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137A -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137A
KR20230160137A KR1020220059840A KR20220059840A KR20230160137A KR 20230160137 A KR20230160137 A KR 20230160137A KR 1020220059840 A KR1020220059840 A KR 1020220059840A KR 20220059840 A KR20220059840 A KR 20220059840A KR 20230160137 A KR20230160137 A KR 2023016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retary
interface
function
mode
c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혜
차한울
이석규
김슬기
최인혜
최태준
김대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2005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137A/ko
Priority to JP2023081060A priority patent/JP2023169135A/ja
Priority to US18/318,601 priority patent/US20230370403A1/en
Publication of KR2023016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Abstract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비서 기능의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및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ING SERVICE}
아래 실시 예들은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 및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 정보 공유 및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2 이상의 사용자 간의 실시간 컨텐츠 통신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IMS) 등이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통한 소통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다른 사용자들과 텍스트 형태의 1:1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을 보조하기 위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아래 실시 예들을 통해 메시지 송수신 기능 뿐 아니라 사용자의 일정 관리 등 사용자의 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비서 기능을 수행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 실시 예들을 통해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제한된 크기의 영역을 통해 메시지 기능 및 비서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비서 기능의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을 통하여,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서 기능은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검색 서버와 연동된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상기 검색창으로 변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비서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비서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가 메시지 입력을 위한 채팅 모드로 전환됨에 반응하여,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거하고,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과 연동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비서 기능의 호출을 수신하며,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을 통하여,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비서 기능은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함에 있어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검색 서버와 연동된 검색창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상기 검색창으로 변경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함에 있어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비서 기능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함에 있어서,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비서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가 메시지 입력을 위한 채팅 모드로 전환됨에 반응하여,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거하고,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기능의 호출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과 연동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 예에 따른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비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110),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120), 비서 기능의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130) 및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컴퓨터,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웹 타블렛(web 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전자 장치 중 하나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또는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 결과를 단말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거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혹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메시징 서비스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들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가입된 사용자들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로, 예를 들어 인스턴트(instant) 메시지에 기반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징 서버는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들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가입된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는 사용자의 메시징 서비스 가입 요청에 반응하여, 메시징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메시징 서버에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 된 단말은 메시징 서버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단말은 메시징 서비스의 가입으로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 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징 서비스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는 메시징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이 참여하는 채팅방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이 참여하며, 참여자 간의 채팅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공간인 채팅방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을 통한 메시지의 전송 및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객체는 사용자와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객체로, 예를 들어 버튼(button), 입력 필드(input field), 스위치(swi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로는 도 2에 도시된 화면(310)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채팅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채팅창(311), 메시지로 전송될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입력창(312) 및/또는 특정 기능 혹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버튼들(313, 314, 315)과 같은 메시징 서비스에 관한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을 식별(110)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서 모드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의 일 유형으로,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입력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비서 기능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에 관한 기능 외에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으로, 예를 들어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서 기능은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 관리 기능은 사용자 계정에 종속하는 캘린더에 특정 기간이 지정된 일정 항목을 등록하고, 등록된 일정을 날짜 별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할 일 관리 기능은 특정 기간에 해야 할 일 항목을 등록하고, 특정 기간에 대응하는 할 일 목록(to-do list)을 통해 할 일의 완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약 메시지 기능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미리 작성된 메시지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대상에게 발송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비서 기능은 메시징 서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메시징 서버와 연동된 별도의 서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서로 다른 비서 기능은 서로 다른 서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비서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에 기초하여,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의 유형 및/또는 입력이 처리되는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는 채팅 모드 및 비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 모드는 채팅방 참여자에게 전송할 메시지의 입력을 위한 입력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메시지 입력창을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된 텍스트는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다. 