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838A - 전동식 음압 마스크 - Google Patents

전동식 음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838A
KR20230155838A KR1020220055560A KR20220055560A KR20230155838A KR 20230155838 A KR20230155838 A KR 20230155838A KR 1020220055560 A KR1020220055560 A KR 1020220055560A KR 20220055560 A KR20220055560 A KR 20220055560A KR 20230155838 A KR20230155838 A KR 20230155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intake
outside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길만
Original Assignee
남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길만 filed Critical 남길만
Priority to KR102022005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838A/ko
Publication of KR20230155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음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를 거쳐 유입되어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도 필터를 거쳐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전면(前面)에 투명창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따라 밀착되는 밀폐막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막과 상기 투명창 사이에 호흡영역이 형성되는 안면보호구; 및 상기 안면보호구의 상측에 구비되면서 외부로부터 상기 호흡영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흡기필터와 상기 호흡영역에서 호흡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필터가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음압 마스크{Electric mask for Negative Pressure}
본 발명은 전동식 음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함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마스크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에 구비된 흡기 필터를 거쳐 착용자의 호흡영역에 유입되고, 사용자가 호흡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 배출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공기 매개질환을 예방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이러스 또는 병원균이 공기를 매개로 하면서 비말에 통해 호흡기에 침입하여 질병이 일으키는 비말감염의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기침을 하거나 재채기 또는 대화를 할 때 발생하는 비말을 통해 호흡기계의 질병이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람의 입과 코를 덮어 외부로부터 바이러스나 황사, 미세먼지등을 막아주는 마스크를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대부분의 사람들이 마스크를 착용하여 감염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펄프 또는 섬유 소재로 형성된 마스크로는 비말감염을 막기 위한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22-0018718호 (이하 '인용발명' 이라함)에서는 외부 신선한 공기의 흡입과 편한 착용감을 갖추면서도 대화시 비말의 비산방지를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는 마스크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턱 받침부와 마스크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비말배출구 및 흡입 팬이 형성되어, 착용자가 대화를 할 때, 생성되는 비말을 흡인하여 비말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비말을 방지하는 것만 가능할 뿐더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또는 비말에 의해 감염될 수 있다는 위험이 있으며, 또한, 비말은 넓게 퍼져 나가는 특성한 하부에 위치한 흡인팬을 통해서 비말 전체를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타인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18718호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를 거쳐 유입되어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 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착용자의 비말 또는 착용자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어 감염의 우려가 없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전면(前面)에 투명창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따라 밀착되는 밀폐막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막과 상기 투명창 사이에 호흡영역이 형성되는 안면보호구; 및 상기 안면보호구의 상측에 구비되면서 외부로부터 상기 호흡영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흡기필터와 상기 호흡영역에서 호흡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필터가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전면(前面)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호흡영역과 연통되는 흡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필터부의 전면(前面)부 상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호흡영역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호흡영역으로 상기 흡기필터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유입홀의 인접한 후방에 상기 필터부 사이의 공간에 차단판이 구비되고, 상기 흡기필터는 상기 흡기유로 상에 분리판이 길이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보호구는, 상기 호흡영역 내의 양 측면에 배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를 따라 상기 필터부로 유입된 호흡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와 상기 배출유로가 연통된 위치에 구비되는 흡기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필터는 상기 배출유로 상에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분리판이 뉘어져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얼굴을 덮는 음압 마스크를 사용함에 있어서, 필터부에 형성된 공기유입홀을 통해 착용자의 호흡영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를 거쳐 정화되어 유입되고,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는 배기유로를 통해 필터부를 거쳐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되어, 한 공간을 공유하는 각각의 착용자들은 흡기필터와 흡기필터를 통한 복수의 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공유함으로써, 비말 또는 공기를 통한 감염을 차단하여, 공기를 매개로하는 바이러스의 전파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안면보호구와 필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탈착이 편리하고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필터가 동작되어 특별한 훈련 없이도 음압효과를 가지는 마스크를 원활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방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필터부를 통하여 필터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필터의 용량이 타 마스크에 비해 크기 때문에 빈번하게 필터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흡기와 배기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착용자의 날숨 방향으로 진행되어 공기의 역류가 없으며, 잔류공기가 적어 정화된 쾌적한 공기를 호흡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안면보호구는 사용자의 얼굴을 덮는 밀폐막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안면보호구 내에 투명창과 밀폐막 사이에 사용자의 호흡영역이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필터부에 