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391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391A
KR20230155391A KR1020230148845A KR20230148845A KR20230155391A KR 20230155391 A KR20230155391 A KR 20230155391A KR 1020230148845 A KR1020230148845 A KR 1020230148845A KR 20230148845 A KR20230148845 A KR 20230148845A KR 20230155391 A KR20230155391 A KR 2023015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rotrusion
washing machine
lifter
reinforcem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8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현
임명훈
김가연
이정훈
정환진
유선화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391A/en
Publication of KR2023015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3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이루어진 원통형의 드럼이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드럼은 전방에서 바라볼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지점들에 상기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리프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금속 판재를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10mm 이상 돌출시켜,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가압하여 형성한 제 1,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선 상에 정렬되되, 상기 제 2 돌출부의 전단이 상기 제 1 돌츨부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in which a cylindrical drum made by processing a metal plate is configured to rotate about a horizontal axis, wherein the drum holds the metal plate at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Each is provided with a lifter formed by processing, and the lifter includes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formed by pressing the metal plate to protrude 10 mm or more inside the drum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aligned on a moving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을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드럼을 가공하여 형성된 리프터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drum that rotates about a horizontal axis, and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lifter formed by processing the drum.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이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세탁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10-2011-0022359호(종래기술 1)에 개시된 세탁기는, 드럼의 내주면에 배치된 리프터가 상기 드럼의 회전시 세탁물을 퍼올린다.Washing machines configured so that a drum into which laundry is loaded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are widely known. For example, in the washing machin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2359 (Prior Art 1), a lifter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drum lifts laundry when the drum rotates.

이렇게 드럼에 리프터가 설치된 세탁기는, 리프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물리력에 의해 세탁물이 일정 높이까지 퍼올려졌다가 낙하되거나, 리프터와 세탁물 간에 마찰 작용이 유도된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세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탁력은, 리프터가 없는 구조에 비해, 드럼 내에 채워진 물의 양, 세탁물의 양(포량), 드럼의 회전속도(RPM)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 편이다.In a washing machine with a lifter installed on the drum, the laundry is lifted to a certain height and then dropped due to the physical force applied by the lifter to the laundry, or a friction effect is induced between the lifter and the laundry. Therefore, a certain level of washing power can be secured, and this washing power is less affected by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drum, the amount of laundry (weight), and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drum compared to a structure without a lifter. am.

미국등록특허 US 8,893,532(종래기술 2)는 내주면 상에 돌출구조(linear elevation)가 형성된 세탁기용 드럼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 2의 드럼은 금속판재(metal sheet)를 소성 가공하여 상기 돌출구조를 형성한 후, 상기 금속판재를 둥글게 말고 양단을 서로 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돌출구조는 드럼의 내주면에서는 볼록하나 외주면에서는 오목한 형태(즉, 금속판재를 국부적으로 구부려 가공한 형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돌출구조가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구조의 드럼은 찌그러짐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특히, 드럼 내에 투입된 포가 한쪽으로 치우진 상태로 드럼이 회전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과도한 진동에 의해 드럼의 변형(찌그러짐)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심한 경우 상기 금속판재의 양단을 접합한 부분이 파괴되는 안전 사고의 우려가 있다.US registered patent US 8,893,532 (Prior Art 2) discloses a drum for a washing machine having a linear eleva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drum of prior art 2 is made by plastic processing a metal sheet to form the protruding structure, then rolling the metal sheet into a round shape and joining both ends together. However, since the protruding structure is convex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ut conca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e., a form processed by locally bending a metal plate), a drum with a large number of such protruding structur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vulnerable to distortion. there is. In particular, when the drum is rotated with the cloth placed in the drum tilted to one side, excessive vibration that occurs may cause deformation (distortion) of the drum, and in severe cases, the part where both ends of the metal plates are joined.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resulting in destru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금속판재를 원통형으로 말고 양단을 접합하여 형성된 드럼을 구비하되, 상기 금속판재를 소성 가공하여 상기 드럼 내로 돌출된 리프터가 형성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드럼의 강성을 보강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in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drum formed by rolling a metal plate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joining both ends, and having a lifter protruding into the drum by plastic processing the metal plate, the structure of the lifter The aim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strengthens the rigidity of the drum by improving the.

둘째, 상기 드럼이 편심회전하며 진동을 유발하더라도, 상기 드럼의 변형(특히, 찌그러짐을)을 방지하여 상기 금속판재의 양단의 접합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econd, even if the drum rotates eccentrically and causes vib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that prevents deformation (particularly, distortion) of the drum and destruction of the joint at both ends of the metal plate.

셋째,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X방향, 도 9 참조.) 밴딩 모멘트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rd,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minimizes deformation due to bending mo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see FIG. 9) of the drum.

본 발명은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이루어진 원통형의 드럼이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드럼은, 전방에서 바라볼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지점들에 상기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형성한 리프터를 각각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in which a cylindrical drum made by processing a metal plate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drum is provided with lifters formed by processing the metal plate at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리프터는, 상기 금속 판재를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10mm 이상 돌출시켜,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가압하여 형성한 제 1, 2 돌출부를 포함한다. The lifter includes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formed by pressing the metal plate to protrude 10 mm or more inside the drum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선 상에 정렬되되, 상기 제 2 돌출부의 전단이 상기 제 1 돌츨부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aligned on a moving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상기 제 1 돌출부의 후단과 상기 제 2 돌출부의 전단 사이의 간격은 15mm 이상일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15 mm or more.

