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932A - 통합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932A
KR20230151932A KR1020230054396A KR20230054396A KR20230151932A KR 20230151932 A KR20230151932 A KR 20230151932A KR 1020230054396 A KR1020230054396 A KR 1020230054396A KR 20230054396 A KR20230054396 A KR 20230054396A KR 20230151932 A KR20230151932 A KR 20230151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terminal device
stb
integra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진
남우진
정지혁
홍창표
원유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23/00568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11149A1/ko
Publication of KR2023015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 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STB(Set-Top Box)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AP부; 및 상기 STB(Access Point)부와 상기 AP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이더넷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단말 장치{INTEGRATED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통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IPTV 등을 시청하기 위한 셋톱 박스(Set-Top Box)는 가정 내에서 인터넷 회선을 공급받아 유선으로 분기하거나 무선랜 환경을 제공하는 홈 AP(Access Point)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구성에 있어서는, 콘텐츠 공급자, 인터넷 공급자, 그리고 가정 내 TV나 컴퓨터 구성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 콘텐츠나 기기 종류에 따라 셋톱 박스와 홈 AP 단말기를 선택하여 구성하여야 하므로, 경우의 수가 복잡하고 회선이나 케이블이 복잡해는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정보로 하여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인 언어 모델에 의해 분석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물음이나 요구에 사람의 응답에 가까운 음성 답변을 출력하는 인공지능 스피커가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스피커는 생활에 편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음은 명확하나, 사용자가 새로운 기기를 가정 내에 추가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10-1668852 B1 (2016.10.18.)
셋톱 박스와 홈 AP 단말기가 하나로 통합되어 기능함으로써 홈 네트워크를 통해 IPTV 서비스 등이 제공될 수 있는 통합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톱 박스와 홈 AP, 인공지능 스피커가 하나로 통합되어 기능하면서 상호 간 신호 간섭 및 발열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는 통합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 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STB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AP부; 및 상기 STB부와 상기 AP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이더넷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 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STB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AP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3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AI 스피커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AP부 및 STB부가 이더넷 연결부에 의해 통합됨으로써, 홈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IPTV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가정 내 다양한 IT 기기에 STB부의 영상 데이터가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더넷에 의해 발열이 적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AP부, STB부, 그리고 AI 스피커부가 통합됨으로써, 홈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IPTV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 맞춤형 음성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여 모듈의 통합에 따른 발열과 상호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배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저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평면도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이 개재되어 있거나,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저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의 평면도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100)는 케이스(110), 셋톱 박스(Set-Top Box) 모듈(120), AP(Access Point)부(130) 및 이더넷(Ethernet) 연결부(151)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케이스(110)는 일 예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면 부위에는 전원 스위치(111), 마이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11)는 터치 방식에 의해 본 실시예의 통합 단말 장치(100)를 온/오프(on/off)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112)는 케이스(110) 면을 관통하는 홀로서, 내부에 배치된 마이크에서 음성을 용이하게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전면 부위에는 LED 등의 광원이 없거나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는 시각적인 주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STB부(120)과 AP부(1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STB부(120)은 제 1 중앙처리장치(121)를 구비할 수 있다. STB부(120)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기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케이블/위성 방송, IPTV, 인터넷 스트리밍 등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고, 출력 기기는 TV,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음향 기기일 수 있다.
AP부(130)은 제 2 중앙처리장치(131)를 구비할 수 있다. AP부(13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P부(130)은 인터넷 회선을 공급받아 유선으로 분기하거나 무선랜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AP, Access Poin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TB부(120)과 AP부(130)은 이더넷 연결부(15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더넷 연결부(151)는 STB부(120)과 AP부(130)을 케이블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더넷 연결부(151)는 AP부(130)과 STB부(120) 간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P부(130) 및 STB부(120)이 이더넷 연결부(151)에 의해 통합됨으로써, 홈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IPTV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장치와 셋톱 박스를 별개로 마련하여 연결하거나 별도의 추가 장치를 갖추지 않고도, 가정 내 다양한 IT 기기에 셋톱 박스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가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이더넷에 의해 발열이 적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연결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5를 더 참조하여 STB부(120)과 AP부(130)의 전원 연결 및 분배, 방열 구조 및 상호 간 배치, 모듈 및 단자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TB부(120) 또는 AP부(130) 중 어느 하나는 전원 연결부(122)를 더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직류 연결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STB부(120)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케이스(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 연결부(122)가 마련될 수 있고, AP부(130)에 직류 연결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직류 연결부(132)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전원 연결부(122)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STB부(120)의 제 1 중앙처리장치(121)와 AP부(130)의 제 2 중앙처리장치(131)는 하나의 전원 연결부(122)로부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22)는 12 V 직류 전원을 입력 받는 단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AP부(130)에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 연결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STB부(12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직류 연결부(122)를 구비하여 전원 연결부(12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케이스(110)는 다양한 위치에 통기홀(113)을 구비할 수 있다. 통기홀(113)은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경로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3과 같이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10)의 모서리부 부위에 통기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케이스(110)의 배면 공간에 상하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통기홀들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미도시).
