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215A -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215A
KR20230159215A KR1020220108815A KR20220108815A KR20230159215A KR 20230159215 A KR20230159215 A KR 20230159215A KR 1020220108815 A KR1020220108815 A KR 1020220108815A KR 20220108815 A KR20220108815 A KR 20220108815A KR 20230159215 A KR20230159215 A KR 20230159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rod
electrode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스코
Priority to KR102022010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215A/en
Publication of KR2023015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21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2Wardrobes with extensible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02Hooks attached to a member embracing at least two sides of an upright, e.g. an angle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레일을 포함하는 기둥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과, 상기 제1봉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봉 결합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봉과, 상기 제2봉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봉 결합체;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을 연결하는 봉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comprising: a bottom plate in the shape of a plate; A pillar portion installed on the floor plate and including a rail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first rod assembly including a first rod in the shape of a rod,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ok-shaped hook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ail; A second rod assembly including a second rod in the shape of a ro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o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ok-shaped hook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a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od connecting device that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rod assembly.

Description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고, 행거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복수 개의 행거를 동일한 높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hanger can be adjusted while allowing electrical connection, the hanger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mantled, and a plurality of hangers can be installed continuously at the same height. It relates to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n installable rod connection device.

일반적으로 침대, 책상, 진열장, 화장대 등의 가구에는 인테리어 효과나 특정 공간을 비추기 위해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가구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를 통해 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조명 장치를 통해 특정 공간을 밝힘에 따라 기능적인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Typically,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on furniture such as beds, desks, display cases, and dressers for interior effects or to illuminate specific spaces. Aesthetic effects can be enhanced through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furniture, and functional effects can also be achieved by lighting a specific space through lighting devices.

선반, 행거 등이 구비된 진열장이나 붙박이장과 같은 내부장에는 확산판이 구비된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장에 조명 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내부장의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장의 특정 지점을 밝힐 수 있게 된다. 내부장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는 내부장에 구비된 선반, 행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선반, 행거 등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A lighting device equipped with a diffusion plate may be installed in an interior cabinet such as a display case or built-in cabinet equipped with shelves, hangers, etc. By installing lighting devices in the interior cabinet, the interior effect of the interior cabinet can be improved and specific points of the interior cabinet can be illuminated. Lighting devices installed in the interior cabinet may be installed on shelves, hangers, etc. provided in the interior cabinet. However, installing lighting devices on shelves, hangers, etc. has the following problems.

선반, 행거 등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선반, 행거 등의 일 지점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선반, 행거 등의 일 지점은 전선을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installing a lighting device on a shelf, hanger, etc., a point on the shelf, hanger, etc. where th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 point such as a shelf or hanger where a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

그러나 전선을 통해 선반, 행거 등의 일 지점을 외부와 연결하는 경우, 전선에 의해 선반, 행거 등의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선의 길이가 짧은 경우 선반, 행거 등의 높이를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선반, 행거 등의 높이에 비해 전선의 길이가 지나치게 긴 경우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connecting one point of a shelf, hanger, etc.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elf, hanger, etc. by the wire. Specifically, if the length of the wire is shor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shelf, hanger, etc., and if the length of the wire is too long compared to the height of the shelf, hanger, etc.,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또한, 전선을 통해 선반, 행거 등의 일 지점을 외부와 연결하는 경우, 전기적 단락 지점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반, 행거 등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전기적 단락 지점을 찾아야 하는데, 하나의 전선을 통해 선반, 행거 등의 일 지점이 외부와 연결됨에 따라 전기적 단락 지점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dditionally, when connecting a point of a shelf, hanger, etc.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n electrical short-circuit point. When a problem occurs with a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a shelf, hanger, etc., an electrical short-circuit point must be found. However, since one point of the shelf, hanger, etc.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single wir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electrical short-circuit poi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고, 행거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복수 개의 행거를 동일한 높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anger while allowing electrical connection, easy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anger, and multiple hangers can be installed consecutively at the same height. It relates to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레일을 포함하는 기둥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과, 상기 제1봉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봉 결합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봉과, 상기 제2봉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봉 결합체;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을 연결하는 봉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bottom plate made of a plate shape; A pillar portion installed on the floor plate and including a rail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first rod assembly including a first rod in the shape of a rod,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ok-shaped hook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ail; A second rod assembly including a second rod in the shape of a ro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o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ok-shaped hook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a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od connecting device that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rod assembl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며, 외부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선과 연결되는 제1전극이 포함된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과 접촉되는 제2전극과,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가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bracket coupled to the bottom plate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n electrical connection line extending to the outside, and the pillar. The part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nd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When the pillar par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 second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a third electrode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the pillar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봉 연결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된 제1연결 부재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결합홈에 삽입하고, 상기 제1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A coupling member having a coupl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bar combination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he rod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having a coupl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on device is coupled to a first connection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connec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rod assembly,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rotatable.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member that is coupled, an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rotate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member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결합홈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홈과, 상기 원형홈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원형홈에 끼워지는 원형 돌기와, 상기 원형 돌기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홈에 끼워지는 연장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groove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circular groove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n extension groove extending outward from a side of the circular groove, and the coupling groove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circular protrusion fitted into the circular groove, and an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outward from a side of the circular protrusion and fitted into the extension groov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2연결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를 관통하는 원형 형상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관통공의 형상에 대응되는 회전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돌기의 내부에는 나사가 삽입되는 제1나사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나사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provided with a circular-shaped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side, a rotat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to fit into the through hole, and a first screw coupling hole into which a screw is inserted is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protrusion, and the screw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t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n one side and be inserted into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 제한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제한 돌기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정된 각도만큼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provided with a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that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protrudes outward; ,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by a specified angle based on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 부재의 내측으로 파여진 측면홈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be provided with a side groove dug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외측으로 구부러진 제1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 연결부와 상기 제2전극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top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is bent outward,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It is made of a thin film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illar part and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When the pillar par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conta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3전극은, 구부러지면서 상기 후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면, 상기 제3전극 연결부가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third 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a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that is bent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ok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is made of a thin film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illar part and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and when the hook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 with .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제1봉과 상기 제2봉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은 상기 제3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ligh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nd the ligh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can be connect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봉 연결장치는, 제1봉과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봉 결합체와, 제2봉과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봉 결합체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서,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을 연결하는 봉 연결 장치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된 제1연결 부재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결합홈에 삽입하고, 상기 제1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rod connecting device used in th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first rod assembly including a first rod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rod assembly including a second ro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In the system furniture, a coupling member having a coupl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second rod assembly are provided. A rod connecting device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comprising: a first connecting member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 coupl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rod assemb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member rotatably coupled, and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the engaging protrusion does not deviate from the engaging groov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기둥부의 레일에 구비된 복수 개의 결합 구멍에 선택적으로 봉 결합체의 연결부를 결합하면서,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과 봉 결합체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접촉시킴에 따라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rod assembly is selectively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provided in the rail of the colum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od assembly provided in the colum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rod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hanger can be adjusted while allowing electrical connection by contacting the provided third electrode.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부재를 통해 제1봉 결합체의 일측에 구비된 제1연결부와 제2봉 결합체의 타측을 연결함에 따라 복수 개의 봉 결합체를 동일한 높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ccessively install a plurality of rod assemblies at the same height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through a connecting member.

