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693A -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693A
KR20230155693A KR1020220055175A KR20220055175A KR20230155693A KR 20230155693 A KR20230155693 A KR 20230155693A KR 1020220055175 A KR1020220055175 A KR 1020220055175A KR 20220055175 A KR20220055175 A KR 20220055175A KR 20230155693 A KR20230155693 A KR 20230155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ips
trap
yellow
killing
stick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영
김용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
Priority to KR102022005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693A/ko
Publication of KR2023015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6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6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7/00Arthropodicides
    • A01P7/04Insectic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과 이를 이용하여 총채벌레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은, 황색의 캔과; 상기 캔의 표면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총채벌레용 유살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총채벌레용 유살물질은 (R)-라벤둘릴 아세테이트(LA)와 네릴-(S)-2-메틸 부타노에이트(NMB)를 혼합한 유인물질, 탱글풋 및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은, 총채벌레를 대량으로 유인하여 점착성 물질에 의해 포획되게 함으로써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히는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를 포함하는 해충 총채벌레를 대량으로 유살할 수 있다.

Description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Yellow-Sticky-Can-Trap to control Thrips by lure-and-kill, and control method of Thrips using it}
본 발명은 총채벌레 유살용 점착성 캔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총채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물질과 점착성 물질을 혼합하여 제조한 황색의 캔형태 트랩과 이를 이용하여 총채벌레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총채벌레는 1,200속 이상으로 약 7,700종이 보고되고 있고, 이들은 총채벌레아목(Terebrantia)과 관총채벌레아목(Tubulifera)으로 나뉜다(Ghosh et al., 2021).
국내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는 31속 58종으로 보고되고 있다(Woo and Paik, 1971). 이 가운데 총채벌레아목에 속하며 종 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분류군은 총채벌레과(Thripidae)로서 Dendrothripinae, Panchaetothripinae(그물총채벌레아과), Sericothripinae 및 Thripinae(총채벌레아과)로 다시 세분된다. 국내 총채벌레과에는 모두 45종이 보고되었는데 이 가운데 26종이 해충이다. 이러한 26종의 해충 중 20종은 국내 토착충이고 6종은 외래충이며,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글라디올러스총채벌레(Gladious thrips), 난총채벌레(Dichrimothrips smithi),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귤총채벌레(Heliothrips haemorrhoidalis), 포인세티아총채벌레(Echinothrips americanus) 등이 포함된다(Lee et al., 2001).
꽃노랑총채벌레는 1993년도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제주도에서 발견된 이후 전국적인 발생이 이루어졌다(Han et al., 1998).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가 국내에 정착하게 된 생물적 배경은 다양한 기주 범위와 빠른 생활사(Katayama, 1997), 및 내한성(Katayama and Ikeda., 1995)으로 추정되며, 여기에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월동에 성공하여 전국적인 분포 확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꽃노랑총채벌레의 내한성 한계는 아직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아 겨울기간 동안 어떤 시설재배지 조건에서 월동이 가능한지는 명확하지 않다. 반면 꽃노랑총채벌레와 동일한 속에 속하면서 국내 토착종인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의 경우는 휴면기작으로 국내 노지에서도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01).
고추(Capsicum annuum)는 가장 넓은 재배면적(31,146ha)을 가지고 있는 조미채소로, 경북지역(7,906 ha)에서 많이 생산되며, 그 중에서도 안동(1,456 ha)이 국내 최대 생산지이다(KOSIS, 2020). 총채벌레에 의한 고추의 피해는 크게 직접피해와 간접피해로 나눌 수 있다. 직접피해는 총채벌레의 섭식 또는 산란에 의해 잎에는 긁힌 자국 및 은백화를 초래하고, 과실에는 기형 또는 탈색을 유발하며, 조기 낙화 및 부실한 열매 형성으로 수량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Reitz et al., 2020). 간접피해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와 같은 바이러스를 보독한 총채벌레가 섭식행동 중 탐침 및 체외소화과정 동안 침샘에 존재하는 효소와 더불어 바이러스를 건전한 고추에 옮겨주어 식물병을 유발하는 피해이다(Stafford et al., 2011). 이러한 식물병을 유발하는 병원균인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를 전파하는 총채벌레는 전 세계적으로 9종이며(Rotenberg et al., 2015) 국내에는 이 가운데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및 엉겅퀴총채벌레(Thrips setosus)의 4종이 분포한다. 이들 총채벌레 중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는 다양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해충이다.
