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981A - 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981A
KR20230152981A KR1020220052599A KR20220052599A KR20230152981A KR 20230152981 A KR20230152981 A KR 20230152981A KR 1020220052599 A KR1020220052599 A KR 1020220052599A KR 20220052599 A KR20220052599 A KR 20220052599A KR 20230152981 A KR20230152981 A KR 2023015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tainer
water
disposed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현규
Original Assignee
유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규 filed Critical 유현규
Priority to KR102022005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981A/en
Publication of KR2023015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981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2Catalytic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분해장치 및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1 코일과, 물이 담긴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자기적으로 연계되는 제2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코일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며 동시에 무선 충전이 가능하여 사용성 및 휴대성이 개선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sis device and an injector, and includes a first coil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second coil disposed inside a container containing water and 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It include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one end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electrolyzed using magnetic induction current and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making it usable and portable.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erformance and making maintenance/repair easier.

Description

무선으로 동작하는 물의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기{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Wirelessly operated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sprayer including the same {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의 전기분해 장치 및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고 동시에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물의 전기분해 장치 및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spray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sprayer that can electrolyze water using self-induced current and simultaneously wirelessly charge a battery.

살균은 미생물에 물리적·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이를 단시간 내에 멸살시키는 것을 말한다. 정도에 따라 대상을 완전히 무균상태로 하는 멸균과 거의 무균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소독으로 구별할 수 있다.Sterilization refers to applying physical or chemical stimulation to microorganisms to destroy them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Depending on the degree, i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sterilization, which renders the object completely sterile, and disinfection, which renders the object almost sterile.

병원, 생화학 실험실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필요에 의해 멸균상태까지의 살균이 요구된다. 그리고 식당, 카폐, 가정집 등과 같이 사람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에서는 멸균까지는 아니라도 전염성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기 위해 생활방역 수준 정도의 소독이 요구된다.In places such as hospitals and biochemical laboratories, sterilization to a sterile state is required as needed. And in places where people live on a daily basis, such as restaurants, cafes, and homes, disinfection at the level of daily quarantine is required to remove infectious bacteria or viruses, even if it is not sterilization.

과거 전염성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해 일상적인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각종 전염성 질병에 노출되는 사례가 많았다. 한 때 전세계적으로 유행했던 사스, 신종플루 등은 일상 감염을 통해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잃었다. 또한 간간이 발생하는 조류독감, 돼지콜레라 등이 유행하여 많은 동물들이 살처분되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In the pas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many people were exposed to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 everyday spaces due to infectious bacteria or viruses. SARS and H1N1 flu, which were once prevalent around the world, killed many people through daily infections. In addition, avian influenza and swine cholera occur occasionally, causing many animals to be culled.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19가 유행하였으며, 높은 전염성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고 목숨을 잃었다. Recently, COVID-19 has spread around the world, and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have been infected and lost their lives due to its highly contagious nature.

이러한 전염성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감염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뿐만 아니라 생활 방역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인 식당, 카페, 가정집 등에서는 전염성 억제를 위해 살균, 소독이 반드시 필요시 된다.In order to reduce infectiousness from these contagious bacteria or viruses, not only vaccination but also daily quarantine are essential. In particula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re necessary to suppress infectious diseases in places where people live every day, such as restaurants, cafes, and homes.

이러한 살균, 소독을 위해 과거부터 살균제가 함유된 분사기를 필요한 장소에 분사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이때 주로 화학적 살균물질이 함유된 액체를 분사기로 분사하여 생활방역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화학적 살균물질이 미스트(mist) 형태로 분사되다보니, 사람의 피부에 닿거나 호흡기로 흡입되는 경우 각종 질환을 발생하는 경우들이 있었다.For such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 method of spraying a spray containing a disinfectant to the required location has been used in the past. At this time, household quarantine was mainly carried out by spraying liquid containing chemical sterilizing substances with a sprayer. However, as these chemical sterilizing substances are sprayed in the form of mist, there have been cases of various diseases occurring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human skin or are inhaled into the respiratory tract.

최근에는 이러한 화학적 살균물질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발생되는 전해수를 이용하여 살균하고 세척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선호되는 추세이다.Recently, in recognition of the problems with these chemical sterilizing substances, technologies for sterilizing and cleaning using electrolyzed water generated by electrolyzing water have been developed and preferred.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분사기들은 유선 코드로 연결하여 충전하고 있고, 전기분해를 위해서는 물이 담기 용기와 배터리, 회로기판간의 복잡한 전기적 연결 구조를 이루고 있다. 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injectors using electrolysis are charged by connecting with a wired cord, and electrolysis requires a complex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water container, a battery, and a circuit board.

