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530A - Pv 애플리케이션용 부분 공진형 컨버터 - Google Patents

Pv 애플리케이션용 부분 공진형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530A
KR20230155530A KR1020237034241A KR20237034241A KR20230155530A KR 20230155530 A KR20230155530 A KR 20230155530A KR 1020237034241 A KR1020237034241 A KR 1020237034241A KR 20237034241 A KR20237034241 A KR 20237034241A KR 20230155530 A KR20230155530 A KR 20230155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es
capacitor
coupled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칼레그 모자파리
페르난도 로드리게스
패트릭 라일 채프먼
Original Assignee
엔페이즈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페이즈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페이즈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5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2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operating from a resonant DC source, i.e. the DC input voltage varies periodically, e.g. resonant DC-link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having a high frequency intermediate AC s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293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current or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for conversion of frequ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원에서 부분 공진형 컨버터가 제공되며,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측의 제1 커패시터 및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 측의 제2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자화 링크 인덕터에 의해 형성된 부분 공진 링크, 자화 링크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를 통해 결합된 한 쌍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 및 동작 중에 입력 소스 및 출력 부하를 자화 링크 인덕터에 연결하는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PV 애플리케이션용 부분 공진형 컨버터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은 일반적으로 전력 변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분 공진형 전력 컨버터들에 관한 것이다.
DC-AC 전력 컨버터들은 재생 에너지 자원들로부터의 DC를 전력망 규격 AC로 변환하는 등 다양한 전력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한다. 이들 전력 컨버터들의 토폴로지는 비용과 효율성을 포함한 다양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예를 들면, 컨버터의 전력 밀도를 개선하면 최종 생산 비용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서는 개선된 전력 컨버터 토폴로지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부분 공진형 컨버터가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는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측의 제1 커패시터 및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 측의 제2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자화 링크 인덕터에 의해 형성된 부분 공진 링크, 자화 링크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를 통해 결합된 한 쌍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 및 동작 중에 입력 소스 및 출력 부하를 자화 링크 인덕터에 연결하는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forward conducting bidirectional blocking)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부분 공진형 컨버터가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는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측의 제1 커패시터 및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 측의 제2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자화 링크 인덕터에 의해 형성된 부분 공진 링크, 자화 링크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를 통해 결합된 한 쌍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 및 벅-부스트(buck-boost) 동작 모드 중에 입력 소스 및 출력 부하를 자화 링크 인덕터에 연결하는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본 개시의 다음 상세한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언급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 간략하게 요약된 본 개시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 일부가 첨부된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들만을 예시하고 있으므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이는 본 개시가 다른 동등하게 유효한 실시형태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임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컨버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컨버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컨버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컨버터(100)의 블록도이다. 본 도면은 수많은 가능한 시스템 구성들 중 한 가지 변형만을 나타낸다. 본 개시는 다양한 발전 환경 및 시스템에서 기능할 수 있다.
전력 컨버터(100)는 갈바닉 절연을 갖는 부분 공진형 DC-단상 AC 컨버터이다. 전력 컨버터(100)는 2개의 백투백(back-to-back) MOSFET들(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또는 양방향-전도 단방향-차단)(S00 및 S0(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와이드-밴드갭 디바이스들일 수 있음))을 포함하는 입력 스위치 브리지를 포함한다. S0 드레인 및 인덕터(Li)의 제1 단자는 각각 커패시터(Ci)의 제1 단자에 결합되고; 인덕터(Li)의 제2 단자 및 커패시터(Ci)의 제2 단자는 각각 광전지(PV) 모듈(102)과 같은 DC 입력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결합된다. 부분 공진 링크(120)는 매우 작은 AC 커패시터들(CL1 및 CL2)과 함께 고주파 트랜스포머(HFT)(110)의 작은 자화 인덕턴스(LM)에 의해 형성된다(도 1에 Ls로서 표현된 트랜스포머(110)의 누설 인덕턴스는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함).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CL2는 반사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자화 인덕턴스(LM)(및 임의의 누설 인덕턴스(Ls)) 및 AC 커패시터(CL1)는 각각 스위치들(S00, S0)과 커패시터(Ci)의 직렬 조합을 통해 결합된다.
