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751A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s using ar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s using ar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751A
KR20230149751A KR1020230051785A KR20230051785A KR20230149751A KR 20230149751 A KR20230149751 A KR 20230149751A KR 1020230051785 A KR1020230051785 A KR 1020230051785A KR 20230051785 A KR20230051785 A KR 20230051785A KR 20230149751 A KR20230149751 A KR 2023014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data
occupation
learner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다움커리어주식회사
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움커리어주식회사, 박성훈 filed Critical 다움커리어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4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75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축적된 학습자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유형을 분석하고, 진로적성진단검사 시 발생하는 학습자의 이상반응과 비정형적 반응을 최소화하는 작업과, 학습자의 선호도가 낮은 직업을 최소화하는 직업 선별 작업을 각각 거치고, 유형 및 계열에 따라 분류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선택률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함으로써 만족도 높은 유형별 직업 추천이 가능하고, 학습자의 유형별 선호도를 기준으로 직업을 분류 및 군집화하여 직업을 추천하고, 학습자의 선호도가 낮은 직업을 최소화하는 직업 선별 작업을 거침으로써 유형별 단순 교집합으로 불필요하게 방대한 직업 추천을 방지하는데 있다.
일례로,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를 통해 임시 추천한 직업데이터 중 학습자가 선택한 관심직업데이터,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코드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별 학습자의 직업 및 학과를 추천하는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심직업데이터에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고,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고,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클러스터에 빈도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되,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직업 및 학과 추천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blem to be solved is a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and career/advanced education by type for a large number of learners. Through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ontent services, we utilize the learner data accumulated to analyze the type of learner, minimize the learner's adverse reactions and atypical reactions that occur during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and identify jobs with low preference by the learner. By going through the job selection process to minimize each job and clustering the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type and series based on the learner's selection rat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jobs by type with high satisfaction, and by classifying and clustering jobs based on the learner's preference by type. The aim is to prevent unnecessarily extensive job recommendations through a simple intersection of types by recommending jobs and going through job selection to minimize jobs with low learner preferences.
For example, data on occupations of interest selected by the learner among job data temporarily recommended through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s for each type, and codebook data containing keywords entered by the learn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career/advanced education content, It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program that recommends occupations and departments. It constructs a weight DB for each occupation by assigning weights to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and stores the weight DB for each occupation. An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unit that constructs an occupation cluster DB by clustering the data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are collected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s,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to construct a keyword cluster DB, and the clusters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that constructs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weights; A learner data analysis unit that collects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th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of individual learners, and derives career aptitude type data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And an occupation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job clusters containing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among the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and finally recommends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Disclosed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Description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S USING AR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학생 또는 취업 준비생들은 자신들의 진로나 직업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한다. 예를 들면, 어떤 학과나 직업이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그리고, 어울리는 직업을 가지기 위해서는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Generally, students or job seekers worry a lot about their career path or job. For example, you worry about which department or job is right for you and which department you should choose to get the job that suits you.

이런 경우 대부분 막연히 학교 선생님과 부모 및 친구들이랑 이야기 나누지만 뚜렷한 해답을 찾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학생이나 취업 준비생들은 자신의 성적과 학교 선호도 및 적성을 고려하여 임의적으로 판단하거나, 는 경우가 많다. In most cases like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found with a clear answer, although we vaguely talk about it with school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Therefore, most students or job seekers often make decisions arbitrarily, considering their grades, school preferences, and aptitude.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학생부 정보에 기초하여 학생들에게 어울리는 직업과 해당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 진학할 대학교의 학과를 자동으로 추천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automatically recommend jobs that suit students based on student record information and the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they wish to attend when selecting that job.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직업 추천 서비스는 진단검사를 통한 학습자의 유형을 분석하여 유형에 따른 직업의 단순 합집합에 해당하는 직업군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n this regard, the conventional job recommendation service analyzes the learner's type through a diagnostic test and provides a service that recommends a job group that is a simple union of jobs according to typ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직업 추천 서비스는 다중지능, 흥미, 가치관, 성격 등의 유형의 직업 데이터를 단순 합집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방대한 직업이 추천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job recommendation service has the problem of recommending an unnecessarily large number of jobs by providing a simple union of job data such as multiple intelligences, interests, values, and personality.

또한, 종래의 직업 추천 서비스는 진로 성숙도가 낮은 학습자의 검사 결과에 대해서는 신뢰도가 낮아 직업 추천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문항 내용을 제대로 읽지 않고 응답하거나, 무선적으로 응답하는 대상자의 이상 반응 경향 혹은 비전형적인 반응 경향을 탐지하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job recommendation service has low reliability for the test results of learners with low career maturity, so the accuracy of job recommendations is inevitably lowered, and subjects who answer without properly reading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or respond randomly tend to have abnormal reactions. Alternatively, there are limitations in detecting atypical response tendencies.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486호(공개일자: 2016년03월08일)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5486 (Publication date: March 8, 2016)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3953호(공개일자: 2021년12월20일)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53953 (Publication date: December 20, 2021)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2596호(공개일자: 2015년10월07일)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2596 (Publication date: October 7, 2015)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0624호(공개일자: 2018년08월13일)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0624 (Publication Date: August 13, 20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축적된 학습자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유형을 분석하고, 진로적성진단검사 시 발생하는 학습자의 이상반응과 비정형적 반응을 최소화하는 작업과, 학습자의 선호도가 낮은 직업을 최소화하는 직업 선별 작업을 각각 거치고, 유형 및 계열에 따라 분류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선택률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함으로써 만족도 높은 유형별 직업 추천이 가능하고, 학습자의 유형별 선호도를 기준으로 직업을 분류 및 군집화하여 직업을 추천하고, 학습자의 선호도가 낮은 직업을 최소화하는 직업 선별 작업을 거침으로써 유형별 단순 교집합으로 불필요하게 방대한 직업 추천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type of learner by utilizing learner data accumulated through the process of conducting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s and career/advanced education content services by type for a large number of learners, and when performing a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Satisfaction satisfaction by going through the task of minimizing the learner's adverse reactions and atypical reactions that occur and the job selection task of minimizing jobs with low learner preference, and clustering the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type and series based on the learner's selection rat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jobs by high type, recommend jobs by classifying and clustering jobs based on the learner's preference by type, and go through a job selection process to minimize jobs with low learner preference, thereby recommending an unnecessarily large number of jobs by simple intersection by type. Provi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prev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는,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를 통해 임시 추천한 직업데이터 중 학습자가 선택한 관심직업데이터,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코드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별 학습자의 직업 및 학과를 추천하는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심직업데이터에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고,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고,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클러스터에 빈도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되,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직업 및 학과 추천부를 포함한다.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job data of interest selected by the learner among job data temporarily recommended through a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for each type, and career path. /This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program that recommends an individual learner's occupation and department based on code book data containing keywords entered by the learn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and the learner's occupation data of interest An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unit that constructs an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by assigning weights based on the occupation preference, and constructs an occupation cluster DB by clustering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are collected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s,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to construct a keyword cluster DB, and the clusters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that constructs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weights; A learner data analysis unit that collects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th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of individual learners, and derives career aptitude type data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And an occupation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job clusters containing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among the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and finally recommends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Includes.