이 때문에 살균, 소독을 하기 위해 분사기를 사용할 때마다 매번 유선 코드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으로 인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잦은 유선 코드 탈착은 플러그 부위의 손상을 가져오기도 한다. 또한 물이 담긴 용기와 배터리, 회로기판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실질적으로 수리가 힘들어 결국은 분사기 전체를 교체해야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due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detach the wired cord every time the sprayer is used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nd frequent de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wired cord may result in damage to the plug area. Additionally,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water container, battery, and circuit board, it is difficult to repair and may eventually require replacement of the entire injec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고 동시에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물의 전기분해 장치 및 분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related technical field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sprayer that can electrolyze water using self-induced current and simultaneously wirelessly charge a battery. It is about provid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성 및 휴대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물의 전기분해 장치 및 분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sprayer with improved usability and portability and easy maintenanc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1 코일; 및 물이 담긴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자기적으로 연계되는 제2 코일; 상기 제2 코일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코일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제1 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2 코일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relates to an electrolysis device, comprising: a first coil connected to a power supply; and a second coil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containing water and 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il;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wherein when a current is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first coil, a self-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to electrolyze wat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에 배치되고, 물의 전기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talyst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and promoting electrolysis of wat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코일을 방수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상기 제2 코일을 밀폐하며 배치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waterproof the second coil, a coat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to seal the second coil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은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장치바디; 상기 장치바디에 탈착되고 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펌프;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유닛; 상가 장치바디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펌프와는 공기가 흐르는 제1 파이프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와는 전해수가 흐르는 제2 파이프로 연결되는 노즐유닛;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or, comprising: a device body; A container detached from the device body and containing water; an air pump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a motor unit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connected to the air pump, and driving the air pump; a nozzle unit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commercial apparatus body, connected to the air pump through a first pip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through a second pipe through which electrolytic water flows; a battery unit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unit; and an electrolysis device that electrolyz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using self-induced curr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배터리수용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1 충전코일; 및 외부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가 안착되는 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충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코일과 상기 제2 충전코일은 자기적으로 연계되며, 외부 전원부에서 상기 제2 충전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 충전코일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unit includes: a battery disposed in a battery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a first charging coil disposed in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 second charging coi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disposed inside the station on which the device body is mounted, wherein the first charging coil and the second charging coil are magne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harging coil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2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harging coil, a self-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first charging coil, allowing the battery to be charg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유닛의 외부면과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면 사이에 밀착되며 배치되는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 dispos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otor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evic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바디의 후면부에서 상기 공기펌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물질을 차단하는 통풍망;을 더 포함하고, 통풍망은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통풍홀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통풍홀은 통풍망의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로 배치될수록 통풍홀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entilation net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pump at the rear portion of the device body and blocking foreign substances, wherein the ventilation n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air passes,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air passes. As the ventilation holes of the dog are arranged from the edge to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net, the size of the ventilation holes may increa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여과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and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pip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바디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노즐유닛에 형성된 분사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제1 센서탈착부;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용기탈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센서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disposed on a front portion of the device body,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detachable portion dispos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a spray hole formed in the nozzle unit; and a second sensor detachabl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ainer detachable portion formed inside the devic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센서탈착부에 탈착되는 제1 센서는 상기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전해수를 식별하기 위해 광센서 또는 대상물을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센서일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detached from the first sensor detachable unit may be an optical sensor to identify the electrolytic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or an ultraviolet sensor to sterilize the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센서탈착부에 탈착되는 제2 센서는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의 잔량을 식별하기 위해 광센서 또는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센서일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nsor detached from the second sensor detachable unit may be an optical sensor to identify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or an ultraviolet sensor to sterili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외부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자기적으로 연계되는 제2 코일; 상기 제2 코일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코일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외부 전원부에서 상기 제1 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2 코일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sis device includes a first coi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second coil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and 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il;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When current is a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first coil, a self-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to electrolyze wat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고, 물의 전기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sis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talyst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and promotes electrolysis of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상기 제2 코일을 방수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상기 제2 코일을 밀폐하며 배치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sis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ating portion disposed to seal the second coil inside the container to waterproof the second c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스테이션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il may b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second coil may be placed at the st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기를 스테이션에 장착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기를 사용할 때는 스테이션에서 분리하고 곧바로 사용하여 살균, 소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성과 휴대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electrolyzed using self-induced current by the simple operation of mounting a sprayer on a station, and batteries can be charged wirelessly. And when using the sprayer, it can be removed from the station and used immediately to perform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ork. In other words,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ed usability and portability.

그리고, 유선이 아닌 무선 방식을 이용하므로,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since it uses a wireless method rather than a wired metho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for maintenance/repai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를 나타낸 전측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를 나타낸 후측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를 나타낸 하측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를 나타낸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를 나타낸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가 스테이션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개시된 전기분해장치, 분사기 및 스테이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Figure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an in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jector station is s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lysis device, injector, and station disclosed in Figure 6.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ing an in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fu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conduct them together due to a related relationshi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실시예들은 서로 상충되지 않는 한 중복하여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lurality of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overlappingly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600)는 제1 코일(610), 제2 코일(620), 제1 전극(651), 제2 전극(653), 촉매(630) 및 코팅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7, the electrolysis devic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il 610, a second coil 620, a first electrode 651, a second electrode 653, and a catalyst ( 630) and a coating portion 640.

제1 코일(610)은 외부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610)은 전선이 원을 그리며 복수회 감긴 플랫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coil 6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receive curren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Here, the first coil 610 may have a flat shape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wound multiple times in a circle.

제2 코일(620)은 물이 담긴 용기(400)의 내부에서 제1 코일(610)에 자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코일(620)은 전선이 원을 그리며 복수회 감긴 플랫 형태일 수 있다. The second coil 6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il 610 to be 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400 containing water. Here, the second coil 620 may have a flat shape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wound multiple times in a circle.

제1 코일(610)과 제2 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제1 코일(610)에 전류가 흐를 때 제2 코일(620)에 자기유도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적어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coil 610 and the second coil 620 are at least partially or within a range that allows a self-induced current to flow in the second coil 620 when a current flows in the first coil 610. It can be consistent overall.

제1 전극(651)은 제2 코일(6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653)은 제2 코일(620)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65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il 620. And the second electrode 65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620.

