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729A - 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 - Google Patents

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729A
KR20230153729A KR1020220053498A KR20220053498A KR20230153729A KR 20230153729 A KR20230153729 A KR 20230153729A KR 1020220053498 A KR1020220053498 A KR 1020220053498A KR 20220053498 A KR20220053498 A KR 20220053498A KR 20230153729 A KR20230153729 A KR 20230153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ap coupler
housing
cap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승
윤명식
Original Assignee
(주)웰시스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시스메탈 filed Critical (주)웰시스메탈
Priority to KR102022005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729A/en
Publication of KR2023015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7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 이음부재를 구성하며,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캡 커플러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에 일측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며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이 다른 하나의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고정되는 링형부재와; 상기 링형부재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링형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철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를 제공함으로써, 각종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배근 작업에 소요되는 철근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철근의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호 연결되는 철근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connec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and is a cap coupler provided inside a pair of housings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fixing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for connection. a ring-shaped member whos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and seated on a step formed inside one of the housings, and whose other side, which is opposite to the one side, is pressed and fixed by an end of the other housing; Fixing members each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ing-shaped memb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member ar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have a hollow in the center into which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y providing a cap coupler that includes a cap coupler,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required for the reinforcement work of various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in a one-touch method, and also improves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interconnected reinforcing bars by firmly fixing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This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캡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Cap coupler and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same {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

본 발명은 캡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의 배근 작업에 소요되는 철근을 연결하는 캡 커플러 및 철근 이음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coupler and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p coupler and a rebar joint member that connect rebar required for reinforcement work in various buildings.

각종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인장강도가 낮은 콘크리트의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시 내부에 다수의 철근이 배치된다.In order to supplem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with low tensile strength, a large number of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side various architectural and civil structures when concrete is poured.

시공 과정에서 철근을 연결하는 경우, 철근 커플러를 사용하면 용접과 같은 번거로움을 배제할 수 있다.When connecting rebar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conveniences such as welding can be eliminated by using a rebar coupler.

상기 철근 커플러는 두 개의 철근 단부를 겹이음하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The rebar coupler functions to firmly connect the ends of two rebars without overlapping them.

이러한 철근 커플러는 철근을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나사식 커플러, 철근의 마디를 이용하여 압착식으로 고정시켜 연결하는 압착식 커플러 및 철근의 마디를 이용하여 웨지식으로 고정시켜 연결하는 원터치식 커플러로 구분될 수 있다. These rebar couplers include a screw-type coupler that connects rebar by screwing it together, a compression-type coupler that connects by pressing and fixing the rebar using the joints of the rebar, and a one-touch coupler that connects by fixing and wedge-type using the joints of the rebar. It can be divided into:

상기 원터치식 커플러는 별다른 공구가 없어도 철근의 연결이 가능하다.The one-touch coupler allows connection of rebar without any special tools.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 커플러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 reinforcing bar coupler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ior art.

특허문헌 1에는 바디 내부에 두 개의 철근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마련하고, 삽입홀 내부에 격판과 복수의 편체를 설치해서 두 개의 철근을 고정하고, 바디의 양단에 각각 마개글 결합해서 편체와 철근을 고정하는 철근 커플러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provide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wo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side the body, installs a diaphragm and a plurality of steel bars inside the insertion hole to fix the two reinforcing bars, and connects each end of the body with a stopper to attach the steel bars to the steel bars. The configuration of the rebar coupler that secures is described.

