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377A -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377A
KR20230152377A KR1020220052044A KR20220052044A KR20230152377A KR 20230152377 A KR20230152377 A KR 20230152377A KR 1020220052044 A KR1020220052044 A KR 1020220052044A KR 20220052044 A KR20220052044 A KR 20220052044A KR 20230152377 A KR20230152377 A KR 2023015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ssion
session negotiation
hub
hu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희선
윤찬현
김성환
김지환
양은주
이정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5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377A/ko
Priority to US18/308,158 priority patent/US11888934B2/en
Publication of KR2023015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3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6Notations for structuring of protocol data, e.g. abstract syntax notation one [ASN.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션 연동 환경을 검증하고,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하고,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기초로 세션 모듈을 생성하고, 세션 협상 체결을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DATA REAL-TIME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BETWEEN MULTI-DATAHUBS IN OPEN DATA ENVIRONMENTS}
본 개시는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이다.
최근 들어, 컴퓨팅 및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 데이터 종류의 다양화 및 데이터 활용 주기가 빨라지는 빅 데이터가 등장하였고, 기존의 통계기법과 새로운 AI 기술 등을 활용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가치창출을 하는 데이터 중심의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가 새로운 형태의 자산으로 주목받으면서 데이터 유통에 기반한 새로운 생태계인 데이터 경제라는 개념이 등장하였고, 공공기관 또는 민간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대용량의 공공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등록 및 관리하고, 타 기관과의 데이터 연계 활용을 위한 데이터 공유 및 활용 솔루션으로 오픈 데이터 플랫폼이 확산,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오픈 데이터 플랫폼은 오픈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는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공유와 활용의 편리성을 위해 데이터 등록, 발행,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등록 기능은 데이터를 소유한 데이터 허브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데이터 업로드, 저장 기능과 등록할 데이터의 파일 형식 정의 등의 기능을 지원하며, 데이터 발행 기능은 등록된 데이터에 대해 오픈 데이터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에 맞게 데이터를 공개하고, 데이터 공개에 따른 보안, 표준 등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데이터 검색 기능은 데이터 허브 사용자 및 관리자의 데이터의 원활할 사용을 위해 다중 데이터 허브에서 발행한 데이터 출처, 분류, 내용 등이 포함된 데이터 카탈로그를 기반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후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였을 경우, 데이터 하베스팅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발행한 데이터 허브의 데이터를 로컬에 복제해서 활용한다.
다만, 오픈 데이터 플랫폼 기술의 확산에 따라 여러 국가, 기관에서 개개의 목적, 환경에 맞게 오픈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함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발행하여 오픈 데이터 플랫폼 간 메타데이터 공유가 원활하지 못한 점,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가 달라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점과 같이 연동 환경이 서로 다른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연동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편, 세션이란 인터넷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일정 시간동안 같은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청을 하나의 상태로 인식 및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로, 반영구적이고 상호 작용 정보 교환을 전제하는 둘 이상의 통신 장치나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대화나 송수신 연결상태를 의미한다. 세션은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연동 및 관리되며,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 상에서 세션 기술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 및 활동 정보를 사용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아닌 웹 서버에 저장하고 세션 키 값 만을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남겨두어, 세션 키 값 인증을 통한 반영구적이고 상호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세션의 기반 기술로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세션을 연동하는 초기 과정에서 데이터 및 전송 규격 등의 연동 환경을 협상하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SDP),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등이 있다. 세션 기술 프로토콜과 세션 개시 프로토콜은 주로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전송을 위한 세션 연동에 있어서의 연동 가능한 지를 판단하기 위한 상호 간 지원하는 미디어 타입, 규격 등을 협상하는 세션 협상 프로토콜이다. 이들 프로토콜은 인터넷 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지능형 단말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및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응용 수준의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발신자는 수신자와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된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미디어 폼의 콘텐츠 그 자체를 위해서 제공된 것은 아니지만, 설정된 세션의 실제적인 내용은 메시지 내에 일반적으로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형식을 포함하여 기술하여, 미디어 타입과 포맷에 대해 협상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의 경우, 여러 국가, 기관에서 개개의 목적, 환경에 맞게 데이터 허브를 운용함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발행하여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공유가 원활하지 못한 점,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가 서로 달라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점과 같이 연동 환경이 서로 다른 데이터 허브가 많아지면서, 어떤 데이터 허브와 세션 연동을 통한 동기화가 가능한지 불분명한 문제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데이터를 발행하는 데이터 허브와 데이터를 구독하는 데이터 허브 간 동기화 세션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는 데이터 허브에서 데이터 변경이 일어나면, 상호간 협상한 동기화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구독하고 있는 데이터 허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능동적 동기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세션 연동에 있어서, 데이터 허브 상호간 발행 및 사용자의 관심 데이터 도메인 정보를 상호 교환하고,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와 같은 연동 환경 정보를 