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368A - Steel fuel tank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eel fuel tank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368A
KR20230151368A KR1020220050980A KR20220050980A KR20230151368A KR 20230151368 A KR20230151368 A KR 20230151368A KR 1020220050980 A KR1020220050980 A KR 1020220050980A KR 20220050980 A KR20220050980 A KR 20220050980A KR 20230151368 A KR20230151368 A KR 20230151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hole
end surface
vehicl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0046B1 (en
Inventor
조도현
고세훈
고형도
오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22005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046B1/en
Publication of KR2023015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032Manufacturing of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486Fuel tan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the tank or parts thereof are essentially made 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상판과 하판이 결합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 있어서, 스틸 재질의 상판의 일 부분이 내부공간을 향해 하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1끝단면이 형성된 상부홈 및 스틸 재질의 하판에서 상부홈에 대응되는 지점이 내부공간을 향해 상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단부에 제1끝단면과 면접되는 제2끝단면이 형성된 하부홈을 포함하고, 제1끝단면과 제2끝단면이 상호 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상부홈과 하부홈이 일체로 내부공간의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가 소개된다.In a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in which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r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fuel is stored,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made of steel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down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and a first end surf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 upper groove and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in the lower plate made of steel are formed by indenting up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and include a lower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with a second end section facing the first end section, and the first end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is introduc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surface and the second end end surface are joined through welding in mutual surface contact, and the upper and lower grooves are integrated and perform the function of a support for the internal space.

Description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STEEL FUEL TANK FOR VEHICLE}Steel fuel tank of vehicle {STEEL FUEL TA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호 면 접촉되어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된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in which an upper groove and a lower groove are formed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erform a support func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가솔린 또는 경유 등을 포함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 등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Typically,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tanks to store fluids, such as a fuel tank that stores fuel including gasoline or diesel fuel supplied to the cylinder of the engine, and a urea solution tank that stores urea water.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는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소정의 용적을 갖는 통 형상이기 때문에, 차량이 급제동하거나 급출발할 때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의 쏠림이 발생한다.Since the tank that stores the fluid is a rectangular shape made of thin steel plates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volume, when the vehicle suddenly brakes or starts suddenly, the fluid stored inside tends to spill.

특히 연료탱크의 경우, 위와 같은 유체의 쏠림에 의해 발생하는 연료의 슬러싱(slushing) 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슬러싱은 차량의 주행 중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비선형 유동현상을 의미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uel tanks, the slushing phenomenon of fuel caused by the above fluid concentration is becoming a problem. This slushing refers to a non-linear flow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vibration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연료탱크 내 슬러싱은 연료량이 50 ~ 70%일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슬러싱에 의해 연료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유체가 흔들리면서 탱크 내벽에 부딪혀서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Slushing in the fuel tank is known to occur most often when the fuel amount is 50 to 70%, and due to slushing, the fluid stored in the fuel tank shakes and hits the inner wall of the tank, generating noise due to impact.

즉, 슬러싱 현상으로 인해 연료탱크의 내벽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연료탱크의 변형, 소음 및 진동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연료탱크 내벽에 대한 연료의 유동 충격을 완화하거나 연료탱크 자체의 추가적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필요한 실정이다.In other words, when shock is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fuel tank due to the slushing phenomenon, deformation of the fuel tank, noise, and vibration occur, so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impact of fuel flow on the inner wall of the fuel tank or secure additional rigidity of the fuel tank itself. Several methods are needed to do this.

또한, 연료탱크는 내부에 저장된 연료가 팽창 또는 수축을 반복함에 따라 연료탱크도 함께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연료탱크의 강성이 약화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the fuel stored inside the fuel tank repeatedly expands or contracts, the fuel tank may also expand or contract, and 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fuel tank may be weakened.

이러한 연료탱크의 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 내부에 지지대 역할을 하는 별도의 강화 파이프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fuel tank rigidity,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a separate reinforcing pipe that serves as a support was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fuel tank.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강화 파이프에 의해 제조원가 및 중량 상승이 과다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강화 파이프의 조립을 위해 상단과 하단에 각각 2회의 용접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the problem of excessiv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due to the additionally installed reinforced pipe. Additionally, in order to assemble the reinforced pipe, two welding processes are required at the top and bottom, which complicates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ment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KR 10-1994268 10-1994268 B1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호 면 접촉되어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홈과 하부홈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의 원가가 절감되고 연료탱크의 중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By forming upper and lower grooves that contact each other and perform a support function, the cost of the steel fuel tank of the vehicle is reduced and the weight of the fuel tank is reduced. , we aim to provide steel fuel tanks for vehicles that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는, 상판과 하판이 결합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 있어서, 스틸 재질의 상판의 일 부분이 내부공간을 향해 하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1끝단면이 형성된 상부홈 및 스틸 재질의 하판에서 상부홈에 대응되는 지점이 내부공간을 향해 상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단부에 제1끝단면과 면접되는 제2끝단면이 형성된 하부홈을 포함하고, 제1끝단면과 제2끝단면이 상호 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상부홈과 하부홈이 일체로 내부공간의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in which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r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fuel is stored, and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made of steel is inside the steel fuel tank. It is formed by indenting downward toward the space, and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on the lower plate made of steel and the upper groove with the first end section formed at the lower end is formed by indenting up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and the first end sec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It includes a lower groove formed with a second end section facing the surface, and the first end section and the second end section are joined through welding in a mutual surface contact state, so that the upper groove and the lower groove are integrated to function as a support for the internal space.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의 상부홈과 하부홈은 스틸 연료탱크의 두께가 사전에 설정된 두께 이하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groove and lower groove of the steel fuel tank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n area where the thickness of the steel fuel tank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icknes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서 상부홈의 제1끝단면과 하부홈의 제2끝단면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d surface of the upper groove and the second end surface of the lower groove may be circula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서 상부홈의 제1끝단면의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홈의 제2끝단면의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nd of the upper groove,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end of the lower groove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 hole may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의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steel fuel tank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circula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서 제1관통홀의 직경은 제2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는,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둘레 및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nish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and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서 제1관통홀의 직경은 제2관통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관통홀의 단부는 제2관통홀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end of the first through hole is bent and extend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서 제1끝단면과 제2끝단면의 접촉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protruding to one side or the other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and the second end surface,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t can b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서 상부홈은 제1끝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경사면의 연장부 끝단에는 제1개방부가 형성되며, 제1개방부의 단면적이 제1끝단면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roove is form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end surface, a first open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pening is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formed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end cross-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서 하부홈은 제2끝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경사면의 연장부 끝단에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며, 제2개방부의 단면적이 제2끝단면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groove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end surface, a second open par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slop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open part is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formed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end cross-section.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상호 면 접촉되어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홈과 하부홈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연료탱크에서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던 별도의 강화 파이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 및 중량이 절감될 수 있다.First, by forming an upper groove and a lower groove tha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erform a support func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reinforced pipe that performs a support function in a conventional fuel tank, so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can be reduced.