특허문헌 2에는 삽입되는 철근의 직경에 따라 콜렛부재의 개수를 선택하며, 선택된 복수개의 콜렛부재가 한 조로 구성되어 콜렛받침판의 상부에 안착되고, 철근은 대향하는 콜렛받침판의 중간에 배치되는 연결부재에 안착되어, 철근의 배근 작업시 불량 방지하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2, the number of collet member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o be inserted, and the plurality of selected collet members are composed of a set and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let support plate, and the reinforcing bar is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opposing collet support plate. A one-touch type rebar coupler configuration that is seated in and prevents defects during rebar placement work is described.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의 외면 일측만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철근 커플러의 내부로 삽입된 철근의 유동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철근과 철근의 연결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철근 커플러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tructured to fix only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bar inserted inside, the rebar inserted into the rebar coupler flows and as a result,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rebar is weakened, so the rebar coupler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20-0119963호(2020년10월 21일 공개)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9963 (published on October 21, 2020)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2203490호(2021년 1월 14일 공고)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03490 (announced on January 14, 2021)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배근 작업에 소요되는 철근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철근의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호 연결되는 철근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캡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enable one-touch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required for the placement work of various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s well as to connec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The aim is to provide a cap coupler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firmly fixing it and improving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interconnected reinforcing bars, and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the cap coupl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캡 커플러는,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는 철근 이음부재를 구성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캡 커플러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에 일측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며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이 다른 하나의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고정되는 링형부재와; 상기 링형부재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링형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철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p coupler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s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connec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and is provided inside a pair of housing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for connection. A cap coupler that secures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to be inserted, one side of which is seated in contact with a step formed inside one of the housings,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is pressed by the end of the other housing. A ring-shaped member that is fixed and fixed; Fixing members each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ing-shaped memb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member ar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have a hollow in the center into which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여기서, 상기 중공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forming the hollow side surface is preferably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end.

그리고, 상기 철근을 삽입시에 상기 철근의 단부 측면과 접촉되는 상기 고정부재 내면의 둘레에는 상기 철근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이 상호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간섭방지홈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an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may be provid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bar, and is recessed inward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re is.

또한, 상기 링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외면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 내면의 중앙 영역에는 양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철근이 각각 상기 하우징의 중앙까지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철근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ring-shaped member is provided at an eccentric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in the central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reinforcing bars have ends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inserted from both sides can be inserted only up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It is effective to have a protruding protruding protrusion that allows the device to be caught.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철근을 상기 중공으로 삽입시에 상기 철근의 중심과 상기 고정부재의 중심이 나란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이 이동하도록 상기 철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has a guide surface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rebar so that the rebar moves with the center of the rebar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when the reba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t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cent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는 양단부가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과; 한 쌍의 상기 하우징 단부 내부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철근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절개면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캡 커플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pair of housing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openings at both ends and a hollow inside; A pair of elastic cut surfaces each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a pair of housing ends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cut surf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uppor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housing. a support member; the cap coupl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여기서, 한 쌍의 상기 하우징의 단부 영역은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도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대응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캡 커플러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end regions of the pair of housings are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s,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is also taper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cap coupler constituting the cap coupler is formed. An elastic membe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to press the support member outward.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철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oothed members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protr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o firmly support the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하우징이 상호 체결되면서 상기 캡 커플러의 상기 링형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캡 커플러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housing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ing-shaped member of the cap coupler is fixed between the housings, thereby allowing the cap coupler to be fixed.

아울러, 상기 캡 커플러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캡 커플러의 외면에 체결됨으로써 캡 커플러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coupler, and a screw thread fastened to th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coupler, thereby allowing the cap coupler to be fix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캡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는 각종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배근 작업에 소요되는 철근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철근의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호 연결되는 철근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iscussed above, the cap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the same enable one-touch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required for the reinforcement work of various building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nd also firmly fix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improving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connected reb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캡 커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캡 커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캡 커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 coupler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 coupler of FIG. 7.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캡 커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캡 커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캡 커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 coupler of FIG. 1, and FIG. 3 is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provided with a,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provid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 coupler of FIG. 7.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 커플러는, 한 쌍의 철근(1)을 연결하는 철근 이음부재를 구성하며,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어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철근(1)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캡 커플러(100)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에 일측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며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이 다른 하나의 상기 하우징(200)의 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고정되는 링형부재(110)와; 상기 링형부재(110)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링형부재(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철근(1)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공(121)이 형성된 고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ap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connec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1, and is provided inside a pair of housings 200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for connection. A cap coupler (100) that secures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inserted into the housing, one side of which is seated in contact with a step formed inside one of the housing (200),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a ring-shaped member 110 whose other side is pressed and fixed by the end of the other housing 200; O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member 110, each extends a certain length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ing-shaped member 110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nd a hollow hole ( A fixing member 120 formed with 121); It consists of:

