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209A -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209A
KR20230157209A KR1020220085687A KR20220085687A KR20230157209A KR 20230157209 A KR20230157209 A KR 20230157209A KR 1020220085687 A KR1020220085687 A KR 1020220085687A KR 20220085687 A KR20220085687 A KR 20220085687A KR 20230157209 A KR20230157209 A KR 20230157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drug
information
prescription
cou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셉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셉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셉트
Publication of KR2023015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2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행자 보험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외 여행지에서 앱을 이용한 비대면 진료 요청을 수신하여 의사가 비대면 진료를 수행하고 의료 진단 기록 및 약품 처방전을 발행하면, 처방된 약품과 해당 국가에서 매칭되는 약품으로 대체하여 처방전을 해당 국가에 미리 제휴된 의료기관과 연계되어 매칭된 약품 정보 및 처방전을 해당 국가의 약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숙소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매칭된 약품을 배송함으로써 해외 체류중 진료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국가 간 보건제도의 차이점을 극복한 합법적인 처방약의 매칭을 통해 해외 체류 중인 사용자에게 적합한 약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SY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TELEMEDICINE BASED ON EMR}
본 발명은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행자 보험에 가입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외 여행지에서 앱을 이용한 비대면 진료 요청을 수신하여 의사가 비대면 진료를 수행하고 의료 진단 기록 및 약품 처방전을 발행하면, 처방된 약품과 해당 국가에서 매칭되는 약품으로 대체하여 처방전을 해당 국가에 미리 제휴된 의료기관과 연계되어 매칭된 약품 정보 및 처방전을 해당 국가의 약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숙소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매칭된 약품을 배송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비대면 진료란,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대면진료가 아닌 비대면으로 의료정보와 서비스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환자가 병원에 가지 않고 스마트폰을 통한 화상전화나 웹캠이 설치된 PC 또는 노트북을 통해 의사에게 비대면으로 진료받는 것을 말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 진료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 등의 전염병 또는 거동이 매우 불편한 환자들은 비대면 진료를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해외 여행 중이거나 단기 체류 중인 사람들이 현지에서 다치거나 급작스런 사고 또는 질병 등이 발생하는 경우, 기존의 비대면 진료를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현지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과 의사소통의 부정확함 등으로 인해 현지 체류중인 사람들은 큰 어려움에 빠지게 된다.
한편,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은 현대 진료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환자 진료의 기록부터 처방까지 도와준다. 실제 EMR은 기록 뿐 아니라 OCS 처방전달시스템(Order Communication System)도 포함되어 있어서 프로그램 안에서 약 및 검사 처방을 낼 수 있다. 현재 다양한 업체에서 OCS가 포함된 EMR을 제작하여 판매 중에 있다.
그러나 국가 간의 연결에 있어서는 아직 제공되는 EMR이 없는데, 그 이유는 각 국가들이 허용하고 있는 약품의 범위와 목록이 상이할 뿐 아니라, 대체 가능한 의약품에 대한 D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비대면 진료 서비스가 점차 보급되고 있고, 앞으로 비대면 진료 서비스는 더욱 증가하여 해외 체류중인 고객이 의료 서비스가 필요할 때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수요도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각 국가별 허용 의약품 및 대체 가능한 의약품과 관련된 DB 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22-0009097(공개일자: 2022년01월24일) 공개특허공보 10-2021-0052641(공개일자: 2021년05월11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해외 체류중 진료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국가 간 보건제도의 차이점을 극복하고 합법적인 처방약의 매칭을 제공하는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된 처방약을 환자의 숙소로 간편하게 제공하는데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사용자의 체류정보를 입력받고,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 통화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아 EMR 서버로 전송하는 국내 의료기관 단말, 상기 EMR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고,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상기 체류정보를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 전송하는 EMR 서버 및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을 사용자의 숙소로 배송 처리하는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MR 서버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별 EMR을 저장하는 사용자 DB, 국가별 허가 의약품 정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코드, 국제질병분류(ICD) 코드, 국가별 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를 저장하는 의약정보 DB, 상기 사용자 단말, 국내 의료기관 단말 및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처방전 정보 및 의약정보 DB를 기반으로 처방약이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을 매칭하는 의약품 매칭부 및 상기 처방전 정보를 사용자가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기계번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R 서버는 상기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에 대한 결제요금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결제요금에 일정 수수료를 추가하여 해외 비대면 진료 서비스 요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청구하는 결제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R 