둘째, 강화 파이프 조립 공정의 삭제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Second, by eliminating the reinforced pipe assembly process,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셋째, 강화 파이프 상하단마다 각각 수행되던 2회의 용접 공정을 상부홈과 하부홈의 1회 용접 공정으로 축소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Thir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further simplified by reducing the two welding processes performed for each upper and lower section of the reinforced pipe to one welding process for the upper and lower grooves.

넷째, 상부홈과 하부홈의 중앙부에 물 빠짐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여 연료탱크가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Fourth, corrosion of the fuel tank can be minimized by forming a through hole for water drainage in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grooves.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내부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A 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C-C 영역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D 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4에서 E 영역의 확대도.
도 7은 도 6에서 마감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H 영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도 6에서 돌출부가 더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upport structure of a steel fuel tank of a conventional vehicle.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in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rea CC in Figure 3.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rea D in Figure 3.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area E in Figure 4.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at a finishing member is further included in Figure 6.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rea H of Figure 6.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at a protrusion is further included in Figure 6.

이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excep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대한 구성 및 작용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principle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 내부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C-C 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D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E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마감부재(300)가 더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H 영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6에서 돌출부(400)가 더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upport structure of a steel fuel tank 1 of a conventional vehicle,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in Figure 1, and Figure 3 is a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lan view,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C-C in Figure 3,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D in Figure 3,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E in Figure 4, and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E i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nishing member 300 is further included, FIG.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rea H of FIG. 6,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protrusion 400 is further included in FIG. It is a drawing.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차량의 연료탱크(1) 분야에서의 고질적인 문제를 우선 제시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들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ronic problem in the field of a vehicle's fuel tank 1 will first be presented, and key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will be sequentially explained.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연소실의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폭발력을 이용해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엔진은 연소실에서 연소될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차량에는 일정량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1)가 구비된다.In general, a vehicle engine is a device that converts heat energy into mechanical rotational force by rotating the crankshaft using explosive power generated by burning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An engine requires a continuous supply of fuel to be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for continuous supply of fuel,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fuel tank (1) that can store a certain amount of fuel.

이러한 연료탱크(1)는 일반적으로 스틸 재질의 얇은 강판으로 형성된 상판(11)과 하판(12)을 서로 용접 결합하여 외관을 형성하고,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는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된다.This fuel tank (1) is generally formed by welding an upper plate (11) and a lower plate (12) made of thin steel plates to form an exterior, and between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is where fuel is stored. An internal space 13 is formed.

연료탱크(1)의 내부공간(13)에 저장된 연료는 차량의 주행시 연료탱크(1) 내에서 불특정한 방향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연료의 비선형 유동현상인 슬러싱 현상이 문제된다.The fuel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fuel tank 1 is tilted in an unspecified direction within the fuel tank 1 when the vehicle is running, which causes slushing, a non-linear flow phenomenon of fuel, to become a problem. .

다시 말해, 슬러싱 현상으로 인해 연료탱크(1) 내의 연료가 유동되고, 이에 따라 연료탱크(1) 내벽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연료탱크(1)의 강판이 변형되거나 충격에 의한 소음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due to the slushing phenomenon, the fuel in the fuel tank (1) flows, an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fuel tank (1), the steel plate of the fuel tank (1) is deformed or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impact.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addressed.

또한, 연료탱크(1)는 내부에 저장된 연료가 팽창 또는 수축을 반복함에 따라 연료탱크(1)도 함께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연료탱크(1)의 강성이 약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uel stored inside the fuel tank 1 repeats expansion or contraction, the fuel tank 1 may also expand or contract, and 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fuel tank 1 may be weakened.

