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372A -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372A
KR20230149372A KR1020220048171A KR20220048171A KR20230149372A KR 20230149372 A KR20230149372 A KR 20230149372A KR 1020220048171 A KR1020220048171 A KR 1020220048171A KR 20220048171 A KR20220048171 A KR 20220048171A KR 20230149372 A KR20230149372 A KR 2023014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lin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uni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1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보
김남우
이용국
정재상
정동우
김진하
정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4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372A/en
Publication of KR2023014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3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8Load moni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해공학 수조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심 조건을 모사하는 수심 모사유닛; 상기 수심 모사유닛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되어 모형선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앵커 모사유닛; 및 상기 수심 모사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계류력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hat simulates water depth conditions by enabling height adjustment within a deep-sea engineering water tank; an anchor simulation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having one end of a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simulate the movement of a model ship; and a mooring force measur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measur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Description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방법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에 대한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시험의 일환으로서 심해공학수조에서 각각의 계류 라인의 장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nd a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and specifically, as part of a model test to evaluat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ooring system of ships and marine structures, each mooring in a deep-sea engineering water tank. It relates to a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for checking the tension characteristics of a line and a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부유식 생산, 시추 플랫폼, 건설 플랫폼, 스파 부표(spar buoy)와 같은 계류 구조체는 해저 상의 앵커와 플랫폼 사이에 고정된 체인 또는 케이블의 사용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정박된다.Mooring structures such as floating production, drilling platforms, construction platforms, and spar buoys are moored in a desired location through the use of chains or cables secured between the platform and anchors on the seabed.

조류와 파도, 바람 등으로부터 계류 구조체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계선 장치에는 안벽이나 부이 (Buoy)에 계선줄(Mooring Rope)로 연결시켜서 고정하는 계류 장치(Mooring Equipment)와, 임의의 수면에서 정 해진 위치에 앵커(닻; Anchor)와 앵커 체인(묘쇄; Anchor Chain)으로 파지력을 통하여 고정하는 앵커링 장치 (Anchoring Apparatus)가 있다.Mooring equipment used to fix the movement of mooring structures from currents, waves, wind, etc. includes mooring equipment that is connected to a quay wall or buoy with a mooring rope and fixed to it, and mooring equipment that is fixed to a quay wall or buoy with a mooring rope, and can be used on any surface of the water. There is an anchoring device (Anchoring Apparatus) that secures the anchor at a given location through gripping force using an anchor and an anchor chain.

부유식 해양플랫폼은 장기간 해상의 특정 지역에 고정적으로 위치하며 Oil, Gas 등을 추출하는 시스템으로 특히 피로 파괴 분석을 통한 수명 예측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A floating offshore platform is a system that is fixedly loca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sea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extracts oil and gas. In particular, life expectancy prediction through fatigue failure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part.

이중 특히 해양플랫폼의 계류 라인에 걸리는 장력은 계류 라인의 피로 파괴 분석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해양플랫폼의 계류 라인이 피로로 인하여 파괴되면 천문학적인 손실을 발생시킨다.Among these, the tension applied to the mooring line of an offshore platfor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fatigue failure analysis of the mooring line. If the mooring line of an offshore platform is destroyed due to fatigue, astronomical losses occur.

이러한 이유로 계류 라인의 피로 파괴 분석을 위한 장력의 분석은 해양플랫폼의 유지보수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이다.For this reason, tension analysis for fatigue failure analysis of mooring lines is a major part of offshore platform maintenance.

심해공학수조에서 수행되는 여러가지 시험 중 선박 및 도 1의 반잠수식 해양설비(semi-submersible), 도 2의 FPSO, 도 3의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설비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의 거동 및 계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의 모형시험이 수행되고 있다.Among the various tests performed in the deep-sea engineering water tank, the behavior and mooring characteristics of marine structures such as ships and semi-submersible marine facilities (semi-submersible) in FIG. 1, FPSO in FIG. 2, and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 FIG. 3 are tested. A model test is being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research and analyzing the results.

