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989A - wine cup keeper - Google Patents

wine cup kee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989A
KR20230159989A KR1020220059479A KR20220059479A KR20230159989A KR 20230159989 A KR20230159989 A KR 20230159989A KR 1020220059479 A KR1020220059479 A KR 1020220059479A KR 20220059479 A KR20220059479 A KR 20220059479A KR 20230159989 A KR20230159989 A KR 2023015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ju
glass
connecting pipe
glasses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4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유찬
Original Assignee
송유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찬 filed Critical 송유찬
Priority to KR102022005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989A/en
Publication of KR2023015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989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소주잔 키퍼(1)가 개시되며, 소주잔 키퍼(1)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이고 소주잔(2)들 중 최하단 소주잔(2)을 받치면서 수용하는 용기(10); 소주잔(10)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부를 덮는 뚜껑(30); 및 상기 용기(10)와 상기 뚜껑(30)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은 각 소주잔(2)의 경사진 외부면과 접하여 각 소주잔(2)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경사 리브(24)들을 포함한다.A soju glass keeper (1) is disclosed, and the soju glass keeper (1) has an open top and a container (10) for receiving the lowest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2); A lid (30) covering the top of the top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10);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20) that are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lid (30), each of the connection pipes (20) having an inclined outer surface of each soju glass (2) It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24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soju glass (2) to maintain them at a predetermined height.

Description

소주잔 키퍼{wine cup keeper}Soju cup keeper {wine cup keeper}

본 발명은, 소주잔들의 수납 및 운반에 이용되는 소주잔 키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광하협 형상을 갖는 소주잔들을 이격 상태로 수납하여, 깨짐 없이 운반하는데 적합한 소주잔 키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ju glass keeper used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soju glass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oju glass keeper suitable for storing soju glasses having an upper-gwang-hahyeop shape in a spaced state and transporting them without breaking.

통상적으로, 소주잔은 깨지기 쉬운 유리 또는 자기 소재로 제작되며,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소주잔은 내경과 외경 모두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있다. 이러한, 소주잔 형상은 여러개의 소주잔을 소주잔 하부가 다른 소주잔의 상부 개구에 삽입되도록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해준다.Typically, soju glasses are made of fragile glass or porcelain materials and have a wide top and narrow bottom. More specifically, the soju glass has both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gradually widen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is soju glass shape allows multiple soju glasses to be stored and transported by stacking them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soju glass is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of another soju glass.

통상, 캠핑 또는 여행을 가거나 할 때, 소주잔들을 적층하여 그 적층된 소주잔을 배낭, 캐리어, 백팩 등의 가방에 넣어 운반한다. 그런데, 차량 이동 또는 도보 이동 중, 가방에 있는 소주잔들이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움직여 소주잔들끼리 부딪히게 되며, 이 ??문에 소주잔이 깨지는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적층된 소주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층된 소주잔들의 크기에 상응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용기 또는 포장재를 이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지만, 적층되는 소주잔들의 개수가 변하면 공간이 가변되어야 하지만, 이를 만족하기 어려웠다. 또한, 소주잔들을 적층하여 운반하는 경우, 상하로 이웃하는 소주잔들 사이에 부딪힘이 발생하며, 이는 소주잔에 손상 및 충격을 야기한다.Typically, when camping or traveling, soju glasses are stacked and the stacked soju glasses are placed in bags such as backpacks, carriers, and backpacks to be transported. However, while moving in a car or on foot, the soju glasses in the bag mov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causing them to collide with each other, which often causes soju glasses to break. In relation to this, it may be considered to use a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that include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tacked soju glasses to accommodate the stacked soju glasses. However, if the number of stacked soju glasses changes, the space must change, but this cannot be satisfied. It was difficult. In addition, when soju glasses are stacked and transported, collision occurs between soju glasses neighboring up and down, which causes damage and shock to the soju glasses.