또한,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는, 상기 관심직업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을 수행하여 직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직업데이터의 수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로 간주하고, 해당 직업선호도에 따라 학습자의 관심직업 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는 직업별 가중치 생성부; 및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K-평균 클러스터링을 통해 직업선호도가 유사한 그룹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unit collects occupation data by performing web crawling based on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considers the number of collected occupation data as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and determines the learner's interest according to the occupation preference. A weight generation unit for each occupation that assigns weights for each occupation to build a weight DB for each occupation; and an occupation cluster generator that constructs the occupation cluster DB by classifying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into groups with similar occupation preferences through K-means clustering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또한,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는,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는 제1 입력키워드 수집부; 상기 제1 입력키워드 수집부를 통해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빈도수에 따라 입력키워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부; 및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키워드 클러스터의 빈도수에 따라 각 키워드 클러스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includes a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s; An input keyword cluster performing unit that determines the frequency of input keywords collected by career aptitude type through the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and constructs a keyword cluster DB by performing clustering on the input keyword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frequency; and an input keyword weight generator that constructs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a weight to each keyword clus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word cluster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또한,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는,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는 제2 입력키워드 수집부; 및 상기 제2 입력키워드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유형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er data analysis unit includes a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And it may include a learner type analysis unit that derives career aptitude type data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keyword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또한, 상기 직업 및 학과 추천부는,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도출된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에서 대립흥미유형의 직업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를 제거하는 대립흥미유형 제거부;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가 제거된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는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부; 및 상기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부를 통해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에 대하여 개별 학습자로부터 관심직업을 선택 받는 경우, 관심직업으로 선택된 직업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거나, 관심직업에 대한 선택을 받지 못한 경우,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상이한 경우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고,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차선의 가중치를 갖는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includes a conflicting interest type removal unit that extracts an occupation of a conflicting interest type from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derived through the learner data analysis unit and removes the extracted conflicting interest type occupation data; a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a job cluster includ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from which 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job data has been removed among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And when an occupation of interest is selected by an individual learner for an occupation cluster recommended through the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unit, a preset weight is given to the occupation selected as the occupation of interest, and then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occupation clusters are collected. If you are not selected for the final recommendation or job of interest, or if you take the career aptitude test again and th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the job and department that belo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After final recommendation of the data,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is performed again, and the resul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it includes a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ection that finally recommends the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next best weight.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를 통해 임시 추천한 직업데이터 중 학습자가 선택한 관심직업데이터,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코드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별 학습자의 직업 및 학과를 추천하는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심직업데이터에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고,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 단계;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고,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클러스터에 빈도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 단계;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 및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되,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inked to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job data of interest selected by the learner among job data temporarily recommended through a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for each type, and It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links with a program that recommends an individual learner's occupation and department based on code book data containing keywords entered by the learn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career/advanced education content, and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Construct an occupational cluster DB by assigning weights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al preference to construct an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and clustering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al preference to construct an occupation cluster DB. step;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are collected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s,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to construct a keyword cluster DB, and the clusters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weights; A learner data analysis step of collecting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th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and deriving th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And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that recommends job clusters containing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among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but finally recommends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Includes.

또한,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 단계는, 상기 관심직업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을 수행하여 직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직업데이터의 수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로 간주하고, 해당 직업선호도에 따라 학습자의 관심직업 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는 직업별 가중치 생성 단계; 및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K-평균 클러스터링을 통해 직업선호도가 유사한 그룹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step, occupation data is collected by performing web crawling based on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the number of collected occupation data is regarded as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and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 preference. A weight generation step for each occupation of constructing a weight DB for each occupation by assigning weights to each occupation of interest; And it may include an occupation cluster creation step of constructing the occupation cluster DB by classifying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into groups with similar occupation preferences through K-means clustering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또한,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 단계는,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는 제1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 상기 제1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를 통해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빈도수에 따라 입력키워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 단계; 및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키워드 클러스터의 빈도수에 따라 각 키워드 클러스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step includes: a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for each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 An input keyword clustering step of determining the frequency of input keywords collected by career aptitude type through the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and constructing a keyword cluster DB by performing clustering on the input keyword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frequency; And it may include an input keyword weight generation step of constructing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a weight to each keyword clus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word cluster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또한,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는,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는 제2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유형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er data analysis step includes a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And it may include a learner type analysis step of deriving th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keyword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또한, 상기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는,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를 통해 도출된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에서 대립흥미유형의 직업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를 제거하는 대립흥미유형 제거 단계;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가 제거된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는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 단계를 통해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에 대하여 개별 학습자로부터 관심직업을 선택 받는 경우, 관심직업으로 선택된 직업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거나, 관심직업에 대한 선택을 받지 못한 경우,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상이한 경우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고,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차선의 가중치를 갖는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includes: a conflicting interest type removal step of extracting a conflicting interest type occupation from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derived through the learner data analysis step and removing the extracted conflicting interest type occupation data; A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step of recommending a job cluster includ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from which 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job data has been removed among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And when an occupation of interest is selected from an individual learner for an occupation cluster recommended through the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step, a preset weight is given to the occupation selected as the occupation of interest, and then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occupation clusters are collected. If the final recommendation is made or if the job of interest is not selected, the career aptitude test is re-administered and th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the job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nd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age in which the department data is finally recommended,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is performed again, and if the results are the same as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the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next best weight are finally recommended.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축적된 학습자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유형을 분석하고, 진로적성진단검사 시 발생하는 학습자의 이상반응과 비정형적 반응을 최소화하는 작업과, 학습자의 선호도가 낮은 직업을 최소화하는 직업 선별 작업을 각각 거치고, 유형 및 계열에 따라 분류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선택률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함으로써 만족도 높은 유형별 직업 추천이 가능하고, 학습자의 유형별 선호도를 기준으로 직업을 분류 및 군집화하여 직업을 추천하고, 학습자의 선호도가 낮은 직업을 최소화하는 직업 선별 작업을 거침으로써 유형별 단순 교집합으로 불필요하게 방대한 직업 추천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learner is analyzed using learner data accumulated through the process of conducting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s and career/advanced education content services by type for a large number of learners, and the types of learners generated during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are analyzed. After going through the task of minimizing the learner's adverse reactions and atypical reactions and the job selection task of minimizing jobs with low preference by the learner,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type and series are clustered based on the learner's selection rate to classify the types with high satisfaction. Job recommendation is possible, and jobs are recommended by classifying and clustering jobs based on the learner's preference for each type, and go through a job selection process to minimize jobs with low learner preferenc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ily extensive job recommendations through simple intersection by typ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의 예시와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하는 분석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DB에 저장된 유형별 키워드 구성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업 추천부의 직접 추천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earner's codebook data and the analysis type analyzed by the learner data analysi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keyword configuration by type stored in the keyword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direct recommendation method of the job recommend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장치는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를 통해 임시 추천한 직업데이터 중 학습자가 선택한 관심직업데이터,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코드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별 학습자의 직업 및 학과를 추천하는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job data of interest selected by the learner among job data temporarily recommended through a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for each type, and career/advanced education content in the process of providing. It can be comprised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program that recommends an individual learner's occupation and department based on code book data containing keywords entered by the learn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앞서 '진로적성 3요인 검사'와 '코드북'을 실시할 수 있는데, 진로적성 3요인 검사는 다수의 학습자(플랫폼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로서 직업흥미 검사, 다중지능 검사, 직업가치관 검사로 이루어져 각 유형 별 진로적성에 대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진단검사데이터를 통해 각 학습자 별로 직업데이터를 임시 추천하고, 추천된 직접 중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관심직업데이터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prior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eer aptitude 3-factor test' and a 'codebook' can be conducted. The career aptitude 3-factor test is a type-specific career aptitude test conducted on a large number of learners (all users of the platform). As a diagnostic test, it consists of an occupational interest test, multiple intelligence test, and occupational values test. It can test career aptitude for each type. Occupational data is temporarily recommended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diagnostic test data, and the recommended direct learners are You can provide each job of interest data selected by you.

