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591A -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591A
KR20230156591A KR1020220056207A KR20220056207A KR20230156591A KR 20230156591 A KR20230156591 A KR 20230156591A KR 1020220056207 A KR1020220056207 A KR 1020220056207A KR 20220056207 A KR20220056207 A KR 20220056207A KR 20230156591 A KR20230156591 A KR 20230156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measurement
power
facility
s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5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6591A/en
Publication of KR2023015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5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05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hase or frequency of 2 mutually independent oscillations in demod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G01R29/027Indicating that a pulse characteristic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는, 위상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점검 설비 지정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 사양 정보 획득부;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을 입력받는 측정값 입력부;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값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위상값을 검증하는 위상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pection facility designation unit that specifies a power facility that is the target of phase measurement; a measure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a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that receives the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 facility database that stores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it may include a phase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the phase value input from the measured valu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equipment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equipment.

Figure P1020220056207
Figure P1020220056207

Description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및 방법{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전력설비의 점검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하여 구성한 일종의 휴대용 점검 장치로서 전력설비 실부하 측정에 대한 모바일 위상 검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ase verifica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actual load of power facilities, which is a type of portable inspection device installed by an inspector of power facilities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n his or her smartphone.

전력 계통에서 소비자측 말단의 배전 선로를 제외하고는 고전압/대전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고전압/대전류 선로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2차측 저전압/소전류로 변환하여 측정하고 있다. In the power system, power is supplied at high voltage/large current except for the distribution line at the end of the consumer side. Since it is realistically impossible to measure the high voltage/large current line directly, it is measured by converting it to low voltage/low current on the secondary side.

이렇게 측정하는 장비를 변성기로 하며, 전류를 측정하는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와 전압을 측정하는 변압기(Power Transformer)로 구분한다. 변성기로 2차로 변환된 값들은 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계전기 등에 사용된다.The equipment that measures this way is called a transformer, and is divided into a current transformer (CT, Current Transformer) that measures current, and a transformer (Power Transformer) that measures voltage. The values converted secondarily by the transformer are used in protective relays, etc. to protect equipment.

보호계전기는 송전선로, 변압기, 차단기의 설치된 변성기 2차측값을 입력받아 설비이상 상태를 감지, 동작하여 해당설비를 피해 감소를 도모하고, 그 파급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명령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계전기이다다. 계통시험파트는 변성기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절연저항, 극성시험, 변성비, 포화특성을 시험하며, 전력설비가 계통에 병입되기 전 실부하시험시 위상각계를 사용하여 보호계전기에 변성기 2차측 값이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A protective relay is a relay whose purpose is to receive the secondary value of a transformer installed in a transmission line, transformer, or circuit breaker, detect and operate an equipment abnormal condition, reduce damage to the relevant equipment, and give an appropriate command to prevent its spread. It is it. The system test part tests insulation resistance, polarity test, transformation ratio, and saturation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transformer. During the actual load test before the power equipment is fed into the system, a phase angle meter is used to check the secondary value of the transformer in the protection relay. Finally, check whether the input is correct.

하기 표 1은 154kV 변압기 보호반에서의 실부하 위상측정값들을 예시한 것이다.Table 1 below illustrates actual load phase measurements in a 154kV transformer protection panel.

실부하 위상측정값은 현장여건(CT비, 설비별)에 따라 상이하며 시험담당자가 최종검증을 오판할 경우 계전기 오동작하여 전력설비 정지합니다. 154kV 변압기 2차측 차단기를 교체 후 실부하 위상측정 결과 판단착오로 변압기가 정상상태에서 정지된 사례도 있다.The actual load phase measurement value varies depending on site conditions (CT ratio, facility type), and if the tester misjudges the final verification, the relay malfunctions and the power facility is stopped. There was also a case where the transformer stopped in normal condition due to a judgment error as a result of the actual load phase measurement after replacing the secondary circuit breaker of a 154kV transformer.

대한민국 공개공보 10-1995-0003318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1995-0003318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는, 위상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점검 설비 지정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 사양 정보 획득부;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을 입력받는 측정값 입력부;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값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위상값을 검증하는 위상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pection facility designation unit that specifies a power facility that is the target of phase measurement; a measure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a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that receives the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 facility database that stores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it may include a phase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the phase value input from the measured valu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equipment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equipment.

