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983A - 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 Google Patents

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983A
KR20230152983A KR1020220052602A KR20220052602A KR20230152983A KR 20230152983 A KR20230152983 A KR 20230152983A KR 1020220052602 A KR1020220052602 A KR 1020220052602A KR 20220052602 A KR20220052602 A KR 20220052602A KR 20230152983 A KR20230152983 A KR 2023015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rating member
refill
container body
refi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4248B1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22005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48B1/en
Publication of KR2023015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9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제1체결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직선가이드홈이 형성된 중체; 상기 중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승강돌기가 형성된 리필용기; 상기 용기본체와 중체 사이에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선가이드홈 및 제2체결부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버튼 및 상기 작동부재를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thereon; A middle bod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straight guide groove formed thereon; A refill container inserted into the middle body,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n elevating protrusion formed thereon; An operating member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middle body to be movable over a certain section and formed with a spiral guide groove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I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and includes an operating button operated by a user and an elastic member that flexibly moves the operating member.

Description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본 발명은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단순 조작에 의해 리필용기가 용기본체로부터 자동으로 상승되어 상기 리필용기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replacing a refill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ructure for replacing a refill container in which the refill container is automatically raised from the container body by a simple operation by the user to conveniently replace the refill container. It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속하게 다변화되어 가는 시대 흐름에 따라 남녀노소 모두 필요에 의해 화장품(化粧品)을 애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각양각색의 색채을 갖는 화장용품 및 화장도구 등을 사용하여 화장(化粧)을 하고 있다.Today, modern society is rapidly diversifying, and both men and women of all ages are using cosmetics out of necessity. In particular, women are using various types of cosmetics and cosmetic products and tools with various colors. Make-up is applied using a lamp.

일반적으로, 화장은 기초화장, 색조(메이크업)화장, 두발화장, 바디화장 등으로 크게 분류되며, 이 중 색조화장은 기초화장이 끝난 후 더욱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목적으로 미적, 색채, 유행 감각이 고려되는 실용적인 화장이라 할 수 있다.Generally, makeup is broadly classified into basic makeup, color makeup, hair makeup, body makeup, etc. Among these, color makeup is a product that considers aesthetics, color, and fashion sense for the purpose of making you look more beautiful after basic makeup is completed. It can be said to be practical makeup.

상기와 같은 색조화장을 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색조 화장품이 사용되며, 상기 색조 화장품은 크게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와 같은 피부표현 화장품과, 아이 섀도, 아이 라이너, 아이 브로우, 마스카라와 같은 눈 화장품과, 립스틱, 립글로스, 립크림과 같은 입술 화장품 및 볼 터치용 화장품 등으로 분류되며, 그 특성에 따라 액상이나 겔 형태 또는 고형이나 분말의 형태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에 저장, 사용된다.Various types of color cosmetics are used to apply color makeup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lor cosmetics largely include skin expression cosmetics such as makeup base, foundation, and powder, eye cosmetics such as eye shadow, eye liner, eyebrows, and mascara. It is classified into lip cosmetics such as lipstick, lip gloss, lip cream, and cheek touch cosmetics.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it is manufactured in liquid or gel form, or solid or powder form, and is stored and used in various types of cosmetic containers.

이에 따라, 화장품의 사용 목적 및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에 대한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을 유리 용기 또는 튜브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 시에 사용자가 손에 덜거나, 짜내어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Accordingly, it has become necessary to develop containers for various types of cosmetic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their characteristics. Generally, liquid or gel cosmetics are filled in glass containers or tube containers and when used, the user can hold them in their hands or hold them in their hands. , It was used by squeezing it out and applying it to the skin.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사용할 때마다 손에 화장료를 묻히게 되어 매번 손을 씻어야 하는 사용상 불편함 및 화장료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cosmetic containers have problems in that users get their hands wet with cosmetics every time they use them, which caus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wash their hands every time and wastes cosmetic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퍼프가 내장된 콤팩트 용기가 개발되어 화장료를 손에 묻히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 또한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였다.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mpact container with a built-in puff was developed so that cosmetics do not have to be applied to the hands and are also easy to carry.

이와 같은 종래의 콤팩트 용기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747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8647호 등이 개시되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화장료가 저장된 화장료접시와 상기 화장료접시가 보관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를 개폐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 하부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화장용 퍼프로 구성된다.As such conventional compact containers,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57472,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8647, etc. have been disclosed. These prior technologies include a cosmetic dish in which cosmetics are stored, a lower case in which the cosmetic dish is stored, and the It consists of an upper case that opens and closes the lower case, and a cosmetic puff stored in the upper and lower cases.

그러나, 상기 종래의 콤팩트 용기는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접시와 하부케이스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화장료가 전부 소진되었을 때 화장료접시만 따로 리필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콤팩트 용기를 재구매 할 수밖에 없어 자원이 낭비되고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mpact container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smetic dish and the lower case in which the cosmetics are stor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cosmetics are all used up, the cosmetic dish cannot be refilled and used separately, which makes it necessary to repurchase the compact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of wasting resources and increasing the economic burden on user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콤팩트 용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512호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의 콤팩트 용기는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를 개폐하는 외용기뚜껑, 상기 외용기 내측에 장착되는 리필용기홀더와 상기 리필용기홀더를 개폐하는 리필용기홀더뚜껑과 상기 리필용기홀더에 결합되는 리필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용기와 리필용기홀더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언더컷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리필용기 내에 수용된 화장료를 다 사용하게 되면 외용기로부터 리필용기홀더를 분리하여 새로운 리필용기로 교체 결합할 수 있게 된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84512 was disclosed as a compact contain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ventional compact container includes an outer container, an outer container lid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er container, and a refill container holder mount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a refill container holder lid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ill container holder and a refill container coupled to the refill container holder, wherei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refill container holder are undercut and coupled so as to be detachable, so that the cosmetics contained in the refill container are When used up, the refill container holder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ontainer and replaced with a new refill container.

하지만, 상기 종래의 콤팩트 용기는 화장료가 저장된 리필용기를 외용기로부터 교체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리필용기의 바닥 부분을 상측으로 밀어올려 상기 리필용기와 리필용기홀더를 외용기로부터 강제로 분리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외용기와 리필용기의 결합 강도가 너무 약할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조그마한 충격에 의해 리필용기가 외용기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외용기와 리필용기의 결합 강도가 너무 강할 경우 리필용기를 외용기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mpact container, in order to replace the refill container storing the cosmetics from the outer container, the bottom part of the refill container exposed to the outside is pushed upward to force the refill container and the refill container holder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ontainer. Because of the structure, if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refill container was too weak,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fill container could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container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or a small impact, and if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outer container and the refill container was too strong, the refill container could not be refill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separate or combine the container from the external container.

