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977A - 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 - Google Patents

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977A
KR20230149977A KR1020220049349A KR20220049349A KR20230149977A KR 20230149977 A KR20230149977 A KR 20230149977A KR 1020220049349 A KR1020220049349 A KR 1020220049349A KR 20220049349 A KR20220049349 A KR 20220049349A KR 20230149977 A KR20230149977 A KR 20230149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oor
mobile platform
vehicle
c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지면
Original Assignee
(주)명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신 filed Critical (주)명신
Priority to KR102022004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977A/en
Publication of KR2023014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977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다차종 및 생산 수량의 변동에 유연 대응할 수 있는 차량 조립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동 플랫폼(100)은 트림 라인(1), 도어 라인(3)을 거쳐 완성 라인(4)으로 이동하며, 작업자들은 이동 플랫폼(100)과 함께 조립 라인(1,3,4)을 이동하면서 차량 조립을 수행한다. 트림 라인(1)의 작업 완료 후 차체는 이동 플랫폼(100)에서 샤시 라인(2)으로 옮겨지며, 이동 플랫폼(100)은 도어 라인(3)을 거친 후, 샤시 라인(2)에서 작업 완료된 차체를 싣고 완성 라인(4)으로 진입한다.A vehicle assembly system is provided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multiple vehicle types and production quantities. The mobile platform 100 moves to the completion line (4) through the trim line (1) and the door line (3), and workers move the assembly lines (1, 3, and 4) with the mobile platform (100) to Perform assembly. After completing the work on the trim line (1), the car body is moved from the mobile platform (100) to the chassis line (2), and the mobile platform (100) passes through the door line (3) and then moves the car body with the work completed on the chassis line (2). Load it and enter the completion line (4).

Description

차량 조립 시스템{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stem {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

본 발명은 샤시, 실내외 트림들, 전기장치들과 같은 유니트들 및 부품들을 차체에 조립하기 위한 차량 조립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or assembling units and parts such as chassis, interior and exterior trims, and electrical systems into a vehicle body.

차량 생산 공정은 프레스 공정, 차체 공정, 도장 공정, 조립 공정 및 검사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만들어진 각종 패널들을 용접, 조립하여 차체(Body in white}가 얻어진다. 이 차체를 도장 후 각종 유니트들 및 부품들을 차체에 조립함으로써 완성차가 얻어지며, 다음으로 완성차에 대한 검사가 수행된다.The vehicle production process consists of a press process, body process, painting process, assembly process, and inspection process. A car body (body in white) is obtained by welding and assembling various panels made through press processing. After painting this car body, various units and parts are assembled into the car body to obtain a finished car. Next, an inspection is performed on the finished car. do.

조립 공정은 도장된 차체에 내외장재, 기계부품을 조립하고, 전장부품과 배선, 배관작업이 수행되는 공정으로, 뭉뚱그려 의장 공정으로 불리기도 한다. 조립 공정은 트림 공정(trim line), 샤시 공정(chassis line) 및 완성 공정(final line)으로 이루어진다. 트림 공정에서 실내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도어가 차체에서 탈거되며, 전기배선, 헤드라이닝, 계기판, 램프류 등의 차체 장착이 수행된다. 샤시 공정에서 트림 공정을 거친 차체에 엔진, 머플러, 현가장치, 조향장치, 브레이크 시스템, 타이어 등이 장착된다. 완성 공정에서 샤시 공정을 거친 차체에 도어, 시트, 윈도우 등이 장착된다.The assembly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mechanical parts are assembled on the painted car body, and electrical components, wiring, and piping work are performed. It is also collectively called the design process. The assembly process consists of a trim line, a chassis line, and a final line. In the trimming process, the door is removed from the car body to facilitate interior work, and electrical wiring, headlining, instrument panel, lamps, etc. are installed on the car body. The engine, muffler, suspension, steering system, brake system, tires, etc. are installed on the car body that has gone through the trim process in the chassis process. In the completion process, doors, seats, windows, etc. are installed on the car body that has gone through the chassis process.

현대산업에서 컨베이어 생산방식은 기계산업의 주역이었다. 컨베이어 생산방식은 2만개 이상의 부품들로 구성된 내연기관 차량의 생산에 적합하며, 특히 단일 차종의 일률적인 대량 생산에 최적이다. 그러나 컨베이어 생산방식은 차종이나 생산 수량의 변경이 잦은 경우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 컨베이어 생산방식은 여러 공정들 중에서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공정에 맞추어 운영된다. 이로 인해 병목 공정이 발생하며, 공정들 간에 균등한 작업시간의 배분이 용이하지 않다.In modern industry, the conveyor production method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machinery industry. The conveyor production method i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consisting of more than 20,000 parts, and is especially optimal for uniform mass production of a single vehicle model. However, the conveyor production method is very inefficient when there are frequent changes in vehicle type or production quantity. The conveyor production method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ocess that takes the longest among various processes. This creates a bottleneck process, and it is not easy to distribute work time equally between processes.

글로벌 시장에서 고객의 수요는 더욱 다양화, 다변화되고 있다. 기업들은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생산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차량의 경우, 새로운 차종들의 개발 주기가 빨라지고 있다. 소비자들의 소비 트랜드나 욕구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 소비자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현실적인 경영상의 위협이 존재한다.In the global market, customer demand is becoming more diverse and diversified. Companies are developing products that meet consumer needs and seeking production methods that can increase profitability. In the case of vehicles, the development cycle of new vehicle models is accelerating. If you fail to respond quickly to changes in consumers' consumption trends or desires, there is a realistic management threat that you may not be chosen by consumers and be left out of the competition.

전기차는 배터리, 모터, 전장 등으로 모듈화된 전자제품에 가깝다. 모듈화된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량에 비해 훨씬 다품종 소량생산에 유리하다. 전기차 생산방식은 내연기관 차량 생산방식과는 분명히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갈 것으로 예상된다.Electric vehicles are close to electronic products that are modularized with batteries, motors, and electronics. Modular electric vehicles are much more advantageous for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a wide variety of products compared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Electric vehicle production methods are expected to develop in a clearly different direction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production methods.

