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820A -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 Google Patents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820A
KR20230157820A KR1020220057494A KR20220057494A KR20230157820A KR 20230157820 A KR20230157820 A KR 20230157820A KR 1020220057494 A KR1020220057494 A KR 1020220057494A KR 20220057494 A KR20220057494 A KR 20220057494A KR 20230157820 A KR20230157820 A KR 20230157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body portion
rotational stability
wedge
humeral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성
김재원
정성욱
이상길
권혜정
이용걸
박진영
오주한
김양수
유재철
신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22005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820A/ko
Priority to PCT/KR2023/005154 priority patent/WO2023219287A1/ko
Publication of KR2023015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0Joints for shoulders
    • A61F2/4059Humeral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0Joints for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0Joints for shoulders
    • A61F2/4014Humeral heads or necks; Connections of endoprosthetic heads or necks to endoprosthetic humeral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21Features concerning the anatomical functioning or articulation of the prosthetic joint
    • A61F2002/30624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 A61F2002/30632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with rotation-limiting stops, e.g. projections or re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0Joints for shoulders
    • A61F2/4014Humeral heads or necks; Connections of endoprosthetic heads or necks to endoprosthetic humeral shafts
    • A61F2002/4051Connections of heads directly to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0Joints for shoulders
    • A61F2/4059Humeral shafts
    • A61F2002/4062Proximal or metaphyseal parts of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73Force-limiting means
    • A61F2250/0074Torque-limi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 보존을 위해 스템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이 확보됨에 따라 골 해리 현상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레퍼런스 포인트가 있어서 정확한 위치 설정을 도모할 수 있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Humeral Stem with Enhanced Rotational Stability}
본 발명은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 보존을 위해 스템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이 확보됨에 따라 골 해리 현상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레퍼런스 포인트가 있어서 정확한 위치 설정을 도모할 수 있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깨 관절(Shoulder Joint)은 견갑골(Scapula)과 상완골(Humerus) 사이의 관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견갑골에는 상기 상완골을 수용하는 부분인 글레노이드(Glenoid)가 구성되고, 상기 상완골의 가장 위에는 반구 모양의 상완골두(Humeral Head)가 형성된다.
구상관절(Ball and Socket Joint)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상완골두는 견갑골의 글레노이드와 접하게 되어 움직이면서 자연스러운 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관절염, 외상 등에 의해 상기 어깨 관절이 제 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파괴된 관절을 대치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이식하여 정상적인 어깨 관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공 어깨 관절 치환수술을 시술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완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11/0054478A1(2011.3.3.)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근위부 상완골(Proximal Humerus, H)은 볼록한 형상의 상완골두(Humeral Head, HH)와, 상기 상완골두와 인접한 위치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상완골두 넥(Humeral Neck, HN)과, 상완골 상의 돌출된 돌기인 대결절(Greater Tubercle, GT)과 소결절(Lesser Tubercle, LT) 및 상기 대결절과 소결절 사이에 위치하여 오목하게 함입된 이두근 홈(Bicipital Groove, BG)으로 구분된다.
인공 어깨 관절 치환수술에서는, 이 가운데 도 1의 상완골두(HH)를 절제하고 상완골의 골수강(Medullary Cavity) 내로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의 상완골 스템(Humeral Stem)을 삽입한 뒤, 상기 상완골 스템에 해부학적 형상에 순응하는 상완골 헤드(Humeral Head)를 결합시키거나, 해부학적 형상에 반대되는 상완골 트레이(Humeral Tray)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토탈형(Total Type)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는 상기 상완골 스템에 상기 상완골 헤드를 결합시켜 해부학적 형상에 순응하는 인공 어깨 관절을 구현한 임플란트를 말하고, 리버스형(Reverse Type)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는 상기 상완골 스템에 상기 상완골 트레이를 결합시켜 해부학적 형상에 반대되는 인공 어깨 관절을 구현한 임플란트를 말한다.