또한, 리필용기를 손으로 과도하게 누르게 되면 상기 리필용기의 바닥 부분이 찌그러지면서 파손되거나, 상기 리필용기가 외용기로부터 갑작스럽게 튀어 올라 날라가게 되는 등 교체 및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refill container is pressed excessively by hand, the bottom of the refill container may be crushed and damaged, or the refill container may suddenly jump up and fly away from the outer container, causing inconvenience in replacement and use.

따라서, 사용자가 단순한 조작으로 리필용기를 외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는 콤팩트용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need to develop a compact container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separate and replace the refill container from the external container with a simple opera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7472호(1999. 06. 30.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57472 (announced on June 30, 199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647호(2012. 02. 08.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8647 (announced on February 8, 201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512호(2016. 01. 06.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84512 (announced on January 6, 20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동버튼의 단순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가 일정 구간 이동되면서 리필용기를 용기본체로부터 자동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리필용기를 용기본체로부터 편리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eases the fastening of the operating member by simple operation of the operating button, and at the same time moves the operating member for a certain period to automatically raise the refill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body, thereby refilling the refill contain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with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able container that allows the container to be conveniently separated and replaced from the container body.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리필용기에 의해 작동부재가 일정 구간 이동되면서 인접한 구성과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필용기의 삽입과 동시에 작동부재의 이동이 제한되어 작동버튼의 조작 전에는 리필용기가 용기본체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ing member to move for a certain section by the refill container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and automatically engage with an adjacent componen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is restricted upon insertion of the refill container, so that the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replacing the refill container so that the refill container is stably fixed within the container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체결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직선가이드홈이 형성된 중체; 상기 중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승강돌기가 형성된 리필용기; 상기 용기본체와 중체 사이에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선가이드홈 및 제2체결부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버튼 및 상기 작동부재를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in which a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A middle bod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straight guide groove formed thereon; A refill container inserted into the middle body,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n elevating protrusion formed thereon; An operating member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middle body to be movable over a certain section and formed with a spiral guide groove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Provided is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replacing a refill container,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and includes an operating button operated by a user and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moves the operating member.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는 가이드벽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guide wall is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operating member to fit into each other.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는 이동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이동제한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ovement limiting part is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and a movement limi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perating member to engage each other.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는 탄성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제1고정부가 관통하는 고정부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fixing part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and a fixing part insertion groove through which the first fixing part penetrates is formed in the operating member.

또한, 상기 제1체결부는 용기본체의 내주연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작동부재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part is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ng member and is engag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는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이 결합되고, 상기 리필용기에는 리필용기를 개폐하는 리필용기뚜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tain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iner body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a refill contain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ill container is formed on the refill container.

또한, 상기 중체에는 탄성부재벽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벽의 일면으로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wall is formed in the middle body,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wall.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탄성부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또한, 상기 작동버튼는 용기본체 또는 중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체의 측벽에 밀착되는 탄력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butt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middle body and is operated by the user, a fixed support portion that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operating sec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to form the middle body.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elastic support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또한, 상기 작동버튼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작동부재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end of the operation member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또한, 상기 작동버튼 및 작동버튼과 연결된 작동부재가 변형되면서 함께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제1체결부와 작동부재의 제2체결부가 이격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the operation button and the oper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are deformed and moved together inside the container body,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operating member are spaced apart, thereby separat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is released.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용기본체 또는 중체와 작동부재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늘어났다가 복원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tension coil spr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tension coil spring that is elastically stretched and restor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or middle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용기본체 또는 중체와 작동부재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compression coil spr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that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restor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or middle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동버튼의 단순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가 일정 구간 이동되면서 리필용기를 용기본체로부터 자동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리필용기를 용기본체로부터 편리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of the operating member is released by simple operation of the operating button,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ng member is moved for a certain period to automatically raise the refill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body, thereby attaching the refill container to the container body. It can be conveniently separated and replac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리필용기에 의해 작동부재가 일정 구간 이동되면서 인접한 구성과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필용기의 삽입과 동시에 작동부재의 이동이 제한되어 작동버튼의 조작 전에는 리필용기가 용기본체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member is moved for a certain period by the refill contain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automatically engaged with an adjacent componen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is restricted at the same time as the refill container is inserted. This has the effect of stably fixing the refill container within the container body before the button is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용기뚜껑과 리필용기뚜껑이 개방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모습을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작동부재가 이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필용기가 용기본체 내측에 삽입된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필용기가 용기본체로부터 상승된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모습을 예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작동부재가 일정 구간 이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lid and the refill container lid of a cosmetic container being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of an operating member is rel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member being 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ill container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ill container raised from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of an operating member is relea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member moving a certain s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and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shown as examples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would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10)와, 중체(20)와, 리필용기(30)와, 작동부재(40)와, 작동버튼(50) 및 탄성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10, a middle body 20, a refill container 30, an operating member 4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button 50 and an elastic member 60.

상기 용기본체(10)는 리필용기(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화장품 용기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 그 내측으로 리필용기(30)가 삽입되고,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경질의 입체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도면에서는 용기본체(10)를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원통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의 편의성 또는 구매자의 기호 또는 휴대성 또는 유행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 is a structure that protects the refill container 30 from the outside and forms the appearance of a cosmetic container, into which the refill container 30 is inserted, and is formed in a hard three-dimensional form with at least one side open. You can. In the drawing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10 is shown as having a low height and wide cylindrical shape, but this is not limited to convenience of use, buyer's preference, portability, or fashion.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에는 가이드벽(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12)은 작동부재(40)의 이동 방향은 물론, 안정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동부재(40)에 형성된 가이드홈(42)으로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벽(12)은 용기본체(10)의 바닥에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용기본체(10)의 내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되어 작동부재(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a guide wall 12 may be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10. The guide wall 12 is configured to guide the stable movement as well a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2 formed in the operating member 40. The guide wall 12 extends upward to have a constant height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is spaced inwar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extend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as an extension.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이동제한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14)는 작동부재(40)의 이동 구간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동부재(40)에 형성된 이동제한돌출부(44)가 걸리게 된다. 상기 이동제한부(14)는 용기본체(10)의 바닥에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며, 작동부재(40)의 이동 방향과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제한부(14)는 작동부재(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어느 한 이동제한부(14)는 가이드벽(12)과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이동제한부(14) 상단에는 작동부재(4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40)는 한 쌍의 이동제한부(14) 사이에서 이동되므로, 상기 한 쌍의 이동제한부(14) 사이의 간격은 작동부재(40)가 왕복으로 이동되는 범위가 된다.A movement restriction portion 14 may be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 The movement limiting part 14 is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s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to a certain extent, and the movement limiting protrusion 44 formed on the operating member 40 is caught. The movement limiter 14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to have a constant height,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staggered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The movement limiters 14 are form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One movement limiter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ide wall 12 and forms a right angle, An operating member 40 may be seated on the top of the pair of movement limiting parts 14.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ng member 40 is moved between the pair of movement limiting parts 14, the gap between the pair of movement limiting parts 14 is the range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40 moves reciprocally. .

