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209A -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209A
KR20230153209A KR1020220079298A KR20220079298A KR20230153209A KR 20230153209 A KR20230153209 A KR 20230153209A KR 1020220079298 A KR1020220079298 A KR 1020220079298A KR 20220079298 A KR20220079298 A KR 20220079298A KR 20230153209 A KR20230153209 A KR 20230153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shielding member
board mount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원
주성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31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10954A1/en
Publication of KR2023015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2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보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보드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류의 노이즈(noise)를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라인필터(Line Filter)를 포함하고, 라인필터는, 코어, 코어와 보드 장착부 사이에 배치되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재 및 코어가 수용되는 코어 케이스로서, 코어 케이스의 외측 적어도 일부에 코일이 권선되며, 차폐부재의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을 지지하는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어 케이스를 포함한다.Provides display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a display case that supports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s a board mounting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a line filter ( Line Filter), the line filter is a core, a shiel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ore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shielding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nd a core case in which the core is accommodated, and a coil is woun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core case, It includes a core case including a shielding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라인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ne filter for reducing current noise.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보드(Power Supply Boar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보드는 Switched Mode Power Supply(SMPS) 보드로 마련될 수 있다.Electronic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may include a power supply board that supplies power to drive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board may be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board.

전자장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전자파가 발생할 수 있고, 전자파는 주변 기기에 영향을 미쳐 주변 기기의 기능에 장해를 주는 노이즈로 작용하거나,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적 규제도 이어지고 있다.Electronic devices can generate electromagnetic waves for a variety of reasons, and electromagnetic waves can affect nearby devices, acting as noise that interferes with the functions of nearby devices, or affecting the human body. International regulations are continuing to prevent this. .

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SMPS 보드는 스위칭 동작시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현상에 의하여 다양한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SMPS boards of electronic devices can generate various noises du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switching operations.

따라서, 전자장치에는 동작에 필요한 전류는 통과시키고 노이즈는 제거하는 라인필터 등 다양한 노이즈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electronic devices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noise filters, such as a line filter that passes current necessary for operation and removes noise.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라인필터를 포함하여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including a line filter to reduce current noise.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라인필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제품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reduce vibration of a product by shielding an electric or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a line filter.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부품 간의 거리를 줄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size of th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components.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라인필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a line filter and reduce production costs.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보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보드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류의 노이즈(noise)를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라인필터(Line Filter)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필터는, 코어, 상기 코어와 상기 보드 장착부 사이에 배치되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코어가 수용되는 코어 케이스로서, 상기 코어 케이스의 외측 적어도 일부에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을 지지하는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panel, a display case that supports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s a board mounting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reduce current noise. It includes a line filter provided to reduce, wherein the line filter includes a core, a shiel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ore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shielding an electric field or a magnetic field, and a core case in which the core is accommodated. , a coil is woun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core case, and may include a core case including a shielding support portion supporting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er.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차폐부재 및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ielding member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과 마주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차폐부재의 외측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The shield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facing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art of the shield member, and a second support part supporting an outer edge of the shield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s bent from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may be extended.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되며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차폐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groove)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art includes a third support part that faces the first support part and supports the other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art, and the first support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shielding member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is inserted. It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formed between the third support parts.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second support unit connects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third support unit.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코일은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코어 케이스에 권선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코일의 상기 보드 장착부를 향하는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case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the shielding member may cover one side of the coil facing the board mounting portion.

상기 차폐지지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지지부는 상기 코일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hield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shield support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shield supports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extends.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의 일부는 상기 차폐지지부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의 다른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side may be covered by the shield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side may be open.

상기 코어는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 케이스는 상기 코어에 대응하여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코어 및 상기 코어 케이스의 외측 제1 영역에 권선되는 제1 코일과, 상기 제1 영역에 대향되는 상기 코어 및 상기 코어 케이스의 외측 제2 영역에 권선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필터는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사이를 절연하도록 마련되는 세퍼레이터(separa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세퍼레이터와 상기 보드 장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re is formed to have an annular shape, the core case is formed to have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e, and the coil includes a first coil wound around a first area outside the core and the core case, and a second coil wound around the core facing the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outside the core case, wherein the line filter is a separator provided to insulate betwee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 and the shield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코어 케이스의 적어도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side of the core case.

상기 라인필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며 도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접속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코어 케이스의 외측에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 핀에 연결되는 접속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차폐부재와 상기 보드 장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코일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권선부와 상기 접속 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일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차폐지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ine filter is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in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il has a winding portion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case and a connection extending from the wind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It includes an end, and the shield support part includes a coil through-hole formed between the shielding member and the board mounting part, and the coil has at least a portion between the winding part and the connection end penetrating the coil through-hole.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ield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elding support.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라인필터가 실장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코어 케이스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기판 홀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판 홀에 삽입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at a location where the line filter is mounted, and includes a substrate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re cas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 support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지지하는 바텀 섀시(bottom chassis)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 장착부는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The display case includes a bottom chassis that supports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지지하는 바텀 섀시 및 상기 바텀 섀시에 장착되는 전원공급보드로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류의 노이즈(noise)를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라인필터(Line Filter)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필터는, 상기 바텀 섀시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어와 상기 바텀 섀시 사이에 배치되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코어가 수용되며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코어 케이스로서,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바텀 섀시 측 일면을 지지하는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 screen, a bottom chassis that supports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a power supply board mounted on the bottom chassis, and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ower supply board including a line filter provided to reduce current noise, wherein the line filter includes a cor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chassi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A coil disposed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re and the bottom chassis, a shielding member for shielding an electric or magnetic field, and a core case in which the core is accommodated and the coil is wou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bottom chassis of the shielding member. It may include a core case including a shielding support.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바텀 섀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바텀 섀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groove)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바텀 섀시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and the shield support part includes a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and the shiel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It can be prepar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코일의 상기 바텀 섀시 측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may cover one side of the bottom chassis of the coil.

상기 차폐부재는 자성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a magnetic material.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전자장치는 보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보드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라인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필터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일측을 커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코어 베이스와, 상기 코어의 타측을 커버하며 상기 코어 베이스에 결합되는 코어 커버를 포함하는 코어 어셈블리,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외측에 권선되는 코일 및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로서, 상기 코어 및 상기 보드 장착부 사이에서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이 상기 코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코어 베이스에 삽입되는 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board mounting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a line fil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vided to reduce current noise, The line filter includes a core assembly, the core assembly including a core, a core base that covers one side of the core and i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re cover that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core and is coupled to the core base. A shielding member that shields a coil wound on the outside and an electric or magnetic field,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between the core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core base. Preferably, it may include a shielding member inserted into the core base.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는 라인필터가 차폐부재를 지지하는 코어 케이스를 포함하여, 라인필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고 제품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 a core case in which the line filter supports the shielding member, thereby shielding the electric or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line filter and reducing vibration of the product.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여 라인필터와 다른 부품 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play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can reduce the distance between a line filter and other components, including a shielding member, and miniaturize the size of the product.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는 일부 구성이 일체화된 코어 케이스를 포함하여, 라인필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 a core case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integrat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line filter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어 커버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보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노이즈 필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필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라인필터를 저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라인필터를 분해하여 저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차폐지지부의 형상이 변형된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차폐지지부의 형상이 변형된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라인필터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모습이 변형된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라인필터를 인쇄회로기판에서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Y-Y'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코일에 의해 차폐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ar cover removed from the display device of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power supply boar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oise filter for reducing current nois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e filter of Figure 5.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line filter of Figure 5 as seen from the bottom.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ne filter of Figure 5 disassembled and viewed from the bottom.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5.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the shape of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is modified.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the shape of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is modified.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does not include a separator.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ne filter of Figure 12 disassembled.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line filter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line filter of FIG. 14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Y' of FIG. 14.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hield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by a coil.
Figure 1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in Figure 17 enlarged.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shown in each drawing of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terms “front”, “rear”, etc.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상 전자장치의 일 종류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사상은 전류의 노이즈(Noise)를 저감시키기 위한 라인필터(Line Filter)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에 적용 가능하다.Hereinafter, in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device, which is a type of electronic device, is us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e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to which a line filter can be applied to reduce current noise.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전자장치는 PC(Personal Computer)(미도시)의 중앙 처리 장치(CPU)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본체(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omputer body (not shown)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a personal computer (PC) (not shown).

아울러, 본 개시에서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례로 설명하나, 본 개시의 구성은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나,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가 가변 가능한 가변형(Bendable 또는 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에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s a flat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also be applied to a curved display device or a bendable or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flat state and the curved state are variable. Addition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all display devices regardless of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어 커버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ar cover removed from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display device 1.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텔레비전(Television, TV)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모니터(Monito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display device 1 is a device that processes image signal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visually displays the processed images. 1 and 2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1 is a television (TV), but the display device 1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monitor,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form of the display device 1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device that visually displays images. .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건물 옥상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옥외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Large Format Display, LFD)일 수 있다. 여기서, 옥외는 반드시 야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철역, 쇼핑몰, 영화관, 회사, 상점 등 실내이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이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 may be a large format display (LFD) installed outdoors, such as on the roof of a building or at a bus stop. Here, the outdoor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utdoors, and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nstalled in any pl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come and go even indoors, such as a subway station, shopping mall, movie theater, company, or store. You can.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can receive content including video signals and audio signals from various content sources, and output video and audio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s and audio signal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 may receive content data through a broadcast reception antenna or a wired cable, receive content data from a content playback device, or receive content data from a content provision server of a content provider.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방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screen.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0 that displays an image on the front.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복수의 픽셀(pixel)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되는 화면은 복수의 픽셀로부터 출사된 광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픽셀이 방출하는 광이 모자이크(mosaic)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화면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ixels ar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0, and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may be formed by combining light emitted from a plurality of pixels. For example, one screen can be formed by combining light emitted from a plurality of pixels like a mosaic.

복수의 픽셀 각각은 다양한 밝기 및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픽셀 각각은 서브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서브 픽셀들은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색 서브 픽셀,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로부터 각각 출사되는 광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픽셀 각각은 다양한 밝기와 다양한 색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may emit light of various brightnesses and colors. Specifically,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may include subpixels, wherein the subpixels include a red subpixel capable of emitting red light, a green subpixel capable of emitting green light, and a blue subpixel capable of emitting blue light. may include.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may emit light of various brightnesses and colors by combin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d subpixel, green subpixel, and blue subpixel.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종류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있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 may be a self-emitting display panel such as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a water-emitting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display panel 10, and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isplay panels 10.