비서 모드는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입력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검색창을 통해 검색어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검색창을 통한 검색어의 입력에 반응하여,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비서 기능 메뉴를 통해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호출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팅 인터페이스는 어느 하나의 유형의 입력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는 비서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입력 모드는 다른 유형의 입력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비서 모드 외 다른 모드(예를 들어, 채팅 모드)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는 비서 모드 외 다른 모드(예를 들어, 채팅 모드)에서 비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수신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을 식별(110)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해당 채팅방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팅방의 유형은 채팅방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의 수 및 채팅방에 참여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방의 유형은 다른 사용자 계정이 포함되지 않는 나와의 채팅방, 하나의 다른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1:1 채팅방, 2 이상의 다른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그룹 채팅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채팅방의 유형은 일반 채팅방과 익명 채팅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채팅방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정 정보가 등록된 다른 사용자 계정(들)을 채팅방의 참여자로 지정하여 생성된 채팅방에 해당할 수 있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는 전화 번호, ID와 같은 사용자 계정에 관한 식별 정보를 친구 관계인 사용자의 계정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일반 채팅방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계정 정보가 등록된, 혹은 친구 관계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 계정(들)을 참여자로 포함하는 채팅방을 의미한다. 익명 채팅방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링크 정보를 통해 참여할 수 있는 채팅방을 의미한다. 일 예로, 익명 채팅방 서비스는 출원인인 카카오가 제공하는 오픈채팅(주식회사 카카오의 등록 상표) 서비스, 구체적으로 출원인의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비지인 기반의 오픈채팅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익명 채팅방은 출원인인 카카오가 제공하는 오픈채팅 서비스의 채팅방(혹은 대화방)을 의미할 수 있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오픈채팅 서비스는 익명 채팅방 서비스의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익명 채팅방 서비스는 실명에 기반한 계정이 아닌 임시 프로필을 통해 참여하는 채팅방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식별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모드로 전환(120)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120)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110)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검색 서버와 연동된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검색창으로 변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창은 검색 서버와 연동되며, 입력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하는 검색 쿼리를 검색 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검색 서버는 검색 쿼리에 대한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색 서버는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검색 결과를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검색 서버에서 단말에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 예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또 일 예로,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110)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비서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비서 기능을 호출하도록 구현된 객체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반응하여, 비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구현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비서 기능 메뉴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서 기능 메뉴는 검색창이 표시된 영역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로는 도 3a에 도시된 화면(320)을 들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비서 기능 메뉴(321), 검색창(322) 및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버튼(323)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드에 따른 채팅 인터페이스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120)는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비서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비서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서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비서 기능은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팅방의 유형에 따라 비서 기능(들)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채팅방(예: 일반 채팅방, 나와의 채팅방)에서는, 모든 비서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고, 제2 유형의 채팅방(예: 익명 채팅방)에서는 일부 비서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의 유형에 따라 활성화되는 것으로 결정된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결정된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가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따라 비서 기능 별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른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유형의 채팅방에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경우, 서버는 모든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제2 유형의 채팅방에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경우, 서버는 제2 유형의 채팅방에서 활성화되는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고, 비활성화되는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채팅방의 유형에 따른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비서 모드로 전환된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비서 기능의 호출을 수신(1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비서 기능 메뉴의 인터페이싱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의 수신에 반응하여, 선택된 인터페이싱 객체에 대응하는 비서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단말은 검색창에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요청에 반응하여, 검색 서버에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을 통하여,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140)할 수 있다. 