즉, 연료탱크(1)의 추가적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료탱크(1)의 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 내부에 지지대 역할을 하는 별도의 강화 파이프(2)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였다.In other words, various methods are needed to secure additional rigidity of the fuel tank 1, and in order to solve this rigidity problem of the fuel tank 1, the fuel tank 1 was conventionally used as shown in FIGS. 1 and 2. A separate reinforcing pipe (2) was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o serve as a support.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강화 파이프(2) 자체의 중량에 의한 중량 상승 문제가 있으며, 중량은 감소시키면서도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화 파이프(2)의 소재를 변경하는 경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weight due to the weight of the additionally installed reinforced pipe (2) itself, and if the material of the reinforced pipe (2) is changed to secure rigidity while reducing the weight, the cost increases. there is.

또한, 연료탱크(1) 내에 강화 파이프(2)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영역에 용접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즉, 강화 파이프(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2회의 용접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assemble the reinforced pipe 2 within the fuel tank 1, a welding process must be performed in area B as shown in FIG. 2.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because two welding processes are requir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einforced pipe 2, respectively.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는, 연료탱크(1)의 상판(11)과 하판(12)에 상호 면 접촉되어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강화 파이프(2)를 구비할 필요 없이 연료탱크(1)의 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제조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고, 종래의 복잡한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groove 100 and a lower groove (100) that contact each other with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of the fuel tank 1 and perform a support function By forming 200), the rigidity of the fuel tank 1 is secur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reinforcement pipe 2,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are reduced, and the conventional complex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이 갖는 핵심적 특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e will look at the key features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C-C 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D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E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마감부재(300)가 더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of a steel fuel tank 1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rea C-C in Figure 3,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rea D in Figure 3, and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area E in FIG. 4,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nishing member 300 is further included in FIG. 6.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는, 상판(11)과 하판(12)이 결합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공간(13)을 형성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 있어서, 스틸 재질의 상판(11)의 일 부분이 내부공간(13)을 향해 하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1끝단면(110)이 형성된 상부홈(100) 및 스틸 재질의 하판(12)에서 상부홈(100)에 대응되는 지점이 내부공간(13)을 향해 상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단부에 제1끝단면(110)과 면접되는 제2끝단면(210)이 형성된 하부홈(200)을 포함하고,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이 상호 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이 일체로 내부공간(13)의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o 7, the steel fuel tank 1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fuel tank 1 of a vehicle in which an upper plate 11 and a lower plate 12 ar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13 in which fuel is stored. In the fuel tank (1),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 made of steel is formed by being depressed down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13), and an upper groove (100) with a first end surface (110) formed at the lower end, and In the lower plate 12 made of steel,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100 is formed by being indented up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13, and a second end section 210 is interview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end section 110. ) includes a lower groove 200 formed, and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are joined through welding in a mutual surface contact state to form an upper groove 100 and a lower groove 200. Thi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as a support for the internal space (13).

구체적으로,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공간(13)을 형성하는 상판(11)과 하판(12)에는 각각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이 형성된다. 상부홈(100)은 상판(11)의 일 부분이 내부공간(13)을 향해 하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며, 하부홈(200)은 하판(12)에서 상부홈(100)에 대응되는 지점이 내부공간(13)을 향해 상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형상은 도 4의 E 영역 또는 도 6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Specifically, an upper groove 100 and a lower groove 200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11 and lower plate 12, which form the internal space 13 where fuel is stored, respectively. The upper groove 100 is formed by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 being depressed down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13, and the lower groove 200 is form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100 on the lower plate 12. It is formed by indenting upward toward the space 13. The shapes of the upper groove 100 and lower groove 200 can be easily seen through area E of FIG. 4 or FIG. 6.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에는 각각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이 형성되며,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에 상호 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제1끝단면(11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2끝단면(210)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은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이 상호 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A first end face 110 and a second end face 210 are formed in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end face 110 and the second end face 210 have mutual surfaces. They are joined through welding while in contact. Here, the first end section 110 is shown in FIG. 5, and the second end section 210 is shown in FIG. 7. And Figures 4 and 6 show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being joined through welding in a state of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이 용접 결합됨으로써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이 일체화된다. 그리고 일체화된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의 외측으로부터 일정 영역 안쪽에 형성된다. 즉,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이 일체로서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를 이룸으로써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are welded together, thereby integrating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And the integrated upper groove 100 and lower groove 200 are formed inside a certain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fuel tank 1, as shown in FIG. 3. In other words,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are integrated into one structure to form a single structure, which can serve as a support.

이에 따라, 종래의 연료탱크(1)에서와 같이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강화 파이프(2)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reinforced pipe (2) that performs a support function as in the conventional fuel tank (1).

따라서, 강화 파이프(2)의 조립 공정이 삭제되어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며, 연료탱크(1)의 기본 구성요소인 상판(11)과 하판(12)의 구조 내지 형상만을 변경하여 연료탱크(1)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by eliminat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reinforced pipe (2), and only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upper plate (11) and lower plate (12), which a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fuel tank (1), is changed to make the fuel tank (1) ), while securing the rigidity,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weigh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의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은 스틸 연료탱크(1)의 두께가 사전에 설정된 두께 이하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of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n area where the thickness of the steel fuel tank 1 is less than a preset thickness.

본 발명의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판(11)과 하판(12)에 프레스 가공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스 가공 방식이란 금속 가공 방법 중 하나로서, 얇은 금속 판에서 제품 형상을 떼어내거나 금속을 구부려 원하는 형상을 얻어내는 등 강한 힘으로 철판을 찍어서 가공하는 모든 방식의 가공 방법을 의미한다.In forming the upper groove 100 and lower groov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 processing method may be used for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Press processing is one of the metal processing methods. It refers to all types of processing methods that process steel plates by pressing them with strong force, such as removing the shape of a product from a thin metal plate or bending the metal to obtain the desired shape.