촉매(630)는 제1 전극(651) 및/또는 제2 전극(653)에 배치되고, 물의 전기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촉매(630)는 백금(Pt), 구리(Cu)-니켈(Ni)-크롬(Cr) 합금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atalyst 630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651 and/or the second electrode 653 and may promote electrolysis of wa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alyst 630 may be platinum (Pt), copper (Cu)-nickel (Ni)-chromium (Cr) alloy,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코팅부(640)는 제2 코일(620)을 방수하기 위해 용기(400)의 내부에서 제2 코일(620)을 밀폐하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코팅부(640)는 실리콘 재질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ating portion 640 may be disposed to seal the second coil 620 inside the container 400 in order to waterproof the second coil 620.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portion 640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술한 구조를 이용한 작동방식을 살펴보면, 전원부에서 제1 코일(610)로 전류가 인가되면, 제1 코일(610)과 제2 코일(620)간의 자기적인 연계에 의해 제2 코일(620)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current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coil 610, the second coil 6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620 by magnetic linkage between the first coil 610 and the second coil 620. A self-induced current occurs.

제2 코일(620)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면, 제1 전극(651)과 제2 전극(653)간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제1 전극(651) 또는 제2 전극(653) 중 어느 하나는 음극, 다른 하나는 양극이 된다. 이에 따라 제1 전극(651) 및 제2 전극(653)은 물 분자의 이온화 분해 작용을 하고 전해수가 발생한다.When a self-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620, a current flow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651 and the second electrode 653. At this time, either the first electrode 651 or the second electrode 653 is One becomes the cathode and the other becomes the anode.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651 and the second electrode 653 ionize and decompose water molecules and generate electrolyzed w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600)는 종래 유선을 사용한 방식과 달리 무선 구조를 통한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함으로써, 종래 유선 연결의 복잡한 구조를 없애고 간단한 무선 구조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해진 기술적 특징이 있다. The electrolysis devic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self-induced current through a wireless structure, unlike the conventional wired method, thereby eliminating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wired connection and applying current through a simple wireless structure. It has technical features that improve usability and make maintenance easier.

한편,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100)는 장치바디(200), 용기(400), 공기펌프(310), 모터유닛(320), 노즐유닛(340), 배터리부(500), 실링(330), 통풍망(350), 여과기(345), 센서유닛(360) 및 전기분해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to 7, the inj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body 200, a container 400, an air pump 310, a motor unit 320, and a nozzle unit 340. ), a battery unit 500, a seal 330, a ventilation net 350, a filter 345, a sensor unit 360, and an electrolysis device 600.

장치바디(200)는 분사기(100)의 전반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치바디(200)는 2개의 파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2개의 파트가 볼트(200a;도 3 참고)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장치바디(200)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들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The device body 200 may form the overall outline of the injector 100, and may be made of plastic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device body 200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 two parts may be coupled by fastening with a bolt (200a; see FIG. 3). In this case, disassembly/assembly is simple, making it easy to maintain/repair the parts placed inside the device body 200.

장치바디(200)의 상측 전면부에는 전해수를 분사하는 노즐유닛(3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장치바디(200)의 상측 후면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통풍망(350)이 배치될 수 있다. A nozzle unit 340 that sprays electrolytic wate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and a ventilation net 35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그리고 장치바디(200)의 전면부 하측에는 용기(400)가 탈착되는 용기탈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장치바디(200)의 후면부 하측에는 사용자가 분사기(100)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210)의 하부에는 배터리(510)가 내장되는 배터리수용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container detachment portion 230 through which the container 400 can be detache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200. A handle portion 2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to allow the user to hold the sprayer 100, and a battery receiving portion 220 in which the battery 510 is built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10. ) can be placed.

또한 장치바디(200)의 내부에는 공기펌프(310) 및 모터유닛(320)이 배치되며 흡입된 공기를 노즐유닛(34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an air pump 310 and a motor unit 320 are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200, and the sucked air can be sprayed through the nozzle unit 340.

용기(400)는 물이 담기고, 장치바디(200)에 탈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장치바디(200)의 전면부 하측에는 용기탈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400 contains water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device body 200. Referring to FIG. 7, a container detachable portion 2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device body 200.

용기탈착부(230)는 개구부(231), 용기탈착블록(233) 및 용기지지피스(2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31)는 장치바디(200)의 전면부 하측에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400)의 상부는 개구부(231)를 통해 장치바디(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container detachable unit 230 may include an opening 231, a container detachable block 233, and a container support piece 235. The opening 231 may be formed in an open structure on the lower front of the device body 200,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4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device body 200 through the opening 231.

용기탈착블록(233)은 장치바디(200)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피스(242)에 고정될 수 있다. 용기탈착블록(233)의 내주면과 용기(400)의 상부 외주면에는 각각 서로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400)의 상부를 용기탈착블록(233)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돌려 결합하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돌려 분리할 수 있다. The container detachment block 233 may be fixed to a fixing piece 242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200. Threads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may be machin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detachable block 233 and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400. Accordingly,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400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detachment block 233 by turning it in one direction or can be separated by turning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그리고 용기지지피스(235)는 용기(400)의 상부가 용기탈착블록(233)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400)의 표면에 접촉되며 용기(4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And the container support piece 235 contacts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400 whe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40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detachable block 233 and can prevent the container 400 from shaking.

여기서, 여과기(345)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용기(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노즐유닛(340)과 연결되어 있는 제2 파이프(343)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filter 345 may be placed inside the container 40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and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ipe 343 connected to the nozzle unit 340.