등록실용신안 20-0248520 (2001년 9월 17일 등록)Registered utility model 20-0248520 (registered on September 17, 200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단이 개방된 용기와 뚜껑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관체들을 포함하고, 각 연결관체가 해당 소주잔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되, 상하로 이웃하는 연결관체들에 의해 유지된 소주잔들이 미세하게 이격되게 하여, 소주잔들을 수납하여 운반할 때 소주잔들 사이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는 소주잔 키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between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and a lid, and each connecting pipe maintains the corresponding soju glass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s adjacent above and below.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oju glass keeper that allows the maintained soju glasses to be spaced finely apart and prevents collisions between the soju glasses when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soju glasse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단이 개방된 용기와 뚜껑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관체들을 포함하고, 소주잔의 개수에 따라, 연결관체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광하협 형상을 갖는 소주잔들을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로 적층하여 운반할 수 있고, 내부에 수납된 소주잔들의 모든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충격에 의한 소주잔들의 깨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소주잔 키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between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and a lid, and is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connecting pip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oju glasses, forming a shape It provides a soju glass keeper that can stack and transport soju glasses having a finely spaced state, suppresses the movement of the soju glasses stored inside in all directions, and prevents the soju glasses from being broken or damaged due to impact. will b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소주잔 키퍼(1)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이고 소주잔(2)들 중 최하단 소주잔(2)을 받치면서 수용하는 용기(10); 소주잔(10)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부를 덮는 뚜껑(30); 및 상기 용기(10)와 상기 뚜껑(30)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은 각 소주잔(2)의 경사진 외부면과 접하여 각 소주잔(2)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경사 리브(24)들을 포함한다.The soju glass keeper (1)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top and includes a container (10) that accommodates the lowest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2); A lid (30) covering the top of the top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10);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20) that are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lid (30), each of the connection pipes (20) having an inclined outer surface of each soju glass (2) It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24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soju glass (2) to maintain them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상하로 이웃하는 연결관체(20)들은 상기 경사 리브(24)들에 상하로 이웃하는 소주잔(2)들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다.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20, the connection pipes 20 adjacent up and down maintain the soju glasses 2 adjacent to the inclined ribs 24 in a spaced state.

상기 뚜껑(30)의 내측면에는 적층된 소주잔(2)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단과 대면하는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4)의 하단 또는 상기 경사 리브(24)의 하단이 아래에 위치한 소주잔(2)의 상승 이동을 제한한다.A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30 facing the top of the uppermost soju glass 2 among the stacked soju glasses 2, and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34 or the inclined rib 24 The lower end restric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soju glass (2) located below.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가 상기 용기(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가 상기 뚜껑(3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와 상기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체(20)가 개재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각각의 내부면에는 해당 소주잔(2)의 경사진 외부면과 접촉하여 해당 소주잔(2)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복수개의 경사 리브(2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의 내부면에는 소주잔(2)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단과 상하로 대면하는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각각은 내경과 외경 각각이 일정한 원환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10)의 내부 바닥면 직경은 소주잔(2)의 외부 바닥면 직경에 상응하게 정해져서, 최화단 소주잔(2)의 움직임을 억제한다.The connection pipe body 20 located at the lowest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 bodies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10, and the connection pipe body 20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 bodies 20 is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30, and one or more connection pipe bodies 20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body 20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connection pipe body 20 located at the top,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 bodies ( 20)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2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soju glasses 2 to maintain the soju glasses 2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contacting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the soju glass 2, and the inside of the lid 30 A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upward and downward with the top of the top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20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 with a constant inner diameter and outer diameter. The inner bottom diameter of the container 10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bottom diameter of the soju glass (2), thereby suppressing the movement of the soju glass (2).