트랜스포머(110)의 2차 권선은 출력 부하를 유도 링크에 연결하는 출력 브리지를 통해 결합된다. 출력 브리지는 4개의 FCBB(forward-conducting bidirectional-blocking)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실시형태와 같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각각의 FCBB 스위치는 스위치와 다이오드(도 1에서의 대응하는 FCBB 스위치들(FCBBS1, FCBBS2, FCBBS3, FCBBS4)을 형성하는 스위치들(S1, S2, S3, S4)과 대응하는 다이오드들(D1, D2, D3, D4))의 직렬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순방향-전도 양방향-차단 스위치는 백투백 스위치들(또는 AC 스위치) 또는 양방향 능력을 갖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들(FCBBS2와 FCBBS4)은 서로 직렬로 결합되고, 스위치들(FCBBS1 및 FCBBS3)은 서로 직렬로 결합되고, 이들 직렬 조합들은 트랜스포머(110)의 2차 권선을 통해 결합된다. 트랜스포머(110)는 권선비가 1:n이고, 커패시터(CL2)는 또한 트랜스포머 2차 권선을 통해 존재한다.
출력 커패시터(CO)의 제1 단자는 스위치(FCBBS1)의 드레인 및 출력 인덕터(LO)의 제1 단자에 결합되고; 출력 커패시터(CO)의 제2 단자는 스위치(FCBBS2)의 드레인에 결합된다. 출력 단자들(즉, 인덕터(LO)의 제2 단자 및 커패시터(CO)의 제2 단자)은 단상 AC 전력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시스템이나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들(S00, S0, 및 FCBBS1-FCBBS4)의 각각의 게이트 단자들은 스위치들을 동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30)에 결합된다.
전력 컨버터(100)는 벅-부스트 동작 모드로 기능하며, 각 사이클마다 충전 및 방전되는 링크 인덕터를 통해 전력을 전체적으로 전달한다. 전력 컨버터(100)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4-쿼드런트(four-quadrant) 유도-링크 컨버터들(예를 들면, 범용 전력 컨버터들)보다 더 낮은 총 스위치 수를 갖는다. 링크 전류가 양 및 음일 수 있는 4-쿼드런트 링크 동작을 활용하는 이 종래의 컨버터들과 달리, 전력 컨버터(100)는 링크 전류를 한 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전력 컨버터(100)가 더 적은 수의 스위치들 및 더 간단한 제어 알고리즘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컨버터(100)는, SST(Solid-State Transformer)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되는 토폴로지와 달리, 트랜스포머(110) 주변의 어떠한 스위치도 활용하지 않는다. 전력 컨버터(100)의 토폴로지는, 4-쿼드런트 유도-링크 컨버터들 및 SST 컨버터들과 같은 기존 토폴로지들에 비해, 컨버터의 전력 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기존 토폴로지들보다 최종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에서, 트랜스포머 권선비 1:n은 1:9일 수 있고, 인덕턴스(LS)는 무시할 수 있고, 전력 컨버터 컴포넌트들은 CL1=1nF; CL2=CL1/n2=0.01234nF(여기서 n=9); Co=1.8uF; Lo=30uH; Ci=13.2mH, LM=1.8uH, 및 LS=2nH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130)의 블록도이다. 컨트롤러(130)는 중앙 처리 장치(CPU)(202)에 각각 결합된 지원 회로들(204) 및 메모리(206)를 포함한다. CPU(202)는 하나 이상의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CPU(202)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CPU(202)는, 실행 시 본원에서 설명되는 컨트롤러 기능을 제공하는 컨트롤러 펌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일 수 있다.
지원 회로들(204)은 CPU(202)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데 사용되는 잘 알려진 회로들이다. 이러한 회로들은 캐시, 전원 공급 장치들, 클록 회로들, 버스들, 입력/출력(I/O) 회로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컨트롤러(130)는 특정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특수 목적 컴퓨터가 되는 범용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0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리드 온리 메모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 이러한 유형의 메모리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6)는 때때로 메인 메모리로서 지칭되며, 부분적으로 캐시 메모리 또는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06)는 일반적으로 CPU 능력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컨트롤러(130)의 운영체제(OS)(208)를 필요에 따라 저장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OS(208)는 제한되지 않지만, LINUX, RTOS(Real-Time Operating System) 등과 같은 다수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운영 체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206)는 컨트롤러(130)에 의한 실행 시 전력 컨버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버터 제어 모듈(210)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6)는 컨트롤러(130)에 의한 실행 시 PV 모듈(102)을 MPP(maximum power point)에서 바이어스하기 위한 동작점을 결정하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모듈(212)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6)는 전력 컨버터(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214)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컨버터(300)의 블록도이다. 본 도면은 수많은 가능한 시스템 구성들 중 한 가지 변형만을 나타낸다. 본 개시는 다양한 발전 환경 및 시스템에서 기능할 수 있다.
