (20A) so that the number of magnets (M) can be adjusted and set for each user.

상기 제2 장착홈(22)에는 상기 마그넷(M)의 자력이 작용하는 원호 플레이트(23)가 끼워져 장착된다.The arc plate 23 on whic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 acts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22.

상기 원호 플레이트(23)는 상기 마그넷(M)과의 인력 작용으로 각 마그넷(M)의 이탈을 방지한다.The arc plate 23 prevents each magnet M from being separated by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magnet M.

이러한 원호 플레이트(23)는 금속 재질 또는 마그넷(M)과 다른 극성의 마그넷으로 형성되어, 각 마그넷(M)이 홀더(20A)(20B)(20C)(20D)들의 중앙를 향해 자력 부착됨에 따라 제1 장착홈(21)의 외부로 마그넷(M)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is arc plate 23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magnet of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magnet M, and each magnet M is magnetically attached toward the center of the holders 20A, 20B, 20C, and 20D. 1 Prevent the magnet (M)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ounting groove (21).

아울러 상기 제1 홀더(20A)는 상기 제1 장착홈(21)의 타측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된 고정 플레이트(24)를 포함하여, 상기 마그넷(M)의 이탈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first holder 20A includes a fixing plate 24 coupled to cover the other opening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21 to prevent the magnet M from being separated.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24)는 마그넷(M)이 맞닿는 면에 마그넷(M)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내홈(43)이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홀더(20A)의 전후진 시 마그넷(M)을 가이드하며,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24)는 후술하는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is fixing plate 24 has a guide groove 43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into which a part of the magnet M is insert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agnet M, so that when the first holder 20A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magnet M guides, and this fixing plate 24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제1 홀더(20A)는 제1 스풀 커버(30)의 타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전후진이 안내된다.And the first holder (20A) is sliding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pool cover (30) to guid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이를 위해 상기 제1 스풀 커버(30)는 타측면(내측면)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제1 홀더(20A)들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중앙돌부(31) 외측에 스풀 커버(30)의 직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32)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구비되고,For this purpose, the first spool cover 30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inner side) and has a predetermined area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pool cover 30 on the outside of the central protrusion 31 that forms the center of the first holders 20A. Guide grooves 32 having a length are arranged radially,

상기 제1 홀더(20A)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32)에 끼워지며 제1 다이얼 캠(40A)의 가압돌부(42)에 접촉하는 제1 피가압돌기(25)가 구비된다.The first holder 20A protrudes to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pressurized protrusion 25 that contacts the pressing protrusion 42 of the first dial cam 40A.

아울러 상기 제1 피가압돌기(25)는 그 끝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결되어, 상기 제1 다이얼 캠(40A)의 안내홈(43)으로 삽입되어서, 안내홈(43)과 동일한 높이의 가압돌부(4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first pressurized protrusion 25 is bent inward and connected,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3 of the first dial cam 40A, so that the pressurized protrusion has the same height as the guide groove 43.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ntacted at (42).

이때 각 제1 홀더(20A)의 제1 피가압돌기(25)들은 서로 다른 길이(높이)를 가져, 절곡 부위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각 제1 피가압돌기(25)가 가압돌부(42)가 형성되지 않은 빈 공간인 안내홈(43)으로 끼워진다.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ized protrusions 25 of each first holder 20A have different lengths (heights), and the bent portions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each first pressurized protrusion 25 is a pressurized protrusion ( 4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3, which is an empty space not formed.

그리고 제1 다이얼 캠(40A)은 타측면 중앙에서 돌출된 기둥부(41)와, 상기 기둥부(4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되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돌출 높이가 점증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피가압돌기(25)를 지지하는 가압돌부(42)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부(42)가 제1 실시예의 캠부를 형성하게 된다.And the first dial cam 40A is formed with a pillar portion 41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and a pillar portion 41 that protrude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41 and has a protruding height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first dial cam 40A It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42 that supports the pressing protrusion 25, and the pressing protrusion 42 forms the cam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가압돌부(42)는 서로 다른 길이의 제1 제1 피가압돌기(25)들 각각의 형성 높이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가압돌부(42)가 상기 기둥부(4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돌출되어 가압돌부(42)와 동일한 높이에 빈 공간인 안내홈(43)이 형성되어, 각 제1 피가압돌기(25)가 각 가압돌부(42)의 안내홈(43) 상에 삽입되어 위치한다.The pressing protrusion 42 corresponds to the formation height of each of the first pressurized protrusions 25 of different lengths, and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42 are formed at different length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41. A guide groove 43 that protrudes from a height and is an empty space at the same height as the pressure protrusion 42 is formed, and each first pressurized protrusion 25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3 of each press protrusion 42. and is located.