공기펌프(310)는 장치바디(200)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피스(244)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 장치바디(200)의 후면부에 배치된 통풍망(350)을 통해 공기 강제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장치바디(200)의 내부를 대기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압 또는 음압 상태를 조성하며 외부 공기가 장치바디(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The air pump 310 can be arranged and fixed in position by a fixing piece 244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200, and when rotated by power, the ventilation net 350 disposed on the rear part of the device body 200 Allow air to be forcibly sucked in through. This creates a relatively low or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device body 200 compared to atmospheric pressure and allows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device body 200.

모터유닛(320)은 장치바디(200)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피스(243)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펌프(310)에 연결되며, 공기펌프(31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유닛(320)은 기어박스를 통해 공기펌프(310)에 연결되며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motor unit 320 can be arranged and fixed in position by a fixing piece 243 provided inside the device body 200, is connected to the air pump 310, and is driven by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air pump 310. can do.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tor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air pump 310 through a gearbox and can control the transmitted rotational force.

여기서, 도 7을 참고하면, 실링(330)이 모터유닛(320)의 외부면과 장치바디(200)의 내부면 사이에 밀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실링(330)은 공기펌프(31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할 때 흡입된 공기가 공기펌프(310) 이외에 장치바디(200)의 내부에서 다른 부분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실링(330)은 물 또는 전해수가 모터유닛(320)이나 공기펌프(310)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유닛(320)이나 공기펌프(3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FIG. 7, the seal 330 may be plac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otor unit 3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evice body 200. The seal 330 may function to prevent the sucked air from leaking out through other parts of the device body 200 other than the air pump 310 when the air pump 310 sucks in external air. Additionally, the seal 330 may function to prevent water or electrolyzed water from leaking into the motor unit 320 or the air pump 310, thereby preventing the motor unit 320 or the air pump 310 from being damaged.

노즐유닛(340)은 장치바디(200)의 전면부에 마련된 고정피스(246)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노즐유닛(340)의 전면부에는 분사홀(347)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사홀(347)을 통해 전해수가 살균, 소독 대상물로 분사될 수 있다. The nozzle unit 340 may be arranged and fixed in position by a fixing piece 246 provided on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200. A spray hole 347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nozzle unit 340, and electrolytic water may be sprayed onto the sterilizing or disinfecting object through the spray hole 347.

이러한 노즐유닛(340)은 공기펌프(310)와는 공기가 흐르는 제1 파이프(341)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노즐유닛(340)은 모터유닛(320)과 제1 파이프(341)로 연결되어 있는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파이프(341)는 모터유닛(320)을 관통하며 공기펌프(3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유닛(340)은 용기(400)와는 전해수가 흐르는 제2 파이프(343)로 연결될 수 있다. This nozzle uni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pump 310 through a first pipe 341 through which air flows. Referring to FIG. 7, the nozzle unit 340 is connected to the motor unit 320 and the first pipe 34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ipe 341 penetrates the motor unit 320 and It can be connected to the air pump 310. Additionally, the nozzle uni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ainer 400 through a second pipe 343 through which electrolytic water flow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즐유닛(340)은 사이펀 노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와 전해수 같은 이류체를 동시에 흡입하여 분사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이류체 노즐도 가능하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unit 340 may be a siphon nozzl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other types of double-fluid nozzles that can simultaneously suction and spray air and electrolytic water are also possible.

통풍망(350)은 장치바디(200)의 후면부에 마련된 고정돌기(245)에 끼움 결합되며 배치될 수 있다. 통풍망(350)은 장치바디(200)의 후면부에서 공기펌프(3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펌프(310)가 작동하면 외부 공기가 장치바디(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net 350 may be disposed by fitting into the fixing protrusion 245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The ventilation net 350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air pump 310 at the rear of the device body 200, and when the air pump 310 operates,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vice body 200. there is.

도 5를 참고하면, 통풍망(350)에는 복수개의 통풍홀(3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통풍홀(351)은 통풍망(350)의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로 배치될수록 통풍홀(351)의 크기가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통풍망(35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통풍홀(351a)은 통풍망(350)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통풍홀(351b)에 비해 크기가 클 수 있다. 이는 공기펌프(310)의 중앙부로 공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공기펌프(310)가 작동하면 공기펌프(310)의 중앙부에서 상대적인 저압 또는 음압이 강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통풍망(350)의 중앙부에서 더 많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통풍망(350)에서 통풍홀(351) 이외의 영역은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351 may be formed in the ventilation net 350.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351 may be increased as they are arranged from the edge to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net 350. For example, the ventilation hole 351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network 350 may be larger than the ventilation hole 351b located in the edge of the ventilation network 350. This is to allow relatively more air to flow into the central part of the air pump 310. In fact, when the air pump 310 operates, a relatively low or strong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pump 310, allowing more air to flow in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ntilation net 350. Areas of the ventilation net 350 other than the ventilation holes 351 may function to block foreign substances.

배터리부(500)는 장치바디(200)의 배터리수용부(2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모터유닛(320) 및 센서유닛(3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battery unit 500 may be disposed in the battery accommodation unit 220 of the device body 200 and may supply power to the motor unit 320 and the sensor unit 36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부(500)는 배터리(510), 제1 충전코일(520) 및 제2 충전코일(530)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unit 500 may include a battery 510, a first charging coil 520, and a second charging coil 530.

도 7을 참고하면, 배터리(510)는 장치바디(200)의 하부에 형성된 배터리수용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510)는 리듐이온 배터리와 같은 재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사양에 따라 교체되는 일반전지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battery 510 may be placed in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22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2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510 may b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ion batter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general battery that is replaced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도 3을 참고하면, 배터리수용부(220)의 하부에는 커버(22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222)를 분리하여 배터리(510)를 교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cover 222 may be plac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ttery housing 220, and the battery 510 can be replaced by removing the cover 222.