협상하는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프로토콜과 그 메시지 규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세션 연동 환경을 검증하는 단계;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기초로 세션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세션 협상 체결을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세션 협상 거부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상기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도메인 리스트 정보,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 동기화 주기 및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의 연동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 세션 협상 후보 내 데이터 허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세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하면, 세션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 세션 서버를 구동하는 단계; 및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제 2 데이터 허브의 세션 모듈의 엔드 포인트를 이용하여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데이터 변경이 감지되면, 변경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동기화 주기마다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세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최근에 전송한 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만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은,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는 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부분은 인증키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분은 세션 메시지 규격, 데이터 메시지 규격, 동기화 메시지 규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제 1 데이터 허브와 제 2 데이터 허브 간의 세션 연동 환경을 검증하는 세션 협상 환경 검증기;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하는 세션 협상 후보 관리기;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기초로 세션 모듈을 생성하고, 세션 협상 체결을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세션 협상 거부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도메인 리스트 정보,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 동기화 주기 및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의 연동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 세션 협상 후보 내 데이터 허브를 선택하고,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데이터 허브로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세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상기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하면, 세션 모듈을 생성하고,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로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동기화 세션 서버를 구동하고,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제 2 데이터 허브의 세션 모듈의 엔드 포인트를 이용하여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데이터 변경이 감지되면, 변경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동기화 주기마다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세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최근에 전송한 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만 추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제 1 데이터 허브와 제 2 데이터 허브 간의 세션 연동 환경을 검증하고,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하고,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기초로 세션 모듈을 생성하고, 세션 협상 체결을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통신 트래픽이 낮아지고, 세션을 통해 가장 최근에 전송한 변경 내용을 기록함으로써, 그 이후 추가 변경된 데이터만을 전송하여 통신 처리량 감소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화 세션 협상 프로토콜과 그 메시지 규격을 이용하여, 데이터 허브 상호간 발행 및 사용자의 관심 데이터 도메인 정보를 상호 교환하고,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와 같은 연동 환경 정보를 협상하면, 어떤 데이터 허브가 원하는 데이터를 발행하며, 연동 환경이 같은지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를 위한 세션 연동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기반의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에서 상호간 세션 협상 체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에서 상호간 세션 협상 거부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에서 세션 협상 체결 이후, 관리 과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협상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 규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부에서의 세션 협상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에서의 세션 협상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도시한 일 도면이 다른 도면과 양자 택일의 실시예에 해당하지 않는 한 각 도면에 대한 설명은 서로 다른 도면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를 위한 세션 연동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데이터 허브는 다른 데이터 허브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세션 연동을 위해, 발행하고 있는 도메인 리스트 정보와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 동기화 주기(시간, 변경 횟수),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등의 연동 환경 정보를 통해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호간 세션 협상 로직을 거치면서,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세션을 연동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데이터 허브 1(11)의 세션 연동 상황을 설명하자면, 현재 데이터 허브 2(12), 데이터 허브 3(13)과 세션 연동되어 있으며, 데이터 허브 2(12)와는 의료 도메인에 대해 DCATv2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에 따라 데이터 카탈로그를 생성하고, 동기화 주기는 6~8 시간마다 또는 6~7번의 변경 횟수마다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전송 인터페이스로는 REST를 이용한다.
데이터 허브 3(13)과도 같은 로직에 의해 세션이 연동되어 있으며, 이외의 데이터 허브와는 발행하는 도메인 리스트 및 사용자 관심 도메인이 일치하지 않거나, 연동 환경이 맞지 않아 세션 연동이 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기반의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1000)은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100),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200)을 포함한다.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100)은 발행하고 있는 도메인 리스트 정보와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 동기화 주기(시간, 변경 횟수),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등의 연동 환경 정보를 통해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호간 세션 협상을 수행한다.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200)은 세션 연동 이후, 데이터 변경을 감지하고 협상한 동기화 주기마다 상대 세션으로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반영한다.