상기 용기(10)의 상단 및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의 상단에는 리세스(11, 21)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의 하단 및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의 하단에는 상기 리세스(11 또는 21)에 끼워져 안착되는 삽입 돌부(32, 2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돌부(32, 22)에는 아래로 개방된 수직홀부 및 상기 수직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수평홀부를 포함하는 고정홀(322, 222)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11, 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홀부에 끼워진 후 상기 수평홀부로 들어가 상기 용기(10)와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관체(30) 사이, 또는 이웃하는 연결관체들(20, 20) 사이, 또는 상기 뚜껑(30)과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 돌기(112, 212)가 형성된다.Recesses 11 and 21 are form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10 and at the top of each of the connecting pipe bodies 20, and the recess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id 30 and the bottom of each of the connecting pipe bodies 20. Insertion protrusions (32, 22) are formed that are inserted into and seated in the cess (11 or 21), and the insertion protrusions (32, 22) include a vertical hole portion open downward and a horizontal hole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hole portion. Fixing holes 322 and 22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ecesses 11 and 2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portion and then enter the horizontal hole portion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connection pipe 30 located at the bottom, Alternatively, fixing protrusions (112, 212) are formed to secure between neighboring connecting tube bodies (20, 20) or between the lid (30) and the connecting tube body (20)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본 발명에 따른 소주잔 키퍼는 상단이 개방된 용기와 뚜껑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관체들을 포함하고, 소주잔의 개수에 따라, 연결관체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광하협 형상을 갖는 소주잔들을 적층 상태로 수납하여 운반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주잔 키퍼는 상단이 개방된 용기와 뚜껑 사이에 복수개의 연결관체들을 포함하고, 각 연결관체가 해당 소주잔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되, 상하로 이웃하는 연결관체들에 의해 유지된 소주잔들이 미세하게 이격되게 하여, 소주잔들을 수납하여 운반할 때 소주잔들 사이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The soju glass kee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between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and a lid, and is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connecting pip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oju glasses, so that the soju glasses have an upper-gwang-lower-shaped shape. It is suitabl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in a stacked state. In particular, the soju glass kee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between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and a lid, and each connecting pipe maintains the soju glass at a predetermined height, but is maintained by connecting pipes neighboring up and down. By allowing the soju glasses to be spaced slightly apart, collisions between the soju glasses can be suppressed when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soju glasses.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xample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주잔 키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주잔 키퍼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들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소주잔 키퍼의 연결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소주잔 키퍼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소주잔 키퍼의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주잔 키퍼를 소주잔들이 적층 수납된 상태에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주잔 키퍼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ju glass k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oju glass k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pipe of the soju glass keeper shown in Figures 1 to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ainer of the soju glass keeper shown in Figures 1 to 3,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of the soju glass keeper shown in Figures 1 to 3,
Figure 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ju cup k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soju glasses are stacked,
Figur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oju glass k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r shap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dditionally,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symbols only in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compon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member. 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ay mean that it further includes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주잔 키퍼(1)는, 소주잔(2)들을 손상이나 깨짐 없이 적층된 상태로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된 형태이고 적층된 소주잔(2)들 중 최하단 소주잔을 받치면서 수용하는 용기(10)와, 적층된 소주잔(2)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부를 덮는 뚜껑(30)과, 상기 용기(10)와 상기 뚜껑(10)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8, the soju cup keep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nd transport the soju cups (2) in a stacked state without damage or breakage. A container (10) that is open and accommodates the lowest soju glass among the stacked soju glasses (2), a lid (30) that covers the top of the top soju glass (2) among the stacked soju glasses (2),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tube bodies (20) that are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lid (10).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은 각 소주잔(2)의 경사진 외부면과 접하여 소주잔(2)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경사 리브(24)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상하로 이웃하는 연결관체(20, 20)들은 상기 경사 리브(24)들에 상하로 이웃하는 소주잔(2)들을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하로 이웃하는 소주잔(2)들이 서로 접촉 또는 충돌하는 것에 의한 소주잔(2)들의 손상 또는 막을 수 있다.Each of the connecting pipes 20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24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each soju glass 2 and maintain the soju glass 2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ddi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20, the connection pipes 20, 20 adjacent up and down maintain the soju glasses 2 adjacent to the inclined ribs 24 in a finely spaced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damage the soju glasses (2) due to the soju glasses (2) neighboring up and down contacting or colliding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뚜껑(30)의 내측면에는 소주잔(2)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단과 대면하는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4)의 하단 또는 상기 경사 리브(24)의 하단이 아래에 위치한 소주잔(2)의 상승 이동을 제한한다. In addition, a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30 facing the top of the top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2, and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34 or the inclined rib 24 The lower end restric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soju glass (2) located below.