상기 드럼은, 상기 제 1 돌출부의 후단과 상기 제 2 돌출부의 전단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영역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홈은 상기 리프터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럼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상기 보강홈상기 리프터를 원주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보강홈은 70mm 이상일 수 있다.The drum may have a reinforcement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The reinforcement groove may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lifter. When the drum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reinforcement groove may cross the lift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einforcement groove may be 70 mm or more.

상기 보강홈은,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홈은 3개 이상일 수 있다.A plurality of reinforcement grooves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The number of reinforcement grooves may be three or more.

상기 보강홈의 깊이는 3mm 이상 10mm 미만일 수 있다.The depth of the reinforcement groove may be 3 mm or more and less than 10 mm.

상기 드럼은 상기 다수개의 보강홈 사이가 평평할 수 있다.The drum may be flat between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grooves.

상기 보강홈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to mak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convex.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중심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치된 3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lifters may be formed at three point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rum.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10 내지 30mm 돌출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protrude 10 to 30 mm inside the drum.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 높이가 단계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The protrusion heigh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gradually increased.

상기 복수의 지점들 사이에는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5mm 이하로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mbossings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oints, protruding 5 mm or less to the inside of the drum.

상기 드럼은, 전단과 후단에 각각 평평한 전단 밴드부와 후단 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전단 밴드부와 상기 후단 밴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um may have flat front and rear band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The lif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band portion and the rear band portion.

상기 금속 판재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4 내지 0.6mm일 수 있다.The metal plate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may have a thickness of 0.4 to 0.6 mm.

본 발명의 세탁기는, 첫째, 드럼과 일체로 리프터를 형성하되, 상기 리프터를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종래 하나의 길게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리프터를 구비한 드럼에 비해, 드럼의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orms a lifter integrally with the drum, and the lifter includes two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so that it is equipped with a lifter consisting of a single long protrusion conventionally. Compared to drums, the rigidity of the drum is improved.

둘째, 상기 드럼의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상기 드럼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에도 상기 드럼의 변형(특히, 찌그러짐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드럼을 구성하는 금속판재의 양단의 접합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dru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um from being deformed (particularly, distorted) even by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rum rotates, and thus, the joint at both ends of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drum is destroy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셋째,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X방향, 도 9 참조.) 밴딩 모멘트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여, 종래에 비해 상기 드럼을 고속 회전하더라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minimizing deformation due to bending mo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see FIG. 9) of the drum, stability can be secured even when the drum rotates at higher speeds than bef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조의 횡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조의 종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돌출부의 높이에 따른 포붙임속도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돌출부의 높이와 측면각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드럼의 회전속도에 따른 포의 유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비교예 1의 드럼에서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 것(a)과 비교예 2의 드럼에서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 것(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을 전개한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리프터가 하나로 길게 이루어진 경우의 밴딩 모멘트와 그에 따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것(a), 리프터가 두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경우의 밴딩 모멘트와 그에 따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것(b),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보강홈이 형성된 경우(c)의 밴딩 모멘트와 그에 따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것(c)이다.
도 11은 보강홈의 깊이, 수, 길이에 따른 드럼의 강성 개선율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12는 리프터가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강홈이 있는 경우(a)와 없는 경우(b)에 드럼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을 전개한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washing tank shown in Figure 1.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washing tank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ure 3.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wrapping spe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Figure 6 is a diagram used to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and the side angle.
Figure 7 shows the flow of foam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Figure 8 shows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drum of Comparative Example 1 (a) and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drum of Comparative Example 2 (b).
Figure 9 shows a portion of an expanded dr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the bending moment and the resulting deformation form when the lifter is made up of one long protrusion (a), and the bending moment and the resulting deformation form when the lifter consists of two protrusions (b). (c) shows the bending moment and the resulting deformation in the case where a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c).
Figure 11 is a graph showing the improvement rate of drum rigidity according to the depth, number, and length of reinforcement grooves.
Figure 12 shows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drum in the case where the lifter includes two protrusions, with (a) and without (b) the reinforcement groove.
Figure 13 shows a portion of an expanded dr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V-XIV of FIG. 13.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과, 케이싱(1)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3)와, 저수조(3)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4)과, 세탁조(4)을 회전시키는 모터(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 forming the exterior, a water storage tank (3) disposed in the casing (1) and storing washing water, and a water storage tank (3) that can be rotated. It includes a washing tub 4 into which laundry is placed, and a motor 9 that rotates the washing tub 4.

세탁조(4)는 세탁물의 입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 커버(41)와,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전단이 전면 커버(41)와 결합되는 원통형의 드럼(42)과, 드럼(42)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43)를 포함한다. 모터(9)의 회전축은 저수조(3)의 후벽을 통과하여 후면 커버(43)와 연결될 수 있다. 세탁조(4)와 저수조(3) 사이에 물이 교류될 수 있도록, 드럼(42)에는 통공(42h, 도 1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The washing tub 4 includes a front cover 41 with an opening for loading and unloading laundry, a cylindrical drum 42 arranged approximately horizontally and the front end coupled to the front cover 41, and a rear end of the drum 42. Includes a rear cover 43 that is coupled.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9 may pass through the rear wall of the water tank 3 and be connected to the rear cover 43. A through hole 42h (see FIG. 13) may be formed in the drum 42 so that water can exchange between the washing tank 4 and the water storage tank 3.