이와 함께, 본 발명은 행거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바닥판, 기둥부, 행거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고, 바닥판에 구비된 제1전극,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 봉 결합체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서로 접촉시켜 통전시킴에 따라 전기적 단락 지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anger, electrically separates the bottom plate, column portion, and hanger, and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the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column portion, and the rod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al short-circuit point can be easily found by bringing the third electrodes provid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nduct electric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판과 수평 조절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연결 브라켓에 기둥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접촉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봉 결합체와 제2봉 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봉 결합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와 제2봉 결합체의 타측 사이에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서 제1봉 결합체의 제1연결부와 제2봉 결합체의 타측 사이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연결 부재와 제2연결 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연결 부재와 제2연결 부재가 결합된 이후, 제2연결 부재가 제2봉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floor plate and a horizontal adjustmen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pillar part coupled to a connection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rod assembly and a second ro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at a rod connecting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enlarged views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in FIG. 6.
9(a) and 9(b) are diagrams showing a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rod afte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s”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existenc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that has been disclosed, and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components, etc.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new components may exis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components exis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You should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고, 행거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복수 개의 행거를 동일한 높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which allows the height of the hanger to be adjusted while allowing electrical connection, facilitates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hanger, and has a rod that allows multiple hangers to be installed consecutively at the same height. It relates to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connection device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바닥판(110), 기둥부(140), 제1봉 결합체(160), 제2봉 결합체(170), 봉 연결 장치(200)를 포함한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10, a pillar portion 140, a first rod assembly 160, a second rod assembly 170, and a rod connection device 200. Include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판(1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0)은 시스템 가구의 하부판일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110)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bottom plate 110 is made of a plate shape, and the bottom plate 110 may be a lower plate of system furnitur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loor plates 110, and the floor plates 110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수평 조절 프레임(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상기 바닥판(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0)과 지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ure 2,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adjustment frame 111. The horizontal adjustment frame 111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oor plate 110 and can adjust the height between the floor plate 110 and the ground.

상기 바닥판(110)을 지면에 설치할 경우, 지면의 경사에 의해 상기 바닥판(110)이 수평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상기 바닥판(110)을 수평하게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When installing the floor plate 110 on the ground, the floor plate 110 may not be installed horizontally due to the slope of the ground. The horizontal adjustment frame 111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oor plate 110 to install the floor plate 110 horizontally.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복수 개의 조절 나사(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조절 나사(112)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바닥판(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adjustment frame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justment screws 112, and the height of the bottom plate 110 may be adjusted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plurality of adjustment screws 112.

다만,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상기 조절 나사(112)를 통해 상기 바닥판(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다른 구성을 통해 상기 바닥판(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상기 바닥판(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horizontal adjustment frame 111 is not limited to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loor plate 110 through the adjustment screw 112,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frame 111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loor plate 110 through another configuration. The height of (110) can also be adjusted. Additionally, the horizontal adjustment frame 11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plate 110.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바닥판(110)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142)이 구비된 레일(141)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기둥부(14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40)는 시스템 가구의 뒷판(191)을 지지하는 기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14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pillar portion 140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110 and includes a rail 14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42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pillar part 14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pillar part 140 may be a pillar that supports the back plate 191 of th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llar parts 140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제1전극(130)을 포함하는 연결 브라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racket 120 including a first electrode 130.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상기 바닥판(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상기 기둥부(140)를 상기 바닥판(110)에 수직으로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바닥판(110)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판(11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racket 120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10. The connection bracket 120 may be a bracket for vertically coupling the pillar portion 140 to the bottom plat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portion 14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110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10.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110)에 상기 연결 브라켓(120)을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상기 기둥부(140)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기둥부(140)를 상기 바닥판(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상기 바닥판(110)과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상기 바닥판(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by coupling the connection bracket 120 to the bottom plate 110 and coupling the pillar portion 140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 pillar portion 14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10. It can be installed vertically. The connection bracket 12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base plate 1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12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base plate 11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전극(130)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구비되며, 외부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선(121)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기 연결선(121)은 외부의 전기와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기 연결선(121)은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first electrode 130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bracket 120 and is connected to an electrical connection line 121 extending to the outside. The electrical connection line 121 can be connected to external electricity,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line 121 includes a wire extending to the outside.

