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216A -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216A
KR20230153216A KR1020220105166A KR20220105166A KR20230153216A KR 20230153216 A KR20230153216 A KR 20230153216A KR 1020220105166 A KR1020220105166 A KR 1020220105166A KR 20220105166 A KR20220105166 A KR 20220105166A KR 20230153216 A KR20230153216 A KR 2023015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rug injection
pulse
injec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운섭
주은화
신영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메디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메디,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메디
Priority to KR102023005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934A/en
Priority to PCT/KR2023/005437 priority patent/WO2023211062A1/en
Publication of KR2023015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21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2005/1451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with secondary fluid driving or regulating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전기화학적으로 전기삼투펌프를 구동하여 약물소스로부터 약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약물을 주입 대상으로 토출하는 약물 주입기; 및 상기 약물 주입기에 대해, 상기 전기삼투펌프의 구동을 정의하는 주입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 시퀀스는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될 전압 펄스 또는 전류 펄스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블록 각각은,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되어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키는 정방향 펄스와 역방향 펄스를 포함하는 한 쌍의 펄스 신호를 정의하며, 상기 전기삼투펌프는 각각의 펄스 블록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상기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것이다.The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injector that electrochemically drives an electroosmotic pump to inhale drug from a drug source and discharges the inhaled drug to the injection target; And for the drug injector,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jection sequence defining driving of the electro-osmotic pump, wherein the injection sequence defines a voltage pulse or current pulse to b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Comprising at least one pulse block, each of the pulse blocks defines a pair of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pulse and a reverse pulse that are applied to the electroosmosis pump to alternately generate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and the electroosmosis The pump alternately generates negativ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to inhale and discharge the drug.

Description

약물 주입 장치 및 방법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약물은 종류, 치료의 목적 및 방법에 따라 경구, 피하, 정맥 투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신체에 주입될 수 있다. 약물 펌프를 활용한 약물 주입기는 원하는 속도와 용량으로 필요한 시간에 자동적으로 약물을 신체 내에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펌프를 활용한 약물 주입기는 병원이나 환자의 일상 생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Drugs can be injected into the body in various ways, such as oral, subcutaneous,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depending on the type, purpose, and method of treatment. A drug injector using a drug pump can automatically inject drugs into the body at the desired speed and volume at the required time. Therefore, drug injectors using drug pumps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as well as those used in hospitals or patients' daily living environments.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입기라고 불리는 인슐린 펌프는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거나 소량만 분비되는 당뇨 환자들을 위한 것으로, 정해진 시간에 정확하게 외부에서 몸 속으로 인슐린을 공급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췌장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이다. Insulin pumps, commonly called insulin injectors, are for diabetic patients who do not secrete insulin or secrete only a small amount of insulin. It is a medical device that plays the same role as the pancreas in controlling blood sugar levels by supplying insulin from the outside into the body accurately at a set time. .

이러한 인슐린 펌프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들이 사용하는데, 환자에게 부착된 상태로 24시간 계속하여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이렇게, 인슐린 주입기는 당뇨병 환자에게 오랜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약물을 주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인슐린 주입기의 소형화 및 자동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These insulin pumps are used by insulin-dependent diabetic patients, and can continuously inject medication for 24 hours while attached to the patient. In this way, since insulin injectors must periodically inject drugs into diabetic patien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echnology for miniaturization and automation of insulin injectors is being actively developed for user convenience.

그런데, 인슐린 주입기가 소형화 및 자동화됨에 따라서 실제로 인슐린 주입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들이 발생하는데, 이는 대부분 캐뉼러 혹은 니들의 끝 부분에서 약물과 생체액 간의 다양한 반응에 의한 부압(back pressure)이 막힘 현상의 주된 원인이 된다. 특히, 주입되는 약물의 양이 적거나 천천히 주입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막힘 현상의 문제가 더 심각해 진다. However, as insulin injectors become miniaturized and automate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actually ensure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insulin injector. This is mostly due to back pressure caused by various reactions between the drug and biological fluid at the tip of the cannula or needle. This is the main cause of clogging. In particular, when the amount of drug injected is small or when it is injected slowly, the problem of this clogging becomes more serious.

따라서,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약물을 주입함과 동시에 정확한 양의 약물을 안정적으로 주입하고, 약물 주입 시 유로가 막히지 않도록 약물의 주입을 제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ontinuously injecting drugs into a patient, stably injecting the correct amount of drugs, and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drugs so that the flow path is not blocked during drug inje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입 조건에 따라 정량의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that can inject a fixed amount of drug according to injection conditions.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전기화학적으로 전기삼투펌프를 구동하여 약물소스로부터 약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약물을 주입 대상으로 토출하는 약물 주입기; 및 상기 약물 주입기에 대해, 상기 전기삼투펌프의 구동을 정의하는 주입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 시퀀스는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될 전압 펄스 또는 전류 펄스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블록 각각은,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되어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키는 정방향 펄스와 역방향 펄스를 포함하는 한 쌍의 펄스 신호를 정의하며, 상기 전기삼투펌프는 각각의 펄스 블록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상기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것이다.As a technical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chemically drives an electroosmotic pump to inhale the drug from the drug source and discharge the inhaled drug to the injection target. drug injector; And for the drug injector,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jection sequence defining driving of the electro-osmotic pump, wherein the injection sequence defines a voltage pulse or current pulse to b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Comprising at least one pulse block, each of the pulse blocks defines a pair of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pulse and a reverse pulse that are applied to the electroosmosis pump to alternately generate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and the electroosmosis The pump alternately generates negativ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to inhale and discharge the dru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방법은, 상기 약물 주입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입 시퀀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삼투펌프가 각각의 펄스 블록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 시퀀스는,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될 전압 펄스 또는 전류 펄스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블록 각각은,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되어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키는 정방향 펄스와 역방향 펄스를 포함하는 한쌍의 펄스 신호를 정의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drug inj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an injection sequence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Apply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to the electro-osmotic pump; 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electro-osmotic pump alternately generates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to inhale and discharge the drug, wherein the injection sequence includes the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It includes at least one pulse block defining a pulse or current pulse, each of the pulse blocks comprising a pair of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pulse and a reverse pulse that ar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to alternately generate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It is to defin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전기삼투펌프를 이용하는 약물 주입기에 대하여 적절한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여 약물 주입기가 정량의 약물을 주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drug injector can be controlled to inject a fixed amount of drug by setting an appropriate injection sequence for the drug injector using an electroosmotic pump.