변화 주기가 빠른 소비자 트랜드를 따라 잡고 또 선도하기 위해 차량 메이커로서는 효율적이며 원가절감이 가능한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급변하는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장차의 차량 조립 방식은 소품종 대량생산, 다품종 소량생산, 다품종 대량생산 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발전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keep up with and lead the rapidly changing consumer trends, vehicle manufacturers are required to develop a small quantity production method that is efficient and cost-saving. In addition,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a rapidly changing market, future vehicle assembly methods need to be designed and developed to flexibly respond to small-type mass production, multi-type small-scale production, and multi-type mass production.

최근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팩토리가 산업전반에 걸쳐 보편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 차량 조립 공정 또한 더욱 자동화되고 무인화되어가는 추세이다.Recently, smart factorie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re becoming more common across industries. The vehicle assembly process is also becoming more automated and unmann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차종 생산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vehicle assembly system that can efficiently respond to the production of multiple vehicle types.

또한 본 발명은 생산 수량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량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vehicle assembly system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production quantity.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드시 위에 언급된 사항에 국한되지 않으며, 미처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 기재되는 사항에 의해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yet mentioned may also be understood by the matters described below.

위 목적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들, 구성들에 의해 달성된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립 시스템은 트림 라인, 샤시 라인, 도어 라인 및 완성 라인을 포함하는 조립 라인; 트림 라인, 도어 라인 및 완성 라인을 순환 이동하며, 차체 및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이 실릴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 플랫폼; 및 트림 라인과 도어 라인 사이의 제1 지점, 도어 라인과 완성 라인 사이의 제2 지점 및 샤시 라인을 잇는 순환형 오버헤드 라인을 포함한다.The above objectives are achieved by the inventions and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claims. Characteristically, 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ssembly line including a trim line, a chassis line, a door line, and a completion line; A mobile platform configured to move circularly through the trim line, door line, and completion line, and to load the car body and parts to be assembled into the car body; and a circular overhead line connecting a first point between the trim line and the door line, a second point between the door line and the completion line, and the chassis line.

상기 제1 지점에서 트림 라인을 통과한 이동 플랫폼 상의 차체가 오버헤드 라인으로 이송된다. 제2 지점에서 오버헤드 라인 상의 차체가 이동 플랫폼으로 이송된다. 이동 플랫폼과 함께 작업자들이 조립 라인을 이동하면서 래크에 적재된 부품들을 차체에 조립하며, 샤시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과 도어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이 병행 진행된다.The car body on the mobile platform that has passed the trim line at the first point is transferred to the overhead line. At a second point the car body on the overhead line is transferred to a mobile platform. Workers move along the assembly line with a mobile platform and assemble parts loaded on racks into the car body. Assembly work on the chassis line and assembly work on the door line are carried out in parallel.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 플랫폼은 차체 로딩부,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이 적재되는 래크 및 차체에서 탈거된 도어가 보관되는 도어 홀더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latform includes a car body loading unit, a rack on which parts to be assembled to the car body are loaded, and a door holder where the door removed from the car body is stor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립 시스템은 다차종 생산에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producing multiple types of vehic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립 시스템은 차종 변경 및 생산 수량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vehicle type and production quant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립 시스템은 다차종의 소량 생산 및 대량 생산에 대응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sponding to small quantity production and mass production of multiple vehicle types.

또한 본 발명에 차량 조립 시스템에 의하면 부품들이 생산 수량이나 속도에 따라 조립 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재고 축적 요구가 감소하고 효율적인 창고 운영이 가능하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vehicle assembl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can be supplied to the assembly line according to production quantity or speed, thereby reducing the need for excessive inventory accumulation and enabling efficient warehous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립 시스템에 의하면, 병목 공정의 발생 리스크가 낮으며, 일시적인 병목 발생이 있더라도 정상 조업으로의 복귀가 빠를 수 있고 타 공정의 작업자들이 대기 상태에 놓이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of bottleneck processes is low, and even if there is a temporary bottleneck, return to normal operation can be rapid and workers in other processes may not be placed on standby.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립 시스템에 의하면, 컨베이어에서의 단순, 반복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들의 고질적인 작업 효율 저하가 방지 또는 저감될 수 있고, 나아가 작업 매뉴얼화 및 표준화를 통해 상향 평준화된 조립 품질의 관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ronic decline in work efficiency of workers due to simple and repetitive work on the conveyor can be prevented or reduced, and further, the management of assembly quality has been leveled upward through work manu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 공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 시스템의 레이아웃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 시스템의 이동 플랫폼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플랫포의 측방향 뷰이다.
1 is a flowchart of a vehicle assembl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layout of a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mobile platform of a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ateral view of the mobile platform shown in Figure 3;

이하 본 발명의 여러 특징적인 측면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을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될 수 있고,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과장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we will look at examples in more detail so that we can understand various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identical or equivalent components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symbols, and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문서에서, 별도 한정이 없거나 본질적으로 허용될 수 없는 것이 아닌 한, 두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표현들, 예로서 '상', '연결'과 같은 표현들은 두 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은 물론 제1 및 제2 요소의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되는 것을 허용한다. 전후, 좌우 또는 상하 등의 방향 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다.In this docum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inherently impermissible, expression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elements, such as 'phase' and 'connection', refer to the two elements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f course, a third element is allow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Directional indications such as front and back,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are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 공정은 트림 공정(S1), 샤시 공정(S2), 도어 공정(S3) 및 완성 공정(S4)을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차량 조립은 트림 공정(S1)에서 시작되어, 샤시 공정(S2)과 도어 공정(S3)이 병행 수행되고, 이 후 완성 공정(S4)이 수행된다. 완성 공정(S4) 후에는 검사 공정(S5)이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assembly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trim process (S1), a chassis process (S2), a door process (S3), and a completion process (S4). As a preferred example, vehicle assembly begins with the trim process (S1), the chassis process (S2) and the door process (S3) are performed in parallel, and then the completion process (S4) is performed. After the completion process (S4), the inspection process (S5) is performed.

트림 공정(S1)에서 내외장재들이 차체에 장착된다. 차체는 프레스 공정, 차체 공정 및 도장 공정을 거쳐 트림 공정(S1)으로 이송되어 온다. 도장은 통상 하도, 중도 및 상도의 순서로 진행되며, 도장 완료된 차체에는 도어를 포함한 무빙 파트들이 장착되어 있고, 실내 작업을 위해 도어가 차체에서 탈거된다.In the trim process (S1),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re installed on the car body. The car body is transferred to the trim process (S1) after going through the press process, body process, and painting process. Painting is usually carried out in the order of base coat, middle coat, and top coat. Moving parts, including doors, are installed on the painted car body, and the doors are removed from the car body for interior work.