상기 제1전극(130)은 상기 전기 연결선(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전극(130)은 음극과 양극을 포함하면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전극은 한 쌍의 상기 전기 연결선(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line 121 and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 first electrode 130 may be comprised of a pair of electrodes including a cathode and an anode. A pair of electrod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electrical connection lines 121.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연결 브라켓(12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에 상기 연결 브라켓(120)을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상기 기둥부(140)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기둥부(140)를 상기 바닥판(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pillar portion 14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20, and the pillar portion 14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re is. By coupling the connection bracket 120 to the bottom plate 110 and coupling the pillar portion 140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 pillar portion 140 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110. You can install it with .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전극(150)은 음극과 양극을 포함하면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50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140.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electrodes including a cathode and an anode.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전극(130)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전극(150)이 상기 제1전극(130)에 접촉될 때, 상기 제2전극(150)의 음극은 상기 제1전극(130)의 음극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50)의 양극은 상기 제1전극(130)의 양극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전극(130)과 상기 제2전극(1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130 when the pillar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When the pillar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130, the cathode of the second electrode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cathode of 130, and the anode of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anode of the first electrode 130. Through this,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전극(130)은 상기 연결 브라켓(120)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외측으로 구부러진 제1전극 연결부(1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that protrudes toward the top of the connection bracket 120 and is bent outward. The second electrod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pillar portion 140 and may be made of a thin film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14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가 박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전극(15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전극(130)과 상기 제2전극(1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when the pillar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150 made of a thin film, thereby forming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서,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음극과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전극(150)에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가 접촉될 때, 상기 제2전극(150)의 음극은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의 음극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50)의 양극은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의 양극에 접촉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art 131 may include a cathode and an anode. When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art 131 is contacted with the second electrode 150 made of a thin film, the cathode of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contact the cathode of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art 131, The anode of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anode of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art 13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기둥부(140)를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 또는 조립하는 과정만으로 상기 제1전극(130)과 상기 제2전극(150)을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only through the process of coupling or assembling the pillar portion 140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ing (15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may be made of an elastic member, and before the pillar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is It may be open outwar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때,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상기 기둥부(140)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질 수 있다. 즉, 상기 기둥부(140)는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를 내측으로 모으면서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when the pillar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that spreads outward may be gathered inward by the pillar portion 140. That is, the pillar portion 140 can be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while bringing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which is spread outward, inward.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가 상기 기둥부(140)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지면,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때,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가압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is gathered inward by the pillar portion 140,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made of an elastic member. When the pillar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can be elastically pressed to spread outwar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이와 같이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를 상기 제2전극(150)에 견고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pillar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20,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is elastically pressed to spread outward, thereby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to the secon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31. It is possible to firmly contact the electrode 15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142)이 구비된 레일(14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구멍(142)은 후술할 후크부(180)가 결합되는 구멍으로, 상기 레일(141)을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portion 140 includes a rail 14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42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140. The coupling hole 142 is a hole into which the hook portion 1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and may be a hole penetrating the rail 141.

상기 레일(141)에는,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결합 구멍(1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141)은 상기 기둥부(140)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일(141)은 상기 기둥부(14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rail 14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42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140. The rail 141 may be a member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ail 141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pillar portion 14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는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는 시스템 가구에 결합되는 행거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ar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40, and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 170) may be a hanger coupled to system furniture.

상기 제1봉 결합체(16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161)과 상기 제1봉(16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141)의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180)가 구비된 제1연결부(162)를 포함한다.The first rod assembly 1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161 and the first rod 161 in the shape of a rod, and has a hook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2 of the rail 141. 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6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 parts 180 made of.

상기 제2봉 결합체(17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봉(171)과 상기 제2봉(17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141)의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180)가 구비된 제2연결부(172)를 포함한다. The second rod assembly 1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od 171 and the second rod 171 in the shape of a rod, and has a hook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2 of the rail 141.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17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 parts 180 made of.

상기 제1봉(161)과 상기 제2봉(171)은 옷걸이, 옷 등이 걸릴 수 있는 봉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는 상기 제1봉(161)과 상기 제2봉(171)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rod 161 and the second rod 171 may be rods on which hangers, clothes, etc. can be hu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may b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40 to install the first rod 161 and the second rod 171.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는 외팔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의 일측에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72 may be formed as a cantilever, an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72, a plurality of hook parts ( 180) may be provided.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후크부(180)를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움에 따라 상기 기둥부(140)에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크부(180)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구멍(14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6, as the hook part 180, which has a hook sha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2,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 172) can be combined. The hook portion 180 may be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4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결합 구멍(142)에 상기 후크부(180)가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기둥부(140)에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가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가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hook part 180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42,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the pillar part 140. The height at which (172) is combined can be adjus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ar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4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제3전극(1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전극(181)은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가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되면, 상기 제2전극(150)과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제3전극(181)은 음극과 양극을 포함하면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lectrode 181. The third electrode 181 is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72,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72 are connected to the pillar part 140. When coupled,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150. The third electrode 181 may be comprised of a pair of electrodes including a cathode and an anode.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가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되면, 상기 제3전극(181)의 음극은 상기 제2전극(150)의 음극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전극(181)의 양극은 상기 제2전극(150)의 양극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81)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ar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40, the cathode of the third electrode 181 may contact the cathode of the second electrode 150. , the anode of the third electrode 181 may be in contact with the anode of the second electrode 150. Through this,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the third electrode 18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극(150)은 박막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를 상기 기둥부(140)의 어느 높이에 결합시켜도,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81)을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lectrode 150 is made of a thin film and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140. Therefore, no matter what height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ar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40,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the third electrode 18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can be connected electrical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전극(181)은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전극(181)은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의 상기 후크부(180)에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lectrode 18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72, and the third electrode 18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 162) and the hook portion 180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상기 제3전극(181)은 구부러지면서 상기 후크부(18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전극 연결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는 구부러지면서 상기 후크부(18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The third electrode 181 may include a thir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that is bent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ok portion 180. Referring to FIG. 7,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82 may be bent and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ok part 18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부(180)가 상기 레일(141)의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지면, 상기 후크부(180)에서 돌출된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가 상기 제2전극(15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3전극(181)과 상기 제2전극(1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formed of a thin film provided inside the pillar portion 140 and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ortion 140. When the hook part 1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2 of the rail 141,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82 protruding from the hook part 180 contacts the second electrode 150. As a result, the third electrode 181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서,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는 음극과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전극(150)에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가 접촉될 때, 상기 제2전극(150)의 음극은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의 음극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50)의 양극은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의 양극에 접촉될 수 있다. Here,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82 may include a cathode and an anode. When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8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150 made of a thin film, the cathode of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athode of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82, The anode of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anode of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8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연결부(172)의 상기 후크부(180)를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 또는 조립하는 과정만으로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s the hook portion 180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to the pillar portion 140 or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the third electrode 18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only through the assembly process.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180)를 상기 기둥부(140)의 어느 높이에 결합하더라도 상기 제3전극(181)과 상기 제2전극(150)을 접촉시키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s 4 and 7, since the second electrod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hin film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140, the hook part 180 No matter what height of the pillar portion 140 is attached, the third electrode 181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making contact.