디스플레이 패널(10)이 LCD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컬러 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주입되어 전압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가변하는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panel 10 is an LCD panel, the display panel 10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in which thin film transistors (TFTs, Thin Film Transistors) are formed in a matrix form, a color filter substrate and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combined in parallel with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It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that is injected between the color filter substrate and whose optical properties vary depending on changes in voltage or temperature. Additionally, a back light unit (BLU)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0.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향하여 빛을 방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킬 수 있다. The backlight unit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from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0 toward the display panel 10 . 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10 may block or pass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OLED 패널과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anel 10 may be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such as an OLED panel.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측에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0)로 전송하는 케이블(미도시)과,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직접 회로(Display Driver Intergrated Circuit, DDI)(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 there is a cable (not shown) that transmits image data to the display panel 10, and a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DI) that processes digital image data and outputs an analog image signal. (not shown) may be provided.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 측면 내지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display cases 20, 30, and 40 that support the display panel 10. 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may support the front, side, and back of the display panel 10.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케이스(40)가 평평한 판 형상인 것처럼 도시되었나, 케이스(4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진 판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케이스(40)는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가 가변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가변형(Bendable 또는 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적용될 수 있다.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form the exterior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include various parts for the display device 1 to display images or perform various functions. It can be provided. 1 and 2, the case 40 is shown as having a flat plate shape, but the shape of the case 40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ase 40 may have a curved plate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10. Alternatively, the case 40 is provided so that its flat state and curved state can be varied and can be applied to the bendable or flexible display device 1.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 내지 측면을 지지하는 탑 섀시(2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섀시(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베젤(bezel)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베젤이 매우 좁거나 없는 베젤리스(bezel-less)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탑 섀시(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만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바텀 섀시(4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을 지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탑 섀시(2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may include a top chassis 20 that supports the front o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0. The top chassis 20 may support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10 by forming a bezel that is disposed to face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 However, if the display device 1 is a bezel-less type display device with a very narrow or no bezel, the top chassis 20 may be provided to support only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 Furthermore, when the bottom chassis 40 supports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 the display device 1 may not include the top chassis 20.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을 지지하는 바텀 섀시(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섀시(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을 커버하며,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CBA)(50) 등 다양한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51) 및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bottom chassis 40 that supports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0. The bottom chassis 40 covers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0 and can support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backlight unit (not show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CBA) 50.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51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디스플레이 장치(1)가 탑 섀시(20)를 포함하는 경우, 바텀 섀시(40)는 탑 섀시(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the top chassis 20, the bottom chassis 40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top chassis 20.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30)는 바텀 섀시(40)의 후방에 배치되며, 바텀 섀시(40) 및 바텀 섀시(40)의 후방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 등)을 커버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rear cover 30 that forms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The rear cover 3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40 and covers the bottom chassis 40 and various components (e.g.,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etc.) mounted on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40. It can be cover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에는 인쇄회로기판(51)이 장착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는 인쇄회로기판(51)이 장착되는 보드 장착부(41,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은 보드 장착부(4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가 보드 장착부(41)에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mounted on 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In other words, 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may include a board mounting portion 41 (see FIG. 5)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s mounted.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ultimately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may be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51)은 바텀 섀시(40)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인쇄회로기판(51)은 바텀 섀시(40)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드 장착부(41)는 바텀 섀시(4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51)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바텀 섀시(40)와 리어 커버(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chassis 40. In particular,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mounted on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40. In other words,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includ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s connected to the bottom chassis 40 and the rear cover 30. It can be placed between .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드 장착부(41)는 인쇄회로기판(51)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to enable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o be stably supported.

보드 장착부(41)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Specific details about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구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일반적인 용어로 전자장치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는 일반적인 용어로 전자장치의 본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본체는 전자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거나, 전자장치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부품들을 수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인쇄회로기판(50, 60, 70)과 같이, 전자장치의 본체에도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장치의 본체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기 위한 보드 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device in general terms, and 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of the display device 1 may be referred to as electronic devices in general terms. It can be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electronic device or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parts necessary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Like the printed circuit boards 50, 60, and 70 of the display device 1,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other words,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board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printed circuit board.

다시 말해서,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전자장치의 보드 장착부, 인쇄회로기판, 라인필터 등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보드 장착부(41), 인쇄회로기판(50, 60, 70) 내지 라인필터(100) 등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일치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line filter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printed circuit boards 50, 60, and 70 of the display device 1. It may be consistent with or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ine filter 100, etc.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예시를 설명함에 있어 전자장치의 일 종류인 디스플레이 장치(1)를 기반으로 설명하고, 전자장치의 다른 종류에 대한 설명 내지 전자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Therefo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in explaining example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display device 1, which is a type of electronic device, and descriptions of other types of electronic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General explanations can be omitted.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보드 장착부(41)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51)과,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되는 전자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51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unit 41 and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인쇄회로기판(51)은 전기 절연성 기판에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료로 회로라인 패턴을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51 can be formed by printing a circuit line pattern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board.

인쇄회로기판(51) 상의 회로라인 패턴 및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인쇄회로기란 어셈블리(50)가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 등에 따라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circuit line patter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prep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unctions that the printed circuit assembly 50 is intended to provide.

즉,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을 위해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 내지 구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로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may be prepared as various types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50 depending on the function or configuration to be provide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메인 보드(Main Board), 전원공급보드(Power Supply Board), 소스 보드(Source Bo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may include a main board, a power supply board, a source board, etc.

메인 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을 위한 프로세서와 전원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을 위한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다. 소스 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제어할 수 있다.The main board may include a processor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 and a power management device. The power supply board can supply power to drive the display device 1. The source board can control the display panel 10 of the display device 1.

메인 보드, 전원공급보드 및 소스 보드 등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상호 병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독립되어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들은 데이터, 신호, 또는 전력을 주고 받기 위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50, such as a main board, a power supply board, and a source board, may be arranged independently or merged with each other.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50 arranged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exchange data, signals, or pow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 각각은 전술한 메인 보드, 전원공급보드, 소스 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서로 통합되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50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50 may be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main board, power supply board, source board, etc. . The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perform a function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 However, unlike this,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functions by being integrated with each other.

이하에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전원공급보드인 것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example of a power supply board.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가 전원공급보드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은 전원공급보드 외 다른 종류의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에도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is composed of a power supply board, and the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50 other than the power supply board.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보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power supply boar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공급보드가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an operation in which a power supply board supplies power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전원공급보드(50)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보드(50)는 인쇄회로기판(51) 및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된 다양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ower supply board 5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and supply power to the display device 1. The power supply board 5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display device 1.

전원공급보드(50)는 전력단자(L, N)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력단자(L, N)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교류 전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보드(50)는 전력단자(L, N)를 통해 교류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전력 단자(L, N)는 활성선(Live)과 중성선(Neutral)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board 50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L, N)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power terminals (L, N). The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comprised of AC power, and the power supply board 50 may receive AC power through the power terminals (L, N). The power terminals (L, N) may include a live line and a neutral line.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하(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load 60 that can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by receiving power.

부하(6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을 위해 마련되는 다양한 구성으로서, 전원공급보드(50)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을 소모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들을 총칭할 수 있다.The load 60 is a variety of components provided to drive the display device 1, and can collectively refer to component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by consum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board 50.

전원공급보드(50)는 전력단자(L, N)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 받아, 부하(60)에 동작전원 및/또는 대기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board 50 can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power terminals (L, N) and supply operating power and/or standby power to the load 60.

전원공급보드(50)는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공급보드, 즉 SMPS 보드(Switched Mode Power Supply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board 50 may include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board, or SMPS board (Switched Mode Power Supply Board), which includes a switch element that performs on/off switching operations.

SMPS 보드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컴퓨터, TV, 무선통신기기 등 각종 전자장치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시키는 모듈형 전원공급보드로써, 상용전원을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및 트랜스의 전력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전자장치에서 요구하는 고효율/고품질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MPS board is a modular power supply board that converts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use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TV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t uses the switching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the power conversion function of the transformer to transform commercial power into It performs the role of converting and supplying high-efficiency/high-quality power required by various electronic devices.

전원공급보드(50)는 파워 컨버터(Power Converter)(미도시)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부하(60)에 공급 가능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파워 컨버터는 후술하는 노이즈 필터(NF, 도 4 참조)와 부하(6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board 50 includes a power converter (not shown) and can convert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to be supplied to the load 60. The power convert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ad 60 and a noise filter (NF, see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노이즈 필터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FIG. 4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oise filter for reducing current nois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보드(50)에서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노이즈 필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figuration of a noise filter that reduces current noise in the power supply board 50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보드(50)는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노이즈 필터(NF)를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필터(NF)는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ower supply board 50 may include a noise filter (NF) configured to reduce current noise. The noise filter (NF)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노이즈 필터(NF)는 전력단자(L, N)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이즈 필터(NF)에 연결되는 전력단자(L, N)는 활성선(L)과 중성선(N)을 포함할 수 있다.The noise filter (NF)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L, N) to receive power.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terminals (L, N) connected to the noise filter (NF) may include an active line (L) and a neutral line (N).

노이즈 필터(NF)는 프레임 그라운드(FG)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 필터(NF)는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되고, 인쇄회로기판(5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에 장착되며, 여기서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가 프레임 그라운드(FG)로 마련될 수 있다.The noise filter (NF) may be connected to frame ground (FG). For example, the noise filter (NF)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s mounted on the display case (20, 30, 40), where the display case (20, 30, 40) Can be provided as a frame ground (FG).

전원공급보드 등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에는, 전류가 흐름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전류에 의한 노이즈의 종류에는 대기 중으로 전달되는 공간 노이즈와 전원선, 신호선, 접지선 등과 같은 전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도 노이즈가 있다.Noise may occur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such as the power supply board, as current flows. Types of noise caused by current include spatial noise transmitted into the air and conductive noise transmitted through wires such as power lines, signal lines, and ground lines.

전도 노이즈는, 전력단자(L, N)에 연결된 전선을 통해 전달되어 양 단자(L, N) 간을 왕복하는 노멀 모드 노이즈(Normal Mode Noise)와, 전력단자(Live, Neutral)와 프레임 그라운드 단자(FG) 사이에서 전달되는 커먼 모드 노이즈(Common Mode Noise)가 있다.Conducted noise is normal mode noise that is transmitted through wire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L, N) and travels back and forth between the power terminals (L, N), and the power terminals (Live, Neutral) and the frame ground terminal. There is common mode noise transmitted between (F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필터(NF)는 제1, 2 노멀 모드 초크 코일(Normal mode choke coil)(L1, L2), 라인 크로스 캐패시터(Line cross capacitor)(Cx), 제1, 2 커먼 모드 초크 코일(Common mode choke coil)(L3, L4)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noise filter (NF) includes first and second normal mode choke coils (L1 and L2), line cross capacitors (Cx), and first and second normal mode choke coils (L1 and L2). It may include a common mode choke coil (L3, L4).

