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384A -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384A
KR20230149384A KR1020220048336A KR20220048336A KR20230149384A KR 20230149384 A KR20230149384 A KR 20230149384A KR 1020220048336 A KR1020220048336 A KR 1020220048336A KR 20220048336 A KR20220048336 A KR 20220048336A KR 20230149384 A KR20230149384 A KR 2023014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taverse
information
suitability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환
김동빈
김정훈
제시 호우 램
켈시 지리 투
에릭 히에로 아벨로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384A/ko
Publication of KR2023014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5Update request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개인마다 서로 다른 건강상태 및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디지털 치료제나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제시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metaverse) 기반 환경에서 디지털 치료제나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 변화에 대한 측정 데이터 및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해당 디지털 치료제나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디지털 치료제나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의 평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디지털 치료제나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usability of digital therapeutic agent and medical device using metaverse}
본 발명은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각의 개인마다 서로 다른 건강상태 및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제시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metaverse)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의 디지털 치료제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것에 의해 해당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와 사용 적합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치료제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치료효과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기기의 개발시에는 의료진의 실사용 및 실제 환자를 통해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더미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더하여, 더미를 이용하는 경우 실제의 경우와는 사용감 등이 상이함으로 인해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던 종래기술의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각종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체감형 컨텐츠를 통해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한 후 장단점이나 개선사항 등을 피드백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시험용 의료기기 및 시험대상(환자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데 더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평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가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학기술이 발전하고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 인구수의 증가 및 고령화로 인해 치매나 인지장애 등과 같은 퇴행성 질환 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의료 분야에도 기존의 의료기술과 IT 기술이 융합된 복합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의료기술과 IT 기술의 융합을 통해 이른바 디지털 치료제가 도입되어 치매나 인지장애 등과 같은 각종 질환의 치료 및 증상 개선을 위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이용하여 각종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먼저,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6246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경도 인지 장애와 치매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6246호는, 경도 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및/또는 치매(dementia)에 대한 발병기전(mechanism of action, MOA)과 치료가설(hypothesis)에 기초하여, 경도 인지장애와 치매의 치료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모듈을 생성하고, 그 디지털 치료제 모듈에 기초하여 구체화된 디지털 과제를 생성하며, 디지털 과제를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과제 생성부; 및 디지털 과제에 대한 제 1 사용자의 수행결과를 수집하는 결과 수집부를 포함하여, 기억상실형 경도 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병 진행의 신경체액적 요인을 고려하여 발병기전과 치료가설, 디지털치료 가설을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디지털 과제를 제시하고 그 수행결과를 수집, 분석하여 기억상실형 경도 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억제하고 개선된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도 인지장애와 치매치료를 위한 디지털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이용하여 각종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0775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근시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0775호는, 근시의 진행 억제와 치료를 위해, 근시의 발병기전(mechanism of action, MOA)에 관련된 신경체액적 요인들을 조절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 모듈에 대하여 제 2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지털 과제를 생성하고, 디지털 과제를 근시치료 대상자인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과제 생성부; 및 디지털 과제에 대한 제 1 사용자의 수행결과를 수집하는 결과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과제는 제 1 사용자에 의한 구체적 행동을 지시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디지털 과제에 대한 제 1 사용자의 수행결과를 검토 가능한 제 2 사용자의 처방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 치료제 모듈은 제 1 사용자의 환경, 행동, 정서 및 인지에 관하여 도출되는 행동 과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근시에 대한 발병기전, 치료가설, 디지털치료 가설을 도출하고, 디지털치료 가설에 기초하여 광자극 환경하에서 환자가 디지털 과제의 반복적 수행을 통해 근시의 진행을 억제하고 치료효과를 제공하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시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디지털치료제를 이용하여 각종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즉, 디지털 치료제를 이용한 치료에 있어서, 각 개인마다 건강상태가 상이하므로 각 개인별로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각 개인의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건강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제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디지털 치료제들은 단순히 환자에게 미리 지정된 특정 행동이나 작업을 수행시키도록 하고 그 결과를 통해 치료효과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사용 전에 해당 환자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는 상기한 디지털 치료제뿐만 아니라 진단이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각종 의료기기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즉, 디지털 치료제나 의료기기의 개발시에는 의료진의 실사용을 통해 그 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나, 검증되지 않은 치료제나 장비를 환자에게 적용하기는 어려우므로 실제 환자 대신에 더미 등을 이용하여 사용 적합성을 평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더미를 이용하는 경우, 적합성 평가를 위한 준비과정의 번거로움에 더하여 실제의 경우와는 사용감 등이 상이함으로 인해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는 것이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에는 이와 같이 디지털 치료제나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내용에 대하여는 제시된 바 없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치료제나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내용에 