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882A - Assembly toy - Google Patents

Assembly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882A
KR20230153882A KR1020220069478A KR20220069478A KR20230153882A KR 20230153882 A KR20230153882 A KR 20230153882A KR 1020220069478 A KR1020220069478 A KR 1020220069478A KR 20220069478 A KR20220069478 A KR 20220069478A KR 20230153882 A KR20230153882 A KR 2023015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insertion groove
insertion protrusion
prefabricated toy
ce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준
Original Assignee
김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준 filed Critical 김석준
Publication of KR2023015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88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허브 및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허브와 연결부 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즉,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의 색체에 대한 지각능력 강화와 창의적 상상, 계몽교육, 심미적 인식 향상, 창의력 능력 향상, 둥글둥글한 모서리 처리로 인한 긁힘 방지 등을 가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방향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형상의 조립 완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하고, 일정길이의 연결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oy, which is composed of a hub and a connection part, and forms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hub and the connection part, thereby strengthening the color perception ability of the user, such as an infant or child, and providing creative imagination and enlightenment education. The purpose is to improve aesthetic perception, improve creativity, and prevent scratches due to rounded edge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multiple directions and supporting the formation of assembly toys of various shape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ub and configured to support a connection of a certain length.

Description

조립식 완구{ASSEMBLY TOY}Assembled toy {ASSEMBLY TOY}

본 발명은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브 및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허브와 연결부 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즉,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의 색체에 대한 지각능력 강화와 창의적 상상, 계몽교육, 심미적 인식 향상, 창의력 능력 향상, 둥글둥글한 모서리 처리로 인한 긁힘 방지 등을 가지도록 하는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oy,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efabricated toy, which is composed of a hub and a connection part, and forms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hub and the connection part, thereby strengthening the color perception ability of the user, such as an infant or child, and It is about a prefabricated toy that promotes creative imagination, enlightenment education, improved aesthetic awareness, improved creativity, and prevents scratches due to rounded edges.

일반적으로 조립식 완구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블록을 서로 조립하여 임의의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general, prefabricated toys are designed to create arbitrary sculptures by assembling multiple unit blocks of various shapes.

이러한 조립식 완구는 어린이의 상상력에 따라 조립 및 분해를 통하여 다양한 조형물을 반복적으로 조립해 볼 수 있음과 함께 조형물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어린이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또는 어린이의 유희뿐만 아니라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이 되고 있다.These prefabricated toys allow children to repeatedly assemble various sculptures b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m according to their imagination, and can develop children's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culptures, so they are not only for entertainment for infants or children, but also for education. It is also widely used for this purpose.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완구의 대표적인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립식 완구는 상면에 돌기(1)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돌기(1)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단위블록들로 구성되며, 하측에 위치된 단위블록의 돌기가 상부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다수의 단위블록들을 조립하여 다양한 조형물을 만들게 된다.Figure 1 show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 This prefabricated toy is composed of unit blocks with protrusions 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grooves into which the protrusions 1 can be inserted on the lower surface. Various sculptures are created by assembling multiple unit blocks in such a way that the protrusions of the unit block located on the lower side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the unit block located on the upper side.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완구는 단위블록들을 상하 적층하여 조립하는 방식위주이기 때문에 단위블록들을 평면상에서 연결 조립하는 것이 부자연스러워 조립할 수 있는 조형물이 한정되고 다양한 조형물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s are based on a method of assembling unit blocks by stacking them up and down, it is unnatural to connect and assemble unit blocks on a plane, so the number of sculptures that can be assembled is limited an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sculptures.