먼저,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100)은 도 3, 도 4와 같이 데이터 허브 상호간 세션 협상을 수행하는 과정을 거쳐, 세션 연동을 체결 및 거부할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100)은 다른 데이터 허브에게 세션 협상 요청을 송신하는 클라이언트 역할의 세션 협상 송신부(120)와 다른 데이터허브에서 송신하는 세션 협상 요청을 수신 및 처리하는 서버 역할의 세션 협상 수신부(140)를 개별 프로세스로 구동한다.
세션 협상 송신부(120)는 프로세스가 구동하면 도 8과 같이 제약된 최대 세션 개수와 현재 연동된 세션 개수를 비교하여, 추가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세션 협상 후보 리스트 내 데이터 허브로 세션 협상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에 따라 동작한다.
세션 협상 송신부(120)는 세션 협상 환경 검증기(122), 세션 협상 후보 관리기(124),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126)를 포함한다.
세션 협상 환경 검증기(122)에서는 최대 세션 개수와 현재 연동된 세션 개수를 비교하여, 추가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100)을 수행한다.
세션 협상 후보 관리기(124)에서는 분산 데이터 허브들을 탐색하여, 세션 협상 후보 데이터 허브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S110)을 수행한다.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126)에서는 세션 협상 후보 데이터 허브로 도 7의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세션 협상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도 8과 같은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120), 세션 협상 후보 데이터 허브의 세션 협상 수신부(140)로 세션 협상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30), 세션 협상 결과(체결, 거부)를 수신하는 단계(S140, S170), 세션 협상 체결이 된 경우,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200)을 생성하는 단계(S150), 생성된 세션 모듈의 정보(엔드 포인트)를 상대 데이터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세션 협상 수신부(140) 프로세스가 구동하면, 도 9과 같이 수신한 세션 협상 요청 건을 처리하기 위해, 먼저 제약된 최대 세션 개수와 현재 연동된 세션 개수를 비교하여, 추가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이후, 데이터 허브 간 발행 데이터 도메인 정보 및 연동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협상하고, 그 결과를 송신하는 과정에 따라 동작한다.
세션 협상 수신부(140)는 세션 협상 요청 수신기(142), 세션 협상 환경 검증기(146), 세션 협상 처리기(144)를 포함한다.
세션 협상 수신기(142)에서는 세션 협상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서버를 구동하는 단계(S200), 세션 협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10), 세션 협상 결과(체결, 거부)를 송신하는 단계(S250, S270), 세션 협상 체결에 따른 상대 데이터 허브의 세션 모듈의 정보(엔드 포인트)를 수신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다.
세션 협상 환경 검증기(146)에서는 수신한 세션 협상 요청 건을 처리하기 위해, 최대 세션 개수와 현재 연동된 세션 개수를 비교하여, 추가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을 수행한다.
세션 협상 처리기(144)에서는 데이터허브 간 발행 데이터 도메인 정보 및 연동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협상하는 단계(S230)을 수행한다.
데이터 허브 간 세션 연동을 위한 세션 협상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126)와 세션 협상 요청 수신기(142)에서 수행하며, 도 6의 세션 협상 프로토콜과 도 7의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200)은 도 5와 같이 동기화 세션 서버 구동 및 교환한 엔드 포인트를 이용한 세션 모듈 간 연동을 수행하며, 상대 세션 키 값과 세션 협상 정보를 관리하고, 추후 데이터 변경을 감지하고 협상한 동기화 주기마다 상대 세션으로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반영한다.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200)은 이를 위해, 세션 연동부(220), 데이터허브가 발행한 데이터를 상대 세션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발행 세션부(240), 상대 데이터허브가 발행한 데이터를 구독 및 상대 세션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로컬 데이터로 복제 및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구독 세션부(260)을 구동한다.
세션 연동부(220)에서는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이 구동하면 가장 먼저 동기화 세션 서버들 구동하는 단계(S300)를 수행하며, 이후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100)에서 데이터 허브 간 세션 협상 체결이 된 경우, 교환한 상대 데이터 허브의 세션 모듈의 엔드 포인트를 이용하여, 세션 연동을 수행 및 상대 세션 키 값과 세션 협상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S310)를 수행한다.