실내 작업은 카울 크로스 멤버, 계기판 등을 포함하는 칵픽 모듈(Cockpit Module)의 차체 장착, 메인이 되는 각종 전기배선 작업을 포함한다. 이외에 예로서 헤드램프, 테일램프 등의 램프류를 비롯하여, 엔진 마운트, 범퍼 장착용 브래킷, 범퍼 임팩트바용 너트, 와이퍼용 링키지 등 본 부품들의 장착을 위한 마운팅 부재들이 차체에 설치 및 장착된다.Interior work includes mounting the cockpit module, including the cowl cross member and instrument panel, to the body, and various main electrical wiring works. In addition, for example, lamps such as headlamps and taillamps, as well as mounting members for mounting these parts, such as engine mounts, bumper mounting brackets, bumper impact bar nuts, and wiper linkages, are installed and mounted on the car body.

도어 탈거는 내외장재들의 장착 작업과는 별도의 공간에서 이전 단계에 수행될 수 있다.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한 라인에서 도어 탈거 및 내외장재들의 장착이 수행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 탈거 작업과 내외장재 장착 작업은 각각 별도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트림 공정(S1)은 전자 후자의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Door removal can be performed at a previous stage in a separate space from the installation work of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door removal and interior/exterior material installation can be performed on one line, but if necessary, door removal and interior/exterior material installation can be performed in separate spaces. The trim process (S1) includes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cases.

샤시 공정(S2)에서 차량의 구동 및 주행을 위한 모듈들, 부품들이 차체에 장착된다. 내연기관의 경우 예로서 파워트레인, 현가장치, 휠, 타이어, 브레이크 시스템 등이 차체에 장착된다. 전기차의 경우, 구동모터, 배터리가 파워트레인은 대신 장착될 것이다. 이들 부품은 비교적 부피가 크고 중량물로서 주로 차체 하부에서 장착되며, 이를 위해 샤시 공정(S2)에서 오버헤드 컨베이어가 사용된다.In the chassis process (S2), modules and parts for driving and driving the vehicle are installed on the car body. In the 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example, a powertrain, suspension, wheels, tires, brake system, etc. ar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n the case of electric vehicles, a drive motor and battery will be installed instead of the powertrain. These parts are relatively bulky and heavy and are main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ar body, and for this purpose, an overhead conveyor is used in the chassis process (S2).

도어 공정(S3)은 차체에서 탈거된 도어들에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 도어 트림, 그리고 윈도우, 시트히트 및 미러의 조절을 위한 스위치들, 도어 핸들 등이 장착되는 공정이다. 차체에서 탈거된 도어는 인너패널, 아웃터패널의 조립체이며, 통상 이들 패널 사이에 임팩트빔이 장착된다. 인너패널에 도어 트림이 장착된다.The door process (S3) is a process in which door modules including window regulators, door trims, switches for controlling windows, seat heat, and mirrors, and door handles are installed on doors removed from the vehicle body. The door removed from the car body is an assembly of an inner panel and an outer panel, and an impact beam is usually installed between these panels. The door trim is mounted on the inner panel.

도어 공정(S3)은 샤시 공정(S2)과 함께 한 라인에서 수행되기는 어렵다. 병목 공정을 없애고 전체적인 공정 효율의 향상을 위해, 도어 공정(S3)은 샤시 공정(S2)이 수행되는 동안 병행 수행된다. 이 병행 수행을 위해 도어 공정(S3)과 샤시 공정(S2), 그리고 다음의 완성 공정(S4)이 서로 효율적으로 연계되고 수행될 수 있도록 조립 라인과 작업 스케쥴이 설계, 관리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한 실시예는 후술된다.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door process (S3) on the same line as the chassis process (S2). To eliminate bottleneck processes and improve overall process efficiency, the door process (S3) is performed in parallel while the chassis process (S2) is performed. For this parallel performance, the assembly line and work schedule need to be designed and managed so that the door process (S3), the chassis process (S2), and the next completion process (S4) can be efficiently linked and performed. Example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완성 공정(S4)에서 시트, 프론트 및 리어 범퍼, 도어 공정(S3)을 거친 도어, 윈도우 등이 차체에 장착되며, 차량 조립이 완성된다. 램프류, 타이어 등이 앞선 공정들(S1,S3)에서 차체에 장착되었으나 이들 부품은 완성 공정(S4)에서 차체에 장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작업환경, 차종, 기업마다의 업무매뉴얼 등에 따라 부품들의 조립 순서가 여려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In the completion process (S4), the seats, front and rear bumpers, doors and windows that have gone through the door process (S3) are installed on the car body, and vehicle assembly is completed. Lamps, tires, etc. were installed on the car body in the previous processes (S1, S3), but these parts can be installed on the car body in the completion process (S4). In addition, parts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vehicle model, and each company's work manual, etc. It needs to be understood that the order can be changed in many ways.

검사 공정(S5)에서 완성 공정(S4)을 거쳐 조립이 완료된 완성차의 각종 전장부품, 기계부품, 유니트 등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가 검수된다.From the inspection process (S5) to the completion process (S4), it is inspected whether various electrical parts, mechanical parts, units, etc. of the assembled vehicle are operating properly.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조립 라인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플랫폼(100)을 보여준다. 조립 라인은 트림 라인(1), 샤시 라인(2), 도어 라인(3) 및 완성 라인(4)을 포함한다. 이동 플랫폼(100)은 차량 조립을 위해 차체를 그 위에 싣고 라인들(1~4) 간을 이동한다.Figure 2 shows the arrangement of an assembly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and 4 show a mobile platfor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ssembly line includes a trim line (1), a chassis line (2), a door line (3), and a completion line (4). The mobile platform 100 moves between lines 1 to 4, carrying a car body thereon for vehicle assembly.