비서 인터페이스는 호출된 비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서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을 통하여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검색 인터페이스), 일정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 할 일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 및/또는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서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팅 인터페이스에는 비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서 인터페이스가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서 인터페이스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채팅 인터페이스에 오버레이(overlay)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서 인터페이스는 채팅 모드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싱 객체가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비서 인터페이스는 채팅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메시지 입력창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의 표시가 제거되고, 메시지 입력창 대신 비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기능이 호출되는 경우, 검색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검색창은 메시지 입력창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어느 하나가 호출되는 경우, 메시지 입력창의 표시가 제거되고,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또 일 예로, 비서 인터페이스는 채팅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 내 메시지 입력창 및/또는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계(140)는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채팅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색 인터페이스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공유 요청이 수신된 경우, 검색 결과 페이지가 공유되는 채팅방으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정 혹은 할 일의 참여자,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 일 예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채팅방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가 메시지 입력을 위한 채팅 모드로 전환됨에 반응하여, 비서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거하고,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 모드가 채팅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비서 인터페이스의 표시가 제거되고, 채팅 모드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부가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서 제공될 수 있다. 비서 인터페이스는 호출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서 인터페이스 및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호출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과 연동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이 호출된 경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페이지를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을 통해 공유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일 예로, 일정 관리 기능이 호출된 경우, 일정 관리 기능에 의해 생성된 일정에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참여자를 초대 대상으로 설정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일 예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이 호출된 경우,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에 의해 생성된 예약 메시지에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을 수신자로 설정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팅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실시 예에 따른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채팅방의 접속에 반응하여 단말에 제공되는 채팅방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31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팅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채팅창(311), 메시지로 전송될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입력창(312) 및/또는 서버에 특정 기능 혹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버튼들(313, 314, 315)과 같은 메시징 서비스에 관한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는 채팅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메시지 입력창(312)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는 채팅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일 예로,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는 채팅 모드를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가 채팅 모드로 설정된 경우, 메시지 입력창(312)에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의 키보드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채팅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메시지 입력창(312)에 입력된 텍스트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에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메시지 입력창(312)에 입력된 텍스트를 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모드를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인터페이스는 비서 모드로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버튼(315)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315)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는 비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315)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도 3a의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 화면(3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면(310)에 포함된 버튼(315)의 형태는 비서 모드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의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튼(315)은 다른 형태(예: 별도의 비서 모드 아이콘)로 표시될 수 있고, 버튼이 아닌 다른 유형의 객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비서 기능 호출을 위한 비서 기능 메뉴(321) 및 검색창(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서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에 채팅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메시지 입력창(312)은 검색창(322)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비서 기능 메뉴(321)가 부가될 수 있다. 일 예로, 검색창(322)은 메시지 입력창(312)과 구분될 수 있도록 검색창(322)을 지시하는 아이콘(324)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검색창(322)의 형태는 일 예일 뿐이며, 검색창(322)은 메시지 입력창과 형태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서 기능 메뉴(321)는 비서 기능 호출을 위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서 기능 메뉴(321)는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에 레이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검색창(322) 및 검색창(322)에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위한 버튼(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검색 요청을 위한 버튼(323)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단말은 검색창(322)에 입력된 검색어를 검색 쿼리로 검색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요청을 위한 버튼(323)을 선택하는 입력은 비서 기능 중 검색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서 기능 메뉴(321)에 포함된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단말은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비서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서 기능 메뉴(321)에 포함된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비서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는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채팅방에서는, 모든 비서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화면(320)을 참조하면, 모든 비서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모든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채팅방에 대응하는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검색 기능 호출을 위한 검색창(322) 및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비서 기능 메뉴(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서 기능 메뉴(321)는 복수의 인터페이싱 객체들의 내비게이션을 위한 입력(예: 스와이프 입력, 드래그 입력 등)을 수신하여, 복수의 인터페이싱 객체들의 나열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 유형의 채팅방에서는 일부 비서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이 