세탁조(4)는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여기서의 "수평"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기하학적인 수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수직보다는 수평에 가까운 경우인 바, 세탁조(4)가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고 하기로 한다.The washing tub 4 is rotated around a horizontal axis. Here, “horizontal” does not mean geometrical horizontal in the strict sense, and as shown in FIG. 1, even when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horizontal, it is closer to horizontal than vertical, so the washing tub 4 is Let us say that it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드럼(42)은 전방에서 바라볼 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지점들에 상기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된 리프터(20)를 각각 구비한다. 리프터(20)는 다수개가 드럼(42)의 내주면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드럼(42)의 중심(O)에 대해 일정한 각도(등각)로 배치된다.The drum 42 is provided with lifters 20 formed by processing the metal sheet at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plurality of lifters 20 extend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and are preferably arranged at a constant angle (equal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 of the drum 42.

각각의 리프터(20)는 금속 판재를 드럼(42)의 내측으로 10mm 이상 돌출시켜, 드럼(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가압하여 형성한 제 1 돌출부(21)와 제 2 돌출부(22)를 포함한다.Each lifter 20 has a first protrusion 21 and a second protrusion 22 formed by protruding a metal plate 10 mm or more inside the drum 42 and pressing it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42. Includes.

제 1 돌출부(21)와 상기 제 2 돌출부(22)는, 드럼(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선 상에 정렬되고, 제 2 돌출부(22)의 전단은 상기 제 1 돌츨부(21)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리프터(20)를 하나로 길게 형성하지 않고,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둘출부(21, 22)의 조합으로 구성함으로써 드럼(42)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살펴보자.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 are aligned o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42,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22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1. It is separated from The rigidity of the drum 42 is improved by forming the lifter 20 as a combination of two protrusions 21 and 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ather than forming the lifter 20 as one long piece. In this regard, let's look at Figure 8.

도 8은 비교예 1의 드럼에서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 것(a)과 비교예 2의 드럼에서의 응력 분포를 도시한 것(b)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비교예 1의 드럼(42)에는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리프터 2개(421, 422)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42)에 외력을 가하였을 시 리프터(421, 422)에 응력이 집중됨을 알 수 있다. (붉은 색일수록 응력이 큰 것임.)Figure 8 shows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drum of Comparative Example 1 (a) and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drum of Comparative Example 2 (b). In the drum 42 of Comparative Example 1 shown in (a) of FIG. 8, two lifters 421 and 422 consisting of one protrusion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a) of FIG. 8, it can be seen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rum 42,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lifters 421 and 422. (The redder the stress, the greater the stress.)

반면에, 도 8의 (b)에 도시된 비교예 2의 드럼(42)은 드럼(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 1 돌출부(423)와 제 2 돌출부(424)의 조합에 의해 리프터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비교예의 1과 비교하여 돌출부(423, 424)에 작용하는 응력이 작음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실험에 의하면, 리프터(20)가 하나의 긴 돌출부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각각 드럼(4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15mm이상이다.On the other hand, the drum 42 of Comparative Example 2 shown in (b) of FIG. 8 has a lifter by a combination of the first protrusion 423 and the second protrusion 424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42. is configured, and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acting on the protrusions 423 and 424 is small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That is, according to this experimen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lifter 20 consists of one long protrusion, the lifter 20 is composed of two protrusion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drum 4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some case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effect of dispersing stress. The gap is preferably 15 mm or mor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을 전개한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리프터가 하나로 길게 이루어진 경우의 밴딩 모멘트와 그에 따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것(a), 리프터가 두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경우의 밴딩 모멘트와 그에 따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것(b),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보강홈이 형성된 경우(c)의 밴딩 모멘트와 그에 따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것(c)이다.Figure 9 shows a portion of an expanded dr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the bending moment and the resulting deformation form when the lifter is made up of one long protrusion (a), and the bending moment and the resulting deformation form when the lifter consists of two protrusions (b). (c) shows the bending moment and the resulting deformation in the case where a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c).