구비된 흡기팬과, 착용자의 호흡을 통해서 착용자의 호흡영역은 음압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의 정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의 측면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의 필터부의 내측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의 안면 보호구의 정면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의 내측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의 실 사용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를 거쳐 유입되어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도 필터를 거쳐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전면(前面)에 투명창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따라 밀착되는 밀폐막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막과 상기 투명창 사이에 호흡영역이 형성되는 안면보호구; 및 상기 안면보호구의 상측에 구비되면서 외부로부터 상기 호흡영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흡기필터와 상기 호흡영역에서 호흡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필터가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전동식 음압 마스크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전동식 음압 마스크(1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前面)이 투명창(110)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얼굴 윤곽에 따라 밀착되도록 하는 밀폐막(120)에 의해 형성되는 호흡영역(130)을 가지는 안면보호구(100)와, 안면보호구(100)의 상측에 구비되면서, 외부로부터 안면보호구(1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흡기필터(230)와, 안면보호구(100) 내에 호흡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호흡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배출필터(260)가 구비된 필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안면보호구(100)는 착용자가 안면보호구(100)를 착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 윤곽이 밀폐막(120)에 밀착되어, 투명창(110)과 밀폐막(120) 사이에 착용자가 호흡할 수 있는 호흡영역(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이마가 닿는 지점에 푹신한 소재로 형성되는 보호쿠션이 구비되어 착용자의 이마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00)는 필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부 커버(280)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안면보호구(1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는 배출필터(260)를 통해 외부로 정화시켜 배출시킴에 따라, 한 공간을 공유하는 복수의 착용자는 서로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는 장점이 있다.
필터부(20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보호구(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前面)부 상단에 구비된 공기유입홀(211)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전면(前面)부 내측에 구비된 흡기유로(210)를 따라 안면보호구(100)의 호흡영역(130)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면보호구(100) 내의 호흡영역(130)에서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를 흡기팬(240)을 통해 배기유로(131)를 거쳐 배출유로(250)로 이동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흡기유로(210)와 배출유로(250)는 차단막(22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유로(25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기유로(21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0)의 전면(前面)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부(200)의 전면(前面)부 상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필터부(200)의 하측에 구비된 안면보호구(10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흡기유로(210)는 흡기유로(210) 상에 흡기필터(2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흡기필터(230)를 거쳐 공기유입구(212)를 통해 안면보호구(100)의 호흡영역(1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흡기필터(230)는 바이러스 감염원을 걸려줄 수 있는 복수의 분리판이 겹쳐져 있는 형상의 헤파필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기유로(210)는 전면(前面)부 상단에 형성된 공기유입홀(211)의 후방측 방향에 차단막(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막(22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유로(25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흡기필터를 거쳐 착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정화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배출유로(25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보호구(100)에 구비된 배기유로(131)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호흡영역(130)에서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유로(131)를 통해서만 공기가 유입되도록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211)과 차단막(22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유로(250)는 일단이 배기유로(131)와 연통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31)와 연통된 위치에 구비된 흡기팬(240)을 통하여 호흡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배출유로(250) 상에 구비된 배출필터(260)에 의하여 호흡된 공기가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필터부(200)의 후방에는 공기배출홀(251)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 배출홀은 배출유로(250)의 타단과 연통되어 흡기팬(240)에 의해 배출유로(250)로부터 공기배출홀(251)의 방향으로 착용자의 호흡된 공기를 배출필터(260)를 거쳐 공기배출홀(2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필터(260)는 분리판이 배출방향을 향해 뉘어지게 배치되어, 호흡된 공기가 배출필터(26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 공기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출필터(260)는 흡기필터(230)와 같이 바이러스 감염원을 걸려줄 수 있는 복수의 분리판이 겹쳐져 있는 형상의 헤파필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흡기팬(240)은 도 6 내지 도 7에 되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0) 내측에 배출유로(250)와 배기유로(131)가 연통되는 위치 또는 배출유로(25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기유로(131)를 통해 호흡영역(130)에 있는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유로(250)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필터부(200) 내측에는 흡기팬(240)을 구동할 수 있도록 배터리와 전원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가 질환에 감염된 상태인 경우에도, 내뱉는 호흡이 배출필터(260)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됨에 따라, 바이러스 또는 전염병의 발병인자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바이러스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안면보호구(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투명창(110)과 밀폐막(120)에 의해 형성되는 호흡영역(130)을 통해 착용자는 전면을 투시할 수 있으면서 호흡이 가능할 수 있다.
