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909A -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909A
KR20230159909A KR1020220059270A KR20220059270A KR20230159909A KR 20230159909 A KR20230159909 A KR 20230159909A KR 1020220059270 A KR1020220059270 A KR 1020220059270A KR 20220059270 A KR20220059270 A KR 20220059270A KR 20230159909 A KR20230159909 A KR 20230159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utput
audio signal
information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장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5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909A/ko
Publication of KR2023015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결된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출력 콘텐츠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SYSTEM FOR CONTENTS PROCE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수정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상황별 최적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들이 있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콘텐츠를 재생하는 시스템 구성을 살펴보면, 단일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보다는 외부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콘텐츠를 수신하는 장치, 일명 셋탑박스와 이러한 셋탑박스에서 콘텐츠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과 사운드를 출력하는 장치, 예를 들어 텔레비전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분이다.
이 경우 텔레비전을 위한 리모컨(리모트 컨트롤)과 셋탑박스를 위한 리모컨이 별도로 주어지게 되는데, 콘텐츠 시청자들은 그 중 어느 하나의 리모컨만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특히 대부분은 셋탑박스용 리모컨만을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하거나 또는 콘텐츠 출력 음량을 조절하고 있다.
그런데 각 제조사에서 출시된 텔레비전들은 자체적인 특성이 서로 상이할 뿐 만 아니라 타사 제품에 포함되지 않은 특별한 기능들이 탑재되는 경우들이 있는데, 종래에는 셋탑박스용 리모컨만을 이용해서는 이러한 각 텔레비전의 특성이 반영되도록 조정하거나 각 텔레비전에 포함된 특별한 기능을 고려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셋탑박스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에 대해 동일한 조정을 하는 경우라도 그 연결된 텔레비전의 종류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텔레비전 자체에 포함된 특정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셋탑박스에서 이를 반영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없어서, 결국 최적의 사운드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7-00385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텔레비전의 특성에 따라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자동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연결된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출력 콘텐츠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외부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와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가 자체 하드웨어 정보와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고, 그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력 콘텐츠를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는, 연결된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출력 콘텐츠를 지정하는 콘텐츠 지정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오디오 신호 수정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수정부에서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외부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와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는 자체 하드웨어 정보와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력 콘텐츠를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고, 그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셋탑박스가 연결된 텔레비전의 특성을 고려하여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 수정함으로써, 해당 셋탑박스에 다양한 종류의 텔레비전과 연결되더라도 각 종류별 최적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특히, 콘텐츠의 볼륨 조절과 관련하여 셋탑박스가 현재 텔레비전에 설정되어 있는 볼륨 크기를 고려하여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증폭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볼륨 조절을 위해 두 개의 리모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2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콘텐츠 출력 장치(200),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구비하고 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가입자를 대상으로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여 가입자가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기능 및 구성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콘텐츠 출력 장치(200)가 출력하는 콘텐츠는 오디오 콘텐츠일 수도 있고, 또는 오디오 콘텐츠와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에 해당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장치(200)가 출력하는 콘텐츠(즉, 출력 콘텐츠)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는데, 콘텐츠 출력 장치(200)가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처리하여 출력(예를 들어 영상 표시 및 오디오 출력)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자체 하드웨어 정보와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여기서 자체 하드웨어 정보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대한 제조사, 제조년원일, 모델 번호, 구비된 모듈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설정 정보는 사용자 등에 의해 사후적으로 설정된 내용으로서 예를 들어 출력 음량 크기 레벨, 특정 모듈의 활성화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한 후, 이를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전달하여 출력토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셋탑박스(100)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고, 그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는 정보 수신부(110), 콘텐츠 지정부(120),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 콘텐츠 전송부(140), 사운드 수신부(150), 파라미터 결정부(160), 콘텐츠 수신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17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각종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수신하는 콘텐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보 수신부(110)는 연결된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장치 정보에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하드웨어 정보 또는 설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지정부(120)는 출력 콘텐츠를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리모컨 등을 통해 콘텐츠 선택이 있는 경우 콘텐츠 지정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출력 콘텐츠로 지정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정보 수신부(110)에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에 대해 음장효과 추가/변경, 음질 개선, EQ(Equalizer) 조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음장 효과는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음향 현상인 잔향, 에코, 확산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음질 개선은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포함된 하드웨어에서 최적 처리되도록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별 해상도 등을 변경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EQ(Equalizer)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주파수 대역별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치 정보에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해당 특정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이미 음장 효과를 위한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오디오 신호에 음장 효과는 추가하지 않고 음질 개선 등의 처리만 수행할 수 있고,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음장 