상기 용기본체(10)에는 탄성부재(60)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고정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5)는 작동부재(40)를 관통하여 탄성부재(60)의 일측 단부를 용기본체(10)에 대해 고정시킨다. 상기 제1고정부(15)는 용기본체(10)의 바닥 테두리 부분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는 봉(棒) 형상 즉,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직경이 작으며 둘레가 둥글게 형성되어 작동부재(40)를 관통할 수 있다.A first fixing part 15 to which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60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 The first fixing part 15 penetrates the operating member 40 and fixe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0 to the container body 10. The first fixing part 15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its end is shaped like a rod, that is, it is relatively long in length, has a small diameter, and has a round circumference. It may penetrate the member 40.

이처럼, 상기 용기본체(10)의 가이드벽(12)은 작동부재(40)의 이동을 안내하고, 이동제한부(14)는 작동부재(40)의 이동 구간을 일정하게 제한하며, 제1고정부(15)는 작동부재(40)의 관통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벽(12)과 이동제한부(14) 및 제1고정부(15)는 용기본체(10)의 바닥 테두리 부분 즉, 작동부재(40)의 이동선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작동부재(40)가 가이드벽(12)에 끼워지는 동시에, 이동제한부(14)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상기 이동제한부(14)는 가이드벽(12)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됨이 적절할 것이다In this way, the guide wall 12 of the container body 10 guides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movement limiter 14 constantly limits the movement s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first high As the top 15 penetrates the operating member 40, the guide wall 12,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14,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15 are connected to the bottom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that is, the operating member. It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movement line of (40). However, since the operating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wall 12 and is moved whil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limiting part 14, the moving limiting part 14 is relative to the guide wall 12. It would be appropriate to form a low height.

한편,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제1체결부(1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8)는 작동부재(40)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구성으로, 용기본체(10)의 내주연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40)에 형성된 제2체결부(48)와 걸림 결합된다. 상기 제1체결부(18)의 일측면은 용기본체(10)의 내주연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체결부(48)와 걸리게 되고, 타측면은 용기본체(10)의 내주연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와 작동부재(40)의 체결 시 제2체결부(48)가 타고 넘어가게 된다.Meanwhile, a first fastening portion 18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tainer body 10. The first fastening part 18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or disengaged from the operating member 40,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operating member 40 ( 48) and is combined with the catch. One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8 protrudes at a right angle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engages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8, and the other side is inclined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It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wh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operating member 40 are fastene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8 passes over.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18)와 인접한 용기본체(10)의 내주연에는 체결부삽입공간(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삽입공간(19)은 제1체결부(18)와 제2체결부(48)의 체결 해제 시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부(48)가 삽입, 이동되는 공간으로써, 제1체결부(18)로부터 작동부재(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연장 형성된다.Additionally, a fastening part insertion space 19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adjacent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8. The fastening part insertion space 19 is a space where the second fastening part 48 of the operating member 40 is inserted and moved when the first fastening part 18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8 are released. 1. A certain section extends from the fastening portion 18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한편,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용기본체(10)를 개폐하는 용기뚜껑(70)이 결합되는데, 상기 용기뚜껑(70)은 화장품 용기의 보관 시 내부에 저장된 화장품이 리필용기(3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퍼프(puff)와 같은 화장도구가 분실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Meanwhile, a container lid 70 that opens and closes the container body 1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0. When the cosmetic container is stored, the cosmetics stored inside the refill container 30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It protects cosmetic tools such as puffs from being exposed or lost.

상기 용기뚜껑(70)에는 제1축결합부(72)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체(20)와 축 결합되고 상기 중체(20)에 대해 회전되면서 상기 용기본체(1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뚜껑(70)이 중체(20)와 축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용기뚜껑(70)이 용기본체(1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축결합부(72)의 내주면에는 버튼삽입홈(74)이 형성되고, 용기뚜껑(70)의 폐쇄 시 상기 버튼삽입홈(74)으로 작동버튼(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container lid 70 has a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72 extending downward,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middle body 20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middle body 20 to open or close the container body 10. there is. In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lid 70 is shown as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middle body 20, but the container lid 70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container body 10. There can be a variety of combination methods within the possible range. And a button insertion groove 74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engaging portion 7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ration button 50 is inserted into the button insertion groove 74 when the container lid 70 is closed. You ca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와 용기뚜껑(70)의 내측에는 각각 자석 또는 자성체가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서로 착탈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용기본체(10)에 걸림돌기를 갖는 버튼(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뚜껑(70)에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미도시)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후크가 서로 걸림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뚜껑(70)의 내측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화장부위를 비추면서 손쉽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거울(76)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magnets or magnetic materials are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container lid 70,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Of course, a button (not shown) having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10, and a locking hook is formed on the container lid 70,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hook are connected by pressing the button (not shown). They may be joined together. Additionally, a mirror 76 may be form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lid 7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pply makeup by reflecting the makeup area.

상기 중체(20)는 용기본체(10)의 테두리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10)와 중체(20) 사이의 공간으로 작동부재(40)가 설치되며, 상기 중체(20)의 내측 공간으로 리필용기(30)가 삽입된다. 상기 중체(20)는 용기본체(10)와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용기본체(10)의 내측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The middle body 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im of the container body 10 at regular intervals, and an operating member 4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middle body 20, and the middle body 20 ) The refill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The middle body 20 may be injection mold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10 and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or may be integrally injection mold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체(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본체(1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데, 상기 중체(20)는 상부면으로 용기본체(10)의 테두리 안쪽 부분을 가리며, 그 내측으로 리필용기(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middle body 20 is formed in a ring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middle body 20 has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 ), and a space into which the refill container 30 can be inserted is formed.

상기 중체(20)의 상단에는 커버부(22)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2)는 용기본체(10)의 상단을 덮어 상기 용기본체(10)와 중체(20)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하고, 용기본체(10)와 중체(20) 사이에 설치된 작동부재(40) 및 작동버튼(50)이 용기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22) 일측에는 노출홀(22a)이 형성되는데, 상기 노출홀(22a)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버튼(50)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A cover portion 22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middle body 20 to extend outward. The cover portion 22 covers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middle body 20, and is an operat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middle body 20. (40) and the operation button (5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An exposure hole 2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22, and the exposure hole 22a exp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ration button 50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it.