이러한 제1 다이얼 캠(40A)은 상기 제1 스풀 커버(30)의 일측면(외측면) 중앙에서 돌출된 축돌기(33)에 상기 기둥부(41)가 끼워져 축설되어 회전하며, 일측면에 조작 다이얼(50)이 결합되어 있다.This first dial cam (40A) rotates by inserting the pillar portion (41) into the shaft protrusion (33)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one side (outer side) of the first spool cover (30), and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al cam (40A). An operation dial 50 is coupled.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상기 사이드 커버(70)의 축공(71)에 끼워져 회전 조작 가능한 것으로, 상기 축공(71)의 내주면에 형성된 톱니부(711)에 걸리는 탄성핀(51)을 포함한다.The operation dial 50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71 of the side cover 70 and can be rotated, and includes an elastic pin 51 caught on a toothed portion 711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hole 71.

그리고 제1 실시예의 탄성체는 상기 제1 홀더(20A)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20S)으로 구성된다.And the elastic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20S) that presses the first holder (20A) inward.

이를 위해 상기 제1 홀더(20A)는 상기 제1 피가압돌기(25)의 외측면에 지지홈(26)이 형성되고, For this purpose, the first holder 20A has a support groove 26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ized protrusion 25,

상기 스풀 커버(30)는 상기 가이드홈(32)의 외측단에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고,The spool cover 30 has a seating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outer end of the guide groove 32,

상기 압축스프링(20S)은 양단이 상기 지지홈(26)과 안착홈에 지지되도록 스풀(10)의 직경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1 홀더(20A)를 내측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compression spring 20S is moun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groove 26 and the seating groove,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holder 20A inward.

이러한 제1 실시예는, In this first embodiment,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일방향(도 3b의 원내 평면도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압돌부(42)가 제1 피가압돌기(25)를 외측으로 밀어서 제1 홀더(20A), 즉 마그넷(M)을 대면부(12)에 근접하게 이동시켜 제동력이 증가하고,When the operation dial 5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clockwise based on the inner plan view of FIG. 3b), the pressing protrusion 42 pushes the first pressurized protrusion 25 outward to form the first holder 20A, that is, the magnet ( By moving M) closer to the facing portion 12, braking force increases,

또한 반대로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타방향(도 3b의 원내 평면도 기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피가압돌기(25)에 대한 상기 가압돌부(42)의 가압이 해소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20S)의 탄성력이 상기 제1 피가압돌기(25)에 작용하여 제1 홀더(20A), 즉 마그넷(M)을 대면부(12)에서 멀어지게 이동시켜 제동력이 감소하며,Also, 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ion dial 5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inner plan view of FIG. 3b),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rotrusion 42 on the first pressurized protrusion 25 is relieved and the compression spring is compressed. The elastic force of (20S) acts on the first pressed protrusion 25 to move the first holder 20A, that is, the magnet M, away from the facing portion 12, thereby reducing the braking force,

이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 다이얼(50)로 상기 마그넷(M)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자신에게 맞는 제동력을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agnet (M) using the control dial 50 to set and use a braking force suitable for the user.

그리고 제4 홀더(20D)가 대면부(12)의 외측에 배열된 변형 실시예로써,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d as a modified embodiment in which the fourth holder 20D is arranged outside the facing portion 12, as shown in FIGS. 7A to 7C,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축스프링(20S)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돌부(42)의 가압이 해소됨에 따라 압축스프링(20S)의 탄성력이 제4 홀더(20D)에 작용하여 제4 홀더(20D), 즉 마그넷(M)이 대면부(12)에 근접하게 이동하여 제동력이 증가되고,When the operation dial 5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pressure on the pressing protrusion 42 is relie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20S,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20S acts on the fourth holder 20D to hold the fourth holder 20D. 4 The holder (20D), that is, the magnet (M) moves closer to the facing portion (12), thereby increasing the braking force,

반대로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돌부(42)가 제4 홀더(20D)를 외측으로 밀어서 제4 홀더(20D), 즉 마그넷(M)이 대면부(1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여 제동력이 감소한다.Conversely, when the operation dial 5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pressing protrusion 42 pushes the fourth holder 20D outward, causing the fourth holder 20D, that is, the magnet M, to move away from the facing portion 12. As a result, braking force decreases.