도 2를 참조하면, 트림 공정(S1), 샤시 공정(S2), 도어 공정(S3) 및 완성 공정(S4)이 각각 트림 라인(1), 샤시 라인(2), 도어 라인(3) 및 완성 라인(4)에서 수행된다. 이들 조립 라인(1~4)의 배치를 살펴본다.Referring to Figure 2, the trim process (S1), chassis process (S2), door process (S3), and completion process (S4) are respectively trim line (1), chassis line (2), door line (3), and completion. This is done at line (4). Let's look at the arrangement of these assembly lines (1 to 4).

도장이 완료된 차체는 트림 라인(1)으로 이송되어 온다. 이 이송에는 이동 플랫폼(100)이 이용되거나 또는 다른 이송체가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다수 이동 플랫폼(100)이 트림 라인(1), 샤시 라인(2), 도어 라인(3) 및 완성 라인(4)을 순환하며, 도장 공정을 마친 차체는 옮겨져 와서 순환하는 이동 플랫폼(100) 상에 로딩된다. 하나의 예로서, 차체는 트림라인(1) 전단(upstream)에서, 또는 완성 라인(4)과 트림 라인(1)의 사이 어디에서 이동 플랫폼(100) 상에 로딩된다.The painted car body is transported to the trim line (1). The mobile platform 100 may be used for this transfer, or another transport vehicle may be used. As a preferred example, multiple mobile platforms 100 circulate through the trim line 1, chassis line 2, door line 3, and completion line 4, and the car body that has completed the painting process is moved and circulated. It is loaded onto the mobile platform 100. As one example, the car body is loaded onto the mobile platform 100 upstream of the trim line 1, or somewhere between the completion line 4 and the trim line 1.

이동 플랫폼(100)은 이동 라인(10)을 따라 트림 라인(1), 도어 라인(3) 및 완성 라인(4)을 순환한다. 이동 라인(10)은 트림 라인(1)과 도어 라인(3)을 잇는 제1 라인(11), 도어 라인(3)에서 완성 라인(4)을 잇는 제2 라인(12), 그리고 완성 라인(4)과 트림 라인(1)을 잇는 제3 라인(13)을 포함한다. 제1 라인(11)에 중간 정도에 제1 지점(P1)이 배치되고, 제2 라인(12,14)의 중간 정도에 제2 지점(P2)가 배치된다.The moving platform 100 circulates along the moving line 10 through the trim line 1, the door line 3, and the completion line 4. The moving line 10 includes a first line 11 connecting the trim line 1 and the door line 3, a second line 12 connecting the door line 3 to the completion line 4, and a completion line ( 4) and a third line (13) connecting the trim line (1). A first point P1 is dispos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first line 11, and a second point P2 is dispos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second lines 12 and 14.

샤시 라인(2)에서 차체는 오버헤드 라인(20)을 따라 이송된다. 오버헤드 라인(20)은 이동 라인(10)의 제1 지점(P1)에서 샤시 라인(2)으로 이어지는 제1 오버헤드 라인(20), 샤시 라인(2)에서 제2 지점(P2)으로 이어지는 제2 오버헤드 라인(22), 그리고 제2 지점(P2)에서 제1 지점(P1)으로 이어지는 제3 오버헤드 라인(23)을 포함한다. 제1 지점(P1)에서 이동 플랫폼(100) 상의 차체가 제1 오버헤드 라인(21)으로 옮겨져 샤시 라인(2)으로 진입되며, 제2 지점(P2)에서 제2 오버헤드 라인(22)으로부터 다시 이동 플랫폼(100)으로 차체가 옮겨진다. 오버헤드 라인(20)은 오버헤드 컨베이어, 그리고 차체의 픽업 및 홀딩을 위한 행거를 구비한다. 다수의 행거가 오버헤드 라인(20)을 순환한다.In the chassis line (2), the car body is transported along the overhead line (20). The overhead line 20 is a first overhead line 20 extending from a first point P1 of the moving line 10 to the chassis line 2, and a first overhead line 20 extending from the chassis line 2 to the second point P2. It includes a second overhead line 22, and a third overhead line 23 extending from the second point P2 to the first point P1. At a first point (P1), the car body on the mobile platform (100) is moved to the first overhead line (21) and enters the chassis line (2), and at a second point (P2) from the second overhead line (22). The vehicle body is moved back to the mobile platform 100. The overhead line 20 is equipped with an overhead conveyor and a hanger for picking up and holding the car body. A number of hangers circulate the overhead line 20.

도 2를 참조하여 트림 라인(1), 샤시 라인(2), 도어 라인(3) 및 완성 라인(4)을 따라서 수행되는 차량 조립의 예를 살펴본다.Referring to FIG. 2, let's look at an example of vehicle assembly performed along the trim line (1), chassis line (2), door line (3), and completion line (4).

도장 완료된 차체가 이동 라인(10)을 따라 순환하는 이동 플랫폼(100) 위에 얹혀져 트림 라인(1)으로 진입한다. 이동 플랫폼(100)의 위치가 추적되고, 생산관리시스템(이하 'MES')에 의해 LOT 추적 및 자동화된 생산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동 플랫폼(100)이 각 조립 라인(1~4)에 진입하면, 차체에 부착된 태그 등을 이용하여 MES에 해당 차체 정보가 입력된다. MS는 각 조립 라인(1~4) 배치된 모니터에 작업지시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작업지시서에 따라 작업자들의 조립 작업이 수행된다.The painted car body is placed on the moving platform 100 that circulates along the moving line 10 and enters the trim line 1. The location of the mobile platform 100 is tracked, and LOT tracking and automated production management are performed by 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S'). When the mobile platform 100 enters each assembly line 1 to 4, the corresponding vehicle body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ES using tag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MS displays work instructions on monitors placed on each assembly line (1 to 4), and workers perform assembly work according to the work instructions.

