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215A -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215A
KR20230153215A KR1020220102025A KR20220102025A KR20230153215A KR 20230153215 A KR20230153215 A KR 20230153215A KR 1020220102025 A KR1020220102025 A KR 1020220102025A KR 20220102025 A KR20220102025 A KR 20220102025A KR 20230153215 A KR20230153215 A KR 2023015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composite lubricant
powder metallurgy
polyethylene
ste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문
김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솔
Publication of KR2023015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21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 B01J2/04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in a gas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56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05/68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6Particles of special shape o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7/00Special methods of preparation of lubricating compositions; 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of components or of the whole of a lubricating composition,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1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seven or less carbon atoms
    • C10M2207/12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seven or less carbon atoms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8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6Release agents or mold release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mposite lubricant for powder metallurg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분말 야금 윤활제는 성형 공정에서 성형품 이형 시 금형과의 마찰 및 가압 시 금속 분말 간 마찰을 줄여주는 목적으로 혼합하여 사용된다.
분말 야금 윤활제의 성능에 따라 성형품의 표면 조도, 밀도 등의 차이가 발생한다.
주로 사용되는 윤활제는 단일 물질로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 금속계 스테아레이트 등이 있으나, 성형품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 금속계 스테레이트를 단일 물질로 사용 시 윤활 특성이 떨어지며, 특히 금속계 스테레이트는 소결 중 금속성분의 잔류로 소결체 표면의 오염으로 외관 품질에 문제의 소지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8333호 (회가내스 사)의 특허를 보면, 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 및 폴리에틸렌 왁스를 윤활제 조성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금속분말 혼합 시 이루어지게 되며 적합한 혼합설비를 갖추고 있어야 가능하여 회가내스 사의 premix 분말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이 조성물의 윤활제 사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0808333호와 같은 특허 기술보다 개선된 복합 윤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단일 혹은 단순 혼합 윤활제보다 우수한 윤활 특성을 가지면서 가격경쟁력을 갖춘 복합 윤활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 에틸렌 5 내지 30중량%;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잔부인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 에틸렌 10 내지 20중량%;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10 내지 20중량%; 및 잔부인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윤활제는 취출력(kgf)이 760 kgf 미만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750, 700, 또는 610 kgf 미만일 수 있다. (원형 금형 25.4mm/ 성형압력 500MPa 기준)
이러한 윤활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의 밀도는 6.93 g/cm3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6.96, 또는 7.00 g/cm3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용융하여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용융하여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160-1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는, 250-450 kPa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된 미분의 고상 윤활제를 분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급된 고상의 윤활제는 입도 (D50)은 1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용융하여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폴리 에틸렌 5 내지 30중량%;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잔부인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의 조성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야금 복합 윤활제 조성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단일 혹은 단순 혼합 윤활제보다 낮은 취출에너지, 밀도 상승등의 윤활제 특성을 향상시키는 저가형 분말야금 복합 윤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가스분무장치(Gas Atomizer)의 개략도이다.
도 3은 가스 분무 후 윤활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가스분무 후 윤활제의 구형상을 확인한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 윤활제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와 폴리에틸렌 베이스에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를 더 포함함으로 인해 성형 가압 후 취출 시 이형 및 윤활성의 효과가 증대되어 취출에너지가 감소하며 또한 금형과의 마찰이 적어져 외관 품질이 좋아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 에틸렌 5 내지 30중량%;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잔부인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조된 액상의 윤활제로 분말 윤활제를 형성할 때, 금속 분말 성형 시 성형체의 밀도 향상 및 낮은 취출 에너지를 갖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폴리 에틸렌과 스테아릴 스테아레이드 함량이 5 중량% 미만이 되면 이형 윤활 특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0중량% 초과 시 폴리 에틸렌의 경우에는 성형체 밀도 향상에 저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의 경우 성형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액상이 되어 성형체 외부로 유출되어 외관 불량 요소로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는 스테라인 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는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 에틸렌 10 내지 20중량%;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10 내지 20중량%; 및 잔부인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야금 복합 윤활제 조성 및 그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은,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용융하여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용융하여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160-1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액상의 윤활제를 제조할 수 있는 용융 온도 범위로 선택되는 윤활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용융 온도 160℃ 이하이면 용융되는 속도가 매우 느려거나 용융이 되지 않아 미용융 분말이 가스분무장치 노즐을 막아 생산성을 저해 시키는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용융 온도 180℃이상이 되면 융점이 가장 낮은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부터 증기가 발생하게 되어 작업환경을 오염 시키며 또한 온도에 의해 탄화물이 발생하여 가스분무 노즐을 막거나 제품에 섞여 성능을 떨어뜨리는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는, 250-450 kPa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윤활제를 도 2와 같이 가스분무장치(gas atomizer)의 챔버에 투입한다. 액상의 윤활제가 아래로 흐르게 되고 이때 가스압력 250-450 kPa으로 분사하면 가스에 의해 액상의 윤활제는 미립화하면서 빠른 냉각속도로 고상화 한다.
이 고상화된 윤활제의 형태는 구형상으로 나타나며 빠른 냉각으로 인해 첨가물질들이 편석 되거나 용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첨가된 3가지 물질이 복합화 하게 된다. 이렇게 복합화된 구형상의 윤활제는 첨가 물질별 특징을 모두 갖게 된다.
가스압력은 노즐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같은 노즐 크기에서는 가스 압력에 따른 평균 입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된 미분의 고상 윤활제를 분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급된 고상의 윤활제는 입도 (D50)은 150 ㎛ 이하일 수 있다.
가스분무법장치로 제조된 고상의 윤활제 입도 분포는 3-350㎛로 나타난다. 150㎛이하의 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급이 필요하다.