대하여는 제시된 바 없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예를 들면, 최근 새로운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도입하여, 각각의 사용자 및 의료기관을 포함하는 메타버스를 구축하여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관리하고 디지털 치료제의 적용에 따른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더하여, 메타버스를 통한 가상환경에서 각종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6246호 (2021.07.0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0775호 (2021.05.1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치료제에 있어서, 각각의 개인마다 서로 다른 건강상태 및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제시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의 디지털 치료제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것에 의해 해당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와 사용 적합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치료제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치료효과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료기기의 개발에 있어서, 의료진의 실사용 및 실제 환자를 통해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더미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데 더하여, 더미를 이용하는 경우 실제의 경우와는 사용감 등이 상이함으로 인해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던 종래기술의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각종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체감형 컨텐츠를 통해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한 후 장단점이나 개선사항 등을 피드백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시험용 의료기기 및 시험대상(환자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 데 더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평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가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타버스(metaverse)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고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보수집부;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정보와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각종 의료기관의 정보를 수집하여 미리 구축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처리가 각각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정보수집부 및 상기 서버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상기 정보수집부 및 상기 서버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이나 증강현실(Argumented Reality ;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또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 XR)을 포함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수집부는,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누울 수 있도록 의자나 베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사용자의 전신에 대하여 각종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각각의 측정결과 및 현재 상태와 동작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정보수집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누워 있는 동안 전신에 대한 각종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정보수집부는, 맥박, 심박수, 심박변이도, 혈압, 수명상태, 체온, 호흡수, 활동량, 활동범위, 체중, 키, 혈류량, 체성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건강정보(Personal Health Record ; PHR)를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정보수집부는, 진료기록, 약물처방, 의료 진단영상, 검사결과, 상담기록을 포함하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의료기관 진료정보(Electronic Medical Record ; EMR)를 각각의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하여 함께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수집부는, 상기 개인건강정보(PHR) 및 상기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복제 및 대체가 불가능한 NFT(Non-Fungible Token)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각각의 사용자 및 의료기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 각각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미리 구축된 메타버스 환경을 각각의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사용자에게 고유한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하며, 사용자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 및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 적합성 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메타버스 환경에 포함된 각각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각각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포함하는 NFT 정보를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 유일한 동시에 개인정보의 복제나 조작이 불가능한 아바타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아바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메타버스 기반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하여 측정을 수행할 때마다 측정내용에 따라 미리 정해진 리워드를 지급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 적합성 평가부는,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각각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를 통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의 디지털 치료제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제공단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질의응답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디지털 치료제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치료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해당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의료기기 평가단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를 통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 의료기기의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체험컨텐츠 제공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를 측정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질의응답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체감형 컨텐츠를 통해 의료기기를 사용한 후 장단점이나 개선사항을 피드백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체험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에 있어서, 메타버스 환경을 통하여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시스템 구축단계; 및 상기 시스템 구축단계에서 구축된 상기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기반으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평가시스템은, 상기에 기재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의 디지털 치료제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것에 의해 해당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와 사용 적합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치료제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치료효과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디지털 치료제에 있어서, 각각의 개인마다 서로 다른 건강상태 및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제시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각종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체감형 컨텐츠를 통해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한 후 장단점이나 개선사항 등을 피드백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에 