데이터 발행 세션부(240)는 데이터 변경 감지기(242), 데이터 동기화 전송기(244)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경 감지기(242)는 데이터 허브에서 발행하는 데이터의 변경될 경우, 이를 상대 데이터 허브로 동기화한다.
데이터 변경 감지기(242)는 데이터 허브가 발행한 데이터의 변경이 일어날 경우, 이를 감지하는 단계(S320)와 세션 정보를 활용하여 최근에 전송한 데이터에서 변경된 점만 추출하는 단계(S330)를 수행한다.
데이터 동기화 전송기(244)는 동기화 주기마다 상대 세션 모듈의 데이터 동기화 수신기로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340)를 수행한다.
데이터 구독 세션부(260)는 데이터 동기화 수신기(262), 데이터 동기화 처리기(264)를 포함한다.
동기화 수신기(262)는 연동되어 있는 상대 데이터 허브의 세션 모듈로부터 변경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50)를 포함한다.
데이터 동기화 처리기(264)는 로컬 데이터로 복제 및 데이터의 변경점에 대한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360)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에서 상호간 세션 협상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호간 발행하는 도메인 리스트 및 사용자 관심 도메인이 일치하고, 연동 환경 맞아 세션 협상을 체결하고 세션 모듈 간 세션 연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 데이터 허브(100)와 제 2 데이터 허브(200)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 1 데이터 허브(100), 제 2 데이터 허브(200)는 세션 협상 모듈을 포함한다.
세션 연동 환경을 검증한다(S100).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한다(S110).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한다(S120).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제 2 데이터 허브(200)로 송신한다(S130).
세션 협상 수신 서버를 구동한다(S200).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100)로부터 수신한다(S210).
동기화 정책 기반 세션 협상을 처리한다(S220).
세션 모듈을 생성한다(S230).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100)로 송신한다(S240).
세션 협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200)로부터 수신한다(S140).
상기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기초로 세션 모듈을 생성한다(S150).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200)로 송신한다(S160).
제 2 데이터 허브(200)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100)로부터 수신한다(S250).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에서 상호간 세션 협상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간 발행하는 도메인 리스트 및 사용자 관심 도메인이 일치하지 않거나, 연동 환경이 맞지 않아 세션 연동이 되지 않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 데이터 허브(100)와 제 2 데이터 허브(200)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 1 데이터 허브(100), 제 2 데이터 허브(200)는 세션 협상 모듈을 포함한다.
세션 연동 환경을 구성한다(S100).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한다(S110).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한다(S120).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제 2 데이터 허브(200)로 송신한다(S130).
세션 협상 수신 서버를 구동한다(S200).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100)로부터 수신한다(S210).
동기화 정책 기반 세션 협상을 처리한다(S220).
세션 협상 거부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100)로 송신한다(S230).
제 1 데이터 허브(100)는 세션 협상 거부 신호를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한다(S140).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에서 세션 협상 체결 이후, 관리 과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동기화 세션 모듈에서 세션 협상 체결 이후, 상대 세션의 엔드 포인트를 통해 세션 연동 및 상대 세션 키 값과 세션 협상 정보를 관리하고, 추후 데이터 변경을 감지하고 협상한 동기화 주기마다 상대 세션으로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반영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데이터 허브(100)와 제 2 데이터 허브(200)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 1 데이터 허브(100)는 세션 모듈(200), 세션 연동부(220)를 포함한다.
동기화 세션 서버를 구동한다(S300).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한다(S310).
여기서, 제 2 데이터 허브의 세션 모듈의 엔드 포인트를 이용하여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한다.
제 1 데이터 허브(100)와 제 2 데이터 허브(200)는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데이터 허브(100)는 세션 모듈(200), 데이터 발행 세션부(240)를 포함한다.
제 2 데이터 허브(200)는 세션 모듈(200), 데이터 구독 세션부(260)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경이 감지되면(S320), 변경된 데이터를 추출한다(S330).
구체적으로, 세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최근에 전송한 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만 추출한다.
동기화 주기마다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한다(S340)
제 2 데이터 허브(200)는 변경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S350).
데이터 동기화를 처리한다(S360).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협상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신측 세션 협상 송신부(610)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수신측 세션 협상 수신부(620)로 전송한다.
메시지 헤더에는 인증키를 넣어 추후 상호간 세션 협상 과정에서 주고받는 메시지의 발신자와 수신자를 인식하는데 이용한다.