도 2는 종래 조립식 완구의 다른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완구는 상면의 돌기(1)와 저면의 홈뿐만 아니라 측면부에 서로 조립이 가능한 톱니 형상의 수링크(2)와 암링크(3)가 형성된 단위블록들로 구성되며, 상하 조립뿐만 아니라 좌우 수평 조립이 자연스러워 상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조립식 완구에 비하여 다영한 조형물을 보다 쉽게 만들 수 있다.Figure 2 show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 This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 not only has a protrusion (1) on the upper surface and a groove on the lower surface, but also has a serrated male link (2) and an female link (2) that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s. 3) It is composed of unit blocks formed, and not only up and down, but also left and right horizontal assembly is natural,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various sculptures more easily than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 shown in FIG. 1.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완구도 어느 하나의 단위블록에 다른 하나의 단위블록을 조립하게 되면 조립된 단위블록 상호 간에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다양한 조형물을 표현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음과 함께 조립이 완료된 조형물의 형상을 전혀 변형시킬 수가 없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조형물을 형상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s, when one unit block is assembled with another unit block, rotation between the assembled unit blocks becomes impossible, so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expressing various sculptures and the shape of the assembled sculpture is still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hape a sculpture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because it cannot be transformed at all.

등록실용신안 제20-461024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4610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브 및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허브와 연결부 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즉,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의 색체에 대한 지각능력 강화와 창의적 상상, 계몽교육, 심미적 인식 향상, 창의력 능력 향상, 둥글둥글한 모서리 처리로 인한 긁힘 방지 등을 가지도록 하는 조립식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olor protection to the user, that is, infants or children, by forming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hub and the connection part, which consists of a hub and a connection part. The purpose is to provide prefabricated toys that enhance perceptual ability, creative imagination, enlightenment education, improve aesthetic awareness, enhance creativity, and prevent scratches due to rounded edg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방향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형상의 조립 완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하고, 일정길이의 연결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ub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multiple directions and supporting the formation of assembly toys of various shape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ub and configured to support a connection of a certain length.

본 발명에 있어서, 허브는,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동심원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외형을 형성하는 환테부와; 상기 중앙부와 환테부 사이에 구성되는 리브와; 상기 환테부의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돌기; 및 상기 환테부의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b includes a central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A ring rim forming an outer shap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a concentric circle in the central portion; A rib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ring rim;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nular portion and have a certain length;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with a certain depth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nulus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부는, 중앙면과; 상기 중앙면의 일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돌기; 및 상기 중앙면의 타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rtion includes a central surface;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central surface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certain depth at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surface so that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삽입돌기 또는 제2삽입돌기의 일단에는 타방의 삽입홈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라운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or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ncludes a rounding configured to enable smooth insertion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삽입홈에는 타방의 삽입돌기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폭의 개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preferably includes an open surface of a certain width so that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can be smoothly inserted.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부는,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에서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3삽입돌기; 및 상기 축부의 타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3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shaft portion formed of a certain length; a third insertion protrusion formed at a certain length at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certain depth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allow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to be inserted.

본 발명에 의하면, 허브 및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허브와 연결부 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즉,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의 색체에 대한 지각능력 강화와 창의적 상상, 계몽교육, 심미적 인식 향상, 창의력 능력 향상, 둥글둥글한 모서리 처리로 인한 긁힘 방지 등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osed of a hub and a connection part, and forms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hub and the connection part, thereby strengthening the color perception ability of the user, such as an infant or child, and improving creative imagination, enlightenment education, and aesthetic awareness. , has the effect of improving creativity and preventing scratches due to rounded edges.

도 1는 종래의 조립식 완구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완구의 다른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조립 일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의 도면으로서, 4a는 정면도, 4b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의 요부확대도로서,
5a는 중앙부 단면도, 5b는 제2삽입돌기 확대도, 5c는 제2삽입홈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완구의 조립 형상으로서,
7a는 단순한 조합이고, 7b는 창의적 조합이며, 7c는 한글 조합.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toy.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ssembly of a prefabricat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a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4a is a front view and 4b is a side view.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central cross-sectional view, 5b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and 5c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Figure 6 is a diagram of a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assembled shape of the prefabricated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simple combination, 7b is a creative combination, and 7c is a Korean combin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ambiguous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t is used in a non-excluding sense.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Additionally,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schematic diagram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each drawing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hown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조립식 완구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0) 및 연결부(20)로 구성되어, 상기 허브(10)와 연결부(20) 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즉,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의 색체에 대한 지각능력 강화와 창의적 상상, 계몽교육, 심미적 인식 향상, 창의력 능력 향상, 둥글둥글한 모서리 처리로 인한 긁힘 방지 등을 가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3 to 7, the prefabricated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ub 10 and a connection part 20, and forms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hub 10 and the connection part 20, Users, that is, infants and children, are encouraged to strengthen their perception of colors, have creative imagination, enlightenment education, improve aesthetic awareness, improve creativity, and prevent scratches due to rounded edges.