상기 중체(20)의 측벽에는 직선가이드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선가이드홈(26)은 중체(20)의 측벽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리필용기(30)에 형성된 승강돌기(36)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직선가이드홈(26)의 일측 단부는 리필용기(30)의 승강돌기(36)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체(20)의 상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직선가이드홈(26)은 리필용기(30)의 안정적인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traight guide groove 26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middle body 20.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side wall of the middle body 20 and guides the straight movement of the lifting protrusion 36 formed on the refill container 30. One end of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is open to the top of the middle body 20 so that the lifting protrusion 36 of the refill container 30 can pass, and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is connected to the refill container 30. In order to guide stable movement, it is desirable to form a pair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한편, 상기 중체(20)의 외주연에는 제2축결합부(28)가 형성되어 용기뚜껑(70)의 제1축결합부(72)와 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결합부(28)는 커버부(22)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22)와 제2축결합부(28) 사이의 공간으로 작동버튼(50)이 삽입되면서 제2축결합부(28)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버튼(50)의 조작 시 작동버튼(50)의 상, 하 유동은 제한되는 반면, 상기 작동버튼(50)의 전, 후 이동은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a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8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body 20 and can be shaft coupled to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72 of the container lid 70.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8 is form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ortion 22, and an operation button 50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ver portion 22 and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8. As it is inserted, it is seated on the top of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8). Accordingly, when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50,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operation button 50 is restricted, while the operation button 50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상기 리필용기(30)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중체(3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 보관된다. 상기 리필용기(30)는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리필접시(32)와, 상기 리필접시(32)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리필홀더(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필용기(30)의 리필접시(32)와 리필홀더(34)는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서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The refill container 30 contains contents therein, and is inserted into and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edium body 30. The refill container 30 may be composed of a refill dish 32 inside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and a refill holder 34 coupled to the refill dish 32 while surrounding it. The refill plate 32 and the refill holder 34 of the refill container 30 may be separately injection-molded and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or may be injection-molded integrally.

여기서, 상기 리필접시(32)에는 내용물이 수용되거나, 내용물이 담지된 담지체(38)가 보관되는데, 상기 담지체(38)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RSBR(Nate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라텍스, 실리콘, PVA(PolyVinyl Alcohol),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refill dish 32, or a carrier 38 containing the contents is stored. The carrier 38 includes BR (Butadiene Rubber),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and NR (Nateral). Rubber), NRSBR (Nate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wet urethane, dry urethane, polyether, polyester,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latex, silicone, PVA (PolyVinyl Alcohol), nitrile rubber , butyl rubber, and neoprene.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필홀더(34)는 리필접시(32)의 상단과 외주연에 씌워지면서 결합되어 상기 리필접시(32)를 보호하게 되며, 상기 리필접시(32) 내에 보관된 담지체(38)의 이탈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ure 3, the refill holder 34 is covered and coupled to the top and outer periphery of the refill dish 32 to protect the refill dish 32, and the container stored in the refill dish 32 Prevents the escapement of the member 38.

상기 리필홀더(34)의 외주연에는 승강돌기(3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돌기(36)는 중체(20)의 직선가이드홈(26)을 관통하여 작동부재(40)의 나선가이드홈(46)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승강돌기(36)는 작동부재(4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중체(20)의 직선가이드홈(26)에 의해 수평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상기 작동부재(40)의 나선가이드홈(46)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서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최대로 상승했을 때 직선가이드홈(26)의 개방된 상부와 나선가이드홈(46)의 개방된 상부가 일치되어 상기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승강돌기(36)는 리필홀더(34)의 외주연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승강돌기(36)는 서로 반대편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lifting protrusion 36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fill holder 34. The lifting protrusion 36 penetrates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of the middle body 20 and is inserted into the spiral guide groove 46 of the operating member 40. During the sliding movement, the horizontal movement is limited by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of the middle body 20, and the refill container 30 is pushed up by the spiral guide groove 46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container body ( It rises from 10). And when the refill container 30 rises to the maximum from the container body 10, the open top of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and the open top of the spiral guide groove 46 coincide, so that the refill container 30 It is in a state wher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At this time, the lifting protrusions 36 are preferably formed in a pai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fill holder 34, and the pair of lifting protrusions 36 are formed symmetrically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또한, 상기 승강돌기(36)를 직선가이드홈(26)과 나선가이드홈(46)의 개방된 부분으로 끼우면서 리필용기(30)를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리필용기(30)의 승강돌기(36)가 중체(20)의 직선가이드홈(26)에 의해 직선 이동되면서 작동부재(40)의 나선가이드홈(46)을 반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작동부재(40)가 일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40)와 용기본체(10)가 자동으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필용기(30)의 삽입과 동시에 작동부재(40)의 이동이 제한되어 작동버튼(50)의 조작 전에는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fill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while inserting the lifting protrusion 36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and the spiral guide groove 46, the refill container ( The lifting protrusion 36 of 30 is moved in a straight line by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of the middle body 20 and pushes the spiral guide groove 46 of the operating member 40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40 is kept constant. The section is slidably m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container body 10 are automatically fastened.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0 is restricted upon insertion of the refill container 30, so that the refill container 30 can be stably fixed within the container body 10 before the operation button 50 is operated. .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필용기(30)에는 리필접시(32)를 개폐하는 리필용기뚜껑(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필용기뚜껑(80)은 리필홀더(34)와 축 결합되어 상기 리필홀더(34)에 대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도면에서는 리필용기(30)와 리필용기뚜껑(80)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리필용기뚜껑(80)이 리필용기(3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a refill container lid 80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ill plate 32 may be coupled to the refill container 30. The refill container lid 80 is axially coupled to the refill holder 34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refill holder 34. In the drawing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ill container 30 and the refill container lid 80 are shown as being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refill container lid 80 is a refill container. (30) can have various coupling methods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그리고 상기 리필용기뚜껑(8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리필용기뚜껑(80)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82)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에는 퍼프(puff)와 같은 화장도구(미도시)가 보관되는 화장도구보관홈(84)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밀폐돌륜(86)이 형성되어 리필용기(30)의 리필홀더(34) 상부 내주연에 타이트하게 밀착될 수 있다. And on one side of the refill container lid 80, a handle 82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refill container lid 80, and cosmetic tools such as a puff (not shown) are stored at the top. A cosmetic tool storage groove 84 is formed, and a sealing ring 86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it can be tightly adhered to the upper inner periphery of the refill holder 34 of the refill container 30.