위와 같이, 연결관체(20) 각각은 자체 구비된 복수개의 경사 리브(24)들이 소주잔(2)의 경사진 외부면과 접하여 해당 소주잔(2)을 아래로 움직임 없이 그 높이에서 유지하고, 상기 돌출부(34)의 하단 또는 상기 경사 리브(24)의 하단은 아래에 위치한 소주잔(2)의 상단과 접할 수 있게 배치되어, 아래에 있는 소주잔(2)이 움직임에 의해 위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상하로 이웃하는 소주잔(2, 2)들 사이는 항상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As above, each of the connecting pipes 20 has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24 provided thereon,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the soju glass 2 and maintain the soju glass 2 at its height without moving downward, and the protrusion The lower end of (34) or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rib (24) is arranged to contact the top of the soju glass (2) located below, preventing the soju glass (2) below from moving upward due to movement. Therefore, the soju glasses (2, 2) neighboring above and below are always kept spaced apart.

상기 소주잔(2)은 깨지기 쉬운 유리 또는 자기 소재로 제작되며,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소주잔(2)은 내경과 외경 모두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있다. 이러한, 소주잔(2)의 형상은 여러 개의 소주잔(2)들을 소주잔(2)의 하부가 다른 소주잔(2)의 상부 개구에 삽입되도록 적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소주잔(2)의 하부가 다른 소주잔(2)의 상부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소주잔(2)과 그 아래에 위치한 소주잔(2)은 각각의 경사 리브(24)들에 의해 해당 소정 높이에 유지되고, 혹시, 소주잔 키퍼(1)의 상하 움직임이 있더라도, 경사 리브(24)의 하단과 돌출부(34)의 하단이 그 아래에 위치한 소주잔(2)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므로, 정적인 상태는 물론이고, 움직임이 있는 상태에서도, 소주잔(2) 사이의 충돌을 막을 수 있다.The soju glass (2) is made of fragile glass or porcelain material, and has a shape that is wide at the top and narrow at the bottom. More specifically, the soju glass (2) has both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that gradually widen from bottom to top. This shape of the soju glass (2) allows multiple soju glasses (2) to be stack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soju glass (2) is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of another soju glass (2). Even though the lower part of the soju glass (2) is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of another soju glass (2), the soju glass (2) and the soju glass (2) located below it are maintained at a given height by the respective inclined ribs (24). It is maintained in a static state, even if there is an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oju glass keeper (1), since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rib (24) a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34)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soju glass (2) located below.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the soju glasses (2) even when there is movem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10)는 바닥과 둘레벽을 포함하며, 상단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용기(10)는 적층된 소주잔(2)들 중 최하단 소주잔을 받치는 내부 바닥면의 직경이 소주잔(2)의 외부 바닥면 직경에 상응하게, 더 구체적으로는 거의 딱 맞게, 정해져 적층된 소주잔(2)들 중 최하단 소주잔의 움직임을 제한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10 includes a bottom and a peripheral wall, and has an open top structure. In addition, the container 10 is stack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inner bottom surface supporting the lowest soju glass among the stacked soju glasses 2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oju glass 2, more specifically, almost exactly. Limits the movement of the lowest soju glass among the soju glasses (2).

또한, 상기 용기(10)의 내경은 상기 소주잔(2)의 내부 바닥면에서 위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커지고, 용기(10)의 외경도 아래에서 위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커진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상단에는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부와 그 수평부와 직교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리세스(11)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11)의 내주면에는 3개의 고정 돌기(112)가 일정 간격(12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tainer 10 gradually increases as it moves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oju glass (2),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10 also gradually increases as it moves upward from the bottom. In addition, at the top of the container 10, a recess 1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cluding a horizontal part forming a step and a vertical part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art, and 3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ss 11. Two fixing protrusions 1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120 degree intervals).

