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923A - Bicel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icel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923A
KR20230155923A KR1020220072627A KR20220072627A KR20230155923A KR 20230155923 A KR20230155923 A KR 20230155923A KR 1020220072627 A KR1020220072627 A KR 1020220072627A KR 20220072627 A KR20220072627 A KR 20220072627A KR 20230155923 A KR20230155923 A KR 2023015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ell
lipid
fatty acids
surfactant containing
phas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창호
정호섭
Original Assignee
엔바이오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바이오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바이오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5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92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4Non-vesicle bilayer structures, e.g. liquid crystals, tubules, cubic phases, cochleates; Sponge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종류의 지질을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디스크 형상의 형태적 특징으로 인해 종래의 리포좀 또는 미셸에 대비하여 대상물질의 보존성과 전달성이 매우 우수한 바이셀과, 이 바이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판상의 이중층 구조를 형성하는 제1지질과, 상기 이중층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질에 형성된 소수성 테일부의 노출을 방지하는 제2지질을 포함하는 바이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cell that combines two types of lipids in a specific ratio and has excellent material preservation and delivery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liposomes or micelles due to its disk-shap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is bicell. Regarding,
It relates to a bicell comprising a first lipid forming a plate-like bilayer structure and a second lipid bonded to the side of the bilayer to prevent exposure of the hydrophobic tail portion formed in the first lipid.

Description

바이셀 및 그 제조방법{BICEL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BICEL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BICEL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두 종류의 지질을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디스크 형상의 형태적 특징으로 인해 종래의 리포좀 또는 미셸에 대비하여 대상물질의 보존성과 전달성이 매우 우수한 바이셀과, 이 바이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cell that combines two types of lipids in a specific ratio and has excellent material preservation and delivery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liposomes or micelles due to its disk-shap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is bicell. It's about.

대표적인 지질 전달체로는 미셀(Micell)과 리포좀(Liposome)을 들 수 있다. Representative lipid carriers include micelles and liposomes.

미셀은 계면활성제가 수용액에 위치할 때, 친수성기는 바깥으로 노출되어 물과 닿는 표면을 형성하고 소수성기는 안쪽으로 핵을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구형의 집합체를 말하며, 물에 콜로이드 형태로 분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물에 녹지 않는 성분들을 지용성 물질끼리 뭉쳐있는 미셀의 중심으로 함유시켜 녹여주고, 이를 둘러싼 양친매성 분자의 친수성 분자들이 바깥에 위치함으로서 물에 녹지 않는 분자들이 물에 녹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When a surfactant is placed in an aqueous solution, a micelle is a spherical aggregate formed by the hydrophilic group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o form a surface in contact with water and the hydrophobic group forming a nucleus inward, forming a colloidal dispersed state in water. do. With this structure, water-insoluble ingredients are contained and dissolved in the center of micelles where fat-soluble substances are clustered together, and the hydrophilic molecules of the amphiphilic molecules surrounding them are located on the outside, thereby maintaining the water-insoluble molecules dissolved in water. can do.

리포좀은 인위적으로 만든 1개 이상의 지질 2중층(lipid bilayer)으로 되어 있는 구형의 소낭(vesicle) 구조물로, 영양분이나 약물 전달에 이용되며, 불안정한 물질을 안에 넣어 캡슐화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Liposomes are spherical vesicle structures made of one or more artificially created lipid bilayers, and are used to deliver nutrients or drugs, and can be used to encapsulate unstable substances.

하지만 미셀의 경우, 작은 크기로 인해 장벽에 대한 높은 투과도를 보이지만 함입효율이 낮고 함유물질에 대한 보호 효과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micelles have high permeability through barriers due to their small size, but have the disadvantage of low encapsulation efficiency and low protective effect for contained substances.

또한 리포좀은 이중층에 의하여 함입된 물질의 보호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물리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낮은 침투효율과 혈액순환에 의한 소실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liposomes have a relatively high protective effect for substances incorporated into the double layer, but have problems such as poor physical stability, low penetration efficiency, and loss through blood circulation.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1-0106607호 (공개일자 : 2021.08.3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6607 (Publication date: 2021.08.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포막 단백질, 펩타이드, DNA, RNA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의 삽입이 가능한 바이셀 및 이 바이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cell capable of inserting various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cell membrane proteins, peptides, DNA, and RNA,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icell.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리포좀, 베시클 또는 미셀 형태의 전달체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바이셀 및 이 바이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cel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icell that overcome the problems of liposome-, vesicle-, or micelle-type delivery systems.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경피 및 점막 전달체로 활용가치가 높은 바이셀 및 이 바이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cell with high utility as a transdermal and mucosal delivery veh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icel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하여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은 두 종류의 지질이 특정 비율로 조합되어, 어느 하나의 지질은 이중층을 이루어 디스크 형태로 조립되고, 다른 종류의 지질이 측면에 결합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wo types of lipids are combined in a specific ratio, so that one lipid forms a double layer and is assembled into a disk shape, and the other type of lipid can be stabilized by binding to the side.