우선, 캡 커플러(100)는 한 쌍의 철근(1)을 연결하는 철근 이음부재를 구성하며,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어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철근(1)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First, the cap coupler 100 constitutes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that connects a pair of reinforcing bars 1, and is provided inside a pair of housings 200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for connection. It is a member that serves to fix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이러한 캡 커플러(100)는 크게 한 쌍의 하우징(200)과 하우징(200) 사이에 체결되는 링형부재(110)와, 링형부재(110)와 일체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재(120)로 구성되어 있다. This cap coupler 100 largely consists of a pair of housings 200, a ring-shaped member 110 fastened between the housings 200, and a fixing member 120 that extends a certain length integrally with the ring-shaped member 110. Consists of.

링형부재(1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철근(1)이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철근(1)의 단부가 고정부재(120)에 형성된 중공(121)에 삽입됨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철근(1)의 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ing-shaped member 110 is a member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hollow is formed inside, so that the reinforcing bar 1 passes through the hollow, and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21 formed in the fixing member 120, thereby forming a hollow space inside the ring-shaped member 110. The end of the connected reinforcing bar (1) is fixed so that it can be supported.

링형부재(110)의 고정부재(12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상호 나사 체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200) 사이에 체결됨으로써 하우징(2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ing-shaped member 110 is form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12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to be flat and are fastened between a pair of housings 200 that are screwed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the housing 200. Make sure it can be fixed inside.

이러한 링형부재(110)는 상기 고정부재(120) 외면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되는데, 이는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200)과 하우징(200) 사이에 링형부재(110)가 고정되도록 할 경우에 하우징(200)이 상호 완전히 체결되어 링형부재(1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ring-shaped member 110 is provided at an eccentric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so that the ring-shaped member 110 is fixed between the housing 200 and a pair of housings 20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housings 200 are completely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ing-shaped member 110 can be firmly fixed.

고정부재(120)는 링형부재(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링형부재(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철근(1)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공(121)이 형성된 부재이다. The fix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or a certain length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ing-shaped member 11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member 110, and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 the center. It is a member in which a hollow 121 is formed.

고정부재(120)는 링형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링형부재(110)가 한 쌍의 하우징(200)과 하우징(200)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우징(200)의 내부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The fixing member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ing-shaped member 110, so that the ring-shaped member 110 is fixed between the pair of housings 200 and the housing 200, and is consequently arranged to be fixed inside the housing 200. do.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0)에 구비된 중공(121)의 측면을 형성하는 고정부재(120)의 내면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철근(1)이 중공(121)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nd, as shown in FIG. 5,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forming the side surface of the hollow 121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120 is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end, thereby forming the reinforcing bar. It is effective to ensure that (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low 121.

또한, 철근(1)을 삽입시에 철근(1)의 단부 측면과 접촉되는 고정부재(120) 내면의 둘레에는 철근(1)과 고정부재(120)의 내면이 상호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간섭방지홈(122)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철근(1)이 고정부재(120)에 형성된 중공(121)의 단부까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부재(120)에 의하여 철근(1)의 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1),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bar (1), is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2 recessed in the shape is provid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1)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hollow 121 formed in the fixing member 120, so that the reinforcing bar (1)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hollow 121 formed in the fixing member 120.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the ends can be firmly fixed.

아울러, 고정부재(120) 내면의 중앙 영역에는 양측에서 삽입되는 철근(1)이 각각 하우징(200)의 중앙까지만 삽입될 수 있도록 철근(1)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13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has a protruding locking protrusion 130 that catches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1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1 inserted from both sides can be inserted only up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200. It is formed.