작업자들은 전공정 또는 거의 전공정의 조립 작업들을 수행한다. 예로서 이동 플랫폼(100)에 4명의 작업자가 1조로 배치되며, 이들 4명의 작업자는 이동 플랫폼(100)과 함께 이동하면서 트림 라인(1), 도어 라인(3) 및 완성 라인(4)에서 필요한 조립 작업들을 수행한다. 작업자들은 이동 플랫폼(100)을 타고 이동하거나, 라인들(1~4) 간의 거리가 길지 않다면 도보로 이동하기도 할 것이다. 효율성 증대를 위해 샤시 공정(S2)과 도어 공정(S3)이 병행 수행된다. 예로서 샤시 공정(S2)은 별도 배속된 4명의 전속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고, 도어 라인(3)의 작업은 이동 플랫폼(100)과 함께 이동하는 작업자들에 의해 수행된다. 작업자들의 수, 공정별 배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Workers perform all or nearly all assembly tasks. As an example, four workers are plac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as a group, and these four workers move with the mobile platform 100 and perform the necessary tasks at the trim line (1), door line (3), and completion line (4). Perform assembly tasks. Workers may move on the mobile platform 100 or on foo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s 1 to 4 is not long. To increase efficiency, the chassis process (S2) and the door process (S3) are performed in parallel. As an example, the chassis process (S2) is performed by four separately assigned workers, and the work on the door line (3) is performed by workers who move with the moving platform (100). The number of workers, placement for each process, etc.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needed.

종래 컨베이어 타입 생산방식과는 달리,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들은 완성차 조립의 거의 전과정을 수행한다. 종래의 경우, 계속되는 동일 작업의 반복으로 인한 작업자들의 집중력이 저하가 문제되었다. 실시예의 경우, 매뉴얼화된 작업지시, 작업자들에 대한 단계별 생산 교육, 마스터 인증제도운영 등을 통해 품질관리 및 생산의욕의 고취가 가능하다. 작업자들은 거의 전 조립공정을 수행하므로, 작업 만족도, 완성차의 품질에 대한 의욕이 높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소량씩의 다차종 생산에 대응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들의 축소, 업무변경이나 추가배치 없이, 생산수량의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conveyor-typ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orkers perform almost the entire process of assembling a finished vehicle.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problem was that workers' concentration decreased due to continuous repetition of the same task.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quality control and production motivation can be promoted through manualized work instructions, step-by-step production training for workers, and operation of a master certification system. Because workers perform almost the entire assembly process, their work satisfaction and motivation for the quality of the finished car are high.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duce small quantities of multiple models.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production quantity without reducing workers, changing tasks, or making additional arrangements.

이동 플랫폼(100)에는 샤시 공정(S2)을 제외하고 나머지 공정들(S1,S3,S4)에서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이하에서, 달리 표현되지 않은 한, 차체에 조립될 대상을 일괄해서 부품으로 칭한다) 모두 또는 많은 부분들이 실린다. 샤시 공정(S2)에서 조립될 부품들은 대체로 부피가 크므로 이동 플랫폼(100)에 실려 이송되기보다는, 샤시 라인(2)으로 직접 물류 제공되는 것이 선호된다. 공정들(S1~S4)에서 수행될 작업용 툴들(tools) 중 일부는 이동 플랫폼(100)에 실려 이송되고, 또 일부는 각 조립 라인(1~4)에 배치된다. 생산관리를 위해 공구들(예로서 전동화된 공구들)의 위치, 사용 여부 등이 모니터링된다.The mobile platform 100 includes parts to be assembled to the car body in the remaining processes (S1, S3, and S4) except the chassis process (S2)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expressed, the parts to be assembled to the car body are collectively included). ) All or many parts are included. Since the parts to be assembled in the chassis process (S2) are generally large in volum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logistics directly to the chassis line (2) rather than being transport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Some of the work tools to be performed in the processes (S1 to S4) are transport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and some are placed on each assembly line (1 to 4). For production management, the location and use of tools (e.g., electric tools) are monitored.

공정들(S1,S3,S4)에서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은 트림 라인(1) 전에 차체와 함께 이동 플랫폼(100)에 실린다. 이 부품들은 차종에 따른 분류 표준에 따라 래크들(racks)에 나누어 담기며, 일괄 공급된다. 래크들은 적어도 일부는 이동 가능하며, 나아가 밀어서 이동 플랫폼(100)에 도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공정들(S1,S3,S4)에서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은 이동 플랫폼(100)이 트림 라인(1)에 진입한 때 이동 플랫폼(100)에 실릴 수 있다.In the processes S1, S3, and S4, parts to be assembled to the car body are load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together with the car body before the trim line 1. These parts are divided into rack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each vehicle type and supplied in bulk. At least some of the racks are movable and are configured to be pushed and dock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As another example, parts to be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in processes S1, S3, and S4 may be load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when the mobile platform 100 enters the trim line 1.

트림 라인(1)에서 대표적으로 칵픽 모듈이 차체 장착되며, 각종 배선작업 등이 수행된다. 이들 작업의 편의를 위해 미리 차체로부터 도어들이 탈거된다. 전후좌우의 4개 도어의 힌지볼트들이 차체로부터 탈거되며, 탈거된 도어들은 이동 플랫폼(100)에 마련된 도어 홀더에 적재된다.In the trim line (1), a cockpic module is typically installed on the car body, and various wiring work is performed. For the convenience of these tasks, the doors are removed from the car body in advance. The hinge bolts of the four doors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removed from the vehicle body, and the removed doors are loaded on the door holder provided on the moving platform 100.

도어들의 탈거는, 다른 예로서, 차체가 이동 플랫폼(100)에 실리기 전 단계에서 미리 수행될 수 있다. 도어들의 탈거가 조립 라인(1~4)이 갖추어진 차량 조립공장이 아닌 다른 공장에서 수행되고, 차체와 별도로 차량 조립공장으로 물류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차체, 조립될 부품들 및 탈거된 도어들이 이동 플랫폼(100)에 실려 트림 라인(1)으로 진입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moval of the doors may be performed in advance before the vehicle body is plac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Removal of the doors may be performed in a factory other than the vehicle assembly plant equipped with assembly lines (1 to 4), and may be transported to the vehicle assembly plant separately from the car body. In this case, the car body, parts to be assembled, and removed doors may be carried on the moving platform 100 and entered into the trim line 1.

트림 라인(1)에서 작업들이 완료되면, 이동 플랫폼(100)은 트림 라인(1)에서 출발하여 제1 이동라인(11)을 따라 이동한다. 트림 라인(1)의 작업자들은 이동 프랫폼(100)에 태워져 함께 이동한다. 제1 지점(P1)에서 이동 플랫폼(100) 위의 차체는 샤시 공정(S2)를 위해 오버헤드 라인(20)으로 옮겨진다. 하나의 예로서 오버헤드 라인(20)의 행거는 시저 타입으로 구성된다. 차체는 행거에 의해 픽업되어 제1 오버헤드 라인(21)을 따라 이송되어, 샤시 라인(2)으로 진입된다.When the work is completed at the trim line (1), the mobile platform 100 starts from the trim line (1) and moves along the first movement line (11). Workers on the trim line (1) are transported together on the mobile platform (100). The car body on the mobile platform 100 at the first point P1 is transferred to the overhead line 20 for chassis processing S2. As an example, the hanger of the overhead line 20 is configured as a scissor type. The car body is picked up by a hanger and transported along the first overhead line 21, and enters the chassis line 2.