의해,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시험용 의료기기 및 시험대상(환자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 데 더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평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가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의료기기의 개발에 있어서, 의료진의 실사용 및 실제 환자를 통해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더미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데 더하여, 더미를 이용하는 경우 실제의 경우와는 사용감 등이 상이함으로 인해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던 종래기술의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의 정보수집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의 정보수집부의 실제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아바타를 통해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의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의 사용 적합성 평가부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의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의 구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의 의료기기 평가단계의 구체적인 처리과정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치료제에 있어서, 각각의 개인마다 서로 다른 건강상태 및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제시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의 디지털 치료제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것에 의해 해당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와 사용 적합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치료제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치료효과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의료기기의 개발에 있어서, 의료진의 실사용 및 실제 환자를 통해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더미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데 더하여, 더미를 이용하는 경우 실제의 경우와는 사용감 등이 상이함으로 인해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던 종래기술의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각종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체감형 컨텐츠를 통해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한 후 장단점이나 개선사항 등을 피드백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시험용 의료기기 및 시험대상(환자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 데 더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평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가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각각의 사용자가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1)와,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와 연동되고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보수집부(12)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 및 정보수집부(12)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정보와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각종 의료기관의 정보를 수집하여 미리 구축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처리가 각각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서버(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 및 정보수집부(1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고유한 아바타(Avatar)를 생성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를 통해 각 개인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예를 들면, PC나 노트북 등과 같은 정보처리장치에 상기한 정보수집부(12)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통신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정보수집부(12)와 연동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예를 들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이나 증강현실(Argumented Reality ;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또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 XR) 등과 같이, 메타버스에 다이브하는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시스템(VR, AR, MR, XR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정보수집부(12)는, 사용자의 전신에 대하여 각종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안마의자나 침대 등과 같이, 의자 또는 베드(bed)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에 각종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누워 있는 동안 전신에 대한 각종 신체정보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10)의 정보수집부(12)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10)의 정보수집부(12)의 실제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수집부(12)는, 크게 나누어,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누울 수 있도록 의자나 베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1)와, 사용자의 전신에 대하여 각종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서부(22)와, 센서부(22)의 측정결과 및 메디포트 장치의 현재 상태와 동작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부(23)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 및 서버(13)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24)와, 상기한 각 부 및 정보수집부(12)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정보수집부(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자나 베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1)의 각 부분에 설치된 각종 센서 및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서부(22)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종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과정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표시부(23)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수집된 정보를 통신부(24)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1)와 서버(13)로 전송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에 생성되어 있는 아바타에 해당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팅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반영된 아바타를 통해 메타버스 기반으로 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 다이브 포트(Metaverse Dive Port)(이하, 메디포트(Medi Port) 라고도 함)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메디포트를 병원 등의 특정 위치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디포트에 착석하거나 누우면 자신의 신체정보가 자동으로 측정되어 서버(13)로 전송되고, 서버(13)에서는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메타버스 환경의 아바타를 업데이트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사용자의 건강정보가 반영된 아바타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맞춤형으로 건강관리 및 진료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메디포트를 통해 사용자의 각종 신체 및 건강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일종의 건강진단 및 건강관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메디포트를 통해 측정을 수행하면 측정내용에 따라 리워드를 지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 및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정보수집부(12)는, 예를 들면, 맥박, 심박수, 심박변이도, 혈압, 수명상태, 체온, 호흡수, 활동량, 활동범위, 체중, 키, 혈류량, 체성분 등과 같이, 사용자의 각종 신체 및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정보(Personal Health Record ; PHR)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디포트를 통해 수집하여 