즉, 상기 후크부(180)를 복수 개의 상기 결합 구멍(142) 중 어느 위치에 끼워서 결합하더라도,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81)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기둥부(140)에 대하여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가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여도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81)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That is, no matter how the hook part 180 is inserted into any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42 and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the third electrode 18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ing each other. Through this, even if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are installed relative to the pillar portion 140 is adjusted,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the third electrode 181 When this contact is made, the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180)가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지기 전에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는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may be made of an elastic member, and before the hook portion 1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2,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is It may be open outwar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부(180)가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질 때,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는 상기 기둥부(140)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질 수 있다. 즉, 상기 후크부(180)는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를 내측으로 모으면서 상기 결합 구멍(142)을 통해 상기 기둥부(140)의 내측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hook portion 1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2,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that opens outward may be gathered inward by the pillar portion 140. That is, the hook portion 180 can be press-fitted to the inside of the pillar portion 140 through the coupling hole 142 while gathering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that spreads outward inward.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가 상기 기둥부(140)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지면,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후크부(180)가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질 때,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가압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82 is gathered inward by the pillar part 140,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82 made of an elastic member. When the hook portion 1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2,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can be elastically pressed to spread outwar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이와 같이 상기 후크부(180)가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질 때,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제3전극 연결부(182)를 상기 제2전극(150)에 견고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hook portion 1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2,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is elastically pressed to spread outward, thereby connecting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to the second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182. It is possible to firmly contact the electrode 15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제1봉(161)과 상기 제2봉(171)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조명(192)을 포함할 수 있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lighting 192 provided on one or more of the first rod 161 and the second rod 171.

상기 조명(192)은 상기 제3전극(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192)은 상기 제1봉(161)과 상기 제2봉(171)의 다양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192)은 전선 또는 다른 전기적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제3전극(18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192)은 확산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명(192)은 다양한 형태로 상기 제1봉(161)과 상기 제2봉(171)에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ing 19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81, and the lighting 192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ints of the first rod 161 and the second rod 171. The lighting 19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81 through a wire or other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the lighting 192 may be in the form of a diffusion plat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ighting 19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rod 161 and the second rod 171 in various forms.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구비된 상기 제1전극(130)은 상기 전기 연결선(121)을 통해 전기를 공급 받게 되고, 상기 제1전극(130)으로 공급된 전기는 상기 제2전극(150)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전극(150)으로 전달된 전기는 제3전극(181)에 전달되고, 상기 제3전극(181)에 전달된 전기는 상기 조명(192)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조명(192)에서 빛이 방출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130 provided on the connection bracket 120 receives electricity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line 121, and the electricity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50. is passed on. The electricity delivered to the second electrode 150 is transferred to the third electrode 181, and the electricity delivered to the third electrode 181 is transferred to the lighting 192, thereby producing light from the lighting 192. This can be releas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봉 결합체(160)는 일측과 타측에 모두 상기 제1연결부(1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일측에만 상기 제1연결부(162)가 구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d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on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may be provided on only one side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162)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봉 결합체(170)는 일측에만 상기 제2연결부(17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172)의 타측은 상기 제2연결부(172)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열려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d assembly 170 may be provid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on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may be provid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It may be left open and unequipped.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를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할 때,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상기 제2연결부(172)가 구비되면,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를 동일한 높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없게 된다. When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ar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40,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is attached to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170. If provided,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cannot be continuously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구체적으로, 시스템 가구에서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를 동일한 높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상기 제2연결부(172)가 구비되면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제2연결부(172)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are continuously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in the system furniture, the second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170. When (172) is provided,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170. This happens.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40)에 구비된 상기 레일(141)에는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제2연결부(172) 중 어느 하나만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상기 제2연결부(172)가 구비되면,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를 동일한 높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없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rail 141 provided on the pillar portion 140 include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Since only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s 172 provided on the other side is inserted, i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72 is provided on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170, the first rod assembly 160 )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cannot be installed continuously at the same height.

물론, 상기 기둥부(140)에 복수 개의 상기 레일(141)을 설치하여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제2연결부(172)를 각각 상기 레일(141)에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기둥부(140)에 복수 개의 상기 레일(141)을 설치하면 시스템 가구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Of course, the plurality of rails 141 are installed on the pillar portion 140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170. The second connection parts 172 provided in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ail 141. However, if a plurality of the rails 141 are installed on the pillar portion 140 in this way, the volume of the system furniture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봉 연결 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봉 연결 장치(200)는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상기 제2봉(171)의 타측을 연결하는 것이다. To solve this problem,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rod connection device 200. The rod connecting device 200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of the second rod assembly 170.

상기 봉 연결 장치(200)는 제1연결 부재(210), 제2연결 부재(22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상기 제1연결부(162)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164)이 구비된 결합 부재(16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rod connecting device 20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210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Referring to FIGS. 6 and 7, a coupling member 163 having a coupling groove 16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there is.

상기 결합 부재(163)는 상기 제1연결부(162)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 부재(163)에는 상기 결합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164)은 길이 방향 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상기 결합홈(164)에 후술할 결합 돌기(211)가 삽입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163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the coupling groove 164 is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163. The coupling groove 164 is a groov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one direc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2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부재(163)는 상기 제1연결부(162)와 분리되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연결부(162)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부재(163)는 상기 제1연결부(162)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163 is made of a member separate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62, and the coupling member 163 )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상기 제1연결 부재(2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결합홈(164)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211)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 돌기(211)는 길이 방향 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로, 상기 결합 돌기(211)는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11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The coupling protrusion 211 is a protrusion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one direc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1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상기 결합 돌기(211)는 상기 결합홈(164)에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홈(16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돌기(211)를 상기 결합홈(164)에 삽입하고, 상기 제1연결 부재(210)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211)가 상기 결합홈(164)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21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64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1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is rotated, the coupling protrusion 211 moves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may not deviate from.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 부재(163)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부재(163)의 상기 결합홈(164)에 상기 결합 돌기(211)를 삽입하면, 상기 결합 돌기(211)는 상기 결합 부재(163) 내부의 빈 공간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ures 7 and 8,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member 163.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1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of the coupling member 163, the coupling protrusion 211 may be rotated through the empty space inside the coupling member 163.