샤시 라인(2)에서 차량의 구동 및 주행을 위한 부품들이 장착된다. 대표적으로는 파워트레인, 현가장치이다. 전기차의 경우 구동모터, 배터리일 것이다. 이들을 구동계 부품으로 지칭한다. 샤시 라인(2)에 별도 배속된 4명의 전속 작업자가 작업지시서에 따라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한다. 샤시 라인(2)에서 브레이크 시스템, 휠, 타이어 등도 차체에 장착된다.In the chassis line (2), parts for driving and running the vehicle are installed. Representative examples are powertrain and suspension system.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it would be a drive motor and battery. These are referred to as drivetrain components. Four dedicated workers separately assigned to the chassis line (2) perform the necessary work according to work instructions. In the chassis line (2), the brake system, wheels, tires, etc. are also installed on the car body.

제1 지점(P1)에서 차체가 언로딩된 이동 플랫폼(100)은 제1 이동라인(11)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 라인(3)으로 진입한다. 트림 라인의 작업자들은 이동 플랫폼(100)을 타고 도어 라인(3)으로 이동한다.The mobile platform 100 with the car body unloaded at the first point P1 moves along the first movement line 11 and enters the door line 3. Workers on the trim line move to the door line (3) on the moving platform (100).

도어 라인(3)에서 이동 플랫폼(100)의 도어 홀더에 보관된 도어들에 대표적으로 도어 모듈이 장착된다. 이외에도 도어 라인(3)에서 도어 트림, 각종 스위치들, 도어 핸들 등이 도어에 조립된다. 도어 홀더는 도어의 보관은 물론 도어 모듈 등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어 홀더는 도어가 놓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도어 홀더는 접고 펼치거나, 세로축을 중심으로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Door modules are typically mounted on doors stored in door holders of the mobile platform 100 in the door line 3. In addition, door trim, various switches, door handles, etc. are assembled to the door in the door line (3). The door holder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the door as well as the installation of door modules, etc. For this purpose, the door holder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door is placed. For example, a door holder can be folded and unfolded, or its angle can be adjusted around a vertical axis.

도어 공정(S3)은 샤시 공정(S2)과 병행 진행된다. 이 병행 진행은 제1 지점(P1)에서 차체를 샤시 라인(2)으로 넘겨준 이동 플랫폼(100)이 제2 지점(P2)에서 해당 차체를 다시 넘겨 받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어 라인(3)에서의 작업 시간과 샤시 라인(2)의 작업 시간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도어 공정(S3)은 샤시 공정(S2)과 병행 진행은 반드시 정확히 동시적, 1:1 매칭적이지 않을 수 있다.The door process (S3) is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chassis process (S2). This parallel progress aims for the mobile platform 100, which handed over the car body to the chassis line 2 at the first point (P1), to hand over the car body again at the second point (P2). Considering that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working time in the door line (3) and the working time in the chassis line (2), the door process (S3) must be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chassis process (S2) at exactly the same time, 1 :1 It may not be matching.

다른 하나의 예로서, 샤시 라인(2)의 작업들은 이동 플랫폼(100)과 함께 이동하던 작업자들(트림 라인의 작업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라인(3)에 도어 공정(S3)을 위한 전속 작업자들이 배치된다. 또 다른 예로서, 샤시 라인(2) 및/또는 도어 라인(3)에 일부의 전속 작업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동 플랫폼(100)과 함께 이동하던 작업자들의 일부는 샤시 공정(S2)을 수행하고, 나머지 일부는 이동 플랫폼(100)과 함께 이동하여 도어 공정(S3)을 수행할 수 있다. 차종에 따른 공정별 작업량 변동 등에 따라 유연하게 작업자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샤시 공정(S2)에서 차체에 조립되는 부품들은 주행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작업자들의 배치에 이들의 숙련도가 고려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jobs on the chassis line 2 may be performed by workers (trim line workers) who move with the moving platform 100. In this case, exclusive workers for the door process (S3) are placed on the door line (3). As another example, some dedicated workers may be placed on the chassis line 2 and/or the door line 3. Some of the workers moving with the mobile platform 100 may perform the chassis process (S2), and the remaining part may move with the mobile platform 100 to perform the door process (S3). Workers can be flexibly assigned according to changes in workload for each proces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Since parts assembled to the car body in the chassis process (S2) can affect driving safety, their skills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ssigning workers.

도어 라인(3)에서 작업들이 완료되면, 이동 플랫폼(100)은 제2 이동라인(12)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지점(P2)에서 대기한다. 작업자들은 이동 플랫폼(100)과 함께 이동한다.When tasks are completed in the door line 3, the mobile platform 100 moves along the second mobile line 12 and waits at the second point P2. Workers move with the mobile platform 100.

샤시 라인(2)에서 작업들이 완료되면, 차체는 제2 오버헤드 라인(22)을 따라 이송된다. 제2 지점(P2)에서 차체는 대기하고 있던 이동 플랫폼(100) 위에 옮겨진다. 차체를 홀딩하고 있던 행거가 하방향 펼쳐지고 차체가 이동 플랫폼(100) 위에 로딩된다. 차체가 실린 이동 플랫폼(100)은 제2 이동라인(12)을 따라 이동하여 완성 라인(4)에 진입한다. 제2 지점(P2)의 행거는 제1 지점(P1)으로 이동하여, 트림 라인(1)을 통과한 이동 플랫폼(100) 상의 차체를 픽업하여 샤시 라인(2)으로 이송한다.Once the work on the chassis line (2) is completed, the car body is transported along the second overhead line (22). At the second point (P2), the vehicle body is moved onto the waiting mobile platform (100). The hanger holding the car body is unfolded downward and the car body is loaded onto the moving platform 100. The mobile platform 100 carrying the car body moves along the second movement line 12 and enters the completion line 4. The hanger at the second point (P2) moves to the first point (P1), picks up the car body on the mobile platform (100) that has passed the trim line (1), and transfers it to the chassis line (2).