서버(13)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개인건강정보(PHR)는, 정보수집부(12)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 이외에, 예를 들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이, 신체정보 측정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11)를 이용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한 정보수집부(12)는, 예를 들면, 진료기록, 약물처방, 의료 진단영상, 검사결과, 상담기록 등과 같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진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기관 진료정보(Electronic Medical Record ; EMR)를 각각의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하여 함께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는, 바람직하게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복제 및 대체가 불가능한 NFT(Non-Fungible Token) 형태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개인에게 고유한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NFT는 대체불가능 토큰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그림이나 영상 또는 음악 파일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무한정 복제가 가능하여 원본이나 소유권을 증명하기 어려운 디지털 파일에 조작이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원본을 인증하는 정보가 저장된 토큰을 부가함으로써 원본 여부 및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으므로, 최근 예술품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자산의 거래에 NFT가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수집하는 구성이나, 메타버스 서비스 또는 블록체인 및 NFT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성이나 동작 등에 대하여는 기존의 신체정보 측정장치 및 메타버스 서비스나 블록체인 관련 내용들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의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포함하는 NFT를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에 적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에 유일한 동시에 개인정보의 복제나 조작이 불가능한 아바타의 생성이 가능해지며, 그것에 의해, 각각의 아바타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메타버스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되는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아바타를 통해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건강관리 및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건강정보를 수집하고 각각의 의료기관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된 메타버스 환경 내의 아바타에 NFT에 기반한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포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 다이브 포트를 구현함으로써, 각각의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및 개인건강정보가 포팅된 아바타 및 NFT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의에 따라 건강관리를 위한 메타버스, 즉, 거울세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10)의 서버(13)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서버(13)는, 크게 나누어, 각각의 사용자단말기(11)와 정보수집부(12)를 통하여 수신되는 각각의 사용자 및 의료기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건강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51)와, 각각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미리 구축된 메타버스 환경을 각각의 사용자단말기(11)와 정보수집부(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사용자에게 고유한 아바타를 생성하여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하며, 사용자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 및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52)와, 상기한 데이터베이스 및 각각의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신체 및 건강상태 변화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건강관리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부(53)와, 사용자의 동의에 따라 의료기관을 포함하는 지정된 수신처에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를 전달하여 아바타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진단 및 처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진단서비스 제공부(54)와, 진단서비스 제공부(54)의 진단결과 내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미리 지정된 주치의나 의료기관에 해당 사실을 통보하고 진료예약을 수행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진료예약 서비스 제공부(55) 및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 적합성 평가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데이터베이스부(51)는, 메타버스 환경에 포함된 각각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각각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NFT에 저장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고유한 아바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바타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부(53)는, 예를 들면,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신체 및 건강상태 변화를 표나 그래프로 나타내어 제공하는 것에 의해 자신의 신체 변화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신체 및 건강상태 변화에 근거하여 운동이나 식단을 추천하거나 예상되는 질환이나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더욱이, 예를 들면, 당뇨, 고혈압, 심장질환, 치매, 우울증, 공황장애 등과 같이,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중이나 약물을 복용중인 경우 해당 치료의 결과나 약물복용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알림을 전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부(53)는, 사용자가 메타버스 다이브 포트를 통하여 측정을 수행할 때마다 측정내용에 따라 리워드를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한 리워드는 실제 재화일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면, 아바타용 복장이나 꾸미기 아이템 등과 같이,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 가능한 화폐나 아이템을 지급하여 사용자의 자발적 및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부(53)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의 처리가 인공지능(AI)에 기반하여 각각의 데이터 분석하고 분석결과 및 분석결과에 따른 각종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에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수집하고 관리함으로써 개인맞춤(Personalized), 예방(Preventive), 예측(Prediction), 참여(Participatory)를 포함하는 4P 헬스케어를 위한 인공지능 PoD(Point of Delivery)를 구축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일상생활 및 건강데이터 분석이나 복용약물 관리 등의 건강관리 기능과, 미세먼지 알림, 심야나 주말에 영업중인 약국 알림, 폭염시 근처 폭염 피난처 알림, 적합한 운동 및 식단 추천 등의 각종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진단서비스 제공부(54)는, 사용자의 동의가 있을 경우 아바타 정보를 사용자가 허용한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직접 내원하지 않고도 아바타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진료 및 처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의료기관이 서로 사용자의 PHR 및 EMR 정보를 열람(공유)할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병원간의 연계를 통해 진료내역 및 약물처방 내역 등을 확인하여 과잉진료나 오진단 및 함께 복용하면 안되는 약을 동시에 처방하는 약물충돌 등의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진료예약 서비스 제공부(55)는, 진단서비스 제공부(54)를 통한 원격진료 결과 내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연계되어 있는 의료기관간 연계를 통해 메타버스 상에서 바로 원하는 의료기관 및 주치의에게 진료예약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진단을 받고 다시 병원을 예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타버스 다이브 포트에 등록한 사용자는 NFT 기반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에 등록된 병원들에 대하여 본인의 PHR/EMR 