도 9 내지 도 10에는, 실시예와 같이 리프터(20)가 제 1 돌출부(21)와 제 2 돌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드럼(42)에 외력이 가해질 시 제 1 돌출부(21)와 제 2 돌출부(22) 사이 영역에서 X, Y, Z 방향으로 작용하는 벤딩 모멘트들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표시된 τ1, τ2, τ3 은 드럼에 작용하는 스트레스(stress)를 표시한 것이고, "+", "-" 는 밴딩 모멘트 또는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9 to 10 , in the case where the lifter 2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1 and a second protrusion 22 as in the embodimen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rum 42, the first protrusion Bending moments acting in the X, Y, and Z directions in the area between (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 are indicated. And, τ1, τ2, and τ3 shown in FIG. 10 indicate the stress acting on the drum, and “+” and “-”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nding moment or stress acts.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20)가 하나의 긴 돌출부로 이루어진 경우 (a)가 다른 경우들에 비해, X방향으로 작용하는 벤딩 모멘트(M1-x)가 가장 크며(M1-x > M2-x > M3-x), (b)의 경우가 (a)의 경우에 비해 변형이 작기는 하나, (b)의 경우보다 (c)의 경우가 더 변형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21)와 제 2 돌출부(22) 사이(즉, 제 1 돌출부(21)의 후단과 제 2 돌출부(22)의 전단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영역)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홈(25)을 형성하는 것이 드럼(42)의 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점은, 도 12에 도시된 보강홈이 있는 경우(a)와 없는 경우(b)의 응력 분포를 비교해 보더라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lifter 20 is made of one long protrusion (a), the bending moment (M1-x) acting in the X direction is the largest compared to the other cases (M1-x > M2-x > M3-x),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 deformation in case (b) is smaller than that in case (a), the deformation in case (c) is smaller than in case (b). That i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 (i.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22). Forming the reinforcement groove 25 is advantageous in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drum 42. This can be seen by comparing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case with (a) and without (b) the reinforcement groove shown in FIG. 12.

보강홈(25)은 드럼(42)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보강홈(25)은 드럼(42)을 이루는 금속판재를 밴딩 또는 프레싱하여 형성된 것이다. 따라써, 보강홈(25)에 의해 드럼(42)의 내주면 상에는 오목면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드럼(42)의 외주면 상의 지점에는 볼록면이 형성된다.The reinforcement groove 25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Specifically, the reinforcement groove 25 is formed by bending or pressing the metal plate forming the drum 42. Accordingly, a concave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by the reinforcement groove 25, and a convex surface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in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보강홈(25)은 드럼(4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는 드럼(42)의 외주면에 오목면이 형성되고, 드럼(42)의 내주면에는 볼록면이 형성될 것이다.However, the reinforcement groove 25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and in this case, a concave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and a convex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A face will be formed.

보강홈(25)이 드럼(42)의 강성에 미치는 영향은, 보강홈(25)의 깊이, 개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드럼(42)의 강성은, 보강홈(25)의 깊이가 2mm일 때보다 3mm일 때, 보강홈(25)의 개수가 2개 일때보다는 3개일 때, 보강홈(25)의 길이가 50mm일 때보다는 70mm일 때 더 향상됨을 알 수 있다.The influence of the reinforcement grooves 25 on the rigidity of the drum 42 varies depending on the depth, number, and length of the reinforcement grooves 25. Referring to FIG. 11, the rigidity of the drum 42 is higher when the depth of the reinforcement groove 25 is 3 mm rather than 2 mm, and when the number of reinforcement grooves 25 is 3 rather than 2, the reinforcement groove 25 ) can be seen to be more improved when the length is 70mm than when it is 50mm.

특히, 드럼(42)의 강성에 미치는 영향은, 보강홈(25)의 길이, 수, 높이 순으로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를 고려할 시, 보강홈(25)은 길이는 70mm 이상, 개수는 복수개(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깊이는 3mm 이상 10mm미만(돌출부(21, 22) 보다는 낮아야 하므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n the rigidity of the drum 42 is greater in the order of length, number, and height of the reinforcement grooves 25. Considering this, it is desirable that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grooves 25 be 70 mm or more, the number of reinforcement grooves 25 should be multiple (preferably 3 or more), and the depth should be 3 mm or more and less than 10 mm (since it should be lower than the protrusions 21 and 22).

다수개의 보강홈(25)은 드럼(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으며, 인접한 보강홈(25)들 사이는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grooves 25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42, and the space between adjacent reinforcement grooves 25 may be flat.

드럼(42)의 내주면 상에는, 다수개의 리프터(20) 중에서 임의로(또는, 무작위로) 선정한 인접한 한 쌍의 리프터(20) 사이에, 다수개의 리프터(20) 중 임의의 어느 하나보다 더 높은 돌출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인접한 한 쌍의 돌출부(20)를 어떻게 취하더라도 이들 사이에 돌출부(20) 보다 더 높이까지 돌출된 구조물은 존재하지 않는다.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between a pair of adjacent lifters 20 randomly (or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ifters 20, a protruding structure is higher tha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fters 20. does not exist. In other words, no matter how a pair of adjacent protrusions 20 are taken, there is no structure protruding higher than the protrusions 20 between them.

드럼(42)의 내주면 상에는 복수의 엠보싱(425)이 구비될 수 있다. 엠보싱(425)은 기 내주면 상에 형성된 돌출구조로써, 드럼(42) 내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복수의 리프터(20) 중 어느 것보다도 낮다. 드럼(42)의 내주면 상에는, 다수개의 돌출부(20) 중에서 임의로 선정한 인접한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다수개의 엠보싱(425) 중 적어도 하나 이외에는 돌출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A plurality of embossings 425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The embossing 425 is a protruding structu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chine, and the height of the embossing 425 protruding inside the drum 42 is lower than that of any of the plurality of lifters 20.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42, there is no protruding structure other tha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mbossings 425 between a pair of adjacent protrusions arbitrarily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

엠보싱(425)은 드럼(4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엠보싱(425)는 그 크기 및/또는 높이가 일정할 필요는 없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42)의 길이 방향으로 그 크기가 점차점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는 복수의 엠보싱(425)이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425)의 높이는 5mm 이하이다.The embossing 42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um 42, and the plurality of embossings 425 do not need to be constant in size and/or height, and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embossings 42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um 42. A plurality of embossings 425 may be formed whose size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embossing 425 is 5 mm or less.