여기서, 상기 위상 검증부가 수행한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위상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that outputs a phase verification result for the power facility performed by the phase verification unit.

여기서, 상기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 및 상기 측정값 입력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SW 모듈일 수 있다.Here, the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is a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phone, and the inspection facility designation unit and the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may be a SW module that receives user input using the UI of the smartphone.

여기서, 상기 측정 사양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설비의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지정된 설비에 장착된 CT의 CT비를 독출하고, 이를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독출된 CT비값에 대한 확인을 받을 수 있다.Here, the measure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queries the information on the equipment designated by the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reads the CT ratio of the CT mounted on the designated equipment, and outputs this on the smartphone screen to obtain the CT read from the user. You can receive confirmation of the rain value.

여기서,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크기값을 검증하는 크기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size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the siz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

여기서, 상기 측정값 입력부는,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과 함께 크기값도 입력받으며, 상기 위상 검증부는, 상기 크기 검증부가 상기 크기값이 정상 범위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위상값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measured value input unit receives a magnitude value along with the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nd the phase verification unit performs verification of the phase value when the magnitude verific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magnitude value is in the normal range.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상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입력받은 상기 위상값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signating a power facility to be the target of phase measurement according to a user input; Obtain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from a facility database that stores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Receiving a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nd it may include verifying the input phase valu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여기서,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위상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outputting a phase verification result for the power facility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크기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크기값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receiving a siz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nd it may further include verifying the size valu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여기서, 상기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파악한 위치 정보에 따라 대상 설비의 후보 리스트들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후보 리스트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is performed by an application on a smartphone, and the step of specifying the power facility includes outputting a candidate list of target facilities to the scree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smartphone, and selecting the candidate. This can be done by having the user select from a list.

여기서, 상기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점검 대상인 상기 전력설비의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전력설비에 장착된 CT의 CT비를 독출하고, 이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독출된 CT비값에 대한 확인을 받도록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step of acquiri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is to query th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that is the subject of inspection, read the CT ratio of the CT mounted on the power facility, and output it on the screen to display the CT ratio value read from the user. This can be done to obtain confirmation.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력설비 실부하 위상측정 모바일 검증 장치를 실시하면, 실부하 위상시험 오판정으로 보호계전기 오부동작으로 인한 설비정전이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f the mobile verifica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actual load phase of power equipm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facility power outages or breakdowns due to erroneous operation of the protection relay due to erroneous judgment of the actual load phase test.

본 발명의 전력설비 실부하 위상측정 검증용 모바일 장치는 인터페이스가 익숙한 모바일 앱의 형태로 시험 현장에 활용하여 작업자가 업무에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The mobile device for verifying actual load phase measurement of power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workers can easily adapt to work by being used at test sites in the form of a mobile app with a familiar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모바일 앱의 실행시 초기 화면.
도 2b는 대상 점검 설비를 지정한 후, 해당 설비에 장착된 센싱 기기로서 CT의 사양 정보(예: CT비)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
도 3a는 사용자가 확인한 설비에 장착된 센싱 기기의 측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측정값 입력 화면.
도 3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대상 점검 설비의 위상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출력 화면.
도 4는 154kV 변압기 보호반에서의 CT 결선도.
도 5는 154kV 송전선로 보호반에서의 CT 결선도.
도 5는 154kV 송전선로 보호반에서의 CT 결선도.
도 6은 345kV 변압기 보호반에서의 CT 결선도.
도 7은 345kV 송전선로 보호반에서의 CT 결선도.
도 8은 도 1의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the initial screen when running the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mobile app.
Figure 2b is a screen for specifying a target inspection facility and receiving CT specification information (e.g. CT ratio) as a sensing device mounted on the facility.
Figure 3a is a measurement value input screen where the user can input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sensing device mounted on the confirmed facility.
Figure 3b is an output screen showing the results of phase verification of the target insp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T wiring diagram in a 154kV transformer protection panel.
Figure 5 is a CT wiring diagram in a 154kV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panel.
Figure 5 is a CT wiring diagram in a 154kV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panel.
Figure 6 is a CT wiring diagram in a 345kV transformer protection panel.
Figure 7 is a CT wiring diagram in a 345kV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panel.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of FIG. 1.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intend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nclu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본 발명에서는 실부하시 측정한 값들을 최종검증하는 모바일 앱의 형태의 전력설비 실부하 위상측정 모바일 검증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e would like to present a mobile verification device for measuring the actual load phase of power equipment in the form of a mobile app that finally verifies the values measured at the actual load.