제1 충전코일(520)은 배터리수용부(2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충전코일(520)은 전선이 원을 그리며 복수회 감긴 플랫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charging coil 520 may be disposed in the battery housing 220,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harging coil 520 may have a flat shape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wound multiple times in a circle.

여기서 배터리(510)에는 터미널단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터미널단자는 제1 충전코일(520)과 전선으로 연결되며, 제1 충전코일(520)에 유도된 자기유도전류를 배터리(510)로 보내 배터리(51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 terminal terminal may be disposed on the battery 510, and the termin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coil 520 with a wire, and the self-induction current induced in the first charging coil 520 is sent to the battery 510. The battery 510 can be charged.

제2 충전코일(530)은 장치바디(200)가 안착되는 스테이션(5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charging coil 530 may be placed inside the station 550 where the device body 200 is seated,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충전코일(520)과 제2 충전코일(530)은 서로 자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전원부에서 제2 충전코일(530)로 전류가 인가되면, 제1 충전코일(520)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며 배터리(510)를 충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harging coil 520 and the second charging coil 530 are magne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ccordingly, when current is a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second charging coil 530, the first charging coil 520 and the second charging coil 530 are magne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self-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harging coil 520 and the battery 510 can be charged.

도 7을 참고하면, 외부 전원부와 스테이션(550)은 케이블(P)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P)의 단부에는 플러그(U)가 장착될 수 있으며, 플러그(U)는 스테이션(550)에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러그는 USB 포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7,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and the station 550 may be connected with a cable (P). A plug (U) may be mounted on the end of the cable (P), and the plug (U) may be detached from the station 55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may be a USB po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스테이션(550)의 상부에는 장치바디(200) 및 용기(400)가 안착되는 안착홈(553)이 형성되어 있고, 스테이션(550)의 측부에는 절개부(551)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551)를 통해 충전단자(540) 및 전원스위치(71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 a seating groove 553 in which the device body 200 and the container 400 are seate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station 550, and a cutout 55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tation 550. can be formed. The charging terminal 540 and the power switch 7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551.

여기서 배터리수용부(220)의 측면에는 충전단자(540)가 배치될 수 있다. 충전단자(540)는 배터리(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충전단자에 케이블(P)을 꼽아 유선으로 배터리(510)를 충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전단자(540)는 USB 포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a charging terminal 54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220. The charging terminal 5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510, and the user may charge the battery 510 by wire by inserting a cable (P) into the charging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terminal 540 may be a USB po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충전단자(540)의 옆에는 전원스위치(71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스위치(710)는 상/하 슬라이딩 방식일 수 있으며, 하방향으로 전원스위치(710)를 미는 경우 배터리 전원이 켜지고(on), 상방향으로 전원스위치(710)를 미는 경우 배터리 전원이 꺼지도록(off) 구성될 수 있다. And a power switch 710 may be placed next to the charging terminal 54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witch 710 may be of an up/down sliding type. When the power switch 710 is pushed downward, the battery power is turned on, and when the power switch 710 is pushed upward, the battery power is turned on. In this case, the battery power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ff.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장치바디(200)의 상부 측면에는 시작스위치(720), 배터리 잔량표시부(730) 및 분사강도표시부(740)가 배치될 수 있다. 시작스위치(720)는 모터유닛(320)을 작동시켜 공기펌프(310)를 구동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전원스위치(710)가 켜진 상태에서 시작스위치(720)를 조작하여 모터유닛(320) 및 공기펌프(310)를 작동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1, a start switch 720, a remaining battery level display unit 730, and a spray intensity display unit 7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vice body 200. The start switch 720 may be a switch that operates the motor unit 320 to drive the air pump 310. The motor unit 320 and the air pump 310 can be operated by operating the start switch 720 while the power switch 710 is turned 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작스위치(720)를 복수회 눌러 전해수의 분사강도를 조작할 수 있다. 분사강도표시부(740)는 위에서 아래로 강,중,약 3단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작스위치(720)를 누른 횟수에 따라 강,중,약이 선택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intensity of electrolytic water can be controlled by pressing the start switch 720 multiple times. The spray intensity display unit 740 can be displayed in three levels from top to bottom: strong, medium, and light, and strong, medium, and light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resses the start switch 720.

배터리 잔량표시부(730)는 위에서 아래로 4단계로 표시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배터리(510)가 100% 기준으로 하여 25%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display unit 730 may be displayed in four levels from top to bottom, and may be displayed in 25% units with the battery 510 approximately at 100%.

여기서 배터리 잔량표시부(730) 및 분사강도표시부(74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LED와 같은 램프가 배치될 수 있다.Here, a lamp such as an LED may be placed inside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730 and the spray intensity display unit 74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m.

한편, 센서유닛(360)은 장치바디(200)의 전면부에 마련된 고정피스(241)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유닛(360)은 전면판(365), 제1 센서탈착부(361) 및 제2 센서탈착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360 may be positioned and fixed by a fixing piece 241 provided on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200. This sensor unit 360 may include a front plate 365, a first sensor detachable part 361, and a second sensor detachable part 363.

도 1을 참고하면, 전면판(365)의 분사홀(347)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판(365)에는 제1 센서탈착부(361)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탈착부(361)에 탈착되는 제1 센서(362)는 광센서 또는 자외선센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t may be disposed around the outside of the spray hole 347 of the front plate 365, and the first sensor detachable portion 361 may b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front plate 365. Here, the first sensor 362 detached from the first sensor detachment unit 361 may be an optical sensor or an ultraviolet sensor.