상기 작동부재(40)는 용기본체(10)와 중체(20) 사이에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40)는 용기본체(10)와 체결되어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있다가, 작동버튼(50)에 의해 변형되면서 용기본체(10)와 체결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40)는 탄성부재(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작동부재(40)의 나선가이드홈(46)이 회전되면서 리필용기(30)의 승강돌기(36)를 중체(20)의 직선가이드홈(26) 내에서 이동시켜 상기 리필용기(30)를 용기본체(10)로부터 일정 구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4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단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절단된 단부에 작동버튼(50)이 끼움 결합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The operating member 40 may be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middle body 20 to be movable in a certain section. The operating member 40 is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10 and its movement is restricted. Then, the operating member 40 is deformed by the operating button 50 and the fastening to the container body 10 is release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ng member 40 is elastically slidably moved by the elastic member 60, and the spiral guide groove 46 of the operating member 40 is rotated to move the lifting protrusion 36 of the refill container 30. is moved within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of the middle body 20 to raise the refill container 30 from the container body 10 for a certain section. At this time, the operating member 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with at least a portion cut, and the operating button 50 can be connected by fitting into the cut end.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40)에는 가이드홈(4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2)과 인접한 위치에 이동제한돌출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42)에는 용기본체(10)의 가이드벽(12)이 삽입되어 작동부재(4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이동제한돌출부(44)는 용기본체(10)의 이동제한부(14)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제한부(14)의 일면에 걸리면서 작동부재(40)의 왕복 이동 구간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42)은 작동부재(40)의 하단에 상기 작동부재(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동제한돌출부(44)는 작동부재(40)의 하단에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40)는 용기본체(10)와 중체(2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정 구간 왕복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guide groove 42 is formed in the operating member 40, and a movement limiting protrusion 4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guide groove 42. The guide wall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2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movement limiting protrusion 44 is a movement limi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It is inserted between (14) and caught on one side of the movement limiting part (14) to limit the reciprocating movement s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42 is formed to extend lo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movement limiting protrusion 44 is formed at a constant pos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member 40. A protruding section is formed. Accordingly, the operating member 4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middle body 20 and can slide and move in a certain section along the inn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in a reciprocating manner.

상기 작동부재(40)의 내주연에는 리필용기(30)의 승강돌기(36)가 삽입되는 나선가이드홈(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가이드홈(46)은 작동부재(40)의 슬라이딩 이동 시 리필용기(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용기본체(1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측 단부는 리필용기(30)의 승강돌기(36)가 통과하도록 용기본체(10)의 상단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선가이드홈(46)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여 리필용기(30)의 승강 속도 및 사용의 편의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선가이드홈(46)의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급하게 형성할 경우 리필용기(30)를 완전히 승강시키기 위한 작동부재(40)의 슬라이딩 이동 범위가 짧아지게 되어 상기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보다 빠르게 승강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나선가이드홈(46)의 경사 각도를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형성할 경우 리필용기(30)를 완전히 승강시키기 위한 작동부재(40)의 슬아이딩 이동 범위가 길어지게 되어 상기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천천히 자연스럽게 승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리필용기(30)의 승강 속도 및 사용의 편의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나선가이드홈(46)를 작동부재(40)의 내주연에 적절한 경사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A spiral guide groove 46 into which the lifting protrusion 36 of the refill container 3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rating member 40. The spiral guide groove 46 is configured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refill container 30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has one side The end may be open to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 to allow the lifting protrusion 36 of the refill container 30 to pass through. Meanwhile, the lifting speed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refill container 30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piral guide groove 46. For exampl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piral guide groove 46 is formed relatively steeply, the sliding movement range of the operating member 40 for completely elevating the refill container 30 becomes short, thereby reducing the refill container 30. It can be lifted more quickly from the container body 10, an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piral guide groove 46 is formed relatively gently, the sliding angle of the operating member 40 is used to completely raise and lower the refill container 30. As the ding movement range becomes longer, the refill container 30 can be slowly and naturally lifted up and down from the container body 10. Accordingly, taking into account all of the lifting speed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refill container 30, the spiral guide groove 46 can be formed at an appropriate inclination angle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rating member 40.

상기 작동부재(40)에는 탄성부재(60)가 삽입되는 탄성부재삽입홈(45)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5)에는 제1고정부(15)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제1고정부(15)의 단부에 탄성부재(60)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40)의 탄성부재삽입홈(45)에는 제1고정부(15)가 관통하는 고정부삽입홀(45a) 및 탄성부재(60)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고정부(4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삽입홀(45a)은 작동부재(40)의 탄성부재삽입홈(45)의 바닥 부분에 탄성부재(60)의 압축, 복원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45b)는 탄성부재삽입홈(45)의 바닥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재(60)의 타측 단부를 작동부재(4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The operating member 40 is formed with an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60 is inser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15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and the elastic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15. And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of the operating member 40 has a fixing part insertion hole 45a through which the first fixing part 15 penetrates, and a second fixing part 45b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60 is coupled. ) can be formed. The fixing part insertion hole 45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extends long along the compression and restoration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60, and the second fixing part 45b ) is formed to protrude at the bottom of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and can secure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60 to the operating member 40.

한편, 상기 작동부재(40)에는 제2체결부(4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48)는 제1체결부(18)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면서 상기 작동부재(4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이동 제한을 해제하며, 작동부재(40)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체결부(18)와 체결 해제 시 체결부삽입공간(19)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48)는 작동부재(40)의 절단된 단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부(48)의 반대편에는 버튼삽입공간(49)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삽입공간(49)으로 작동버튼(50)의 적어도 입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fastening portion 48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perating member 40.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8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0 or releases the movement restriction by fastening or disengaging from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8,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ng member 40. It is extended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insertion space 19 when the first fastening part 18 is released. At this tim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8 is preferably formed adjacent to the cut end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a button insertion space 49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8, so that at least the mouth portion of the operation button 50 can be inserted into the button insertion space 49.

상기 작동버튼(50)은 작동부재(40)와 연결된 상태로 용기본체(10)와 중체(20) 사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서 상기 작동부재(40)와 용기본체(10)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버튼(50)은 용기본체(10)의 중심부로 이동되면서 작동부재(40)를 변형시켜 상기 작동부재(40)와 용기본체(10)의 체결을 해제하게 된다.The operation button 5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middle body 2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40, and is operated by the user to fasten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container body 10. can be released. That is, the operation button 50 moves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deforms the operating member 40 to release the fastening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container body 10.

상기 작동버튼(50)은 중체(20)의 제2축결합부(28)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전, 후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버튼(50)은 중체(20)의 커버부(22)와 제2축결합부(28) 사이로 삽입되어 있어 상, 하 유동이 제한되면서 안정적으로 전, 후 이동될 수 있다.The operation button 50 is seated on the top of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8 of the middle body 20 and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operation button 50 is inserted between the cover part 22 and the second shaft coupling part 28 of the middle body 20, so that the up and down movement is restricted and it can be stably moved back and forth.