제1 노멀 모드 초크 코일(L1)은 활성선(L)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노멀 모드 초크 코일(L2)는 중성선(N)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normal mode choke coil (L1) may be connected to the active line (L), and the second normal mode choke coil (L2) may be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N).

제1, 2 노멀 모드 초크 코일(L1, L2) 사이에는 라인 크로스 캐패시터(Cx)가 연결될 수 있고, 라인 크로스 캐패시터(Cx)의 양단에는 제 1, 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 L4)이 연결될 수 있다. A line cross capacitor (Cx)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normal mode choke coils (L1 and L2), and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s (L3 and L4)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ine cross capacitor (Cx). You can.

제1, 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 L4)에는 복수의 캐패시터(C1, C2, Cy)가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apacitors C1, C2, and Cy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s L3 and L4.

제1, 2 노멀 모드 초크 코일(L1, L2)은 각각 한 방향의 자속을 가지도록 코어(Core)(미도시) 외측에 권선될 수 있다. 제1, 2 노멀 모드 초크 코일(L1, L2)은 라인 크로스 캐패시터(Cx)와 조합하여 노멀 모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제1, 2 노멀 모드 초크 코일(L1, L2)는 노멀 모드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노멀 모드 노이즈 필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normal mode choke coils L1 and L2 may each be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not shown) to have magnetic flux in one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normal mode choke coils (L1, L2) can effectively reduce normal mode noise by combining with the line cross capacitor (Cx). In this respect, the first and second normal mode choke coils L1 and L2 may form part of a normal mode noise filter that reduces normal mode noise.

제1, 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 L4)은 코어(200, 도 6 참조)의 외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제1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과 제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4)은 동일한 코어(200)에 각각 권선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 L4)에 커먼 모드 노이즈가 흐르는 경우 제1, 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 L4)은 코어(200)에 대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지나는 자속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 L4)는 커먼 모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제1, 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 L4)은 커먼 모드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s L3 and L4 may b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on the outside of the core 200 (see FIG. 6). The first common mode choke coil L3 and the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 L4 may each be wound around the same core 200. Therefore, when common mode noise flow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s (L3 and L4), 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s (L3 and L4) form magnetic fluxes passing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200. This is possible, and 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s (L3, L4) can effectively reduce common mode noise. In this respect, the first and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s L3 and L4 may form part of the common mode noise filter 100 that reduces common mode noise.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1)에는 전류의 노이즈에 의한 전자파장해(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를 방지하기 위해, 노이즈 필터(NF)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필터(NF)는 커먼모드 노이즈를 억제하는 커먼모드 노이즈 필터(100)와 노멀모드 노이즈를 억제하는 노멀모드 노이즈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way, a noise filter (NF)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o prev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caused by current noise. Additionally, the noise filter NF may include a common mode noise filter 100 that suppresses common mode noise and a normal mode noise filter that suppresses normal mode noise.

이상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되는 노이즈 필터(NF)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노이즈 필터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noise filter (NF)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However,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of a noise filter that can be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100)를 라인필터라고 지칭한다. 또한, 제1 커먼 모드 초크 코일(L3)은 제1 코일(310), 제2 커먼 모드 초크 코일(L4)을 제2 코일(320)이라고 지칭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mon mode noise filter 100 is referred to as a line filter. Additionally, the first common mode choke coil L3 is referred to as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mmon mode choke coil L4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coil 320.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필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라인필터를 저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라인필터를 분해하여 저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e filter of Figure 5.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line filter of Figure 5 as seen from the bottom.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ne filter of Figure 5 disassembled and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ure 5.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에 마련되는 보드 장착부(41) 및 보드 장착부(41)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5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보드 장착부(41) 및 보드 장착부(41)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0)는 전원공급보드(50)일 수 있다.5 to 9,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board mounting portion 41 provided in the display case 20, 30, and 4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51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You can. In other words,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0 may be a power supply board. It could be (50).

보드 장착부(41)는 바텀 섀시(40)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원공급보드(50)는 바텀 섀시(40)에 장착될 수 있다.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chassis 40. In other words, the power supply board 50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chassis 40.

보드 장착부(41)는 바텀 섀시(4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공급보드(50)는 바텀 섀시(40)와 리어 커버(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51)은 바텀 섀시(40)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된 전자부품들은 인쇄회로기판(51)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40, and thus the power supply board 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chassis 40 and the rear cover 30. Specifically,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mounted on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40,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exten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It can be placed in any direction.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1)에는 라인필터(100) 등 전자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라인필터(100) 등 전자부품들은 인쇄회로기판(51)의 바텀 섀시(40)와 반대되는 일측, 다시 말해서 인쇄회로기판(51)의 리어 커버(30)를 향하는 일측에 실장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라인필터(100)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1)에는 기판 홀(51a)이 형성되어, 전자부품의 적어도 일부분이 기판 홀(51a)에 삽입되거나 인쇄회로기판(51)을 관통하는 경우에도, 전자부품은 인쇄회로기판(51)의 리어 커버(30)를 향하는 일측에서 바텀 섀시(40)를 향하는 타측을 향하여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line filter 100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line filter 100 may be mounted on a side opposite to the bottom chassis 4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hat is, on a side facing the rear cover 3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Like the line filter 100 shown in FIGS. 5 and 6, a substrate hole 51a is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51a or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from one side facing the rear cover 3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o the other side facing the bottom chassis 40.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1)은 바텀 섀시(40)의 후방에 장착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드 장착부(41)는 인쇄회로기판(51)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0, 30, 4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mounted in various positions of the display cases 20, 30, and 40 even if it is not mounted on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40. In other words,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on the display case 20, 30, and 40 to enable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o be mounted stably.

인쇄회로기판(51)은 제품의 수명, 동작 시 진동의 저감 내지 안전성 등을 위해 보드 장착부(41)의 적어도 일부와 소정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51)은 보드 장착부(41)를 향하는 측 일면이 보드 장착부(41)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인쇄회로기판(51)은 바텀 섀시(40)를 향하는 측 일면이 바텀 섀시(4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t may be desirabl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for product lifespan, reduction of vibration during operation, and safety. Accordingly,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arranged so that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facing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s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 In other words,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arranged such that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faces the bottom chassis 40 and is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chassis 40 .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51)에는 보드 장착부(41)와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터(Supporter)(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서포터는 인쇄회로기판(51)으로부터 보드 장착부(4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equipped with a supporter (not shown) provided to maintain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The supporter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n a direction towar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반대로, 보드 장착부(41)에는 인쇄회로기판(51)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의 구조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51)은 위 구조물에 직접 장착되는 방식으로 보드 장착부(41)에 장착될 수 있다.Conversely,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not shown) that protrudes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be mounted directly on the above structure to form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 can be installed.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라인필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필터(100)는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line filter 100 provided to reduce current noise. The line filter 100 may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51.

라인필터(100)는 코어(200), 코어(200)가 수용되는 코어 케이스(400) 및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 적어도 일부에 권선되는 코일(30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300)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코일(3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magnetic flux)은 코어(200)를 따라 흐를 수 있다.The line filter 100 may include a core 200, a core case 400 in which the core 200 is accommodated, and a coil 300 woun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core case 400. Current may flow through the coil 300, and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300 may flow along the core 200.

코일(300)은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300)은 구리(Copper, Cu) 등의 도전성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코일(300)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il 300 may be configured to allow current to flow when voltage is applied. For example, the coil 30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Cu).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il 3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코일(300)은 얇고 긴 형태의 와이어(wire)가 권선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300)은 코어(200) 및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 적어도 일부를 따라 권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30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il 3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thin and long wire is wound. The coil 300 may be woun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core 200 and the core case 400. Accordingly, the coil 300 may have a space formed inside and have a shape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코일(300)은 코어(200)의 적어도 일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코일(300)은 코어(200)의 적어도 일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il 30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200. In other words, the coil 30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200.

코일(300)은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에 권선되는 권선부(300a)와, 권선부(300a)로부터 연장되어 접속 핀(440)에 연결되는 접속 단부(300b, 도 17 및 1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il 300 includes a winding portion 300a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case 400, and a connection end 300b (see FIGS. 17 and 18) extending from the winding portion 300a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440. It can be included.

권선부(300a)는 코어(200)의 적어도 일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winding unit 300a may be arranged parallel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200.

접속 핀(440)은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되는 라인필터(100)의 일 구성으로, 도전성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300)은 접속 단부(300b)를 통해 접속 핀(440)에 연결됨에 따라 전력단자(L, N) 및 프레임 그라운드(FG)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코일(300)은 전력단자(L, N)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전류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440 is a component of the line filter 100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coil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L, N) and the frame ground (FG)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440 through the connection end (300b). Furthermore, the coil 300 can generate magnetic flux by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terminals (L, N) and generat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current.

접속 핀(4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pin 440 will be described later.

코일(300)은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은 코어(200) 및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에 각각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il 300 may include a first coil 310 and a second coil 320.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200 and the core case 400, respectively.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core case 400.

제1 코일(310)이 권선되는 코어(200) 및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 영역을 제1 영역, 제2 코일(320)이 권선되는 코어(200) 및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 영역을 제2 영역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The outer area of the core 200 and core case 400 where the first coil 310 is wound is the first area, and the outer area of the core 200 and the core case 400 where the second coil 320 is wound is the first area.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area.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에 마련되는 영역이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areas provided outside the core case 400,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pposing positions.

제1 코일(310)은 제1 영역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코일(320)은 제2 영역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il 31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area.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사이에는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 사이를 절연하도록 마련되는 세퍼레이터(4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separator 4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o insulate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은 각각 전력단자(L, N)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코일(310)은 활성선(L)에 연결되고, 제2 코일(320)은 중성선(N)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제2 코일(320)이 활성선(L)에 연결되고, 제1 코일(310)이 중성선(N)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L, N),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coil 310 is connected to the active line (L), and the second coil ( 320) can be connected to the neutral wire (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connected to the active line (L), and the first coil 310 may be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N).

코어(200)는 투자율(透磁率, Permeability)이 높은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200)의 외측에는 코일(300)이 권선될 수 있으며, 코어(200)는 코일(300)에서 흐르는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자속이 지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re 200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with high permeability. A coil 300 may be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core 200, and the core 200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magnetic flux generated by current flowing in the coil 300 passes.

코어(200)는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200)는 폐쇄된 루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코일(300)을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이 코어(200)를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re 200 may be formed to have an annular shape. More specifically, the core 200 may be formed to have a closed loop shape so that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il 300 can circulate along the core 200.