이와 같이 총채벌레는 섭식활동을 통해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를 매개하여 간접적인 피해도 끼치고 있다. 특히 시설재배지 고추의 경우 TSWV 감염이 해를 거듭하며 증가하고 있어 농가들이 입는 경제적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총채벌레를 방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살방법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0456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4325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99973호
Ghosh, A., Jangra, S., Dietzgen, R.G., Yeh, W.B., 2021. Frontiers approaches to the diagnosis of Thrips (Thysanoptera): how effective are the molecular and electronic detection platforms? Insects 12, 920. Han, M.J., Kim, I.S., Ahn, S.B., Lee, M.L., Hong, K.J., Lee, G.H., Ku, D.S., 1998. Distribution and host plants of recently introduced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Thysanoptera: Thripidae) in Korea. RDA J. Crop Prot. 40, 83-88. Katayama, H. 1997.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Jpn. J. Appl. Entomol. Zool. 41, 225-231. Katayama, H., Ikeda, F. 1995. Overwintering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in the western region of Shizuoka Prefecture. B. Shizuoka Agric. Exp. Stn. 40, 63-7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20. Area of cultivation of outdoor vegetables.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013&vw_cd=MT_ZTITLE&list_id=K1_15&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Accessed Aug. 18. 2021). Lee, G.S., Lee, J.H., Kang, S.H., Woo, K.S., 2001. Thrips species (Thysanoptera: Thripidae) in winter season and their vernal activities on Jeju island, Korea. J. Asia Pac. Entomol. 4, 115-122. Reitz, S.R., Gao. Y., Kirk, W.D.J., Hoddle, M.S., Leiss, K.A., Funderburk, J.E., 2020. Invasion biology, ecology, and management of western flower thrips. Annu. Rev. Entomol. 65, 17-37. Rotenberg, D., Jacobson, A.L., Schneweis, D.J., Whitfield, A.E., 2015. Thrips transmission of tospoviruses. Curr. Opin. Virol. 15, 80-89. SAS Institute, Inc., 1989.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Stafford, C.A., Walker, G.P., Ullman, D.E., 2011. Infection with a plant virus modifies vector feeding behavior. Proc. Natl. Acad. Sci. USA 108, 9350-9355. Woo, K.S., Paik, W.H., 1971. Studies on the thrips (Thysanoptera) unrecorded in Korea (I). Korean J. Plant Prot. 10, 69-73.
본 발명은 고추 등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꽃노랑총채벌레 및 대만총채벌레를 포함하는 해충인 총채벌레를 효과적으로 유인하고 점착성 물질을 이용하여 포획함으로써 대량으로 유살할 수 있는 캔형태의 유살용 트랩과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황색의 캔과; 상기 캔의 표면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총채벌레용 유살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총채벌레용 유살물질은 (R)-라벤둘릴 아세테이트(LA)와 네릴-(S)-2-메틸 부타노에이트(NMB)를 혼합한 유인물질; 탱글풋; 및 용매를 포함하는,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제공한다.
상기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에서, 상기 (R)-라벤둘릴 아세테이트(LA)와 네릴-(S)-2-메틸 부타노에이트(NMB)는 1:2 내지 1:8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에서, 상기 유인물질와 탱글풋은 1:4,000 내지 1:8,00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에서, 상기 원통형 캔은 150~200mm×160~210mm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살물질을 비닐 지퍼백에 분주하고 펴서 점착비닐판으로 제조한 후 이 점착비닐판을 뒤집어 캔트랩에 씌움으로써, 유살물질을 원통형 캔의 외부에 위치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야외에서 지지대에 설치하여 총채벌레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을 포함하는, 총채벌레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총채벌레의 유살방법에서, 상기 지지대는 지름 20~40mm이고, 길이 1~2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채벌레의 유살방법에서, 상기 총채벌레는 특히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R)-라벤둘릴 아세테이트(LA)와 네릴-(S)-2-메틸 부타노에이트(NMB)를 혼합하여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 비해 총채벌레에 대한 유인효과를 높인 유인물질과 점착성 물질을 혼합하여 유살물질로 사용하고, 총채벌레에 대한 유인효과를 높인 황색 캔트랩의 표면 또는 외부에 유살물질을 처리함으로써, 총채벌레를 대량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방제방법은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히는 총채벌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특히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방법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점착비닐판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지지대에 설치할 때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야외에 설치한 예의 사진이다.