이러한 프레스 가공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스틸 재질의 상판(11)과 하판(12)에 스틸의 연성한계를 넘어서는 압력 내지 충격이 가해지면 소성 변형이 일어나 강판이 부러지거나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using this press processing method, if pressure or impact exceeding the ductility limit of steel is applied to the upper plate 11 and lower plate 12 made of steel, plastic deformation may occur, causing the steel plate to break or burst.

따라서 본 발명의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의 측면부 단면도를 기준으로 연료탱크(1)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upper groove 100 and lower groov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n area where the thickness of the fuel tank 1 is relatively thin based o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of the fuel tank 1, as shown in FIG. 4. It is desirable to do so.

즉, '사전에 설정된 두께'란, 프레스 가공을 사용하더라도 스틸 강판의 소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수준을 만족하는 최대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other words, 'preset thickness' can be understood to mean the maximum thickness that satisfies the level at which plastic deformation of the steel sheet does not occur even when press processing is used.

이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두께 이하인 영역에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을 상호 면 접촉한 상태에서 용접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강화 파이프(2)를 구비함이 없이 연료탱크(1)의 기본 구성요소만으로 강성이 확보되는 스틸 연료탱크(1)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are formed in an area less than a preset thickness, and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are welded and joined in a state of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a steel fuel tank (1) structure in which rigidity is secured only with the basic components of the fuel tank (1)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reinforcement pipe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D 영역의 확대도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of a steel fuel tank 1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rea D in Figure 3.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서 상부홈(100)의 제1끝단면(110)과 하부홈(200)의 제2끝단면(210)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5, in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d surface 110 of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of the lower groove 200 are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circular.

상부홈(100)의 제1끝단면(110)과 하부홈(200)의 제2끝단면(210)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기타 다양한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다각형으로 형성시 용접 과정에서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각 끝단면(110, 210) 형상을 정확히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The first end surface 110 of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of the lower groove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polygonal shapes such as triangles or squares. However, when forming into a polygon, an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to adjust the shapes of each end surface (110, 210) of the upper groove 100 and lower groove 200 to exactly match during the welding process, which reduces productivity and complicates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with termination.

따라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은 원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본 바와 같이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을 형성함에 있어서 프레스 가공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가공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각 끝단면(110, 210)을 원형으로 형성함이 적합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are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as seen previously, a press processing method may be used in forming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When the above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the angle of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It is appropriate to form the end surfaces (110, 210) in a circular shape.

나아가, 이하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는, 연료탱크(1)에 물이 고여 녹슬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각 끝단면(110, 210)에는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끝단면(110, 210)의 각진 모서리 부분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Furthermore, as will be seen below,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to prevent the problem of water accumulating in the fuel tank 1 and rusting. A first through hole 111 and a second through hole 211 may be formed at each end surface (110, 210). At this time, when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water may frequently accumulate at the angled corners of each end surface 110 and 210.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을 원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각 끝단면(110, 210)의 모서리 부분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연료탱크(1)의 부식 방지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in a circular shape, the phenomenon of water accumulating at the corners of each end surface 110 and 210 is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fuel tank (1). ) can further maximize the corrosion prevention effect.

도 5는 도 3에서 D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E 영역의 확대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rea D in FIG. 3,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rea E in FIG.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서 상부홈(100)의 제1끝단면(110)의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111)이 형성되고, 하부홈(200)의 제2끝단면(210)의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111)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관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in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hrough hole 1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nd surface 110 of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A second through hole 21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end surface 210 of the groove 200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11.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연료탱크(1)의 설계에 있어서 연료탱크(1)의 녹슬음(즉, 연료탱크가 부식되는 것을 의미함)을 방지하는 것은 항시 고려해야만 하는 중요한 설계인자 중 하나이다.In the design of the fuel tank 1 made of steel, preventing rust of the fuel tank 1 (i.e., corrosion of the fuel tank) i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factors that must always be considered.

여기서 '부식'이란 주위 환경과의 화학 반응으로 인하여 물질이 구성 원자로 분해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는 금속 재질이 산소와 같은 산화체와 반응하여 의도치 않게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Here, 'corros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material is decomposed into its constituent atoms due to a chemical re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general, it can be defined as the unintentional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a metal material by reacting with an oxidizing agent such as oxygen. there is.

특히 철(Fe)을 주 성분으로 하는 스틸 재질 제품의 경우, 부식이 진행되면서 가속화 현상이 발생하므로 전체 구조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 다른 금속들의 경우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teel products containing iron (Fe) as the main ingredient, acceleration occurs as corrosion progresses, causing more serious problems than in the case of other metals, such as greatly deteriorating the stability of the overall structure.