서버는 상기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배송 추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 매칭부는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상기 처방약과 동일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동일 의약품을 상기 처방약에 매칭하고, 동일 의약품이 없는 경우,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 동일성분 의약품 또는 대체조제 가능 의약품을 상기 대체 의약품으로 매칭하되, 상기 대체 의약품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에 저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을 허용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은 사용자의 체류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EMR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체류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상기 체류정보를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을 사용자의 숙소로 배송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R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체류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전 정보 및 의약정보 DB를 기반으로 처방약이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상기 처방약과 동일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동일 의약품을 상기 처방약에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 의약품이 없는 경우,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 동일 성분 의약품 또는 대체조제 가능 의약품을 대체 의약품으로 상기 처방약에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약정보 DB는 국가별 허가 의약품 정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코드, 국제질병분류(ICD) 코드, 국가별 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을 사용자의 숙소로 배송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은 상기 대체 의약품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에 저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을 허용하거나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해외 체류중 진료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국가 간 보건제도의 차이점을 극복하기 위한 합법적인 처방약의 매칭을 통해 해외 체류 중인 사용자에게 적합한 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서버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에서 국내 의료기관 단말에 입력된 처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체류국가에 대응되는 처방약을 매칭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체 의약품이 포함된 처방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이란 병원에 내방한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을 기존 종이에 기록하던 것을 컴퓨터를 이용해 전자적 형태의 의무기록을 의미한다. IT 기술 및 컴퓨팅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는 당연한 것처럼 느끼듯 병원에서의 진료기록은 컴퓨터를 이용해 전자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최근 4차 산업혁명을 바탕으로 EMR 기반의 임상 데이터와 유전체 정보, 라이프로그 정보 등과 결합하여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의 바탕이 되고 있다. 전자의무기록(EMR)이 적용된 EMR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OCS 처방전달시스템(Order Communication System)도 포함되어 있어서 프로그램 안에서 약 및 검사 처방을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EMR 서버, 사용자 단말, 국내 의료기관 단말 및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국내 의료기관 단말 및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은 EMR 서버에서 별도로 제공되는 전용 앱을 각 단말에 설치하여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앱은 안드로이드 스토어나 앱스토어 같은 공지된 스마트폰 운영체제의 앱 마켓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윈도우나 유닉스, 리눅스 및 맥 오에스에서도 돌아갈 수 있도록 EMR 서버에서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체류정보를 입력받고,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는 비대면 진료를 위한 전용 앱을 통해 사용자의 체류정보를 입력 받거나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통화 기능이 실행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체류정보는 체류국가, 여행기간, 숙소정보, 가입된 여행자 보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비대면 진료를 위한 전용 앱을 통해 자신의 숙소로 배송되고 있는 처방약의 배송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원활한 화상통화의 진행을 위해 마이크, 스피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국내 의료기관 단말은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 통화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 처방전 정보를 입력 받아 EMR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의료기관 단말은 마이크, 스피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사의 처방전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수단으로는 키보드, 마우스 등이 있다.
사용자가 해외에서 여행중이거나 체류중 사고나 질병의 발생 등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용 앱을 실행하여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화상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EMR 서버의 중개를 통해 국내 의료기관 단말로 화상통화 요청이 도착하고, 의사는 국내 의료기관 단말에서 비대면 진료를 위한 전용 앱을 통해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하며 비대면 진료를 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와의 화상통화를 통해 진행된 비대면 진료 이후, 의사는 진단 및 처방과 관련된 정보들을 국내 의료기관 단말에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사는 국내 의료기관 단말에서 사용자의 EMR에 진단 및 처방과 관련된 정보들을 입력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진단 및 처방과 관련된 정보들은 진단명, 질병분류기호, 처방약의 명칭, 보험 코드, ATC(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코드, 1회 투여량, 1회 투여횟수, 투약일수, 용법을 포함할 수 있다.