상기 허브(10)는 상기 허브(10) 또는 연결부(20)의 다양한 각도에 대한 연결,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ub 10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connection and assembly of the hub 10 or the connection portion 20 at various angles.

상기 허브(10)는 대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The hub 10 is general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또한, 상기 허브(10)는 원형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부(110)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hub 1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0 formed at the center of a circle.

상기 중앙부(110)는 허브(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중심점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다른 허브(10) 또는 연결부(20)와의 연결을 지지함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The central portion 1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ub 10 and has a central point, thereby supporting connection with other hubs 10 or connection portions 20 and supporting rotation.

상기 중앙부(1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가지고,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중앙면(112)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A, the central portion 110 has a certain thickness and a central surface 112 is formed to have a certain area.

또한, 상기 중앙면(112)의 일단에는 일정높이 돌출되어 다른 허브(10) 또는 연결부(2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제1삽입돌기(11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11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ral surface 112, which protrudes at a certain height and supports the insertion of one end of the other hub 10 or the connecting portion 20.

또한, 상기 중앙면(110)의 타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다른 허브(10) 또는 연결부(2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제1삽입홈(116)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insertion groove 116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at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surface 110 to support insertion of one end of the other hub 10 or the connecting portion 20.

상기 제1삽입돌기(114) 및 제1삽입홈(116)은 다른 허브(10) 또는 연결부(20)에 형성된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이 상호 계합이 이루어져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14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6 allow the insertion protrusion or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other hub 10 or the connection part 20 to engage with each other to enable assembly.

상기 허브(10)는 상기 중앙부(110)와 동심원이면서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환테부(120)를 포함한다.The hub 10 includes an annular portion 120 that is concentric with the central portion 110 and is formed to form an outer shape.

상기 환테부(120)는 상기 중앙부(110)와 동심원이면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허브(10)에 대한 외형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ring portion 120 is concentric with the central portion 110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o form an external shape of the hub 10.

또한, 상기 허브(10)에는 상기 중앙부(110)에 환테부(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1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ub 10 includes at least one rib 130 that supports the ring rim 120 to keep it stably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110.

상기 리브(130)는 중앙부(110)와 환테부(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중앙부(110)와 환테부(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The rib 130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10 and the ring portion 120, and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110 and the ring portion 120 to maintain a stably fixed state.

이 경우, 상기 리브(130)는 중앙부(110)와 환테부(120) 사이에 방사형으로 다수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ribs 130 are formed radially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10 and the ring portion 120.

또한, 상기 허브(10)에는 환테부(120)의 외주연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제2삽입돌기(1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ub 10 includes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0 that protrudes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ng portion 120.

상기 제2삽입돌기(1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테부(120)의 외주연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타방에 구성되는 허브(10) 또는 연결부(20)에 형성된 삽입홈과의 연결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As shown in FIG. 5B,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0 protrudes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ng portion 120 and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hub 10 or connection portion 20 formed on the other side. Supports assembly by connecting.

이 경우, 상기 제2삽입돌기(140)는 4 ~ 10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4 to 10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4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상기 제2삽입돌기(140)는 등간격의 간격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0 can be assembled at various angles at equal intervals.

또한, 상기 제2삽입돌기(140)의 끝단에는 타방의 삽입홈과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라운딩(14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rounding 14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0 to enable smooth insertion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상기 라운딩(142)은 상기 제2삽입돌기(140)의 끝단에 반원형 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홈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rounding 142 is formed in a semicircle or chamfer at the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0 so that it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이 경우, 상기 제2삽입돌기(140)는 제1삽입돌기(114)와 동일한 구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0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or shape as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14.

또한, 상기 허브(10)에는 상기 환테부(120)의 외주연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제2삽입홈(15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ub 10 is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150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ng portion 120.