비서 모드의 일부 기능이 제한되는 제2 유형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도 3b의 화면(33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이 제2 유형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비서 기능 중 검색 기능만 활성화되고, 나머지 비서 기능(예: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기능)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비활성화된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유형의 채팅방에 제공되는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검색 기능 호출을 위한 검색창(331)을 포함하고, 다른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기능 메뉴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예와 달리, 특정 유형의 채팅방에서 비서 기능 중 검색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검색창(331) 대신 메시지 입력창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가 부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비서 기능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활성화된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된 화면(410)을 참조하면, 비서 모드로 전환된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검색 기능이 호출되는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에 검색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검색창을 통한 텍스트 입력은 검색 기능의 호출에 해당할 수 있다. 검색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을 통하여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검색창(411),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버튼(412) 및 검색어에 대한 서제스트 영역(413)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에 대한 서제스트 영역(413)에는 사용자 계정의 과거 검색 기록 및/또는 입력된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 검색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검색 요청을 위한 버튼(412)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단말은 검색창(411)에 입력된 '이번주 날씨'를 검색 쿼리로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검색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서버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화면(420)을 참조하면, 검색 인터페이스는 검색 쿼리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뷰(421)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검색어에 대한 검색 요청 입력이 수신된 경우, 검색 인터페이스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확장될 수 있다. 뷰(421)를 통하여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 페이지가 채팅 인터페이스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과 검색 서버 사이의 검색 쿼리 전달 및 검색 결과 페이지와 같은 검색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은 서버에 의해 중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검색 인터페이스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채팅방에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색 인터페이스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공유를 요청하기 위한 버튼(4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422)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검색 결과 페이지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의 공유 요청은 검색 서버를 통해 서버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창을 통해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요청이 검색 서버에 전송된 경우, 검색 서버는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에 제공되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 관한 정보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메시지의 형태로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결과 페이지로 연결되는 메시지를 검색 요청이 발생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검색 결과 페이지는 메시지의 형태로 채팅방에 공유될 수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가 공유되는 채팅방은 비서 기능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일 수 있다. 한편, 검색 결과 페이지는 비서 기능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 뿐 아니라, 사용자 계정이 참여하는 다른 채팅방에 공유될 수도 있다.
도 4c에 도시된 화면(430)을 참조하면, 검색 결과 페이지는 메시지(431)의 형태로 채팅방에 공유될 수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의 공유 요청이 수신된 경우, 서버에서 검색 결과 페이지로 연결되는 경로를 포함하는 메시지(431)가 생성될 수 있다. 단말은 검색 결과 페이지에 대응하는 메시지(431)를 통해 검색 서버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43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은 선택된 메시지(431)에 포함된 경로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화면(510)을 참조하면, 비서 모드로 전환된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일정 관리 기능이 호출되는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에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a에 도시된 비서 기능 메뉴(321)에서 '일정 등록'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은 일정 관리 기능의 호출에 해당할 수 있다.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는 새로운 일정을 등록하는 기능 및 등록된 일정을 조회 및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새로운 일정에 관한 정보(예: 일정의 이름 및 일정의 시간)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의 '등록하기' 버튼(511)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일정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요청된 일정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계정에 종속하는 캘린더에 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생성 시,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일정에 초대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일정에 초대될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팅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에 초대될 대상으로 채팅방이 설정된 경우, 채팅방에 참여 중인 사용자 계정이 초대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일정 관리 기능의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일정에 초대될 대상(혹은 초대 대상)에 채팅방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관리 기능의 요청이 2 이상의 사용자 계정이 참여하는 일반 채팅방을 통하여 발생한 경우, 일정에 초대될 대상에 해당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 계정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일정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된 초대 대상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초대 대상을 추가하는 등의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관리 기능의 요청이 익명 채팅방 혹은 나와의 채팅방을 통하여 발생한 경우, 일정에 초대될 대상에 해당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 계정이 자동으로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일정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친구 관계로 등록된 사용자 계정(들) 및/또는 참여 중인 채팅방(들)의 참여자 계정(들)을 초대 대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된 일정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의 '일정 목록 보기' 버튼(512)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등록된 일정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수신된 일정 조회의 요청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510)은 도 5b에 도시된 일정 조회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5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화면(520)을 참조하면,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캘린더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일정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화면(530)을 참조하면,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일정은 메시지(531)의 형태로 채팅방에 공유될 수 있다.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일정의 공유 요청이 수신된 경우, 서버에서 생성된 일정에 관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메시지(531)가 생성될 수 있다. 