상기 결합 돌기(211)는 상기 결합홈(164)에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홈(16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상기 결합 돌기(211)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211)가 상기 결합홈(164)의 외측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결합 돌기(211)가 상기 결합홈(164)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21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64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11 is rotated, the coupling protrusion 211 is As it is caught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groove 164, the coupling protrusion 211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164.

상기 제2연결 부재(220)는 상기 제2봉(171)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도 8,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관통하는 원형 형상의 관통공(2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221)에 끼워지도록 상기 관통공(2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회전 돌기(215)가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9(a), and 9(b),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there is a circular through hole 221 penetrating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It can be provided. A rotating protrusion 215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2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1.

상기 회전 돌기(215)의 내부에는 나사(230)가 삽입되는 제1나사 결합공(2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230)는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일측에서 상기 관통공(221)을 통과하여, 상기 제1나사 결합공(216)에 삽입될 수 있다. A first screw coupling hole 216 into which a screw 230 is inser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protrusion 215, and the screw 2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It may pass through (221) and be inserted into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6).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상기 회전 돌기(215)가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상기 관통공(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230)를 상기 제1나사 결합공(216)에 결합시키면,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With the rotating protrusion 215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1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the screw 2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6.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이때, 상기 나사(230)와 상기 관통공(221) 사이에는 베어링(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31)은 상기 나사(230)가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접촉 및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t this time, a bearing 23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crew 230 and the through hole 221. The bearing 231 is used to prevent the screw 230 from contacting and being fix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상기 베어링(231)이 없으면, 상기 나사(230)가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나사(230)가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접촉되면,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회전할 때 상기 나사(230)와 상기 제2연결 부재(220)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If the bearing 231 is not present, the screw 230 may contact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When the screw 230 contacts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friction occurs between the screw 23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rotates.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may be restricted.

여기서, 상기 나사(230)는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상기 제1나사 결합공(216)에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나사(230)는 상기 제1연결 부재(210)와 함께 회전한다. Here, since the screw 230 is coupled to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6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the screw 23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

상기 나사(230)와 상기 관통공(221) 사이에 상기 베어링(231)이 구비되면, 상기 나사(230)가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연결 부재(210)를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대하여 부드럽게 회전 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bearing 231 is provided between the screw 230 and the through hole 221, the screw 230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 210) can be smooth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에는,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1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214)는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14)를 통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1연결 부재(210)를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214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9(a) and 9(b), the handle 214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through the handle 214. ) can be applied to rotat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일면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 제한 돌기(2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는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정된 각도만큼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that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and protrudes outward. .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by a specified angle based on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는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상기 손잡이(214)는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214)는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서만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may limit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Referring to FIGS. 9(a) and 9(b), the handle 214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may protrude outward at a point where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is not provided. , the handle 214 may be rotatable only at points where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is not provided.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가 구비되는 지점과,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가 구비되지 않는 지점이 존재한다.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상기 손잡이(214)는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214)가 회전시 상기 손잡이(214)는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에 접촉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re is a point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is provided and a point where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is not provided. The handle 214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may protrude outward at a point where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is not provided, and when the handle 214 rotates, the handle 214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상기 손잡이(214)가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에 접촉되면,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에 의해 상기 손잡이(214)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 부재(210)는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서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서만 회전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제한 돌기(223)를 통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When the handle 214 contacts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the rotation of the handle 214 may be restricted by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may be rotatable only at a point i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where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is not provided,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may b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23. 1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can be limi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봉 연결 장치(2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rod connect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following manner.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나사(230)와 상기 베어링(231)을 통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와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먼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부재(220)는 상기 제2봉(17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상기 제2봉(171)에 타측에 먼저 결합하면,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일측이 상기 제2봉(171)에 의해 막힐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S. 9(a) and 9(b),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may be first coupled through the screw 230 and the bearing 231. there is.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Whe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is firs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220 can be blocked by the second rod 171.

상기 나사(230)는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일측에서 상기 관통공(221)을 통과하여 상기 제1연결 부재(210)에 결합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상기 제2봉(171)에 타측에 먼저 결합하면 상기 제2봉(171)에 의해 상기 나사(230)를 삽입할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230)와 상기 베어링(231)을 통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와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먼저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crew 230 mus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21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and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If the second rod 171 is firs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re will be no space to insert the screw 230 due to the second rod 171.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irst coupl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through the screw 230 and the bearing 231.

상기 제1연결 부재(210)와 상기 제2연결 부재(220)가 결합된 이후,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상기 제2봉(171)의 타측에 결합시킨다.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관통하는 제2나사 결합공(22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봉(171)의 내부에는 나사가 끼워질 수 있는 나사 결합공(173)이 구비되어 있다. Afte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are couple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2 penetrating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and a screw into which a screw can be inserted is inside the second rod 171. A coupling hole 173 is provided.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타측에서 상기 제2나사 결합공(222)을 통과시켜 상기 제2봉(171)의 나사 결합공(173)으로 나사를 삽입하면, 도 10과 같이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연결 부재(220)가 상기 제2봉(171)의 타측에 결합된다. When a screw is inser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through the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2 and into the screw coupling hole 173 of the second rod 171, the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2 is inserted as shown in FIG. 10.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220,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이후, 상기 제1연결 부재(210)에 구비된 상기 결합 돌기(211)를 상기 결합홈(164)에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214)를 통해 상기 제1연결 부재(210)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211)가 상기 결합홈(164)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211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64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is rotated through the handle 214, the The coupling protrusion 211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164.

상기 결합 돌기(211)가 상기 결합홈(164)에서 이탈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봉(171)의 타측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As the coupling protrusion 211 does not deviate from the coupling groove 164,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can be coupled.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제2봉(171)의 타측에 상기 제2연결부(172)가 구비되지 않아도 상기 봉 연결 장치(200)를 통해 상기 제1봉 결합체(16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를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first rod through the rod connecting device 200 even i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72 is no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내측으로 파여진 측면홈(2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와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먼저 결합시킨 이후, 상기 제2연결 부재(220)가 상기 제2봉(171)에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groove 217 dug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As described above, after first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rod 171.