이러한 걸림턱(130)이 고정부재(120)의 내면 중앙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하우징(200)의 양측에서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을 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시에 하우징(200)의 중앙 영역까지 한 쌍의 철근(1)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철근(1)의 연결 강도가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s locking protrusion 130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so that when the reinforcing bars 1 to be interconnect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the housing 200 By allowing each pair of reinforcing bars (1) to be inserted up to the central area, there is an effect in that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1) can be balanced.

그리고, 고정부재(120)의 단부에는 철근(1)을 중공(121)으로 삽입시에 철근(1)의 중심과 고정부재(120)의 중심이 나란한 상태에서 철근(1)이 이동하도록 철근(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면(123)이 고정부재(12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And, at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120, when the rebar 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21, the rebar 1 moves with the center of the rebar 1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120. The guide surface 123 that guides the movement of 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120.

고정부재(120)의 단부에 고정부재(12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123)이 형성됨으로써 철근(1)을 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시에 철근(1)과 초기 접촉되는 고정부재(120)의 단부가 고정부재(120)의 중앙을 향하여 가이드되어 용이하고 신속하게 철근(1)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guide surface 123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1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120, so that when the rebar 1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the rebar 1 and the initial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120 that is in contact is guided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120,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 easily and quickly.

이러한 고정부재(120)의 외면에는 후술할 탄성부재(400) 단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탄성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지부재(300)를 구성하는 편체에 탄성부재(400)의 탄성을 균일하게 전달하여 각각의 편체가 일정한 탄성을 전달받아 철근(1)에 가해지는 압력각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art of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is fixing member 120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400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elastic member 400 is attached to the knitted body constituting the support member 300. )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he elasticity uniformly so that each piece receives a certain elasticity and maintain the same pressure angle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1).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캡 커플러(100)는 철근(1)의 끝단부가 억지끼움되어 철근의 흔들림 방지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단일 몸체형 조인트로 구성하며, 사출 성형으로 단일 몸체로 제작되거나 금속소재 가공을 통하여 단일 몸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ap coupler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joint in which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is press-fitted to maximize the shaking prevention func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is manufactured as a single body by injection molding or It can be manufactured as a single body through metal material processing.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Meanwhile,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520)에 구비된 중공(521)의 측면을 형성하는 고정부재(520)의 내면은 단부로 갈수록 전체적인 형상이 테이퍼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520, which forms the side surface of the hollow 521 provided in the fixing member 520, may have an overall shape tapered toward the end.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는 상호 연결을 위하여 고정부재(520)의 중공(521)에 삽입되는 철근(1)의 직경이 다소 커지더라도 중공(521)의 입구측의 직경이 여유가 있기 때문에 삽입이 가능하며, 중공(521)의 내부로 삽입시에 철근(1)의 단부가 고정부재(520)에 꽉 맞물리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the case of this structure, even if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1) inserted into the hollow 521 of the fixing member 520 for interconnection is slightly larger, insertion is possible because the diameter of the entrance side of the hollow 521 is sufficient. , When inserted into the hollow 521,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is tightly engaged with the fixing member 520, which has the effect of enabling firm fix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는, 양단부가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210)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200)과; 한 쌍의 상기 하우징(200) 단부 내부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된 철근(1)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절개면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300)와; 상기 캡 커플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housings 20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hich are mutually coupled with openings at both ends and a hollow 210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pairs of units each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an end portion of the housing 200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uppor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1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A pair of support members 300 having elastic cut surfaces o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cap coupler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캡 커플러(100)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 구성이므로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explaining the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coupler 1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invention. I decided to do it.

하우징(200)은 양단부가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210)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체결됨으로써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철근(1)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The housing 200 has openings at both ends and a hollow 210 is formed therein and is fastened to each other. It is provided as a pai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a pair of reinforcing bars 1 to be connected can be connected. .