이러한 부식의 주된 원인은 물과 산소이다. 구체적으로, 철과 대기 중의 산소 및 물이 화학반응을 통해 철은 산화되고 산소는 환원되면서 부산물로 수산화철(2Fe(OH)2)이 발생한다. 수산화철은 탈수되어 산화철이 되거나 더 산화되어 녹(Fe2O3·XH2O)으로 변화된다.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산화 환원 반응 메커니즘은 당 기술분야의 공지된 영역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The main causes of this corrosion are water and oxygen. Specifically, through a chemical reaction between iron and oxygen and water in the atmosphere, iron is oxidized and oxygen is reduced, generating iron hydroxide (2Fe(OH) 2 ) as a by-product. Iron hydroxide is dehydrated to iron oxide or further oxidized to rust (Fe 2 O 3·X H 2 O). Since additional redox reaction mechanisms related to this are well known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차량의 주행 중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 연료탱크(1) 상부면에 수분이 응집 또는 응축되어 물이 고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틸 재질의 연료탱크(1) 표면에 물이 고이게 됨에 따라 연료탱크(1)의 부식이 진행되어 녹슬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연료탱크(1)의 수명을 감소시키며 표면에 균열을 일으켜 연료탱크(1) 내부공간(13)에 물이 침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it rains or snows while driving the vehicle, moisture may condense or condens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1), causing water to accumulate. As water accumulates on the surface of the steel fuel tank 1, corrosion of the fuel tank 1 may progress and rust may occur. This reduces the lifespan of the fuel tank (1) and may cause cracks on the surface, causing water to penetrate into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fuel tank (1).

연료탱크(1) 내부공간(13)에 물이 침투하는 경우 엔진 마모를 유발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이 걸리더라도 엔진 점화 시기 이상으로 인해 노킹(knocking) 현상이 발생하고 출력도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If water penetrates into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fuel tank 1, it may cause engine wear and the engine will not start, or even if the engine does start, a knocking phenomenon will occur due to an abnormal ignition timing of the engine and the output will significantly decreas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는,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각 끝단면(110, 210)의 중앙부에 물 빠짐을 위한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을 형성하여 연료탱크(1) 표면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는 연료탱크(1)의 부식을 방지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through hole 111 for water drainage at the center of each end surface 110, 210 of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By forming the second through hole 211, the purpose is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surface of the fuel tank 1 and ultimately prevent corrosion of the fuel tank 1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홈(100)의 제1끝단면(110)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참고로 도 5는 제1끝단면(110)을 상방에서 내려다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을 동시에 표현한 것이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a first through hole 11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end surface 110 of the upper groove 100. For reference, Figure 5 shows the first end section 110 viewed from above, and shows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at the same time.

그리고 하부홈(200)의 제2끝단면(210)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111)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관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각 끝단면(110, 210)이 서로 면 접촉된 상태에서, 제1끝단면(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관통홀(111)은 상부에 위치하고, 제2끝단면(2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관통홀(211)은 하부에 위치한다.In addition, a second through hole 211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end surface 210 of the lower groove 200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11. 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end surfaces 110 and 210 of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end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nd surface 110 The through hole 111 is located at the top,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end surface 210 is located at the bottom.

이에 따라, 연료탱크(1) 표면에 응집된 물이 상부홈(100)의 제1끝단면(110)에서 고이지 않고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을 통과하면서 연료탱크(1) 하방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water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fuel tank (1) does not accumulate at the first end surface (110) of the upper groove (100) but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thereby maintaining the fuel tank. (1) It is discharged downward.

결과적으로, 연료탱크(1) 표면에 물고임 현상을 방지하여 연료탱크(1)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연료탱크(1)의 수명이 향상되며 내부공간(13)에 물이 침투함에 따른 차량의 시동성 저하 내지 노킹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by preventing water from piling up on the surface of the fuel tank (1) and preventing corrosion of the fuel tank (1), the lifespan of the fuel tank (1) is improved and the damage to the vehicle due to water infiltrating the internal space (13) is improv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starting performance and knocking phenomen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의 제1관통홀(111) 및 제2관통홀(211)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of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circular.

이는, 기본적으로 앞서 살펴본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이유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This can be basically understood similarly to the reason why the first end section 110 and the second end section 210 are circular in shape, as discussed above.

즉,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관통홀(111)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관통홀(211)이 정확히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may also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but in order for the second through hole 211 to be formed accurately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11,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processes are required, which reduces productivity and complicates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각 관통홀(111, 211)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프레스 가공 방식(예를 들어, 펀칭 가공)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관통홀(111, 211)을 원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ress processing method (eg, punching processing) may be used to form each through hole (111, 211), an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form each through hole (111, 211) in a circular shape.

나아가, 물 빠짐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이 형성된 부위에서 물의 부착력에 의해 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소량의 물이 고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which are supposed to perform a water draining function,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water is not properly discharged due to the adhesion of water at the angle formed area, and a small amount of water accumulates. This phenomenon may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각이 형성되지 않은 원형으로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을 형성함으로써 물의 부착력보다 응집력을 크게 하여 물 배출성을 향상하고, 궁극적으로는 연료탱크(1)가 부식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water discharge by forming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in a circular shape without forming an angle, thereby increasing the cohesion force rather than the adhesion force of water, and ultimately, the fuel tank (1) )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corros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서 제1관통홀(111)의 직경은 제2관통홀(211)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1.

연료탱크(1)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 하방에 하판(12)을 두고 상방에 상판(1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판(11)과 하판(12)을 용접하는 공정이 수행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uel tank 1, a process of welding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is performed with the lower plate 12 located below and the upper plate 11 aligned above.

이때,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은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어야 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각 관통홀(111, 21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일원화시킬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must be formed at corresponding points to ensure smooth discharge of water, so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centers of each through hole 111 and 211 so that they coincide. there is.

