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987A -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987A
KR20230158987A KR1020220058788A KR20220058788A KR20230158987A KR 20230158987 A KR20230158987 A KR 20230158987A KR 1020220058788 A KR1020220058788 A KR 1020220058788A KR 20220058788 A KR20220058788 A KR 20220058788A KR 20230158987 A KR20230158987 A KR 20230158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elevator door
coupling plate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9201B1 (en
Inventor
전원배
박현호
김태석
김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대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대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5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01B1/en
Publication of KR2023015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9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레일홈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확대머리 형태의 레일 돌기를 형성하고, 도어 슈의 하단 양측에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한 다음, 결합 플레이트에 이탈방지 회전부재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를 설치시 도어가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되면 도어 슈의 결합 플레이트에 설치된 이탈방지 회전부재가 레일 돌기의 상부 곡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레일 돌기를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원위치로 위치하도록 해서 결합 플레이트와 레일 돌기의 결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설치시 별도의 설치 과정없이 자중에 의해서만 용이하게 설치되면서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and in detail, a rail protrusion in the shape of an enlarged hea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rail groove, and a coupling plat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oor shoe, and then the elevator door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late. When installing a door with the prevention rotation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if the door is lowered vertically by its own weight, the anti-separation rot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coupling plate of the door shoe rotates along the upper curved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and the rail projection is retracted inside. This relates to a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door that prevents the door from coming off while being easily installed only by its own weight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process when installing the elevator by combining the coupling plate and the rail protrusion by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n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레일홈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확대머리 형태의 레일 돌기를 형성하고, 도어 슈의 하단 양측에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한 다음, 결합 플레이트에 이탈방지 회전부재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를 설치시 도어가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되면 도어 슈의 결합 플레이트에 설치된 이탈방지 회전부재가 레일 돌기의 상부 곡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레일 돌기를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원위치로 위치하도록 해서 결합 플레이트와 레일 돌기의 결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설치시 별도의 설치 과정없이 자중에 의해서만 용이하게 설치되면서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and in detail, a rail protrusion in the shape of an enlarged hea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rail groove, and a coupling plat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oor shoe, and then the elevator door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late. When installing a door with the prevention rotation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if the door is lowered vertically by its own weight, the anti-separation rot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coupling plate of the door shoe rotates along the upper curved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and the rail projection is retracted inside. This relates to a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door that prevents the door from coming off while being easily installed only by its own weight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process when installing the elevator by combining the coupling plate and the rail protrusion by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n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설치되는 승강카를 권상기의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 하강하면서 승객들의 층간 이동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러한 엘리베이터를 통상하여 층간을 이동시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 means of quickly and smoothly moving passengers between floors by vertically raising and lowering a hoisting car installed in the hoistway inside a building by driving a traction machine. Such elevators usually ensure the safety of passengers when moving between floors. It was essential to install safety devices that could provide maximum security.

이렇게, 건물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에서 승객들이 탑승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승강카 도어가 구비되는 승강카를 권상기에 의해 승, 하강하게 되고, 건물의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카의 도착 및 이동시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가 구비된다.In this way, a typical elevator provided in a building uses a hoisting machine to raise and lower an elevator car equipped with an elevator car door that opens and closes so that passengers can board the elevator, and the platform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equipped with an elevator car that is equipped with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o allow passengers to board. A platform door that opens and closes is provided.