이렇게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계류시스템에 대한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시험이 수행되며, 이런 모형시험의 일환으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복원력을 모사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복수의 스프링이 사용된 Static pull & out 시험을 수행한다.In this way, a model test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ooring system of ships and marine structures, and as part of this model test, a static pull using a plurality of springs is used as shown in Figure 4 to simulate the restoring force of ships and marine structures. & out Perform the test.

Static pull & out 시험은 계류선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One Line Tension test와 전체 계류시스템의 특성을 파악을 위한 restoring test 로 구분 지어 수행한다.Static pull & out testing is performed by dividing into a One Line Tension tes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oring line and a restoring tes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mooring system.

종래의 One line Tension test는 별도의 시험 장비가 없어 계류 라인의 장력을 계측하기 위한 로드셀을 폴대에 설치하여 모형시험 수심을 구현하고, 계류 라인 anchor를 무게 추로 구현하여 사람이 수동으로 이동 모형선의 움직임을 표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In the conventional One line Tension test, there is no separate test equipment, so a load cell to measure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is installed on a pole to implement the water depth of the model test, and the mooring line anchor is implemented as a weight so that a person can manually move the model ship. The test was performed by expressing .

그러나, 종래의 One line Tension test는 모형시험 수심과 모형선의 움직임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장력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ne line tension test has limitations in realizing the water depth of the model test and the movement of the model ship, and has problems with poor tension measurement accuracy.

한국등록특허 제10-2320119호Korean Patent No. 10-2320119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에 대한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시험의 일환으로서 심해공학수조에서 각각의 계류 라인의 장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various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s part of a model test to evaluat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ooring system of ships and marine structures, the tension characteristics of each mooring line in a deep-sea engineering water tank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nd a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심해공학 수조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심 조건을 모사하는 수심 모사유닛; 상기 수심 모사유닛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되어 모형선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앵커 모사유닛; 및 상기 수심 모사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계류력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hat simulates water depth conditions by enabling height adjustment within a deep-sea engineering water tank; an anchor simulation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having one end of a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simulate the movement of a model ship; and a mooring force measur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measur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상기 수심 모사유닛은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 상기 계류 라인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제1센서가 설치된 계류 라인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프레임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계류 라인 고정부의 제1센서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계류 라인 고정부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includes a base portion arranged on the bottom of a deep-sea engineering tank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arrang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first guide rail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 mooring line fixing unit in which one end of the mooring line is fixe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a first sensor is installed;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adjacent to the frame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first sensor of the mooring line fixing unit to move the mooring line fixing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Includes.

이때, 상기 계류 라인 고정부의 이동 범위는 3 내지 7 m 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range of the mooring line fixture is 3 to 7 m.

또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LM 가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제1센서는 엔코더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guide rail may be formed as an LM guide, and the first sensor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may be an encoder.

아울러, 상기 프레임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서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rame has an analog output terminal, allowing external measurement.

상기 앵커 모사유닛은,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계류 라인의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된 앵커가 고정되는 앵커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 고정부에 설치된 제2센서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앵커 고정부의 직선왕복운동을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nchor simulation unit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a deep-sea engineering tank; a second guide rail having a rail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an anchor fixing part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to linearly reciprocat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fixing an anchor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is connected; and a position control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controll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anchor fixture by transmitting a signal to a second sensor installed on the anchor fixture.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봉 형태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앵커 고정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rod-shaped support may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 support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may be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anchor fixing portion.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수심 모사유닛을 향하는 면에는 한 쌍의 레이저 거리계가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거리계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는 레이저 거리계 반사경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pair of laser rangefinders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facing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a laser rangefinder reflector is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to face the laser rangefinder.

이때,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LM 가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 고정부의 제2센서는 엔코더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rail is formed as an LM guide, and the second sensor of the anchor fixture may be an encoder.

이러한 지지부재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서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하다.These support members have analog output terminals, allowing external measurement.