메시지 본문에는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 규격에 따라 세션 정보, 발행 데이터 도메인 정보, 동기화 정보, 엔드 포인트 정보를 주고받는다.
예를 들어, 세션 협상 요청 신호는 헤더와 바디를 포함한다.
헤더는 인증키를 포함한다.
바디는 세션 메시지 규격, 데이터 메시지 규격, 동기화 메시지 규격을 포함한다.
세션 협상 체결 신호, 세션 협상 거부 신호, 세션 협상 체결 신호 및 에크 신호의 상세한 내용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 규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규격은 세션 메시지 규격(710), 데이터 메시지 규격(720), 동기화 메시지 규격(730), 엔드 포인트 메시지 규격(740)을 포함한다.
세션 메시지 규격(710), 데이터 메시지 규격(720), 동기화 메시지 규격(730), 엔드 포인트 메시지 규격(740)의 상세한 내용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부에서의 세션 협상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의 세션 협상 송신부에서 제약된 최대 세션 개수와 현재 연동된 세션 개수를 비교하여, 추가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세션 협상 후보 리스트 내 데이터 허브로 세션 협상 요청을 송신하는 일련의 로직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S810), 세션 협상 후보 내 데이터 허브를 선택한다(S820).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이상이면(S810), 종료한다.
선택값이 NULL 이면, 종료한다.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데이터 허브로 송신한다(S830).
세션 협상 체결인 경우, 세션 모듈을 생성한다(S840).
세션 협상 거부인 경우, S810 단계에 진입한다.
세션 모듈을 연동한다(S850). 그리고, S810 단계에 진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에서의 세션 협상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데이터 동기화 세션 협상 모듈의 세션 협상 수신부에서 수신한 세션 협상 요청 건에 대해, 제약된 최대 세션 개수와 현재 연동된 세션 개수를 비교하여, 추가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이후 추가 세션 연동이 가능할 경우, 데이터 허브 간 발행 데이터 도메인 정보 및 연동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세션 연동이 가능한지를 협상하는 일련의 로직을 보여준다.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세션 개수를 확인한다(S910).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S920),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한지 확인한다(S930).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이상이면(S930), 세션 협상 거부 신호를 송신한다(S960).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하면(S930), 세션 모듈을 생성한다(S940).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불가능하면(S930), 세션 협상 거부 신호를 송신한다(S960).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로 송신한다(S950).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100)의 일 실시 예는 디바이스(1600)가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600)는 메모리(1602), 프로세서(1603), 송수신부(1604) 및 주변 장치(16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1600)는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의 디바이스(1600)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등과 같은 예시적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메모리(1602)는 비이동식 메모리 또는 이동식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주변 장치(1601)는 디스플레이, GPS 또는 다른 주변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디바이스(1600)는 상기 송수신부(1604)와 같이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603)는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코어,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들, 임의의 다른 유형의 IC(integrated circuit) 및 상태 머신과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디바이스(1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적/소프트웨어적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3)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의 다양한 필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602)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603)는 신호 코딩, 데이터 처리, 전력 제어, 입출력 처리 및 통신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3)는 물리 계층, MAC 계층, 어플리케이션 계층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603)는 액세스 계층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등에서 인증 및 보안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프로세서(1603)는 송수신부(1604)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603)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의 실행을 통해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통신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부(1604)는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망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안테나 기술로서 MIMO 기술, 빔포밍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송수신부(1604)를 통해 송수신한 신호는 변조 및 복조되어 프로세서(1603)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단 혹은 엣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형식이나, 에지 혹은 클라우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형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 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제 1 데이터 허브가 수행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에서,
    세션 연동 환경을 검증하는 단계;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하는 단계;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기초로 세션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세션 협상 체결을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션 협상 거부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도메인 리스트 정보,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 동기화 주기 및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의 연동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 세션 협상 후보 내 데이터 허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세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하면, 세션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동기화 세션 서버를 구동하는 단계; 및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데이터 허브의 세션 모듈의 엔드 포인트를 이용하여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변경이 감지되면, 변경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동기화 주기마다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세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최근에 전송한 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만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는 헤더 부분과 바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부분은 인증키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부분은 세션 메시지 규격, 데이터 메시지 규격, 동기화 메시지 규격을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방법.