또한,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및 상황에 따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sequence for drug injection can be set using various data, increasing usability depending on the user and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물 주입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시퀀스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시퀀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삼투펌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8에 도시된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a는 복수의 주입 시퀀스가 저장된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11b는 복수의 펄스 블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injecto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n injection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njection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osmotic pump shown in Figure 2.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shown in FIG. 5.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shown in FIG. 6.
Figure 8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8.
FIG.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8.
Figure 11a is an example of a table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sequences are stored.
Figure 11b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ulse blocks.
Figure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rug inj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ize, shap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dentical/similar parts are given identical/similar reference numeral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 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구비 또는 마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구비 또는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or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or combined),” but also when it has other members in between.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or combined).”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equip or provi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includes (provides or provides)" other components. It means that you ca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나타내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구성 요소들의 순서나 관계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represent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물 주입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injector shown in FIG. 1.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10)를 설명하면, 약물 주입 장치(10)는 약물 주입기(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When describing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includes a drug injector 100 and a control unit 200.

약물 주입기(100)는 전기화학적으로 전기삼투펌프(110)를 구동하여 약물 소스로부터 약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약물을 주입 대상으로 토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약물 주입기(100)에 전기삼투펌프(110)의 구동을 정의하는 주입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The drug injector 100 electrochemically drives the electroosmotic pump 110 to inhale drug from the drug source and discharges the inhaled drug to the injection target. Then, the control unit 200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def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osmotic pump 110 to the drug injector 100.

제어부(200)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CU(Micro Controller Unit), 임베디드 프로세서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200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that has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functions expressed by codes or commands included in a program. Examples of data processing devices built into hardware include a microprocess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cessor core, multiprocessor, and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CU (Micro Controller Unit), and embedded processor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어부(200)는 약물 주입 장치(10)에 단독으로 내장된 형태뿐만 아니라, 후술할 사용자 단말(40)과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40)과 제어부(200)가 통합하여, 약물 주입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200 is not only built into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but is also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user terminal 40 and the control unit 200 are integrated. Thus, it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시퀀스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 시퀀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주입 시퀀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n injection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njection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xt, the injection sequ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시퀀스는 전기삼투펌프(110)에 인가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블록(2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펄스 블록(20)은 정방향 펄스 및 역방향 펄스를 포함하는 한 쌍의 펄스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각 펄스의 크기와 펄스가 유지되는 시간(dura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정방향 펄스 및 역방향 펄스를 포함하는 한 쌍의 펄스 신호는 전기삼투펌프(110)에 인가되어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각각의 펄스 블록(20) 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하게 된다. As shown in (a) of FIG. 3, the injection sequence is one in which at least one pulse block 20 to b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110 is sequentially arranged. And, as shown in (c) of FIG. 3, each pulse block 20 contains information about a pair of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pulse and a reverse pulse, and the size and pulse of each pulse are maintained.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duration. A pair of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pulse and a reverse pulse ar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110 to alternately generate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thereby alternately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20. The drug is inhaled and expelled.

펄스 블록(20)에 포함된 한 쌍의 펄스 신호(21, 22)는 전압 펄스 신호 또는 전류 펄스 신호이다. 한 쌍의 전압 펄스 신호는 정방향 전압 펄스 및 역방향 전압 펄스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전류 펄스 신호는 정방향 전류 펄스 및 역방향 전류 펄스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전압 펄스 신호는 각 전압 펄스 크기 및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 할 수 있고, 한 쌍의 전류 펄스 신호는 각 전류 펄스 크기 및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4에 도시된 주입 시퀀스에서 펄스 신호의 크기는 2V이고, 유지시간은 10s일 수 있다. A pair of pulse signals 21 and 22 included in the pulse block 20 are voltage pulse signals or current pulse signals. A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consists of a forward voltage pulse and a reverse voltage pulse, and a pair of current pulse signals consists of a forward current pulse and a reverse current pulse. Here, a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retention time of each voltage pulse, and a pair of current pulse signals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retention time of each current pulse. For example, in the injection sequence shown in FIG. 4, the size of the pulse signal may be 2V and the retention time may be 10s.

주입 시퀀스에 포함되는 각각의 펄스 블록은 서로 상이한 크기의 전압을 갖는 전압 펄스 또는 서로 상이한 크기의 전류를 갖는 전류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펄스 블록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을 갖는 펄스 또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전류를 갖는 전류 펄스를 포함하되, 각각의 유지 시간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Each pulse block included in the injection sequence may include voltage pulses having voltages of different magnitudes or current pulses having currents of different magnitudes. Alternatively, each pulse block may include pulses having voltages of the same magnitude or current pulses having currents of the same magnitude, but each holding time may be set differently.

그리고, 펄스 블록(20)에 포함된 정방향 펄스(21)와 역방향 펄스(22)는 크기와 유지 시간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전기삼투펌프(110)에 의해 흡입되는 약물과 토출되는 약물의 양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ward pulse 21 and the reverse pulse 22 included in the pulse block 20 are set to have the same size and maintenance time, so that the amount of drug inhaled and discharged by the electroosmotic pump 110 is adjusted. It can remain the same.

또한, 펄스 블록(20)에 포함된 한 쌍의 펄스 신호(21, 22)는 정전압 또는 정전류로 제공될 수 있고, 정전압 또는 정전류에 의해 제공되는 펄스 신호의 유지시간을 조절하여 각 펄스 블록에 의해 흡입 및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펄스 블록(20)들은 2V의 정전압에 의해 제공된다. In addition, a pair of pulse signals 21 and 22 included in the pulse block 20 may be provided as a constant voltage or a constant current, and the maintenance time of the pulse signal provided by the constant voltage or constant current may be adjusted to control the pulse signals 21 and 22 provided by each pulse block. The amount of drug inhaled and discharged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pulse blocks 20 in Figure 4 are provided by a constant voltage of 2V.