도 2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50)은 용기본체(10) 또는 중체(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52)와 상기 조작부(5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고정지지부(54) 및 상기 고정지지부(54)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체(20)의 측벽에 밀착되는 탄력지지부(56)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2, the operation button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or the middle body 20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unit 52 and the operation unit 52 operated by the user. It may be composed of a fixed support part 54 that protrudes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an elastic support part 56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fixed support part 54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middle body 20. .

상기 조작부(52)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부분으로, 중체(20)의 노출홀(22a)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고정지지부(54)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작동버튼(50)을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부(54)는 용기본체(10)의 내주연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그 단부가 용기본체(10)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ng unit 52 is a part that is directly operated by the user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22a of the middle body 20, and the fixed support portion 54 is formed in a pair and has an operating button 50. It is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support part 54 has an end that has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it is in stable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10.

상기 탄력지지부(56)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체(20)를 향해 일정 각도로 구부러져 조작부(52)를 작동 방향에 대해 탄력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버튼(50)의 고정지지부(54)가 용기본체(10)의 내측에 밀착되고, 일정 각도로 구부러진 탄력지지부(56)가 중체(20)의 외측에 밀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부(52)를 용기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밀게 되면 탄력지지부(56)가 중체(20)의 외측면에 눌려지면서 휘어져 작동버튼(50) 및 상기 작동버튼(50)과 연결된 작동부재(40)가 변형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함께 이동되고, 사용자가 조작부(52)에서 손을 떼면 중체(20)의 외측면에 눌려져 있던 탄성지지부(56)가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작동버튼(50) 및 상기 작동버튼(50)과 연결된 작동부재(40)가 동시에 원래의 형태 및 위치로 돌아온다.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 56 is bent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middle body 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operating portion 52 in the operating direction. That is, the fixed support part 54 of the operation button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56 bent at a certain ang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20,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button. When (52) is push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elastic support portion (56) is bent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body (20), thereby forming the operation button (50) and the operation member (40)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50). ) is deformed and moves togethe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when the user releases his/her hand from the operation unit 52, the elastic support part 56 pres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body 20 is elastically restored and the operation button 50 ) and the operating member 40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50 simultaneously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and position.

한편, 상기 작동버튼(50)에는 끼움홈(58)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58)에 작동부재(40)의 절단된 단부가 끼워지면서 상기 작동버튼(50)과 작동부재(4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버튼(50)의 가압 조작 시 작동버튼(50) 및 상기 작동버튼(50)과 연결된 작동부재(40)가 변형되면서 함께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부(18)와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부(48) 사이가 멀어지면서 서로 체결 해제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58)은 작동부재(40)와 마주하는 고정지지부(54)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fitting groove 58 is formed in the operation button 50, and the cut end of the operation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58, so that the operation button 50 and the operation member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operation button 50 is pressed, the operation button 50 and the operation member 40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50 are deformed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us the container As the first fastening part 18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8 of the operating member 40 become distant, the fastening is released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tting groove 58 is preferably formed recessed on one side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54 facing the operating member 4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탄성부재(60)는 작동부재(40)를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용기본체(10)와 작동부재(40)의 체결이 해제되는 순간, 상기 작동부재(40)를 용기본체(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에 대해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작동부재(40)에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며, 탄성을 가진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나선형으로 둥글게 감아 만든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mber 60 can move the operating member 40 elastically. The elastic member 60 automatically slides and moves the operating member 40 along the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at the moment the fast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operating member 40 is released to open the refill container ( 30) is raised relative to the container body (10). The elastic member 60 provides constant elasticity to the operating member 40, and is preferably formed as a coil spring made by winding elastic metal or plastic in a spiral shape.

상기 탄성부재(60)는 작동부재(40)의 탄성부재삽입홈(45)에 설치되는데, 일측은 용기본체(10) 또는 중체(20)에 고정되고, 타측은 작동부재(40)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부재(40)를 용기본체(10) 또는 중체(20)로부터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는 작동부재(40)의 탄성부재삽입홈(45)에 삽입된 상태로 중체(20)의 커버부(22)에 의해 상부가 덮혀 상기 작동부재(4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The elastic member 60 is installed in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of the operating member 40. One side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10 or the middle body 2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operating member 40. The operating member 40 can be elastically slidably 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or the middle body 20.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of the operating member 40, and the upper part is covered by the cover portion 22 of the middle body 20, thereby preventing the elastic member 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member 40. Escape is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60)는 용기본체(10) 또는 중체(20)와 작동부재(40)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늘어났다가 복원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tension coil sp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60 is a tension coil spring that is elastically stretched and restor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or the middle body 20 and the operating member 40. spring).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0)는 양측 단부가 용기본체(10)의 제1고정부(15)와 작동부재(40)의 제2고정부(45b)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10)와 작동부재(40)의 체결 시 인장(引張,어떤 힘이 물체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바깥 방향으로 작용할 때 물체가 늘어나는 현상)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용기본체(10)와 작동부재(40)의 체결 해제 시 탄력적으로 수축, 복원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15)와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순간적인 탄성 복원력(復元力)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45b)를 당겨 작동부재(40)를 용기본체(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2,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60 ar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15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45b of the operating member 40 to form the container body 10. When fastening (10) and the operating member (40), it maintains a tensioned state (a phenomenon in which an object is stretched when a force acts in an outward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object) and operates with the container body (10). When the member 40 is released, it is elastically contracted and restored. That is,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15, and the other side pulls the second fixing part 45b by an instantaneous elastic restoring force to form the operating member 40. ) is slidably mov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60)는 용기본체(10) 또는 중체(20)와 작동부재(40)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compression coil sp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60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compression) that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restor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or the middle body 20 and the operating member 40. It can be formed as a coil spring.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체(20)에는 탄성부재벽(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벽(24)은 탄성부재(6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체(20)의 커버부(22) 하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면에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 단부가 밀착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벽(24)은 탄성부재(6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술한 이동제한부(14)와 마찬가지로 작동부재(40)의 이동 방향과 교차되면서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9, an elastic member wall 24 may be formed in the middle body 20. The elastic member wall 24 is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0, a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2 of the middle body 20, so tha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0 is formed on one surface. It adheres closely. At this time,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elastic member 60, the elastic member wall 24 is shaped like a plate with a constant area while inters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0, like the movement limiter 14 described above. desirable.