분급은 체진동기나 기류식 분급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분말 윤활제를 150㎛이하의 크기로 선별을 수행한다. 150㎛이상의 분말 윤활제가 포함된 성형체로 소결을 하게 되면 외관 품질 불량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성형 시 밀도 저해 및 윤활성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복합 윤활제 조성성분으로서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미드, 폴리 에틸렌과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의 조성비를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용탕온도 170℃로 용해하여 액상의 윤활제를 제조하였다. 액상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에서 분무하여 분말 윤활제를 제조하였다. 분급기로 150㎛이하의 입자 크기로 선별하여 분말 윤활제를 제조하였다.
도 4는 제조된 분말 윤활제을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제조된 분말 윤활제는 구형상을 띄고 있다.
금속 기재 분말로, HSPP-2(현대제철 순철분)과 ACU-200(창성 구리분)으로 흑연 UF4(크로프뮬)를 준비하였다. 3중량%구리, 0.8중량% 흑연과 나머지 중량% 순철과 상기에서 준비된 분말 윤활제 0.6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철분을 제조하였다. 혼합철분을 25.4mm 원형 금형에 넣고 500MPa 성형압력을 가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복합 윤활제 조성성분으로서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미드, 폴리 에틸렌과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의 조성비에 따른 성형체 밀도 및 취출력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는 첨가량이 많아 질수록 취출력이 낮아지고 성형체 밀도는 상승하였다.
하지만 30중량% 초과되면 성형체 외관에 액상의 윤활제가 관찰되었다. 이 유출된 액상의 윤활제는 외관 불량의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폴리 에틸렌은 10중량%까지는 취출력이 낮아지고 밀도가 상승하였으나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취출력이 높아지고 밀도 상승은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미드 70중량%, 폴리 에틸렌 10중량%와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20중량%의 조성비를 가진 윤활제를 사용하는 경우 취출력이 가장 낮게 나왔으며 성형체 밀도 상승도 가장 크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구분 화학적 조성 (중량%) 취출력 (kgf) 성형체 밀도 (g/㎤) 제조방법 윤활제
외관 유출
에틸렌비스스테아라미드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실시예 60 30 10 650 ~700 6.96 가스분무 X
60 10 30 550 ~ 580 7.02 가스분무 X
90 5 5 680 ~ 750 6.93 가스분무 X
70 10 20 580 ~ 610 7.00 가스분무 X
비교예1 100 0 0 760 ~ 830 6.91 기계분쇄 X
비교예2
(KR10-0808333 대향)
75 25 0 700~750 6.93 가스분무 x
비교예3(KR10-0808333 대향) 40 60 0 730~810 6.88 가스분무 x
참고예 1 60 35 15 660~710 6.94 가스분무 x
참고예 2 60 15 35 550~600 7.02 가스분무 0
참고예3 70 10 20 720~810 6.93 기계분쇄 X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 에틸렌 5 내지 30중량%;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잔부인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 에틸렌 10 내지 20중량%;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10 내지 20중량%; 및
    잔부인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윤활제는 취출력(kgf)이 760 kgf 미만 (원형 금형 25.4mm/ 성형압력 500MPa 기준) 인 것인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5.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용융하여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용융하여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160-180℃에서 수행되는 것인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는,
    250-450 kPa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의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가스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된 미분의 고상 윤활제를 분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된 고상의 윤활제는 입도 (D50)은 150 ㎛ 이하인 것인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의 제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에틸렌;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를 용융하여 액상의 복합 윤활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폴리 에틸렌 5 내지 30중량%;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잔부인 에틸렌 비스-스테아마이드의 조성 범위를 만족하는 것인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의 제조 방법.
KR1020220102025A 2022-04-28 2022-08-16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3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26 2022-04-28
KR20220052926 2022-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215A true KR20230153215A (ko) 2023-11-06

Family

ID=8874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025A KR20230153215A (ko) 2022-04-28 2022-08-16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2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6185A (en) Method for preparing binder-treated metallurgical powders containing an organic lubricant
US6126715A (en) Iron-based powder compositions containing green strength enhancing lubricant
JP2904932B2 (ja) 圧粉体強度を高める滑剤を含む改良された鉄基材の粉末組成物
US5279640A (en) Method of making iron-based powder mixture
US20110123383A1 (en) Metal powder for metal laser-sintering and metal laser-sintering process using the same
KR20010104723A (ko) 분말 야금 조성물의 개선된 제조방법
CN110614376B (zh) 一种3d打印用钨铜复合粉末的制备方法
KR101362294B1 (ko) 금속 야금학적 분말 조성물
JP2010265454A (ja) 潤滑剤複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1976652A1 (en) Lubricant for powder metallurgical compositions
KR101632381B1 (ko) 철계금속과립분말을 이용한 철계금속부품 제조방법
KR101241244B1 (ko) 용사용 분말, 용사방법 및 용사피막의 형성방법
US568979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copper-chromium family metal alloy article
JP2008502807A (ja) 冶金粉末組成物及びこれから製造される部品
US6221125B1 (en) Water-atomized spherical metal powder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1214143B1 (en) Lubricant composit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230153215A (ko) 분말 야금용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EP3433392B1 (en) Iron based powder
KR20240045153A (ko) 분말 야금용 고밀도 복합 윤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EP1554070B1 (en) Iron-based powder composition including a silane lubricant
RU233307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талей на основе железа прессованием при повышенных давлениях
CN102947028A (zh) 铁粉冶金应用中用于改进的尺寸控制的组合物和方法
US9410250B2 (en) Discharge surface treatment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589088B1 (en) Iron-based powder mixture and method
KR102271296B1 (ko) 철동 합금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