코어(200)는 페라이트 등의 철 화합물로 이루어져 자성을 지닌 물질인 자성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300)을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이 코어(200)를 따라 보다 용이하게 순환할 수 있고, 전류의 변화에 따른 유도기전력이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종국적으로, 라인필터(100)가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코어(200)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re 20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hich is a magnetic material made of an iron compound such as ferrite. Accordingly,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il 300 can circulate more easily along the core 200,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current can be generated more efficiently. Ultimately, the efficiency of the line filter 100 in reducing current noise can be improv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re 200 may b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코어 케이스(400)는 코어(200)를 수용할 수 있다. 코어(200)는 코어 케이스(4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re case 400 can accommodate the core 200. The core 200 may be placed inside the core case 400.

코어 케이스(400)는 코어 커버(410) 및 코어 베이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베이스(420)는 코어(200)의 일측을 커버하며 인쇄회로기판(51)에 결합될 수 있다. 코어 커버(410)는 코어(200)의 타측을 커버하며 코어 베이스(4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re case 400 may include a core cover 410 and a core base 420. The core base 420 covers one side of the core 200 and may be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he core cover 410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core 200 and may be coupled to the core base 420.

코어 베이스(420)는 코어(200)의 인쇄회로기판(51)을 향하는 방향의 일측을 커버할 수 있으며, 코어 커버(410)는 코어(200)의 인쇄회로기판(51)과 반대되는 방향의 타측을 커버할 수 있다.The core base 420 may cover one side of the core 200 in the direction fac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core cover 410 may cover one side of the core 20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of the core 200. Can cover the other side.

코어 커버(410)는 코어(200) 및 코어 베이스(420)와 마주하는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코어 베이스(420)는 코어(200) 및 코어 베이스(420)와 마주하는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 커버(410)와 코어 베이스(420)의 사이에는 코어(20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re cover 410 may have a concave inner side facing the core 200 and the core base 420. Alternatively, the core base 420 may be formed to have a concave inner side facing the core 200 and the core base 420. Accordingly,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core 200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core cover 410 and the core base 420.

다만 전술한 코어 커버(410) 및 코어 베이스(420)에 대한 구성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필터(100)의 코어 케이스(400)를 이루는 구성에 대한 일례에 불과하며, 코어 케이스(400)는 코어(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re cover 410 and core base 420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re case 400 of the line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core case ( 400) may include various configurations to accommodate the core 200.

코일(300)은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 적어도 일부에 권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300)은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에서, 코어(200)를 따라 권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200) 및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 제1 영역에는 제1 코일(310)이 권선될 수 있고,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코어(200) 및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 제2 영역에는 제2 코일(320)이 권선될 수 있다.The coil 300 may be woun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core case 400. Specifically, the coil 300 may be wound along the core 200 outside the core case 40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il 310 may be wound in the first region outside the core 200 and the core case 400, and the core 200 and the core case 400 opposite the first region may be wound. A second coil 320 may be wound in the second outer region.

다시 말해서, 코일(300)은 코어(200)의 외측에 직접 권선되는 것이 아니라, 코어(200)를 감싸고 있는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에 권선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il 300 may not be wound directly on the outside of the core 200, but may be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case 400 surrounding the core 200.

코어(200) 및 코어(200)가 수용되어 있는 코어 케이스(400)를 코어 어셈블리라고 지칭할 수 있다. 코일(300)은 코어 어셈블리(200, 400)의 외측에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310)은 코어 어셈블리(200, 400)의 외측 제1 영역에 권선될 수 있고, 제2 코일(320)은 제1 영역에 대향되는 코어 어셈블리(200, 400)의 외측 제2 영역에 권선될 수 있다.The core 200 and the core case 400 in which the core 200 is accommodated may be referred to as a core assembly. The coil 300 may be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The first coil 310 may be wound in a first area outside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wound in a second area outside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opposite the first area. It can be wound on.

코어 케이스(400)는 코어(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케이스(400)는 환형의 형상을 갖는 코어(200)에 대응하여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어 어셈블리(200, 40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re case 400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e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to 9 , the core case 400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e 200 which has an annular shape. That is,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may have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코어 커버(410) 및 코어 베이스(420)는 각각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re cover 410 and the core base 420 may each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제1 코일(310)은 환형의 코어(200) 및 코어 케이스(400)가 갖는 테두리의 일측 일부를 따라 권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코일(320)은 환형의 코어(200) 및 코어 케이스(400)가 갖는 테두리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 일부를 따라 권선될 수 있다.The first coil 310 may be wound along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edge of the annular core 200 and the core case 400. Likewise, the second coil 320 may be wound along one side of the edge of the annular core 200 and the core case 400 and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ther side.

다른 표현으로, 제1 코일(310)은 환형의 코어 어셈블리(200, 400)가 갖는 테두리의 일측 일부를 따라 권선될 수 있고, 제2 코일(320)은 환형의 코어 어셈블리(200, 400)가 갖는 테두리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 일부를 따라 권선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coil 310 may be wound along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edge of the annular core assemblies 200 and 400,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wound along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annular core assemblies 200 and 400. It may be wound along one side of the edge and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edge.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는 각각 활성선(L) 또는 중성선(N)에 연결되어, 각각 입력 전류 또는 출력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서로 절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은 상호 간에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are each connected to the active line (L) or the neutral line (N), and need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because input current or output current can flow,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need to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라인필터(100)는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 사이를 절연하도록 마련되는 세퍼레이터(Separater)(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ne filt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430 provided to insulate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어셈블리(200, 40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퍼레이터(430)는 환형의 형상을 갖는 코어 어셈블리(200, 400)에서, 환형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케이스(40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커버(410) 및 코어 베이스(420)의 내측을 모두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어셈블리(200, 400)의 외측 제1 영역 및 외측 제2 영역 사이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parator 43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Specifically, the separator 430 may be formed in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having an annular shape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annular shape. In other words, the separator 43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re case 400. In other words, the separator 430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both the inside of the core cover 410 and the core base 420. That is, the separator 43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between the first outer region and the second outer region of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이에 따라, 세퍼레이터(430)는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코일(310)과 제2 코일(320) 간에 소정의 이격 거리를 확보시키며,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eparator 4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and ensures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라인필터(100)가 세퍼레이터(430)를 포함함에 따라,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 간의 이격 거리가 줄어들더라도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을 서로 절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라인필터(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s the line filter 100 includes the separator 430,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even i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do so. Accordingly, the size of the line filter 100 can be miniaturized and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케이스(400)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케이스(400)의 적어도 보드 장착부(41) 측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베이스(4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코어 베이스(420)로부터 코어 커버(4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or 430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case 4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to 9 , the separator 430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case 4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That is, the separator 430 may be coupled to the core base 42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from the core base 420 toward the core cover 410.

보다 구체적으로,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케이스(400)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케이스(400)의 적어도 보드 장착부(41) 측 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베이스(4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parator 4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case 4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to 9 , the separator 4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case 4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That is, the separator 4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re base 420.

세퍼레이터(430)가 코어 케이스(400)의 일부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코어 케이스(400) 및 세퍼레이터(430)를 포함하는 라인필터(100)는 그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즉, 라인필터(100)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separator 430 is integrally formed as a part of the core case 400, the structure of the line filter 100 including the core case 400 and the separator 430 can be simplified and production costs are reduced. It can be. That is, the productivity of the line filter 100 can be improved.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 케이스(400)의 고정부(422)는 코어 베이스(420) 또는 코어 커버(410)와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는데, 세퍼레이터(430) 또한 코어 케이스(400)의 일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코어 케이스(400)는 매우 적은 수의 부품, 예를 들어 코어 커버(410) 및 코어 베이스(420)의 두 개의 부품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어, 코어 케이스(400)의 생산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xing portion 422 of the core case 400 may be injection-formed integrally with the core base 420 or the core cover 410, and the separator 430 is also a part of the core case 400. Whe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re case 400, it may be composed of a very small number of parts, for example, only two parts, the core cover 410 and the core base 420,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vity of the core case 400. This could be greatly improved.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세퍼레이터(4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커버(410)에 결합되거나, 코어 커버(4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커버(410)로부터 코어 베이스(4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parator 43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eparator 430 may be coupled to the core cover 410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re cover 410, in which case the separator 430 separates the core base 420 from the core cover 410. It can be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it faces.

또는, 세퍼레이터(430)는 코어 케이스(400)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코어 케이스(40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parator 430 may not b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case 400, and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core case 400.

코어 어셈블리(200, 400)는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될 수 있다. 코어 케이스(400)는 코어(200)와 코일(300)을 지지하며, 접속 핀(440)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may be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he core case 400 supports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and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n 440 and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접속 핀(440)은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1)에는 접속 핀 홀(5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 핀(440)은 접속 핀 홀(51b)에 삽입될 수 있다. 접속 핀 홀(51b)에 삽입된 접속 핀(440)은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접속 핀(440)은 인쇄회로기판(51)의 리어 커버(30) 측 일면 상에 직접 솔더링되어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440 may be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to 9, a connection pin hole 51b may be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connection pin 44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n hole 51b. . The connection pin 44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n hole 51b may be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by soldering.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nection pin 440 may be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directly solder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rear cover 3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접속 핀(44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접속 핀(440)은 각각 활성선(L) 또는 중성선(N)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310)에 연결되는 접속 핀(440)은 활성선(L)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코일(320)에 연결되는 접속 핀(440)은 중성선(N)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속 핀(440)은 프레임 그라운드(FG)에 연결될 수 있다. 접속 핀(440)은 인쇄회로기판(51)의 회로라인 패턴을 통해 전력단자(L, N) 내지 프레임 그라운드(FG)에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440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440 may be connected to an active line (L) or a neutral line (N). For example, the connection pin 440 connected to the first coil 310 may be connected to the active line (L), and the connection pin 440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320 may be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N). there is. Additionally, the connection pin 440 may be connected to frame ground (FG). The connection pin 44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L, N) to the frame ground (FG) through the circuit line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접속 핀(440)은 코어 케이스(400)에 결합될 수 있다. 코어 케이스(400)는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되는 접속 핀(440)을 코어 케이스(4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440 may be coupled to the core case 400. The core case 400 may include a fixing part 422 that secures the connection pin 440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o the core case 400.