EMR 서버는 사용자의 EMR에서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고,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전 정보는 환자 정보, 의료기관 정보, 질병분류기호, 의료인 정보, 처방약, 1회 투여량, 1회 투여횟수, 투약일수, 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EMR 서버는 사용자 단말, 국내 의료기관 단말 및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과 통신하여 정보나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으며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담당한다. 이러한 EMR 서버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 (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스(i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은 EMR 서버로부터 수신한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을 사용자의 숙소로 배송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해외에 일정기간 동안 체류하고 있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하고, 국내 의료기관 단말은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를 수행하는 국내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단말을 의미하며,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은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위해 각 국가별로 미리 연계된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단말 중, 사용자가 체류중인 체류국가의 의료기관이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 국내 의료기관 단말 및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은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 PC,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EMR 서버, 사용자 단말, 국내 의료기관 단말 및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의 일 예로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서버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DB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별 EMR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이름, 생일, 연락처, 이메일 등의 기본적인 신상정보와 체류국가, 여행기간, 숙소정보, 가입된 여행자 보험 등의 체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정보 DB는 국가별 허가 의약품 정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코드, 국제질병분류(ICD) 코드, 국가별 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국제질병분류(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질병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으로, 여러 국가에서 다른 시기에 수집된 사망과 질병, 손상, 건강 상태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보고 및 분석, 해석, 비교를 위한 국제표준이다. 또한, 국제질병분류는 일종의 프레임워크로, 나라마다 그 실정에 맞게 확장할 수 있는 의료코드체계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수정 없이 사망원인이나 질병 등의 통계에 활용하고 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국제질병분류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게 적용 및 수정한 것이다. 1938년에는 인구동태조사에서 국제질병분류(ICD)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통계청은 통계법(제22조 표준분류 제1항)에 따라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1952년 이후)를 작성 및 고시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여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WHO에서 ICD의 제11차 개정안이 승인(세계보건총회, 2019년 5월)되었는데, 종이 기반의 ICD 작성 이후, 처음으로 분류 작성운영 과정 전체의 전산화 및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분류의 수록 내용과 규모, 코드 적용체계, 사용자 지원 도구 등의 변화가 매우 크고 다양한 것이 그 특징이다. 한국에서도 근시일 내에 ICD-11을 적용할 전망이다.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 국내 의료기관 단말 및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는다.
의약품 매칭부는 처방전 정보 및 의약정보 DB를 기반으로 처방약이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을 매칭한다.
의약품 매칭부는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상기 처방약과 동일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동일 의약품을 상기 처방약에 매칭할 수 있다. 만일 동일 의약품이 없는 경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 동일성분 의약품 또는 대체조제 가능 의약품을 상기 대체 의약품으로 매칭하되, 상기 대체 의약품이 국내 의약품 규제 기준에 저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을 허용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기계번역부는 처방전 정보를 사용자가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 먼저, 사용자의 체류정보에서 사용자가 체류 또는 여행 중인 국가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국가의 공용어로 처방전 정보를 기계번역 할 수 있다. 기계번역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등과 같은 기업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를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직접 AI 머신러닝을 활용하거나 미리 구비된 국가별 언어번역 매칭DB를 기반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때, 처방전 정보 중 처방약을 제외한 환자 정보, 의료기관 정보, 의료인 정보, 1회 투여량, 1회 투여횟수, 투약일수, 용법은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번역하되, 질병분류기호는 의약정보 DB를 기반으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른 질병분류기호를 해당 국가의 질병분류기호에 매칭하여 번역한다.
결제 관리부는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에 대한 결제요금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결제요금에 일정 수수료를 추가하여 해외 비대면 진료 서비스 요금을 사용자 단말에 청구할 수 있다.
배송 추적부는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용자 체류정보 입력 단계(S31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비대면 진료를 위한 전용 앱을 통해 자신의 체류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체류정보는 체류국가, 여행기간, 숙소정보, 가입된 여행자 보험을 포함할 수 있다.