또한, 뚜껑(30)은, 적층된 연결관체(20) 중 최상단 연결관체(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사람이 뚜껑(30)을 손가락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노브(35)를 포함하고, 내측면에는 내측면 하단에서 일정 높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직선 리브(rib) 형태의 돌출부(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뚜껑(30)의 하단에는 상기 뚜껑(30)의 외측면에 대하여 안쪽으로 함몰된 채 아래로 연장되도록 링형의 삽입 돌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 돌부(32)에는 아래로 개방된 수직홀부 및 상기 수직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수평홀부를 포함하는 L형의 고정홀(3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id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most connecting pipe body 10 among the stacked connecting pipe bodies 20, and has a knob ( 35), and the inner surface includes a protrusion 34 in the form of a straight rib formed to exten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surface. Additionally, a ring-shaped insertion protrusion 3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id 30 to extend downward while being recess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30. An L-shaped fixing hole 322 is formed in the insertion protrusion 32, including a vertical hole portion open downward and a horizontal hole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hole portion.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소주잔 키퍼(1)는, 이겨된 상태로 상하 적층된 4개의 소주잔(2)들을 수납하도록, 용기(10)와 뚜껑(30) 사이에 상하로 차례로 적층 결합된 4개의 연결관체(20)를 포함한다. 그러나, 소주잔(2)의 개수 변화에 따라, 연결관체(20)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As shown, the soju glass keeper (1) is a four-connector body that is sequentially stacked and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lid (30) to accommodate the four soju glasses (2) stacked up and down in a winning state. Includes (20). However, depending on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oju glasses (2), the number of connecting pipes (2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가 상기 용기(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가 상기 뚜껑(3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와 상기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 사이에 2개의 연결관체(20, 20)가 개재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관체(20)의 개수는 소주잔(2)의 수량에 따라 변화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의 내경은 리세스(21)가 형성된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모두 일정하며, 또한, 상기 연결관체(20)들의 외경은 삽입 돌부(22)가 형성된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모두 일정하다. The connecting pipe body 20 located at the lowest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 bodies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10, and the connecting pipe body 20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 bodies 20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10.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30). 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connecting pipe bodies 20, 20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ipe body 20 located at the lowest end and the connecting pipe body 20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number of connecting pipes (20)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soju glasses (2).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 bodies 20 is constant at all parts except the upper end where the recess 21 is forme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bodies 20 is the lower end where the insertion protrusion 22 is formed. Everything else except this is constant.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 각각은 소주잔(2)의 경사진 외부면과 대면하도록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 리브(24)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포함한다. 상기 경사 리브(24)들의 개수는 소주잔(2)의 외측면에 접하여 소주잔(2)을 흔들림 없이 하당 높이에 유지하는데 유리하간 개수,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경사 리브(24)가 12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사 리브(24)의 숫자 및 배열이 재료비를 최소화하면서 소주잔(2)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이때, 경사 리브(24) 각각은 두께가 아래에서 위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경사 구조로 형성되며, 경사 리브(24)의 경사 기울기는 소주잔(2)의 외부면 기울기에 대응된다. As mention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20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2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face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the soju glass 2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number of inclined ribs 24 is advantageous for maintaining the soju glass 2 at a high level without shak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oju glass 2, preferably 3 or more. In this embodiment, three inclined ribs 24 are arranged at 120-degree intervals,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se inclined ribs 24 are suitable for stably maintaining the soju glass (2) while minimizing material costs. At this time, each of the inclined ribs 24 is formed in an inclined structure whos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bottom to top, and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ribs 24 corresponds to the inclin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oju glass (2).