나아가, 도 4와 같이 케이스(110)의 저면에 통기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홀(113)은 슬릿 형상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통기홀(113)과 함께 지지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14)는 케이스(110)의 저면에서 복수 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통기홀(113)과 지지부(114)는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합 단말 장치(100)가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 놓였을 때, 지지부(114)들에 의해 바닥면이 지지됨으로써 통기홀(113)들이 바닥면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통기홀(113)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110) 내부의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고, 나아가, 후술하는 스피커(142)의 음성 출력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에서 STB부(120)은 AP부(130)보다 상 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STB부(120)을 구성하는 단자들이 AP부(130)을 구성하는 단자들에 비해 상 측에 배치될 수 있다.
STB부(120)이 AP부(130)에 비해 발열이 큰 경우, STB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자연 대류에 의해 상 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하 측에 배치되는 AP부(1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STB부(120)과 AP부(130)이 서로 이격됨으로써 상호 간 발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시적으로 단자를 연결해 놓는 경우가 많은 AP부(130)을 구성하는 단자들이 STB부(120)을 구성하는 단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 측의 STB부(120)을 구성하는 단자들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단자들의 배치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STB부(120)은 제 1 단자(123), 제 2 단자(124) 및 제 3 단자(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단자(125) 각각은 동일한 종류의 단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단자(123)는 출력 기기와 연결을 위하여 HDMI 케이블 또는 S/PDIF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단자(123)는 HDMI 단자 또는 S/PDIF 단자일 수 있다.
제 2 단자(124)는 USB Type-C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즉, USB 3.0 또는 3.1 프로토콜에 따르는 USB C타입 단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단자(123)와 제 2 단자(124)는 서로 고조파(Harmonic)로 인해 성능 저하 등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제 1 단자(123)와 제 2 단자(124)는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단자(123) 또는 제 2 단자(124)와 상이한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3 단자(125)가 제 1 단자(123)와 제 2 단자(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STB부(120)에 필요한 제 3 단자(125)가 제 1 단자(123) 및 제 2 단자(124)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자들 배치 간격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고조파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단자(125)는 예를 들면 USB A 타입 단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100)의 배면에는, 마이크 온/오프 버튼, 초기화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초기화 버튼은 STB부(120)과 AP부(130)에 대한 초기화를 함께 개시할 수 있어, 단순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면에는 WiFi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LED(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AP부(130)은 WiFi 안테나(1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WiFi 안테나(133)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STB부(120)의 양 측에 상 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STB부(120)은 AP부(130)에 비해 기판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STB부(120)에서의 발열을 회피하면서 신호 송수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100)가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합 단말 장치(100)는 인공지능(AI) 스피커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AI 스피커부(140)은 제 3 중앙처리장치(141)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한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마이크(112)에 의하여 사용자의 음성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AI 스피커부(140)은 음성 입력에 기초한 데이터를 직접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분석할 수 있고, 이때, 인공지능 알고리즘(언어 모델 등)에 의해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3 중앙처리장치(141)와 제 1 중앙처리장치(121)는 서로 통합된 처리장치로 동일한 기판 상에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제 3 중앙처리장치(141)를 구비하는 AI 스피커부(140)과 STB부(120)이 서로 이더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석 및 처리된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위하여, 본 실시예의 AI 스피커부(140)은 스피커(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42)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P부(130) 및 STB부(120), 그리고 AI 스피커부(140)이 통합됨으로써, 홈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IPTV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 맞춤형 음성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홈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피커(142)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다른 모듈에 비해 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STB부(120)은 AP부(130)보다 상 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스피커(142)는 AP부(130)보다 하 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42)는 앞서 설명한 케이스(110) 저면의 통기홀(113)에 의해 원활하게 음성을 출력할 수 있고, STB부(120)의 발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10)의 상 측을 통해서는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고, 케이스(110)의 저면을 통해서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단말 장치(200)는 앞선 실시예들에 비해 더 평면적인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합 단말 장치(200)에서는 한 쌍의 스피커(142)가 케이스(210) 내부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음성 출력의 입체감 또는 공간감을 확보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피커(142) 사이에는 STB부(120)과 AP부(130)이 배치될 수 있다. STB부(120)과 AP부(13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도는 기판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두 모듈은 이더넷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STB부(120)과 AP부(130) 사이에 전원 연결부(122)가 마련되어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AP부(130)은 WiFi 안테나(133)와 함께, Bluetooth 안테나(1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Bluetooth 안테나(134)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 측의 스피커(142)에 인접하도록 WiFi 안테나(133)가 배치되고, 타 측의 스피커(142)에 인접하도록 Bluetooth 안테나(134)가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치에 따르면, WiFi 안테나(133)와 Bluetooth 안테나(134)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WiFi 통신과 Bluetooth 통신 간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나아가, STB부(120)과 네트워크 모듈의 양 측으로 스피커(142)가 배치됨으로써, 모듈의 발열에 의한 영향이 억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통합 단말 장치