그리고, 엘리베이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10)에 구비되는 승강카 도어(112)와, 승강장(100)에 구비되는 승강장 도어(102)가 구비되어 승객의 탑승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데, 상기 승강카 도어(112)나 승강장 도어(102)는 승강카(110)의 하부와 승강장(100)의 바닥면에 매설된 각 안내 레일(120)의 안내홈(122) 상에서 도어 슈(130)가 슬라이딩되도록, 즉 각 도어(112, 102)의 하부에 형성된 보스부(104)에 금속 재질의 도어 슈 바디(132)에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패드(134)가 장착되어 도어 슈 바디(132)가 안내홈(122)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elevator is equipped with an elevator car door 112 provided on the elevator car 110 and a platform door 102 provided on the platform 100, which are provided to open and close when a passenger boards. In this case, the elevator car door 112 or the platform door 102 is connected to the door shoe ( A pad 134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is mounted on the door shoe body 132 made of metal on the boss portion 104 formed at the bottom of each door 112 and 102 so that the door shoe body (130) slides. 132)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y sliding on the guide groove 12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에 구비되는 각 도어는 특히, 승강장 도어(102)는 하부가 단순하게 안내 레일(120)의 안내홈(122)으로 도어 슈 바디(132)만이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잦은 개폐로 인한 도어 슈 바디(132)의 마모로 인해 안내홈(122) 상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무엇보다도 승강장(100) 측에서 가해지는 작은 압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도 도어 슈 바디(132)가 안내홈(12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승강장 도어(102)의 하부가 승강로 측으로 밀리면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그로 인해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크나큰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each door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elevator, especially the landing door 102, is supported by simply inserting the door shoe body 132 at the lower part into the guide groove 122 of the guide rail 120, thereby preventing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Due to wear of the door shoe body 132, 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22 or, above all, the door shoe body 132 is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22 even by small pressure or shock applied from the platform 100 sid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platform door 102 was easily separated as it was pushed toward the hoistway, and as a result, it had a serious defect in that falling accidents frequently occur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등록특허 제10-1937698호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제10-1644030호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제10-1213694호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등이 게시되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domestically registered patent No. 10-1937698,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No. 10-1644030,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nd No. 10-1213694, an elevator platform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etc. have been published.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국내등록특허 제10-1937698호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판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이나, 판 스프링이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고, 이로 인해 도어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10-1644030호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록킹 수단이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도어를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 제10-1213694호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안내레일의 안내홈 내에 브라켓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of Domestic Patent No. 10-1937698 uses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to prevent the door from breaking away, but the leaf spring is structurally weak and is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of the door being separated, and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of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644030 has a problem of not fixing the door if the locking means is not located in the correct position.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213694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the platform door of a Hoin elevato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maintain because the work space is narrow because a bracket must be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국내등록특허 제10-1937698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937698 국내등록특허 제10-1644030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644030 국내등록특허 제10-1213694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21369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홈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확대머리 형태의 레일 돌기를 형성하고, 도어 슈의 하단 양측에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한 다음, 결합 플레이트에 이탈방지 회전부재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를 설치시 도어가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되면 도어 슈의 결합 플레이트에 설치된 이탈방지 회전부재가 레일 돌기의 상부 곡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레일 돌기를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원위치로 위치하도록 해서 결합 플레이트와 레일 돌기의 결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설치시 별도의 설치 과정없이 자중에 의해서만 용이하게 설치되면서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ming a rail protrusion in the shape of an enlarged he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rail groove, installing a coupling plate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door shoe, and then attaching a rotation prevention member to the coupling plate. When installing the door in the installed state, if the door is lowered vertically by its own weight, the separation prevention rot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coupling plate of the door shoe rotates along the upper curved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retracts the rail projection inside,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falling off while easily installing it only by its own weight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process when installing the elevator by combining the coupling plate and the rail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은 패드를 제작시 직육면체 형태로 엉켜진 탄소섬유를 몰드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 합성수지를 사출해서 탄소섬유를 인서트시킴으로써 패드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that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pa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and inserting the carbon fiber while placing the carbon fiber tangled in a rectangular shape inside the mold when manufacturing the pad. There is a purpose.

또, 본 발명은 레일 돌기와 결합 플레이트를 마찰 방지 패드를 이용하여 밀착시켜 유격을 최소화시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밀착 상태에서 슬라이딩시 마찰력 발생을 최소화시키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키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elevator door from coming off by minimizing the clearance by bringing the rail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late into close contact using an anti-friction pad, and allows the coupling plate to slide smoothly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frictional force when sliding in a close contact state.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to prevent elevator doors from leav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건물의 각 승강장 바닥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 저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확대머리 형태의 레일 돌기가 형성되는 안내 레일과;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보스에 의해 볼트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도어 슈와; 상기 도어 슈의 하단 양측면에 볼트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결합 플레이트 외측에 설치되는 패드;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하단에 상기 레일 돌기 측 수평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일 돌기가 내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이탈방지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of each platform of a building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from sliding to open and close, a guide groove is formed that is embedded in the platform floor and guides the elevator door,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guide groove is formed. a guide rail on which an enlarged head-shaped rail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oor shoe formed in a plate shape, bol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door by a boss, and sliding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a coupling plate bolt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door shoe; Pads installed outside each coupling plate; and an anti-separation rotation memb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plate to have elasticity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rail protrusion, and being coupled to the rail protrusion by being retracted into the interior.