한 쌍의 상기 하우징(200)의 단부 영역은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하우징(200)의 내부 양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300)가 하우징(200)의 양단부 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될수록 지지부재(300)에 형성된 탄성절개면의 간격이 조밀해지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철근(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d regions of the pair of housings 200 are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s, so that the support members 300 provided at both inner ends of the housing 200 are pressed toward both ends of the housing 200. It is desirable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elastic cut surface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300 becomes closer as it moves so that the reinforcing bar 1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지지부재(300)는 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된 철근(1)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편체로 구형되며, 상기 편체와 편체 사이에는 탄성절개면이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The support member 300 is spherical with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uppor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1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and an elastic incision is made between the pieces. It is a pair of members formed with a surface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respectively.

이러한 지지부재(300)의 외면은 하우징(200)의 내면과 대응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부재(300)가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하우징(200)의 단부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될 수록 상기 탄성절개면의 간격이 조밀해지도록 하여 지지부재(300)가 철근(1)의 외면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0 is taper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so that the more the support member 300 is pressed and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 toward the end of the housing 200, the more the elastic incision occurs. The spacing between the surfaces is made tight so that the support member 300 can more firmly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

그리고, 지지부재(300)의 내면에는 철근(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3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재(31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0, a plurality of toothed members 310 are protruding and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300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irmly support the reinforcing bar 1. It is desirable.

지지부재(300)의 내면에는 씨링(320)이 구비되어 하우징(200)의 내부로 철근(1)을 초기 삽입시에 지지부재(300)가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밀리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철근(1)이 지지부재(3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sea ring 32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0, so that when the reinforcing bar 1 is initially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the support member 300 is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 to spread, thereby forming the reinforcing bar ( 1) serves to facilitate easy insertion into the interior of the support member 300.

캡 커플러(10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120)와 지지부재(300) 사이에는 지지부재(300)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00)가 설치되어 지지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하우징(100)의 양단부로 최대한 이동하도록 하여 철근(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n elastic member 400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300 constituting the cap coupler 100 to press the support member 300 outward so that the support member 300 is attached to the housing 100. It is effective to firmly support the reinforcing bar (1) by allowing it to move as much as possible to both ends of the housing (100) insid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캡 커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Meanwhile,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p coupler of Figure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 및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 및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describing the cap coupler and the rebar joint member provided with the cap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s the structure of the cap coupler and the rebar joint member provided with the cap coup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uss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는 한 쌍의 하우징(200)이 캡 커플러(500)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캡 커플러(500)의 외면에는 나사산(510)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s 7 and 8, the cap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housings 200 of the cap coupler 500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coupler 500. A screw thread 5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의 하우징(200)에는 상호 체결을 위한 체결 영역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다만 하우징(200)의 내면에 캡 커플러(5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510)에 맞물리어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성이라면 무방하다. Therefore, the housing 200 of the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area for mutual fastening, but the cap coupler 50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Any configuration in which a screw thread is engaged and fastened with a screw thread 5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may be formed.

여기서, 도면부호 523은 가이드면, 530은 걸림턱을 도시한 것이다. Here, reference numeral 523 indicates a guide surface, and 530 indicates a stopping step.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철근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connec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using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의 양단부가 하우징(200)의 개구 형성된 양측면을 통하여 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철근(1)의 양단부를 하우징(200)의 내부로 초기 삽입한다. Firs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1) to be interconnected are initia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00) so th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1)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00) through the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do.

철근(1)의 양단부가 하우징(200)의 내부로 초기 삽입된 후에 철근(1)을 하우징(200)의 내부로 더 밀어넣게 되면 철근(1)의 외면과 지지부재(300) 내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부재(300)가 일정 정도 살짝 하우징(200)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서 지지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절개면이 벌어지면서 철근(1)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After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 (1) are initia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00), when the reinforcing bar (1) is further push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00),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0) As a result, the support member 300 is slightly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 to a certain degree, so that the elastic cut surface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300 opens, allowing the reinforcing bar (1) to be inserted.