전력 컨버터(300)는 갈바닉 절연을 갖는 부분 공진형 DC-3상 AC 컨버터이다. 전력 컨버터(100)와 유사하게, 전력 컨버터(300)는 2개의 백투백 MOSFET들(또는 양방향-전도 단방향-차단)(S00 및 S0)(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와이드 밴드갭 디바이스들일 수 있음)을 포함하는 입력 스위치 브리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S0 드레인은 인덕터(Li)의 제1 단자 및 커패시터(Ci)의 제1 단자에 결합된다. 인덕터(Li)의 제2 단자 및 커패시터(Ci)의 제2 단자는 각각 PV 모듈(102)과 같은 DC 입력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결합된다. 부분-공진 링크(320)는 HFT(310)의 작은 자화 인덕턴스(LM)와 함께 매우 작은 AC 커패시터들(CL1 및 C L2(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반사 커패시턴스일 수 있음))에 의해 형성된다(도 3에 LS로서 표현된 트랜스포머(310)의 누설 인덕턴스는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함). 커패시터(CL1)는 스위치들(S00, S0)과 커패시터(Ci)의 직렬 조합을 통해 더 결합된다.
트랜스포머(310)의 2차 권선은 출력 부하를 유도 링크에 연결하는 출력 브리지를 통해 결합된다. 출력 브리지는 6개의 FCBB(forward-conducting bi-directional-blocking) 출력 스위치들(FCBBS1-FCBBS6)을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난 실시형태와 같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각각의 순방향-전도 양방향-차단 스위치는 스위치와 다이오드(도 3에서의 대응하는 FCBB 스위치들(FCBBS1, FCBBS2, FCBBS3, FCBBS4, FCBBS5, FCBBS6)을 형성하는 스위치들(S1, S2, S3, S4, S5, S6)과 대응하는 다이오드들(D1, D2, D3, D4, D5, D6))의 직렬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순방향-전도 양방향-차단 스위치는 백투백 스위치들(또는 AC 스위치) 또는 양방향 능력을 갖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들(FCBBS1과 FCBBS4)은 서로 직렬로 결합되고, 스위치들(FCBBS2와 FCBBS5)은 서로 직렬로 결합되고, 스위치들(FCBBS3과 FCBBS6)은 서로 직렬로 결합되고, 이들 직렬 조합들은 각각 트랜스포머(310)의 2차 권선을 통해 결합된다. 트랜스포머(310)는 권선비가 1:n이고, 커패시터(CL2)는 또한 트랜스포머 2차 권선을 통해 존재한다.
출력 커패시터(Coca)가 스위치들(FCBBS1과 FCBBS3)의 드레인 단자들 사이와; 출력 인덕터(Loa)의 제1 단자에 결합되고; 출력 커패시터(Cobc)가 스위치들(FCBBS2와 FCBBS3)의 드레인 단자들 사이에 결합되고; 출력 커패시터(Coab)가 스위치들(FCBBS1과 FCBBS2)의 드레인 단자들 사이에 결합된다. 출력 인덕터(Loa)는 스위치(FCBBS1)의 드레인 단자와 제1 출력 단자(a) 사이에 결합되고; 출력 인덕터(Lob)는 스위치(FCBBS2)의 드레인 단자와 제2 출력 단자(b) 사이에 결합되고; 출력 인덕터(Loc)는 스위치(FCBBS3)의 드레인 단자와 제3 출력 단자(c) 사이에 결합된다. 출력 단자들(a, b, 및 c)은 3상 AC 전력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들(S00, S0, 및 FCBBS1-FCBBS6) 각각의 게이트 단자들은 스위치들을 동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30)에 결합된다.