여기에서, 각각의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이탈방지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하부 끝단을 상기 레일 돌기 측 수평 방향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스토퍼를 형성한다.Here, each of the coupling plates forms a stopper by bending its lower 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rail protrusion to limit rotation of the anti-separation rotation member.

여기에서 또한, 각각의 상기 이탈방지 회전부재는 각각의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스토퍼 상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힌지와; 상기 스프링 힌지에 결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설치시 자중에 의해 상기 레일 돌기의 상면을 따라 회전된 후 상기 레일 돌기의 수직부에서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어 상기 레일 돌기를 내측에 인입시키는 회전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Here, each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rotating members includes a spring hing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of each coupling plate; It consists of a rotating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spring hinge and rotat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by its own weight when the elevator door is installed, and the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at the vertical part of the rail projection to retract the rail projection inside.

여기에서 또, 상기 안내 레일의 레일 돌기는 상단 양측면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유격의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레일 돌기의 수직면과 밀착시키고, 슬라이딩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도록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는 마찰 방지 패드가 구비된다.Here again, the rail projections of the guide rail have vertical surfaces formed on both upper sides, and the coupling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s of the rail projections to minimize clearance, and is made of Teflon to minimize friction during sliding. An prevention pad is provided.

여기에서 또, 상기 패드는 강도를 보강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엉켜진 탄소섬유를 몰드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 합성수지를 사출해서 탄소섬유를 인서트시켜 제작한다.Here again, the pad is manufactur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and inserting carbon fiber while placing carbon fiber entangl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side a mold to reinforce strength.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따르면, 레일홈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확대머리 형태의 레일 돌기를 형성하고, 도어 슈의 하단 양측에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한 다음, 결합 플레이트에 이탈방지 회전부재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를 설치시 도어가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되면 도어 슈의 결합 플레이트에 설치된 이탈방지 회전부재가 레일 돌기의 상부 곡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레일 돌기를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원위치로 위치하도록 해서 결합 플레이트와 레일 돌기의 결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설치시 별도의 설치 과정없이 자중에 의해서만 용이하게 설치되면서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rail protrusion in the shape of an enlarged hea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rail groove, a coupling plat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oor shoe, and then the elevator door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late. When installing a door with the prevention rotation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if the door is lowered vertically by its own weight, the anti-separation rot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coupling plate of the door shoe rotates along the upper curved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and the rail projection is retracted inside. Then, by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ombining the coupling plate and the rail protrusion, the elevator can be easily installed by its own weight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process, preventing the door from coming off.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를 제작시 직육면체 형태로 엉켜진 탄소섬유를 몰드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 합성수지를 사출해서 탄소섬유를 인서트시킴으로써 패드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a pad, the strength of the pad can be strengthened by placing carbon fibers tangl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side a mold and inserting carbon fibers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 돌기와 결합 플레이트를 마찰 방지 패드를 이용하여 밀착시켜 유격을 최소화시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밀착 상태에서 슬라이딩시 마찰력 발생을 최소화시키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protrusions and the coupling plate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using an anti-friction pad to minimize the clearance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from breaking away, and the coupling plate can be slid smoothly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frictional force when sliding in a close contact state. there is.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중 이탈방지 회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elevato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rotating member of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ure 2.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중 이탈방지 회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parture prevention rotating member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figure.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2.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1)는 안내 레일(10)과, 도어 슈(20)와, 결합 플레이트(30)와, 패드(40) 및 이탈방지 회전부재(50)로 구성된다.2 to 4,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10, a door shoe 20, a coupling plate 30, a pad 40, and a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1. It consists of an anti-rotation member (50).