상기 제2삽입홈(150)은 상기 환테부(120)의 외주연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타방에 구성되는 허브(10) 또는 연결부(20)에 형성된 삽입돌기와의 연결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The second insertion groove 150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ng portion 120 and supports the assembly by connection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hub 10 or the connection portion 20 formed on the other side. do.

이 경우, 상기 제2삽입홈(150)은 4 ~ 10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4 to 10 second insertion grooves 15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상기 제2삽입홈(150)은 등간격의 간격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econd insertion groove 150 allows assembly at various angles at equal intervals.

즉, 상기 제2삽입돌기(140)와 제2삽입홈(150) 각각이 4 ~ 10개 즉, 총합 8 ~ 20개가 환테부(120)에 교호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다.That is, 4 to 10 each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40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150, that is, a total of 8 to 20, are formed alternately and at equal intervals on the ring portion 120.

또한, 상기 제2삽입홈(15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이 개방된 개방면(152)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50 includes an open surface 152 that is open to a certain width, as shown in FIG. 5C.

상기 개방면(152)은 일정 폭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타방의 삽입돌기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The open surface 152 is configured to be open to a certain width and supports smooth insertion of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상기 연결부(20)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허브(10)에 대한 일정길이 연장의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20 is formed to have a certain length, so as to have the effect of extending the hub 10 by a certain length.

상기 연결부(20)는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축부(210)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portion 20 includes a shaft portion 210 formed to a certain length.

상기 축부(210)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허브(10) 또는 연결부(20)에 대한 길이 연장을 가지도록 한다.The shaft portion 210 is formed to have a certain length and extends in relation to the hub 10 or the connection portion 20.

또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축부(210)의 일단에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제3삽입돌기(220)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portion 20 includes a third insertion protrusion 220 formed at a certain length at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210.

상기 제3삽입돌기(220)는 상기 축부(210)의 일단에서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홈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220 is formed at a certain length at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210 and is inserted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이 경우, 상기 제3삽입돌기(220)는 상기 제2삽입돌기(140)와 동일한 구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220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or shape as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0.

또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축부(210)의 타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제3삽입홈(230)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portion 20 includes a third insertion groove 230 formed at a certain depth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portion 210.

상기 제3삽입홈(230)은 상기 축부(210)의 타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연결,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portion 210 to enable connection and assembly as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완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0)와 연결부(20)를 다양한 조립시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완구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 the prefabricated toy constructed as above can be easily assembled in various shapes by assembling the hub 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 in various ways.

또한, 상기 조립식 완구는 프리미엄 PP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유아의 입에 넣어도 안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ar toy is made of premium PP material, so it can be safely placed in a child's mouth.

또한, 상기 조립식 완구는 냄새가 나질않고, 친환경 재료를 엄선하여 사용하였으며, BPA 미포함, 레이저 커팅으로 정밀한 단위블록을 형성하고 있고, 가장자리 광택연마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toy has no odor, is made of carefully selected eco-friendly materials, does not contain BPA, forms precise unit blocks through laser cutting, and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polishing the edges.

또한, 상기 조립식 완구는 무모자 원호디자인, 장인정신의 두터운 공정, 오래오래 놀아도 잘 변형되지 않아 느슨하지 않고, 간편하게 잘 매치됨에 따라 제품의 유희감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toy has a hatless arc design, a thick process of craftsmanship, does not deform easily even when played for a long time, does not become loose, and is easily matched, improving the sense of play of the product.

이러한, 상기 조립식 완구는 유아 또는 어린이의 색체에 대한 지각능력 강화, 창의적 상상, 계몽교육, 엄격한 검사 인증, 친환경 원료, 다양한 맞춤, 심미적 인식 향상, 창의력 능력 향상, 둥글둥글한 모서리로 유아 등의 긁힘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These prefabricated toys enhance infants' or children's color perception, creative imagination, enlightenment education, strict inspection and certification, eco-friendly raw materials, various customizations, improved aesthetic awareness, improved creativity, and have rounded edges to avoid scratches on infants, etc. It has a preventive effect.