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병원간 진료내역, 복용약물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진료 및 처방시에 참고할 수 있으며, 당뇨, 고혈압, 심장질환, 치매, 우울증, 공황장애 등의 각종 질환을 진단받은 환자에 대하여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등을 이용하여 일상생활, 건강상태, 약물복용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고, 내원 진료 필요시 주치의에 자동으로 전달하고 우선 진료예약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시스템 및 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10)의 사용 적합성 평가부(56)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사용 적합성 평가부(56)는, 먼저,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S10)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평가단계(S20)를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의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S10)의 구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의 의료기기 평가단계(S20)의 구체적인 처리과정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S1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 및 서버(13)를 통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의 디지털 치료제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제공단계(S11)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1) 및 정보수집부(12)(메디포트)를 통해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고 서버(13)로 전송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질의응답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서버(13)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치료데이터 수집단계(S12)와, 서버(13)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해당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고 사용자 단말기(11) 및 정보수집부(12)(메디포트)를 통해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S1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와 사용 적합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치료제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치료효과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의료기기 평가단계(S2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 및 서버(13)를 통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각종 의료기기의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VR, AR, MR, XR 등)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체험컨텐츠 제공단계(S21)와, 사용자 단말기(11) 및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정보수집부(12)(메디포트)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질의응답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체감형 컨텐츠를 통해 의료기기를 사용한 후 장단점이나 개선사항 등을 피드백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서버(13)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체험데이터 수집단계(S32)와, 서버(13)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고 사용자 단말기(11) 및 정보수집부(12)(메디포트)를 통해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평가단계(S3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시험용 의료기기 및 시험대상(환자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 데 더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평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가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의 디지털 치료제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것에 의해 해당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와 사용 적합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치료제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치료효과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디지털 치료제에 있어서, 각각의 개인마다 서로 다른 건강상태 및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제시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각종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체감형 컨텐츠를 통해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한 후 장단점이나 개선사항 등을 피드백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것에 의해,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시험용 의료기기 및 시험대상(환자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 데 더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평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가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의료기기의 개발에 있어서, 의료진의 실사용 및 실제 환자를 통해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더미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데 더하여, 더미를 이용하는 경우 실제의 경우와는 사용감 등이 상이함으로 인해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던 종래기술의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11. 사용자 단말기 12. 정보수집부
13. 서버 21. 본체
22. 센서부 23. 표시부
24. 통신부 25. 제어부
51. 데이터베이스부 52.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
53.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부 54. 진단서비스 제공부
55. 진료예약 서비스 제공부 56. 사용 적합성 평가부

Claims (15)

  1. 메타버스(metaverse)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고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보수집부;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정보와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고, 각종 의료기관의 정보를 수집하여 미리 구축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처리가 각각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정보수집부 및 상기 서버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상기 정보수집부 및 상기 서버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이나 증강현실(Argumented Reality ;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또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 XR)을 포함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메타버스 환경을 기반으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누울 수 있도록 의자나 베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사용자의 전신에 대하여 각종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각각의 측정결과 및 현재 상태와 동작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정보수집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누워 있는 동안 전신에 대한 각종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맥박, 심박수, 심박변이도, 혈압, 수명상태, 체온, 호흡수, 활동량, 활동범위, 체중, 키, 혈류량, 체성분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건강정보(Personal Health Record ; PHR)를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진료기록, 약물처방, 의료 진단영상, 검사결과, 상담기록을 포함하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의료기관 진료정보(Electronic Medical Record ; EMR)를 각각의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하여 함께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상기 개인건강정보(PHR) 및 상기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복제 및 대체가 불가능한 NFT(Non-Fungible Token)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각각의 사용자 및 의료기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부;