상기 연결관체(20)의 상단에는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부와 그 수평부와 직교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리세스(21)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21)의 내측면에는 3개의 고정 돌기(212)가 일정 간격(12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체(20)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관체(20)의 외측면에 대하여 안쪽으로 함몰된 채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링형의 삽입 돌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 돌부(22)에는 아래로 개방된 수직홀부 및 상기 수직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수평홀부를 포함하는 3개의 L형 고정홀(222)들이 일정 간격(12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At the top of the connection pipe 20, a recess 2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cluding a horizontal part forming a step and a vertical part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art, and 3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21. Two fixing protrusions 2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120 degree intervals).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body 20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insertion protrusion 22 that is recessed inward and extend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body 20. In the insertion protrusion 22, three L-shaped fixing holes 222 including a vertical hole portion open downward and a horizontal hole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hole portion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120 degree intervals).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상단 및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의 상단에는 리세스(11, 21)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의 하단 및 연결관체(20)들 각각의 하단에는 상기 리세스(11 또는 21)에 끼워져 안착되는 삽입 돌부(32, 22)가 형성된다. As mentioned above, recesses 11 and 21 are form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10 and at the top of each of the connection pipe bodies 20, and at the bottom of the lid 30 and the connection pipe bodies 20. At each lower end, insertion protrusions 32 and 22 are formed that are inserted into and seated in the recesses 11 or 21.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돌부(32, 22)에는 아래로 개방된 수직홀부 및 상기 수직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수평홀부를 포함하는 고정홀(322. 222)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21, 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홀부에 끼워진 후 상기 고정홀로 들어가 상기 용기(10)와 상기 연결관체(20) 사이, 또는 상하로 이웃하는 연결관체(20, 20) 사이, 또는 뚜껑(30)과 연결관체(20)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 돌기(22, 12)가 형성된다.As mentioned above, a fixing hole (322. 222) is formed in the insertion protrusions (32, 22) including a vertical hole portion open downward and a horizontal hole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hole portion, and the recess ( 21, 1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and then enters the fixing hole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connection pipe 20, or between the connection pipe bodies 20 and 20 adjacent up and down, or between the lid 30. ) and the connecting tube body 20, fixing protrusions 22 and 12 ar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주잔 키퍼(1)는, 소주잔(2)의 좁은 하부를 다른 소주잔(2)의 넓은 상부 개구에 이력된 상태로 끼워진 방식으로 복수개의 소주잔(2)을 내부에서 흔들림 없도록 수용한다. 이를 위해, 각 소주잔(2)들은 해당 연결관체(20)의 경사 리브(24)들에 걸려 그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8에는 상할호 이웃하는 연결관체(20) 각각의 경사 리브(24)들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어 있는 두 소주잔(2) 사이에 갭(G)이 형성된 것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에는 경사 리브(24)들의 하단이 소주잔(2)의 상승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소주잔(2)의 상단과 대면하고 있는 것이 잘 나타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ju glass keeper (1) shakes a plurality of soju glasses (2) inside in a manner in which the narrow lower part of the soju glass (2) is inserted into the wide upper opening of another soju glass (2). accept it so as not to For this purpose, each soju glass (2) is hung on the inclined ribs (24) of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ipe (20) so that its height is always maintained constant. In Figure 8, it is clearly shown that a gap (G) is formed between two soju glasses (2)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inclined ribs (24) of each of the upper and half neighboring connecting pipes (20). In addition, Figure 8 clearly shows that the lower ends of the inclined ribs 24 face the upper end of the soju glass (2)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soju glass (2).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No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2: 소주잔 10: 용기
20: 연결관체 24: 경사 리브
30: 뚜껑
2: Soju glass 10: Container
20: connector body 24: inclined rib
30: Lid

Claims (5)