완성 라인(4)에서, 도어 라인에서 작업 완료되어 도어 홀더에 보관된 도어들이 차체에 조립된다. 도어들의 조립 전, 시트가 차체 실내에 조립된다. 이외에도 범퍼, 윈도우, 실내 트림 등이 차체에 조립된다.In the completion line 4, the doors that have been completed on the door line and stored in the door holders are assembled into the car body. Before assembling the doors, the seat is assembled inside the vehicle body. In addition, bumpers, windows, interior trim, etc. are assembled into the car body.

완성 라인(4)까지 조립 작업이 최종 완료되어 얻어진 완성차에 대해 검사 공정(S5)이 수행된다. 완성 라인(4)에서 완성차를 싣고 있던 이동 플랫폼(100)이 검사 공정(S5)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원활한 검사 공정(S5)의 수행 및 조립 라인의 물류를 위해, 완성차는 다른 이송체로 옮겨져 검사 공정(S5)을 위해 이동한다. 예로서, 제3 이동라인(13)의 제3 지점(P3)에서 이동 플랫폼(100) 상의 완성차가 언로딩되며, 제4 지점(P4)에서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이 이동 플랫폼(100)에 적재된다. 다수의 이동 플랫폼(100)이 이동 라인(10)을 순환하므로, 제4 지점(P4)에는 차체, 부품들이 로딩된 이동 프랫폼(100)이 트림 라인(1)으로의 진입 대기 중일 수 있다.An inspection process (S5) is performed on the finished vehicle obtained after the assembly work is finally completed up to the completion line (4). The mobile platform 100 carrying the finished vehicle in the completion line 4 may be moved for the inspection process (S5). However, for smooth performance of the inspection process (S5) and logistics of the assembly line, the finished vehicle is transferred to another transport vehicle and moved for the inspection process (S5). For example, the finished car on the mobile platform 100 is unloaded at the third point P3 of the third mobile line 13, and the parts to be assembled into the car body are load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at the fourth point P4. do. Since a plurality of mobile platforms 100 circulate in the mobile line 10, the mobile platform 100 loaded with the car body and parts may be waiting to enter the trim line 1 at the fourth point P4.

도 3 및 도 4에는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플랫폼(100)이 도시되어 있다.3 and 4 show a mobile platfor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플랫폼(100)은 무인운반차(ASV)에 실려져 이동하거나, 무인운반차(ASV)에 의해 견인 이동될 수 있다. 이동 플랫폼(100) 자체에 구동계가 구비될 수 있겠으나, 비용 경제성, 무인운반차(ASV)의 활용도 증대를 고려할 때, 자체 구동계 구비는 비선호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mobile platform 100 may be moved by being carried on an automated guided vehicle (ASV), or may be towed and moved by an automated guided vehicle (ASV). The mobile platform 100 itself may be equipped with a drive system, but considering cost economics and increased utilization of autonomous guided vehicles (ASVs), providing its own drive system is not preferred.

이동 플랫폼(100)의 플로어(101) 중앙에 차체 로딩부(102)가 배치된다. 로딩부(102)는 차체가 부분적으로 구속되거나, 또는 그 위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로딩부(102)에 놓인 차체는 플로어(101)에 전면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어느 정도 띄워져 있다.The vehicle body loading unit 102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loor 101 of the mobile platform 100. The loading unit 102 is configured to partially restrain the vehicle body or stably support it. The car body placed on the loading unit 102 does not entirely contact the floor 101 but floats to some extent.

이동 플랫폼(100)의 네모서리 부위에 도어 홀더(41)가 배치된다. 도어 홀더(41)는 도어의 보관, 도어 모듈 등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도어 홀더(41)는 랙 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구성되거나,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door holder 41 is disposed at a square corner of the mobile platform 100. The door holder 41 is configured to facilitate storage of the door and installation of a door module. For example, the door holder 41 is configured to be unfolded and folded using a rack and pinion structure, or configured to be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이동 플랫폼(100)의 후단과 양측단에 래크들(31,32)이 배치된다.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은 효율적인 조립을 위해 그루핑되고 키트박스들(33,34)에 나뉘어 보관된다. 키트박스들(33,34)은 래크(31,32)의 선반에 안착된다. 작업자들은 작업 내용에 따라 필요한 키트박스(33,34)를 인출하여 해당 키트박스에 보관된 부품들 차체에 조립한다.Racks 31 and 32 are disposed at the rear end and both ends of the mobile platform 100. The parts to be assembled to the car body are grouped and stored in kit boxes 33 and 34 for efficient assembly. The kit boxes 33 and 34 are mounted on the shelves of the racks 31 and 32. Workers pull out the necessary kit boxes (33, 34) according to the work details and assemble the parts stored in the kit boxes into the car body.

래크들(31,32)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도킹 타입(docking type)으로 구성된다. 이동 플랫폼(100)의 양측단에 배열된 래크(31)는 도킹 타입이다. 이 도킹 타입의 래크(31)는 이동 가능하며, 작업자가 래크(31)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이동 플랫폼(10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도킹 타입 래크(31)는 바퀴(31)을 가지며, 이 바퀴(31)가 달린 레그가 접이식으로 구성된다. 도킹 타입 래크(31)를 밀어 이동 플랫폼(100)에 부딪히면, 레그가 접히고 래크(31)가 플로어(101) 위에 안착된다.At least some of the racks 31 and 32 are movable and are preferably of a docking type. The racks 31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mobile platform 100 are of the docking type. This docking type rack 31 is movable and is configured so that an operator can push the rack 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lace it on the mobile platform 100. As an example, the docking type rack 31 has wheels 31, and the legs with the wheels 31 are foldable. When the docking type rack 31 is pushed and hits the mobile platform 100, the legs are folded and the rack 31 is seated on the floor 101.