특히 첨가물을 더 포함하여,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including additional additives.

또한 미세유체소자, 마이크로플루다이저, 디스퍼믹스, 호모믹서 등을 이용하여 용매와 완충액 사이의 빠른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rapid mixing between solvent and buffer can be induced using microfluidic devices, microfluidizers, dispermixes, homomixers, etc.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조되는 바이셀의 안정성이 우수하고,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cell produced has excellent stability,

특히 미세유체소자를 활용할 경우, 바이셀을 이루는 두 지질의 비율을 보다 넓은 범위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중층의 선조립으로 인해 막물성이 우수하고, 온화조건에서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using microfluidic devices, it may be possible to set the ratio of the two lipids that make up the bicell within a wider range. In addition, due to the pre-assembly of the double layer, the film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can be manufactured under mild condi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조되는 바이셀의 균일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속 생산이 가능하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formity and stability of the manufactured bicell can be improved, and continuous produc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다양한 연구 및 제약,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상업적 응용이 가능할 수 있다.Additionally, due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various research and commercial applications such as pharmaceuticals, cosmetics, and functional foods may be possibl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의 TEM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제조된 물질의 입자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제조된 물질의 막물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소자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과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를 이용한 바이셀의 합성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의 입자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의 입자물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의 점막층투과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1 is a TEM image of a bi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particle size of the material prepared through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film properties of the material prepared through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view of a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rocess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icel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ynthesis process of a bicell using a microfluid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particle size of bi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graph comparing the particle properties of the bi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graph comparing the mucosal layer permeability of Bi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additional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본 발명은 바이셀(Bicelle)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바이셀은 판상의 이중층 구조를 형성하는 제1지질과, 상기 이중층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질에 형성된 소수성부의 노출을 방지하는 제2지질을 포함한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el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erein the bicelle is bonded to a first lipid forming a plate-like bilayer structure and a side of the bilayer to prevent exposure of the hydrophobic portion formed in the first lipid. It is a structure containing secondary lipids.

상기 제1지질과 제2지질은 모두 친수성 헤드부와 소수성 테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질의 소수성 테일부가 상하로 서로 결합되어 판상형의 이중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와 하부에는 제1지질의 친수성 헤드부만 노출되는 구조가 된다.Both the first lipid and the second lipid are composed of a hydrophilic head portion and a hydrophobic tail portion, and the hydrophobic tail portions of the first lipid may be bonded to each other vertically to form a plate-shaped double layer structure. In other words, only the hydrophilic head portion of the first lipid is exposed at the top and bottom.

이 때 상기 제2지질은 상기 이중층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질의 소수성 테일부가 노출되지않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지질의 소수성 테일부가 상기 이중층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중층을 기준으로 측방향에서 결합되며, 결과적으로는 제조되는 바이셀의 외면이 모두 친수성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소수성 테일부가 위치한 케이크형(디스크형) 구조를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lipid is bound to the side of the bilayer so that the hydrophobic tail portion of the first lipid is not exposed. More precisely, the hydrophobic tail portion of the second lipid is combine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bilayer so that it is located inside the bilayer, and as a result,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ed bicell is entirely composed of a hydrophilic head portion, and the hydrophobic tail portion is located on the inside. It forms a cake-shaped (disk-shaped) structure.

따라서 기능성 물질을 상기 바이셀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저장하여 보호 및 운반한 후, 지정된 장소에서 이를 배출하여 기능성 물질의 기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functional material can be stored, protected and transport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bicell, and then discharged at a designated location so that the func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can be expressed.

아울러 상기 제1지질의 소수성 테일부의 길이가 상기 제2지질의 소수성 테일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질이 상기 이중층의 측면에 결합될 때,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hydrophobic tail portion of the first lipid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ydrophobic tail portion of the second lipid, so that binding stability can be increased when the second lipid is bound to the side of the bilayer.

또한 이러한 바이셀은 단단한 이중층 구조를 지니면서도 5~50nm 직경의 작은 크기와 디스크 형상의 형태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se bicells have a rigid double-layer structure, but can also have a small size of 5 to 50 nm in diameter and a disk-shaped morphological fe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지질은 탄소수 14~18인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pi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aturated fatty acids or unsaturated fatty acids having 14 to 18 carbon atoms.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16인 포화지방산 또는 탄소수 18인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시틴(Lecithin)을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it may contain a saturated fatty acid with 14 to 16 carbon atoms or an unsaturated fatty acid with 18 carbon atoms, and may further include lecithin.