한편, 드럼(42)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의 금속판재를 가공한 것으로써, 두께가 0.4 내지 0.6mm일 수 있다. 직사각형의 금속판재를 둥글게 말아 양단을 서로 접합(예를 들어, 용접)함으로써, 원통형의 드럼(4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재는 바람직하게는 STS430 계열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drum 42 is made by processing a metal plate of stainless steel, and may have a thickness of 0.4 to 0.6 mm. The cylindrical drum 42 can be formed by rolling up a rectangular metal plate and joining (for example, welding) both ends to each other. The metal plate is preferably STS430 seri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케이싱(1)의 전면에는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가 케이싱(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급수밸브(5), 급수관(5), 급수호스(8)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밸브(5)가 개방되어 급수가 이루어질 시, 급수관(5)을 통과한 세탁수가 디스펜서(14)에서 세제와 혼합된 다음, 급수호스(8)를 통하여 저수조(3)로 공급될 수 있다.A laundry inlet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casing (1), and a door (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aundry inle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casing (1). A water supply valve (5), a water supply pipe (5), and a water supply hose (8)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ing (1). When the water supply valve (5) is opened and water is supplied, the wash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5) is mixed with detergent in the dispenser (14) and then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 through the water hose (8).

펌프(11)의 입력포트는 배출 호스(10)에 의해 저수조(3)와 연결되고, 펌프(11)의 토출포트는 배수관(12)과 연결된다. 저수조(3)로부터 배출 호스(10)를 통해 배출된 물이 펌프(11)에 의해 압송되어 배수관(12)을 따라 유동된 후,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The input port of the pump 11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 by the discharge hose 10,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pump 11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2.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torage tank 3 through the discharge hose 10 is pumped by the pump 11, flows along the drain pipe 12, and is then discharged outside the washing machine.

도 7은 드럼의 회전속도에 따른 포의 유동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한다. 드럼(42)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드럼(42) 내에 투입된 포에 작용하는 힘들은, 드럼(42)의 회전에 의해 유발된 원심력(Fc), 중력(Fg), 리프터(20)로부터 가해지는 지지력(lifting force, Fn)을 들 수 있다.Figure 7 shows the flow of foam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Hereinafter, refer to FIG. 7.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drum 42, the forces acting on the cloth inserted into the drum 42 are centrifugal force (Fc)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42, gravity (Fg), and force applied from the lifter 20. Lifting force (Fn) can be mentioned.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42)이 저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원심력(Fc)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리프터(20)에 의해 포가 어느 정도 높이까지 퍼올려져, 원심력(Fc)과 지지력(Fn)이 중력(Fg)을 감당하지 못하게 되면 포가 리프터(2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드럼(42)으로부터 분리되어 아래로 떨어지거나, 드럼(42)을 따라 구르면서 하강)된다. 이러한 포의 유동을 롤링 모션(rolling motion)이라고 정의한다.As shown in (a) of FIG. 7, when the drum 42 is rotated at low speed, the centrifugal force (Fc) is relatively small, so the fabric is lift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lifter 20, and the centrifugal force (Fc) ) and the support force (Fn) cannot handle the gravity (Fg), the gun is separated from the lifter 20 and falls (separated from the drum 42 and falls down, or falls while rolling along the drum 42). This movement of the fabric is defined as rolling motion.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비해 드럼(42)의 회전속도가 더 큰 상태로서, 포가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한 후 낙하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특히, 포가 낙하하는 위치가 드럼의 최저점으로부터 회전각도 90도 이상이며, 이러한 포의 유동을 이하 텀플링 모션(tubling motion)이라고 정의한다.In Figure 7(b),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42 is greater than in Figure 7(a), and the gun rises to a higher position and then falls. In particular, the position where the cloth falls is at a rotatio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and this movement of the cloth is hereinafter defined as tumbling motion.

드럼(42)의 회전속도가 더 증가하면 종국적으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가 드럼(42)의 최고점에서도 낙하되지 않고 드럼(42)에 달라붙은 상태로 회전되게된다. 도 7의 (c)와 같은 형태의 포붙임이 유발될 수 있는 드럼(42) 회전속도의 최저값을 이하, 포붙임속도(Vf)라고 정의한다.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42 further increases, the gun does not fall even at the highest point of the drum 42 and rotates while sticking to the drum 42, as shown in (c) of FIG. 7. The lowest valu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42 that can cause wrapping of the type shown in (c) of FIG. 7 is hereinafter defined as the wrapping speed (Vf).