그리고 제작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홈(100)의 제1끝단면(110)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내려다본 상태로 작업을 수행한다. 참고로 도 5에서 F는 제1관통홀(111)의 직경을 의미하며, G는 제2관통홀(211)의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5, the worker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performs the work while looking down at the first end surface 110 of the upper groove 100 from above. For reference, in FIG. 5, F may be understood as meaning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G may be understood as meaning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1.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시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의 중심을 보다 용이하게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제1관통홀(111)의 직경을 제2관통홀(2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more easily align the centers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during the worker's work,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should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1. It is desirable to form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홀(111)의 직경이 제2관통홀(2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작업자가 제1관통홀(111) 하방에 위치한 제2관통홀(211)의 중심을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각 관통홀(111, 211)의 중심 일원화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5,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1, the worker mov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11 located below the first through hole 111. Since the center of the hole 211 can be easily confirme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unify the centers of each through hole 111 and 211.

도 7은 도 6에서 마감부재(300)가 더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nishing member 300 is further included in FIG.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는,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의 둘레 및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마감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teel fuel tank 1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nishing member 300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and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More may be included.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제1관통홀(111)의 직경을 제2관통홀(2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 수행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의 직경 차이에 따른 단차가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차는 도 6의 H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과 같은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As seen above,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orker can easily perform work, while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ier to perform. There is a problem in which a step is formed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of the two through holes 211. These steps can be understood as stair-like as shown in area H of FIG. 6.

이와 같이 단차가 형성되는 경우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가 단차에 머무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을 통과하지 않고 단차에 머물러 있는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의 사이 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물은 연료탱크(1)의 내부공간(13)으로 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앞서 본 바와 같이 엔진 시동성 저하 내지 노킹 현상이 발생하는 등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a step is formed in this way, a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part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stays in the step. In addition, water remaining in the step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may flow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end face 110 and the second end face 210 due to capillary action. The inflow water may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fuel tank 1, and as a result, additional problems may occur, such as reduced engine startability or knocking phenomenon, as previously see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의 둘레와 그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마감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위와 같은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member 300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and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

다시 말해, 1차적으로 단차를 삭제함으로써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가 단차에 머무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2차적으로 각 관통홀(111, 211)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의 사이 틈으로 소량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primarily by eliminating the step, a portion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is prevented from remaining in the step, and secondarily, each through hole 111, By forming it to surround the inner surface of 211),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small amount of water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도 8은 도 6의 H 영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Figur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rea H in Figure 6.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서 제1관통홀(111)의 직경은 제2관통홀(2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관통홀의 단부(112)는 제2관통홀의 단부(212)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e steel fuel tank 1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1, and the end 112 of the first through hole 112 )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bent and extended to surround the end 212 of the second through hole.

이는, 앞서 살펴본 마감부재(30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상을 제1관통홀(111) 자체에 추가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can be understood as additionally implementing a shape that can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finishing member 300 discussed above in the first through hole 111 itself.

즉, 제1관통홀의 단부(112)가 제2관통홀의 단부(212)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앞서 언급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제1관통홀(111)의 내측면만 통과하면서 하방으로 배출되므로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 사이의 틈으로 소량의 물이 유입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the end 112 of the first through hole is bent and extended to surround the end 212 of the second through hole,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the step mentioned above. In addition, since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while passing only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the possibility of a small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can be minimized. You can.

다만, 제1관통홀의 단부(112)가 제2관통홀의 단부(212)를 감싸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달리 제1관통홀(111)의 직경이 제2관통홀(211)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form the end 112 of the first through hole to surround the end 212 of the second through hole, unlike previously seen,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1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1. It should be formed smaller.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 제작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 방향에서 작업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연료탱크(1)의 상판(11)과 하판(12)을 뒤집은 상태에서 상판(11)을 하방에 두고 그 상방에 하판(1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판(11)과 하판(12)을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for workers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perform work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shown in FIG. 5. That is, in this case, as an exception,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of the fuel tank 1 are turned over, the upper plate 11 is placed downward, and the lower plate 12 is aligned with the upper plate 11. It is desirable to weld the and lower plate 12.

이와 같이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작업자가 하부홈(200)의 제2끝단면(210)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내려다본 상태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2관통홀(211) 하방에 위치한 제1관통홀(111)의 중심을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각 관통홀(111, 211)의 중심 일원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work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worker performs the work while looking down at the second end surface 210 of the lower groove 200 from above, thereby creating a first through hole located below the second through hole 211. Since the center of (111) can be easily confirmed, it is possible to easily unify the centers of each through hole (111, 211).

도 9는 도 6에서 돌출부(400)가 더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that a protrusion 400 is further included in FIG. 6 .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서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의 접촉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00)가 형성되고, 돌출부(400)는 제1관통홀(111) 및 제2관통홀(21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400 protruding to one side or the other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 the protrusion 400 may be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각 끝단면(110, 210)을 용접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오 용접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작업 전 미리 용접 라인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rove product quality by preventing worker safety accidents and minimizing miswelding when welding the end surfaces 110 and 210 of the upper groove 100 and lower groove 200, a welding line must be set up in advance before work. It is desirable to build.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끝단면(110)과 제2끝단면(210)의 접촉면에 돌출부(400)를 형성하되, 제1관통홀(111) 및 제1관통홀(11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작업자가 용접 라인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 protrusion 400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the second end surface 210, and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first through hole 111 are formed. It is formed to be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hole 111 so that the worker can visually identify the welding line.