부품들이 적재된 도킹 타입의 래크(31) 여러 개가 트림 라인(1)의 주변 어딘가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트림 공정(S1)의 시작 시점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이들 래크(31)에 부품들이 적재될 수 있다. 이동 플랫폼(100) 후단의 래크(32)는 이동 플랫폼(100)에 단순 안착되는 고정 타입이다. 여러 공정(S1~S4)에서 필요하거나, 비교적 큰 단위로 묶음 분류되기 어려운 부품들 등이 필요에 따라 고정 타입 래크(32)에 적재될 수 있다. 고정 타입 래크(100)은 캐리어에 실려져 이동 플랫폼(100)에 안착될 수 있다.Several docking type racks 31 loaded with parts may be stored somewhere around the trim line 1, and parts may be loaded into these racks 31 in real time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of the trim process (S1). You can. The rack 32 at the rear end of the mobile platform 100 is a fixed type that is simply seat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Parts that are needed in various processes (S1 to S4) or that are difficult to group and sort into relatively large units can be loaded on the fixed type rack 32 as needed. The fixed type rack 100 may be carried on a carrier and placed on the mobile platform 100.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고,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과 특징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실시예들에서 소개된 특징들 또는 요소들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에 의해 본 문서에서는 미처 설명되지 못한 또 다른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these embodiments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atures or elements introduced in thes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and such combinations may provide another embodiment that has not yet been described in this document.

보호하고자 하는 발명의 범위가 청구항들에 기재된다. 청구항에 기재된 요소는, 발명의 본질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되고 등가물로 대체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도면부호들은, 만일 기재되어 있다면, 청구된 발명들이나 그 요소들에 대한 쉽고 그리고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청구된 발명들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sought to be protected is set forth in the claims.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may be variously changed, modified, and replaced with equival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ce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claims, if provided,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and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claimed inventions or their ele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claimed inventions.

1: 트림 라인 2: 샤시 라인
3: 도어 라인 4: 완성 라인
10: 이동 라인 20: 오버헤드 라인
31,34: 래크 32,33: 키트박스
41: 도어 홀더 100: 이동 플랫폼
1: Trim line 2: Chassis line
3: Door line 4: Finish line
10: moving line 20: overhead line
31,34: Rack 32,33: Kit box
41: door holder 100: mobile platform

Claims (4)

트림 라인, 샤시 라인, 도어 라인 및 완성 라인을 포함하는 조립 라인;
상기 트림 라인, 도어 라인 및 완성 라인을 순환 이동하며, 차체 및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이 실릴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 플랫폼; 및
상기 트림 라인과 도어 라인 사이의 제1 지점, 도어 라인과 완성 라인 사이의 제2 지점 및 샤시 라인을 잇는 순환형 오버헤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에서 트림 라인을 통과한 이동 플랫폼 상의 차체가 오버헤드 라인으로 이송되며, 제2 지점에서 오버헤드 라인 상의 차체가 이동 플랫폼으로 이송되고,
상기 이동 플랫폼과 함께 작업자들이 조립 라인을 이동하면서 래크에 적재된 부품들을 차체에 조립하며, 샤시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과 도어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이 병행 진행되는 차량 조립 시스템.
Assembly line including trim line, chassis line, door line and completion line;
a moving platform configured to move circularly through the trim line, door line, and completion line, and to load the vehicle body and parts to be assembled into the vehicle body; and
a circular overhead line connecting a first point between the trim line and the door line, a second point between the door line and the completion line, and a chassis line;
The car body on the mobile platform that has passed the trim line at the first point is transferred to the overhead line, and the car body on the overhead line is transferred to the mobile platform at the second point,
A vehicle assembly system in which workers move along the assembly line with the mobile platform and assemble parts loaded on racks into the vehicle body, and assembly work on the chassis line and assembly work on the door line are carried out in parall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랫폼은 차체 로딩부, 차체에 조립될 부품들이 적재되는 래크 및 차체에서 탈거된 도어가 보관되는 도어 홀더를 구비하는 차량 조립 시스템.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platform includes a vehicle body loading unit, a rack on which parts to be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are loaded, and a door holder for storing a door removed from the vehicle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이동 가능하며, 수평 방향 밀어서 이동 플랫폼 상에 도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 조립 시스템.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ack is movable and configured to be docked on a moving platform by push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홀더는 도어의 보관, 탈거 및 도어에의 부품들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도어가 놓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 조립 시스템.The vehicl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oor holder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at which the door is placed to facilitate storage and removal of the door and assembly of parts to the door.
KR1020220049349A 2022-04-21 2022-04-21 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 KR202301499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349A KR20230149977A (en) 2022-04-21 2022-04-21 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349A KR20230149977A (en) 2022-04-21 2022-04-21 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977A true KR20230149977A (en) 2023-10-30

Family

ID=8855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349A KR20230149977A (en) 2022-04-21 2022-04-21 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97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9792B (en) High density welding subassembly machine
Shimokawa et al. Transforming automobile assembly: experience in automation and work organization
JP4262605B2 (en) Assembly plant for assembling industrial products
US20190391563A1 (en) Additive manufacturing-enabled platform for modular construction of vehicles using definition nodes
CN104097712A (en) Automated front-end module assembly and delivery line
CZ35703U1 (en) Production set for flexible automatic exchange of clamping devices
KR20230149977A (en) Automotive Vehicle Assembly Syetem
Bozkurt et al. Innovative logistics concepts for a versatile and flexible manufacturing of lot size one
CA2753071C (en) Flexible assembly process
KR101495612B1 (en) Auto sequences apparatus using AGV
KR102606091B1 (en) Layout For An Vehicle Body Assembly Process
CN117622355A (en) Vehicle production line and vehicle production method
KR102358257B1 (en) Vehicle Body Assembly System
Webster Flexible manufacturing for a future with mixed materials
US20230135613A1 (en) Product Integrated Manufacturing of Emission Free Vehicles
CN220884615U (en) Island region for manufacturing whole vehicle
Hsieh et al. Assembly Automation in Europe-Past Experience and Future Trends
Diffner et al. Flexibility challenges in automotive assembly, an approach to stay competitive
Roth Flexible boxes replace rigid production lines
Kochan GM creates flexible assembly line at its Ellesmere Port plant in the UK
JP3397434B2 (en) Painting equipment for vehicle parts
Kusuda IDEC's robot‐based cellular production system: a challenge to automate high‐mix low‐volume production
Cottrill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in high production environments
Kochan Ford‐Valencia: just in time and just on site
JPS6121870A (en) Car assembly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