110, 210: 케이스
111: 전원 스위치
112: 마이크
113: 통기홀
114: 지지부
120: STB부
121: 제 1 중앙처리장치
122, 132: 전원 연결부
123: 제 1 단자
124: 제 2 단자
125: 제 3 단자
130: AP부
131: 제 2 중앙처리장치
132, 122: 직류 연결부
133: WiFi 안테나
134: Bluetooth 안테나
140: AI 스피커부
141: 제 3 중앙처리장치
142: 스피커
151: 이더넷 연결부

Claims (13)

  1. 통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 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STB(Set-Top Box)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AP(Access Point)부; 및
    상기 STB부와 상기 AP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이더넷 연결부를 포함하는,
    통합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연결부는 상기 AP부와 상기 STB부 상호 간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통합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TB부 또는 상기 AP부 중 어느 하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STB부 또는 상기 AP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연결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직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측면, 배면, 저면 및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형성되는 통기홀을 구비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인,
    통합 단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STB부는 상기 AP부보다 상 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인,
    통합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저면 부위에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통기홀; 및
    상기 통기홀의 폐쇄를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통합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TB부는,
    상기 출력 기기와 연결을 위하여 HDMI 케이블 또는 S/PDIF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단자;
    USB Type-C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단자; 및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단자 또는 상기 제 2 단자와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3 단자를 더 구비하는,
    통합 단말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P부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STB부의 양 측에 상 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WiFi 안테나를 더 구비하는,
    통합 단말 장치.
  9. 통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 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STB(Set-Top Box)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AP(Access Point)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3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AI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통합 단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 1 중앙처리장치와 동일한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인,
    통합 단말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I 스피커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STB부는 상기 AP부보다 상 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AP부보다 하 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인,
    통합 단말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I 스피커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STB부와 상기 AP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판 상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STB부와 상기 AP부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인,
    통합 단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P부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일 측의 상기 스피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WiFi 안테나; 및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타 측의 상기 스피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Bluetooth 안테나를 더 구비하는 것인,
    통합 단말 장치.
KR1020230054396A 2022-04-26 2023-04-26 통합 단말 장치 KR20230151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5684 WO2023211149A1 (ko) 2022-04-26 2023-04-26 통합 단말 장치 및 통합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1515 2022-04-26
KR1020220051515 2022-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932A true KR20230151932A (ko) 2023-11-02

Family

ID=8874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396A KR20230151932A (ko) 2022-04-26 2023-04-26 통합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9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852B1 (ko) 2009-01-30 2016-10-24 톰슨 라이센싱 셋톱 박스에서의 조합된 홈 네트워크 통신과 방송 수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852B1 (ko) 2009-01-30 2016-10-24 톰슨 라이센싱 셋톱 박스에서의 조합된 홈 네트워크 통신과 방송 수신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2572B2 (en) Media appliance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616641B2 (en) Media appliance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100226100A1 (en) Modular multimedi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
US9486701B2 (en) Computer-controlled video entertainment system
AU2018204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e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content by way of a display screen and a remote controller
US20070220560A1 (en) Audio/video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EP2340878A2 (en) Sensor device for a computer-controlled video entertainment system
EP2865196B1 (en) A remote controller
Gavrila et al. On the suitability of HbbTV for unified smart home experience
US11239647B2 (en) System for coupling accessories and/or components
EP3014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to a display screen
KR20140075860A (ko) 선박 내의 통합방송시스템
KR20230151932A (ko) 통합 단말 장치
CN109842719B (zh) 用于内部通讯网络的呼叫站
US10536772B2 (en) Audio system
CN204719525U (zh) 支持多网络接入的家庭服务器
AU2020207807B2 (en) Audio system
Gavrilă et al. TV-Centric Health Monitoring Leveraging the HbbTV Architecture in a Smart Home Environment
CN211152130U (zh) 一体式音箱
CN216649870U (zh) 基于音视频和网络的服务设备和系统
CN109818999A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Flores-Guridi et al. Development of a digital TV receivers test suite
Winkel Development of a mobile audiovisual hardware-based system for training purposes
NL2016028B1 (en) Sound unit, such as a loudspeaker box giving an enhanced experience.
KR101245606B1 (ko)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 방송을 지원하는 구내 방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