단말은 일정에 대응하는 메시지(531)를 통해 생성된 일정을 조회할 수 있는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531)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은 선택된 메시지(531)에 포함된 경로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정을 조회할 수 있는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생성 시,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일정을 공유할 대상(혹은 공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일정의 공유 대상과 상술한 일정의 초대 대상은 서로 구분되는 개념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정을 공유할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팅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을 공유할 대상으로 특정 채팅방이 설정된 경우, 해당 채팅방에 일정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일정을 공유할 대상으로 특정 사용자 계정이 설정된 경우, 해당 사용자 계정과의 채팅방에 일정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일정 관리 기능의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일정을 공유할 대상에 채팅방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관리 기능의 요청이 2 이상의 사용자 계정이 참여하는 일반 채팅방을 통하여 발생한 경우, 일정을 공유할 대상에 해당 채팅방 혹은 해당 채팅방에 참여 중인 사용자 계정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일정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된 공유 대상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공유 대상을 추가하는 등의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정 관리 기능의 요청이 익명 채팅방 혹은 나와의 채팅방을 통하여 발생한 경우, 일정을 공유할 대상에 해당 채팅방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일정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는 일정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친구 관계로 등록된 사용자 계정(들) 및/또는 참여 중인 채팅방(들)을 공유 대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화면(610)을 참조하면, 비서 모드로 전환된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할 일 관리 기능이 호출되는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에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a에 도시된 비서 기능 메뉴(321)에서 '할 일 등록'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은 할 일 관리 기능의 호출에 해당할 수 있다.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는 새로운 할 일을 등록하는 기능 및 등록된 할 일을 조회 및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새로운 할 일에 관한 정보(예: 할 일의 이름 및 할 일의 기한 및 반복 횟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의 '등록하기' 버튼(611)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할 일 항목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할 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할 일 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계정에 종속하는 할 일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된 할 일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의 '할 일 목록 보기' 버튼(612)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등록된 할 일에 관한 정보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수신된 조회의 요청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610)은 도 6b에 도시된 할 일에 관한 정보의 조회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6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화면(620)을 참조하면, 할 일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할 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할 일 항목을 포함하는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7a에 도시된 화면(710)을 참조하면, 비서 모드로 전환된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이 호출되는 경우,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에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a에 도시된 비서 기능 메뉴(321)에서 '메시지 예약'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은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호출에 해당할 수 있다.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는 새로운 예약 메시지를 등록하는 기능 및 등록된 예약 메시지를 조회 및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새로운 예약 메시지에 관한 정보(예: 예약 메시지 내용, 예약 메시지 전송 일자, 예약 메시지 발송 대상 및 예약 메시지에 관한 알림 설정)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의 '등록하기' 버튼(711)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예약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요청된 예약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계정에 종속하는 예약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약 메시지 생성 시, 사용자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혹은 수신자)을 설정할 수 있다.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팅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으로 채팅방이 설정된 경우, 해당 채팅방 및/또는 해당 채팅방에 참여 중인 사용자 계정(들)이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에 채팅방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요청이 2 이상의 사용자 계정이 참여하는 일반 채팅방을 통하여 발생한 경우,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에 해당 채팅방 혹은 해당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 계정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요청이 나와의 채팅방을 통하여 발생한 경우,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에 예약 메시지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 본인 계정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약 메시지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된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을 추가하는 등의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의 요청이 익명 채팅방을 통하여 발생한 경우,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에 해당 채팅방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약 메시지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친구 관계로 등록된 사용자 계정(들) 및/또는 참여 중인 채팅방(들)을 예약 메시지의 발송 대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된 예약 메시지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의 ‘예약 목록 보기’ 버튼(712)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서버에 등록된 예약 메시지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수신된 예약 메시지의 조회의 요청에 반응하여, 단말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710)은 도 7b에 도시된 예약 메시지 조회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7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화면(720)을 참조하면, 예약 메시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예약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예약 메시지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비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을 통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 외에도 다양한 진입점을 통해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진입점을 통해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비서 인터페이스 화면(810)이 단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비서 인터페이스는 비서 기능(예: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811, 812, 8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싱 객체(811, 812, 813)를 선택하는 입력은 도 3a에 도시된 비서 모드에 대응하는 채팅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비서 기능 메뉴(321)에 포함된 '일정 등록', '할 일 등록' 및 '메시지 예약'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과 동일하게 대응하는 비서 기능의 호출에 해당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객체(811, 812, 813)를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제공되는 비서 