일반적인 어깨 관절 수술에서는 상기 토탈형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가 사용되나, 회전근개가 완전히 파열되어 회전근개를 통해 팔을 드는 것이 어려운 환자에게는 삼각근을 통해 팔을 드는 것이 가능한 리버스형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리버스형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9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19/0021867A1(2019.01.24.)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종래의 리버스형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완골 골수강 내에 삽입되는 상완골 스템(91)과, 상기 상완골 스템(91)의 결합부(9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한 형상의 상완골 트레이(93)와, 상기 상완골 트레이(93)와 관절 운동하는 볼록한 형상의 글레노이드 헤드(9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이 가운데, 상기 상완골 스템(91)은 골과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고 긴 형상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러한 형상이 상완골과 스템(91)의 접촉 영역을 넓힘으로써 초기 고정력을 확보하는데 유리하였으나, 상기 상완골 스템(91)을 상완골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골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의 스템을 제거하고 다시 인공 어깨 관절 재치환 수술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1차 수술로 인한 상완골의 손상이 심해 재치환 수술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상완골 스템(91)의 길이가 길다 보니, 수술의는 임팩팅(Impacting)을 가하면서 골 내부로 상기 스템(91)을 정확하게 삽입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스템 삽입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도록 하였는바, 전체적인 수술 시간이 늘어나게 되었고, 수술을 받는 환자의 수술 위험도를 그만큼 높아지게 되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에서 상기 상완골 스템의 길이를 줄이려는 숏 스템(Short Stem)에 관한 연구 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양상이다.
하지만, 상기 상완골 스템의 길이를 짧게 구성할 경우에는 골 보존 양이 늘어나게 되면서 재치환 수술 등에는 유리한 이점이 있으나, 골수강 내 스템을 삽입 과정에서 정렬이 쉽게 틀어지는 문제가 있고,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이 부족하게 되면서, 임플란트와 골 사이에 강한 결합력이 형성되기 이전에, 임플란트가 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미세 움직임에 의한 골 해리(Loosening) 등의 또 다른 문제의 유발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상완골 스템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재치환 수술에 유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완골 스템의 길이가 짧아지더라도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고,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상완골 스템에 관한 기술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11/0054478A1(2011.3.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완골의 골수강 내에 삽입되는 바디부의 외주면 상에 회전방지부를 구성하여, 골 보존을 위해 스템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디부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부를 구성하여, 자생적인 골 내성장 등으로 확실한 고정력이 발현되기 전이라도 확실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스템이 회전하거나, 골과 스템 사이에 골 해리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 중 근위바디부 상에 회전방지부를 구성하여, 바디부 중 원위바디부 상에 회전방지부를 구성할 때보다 확실한 스템의 회전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템 축을 스트레이트하게 형성하여, 스템의 축이 휘어졌을 때 골 내에 스템을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레이트한 스템 축을 따라 근위바디부 상에 웨지부를 형성하여, 골 내에 삽입된 웨지부에 의해 스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위바디부의 외측 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웨지부를 구성하여, 스템이 골 내에 삽입되었을 때 스템의 회전을 방지함은 물론, 스템을 골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웨지부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스템을 사전에 계획한 정확한 위치상에 용이하게 이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위바디부의 전측 면상에 제1고정웨지부를 구성하고, 근위바디부의 후측 면상에 제2고정웨지부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웨지부를 통해 스템의 회전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고정웨지부와 제2고정웨지부가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스템이 오른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고, 왼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고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해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지부가 원위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완골 상에 웨지부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면, 웨지부가 형성된 홈을 따라 쐐기 형식으로 골 내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레이트한 스템 축을 따라 형성되되, 환자의 이두근 홈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핀부를 구성하여, 스템을 상완골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레퍼런스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템 삽입시 레퍼런스 역할을 하는 핀부를 통해, 스템 삽입과정에서 정렬이 틀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웃하는 웨지부 사이에 핀부를 형성하여 웨지부에 의한 스템의 회전 방지 효과뿐만 아니라, 핀부에 의한 추가적인 스템 회전 방지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전측 방향에 제1핀부를 구성하고,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후측 방향에 제2핀부를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스템이 오른쪽 팔의 상완골에 이식될 때에는 상기 핀부 중 어느 하나가 오른쪽 상완골의 이두근 홈을 가리키도록 하고, 동일한 스템이 왼쪽 팔의 상완골에 이식될 때에는 상기 핀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왼쪽 상완골의 이두근 홈을 가리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핀부와 제2핀부가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스템이 오른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고, 왼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고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해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레이트한 스템 축에 수직한 바디부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이 이루도록 하여, 스템의 가공성을 높이면서, 회전 방지의 효과가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템 축에 수직한 단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노인, 여성 등 체구가 왜소하여 골이 작은 환자의 상완골 골수강 내부로 스템을 임팩팅 할 때, 뾰족한 스템 모서리에 의해 뼈가 부서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간단 축에 수직한 