전력 컨버터(300)는 벅-부스트 동작 모드로 기능하며, 각 사이클마다 충전 및 방전되는 링크 인덕터를 통해 전력을 전체적으로 전달한다. 전력 컨버터(300)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4-쿼드런트 유도-링크 컨버터들(예를 들면, 범용 전력 컨버터들)보다 더 낮은 총 스위치 수를 갖는다. 링크 전류가 양 및 음일 수 있는 4-쿼드런트 링크 동작을 활용하는 이 종래의 컨버터들과 달리, 전력 컨버터(300)는 링크 전류를 한 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전력 컨버터(300)가 더 적은 수의 스위치들 및 더 간단한 제어 알고리즘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컨버터(300)는, SST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되는 토폴로지와 달리, 트랜스포머(310) 주변의 어떠한 스위치도 활용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 토폴로지와 달리, 전력 컨버터(300)의 토폴로지는 전해 커패시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고, 단 하나의 프로세서로 더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채용하고, 하나씩 증가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력 증가에 따른 이중 주파수 리플과 관련된 높은 비용을 제거하고, 3상 워터 펌프 또는 3상 모터 드라이브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다중 입력/다중 출력 제품의 개발에서의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전력 컨버터(300)의 토폴로지는 범용 전력 컨버터들 및 SST 컨버터들과 같은 기존 토폴로지들에 비해 컨버터의 전력 밀도를 향상시키며, 이에 의해 기존 토폴로지들보다 최종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트랜스포머 권선비 1:n은 1:9일 수 있고, 인덕턴스(LS)는 무시할 수 있고, 전력 컨버터 컴포넌트들은 CL1=2nF; CL2=CL1/n2=0.125nF(여기서 n=9); Li=33uH; Ci=50uF, LM=3.2uH, LS=2nH, Coa=2uF, Cob=2uF, Coc=2uF, Loa=100uH, Lob=100uH, Loc=100uH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330)의 블록도이다. 컨트롤러(130)와 유사하게, 컨트롤러(330)는 CPU(302)에 각각 결합된 지원 회로들(304) 및 메모리(306)를 포함하고, 메모리(306)는 컨트롤러(330)에 의한 실행 시 전력 컨버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버터 제어 모듈(410)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컨버터(500)의 블록도이다. 본 도면은 수많은 가능한 시스템 구성들 중 한 가지 변형만을 나타낸다. 본 개시는 다양한 발전 환경 및 시스템에서 기능할 수 있다.
전력 컨버터(500)는 갈바닉 절연을 갖는 부분 공진형 DC-단상 AC 컨버터이고 이중 주파수 리플을 억제한다. 전력 컨버터(500)는 이중 주파수 리플을 처리하기 위해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FCBBS1-FCBBS4)의 출력 브리지를 통해 결합된 추가 브리지(리플 브리지라 함)와 함께 전력 컨버터(100)의 토폴로지를 포함한다. 리플 브리지는, 작은 커패시터(Crp)가 각각의 브리지 레그(leg)의 중간 지점들 사이에 결합되는 브리지 구성으로 결합된 순방향-전도 양방향-차단 스위치들(FCBBS5-FCBBS8)(도 5에서 대응하는 순방향-전도 양방향-차단 스위치들(FCBBS5, FCBBS6, FCBBS7, FCBBS8)을 형성하는 스위치들(S5, S6, S7, S8) 및 대응하는 다이오드들(D5, D6, D7, D8))을 포함한다.
전력 컨버터들(100 및 300)과 마찬가지로, 전력 컨버터(500)는 벅-부스트 동작 모드로만 기능하고 각 사이클마다 충전 및 방전되는 링크 인덕터를 통해 전력을 전체적으로 전달하고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4-쿼드런트 유도-링크의 기존 컨버터보다 낮은 스위치 수를 갖는다. 또한 이중 주파수 리플을 억제하는 것이 없는 기존 단상 DC-AC 토폴로지와 달리, 전력 컨버터(500)의 토폴로지는 부피가 큰 전해 커패시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고,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이중 주파수 리플과 관련되는 높은 비용을 제거하고, 다중 입력/다중 출력 제품의 개발에서의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트랜스포머 권선비 1:n은 1:9일 수 있고, 인덕턴스(LS)는 무시할 수 있고, 전력 컨버터 컴포넌트들은 CL1=1nF; CL2=CL1/n2=0.01234nF(여기서 n=9); Co=1.8uF; Lo=30uH; Li=100uH; Ci=24uF, Crp=10uF; LM=1.8uH, Ls=2nH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530)의 블록도이다. 컨트롤러들(130 및 330)과 유사하게, 컨트롤러(530)는 CPU(602)에 각각 결합된 지원 회로들(604) 및 메모리(606)를 포함한다. 메모리(606)는 컨트롤러(530)에 의한 실행 시 전력 컨버터(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버터 제어 모듈(610)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전술한 바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다른 및 추가 실시형태들이 그의 기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도출될 수 있다.