이러한 제4 홀더(20D)의 전후진 작동은 후술하는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작동 메커니즘으로 변형되어 설계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fourth holder 20D may be designed by modifying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2개의 홀더(20B)를 채용한 제2 실시예는, 제2 홀더(20B)와 제2 다이얼 캠(40B)의 세부적인 연결 및 작동 구조에서만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회전하는 제2 다이얼 캠(40B)을 통해 캠 구조로 제2 홀더(20B)가 전후진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갖는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employing two holders 20B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detailed connection and operating structure of the second holder 20B and the second dial cam 40B, and in the rotating It has a mechanism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econd holder 20B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 cam structure through the second dial cam 40B.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Specific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raking force adjustment means, as shown in FIGS. 4 to 5B,

제2 홀더(20B)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1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홀더(20B)를 내외측으로 가압하여 전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제2 다이얼 캠(40B)과,A second dial cam (40B)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on one side of the second holder (20B) and having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second holder (20B) inward and outwar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사이드 커버(70)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다이얼 캠(40B)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50)을 포함한다.It includes an operation dial 50 provided on the side cover 70 to rotate the second dial cam 40B.

상기 제2 홀더(20B)는 상기 제1 홀더(20A)와 같이, 내외측면에 각각 제1 장착홈(21)과 제2 장착홈(22)을 구비하며, 각 장착홈(21)(22)에 마그넷(M)과 원호 플레이트(23)가 끼워져 장착된다.Like the first holder 20A, the second holder 20B has first mounting grooves 21 and second mounting grooves 22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respectively, and each mounting groove 21 and 22 The magnet (M) and the arc plate (23) are inserted and mounted.

이러한 제2 홀더(20B)는 상기 제2 스풀 커버(30)의 가이드홈(32)에 끼워지는 제2 피가압돌기(27)가 일측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제2 피가압돌기(27)는 원형의 봉 형상을 갖는다.This second holder 20B has a second pressurized protrusion 27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of the second spool cover 30 and protrudes on one side. At this time, the second pressurized protrusion 27 is circular. It has a rod shape.

그리고 상기 제2 다이얼 캠(40B)은 상기 제2 스풀 커버(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축부(34)에 축설되어 회전하며, 일측면에 조작 다이얼(50)이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ial cam 40B rotates by being installed on the shaft portion 3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pool cover 30, and an operating dial 50 is coupled to one side.

아울러 상기 제2 다이얼 캠(40B)은 타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피가압돌기(27)가 끼워지되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제2 다이얼 캠(40B)의 중심부와의 거리가 점증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피가압돌기(27)를 가압하는 가압홈부(44)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홈부(44)가 제2 실시예의 캠부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dial cam (40B)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second pressurized protrusion (27) is inserted,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dial cam (40B)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gradually increases. It includes a pressing groove portion 44 that is formed to press the second pressurized protrusion 27, and the pressing groove portion 44 forms the cam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가압홈부(44)는 제2 다이얼 캠(40B)의 평면을 기준으로, 일측단이 제2 다이얼 캠(40B)의 중심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타측단이 제2 다이얼 캠(40B)의 테두리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나선형(회오리형, 소용돌이형)과 유사한 모양으로 연결된다.The pressing groove 44 is formed at one end close to the center of the second dial cam 40B,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second dial cam 40B, and at the other end near the center of the second dial cam 40B. It is formed near the edge and connected in a shape similar to a spiral (vortex, vortex).

이에 상기 제2 피가압돌기(27)가 직선형의 가이드홈(32)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홈부(44)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2 다이얼 캠(40B)이 회전하면 상기 가압홈부(44)를 따라 상기 제2 피가압돌기(27)가 직경 방향으로 전후 위치가 달라진다.Accordingly, since the second pressurized protrusion 27 penetrates the straight guide groove 32 and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groove 44, when the second dial cam 40B rotates, it moves along the pressing groove 44.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essurized protrusion 27 changes i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in the radial direction.