투명창(11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전방을 투시할 수 있도록 전면(前面)이 투명하면서,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플랜지 형태의 면이 구비된 형태를 가지는 투명창(11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110)은 전방을 향해 착용자가 얼굴을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 입구가 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얼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얼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창(110)은 착용자의 턱과 가슴 사이에 이르는 지점까지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끝단에서 상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신체에 투명창(110)이 닿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투명창(110)과 결합되는 밀폐막(120)은 투명창(110)의 볼록한 부분의 반대편에 착용자의 얼굴이 들어가는 입구방향에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밀폐막(120)은 착용자의 안면에 닿는 부분에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응하는 쿠션이 구비되어 착용자의 안면과 밀폐막(120)이 밀착함에 있어서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안면이 오랜시간 밀폐막과 밀착되더라도, 쿠션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장시간 착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배기유로(13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창(110)과 밀폐막(120) 사이에 형성된 호흡영역(130)에 투명창(110)의 내측 양 측편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유로(131)는 일단이 안면보호구(100)의 호흡영역(130)에 위치하면서 타단이 필터부(200)의 내측에 배출유로(250)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배기유로(131)는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를 간섭하지 않도록 투명창(110) 내측의 양 측편에 양 귀의 앞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배기유로(131)는 타단이 배출유로(250)와 연통될 수 있으며, 배출유로(250)와 연통되는 유로 상에 흡기팬(2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호흡영역(130) 내에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가 홉기팬을 통해 흡인됨에 따라 호흡된 공기가 흡기필터의 일단으로부터 필터부(200)의 배출유로(250)와 연통된 타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인 전동식 음압 마스크(10)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착용자는 안면보호구(100)의 투명창(110) 후방에 구비된 입구를 통해 얼굴을 삽입하고, 안면이 밀폐막(120)에 닿도록 안면보호구(100)를 착용할 수 있다. 이 때, 안면보호구(1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머리 뒷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탄성을 가지는 소재의 결박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
전동식 음압 마스크(10)는 필터부(200)의 전면(前面) 상단에 형성된 공기유입홀(211)을 통해 흡기유로(210)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흡기유로(210)상에 배치된 흡기필터(230)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정화되어 흡기유로(210)의 공기유입구(212)를 통해 안면보호구(1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착용자의 들숨을 통하여 흡기유로(210)로부터 공기를 안면보호구(100)로 흡인할 수 있다. 착용자가 호흡하고 내뱉은 공기는 호흡영역(130)의 양측 편에 구비된 배기유로(131)를 통해 배기유로(131)와 연통된 배출유로(250)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배기유로(131)와 배출유로(250)가 연통되는 지점에 구비된 흡기팬(240)을 통하여 배기유로(131)로부터 배출유로(250)를 향해 착용자의 호흡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배출필터(260)를 거쳐 필터부(200)의 후방에 구비되면서 배출유로(250)와 연통되는 공기배출홀(251)을 통해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바이러스의 매개가 되는 공기가 전동식 음압 마스크(10) 내의 필터부(200)에 구비된 흡기필터(230)를 거쳐 착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으며, 외부로 배출되는 착용자가 호흡한 공기가 배출필터(260)에 의해 정화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타인도 바이러스와 물리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측에 구비된 필터부(20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착용자의 들숨과 흡기팬(200)을 흡인으로 인하여 안면보호구(100) 내에 발생하는 음압효과를 통해 바이러스를 더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전동식 음압 마스크
100: 안면보호구 110: 투명창
120: 밀폐막 130: 호흡영역