레시틴은 글리세린 인산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 중 하나이며, 알콜 및 에테르에 용해될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하여 콜린, 인산, 글리세롤 및 지방산을 생성할 수 있고, 지방산은 주로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등일 수 있다.Lecithin is one of the phospholipids containing glycerin phosphate and is soluble in alcohol and ether. It can also be hydrolyzed to produce choline, phosphoric acid, glycerol, and fatty acids, and the fatty acids can mainly be stea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상기 레시틴은 콜린이 친수성 헤드부를 형성할 수 있고, 지방산이 소수성 테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lecithin, choline can form a hydrophilic head portion and fatty acid can form a hydrophobic tail portion.

상기 포화지방산은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aturated fatty acid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yristic acid,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팔미툴레산(Palmitoleic acid), 미르스톨레익산(Myristoleic acid)의 단일, 다중 이중결합을 갖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nsaturated fatty acid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having single and multiple double bonds, such as palmitoleic acid and myristoleic acid.

제2지질은 계면활성제 또는 인지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계면활성제는 단일사슬 구조를 포함하거나, 이중사슬 구조를 포함하거나 콜레스테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pid may include a surfactant or a phospholipid, and the surfactant may include a single chain structure, a double chain structure, or a cholesteryl structure.

즉, 상기 제2지질은 단일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이중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콜레스테릴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lipid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surfactant containing a single chain structure, a surfactant containing a double chain structure, and a surfactant containing a cholesteryl structure.

상기 단일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etrimonium bromide, CTAB),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Sucrose 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rfactant containing the single chain structure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trimonium bromide (CTAB), Sucrose Stearate, and Polysorbate. .

상기 이중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다이헥산 포스파티딜콜린(Dihexanoyl Phosphatidylcholine), 다이헵탄 포스파티딜콜린(Diheptanoyl Phosphatidylcholine), 다이옥탄 포스파티딜콜린(Dioctanoyl 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glycero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rfactant containing the double chain structur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hexanoyl Phosphatidylcholine, Diheptanoyl Phosphatidylcholine, Dioctanoyl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glycerol. can do.

상기 콜레스테릴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콜레스테릴 에테르(Cholesteryl ether), CHAPSO (3-([3-Cholamidopropyl]dimethylammonio)-2-hydroxy-1-propanesulfonate)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rfactant containing the cholesteryl structure may include one or more of cholesteryl ether and CHAPSO (3-([3-Cholamidopropyl]dimethylammonio)-2-hydroxy-1-propanesulfonate). .

또한 제조되는 바이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첨가물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물로는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additional additives may be add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manufactured bicell, and the additive may be one of cholesterol and ceramide or a mixture of the two.

상기 첨가물이 더 결합되는 경우, 약물 방출능 제어, 막 안정화 및 생체장벽의 물성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When the above additives are further combined, the effects of controlling drug release ability, stabilizing membranes, and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barriers can be expected.

나아가 하기 [표1]은 상기 제1지질(도메인 지질) 및 제2지질(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바이셀 제조 성공 여부를 나타낸 표이다.Furthermore, [Table 1] below is a table showing the success of bicell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rst lipid (domain lipid) and the second lipid (surfactant).

[표1][Table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바이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icell as described above.

상기 바이셀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an example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icell, as shown in Figure 2,

1. 플라스크에 클로로폼(chloroform)을 주입하고 DMPC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10~14mM, DHPC (1,2-dihex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6~10mM을 용해하는 단계;1. Inject chloroform into the flask and add DMPC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10~14mM, DHPC (1,2-dihex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6~ Dissolving 10mM;

2. TECA{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정량추출물} 또는 커큐민(Curcumin)을 포함하는 지용성물질을 전체 인지질 농도의 1~10 중량%를 함께 용해시키는 단계;2. Dissolving 1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phospholipid concentration with a fat-soluble substance containing TECA {Centella asiatica quantitative extract} or curcumin;

3. 상기 플라스크를 수조 온도 40~80℃, 110~130rpm 조건하에 인지질 박막을 제작하는 단계;3. Producing a phospholipid thin film in the flask under the conditions of a water bath temperature of 40-80°C and 110-130 rpm;

4. 솔벤트(Solvent)를 제거하기 위하여 8~10시간의 탈기하는 단계;4. Degassing for 8 to 10 hours to remove solvent;

5. 상기 플라스크에 pH 7.0, 10mM 농도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완충액을 주입하여 상기 제작된 인지질 박막을 수화하는 단계;5. Hydrating the produced phospholipid thin film by injecting a pH 7.0, 10mM concentration of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buffer into the flask;