그 후, 철근(1)의 삽입 동작이 더 진행되면 철근(1)의 단부가 고정부재(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121)으로 삽입되어 결과적으로 철근(1)의 단부가 고정부재(120)에 의하여 고정된다. Thereafter, when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reinforcing bar 1 progresses further,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21 formed inside the fixing member 120, and as a resul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120. ) is fixed by.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지부재(300)가 탄성부재(400)에 의하여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하우징(200)의 단부측으로 가압되고 있어서 하우징(200)의 테이터지게 형성된 단부 영역에 의하여 지지부재(300)에 형성된 탄성절개면이 조밀해지기 때문에 지지부재(300)가 철근(1)의 외면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support member 300 is press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 toward the end of the housing 200 by the elastic member 400, so that the support member 300 is pressed by the tapered end region of the housing 200. Because the elastic cut surface formed in becomes denser, the support member 300 firmly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

그리고, 철근(1)의 단부가 고정부재(120)에 삽입되어 고정 배치되기 때문에 철근(1)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120 and fixedly arranged,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reinforcing bar 1 is accurately fixed without moving when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It becomes a state.

하우징(200)의 반대편에 개구된 개구면을 통해서 다른 철근(1)을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삽입하게 되면 철근(1)이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마찬가지 방법으로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한 쌍의 철근(1)의 연결이 완료되는 것이다. When another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surface ope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using 2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reinforcing bar (1) is fixed in the same way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resulting in a pair of reinforcing bars (1) ) connection is comple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커플러는 각종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배근 작업에 소요되는 철근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철근의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호 연결되는 철근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ap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nables one-touch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required for the placement work of various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nd also connects the reinforcing bars by firmly fixing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By improving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is only a description of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underlying it will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캡 커플러 110 : 링형부재
120 : 고정부재 121 : 중공
122 : 간섭방지홈 123 : 가이드면
130 : 걸림턱 200 : 하우징
210 : 중공 300 : 지지부재
310 : 톱니 400 : 탄성부재
500 : 고정부재 510 : 나사산
520 : 고정부재 521 : 중공
523 : 가이드면 530 : 걸림턱
100: cap coupler 110: ring-shaped member
120: fixing member 121: hollow
122: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3: Guide surface
130: Locking protrusion 200: Housing
210: hollow 300: support member
310: sawtooth 400: elastic member
500: Fixing member 510: Screw thread
520: Fixing member 521: Hollow
523: Guide surface 530: Locking protrusion

Claims (10)