인터페이스는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을 통하여 표시되는 대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출력되는 전체 영역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프로세서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프로세서는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비서 기능의 호출을 수신하는 동작 및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메모리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동작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메모리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단말의 동작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은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입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 텍스트 입력 및/또는 음성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비서 기능의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을 통하여,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기능은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검색 서버와 연동된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상기 검색창으로 변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비서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비서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대체하여 표시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가 메시지 입력을 위한 채팅 모드로 전환됨에 반응하여,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거하고,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과 연동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를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비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비서 기능의 호출을 수신하며,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 내 일부 영역을 통하여,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비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기능은
    채팅방을 통한 검색 기능, 일정 관리 기능, 할 일 관리 기능 및 예약 메시지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함에 있어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검색 서버와 연동된 검색창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상기 검색창으로 변경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함에 있어서,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에 비서 기능의 호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비서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단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모드로 전환함에 있어서,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비서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표시하는,
    단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입력창을 대체하여 표시되는,
    단말.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드가 메시지 입력을 위한 채팅 모드로 전환됨에 반응하여,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거하고,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말.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서 기능의 호출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비서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비서 모드의 실행 요청이 발생한 채팅방과 연동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

KR1020220059840A 2022-05-16 2022-05-16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30160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840A KR20230160137A (ko) 2022-05-16 2022-05-16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23081060A JP2023169135A (ja) 2022-05-16 2023-05-16 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方法及び装置
US18/318,601 US20230370403A1 (en) 2022-05-16 2023-05-16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840A KR20230160137A (ko) 2022-05-16 2022-05-16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137A true KR20230160137A (ko) 2023-11-23

Family

ID=8869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840A KR20230160137A (ko) 2022-05-16 2022-05-16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70403A1 (ko)
JP (1) JP2023169135A (ko)
KR (1) KR20230160137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5794B2 (en) * 2010-01-18 2020-07-07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10679605B2 (en) * 2010-01-18 2020-06-09 Apple Inc. Hands-free list-reading b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640078B2 (en) * 2010-03-02 2014-01-28 Cadence Design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graphical objects of a design
US10564815B2 (en) * 2013-04-12 2020-02-18 Nant Holdings Ip, Llc Virtual teller systems and methods
US9294553B1 (en) * 2013-09-20 2016-03-22 Amazon Technologies, Inc. Predictive rendering of current content versions
US10497361B1 (en) * 2018-12-26 2019-12-0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virtual assistant
US20210247882A1 (en) * 2020-02-11 2021-08-12 Norman & Globus, Inc. Computer-based method and system for multidimensional media content organisation and presentation
US11605387B1 (en) * 2021-03-30 2023-03-14 Amazon Technologies, Inc. Assistant determination in a sk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70403A1 (en) 2023-11-16
JP2023169135A (ja)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0472B2 (en) Promoting communicant interactions in a network communications environment
KR101785420B1 (ko) 클라이언트 봇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6055731B2 (ja) メンバー追加を拡張するための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30227437A1 (en) Virtual area communications
US20230069507A1 (en) Integrated workspace on a communication platform
JP7412490B2 (ja) メッセージと対応するタスクを生成、処理、管理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JP2018113012A (ja) 業務客体基盤の業務活動処理装置及び方法
TWI793440B (zh) 通過匿名個人簡介提供社交網路服務的介面的顯示方法及裝置
US11848906B2 (en) Updat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proximity data of users of a communication platform
KR102560567B1 (ko) 익명 기반 프로필을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2242948B (zh) 群会话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0177655A (ja) イベントメッセ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2202101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rofile
KR20230160137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2303704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service
KR102609744B1 (ko)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902228B1 (en) Interactive user status
KR102653486B1 (ko) 일정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784955B1 (en) Virtual space server redundancy across geographic regions
TWI841204B (zh) 將社交網路服務相關活動的資訊提供至聊天室的方法、伺服器及電腦程式
KR20230160139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240154927A1 (en) Smart events framework
US20240121124A1 (en) Scheduled synchronous multimedia collaboration sessions
US202303678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service
KR20210089420A (ko) 특화된 태그를 이용하여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