고정부(422)에는 접속 핀(440)이 결합될 수 있다. 접속 핀(440)은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되기 위해, 적어도 일단이 고정부(42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핀(440)은 고정부(422)를 관통하며, 적어도 일단이 고정부(422)로부터 인쇄회로기판(5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on pin 440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422. In order to be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he connection pin 440 may have at least one end positioned outside the fixing portion 422. For example, the connection pin 440 may penetrate the fixing part 422 and have at least one end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422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

고정부(422)는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422)는 코어 베이스(42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22)는 코어 베이스(420)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인쇄회로기판(51)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42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ore case 400. For example, the fixing part 422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core base 420. The fixing part 422 may extend outward from the core base 420 and parallel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부(422)는 접속 핀(440)을 코어 케이스(400)에 결합시키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422)는 코어 베이스(420)로부터 인쇄회로기판(5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부(422)는 코어 베이스(420)와 인쇄회로기판(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422)는 코어 커버(41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xing part 422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shapes to couple the connection pin 440 to the core case 400. For example, the fixing part 422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core base 420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422 is connected to the core base 4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may be placed between the substrates 51. Alternatively, the fixing part 422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core cover 410.

고정부(422)는 코어 베이스(420)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거나, 또는 코어 커버(410)와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부(422)는 코어 커버(410) 또는 코어 베이스(420)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xing part 422 may be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core base 420 or may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core cover 4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xing part 422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re cover 410 or the core base 420.

고정부(422)는 접속 핀(44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부(422)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parts 422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onnection pins 44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fixing parts 422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인쇄회로기판(51)은 라인필터(100)가 실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기판 홀(51a)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인필터(100)는 접속 핀(44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됨과 동시에, 라인필터(100)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 홀(51a)에 삽입되며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include a board hole 51a provided at a location where the line filter 100 is mounted. The line filter 100 is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by the connection pin 44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e filter 100 is inserted into the board hole 51a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You can.

기판 홀(51a)은 코어 케이스(400)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 케이스(400)는 적어도 일부가 기판 홀(51a)에 삽입될 수 있다.The substrate hole 51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re case 400. 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case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51a.

후술하는 코어 케이스(400)의 차폐지지부(421)는 그 적어도 일부가 기판 홀(51a)에 삽입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of the core cas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51a.

접속 핀 홀(51b)은 기판 홀(51a)의 외측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접속 핀(440)은 기판 홀(51a)의 외측 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5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422)는 기판 홀(51a)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hole 51b may be formed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substrate hole 51a. The connection pin 440 may be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board hole 51a. The fixing part 422 may extend outward from the substrate hole 51a.

라인필터(100)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 홀(51a)에 삽입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51)으로부터 라인필터(100)가 돌출되는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A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e filter 100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51a, the length at which the line filter 100 protrudes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can be reduced, ultimately reducing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1. It can be miniaturized.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라인필터(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1)에는 별도의 기판 홀(51a)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라인필터(100)는 인쇄회로기판(51)의 일면 상에 안착되거나 인쇄회로기판(51)의 일면과 다소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ne filter 100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4 to 16, a separate board hole 51a may not be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line filter 1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It may be seated on or placed at som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디스플레이 장치(1)의 크기를 소형화시키기 위해, 보드 장착부(41)와 인쇄회로기판(51) 간의 거리 내지 보드 장착부(41)와 라인필터(100) 간의 거리가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aturize the display device 1, it may be desirable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or the distance betwee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the line filter 100.

다만 이와 같은 경우, 라인필터(100)가 동작함에 따라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라인필터(100)와 인접하게 배치된 보드 장착부(41)에 이러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필터(100)가 동작하며 발생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보드 장착부(41)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보드 장착부(41), 라인필터(100), 인쇄회로기판(51) 등 디스플레이 장치(1)의 여러 구성들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들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거나 부품이 손상되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바텀 섀시(40) 등 보드 장착부(41)가 마련되는 구성은 금속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어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an electric or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s the line filter 100 operates, and the electric or magnetic field may be affec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disposed adjacent to the line filter 100. For example, as the electric or 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the line filter 100 operates affects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the display such as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the line filter 10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Vibration may occur in various components of device 1. If vibration occurs in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 noise due to vibration may be generated or parts may be damaged, which may shorten the lifespan of the product. This may become a more important problem, especially since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uch as the bottom chassis 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라인필터(100)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line filter 100 may include a shielding member 500 that shields electric or magnetic fields.

차폐부재(500)는 코어(200)와 보드 장착부(41)의 사이에 배치되어, 코어(200)와 보드 장착부(41)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드 장착부(41)가 바텀 섀시(40)에 마련될 경우, 차폐부재(500)는 코어(200)와 바텀 섀시(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500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20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to reduce electromagnetic force that may occur between the core 20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Whe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s provided on the bottom chassis 40,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re 200 and the bottom chassis 40.

차폐부재(500)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도록, 자성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재(500)는, 페라이트 등의 철 화합물로 이루어진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폐부재(500)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o shield electric or magnetic fields. For example,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composed of a magnetic material made of an iron compound such as ferri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configured to shield electric or magnetic fields.

차폐부재(500)는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드 장착부(41)가 바텀 섀시(40)에 마련되는 경우, 차폐부재(500)는 바텀 섀시(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차폐부재(500)는 코어 어셈블리(200, 400)의 보드 장착부(41)를 향하는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500)는 코일(300)의 보드 장착부(41)를 향하는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50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Whe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s provided on the bottom chassis 40,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40.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cover one side facing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of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Additionally,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cover one side of the coil 300 facing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차폐부재(500)는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라인필터(100)의 무게나 생산 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ccordingly,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1 can be further miniaturized, and the weight and production cost of the line filter 100 can be reduced.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차폐부재(500)의 구성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라인필터(100)가 포함하는 차폐부재(500)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에서 차폐부재는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member 500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included in the line filter 100 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hield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코어 케이스(400)는 차폐부재(500)를 지지하는 차폐지지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가 코어(200)와 보드 장착부(41)의 사이에 배치되며 코어 케이스(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re case 400 may include a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that supports the shielding member 500. The shielding support part 421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core 200 and the board mounting part 41 and supported by the core case 400.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421)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421)의 코어(200)를 향하는 측과 반대되는 측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드 장착부(41)가 바텀 섀시(40)에 마련되는 경우,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421)의 바텀 섀시(40) 측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may support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421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In other words, the shield support 421 may support one side of the shield member 421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core 200. Whe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s provided on the bottom chassis 40,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support one surface of the shield member 421 on the bottom chassis 40 side.

라인필터(100)에서 차폐부재(500)는, 코어(200)와, 코어 케이스(400)의 코어(200)를 커버하고 있는 일부와, 코일(300)에 대해서 보드 장착부(41)를 향하는 방향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부재(500)가 라인필터(100)로부터 보드 장착부(41)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와 반대되는 측에 코어 어셈블리(200, 400) 등 라인필터(100)의 구성들이 있더라도,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를 향하는 측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을 경우 차폐부재(500)가 라인필터(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와 반대되는 측 일면이 코어 케이스(400)에 부착되거나,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물(미도시)이 코어 케이스(400)에 삽입되는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421)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을 지지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코어 케이스(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the line filter 100, the shielding member 500 is oriented towar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with respect to the core 200, the portion covering the core 200 of the core case 400, and the coil 300. It can be located on the sid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shielding member 5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ine filter 100 towar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t may be desirable for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to be supported. Even if there are components of the line filter 100 such as the core assembly 200 and 40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of the shielding member 500, the side facing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of the shielding member 500 is completely This is because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separated from the line filter 100 when open. This is a structure (not shown) where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pposite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s attached to the core case 400 or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of the shielding member 500. ) may be the same when combined in a manner such as being inserted into the core case 400. In other words, the shield support part 421 supports one surface of the shield member 421 on the board mounting part 41 side, and thus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core case 400.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를 코일(300)과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shield member 500 while spaced apart from the coil 300.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 및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를 향하는 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ielding member 50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n other words,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extend along one side of the shield member 500 facing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ccordingly, the shielding support 421 can support the shielding member 500 more stably.

다만, 차폐지지부(421)가 차폐부재(500) 및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도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지지부(421)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정도로 연장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차폐지지부(1421))와 같은 정도로 연장되거나,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차폐지지부(2421))와 같은 정도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차폐지지부는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폐지지부(421, 1421, 2421)가 연장되는 정도와 상이한 정도로 연장될 수도 있다.However, the extent to which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ielding member 50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hield support 421 extends to the same extent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5 to 9, extends to the same extent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0 (shield support 1421), or is shown in Figure 11. It can be extended to the same extent as the present embodiment (shielding support 2421). Alternatively, the shield suppor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xtended to a degree different from the extent to which the shield supports 421, 1421, and 2421 of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5 to 11 are extended.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의 일부분만을 지지하고,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의 다른 일부분이 보드 장착부(41) 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라인필터(100)의 무게 및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9 ,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not entirely cover one surface of the shield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In other words,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supports only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supports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t may be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side. The weight and production cost of the line filter 100 can be reduced.

차폐지지부(42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지지부(4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차폐지지부(42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차폐부재(500)의 일부는 보드 장착부(41) 측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421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42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er 500 that is not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421 may be opened towar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차폐지지부(421)는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차폐지지부(421)는 코어(20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4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4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200 extends.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폐지지부(421)는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ielding support 421 may be provided as a single unit.

차폐부재(500)가 코어(200) 및 보드 장착부(41)의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차폐지지부(421)는 코어 케이스(4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지지부(421)는 코어 베이스(42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즉 코어 베이스(42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은 코어 베이스(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s the shielding member 500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20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core case 4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For example, the shield support 421 may be provided on the core base 420, that is, it may be included in the core base 420. In other words,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may be supported by the core base 420.

다만 이와 달리, 차폐지지부(421)는 코어 커버(41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코어 커버(410)의 일부분으로부터 코어 베이스(420)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However, unlike this,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be included in the core cover 410 and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a portion of the core cover 410 toward the core base 420.

차폐지지부(421)는 세퍼레이터(430)와 보드 장착부(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500)는 세퍼레이터(430)와 보드 장착부(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폐부재(500)는 세퍼레이터(430)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차폐지지부(421)에 지지될 수 있다.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or 43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ccordingly,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or 43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supported on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separator 430. You can.

차폐지지부(421)는 고정부(422)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폐지지부(421)는 고정부(422)로부터 절곡되어 보드 장착부(41) 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폐지지부(421)는 고정부(422)와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ield support part 42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xing part 422. Specifically,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be bent from the fixing portion 422 and extended towar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may be formed to be distinct from the fixing portion 422.

코어(200)는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코일(300)은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코어 케이스(400)에 권선될 수 있다. 보드 장착부(41)가 바텀 섀시(40)에 마련되는 경우, 코어(200) 및 코일(300)은 바텀 섀시(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re 20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correspondingly, the coil 300 may be wound around the core case 400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Whe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s provided on the bottom chassis 40,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40.