이러한 제2 실시예는,This second embodiment,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일방향(도 5b의 원내 평면도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피가압돌기(27)가 상기 가압홈부(44)를 따라 제2 다이얼 캠(40B)의 테두리부를 향해 밀려서 제2 홀더(20B), 즉 마그넷(M)을 대면부(12)에 근접하게 이동시켜 제동력이 증가하고,When the operation dial 5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clockwise based on the plan view of the circle in FIG. 5B), the second pressurized protrusion 27 moves along the pressing groove 44 toward the edge of the second dial cam 40B. By being pushed, the second holder (20B), that is, the magnet (M), is moved closer to the facing portion (12), thereby increasing the braking force,

또한 반대로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타방향(도 5b의 원내 평면도 기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 피가압돌기(27)가 상기 가압홈부(44)를 따라 제2 다이얼 캠(40B)의 중심부를 향해 밀려서 제2 홀더(20B), 즉 마그넷(M)을 대면부(12)에서 멀어지게 이동시켜 제동력이 감소한다.Also, 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ion dial 5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plan view of the circle in FIG. 5B), the second pressurized protrusion 27 moves along the pressurizing groove 44 to form the second dial cam 40B. is pushed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holder (20B), that is, the magnet (M) moves away from the facing portion (12), thereby reducing the braking force.

한편 2개의 홀더(20C)를 채용한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스풀(10)의 축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작동 캠(60)을 통해 제3 홀더(20C)의 위치를 전후로 가변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Meanwhile, the third embodiment employing two holders 20C,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uses the third holder (20C) through an operating cam 60 that operat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The difference is that the position of 20C) is changed back and forth.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Specifically, in the third embodiment, the braking force control means, as shown in FIGS. 6A and 6B,

제3 홀더(20C)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10)의 축 방향으로 전후진하고, 상기 제3 홀더(20C)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작동 캠(60)과,An operating cam 60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on one side of the third holder 20C and has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third holder 20C inward or outwar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상기 작동 캠(60)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1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 캠(60)을 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진시키는 제3 다이얼 캠(40C)과,a third dial cam (40C)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cam (60) and presses the operating cam (60) in the axial direction to advance it;

사이드 커버(70)에 구비되어 상기 제3 다이얼 캠(40C)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50)과,An operation dial 50 provided on the side cover 70 to rotate the third dial cam 40C,

상기 제3 홀더(20C)를 내외측 또는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후진 또는 전진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It include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third holder 20C inward or outward to move it backward or forward.

상기 제3 홀더(20C)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측면에 마그넷(M)이 장착되고, 내측면에 원호 플레이트(23)가 장착된다.Like other embodiments, the third holder 20C is equipped with a magnet M on its outer surface and an arc plate 23 on its inner surface.

이러한 제3 홀더(20C)는 직경 방향 내측면에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스풀(10)의 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면(28)이 구비된다.This third holder 20C is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28 on its radial inner surface inclined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from the radial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그리고 상기 작동 캠(60)은 제3 스풀 커버(30)의 축부(34)에 외삽되어 축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되, 상기 제3 스풀 커버(30)를 관통하여 연결되어 끝단부에 상기 제1 경사면(28)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611)이 구비된 가압부(61)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61)가 제3 실시예의 캠부를 형성하게 된다.And the operating cam 60 is extrapolated to the shaft portion 34 of the third spool cover 30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third spool cover 30 to provide the first spool cover 30 at an end. It includes a pressing portion 61 provid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611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28, and the pressing portion 61 forms the cam portion of the third embodiment.

이러한 작동 캠(60)은 일측면(외측면)에 상기 가압홈부(44)와 유사한 나선형의 캠홈부(62)가 구비된다.This operating cam 60 is provided with a spiral cam groove 62 similar to the pressing groove 44 on one side (outer side).

상기 제3 다이얼 캠(40C)은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이때 내측면(타측면)에는 상기 캠홈부(62)로 끼워져 면접하는 지지돌부(45)가 돌출되어 있다.The third dial cam 40C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dial 50 and rotates together, and at this time, a support protrusion 45 that is inserted into the cam groove 62 and faces the surface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ther side). It is done.