한 쌍의 철근(1)을 연결하는 철근 이음부재를 구성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어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철근(1)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캡 커플러(100)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에 일측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며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이 다른 하나의 상기 하우징(200)의 단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고정되는 링형부재(110)와;
상기 링형부재(110)의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링형부재(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철근(1)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공(121)이 형성된 고정부재(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
It constitutes a reinforcing bar joint member connec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1), and is provided inside a pair of housings (20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s (1)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for connection. As a cap coupler 100 that secures,
A ring-shaped member 110 whos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and seated on a step formed inside one of the housings 200, and whose other side, which is opposite to the one side, is pressed and fixed by the end of the other housing 200. )and;
O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member 110, each extends a certain length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ing-shaped member 110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nd a hollow hole ( A fixing member 120 formed with 121);
A cap coupler characterized by the inclusion of a cap coup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121)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재(120)의 내면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
According to paragraph 1,
A cap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forming the side of the hollow 121 is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1)을 삽입시에 상기 철근(1)의 단부 측면과 접촉되는 상기 고정부재(120) 내면의 둘레에는 상기 철근(1)과 상기 고정부재(120)의 내면이 상호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간섭방지홈(1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1), there is a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bar (1) to prevent the reinforcing bar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 cap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2) recessed on the inside so as to be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부재(110)는 상기 고정부재(120) 외면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20) 내면의 중앙 영역에는 양측에서 삽입되는 상기 철근(1)이 각각 상기 하우징(200)의 중앙까지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철근(1)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130)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ing-shaped member 110 is provided at an eccentric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and the reinforcing bars 1 inserted from both sides are plac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0, respectively, in the housing 200. ) A cap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rotrus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 can be insert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only up to the center of the cap coup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의 단부에는 상기 철근(1)을 상기 중공(121)으로 삽입시에 상기 철근(1)의 중심과 상기 고정부재(120)의 중심이 나란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1)이 이동하도록 상기 철근(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면(123)이 상기 고정부재(12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
According to paragraph 1,
At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120, when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21, the reinforcing bar 1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bar 1 and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120. A cap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surface 123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reinforcing bar (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120).
양단부가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210)이 형성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200)과;
한 쌍의 상기 하우징(200) 단부 내부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된 철근(1)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절개면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300)와;
상기 제1항 내지 상기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 커플러(1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
A pair of housings 200 having openings at both ends and a hollow 210 formed therein,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pairs of units each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an end portion of the housing 200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uppor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1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A pair of support members 300 having elastic cut surfaces of;
A cap coupler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하우징(200)의 단부 영역은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00)의 외면도 상기 하우징(200)의 내면과 대응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캡 커플러(100)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300)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
According to clause 6,
The end regions of the pair of housings 200 are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0 is also taper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A cap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member 400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300 constituting the cap coupler 100 and presses the support member 300 outward. A rebar joint member provided wit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0)의 내면에는 상기 철근(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3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재(31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
According to clause 6,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0, a plurality of toothed members 310 are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300 and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irmly support the reinforcing bar 1. A rebar joint member equipped with a cap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호 체결되면서 상기 캡 커플러의 상기 링형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캡 커플러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
According to clause 6,
A rebar joint member with a cap coupler, wherein the cap coupler is fixed by fixing the ring-shaped member of the cap coupler between the housings as the housings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커플러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캡 커플러의 외면에 체결됨으로써 캡 커플러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커플러를 구비한 철근 이음부재.
According to clause 6,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coupler, and a screw thread fastened to th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coupler, thereby fixing the cap coupler. One rebar joint member.
KR1020220053498A 2022-04-29 2022-04-29 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 KR202301537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498A KR20230153729A (en) 2022-04-29 2022-04-29 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498A KR20230153729A (en) 2022-04-29 2022-04-29 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729A true KR20230153729A (en) 2023-11-07

Family

ID=8874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498A KR20230153729A (en) 2022-04-29 2022-04-29 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72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963A (en) 2019-04-11 2020-10-21 박선희 Coupler for reinforcing bar
KR102203490B1 (en) 2018-08-09 2021-01-14 홍소영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490B1 (en) 2018-08-09 2021-01-14 홍소영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KR20200119963A (en) 2019-04-11 2020-10-21 박선희 Coupler for reinforcing 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8588B2 (en) Rebar coupler
KR100760009B1 (en)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CN113950558A (en) One-key connector for preventing movement of reinforcing steel bar
KR101036594B1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100712438B1 (en) Steel reinforcing coupler
KR100240099B1 (en) Coupler for iron bar
KR102076597B1 (en) Rebar coup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796381B1 (en)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KR101374598B1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20230153729A (en) Cap coupler and steel rebar connector having it
JP2006515393A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101285704B1 (en) A reinforcing bar connector
KR200286101Y1 (en)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KR100725527B1 (en) A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
KR100404425B1 (en)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KR102126297B1 (en) The device for connecting deformed bar
KR102212168B1 (en)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KR101890678B1 (en) Reinforcing bar connecting apparatus
KR10046229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just one step
KR100486172B1 (en) Connector of steel reinforcing
KR200257716Y1 (en)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KR102064558B1 (en) Steel Connecting coupler
CN115427648A (en) Connecting device
KR20190004575A (en) Magic steel reinforcement coupling and its coupling method
KR100372832B1 (en)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