  11.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에서,
    제 1 데이터 허브와 제 2 데이터 허브 간의 세션 연동 환경을 검증하는 세션 협상 환경 검증기;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하는 세션 협상 후보 관리기;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기초로 세션 모듈을 생성하고,
    세션 협상 체결을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세션 협상 거부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도메인 리스트 정보, 데이터 카탈로그 문법, 동기화 주기 및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의 연동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 세션 협상 후보 내 데이터 허브를 선택하고,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세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세션 개수가 최대 세션 개수 미만이면,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상기 연동 환경 세션 협상이 가능하면, 세션 모듈을 생성하고,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제 1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동기화 세션 서버를 구동하고,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제 2 데이터 허브의 세션 모듈의 엔드 포인트를 이용하여 세션 연동 및 세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데이터 변경이 감지되면, 변경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동기화 주기마다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송신기는,
    세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최근에 전송한 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만 추출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20.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에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 1 데이터 허브와 제 2 데이터 허브 간의 세션 연동 환경을 검증하고,
    세션 협상 후보를 도출하고,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협상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세션 협상 요청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세션 협상 체결 신호를 기초로 세션 모듈을 생성하고,
    세션 협상 체결을 상기 제 2 데이터 허브로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허브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장치.
KR1020220052044A 2022-04-27 2022-04-27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52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044A KR20230152377A (ko) 2022-04-27 2022-04-27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18/308,158 US11888934B2 (en) 2022-04-27 2023-04-27 Device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in real time between data hub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044A KR20230152377A (ko) 2022-04-27 2022-04-27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377A true KR20230152377A (ko) 2023-11-03

Family

ID=8851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044A KR20230152377A (ko) 2022-04-27 2022-04-27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88934B2 (ko)
KR (1) KR20230152377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9564B2 (en) 2001-04-25 2005-01-04 Nokia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database data
US7747760B2 (en) * 2004-07-29 2010-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ar real-time data center switching for client requests
KR102233473B1 (ko) 2015-01-06 2021-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투피 기반 콘텐츠 송수신 정보 수집 방법
US10027748B2 (en) * 2015-07-10 2018-07-17 Facebook, Inc. Data replication in a tree based server architecture
US10411900B2 (en) 2016-07-12 2019-09-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word protection method for conditional access system
KR20160108286A (ko) 2016-09-07 2016-09-19 이연호 오픈마켓 방식의 주식매매체결정보의 제공 및 동기화 방법
US11290438B2 (en) * 2017-07-07 2022-03-2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naging session access across multiple data centers
KR20210091416A (ko) 2020-01-14 2021-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픈 데이터 플랫폼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210103790A (ko) 2020-02-14 2021-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타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53634A1 (en) 2023-11-02
US11888934B2 (en)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681B1 (ko) 패킷 기반 데이터 통신의 디바이스 식별자 의존적 오퍼레이션 프로세싱
US10182074B2 (en) Techniques for virtual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 interfaces
US20170163478A1 (en) Method,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updating client configuration in key-value pair database
US9401885B2 (en) Data push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data pull model
US9319852B2 (en) Interoperability and communications system dynamic media proxy based on capability negotiation
US10142422B2 (en) Clustering websocket communications with configurable master-slave servers
CN101651721B (zh) 网络地址转换设备类型的判断方法和系统
CN111404695B (zh) 令牌请求验证方法和装置
Bernstein et al. Using XMPP as a transport in Intercloud Protocols
CN110381058B (zh) 基于全双工通信协议WebSocket的请求传输方法及装置
CN110098930B (zh) 一种基于Bell态的两方量子密钥协商方法及系统
US11947640B2 (en) Adaptive, multi-channel, embedde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KR20230152377A (ko) 오픈 데이터 생태계에서의 다중 데이터 허브 간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8924520B2 (en) Method, remote access server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quality of service parameter
WO2021114874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7032110A1 (zh) 一种应用消息的处理系统、方法及应用设备
US8005967B2 (en) Policy negotiation system and method
CN109120578B (zh) 一种实现链路连接处理的方法及装置
US20130024543A1 (en) Methods for generating multiple responses to a single request message and devices thereof
US201301915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oud-based media adaptation and transcoding service
JP2007035053A (ja) 異なる端末器間のセッション保持方法
CN101860544A (zh) 会话启动协议消息的发送系统及方法
US8627505B2 (en) Technique for controlling access by a client entity to a service
US11765240B1 (en) Distributed publication/subscription as a service computing system
CN113612628B (zh) 一种实现自适应跨网段双向通信的方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