상기 캠홈부(62)와 지지돌부(45)는 각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최저점과 최고점이 경사지게 연결된 형태로써, 상기 캠홈부(62)의 최저점과 최고점이 각각 상기 지지돌부(45)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면접할 때, 상기 작동 캠(60)이 축 방향으로 후진하여 상기 제3 홀더(20C)에서 최대치로 멀어지고, 상기 제3 다이얼 캠(40C)이 회전하면 상기 캠홈부(62)와 지지돌부(45)의 면접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작동 캠(60)이 상기 제3 홀더(20C)를 향해 전진 작동한다.The cam groove portion 62 and the support protrusion 45 are formed so that the lowest point and the highest point are obliquely connected along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west point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cam groove portion 62 are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of the support protrusion 45, respectively. When interviewing, the operating cam 60 moves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and moves away from the third holder 20C to the maximum, and when the third dial cam 40C rotates, the cam groove 62 and the support protrusion As the surface height of 45 changes, the operating cam 60 moves forward toward the third holder 20C.

그리고 제3 실시예의 탄성체는 상기 제3 홀더(20C)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2 압축스프링(20S)으로 구성된다.And the elastic body of the third embodiment is composed of a second compression spring (20S) that presses the third holder (20C) outward.

이를 위해 상기 제3 홀더(20C)는 상기 마그넷(M)의 일측으로 연장 연결된 가이드부의 외측면에 상기 제2 압축스프링(20S)이 끼워지는 끼움홈(29)을 구비하고,To this end, the third holder (20C) is provided with an fitting groove (29) into which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20S) is inse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magnet (M),

상기 제2 압축스프링(20S)은 양단이 제3 스풀 커버(30)의 측벽부와 상기 끼움홈(29)에 지지되도록 스풀(10)의 직경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3 홀더(20C)를 내측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20S) is moun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pool (10)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side wall of the third spool cover (30) and the fitting groove (29), thereby supporting the third holder (20C). Elastically supported medially.

이러한 제3 실시예는,This third embodiment,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3 다이얼 캠(40C)에 의해 상기 작동 캠(60)이 축 방향으로 후진하면서 상기 제2 경사면(611)이 제1 경사면(28)을 타고 내려가면서 제3 홀더(20C)를 외측으로 밀어서 마그넷(M)을 대면부(12)에 근접하게 이동시켜 제동력이 증가하고,When the operation dial 5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operation cam 60 moves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third dial cam 40C,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11 moves dow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8. As the third holder (20C) is pushed outward, the magnet (M) is moved closer to the facing portion (12), thereby increasing the braking force.

또한 반대로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3 다이얼 캠(40C)이 전진함에 따라 제2 경사면(611)의 가압이 해소되면서 상기 제2 압축스프링(20S)의 탄성력이 상기 제3 홀더(20C)에 작용하여 마그넷(M)을 대면부(12)에서 멀어지게 이동시켜 제동력이 감소한다. Also, 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ion dial 5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s the third dial cam 40C advances, the pressure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11 is relieved,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20S increases. It acts on the third holder 20C to move the magnet M away from the facing portion 12, thereby reducing the braking forc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탄성핀(51)을 대신하는 볼 스프링 타입의 클릭음 발생수단을 도입하여, 조작 다이얼(50)의 고정력 및 회전 안정성을 향상시켰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ixation force and rotational stability of the operation dial 50 by introducing a ball spring type click sound generating means instead of the elastic pin 51.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릭음 발생수단은,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타측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돌출단(52)에 구비되되,As shown in FIG. 8, the click sound generating means is provided on a protruding end 52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dial 50,

상기 돌출단(52)의 직경 방향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인출홀(B11)과, 상기 돌출단(52)의 내부에서 상기 인출홀(B1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B12)과, 상기 돌출단의 직경 방향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B13)을 포함한 전후진홈부(B1),A draw-out hole (B11) formed through a radial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end (52), a guide hole (B12) formed inside the protruding end (5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out hole (B11), A forward and backward groove portion (B1) including a fitting groove (B13) formed on the radial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end,

상기 인출홀(B11)에 끼워져 출몰하되, 외측 전단부에 상기 톱니부(711)의 홈에 삽입 가능한 볼부재(B)가 결합되어 있고, 내측으로 푸시돌기(B21)가 후방으로 연장 연결된 가압봉(B2), A pressure rod is inserted into and appears in the draw-out hole (B11), and a ball member (B) insertable into the groove of the tooth portion 711 is coupled to the outer front end, and a push protrusion (B21) is connected to the inside extending rearward. (B2),

상기 가이드홀(B12)에 끼워져 상기 가압봉(B2)의 좌우로 각각 전후진하게 결합하되, 상기 가압봉(B2)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볼(B3),A pair of first support balls (B3)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B12) and coupled forward and backwar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ressure rod (B2), respectively, and in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pressure rod (B2),