드럼(42)에 리프터(20)가 없는 경우에는 지지력(Fn)이 소거되기 때문에, 포에 작용하는 힘은 원심력(Fc)과 중력(Fg)만 남게된다. 이 경우, 포붙임속도(vf)는 원심력과 중력을 등가로 놓은 평형 방정식으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상기 평형 방정식의 양변에서 포의 질량은 상쇄되기 때문에, 포붙임속도(Vf)는 포의 질량과는 무관하고 드럼의 직경에 종속적인 값이 되어, 드럼의 직경을 알면 구할 수 있는 정해진 값이다.When there is no lifter 20 in the drum 42, the support force (Fn) is eliminated, so only centrifugal force (Fc) and gravity (Fg) remain as the forces acting on the cloth. In this case, the packing speed (vf) can be obtained from the balance equation that equates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Since the mass of the cloth is canceled on both sides of the above balance equation, the cloth loading speed (Vf) is independent of the mass of the cloth and becomes a value dependent on the diameter of the drum, and is a fixed value that can be obtained by knowing the diameter of the drum.

그런데, 드럼(42)에 리프터(20)가 형성된 경우에는 지지력(Fn)이 더 작용하기 때문에, 포붙임속도(Vf)는 일반적으로 리프터(20)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낮아지게된다. 이때의 포붙임속도(Vf)는 리프터(2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것이나, 드럼(42)의 직경이 24 내지 27인치(inch)이고 리프터(돌출부)의 높이가 40mm 이상인 통상의 세탁기에서 포붙임속도(Vf)는 대략 5560rpm 이하이다.However, when the lifter 20 is formed on the drum 42, the support force Fn acts more, so the wrapping speed Vf is generally lower than when the lifter 20 is not applied. The laundry speed (Vf) at this time will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lifter 20, but can be used in a typical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drum 42 has a diameter of 24 to 27 inches and the height of the lifter (protrusion) is 40 mm or more. The speed (Vf) is approximately 5560rpm or less.

세탁력은 포의 굴신, 마찰, 낙차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러한 요인들은 드럼(42)의 회전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며, 특히, 롤링이나 텀블링 모션과 같이 포의 낙차 또는 드럼에 대한 상대 운동(또는, 드럼 내에서의 유동)이 유발되되, 이때의 드럼(42)의 회전속도가 높을수록 세탁력 강화에 유리하다.Washing power is determin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flexion, friction, and drop of the cloth. The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42, and in particular, the drop of the cloth or relative to the drum, such as rolling or tumbling motion. Movement (or flow within the drum) is induced, and the higher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42 at this time,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enhance washing power.

이러한 측면에서, 종래에 비해 더 높은 속도로 드럼(42)을 회전시키면서도 포붙임속도(Vf)는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돌출부(21, 22)의 높이(h1, 즉, 드럼(42)의 내측으로 돌출된 높이)를 종래에 비해 낮추어 지지력(Fn)을 줄였다. 이때의 제 1 돌출부(21) 및 제 2 돌출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h) 는, 드럼(42) 직경(D)과 비교하면 직경(D)의 2.0 내지 6.0%이고, 절대치로는 대략 10 내지 30mm이다. 이때, 돌출부(21, 22)는 기저로부터 꼭대기까지의 높이(h)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돌출부(21) 및 제 2 돌출부(2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저로부터 상기 꼭대기로 단계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wrapping speed (Vf) while rotating the drum 42 at a higher speed than before. In this re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height (h1, that is, the height protruding inside the drum 42) was lower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o reduce the bearing force (Fn). At this time, the height (h)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 is 2.0 to 6.0% of the diameter (D) compared to the diameter (D) of the drum 42, and in absolute value, It is approximately 10 to 30 mm. At this time,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s 21 and 22 from the base to the top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increase at a constant rate. That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 can be raised stepwise from the base to the top.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조의 횡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조의 종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한다.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washing tank shown in Figure 1.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washing tank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ure 3. Hereinafter, refer to FIGS. 2 to 4.

드럼(42)의 전방에서 바라볼 시, 리프터(20)는 드럼(42)의 원주방향으로의 폭보다 드럼(42)의 길이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긴 형태이다. 이들 리프터(20)는 드럼(42)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며, 실시예에서는 3개의 리프터(20)가 드럼(42) 중심에 대해 120도의 등각도로 배치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drum 42, the lifter 20 has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drum 42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drum 4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se lifters 20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rum 42. In the embodiment, three lifters 20 are arranged at an isometric angle of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rum 42, but this is not necessarily limited. .

리프터(20)는 드럼(42)과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금속판재를 소성 가공하여 리프터(20)를 형성할 수 있다.The lifter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um 42. For example, the lifter 20 can be formed by plastic processing a metal plate.

리프터(20)와 포 간의 접촉면적(또는, 리프터(20)가 포에 지지력(Fn)을 작용하는 면적)을 넓혀 포를 퍼올리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리프터(20)의 길이가 적절해야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발명은 리프터(2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L1)가 드럼(42) 길이(L0)의 50 내지 100%인 것을 제안한다. 특히, 리프터(20)의 길이(L1)가 드럼(42) 길이(L0)의 50%에 근접한 경우에도, 리프터(20)가 드럼(42)의 전방과 후방을 아우르며 배치될 수 있도록, 리프터(20)의 전단이 드럼(42)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도록 리프터(2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smoothly lift the fabric by expand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ifter 20 and the fabric (or the area where the lifter 20 applies support force (Fn) to the fabric), the length of the lifter 20 must be appropriate. In this respect,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length L1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lifter 20 is 50 to 100% of the length L0 of the drum 42. In particular, even when the length (L1) of the lifter (20) is close to 50% of the length (L0) of the drum (42), the lifter (20) can be arranged encompass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drum (42). It is better to install the lifter 20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drum 42 is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drum 42.