131: 배기유로
200: 필터부 210: 흡기유로
211: 공기유입홀 212: 공기유입구
220: 차단막 230: 흡기필터
240: 흡기팬 250: 배출유로
251: 공기배출홀 260: 배출필터 270: 결박부 280: 필터부 커버

Claims (5)

  1.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전면(前面)에 투명창(110)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따라 밀착되는 밀폐막(120)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막(120)과 상기 투명창(110) 사이에 호흡영역(130)이 형성되는 안면보호구(100); 및
    상기 안면보호구(100)의 상측에 구비되면서 외부로부터 상기 호흡영역(13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흡기필터(230)와 상기 호흡영역(130)에서 호흡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필터(260)가 구비된 필터부(200)를 포함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전면(前面)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호흡영역(130)과 연통되는 흡기유로(210)가 구비되고,
    상기 흡기유로(210)는 상기 필터부(200)의 전면(前面)부 상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212)을 통해 상기 호흡영역(130)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로(210)는 상기 호흡영역(130)으로 상기 흡기필터(230)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유입홀(211)의 인접한 후방에 상기 필터부(200) 사이의 공간에 차단판(220)이 구비되고,
    상기 흡기필터(230)는 상기 흡기유로(210) 상에 분리판이 길이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구(100)는, 상기 호흡영역(130) 내의 양 측면에 배기유로(131)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배기유로(131)를 따라 상기 필터부(200)로 유입된 호흡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배기유로(131)와 연통되는 배출유로(250), 및 상기 배기유로(131)와 상기 배출유로(250)가 연통된 위치에 구비되는 흡기팬(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필터(260)는 상기 배출유로(250) 상에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분리판이 뉘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음압 마스크.

KR1020220055560A 2022-05-04 2022-05-04 전동식 음압 마스크 KR20230155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560A KR20230155838A (ko) 2022-05-04 2022-05-04 전동식 음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560A KR20230155838A (ko) 2022-05-04 2022-05-04 전동식 음압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838A true KR20230155838A (ko) 2023-11-13

Family

ID=8874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560A KR20230155838A (ko) 2022-05-04 2022-05-04 전동식 음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8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18A (ko) 2020-08-07 2022-02-15 정기호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18A (ko) 2020-08-07 2022-02-15 정기호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20200016489A (ko)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FI74615C (fi) Luftstyrning foer respirator.
KR20180080088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CN213077264U (zh) 具有安全排气的安全防护装置
CN212369433U (zh) 呼吸分道过滤外置式空气净化器
KR102388276B1 (ko) 마스크
KR101547601B1 (ko)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KR20230155838A (ko) 전동식 음압 마스크
JP4317457B2 (ja) 呼吸用保護具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2573128B1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KR102219597B1 (ko) 호흡 개선용 마스크
CN111450438A (zh) 一种抗菌护目面罩
KR102303186B1 (ko) 착탈식 감염 예방 마스크 공기 배출장치
KR102104886B1 (ko)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
CN212214408U (zh) 一种纳米硅胶抗菌护目面罩
CN212214400U (zh) 一种护目面罩
CN112263792A (zh) 一种夹式呼气排出器及口罩
CN112572734A (zh) 全罩式面罩
RU2754935C1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 загубником
CN218571467U (zh) 一种医用防护面罩
KR102415234B1 (ko) 필터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CN212185206U (zh) 一种防飞溅物的面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