그리고, 코드북은 진로 및 진학 교육 콘텐츠 서비스로서 진로와 진학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질의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입력키워드)을 포함하는 코드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Codebook is a career and advancement education content service that provides career and advancement related content and can obtain codebook data containing the learner's response (input keyword) to the inqui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진단검사데이터(관심직업데이터 포함)와 코드북데이터(학습자의 입력키워드 포함)를 포함한 학습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술 중 머신러닝 알고리즘과 더불어 보다 정확도 높은 개별 학습자 맞춤형 직업 및 학과(진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learner customization with higher accuracy is performed along with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mo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based on learner data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diagnostic test data (including job interest data) and codebook data (including learner input keywords). Job and department (career) recommend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의 예시와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하는 분석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DB에 저장된 유형별 키워드 구성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업 추천부의 직접 추천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ample of a learner's codebook data and analysis of learner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analysis type analyzed in the unit,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keyword configuration by type stored in the keyword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irect diagram of the job recommend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is shown to explain the recommendation metho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장치(1000)는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100),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200),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300) 및, 직업 및 학과 추천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device 1000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unit 100, a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200, and a learner data analysis uni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300) and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ection (400).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100)는, 관심직업데이터에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3)를 구축하고, 직업별 가중치 DB(3)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직업 클러스터 DB(4)를 구축할 수 있다.The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unit 100 constructs an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3) by assigning weights to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and transfers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3) to the learner's occupation data. An occupational cluster DB (4) can be constructed by performing clustering based on occupational preference.

이를 위해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100)는 직업별 가중치 생성부(110) 및 직업 클러스터 생성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ccupation-specific weight generator 110 and an occupation cluster generator 120.

상기 직업별 가중치 생성부(110)는, 학습자 관심직업 DB(1)에 저장된 관심직업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을 수행하여 직업데이터를 직업 DB(2)에 수집하고, 수집된 직업데이터의 수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로 간주하고, 해당 직업선호도에 따라 학습자의 관심직업 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3)를 구축할 수 있다.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generator 110 performs web crawling based on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stored in the learner's interest occupation DB (1), collects occupation data in the occupation DB (2),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collected occupation data. It is regarded as the learner's job preference, and a weight DB (3) for each job can be constructed by assigning weights to each job of interest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

상기 학습자 관심직업 DB(1)에는 진로적성 3요인 검사 후 각 학습자에게 추천되는 직업데이터 중 학습자가 관심직업으로 선택한 직업데이터와, 진로 및 진학 교육 콘텐츠 서비스인 코드북을 실행하여 얻은 데이터(코드북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출된 학습자가 관심직업으로 선택한 직업데이터(관심직업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The learner's career interest DB (1) contains the career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as the career of interest among the career data recommended to each learner after the three-factor career aptitude test, and data obtained by running Codebook, a career and advancement education content service (codebook data). Occupation data (occupation data of interest) selected by the learner as an occupation of interest derived from analysis may be stored.

상기 직업별 가중치 생성부(110)는, 학습자 관심직업 DB(1)에 저장된 학습자의 관심직업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을 통해 그와 관련된 다양한 직업데이터를 수집하여 직업 DB(2)로 축적하고, 직업 DB(2)에 축적된 직업데이터를 유형, 계열별로 분류 및 분석하고, 해당 직업데이터를 학습자의 선호도(관심직업)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여, 학습자의 선호도가 기준으로 가중치가 반영된 직업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generator 110 collects various occupation data related to the learner's interest occupation data stored in the learner's interest occupation DB (1) through web crawling and accumulates it in the occupation DB (2), Classify and analyze the job data accumulated in the job DB (2) by type and series, set weights for the job data according to the learner's preference (occupation of interest), and create job data with weights reflected based on the learner's preference. It can be secured.

예를 들어, 직업별 가중치 생성 기준으로는 관심직업으로 200회 누적 시 가중치 1점을 생성할 수 있다. 초기 학습자는 약 1,000명을 대상으로 했을 때 총 관심직업 선택수는 3,900회, 특정직업의 최대 선택수는 1,300회이고, 1,300회의 약 15%인 200회를 기준으로 가중치 1점 생성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특정직업이 관심직업으로 채택되는 최댓값은 1,300회). 여기서, 15%를 초과하는 기준으로 설정한 경우, 가중치가 생성되는 초기 장벽이 높으므로, 가중치 데이터 확보가 쉽지 않으며, 15% 미만의 기준을 설정하는 경우 경우, 다수의 직업에 가중치가 생성되어 직업별 가중치의 변별력이 낮아질 수 있다.For example, as a basis for generating weights for each occupation, a weight of 1 point can be generated when the occupation of interest is accumulated 200 times. When targeting approximately 1,000 initial learners, the total number of career selections of interest is 3,900 times, the maximum number of specific career selections is 1,300 times, and the standard for generating a weight of 1 point can be set based on 200 times, which is about 15% of the 1,300 times. (The maximum number of times a specific occupation is selected as an occupation of interest is 1,300 times). Here, if a standard exceeding 15% is set, the initial barrier to creating weights is high, so it is not easy to secure weighted data, and if a standard less than 15% is set, weights are created for multiple occup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weighted data. The discriminatory power of star weights may be lowered.

상기 직업 클러스터 생성부(120)는, 학습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 클러스터 단위로 군집화하는 수단으로, 직업별 가중치 DB(3)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K-평균 클러스터링(K-means Clustering)을 통해 직업선호도가 유사한 그룹 단위로 분류하여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업 클러스터 DB(4)를 구축할 수 있다.The occupation cluster generator 120 is a means of classifying similar groups based on the learner's preference and clustering them into clusters, and divides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3 into K-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An occupational cluster DB (4) can be constructed based on data obtained by classifying groups with similar occupational preferences through K-means clustering.

상기 직업 클러스터 생성부(120)는,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호도 기준으로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클러스터 단위로 군집화하는 모듈로서, 각 클러스터는 선호도가 유사한 유형별 직업들의 그룹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직업 클러스터 생성부(120)는, K-평균 클러스터링(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직업별 가중치 DB(3)의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는데,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n개의 직업데이터를 n보다 작거나 같은 k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직업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The occupation cluster generator 120 is a module that classifies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into similar groups based on preference and clusters them into clusters. Each cluster may correspond to a group of occupations by type with similar preferences. This occupation cluster generator 120 can classify the data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3 using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which corresponds to a data object according to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n occupation data can be divided into k groups less than or equal to n to form an occupation cluster.