추가적으로, 한 쌍의 펄스 신호(21, 22)는 신호의 크기 및 유지 시간 모두 조절될 수 있는데, 흡입되는 약물과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동일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압 펄스의 크기는 2V, 유지 시간은 10s 이고, 이에 연속되는 역방향 전압 펄스의 크기는 1V, 유지 시간은 20s로 설정하여, 정방향 펄스의 면적과 역방향 펄스의 면적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흡입되는 약물의 양과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동일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the pair of pulse signals 21 and 22 can be adjusted so that the amounts of the drug inhaled and the drug discharged are the same. For example, the size of the forward voltage pulse is 2V and the retention time is 10s, and the size of the subsequent reverse voltage pulse is set to 1V and the retention time is 20s, so that the area of the forward pulse and the area of the reverse pulse are set to be the same. Thus, the amount of drug inhaled and the amount of drug discharged can be kept the same.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펄스 블록(20)은 안정화 펄스(2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안정화 펄스(23)는 정방향 전압 펄스(21)와 역방향 전압 펄스(22)의 인가 이후 0V 전압을 소정 시간 지속하는 펄스이다. 안정화 펄스(23)를 통해 전기삼투펌프(110)의 동작이 안정화될 수 있다. 여기서, 주입 시퀀스의 펄스 블록(10)이 전류 펄스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펄스 블록(20)은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의 인가 이후 0A 전류를 소정 시간 지속하는 안정화 펄스(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referring to FIG. 4, each pulse block 20 may further include a stabilization pulse 23, which is applied after application of the forward voltage pulse 21 and the reverse voltage pulse 22. It is a pulse that maintains 0V volt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of the electro-osmotic pump 110 can be stabilized through the stabilization pulse 23. Here, if the pulse block 10 of the injection sequence consists of a pair of current pulses, the pulse block 20 further includes a stabilization pulse 23 that maintains 0A curren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forward current pulse and the reverse current pulse. can do.

추가적으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시퀀스는 휴지 블록(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지 블록(30)은 펄스 블록(20)이 인가된 이후에 배치되거나 펄스 블록(20)과 펄스 블록(20) 사이에 배치되어 0V 전압 또는 0A 전류가 소정 시간 지속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100)는 일정한 양의 약물을 긴 시간 동안 천천히 주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주입 시퀀스에 휴지 블록(30)을 포함함에 따라 목표 약물 주입량이 주입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고, 약물을 주입하지 않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조절함으로써 약물을 주입하지 않는 기간에 약물 주입기(100)의 유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b) of FIG. 3, the injection sequence may further include a rest block 30. The pause block 30 is a signal that is placed after the pulse block 20 is applied or is placed between the pulse blocks 20 and maintains a 0V voltage or 0A curr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drug inj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slowly inject a certain amount of drug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by including the rest block 30 in the injection seque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e at which the target drug injection amount is injected, and by minimiz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drug is not injected, the drug injector 100 is us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drug is not injected. It can prevent the flow path from being blocked.

제어부(200)는 주입 시퀀스에 포함된 펄스 블록의 정보를 기초로, 주입 시퀀스와 대응하는 전압 펄스 또는 전류 펄스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약물 주입기(100)에 인가한다.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nsisting of a voltage pulse or current pulse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pulse block included in the injection sequence and applies it to the drug injector 100.

이러한 주입 시퀀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전기삼투펌프(110)에 인가되면, 전기삼투펌프(110)는 각각의 펄스 블록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펄스 블록 단위로 정방향 전압 펄스 및 역방향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압 펄스 쌍 또는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를 포함하는 전류 펄스 쌍으로 구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When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is injection sequence is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110, the electroosmotic pump 110 alternately generates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to inhale and discharge the drug. Here, th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composed of a voltage pulse pair including a forward voltage pulse and a reverse voltage pulse or a current pulse pair including a forward current pulse and a reverse current pulse in pulse block units.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삼투펌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osmotic pump shown in Figure 2.

도 5를 참조하여 전기삼투펌프(1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기삼투펌프(110)는 구동부(111) 및 챔버(112)를 포함한다. 구동부(111)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전기화학적으로 구동되어 양압과 음압을 발생시키고, 양압과 음압에 따라 약물을 토출하고, 챔버(112)는 구동부(111)의 압력에 따라 약물 저장부(120)에서 약물을 흡입 후 삽입부(130)로 약물을 토출한다. 여기서, 약물은 특정 환자에게 주입되어야 하는 약물로, 당뇨병 환자에게 주입되는 인슐린을 예로 들 수 있다. If the electro-osmotic pump 11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he electro-osmotic pump 110 includes a driving unit 111 and a chamber 112. The drive unit 111 is electrochemically driven by a control signal to generate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and discharges the drug according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ssure, and the chamber 112 stores the drug 120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drive unit 111. After inhaling the drug, the drug is discharged into the insertion part 130. Here, the drug is a drug that must be injected into a specific patient, for example, insulin injected into a diabetic patient.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n exampl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shown in FIG. 6.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동부(11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111)는 다공성막(멤브레인, 111a)의 양단에 전극을 이용하여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생기는 전기 삼투 현상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이용한 펌프이다. 구동부(111)는 멤브레인(111a)과 멤브레인(111a)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전극(111b) 및 제2 전극(111c)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111d),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유로(111e)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driving unit 111 is described in detail by the electro-osmosis phenomenon that occurs when voltage or current is applied to both ends of a porous membrane (membrane, 111a) using electrodes. It is a pump that uses fluid movement. The driving unit 111 includes a membrane 111a, a power source 111d that applies voltage or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111b and the second electrode 111c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embrane 111a, and a flow path for fluid movement. It may include (111e).