상기 탄성부재(60)는 양측 단부가 탄성부재삽입홈(45)의 어느 한 측벽과 중체(20)의 탄성부재벽(24)에 밀착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용기본체(10)와 작동부재(40)의 체결 해제 시 탄성부재(60)의 일측이 상기 탄성부재벽(24)에 지지된 상태로, 타측이 순간적인 탄성 복원력(復元力)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5)의 어느 한 측벽을 밀어 작동부재(40)를 용기본체(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시키게 된다.The elastic member 60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wall of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and the elastic member wall 24 of the middle body 20, and the container body 10 and When the operating member 40 is released,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6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wall 24, and the other side is in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by a momentary elastic restoring force. By pushing one of the side walls, the operating member 4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작동버튼(50)의 단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10)와 작동부재(40)의 체결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40)가 일정 구간 이동되면서 리필용기(30)를 용기본체(10)로부터 자동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리필용기(30)를 용기본체로부터 편리하게 분리, 교체함은 물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리필용기(30)에 의해 작동부재(40)가 일정 구간 이동되면서 용기본체(10)와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필용기(30)의 삽입과 동시에 작동부재(40)의 이동이 제한되어 작동버튼(50)의 조작 전에는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s seen above, in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operating member 40 is released by simple manipulation of the operating button 50,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ng member 40 ) is moved for a certain section and automatically raises the refill container 30 from the container body 10, so that the refill container 30 can be convenient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and replaced, as well as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By automatically engaging the container body 10 while the operating member 40 is moved for a certain period by the refill container 30 inserted,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member 40 occurs simultaneously with the insertion of the refill container 30 Due to this limitation, the refill container 30 can be stably fixed within the container body 10 before the operation button 50 is operated.

도 4 내지 도 8,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및 리필용기 교체 과정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및 리필용기 교체 과정을 설명한다.Figures 4 to 8 and Figures 10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process of using and refilling cosmetic contai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se, the use and refilling of cosmetic contai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Explains the container replacement proces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용기뚜껑과 리필용기뚜껑이 개방된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모습을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작동부재가 이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필용기가 용기본체 내측에 삽입된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필용기가 용기본체로부터 상승된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lid and the refill container lid of a cosmetic container being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member being un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ive plan view, and Figure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member being 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the refill container being inser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ill container raised from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뚜껑(70)를 회전시켜 용기본체(10)를 개방하고, 리필용기뚜껑(80)을 회전시켜 리필용기(30)를 개방한 다음, 상기 리필용기(30) 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을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로 찍어 피부에 바른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위와 반대로 리필용기뚜껑(80)을 닫고, 용기뚜껑(70)을 닫아 보관 또는 휴대한다.In order to use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container lid 70 is rotated to op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refill container lid 80 is rotated to open the refill container ( After opening 30), the cosmetic contents contained in the refill container 30 are taken with a cosmetic tool such as a puff and applied to the skin. After makeup is completed, close the refill container lid (80) in the opposite manner to the above, and close the container lid (70) to store or carry.

한편, 상기 리필용기(30) 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 상기 리필용기(30)를 교체, 사용한다.Meanwhile, when all of the cosmetic contents contained in the refill container 30 have been used, the refill container 30 is replaced and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 또는 중체(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작동버튼(50)의 조작부(52)를 상기 용기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밀게 되면 탄력지지부(56)가 휘어져 작동버튼(50) 및 상기 작동버튼(50)과 연결된 작동부재(40)가 변형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함께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부(18)와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부(48)가 멀어지면서 상기 용기본체(10)와 작동부재(40)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60)가 늘어나 있다가,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15)와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순간적인 탄성 복원력(復元力)에 의해 상기 제2고정부(45b)를 당겨 작동부재(40)를 용기본체(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된다.In the case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operating portion 52 of the operation button 5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or the middle body 20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10. ), the elastic support portion 56 is bent and the operation button 50 and the operation member 40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50 are deformed and moved togethe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ereby As the first fastening part 18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8 of the operating member 40 move apart, the fast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operating member 40 is releas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6, the elastic member 60 is stretched, and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15, and the other side experiences an instantaneous elastic restoring force. ), the operating member 4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by pulling the second fixing part 45b.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경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 또는 중체(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작동버튼(50)의 조작부(52)를 상기 용기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밀게 되면 탄력지지부(56)가 휘어져 작동버튼(50) 및 상기 작동버튼(50)과 연결된 작동부재(40)가 변형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부(18)와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부(48)가 멀어지면서 상기 용기본체(10)와 작동부재(40)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60)가 압축되어 있다가,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이 상기 탄성부재벽(24)에 지지된 상태로, 타측이 순간적인 탄성 복원력(復元力)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삽입홈(45)의 어느 한 측벽을 밀어 작동부재(40)가 용기본체(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된다. In the case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operating portion 52 of the operation button 5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or the middle body 20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10. ) When pushed in the center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56 is bent and the operation button 50 and the operation member 40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50 are deformed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ereby As the first fastening part 18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8 of the operating member 40 move apart, the fast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operating member 40 is releas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11, the elastic member 60 is compressed, and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6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wall 24, and the other side experiences an instantaneous elastic restoring force. The operating member 40 slides along the inn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by pushing one side wall of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5 with force.

위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40)가 일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되면,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부재(40)의 나선가이홈(46)이 일정 구간 이동되면서 직선가이드홈(26)에 의해 수평 이동이 제한된 승강돌기(36)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상기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최대로 상승하게 되면, 직선가이드홈(26)의 개방된 상부와 나선가이드홈(46)의 개방된 상부가 일치되어 상기 리필용기(30)가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As above, when the operating member 40 is slidably moved for a certain section, the spiral guide groove 46 of the operating member 40 is moved for a certain section and is moved by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lifting protrusion 36, whose horizontal movement is limited, is pushed upward, and thus the refill container 30 rises from the container body 10. When the refill container 30 rises to the maximum from the container body 10, the open top of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and the open top of the spiral guide groove 46 match, so that the refill container 30 It is in a state wher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이후, 상기 리필용기(30)를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리필용기(30)를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 교체한다. 이때, 상기 승강돌기(36)를 직선가이드홈(26)과 나선가이드홈(46)의 개방된 부분으로 끼우면서 리필용기(30)를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리필용기(30)의 승강돌기(36)가 중체(20)의 직선가이드홈(26)에 의해 직선 이동되면서 작동부재(40)의 나선가이드홈(46)을 반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작동부재(40)가 일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부(18)와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부(48)가 자동으로 걸림 결합되면서 체결된다.Thereafter, the refill container 3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and a new refill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and replaced. At this time, when the refill con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while inserting the lifting protrusion 36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and the spiral guide groove 46, the refill container ( The lifting protrusion 36 of 30 is moved in a straight line by the straight guide groove 26 of the middle body 20 and pushes the spiral guide groove 46 of the operating member 40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40 is kept constant. At the same time as the section is slidably moved, the first fastening part 18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8 of the operating member 40 are automatically engaged and fastened.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modification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용기본체 12: 가이드벽
14: 이동제한부 18: 제1체결부
20: 중체 22: 커버부
26: 직선가이드홈 28: 제2축결합부
30: 리필용기 32: 리필접시
34: 리필홀더 36: 승강돌기
40: 작동부재 42: 가이드홈
44: 이동제한돌출부 45: 탄성부재삽입홈
46: 나선가이드홈 48: 제2체결부
50: 작동버튼 52: 조작부
54: 고정지지부 56: 탄력지지부
60: 탄성부재 70: 용기뚜껑
72: 제1축결합부 80: 리필용기뚜껑
10: container body 12: guide wall
14: movement restriction part 18: first fastening part
20: middle body 22: cover part
26: Straight guide groove 28: Second shaft coupling part
30: Refill container 32: Refill plate
34: Refill holder 36: Elevating projection
40: operating member 42: guide groove
44: Movement limiting protrusion 45: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46: Spiral guide groove 48: Second fastening part
50: operation button 52: control panel
54: fixed support 56: elastic support
60: elastic member 70: container lid
72: 1st shaft coupling part 80: Refill container lid