예를 들어, 직업별 클러스터 생성 기준으로는, 직업별 가중치를 기준으로 5개의 직업 클러스터 단위로 군집화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 criterion for creating clusters by occupation, it can be clustered into five occupation clusters based on the weight of each occupation.

이와 같이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의해 그룹을 나누는 과정은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같은 그룹 내 직업 데이터 간의 선호도 기준 유사도는 증가하고 다른 그룹에 있는 데이터 오브젝트와의 유사도는 감소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process of dividing groups by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can be accomplished by minimizing the cost function, and in this process, the preference-based similarity between job data within the same group increases and the similarity with data objects in other groups increases. It decreases.

또한,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각 그룹의 중심과 그룹 내의 데이터 오브젝트와의 거리의 제곱 합을 비용함수로 정하고 이 함수 값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각 데이터 오브젝트의 소속그룹을 업데이트함으로써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can perform clustering by setting the sum of the square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each group and the data objects within the group as a cost function and updating the group membership of each data object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the value of this function. there is.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200)는,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5)를 구축하고, 키워드 클러스터 DB(5)에 저장된 클러스터에 빈도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6)를 구축할 수 있다.The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200 collects th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 and constructs the keyword cluster DB (5) by performing clustering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In addition, a weighted keyword DB (6) can be constructed by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frequency to the clusters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5).

이를 위해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200)는 제1 입력키워드 수집부(210),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부(220) 및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ight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210, an input keyword cluster execution unit 220, and an input keyword weight generation unit 230.

상기 제1 입력키워드 수집부(210)는, 학습자 데이터(진단검사데이터, 코드북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 중 키워드 DB(7)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진로적성유형별(직업흥미유형, 다중지능유형, 직업가치관유형)로 분류할 수 있다.The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210 is a module that collects learner data (diagnostic test data, codebook data), and as shown in Figure 2, a keyword DB amo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Input keywords that match the data stored in (7) can b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the collected career aptitude types (occupational interest type, multiple intelligence type, occupational value type).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진로적성 3요인 검사를 통해 유형별로 분류된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를 확보하여 학습자의 입력키워드를 빈도수에 따라 수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회형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 중 자기이해역량 문항에서의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사회형 키워드로 축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three-factor career aptitude test, codebook data of learners classified by type can be secured and learners' input keywords can be collected according to frequency. For example, self-understanding capabilities among the codebook data of social learners. Words with high frequency in questions can be accumulated as social keywords.

상기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부(220)는, 제1 입력키워드 수집부(210)를 통해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유형 및 빈도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유형 및 빈도수에 따라 입력키워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5)를 구축할 수 있다. The input keyword cluster performing unit 220 determines the type and frequency of input keywords collected by career aptitude type through the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210, and clusters the input keyword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ype and frequency. You can build a keyword cluster DB (5) by performing .

상기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부(230)는, 키워드 클러스터 DB(5)에 저장된 키워드 클러스터의 빈도수에 따라 각 키워드 클러스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6)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빈도수가 높은 군집으로 형성된 키워드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10점의 가중치를 생성하고, 빈도수가 높은 속성의 클러스터 순으로 10점부터 1점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The input keyword weight generator 230 may construct the weighted keyword DB 6 by assigning a weight to each keyword clus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word cluster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5. In other words, weights can be assigned to keywords formed in high-frequency clusters. For example, weights of 1 to 10 can be created, and weights of 10 to 1 can be assigned in the order of clusters of high-frequency attributes. there is.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300)는,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 중 가중치 키워드 DB(6)(또는 키워드 DB(7))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The learner data analysis unit 300 collects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6) (or keyword DB (7)) among th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and collects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input keywords, th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can be derived.

여기서, 키워드 DB(7)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로적성 3요인 검사(직업흥미, 다중지능, 직업가치관 검사)의 결과로 도출되는 각 유형에 따른 핵심키워드를 분류한 DB로 직업, 학과를 포함한 명사, 동사 등을 유형별로 분류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keyword DB (7) is a DB that classifies key keywords according to each type derived as a result of the career aptitude three-factor test (occupational interest, multiple intelligence, and occupational values test) as shown in Figure 3, and is classified into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classified by type can be stored, including nouns and verbs.

이러한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300)는 제2 입력키워드 수집부(310) 및 학습자 유형 분석부(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is learner data analysis unit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310 and a learner type analysis unit 320.

상기 제2 입력키워드 수집부(310)는,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 중 가중치 키워드 DB(6)(또는 키워드 DB(7))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다.The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310 inputs input that matches the keyword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6) (or keyword DB (7)) amo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You can collect keywords.

상기 학습자 유형 분석부(320)는, 제2 입력키워드 수집부(310)를 통해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직업흥미, 다중지능, 직업가치관 유형(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을 도출할 수 있다.The learner type analysis unit 320 may derive th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keyword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310. In other words, the learner's job interest,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value typ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can be deriv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상기 직업 및 학과 추천부(400)는, 직업 클러스터 DB(4)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되,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할 수 있다.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400 recommends job clusters contain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among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4, and includes jobs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Department data can be finally recommended.

이를 위해 직업 및 학과 추천부(400)는 대립흥미유형 제거부(410),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부(420) 및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부(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flicting interest type removal unit 410, a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unit 420, and a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430.

상기 대립흥미유형 제거부(410)는,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300)를 통해 도출된 진로적성유형데이터(학습자의 직업흥미, 다중지능, 직업가치관 유형데이터)에서 대립흥미유형의 직업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removal unit 410 extracts the occupation of 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from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learner's occupational interest, multiple intelligence, and occupational value type data) derived through the learner data analysis unit 300, The extracted conflicting interest type occupation data can be removed.

상기 대립흥미유형 제거부(410)는, 학습자의 흥미유형(진로적성유형데이터에서 확인 가능)과 배치되는 대립흥미유형의 직업을 제거하여 직업 추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대립흥미유형을 제거함으로써 직업 추천의 정확도가 저하되거나, 의미 없는 방대한 직업이 추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removal unit 410 can increase job recommendation accuracy by removing jobs of conflicting interest types that conflict with the learner's interest type (can be confirmed from career aptitude type data), and remove jobs by removing conflicting interest types. This can prevent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s from being reduced or from recommending a large number of meaningless jobs.

예를 들어, 학습자의 흥미유형이 현장형인 경우, 현장형과 일관도가 가장 낮은 흥미유형인 사회형의 직업을 제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립흥미유형이란 홀랜드의 직업 흥미유형 중 일관도가 낮은 관계를 가진 흥미유형을 의미한다.For example, if the learner's interest type is field-type, social-type jobs, which are the interest type with the lowest consistency with field-type, can be ex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refers to an interest type with a low level of consistency among Holland's occupational interest types.

상기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부(420)는, 직업 클러스터 DB(4)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가 제거된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직업 클러스터 DB(4)에서 학습자의 유형 클러스터(직업흥미 유형 클러스터, 다중지능 유형 클러스터, 직업가치관 유형 클러스터)에 포함된 직업의 교집합을 추천할 수 있다.The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unit 420 may recommend an job cluster includ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from which conflicting interest type job data has been removed among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4. In other words, the intersection of occupations included in the learner's type cluster (occupational interest type cluster, multiple intelligence type cluster, occupational value type cluster) in the occupational cluster DB (4) can be recommended.