다공성막(111a)의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실리카(silica), 유리(glass) 등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수용액에 담겨 있게 되면 표면이 음전하를 띠게 된다. 다공성막(111a)에는 수 많은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경로가 있는데, 이 중 하나를 확대해 보면 음전하(bound anion)를 띤 유체통로의 표면은 움직일 수 있는 (+) 전하를 가진 양이온(mobile cation)에 의해 전하균형을 맞추어 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전극(111b)에 (+) 전압을, 제2 전극(111c)에 (-) 전압을 인가하면 읍압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음압에 의해 구동부(111) 내부의 유체는 ①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약물은 흡입로(141)를 통해 흡입되고, 흡입 밸브(140)를 거쳐 통해 챔버(112)로 유입된다. 이때, 토출 밸브(150)는 폐쇄되어, 토출로(151)에 음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Silica, glass, etc. are generally used as materials for the porous film 111a, and when these are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their surface becomes negatively charged. The porous membrane 111a has paths through which numerous fluids can pass. If one of these is enlarged, the surface of the fluid path, which has a negative charge (bound anion), is a positive ion (mobile cation) with a movable (+) charge. It can be in a state where charge balance is achieved. In this state, when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11b and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111c,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This negative pressure causes the fluid inside the driving unit 111 to move in direction ①. is moved to At this time, the drug is inhal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41 and flows into the chamber 112 through the suction valve 140. At this time, the discharge valve 150 is closed to prevent negative pressur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path 151.

반대로, 제1 전극(111b)에 (-) 전압을, 제2 전극(111c)에 (+) 전압을 걸어주면, 가역적인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의 양압이 발생한다. 이러한 양압에 의해 구동부(111) 내부의 유체는 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챔버(112)에 저장된 약물은 토출 밸브(150)를 거쳐 토출로(151)를 통해 대상체로 유입된다. 이때, 흡입 밸브(140)는 차단되어, 흡입로(141)에는 양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흡입 밸브(140)와 토출 밸브(150)는 일 방향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체크밸브로서, 압력의 해제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Conversely, when a (-)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11b and a (+)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111c, a positive press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generated by a reversible electrochemical reaction. Due to this positive pressure, the fluid inside the driving unit 111 moves in the direction ②. At this time, the drug stored in the chamber 112 flows into the subject through the discharge valve 150 and the discharge passage 151. At this time, the suction valve 140 is blocked to prevent positive pressur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uction passage 141. Meanwhile, the suction valve 140 and discharge valve 150 are check valves that move fluid in one direction and prevent backflow of fluid when pressure is released.

이와 같은 현상을 전기 삼투 현상이라 하고, 이 원리를 이용한 펌프가 전기삼투펌프(110)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극(111b, 111c)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 및 인가 시간을 제어하여 전기삼투펌프(110)에서 발생되는 압력과 토출되는 약물의 부피를 제어할 수 있다.This phenomenon is called electro-osmotic phenomenon, and a pump using this principle is the electro-osmotic pump (110). Therefore,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electroosmotic pump 110 and the volume of the drug discharged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magnitude and application time of the voltage or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1b and 111c.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구동부(111)의 제1 전극(111b)과 (-) 제2전극(111c) 각각에 전압 또는 전류의 극성을 교번하여 공급함으로써 정방향 및 역방향의 전기화학 반응이 가역적으로 발생한다. 정방향과 역방향의 전기화학 반응이 반복하여 발생함으로써, 전기삼투펌프 내부의 유체는 반복하여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또한, 반복적인 정방향 및 역방향의 가역적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제1 전극(111b)과 제2 전극(111c) 각각은 소모 및 재생이 반복된다. 이러한 전기삼투펌프(110)의 챔버(112)에 흡입 밸브(140)와 토출 밸브(150)를 각각 결합하면, 흡입 동작시에 약물 저장부(120)의 약물이 흡입로(141)를 통해 흡입되고, 흡입 밸브(140)를 거쳐 챔버(112)에 저장된다. 그리고, 토출 동작시 챔버(112)에 저장된 약물이 토출 밸브(150)를 거쳐 토출로(151)를 통해 삽입부(130)로 토출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larity of voltage or current is alternately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11b and the (-) second electrode 111c of the driver 111, so that electrochemical reaction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ccur reversibly. do. As electrochemical reaction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ccur repeatedly, the fluid inside the electroosmotic pump repeatedly performs a reciprocating motion.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11b and the second electrode 111c is repeatedly consumed and regenerated by repeated reversible electrochemical reaction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en the suction valve 140 and the discharge valve 15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hamber 112 of the electro-osmotic pump 110, the drug in the drug storage unit 120 is inhal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41 during the suction operation. and is stored in the chamber 112 through the intake valve 140. Then, during the discharge operation, the drug stored in the chamber 112 is discharged to the insertion unit 130 through the discharge valve 150 and the discharge passage 151.

구동부(111)에 활용되는 전극은 유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다공성 전극인 백금망(Pt mesh), 다공성 탄소 종이 혹은 섬유(carbon paper or carbon cloth), 또는 다공성 구조 위에 다양한 전극 물질을 코팅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비투과성 기저물질에 적용하여 드롭코팅, 스핀코팅 등의 고정 가능한 다양한 물질을 코팅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비투과성 기저물질로는 전도성 물질, 반도체 물질 및 비전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상형 기재로서, 그에 코팅되는 전극 물질은 금속, 금속 산화물(metal oxide), 전도성 고분자(conducting polymer),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metal hexacyanoferrate), 탄소 나노 구조체, 또는 이들의 복합체(composite)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used in the driving unit 111 is a porous electrode made of platinum mesh (Pt mesh), porous carbon paper or fiber (carbon paper or carbon cloth), or a porous structure coated with various electrode material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fluid.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coating a variety of fixable materials such as drop coating or spin coating by applying it to a non-permeable base material. At this time, the non-permeable base material is a plate-shaped substrate containing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material, a semiconductor material, and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de material coated thereon is metal, metal oxide, conducting polymer, or metal. It may be composed of metal hexacyanoferrate, carbon nanostructure, or a composite thereof.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0은 도8에 도시된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약물 주입 장치(1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gure 8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ure 8, and Figure 10 is a drug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ure 8. This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jection device. The ope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약물 주입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기초로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과정은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The drug injection device 10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sets the injection sequence based on this. The process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data used to set the injection sequence. Next,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injection sequence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10)가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9, a process of setting an injection sequence by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약물 주입 장치(10)는 약물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주입 조건은 약물 주입량을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 기간 및 약물 주입 속도를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량 및 약물 주입 기간을 포함한다. 당뇨 환자의 경우, 약물 주입 조건은 기저 주입과 즉시 주입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기저 주입은 소정의 속도로 약물을 소정의 시간 동안 주입하여 당뇨 환자의 혈당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주입 방법이고, 즉시 주입은 휴지 시간 없이 약물을 당뇨병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주입 방법이다. 기저 주입과 즉시 주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 될 수 있다.The drug injection device 10 can set an injection sequence using drug injection conditions. Here,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include the drug injection amount, the drug injection period and drug injection speed, or the drug injection amount and drug injection period. For diabetic patients, drug infusion conditions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basal infusion and immediate infusion. Basal infusion is an injection method to keep the blood sugar level of a diabetic patient constant by injecting the drug at a predetermined 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Immediate injection is an injection method for injecting drugs into diabetic patients without any downtime. Basal infusion and immediate infus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약물 주입 장치(1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약물 주입 조건을 수신하기 위해 통신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주입 조건은 통신 모듈(300)을 통해 약물 주입 장치(10)와 통신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여 제어 신호를 약물 주입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주입 시퀀스는 약물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설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 받거나, 사용자의 과거 약물 주입 장치의 사용 이력을 기초로, 외부 컴퓨팅 장치를 통해 산출되어 수신될 수도 있다.The drug injection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300 to receive drug injection conditions from the user terminal 40. Drug injection conditions ar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which is connected to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Then, the control unit 200 sets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drug injector 100. Here, the injection sequence is not set using drug injection conditions, but is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or is calculated and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based on the user's past use history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It may be possible.