6. 40~60 , 230~260rpm 조건 하에 가열 교반하는 단계;6. 40~60 , heating and stirring under conditions of 230 to 260 rpm;

7. 영하70~90

Figure pat00003
의 냉동고에서 냉각하는 단계;7. -70~90 below zero
Figure pat00003
Cooling in a freezer;

8. 상기 6단계와 7단계를 반복하여 바이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8. Preparing a Bicell solution by repeating steps 6 and 7 above;

9. 제조된 바이셀 용액을 3~5

Figure pat00004
냉장 환경에서 8~10시간 안정화하는 단계;9. 3~5 times the prepared bicell solution
Figure pat00004
Stabilizing in a refrigerated environment for 8 to 10 hours;

로 이루어질 수 있다.It can be done with

상기 바이셀을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유체소자를 제조하여 제작하는 것으로,Another example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icell is to manufacture a microfluidic device, as shown in FIGS. 5 to 7,

1.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을 포함하는 알콜을 사용하여 20~100 mM 이상의 탄소사슬 12~18개로 구성된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이들 모두를 용해하여 inner phase 용액 제조하는 단계;1. Preparing an inner phase solution by dissolving saturated fatty acids or unsaturated fatty acids consisting of 12 to 18 carbon chains of 20 to 100 mM or more, or both, using alcohol including methanol, ethanol, and isopropyl alcohol;

2. TECA{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정량추출물} 또는 커큐민(Curcumin)을 포함하는 지용성물질을 전체 인지질 농도의 1~10 중량%를 함께 용해시키는 단계;2. Dissolving 1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phospholipid concentration with a fat-soluble substance containing TECA {Centella asiatica quantitative extract} or curcumin;

3. pH 7.0, PBS 완충액에 5~40mM의 탄소수 5~8개를 가지는 인지질 또는 계면활성제를 용해하여 outer phase 용액 제조하는 단계;3. Preparing an outer phase solution by dissolving 5 to 40mM of phospholipid or surfactant with 5 to 8 carbon atoms in pH 7.0, PBS buffer;

4. 미세유체소자에 상기 inner phase 용액과 outer phase 용액을 서로 다른 주입구에 주입하는 단계;4. Injecting the inner phase solution and the outer phase solution into the microfluidic device through different injection ports;

5. 미세유체소자 내의 십자유로에서 솔벤트와 완충액의 확산에 의해 바이셀이 합성되는 단계;5. A step in which bicelles are synthesized by diffusion of solvent and buffer in the cross-flow path within the microfluidic device;

로 이루어질 수 있다.It can be done with

이 때, 미세유체소자를 이용한 바이셀 제조 조건의 경우, 합 유량 (Total flow rate, TFR) 4,000~100,000㎕/h, 유량 비 (Flow rate ratio, FRR) 10~20 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Inner phase 와 outer phase의 유량은 각각 100~1000㎕/h, 4000~8,000㎕/h 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bicell manufacturing conditions using microfluidic devices, the total flow rate (TFR) was set to 4,000~100,000㎕/h and the flow rate ratio (FRR) was set to 10~20, and the inner flow rate (FRR) was set accordingly. The flow rates of the phase and outer phase can be 100~1000㎕/h and 4000~8,000㎕/h, respectively.

특히 미세유체소자를 활용하는 경우, 바이셀을 이루는 두 지질의 비율이 보다 넓은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고, 이중층의 선조립으로 인해 막물성이 우수하며, 온화조건에서도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using microfluidic devices, the ratio of the two lipids that make up the bicell can be carried out in a wider range, the membrane phys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due to the pre-assembly of the double layer, and manufacturing can be possible even under mild conditions.

상기 실시예를 근거로, 하기와 같이 바이셀을 제조하였다.Based on the above example, a bicell was prepared as follows.

제조예1.Manufacturing example 1.

1.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클로로폼을 주입하고 DMPC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mM, DHPC (1,2-dihex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8mM을 용해하고, TECA를 인지질 농도의 1/10 만큼 함께 용해시켰다.1. Inject chloroform into a round bottom flask and dissolve 12mM of DMPC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and 8mM of DHPC (1,2-dihex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TECA was dissolved together at 1/10 of the phospholipid concentration.

2. 증발기 (Evaporator)에 플라스크를 장착한 후 수조 온도 60℃, 120rpm 조건하에 인지질 박막을 제작하였다.2. After attaching the flask to the evaporator, a phospholipid thin film was produced under the conditions of a water bath temperature of 60°C and 120 rpm.

3. 8시간 이상의 추가적인 탈기 공정을 거쳐 솔벤트 완전 제거하였다.3. The solvent was completely removed through an additional degassing process of more than 8 hours.