결합부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의 형상에 의해 추가적인 회전 방지의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간단 축에 수직한 결합부 단면의 하측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를 형성하도록 하여, 날카로운 결합부 모서리에 의해 골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근위부 상완골 내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바디부의 근위부를 형성하는 근위바디부와, 바디부의 원위부를 형성하는 원위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근위바디부 상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방지부는, 스템 축을 따라 형성되는 웨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웨지부는, 근위바디부의 외측 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웨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웨지부는, 근위바디부의 전측 면 상에 형성되는 제1고정웨지부와, 근위바디부의 후측 면 상에 형성되는 제2고정웨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웨지부와 상기 제2고정웨지부는,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웨지부는, 원위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방지부는, 스템 축을 따라 형성되되, 이두근 홈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핀부는,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전측 방향에 위치한 제1핀부와,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후측 방향에 위치한 제2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핀부와 상기 제2핀부는,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스템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템 축에 수직한 단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Edg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근위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골간단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골간단 축에 수직한 단면의 하측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Edg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완골의 골수강 내에 삽입되는 바디부의 외주면 상에 회전방지부를 구성하여, 골 보존을 위해 스템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디부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부를 구성하여, 자생적인 골 내성장 등으로 확실한 고정력이 발현되기 전이라도 확실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스템이 회전하거나, 골과 스템 사이에 골 해리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 중 근위바디부 상에 회전방지부를 구성하여, 바디부 중 원위바디부 상에 회전방지부를 구성할 때보다 확실한 스템의 회전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템 축을 스트레이트하게 형성하여, 스템의 축이 휘어졌을 때 골 내에 스템을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트한 스템 축을 따라 근위바디부 상에 웨지부를 형성하여, 골 내에 삽입된 웨지부에 의해 스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근위바디부의 외측 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웨지부를 구성하여, 스템이 골 내에 삽입되었을 때 스템의 회전을 방지함은 물론, 스템을 골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웨지부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스템을 사전에 계획한 정확한 위치상에 용이하게 이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근위바디부의 전측 면상에 제1고정웨지부를 구성하고, 근위바디부의 후측 면상에 제2고정웨지부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웨지부를 통해 스템의 회전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고정웨지부와 제2고정웨지부가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스템이 오른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고, 왼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고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해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웨지부가 원위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완골 상에 웨지부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면, 웨지부가 형성된 홈을 따라 쐐기 형식으로 골 내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트한 스템 축을 따라 형성되되, 환자의 이두근 홈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핀부를 구성하여, 스템을 상완골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레퍼런스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스템 삽입시 레퍼런스 역할을 하는 핀부를 통해, 스템 삽입과정에서 정렬이 틀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이웃하는 웨지부 사이에 핀부를 형성하여 웨지부에 의한 스템의 회전 방지 효과뿐만 아니라, 핀부에 의한 추가적인 스템 회전 방지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전측 방향에 제1핀부를 구성하고,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후측 방향에 제2핀부를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스템이 오른쪽 팔의 상완골에 이식될 때에는 상기 핀부 중 어느 하나가 오른쪽 상완골의 이두근 홈을 가리키도록 하고, 동일한 스템이 왼쪽 팔의 상완골에 이식될 때에는 상기 핀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왼쪽 상완골의 이두근 홈을 가리키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핀부와 제2핀부가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스템이 오른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고, 왼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고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해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트한 스템 축에 수직한 바디부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이 이루도록 하여, 스템의 가공성을 높이면서, 회전 방지의 효과가 발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템 축에 수직한 단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노인, 여성 등 체구가 왜소하여 골이 작은 환자의 상완골 골수강 내부로 스템을 임팩팅 할 때, 뾰족한 스템 모서리에 의해 뼈가 부서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골간단 축에 수직한 결합부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의 형상에 의해 추가적인 회전 방지의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골간단 축에 수직한 결합부 단면의 하측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를 형성하도록 하여, 날카로운 결합부 모서리에 의해 골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완골의 해부학적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리버스형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완골 스템을 일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완골 스템을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완골 스템의 전측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바디부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의 B-B' 단면도.