사용자 단말(40)은 무선 통신를 통해 약물 주입 장치(1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40)은 약물 주입 장치(10)의 착용자 또는 의료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4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약물 주입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laptop,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various smartphones, tablet PCs, smart watches, etc. As such, the user terminal 40 is managed by the wearer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or a medical professional, and drug injection conditions can be set through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40.

또한, 약물 주입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을 이용하여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또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약물 주입 장치(10)와 통신 모듈(300)을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약물 주입 조건을 산출한다. 그리고,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여 주입 시퀀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약물 주입기(100)로 전송한다.Additionally,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can set the injection sequence using user input data. Here, the user input data includes the user's blood sugar or the user's meal information. User input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which is communicated with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the control unit 200 calculates drug inje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data. do. Then,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is set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is transmitted to the drug injector 100.

또한, 약물 주입 장치(10)는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는 약물 주입 장치(10)와 통신 모듈(300)을 통해 통신 연결된 외부 측정 장치(50)을 통해 수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약물 주입 조건을 산출한다. 그리고,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여 주입 시퀀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약물 주입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측정 장치(50)는 사용자의 혈당을 센싱하는 장치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may set an injection sequence using user biometric data. Here, the user biometric data includes the user's blood sugar information. User biometric data is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measurement device 50 that is communicated with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the control unit 200 sets drug inje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received user biometric data. Calculate Then,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is set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is transmitted to the drug injector 100. Here, the external measuring device 50 may be a device that senses the user's blood sugar level.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약물 주입 장치가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Next, the process by which the drug injection device sets the injection seque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약물 주입 장치(10)는 약물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0)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약물 주입 조건을 입력 받는다. 약물 주입 장치(10)가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사용자 단말(40)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에 약물 주입 조건 등을 입력하여, 약물 주입 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 모듈(300)은 선택적으로 제외될 수 있다.The drug injection device 10 can set an injection sequence using drug injection conditions.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and receive drug injection conditions from the user using 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includes 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the user inputs drug injection conditions, etc. directly into 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without using a separate user terminal 40. Thus, the ope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can be selectively excluded.

제어부(200)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을 통해 입력된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약물 주입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주입 시퀀스는 약물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설정되지 않고,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 받을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00 sets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drug injector 100. Here, the injection sequence is not set using drug injection conditions, but may be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은 약물 주입 장치(10)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물리 입출력 버튼과, 물리 입출력 버튼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달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includes a physical input/output button coupled to an external housing containing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that transmits a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physical input/output button to the control unit 200. can do.

또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은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약물 주입 조건 또는 주입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may output a UI that guides the user to input information about drug injection conditions or injection sequence through a touch screen display.

추가적으로, 앞서 설명한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제어부(200)는 각각의 약물 주입 조건 별로 복수의 주입 시퀀스가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해,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1a는 복수의 주입 시퀀스가 저장된 테이블 일부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11b는 복수의 펄스 블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어부(200)는 도 11a에 도시된 테이블에서 각각의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되는 주입 시퀀스를 매칭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주입 속도 또는 주입량 등의 약물 주입 조건에 따라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00 may refer to a table storing a plurality of injection sequences for each drug injection condition and set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FIG. 11A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ortion of a table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sequences are stored, and FIG. 11B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ulse blocks. The controller 200 can match and set the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each drug injection condition in the table shown in FIG. 11A. That is, the injection sequence can be set according to drug injection conditions such as injection speed or injection amount.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약물 주입 조건에 따라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약물 주입 조건으로 주입속도(시간당 주입량)를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200)는 입력 받은 주입속도에 대응 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한다. 약물 주입 조건으로 0.55 U/hr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00)는 그에 대응하는 제4 주입 시퀀스를 주입 시퀀스로서 설정한다. 제4 주입 시퀀스는 제1 펄스 블록, 제2 펄스 블록 및 제3 펄스 블록으로 구성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4 주입 시퀀스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펄스 블록들은 각각 다른 양의 약물을 주입하는 펄스 신호이다. 따라서, 주입 시퀀스는 주입되는 약물양에 따라 펄스 블록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1b에서 펄스 블록이 정방향 전압 펄스와 역방향 전압 펄스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로 구성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S. 11A and 11B , the process of setting an injection sequence according to drug injection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1A, when an injection speed (injection amount per hour) is input as a drug injection condition, the control unit 200 sets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jection speed. When 0.55 U/hr is input as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the control unit 200 sets the corresponding fourth injection sequence as the injection sequence. The fourth injection sequence consists of a first pulse block, a second pulse block and a third pulse block. Referring to FIG. 11B, the first to third pulse blocks constituting the fourth injection sequence are pulse signals for injecting different amounts of drug. Accordingly, the injection sequence may consist of different pulse blocks depending on the amount of drug injected. In Figure 11b, the pulse block is shown as consisting of forward voltage pulses and reverse voltage pulse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posed of forward current pulses and reverse current pulses in some cases.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rug inj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방법(S100)을 설명하면, 약물 주입 방법(S100)은 약물 주입 장치(10)의 동작을 결정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단계 S110)하고, 주입 시퀀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기삼투펌프(110)에 인가(단계 S120)한다. 이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전기삼투펌프(110)가 각각의 펄스 블록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하여 약물을 사용자에게 주입(단계 S130)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주입 시퀀스는 전기삼투펌프(110)에 인가될 전압 펄스 또는 전류 펄스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펄스 블록 각각은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되어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키는 정방향 펄스와 역방향 펄스를 포함하는 한 쌍의 펄스 신호를 정의하는 것이다.When describing the drug injection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12, the drug injection method (S100) includes an injection sequence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Set (step S110), and apply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to the electroosmotic pump 110 (step S120). Thereafter,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electroosmotic pump 110 alternately generates negativ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to inhale and discharge the drug, thereby proceeding with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drug into the user (step S130). Here, the injection sequence includes at least one pulse block defining a voltage pulse or current pulse to b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110, and each pulse block is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to alternately generate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It defines a pair of pulse signals including a pulse and a reverse pulse.