예컨대, 측정대상 보호계전기(송전선로, 변압기, 모선등) 선택하고, 해당 정정 CT비를 입력하며, 측정한 값을 입력하면 앱으로 값, 위상들을 계산하여 측정값 정상여부 판단하고 그 결과값을 PDF 파일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select the protection relay to be measured (transmission line, transformer, bus bar, etc.), enter the corresponding correction CT ratio, and enter the measured value. The app calculates the value and phases,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value is normal, and reports the result. It can be implemented by saving a PDF fil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상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점검 설비 지정부(120);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 사양 정보 획득부(140);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을 입력받는 측정값 입력부(160);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베이스(130);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값 입력부(160)에서 입력받은 위상값을 검증하는 위상 검증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includes an inspection facility designator 120 that specifies a power facility to be measur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 measure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that acquires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a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160 that receives the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 facility database 130 that stores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a phase verification unit 180 that verifies the phase value input from the measured value input unit 160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 may include.

또한, 상기 위상 검증부(180)가 수행한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위상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190 that outputs a phase verification result for the power facility performed by the phase verification unit 180.

상기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는 작업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사용자이다. 이 경우,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120) 및 상기 측정값 입력부(160)는, 스마트폰의 UI(예: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SW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worker's smartphone, and the user is then the user of the smartphone. In this case, the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or 120 and the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W module that receives user input using the UI (eg, touch screen) of a smartphone.

상기 측정 사양 정보 획득부(140)는,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120)가 지정한 전력설비에 대한 상기 설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조회 결과 및/또는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점검 설비에 부착된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2가지 방안을 모두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하면,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120)에 의해 지정된 설비의 정보(예: 일련번호나 ID 등)를 상기 설비 데이터베이스(130)나 설비 관리 서버에 조회하여, 상기 지정된 설비에 장착된 CT의 CT비를 독출하고, 이를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독출된 CT비값에 대한 확인을 받을 수 있다(예: 하기 도 2b). 이는 CT가 교체된 후, 설비 관리 서버의 DB에 반영되기 전의 경우에도, 정확한 판정을 지원하는 이점이 있다.The measure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determines the specifications of the sensing device attached to the inspection equipment from the result of a search for the equipment database for the power equipment designated by the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120 and/or the user's inpu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lternatively, as an example of applying both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information (e.g., serial number, ID, etc.) of the equipment designated by the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120 is stored in the equipment database 130 or the equipment management server. By querying, the CT ratio of the CT mounted on the designated equipment can be read, printed on the smartphone screen, and confirmation of the read CT ratio value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 (e.g., Figure 2b below). This has the advantage of supporting accurate judgment even after the CT is replaced and before it is reflected in the DB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상기 측정값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상기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모바일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읽은 측정값으로서, 예컨대, CT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위상값을 입력받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asured value input unit 160 is a method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current value and phase value measured by the CT as a measured value read with the naked eye using a smartphone on which the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mobile app is installed. It can be implemented as:

다른 다소 복잡한 구현에서의 상기 측정값 입력부는, 사용자가 상기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모바일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해당 CT의 출력 표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분석하여, CT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위상값을 독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In another somewhat complicated implementation, the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allows the user to photograph the output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CT with a smartphone on which the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mobile app is installed, analyze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image, and perform an image analysis on the current measured in the CT. It can also be operated by reading value and phase value.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 조작에 따라 점검 대상이 되는 전력 설비의 정보(예: 일련번호나 ID 등)를 수동으로 입력받거나, 리스트(예: 하기 도 2a)에서 선택(지정)받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120 manually receives information (e.g., serial number or ID, etc.) of power equipment subject to insp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smartphone, or selects the information from a list (e.g., Figure 2a below). It can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is selected (designated).

다른 다소 복잡한 구현에서의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파악한 위치 정보에 따라 대상 설비의 후보 리스트들을 출력하고, 상기 후보 리스트에서 사용자료부터 선택(지정)받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In another somewhat complicated implementation, the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outputs a candidate list of target equipm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user's smartphone, and may be operated in such a way that usage data is selected (designated) from the candidate list. .