도 9(a), 도 9(b),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타측에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 부재(210)에 의해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상기 제2나사 결합공(222)이 막힐 수 있게 된다. 9(a), 9(b), and 10, sinc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As a result, the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2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can be block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내측으로 파여진 측면홈(2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홈(217)은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결합될 때, 상기 제2연결 부재(220)의 상기 제2나사 결합공(222)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홈일 수 있다. To prevent this, a side groove 217 dug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the side groove 217 allows the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2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t may be a groove that can be exposed.

상기 제1연결 부재(210)의 측면에 상기 측면홈(217)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2연결 부재(220)에 상기 제1연결 부재(210)를 결합하여도 상기 제2나사 결합공(22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2나사 결합공(222)을 통해 상기 제2연결 부재(220)를 상기 제2봉(171)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side groove 217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even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the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2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20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rod 171 through the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결합홈(164)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홈(165)과, 상기 원형홈(165)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홈(166)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결합 돌기(211)는 상기 원형홈(165)에 끼워지는 원형 돌기(212)와, 상기 원형 돌기(212)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홈(166)에 끼워지는 연장 돌기(213)를 포함한다. The coupling groove 16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groove 165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n extension groove 166 extending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circular groove 165.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2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protrusion 212 fit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65, extends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circular protrusion 212, and the extension groove ( It includes an extension protrusion 213 fitted into 166).

상기 원형홈(165)과 상기 원형 돌기(212)는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원형 돌기(212)가 상기 원형홈(165)에 끼워질 때, 상기 원형홈(165)과 상기 원형 돌기(212)의 중심축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원형 돌기(212)는 상기 원형홈(165)에 끼워지도록 상기 원형홈(16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ircular groove 165 and the circular protrusion 212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when the circular protrusion 212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65, the circular groove 165 and the circular protrusion 212 ) The central axes may coincide. The circular protrusion 212 may be shaped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groove 165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65 .

상기 연장홈(166)은 상기 원형홈(165)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연장 돌기(213)는 상기 원형 돌기(212)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 돌기(213)는 상기 연장홈(166)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장홈(16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xtension groove 166 extends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circular groove 165, and the extension protrusion 213 extends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circular protrusion 212. The extension protrusion 213 may be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xtension groove 166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groove 166.

상기 원형홈(165)에 상기 원형 돌기(212)를 끼우고, 상기 연장홈(166)에 상기 연장 돌기(213)를 끼움에 따라 상기 결합 돌기(211)를 상기 결합홈(164)에 끼울 수 있게 된다. By inserting the circular protrusion 212 into the circular groove 165 and inserting the extension protrusion 213 into the extension groove 166, the coupling protrusion 211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There will be.

상기 결합 돌기(211)를 상기 결합홈(164)에 끼우고 상기 제1연결 부재(2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원형 돌기(212)는 상기 원형홈(165)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연장 돌기(213)는 상기 연장홈(166)에서 이탈될 수 있다.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1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is rotated, the circular protrusion 212 is maintained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65, and the circular protrusion 212 is maintained in the circular groove 165. The extension protrusion 213 may be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groove 166.

상기 원형홈(165)과 상기 원형 돌기(212)는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중심축이 일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 부재(210)는 상기 원형홈(165)과 상기 원형 돌기(2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circular groove 165 and the circular protrusion 212 are circular in shape and have central axes coincident with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is connected to the circular groove 165 and the circular protrusion 212. It is possible to rotat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

상기 원형홈(165)과 상기 원형 돌기(2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회전하면, 상기 연장 돌기(213)가 상기 연장홈(166)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연장 돌기(213)가 상기 결합홈(164) 내부에 걸리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 돌기(211)가 상기 결합홈(164)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circular groove 165 and the circular protrusion 212, the extension protrusion 213 deviates from the extension groove 166 and the extension protrusion ( 213) is caught inside the coupling groove 164. Through this, the coupling protrusion 211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164.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결합홈(164)과 상기 결합 돌기(211)는, 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원형홈(165)과 상기 원형 돌기(212)를 통해 상기 제1연결 부재(210)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회전될 때 상기 연장홈(166)에서 이탈되는 상기 연장 돌기(213)를 통해 상기 결합 돌기(211)가 상기 결합홈(164)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coupling groove 164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through the circular groove 165 and the circular protrusion 212, which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can be rotated smoothly, and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is rotated, the coupling protrusion 211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164 through the extension protrusion 213 that separates from the extension groove 166. ) and cannot deviate from 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연결부(172)의 일측에는 봉 연결 장치(200)를 통해 제3봉 결합체가 결합될 수도 있다. 봉 연결 장치(200)를 통해 상기 제2연결부(172)의 일측에 상기 제3봉 결합체가 결합될 때, 상기 제2연결부(172)는 상기 제1연결부(16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3봉의 타측은 상기 제2봉(171)의 타측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rod assembly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through a rod connection device 200. When the third rod assembly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through the rod connection device 200,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 the other side of the third ro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봉 연결 장치(200)를 통해 제3봉 결합체에 이외에 또 다른 봉 결합체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봉 연결 장치(200)를 통해 복수 개의 봉 결합체를 연속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uple another rod assembly in addition to the third rod assembly through the rod connecting device 200. In this way,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install a plurality of rod combinations at the same height through the rod connecting device 200.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기둥부(140)에는, 상기 기둥부(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43)에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럭(19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43)는 상기 기둥부(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으며, 상기 블럭(190)은 상기 날개부(14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pillar portion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wing portion 143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pillar portion 140. A block 190 having a hexahedral shape may be coupled to the wing portion 143. The wing portion 143 may be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illar portion 140, and the block 19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wing portion 14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2개의 상기 기둥부(140) 사이에 구비되는 뒷판(1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뒷판(191)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2개의 상기 기둥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판일 수 있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ck plate 191 provided between the two pillar parts 140. The back plate 191 may have a plate shape and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wo pillar portions 140.