코어(200) 및 코일(300)이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코어(200) 및 코일(300)이 보드 장착부(41)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라인필터(100)가 인쇄회로기판(51)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의 크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extends. Compared to the previous case, the length that the line filter 100 protrudes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1 can be miniaturized.

이와 같은 경우, 차폐부재(500)는 코어(200) 및 코일(30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차폐지지부(421)는 코어(200) 및 코일(30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Additionally, the shield support 421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코어(200) 및 코일(300)은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re 200 and coil 300 may not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코어(200) 및 코일(300)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200) 및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은 보드 장착부(41)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차폐부재(500)는 코어(200) 및 보드 장착부(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여전히 차폐부재(500) 및 차폐지지부(421)는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차폐부재(500)는 코어(200) 및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차폐지지부(421) 또한 코어(200) 및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extend may be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extends. Even in this case,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core 20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furthermore, the shielding member 500 and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are still aligned with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t can also be extended in this direction.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extend, and the shield support 421 may also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e 200 and the coil 300 extend. can be extended to

라인필터(100)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 홀(51a)에 삽입되도록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되는 경우, 차폐지지부(421)는 적어도 일부가 기판 홀(51a)에 삽입될 수 있다.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e filter 10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to b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51a, 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51a.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지지부(421)는 그 일부가 기판 홀(51a)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차폐지지부(421)는 그 전부가 기판 홀(51a)을 관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라인필터(100)는 인쇄회로기판(51)에 더욱 밀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라인필터(100)가 인쇄회로기판(51)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저감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a portion of the shield support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51a. Alternatively, the entir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pass through the substrate hole 51a. Accordingly, the line filter 100 can be arranged to be in closer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reduce the length that the line filter 100 protrudes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reduce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1. It can be miniaturized.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폐지지부(421)는 기판 홀(51a)에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ield support part 421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51a.

이하에서는, 차폐지지부(421)의 형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Below, the shape of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과 마주하는 제1 지지부(421a)와, 차폐부재(500)의 외측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421b)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외측 테두리는 제1 지지부(421a)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일면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지지부(421b)에 제1 지지부(421a)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일면 및 차폐부재(500)의 반대되는 타면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부재(5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art 421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421a facing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art 41 of the shielding member 500, and a second support part 421b supporting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You can.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may be bent from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421a. In other words, th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421a and the other opposit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is support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1b. can do.

차폐부재(500)는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이 제1 지지부(421a)에 의해 지지되면서, 동시에 외측 테두리가 제2 지지부(421b)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차폐지지부(421)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500 has one surface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421a, and at the same time, its outer edge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1b, making it more stable by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It can be supported.

제2 지지부(421b)는 제1 지지부(421a)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421a)와 제2 지지부(421b)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지지부(421b)는 제1 지지부(421a)의 어느 일단이 아닌 다른 일부와 연결되며 제1 지지부(421a)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1b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21a.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art 421a and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may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is connected to a part other tha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421a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421a extends.

차폐지지부(421)는 제1 지지부(421)와 대향되며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421c)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500)는 제1 지지부(421a)에 의해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제3 지지부(421c)에 의해 차폐부재(500)의 코어(200) 측 타면이 지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지지부(421c)는 차폐부재(500)와 코일(300)의 권선부(300a) 사이에 배치되어, 차폐부재(500)를 코일(300)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art 421 faces the first support part 421 and may include a third support part 421c supporting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pposite to the other side of the board mounting part 41 side. The shielding member 500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of the shielding member 500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421a, and at the same time, the core 200 of the shielding member 500 is supported by the third support portion 421c. As the side surface is supported, it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In addition, the third support portion 421c is disposed between the shielding member 500 and the winding portion 300a of the coil 300,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and the coil 300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 지지부(421b)는 제1 지지부(421a)와 제3 지지부(421c)를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지지부(421b)는 제1 지지부(421a) 및 제3 지지부(421c)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421b may connect the first support part 421a and the third support part 421c. In other words,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421a and the third support part 421c, respectively.

제2 지지부(421b)는 제3 지지부(421c)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지지부(421c)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421b) 및 제3 지지부(421c)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421b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421c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support portion 421c extends.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421c may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지지부(421a), 제2 지지부(421b) 및 제3 지지부(421c)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421b)는 제1 지지부(421a)와 연결되되, 제3 지지부(421c)에는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support part 421a,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421c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421a, but may not be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 part 421c.

차폐지지부(421)는, 제1 지지부(421a), 제2 지지부(421b) 및 제3 지지부(421c)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groove)(4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500)는 홈(421d)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shield support part 421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421d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421a,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421c.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421d.

차폐지지부(421)가 코어 베이스(420)에 마련되는 경우, 홈(421d)은 코어 베이스(42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폐부재(500)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이 코어 베이스(4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코어 베이스(420)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shield support 421 is provided on the core base 420, a groove 421d may be formed in the core base 420. In other words,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re base 420 so that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s supported by the core base 420.

차폐부재(500)는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홈(421d)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421d)은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 측의 적어도 일단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 421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For example, the groove 421d may be formed to have at least one end ope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다른 표현으로, 보드 장착부(41)가 바텀 섀시(40)에 마련되는 경우, 홈(421d)은 바텀 섀시(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차폐부재(500)는 바텀 섀시(40)와 나란한 방향으로 홈(421d)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is provided on the bottom chassis 40, the groove 421d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40, and the shielding member 5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chassis 40. It may be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421d in a direction parallel to .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홈(421d)은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차폐부재(50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홈(421d)은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폐부재(50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5 to 9, the groove 421d is shown as being formed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inser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However, unlike this, the groove 421d may be formed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inser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for examp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

이에 따라, 라인필터(100)의 제조단계에서 차폐부재(500)는 홈(421d)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라인필터(100)의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manufacturing stage of the line filter 100,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roove 421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line filter 100 can be improved.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폐부재(500)는 홈(421d)에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421d in various ways.

이상에서 설명한 차폐지지부(421)의 형상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차폐지지부가 가질 수 있는 형상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차폐지지부는 차폐부재의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hield support 421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of a shape that the shield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have, and the shield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supports one surfac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of the shield member. It can be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라인필터(100)를 포함하여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라인필터(100)는 차폐부재(500)를 포함하여 라인필터(100)의 동작으로 인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인필터(100)가 동작될 때 발생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될 수 있으며, 라인필터(100)와 보드 장착부(41) 간의 거리를 줄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reduce noise of current by including a line filter 100, and the line filter 100 includes a shielding member 500 to It may be configured to shield electric or magnetic fields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filter 100. Accordingly, vibration and noise caused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s generated when the line filter 100 is operated can be reduc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 filter 10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1. can be miniaturized.

아울러, 라인필터(100)의 코어(200)를 수용하며 코일(300)이 권선되는 코어 케이스(400)는 차폐지지부(421)를 포함하여 차폐부재(500)를 함께 안정적 지지할 수 있어, 코어 케이스(400)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 케이스(400)는 적어도 일부가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4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라인필터(100)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case 400, which accommodates the core 200 of the line filter 100 and around which the coil 300 is wound, includes a shield support portion 421 and can stably support the shielding member 500 together,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core. The structure of the case 400 can be simplified and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case 4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parator 430 that insulates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line filter 100 and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차폐지지부의 형상이 변형된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the shape of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is modified.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10,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9 and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라인필터(100)의 코어 케이스(400)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차폐지지부(142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core case 400 of the line filter 100 may include a shield support portion 1421 provided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shield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차폐지지부(1421)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에서, 적어도 일측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이 대략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차폐지지부(1421)는 다각형의 적어도 한 변(邊)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1421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t least one side of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pecifical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has a substantially polygonal shape,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1421 has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gon. It can be extended accordingly.

차폐지지부(142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차폐지지부(14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지지부(1421)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지지부(1421)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1421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142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1421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1421 may extend in parallel directions.

차폐지지부(1421)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과 마주하는 제1 지지부(1421a)와, 차폐부재(500)의 외측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421b)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외측 테두리는 제1 지지부(1421a)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일면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지지부(1421b)에 제1 지지부(1421a)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일면 및 차폐부재(500)의 반대되는 타면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부재(5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art 1421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1421a facing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art 41 of the shielding member 500, and a second support part 1421b supporting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You can.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may be bent from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In other words, th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1421a and the other opposit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is support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21b. can do.

제2 지지부(1421b)는 제1 지지부(1421a)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421a)와 제2 지지부(1421b)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지지부(1421b)는 제1 지지부(1421a)의 어느 일단이 아닌 다른 일부와 연결되며 제1 지지부(1421a)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1421b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421a.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may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is connected to a part other tha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extends.

제1 지지부(1421a)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부(1421b)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421a)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마주하는 제2 지지부(1421b)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제2 지지부(1421b)는 각각 제1 지지부(1421a)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1421a may be provided to connect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1421b arranged to face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support parts 1421a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an connect the opposing second support parts 1421b.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1421b facing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도 10에서는 제1 지지부(1421a)가 코일(300)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 내지는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제1 지지부(1421a)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지지부(1421a)는 코일(30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In Figure 10, the first support portion 1421a is shown as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il 300 or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face each other.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1421a is not limited to this. The first support portion 1421a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차폐지지부(1421)는 제1 지지부(1421)와 대향되며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142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art 1421 faces the first support part 1421 and may include a third support part 1421c supporting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pposite to the other sid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제2 지지부(1421b)는 제1 지지부(1421a)와 제3 지지부(1421c)를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지지부(1421b)는 제1 지지부(1421a) 및 제3 지지부(1421c)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may connect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and the third support part 1421c. In other words, 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and the third support part 1421c, respectively.

제2 지지부(1421b)는 제3 지지부(1421c)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지지부(1421c)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1421b) 및 제3 지지부(1421c)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1421b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421c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support portion 1421c extends.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1421c may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지지부(1421a), 제2 지지부(1421b) 및 제3 지지부(1421c)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1421b)는 제1 지지부(1421a)와 연결되되, 제3 지지부(1421c)에는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1421c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but may not be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 part 1421c.

차폐지지부(1421)는, 제1 지지부(1421a), 제2 지지부(1421b) 및 제3 지지부(1421c)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14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500)는 홈(1421d)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shield support part 1421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1421d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1421a, the second support part 1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1421c.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1421d.