상기 설비 데이터베이스(130)는 전력 설비 관리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 형태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전력 설비 관리 서버 등에 데이터를 조회하는 SW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전력 설비 관리 서버 등에 조회하여, 총 데이터에서 일부 후보 데이터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equipment database 13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ata block downloaded from a power equipment management server, etc. and stored in a smartphone, or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W module that queries data on a separate power equipment management server, etc., or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parate power equipment management server. By querying servers, etc., some candidate data can be downloaded in advance from the total data and implemented in the form of data blocks stored on the smartphone.

상기 위상 검증부(180)는 전력 배전 네트워크상에서의 각 전력 설비 및/또는 센싱 기기의 위치 및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상 점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측정된 위상이 정상 범위인지 확인할 수 있다. The phase verification unit 180 can apply various phase check algorithm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pecifications of each power facility and/or sensing device on the power distribution network to check whether the measured phase is in the normal range.

구현에 따라,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값 입력부(160)에서 입력받은 측정값의 크기를 검증하는 크기 검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값 입력부(160)는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과 함께 크기값도 입력받는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size of the measurement value input from the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160 is verifi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A size verification unit 17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160 receives the magnitude value as well as the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상기 크기 검증부(170)의 검증 결과는 과전류나 지락 발생 등 위상 진단이 아닌 다른 사고를 검증하기 위한 것인데, 실제로는 이러한 경우 보호 계전기가 동작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상 진단의 경우, 상기 측정값의 크기가 정상 범위인 경우, 상기 위상 검증부(180)가 위상 진단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반영될 수도 있다.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size verification unit 170 is intended to verify accidents other than phase diagnosis, such as overcurrent or ground fault, but in reality, in this case, the protection relay operates, so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no. However, in the case of phase diagnosi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ize of the measured value is within the normal range, it may be reflected in the way that the phase verification unit 180 performs phase diagnosis.

상기 위상 검증부(180) 및/또는 상기 크기 검증부(170)에서, 대상 전력설배의 배전 네트워크상의 위치나 용량 등 사양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각 알고리즘들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Each algorithm that can be applied in the phase verification unit 180 and/or the size verification unit 170 according to specifications such as location or capacity on the distribution network of the target power distribu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a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모바일 앱의 실행시 초기 화면을 예시한다.Figure 2a illustrates the initial screen when running the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mobile app.

도 2b는 대상 점검 설비를 지정한 후, 해당 설비에 장착된 센싱 기기로서 CT의 사양 정보(예: CT비)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예시한다.Figure 2b illustrates a screen for specifying a target inspection facility and then receiv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e.g., CT ratio) of the CT as a sensing device mounted on the facility.

예컨대,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모바일 앱을 상기 사용자가 실행시킬 때, 도 2a와 같은 초기 화면으로서 대상 점검 설비가 될 수 있는 지역의 배전 네트워크상 보호배전반 설비들의 리스트(21)를 나열하고 있다. 도시한 화면의 지역은 경북이며, 상기 지역은 스마트폰 GPS 위치 정보로 자동 설정되거나, 앱 설정시 사용자(점검자)의 소속 입력에 따라 소속 부서가 담당하는 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uns the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mobile app, the initial screen as shown in FIG. 2A lists a list 21 of protection switchgear facilities on the local distribution network that can be target inspection facilities. The region shown on the screen is Gyeongbuk, and the region can be automatically set using smartphone GPS location information, or can be set as the region in charge of the department according to the user's (inspector's) affiliation input when setting up the app.

도 2a의 화면에서 대상 설비로서 특정 보호 배전반이 지정되면, 해당 보호 배전반에 장착된 CT의 CT비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되, 도 2b와 같이 해당 보호 배전반이 설치된 사이트에 대한 변압기 및 CT 결선도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f a specific protection switchboard is designated as the target facility in the screen of Figure 2a, a screen is displayed to check the CT ratio of the CT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protection switchboard, and the transformer and CT wiring diagram for the site where the corresponding protection switchboard is installed as shown in Figure 2b. can be displayed together.