제1 센서(362)가 광센서인 경우, 이는 분사홀(347)을 통해 분사되는 전해수를 식별하기 위함이다. 전해수는 무색, 미스트 형태이므로, 사용자의 눈이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광센서를 제1 센서탈착부(361)에 장착하여 전해수가 분사될 때 식별될 수 있도록 하여 전해수가 살균, 소독 대상물로 정확하게 분사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If the first sensor 362 is an optical sensor, this is to identify electrolytic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347. Since electrolyzed water is colorless and in the form of a mist, the user's eyes may not be able to identify it. Therefore, an optical sensor is mounted on the first sensor detachable part 361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when the electrolytic water is sprayed, so that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electrolytic water is accurately sprayed onto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bject.

제1 센서(362)가 자외선센서인 경우, 이는 분사홀(347)을 통해 분사되는 전해수의 살균, 소독와 함께 추가로 살균, 소독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살균, 소독 대상물은 보다 더 확실하게 살균, 소독될 수 있다. 한편, 자외선 살균의 경우, 살균, 소독시간이 몇분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제1 센서(362)를 자외선센서로 선택하는 경우는 비교적 시간이 요구되는 살균, 소독의 경우일 것이다. When the first sensor 362 is an ultraviolet sensor, this is for additional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long with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347. Through this, objects to be sterilized and disinfected can be sterilized and disinfected more reliably. Meanwhile, in the case of ultraviolet sterilization,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ime takes several minutes or more, so the case of selecting the first sensor 362 as an ultraviolet sensor may be in the case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hich require a relatively long time.

도 7을 참고하면, 제2 센서탈착부(363)는 센서유닛(360)과 전선(363a)으로 연결되고 장치바디(200)의 내부에서 용기탈착부(23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탈착부(363)에 탈착되는 제2 센서(364)는 광센서 또는 자외선센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sensor detachable part 363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60 and an electric wire 363a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ainer detachable part 230 inside the device body 200. The second sensor 364 detached from the second sensor detachable unit 363 may be an optical sensor or an ultraviolet sensor.

제2 센서(364)가 광센서인 경우, 이는 용기(400)에 담긴 물의 잔량을 식별하기 위함이다. 특히 어두운 장소에서는 용기(400)에 담긴 물의 잔량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우므로, 이 경우 광센서를 통해 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f the second sensor 364 is an optical sensor, this is to identify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400. Especially in dark places, it is difficult to visually identify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in the container 400, so in this case,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can be confirmed through an optical sensor.

또한 제1 센서(362)가 자외선센서인 경우, 이는 용기(400)에 담긴 물을 살균, 소독하기 위함이다. 용기(400)에 담긴 물 자체도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자외선센서로 물에 자외선을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first sensor 362 is an ultraviolet sensor, it is used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400. Since the water itself contained in the container 400 may be contaminated with bacteria or viruses, bacteria or viruses can be removed by continuousl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water using an ultraviolet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유닛(360)을 이용하여 전해수를 이용한 살균, 소독뿐만 아니라, 광센서를 통해 전해수의 분사방향, 용기(400)에 담긴 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자외선센서를 통해 추가적인 살균, 소독 효과 및 용기(400)에 담긴 물을 지속적으로 살균, 소독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360 can be used to not only sterilize and disinfect using electrolyzed water, but also easily identify the spray direction of electrolyzed water and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400 through an optical sensor, and an ultraviolet sensor. Through this, additional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effects can be achieved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400 can be continuously sterilized and disinfected.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전기분해장치(600)는 제1 코일(610), 제2 코일(620), 제1 전극(651), 제2 전극(653), 촉매(630) 및 코팅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electrolysis device 600 includes a first coil 610, a second coil 620, a first electrode 651, a second electrode 653, a catalyst 630, and a coating unit. It may include (640).

제1 코일(610)은 스테이션(55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부과 연결된 케이블(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610)은 전선이 원을 그리며 복수회 감긴 플랫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coil 610 may be placed in the station 5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able P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receive curren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Here, the first coil 610 may have a flat shape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wound multiple times in a circle.

제2 코일(620)은 용기(40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코일(620)은 전선이 원을 그리며 복수회 감긴 플랫 형태일 수 있다. The second coil 62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400. Here, the second coil 620 may have a flat shape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wound multiple times in a circle.

제1 코일(610)과 제2 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제1 코일(610)에 전류가 흐를 때 제2 코일(620)에 자기유도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적어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coil 610 and the second coil 620 are at least partially or within a range that allows a self-induced current to flow in the second coil 620 when a current flows in the first coil 610. It can be consistent overall.

제1 전극(651)은 제2 코일(62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653)은 제2 코일(620)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65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il 620. And the second electrode 65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620.

촉매(630)는 제1 전극(651) 및/또는 제2 전극(653)에 배치되고, 물의 전기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촉매(630)는 백금(Pt), 구리(Cu)-니켈(Ni)-크롬(Cr) 합금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atalyst 630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651 and/or the second electrode 653 and may promote electrolysis of wa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alyst 630 may be platinum (Pt), copper (Cu)-nickel (Ni)-chromium (Cr) alloy,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코팅부(640)는 제2 코일(620)을 방수하기 위해 용기(400)의 내부에서 제2 코일(620)을 밀폐하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코팅부(640)는 실리콘 재질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ating portion 640 may be disposed to seal the second coil 620 inside the container 400 in order to waterproof the second coil 620.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portion 640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술한 구조를 이용한 작동방식을 살펴보면, 외부 전원부에서 케이블(P)을 통해 제1 코일(610)로 전류가 인가되면, 제1 코일(610)과 제2 코일(620)간의 자기적인 연계에 의해 제2 코일(620)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current is a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first coil 610 through the cable (P), magnetic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il 610 and the second coil 620 A self-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620.