Claims (20)

  1. 부분 공진형 컨버터로서,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측의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 측의 제2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자화 링크 인덕터에 의해 형성된 부분 공진 링크;
    상기 자화 링크 인덕터 및 상기 제1 커패시터를 통해 결합된 한 쌍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 및
    동작 중에 입력 소스 및 출력 부하를 상기 자화 링크 인덕터에 연결하는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forward conducting bidirectional blocking)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고주파 트랜스포머인, 부분 공진형 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링크 인덕터는 벅-부스트(buck-boost) 동작 모드의 각 사이클마다 충전 및 방전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링크 인덕터는 1.8μH의 인덕턴스를 갖고,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약 1nF의 커패시턴스를 갖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약 0.01234nF의 커패시턴스를 갖고 CL2=CL1/n2(여기서 n=9)와 동일한, 부분 공진형 컨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은,
    4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4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스위치와 다이오드의 직렬 조합; 또는
    6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6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스위치와 다이오드의 직렬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이 4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4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경우,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자는 제1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 및 출력 인덕터의 제1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자는 제2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출력 인덕터의 제2 단자 및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자는 각각 단상 AC 전력선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 및 상기 4개의 스위치들의 게이트 단자들은 그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에 결합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커패시터는 약 1.8㎌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스위치들을 통해 결합되고 이중 주파수 리플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리플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9.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플 브리지는 브리지 구성으로 결합된 4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4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브리지 레그(leg)의 중간 지점들 사이에는 약 10㎌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가 결합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이 6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6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경우,
    제1 출력 커패시터는 제1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와 제3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출력 인덕터의 제1 단자에 결합되고;
    제2 출력 커패시터는 제2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3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제3 출력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제1 출력 인덕터는 상기 제1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와 제1 출력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제2 출력 인덕터는 상기 제2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와 제2 출력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제3 출력 인덕터는 상기 제3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와 제3 출력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출력 단자, 상기 제2 출력 단자, 및 상기 제3 출력 단자는 3상 AC 전력선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 및 상기 6개의 스위치들 각각의 게이트 단자들은 그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에 결합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11.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커패시터, 상기 제2 출력 커패시터, 및 상기 제3 출력 커패시터는 각각 약 1.8㎌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소스는 광전지 모듈이고, 상기 출력 부하는 단상 AC 전력선 또는 3상 AC 전력선 중 하나인, 부분 공진형 컨버터.
  13. 부분 공진형 컨버터로서,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측의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 측의 제2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자화 링크 인덕터에 의해 형성된 부분 공진 링크;
    상기 자화 링크 인덕터 및 상기 제1 커패시터를 통해 결합된 한 쌍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 및
    벅-부스트 모드 동작 중에만 입력 소스 및 출력 부하를 상기 자화 링크 인덕터에 연결하는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고주파 트랜스포머인, 부분 공진형 컨버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링크 인덕터는 1.8μH의 인덕턴스를 갖고,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약 1nF의 커패시턴스를 갖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약 0.01234nF의 커패시턴스를 갖고 CL2=CL1/n2(여기서 n=9)와 동일한, 부분 공진형 컨버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은,
    4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4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스위치와 다이오드의 직렬 조합; 또는
    6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6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스위치와 다이오드의 직렬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방향 전도 양방향 차단 스위치들이 4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4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경우,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자는 제1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 및 출력 인덕터의 제1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자는 제2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출력 인덕터의 제2 단자 및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자는 각각 단상 AC 전력선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직렬 연결된 스위치들 및 상기 4개의 스위치들의 게이트 단자들은 그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에 결합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커패시터는 약 1.8㎌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스위치들을 통해 결합되고 이중 주파수 리플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리플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20. 제13항 내지 제17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플 브리지는 브리지 구성으로 결합된 4개의 스위치들 및 대응하는 4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브리지 레그의 중간 지점들 사이에는 약 10㎌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가 결합되는, 부분 공진형 컨버터.