이후,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과정(단계 S110)은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step S110) can be divided into various embodiments depending on the data used to set the injection sequence.

먼저, 약물 주입 장치(10)는 약물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주입 조건은 약물 주입량을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 기간 및 약물 주입 속도를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량 및 약물 주입 기간을 포함한다. 약물 주입 장치(10)는 통신 모듈(300)을 통해 약물 주입 장치(10)와 통신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약물 주입 조건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약물 주입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주입 시퀀스는 약물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설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 받을 수도 있다. First,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can set an injection sequence using drug injection conditions. Here,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include the drug injection amount, the drug injection period and drug injection speed, or the drug injection amount and drug injection period.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may receive drug injection conditions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which is connected to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Then, the control unit 200 sets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drug injector 100. Here, the injection sequence is not set using drug injection conditions, but may be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또한, 약물 주입 장치(10)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약물 주입 조건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제어부(200)는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여 제어 신호를 약물 주입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주입 시퀀스는 약물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설정되지 않고,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 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can receive drug injection conditions from the user using 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and the control unit 200 sets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and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drug. Transfer to injector 100. Here, the injection sequence is not set using drug injection conditions, but may be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400.

또한, 약물 주입 장치(1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을 이용하여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또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포함한다. 약물 주입 장치(10)와 통신 모듈(300)을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약물 주입 조건을 산출한다. 그리고,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여 주입 시퀀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약물 주입기(100)로 전송한다.Additionally,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can set the injection sequence using user input data. Here, the user input data includes the user's blood sugar or the user's meal information. User input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which is communicated with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the control unit 200 calculates drug inje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data. do. Then,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is set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is transmitted to the drug injector 100.

또한, 약물 주입 장치(10)는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포함한다. 약물 주입 장치(10)와 통신 모듈(300)을 통해 통신 연결된 외부 측정 장치(50)을 통해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약물 주입 조건을 산출한다. 그리고,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여 주입 시퀀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약물 주입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측정 장치(50)는 사용자의 혈당을 센싱하는 장치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may set an injection sequence using user biometric data. Here, the user biometric data includes the user's blood sugar information. User biometric data is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measuring device 50 that is connected to the drug injection device 10 through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the control unit 200 sets drug inje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received user biometric data. Calculate Then,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is set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is transmitted to the drug injector 100. Here, the external measuring device 50 may be a device that senses the user's blood sugar level.

한편,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제어부(200)는 각각의 약물 주입 조건 별로 복수의 주입 시퀀스가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해,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the controller 200 may refer to a table storing a plurality of injection sequences for each drug injection condition and set the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그리고, 제어 신호를 전기삼투펌프에 인가하는 과정(단계 S120)에서 주입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는 펄스 블록 단위로 정방향 전압 펄스 및 역방향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압 펄스 쌍 또는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를 포함하는 전류 펄스 쌍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 신호를 통해 전기삼투펌프가 각각의 펄스 블록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단계 S130)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osmotic pump (step S120),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is a voltage pulse pair including a forward voltage pulse and a reverse voltage pulse or a forward current pulse and a reverse current pulse in pulse block units. It may include a pair of current pulses including, and through this control signal, the electroosmotic pump alternately generates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to perform the operation of suctioning and discharging the drug (step S130) to the user. Drugs can be inj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약물 주입 장치
100: 약물 주입기
200: 제어부
300: 통신 모듈
400: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
10: Drug injection device
100: Drug injector
200: control unit
300: Communication module
400: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Claims (31)