도 5 내지 8은 Y-튜브 행동실험을 통해 집합페로몬 성분들이 꽃노랑총채벌레(Fo)와 대만총채벌레(Fi)에 대한 유인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LA와 NMB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유인효과를 비교한 것이고, 도 6은 LMB와 NMB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유인효과를 비교한 것이며, 도 7은 LA와 NMB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비율별 유인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8은 LMB와 NMB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비율별 유인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이때 각 총채벌레는 암컷(F)과 수컷(M)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별표는 LSD 검정에 의해 P < 0.05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성 있는 유인효과를 의미한다.
도 9는 꽃노랑총채벌레(Fo)에 대한 평판트랩과 캔트랩의 유인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Can'은 캔트랩, 'Sticky'는 평판트랩을 나타낸다.
도 10은 캔트랩의 색상에 따른 총채벌레에 대한 유인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과 12는 총채벌레 유살용 점착성 캔트랩의 총채벌레 유인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도 11은 검정색 캔트랩에 대한 결과이고, 도 12는 황색 캔트랩에 대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은,
황색의 캔과; 상기 캔의 표면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총채벌레용 유살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총채벌레용 유살물질은 (R)-라벤둘릴 아세테이트(LA)와 네릴-(S)-2-메틸 부타노에이트(NMB)를 혼합한 유인물질; 탱글풋; 및 용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총채벌레 방제방법은, 상기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야외에서 지지대에 설치하여 총채벌레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인물질로는 총채벌레류의 집합물질로 알려진 (R)-라벤둘릴 아세테이트[(R)-lavandulyl acetate, 이하 'LA'라 함]과 네릴-(S)-2-메틸 부타노에이트[neryl-(S)-2-methyl butanoate, 이하 'NMB'이라 함]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LA와 NMB는 1:2 내지 1: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 내지 1: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 내지 1: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총채벌레에 대한 유인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혼합범위에서 총채벌레를 유인하는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꽃노랑총채벌레의 경우에는 LA와 NMB를 1:6 내지 1:8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유인효과가 우수하였고, 1:7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유인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대만총채벌레의 경우에는 LA와 NMB를 1:3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유인효과가 우수하였고, 1:4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유인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점착성 물질로는 탱글풋을 사용한다. 탱글풋은 용매에 용해시켜서 사용한다. 이때 용매로는 탱글풋에 용해성이 있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상기 탱글풋과 용매는 1,500:1 내지 2,500:1의 비율(w/v)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800:1 내지 2,200:1의 비율(w/v)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0:1의 비율(w/v)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인물질, 탱글풋 및 용매를 혼합하여 유살물질을 제조한다. 유인물질과 탱글풋은 1:4,000 내지 1:8,0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000 내지 1:7,0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6,00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트랩으로는 캔형태의 트랩을 사용한다. 트랩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캔을 트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캔의 예로는 다용도 페인트통 등이 있다. 캔트랩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캔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0~200mm×160~210mm의 크기의 캔트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기 170mm×185mm인 다용도 페인트통을 사용하였다.
캔트랩은 황색을 도포하여 사용한다. 황색을 사용할 때 총채벌레의 유인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캔트랩에 황색을 도포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락카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색을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유인물질, 탱글풋 및 용매를 혼합한 유살물질을 캔트랩의 표면 또는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제조한다.
유살물질을 캔트랩의 표면 또는 외부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는, 유살물질을 캔트랩의 표면에 직접 가하는 방법, 비닐지퍼백에 유살물질을 넣고 펴준 후 이를 뒤집어서 캔트랩 위에 씌우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인물질, 탱글풋 및 용매를 혼합한 유살물질을 대형 비닐지퍼백에 분주하고 밀대 등을 이용하여 골고루 펴주어 25×30cm 크기의 점착비닐판으로 제조하고, 이를 뒤집어 캔트랩의 위에 씌우는 형태로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제조하였다.
유살물질의 양은 캔트랩의 크기에 따라 적정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캔트랩당 1.5~4m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3mg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은 야외에서 지지대 위에 설치한다.