KR1020237034241A 2021-03-10 2022-03-08 Pv 애플리케이션용 부분 공진형 컨버터 KR202301555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59415P 2021-03-10 2021-03-10
US63/159,415 2021-03-10
PCT/US2022/019227 WO2022192167A1 (en) 2021-03-10 2022-03-08 Partial-resonant converters for pv appl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530A true KR20230155530A (ko) 2023-11-10

Family

ID=8319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241A KR20230155530A (ko) 2021-03-10 2022-03-08 Pv 애플리케이션용 부분 공진형 컨버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294228A1 (ko)
EP (1) EP4305743A1 (ko)
JP (1) JP2024509945A (ko)
KR (1) KR20230155530A (ko)
CN (1) CN117063382A (ko)
AU (1) AU2022234677A1 (ko)
BR (1) BR112023018180A2 (ko)
CA (1) CA3211624A1 (ko)
MX (1) MX2023010515A (ko)
WO (1) WO2022192167A1 (ko)
ZA (1) ZA2023093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38719A (ja) * 2021-09-07 2023-03-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8143A2 (en) * 2006-06-06 2008-01-17 William Alexander Universal power converter
US9263968B2 (en) * 2011-06-22 2016-02-16 Eetrex, Inc. Bidirectional inverter-charger
JP6241334B2 (ja) * 2014-03-14 2017-12-06 Tdk株式会社 電流共振型dcdcコンバータ
US20170250618A1 (en) * 2014-09-02 2017-08-3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Extremely-Sparse Parallel AC-Link Power Converter
WO2017201209A1 (en) * 2016-05-17 2017-11-2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oft switching solid state transformers and converters
US11451091B2 (en) * 2017-03-28 2022-09-20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Converter
CN107465353B (zh) * 2017-07-28 2020-07-2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整流器及其控制方法
US10998825B2 (en) * 2018-02-12 2021-05-04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um-voltage electronic power conversion
US11309802B2 (en) * 2018-07-23 2022-04-1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Transformers, converters, and improvements to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34677A1 (en) 2023-10-19
BR112023018180A2 (pt) 2023-10-03
ZA202309353B (en) 2024-04-24
MX2023010515A (es) 2023-09-20
CN117063382A (zh) 2023-11-14
US20220294228A1 (en) 2022-09-15
CA3211624A1 (en) 2022-09-15
EP4305743A1 (en) 2024-01-17
WO2022192167A1 (en) 2022-09-15
JP2024509945A (ja)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hoo et al. Review and comparative study of single-stage inverters for a PV system
Hu et al. A high gain input-parallel output-series DC/DC converter with dual coupled inductors
Li et al. Decoupling-controlled triport composited DC/DC converter for multiple energy interface
US8432709B2 (en) DC-to-AC power inverting apparatus for photovoltaic modules
US8570005B2 (en) Direct current link circuit
Padhee et al. Overview of high-step-up DC–DC converters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Shaffer et al. A common-ground single-phase five-level transformerless boost invert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Schmitz et al. High step-up nonisolated ZVS/ZCS DC–DC converter for photovoltaic thin-film module applications
Karshenas et al. Basic families of medium-power soft-switched iso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s
Zhu et al. A multi-phase cascaded series-parallel (CaSP) hybrid converter for direct 48 V to point-of-load applications
Aharon et al. Analysis of bi-directional buck-boost converter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s
Jahanghiri et al. A high conversion non-iso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with low stress for micro-grid applications
KR20230155530A (ko) Pv 애플리케이션용 부분 공진형 컨버터
US20190312524A1 (en) Converter
US914296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grid-connected power supply system
Chub et al. Impedance-source galvanically isolated DC/DC converters: State of the art and future challenges
Yalla et al. Topological review of hybrid RES based multi‐port converters
Matiushkin et al. Novel single-stage buck-boost inverter with unfolding circuit
TW201733256A (zh) 交錯式高升壓dc-dc轉換器
US10581336B2 (en) Three-phase AC/AC converter with quasi-sine wave HF series resonant link
Alves et al. A single-stage three-port boost converter with high voltage gain based on the bidirectional version of the three-state switching cell
Gohari et al. Family of interleaved high step-up dc-dc converters utilizing multi-winding coupled inductors
Alluhayb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ual-input microinverter for PV-battery applications
US20230223831A1 (en) Highly efficient isolated bidirectional dc/ac topologies
Vinnikov et al. Voltage gain extension techniques for high step-up galvanically isolated DC-DC conver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