먼저, 안내 레일(10)은 압출 형성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로서,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어 엘리베이터 도어(D)를 안내하는 안내홈(11)이 형성되고, 안내홈(11) 저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확대머리 형태의 레일 돌기(13)가 형성된다.First, the guide rail 10 is an extruded aluminum profile, and a guide groove 11 is formed that is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platform and guides the elevator door D, and the guide groove 11 is expa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A head-shaped rail protrusion 13 is formed.

안내 레일(10)의 레일 돌기(13)는 파손을 방지하고, 폭을 최소화시키며 하기에서 설명할 결합 플레이트(30)와 밀착되도록 상단 양측면에 수직면(15)이 형성된다.The rail projections 13 of the guide rail 10 have vertical surfaces 15 formed on both upper sides to prevent damage, minimize the width,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plate 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그리고, 도어 슈(20)는 금속 재질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도어(D)의 하부에 보스(B)에 의해 볼트 결합되어 안내홈(1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된다.Additionally, the door shoe 20 is made of metal, is formed in a plate shape, is bol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door D by a boss B, and slides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11.

도어 슈(20)는 레일 돌기(13)가 결합 플레이트(3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미간섭되도록 그 두께가 안내 레일(10)의 레일 돌기(13)의 상단 최대폭과 동일하거나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or shoe 2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equal to or thick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rail projection 13 of the guide rail 10 so that the rail projection 13 is located between the coupling plates 30 and does not interfere. desirable.

또한, 결합 플레이트(30)는 도어 슈(20)와 동일한 금속 재질 또는 도어 슈(20)보다 강도가 더 높은 합금 재질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 슈(20)의 하단 양측면에 볼트 결합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late 30 is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door shoe 20 or an alloy material with higher strength than the door shoe 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bolt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door shoe 20.

각각의 결합 플레이트(30)는 이탈방지 회전부재(5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하부 끝단을 레일 돌기(13) 측 수평 방향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스토퍼(31)를 형성한다.Each coupling plate 30 forms a stopper 31 by bending its lower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rail projection 13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rotating member 50.

각각의 결합 플레이트(30)는 유격의 최소화시키도록 레일 돌기(13)의 수직면과 밀착시키고, 슬라이딩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도록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는 마찰 방지 패드(33)가 구비된다.Each coupling plate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13 to minimize clearance, and is provided with an anti-friction pad 33 made of Teflon material to minimize friction during sliding.

이어서, 패드(40)는 각각의 결합 플레이트(30) 외측에 설치되고, 강도를 보강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엉켜진 탄소섬유를 몰드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 합성수지를 사출해서 탄소섬유를 인서트시켜 제작한다.Next, the pad 4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each coupling plate 30, and is manufactur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and inserting the carbon fiber while placing the carbon fiber entangl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side the mold to reinforce the strength.

계속해서, 이탈방지 회전부재(50)는 스프링 힌지(51)와, 회전 플레이트(53)로 구성된다.Subsequently, the separation prevention rotating member 50 is composed of a spring hinge 51 and a rotating plate 53.

스프링 힌지(51)는 각각의 결합 플레이트(30)의 스토퍼(31) 상면에 설치되어 스토퍼(31)에 의해 수직 상방향과 수평 방향으로만 회전이 제한된다.The spring hinge 5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31 of each coupling plate 30, and rotation is limited to the vertical upward and horizontal directions only by the stopper 31.

회전 플레이트(53)는 스프링 힌지(51)의 외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도어(D)의 설치시 자중에 의해 레일 돌기(13)의 상면을 따라 회전된 후 레일 돌기(13)의 수직부에서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어 레일 돌기(13)를 내측에 인입시킨다.The rotation plate 53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pring hinge 51 and rotat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13 by its own weight when the elevator door D is installed, and then rotat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13. I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and the rail protrusion 13 is retracted inside.

회전 플레이트(53)는 끝단에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레일 돌기(13)와 접촉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rotation plate 53 has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formed at its end to facilitate rotation when in contact with the rail protrusion 1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의 설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안내 레일(10)을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도어(D)의 하부에 보스(B)를 이용하여 도어 슈(20)를 볼트 결합시킨다.First, with the guide rail 10 buried in the platform floor, the door shoe 20 is bol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door D using a boss B.