구체적으로, 드럼(42)은 전단과 후단에 각각 평평한 전단 밴드부(42a)와 후단 밴드부(42b)가 형성되고, 리프터(20)는 전단 밴드부(42a)와 후단 밴드부(4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um 42 is formed with a flat front band portion 42a and a rear band portion 42b at the front and rear ends, respectively, and the lifter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band portion 42a and the rear band portion 42b. there is.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터(20)는, 전방에서 볼 시, 드럼(42)의 내주면 상의 제 1 지점(P1)에서 상기 내주면과 양의 제 1 각도(+θ)를 이루는 제 1 측면부(210)와, 상기 내주면 상에서 제 1 지점(P1)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 2 지점(P2)에서 상기 내주면과 음의 제 2 각도(-θ)를 이루는 제 2 측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각도 및 상기 제 2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17.5도 이하이다. 이하, 각도 θ를 측면 각도라고 정의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lifter 20 has a first side portion forming a positive first angle (+θ)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first point P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42 when viewed from the front. (210) and a second side portion 220 forming a negative second angle (-θ)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second point (P2)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P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You can. 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is 17.5 degrees or less. Hereinafter, angle θ is defined as a side angle.

실시예에서는, 제 1 측면부(210)와 제 2 측면부(220 )가 대칭인 형태이고,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the first side portion 21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20 are symmetrical, and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have the same siz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5는 돌출부의 높이에 따른 포붙임속도(Vf)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돌출부의 높이와 측면각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 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터(20)의 높이(h)가 높을수록 포붙임속도(Vf)는 낮아진다는 점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리프터(20)의 높이(h)가 5mm 이하인 경우 포붙임속도(Vf)가 높아서 세탁성능이 좋을 것 같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wrapping speed (Vf)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Figure 6 is a diagram used to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and the side angle. First, Figure 5 shows that, as described above, the higher the height (h) of the lifter 20, the lower the wrapping speed (Vf). However, when the height (h) of the lifter 20 is 5 mm or less, the laundry attachment speed (Vf) is high, so it seems that washing performance is good, but in reality, this is not the case.

리프터(20)의 높이(h)가 5mm 이하가 되면, 리프터(20)의 지지력(Fn)이 너무 작아서, 드럼(42) 포붙임속도(Vf)에 미치지 못한 상태에서는, 포가 거의 제자리에서 구른다거나 매우 작은 회전각도구간 내에서 상하로만 이동하는 거동을 보이다가, 상기 포붙임속도(Vf)에 이르면 갑자기 드럼(42)에 달라 붙기 시작한다. 이러한 형태의 포의 유동은 포량이 작을수록 심화되며, 포의 낙차나 굴신이 원활하게 유도되지 못하기 때문에 세탁력이 좋지 못하다. 이런 이유로, 리프터(20)의 높이(h)는 적어도 5mm 보다는 커야하며,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이다.When the height (h) of the lifter (20) is 5 mm or less, the support force (Fn) of the lifter (20) is so small that the gun rolls almost in place when it does not reach the drum (42) gun loading speed (Vf). It shows the behavior of moving only up and down within a very small rotation angle section, but suddenly begins to stick to the drum 42 when it reaches the above-described packing speed (Vf). The flow of this type of fabric becomes worse as the amount of fabric becomes smaller, and the washing power is poor because the fabric is not smoothly induced to drop or bend. For this reason, the height h of the lifter 20 should be at least 5 mm greater, and preferably greater than 10 mm.

그리고, 리프터(20)의 높이(h)는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포붙임속도(Vf)가 대략 65rpm 이상이 되어, 종래 높이인 40mm일 시의 55rpm에 비하여 대략 18%의 포붙인속도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 of the lifter 20 is preferably 30 mm or less. In this case, the wrapping speed (Vf) is approximately 65 rpm or more, and the wrapping speed is approximately 18% compared to 55 rpm at the conventional height of 40 mm. An increase in speed can be expected.

드럼(42)의 직경(D)별로, 리프터(20)의 높이(h)의 하한(LSL)과 상한(USL)의 바람직한 수치들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드럼(42)의 직경은, 드럼(42)의 내경, 외경, 또는 내경과 외경의 중간 값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The preferred values of the lower limit (LSL) and upper limit (USL) of the height (h) of the lifter 20 for each diameter (D) of the drum 42 are as follows. Here, the diameter of the drum 42 may be any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drum 42, the outer diameter, or an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드럼 직경(D(mm)) Drum diameter (D(mm)) LSL(mm)LSL(mm) USL(mm)USL(mm) 484484 10.010.0 30.030.0 515515 10.610.6 30.930.9 575575 11.811.8 34.534.5 590590 12.112.1 35.435.4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터(20)의 높이(h)가 5mm 보다 작고, 측면각도(θ)가 17.5도 보다 작은 영역(A에서는 경우에는 포의 롤링이나 텀블링이 유발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20)의 높이(h)가 5mm인 경우에도 롤링이나 텀블링을 유발할 수 있도록 측면각도(θ)는 적어도 17.5mm인 것이 좋다.도 6에 표시된 영역(B)는 리프터(20)의 높이(h)가 5mm 이상이고, 측면각도(θ)가 17.5 이상인 영역을 표시한 것으로써, 이 영역에서는 포의 롤링이나 텀블링 모션을 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모션에 의한 세탁 성능이 보다 더 강화될 수 있는 리프터(20)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in the area (A) where the height (h) of the lifter 20 is less than 5 mm and the side angle (θ) is less than 17.5 degrees, rolling or tumbling of the gun cannot be caused. Therefore, even if the height h of the lifter 20 is 5 mm, the side angle θ is preferably at least 17.5 mm to prevent rolling or tumbling. The area B shown in Figure 6 is the lifter ( 20) indicates an area where the height (h) is 5 mm or more and the side angle (θ) is 17.5 or more, and it is possible to cause rolling or tumbling motion of the fabric in this area. However, washing by such motion The height of the lifter 20, where performance can be further enhanced, is preferably 10 mm or more.