또한, 상기 앵커 고정부의 이동 범위는 3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range of the anchor fixture is 3 m or less.

아울러, 상기 심해공학 수조내 바닥면에서 상기 수심 모사유닛과 앵커 모사유닛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형태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floor of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the anchor simulation unit may be connected by a straight connecting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계류력 측정유닛은,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배치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장력을 계측하는 계측부;를 포함한다.The mooring force measuring unit includes a load cell disposed in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measure tension of a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tension measured by the load cell.

이와 같은 계류력 측정유닛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하다.This type of mooring force measurement unit has an analog output terminal, allowing external measurement.

본 발명은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계류 라인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제1센서가 설치된 계류 라인 고정부를 포함하여 심해공학 수조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심 조건을 모사하는 수심 모사유닛;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계류 라인의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된 앵커가 고정되는 앵커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심 모사유닛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되어 모형선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앵커 모사유닛; 및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배치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계류력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a deep-sea engineering tank,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dispos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a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 first guide rail on which a rail is formed, one end of the mooring line is fixe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includes a mooring line fixing part on which a first sensor is installed, so that height can be adjusted within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A water depth simulation unit capable of simulating water depth conditions; A support member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a second guide rail formed with a rai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and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It is installed to linearly reciprocat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includes an anchor fixing part to which an anchor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is connected is fixed,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one end of which is An anchor simulation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simulates the movement of the model ship; And a mooring force measuring unit including a load cell disposed on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measure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한편, 전술한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심해공학 수조 내에서 수심과 모형선의 이동을 모사하고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방법이 개시된다.Meanwhile, a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is disclosed,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simulates the water depth and movement of the model ship in a deep-sea engineering tank and measures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using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embodiment disclosed below,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each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erves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in the claims.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solution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심해공학 수조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심 조건을 모사하는 수심 모사유닛과, 모형선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앵커 모사유닛과,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계류력 측정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에 대한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시험의 일환으로서 심해공학수조에서 각각의 계류 라인의 장력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hat simulates water depth conditions by enabling height adjustment within a deep-sea engineering water tank, an anchor simulation unit that simulates the movement of a model ship, and a mooring force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As part of a model test to evaluat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ooring system of ships and marine structures, it has the effect of confirming the tension characteristics of each mooring line in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도 1은 반잠수식 해양설비(semi-submersibl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FPSO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시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해양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에 대한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시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계류 라인 방향과 직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의 수심모사유닛을 계류 라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을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에서 앵커 모사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emi-submersible marine facility.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FPSO.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del test installation to evaluat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ooring system of an offshore structure.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of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mooring line direc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o use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of FIG. 8 viewed from above.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anchor simulation unit in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unconditionally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use the terms and conditions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cepts of various terms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more, that these terms and words should be interpreted with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with the intention of specifically limiting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refer to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is a term defined with consideration in mind.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different meaning, and that even if similarly expressed in plural, they may include singular meanings. do.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including” anothe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ny other component, but includes any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could mean that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within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is component may be installed in direct connection or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and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and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nd in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there may b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third component or means is presen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Likewis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have the same meaning. It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f used, refer to one component. It is used to clearly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aning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is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etc., if used,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n the corresponding drawing. Unless the absolute location is specified, these loca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absolute location.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Moreov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module", "device", etc., when used, mean a unit capable of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is hardware. Alternatively,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specifying the reference numeral for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 has the same reference number even if the component is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hat is, the same reference is mad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ymbols indicate the same component.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nnection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clearly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its proportions or scale may not be exa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known technologies including prior art, may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계류 라인 방향과 직각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의 수심 모사유닛을 계류 라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and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of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는, 수심 모사유닛(10), 앵커 모사유닛(20) 및 계류력 측정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an anchor simulation unit 20, and a mooring force measurement unit 30.

수심 모사유닛(10)은 심해공학 수조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심 조건을 모사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11), 프레임(12), 제1가이드레일(13), 계류 라인 고정부(14) 및 높이 조절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within the deep sea engineering tank to simulate water depth conditions, and includes a base part 11, a frame 12, a first guide rail 13, and a mooring line fixing part 14. )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15.

