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572A -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 Google Patents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572A
KR20230149572A KR1020220048960A KR20220048960A KR20230149572A KR 20230149572 A KR20230149572 A KR 20230149572A KR 1020220048960 A KR1020220048960 A KR 1020220048960A KR 20220048960 A KR20220048960 A KR 20220048960A KR 20230149572 A KR20230149572 A KR 20230149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adiator
degrees
present
separ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943B1 (ko
Inventor
김수원
김광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마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마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마루
Priority to KR102022004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9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49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7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endfire radiating aerial units transverse to the plane of the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통해 엔드파이어의 부엽(side lobe)을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확장된 커버리지를 구현한 안테나 구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를 이용한 엔드파이어 방식의 안테나에서 수직 배열된 방사체를 비대칭(예: 0.75 대 0.45)으로 이격 설정함으로써 부엽이 복수 개(예: 30도, 60도)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무선랜 통신에 대한 확장된 커버리지를 구현한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에 의해 복수의 방사체(21, 22, 23)가 수직 배열되어 연결된 엔드파이어 방사 패턴의 시리즈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고, 중앙 방사체(22)의 센터라인(CL22)을 기준으로 상부 방사체(21)의 센터라인(CL21)에 대한 제 1 이격거리(A')와 하부 방사체(23)의 센터라인(CL23)에 대한 제 2 이격거리(A")가 비대칭 설정되어 기준 복사각 theta 90도에서 주엽(main lobe)을 형성하고 서로 상이한 제 1 복사각 및 제 2 복사각에서 이중 부엽(side lobes)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coverage extension antenna by use of up-down asymmetrical radiator separ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통해 엔드파이어의 부엽(side lobe)을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확장된 커버리지를 구현한 안테나 구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를 이용한 엔드파이어 방식의 안테나에서 수직 배열된 방사체를 비대칭(예: 0.75 대 0.45)으로 이격 설정함으로써 부엽이 복수 개(예: 30도, 60도)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무선랜 통신에 대한 확장된 커버리지를 구현한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지향성 안테나의 일종인 엔드파이어 안테나(end-fire antenna)의 일반적인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a)는 엔드파이어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데카르트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로 표시한 것이고, [도 1] (b)는 안테나 방사 패턴의 매개 변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b)에는 주엽(main lobe), 후엽(back lobe), 부엽(side lobe), 널(null)의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문헌에 따라서는 부엽(minor lobe)과 측엽(side lobe)을 구분하기도 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부엽'이라고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엔드파이어 설계의 핵심 과제는 주엽을 크게 만들고 부엽과 후엽을 작게 만드는 것으로, 이러한 핵심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 설계 기술이 종래로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74617호(2022.03.10) "2채널의 부엽차단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8200호(2017.08.08) "면배열 디지털 빔형성 안테나 시스템 및 이의 부엽차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7578호(2011.10.21) "부엽차단 기능을 갖는 선배열 디지털 빔형성 안테나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43893호(2019.01.24) "부엽 억제를 위한 파라볼릭 오프셋 안테나 혼 지지대 설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25113호(2004.03.24) "부엽레벨 억압을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통해 엔드파이어의 부엽(side lobe)을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확장된 커버리지를 구현한 안테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를 이용한 엔드파이어 방식의 안테나에서 수직 배열된 방사체를 비대칭(예: 0.75 대 0.45)으로 이격 설정함으로써 부엽이 복수 개(예: 30도, 60도)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무선랜 통신에 대한 확장된 커버리지를 구현한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들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에 의해 복수의 방사체(21, 22, 23)가 수직 배열되어 연결된 엔드파이어 방사 패턴의 시리즈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고, 중앙 방사체(22)의 센터라인(CL22)을 기준으로 상부 방사체(21)의 센터라인(CL21)에 대한 제 1 이격거리(A')와 하부 방사체(23)의 센터라인(CL23)에 대한 제 2 이격거리(A")가 비대칭 설정되어 기준 복사각 theta 90도에서 주엽(main lobe)을 형성하고 서로 상이한 제 1 복사각 및 제 2 복사각에서 이중 부엽(side lobes)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이격거리(A')와 제 2 이격거리(A")는 0.75 대 0.45의 비율로 비대칭 설정되어 theta 30도의 제 1 복사각과 theta 60도의 제 2 복사각에서 이중 부엽을 형성하도록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를 이용한 엔드파이어 방식의 안테나에서 부엽이 복수 개(예: 30도, 60도) 이격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무선랜 통신에 대한 확장된 커버리지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엔드파이어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안테나 구성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실물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무선랜 2.4 GHz 대역 방사 특성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무선랜 5 GHz 대역 방사 특성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안테나 구성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에 의해 복수의 방사체(11, 12, 13; 21, 22, 23)가 수직 배열되어 연결된(즉, 수직 배열형) 엔드파이어 방사 패턴의 시리즈 배열 안테나(series array antenna)로서, [도 2] (a)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 구성이고 [도 2] (b)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a), (b)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상하 일렬로 배열된 방사체를 편의상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상부 방사체(11, 21), 중앙 방사체(12, 22), 하부 방사체(13, 23)라고 불렀을 때, 중앙 방사체(12, 22)의 센터라인(CL12, CL22)을 기준으로 상부 방사체(11, 21)의 센터라인(CL11, CL21)에 대한 제 1 이격거리(A')와 하부 방사체(13, 23)의 센터라인(CL13, CL23)에 대한 제 2 이격거리(A")를 살펴보면 차이가 드러난다.