상단이 개방된 형태이고 소주잔(2)들 중 최하단 소주잔(2)을 받치면서 수용하는 용기(10);
소주잔(10)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부를 덮는 뚜껑(30); 및
상기 용기(10)와 상기 뚜껑(30)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은 각 소주잔(2)의 경사진 외부면과 접하여 각 소주잔(2)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경사 리브(24)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주잔 키퍼.
A container (10) that has an open top and accommodates the lowest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2);
A lid (30) covering the top of the top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10);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tube bodies (20)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lid (30),
Each of the connecting pipes (20)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each soju glass (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24) that maintain each soju glass (2) at a predetermined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상하로 이웃하는 연결관체(20)들은 상기 경사 리브(24)들에 상하로 이웃하는 소주잔(2)들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주잔 키퍼.
According to paragraph 1,
A soju glass kee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ly neighboring connecting pipe bodies 20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 bodies 20 maintain the soju glasses (2) adjacent to the inclined ribs 24 in a spac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의 내측면에는 적층된 소주잔(2)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단과 대면하는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4)의 하단 또는 상기 경사 리브(24)의 하단이 아래에 위치한 소주잔(2)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주잔 키퍼.According to claim 1, a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30 facing the top of the uppermost soju glass 2 among the stacked soju glasses 2, a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34 or the A soju glass kee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rib (24) limi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soju glass (2) located be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가 상기 용기(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중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가 상기 뚜껑(3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와 상기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체(20)가 개재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각각의 내부면에는 해당 소주잔(2)의 경사진 외부면과 접촉하여 해당 소주잔(2)을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복수개의 경사 리브(24)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의 내부면에는 소주잔(2)들 중 최상단 소주잔(2)의 상단과 상하로 대면하는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체(20)들 각각은 내경과 외경 각각이 일정한 원환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10)의 내부 바닥면 직경은 소주잔(2)의 외부 바닥면 직경에 상응하게 정해져서, 최화단 소주잔(2)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주잔 키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ipe body (20) located at the lowest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 bodies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10), and the connecting pipe body (20)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 bodies (20). A connecting pipe body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30), and one or more connecting pipe bodies (20)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ipe body (20) located at the lowest level and the connecting pipe body (20)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A plurality of inclined ribs 2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20 to maintain the soju glass 2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contacting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the soju glass 2, and A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30 to face upward and downward with the top of the top soju glass 2 among the soju glasses 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20 has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respectively. It is formed with a constant annular cross-section, and the inner bottom diameter of the container (10) is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bottom diameter of the soju glass (2), so that the soju glass keep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resses the movement of the soju glass (2).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상단 및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의 상단에는 리세스(11, 21)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0)의 하단 및 상기 연결관체(20)들 각각의 하단에는 상기 리세스(11 또는 21)에 끼워져 안착되는 삽입 돌부(32, 2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돌부(32, 22)에는 아래로 개방된 수직홀부 및 상기 수직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수평홀부를 포함하는 고정홀(322, 222)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11, 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홀부에 끼워진 후 상기 수평홀부로 들어가 상기 용기(10)와 최하단에 위치한 연결관체(30) 사이, 또는 이웃하는 연결관체들(20, 20) 사이, 또는 상기 뚜껑(30)과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관체(20)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 돌기(112, 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주잔 키퍼.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recesses (11, 21) are form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10) and at the top of each of the connecting pipe bodies (20), and at the bottom of the lid (30) and the connecting pipe bodies (20). At each lower end, insertion protrusions 32, 22 are formed that are inserted into and seated in the recesses 11 or 21, and the insertion protrusions 32, 22 are connected to a vertical hole portion open downward and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hole portion. Fixing holes 322 and 222 including horizontal hole por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ecesses 11 and 2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portions and then enter the horizontal hole portions to connect to the container 10 located at th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fixing protrusions (112, 212) are formed to secure between the pipe bodies (30), between neighboring connection pipe bodies (20, 20), or between the lid (30) and the connection pipe body (20) located at the top. A soju glass keeper.
KR1020220059479A 2022-05-16 2022-05-16 wine cup keeper KR202301599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479A KR20230159989A (en) 2022-05-16 2022-05-16 wine cup kee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479A KR20230159989A (en) 2022-05-16 2022-05-16 wine cup kee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989A true KR20230159989A (en) 2023-11-23

Family

ID=8897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479A KR20230159989A (en) 2022-05-16 2022-05-16 wine cup kee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98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20Y1 (en) 2001-06-27 2001-10-31 김현칠 The Soju Can with the Soju Cu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20Y1 (en) 2001-06-27 2001-10-31 김현칠 The Soju Can with the Soju C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612B2 (en) Tube lamp packaging assembly
US8720688B2 (en) Stacking crates
US8893891B2 (en) Stackable low depth tray
US9475602B2 (en) Stackable low depth tray
CA2681682C (en) Stackable low depth tray
KR20010052831A (en) Stackable low depth bottle case
KR19980701883A (en) Low Depth Stackable Bottle Case
JPH10324337A (en) Stackable shallow bottle case
US6398056B1 (en) Tipping-resistant cup holding tray
CA2835778C (en) Nestable can tray
CA2377480A1 (en) Two liter bottle crate
KR20230159989A (en) wine cup keeper
JP6157957B2 (en) Tray and work storage structure using tray
FI111926B (en) Packaging for bottles
JP2013014358A (en) Pallet
JP7421823B2 (en) wafer transfer box
JP4233197B2 (en) Partition container
JP5442651B2 (en) Box container
KR102595523B1 (en) Waper shipping box
KR200253516Y1 (en) Packing material for funnel of CRT
CN216784134U (en) Wine bottle tray layer partition plate structure
JP3914680B2 (en) Transport container
JP4421064B2 (en) Mug container
KR20220169104A (en) removable auxiliary divider for bottle transport box
JP4674359B2 (en) Transport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