제2 코일(620)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면, 제1 전극(651)과 제2 전극(653)간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제1 전극(651) 또는 제2 전극(653) 중 어느 하나는 음극, 다른 하나는 양극이 된다. 이에 따라 제1 전극(651) 및 제2 전극(653)은 물 분자의 이온화 분해 작용을 한다.When a self-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620, a current flow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651 and the second electrode 653. At this time, either the first electrode 651 or the second electrode 653 is One becomes the cathode and the other becomes the anode.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651 and the second electrode 653 perform the ionization decomposition function of water molecules.

그리고 용기(400)에서는 전해수가 발생하며, 전해수는 여과기(345)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제2 파이프(343)를 통해 노즐유닛(34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노즐유닛(340)의 분사홀(347)을 통해 대상물에 분사되며 살균, 소독 작용을 하게 된다.Then, electrolyzed water is generated in the container 400, and the electrolyzed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345 and then supplied to the nozzle unit 340 through the second pipe 343. Then, it is sprayed onto the object through the spray hole 347 of the nozzle unit 340, thereby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th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600)는 종래 유선을 사용한 복잡한 구조와 달리 무선 구조를 통한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분해를 하므로, 사용성 및 휴대성이 개선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된다.The electrolysis devic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using a magnetic induction current through a wireless structure, unlike the conventional complex structure using a wire, and performs electrolysis by applying current,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portability. Maintenance/repair becomes easy.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분사기(100)의 손잡이부(210)를 잡고 대상물(E)에 전해수를 분사하고 있다. 여기서 전해수가 분사되는 분사영역(M)과 제1 센서(362)가 기능을 하는 기능영역(L)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8,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210 of the sprayer 100 with his hand and spraying electrolytic water onto the object E. Here, a spraying area (M) where electrolytic water is sprayed and a functional area (L) where the first sensor 362 functions are shown.

전해수가 분사되는 분사영역(M)은 대상물을 살균, 소독하는 영역이다. The spray area (M) where electrolytic water is sprayed is an area where objects are sterilized and disinfected.

그리고 제1 센서(362)가 기능하는 기능영역(L)은 광센서인 경우, 빛을 비춰 전해수가 분사되는 것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대상물에서 살균, 소독하고자 하는 부분에 전해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functional area (L) where the first sensor 362 functions is an optical sensor, the user can identify that the electrolytic water is sprayed by shining light, so that the electrolytic water is sprayed on the part of the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Allow it to spray.

또는 자외선센서인 경우, 대상물에 전해수와 함께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소독 효과를 높일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n ultraviolet sensor,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effect can be increas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long with electrolyzed water to the object.

상술한 구조 및 작동방식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기(100)는 스테이션(550)에 장착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으며, 배터리(51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the inj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ectrolyze water using self-induced current by a simple operation of mounting it on the station 550, and the battery 510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그리고 분사기(100)를 사용할 때는 스테이션(550)에서 분리하고 곧바로 사용하여 살균, 소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성과 휴대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된다.And when using the sprayer 100,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station 550 and used immediately to perform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ork. In other words, usability and portability are improved and maintenance/repair becomes convenient.

이상의 사항은 전기분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기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 merely shows specific examples of the electrolysis device and the injector including the same.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refore, we wish to make it clea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do.

100:분사기
200:장치바디 210:손잡이부
220:배터리수용부 230:용기탈착부
310:공기펌프 320:모터유닛
330:실링 340:노즐유닛
341:제1 파이프 343:제2 파이프
345:여과기 347:분사홀
350:통풍망 351a,351b:통풍홀
360:센서유닛 361:제1 센서탈착부
362:제1 센서 363:제2 센서탈착부
364:제2 센서 365:전면판
400:용기 500:배터리부
510:배터리 520:제1 충전코일
530:제2 충전코일 540:충전단자
550:스테이션
600:전기분해장치
610:제1 코일 620:제2 코일
630:촉매 640:코팅부
651:제1 전극 653:제2 전극
W:물
100: sprayer
200: Device body 210: Handle portion
220: Battery receiving part 230: Container detachment part
310: air pump 320: motor unit
330: Sealing 340: Nozzle unit
341: 1st pipe 343: 2nd pipe
345: Filter 347: Spray hole
350: Ventilation net 351a, 351b: Ventilation hole
360: Sensor unit 361: First sensor detachment unit
362: First sensor 363: Second sensor detachable part
364: Second sensor 365: Front plate
400: Container 500: Battery unit
510: Battery 520: First charging coil
530: Second charging coil 540: Charging terminal
550:Station
600: Electrolysis device
610: first coil 620: second coil
630: Catalyst 640: Coating part
651: first electrode 653: second electrode
W:water