상기 끼움홈(B13)에 끼워져 전후진하게 결합하되 상기 푸시돌기(B21)에 접촉하는 제2 지지볼(B4),A second support ball (B4)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B13) and coupled forward and backward, but in contact with the push projection (B21),

상기 가이드홀(B12)과 끼움홈(B13)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볼(B3) 및 제2 지지볼(B4)을 각각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B5)(B6)들을 포함한다.Compression springs (B5) (B6) provided in the guide hole (B12) and the fitting groove (B13) respectively to elastically support the pair of first support balls (B3) and second support balls (B4) inward, respectively. includes them.

상기 가압봉(B2)은 전면에 상기 볼부재(B)가 자유 회전하게 끼워지는 안착홈을 가지면서 후면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후면부 중앙에 상기 푸시돌기(B21)가 소정 길이로 길게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다. The pressure rod (B2) has a seating groove on the front side into which the ball member (B) freely rotates, and the rear portion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ush protrusion (B21) protrudes and connects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center of the rear portion. It is done.

이러한 가압봉(B2)은 상기 인출홀(B11)에 끼워지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걸림돌기를 통해 인출홀(B11)에서 이탈하지 않게 결합된다.This pressure rod (B2) is inserted into the draw-out hole (B11), and is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draw-out hole (B11) through a stopping protrusion (not shown in the drawing).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볼(B3)들 및 제2 지지볼(B4)은 각각의 압축스프링(B5)(B6)에 의해 전진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And the first support balls B3 and the second support balls B4 are elastically supported to move forward by the respective compression springs B5 and B6.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B5)(B6)들의 탄성 작용으로 제1 지지볼(B3)들 및 제2 지지볼(B4)이 전진하여 상기 가압봉(B2)을 전방으로 밀어서 인출시킴에 따라 상기 볼부재(B)가 상기 톱니부(711)의 홈들 중 하나에 삽입되어 걸린다.Therefore, due to the elastic action of the compression springs (B5) (B6), the first support balls (B3) and the second support balls (B4) advance and push the pressure bar (B2) forward to withdraw the ball member. (B) is inserted and caught in one of the grooves of the toothed portion 711.

이 상태에서 조작 다이얼(50)이 회전하면, 상기 볼부재(B)가 상기 톱니부(711)이 돌출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먼저 제1 지지볼(B3)들이 각각 좌로 밀리면서 제1 스프링(B5)들이 압축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on dial 50 rotates, the ball member B is pushed backward by the tooth portion 711 by the protrusion, so that the first support balls B3 are each pushed to the left and the first support balls B3 are pushed to the left. Springs B5 are compressed.

동시에 상기 가압봉(B2)은 상기 푸시돌기(B21)가 상기 제2 지지볼(B4)을 후방으로 밀어서 제2 스프링(B6)이 압축된다.At the same time, the push protrusion B21 of the pressing rod B2 pushes the second support ball B4 rearward, thereby compressing the second spring B6.

이 상태에서 상기 볼부재(B)가 상기 톱니부(711)의 다른 홈에 진입하면, 상기 제1, 제2 압축스프링(B5)(B6)의 탄성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상기 가압봉(B2)을 밀어서 상기 볼부재(B)가 톱니부(711)의 홈에 삽입된다.In this state, when the ball member (B) enters another groove of the toothed portion (711),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ion springs (B5) and (B6) acts simultaneously to press the pressure rod (B2). By pushing, the ball member (B)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toothed portion (711).

이러한 볼스프링 타입의 클릭음 발생수단은, 2종의 압축스프링(B5)(B6)들로 3중의 탄성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고장력의 스프링을 대신해 충분한 압력으로 볼부재(B)의 가압이 가능해지며, 일반적인 볼스프링에 비해 볼부재(B)의 전후 행정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고장력의 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콤팩트한 설계로 장착 공간을 최소화하여, 다이얼 캠(40A)(40B)(40C)들과의 결합을 저해하지 않도록 부품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하고, 클릭음이 크게 발생하게 할 수 있다.This ball spring type click sound generating means enables triple elastic support with two types of compression springs (B5) and (B6), enabling the ball member (B) to be pressurized with sufficient pressure instead of a high tension spring. , As the front and rear stroke distance of the ball member (B) is smaller than that of a general ball spring, the installation space is minimized with a compact design even without using a long high-tension spring, and dial cams (40A) (40B) (40C)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miniaturization of parts so as not to impair the combination, while securing sufficient fixing force and generating a loud clicking soun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낚시 릴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ing reel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스풀
20A, 20B, 20C, 20D : 홀더
30 : 스풀 커버
40A, 40B, 40C : 다이얼 캠
50 : 조작 다이얼
60 : 작동 캠
70 : 사이드 커버
*Explanation of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Spool
20A, 20B, 20C, 20D : Holder
30: Spool cover
40A, 40B, 40C: Dial Cam
50: operation dial
60: operating cam
70: Side cover