상기 뒷판(191)은 상기 블럭(190)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뒷판(191)과 상기 블럭(190)이 접촉하는 지점을 핀 또는 타카 등을 통해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뒷판(191)을 상기 블럭(19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럭(190)을 통해 상기 뒷판(191)을 고정 결합시킴에 따라 2개의 상기 기둥부(140) 사이에 상기 뒷판(191)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back plate 191 can be installed through the block 190. Specifically, the back plate 191 can be coupled to the block 190 by fixing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back plate 191 and the block 190 using a pin or tack, etc. By fixing the back plate 191 through the block 190, the back plate 191 can be easily installed between the two pillar parts 14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붙박이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가 붙박이장일 경우, 상기 블럭(190)을 통해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uilt-in closet. When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t-in closet, the system furniture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through the block 190.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브라켓(120)을 통해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기둥부(140)를 결합하고, 상기 블럭(190)을 벽체에 고정시킨다. 이후, 핀 또는 타카 등을 통해 상기 블럭(190)에 상기 뒷판(191)을 결합시킴에 따라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floor plate 110 and the pillar portion 140 ar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120, and the block 190 is fixed to the wall. Afterwards, the system furniture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by coupling the back plate 191 to the block 190 using pins or tacks, etc.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블럭(190)을 통해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고정시킴에 따라, 붙박이장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를 해체할 경우, 상기 블럭(190)을 벽체에서 제거하면서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서 쉽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ystem furniture consisting of a built-in wardrobe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wall because the system furniture is fixed to the wall through the block 190. In addition, when dismantling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urniture can be easily dismantled from the wall while removing the block 190 from the wal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블럭(190)을 통해 시스템 가구를 설치 및 해체함에 따라 붙박이장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가구의 설치, 해체, 재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disassembly, and re-construction of system furniture consisting of a built-in wardrobe by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system furniture through the block 190.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봉 연결 장치(200)는 제1봉(161)과 제1연결부(162)를 포함하는 제1봉 결합체(160)와, 제2봉(171)과 제2연결부(172)를 포함하는 제2봉 결합체(170)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서,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상기 제1연결부(162)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상기 제2봉(171)의 타측을 연결하는 것이다. The rod connection device 200 used in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d assembly 160 including a first rod 161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and a second rod 171. In system furniture provided with a second rod assembly 170 including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72,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the second rod assembly 170 It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상기 제1봉 결합체(160)의 제1연결부(162)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164)이 구비된 결합 부재(163)가 구비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상기 봉 연결 장치(2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결합홈(164)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211)가 구비된 제1연결 부재(210)와, 상기 제2봉 결합체(170)의 상기 제2봉(171)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 부재(2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 부재(22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211)를 상기 결합홈(164)에 삽입하고, 상기 제1연결 부재(210)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211)가 상기 결합홈(164)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A coupling member 163 having a coupling groove 16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2 of the first rod assembly 160, and is provided in th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 connecting device 200 used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210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1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4, and the second rod coupling body 170. I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171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0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21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groove 164. When inserted into and rotating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0, the coupling protrusion 211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16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봉 연결 장치(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포함된 봉 연결 장치(200)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rod connection device 200 used in th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rod connection device 200 included in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detailed The explanation is omitte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the rod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기둥부의 레일에 구비된 복수 개의 결합 구멍에 선택적으로 봉 결합체의 연결부를 결합하면서,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과 봉 결합체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접촉시킴에 따라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couple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rod assembly to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provided in the rail of the colum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rod assembly provided in the column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hanger can be adjusted while allowing electrical connection by contacting the third electrode provided i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봉 연결 장치를 통해 제1봉 결합체의 일측에 구비된 제1연결부와 제2봉 결합체의 타측을 연결함에 따라 복수 개의 봉 결합체를 동일한 높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assembly through the rod connection device,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rod combination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installed continuously at the same heigh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 브라켓에 기둥부를 설치, 결합, 조립 하는 과정을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며, 제1봉 결합체의 제1연결부와 제2봉 결합체의 제2연결부를 기둥부에 설치, 결합,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제2전극과 제3전극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process of installing, combining, and assembling the pillar part on the connection bracket without using wir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process of installing, coupling, and assembl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second rod assembly to the pilla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기둥부의 레일에 구비된 복수 개의 결합 구멍에 선택적으로 제1봉 결합체의 제1연결부와 제2봉 결합체의 제2연결부를 결합하면서,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과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접촉시킴에 따라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제1봉 결합체 및 제2봉 결합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couple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rod assembly to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provided in the rail of the pillar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second rod assembly can be adjusted while allowing electrical connection by contacting the second electrode provided in the pillar portion with the third 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행거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바닥판, 기둥부, 행거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고, 바닥판에 구비된 제1전극,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 봉 결합체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서로 접촉시켜 통전시킴에 따라 전기적 단락 지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hanger, electrically separates the bottom plate, column portion, and hanger,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lectrical short-circuit point can be easily found by contacting the second electrode provided in the pillar portion and the third electrod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rod assembly to conduct electricit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10...바닥판 111...수평 조절 프레임
112...조절 나사 120...연결 브라켓
121...전기 연결선 130...제1전극
131...제1전극 연결부 140...기둥부
141...레일 142...결합 구멍
143...날개부 150...제2전극
160...제1봉 결합체 161...제1봉
162...제1연결부 163...결합 부재
164...결합홈 165...원형홈
166...연장홈 170...제2봉 결합체
171...제2봉 172...제2연결부
173...나사 결합공 180...후크부
181...제3전극 182...제3전극 연결부
190...블록 191...뒷판
192...조명 200...봉 연결 장치
210...제1연결 부 211...결합 돌기
212...원형 돌기 213...연장 돌기
214...손잡이 215...회전 돌기
216...제1나사 결합공 217...측면홈
220...제2연결 부재 221...관통공
222...제2나사 결합공 223...회전 제한 돌기
230...나사 231...베어링
110...Bottom plate 111...Horizontal adjustment frame
112...adjustment screw 120...connection bracket
121...electrical connection line 130...first electrode
131... first electrode connection part 140... pillar part
141...rail 142...joining hole
143... wing 150... second electrode
160...1st rod assembly 161...1st rod assembly
162... first connection 163... coupling member
164...combining groove 165...circular groove
166...extension groove 170...2nd rod assembly
171...2nd rod 172...2nd connection
173...screw joint hole 180...hook part
181...third electrode 182...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190...Block 191...Back plate
192...lighting 200...rod connection device
210... first connection part 211... coupling protrusion
212...circular protrusion 213...extended protrusion
214...Handle 215...Rotating projection
216...First screw coupling hole 217...Side groove
220...second connection member 221...through hole
222...Second screw coupling hole 223...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30...screw 231...bearing