이러한 돌출부(400)는 상판(11) 또는 하판(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둘 중 어느 곳에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반대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돌출부(4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돌출부(400)에 관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러한 도면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된다.These protrusions 400 may be formed on either the upper plate 11 or the lower plate 12, and may be formed on either of the two.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9,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to the top, or conversely,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at is, the shape of the protrusion 400 shown in FIG. 9 is only an example of the protrusion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viewed as limited by the shape of the drawing.

도 4는 도 3에서 C-C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E 영역의 확대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C-C in FIG. 3,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E in FIG. 4.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서 상부홈(100)은 제1끝단면(11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120)이 형성되고, 제1경사면(120)의 연장부 끝단에는 제1개방부(130)가 형성되며, 제1개방부(130)의 단면적이 제1끝단면(11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6, in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roove 100 is form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120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end surface 110, A first open portion 13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pen portion 130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end surface 110.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서 하부홈(200)은 제2끝단면(2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220)이 형성되고, 제2경사면(220)의 연장부 끝단에는 제2개방부(230)가 형성되며, 제2개방부(230)의 단면적이 제2끝단면(21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groove 200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2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end surface 21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0 A second open portion 23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open portion 230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end surface 210.

즉, 상부홈(100)은 제1끝단면(11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기둥 형상이고, 하부홈(200)은 제2끝단면(2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기둥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groove 100 extends upward from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has a pillar shape whose diameter increases upward, and the lower groove 200 extends downward from the second end surface 210. It can be understood as a pillar shape whose diameter increases as it goes downward.

구체적으로, 상부홈(100)은 제1끝단면(11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경사면(120)과 제1경사면(120)의 연장부 끝단에 형성된 제1개방부(130)로 구성되고, 하부홈(200)은 제2끝단면(2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2경사면(220)과 제2경사면(220)의 연장부 끝단에 형성된 제2개방부(230)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upper groove 100 is composed of a first inclined surface 120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end surface 110 and a first opening 130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 the lower groove 200 is composed of a second inclined surface 2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end surface 210 and a second opening 230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0.

그리고 제1개방부(130)는 제1끝단면(110)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제2개방부(230)는 제2끝단면(210)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Additionally, the first open portion 130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end face 110, and the second open portion 230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econd end face 210.

이에 따라,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이 일체로서 결합되어 지지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연료탱크(1) 내부공간(13)의 연료의 유동에 따라 제1경사면(120)과 제2경사면(220)에 작용하는 압력구배가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are integrated and perform a support function,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0 are formed according to the flow of fuel in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fuel tank 1. This has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pressure gradient acting on the inclined surface 220.

아울러, 차량의 주행 중 비나 눈이 내려 연료탱크(1) 표면에 물이 응축되는 경우, 응축된 물이 제1개방부(130)를 통해 제1경사면(120)을 따라 흘러 내려감으로써 제1끝단면(110)에 모이게 된다. 이후 제1끝단면(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관통홀(111)을 통해 물이 하부홈(200)으로 배출됨으로써, 연료탱크(1) 표면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it rains or snow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water condenses on the surface of the fuel tank (1), the condensed water flows down the first slope (120) through the first opening (130) and reaches the first end. They are gathered at cross section 110. Thereafter,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lower groove 20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nd surface 110, thereby more effectively preventing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surface of the fuel tank 1.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나아가, 하부홈(200)으로 배출된 물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하부홈(200)의 구조에 따라 제2관통홀(211)을 통과한 물이 아무런 방해 없이 사방으로 분산됨으로써, 물이 제1관통홀(111)을 통해 제2관통홀(211)로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water discharged into the lower groove 200 is dispersed in all directions without any obstruc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lower groove 200 whose diameter increases downward. It is allowed to continuously flow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211)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결론적으로,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에 각각 제1경사면(120)과 제2경사면(220)을 구비함으로써 연료탱크(1)의 지지대 기능을 수행시 안정적인 구조가 확보되어 강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제1관통홀(111)과 제2관통홀(211)을 통한 물 빠짐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In conclusion, by providing the first slope 120 and the second slope 220 in the upper groove 100 and lower groove 200, respectively, a stable structure is secured when performing the support function of the fuel tank 1, and rigidity is increased. At the same time as the increase, the water drainage function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1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1)에 의하면, 상호 면 접촉되어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연료탱크(1)에서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던 별도의 강화 파이프(2)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원가 및 중량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강화 파이프(2) 조립 공정이 삭제되고, 강화 파이프(2)의 상하단마다 각각 수행되던 2회의 용접 공정을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1회 용접 공정으로 축소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나아가, 상부홈(100)과 하부홈(200)의 중앙부에 물 빠짐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여 연료탱크(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eel fuel tank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are formed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erform a support function, so that the conventional fuel tank 1 ),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reinforcing pipe (2) that performs a support function, so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pipe 2 assembly process is deleted, and the two welding processes performed for each upper and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pipe 2 are reduced to one welding process for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thereby manufacturing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Furthermore,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corrosion of the fuel tank 1 by forming a through hole for water drainag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groove 100 and the lower groove 200.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commonly know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with knowledge.