도 2b의 화면에서는 상기 사이트에 대한 변압기 및 CT 결선 구조와 함께, 각 CT의 위치 및 CT비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도 2b의 화면에서 표시한 CT비가 자신이 확인하거나 숙지하는 내용과 일치하면, 화면의 '측정값 입력' 컨트롤(26)을 터치하여 다음 과정으로 진입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하지 않는 CT비를 정정하기 위해 'CT비 변경' 컨트롤(27)을 터치할 수 있다.The screen in FIG. 2b shows the transformer and CT wiring structure for the site, as well as the location and CT ratio of each CT. If the CT ratio displayed on the screen in Figure 2b matches what the user confirms or is familiar with, the user touches the 'Measurement Value Input' control (26) on the screen to enter the next process, and if it does not match, the user enters the next process. You can touch the 'Change CT ratio' control (27) to correct.

도 3a는 사용자가 확인한 설비에 장착된 센싱 기기의 측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측정값 입력 화면을 예시한다.Figure 3a illustrates a measurement value input screen where the user can input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ing device installed in the confirmed facility.

도 3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대상 점검 설비의 위상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출력 화면을 예시한다.Figure 3b illustrates an output screen showing the results of phase verification of the target insp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b의 화면에서 '측정값 입력' 컨트롤(26)을 터치하면, 도 3a의 측정값 입력 화면이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a의 화면에서는 A, B, C 등 3상의 각상 및 N상에 설치된 CT들로부터 사용자가 읽은 크기 및 위상 값들을 입력하기 위한 항목들(31)이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Measurement Value Input' control 26 is touched on the screen of FIG. 2B, the measurement value input screen of FIG. 3A can be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n the screen of FIG. 3A, items 31 for inputting size and phase values read by the user from CTs installed in each of the three phases, such as A, B, and C, and in the N phase, may be displayed.

도 3b의 화면에서는, 도 2b의 화면에 도시한 대상 사이트의 변압기 및 CT 결선 구조에 따른 배전 계통에서 CT들로부터 측정된 위상값들에 대한 위상 검증 결과가 양호함을 표시(36)하고 있다.In the screen of FIG. 3B, it is indicated (36) that the phase verification results for the phase values measured from CTs in the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ransformer and CT wiring structure of the target site shown in the screen of FIG. 2B are good.

다음, 각 전력 설비 및/또는 센싱 기기의 위치 및 사양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각 위상 점검 알고리즘으로 반영될 수 있는 전력설비별 위상측정값 검증 판단 조건들을 예시하겠다.Next, we will illustrate the phase measurement value verification judgment conditions for each power facility that can be reflected in each phase check algorithm that can be applied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specifications of each power facility and/or sensing device.

도 4는 154kV 변압기 보호반에서의 CT 결선을 예시한다.Figure 4 illustrates CT wiring in a 154kV transformer protection panel.

도 4와 같은 CT 결선 구조를 가지는 154kV 변압기 보호반에 대해서는, 예컨대, 하기 표 2와 같은 크기 판단 조건 및 위상 판단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For the 154kV transformer protection panel having the CT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4, for example, the size determination conditions and phase determination conditions shown in Table 2 below can be applied.

예컨대, 도 1의 크기 검증부(170)는 상기 표 2의 크기 판단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면 측정 크기값들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고, 위상 검증부(180)는 상기 표 2의 위상 판단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면 측정 위상값들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ze verification unit 170 of FIG. 1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size values are verified if all of the size determination conditions in Table 2 are satisfied, and the phase verification unit 180 satisfies all of the phase determination conditions of Table 2. If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phase values have been verified.

도 5는 154kV 송전선로 보호반에서의 CT 결선을 예시한다.Figure 5 illustrates CT wiring in a 154kV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panel.

도 5와 같은 CT 결선 구조를 가지는 154kV 송전선로 보호반에 대해서는, 예컨대, 하기 표 3과 같은 크기 및 위상 판단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For the 154kV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panel having the CT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5, for example, the size and phase determination conditions shown in Table 3 below can be applied.

한편, 154kV 모선 보호반에 대해서는, 예컨대, 하기 표 4와 같은 크기 및 위상 판단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Meanwhile, for the 154kV busbar protection panel, for example, the size and phase judgment conditions shown in Table 4 below can be applied.

도 6은 345kV 변압기 보호반에서의 CT 결선을 예시한다.Figure 6 illustrates CT wiring in a 345kV transformer protection panel.