도 9는 상완골 스템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상완골 스템의 상측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핀부의 방향이 이두근 홈에 대응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상완골 스템의 하측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상완골 스템이 삽입되는 상완골 절제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상완골 스템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1)이 오른쪽 어깨에 적용되는 상황을 가정하고 작성되었다.
본 발명의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1)은, 골 보존을 위해 스템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이 확보됨에 따라 골 해리 현상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가 있어서 수술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 설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완골 스템(1)은 토탈형(Total Type)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 뿐만 아니라, 리버스형(Reverse Type) 인공 어깨 관절 임플란트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1)을 일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상완골 스템(1)을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상완골 스템(1)의 전측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상완골 스템(1)은, 바디부(10), 회전방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는, 근위부 상완골 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기존의 스템의 바디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길이가 짧게 구성된 특징을 가진다. 상대적으로 그 길이가 짧은 상기 바디부(10)는 수술의가 인공 어깨 관절 치환술을 진행할 때, 제거되는 환자의 골 양을 최소한으로 함에 따라, 골 보전율을 높임으로써 차후 재치환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Superior)과 하측(Inferior)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되, 상측(Superior)에서 하측(Inferior)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의 길이나 폭을 어느 특정 수치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10)의 상측(Superior)과 하측(Inferior) 방향의 길이는 대략 70mm가 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0)의 폭은 6 내지 18mm의 범위에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바디부(10)는 몸통 쪽에 가까운 근위(Proximal) 단부의 일정부분이 내측(Medial)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에서 상측(Superior)과 하측(Inferior)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의 중심축을 스템 축(AS)이라고 하고, 상기 바디부(10)의 근위 단부에서 내측(Medial)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의 중심축을 골간단 축(AM)이라고 했을 때, 상기 스템 축(AS)과 상기 골간단 축(Metaphyseal Axis, AM)이 이루는 스템 각도(Stem Angle)는 해부학적 형상에 맞게 대략 135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스템 축(AS)이 스트레이트(Strait)한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수술의가 임팩팅(Impacting) 수술기구로 스템을 때려가면서 골 내부에 스템삽입할 때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위치설정이 부정확해 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스템 축(AS)을 직선 형태로 구성하면서 스템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되, 짧아진 길이만큼 약화되는 고정력은 후술할 회전방지부(30)를 통해 보완하고 있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바디부(10)는 스템 축(AS)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스템 축(AS)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바디부(10)가 외력에 의해 쉽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를 비원형으로 구성해 스템(1)의 가공성을 높이면서, 회전 방지의 효과가 발현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모서리가 가공되지 않아 날카로운 사각 다면 등이 형성될 경우에는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뼈가 깨지거나 주변 조직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스템 축(AS)에 수직한 단면의 모서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엣지(Edge)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바디부(10)는, 근위바디부(11), 원위바디부(13)를 포함한다.
상기 근위바디부(11)는, 바디부(10)의 근위부(Proximal Portion)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디부(10)가 환자의 몸에 이식되었을 때 환자의 몸통 쪽에 가깝게 위치하는 부분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근위바디부(11)에는 상기 골간단 축(AM)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템(1)을 환자의 골 내에 이식할 때, 안정적인 임팩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근위바디부(11)의 상측면 상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입된 수술기구가 파지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근위바디부(11) 상에는 후술할 회전방지부(30)가 구성될 수 있으며, 골 내부에 깊게 박히는 후술할 원위바디부(13)보다 골 내부에 얕게 박히는 상기 근위바디부(11) 상에 회전방지부(30)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스템의 회전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근위바디부(11)의 표면 상에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다공성 층이 형성되어, 상기 근위바디부(11)가 골 내에 이식되어 골과 접촉하게 되었을 때, 상기 공극을 통한 골 성장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층은 TPS 코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근위바디부(11)는, 결합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11)는, 바디부(10)의 근위단(Proximal End)에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근위부가 몸통 쪽에 가깝게 위치하는 일정 영역 부분을 의미했다면, 상기 근위단은 상기 근위부 중 가장 몸통 쪽에 위치하는 맨 끝 부분을 의미한다. 이 부분에 상기 결합부(111)를 구성하여, 상기 스템(1)이 토탈형 임플란트로 이용될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11)에 상완골 헤드가 결합하게 되고, 상기 스템(1)이 리버스형 임플란트로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11)에 상완골 트레이가 결합되도록 한다.