Claims (13)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레일을 포함하는 기둥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과, 상기 제1봉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봉 결합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봉과, 상기 제2봉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봉 결합체;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을 연결하는 봉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 bottom plate made of a plate shape;
A pillar portion installed on the floor plate and including a rail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first rod assembly including a first rod in the shape of a rod,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ok-shaped hook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ail;
A second rod assembly including a second rod in the shape of a ro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o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ok-shaped hook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ail;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 rod connection device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rod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며, 외부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선과 연결되는 제1전극이 포함된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과 접촉되는 제2전극과,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가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and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bracket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n externally extending electrical connection line, wherein the pillar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nd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a second electrode that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when the pillar par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 rod connection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the pillar part.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봉 연결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된 제1연결 부재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결합홈에 삽입하고, 상기 제1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upling member having a coupl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rod assembly,
The rod connecting device,
A first connection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second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rod assemb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wherein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the engaging protrusion does not escape from the engaging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3,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handl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형홈과, 상기 원형홈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원형홈에 끼워지는 원형 돌기와, 상기 원형 돌기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홈에 끼워지는 연장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upling groove is,
It includes a circular groove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n extension groove extending outward from a side of the circular groove,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 circular protrusion fitted into the circular groove, an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outward from a side of the circular protrusion, and fitted into the extension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를 관통하는 원형 형상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관통공의 형상에 대응되는 회전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돌기의 내부에는 나사가 삽입되는 제1나사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나사 결합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3,
Insid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 circular-shaped through hole is provided that penetrates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sid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 rotat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first screw coupling hole into which a screw is inserted is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protrusion,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 제한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제한 돌기는,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정된 각도만큼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3,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that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protrudes outward,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is,
System furniture provid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by a specified angle based on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 부재의 내측으로 파여진 측면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3,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ide groove dug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upling member is,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외측으로 구부러진 제1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 연결부와 상기 제2전극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top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is bent outward,
The second electrode is made of a thin film provided inside the pillar part and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When the pillar par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the first electrod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ing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3전극은, 구부러지면서 상기 후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면, 상기 제3전극 연결부가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third electrod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ncludes a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that is bent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ok part,
The second electrode is made of a thin film provided inside the pillar part and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wherein when the hook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e third electrode connection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과 상기 제2봉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은 상기 제3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ccording to clause 11,
Including lighting provided in one or more of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System furniture equipped with a rod connection device, wherein the lighting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제1봉과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봉 결합체와, 제2봉과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봉 결합체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서,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봉 결합체의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을 연결하는 봉 연결 장치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된 제1연결 부재와,
상기 제2봉 결합체의 상기 제2봉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결합홈에 삽입하고, 상기 제1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봉 연결 장치.
In system furniture provided with a first rod assembly including a first rod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rod assembly including a second ro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rod assembly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d connec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extending to, and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rod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rod assembly,
A first connection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second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rod assemb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 rod connection device used in system furniture, wherein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the engaging protrusion does not come off the engaging groove.
KR1020220108815A 2022-05-12 2022-08-30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KR202301592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815A KR20230159215A (en) 2022-05-12 2022-08-30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527A KR102446245B1 (en) 2022-05-12 2022-05-12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KR1020220108815A KR20230159215A (en) 2022-05-12 2022-08-30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527A Division KR102446245B1 (en) 2022-05-12 2022-05-12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215A true KR20230159215A (en) 2023-11-21

Family

ID=834456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527A KR102446245B1 (en) 2022-05-12 2022-05-12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KR1020220108815A KR20230159215A (en) 2022-05-12 2022-08-30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527A KR102446245B1 (en) 2022-05-12 2022-05-12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62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438A1 (en)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쿠스코 System furniture provided with shelf fix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869U (en) * 1986-12-15 1988-06-21
KR100431876B1 (en) * 2001-10-15 2004-05-17 양경호 Assembling structure of assembling typed displayer
JP2005253854A (en) * 2004-03-15 2005-09-22 Pearl Mannequin:Kk Method of connecting display furniture and ornament connector
US20060209537A1 (en) * 2005-03-17 2006-09-21 Stylmark, Inc. Display assembly with low voltage powered lighting
KR20070106298A (en) * 2006-04-28 2007-11-01 양경호 Led lighting device for display case
CN203466400U (en) * 2013-08-29 2014-03-05 东莞恒隆家具制造有限公司 Light emitting system electrifying device for display industry
KR200484969Y1 (en) * 2017-06-15 2017-11-14 이용백 Shelf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245B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693B1 (en) Stand for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374548B1 (en) Column-based workspace definition system
JP2010521249A (en) Support arm system
KR20230159215A (en) System furniture with rod connecting apparatus
US20230065798A1 (en) Connection device, structural system and shelving unit
KR20230159216A (en) System furniture with shelf fastening apparatus
KR20230159221A (en) System furniture with electrode bracket apparatus
KR101814286B1 (en) Display booth using connecting clip and constructing mehtod thereof
JP2000287763A (en) Wiring device for furniture such as table
KR102503425B1 (en) System furniture having shelf with light
KR20220064261A (en) Monitor supporting structure and monitor supporter for hospital bed including thereof
US5325904A (en) Partitioning system
CN210573488U (en) Cover plate assembly of functional device and display device
CN218468576U (en) Guide screen compatible with multiple installation modes
CN215222424U (en) Mounting structure of array sound box
KR200148381Y1 (en) Apparatus for fixing telephone to wall and table
JP4261159B2 (en) Leg structure such as table
US6027369A (en) Hingeable wiring block
CN217519568U (en) Display device
KR20180094760A (en) Line outlet for channel with finishing cap
CN217153705U (en) Display support
CN214481119U (en) Knob subassembly is used in audio amplifier volume control
JPH0717159U (en) Shelf pillar with linear outlet
JP3564978B2 (en) Desk with wiring function
JPH11289641A (en) Device for connection of wiring duct unit on desk or the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