도 6과 같은 CT 결선 구조를 가지는 345kV 변압기 보호반에 대해서는, 예컨대, 하기 표 5와 같은 크기 및 위상 판단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For the 345kV transformer protection panel having the CT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the size and phase determination conditions shown in Table 5 below can be applied.

도 7은 345kV 송전선로 보호반에서의 CT 결선을 예시한다.Figure 7 illustrates CT wiring in a 345kV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panel.

도 7과 같은 CT 결선 구조를 가지는 345kV 송전선로 보호반에 대해서는, 예컨대, 하기 표 6과 같은 크기 판단 조건 및 위상 판단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For the 345kV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panel having the CT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the size determination conditions and phase determination conditions shown in Table 6 below can be applied.

상기 표 3 내지 표 6에 대해서도, 예컨대, 도 1의 크기 검증부(170)는 해당 표의 크기 판단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면 측정 크기값들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고, 위상 검증부(180)는 해당 표의 위상 판단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면 측정 위상값들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garding Tables 3 to 6 above, for example, the size verification unit 170 of FIG. 1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size values are verified if all the size determination conditions of the table are satisfied, and the phase verification unit 180 determines the phase of the table. If all judgment conditions are satisfi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phase values have been verified.

도 8은 도 1의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of FIG. 1.

도시한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상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단계(S120);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40);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을 입력받는 단계(S160);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입력받은 상기 위상값을 검증하는 단계(S180); 및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위상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includes the step of specifying a power facility that is the target of phase measurement according to a user input (S120); Obtain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from a facility database that stores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S140); Receiving the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S160); Verifying the input phase valu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S180); And it may include a step of outputting a phase verification result for the power facility (S190).

구현에 따라,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크기값을 입력받는 단계(S150);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크기값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receiving a siz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S150); And it may further include verifying the size valu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The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flowchart can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on the user's smartphone.

이 경우, 예컨대, 상기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단계(S120)는, 상기 스마트폰이 파악한 위치 정보에 따라 대상 설비의 후보 리스트들을 화면에 출력하고, 터치 스크린 등에 의해 상기 후보 리스트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the step of specifying the power facility (S120) is to output a candidate list of target facilities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smartphone, and receive selection from the user from the candidate list using a touch screen, etc. It can be performed as:

마찬가지로, 예컨대, 상기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40)는, 점검 대상인 상기 전력설비의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다운로드된 설비 데이터베이스나 외부의 설비 관리 서버에서 조회하여, 상기 전력설비에 장착된 CT의 CT비를 독출하고, 이를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독출된 CT비값에 대한 확인을 받도록 수행될 수 있다.Likewise, for example, in the step of acquir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S140), information on the power facility subject to inspection is searched in a facility database downloaded to the smartphone or an external facility management server, and installed in the power facility. This can be performed by reading the CT ratio of the read CT and outputting it on the smartphone screen to receive confirmation of the read CT ratio value from the user.

도 8에서는 위상값에 대한 S160 단계 및 S180 단계와, 크기값에 대한 S150 단계와 S170 단계가 병렬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다른 구현에서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크기값에 대한 S150 단계와 S17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크기값이 정상 범위라고 판단(검증)된 경우에, S180 단계의 상기 위상값에 대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In Figure 8, steps S160 and S180 for the phase value and steps S150 and S170 for the magnitude value are expressed as being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in parallel. However, in other implementations, as mentioned above, steps S150 and S170 for the magnitude value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If,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tep, it is determined (verified) that the magnitud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is in the normal range, verification of the phase value in step S180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an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Just do 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20 : 점검 설비 지정부
130 : 설비 데이터베이스
140 : 측정 사양 정보 획득부
160 : 측정값 입력부
180 : 위상 검증부
190 : 출력부
120: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130: Equipment database
140: Measure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60: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180: Phase verification unit
190: output unit

Claims (11)