종래기술에서는 제 1 이격거리(A')와 제 2 이격거리(A")가 대칭 설정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제 1 이격거리(A')와 제 2 이격거리(A")가 비대칭 설정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칭(symmetry)과 비대칭(asymmetry)은 수학적으로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엔드파이어 방사 패턴에서 부엽의 갯수에 영향을 줄 정도로 전기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도 2] (a)의 종래기술에서는 제 1 이격거리(A')와 제 2 이격거리(A")가 각각 0.6λ 대 0.6λ로서 상호 대칭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반면, [도 2] (b)의 본 발명에서는 제 1 이격거리(A')와 제 2 이격거리(A")가 각각 0.75λ 대 0.45λ로서 상호 비대칭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구체적인 숫자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a)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 (b)는 이 안테나의 전기장(E-plane) 방사 특성을 극좌표(polar coordinate)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a)에는 안테나를 구성한 인쇄회로기판(PCB)의 양면(top, bottom)의 인쇄 패턴을 나타내었다.
종래의 안테나 설계는 H 평면(H plane)에서 피크이득(peak gain)을 높이는 것이 주 관심사였다. 이를 위해 중앙 방사체(12)의 센터라인(CL12)에서 상부 방사체(11)의 센터라인(CL11)까지의 제 1 이격거리(A')와 중앙 방사체(12)의 센터라인(CL12)에서 하부 방사체(13)의 센터라인(CL13)까지의 제 2 이격거리(A")를 0.5λ 내지 0.6λ로 설정하는데, [도 3] (a)에서는 0.6λ로 설정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λ는 무선통신신호의 파장을 의미한다.
[도 3] (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안테나에서는 기준 복사각인 theta 90도에서 피크이득이 발생되어 주엽(main lobe)을 형성하고 복사각 theta 45도 근방에서 부엽(side lobe)을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a)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 (b)는 이 안테나의 전기장(E-plane) 방사 특성을 극좌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대비하여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수직 배열된 상부 방사체(21), 중앙 방사체(22), 하부 방사체(23)를 비대칭으로 이격 설정함으로써 2개의 부엽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무선통신(예: 무선랜)의 커버리지(통신가능구역)을 확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4]에서는 중앙 방사체(22)의 센터라인(CL22)에서 상부 방사체(21)의 센터라인(CL21)까지의 제 1 이격거리(A')와 중앙 방사체(22)의 센터라인(CL22)에서 하부 방사체(23)의 센터라인(CL23)까지의 제 2 이격거리(A")를 각각 0.75λ와 0.45λ로 설정하였다. 이 경우, 기준 복사각 theta 90도에서 피크이득이 발생되어 주엽을 형성하면서 theta 30도와 theta 60도에서 2개의 부엽(이중 부엽)이 형성된다. 이처럼 2개의 부엽이 서로 겹치지 않고 90도의 각도를 삼분하면서 펼쳐져 형성됨에 따라 무선통신의 커버리지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실물 예시도이다. [도 5] (a)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PCB)의 형태로 안테나를 구성한 후에 [도 5] (b)에 도시된 하우징에 담아 무선랜 외장 안테나를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전기적인 특성, 특히 임피던스 정합 및 반사손실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무선랜 2.4 GHz 대역 방사 특성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현행 기술규격에 따르면 무선랜 2.4 GHz 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2.400 GHz 내지 2.483 GHz이므로 5개의 주파수 2.402 GHz, 2.427 GHz, 2.442 GHz, 2.462 GHz, 2.482 GHz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실험을 통해 얻고 [도 7]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무선랜 5 GHz 대역 방사 특성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현행 기술규격에 따르면 무선랜 5 GHz 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5.150 GHz 내지 5.825 GHz이므로 3개의 주파수 5.180 GHz, 5.550 GHz, 5.875 GHz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실험을 통해 얻고 [도 9]와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7] 내지 [도 10]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에 의하면 무선랜 대역에서의 안테나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2.4 GHz 대역에서는 종래기술보다 피크이득이 1 dBi 이상 개선되었고, 5 GHz 대역에서는 H 평면에서 기존 피크이득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부엽을 추가 형성함에 따라 무선통신의 커버리지가 확장되었다.