캔트랩을 고정하는 지지대는 지름이 20~40mm이고, 길이가 1~2m의 지지대를 사용하며, 높이가 조절되는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의 재질은 트랩의 고정에 사용되는 통상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는 아래 지지대와 위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지지대를 바닥에 고정한 후 위 지지대를 설치하고 중간나사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하고, 캔트랩에 유살물질을 적용하여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알루미늄으로 제조한 지지대를 사용하였고, 아래 지지대는 지름 21mm이고 길이 1m인 지지대를 사용하고, 위 지지대는 지름 30mm이고 길이 1m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야외에 설치한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은 황색과 유인물질로 총채벌레를 유인하고 유인한 총채벌레를 점착성 물질로 포획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의 제조
유인물질인 LA(㈜ AD, 송천동, 안동) 0.25mg과 NMB(㈜ AD, 송천동, 안동) 1.75mg를 혼합하고, 혼합한 유인물질과 탱글풋(Marysville, OH, USA) 12g을 헥산 6㎖에 용해시켜 유살물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살물질을 비닐지퍼백(30×35cm, 롯데, 서울)에 분주하고 밀대를 이용하여 골고루 펴주어 25×30cm 크기로 유인물질이 포함된 점착비닐판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점착비닐판은 4℃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다용도 페인트통(170×185mm)에 락카스프레이(일신락카, 안산)를 이용하여 황색을 도포하여 황색 캔트랩을 제조하였다.
점착비닐판인 비닐지퍼백을 뒤집어 황색 캔트랩 위에 거꾸로 덮어 캔트랩 전체를 감싼 후에 밑단을 잘 정리하여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얻었다.
이러한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의 제조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고, 제조한 점착비닐판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의 야외설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원형알루미늄으로 지지대에 고정시켰다.
지지대는 아래 지지대와 위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아래 지지대는 지름 21mm, 길이 1m로 제조하였고, 위 지지대는 지름 30mm, 길이 1m로 제조하였다.
아래 지지대를 망치를 사용하여 바닥에 20cm 내로 삽입하여 고정하고 위 지지대를 설치한 후 중간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지지대에 설치할 때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나타내는 모식도를 도 3에 나타내고,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야외에 설치한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총채벌레의 사육
꽃노랑총채벌레는 국립농업과학원(전주) 작물보호부에서 분양받아 증식시켰고, 대만총채벌레는 괴산에서 채집한 후 실내에서 증식시켰다.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는 온도 25±2℃, 상대습도 65±5%, 14시간 광주기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사육하였다. 원형 사육용기(지름 100mm, 높이 40mm)에 알부터 성충까지 사육하였으며, 5일 동안 발아시킨 강낭콩(Phaseolus coccineus)을 유충과 성충의 먹이로 제공하였다.
통계분석
처리효과는 SAS의 PROC GLM (SAS Institute, 1989)을 이용하여 원웨이(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처리 평균간 비교는 LSD 방법을 이용하여 제I형 오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판별하였다.
<실험예 1>
유인물질에 따른 실내 행동 분석
집합페로몬 성분인 유인물질의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에 대한 유인효과를 Y-튜브 행동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Y-튜브 생물검정은 Takabayashi and Dicke(1992)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Y-튜브는 유리재질로 길이는 10㎝이고, 양팔의 각도는 45°로 벌어지며, 길이는 8㎝, 지름은 2㎝였다.
유인물질로는 총채벌레류의 집합물질로 알려진 NMB, LA 및 라벤둘릴-3-메틸 부타노에이트[lavandulyl-3-methyl butanoate (LMB)]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각 유인물질은 ㈜ AD (송천동, 안동)에서 합성하여 구매하였으며, 각 유인물질을 헥산(Burlington, MA, USA)에 용해시킨 후 원형정성 여과지(55mm, Whatman, Kent, United Kingdom)에 분주하여 5분 동안 헥산을 휘발시킨 후 Y-튜브 검정에 사용하였다.
처리구의 실험시료로는 LMB와 NMB를 단독으로 사용(LMB:NMB 1:0 또는 0:1), LA와 NMB를 단독으로 사용(LA:NMB 1:0 또는 0:1), LA와 NMB를 1:2, 1:4 및 1:7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및 LMB와 NMB를 1:2, 1:4 및 1:7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동량 사용하였다. 대조구(control)에는 건전공기를 주입하였다.