상기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부(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부(420)를 통해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직업흥미 유형 클러스터, 다중지능 유형 클러스터, 직업가치관 유형 클러스터)에 대하여 개별 학습자로부터 관심직업(또는 관심계열)을 선택 받는 경우, 관심직업(도는 관심계열)으로 선택된 직업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접 클러스터의 교집합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할 수 있다.The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430 is a job cluster (job interest type cluster, multiple intelligence type cluster, job value type cluster) recommended through the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unit 420, as shown in FIG. When an occupation of interest (or series of interest) is selected by an individual learner, a preset weight is given to the occupation selected as the occupation of interest (or series of interest), and then the occupations belong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direct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occupation clusters are selected. Department data can be finally recommended.

또한,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부(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직업에 대한 선택을 받지 못한 경우,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상이하면,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의 교집합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al occupation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430, as shown in FIG. 4, if the occupation of interest is not selected, performs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again and if the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 among the recommended occupation clusters,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occupation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can be finally recommended.

또한,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부(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직업에 대한 선택을 받지 못한 경우,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동일하면, 차선의 가중치를 갖는 직업 클러스터의 교집합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al occupation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unit 430, as shown in FIG. 4, if the occupation of interest is not selected, performs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again and if the resul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intersection of occupation clusters with suboptimal weights can be finally recommend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방법(S1000)는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 단계(S100),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 단계(S200),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S300) 및,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S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step (S100), a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step (S200), and a learner data analysis step.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300) and 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S400).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 단계(S100)에서는, 관심직업데이터에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3)를 구축하고, 직업별 가중치 DB(3)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직업 클러스터 DB(4)를 구축할 수 있다.In the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step (S100), a weight DB (3) for each occupation is constructed by assigning weights to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and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 weight DB (3) is used to determine the learner's An occupational cluster DB (4) can be constructed by performing clustering based on occupational preference.

이를 위해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 단계(S100)는 직업별 가중치 생성 단계(S110) 및 직업 클러스터 생성 단계(S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ccupation cluster DB construction step (S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ccupation-specific weight generation step (S110) and an occupation cluster creation step (S120).

상기 직업별 가중치 생성 단계(S110)에서는, 학습자 관심직업 DB(1)에 저장된 관심직업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을 수행하여 직업데이터를 직업 DB(2)에 수집하고, 수집된 직업데이터의 수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로 간주하고, 해당 직업선호도에 따라 학습자의 관심직업 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3)를 구축할 수 있다.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generation step (S110), web crawl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stored in the learner's interest occupation DB (1) to collect occupation data in the occupation DB (2), and the number of collected occupation data is calculated. It is regarded as the learner's job preference, and a weight DB (3) for each job can be constructed by assigning weights to each job of interest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

상기 학습자 관심직업 DB(1)에는 진로적성 3요인 검사 후 각 학습자에게 추천되는 직업데이터 중 학습자가 관심직업으로 선택한 직업데이터와, 진로 및 진학 교육 콘텐츠 서비스인 코드북을 실행하여 얻은 데이터(코드북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출된 학습자가 관심직업으로 선택한 직업데이터(관심직업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The learner's career interest DB (1) contains the career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as the career of interest among the career data recommended to each learner after the three-factor career aptitude test, and data obtained by running Codebook, a career and advancement education content service (codebook data). Occupation data (occupation data of interest) selected by the learner as an occupation of interest derived from analysis may be stored.

상기 직업별 가중치 생성 단계(S110)에서는, 학습자 관심직업 DB(1)에 저장된 학습자의 관심직업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을 통해 그와 관련된 다양한 직업데이터를 수집하여 직업 DB(2)로 축적하고, 직업 DB(2)에 축적된 직업데이터를 유형, 계열별로 분류 및 분석하고, 해당 직업데이터를 학습자의 선호도(관심직업)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여, 학습자의 선호도가 기준으로 가중치가 반영된 직업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generation step (S110), various occupation data related to the learner's interest occupation data stored in the learner's interest occupation DB (1) is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and accumulated into the occupation DB (2), Classify and analyze the job data accumulated in the job DB (2) by type and series, set weights for the job data according to the learner's preference (occupation of interest), and create job data with weights reflected based on the learner's preference. It can be secured.

예를 들어, 직업별 가중치 생성 기준으로는 관심직업으로 200회 누적 시 가중치 1점을 생성할 수 있다. 초기 학습자는 약 1,000명을 대상으로 했을 때 총 관심직업 선택수는 3,900회, 특정직업의 최대 선택수는 1,300회이고, 1,300회의 약 15%인 200회를 기준으로 가중치 1점 생성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특정직업이 관심직업으로 채택되는 최댓값은 1,300회). 여기서, 15%를 초과하는 기준으로 설정한 경우, 가중치가 생성되는 초기 장벽이 높으므로, 가중치 데이터 확보가 쉽지 않으며, 15% 미만의 기준을 설정하는 경우 경우, 다수의 직업에 가중치가 생성되어 직업별 가중치의 변별력이 낮아질 수 있다.For example, as a basis for generating weights for each occupation, a weight of 1 point can be generated when the occupation of interest is accumulated 200 times. When targeting approximately 1,000 initial learners, the total number of career selections of interest is 3,900 times, the maximum number of specific career selections is 1,300 times, and the standard for generating a weight of 1 point can be set based on 200 times, which is about 15% of the 1,300 times. (The maximum number of times a specific occupation is selected as an occupation of interest is 1,300 times). Here, if a standard exceeding 15% is set, the initial barrier to creating weights is high, so it is not easy to secure weighted data, and if a standard less than 15% is set, weights are created for multiple occup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weighted data. The discriminatory power of star weights may be lowered.

상기 직업 클러스터 생성 단계(S120)에서는, 학습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 클러스터 단위로 군집화하는 수단으로, 직업별 가중치 DB(3)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K-평균 클러스터링(K-means Clustering)을 통해 직업선호도가 유사한 그룹 단위로 분류하여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업 클러스터 DB(4)를 구축할 수 있다.In the occupation cluster creation step (S120), as a means of classifying similar groups based on the learner's preference and clustering them into clusters,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3) is divided into K- An occupational cluster DB (4) can be constructed based on data obtained by classifying groups with similar occupational preferences through K-means clustering.

상기 직업 클러스터 생성 단계(S120) 에서는,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호도 기준으로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클러스터 단위로 군집화하는 모듈로서, 각 클러스터는 선호도가 유사한 유형별 직업들의 그룹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직업 클러스터 생성 단계(S120)에서는, K-평균 클러스터링(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직업별 가중치 DB(3)의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는데,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n개의 직업데이터를 n보다 작거나 같은 k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직업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occupation cluster creation step (S120), it is a module that classifies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into similar groups based on preference and clusters them into clusters. Each cluster may correspond to a group of occupations by type with similar preferences. In this occupation cluster creation step (S120), the data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3) can be classified using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which corresponds to a data object according to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n occupation data can be divided into k groups less than or equal to n to form an occupation cluster.

예를 들어, 직업별 클러스터 생성 기준으로는, 직업별 가중치를 기준으로 5개의 직업 클러스터 단위로 군집화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 criterion for creating clusters by occupation, it can be clustered into five occupation clusters based on the weight of each occupation.