약물 주입 장치에 있어서,
전기화학적으로 전기삼투펌프를 구동하여 약물 저장고로부터 약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약물을 주입 대상으로 토출하는 약물 주입기; 및
상기 약물 주입기에 대해, 상기 전기삼투펌프의 구동을 정의하는 주입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 시퀀스는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될 전압 펄스 또는 전류 펄스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블록 각각은,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되어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키는 정방향 펄스와 역방향 펄스를 포함하는 한 쌍의 펄스 신호를 정의하며,
상기 전기삼투펌프는 각각의 펄스 블록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상기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In the drug injection device,
A drug injector that electrochemically drives an electroosmotic pump to inhale drugs from a drug reservoir and discharges the inhaled drugs to the injection target; and
For the drug injector,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jection sequence defining driving of the electro-osmotic pump,
The injection sequence includes at least one pulse block defining a voltage pulse or current pulse to b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Each of the pulse blocks defines a pair of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pulse and a reverse pulse that ar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and generate alternating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The electro-osmotic pump is a drug injection device that alternately generates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to inhale and discharge the dru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펄스 신호에 포함되는 정방향 펄스와 역방향 펄스의 크기와 유지시간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약물과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동일해지도록 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gnitude and retention time of the forward pulse and reverse pulse included in the pair of pulse signals are set to be the same, so that the amount of drug inhaled and discharged by the electroosmotic pump is the same, drug inj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압 펄스 신호 또는 한 쌍의 전류 펄스 신호에 대한 정보는 각 전압 펄스 크기 및 유지시간 또는 각 전류 펄스의 크기 및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rug injection device,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or the pair of current pulse signals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each voltage pulse or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each current pul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장치가 공급하는 한 쌍의 전압 펄스 신호의 크기 및 유지 시간 또는 한 쌍의 전류 신호의 크기 및 유지 시간이 조절되되, 한 쌍의 전압 펄스 신호 또는 한 쌍의 전류 펄스 신호에 의해 흡입되는 약물과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동일해지도록 조절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a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supplied by the drug injection device or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a pair of current signals are adjusted, and the intake by the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or the pair of current pulse signals is adjusted. A drug injection device that is adjusted so that the amount of drug and the drug discharged are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장치는 정전압 또는 정전류를 제공하고, 정전압 또는 정전류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 펄스의 유지 시간 또는 전류 펄스의 유지 시간을 조절하여, 각 펄스 블록에 의해 흡입 및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조절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ug injection device provides constant voltage or constant current, and adjusts the maintenance time of the voltage pulse or the maintenance time of the current pulse provided by the constant voltage or constant current, so that the amount of drug inhaled and discharged by each pulse block is adjusted. Phosphorus, drug inj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펄스 신호는 정방향 전압 펄스와 역방향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압 펄스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정방향 전압 펄스와 역방향 전압 펄스의 인가 이후 0V 전압을 소정 시간 지속하는 안정화 펄스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ir of pulse signals consists of a pair of voltage pulses including a forward voltage pulse and a reverse voltage pulse,
A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stabilizing pulse that maintains a 0V voltag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forward voltage pulse and the reverse voltage puls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펄스 신호는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를 포함하는 전류 펄스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의 인가 이후 0A 전류를 소정 시간 지속하는 안정화 펄스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pulse signals consists of a current pulse pair including a forward current pulse and a reverse current pulse,
A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stabilizing pulse that maintains a 0A curr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forward current pulse and the reverse current pul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블록의 인가 이후, 또는 인접한 펄스 블록들 사이에 0V 전압 또는 0A 전류를 소정 시간 지속하는 휴지 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jection sequence includes at least one pulse block,
A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rest block that maintains 0V voltage or 0A curr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pulse block or between adjacent pulse blo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는 복수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펄스 블록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ug injection device wherein the injection sequence includes a plurality of pulse blocks, and each pulse block is arranged sequenti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삼투펌프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전기화학적으로 구동되어, 양압과 음압을 교번하여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압력에 따라 약물소스로부터 약물 흡입 후 삽입부로 약물을 토출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lectroosmotic pump is electrochemically driven by the control signal, and a driving unit that alternately generates positive pressure and negative pressure.
A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chamber that inhales drug from the drug source and then discharges the drug to the inser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장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약물 주입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되,
상기 약물 주입 조건은 약물 주입량을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 기간 및 약물 주입 속도를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량 및 약물 주입 기간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ug injection device receives drug injection conditions from a user terminal or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control signal using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includes a drug injection amount, a drug injection period and a drug injection speed, or a drug injection amount and a drug injection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약물 주입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되,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주입 조건은 약물 주입량을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 기간 및 약물 주입 속도를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량 및 약물 주입 기간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ug injection device receives user input data from a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calculates drug inje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user input data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using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The user input data includes the user's blood sugar, user activity information, or user's meal information,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includes a drug injection amount, a drug injection period and a drug injection speed, or a drug injection amount and a drug injection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장치는 외부 측정 장치로부터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약물 주입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되,
상기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정보 또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주입 조건은 약물 주입량을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 기간 및 약물 주입 속도를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량 및 약물 주입 기간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ug injection device receives user biometric data from an external measurement devic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drug inje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user biometric data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using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The user biometric data includes the user's blood sugar information or user activity information,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includes a drug injection amount, a drug injection period and a drug injection speed, or a drug injection amount and a drug injection period.
제11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약물 주입 조건 별로 복수의 주입 시퀀스가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The control unit refers to a table storing a plurality of injection sequences for each drug injection condition and sets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장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설정된 주입 시퀀스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입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ug injection device receives an injection sequence set by a user terminal or a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control signal using the injection sequ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는 사용자의 과거 약물 주입 장치의 사용 이력을 기초로, 외부 컴퓨팅 장치를 통해 산출되어 수신된 것인, 약물 주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jection sequence is calculated and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based on the user's past use history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전기삼투펌프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입 시퀀스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삼투펌프가 각각의 펄스 블록마다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켜 약물을 흡입하고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 시퀀스는,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될 전압 펄스 또는 전류 펄스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블록 각각은,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인가되어 음압과 양압을 교번하여 발생시키는 정방향 펄스와 역방향 펄스를 포함하는 한쌍의 펄스 신호를 정의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In a method of injecting a drug using a drug injection device including an electroosmotic pump,
setting an injection sequence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Apply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sequence to the electro-osmotic pump; 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electro-osmotic pump alternately generates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for each pulse block to inhale and discharge the drug,
The injection sequence includes at least one pulse block defining a voltage pulse or current pulse to be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Each of the pulse blocks is applied to the electroosmotic pump and defines a pair of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pulse and a reverse pulse that alternately generate negative pressure and positive pressur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한 쌍의 펄스 신호에 포함되는 정방향 펄스와 역방향 펄스의 크기와 유지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상기 전기삼투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약물과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동일해지도록 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step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is,
A drug injection device that sets the magnitude and retention time of the forward and reverse pulses included in a pair of pulse signals to be the same, so that the amounts of drug inhaled and discharged by the electroosmotic pump are the same. Method of drug injec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에 포함된 각각의 펄스 블록은 정방향 전압 펄스 및 역방향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한쌍의 전압 펄스 신호 또는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를 포함하는 한쌍의 전류 펄스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Each pulse block included in the injection sequence contains information about a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voltage pulse and a reverse voltage pulse or a pair of current pulse signals including a forward current pulse and a reverse current pulse. , drug injection method of drug injection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압 펄스 신호 또는 한쌍의 전류 펄스 신호에 대한 정보는 각 전압 펄스 크기 및 유지시간 또는 각 전류 펄스의 크기 및 유지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9,
The drug injection method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or the pair of current pulse signals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each voltage pulse or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each current puls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한쌍의 전압 펄스 신호의 크기 및 유지 시간 또는 한쌍의 전류 신호의 크기 및 유지 시간을 조절하여, 한쌍의 전압 펄스 신호 또는 한쌍의 전류 펄스 신호에 의해 흡입되는 약물과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동일해지도록 설정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9,
The step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is,
By adjusting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the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or the size and maintenance time of the pair of current signals, the amount of drug inhaled and the drug discharged by the pair of voltage pulse signals or the pair of current pulse signals are the same. A drug inj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which is set to be use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주입 장치가 공급하는 정전압 또는 정전류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 펄스의 유지 시간 또는 전류 펄스의 유지 시간을 조절하여, 각 펄스 블록에 의해 흡입 및 토출되는 약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설정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9,
The step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is,
The drug is set so that the amount of drug inhaled and discharged by each pulse block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maintenance time of the voltage pulse or the maintenance time of the current pulse applied by the constant voltage or constant current supplied by the drug injection device. Method of drug injection using an injection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펄스 신호는 정방향 전압 펄스와 역방향 전압 펄스를 포함하는 전압 펄스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정방향 전압 펄스와 역방향 전압 펄스의 인가 이후 0V 전압을 소정 시간 지속하는 안정화 펄스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9,
The pair of pulse signals consists of a pair of voltage pulses including a forward voltage pulse and a reverse voltage pulse,
A drug inj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stabilization pulse that maintains a 0V voltag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forward voltage pulse and the reverse voltage puls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펄스 신호는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를 포함하는 전류 펄스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정방향 전류 펄스와 역방향 전류 펄스의 인가 이후 0A 전류를 소정 시간 지속하는 안정화 펄스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9,
The pair of pulse signals consists of a current pulse pair including a forward current pulse and a reverse current pulse,
A drug inj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stabilizing pulse that maintains a 0A curr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forward current pulse and the reverse current puls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는,
상기 펄스 블록의 인가 이후, 또는 인접한 펄스 블록들 사이에 0V 전압 또는 0A 전류를 소정 시간 지속하는 휴지 블록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injection sequence is,
A drug inj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rest block that maintains 0V voltage or 0A curren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pulse block or between adjacent pulse block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는 복수의 펄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 펄스 블록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drug injection method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wherein the injection sequence includes a plurality of pulse blocks, and each pulse block is arranged sequentially.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주입 장치가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수신한 약물 주입 조건을 기초로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되,
상기 약물 주입 조건은, 약물 주입량을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 기간 및 약물 주입 속도를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량 및 약물 주입기간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step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is,
The drug injection device sets the injection sequence based on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or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include a drug injection amount, a drug injection period and a drug injection speed, or include a drug injection amount and a drug injection perio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주입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물 주입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상기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되,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사용자 활동 정보 또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주입 조건은, 약물 주입량을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 기간 및 약물 주입 속도를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량 및 약물 주입 기간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step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is,
The drug injection device calculates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based on user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ts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The user input data includes the user's blood sugar, user activity information, or user's meal information,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includes a drug injection amount, a drug injection period and a drug injection speed, or includes a drug injection amount and a drug injection perio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주입 장치가 외부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약물 주입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상기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되,
상기 사용자 생체 측정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정보 또는 사용자 활동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주입 조건은, 약물 주입량을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 기간 및 약물 주입 속도를 포함하거나, 약물 주입량 및 약물 주입 기간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step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is,
The drug injection device calculates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based on user biometric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measurement device and sets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s,
The user biometric data includes the user's blood sugar information or user activity information,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includes a drug injection amount, a drug injection period and a drug injection speed, or includes a drug injection amount and a drug injection period.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약물 주입 조건 별로 복수의 주입 시퀀스가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약물 주입 조건에 대응하는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7 to 29,
The step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is,
A drug inj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wherein an injection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drug injection condition is set by referring to a table storing a plurality of injection sequences for each drug injection condi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퀀스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약물 주입 장치가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설정된 주입 시퀀스를 수신하고, 수신한 주입 시퀀스를 상기 주입 시퀀스로서 설정하는 것인, 약물 주입 장치의 약물 주입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step of setting the injection sequence is,
A drug injection method of a drug injection device, wherein the drug injection device receives an injection sequence set by a user terminal or a user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and sets the received injection sequence as the injection sequence.
KR1020220105166A 2022-04-28 2022-08-23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3015321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697A KR20230153934A (en) 2022-04-28 2023-04-20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PCT/KR2023/005437 WO2023211062A1 (en) 2022-04-28 2023-04-21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2491 2022-04-28
KR1020220052491 2022-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216A true KR20230153216A (en) 2023-11-06