차폐부재(500)는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홈(1421d)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421d)은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 측의 적어도 일단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 1421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For example, the groove 1421d may be formed to have at least one end ope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도 10을 참조하면 홈(1421d)은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차폐부재(50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홈(1421d)은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폐부재(50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groove 1421d is shown as being formed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inser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However, unlike this, the groove 1421d may be formed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inser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for examp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차폐지지부의 형상이 변형된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the shape of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is modified.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11,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9 and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라인필터(100)의 코어 케이스(400)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차폐지지부(242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core case 400 of the line filter 100 may include a shield support portion 2421 provided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shield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차폐지지부(2421)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을 전부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지지부(2421)는 차폐부재(50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대략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2421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shield support 242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ield member 500 and may be formed to include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차폐지지부(2421)는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과 마주하는 제1 지지부(2421a)와, 차폐부재(500)의 외측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2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421b)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외측 테두리는 제1 지지부(2421a)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일면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지지부(2421b)에 제1 지지부(2421a)에 의해 지지되는 차폐부재(500)의 일면 및 차폐부재(500)의 반대되는 타면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부재(5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art 2421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2421a facing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art 41 of the shielding member 500, and a second support part 2421b supporting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You can.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art 2421b may be bent from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In other words, th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2421a and the other opposit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is support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21b. can do.

제2 지지부(2421b)는 제1 지지부(2421a)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2421a)와 제2 지지부(2421b)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지지부(2421b)는 제1 지지부(2421a)의 어느 일단이 아닌 다른 일부와 연결되며 제1 지지부(2421a)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2421b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421a.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421b may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421b is connected to a part other tha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extends.

제1 지지부(2421a)는 복수의 제2 지지부(2421b)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2421a)는 복수의 제2 지지부(2421b) 전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2421a may be provided to connect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2421b.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may connect all of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2421b.

차폐지지부(2421)는 제1 지지부(2421)와 대향되며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242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art 2421 faces the first support part 2421 and may include a third support part 2421c supporting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pposite to the other sid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제2 지지부(2421b)는 제1 지지부(2421a)와 제3 지지부(2421c)를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지지부(2421b)는 제1 지지부(2421a) 및 제3 지지부(2421c)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2421b may connect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and the third support part 2421c. In other words, the second support part 242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and the third support part 2421c, respectively.

제2 지지부(2421b)는 제3 지지부(2421c)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지지부(2421c)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2421b) 및 제3 지지부(2421c)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2421b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2421c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support portion 2421c extends.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art 2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2421c may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지지부(2421a), 제2 지지부(2421b) 및 제3 지지부(2421c)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2421b)는 제1 지지부(2421a)와 연결되되, 제3 지지부(2421c)에는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second support part 2421b, and third support part 2421c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art 242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but may not be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 part 2421c.

차폐지지부(2421)는, 제1 지지부(2421a), 제2 지지부(2421b) 및 제3 지지부(2421c)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24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500)는 홈(2421d)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shield support part 2421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2421d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2421a, the second support part 2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2421c.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2421d.

차폐부재(500)는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홈(2421d)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421d)은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 측의 적어도 일단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드 장착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provided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 2421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For example, the groove 2421d may be formed to have at least one end ope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도 11을 참조하면 홈(2421d)은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차폐부재(50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홈(2421d)은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코일(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폐부재(50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groove 2421d is shown as being formed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inser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However, unlike this, the groove 2421d may be formed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inser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for examp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300 extends. .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라인필터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does not include a separator.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ne filter of Figure 12 disassembled.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2 and 13,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9 may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라인필터(100)에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세퍼레이터(430)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line filter 100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separator 430 shown in FIGS. 1 to 9 .

라인필터(100)의 코어 어셈블리(200, 400) 외측 적어도 일부에는 코일(300)이 권선될 수 있으며, 코일(300)은 서로 이격되어 권선되는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코어 어셈블리(200, 400)의 외측 제1 영역에는 제1 코일(310)이 권선되며,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코어 어셈블리(200, 400)의 외측 제2 영역에는 제2 코일(320)이 권선될 수 있다.A coil 300 may be woun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core assemblies 200 and 400 of the line filter 100, and the coil 300 includes a first coil 310 and a second coil 320 that are wou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include. In other words, the first coil 310 is wound in the first area outside the core assembly (200, 400), and the second coil (310) is wound in the second area outside the core assembly (200, 400) opposite the first area. 320) can be wound.

이 때,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이 서로 충분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 사이에는 제1 코일(310) 및 제2 코일(320)을 절연시키기 위한 세퍼레이터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may be arranged while maintaining a sufficient distance from each other. Accordingly, a separator for insulating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may not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il 310 and the second coil 320.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모습이 변형된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라인필터를 인쇄회로기판에서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Y-Y'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line filter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line filter of FIG. 14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Y' of FIG. 14.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14 to 16,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4 to 16,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9 may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라인필터(100)는 인쇄회로기판(51)의 일면에 실장될 수 있다.14 to 16, the line filter 10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구체적으로, 라인필터(100)는 적어도 접속 핀(440)을 제외한 라인필터(100)의 다른 일부는 인쇄회로기판(51)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라인필터(100)는 코어 케이스(400)의 전부가 인쇄회로기판(5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라인필터(100)는 인쇄회로기판(51)의 보드 장착부(41)와 반대되는 일측에 코어 케이스(400)의 전부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part of the line filter 100 other than the connection pin 440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 In other words, the entire core case 400 of the line filter 1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 That is, the line filter 1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entire core case 400 is disposed on one side opposite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51)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기판 홀(51a)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may not have the substrate hole 51a shown in FIGS. 5 to 9.

이에 따라, 차폐부재(500)는 인쇄회로기판(51)과 코어(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폐지지부(421)는 인쇄회로기판(51)과 코어(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core 200, and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the core 200. You ca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베이스(420)는 인쇄회로기판(51)의 보드 장착부(41)와 반대되는 측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폐지지부(421)는 인쇄회로기판(51)의 보드 장착부(41)와 반대되는 측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core base 420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More specifically,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on the side opposite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폐지지부(421)는 인쇄회로기판(51)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나아가 코어 케이스(400)는 전체가 인쇄회로기판(51)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라인필터(100)는 접속 핀(440)에 의해서만 인쇄회로기판(51)에 지지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nd further, the entire core case 40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Accordingly, the line filter 100 may be suppor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1 only by the connection pin 440.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있어서, 코일에 의해 차폐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의 라인필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hield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by a coil. Figure 1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in Figure 17 enlarged.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라인필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 a line fil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9 may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인필터(100)는 코어(200), 코어(200)를 수용하는 코어 케이스(400) 및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에 권선되는 코일(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17 and 18, as described above, the line filter 100 includes a core 200, a core case 400 accommodating the core 200, and a coil 300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case 400. ) may include,

코일(300)은 코어 케이스(400)의 외측에 권선되는 권선부(300a)와, 권선부(300a)로부터 연장되어 접속 핀(440)에 연결되는 접속 단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300)은 접속 단부(300b)에 의해 접속 핀(440)에 연결되며, 전력단자(L, N)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일(300)에 전류가 흐르면, 권선부(300a)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il 300 may include a winding portion 300a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case 400 and a connection end 300b extending from the winding portion 300a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440. The coil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440 through the connection end 300b,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L and N to allow current to flow.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300, the winding unit 300a can generate a magnetic field due to the current and generat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라인필터(100)는 라인필터(100)가 동작 시 발생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차폐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어 케이스(400)는 차폐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다. 차폐부재(500)는 코어(200)와 보드 장착부(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코어 케이스(400)는 차폐지지부(421)를 포함하여 차폐부재(500)의 보드 장착부(41) 측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line filter 100 may include a shielding member 500 configured to shield the electric or 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the line filter 100 operates, and the core case 400 may support the shielding member 500. there is.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re 200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and the core case 400 includes a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and is located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e side can be supported.

차폐지지부(421)는 제1 지지부(421a), 제2 지지부(421b) 및 제3 지지부(421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421a), 제2 지지부(421b) 및 제3 지지부(421c)의 사이에 형성되며 차폐부재(500)가 삽입되는 홈(4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ielding support part 421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421a, a second support part 421b, and a third support part 421c, and the first support part 421a, the second support part 421b, and the third support part ( It is formed between 421c) and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421d into which the shielding member 500 is inserted.

홈(421d)은 차폐부재(5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차폐부재(500)가 삽입되는 방향 측 적어도 일단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421d)은 보드 장착부(41)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 측 적어도 일단이 개방될 수 있다.At least one end of the groove 421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ielding member 500 is inserted may be open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easily inserted. For example, at least one end of the groove 421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 mounting portion 41 extends may be open.

이 때, 차폐부재(500)는 홈(421d)에 삽입된 후에도 제품의 심한 진동이나, 차폐부재(500)에 가해지는 중력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홈(421d)의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나아가, 차폐부재(500)는 홈(421d) 내부에서의 유동이 심화되어 차폐지지부(421)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even after the shielding member 5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21d, it may flow inside the groove 421d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severe vibration of the product or gravity applied to the shielding member 500. Furthermore, the shielding member 500 may be separated from the shielding support 421 due to increased flow inside the groove 421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폐지지부(421)는 코일 관통홀(421e, 421f)을 더 포함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may further includ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코일(300)은 코일 관통홀(421e, 421f)를 관통하여, 차폐부재(500)가 차폐지지부(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권선부(300a)와 접속 단부(300b)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300)의 적어도 일부가 코일 관통홀(421e, 421f)를 관통하며 차폐부재(500)가 차폐지지부(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il 300 penetrates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thereby preventing the shielding member 5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300 located between the winding portion 300a and the connection end 300b penetrates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and the shielding member 500 separates from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You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코일(300)은, 권선부(300a)로부터 연장된 코일(300)의 일부가 차폐지지부(421)의 외측에서 차폐부재(500)의 일측을 커버하며, 코일 관통홀(421e, 421f)을 관통하여 접속 핀(44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coil 300, a portion of the coil 300 extending from the winding portion 300a covers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on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421 and penetrates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It may be provided to extend toward the connection pin 440.

구체적으로, 권선부(300a)와 접속 단부(300b)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300)의 적어도 일부는, 차폐부재(500)가 차폐지지부(421)로 삽입되도록 개방되는 차폐지지부(421)의 일측을 일부분 커버하며 코일 관통홀(421e, 421f)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500)는 코일(300)의 일부에 의해 차폐지지부(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300 located between the winding portion 300a and the connection end 300b is one side of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that is open to allow the shield member 500 to be inserted into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It partially covers and can penetrate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Accordingly,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by a portion of the coil 300.

여기서 말하는 차폐부재(500)가 차폐지지부(421)로 삽입되도록 개방되는 차폐지지부(421)의 일측이란, 차폐부재(500)가 홈(421d)에 삽입되는 방향 측으로 개방되는 홈(421d)의 적어도 일단일 수 있다.Here, the one side of the shielding support 421 that is open to allow the shielding member 500 to be inserted into the shielding support 421 means at least one side of the groove 421d that is op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ielding member 5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21d. It can be temporary.