각 행동분석은 각 20마리의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Fo) 또는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Fi) 성충(우화 후 3일 이내)인 암컷 또는 수컷을 투입한 후 산소발생기(Daekwang, Korea)에 연결된 카본필터를 통해서 신선한 공기를 Y-자 연결관에 공급해주었다. 성충을 투입한 후 10분 동안 갈림길에서 각각의 처리구 또는 대조구로 이동한 개체수를 계수하였다. 갈림길까지 이동하지 않은 개체들은 무반응으로 표기하였다. 각 처리는 20마리씩 3반복하였다.
Y-튜브 행동실험을 통해 집합페로몬 성분들의 두 총채벌레에 대한 유인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도 5 내지 8에 나타내었다.
도 5는 LA와 NMB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유인효과를 비교한 것이고, 도 6은 LMB와 NMB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유인효과를 비교한 것이며, 도 7은 LA와 NMB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비율별 유인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8은 LMB와 NMB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비율별 유인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이때 각 총채벌레는 암컷(F)과 수컷(M)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별표는 LSD 검정에 의해 P < 0.05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성 있는 유인효과를 의미한다.
단일물질의 유인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LMB는 단독으로는 두 종의 총채벌레 암수에 유인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NMB의 경우는 꽃노랑총채벌레의 암컷과 대만총채벌레 수컷에 뚜렷한 유인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LA의 경우 꽃노랑총채벌레 암컷에 유인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단일물질의 유인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비추어볼 때 LA와 NMB는 각각 총채벌레의 암수를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
두 유인물질을 혼합하여 유인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LA와 NMB를 혼합하였을 때에는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에 비하여 1:4 또는 1:7의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중 꽃노랑총채벌레는 1:7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선호하였지만, 대만총채벌레는 1:4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8에서와 같이, LMB와 NMB을 혼합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LMB와 NMB을 혼합한 혼합물의 유인효과는 LA와 NMB을 혼합한 혼합물의 유인효과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LA, NMB, LMB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총채벌레에 대한 유인효과가 우수하였으며, LA와 NMB를 혼합하였을 때 총채벌레에 대한 유인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실험예 2>
평판트랩과 캔트랩의 유인효과 비교
현재 농가에서 총채벌레의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평판트랩과 캔트랩의 유인효과를 다음과 같이 비교하였다.
평판트랩은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황색점착트랩을 사용하였고, 캔트랩은 다용도 페인트통(170×185mm)에 황색을 도포하여 제조하였다.
황색점착트랩과 캔트랩의 총채벌레 유인효과는 꽈리고추(한림풋고추, 아시아종묘, 서울)를 재배하는 유리온실(송천동, 안동)에서 1월부터 3월까지 조사하였다. 한달 동안 매주 각 100마리씩 꽃노랑총채벌레(Fo)를 방사하였다. 각 트랩은 2m 간격으로 3반복 설치하였다. 매주 트랩을 수거하여 트랩에 포획된 총채벌레를 실체현미경(Leica EZ4, Leica, Germany)을 이용하여 종 동정하였다.
평판트랩과 캔트랩의 유인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Can'은 캔트랩, 'Sticky'는 평판트랩을 나타낸다.
도 9의 결과에서와 같이, 평판트랩에 유인된 총채벌레는 꽃노랑총채벌레가 8.6±1.8마리였으며, 캔트랩에 유인된 총채벌레는 꽃노랑총채벌레가 5.6±1.7마리였다. 이들의 상호 유인효과는 통계적으로 차이 없이 유사하다.
<실험예 3>
캔트랩의 색상에 따른 유인효과 확인
캔트랩의 색상에 따른 총채벌레의 유인효과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각 다용도 페인트통(170×185mm)에 락카스프레이(일신락카, 안산)를 이용하여 각각 흰색, 황색, 파랑색, 초록색 및 검정색을 도포하여 캔트랩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각 색상의 캔트랩을 안동(송천동) 소재의 유리온실에서 2m 간격으로 3반복 설치하고, 1주일 동안 유인된 꽃노랑총채벌레(Fo)를 실체현미경(Leica EA4, Leica, Germany)을 이용하여 동정하고, 주별 포획밀도를 표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의 결과에서와 같이, 꽃노랑총채벌레가 가장 많이 유인된 색상은 황색으로 25.5±2.8마리였고, 다음으로는 흰색 21.0±2.8마리, 파랑색 20.0±11.3마리의 순이었다. 유인효과가 가장 적었던 검정색 캔트랩에는 0.5±0.7마리가 유인되었다.