이와 같이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의해 그룹을 나누는 과정은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같은 그룹 내 직업 데이터 간의 선호도 기준 유사도는 증가하고 다른 그룹에 있는 데이터 오브젝트와의 유사도는 감소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process of dividing groups by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can be accomplished by minimizing the cost function, and in this process, the preference-based similarity between job data within the same group increases and the similarity with data objects in other groups increases. It decreases.

또한,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각 그룹의 중심과 그룹 내의 데이터 오브젝트와의 거리의 제곱 합을 비용함수로 정하고 이 함수 값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각 데이터 오브젝트의 소속그룹을 업데이트함으로써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can perform clustering by setting the sum of the square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each group and the data objects within the group as a cost function and updating the group membership of each data object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the value of this function. there is.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 단계(S200)에서는,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5)를 구축하고, 키워드 클러스터 DB(5)에 저장된 클러스터에 빈도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6)를 구축할 수 있다.In the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step (S200),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are collected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s, and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to construct a keyword cluster DB (5). In addition, a weighted keyword DB (6) can be constructed by assigning weights according to frequency to the clusters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5).

이를 위해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 단계(S200)는 제1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S210),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 단계(S220) 및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 단계(S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step (S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S210), an input keyword cluster performing step (S220), and an input keyword weight generation step (S230).

상기 제1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S210)에서는, 학습자 데이터(진단검사데이터, 코드북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 중 키워드 DB(7)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진로적성유형별(직업흥미유형, 다중지능유형, 직업가치관유형)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S210), as a module for collecting learner data (diagnostic test data, codebook data), as shown in FIG. 2, a keyword DB amo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Input keywords that match the data stored in (7) can b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the collected career aptitude types (occupational interest type, multiple intelligence type, occupational value type).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진로적성 3요인 검사를 통해 유형별로 분류된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를 확보하여 학습자의 입력키워드를 빈도수에 따라 수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회형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 중 자기이해역량 문항에서의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사회형 키워드로 축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three-factor career aptitude test, codebook data of learners classified by type can be secured and learners' input keywords can be collected according to frequency. For example, self-understanding capabilities among the codebook data of social learners. Words with high frequency in questions can be accumulated as social keywords.

상기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 단계(S220)에서는, 제1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S210)를 통해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유형 및 빈도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유형 및 빈도수에 따라 입력키워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5)를 구축할 수 있다. In the input keyword cluster performance step (S220), the type and frequency of input keywords collected by career aptitude type through the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S210) are identified, and the input keywords are clustered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ype and frequency. You can build a keyword cluster DB (5) by performing .

상기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 단계(S230)에서는, 키워드 클러스터 DB(5)에 저장된 키워드 클러스터의 빈도수에 따라 각 키워드 클러스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6)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빈도수가 높은 군집으로 형성된 키워드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10점의 가중치를 생성하고, 빈도수가 높은 속성의 클러스터 순으로 10점부터 1점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In the input keyword weight generation step (S230), the weighted keyword DB (6) can be constructed by assigning a weight to each keyword clus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word cluster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5). In other words, weights can be assigned to keywords formed in high-frequency clusters. For example, weights of 1 to 10 can be created, and weights of 10 to 1 can be assigned in the order of clusters of high-frequency attributes. there is.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S300)에서는,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 중 가중치 키워드 DB(6)(또는 키워드 DB(7))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In the learner data analysis step (S300), among th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input keywords that match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6) (or keyword DB (7)) are collected, and the collected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input keywords, th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can be derived.

여기서, 키워드 DB(7)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로적성 3요인 검사(직업흥미, 다중지능, 직업가치관 검사)의 결과로 도출되는 각 유형에 따른 핵심키워드를 분류한 DB로 직업, 학과를 포함한 명사, 동사 등을 유형별로 분류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keyword DB (7) is a DB that classifies key keywords according to each type derived as a result of the career aptitude three-factor test (occupational interest, multiple intelligence, and occupational values test) as shown in Figure 3, and is classified into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classified by type can be stored, including nouns and verbs.

이러한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S300)는 제2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S310) 및 학습자 유형 분석 단계(S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is learner data analysis step (S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S310) and a learner type analysis step (S320).

상기 제2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S310)에서는,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 중 가중치 키워드 DB(6)(또는 키워드 DB(7))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할 수 있다.In the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S310), input matching the keyword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6) (or keyword DB (7)) amo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You can collect keywords.

상기 학습자 유형 분석 단계(S320)에서는, 제2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S310)를 통해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직업흥미, 다중지능, 직업가치관 유형(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을 도출할 수 있다.In the learner type analysis step (S320), th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can be deriv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keyword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S310). In other words, the learner's job interest,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value typ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can be deriv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상기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S400)에서는, 직업 클러스터 DB(4)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되,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할 수 있다.In 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S400), job clusters contain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are recommended among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4), and jobs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are recommended. Department data can be finally recommended.

이를 위해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S400)는 대립흥미유형 제거 단계(S410),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 단계(S420) 및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S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S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flicting interest type removal step (S410), a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step (S420), and a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S430).

상기 대립흥미유형 제거 단계(S410)에서는,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S300)를 통해 도출된 진로적성유형데이터(학습자의 직업흥미, 다중지능, 직업가치관 유형데이터)에서 대립흥미유형의 직업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In the step of removing conflicting interest types (S410), jobs of conflicting interest types are extracted from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learner's job interest, multiple intelligence, job value type data) derived through the learner data analysis step (S300), The extracted conflicting interest type occupation data can be removed.

상기 대립흥미유형 제거 단계(S410)에서는, 학습자의 흥미유형(진로적성유형데이터에서 확인 가능)과 배치되는 대립흥미유형의 직업을 제거하여 직업 추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대립흥미유형을 제거함으로써 직업 추천의 정확도가 저하되거나, 의미 없는 방대한 직업이 추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tep of removing conflicting interest types (S410), job recommendation accuracy can be increased by removing jobs with conflicting interest types that conflict with the learner's interest type (can be confirmed in career aptitude type data), and job recommendation accuracy can be increased by removing conflicting interest types. This can prevent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s from being reduced or from recommending a large number of meaningless jobs.

예를 들어, 학습자의 흥미유형이 현장형인 경우, 현장형과 일관도가 가장 낮은 흥미유형인 사회형의 직업을 제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립흥미유형이란 홀랜드의 직업 흥미유형 중 일관도가 낮은 관계를 가진 흥미유형을 의미한다.For example, if the learner's interest type is field-type, the social-type occupation, which is the interest type with the lowest consistency with field-type, can be ex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refers to an interest type with a low level of consistency among Holland's occupational interest types.

상기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 단계(S420)에서는, 직업 클러스터 DB(4)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가 제거된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직업 클러스터 DB(4)에서 학습자의 유형 클러스터(직업흥미 유형 클러스터, 다중지능 유형 클러스터, 직업가치관 유형 클러스터)에 포함된 직업의 교집합을 추천할 수 있다.In the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step (S420), among the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4, an job cluster includ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from which conflicting interest type job data has been removed may be recommended. In other words, the intersection of occupations included in the learner's type cluster (occupational interest type cluster, multiple intelligence type cluster, occupational value type cluster) in the occupational cluster DB (4) can be recommended.