효과를 위한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질 개선 처리와 더불어 음장 효과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정보에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를 고려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에도 자체적으로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이 사용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데,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와 자체적으로 기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을 함께 고려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이 10이고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에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이 1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3배 증폭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이 3이고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에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이 1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5배 증폭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이 동일하게 10으로 설정되어 있다 하여도, 결국 시청자가 듣게 되는 출력 음량의 크기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되어 서로 다른 크기로 출력될 수 있는데,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미리 이러한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을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에 대한 증폭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오직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용 리모컨만을 사용하면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출력 음량 크기 레벨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에서 출력 음량 크기 레벨을 아무리 올려도 만족할만한 크기의 음량이 콘텐츠 출력 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수 없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설정되어 있는 출력 음량 크기 레벨을 미리 확인하여 출력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증폭 정도를 조정하게 된다면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용 리모컨만을 이용해서 시청자가 원하는 적정 크기의 음량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운드 수신부(150)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정보 수신부(110)에 수신된 장치 정보와 지정된 출력 콘텐츠의 종류를 함께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 시청이 선택된 경우,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그 선택된 콘텐츠의 장르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콘텐츠의 장르와 정보 수신부(110)에 수신된 장치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콘텐츠 전송부(140)는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에서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출력 콘텐츠가 오디오 신호만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 전송부(140)는 그 수정된 오디오 신호만을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고, 출력 콘텐츠가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콘텐츠 전송부(140)는 수정된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를 모두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가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과정을 위주로 설명하였는데, 콘텐츠 출력 장치(200)가 송출하는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출력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는 사운드 수신부(150)와 파라미터 결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수신부(150)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콘텐츠 출력 장치(200)가 출력하는 사운드 신호는 앞서 설명한 콘텐츠 전송부(140)가 전송한 소정의 사운드 신호(일 예로 테스트용 사운드 신호 또는 앞서 설명한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 것일 수 있는데, 파라미터 결정부(160)는 사운드 수신부(150)에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결정부(160)는 콘텐츠 전송부(140)가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전송한 사운드 신호와 사운드 수신부(150)에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를 비교하여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사운드 신호를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전달하였다 하여도,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실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달라질 수 있는데, 파라미터 결정부(160)는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가 결정된 후,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그 결정된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수정부(130)는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수정을 위해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만을 고려할 수도 있고, 또는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와 장치 정보를 모두 고려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TV(200)이고,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100)는 셋탑박스(10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V(200)는 셋탑박스(100)의 요청에 따라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장치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
TV(200)가 전송하는 장치 정보에는 TV(200)에 대한 제조사, 제조년원일, 모델 번호, 구비된 모듈 리스트 등은 물론이고, 사용자 등에 의해 사후적으로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특정 모듈의 활성화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셋탑박스(100)는 TV(200)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3).
이후, 사용자로부터 시청하고자 하는 콘텐츠 선택이 감지된 경우(단계 S5) 셋탑박스(100)는 그 선택된 콘텐츠를 출력 콘텐츠로 지정한다(단계 S7).
이어서 셋탑박스(100)는 해당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앞서 TV(200)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정한 후(단계 S9), 해당 출력 콘텐츠를 TV(200)에 전송한다(단계 S11).
TV(200)는 셋탑박스(100)로부터 수신된 출력 콘텐츠를 처리하여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3).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테스트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V(200)가 장치 정보를 셋탑박스(100)에 전송하면(단계 S21), 셋탑박스(100)는 그 수신된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테스트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TV(200)에 전송한다(단계 S23).
TV(200)는 셋탑박스(100)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미 도시함) 등을 통해 출력하고(단계 S25), 셋탑박스(100)는 TV(200)에서 출력된 테스트 사운드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27).
이어서 셋탑박스(100)는 수신된 테스트 사운드 신호를 기초로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설정한다(단계 S29).
예를 들어 셋탑박스(100)는 TV(200)에 전달한 테스트 사운드 신호와 그에 기초하여 TV(200)에 출력되어 다시 수신된 테스트 사운드 신호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셋탑박스(100)가 동일한 테스트 사운드 신호를 TV(200)에 전달하였다 하여도, TV(200)의 종류에 따라 또는 TV(200)에 특정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테스트 사운드 신호가 달라질 수 있는데, 셋탑박스(100)는 이러한 차이를 판단하여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가 선택됨에 따라 출력 콘텐츠가 지정된 이후(단계 S33), 셋탑박스(100)는 설정된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고(단계 S35), 그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TV(200)에 전송하여(단계 S37)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S39).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에서 출력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가 수정되는 구체적인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TV(200)로부터 장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단계 S41), 셋탑박스(100)는 해당 장치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참고하여 TV(200)에 구비된 특정 기능의 활성화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3).