베이스부(11)는 소정 넓이를 가진 원형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프레임(12)과 높이 조절부(15) 등이 배치된다.The base portion 11 is made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and a frame 12 and a height adjustment portion 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disposed.

프레임(12)은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부(11)의 상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frame 12 is mad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is plac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

이러한 프레임(12)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서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하다.This frame 12 has an analog output terminal, allowing external measurement.

제1가이드레일(13)은 프레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것으로서, LM 가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후술하는 계류 라인 고정부(14)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기타 다른 구성으로도 얼마든지 대체 가능하다.The first guide rail 13 is a rail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2, and is preferably formed as an LM guide. Oth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if the mooring line fixing part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moved up and down. It can also be replaced at any time.

계류 라인 고정부(14)는 계류 라인(ML)의 일단이 고정되고, 제1가이드레일(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제1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높이 조절부(15)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제1가이드레일(13)을 따라 이동한다.The mooring line fixing unit 14 has one end of the mooring line ML fixe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ail 13, and has a first sensor (not shown) installed thereto to control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13).

이때, 계류 라인 고정부(14)의 이동 범위는 3 내지 7 m 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ovement range of the mooring line fixing unit 14 is preferably 3 to 7 m.

이러한 이동 범위는 심해공학수조에서 모형시험시 수심 깊이를 고려한 거리이다.This movement range is a distanc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water depth when testing a model in a deep-sea engineering tank.

높이 조절부(15)는 베이스부(11)의 상면에 프레임(12)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계류 라인 고정부(14)의 제1센서(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여 계류 라인 고정부(14)를 제1가이드레일(13)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높이 조절부(15)의 제1센서(미도시)는 엔코더일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15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1 adjacent to the frame 12,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first sensor (not shown) of the mooring line fixing unit 14 ( 14)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13, and the first sensor (not show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 may be an encoder.

이에 따라, 계류 라인 고정부(14)의 이동거리 및 속도를 설정하여 자동운전이 가능하고,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Accordingly, automatic operation is possible by setting the moving distance and speed of the mooring line fixing part 14, and precise position control is possible.

이와 같은 높이 조절부(15)는 프레임(1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Such a height adjustment unit 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12.

앵커 모사유닛(20)은 수심 모사유닛(10)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이 수심 모사유닛(10)에 연결된 계류 라인(ML)의 타단이 연결되어 모형선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것으로서, 수심 모사유닛(10)과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The anchor simulation unit 20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and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ML,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is connected to simulate the movement of the model ship. It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simulation unit 10.

이러한 앵커 모사유닛(2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is anchor simulation unit 20 will be described later.

계류력 측정유닛(30)은 수심 모사유닛(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계류 라인(ML)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수심 모사유닛(10)에 연결된 계류 라인(ML)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수심 모사유닛(10)에 배치되는 로드셀(31)과, 로드셀(31)에서 측정된 장력을 계측하는 계측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mooring force measurement unit 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to measure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ML, and measures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ML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It includes a load cell 31 disposed in the simulation unit 10 and a measuring unit (not shown) that measures the tension measured in the load cell 31.

계류 장력 계측용 로드셀(31)은 시험 계측 용량에 따라 필요시 교체가 가능하다.The load cell 31 for measuring mooring tension can be replaced when necessary depending on the test measurement capacity.

이와 같은 계류력 측정유닛(30)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하다.This mooring force measurement unit 30 has an analog output terminal and can be measured externally.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은 도 8을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의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에서 앵커 모사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o use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looking down on Figure 8 from above, and Figure 10 is a simulation of an anchor in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nlarged drawing of the unit.

앵커 모사유닛(20)은, 지지부재(21)와, 제2가이드레일(22)과, 앵커 고정부(23)와, 위치 제어부(24)를 포함한다.The anchor simulation unit 20 includes a support member 21, a second guide rail 22, an anchor fixing part 23, and a position control part 24.