<실험예 4>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의 유인효과 확인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의 총채벌레 유인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의 총채벌레 유인효과는 유인물질의 유무와 캔트랩의 색상에 따른 유인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구로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색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Yellow)을 사용하였다. 황색 대조구로는 유인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황색 캔트랩을 사용하였다.
비교구로는 캔트랩의 색상을 검정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캔트랩(Black)를 사용하였다. 검정색 대조구로는 캔트랩을 검정색으로 하고 유인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캔트랩을 사용하였다.
각 캔트랩을 안동(송천동) 소재의 유리온실에서 2m 간격으로 3반복 설치하고 1주일 동안 유인된 꽃노랑총채벌레(Fo)를 실체현미경(Leica EA4, Leica, Germany)을 이용하여 동정하고, 주별 포획밀도를 표기하였다.
검정색 캔트랩에 대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고, 황색 캔트랩에 대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와 같이, 검정색으로 처리한 캔트랩의 경우, 유인물질이 혼합되지 않은 트랩에서 꽃노랑총채벌레는 7.3±4.0마리가 포획되었고, 유인물질이 혼합된 트랩에서는 22.3±5.8마리가 포획되었다. 유인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유인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3배 이상의 유인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서와 같이, 황색으로 처리한 캔트랩의 경우 꽃노랑총채벌레는 99.6±7.5마리가 포획되어 대조구(26.3±11.2마리)에 비해 5배 이상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8)

  1. 황색의 캔과; 상기 캔의 표면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총채벌레용 유살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총채벌레용 유살물질은 (R)-라벤둘릴 아세테이트(LA)와 네릴-(S)-2-메틸 부타노에이트(NMB)를 혼합한 유인물질; 탱글풋; 및 용매를 포함하는,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라벤둘릴 아세테이트(LA)와 네릴-(S)-2-메틸 부타노에이트(NMB)는 1:2 내지 1:8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물질와 탱글풋은 1:4,000 내지 1:8,00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캔은 150~200mm×160~210mm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살물질을 비닐 지퍼백에 분주하고 펴서 점착비닐판으로 제조한 후 이 점착비닐판을 뒤집어 캔트랩에 씌움으로써, 유살물질을 원통형 캔의 외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을 야외에서 지지대에 설치하여 총채벌레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을 포함하는,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지름 20~40mm이고, 길이 1~2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총채벌레는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KR1020220055175A 2022-05-04 2022-05-04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KR20230155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175A KR20230155693A (ko) 2022-05-04 2022-05-04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175A KR20230155693A (ko) 2022-05-04 2022-05-04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693A true KR20230155693A (ko) 2023-11-13

Family

ID=8874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175A KR20230155693A (ko) 2022-05-04 2022-05-04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69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973A (ko) 2014-02-24 2015-09-02 하성섭 해충 유인제 및 이를 이용한 유인트랩
KR101804563B1 (ko) 2017-08-03 2017-12-04 이청용 지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트랩
KR101943259B1 (ko) 2018-01-25 2019-02-20 이청용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 조명등과 복수의 페르몬향 분출구가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트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973A (ko) 2014-02-24 2015-09-02 하성섭 해충 유인제 및 이를 이용한 유인트랩
KR101804563B1 (ko) 2017-08-03 2017-12-04 이청용 지퍼백이 구비된 끈끈이 해충 트랩
KR101943259B1 (ko) 2018-01-25 2019-02-20 이청용 다층구조의 태양광 led 조명등과 복수의 페르몬향 분출구가 구비된 끈끈이 해충 포획 트랩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hosh, A., Jangra, S., Dietzgen, R.G., Yeh, W.B., 2021. Frontiers approaches to the diagnosis of Thrips (Thysanoptera): how effective are the molecular and electronic detection platforms? Insects 12, 920.
Han, M.J., Kim, I.S., Ahn, S.B., Lee, M.L., Hong, K.J., Lee, G.H., Ku, D.S., 1998. Distribution and host plants of recently introduced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Thysanoptera: Thripidae) in Korea. RDA J. Crop Prot. 40, 83-88.
Katayama, H. 1997.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Jpn. J. Appl. Entomol. Zool. 41, 225-231.
Katayama, H., Ikeda, F. 1995. Overwintering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in the western region of Shizuoka Prefecture. B. Shizuoka Agric. Exp. Stn. 40, 63-7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20. Area of cultivation of outdoor vegetables.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013&vw_cd=MT_ZTITLE&list_id=K1_15&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Accessed Aug. 18. 2021).