4. 플라스크에 pH 7.0, 10mM 농도의 PBS 완충액을 주입하여 제작된 인지질 박막 수화하였다.4. The prepared phospholipid thin film was hydrated by injecting a pH 7.0, 10mM PBS buffer solution into the flask.

5.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50℃, 250rpm 조건 하에 가열 교반을 실시하고, 영하 80℃ 냉동고에서 냉각하였다.5. Heating and stirring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50°C and 250 rpm using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nd cooled in a -80°C freezer.

6. 가열 교반과 냉각 공정은 순차적으로 15분간 실시하며, 5회 반복 실시하였다.6. The heating, stirring and cooling processes were performed sequentially for 15 minutes and repeated 5 times.

7. 제조된 바이셀 용액은 4℃ 냉장 환경에서 8시간 이상 안정화 실시하였다.7. The prepared Bicell solution was stabilized in a refrigerated environment at 4°C for more than 8 hours.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이셀 용액에 있어, 입자 크기, 막물성 및 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바이셀의 형성 여부를 결정하였다.In the bicell solution prepar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the formation of bicelles was determined through particle size, membrane properties, and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바이셀은 리포좀과 달리 수나노에서 수십나노미터 직경을 나타낸다. 이에 도3에 나타나는 크기는 바이셀 혹은 미셀에 해당하는 크기임을 알 수 있다.Unlike liposomes, bicells have a diameter of several nanometers to tens of nanometers.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size shown in Figure 3 corresponds to a bicell or micelle.

도4는 막 물성에 대한 것으로, 가로축은 막의 유동성, 세로축은 막의 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막 유동성 값이 4 이하일 때, 그리고 막 극성 값이 0.3 이상일 때, 겔 상으로 볼 수 있다.Figure 4 shows the membrane physical properties, where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fluidity of the membran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olarity of the membrane. When the membrane fluidity value is 4 or less and the membrane polarity value is 0.3 or more, it can be viewed as a gel.

미셀의 경우에는 막 물성이 바이셀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도3 및 도4를 통하여 제조된 입자가 바이셀임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micelles, the membrane properties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bicells, so it can be confirmed through Figures 3 and 4 that the manufactured particles are bicells.

제조예2.Manufacturing example 2.

1. 메탄올을 사용하여 100mM의 탄소사슬 16개로 구성된 포화지방산을 용해하여 inner phase 용액 제조하고, TECA를 인지질 농도의 1/10을 함께 용해시켰다.1. An inner phase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100mM of saturated fatty acid consisting of 16 carbon chains using methanol, and TECA was dissolved at 1/10 of the phospholipid concentration.

2. pH 7.0, PBS 완충액에 25mM의 탄소수 7개를 가지는 인지질, 계면활성제를 용해하여 outer phase 용액 제조하였다.2. An outer phase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25mM of 7-carbon phospholipid and surfactant in pH 7.0, PBS buffer.

3. 상기 용액들을 미세유체소자에 주입하여 바이셀을 합성시켰다.3. The solutions were injected into the microfluidic device to synthesize a bicell.

상기 제조예2는 도5에 도시된 미세유체소자를 이용하여 도6에 도시된 공정에 따라 바이셀을 제조하는 것으로, 도7과 같이, 상기 inner phase 용액과 outer phase 용액을 미세유체소자에 투입하면 도7과 같이 확산되어 바이셀이 제조되게 된다.Manufacturing Example 2 is to manufacture a bicell according to the process shown in FIG. 6 using the microfluidic device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7, the inner phase solution and the outer phase solution are introduced into the microfluidic device. Then, it spreads as shown in Figure 7 to produce a bicell.

도8은 형성된 바이셀의 입자 크기를 나타낸 것으로, 10nm 부근에서 농도가 진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제조예1의 배치공정에 의해 제조된 입자보다 작은 크기이다. 제조예1과의 크기 차이는 미세유체소자를 이용하여 조립순서를 제어함에 따라 이중층 막의 균질성이 향상되고 가장자리를 이루는 지질들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중층 막의 균질성 향상은 막의 물성향상으로 이어지며 이는 도9에서와 같이 배치공정에 의한 바이셀에 비해 미세유체소자를 통해 제조된 바이셀은 막극성이 높고 (도9b) 막유동성이 낮은 (도9c) 결과를 보였다.Figure 8 shows the particle size of the formed bicell,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ncentration becomes thicker around 10 nm, which is smaller than the particle produced by the batch process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size difference from Preparation Example 1 can be attributed to the improved homogeneity of the double layer membrane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ipids forming the edge as the assembly sequence was controlled using a microfluidic device. The improvement in the homogeneity of the double-layer membrane leads to the improvement of the membrane's physical properties, which means that, as shown in Figure 9, compared to the bi-cell manufactured by the batch process, the bi-cell manufactured through a microfluidic device has higher membrane polarity (Fig. 9b) and lower membrane fluidity (Fig. 9c). ) showed the results.