지지부재(21)는 소정 넓이를 가진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된다.The support member 21 is mad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이러한 지지부재(21)에서 수심 모사유닛(10)을 향하는 면에는 한 쌍의 레이저 거리계(25)가 설치되고, 레이저 거리계(25)와 대향하도록 수심 모사유닛(10)의 베이스부(11)에는 레이저 거리계 반사경(42)이 설치된다.A pair of laser rangefinders 25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21 facing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and the base portion 11 of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laser rangefinder 25. A laser rangefinder reflector 42 is installed.

이처럼 레이저 거리계(25)와 반사경(42)을 이용하여 계류 라인(ML)이 연결되는 앵커 고정부(23)와 계류 라인 고정부(14) 사이의 직진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traightness between the anchor fixture 23 to which the mooring line ML is connected and the mooring line fixture 14 using the laser rangefinder 25 and the reflector 42.

이때, 지지부재(21)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서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21 has an analog output terminal, allowing external measurement.

제2가이드레일(22)은 계류 라인(ML)의 방향을 따라 지지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것으로서, LM 가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guide rail 22 is formed as a rai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1 along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ML, and is preferably formed as an LM guide.

앵커 고정부(23)는 지지부재(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가이드레일(22)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계류 라인(ML)의 타단이 연결된 앵커가 고정된다.The anchor fixing part 23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21 and is installed to linearly reciprocat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and the anchor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ML is connected is fixed.

이와 같은 앵커 고정부(23)의 이동 범위는 3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range of the anchor fixture 23 is 3 m or less.

이는 모형선 크기에 따른 시험환경 외란에 의한 최대 이동범위를 고려하여 선정된 것이다.This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movement range due to disturbance in the tes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del ship.

위치 제어부(24)는 지지부재(21)의 일측에 위치하고, 앵커 고정부(23)에 설치된 제2센서(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여 앵커 고정부(23)의 직선 왕복운동을 제어한다.The position control unit 24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21 and transmits a signal to a second sensor (not shown) installed on the anchor fixing part 23 to control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anchor fixing part 23.

이때, 앵커 고정부(23)의 제2센서(미도시)는 엔코더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ensor (not shown) of the anchor fixture 23 may be an encoder.

이에 따라, 앵커 고정부(23)의 이동거리와 속도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운전이 가능하고, 정밀하게 위치제어가 가능하다.Accordingly, automatic operation is possible by setting the moving distance and speed of the anchor fixture 23, and precise position control is possible.

한편, 지지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봉 형태의 지지대(27)가 설치되고, 앵커 고정부(23)에는 지지대(27)가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공(23b)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rod-shaped support 27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1, and a support coupling hole 23b to which the support 27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anchor fixing part 23.

이에 따라, 앵커 고정부(23)가 제2가이드레일(22)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nchor fixture 23 makes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 it can move more stably.

또한, 심해공학 수조내 바닥면에서 수심 모사유닛(10)과 앵커 모사유닛(2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형태의 연결대(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floor of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and the anchor simulation unit 20 may be connected by a straight connecting rod 4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즉, 수심 모사유닛(10)의 베이스부(11)와 앵커 모사유닛(20)의 지지부재(21)는 직선 형태의 연결대(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base portion 11 of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and the support member 21 of the anchor simulation unit 20 may be connected by a straight connection bar 40.

이처럼 본 발명은 심해공학 수조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심 조건을 모사하는 수심 모사유닛(10)과, 모형선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앵커 모사유닛(20)과, 계류 라인(ML)의 장력을 측정하는 계류력 측정유닛(30)을 마련함으로써,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에 대한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시험의 일환으로서 심해공학수조에서 각각의 계류 라인의 장력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height adjustment within a deep-sea engineering tank, so that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0 that simulates water depth conditions, the anchor simulation unit 20 that simulates the movement of the model ship, and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ML) By providing a mooring force measuring unit 30 to measure the mooring force, there is an advantage of checking the tension characteristics of each mooring line in a deep-sea engineering tank as part of a model test to evaluat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ooring system of ships and marine structures. there is.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Above,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giving some examples, but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c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is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only to fully inform those with knowledg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each claim in the claims.