도 7은 바디부(10)의 결합부(11)를 도시한 도면으로, 전술한 도 5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11)는 도 5의 골간단 축(AM)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골간단 축(AM)에 수직한 단면의 하측 모서리는 라운드 엣지(Edge)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비원형 단면을 구성해 회전에 더 큰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날카로운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노인, 여성 등 체구가 왜소하여 골이 작은 환자의 상완골 골수강 내부로 스템(1)을 임팩팅 할 때, 뾰족한 스템 모서리에 의해 뼈가 부서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원위바디부(13)는, 바디부(10)의 원위부(Distal Portion)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Inferior)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위바디부(13)는 상기 근위바디부(11)보다 먼저 골 사이를 뚫고 들어가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근위바디부(11)보다 단면의 크기가 작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되는 근위바디부(11)에 의해 상기 원위바디부(13)와 상기 근위바디부(11) 경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5의 B-B' 단면도로, 상기 원위바디부(13)의 단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원위바디부(13)의 단면 역시 그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Edge)를 가지도록 하여, 날카로운 샤프 엣지(Sharp Edge)에 의한 골 손상 등의 문제를 사전에 차단한다. 상기 원위바디부(13)의 표면 처리 방식을 특정 방식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그리트 블라스팅(Grit Blasting)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상완골 스템(1)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회전방지부(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회전방지부(30)는, 상기 바디부(10)의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위바디부(11)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30)는 보다 안정적인 회전 방지를 위해 복수 개의 블레이드(Blad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방지부(30)는, 웨지부(31), 핀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웨지부(31)는, 스트레이트한 스템 축(AS)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이한 형상을 통해 상기 웨지부(31)가 프레스 핏(Press-fit) 방식으로 환자의 골에 삽입될 때에는 쐐기와 같이 환자의 골에 박히게 되면서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웨지부(31)는, 가이드웨지부(311), 제1고정웨지부(313), 제2고정웨지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는, 상기 근위바디부(11)의 외측(Lateral) 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위바디부(11)의 외측면 중앙에 단독으로 형성되어, 스템(1)이 골 내에 삽입되었을 때 스템(1)의 회전을 방지함은 물론, 스템(1)을 골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스템(1)을 사전에 계획한 정확한 위치상에 용이하게 이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웨지부(311) 역시 상측(Superior)에서 하측(Inferior) 방향으로 갈수록 바디부(10)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강력한 고정력 발현이 가능해 진다.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는 후술할 핀부(33)보다 다소 두껍고 크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골 내부로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상완골 헤드가 절제된 절제면 상에는 상기 가이드웨지부(311) 삽입을 위한 슬릿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는 절제면 상에 형성된 슬릿홈을 따라 골 내부로 들어가면서 스템(1)의 위치 설정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는, 상기 근위바디부(11)의 전측(Anterior) 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에 의하면 상기 스템(1)의 정확한 삽입을 가이드 하면서 골 내에 삽입된 가이드웨지부(311)에 의한 외측면 측에서의 회전 방지가 도모될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만으로는 전측면 측에서의 회전 방지가 도모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 역시,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와 유사하게,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를 상완골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슬릿홈이 상완골 절제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는 형성된 해당 슬릿홈을 따라 상완골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의 위치를 어느 특정 위치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와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 역시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는, 상기 근위바디부(11)의 후측(Posterior) 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와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만으로는 후측면 측에서의 회전 방지가 도모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2고정웨지부(313)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를 상완골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슬릿홈이 상완골 절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는 형성된 해당 슬릿홈을 따라 상완골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바, 쐐기를 박는 것과 같이 골 내에 박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의 위치를 어느 특정 위치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와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와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와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가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스템(1)이 오른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고, 왼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고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해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핀부(33)는, 스템 축을 따라 돌출 형성되되, 이두근 홈(Bicipital Groove)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이두근 홈(BG)은 상완골 상의 돌출된 돌기인 대결절(Greater Tubercle, GT)과 소결절(Lesser Tubercle, LT) 사이에 위치한 오목하게 함입된 홈을 가리킨다. 상기 핀부(33)는 이러한 이두근 홈(BG)을 가리키도록 도 10과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스템(1)을 상완골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핀부(33)는 정확한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레퍼런스(Reference)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핀부(33)는, 제1핀부(331), 제2핀부(3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핀부(33)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하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골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프레스 핏(Press-fit) 방식에 의해 곧바로 골에 박힐 수 있다.