도10은 바이셀의 인공점막층에 대한 투과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리포좀과 바이셀을 비교한 것으로, 바이셀이 인공점막층에 대하여 높은 투과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10 shows the permeability of Bicell to the artificial mucosal layer. In particular, it compares liposomes and Bicell, and it was confirmed that Bicell showed high permeability to the artificial mucosal layer.

추가적으로 상기 제조예2의 미세유체소자는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도6 참고)Additionally, the microfluidic device of Preparation Example 2 can be manufactured as follows (see Figure 6).

제조예3. 미세유체소자의 제조Manufacturing example 3. Manufacturing of microfluidic devices

1.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한 마스터 몰드 제작을 위하여 포토리소그래피 (photolithography) 공정을 사용하며, PDMS(Polydimethylsiloxane)을 이용한 소프트몰딩 (soft-molding)으로 채널을 복제하고 동일한 재료로 제작한 플레이트와 접합하여 미세유체소자를 제작한다1.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used to produce a master mold using a silicon wafer, and the channel is replicated by soft-molding using PDMS (Polydimethylsiloxane) and bonded to a plate made of the same material to produce microfluidic fluid. Produce devices

2. 바이셀 제조용 미세유체소자는 높이와 넓이가 100 ~ 200㎛를 균일한 크기를 가지고,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거쳐 실리콘 웨이퍼 기반의 마스터 몰드를 이용, 열 경화성 폴리머인 PDMS(Polydimethylsiloxane)를 경화제와 10 : 1 비율로 혼합한 후 탈기 과정을 거쳐 70℃로 1시간 가열하여 경화하였다.2. The microfluidic device for bicell manufacturing has a uniform size of 100 ~ 200㎛ in height and width, and uses a silicon wafer-based master mold through a photolithography process to mix PDMS (Polydimethylsiloxane), a thermosetting polymer, with a curing agent and 10 µm. : After mixing at a 1 ratio, it was cured by going through a degassing process and heating at 70°C for 1 hour.

3. 경화된 PDMS는 몰드와 이형하여 PDMS로 제작한 평판과 접합하여 미세유체소자를 제작하였다.3. The cured PDMS was released from the mold and bonded to a plate made of PDMS to produce a microfluidic device.

4. 제작된 미세유체소자는 다양한 길이의 인지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 주입된 시료의 혼합이 가능한 혼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시료의 종류에 따라 2개의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4. The fabricated microfluidic device includes an injection part capable of injecting phospholipids of various lengths and a mixing part capable of mixing the injected samples, and the injection part may be composed of two channels depending on the type of sample.

추가적으로 바이셀을 하기 실시예1.과 같이 제작하여 양상을 분석하였다.Additionally, a bicell was manufactured as in Example 1 below and its aspects were analyzed.

실시예1. Example 1.

바이셀 제작을 위하여 Inner phase로 사용된 알콜 종류 중 하나인 메탄올 (Methanol)에 긴 사슬 인지질인 DMPC(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14 : 0 PC)를 각각 10 mM, 20 mM, 100 mM, 150 mM, 200 mM 용해하여 농도에 따른 바이셀 형성 양상을 분석하였다.For the production of Vicelle, methanol, one of the alcohols used as the inner phase, was mixed with 10 mM DMPC (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14:0 PC), a long-chain phospholipid, respectively. 20mM, 100mM, 150mM, and 200mM were dissolved and the bicell formation pattern according to concentration was analyzed.

1. 버퍼용액인 Outer phase에는 DHPC(1,2-dihex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6 : 0 PC) 20mM을 용해하여 혼합부에서 형성되는 DMPC 이중층 (DMPC fragment)의 소수성기에 자연스럽게 결합하도록 유도하였다.1. In the outer phase, which is a buffer solution, dissolve 20mM of DHPC (1,2-dihex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6:0 PC) so that it naturally binds to the hydrophobic group of the DMPC bilayer (DMPC fragment) formed in the mixing section. induced.

2. 미세유체소자의 십자 유로에서 용매로 알콜 용액과 버퍼용액이 만나 층류를 형성하게 되고, 두 상 (phase) 간의 상호 확산에 의해 빠르고 균일한 혼합(Mixing) 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2. It was confirmed that the alcohol solution and buffer solution as solvents meet in the cross passage of the microfluidic device to form a laminar flow, and that rapid and uniform mixing is achieved by mutual diffusion between the two phases.