위상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점검 설비 지정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 사양 정보 획득부;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을 입력받는 측정값 입력부;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값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위상값을 검증하는 위상 검증부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An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that designates power equipment subject to phase measurement;
a measure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a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that receives the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 facility database that stores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A phase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the phase value input from the measured valu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증부가 수행한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위상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phase verification results for the power equipment performed by the phase verification unit.
A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 및 상기 측정값 입력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SW 모듈인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is a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on a smartphone,
The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and the measurement value input unit are SW modules that receive user input using the UI of the smartphone. A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사양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점검 설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설비의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지정된 설비에 장착된 CT의 CT비를 독출하고, 이를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독출된 CT비값에 대한 확인을 받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easurem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Power facility measurement that searches for information on equipment designated by the inspection equipment designation unit, reads the CT ratio of the CT mounted on the designated equipment, prints it on the smartphone screen, and receives confirmation from the user of the read CT ratio value. Phase verif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크기값을 검증하는 크기 검증부
를 더 포함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ize verification unit that verifies the siz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A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 입력부는,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과 함께 크기값도 입력받으며,
상기 위상 검증부는, 상기 크기 검증부가 상기 크기값이 정상 범위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위상값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measured value input unit receives the magnitude value as well as the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The phase verification unit is a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that performs verification of the phase value when the size verific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size value is in a normal range.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상 측정의 대상이 되는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위상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입력받은 상기 위상값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
Specifying a power facility that is the target of phase measurement according to user input;
Obtain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from a facility database that stores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Receiving a phas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nd
Verifying the input phase valu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includ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위상 검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
In clause 7,
Step of outputting phase verification results for the power equipment
A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기기가 측정한 크기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설비의 사양 및 계통 연결 구조 정보와, 상기 전력설비의 위상 측정에 사용되는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크기값을 검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
In clause 7,
Receiving a siz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device; and
Verifying the size valu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grid connection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phase of the power facility
A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전력설비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폰이 파악한 위치 정보에 따라 대상 설비의 후보 리스트들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후보 리스트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
In clause 7,
The power equipment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is performed by a smartphone application,
The step of specifying the power equipment is,
A candidate list of target facilities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smartphone,
A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performed by selecting a user from the candidate lis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기기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점검 대상인 상기 전력설비의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전력설비에 장착된 CT의 CT비를 독출하고,
이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독출된 CT비값에 대한 확인을 받도록 수행되는 전력설비 측정 위상 검증 방법.

In clause 7,
The step of acquir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device is,
By querying the information of the power equipment subject to inspection,
Reading the CT ratio of the CT mounted on the power equipment,
A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method that is performed by printing this on the screen and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about the read CT ratio value.

KR1020220056207A 2022-05-06 2022-05-06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2301565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207A KR20230156591A (en) 2022-05-06 2022-05-06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207A KR20230156591A (en) 2022-05-06 2022-05-06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591A true KR20230156591A (en) 2023-11-14

Family

ID=8874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207A KR20230156591A (en) 2022-05-06 2022-05-06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659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318A (en) 1993-07-30 1995-02-16 전동원 Method for preparing 0-carboxymethyl chit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318A (en) 1993-07-30 1995-02-16 전동원 Method for preparing 0-carboxymethyl chit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798B1 (en) Method for detecting line to ground fault location for power systems
US20160011252A1 (en)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utage Management and Automated Crew Dispatch
US82742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a fault in an electrical supply grid
JP4878783B2 (en) Lightning damage assumption device, lightning damage assumption method, lightning damage assump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4089718B (en) Constant temperature testing system and temperature monitoring method
CN109357766A (en) Defect of transformer equipment detection method and defect detecting system based on infrared measurement of temperature
CN111510205A (en) Optical cable fault position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deep learning
US9679096B2 (en) Method for retrieving a wiring schematic of an electrical installation
CN111537793B (en) Power consumption testing method and system of mobile terminal
CN102571495B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network topological structure for wire arrangement of printed circuit board
KR20230156591A (en) Power facility measurement phase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0538563B1 (en) Simulator for power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6405466A (en) Selection method of current transformers in relay protection
Hossain et al. Distribution high impedance fault location using localized voltage magnitude measurements
KR102556772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hase error of watt hour meter and method thereof
CN110794335A (en) Single-phase grounding detection system based on waveform differenc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1551341B1 (en) Apparatus for checking of cable
EP1710593A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automatic performance of sequence of measurements and tests on an electrical installation
KR101200675B1 (en) Method for evaluating risk level of power system
JP4906498B2 (en) Ground fault location method and orientation device
GB2567489A (en) Fault mapping method and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networks
Galvão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power quality instruments measuring voltage and power
KR101950584B1 (en) Comparison test method of measurement devices
GB2588799A (en) Power loss detection in a network
KR102208806B1 (en) Protective relay test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