10 : 수심 모사유닛
11 : 베이스부
12 : 프레임
13 : 제1가이드레일
14 : 계류 라인 고정부
15 : 높이 조절부
20 : 앵커 모사유닛
21 : 지지부재
22 : 제2가이드레일
23 : 앵커 고정부
24 : 위치 제어부
25 : 레이저 거리계
27 : 지지대
30 : 계류력 측정유닛
31 : 로드셀
40 : 연결대
42 : 레이저 거리계 반사경
ML : 계류 라인
10: Water depth simulation unit
11: base part
12: frame
13: 1st guide rail
14: Mooring line fixing part
15: Height adjustment unit
20: Anchor replica unit
21: support member
22: 2nd guide rail
23: Anchor fixing part
24: Position control unit
25: Laser rangefinder
27: support
30: Mooring force measurement unit
31: load cell
40: connecting rod
42: Laser rangefinder reflector
ML: Mooring line

Claims (16)

심해공학 수조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심 조건을 모사하는 수심 모사유닛;
상기 수심 모사유닛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되어 모형선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앵커 모사유닛; 및
상기 수심 모사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계류력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A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hat simulates water depth conditions by enabling height adjustment within a deep-sea engineering water tank;
an anchor simulation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having one end of a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simulate the movement of a model ship;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oring force measur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measure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심 모사유닛은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
상기 계류 라인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제1센서가 설치된 계류 라인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프레임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계류 라인 고정부의 제1센서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계류 라인 고정부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1,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is
A base portion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placed on the bottom of a deep-sea engineering tank;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dispos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first guide rail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 mooring line fixing unit in which one end of the mooring line is fixe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a first sensor is installed;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adjacent to the frame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first sensor of the mooring line fixing unit to move the mooring line fixing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Characterized in that,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계류 라인 고정부의 이동 범위는 3 내지 7 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range of the mooring line fixture is 3 to 7 m,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LM 가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제1센서는 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2,
The first guide rail is formed as an LM guide,
The first sensor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an encoder,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서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2,
The frame has an analog output terminal, allowing external measurement.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모사유닛은,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계류 라인의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된 앵커가 고정되는 앵커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 고정부에 설치된 제2센서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앵커 고정부의 직선왕복운동을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1,
The anchor replica unit is,
A support member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placed on the bottom of a deep-sea engineering tank;
a second guide rail having a rail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an anchor fixing part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to linearly reciprocat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fixing an anchor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is connect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sition control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controll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anchor fixture by transmitting a signal to a second sensor installed on the anchor fixture.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봉 형태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앵커 고정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6,
A support in the form of a rod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 support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is coupled is formed in the anchor fixing part.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수심 모사유닛을 향하는 면에는 한 쌍의 레이저 거리계가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거리계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는 레이저 거리계 반사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6,
A pair of laser rangefinders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facing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a laser rangefinder reflector is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to face the laser rangefinder,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LM 가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 고정부의 제2센서는 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6,
The second guide rail is formed as an LM guide,
The second sensor of the anchor fixture is an encoder,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서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6,
The support member has an analog output terminal to enable external measurement.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앵커 고정부의 이동 범위는 3 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range of the anchor fixture is 3 m or less,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해공학 수조내 바닥면에서 상기 수심 모사유닛과 앵커 모사유닛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형태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1,
On the floor of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the anchor simulation unit are connected by a straight connecting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류력 측정유닛은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배치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장력을 계측하는 계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1,
The mooring force measuring unit is
a load cell disposed in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measure tension of a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and
A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comprising 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tension measured by the load cell.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계류력 측정유닛에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있어 외부에서 계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In claim 13,
A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oring force measurement unit has an analog output terminal and can be measured externally.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계류 라인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제1센서가 설치된 계류 라인 고정부를 포함하여 심해공학 수조내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심 조건을 모사하는 수심 모사유닛;
소정 넓이를 가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심해공학 수조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계류 라인의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된 앵커가 고정되는 앵커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심 모사유닛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타단이 연결되어 모형선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앵커 모사유닛; 및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연결된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심 모사유닛에 배치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계류력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
A base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placed on the bottom of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plac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a rail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 first guide rail and one end of the mooring line are fixed,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include a mooring line fixing part on which a first sensor is installed, allowing height adjustment within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A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hat simulates water depth conditions;
A support member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deep-sea engineering tank, a second guide rail formed with a rai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mooring line, and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It is installed to linearly reciprocat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includes an anchor fixing part to which an anchor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is connected is fixed,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one end of which is An anchor simulation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simulate the movement of the model ship;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oring force measuring unit including a load cell disposed in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to measure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connected to the water depth simulation unit,
Mooring line tension testing devic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계류 라인 장력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심해공학 수조 내에서 수심과 모형선의 이동을 모사하고 계류 라인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라인 장력 시험 방법.
Characterized in that the mooring line tension tes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is used to simulate the water depth and movement of the model ship in a deep-sea engineering tank and measure the tension of the mooring line,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KR1020220048171A 2022-04-19 2022-04-19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1493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171A KR20230149372A (en) 2022-04-19 2022-04-19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171A KR20230149372A (en) 2022-04-19 2022-04-19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372A true KR20230149372A (en) 2023-10-27