상기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S43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 단계(S420)를 통해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직업흥미 유형 클러스터, 다중지능 유형 클러스터, 직업가치관 유형 클러스터)에 대하여 개별 학습자로부터 관심직업(또는 관심계열)을 선택 받는 경우, 관심직업(도는 관심계열)으로 선택된 직업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접 클러스터의 교집합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할 수 있다.In the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S430), as shown in FIG. 4, job clusters (occupational interest type cluster, multiple intelligence type cluster, occupational value type cluster) recommended through the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step (S420) are selected. When an occupation of interest (or series of interest) is selected by an individual learner, a preset weight is given to the occupation selected as the occupation of interest (or series of interest), and then the occupations belong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direct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occupation clusters are selected. Department data can be finally recommended.

또한,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S43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직업에 대한 선택을 받지 못한 경우,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상이하면,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의 교집합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S430), if the job of interest is not selected as shown in Figure 4,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is performed again, and if th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 among the recommended occupation clusters,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intersection of the occupation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can be finally recommended.

또한,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S43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직업에 대한 선택을 받지 못한 경우,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동일하면, 차선의 가중치를 갖는 직업 클러스터의 교집합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S430), if the job of interest is not selected as shown in FIG. 4,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is performed again, and if the resul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intersection of occupation clusters with suboptimal weights can be finally recommend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patent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believes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something to do.

1000: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장치
100: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
110: 직업별 가중치 생성부
120: 직업 클러스터 생성부
200: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
210: 제1 입력키워드 수집부
220: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부
230: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부
300: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
310: 제2 입력키워드 수집부
320: 학습자 유형 분석부
400: 직업 및 학과 추천부
410: 대립흥미유형 제거부
420: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부
430: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부
S1000: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방법
S100: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 단계
S110: 직업별 가중치 생성 단계
S120: 직업 클러스터 생성 단계
S200: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 단계
S210: 제1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
S220: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 단계
S230: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 단계
S300: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
S310: 제2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
S320: 학습자 유형 분석 단계
S400: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
S410: 대립흥미유형 제거 단계
S420: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 단계
S430: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
1: 학습자 관심직업 DB
2: 직업 DB
3: 직업별 가중치 DB
4: 직업 클러스터 DB
5: 키워드 클러스터 DB
6: 가중치 키워드 DB
7: 키워드 DB
1000: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100: Job cluster DB construction department
110: Weight generation unit for each occupation
120: Job cluster creation unit
200: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210: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220: Input keyword cluster execution unit
230: Input keyword weight generation unit
300: Learner data analysis unit
310: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320: Learner type analysis unit
400: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Department
410: Conflict interest type removal unit
420: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unit
430: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ection
S1000: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100: Job cluster DB construction stage
S110: Weight generation step for each occupation
S120: Job cluster creation step
S200: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step
S210: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S220: Input keyword cluster execution step
S230: Input keyword weight generation step
S300: Learner data analysis step
S310: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S320: Learner type analysis step
S400: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age
S410: Opposition interest type removal step
S420: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step
S430: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age
1: Student interest occupation database
2: Occupation DB
3: Weight DB for each occupation
4: Occupation cluster DB
5: Keyword Cluster DB
6: Weighted keyword DB
7: Keyword DB