1 : 스틸 연료탱크
2 : 강화 파이프
11 : 상판
12 : 하판
13 : 내부공간
100 : 상부홈
110 : 제1끝단면
111 : 제1관통홀
112 : 제1관통홀의 단부
120 : 제1경사면
130 : 제1개방부
200 : 하부홈
210 : 제2끝단면
211 : 제2관통홀
212 : 제2관통홀의 단부
220 : 제2경사면
230 : 제2개방부
300 : 마감부재
400 : 돌출부
1: Steel fuel tank
2: Reinforced pipe
11: top plate
12: lower plate
13: Internal space
100: upper groove
110: first end section
111: 1st through hole
112: End of the first through hole
120: 1st slope
130: first opening part
200: lower groove
210: second end section
211: 2nd through hole
212: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220: 2nd slope
230: 2nd opening part
300: Finishing member
400: protrusion

Claims (11)

상판과 하판이 결합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에 있어서,
스틸 재질의 상판의 일 부분이 내부공간을 향해 하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1끝단면이 형성된 상부홈; 및
스틸 재질의 하판에서 상부홈에 대응되는 지점이 내부공간을 향해 상방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단부에 제1끝단면과 면접되는 제2끝단면이 형성된 하부홈;을 포함하고,
제1끝단면과 제2끝단면이 상호 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상부홈과 하부홈이 일체로 내부공간의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th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where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where fuel is stored,
An upper groove formed by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made of steel being indented down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and having a first end surface formed at the lower end; and
In the lower plate made of steel,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is formed by being indented up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and a lower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end with a second end face that faces the first end face;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nd surface and the second end surface are joined through welding in a mutual surface contact state, so that the upper groove and the lower groove are integrated and perform the function of a support for the internal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홈과 하부홈은 스틸 연료탱크의 두께가 사전에 설정된 두께 이하인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1,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wherein the upper groove and the lower groove are formed in an area where the thickness of the steel fuel tank is less than a preset thickn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홈의 제1끝단면과 하부홈의 제2끝단면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1,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wherein the first end surface of the upper groove and the second end surface of the lower groove are circul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홈의 제1끝단면의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홈의 제2끝단면의 중앙부에는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1,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nd surface of the upper groove,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end surface of the lower groove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4,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circular.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관통홀의 직경은 제2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4,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둘레 및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6,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inish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and inner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관통홀의 직경은 제2관통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관통홀의 단부는 제2관통홀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4,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wherein the end of the first through hole is bent and extend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second through hole.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끝단면과 제2끝단면의 접촉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4,
A steel fuel tan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protruding to one side or the other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end surface and the second end surface,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홈은 제1끝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경사면의 연장부 끝단에는 제1개방부가 형성되며, 제1개방부의 단면적이 제1끝단면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1,
The upper groove is form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end surface, a first open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pening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end surfac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홈은 제2끝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제2경사면의 연장부 끝단에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며, 제2개방부의 단면적이 제2끝단면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틸 연료탱크.
In claim 1,
The lower groove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end surface, a second open par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of the second slop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open part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end surface. Steel fuel tank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20050980A 2022-04-25 2022-04-25 Steel fuel tank for vehicle KR102640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980A KR102640046B1 (en) 2022-04-25 2022-04-25 Steel fuel tank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980A KR102640046B1 (en) 2022-04-25 2022-04-25 Steel fuel tank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368A true KR20230151368A (en) 2023-11-01
KR102640046B1 KR102640046B1 (en) 2024-02-27

Family

ID=8874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980A KR102640046B1 (en) 2022-04-25 2022-04-25 Steel fuel tank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04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136A (en) * 1998-05-26 1999-12-15 성재갑 Manufacturing method of plastic fuel tank for automobile which improves impact resistance by preventing notch of connection welding part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JP3927417B2 (en) * 2001-01-31 2007-06-06 ティーアイ オートモーティヴ テクノロジー センタ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Fuel tank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994268B1 (en) 2017-12-19 2019-06-28 (주)동희산업 Baffle assemblabe with supporter
JP2021139351A (en) * 2020-03-09 2021-09-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Vehicular fuel tan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136A (en) * 1998-05-26 1999-12-15 성재갑 Manufacturing method of plastic fuel tank for automobile which improves impact resistance by preventing notch of connection welding part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JP3927417B2 (en) * 2001-01-31 2007-06-06 ティーアイ オートモーティヴ テクノロジー センタ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Fuel tank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994268B1 (en) 2017-12-19 2019-06-28 (주)동희산업 Baffle assemblabe with supporter
JP2021139351A (en) * 2020-03-09 2021-09-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Vehicular fuel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046B1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347B1 (en) Cup-shaped tappet
AU2001266072B2 (en) Flat gaske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484493B2 (en) Insert for a cylinder sleeve or a cylind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562448B1 (en) Oil r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777443A1 (en) Gasket
US20080122185A1 (en) Combined oil ring
US7422218B2 (en) Flat gaske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flat gasket
US7559556B2 (en) MLS gasket compression limiter
US20080012235A1 (en) Flat gasket
US20020041071A1 (en) Compression piston ring
KR102640046B1 (en) Steel fuel tank for vehicle
US8167515B2 (en) Hot-rolled straight-web steel sheet pile
CN101501348A (en) Bonding structure for metal plate
US5038545A (en) Reinforcing steel rod with improved reverse bendability
JP5162655B2 (en)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812961B1 (en) Rubbery marine fenders
KR100684210B1 (en) Cylinder head gasket
JP2006528756A (en) Transmission housing
US20190292958A1 (en) Exhaust system component
KR100687831B1 (en) Metal gasket
JP3811700B2 (en) Metal laminated gasket
CN101358551A (en) Oil sump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S20110095491A1 (en) Single-Layer Seal or Sealing Layer of a Multiple-Layer Se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20160334016A1 (en) Cylinder-head gasket, and a sealing system comprising such a gasket
US5106107A (en) Head gasket having a staked fire rings and method of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