그리고, 도어 슈(20) 양측면에 패드(40)가 이탈방지 회전부재(50)가 기설치된 결합 플레이트(30)를 볼트 결합시킨다.Then, the pad 40 is bolted to the coupling plate 30 on which the anti-separation rotation member 50 is alread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oor shoe 20.

이러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도어(D)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하강시켜 안내 레일(10)의 안내홈(11)에 삽입한다.In this state, the elevator door D is vertically lowere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 of the guide rail 10, as shown in FIG. 5.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D)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도어 슈(20)와 결합 플레이트(30)가 하강되면서, 결합 플레이트(30)의 ??단에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53)가 레일 돌기(13)와 접촉하게 되고, 계속해서 엘리베이터 도어(D)가 하강되면 회전 플레이트(53)가 스프링 힌지(51)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레일 돌기(13)의 확대머리의 곡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6, as the elevator door D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the door shoe 20 and the coupling plate 30 are lowered, and the rotating plate installed at the ?? end of the coupling plate 30 ( 5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ail protrusion (13), and when the elevator door (D) continues to lower, the rotating plate (53)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hinge (51) and the curved surface of the enlarged head of the rail protrusion (13) It rotates along.

그리고, 엘리베이터 도어(D)가 완전히 하강되면, 회전 플레이트(53)와 레일 돌기(13)의 확대머리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회전 플레이트(53)가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레일 돌기(13)가 결합 플레이트(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Then, when the elevator door (D) is completely lowered, the contact between the rotating plate (53) and the enlarged head of the rail projection (13) is released, the rotating plate (53)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and the rail projection (13) It is located between the coupling plates 30.

그러면, 레일 돌기(13)와 결합 플레이트(30)의 결합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D)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n, the elevator door 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rail protrusion 13 and the coupling plate 30.

더욱이, 레일 돌기(13)가 결합 플레이트(3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결합 플레이트(30)의 마찰 방지 패드(33)가 레일 돌기(13)의 수직면(15)과 밀착되기 때문에 유격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D)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충격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D)가 레일홈(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rail protrusion 13 is located between the coupling plates 30, the anti-friction pad 33 of the coupling plate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15 of the rail protrusion 13, thereby minimizing clearance. , This minimizes the shaking of the elevator door (D) and prevents the elevator door (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groove (11) due to impact.

또한, 결합 플레이트(30)의 외측면에 부착된 패드(40)가 탄소섬유를 인서트시켜 제작하였기 때문에 강도가 보강되고, 이로 인해 사용 시간이 증대되어 유지 보수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d 40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30 is manufactured by inserting carbon fiber, the strength is reinforced, and this increases the usage time, thereby extending the maintenance period.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take various forms, 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nly special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has to be.

10 : 안내 레일 11 : 안내홈
13 : 레일 돌기 20 : 도어 슈
30 : 결합 플레이트 31 : 스토퍼
33 : 마찰 방지 패드 40 : 패드
50 : 이탈방지 회전부재 51 : 스프링 힌지
53 : 회전 플레이트 B : 보스
D : 엘리베이터 도어
10: Guide rail 11: Guide groove
13: Rail projection 20: Door shoe
30: coupling plate 31: stopper
33: anti-friction pad 40: pad
50: separation prevention rotating member 51: spring hinge
53: Rotating plate B: Boss
D: elevator door

Claims (5)