또한, 상기 조립식 완구는 창조의 문을 열고 맘대로 매치, 마음대로 조형, 점진적 사고 발산, 힘을 합해 다차원의 자유로운 조합, 360°자유회전, 놀음성이 더 높아짐과 두꺼워지는 부수적인 특징을 가진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refabricated toy has the additional features of opening the door to creation, matching at will, shaping at will, releasing progressive thinking, combining forces, free combination of multiple dimensions, 360° free rotation, and increasing playability and thickening.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조립식 완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xample for implementing a prefabricated to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허브 110: 중앙부
112: 중앙면 114: 제1삽입돌기
116: 제1삽입홈 120: 환테부
130: 리브 140: 제2삽입돌기
142: 라운딩 150: 제2삽입홈
152: 개방면 20: 연결부
210: 축부 220: 제3삽입돌기
230: 제3삽입홈
10: hub 110: central part
112: Central surface 114: First insertion protrusion
116: First insertion groove 120: Hwantebu
130: Rib 140: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42: Rounding 150: Second insertion groove
152: open side 20: connection part
210: shaft 220: third insertion protrusion
230: Third insertion groove

Claims (6)

다방향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형상의 조립 완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하고, 일정길이의 연결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A hub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multiple directions to support the formation of assembly toys of various shapes;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ub and configured to support a connection of a certain length;
A prefabricated toy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동심원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외형을 형성하는 환테부와;
상기 중앙부와 환테부 사이에 구성되는 리브와;
상기 환테부의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돌기; 및
상기 환테부의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제2삽입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ub,
A central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A ring rim forming an outer shap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a concentric circle in the central portion;
A rib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ring rim;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nular portion and have a certain length;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with a certain depth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ng rim;
A prefabricated toy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중앙면과;
상기 중앙면의 일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돌기; 및
상기 중앙면의 타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entral portion is:
central plane;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central surface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and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certain depth at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surfac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to be inserted;
A prefabricated toy comprising: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돌기 또는 제2삽입돌기의 일단에는 타방의 삽입홈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라운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According to paragraph 2 or 3,
A rounding on one end of the first or second insertion protrusion so that it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A prefabricated toy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홈에는 타방의 삽입돌기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폭의 개방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ncludes an open surface of a certain width to allow smooth insertion of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A prefabricated toy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에서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3삽입돌기; 및
상기 축부의 타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타방의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3삽입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s:
A shaft portion formed of a certain length;
a third insertion protrusion formed at a certain length at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insertion groove;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certain depth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insert the other insertion protrusion;
A prefabricated toy comprising:
KR1020220069478A 2022-04-29 2022-06-08 Assembly toy KR2023015388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3271 2022-04-29
KR1020220053271 2022-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882A true KR20230153882A (en) 2023-11-07

Family

ID=8874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478A KR20230153882A (en) 2022-04-29 2022-06-08 Assembly 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88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24Y1 (en) 2012-03-21 2012-06-15 유정근 Rotating block for assembly block to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24Y1 (en) 2012-03-21 2012-06-15 유정근 Rotating block for assembly block t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3337A (en) Flexible toy piece set for assembly into polyhedral shapes
KR200400173Y1 (en) Wood Block for Assembly Toy
US5259803A (en) Toy construction set featuring gears and radiant connectors
KR20100087087A (en) Toy blocks
US3670449A (en) Construction element toy
US5022885A (en) Toy construction set featuring radiating face and complementary edge connectors
US5194031A (en) Toy gear assembly
CA2569032C (en) Toy construction system
US4305221A (en) Block of members having interior interlock means
US20210283523A1 (en) Toy construction element
JP5621063B1 (en) Assembling toys
KR101896144B1 (en) assembling toy block
JP2010535050A (en) 3D jigsaw
KR101722678B1 (en) Assembly Toys
KR20230153882A (en) Assembly toy
KR101324389B1 (en) Assembling block toy
CN105214305A (en) Assembly type block toy
CN210145503U (en) Splicing toy
JPS6060876A (en) Ball-shaped toy
CN206492216U (en) A kind of cross splice plate
KR200384319Y1 (en) Joint structure of a magnetic toy
JP5563694B1 (en) Assembling toys
CN210356030U (en) Assembled building block doll
CA1046767A (en) Interlocking toy building element
CN218889136U (en) Assembled rubber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