3. 무극성 용매인 알콜 환경에서 분산 되어있던 DMPC는 알콜과 버퍼용액의 혼합에 의하여 극성 환경에 노출되고 자연스럽게 인지질 자가 조립체를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작은 크기의 인지질 이중층을 형성하였다.3. DMPC, which was dispersed in an alcohol environment, a non-polar solvent, was exposed to a polar environment by mixing alcohol and buffer solution and naturally formed phospholipid self-assembly, ultimately forming a small-sized phospholipid bilayer.

4. 완충액에 분산되어있던 DHPC 가 DMPC 이중층 자가조립체의 소수성기에 결함하여 림(rim)을 형성하면서, 안정적인 디스크 형태의 바이셀을 형성하였다.4. DHPC dispersed in the buffer defected to the hydrophobic group of the DMPC double-layer self-assembly to form a rim, forming a stable disk-shaped bicell.

5. DMPC 농도 변화에 따른 바이셀 형태 분석을 실시하였다.5. Bicell shap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changes in DMPC concentration.

합산 유량은 6,000㎕/h이며, DMPC 가 포함되어 있는 알콜 시료는 300 ㎕/h, DHPC 가 포함되어 있는 완충액 시료는 5,700㎕/h 로, FRR (Flow Rate Ratio, 유량비) = 19 로 조건을 설정하였다.The total flow rate is 6,000㎕/h, the alcohol sample containing DMPC is set at 300㎕/h, the buffer sample containing DHPC is set at 5,700㎕/h, and the conditions are set to FRR (Flow Rate Ratio) = 19. did.

분석 결과, DMPC농고가 50mM 이하의 시료에서는 구 형태의 리포좀이 형성되었으며, 50mM 이상에서는 직경 15nm 미만의 디스크 형태 바이셀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pherical liposomes were formed in samples with a DMPC concentration of 50mM or less, and that disc-shaped bicelles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5nm were formed in samples with a DMPC concentration of 50mM or more.

바이셀 용액의 경우 육안으로 관찰할 경우 약한 우윳빛깔의 투명용액으로 제조되며, 전자투과현미경(TEM) 이미지 촬영을 통한 형상분석 결과(도1참조), 디스크 형태의 인지질 복합체가 제조되었고, 크기가 15~25nm정도의 가로 길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In the case of the Bicell solution, when observed with the naked eye, it is produced as a transparent solution with a slightly milky color. As a result of shape analysis throug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maging (see Figure 1), a disk-shaped phospholipid complex was produced, and the size was It was found to have a horizontal length of about 15 to 25 nm.

바이셀이 제작 가능한 인지질 혼합 비율은 q - value = 0.1 ~ 2일 수 있으며, 인지질의 최종 농도 조건은 15 ~ 30mM 일 수 있다. 상기 조건 하에 제작 가능한 바이셀의 바람직한 직경 범위는 10 ~ 50nm임을 알 수 있었다.The phospholipid mixing ratio that can be manufactured by Bicell can be q - value = 0.1 ~ 2, and the final concentration of phospholipids can be 15 ~ 30mM. It was found that the preferred diameter range of bicells that can be manufactur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is 10 to 50 nm.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things equivalent to the claims should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B : 바이셀B: Bicell

Claims (9)