Claims (4)

낚싯줄이 권사되는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의 일측단에 연결된 대면부를 갖는 스풀; 및
상기 대면부의 둘레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스풀의 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홀더와, 상기 대면부에 대한 대향면을 갖도록 상기 홀더에 장착된 마그넷을 포함한 마그넷 브레이크;
상기 홀더를 전후진시키는 제동력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A spool having a drum portion on which fishing line is wound, and a facing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um portion; and
a magnet brake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cing portion and including a holder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direction of the spool, and a magnet mounted on the holder to have an opposing surface to the facing portion;
A fishing reel comprising a braking force control means for moving the holder forward and back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
상기 홀더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홀더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다이얼 캠과,
사이드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 캠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과,
상기 홀더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후진 또는 전진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ing force control means is,
a dial cam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has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holder inward or outward to advance or retract;
An operating dial provided on the side cover to rotate the dial cam,
A fishing reel comprising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lder outward or inward to move it backward or for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
상기 홀더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홀더를 내외측으로 가압하여 전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다이얼 캠과,
사이드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 캠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ing force control means is,
a dial cam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has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holder inward and outward to move it forward and backward;
A fishing reel comprising an operating dial provided on a side cover to rotate the dial c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조절수단은,
상기 홀더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의 축 방향으로 전후진하고, 상기 홀더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부를 구비한 작동 캠과,
상기 작동 캠의 일측에서 상기 스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 캠을 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진시키는 다이얼 캠과,
사이드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 캠을 회전시키는 조작 다이얼과,
상기 홀더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후진 또는 전진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ing force control means is,
An operating cam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has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holder inward or outward to advance or retreat;
a dial cam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ool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cam and presses the operating cam in the axial direction to advance it;
An operating dial provided on the side cover and rotating the dial cam,
A fishing reel comprising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lder outward or inward to move it backward or forward.
KR1020220060280A 2022-05-17 2022-05-17 Fishing reel KR202301605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80A KR20230160589A (en) 2022-05-17 2022-05-17 Fishing r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80A KR20230160589A (en) 2022-05-17 2022-05-17 Fishing r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589A true KR20230160589A (en) 2023-11-24

Family

ID=8897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280A KR20230160589A (en) 2022-05-17 2022-05-17 Fishing r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05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206B1 (en) Brake mechanism for spool and fishing reel
KR101790778B1 (en) Bait casting reel
JP6769592B2 (en) Bar member feeding device
KR20000028605A (e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US20130292504A1 (en) Fishing reel having centrifugal brake system
US10912290B2 (en) Magnetic damping mechanism of a fishing reel
KR101759372B1 (en) Webbing take-up device
US7408721B2 (en) Zoom lens
KR20230160589A (en) Fishing reel
KR20010067073A (en) Self positioning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US11950583B2 (en) Fishing reel
US10798928B2 (en) Bait casting reel
CN111480626B (en) Dual-bearing type reel
US11402001B2 (en) Ball screw assembly and open nut thereof
CN112616787B (en) Fishing reel with fixed constant-acting brake and movable inertia brake
KR200345066Y1 (en) bait reel for fishing
US20050178869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JP2005245365A (en) Brake structure of device for preventing spool back rush of fishing bait reel
JP7220769B2 (en) Spool braking device using eddy current and fishing reel provided with the same
JP2020043853A (en) Drag mechanism, spinning reel device using drag mechanism, and double-bearing reel device using drag mechanism
WO2018013446A1 (en) Reel for a fly rod with drag assembly
EP0748587A2 (en) Spinning Reel
JP2001017044A (en) Brake for reel supported with bearings at both ends
JP2000333570A (en) Reel for fishing
KR200176928Y1 (en) One way clutch bearing for fishing re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