Lee, G.S., Lee, J.H., Kang, S.H., Woo, K.S., 2001. Thrips species (Thysanoptera: Thripidae) in winter season and their vernal activities on Jeju island, Korea. J. Asia Pac. Entomol. 4, 115-122.
Reitz, S.R., Gao. Y., Kirk, W.D.J., Hoddle, M.S., Leiss, K.A., Funderburk, J.E., 2020. Invasion biology, ecology, and management of western flower thrips. Annu. Rev. Entomol. 65, 17-37.
Rotenberg, D., Jacobson, A.L., Schneweis, D.J., Whitfield, A.E., 2015. Thrips transmission of tospoviruses. Curr. Opin. Virol. 15, 80-89.
SAS Institute, Inc., 1989.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Stafford, C.A., Walker, G.P., Ullman, D.E., 2011. Infection with a plant virus modifies vector feeding behavior. Proc. Natl. Acad. Sci. USA 108, 9350-9355.
Woo, K.S., Paik, W.H., 1971. Studies on the thrips (Thysanoptera) unrecorded in Korea (I). Korean J. Plant Prot. 10, 69-7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ber et al. Chemical ecology of Halyomorpha halys: discoveries and applications
Epsky et al. History and development of food-based attractants
Hamilton et al. Halyomorpha halys (Stål)
Wibe et al. Combining 1, 4-dimethoxybenzene, the major flower volatile of wild strawberry Fragaria vesca, with the aggregation pheromone of the strawberry blossom weevil Anthonomus rubi improves attraction
Hassan et al. A sequential testing program to assess the side effects of pesticides on Trichogramma cacoeciae Marchal (Hym., Trichogrammatidae)
Hill et al. Effect of fungicide application and cultivar on soybean green stem disorder
Diame et al. Influence of Oecophylla longinoda Latreille, 1802 (Hymenoptera: Formicidae) on mango infestation by Bactrocera dorsalis (Hendel)(Diptera: Tephritidae) in relation to Senegalese orchard design and management practices
Weems Jr The Caribbean fruit fly in Florida
Dimock et al. Oviposition by field populations of Pieris rapae (Lepidoptera: Pieridae) deterred by an extract of a wild crucifer
Shelly et al. Relative attractiveness of enriched ginger root oil and trimedlure to male Mediterranean fruit flies (Diptera: Tephritidae)
Epsky et al. Trapping the African fig fly (Diptera: Drosophilidae) with combinations of vinegar and wine
Le Due Khanh et al. Area-wide suppression of Bactrocera fruit flies in dragon fruit orchards in Binh Thuan, Viet Nam.
KR20230155693A (ko) 총채벌레 유살용 황색 점착성 캔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Kakizaki The sex pheromone components for mating disruption of the rice leaf bug, Trigonotylus caelestialium (Heteroptera: Miridae)
Morehead Efficacy of organic insecticides and repellents against brown marmorated stink bug in vegetables
Bae et al. Evaluation of an improved rocket traps, and baits combination for its attractiveness to hemipteran bugs in grass and soybean fields
Hussain Chemical ecology of Tribolium castaneum Herbst (Coleoptera: Tenebrionidae): Factors affecting biology and application of pheromone
Ugwu et al. Evaluation of traps and attractants for mass trapping of African invader fly, Bactrocera invadens on mango in South West Nigeria
Manrakhan et al. Phytotoxic effect of GF-120 NF fruit fly bait on fruit of mandarin (Citrus reticulata Blanco cv. Nadorcott): influence of bait characteristics and fruit maturity stage
Rasool et al.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bles and role of food attractants for management of Bactrocera zonata (Saunders, 1842) and Bactrocera dorsalis,(Hendel, 1912)(Diptera: Tephritidae)
CN107912435B (zh) 一种枣实蝇成虫诱捕方法
CN111084198A (zh) 一种桔小实蝇引诱剂及其制备方法
Kaplan et al. Investigation on Mass-Trapping of Archips rosanus L.(Lepidoptera: Tortricidae), Pest of Cherry Trees.
Ali et al. Survey and monitoring of some Tephritidae of fruit trees and their host range in River Nile State, Sudan.
Jaastad et al. Pest management in organic plum production in Nor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