비대면 진료 화상통화 수행 단계(S320)에서 비대면 진료를 위한 전용 앱의 비대면 진료 메뉴를 통해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비대면 진료 메뉴를 선택하면,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에 소속되거나 연계되어 있는 국내 의료기관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목록에 표시된 국내 의료기관 중 자신이 원하는 국내 의료기관을 선택하면, 해당 국내 의료기관 내 진료과목별 의사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료과목별을 먼저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신이 원하는 진료과목을 먼저 선택하면 해당 진료과목에서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국내 의료기관의 의사 목록이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특정 의사를 선택하면, 화상통화 요청이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중개에 의해 해당 국내 의료기관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해당 국내 의료기관 단말은 수신된 화상통화 요청을 진동이나 소리, 시각 효과 등을 통해 의사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통화를 통한 비대면 진료가 이뤄지게 된다.
처방전 정보 입력 단계(S330)에서 의사는 사용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 처방전 정보를 입력한다.
처방전 정보 번역 단계(S340)에서는 사용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체류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한다.
이때, 처방전 정보 중 처방약, 즉 처방약을 제외한 환자 정보, 의료기관 정보, 의료인 정보, 1회 투여량, 1회 투여횟수, 투약일수, 용법은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번역하되, 질병분류기호는 의약정보 DB를 기반으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른 질병분류기호를 해당 국가의 질병분류기호에 매칭하여 번역한다.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 전송 단계(S350)에서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상기 체류정보를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 전송한다.
처방약의 사용자 숙소 배송 단계(S360)에서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은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을 사용자의 숙소로 배송 처리한다.
처방약의 사용자 숙소 배송 단계(S360) 이후에, 상기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은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에서 국내 의료기관 단말에 입력된 처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체류국가에 대응되는 처방약을 매칭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처방전 정보 번역 단계(S340)는 처방전 정보 및 의약정보 DB를 기반으로 처방약이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1),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상기 처방약과 동일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동일 의약품을 상기 처방약에 매칭하는 단계(S346) 및 상기 동일 의약품이 없는 경우,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 동일 성분 의약품 또는 대체조제 가능 의약품을 대체 의약품으로 상기 처방약에 매칭하는 단계(S342, S3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체 의약품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에 저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을 허용하거나 취소하는 단계(S343, S344, S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체 의약품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에 저촉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S343), 저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체의약품을 처방약으로 매칭한다 (S346).
만일 상기 대체 의약품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에 저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른 동일 성분 의약품 또는 대체조제 가능 의약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344),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매칭을 취소하여 미스매칭 알림을 수행한다(S345).
여기서 다른 동일 성분 의약품 또는 대체조제 가능 의약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S343 단계로 돌아가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에 저촉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처방약 매칭이 이뤄지거나, 미스매칭 알림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이 포함된 처방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당 처방전은 추천정보, 사용자 정보, 진단명, 국내 의료기관 정보,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 정보, 용량, 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숙소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EMR 서버 110: 사용자 DB
120: 의약정보 DB 130: 통신부
140: 의약품 매칭부 150: 기계번역부
160: 결제 관리부 170: 배송 추적부
200: 사용자 단말 300: 국내 의료기관 단말
400: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

Claims (9)

  1. 사용자의 체류정보를 입력받고,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 통화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아 EMR 서버로 전송하는 국내 의료기관 단말;
    상기 EMR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고,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상기 체류정보를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 전송하는 EMR 서버; 및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을 사용자의 숙소로 배송 처리하는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
    을 포함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서버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별 EMR을 저장하는 사용자 DB;
    국가별 허가 의약품 정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코드, 국제질병분류(ICD) 코드, 국가별 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를 저장하는 의약정보 DB;
    상기 사용자 단말, 국내 의료기관 단말 및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처방전 정보 및 의약정보 DB를 기반으로 처방약이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을 매칭하는 의약품 매칭부; 및
    상기 처방전 정보를 사용자가 체류 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기계번역부
    를 포함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서버는
    상기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에 대한 결제요금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처리하고, 결제요금에 일정 수수료를 추가하여 해외 비대면 진료 서비스 요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청구하는 결제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서버는
    상기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배송 추적부
    를 더 포함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매칭부는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상기 처방약과 동일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동일 의약품을 상기 처방약에 매칭하고,
    동일 의약품이 없는 경우,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 동일성분 의약품 또는 대체조제 가능 의약품을 상기 대체 의약품으로 매칭하되,
    상기 대체 의약품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에 저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을 허용하거나 취소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6.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체류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비대면 진료를 위한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에 처방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EMR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체류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상기 체류정보를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을 사용자의 숙소로 배송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MR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체류중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전 정보 및 의약정보 DB를 기반으로 처방약이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상기 처방약과 동일 의약품이 있으면 상기 동일 의약품을 상기 처방약에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 의약품이 없는 경우, 상기 체류국가의 가용 의약품 목록에 있는 동일 성분 의약품 또는 대체조제 가능 의약품을 대체 의약품으로 상기 처방약에 매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의약정보 DB는 국가별 허가 의약품 정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코드, 국제질병분류(ICD) 코드, 국가별 표준질병사인분류 코드를 저장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된 처방전 정보 및 체류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을 사용자의 숙소로 배송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체류국가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약 또는 대체 의약품의 배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의약품이 국내 의약품 규제기준에 저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을 허용하거나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방법.