Claims (16)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1 코일; 및
물이 담긴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자기적으로 연계되는 제2 코일;
상기 제2 코일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코일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제1 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2 코일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
A first coi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a second coil disposed inside a container containing water and 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il; and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An electrolysis device that electrolyzes water by generating a self-induced current in the second coil when current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에 배치되고, 물의 전기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를 더 포함하는 전기분해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oly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atalyst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and promoting electrolysis of wa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을 방수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상기 제2 코일을 밀폐하며 배치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분해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n electroly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ating portion disposed to seal the second coil inside the container in order to waterproof the second coil.
장치바디;
상기 장치바디에 탈착되고 물이 담기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자기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
를 포함하는 분사기.
device body;
A container detached from the device body and containing water; and
An electrolysis device that electrolyz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using magnetic induction current;
Injector contain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펌프;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유닛;
상가 장치바디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펌프와는 공기가 흐르는 제1 파이프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와는 전해수가 흐르는 제2 파이프로 연결되는 노즐유닛;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를 더 포함하는 분사기.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ir pump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a motor unit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connected to the air pump, and driving the air pump;
a nozzle unit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commercial apparatus body, connected to the air pump through a first pip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through a second pipe through which electrolytic water flows; and
a battery unit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unit;
A spray gun further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배터리수용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1 충전코일; 및
외부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가 안착되는 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충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코일과 상기 제2 충전코일은 자기적으로 연계되며, 외부 전원부에서 상기 제2 충전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 충전코일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battery unit,
a battery disposed in a battery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a first charging coil disposed in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 second charging coi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disposed inside the station where the device body is mounted,
The first charging coil and the second charging coil are magnetically connected, and when current is a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second charging coil, a self-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first charging coil to charge the batter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유닛의 외부면과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면 사이에 밀착되며 배치되는 실링;을 더 포함하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5,
An injector further comprising a seal dispos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otor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evic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의 후면부에서 상기 공기펌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물질을 차단하는 통풍망;을 더 포함하고,
통풍망은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통풍홀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통풍홀은 통풍망의 가장자리부에서 중앙부로 배치될수록 통풍홀의 크기가 커지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5,
It further includes a ventilation net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pump at the rear of the device body and blocking foreign substances,
The ventilation n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air passes,
A sprayer whose size increases as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arranged from the edge to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net.
제5항에 있어서,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5,
A filter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and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pip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노즐유닛에 형성된 분사홀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제1 센서탈착부;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용기탈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센서탈착부;
를 포함하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5,
It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The sensor unit is,
A first sensor detachable portion dispos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ray hole formed in the nozzle unit; and
a second sensor detachabl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ainer detachable portion formed inside the device body;
Injector contain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탈착부에 탈착되는 제1 센서는 상기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전해수를 식별하기 위해 광센서 또는 대상물을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센서인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sensor detached from the first sensor detachable unit is an optical sensor to identify electrolytic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or an ultraviolet sensor to sterilize an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탈착부에 탈착되는 제2 센서는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의 잔량을 식별하기 위해 광센서 또는 상기 용기에 담긴 물을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센서인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10,
The second sensor detached from the second sensor detachable unit is an optical sensor to identify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in the container or an ultraviolet sensor to sterilize the water in the contain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외부 전원부에 연결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자기적으로 연계되는 제2 코일;
상기 제2 코일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코일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외부 전원부에서 상기 제1 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2 코일에 자기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물을 전기분해하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electrolysis device is,
A first coi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a second coil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and 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il; and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A sprayer that electrolyzes water by generating a self-induced current in the second coil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고, 물의 전기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를 더 포함하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13,
The electrolysis device is,
A catalys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and promoting electrolysis of wat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장치는,
상기 제2 코일을 방수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상기 제2 코일을 밀폐하며 배치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13,
The electrolysis device is,
In order to waterproof the second coil, the sprayer further includes a coat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to seal the second coi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스테이션에 배치되는 분사기.


According to clause 13,
The first coil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second coil is an injector disposed at the station.


KR1020220052599A 2022-04-28 2022-04-28 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 KR202301529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99A KR20230152981A (en) 2022-04-28 2022-04-28 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99A KR20230152981A (en) 2022-04-28 2022-04-28 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981A true KR20230152981A (en) 2023-11-06

Family

ID=8874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599A KR20230152981A (en) 2022-04-28 2022-04-28 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9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8270B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rilized water, and portable aparatus for manufacturing sterilize salt solution
KR101793271B1 (en) Portable sterilize water spray gun using air peressure
JP2008539063A (en) Sterilized water production device, sterilized water spray device, and salt capsules used therefor
KR200451601Y1 (en) Portable water sterilizer utilizing cold plasma
US11759652B2 (en) Portable apparatus for decontamination of a breast
CN111466840A (en) Ground disinfection robot
KR20150103914A (en) A portable apparatus for creating sterilized water having lighting
KR100745633B1 (en) Humidifier including elctrolytic sterilizer
US20040241054A1 (en) Cylindrical optoelectronic air cleaner
KR100827384B1 (en) Electrolytic sterilizer
KR20230152981A (en) Wireless electrolysis device for water and sprayer having the same
CN206630920U (en) UV LED jewellery sterilizing boxes
CN210277774U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with disinfection function and accommodating box
KR20160012732A (en) Complex care apparatus capable of peeling dead skin cell with sterilization water
CN109805757A (en) Water dispenser with water tank sterilizing function
CN213158109U (en) Enhanced sterilizing lamp
CN212880326U (en) Total reflection type ultraviolet air disinfection tank
CN111840595A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with disinfection function and accommodating box
CN112472838A (en) Split type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device
CN220250244U (en) Novel disinfection sprayer
CN209712564U (en) Water dispenser with water tank sterilizing function
CN209137453U (en) A kind of Portable disinfecting device with ozone
CN211986373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sterilization lid
CN213372669U (en) Electric toothbrush suit with disinfection function
CN210277775U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with disinfection function and accommodating 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