상기 제1핀부(331)는, 가이드웨지부(311)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전측 방향에 위치한 구성을 말한다. 도 11은 핀부(33)의 방향이 이두근 홈에 대응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핀부(311)와 상기 가이드웨지부(311)가 이루는 각도(θ)는 상기 스템(1)이 환자의 상완골 절제면에 삽입되었을 때 이두근 홈이 위치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각도로 구성이 되는바. 수술의가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홈을 상완골 절제면을 형성한 뒤, 그 슬릿홈을 따라 스템(1)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핀부(331)를 이두근 홈에 정렬시킴으로써, 삽입 방향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환자의 오른쪽 어깨 CT에 맞게 상기 스템(1)을 위치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기 핀부(33) 중 상기 제1핀부(331)가 상기 이두근 홈에 정렬이 되는 것이며, 반대로, 환자의 왼쪽 어깨에 상기 스템(1)을 삽입할 경우에는 후술할 제2핀부(333)가 이두근 홈에 정렬이 되어 레퍼런스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핀부(333)는, 가이드웨지부(311)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후측 방향에 위치한 구성으로, 상기 제2핀부(333)를 구성해 스템(1) 삽입과정에서 정렬이 틀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θ)로 전측 방향에 상기 제1핀부(331)를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θ)로 후측 방향에 상기 제2핀부(333)를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스템(1)이 오른쪽 팔의 상완골에 이식될 때에는 상기 핀부(33) 중 어느 하나가 오른쪽 상완골의 이두근 홈을 가리키도록 하고, 동일한 스템(1)이 왼쪽 팔의 상완골에 이식될 때에는 상기 핀부(33) 중 나머지 다른 하나가 왼쪽 상완골의 이두근 홈을 가리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핀부(331)와 상기 제2핀부(333)는, 가이드웨지부(31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동일한 스템(1)이 오른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고, 왼팔 상완골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고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해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각도(θ)를 어느 특정 각도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25도 내지 50도의 범위 내에서 특정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도가 될 수 있다.
도 12는 상완골 스템(1)의 하측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핀부(331)는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와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핀부(333)는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와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템(1)에는 상기 웨지부(31)에 의한 회전 방지뿐만 아니라, 상기 핀부(33)에 의한 추가적인 스템 회전 방지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게다가, 보다 강한 고정력 확보를 위해 상기 제1핀부(331)와 상기 제2핀부(333)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어, 골에 삽입될 때 골을 뚫고 들어가 쐐기와 같이 박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핀부(331)와 상기 제2핀부(3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 기능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 두께를 상기 웨지부(31)보다 두껍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웨지부(31)와 달리, 별도의 슬릿홈 없이도 상완골 절제면 상에 곧바로 박힐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상완골 스템(1)이 삽입되는 상완골 절제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상완골 스템(1)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인 상완골 스템(1)이 환자의 상완골 내에 이식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가 있는 환자의 상완골 헤드를 절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후 상완골 절제면(R) 상에는 중앙홀(Hc)과, 상기 중앙홀(Hc)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1슬릿홈(S1)과, 제2슬릿홈(S2)과, 제3슬릿홈(S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릿홈(S1)은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며, 상기 제2슬릿홈(S2)은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고, 상기 제3슬릿홈(S3)은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다.