Claims (10)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를 통해 임시 추천한 직업데이터 중 학습자가 선택한 관심직업데이터,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코드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별 학습자의 직업 및 학과를 추천하는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심직업데이터에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고,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고,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클러스터에 빈도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되,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직업 및 학과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Individual learner's occupation and department based on codebook data including job interest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among job data temporarily recommended through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s by type, and keywords entered by the learn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career/advanced education content. It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program that recommends,
Constructing an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by assigning weights to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and constructing an occupation cluster DB by clustering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Occupational Cluster DB Construction Department;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are collected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s,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to construct a keyword cluster DB, and the clusters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that constructs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weights;
A learner data analysis unit that collects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th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of individual learners, and derives career aptitude type data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and
It recommends job clusters containing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among the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and includes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ection that finally recommends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부는,
상기 관심직업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을 수행하여 직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직업데이터의 수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로 간주하고, 해당 직업선호도에 따라 학습자의 관심직업 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는 직업별 가중치 생성부; 및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K-평균 클러스터링을 통해 직업선호도가 유사한 그룹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ccupational cluster DB construction department,
Collect job data by performing web crawling based on the job data of interest, consider the number of collected job data as the learner's job preference, and assign weights to each job of interest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 Weight generation unit for each occupation that builds a weight DB; and
An artificial job cluster generator, which constructs the job cluster DB by classifying the data stored in the job-specific weight DB into groups with similar job preferences through K-means clustering based on the learner's job preferenc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s that utilize intelligen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부는,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는 제1 입력키워드 수집부;
상기 제1 입력키워드 수집부를 통해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빈도수에 따라 입력키워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부; 및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키워드 클러스터의 빈도수에 따라 각 키워드 클러스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unit,
A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s;
An input keyword cluster performing unit that determines the frequency of input keywords collected by career aptitude type through the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and constructs a keyword cluster DB by performing clustering on the input keyword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frequency; and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t includes an input keyword weight generator that builds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a weight to each keyword clus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word cluster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A work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는,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는 제2 입력키워드 수집부; 및
상기 제2 입력키워드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유형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er data analysis unit,
a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and
I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ising a learner type analysis unit that derives career aptitude type data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keyword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uni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업 및 학과 추천부는,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부를 통해 도출된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에서 대립흥미유형의 직업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를 제거하는 대립흥미유형 제거부;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가 제거된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는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부; 및
상기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부를 통해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에 대하여 개별 학습자로부터 관심직업을 선택 받는 경우, 관심직업으로 선택된 직업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거나, 관심직업에 대한 선택을 받지 못한 경우,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상이한 경우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고,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차선의 가중치를 갖는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department is,
a conflicting interest type removal unit that extracts an occupation of a conflicting interest type from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derived through the learner data analysis unit and removes the extracted conflicting interest type occupation data;
a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a job cluster includ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from which 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job data has been removed among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and
When an individual learner selects an occupation of interest for an occupation cluster recommended through the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unit, a preset weight is given to the occupation selected as the occupation of interest, and then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occupation clusters are finalized. If you do not receive a recommendation or selection of an occupation of interest, or if the career aptitude test is retaken and th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occupation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If the resul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after performing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again, a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ection that finally recommends the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second best weight is inclu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유형별 진로적성진단검사를 통해 임시 추천한 직업데이터 중 학습자가 선택한 관심직업데이터, 및 진로/진학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코드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별 학습자의 직업 및 학과를 추천하는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관심직업데이터에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고,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 단계;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고,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클러스터에 빈도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 단계;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 및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되,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Individual learner's occupation and department based on codebook data including job interest data selected by the learner among job data temporarily recommended through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s by type, and keywords entered by the learn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career/advanced education content. It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links with a recommended program,
Constructing an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by assigning weights to the occupation data of interest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and constructing an occupation cluster DB by clustering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Job cluster DB construction stag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are collected by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s,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to construct a keyword cluster DB, and the clusters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weights;
A learner data analysis step of collecting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the input keyword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and deriving the learner's career aptitude type data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input keywords; and
Among the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the job cluster that includes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is recommended, and the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are finally recommen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inked to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ising: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 구축 단계는,
상기 관심직업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크롤링을 수행하여 직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직업데이터의 수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로 간주하고, 해당 직업선호도에 따라 학습자의 관심직업 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를 구축하는 직업별 가중치 생성 단계; 및
상기 직업별 가중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학습자의 직업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K-평균 클러스터링을 통해 직업선호도가 유사한 그룹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직업 클러스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job cluster DB construction step is,
Collect job data by performing web crawling based on the job data of interest, consider the number of collected job data as the learner's job preference, and assign weights to each job of interest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 Weight generation step for each occupation to build a weight DB; and
Characterized by an occupation cluster creation step of constructing the occupation cluster DB by classifying the data stored in the occupation-specific weight DB into groups with similar occupation preferences through K-means clustering based on the learner's occupation preference. Method of ope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links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 구축 단계는,
상기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를 기 정의된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하는 제1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
상기 제1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를 통해 진로적성유형별로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빈도수에 따라 입력키워드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키워드 클러스터 DB를 구축하는 입력키워드 클러스터 수행 단계; 및
상기 키워드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키워드 클러스터의 빈도수에 따라 각 키워드 클러스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키워드 DB를 구축하는 입력키워드 가중치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weighted keyword DB construction step is,
A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codebook data for each predefined career aptitude type;
An input keyword clustering step of determining the frequency of input keywords collected by career aptitude type through the first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and constructing a keyword cluster DB by performing clustering on the input keyword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frequency; and
Linked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ising an input keyword weight generation step of constructing a weighted keyword DB by assigning a weight to each keyword clus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keyword cluster stored in the keyword cluster DB. A method of ope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는,
개별 학습자의 코드북데이터에 포함된 명사 및 동사를 포함한 입력키워드 중 상기 가중치 키워드 DB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입력키워드를 수집하는 제2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키워드 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입력키워드의 빈도수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도출하는 학습자 유형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learner data analysis step is,
A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input keywords that match keywords included in the weighted keyword DB among input keywords including nouns and verbs included in the individual learner's codebook data; and
Linked with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ising a learner type analysis step of deriv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of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keywords collected through the second input keyword collection step. How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e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는,
상기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를 통해 도출된 상기 진로적성유형데이터에서 대립흥미유형의 직업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를 제거하는 대립흥미유형 제거 단계;
상기 직업 클러스터 DB에 저장된 직업 클러스터 중 상기 대립흥미유형직업데이터가 제거된 진로적성유형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업 클러스터를 추천하는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 기반 직업 추천 단계를 통해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에 대하여 개별 학습자로부터 관심직업을 선택 받는 경우, 관심직업으로 선택된 직업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한 후,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거나, 관심직업에 대한 선택을 받지 못한 경우,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상이한 경우 추천된 직업 클러스터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고, 진로적성진단검사를 다시 진행한 후 그 결과가 이전 진로적성유형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차선의 가중치를 갖는 직업 클러스터에 속한 직업 및 학과 데이터를 최종 추천하는 최종 직업 및 학과 추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정보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s are:
A conflicting interest type removal step of extracting an occupation of a conflicting interest type from the career aptitude type data derived through the learner data analysis step and removing the extracted conflicting interest type occupation data;
A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step of recommending a job cluster including career aptitude type data from which the conflicting interest type job data has been removed among job clusters stored in the job cluster DB; and
When an occupation of interest is selected by an individual learner for an occupation cluster recommended through the cluster-based job recommendation step, a preset weight is given to the occupation selected as the occupation of interest, and then the occupation and department data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occupation clusters are selected. If you are not selected for the final recommendation or job of interest, or if you take the career aptitude test again and th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the job and department that belo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recommended job clusters. After the data is finally recommended, the career aptitude diagnostic test is performed again, and the results are the same as the previous career aptitude type data, the final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step is performed to finally recommend the job and department data belonging to the job cluster with the next best weight. A method of ope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inked to a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ising:
KR1020230051785A 2022-04-20 2023-04-20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s using ar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3014975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64 2022-04-20
KR20220048764 2022-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751A true KR20230149751A (en) 2023-10-27

Family

ID=8851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785A KR20230149751A (en) 2022-04-20 2023-04-20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s using ar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7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75745A (en) * 2024-01-17 2024-02-20 山东正禾大教育科技有限公司 Course teaching resource individual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AI big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596A (en) 2014-03-28 2015-10-07 (주)에이치씨컨설팅 Method and system for career decision using matching
KR20160025486A (en)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hair designer based on the location
KR20180090624A (en) 2017-02-03 2018-08-13 김동현 Work and Job Recommendation System
KR20210153953A (en) 2020-06-11 2021-12-20 김희준 Vocational aptitude test system and vocational aptitude test method using th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596A (en) 2014-03-28 2015-10-07 (주)에이치씨컨설팅 Method and system for career decision using matching
KR20160025486A (en)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hair designer based on the location
KR20180090624A (en) 2017-02-03 2018-08-13 김동현 Work and Job Recommendation System
KR20210153953A (en) 2020-06-11 2021-12-20 김희준 Vocational aptitude test system and vocational aptitude test method using th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75745A (en) * 2024-01-17 2024-02-20 山东正禾大教育科技有限公司 Course teaching resource individual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AI big data
CN117575745B (en) * 2024-01-17 2024-04-30 山东正禾大教育科技有限公司 Course teaching resource individual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AI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eber et al. Why model why? Assessing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LIME
Provost et al. Data Science for Business: What you need to know about data mining and data-analytic thinking
Križanić Educational data mining using cluster analysis and decision tree technique: A case study
Preoţiuc-Pietro et al. Studying user income through language, behaviour and affect in social media
WO2020256854A1 (en) Data sampling for model exploration
Rao et al. Predicting learning behavior of students using classification techniques
CN111831905A (e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team scientific research influence and sustainability modeling
Hussain et al. Mining moodle data to detect the inactive and low-performance students during the moodle course
KR2023014975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job and department recommendation programs using ar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328232B2 (en) Method of matching employers with job seekers
Aydoğdu A new student modeling technique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Learnerprints
Pittman Comparison of data mining techniques used to predict student retention
KR102353584B1 (en) Algorithm-enhanced automated admission system
CN112598405B (en) Business project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g data
Srivastava et al. Data mining in education sector: a review
Nurhachita et al. A comparison between naïve bayes and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for the application of data mining on the admission of new students
Tavakoli et al. Improving quality of a post’s set of answers in stack overflow
KR20230132067A (en) User-customized book curation system using book identification code and book curation method using the same
Hamoud et al. A prediction model ba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ith feature selection approaches over imbalanced dataset
Alshehri et al. A comparison of EDM tools and techniques
Kiran et al. Career and Skills Recommendations using Data Mining Technique: Matching Right People for Right Profession, in Pakistani Context
Hasnine et al. Design of a location-based word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association rule mining analysis
Jindal et al. Data mining in education for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Alhenawi et al. Choosing a Suitable Requirement Prioritization Method: A Survey
Nájera et al. Selection of academic tutors in higher education using decision tr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