Family

ID=8874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166A KR20230153216A (en) 2022-04-28 2022-08-23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21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fton Implantable pumps
US10213549B2 (en)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9333297B2 (en) Drug-delivery pump with intelligent control
US20140088554A1 (en) Drug-delivery pump with intelligent control
US202003841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controller of delivery device having swipe and tap to confirm feature
WO2012148638A2 (en) Detecting and responding to software and hardware anomalies in a fluid delivery system
US11590282B2 (en) Insertion site monitoring methods and related infusion devices and systems
WO2015070161A1 (en) Drug delivery programming techniques
Robertson et al. The latest developments in insulin injection devices
KR20230153216A (en)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30153934A (en)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30998A (en)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30999A (en)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58778A (en)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58032A (en) Drug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23211062A1 (en)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CA2983997C (en) Infusion devices for therapy recommendations
WO2024048938A1 (en)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WO2024048939A1 (en)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80076071A (en) Injection Appartus with Gear Pump
KR20170083390A (en) Apparatus for infusing medical liquid
WO2024090972A1 (en)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WO2024090971A1 (en) Drug injection device and method
Shin et al. A miniature, single use, skin-adhered, low-voltage, electroosmotic pumping-based subcutaneous infusion system
US20240157055A1 (en) Maximum subcutaneous insulin absorption rates to calculate effective insulin-on-board in automated insulin delivery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