코일 관통홀(421e, 421f)은 권선부(300a)와 인접한 측의 코일(300)의 일부가 관통하는 제1 코일 관통홀(421e)과, 접속 단부(300b)와 인접한 측의 코일(300)의 일부가 관통하는 제2 코일 관통홀(421f)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일(300)은 권선부(300a)로부터 연장되어, 제1 코일 관통홀(421e)과 제2 코일 관통홀(421f)을 순차적으로 지나 접속 단부(300b)로 연장되며, 접속 핀(440)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are a first coil through-hole 421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coil 300 on the side adjacent to the winding portion 300a penetrates, and a coil 300 on the side adjacent to the connection end 300b. may include a second coil through-hole 421f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 That is, the coil 300 extends from the winding portion 300a,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coil through-hole 421e and the second coil through-hole 421f, and extends to the connection end 300b, and connects the connection pin 440. ) can be connected to.

제1 코일 관통홀(421e)과 제2 코일 관통홀(421f)은 각각 차폐지지부(4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il through-hole 421e and the second coil through-hole 421f may each be formed to penetrate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 관통홀(421e)은 제1 지지부(421a)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 관통홀(421f)은 제2 지지부(421b)를 관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first coil through hole 421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support portion 421a. Additionally, the second coil through-hole 421f may penetrate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1b.

제1 코일 관통홀(421e)과 제2 코일 관통홀(421f)의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300)의 일부는, 홈(421d)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홈(421d)에 삽입된 차폐부재(500)와 홈(421d)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일(300)의 일부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차폐지지부(421)는 차폐부재(500)의 단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차폐지지부(421)의 외측 단부는 차폐부재(500)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차폐부재(500)의 단부는 차폐지지부(421)의 외측 단부보다 오목하게 인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coil 3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il through-hole 421e and the second coil through-hole 421f may be located inside the groove 421d. Therefore,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500 inserted into the groove 421d and the part of the coil 300 located inside the groove 421d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is positioned closer to the end of the shielding member 500. It may extend longer in the outward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outer end of the shield support 421 may protrude outward than the end of the shield member 500, and the end of the shield member 500 is arranged to be recessed more than the outer end of the shield support 421. It can be.

즉, 차폐부재(500)는 차폐부재(500)가 홈(421d)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홈(421d)의 내측에 코일(300)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hielding member 500 is rec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ielding member 5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21d, forming a space inside the groove 421d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coil 300 can penetrate. You can.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코일 관통홀(421e, 421f)은 차폐지지부(421)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예를 들어, 코일 관통홀(421e, 421f)은 모두 제1 지지부(421a)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각각 제1 지지부(421a) 및 제3 지지부(421c)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코일 관통홀(421e, 421f)은 코일(300)의 적어도 일부가 홈(421d)의 내측을 지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may both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support portion 421a, or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support portion 421a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421c,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may be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300 does no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groove 421d.

코일 관통홀(421e, 421f)은 복수의 차폐지지부(421)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코일 관통홀(421e, 421f)은 복수의 차폐지지부(421) 중 어느 일부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421. Alternatively,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may be provided in only one part of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421.

나아가, 코어 케이스(400)에는 코어 케이스(400)(특히 코어 베이스(420))의 외측에 돌출된 형상의 구조물(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코일(30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고 차폐부재(500)가 차폐지지부(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re case 40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structure (not shown) on the outside of the core case 400 (especially the core base 420) to more firmly fix the coil 300 and form a shielding member ( 500) may be provided to more stably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hield support 421.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차폐부재(500)는 차폐지지부(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코일 관통홀(421e, 421f)의 위치 등에 대한 특징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달리, 권선부(300a) 및 접속 단부(300b)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300)의 적어도 일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차폐부재(500)의 일측을 커버하여, 차폐부재(500)가 차폐지지부(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hielding member 5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ons of the coil through-holes 421e and 421f described above are only example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Unlike shown in FIGS. 17 and 18,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300 located between the winding portion 300a and the connection end 300b covers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500 in various ways, thereby forming the shielding member 500. (5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eld support portion 421.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1;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장치
10; 디스플레이 패널
20; 탑 섀시
30; 리어 커버
40; 바텀 섀시
41; 보드 장착부
50; 전원공급보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51; 인쇄회로기판
51a; 기판 홀
51b; 접속 핀 홀
100; 라인 필터
200; 코어
300; 코일
310; 제1 코일
320; 제2 코일
400; 코어 케이스
410; 코어 커버
420; 코어 베이스
421; 차폐지지부
422; 고정부
430; 세퍼레이터
440; 접속 핀
500; 차폐부재
One; Display devices, electronic devices
10; display panel
20; top chassis
30; rear cover
40; bottom chassis
41; Board mounting part
50; Power supply boar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51; printed circuit board
51a; board hole
51b; Connection pin hole
100; line filter
200; core
300; coil
310; first coil
320; second coil
400; core case
410; core cover
420; core base
421; shield support
422; fixed part
430; separator
440; connection pin
500; Shielding member

Claims (20)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보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보드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류의 노이즈(noise)를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라인필터(Line Filter);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필터는,
코어;
상기 코어와 상기 보드 장착부 사이에 배치되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코어가 수용되는 코어 케이스로서, 상기 코어 케이스의 외측 적어도 일부에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을 지지하는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panel;
a display case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board mounting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unit; and
A line filte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vided to reduce current noise,
The line filter is,
core;
a shiel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ore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shielding an electric or magnetic field;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re case in which the core is accommodated, a core case having a coil wound around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ide of the core case, and a shield support part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shield member on a sid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차폐부재 및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ielding member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ielding member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과 마주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차폐부재의 외측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ielding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facing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art of the shielding member, and a second support part supporting an outer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support part is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되며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차폐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groove)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hield support part,
A third support portion opposite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to insert the shield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shielding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econd support unit connects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third support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코어 케이스에 권선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코일의 상기 보드 장착부를 향하는 일측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case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The shielding member covers one side of the coil facing the board mount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지지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지지부는 상기 코일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shield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shield support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shielding supports are arranged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oil exte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의 일부는 상기 차폐지지부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의 다른 일부는 개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side is covered by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other part of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side is op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 케이스는 상기 코어에 대응하여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코어 및 상기 코어 케이스의 외측 제1 영역에 권선되는 제1 코일과, 상기 제1 영역에 대향되는 상기 코어 및 상기 코어 케이스의 외측 제2 영역에 권선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필터는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사이를 절연하도록 마련되는 세퍼레이터(separa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세퍼레이터와 상기 보드 장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re is formed to have an annular shape,
The core case is formed to have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e,
The coil includes a first coil wound around a first area outside the core and the core case, and a second coil wound around a second area outside the core and the core case opposite the first area,
The line filter further includes a separator provided to insulate betwee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The shielding member is a display devic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코어 케이스의 적어도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separator is a display device formed integrally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board mounting portion side of the cor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필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며 도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접속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코어 케이스의 외측에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 핀에 연결되는 접속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차폐부재와 상기 보드 장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코일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권선부와 상기 접속 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일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차폐지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e filter is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in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The coil includes a winding portion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case and a connection end extending from the wind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The shield support portion includes a coil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shield member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A display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between the wind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end penetrates the coil through-hole to prevent the shield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라인필터가 실장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코어 케이스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기판 홀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판 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line filter is mounted and includes a board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re case,
A display devi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ing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지지하는 바텀 섀시(bottom chassis)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 장착부는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case includes a bottom chassis supporting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The board mounting unit is a display devic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ttom chassis.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지지하는 바텀 섀시; 및
상기 바텀 섀시에 장착되는 전원공급보드로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류의 노이즈(noise)를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라인필터(Line Filter)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필터는,
상기 바텀 섀시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어와 상기 바텀 섀시 사이에 배치되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코어가 수용되며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코어 케이스로서,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바텀 섀시 측 일면을 지지하는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 screen;
a bottom chassis supporting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A power supply board mounted on the bottom chassis,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line filte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reduce noise of current. ,
The line filter is,
a cor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chassis;
a coil disposed in parallel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a shiel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ore and the bottom chassis and shielding an electric or magnetic field;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re case in which the core is accommodated and the coil is wound, and a core case including a shielding support portion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bottom chassis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바텀 섀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바텀 섀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groove)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바텀 섀시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The shielding member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The shield support portion includes a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The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chassi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코일의 상기 바텀 섀시 측 일면을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The shielding member covers one surface of the bottom chassis side of the coi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자성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hielding member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보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보드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류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라인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필터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일측을 커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코어 베이스와, 상기 코어의 타측을 커버하며 상기 코어 베이스에 결합되는 코어 커버를 포함하는 코어 어셈블리;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외측에 권선되는 코일; 및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로서, 상기 코어 및 상기 보드 장착부 사이에서 상기 보드 장착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차폐부재의 상기 보드 장착부 측 일면이 상기 코어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코어 베이스에 삽입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 board mounting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board mounting unit; and
A line fil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vided to reduce current noise,
The line filter is,
A core assembly including a core, a core base that covers one side of the core and i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re cover that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core and is coupled to the core base;
a coil wound on the outside of the core assembly; and
A shielding member that shields an electric field or a magnetic field, disposed parallel to the board mounting portion between the core and the board moun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core base so that one side of the shielding member on the board moun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core bas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hielding member.
KR1020220079298A 2022-04-28 2022-06-28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202301532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3137 WO2023210954A1 (en) 2022-04-28 2023-03-08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113 2022-04-28
KR20220053113 2022-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209A true KR20230153209A (en) 2023-11-06

Family

ID=8874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298A KR20230153209A (en) 2022-04-28 2022-06-28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20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2715B2 (en) Display device
US20230026822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EP2724196B1 (en) Projector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the light source
JP2013198165A (en) Antenna device for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222974B1 (en) a inverter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using the same
US20140084790A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40014541A1 (en) Electronic device
JP2007265640A (en) Cable for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television set
US1183600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n LED module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ion
KR20230153209A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82843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device thereof
KR20170100750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910126B2 (en) Display apparatus
KR20130076227A (en) Display device
WO2019194377A1 (en) Display device
KR20200027741A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device
KR20230032750A (en)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7208228A (en) Compound winding transformer and lamp lighting device
US20230260688A1 (en) Line filt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14498B1 (en) Display device
JP2009049180A (en) Cable position restriction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television receiver
CN117063289A (en)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13028808U (en) Supporting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CN116055961B (en) Kernel, 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30251525A1 (en) Connector,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the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