판상의 이중층 구조를 형성하는 제1지질;
상기 이중층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질에 형성된 소수성 테일부의 노출을 방지하는 제2지질;
을 포함하는 바이셀.
The first lipid forming a plate-shaped double layer structure;
a second lipid bound to the side of the bilayer to prevent exposure of the hydrophobic tail formed in the first lipid;
Bicell cont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질에 형성되는 소수성 테일부의 길이가 상기 제2지질에 형성되는 소수성 테일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바이셀.
According to claim 1,
A bicell in which the length of the hydrophobic tail portion formed in the first lipi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ydrophobic tail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lip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질은 탄소수 14~18의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지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바이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ipid is a bicell containing at least one of saturated fatty acids or unsaturated fatty acids having 14 to 18 carbon ato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질은 단일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이중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콜레스테릴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바이셀.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lipid is a bicell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surfactant containing a single chain structure, a surfactant containing a double chain structure, and a surfactant containing a cholesteryl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셀은 직경이 5~50㎚인 케이크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이셀.
According to claim 1,
The bicell is a bicell consisting of a cake-shaped structure with a diameter of 5 to 50 n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etrimonium bromide, CTAB),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Sucrose 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바이셀.
According to claim 4,
The surfactant containing the single chain structure is a bicell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trimonium bromide (CTAB), Sucrose Stearate, and Polysorbate.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다이헥산 포스파티딜콜린(Dihexanoyl Phosphatidylcholine), 다이헵탄 포스파티딜콜린(Diheptanoyl Phosphatidylcholine), 다이옥탄 포스파티딜콜린(Dioctanoyl 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glycero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바이셀.
According to claim 4,
The surfactant containing the double chain structure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hexanoyl Phosphatidylcholine, Diheptanoyl Phosphatidylcholine, Dioctanoyl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glycerol. Bycel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릴 구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콜레스테릴 에테르, CHAPSO (3-([3-Cholamidopropyl]dimethylammonio)-2-hydroxy-1-propanesulfon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바이셀.
According to claim 4,
The surfactant containing the cholesteryl structure includes at least one of cholesteryl ether and CHAPSO (3-([3-Cholamidopropyl]dimethylammonio)-2-hydroxy-1-propanesulfonate).
알콜을 사용하여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이들 모두를 용해하여 제1지질을 형성하기 위한 inner phase 용액 제조하는 단계;
TECA{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정량추출물} 또는 커큐민(Curcumin)을 포함하는 지용성물질을 전체 인지질 농도의 1~10 중량%를 함께 용해시키는 단계;
pH 7.0, PBS 완충액에 인지질 또는 계면활성제를 용해하여 제2지질을 형성하기 위한 outer phase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미세유체소자에 상기 inner phase 용액과 outer phase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미세유체소자 내의 십자유로에서 상기 완충액의 확산에 의해 바이셀이 합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셀의 제조방법.
Preparing an inner phase solution to form a first lipid by dissolving saturated fatty acids, unsaturated fatty acids, or both using alcohol;
Dissolving 1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phospholipid concentration with a fat-soluble substance containing TECA {Centella asiatica quantitative extract} or curcumin;
Preparing an outer phase solution to form a second lipid by dissolving phospholipids or surfactants in a pH 7.0, PBS buffer solution;
Injecting the inner phase solution and the outer phase solution into the microfluidic device;
synthesizing a bicell by diffusion of the buffer solution in a cross-flow path within a microfluidic device;
A method for producing a bicell comprising:
KR1020220072627A 2022-05-04 2022-06-15 Bicel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301559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15 2022-05-04
KR20220055615 2022-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923A true KR20230155923A (en) 2023-11-13

Family

ID=8874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627A KR20230155923A (en) 2022-05-04 2022-06-15 Bicel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92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607A (en) 2020-02-20 2021-08-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solvent-free liposome using micro-fluidic chi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607A (en) 2020-02-20 2021-08-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solvent-free liposome using micro-fluidic ch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rcosset et al. Preparation of liposomes at large scale using the ethanol injection method: Effect of scale-up and injection devices
Laouini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of liposomes: state of the art
Zhang et al. Lipid in chips: a brief review of liposomes formation by microfluidics
Ogiso et al. Effect of positively and negatively charged liposomes on skin permeation of drugs
US20120100207A1 (en) Process for producing liposomes by two-step emulsification method utilizing outer aqueous phase containing specific dispersing agent, process for producing liposome dispersion or dry powder thereof using the process for producing liposomes, and liposome dispersion or dry powder thereof produced thereby
EP2770980A1 (en) Limit size lipid nanoparticles and related methods
US8246868B2 (en) Method for producing vesicle, vesicle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frozen particle used in production of vesicle
US20120225117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w/o/w emuls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liposome employing the process, and porous membrane for use in the processes
Pippa et al. DPPC/poly (2-methyl-2-oxazoline)-grad-poly (2-phenyl-2-oxazoline) chimeric nanostructures as potential drug nanocarriers
DE102018006443A1 (en) Process for encapsulating active substances in liposomes
JP2022531610A (en) Method for producing liposomes
Matos et al. Nanoencapsulation of food ingredients by niosomes
Barriga et al. Engineering swollen cubosomes using cholesterol and anionic lipids
Adrar et al. Stability evaluation of interdigitated liposomes prepared with a combination of 1, 2‐d 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and 1, 2‐dilauroyl‐sn‐glycero‐3‐phosphocholine
KR20230155923A (en) Bicel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895223B (en) Production method of elaioplast
Reddy et al. Niosomes as nanocarrier systems: a review
US20050180922A1 (en) Block co-polymer worm micelle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Abe et al. Solubilization of organic compounds by vesicles
Ossai et al. Lipid vesicle preparation using W/O/W multiple emulsions via solvent evaporation: The effect of emulsifiers on the entrapment yield of hydrophilic materials
KR20200065786A (en) Multi-particulate sphe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Wasankar et al. Liposome as a drug delivery system-a review
JP2019042679A (en) pH-SENSITIVE LIPOSOME
KR101142866B1 (en) Method of preparing liposome using shirasu porous glass membrane
Parmar et al. Conceptual aspects of vesicular drug delivery system with special reference to nios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