한편,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곡선은 롤링이나 텀블링이 유발될 수 있는 측면각도(θ)의 임계값들을 연결한 것이다.Meanwhile, the curve shown as a dotted line in FIG. 6 connects the threshold values of the side angle (θ) that can cause rolling or tumbl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patent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케이싱;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회전 중심선이 상기 케이싱의 후면을 통과하는 세탁조; 그리고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는:
원통형의 드럼;
상기 드럼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후면커버; 그리고
상기 드럼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프터는:
제1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프터는
상기 드럼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10 내지 30mm 돌출된 세탁기.
casing;
a water storage tank disposed within the casing;
a washing tank rotatably disposed within the water storage tank, the rotation center line of which passes through the rear of the casing; and
Including a motor that rotates the washing tub,
The washing machine is:
Cylindrical drum;
A rear cove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drum and connected to the motor; and
It is provided on the drum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fters protruding inside the drum,
At least one lifter among the plurality of lifters:
first protrusion; and
It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spaced rear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The plurality of lifters
A washing machin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um and protruding 10 to 30 mm inside the dru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후단은 상기 제2 돌출부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is located ahead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전후 방향에서 정렬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alig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홈은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제1 돌출부의 후단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전단 사이에 배치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ement groov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he reinforcement groove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홈은,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리프터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use 4,
The reinforcement groove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um and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lift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홈은,
상기 드럼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상기 리프터를 원주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reinforcement groove is,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lifter moves circumferentially across the drum when viewed from the fron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홈의 길이는 70mm 이상인 세탁기.
According to clause 5,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length of the reinforcement groove is 70 mm or mor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홈은,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use 4,
The reinforcement groove is,
A washing machine in which a plurality of drums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홈의 깊이는 3mm 이상 10mm 미만인 세탁기.
According to clause 4,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depth of the reinforcement groove is 3 mm or more and less than 10 mm.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다수개의 보강홈 사이가 평평한 세탁기.
According to clause 8,
The drum is a washing machine where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grooves is fla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홈은 제1 보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홈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use 8,
The reinforcement groove includes a first reinforcement groove,
The first reinforcement groove is,
A washing machin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to mak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convex.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A washing machine wherein the plurality of lifter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u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돌출 높이가 단계적으로 상승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er is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protrusion height increases step by ste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복수의 리프터 영역 사이에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5mm 이하로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되는 엠보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 영역에 상기 복수의 리프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리프터보다 더 높은 돌출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rum includes an embossing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embossings protruding by 5 mm or less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lifter areas,
A washing machine in which no protruding structure higher tha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fters exists in the embossing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후단과 상기 제 2 돌출부의 전단 사이의 간격은 15mm 이상인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A washing machine wherein the gap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is 15 mm or more.
KR1020230148845A 2018-08-30 2023-11-01 Washing machine KR202301553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8845A KR20230155391A (en) 2018-08-30 2023-11-01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078A KR102598647B1 (en) 2018-08-30 2018-08-30 Washing machine
KR1020230148845A KR20230155391A (en) 2018-08-30 2023-11-01 Washing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078A Division KR102598647B1 (en) 2018-08-30 2018-08-30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391A true KR20230155391A (en) 2023-11-10

Family

ID=698004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078A KR102598647B1 (en) 2018-08-30 2018-08-30 Washing machine
KR1020230148845A KR20230155391A (en) 2018-08-30 2023-11-01 Washing machi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078A KR102598647B1 (en) 2018-08-30 2018-08-30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864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7957A1 (en) * 2002-06-22 2004-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 clothes drum has two part lifters axially separated at slightly different radial positions to increase tumbling effect
KR20130123540A (en) * 2012-05-03 2013-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Drum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7099723A (en) * 2015-12-02 2017-06-08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Drum-type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647B1 (en) 2023-11-06
KR20200025557A (en)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647B1 (en) Washing machine
EP2513367B2 (en)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having a gasket
JP6932178B2 (en)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KR102598648B1 (en)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AU2019332488B2 (en) Washing machine
US20210355622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50116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RU2773928C1 (en) Washing machine
RU2782386C2 (en) Washing machine
EP369010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498037B1 (en) Cloth Treating Apparutus
EP369010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14551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40154356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11629447B2 (en) Drum-type washing apparatus
US1141480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1519393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957790A1 (en) A washing machine having a tub with ribs
KR101680659B1 (en) Washing machine
KR20200085636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5161958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