Claims (13)

제1체결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직선가이드홈이 형성된 중체;
상기 중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승강돌기가 형성된 리필용기;
상기 용기본체와 중체 사이에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선가이드홈 및 제2체결부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버튼 및
상기 작동부재를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 container body in which a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A middle bod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straight guide groove formed thereon;
A refill container inserted into the middle body,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n elevating protrusion formed thereon;
An operating member coupl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middle body to be movable over a certain section and formed with a spiral guide groove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An operating button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and operated by the user, and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including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moves the opera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가이드벽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replacing a refill container, wherein a guide wall is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operating member to be inserted in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이동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이동제한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replacing a refill container, wherein a movement limiting part is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and a movement limi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perating member so that they are caught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탄성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제1고정부가 관통하는 고정부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fixing part to which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and a fixing part insertion groove through which the first fixing part penetrates is formed in the opera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용기본체의 내주연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작동부재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서로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ng member and is engaged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이 결합되고, 상기 리필용기에는 리필용기를 개폐하는 리필용기뚜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replacing a refill container, wherein a contain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iner body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a refill contain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ill container is formed on the refill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체에는 탄성부재벽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벽의 일면으로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wherein an elastic member wall is formed in the middle body,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탄성부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membe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elastic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opera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는 용기본체 또는 중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체의 측벽에 밀착되는 탄력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button includes an operation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body to be operated by the user, a fixed support part that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par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and a fixed support part that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fixed support part and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body.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replacing a refill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lastic support part that adheres clos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작동부재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replacing a refill container, wherein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operation button, and an end of the operating member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 및 작동버튼과 연결된 작동부재가 변형되면서 함께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제1체결부와 작동부재의 제2체결부 가 이격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s the operating button and the oper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are deformed and moved together inside the container body,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operating member are spaced apart, thereby fasten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lea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용기본체 또는 중체와 작동부재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늘어났다가 복원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tension coil spr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of a tension coil spring that is elastically stretched and restor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or middle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용기본체 또는 중체와 작동부재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compression coil spr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eplacement structure for a refill container,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that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restor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or middle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KR1020220052602A 2022-04-28 2022-04-28 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KR102604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02A KR102604248B1 (en) 2022-04-28 2022-04-28 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02A KR102604248B1 (en) 2022-04-28 2022-04-28 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983A true KR20230152983A (en) 2023-11-06
KR102604248B1 KR102604248B1 (en) 2023-11-21

Family

ID=8874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602A KR102604248B1 (en) 2022-04-28 2022-04-28 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24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472Y1 (en) 1997-03-28 1999-09-15 황종대 Structure for holding a puff in the compact case
KR200458647Y1 (en) 2010-09-30 2012-03-06 (주)아모레퍼시픽 Compact case for cosmetic
KR20120026209A (en) * 2010-09-09 2012-03-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101584512B1 (en) 2015-02-16 2016-01-25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with refill case having a seal ring
KR20190131662A (en) * 2018-05-17 2019-11-27 펌텍코리아 (주) Lipstick protective case for easy removal of lipstick
KR20210050865A (en) * 2019-10-29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KR20220001754A (en) * 2020-06-30 2022-01-06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button oper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472Y1 (en) 1997-03-28 1999-09-15 황종대 Structure for holding a puff in the compact case
KR20120026209A (en) * 2010-09-09 2012-03-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200458647Y1 (en) 2010-09-30 2012-03-06 (주)아모레퍼시픽 Compact case for cosmetic
KR101584512B1 (en) 2015-02-16 2016-01-25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with refill case having a seal ring
KR20190131662A (en) * 2018-05-17 2019-11-27 펌텍코리아 (주) Lipstick protective case for easy removal of lipstick
KR20210050865A (en) * 2019-10-29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KR20220001754A (en) * 2020-06-30 2022-01-06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button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248B1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142B1 (en)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KR101978869B1 (en) Refill container using double injection molding
US8186365B2 (en) Cosmetic case
US20110158737A1 (en) Pencil-shaped cosmetic container
US10973304B2 (en) Finger mascara
US11523673B2 (en) Stick-type cosmetic container for controlling rotational angle of rotating body at predetermined angle
US10980334B2 (en) Finger fitting-type makeup tool
JP2020526315A (en) Cosmetic container
KR20160078930A (en) Compact container with integrated tension part
EP4342330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refill container replacement structure
KR20190010756A (en) Compact container having structure for rotatably fixing an inner container
KR101048412B1 (en) Cosmetic container
KR102375068B1 (en) Cosmetic container with improved button operation
KR102604248B1 (en) 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KR102604247B1 (en) Cosmetic container with replacement structure of refill container
KR20180040182A (en) Dual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improved usability and portability
KR200473460Y1 (en) Makeup cosmetics conainers having s combimed structure of the storage vessel
KR101893485B1 (en) Cosmetic case for easily replacing cosmetics
KR20130003770U (en) Cosmetic Vessel with Blocking Member
KR20220046877A (en) One-touch cap with ornament part
KR102550546B1 (en) Cosmetic container with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KR101906386B1 (en) Finger mascara
KR200468389Y1 (en) Dosed discharging vessels of contents
KR102220835B1 (en) The cosmetic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top of the mesh net and is supported elastically by mesh net
KR20230147919A (en) Cosmetic container with refi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