Claims (2)

  1.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에 의해 복수의 방사체(21, 22, 23)가 수직 배열되어 연결된 엔드파이어 방사 패턴의 시리즈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고, 중앙 방사체(22)의 센터라인(CL22)을 기준으로 상부 방사체(21)의 센터라인(CL21)에 대한 제 1 이격거리(A')와 하부 방사체(23)의 센터라인(CL23)에 대한 제 2 이격거리(A")가 비대칭 설정되어 기준 복사각 theta 90도에서 주엽(main lobe)을 형성하고 서로 상이한 제 1 복사각 및 제 2 복사각에서 이중 부엽(side lobes)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격거리(A')와 상기 제 2 이격거리(A")는 0.75 대 0.45의 비율로 비대칭 설정되어 theta 30도의 상기 제 1 복사각과 theta 60도의 상기 제 2 복사각에서 이중 부엽을 형성하도록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KR1020220048960A 2022-04-20 2022-04-20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KR10263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60A KR102632943B1 (ko) 2022-04-20 2022-04-20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960A KR102632943B1 (ko) 2022-04-20 2022-04-20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72A true KR20230149572A (ko) 2023-10-27
KR102632943B1 KR102632943B1 (ko) 2024-02-02

Family

ID=8851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960A KR102632943B1 (ko) 2022-04-20 2022-04-20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94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113A (ko) 2002-09-18 2004-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엽레벨 억압을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KR101077578B1 (ko) 2009-08-20 2011-10-27 국방과학연구소 부엽차단 기능을 갖는 선배열 디지털 빔형성 안테나 시스템
KR20160001064U (ko) * 2014-09-23 2016-03-31 김태곤 인쇄회로 기판을 이용한 다중 공진 안테나
KR101768200B1 (ko) 2016-11-22 2017-08-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면배열 디지털 빔형성 안테나 시스템 및 이의 부엽차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190002710A (ko) * 2016-05-26 2019-01-08 더 차이니즈 유니버시티 오브 홍콩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상호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43893B1 (ko) 2017-11-01 2019-01-30 국방과학연구소 부엽 억제를 위한 파라볼릭 오프셋 안테나 혼 지지대 설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
KR102374617B1 (ko) 2020-06-15 2022-03-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2채널의 부엽차단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113A (ko) 2002-09-18 2004-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엽레벨 억압을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KR101077578B1 (ko) 2009-08-20 2011-10-27 국방과학연구소 부엽차단 기능을 갖는 선배열 디지털 빔형성 안테나 시스템
KR20160001064U (ko) * 2014-09-23 2016-03-31 김태곤 인쇄회로 기판을 이용한 다중 공진 안테나
KR20190002710A (ko) * 2016-05-26 2019-01-08 더 차이니즈 유니버시티 오브 홍콩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상호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68200B1 (ko) 2016-11-22 2017-08-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면배열 디지털 빔형성 안테나 시스템 및 이의 부엽차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943893B1 (ko) 2017-11-01 2019-01-30 국방과학연구소 부엽 억제를 위한 파라볼릭 오프셋 안테나 혼 지지대 설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
KR102374617B1 (ko) 2020-06-15 2022-03-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2채널의 부엽차단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943B1 (ko)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1083B2 (en) Compact wideband dual-polarized radiating elements for base station antenna applications
US10749272B2 (en) Dual-polarized millimeter-wave antenna system applicable to 5G communications and mobile terminal
US11177565B2 (en) Simplified multi-band multi-beam base-station antenna architecture and its implementation
US20170062940A1 (en) Compact wideband dual polarized dipole
US8253642B2 (en) Leaky-wave antenna capable of multi-plane scanning
US6525696B2 (en) Dual band antenna using a single column of elliptical vivaldi notches
KR20210077808A (ko)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안테나 어레이, 및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제조 방법
CN106207495B (zh) 双极化天线及其辐射单元
CN109149131A (zh) 隐身天线元件和相关的多频带天线
US11973273B2 (en) High performance folded dipole for multiband antennas
EP2951887A1 (en) An antenna arrangement and a base station
US20230017375A1 (en) Radiating element, antenna assembly and base station antenna
CN108598699B (zh) 垂直极化全波振子阵列天线以及定向辐射天线
CN210926312U (zh) 一种宽频辐射单元及天线
US10483652B2 (en) Multi-beam antenna and multi-beam antenna arra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32943B1 (ko) 상하 비대칭의 방사체 이격구조를 갖는 커버리지 확장 안테나
CN115832689A (zh) 一种宽波束毫米波圆极化磁电偶极子天线
US20230361475A1 (en)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compact dual-polarized box dipole radiating elements therein that support high band cloaking
KR101895723B1 (ko) 하이브리드 타입 그라운드를 이용한 지향성 모노폴 어레이 안테나
CN110635234A (zh) 天线结构
CN113594718B (zh) 天线阵列及无线通信设备
CN215418582U (zh) 天线
US20240162599A1 (en)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f-style arrays that generate antenna beams having narrowed azimuth beamwidths
CN217691654U (zh) 一种带隔离电路的天线阵列侧边反射元件及阵列天线
CN212783781U (zh) 具有集成波束成形网络的双光束基站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