KR1020220085687A 2022-05-09 2022-07-12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72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633 2022-05-09
KR20220056633 2022-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209A true KR20230157209A (ko) 2023-11-16

Family

ID=8896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687A KR20230157209A (ko) 2022-05-09 2022-07-12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20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641A (ko) 2019-10-29 2021-05-11 수상에스티(주) Emr기반의 진료정보교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9097A (ko) 2020-07-15 2022-01-24 하이케어넷 주식회사 국가별 맞춤형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641A (ko) 2019-10-29 2021-05-11 수상에스티(주) Emr기반의 진료정보교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9097A (ko) 2020-07-15 2022-01-24 하이케어넷 주식회사 국가별 맞춤형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ssin et al. Effect of collaborative dementia care via telephone and internet on quality of life, caregiver well-being, and health care use: the care ecosystem randomized clinical trial
Stockwell et al. Text message reminders for second dose of influenza vaccin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aton et al. A 9-point risk assessment for patients who inject drugs and require intravenous antibiotics: focusing inpatient resources on patients at greatest risk of ongoing drug use
Pakhare et al. Assessment of primary care facilities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paredness in Madhya Pradesh, India
US2006014959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nalysis of patient records
Rossiter et al. Medical cost savings associated with an extended-release opioid with abuse-deterrent technology in the US
Alexander et al. Work–life balance, burnout, and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Antor et al. Development of a Web-Based Telemedicine System for Covid-19 Patients.
Mistler et al. The impact of COVID-19 on access to HIV prevention services among opioid-dependent individuals
Gilsenan et al. Assessing the incidence of osteosarcoma among teriparatide users based on Medicare Part D and US State Cancer Registry Data
Kovačević et al. Telepharmacy service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Republic of Srpska, Bosnia and Herzegovina
Quirke et al. Virtual HIV pre-exposure prophylaxis outpatient service in the era of COVID-19
Grasso et al. Gender-affirming care without walls: utilization of telehealth services by transgender and gender diverse people at a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
Musiimenta et al. Challenges in accessing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s during COVID-19 and the potential role of social networking technologies
Moatti et al. Antiretroviral treatment for HIV inf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 attainable new paradigm
Girometti et al. The success of HIV combination prevention: the Dean Street model
Müller et al. Primary eye care in Rwanda: gender of service providers and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effective service delivery
Schnall et al. Efficacy of an mHealth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persons living with HIV: the WiseApp randomized clinical trial
Lapane et al. Patient perceptions regarding electronic prescriptions: is the geriatric patient ready?
CN113450891B (zh) 服药提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Rodríguez-Díaz et al. Health care practices and associated service needs in a sample of HIV-positive incarcerated men in Puerto Rico: implications for retention in care
US201401491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health care information
KR20230157209A (ko) Emr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방법
Lim et al. Deliver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are across distance
Alfian et al. Effectiveness and process evaluation of using digital health technologies in pharmaceutical care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