Family

ID=8851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171A KR20230149372A (en) 2022-04-19 2022-04-19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37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119B1 (en) 2020-06-16 2021-11-03 (주)에쓰에이오프쇼어 Mooring line tension adjus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119B1 (en) 2020-06-16 2021-11-03 (주)에쓰에이오프쇼어 Mooring line tension adjust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628B1 (en) Model test apparatus of submerged body in towing tank with free motion type
CN110307896B (en) Hydrophone suspension system for ship underwater radiation noise measurement and laying method
CN113148055B (en) Temporary test pool false bottom unit and wave resistance test method based on temporary test pool false bottom unit
KR101318904B1 (en) Horizontal and vertical load excita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s and endurance test device with the same and endurance test methods
Hsu et al. Snap loads on mooring lines of a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structure
KR20230149372A (en) Mooring line tension test apparatus and mooring line tension test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049146A (en) Vibration apparatus
Weller et al. Best practice report–mooring of floating marine renewable energy devices
Johanning et al. Improved measurement technologies for floating wave energy converter (WEC) mooring arrangements
RU2352493C1 (en) Poolvoir to test ship models, primarily, in ice conditions
Ju et al. Engineering Investigation of a Deepwater Turret Mooring Suction Pile Inverse Catenary Based on BV and DNVGL Rules
US46100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ying positions of mooring lines
Dymarski et al. Developing methodology for model tests of floating platforms in low-depth towing tank
CN104773259B (en) The analogue means of alignment system is leaned on by a kind of many ships of water pool model experiment
RU2734844C1 (en) Method of installation of marine hydrophysical polygon
KR101665477B1 (en) Apparatus for damping heave motion of offshore plant
Johanning et al. Interaction between mooring line damping and response frequency as a result of stiffness alteration in surge
Pender et al. Pulse-A mooring for mixed layer measurements in the open ocean and extreme weather
KR20210122229A (en) Demagnetization and signal measuring device
Roveri et al.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floating hose forces in a CALM system
CN220960972U (en) Deep sea equipment connection strength detection device simulating sea conditions
RU2617289C1 (en) Profiling measuring system for studing turbulence in subsurface water structures
RU2734341C1 (en) Installation method of marine ground of bottom stations
Murray et al. Model Tests on a Radial Wellbay Spar in Gulf of Mexico, Norwegian Sea and Offshore Brazil Environments
GB2133151A (en) Surveying positions of mooring 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