이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 콘텐츠가 지정된 경우(단계 S47), 셋탑박스(100)는 그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앞서 판단된 TV(200)의 특정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고려하여 수정 처리한다(단계 S49).
예를 들어 TV(200)에서 음장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셋탑박스(100)가 직접 출력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에 음장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TV(200)로부터 장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단계 S51), 셋탑박스(100)는 해당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TV(200)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일 예로 볼륨 레벨)을 확인한다(단계 S53).
또한 셋탑박스(100)는 자체적으로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자체적인 볼륨 레벨)을 확인한다(단계 S55).
이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 콘텐츠가 지정된 경우, 셋탑박스(100)는 그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앞서 확인된 TV(200)의 출력 음량 크기 레벨과 자체적인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을 모두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결정하고(단계 S61), 결정된 음량 크기가 되도록 오디오 신호를 증폭 처리한다(단계 S63).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200 : 콘텐츠 출력 장치
300 : 콘텐츠 제공 서버 110 : 정보 수신부
120 : 콘텐츠 지정부 130 : 오디오 신호 수정부
140 : 콘텐츠 전송부 150 : 사운드 수신부
160 : 파라미터 결정부 170 : 콘텐츠 수신부

Claims (18)

  1. (a) 연결된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출력 콘텐츠를 지정하는 단계와;
    (c)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에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된 특정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에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와 자체적으로 기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결정된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장치 정보와 상기 지정된 출력 콘텐츠의 종류를 함께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에 대해 음장효과 추가, 음질 개선, EQ(Equalizer) 조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8. 외부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와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가 자체 하드웨어 정보와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고, 그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력 콘텐츠를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1. 연결된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출력 콘텐츠를 지정하는 콘텐츠 지정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오디오 신호 수정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수정부에서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에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된 특정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수정부는 상기 특정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에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수정부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정부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레벨 정보와 자체적으로 기 설정된 출력 음량 크기 조절 레벨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사운드 수신부와;
    상기 사운드 수신부에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수정부는 상기 결정된 주파수별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정부는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장치 정보와 상기 지정된 출력 콘텐츠의 종류를 함께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정부는 상기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에 대해 음장효과 추가, 음질 개선, EQ(Equalizer) 조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
  18. 외부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와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는 자체 하드웨어 정보와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력 콘텐츠를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 장치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정하고, 그 수정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
KR1020220059270A 2022-05-16 2022-05-16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230159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70A KR20230159909A (ko) 2022-05-16 2022-05-16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70A KR20230159909A (ko) 2022-05-16 2022-05-16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909A true KR20230159909A (ko) 2023-11-23

Family

ID=8897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270A KR20230159909A (ko) 2022-05-16 2022-05-16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9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563A (ko) 2015-09-30 2017-04-07 김석중 텔레비전 볼륨 자동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563A (ko) 2015-09-30 2017-04-07 김석중 텔레비전 볼륨 자동 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827B2 (en) Dynamic adjustment of equalization settings of audio components via a sound device profile
US10455274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control of devices
US7447815B2 (en) Architecture for optimizing audio and video operating modes for multimedia devices based on predetermined hierarchical order of available audio and video operating modes
US8175298B2 (en) Audio output system control method and audio output system
US999870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headsets
KR20060079128A (ko) 통합형 오디오 처리 시스템, 오디오 신호 조절 방법 및제어 방법
KR20090102392A (ko) 영상 시스템 및 컨텐츠에 따라 영상기기를 설정하는 방법,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및 서버
US105169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utomatic audio optimization for streaming services
US200401999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lume equalization in channel receivable in a settop box adapted for use with television
JP4960889B2 (ja) 音声ミュート処理によるテキストサービスの表示を可能にする方法及び装置
TW420930B (en) Active digital audio/video signal modification to correct for playback system deficiencies
US20100083113A1 (en) Architecture For Optimizing Audio and Video Output States for Multimedia Devices
KR20230159909A (ko)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20030227569A1 (en)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optimizing television viewing conditions
US200401461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from various sources
JP4045161B2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データ配信装置及びデータ配信方法
JP4683227B2 (ja) 映像音声ファイルシステム
KR100677162B1 (ko) A/v 동기를 자동 조정하는 av 시스템
KR101660730B1 (ko)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
KR101369744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60077284A (ko) 오디오 일체형 셋톱박스, 및 그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 처리방법
WO2019185251A1 (en) Operation method for a display device with automatic sound enhancement function
US20050027884A1 (en) Information output control system, information output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output control program
JP2011523255A (ja) ビデオホームネットワーク用の反射装置
JP2017028397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