전술한 과정이 마무리되면, 수술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홈에 상기 웨지부(31)를 집어 넣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와 상기 제1고정웨지부(313) 사이에 상기 제1핀부(331)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웨지부(311)와 상기 제2고정웨지부(315) 사이에 상기 제2핀부(333)가 구성되므로, 오른쪽 상완골(H)에 본 발명인 상완골 스템(1)을 이식할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웨지부(311)를 상기 제1슬릿홈(S1)에 맞추고 상기 제1핀부(331)가 소결절(LT)에 인접한 이두근 홈(BG)과 정렬되도록 한 상태로 임팩팅(Impacting)이 수행되는바, 수술의는 보다 빠르고 쉽게 골 내에 상기 스템(1)을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해 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완골 스템(1)은 스템의 전체 길이가 짧게 구성되지만, 상기 회전방지부(30)가 형성되므로, 골 보존을 극대화하면서,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10)의 근위바디부(11) 상에는 골 내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다공성 층이 TPS 코팅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0)의 원위바디부(13)의 표면은 그리트 블라스팅(Grit Blasting) 처리가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상완골 스템(1)이 상완골 내부에 이식되면, 완전한 골 유합(Fusion)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상기 회전방지부(30)에 의해 고정력이 발현되고, 점차 상기 다공성 층을 통한 골의 자생적인 성장이 계속되면서 결국 골과 스템(1)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10: 바디부
11: 근위바디부
111: 결합부
13: 원위바디부
30: 회전방지부
31: 웨지부
311: 가이드웨지부
313: 제1고정웨지부
315: 제2고정웨지부
33: 핀부
331: 제1핀부
333: 제2핀부
AS: 스템 축
AM: 골간단 축

Claims (14)

  1. 근위부 상완골 내에 삽입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바디부의 근위부를 형성하는 근위바디부와, 바디부의 원위부를 형성하는 원위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근위바디부 상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스템 축을 따라 형성되는 웨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는, 근위바디부의 외측 면 상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웨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는, 근위바디부의 전측 면 상에 형성되는 제1고정웨지부와, 근위바디부의 후측 면 상에 형성되는 제2고정웨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웨지부와 상기 제2고정웨지부는,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는, 원위단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스템 축을 따라 형성되되, 이두근 홈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전측 방향에 위치한 제1핀부와,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후측 방향에 위치한 제2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부와 상기 제2핀부는, 가이드웨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스템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템 축에 수직한 단면의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Edg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근위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골간단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골간단 축에 수직한 단면의 하측 모서리가 라운드 엣지(Edg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KR1020220057494A 2022-05-10 2022-05-10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KR20230157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94A KR20230157820A (ko) 2022-05-10 2022-05-10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PCT/KR2023/005154 WO2023219287A1 (ko) 2022-05-10 2023-04-17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94A KR20230157820A (ko) 2022-05-10 2022-05-10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820A true KR20230157820A (ko) 2023-11-17

Family

ID=8873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494A KR20230157820A (ko) 2022-05-10 2022-05-10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7820A (ko)
WO (1) WO202321928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4478A1 (en) 2006-02-27 2011-03-03 Biomet Manufacturing Corp. Patient-Specific Shoulder Guid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866B1 (ko) * 2001-09-10 2005-01-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인공 고관절용 무시멘트형 스템
US8444698B2 (en) * 2004-12-29 2013-05-21 Depuy Products, Inc. Joint prosthesis with infinitely positionable head
GB0519994D0 (en) * 2005-10-01 2005-11-09 Depuy Ireland Ltd Humeral component of a shoulder joint prosthesis
KR101575157B1 (ko) * 2013-12-27 2015-12-08 주식회사 코렌텍 인공 어깨관절
JP6703144B2 (ja) * 2016-02-28 2020-06-03 コンソーシアム オブ フォーカスド オーソペディスツ, エルエルシー 肩関節形成術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4478A1 (en) 2006-02-27 2011-03-03 Biomet Manufacturing Corp. Patient-Specific Shoulder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287A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241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less invasive glenoid replacement
EP1858453B1 (en) Shoulder implant for glenoid replacement
EP2663263B1 (en) Shoulder prosthesis
US81578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less invasive shoulder procedure
EP2967891B1 (en) Humeral arthroplasty
CA3059036A1 (en) Pre-operatively planned humeral implant and planning method
US20180028323A1 (en) Low profile tibial baseplate with fixation members
US4813962A (en) Hip joint prosthesis
AU2019309536A1 (en) Implant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95759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less invasive glenoid replacement
AU2024202687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lanting glenoid prostheses
US11576690B2 (en) Posterior shoulder arthroplasty implants, systems, and methods
US10624755B2 (en) Prosthetic glenoid component
KR20230157820A (ko) 향상된 회전 안정성을 가지는 상완골 스템
US9474620B2 (en) Talonavicular joint prosthesis and its method of implantation
KR20240011034A (ko) 골절용 상완골 스템
KR102053600B1 (ko) 환자 맞춤형 어깨관절 수술기구
EP3646826A1 (en) Minimally invasive shoulder implant
AU2021250842A1 (en) Self-broaching neck preserving hip 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