건물의 각 승강장 바닥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 저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확대머리 형태의 레일 돌기가 형성되는 안내 레일과;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보스에 의해 볼트 결합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도어 슈와;
상기 도어 슈의 하단 양측면에 볼트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결합 플레이트 외측에 설치되는 패드;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하단에 상기 레일 돌기 측 수평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일 돌기가 내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이탈방지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I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of each platform of a building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from sliding,
a guide rail embedded in the platform floor and forming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elevator door, and having an enlarged head-shaped rail protrus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guide groove;
A door shoe formed in a plate shape, bol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door by a boss, and sliding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a coupling plate bolt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door shoe;
Pads installed outside each coupling plate; and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plate to have elasticity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rail projection and consists of a separation prevention rotating member that is retrac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ail proj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이탈방지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하부 끝단을 상기 레일 돌기 측 수평 방향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above coupling plates,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i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rail protrusion to limit rota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on rotat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탈방지 회전부재는,
각각의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스토퍼 상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힌지와;
상기 스프링 힌지에 결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설치시 자중에 의해 상기 레일 돌기의 상면을 따라 회전된 후 상기 레일 돌기의 수직부에서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어 상기 레일 돌기를 내측에 인입시키는 회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rotating members,
a spring hing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of each coupling plate;
It consists of a rotating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spring hinge and rotat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by its own weight when the elevator door is installed, and the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in the vertical part of the rail projection and draws the rail projection inside. Features: Elevator door escape preven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의 레일 돌기는,
상단 양측면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유격의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레일 돌기의 수직면과 밀착시키고, 슬라이딩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도록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는 마찰 방지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projections of the guide rail are,
Vertical surfac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p,
The coupling plate is,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nti-friction pad made of Teflon materi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of the rail projection to minimize clearance and minimize frictional force during sli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강도를 보강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엉켜진 탄소섬유를 몰드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 합성수지를 사출해서 탄소섬유를 인서트시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is,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that is manufactur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and inserting carbon fiber while placing carbon fiber entangl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side a mold to reinforce strength.
KR1020220058788A 2022-05-13 2022-05-13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KR102639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88A KR102639201B1 (en) 2022-05-13 2022-05-13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88A KR102639201B1 (en) 2022-05-13 2022-05-13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987A true KR20230158987A (en) 2023-11-21
KR102639201B1 KR102639201B1 (en) 2024-02-21

Family

ID=8898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88A KR102639201B1 (en) 2022-05-13 2022-05-13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2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1861A1 (en) * 2004-04-02 2007-01-10 Herrajes Y Sistemas Belkriss, S.L. Derailment- and uncoupling-prevention safety system comprising corresponding guides for sliding doors and similar
KR101213694B1 (en) 2010-11-09 2012-12-18 장혜진 Disconnection prevention system of platform door of elevator
KR101644030B1 (en) 2015-08-31 2016-08-10 박상필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KR101937698B1 (en) 2017-05-17 2019-04-09 (주)모든엘리베이터 An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From Escaping For Elevator With Spring Mea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1861A1 (en) * 2004-04-02 2007-01-10 Herrajes Y Sistemas Belkriss, S.L. Derailment- and uncoupling-prevention safety system comprising corresponding guides for sliding doors and similar
KR101213694B1 (en) 2010-11-09 2012-12-18 장혜진 Disconnection prevention system of platform door of elevator
KR101644030B1 (en) 2015-08-31 2016-08-10 박상필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KR101937698B1 (en) 2017-05-17 2019-04-09 (주)모든엘리베이터 An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From Escaping For Elevator With Spr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201B1 (en)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924B1 (en) Breakaway prevention construction for elevator's door
US6142260A (en) Apparatus for closing hatch doors of an elevator
KR101937698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From Escaping For Elevator With Spring Means
JP4644721B2 (en) Elevator doorway device
JP2018095457A (en) Elevator apparatus
KR10263920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KR101674059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EP0708052B1 (en) Door sill for an elevator car
JP4284195B2 (en) Elevator equipment
CN110719882B (en) Pit ladder device of elevator
KR200443973Y1 (en) Separation preventive device of elevator door
KR200493995Y1 (en) Device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elevator platform
JP4694503B2 (en) Elevator doorway equipment
KR101784701B1 (en) Separation prevention apparatus of elevator door
KR200457792Y1 (en) Safety Device For Hatch Door Of Elevator
KR20080082879A (en) Device for guiding a front door of elevator
KR102337522B1 (en) Elevator Door Upper Support Assembly
KR101065024B1 (en) The device for preventing returing of the elevator door
KR20090122740A (en) The device for preventing returing of the elevator door
JP6229943B2 (e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732171B1 (en) Sliding system of door panel for elevator
KR101213694B1 (en) Disconnection prevention system of platform door of elevator
JP6026626B1 (en) Elevator equipment
KR102390651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Breakaway Of Elevator Door
CN216512300U (en) Sill and landing door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