    각각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미리 구축된 메타버스 환경을 각각의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사용자에게 고유한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하며, 사용자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 및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 적합성 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메타버스 환경에 포함된 각각의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각각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건강정보(PHR) 및 의료기관 진료정보(EMR)를 포함하는 NFT 정보를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에 유일한 동시에 개인정보의 복제나 조작이 불가능한 아바타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아바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메타버스 기반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가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하여 측정을 수행할 때마다 측정내용에 따라 미리 정해진 리워드를 지급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적합성 평가부는,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각각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를 통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의 디지털 치료제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제공단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질의응답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디지털 치료제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치료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해당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효과 및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치료제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평가단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를 통해 메타버스 기반 환경에서 평가대상 의료기기의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한 체험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체험컨텐츠 제공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 및 신체상태의 변화를 측정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질의응답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체감형 컨텐츠를 통해 의료기기를 사용한 후 장단점이나 개선사항을 피드백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체험데이터 수집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행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정보수집부를 통해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의료기기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15.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에 있어서,
    메타버스 환경을 통하여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시스템 구축단계; 및
    상기 시스템 구축단계에서 구축된 상기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기반으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의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평가시스템은,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방법.
KR1020220048336A 2022-04-19 2022-04-19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9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336A KR20230149384A (ko) 2022-04-19 2022-04-19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336A KR20230149384A (ko) 2022-04-19 2022-04-19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384A true KR20230149384A (ko) 2023-10-27

Family

ID=8851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336A KR20230149384A (ko) 2022-04-19 2022-04-19 메타버스를 이용한 디지털치료제 및 의료기기 사용 적합성 평가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38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75B1 (ko) 2019-10-18 2021-05-11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근시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KR20210086246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경도 인지 장애와 치매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75B1 (ko) 2019-10-18 2021-05-11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근시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KR20210086246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경도 인지 장애와 치매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taria et al. Digital health: a new dimension in rheumatology patient care
KR102116664B1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141425B1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Chen et al. Evaluating self-management behaviors of diabetic patients in a telehealthcare program: longitudinal study over 18 months
Singh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in healthcare: Innovation and technologies
Kerr et al. Diabetes and technology in 2030: a utopian or dystopian future?
WO2012071354A2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personalized education, patient support community and telemonitoring
US11152114B2 (en) Patient state representation architectures and uses thereof
JP2009518731A (ja) 慢性疾患の目標管理
US20100268057A1 (en) Computational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services planning and matching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US10319471B2 (en) Computational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services planning and matching
Gordon et al. Unit-based care teams and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physician-nurse communications
Rogers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healthcare systems, wireless connected devices, and body sensor networks in COVID-19 remote patient monitoring
Berry et al. Self-care support for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iCancerHealth
Wu et al. Patients’ compliance behavior in a personalized mobile patient education system (PMPES) setting: Rational, social, or personal choices?
Ahmadi et al. Development of a mobile-based self-care application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in Iran
Troncone et al. Doctor-patient relationship in synchronous/real-time video-consultations and in-person visits: an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s of young people with type 1 diabetes and their par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age et al. Upstream Health Law
Israni et al. Human‐Machine Interaction in Leveraging the Concept of Telemedicine
Reychav et al. Reporting health data in waiting rooms with mobile technology: Patient expectation and confirmation
Lupton Digital health and health care
KR20230149382A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201702557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 discharge moment
JP2003141251A (ja) 診断投薬方法及び診断投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