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033A - Grain washer - Google Patents

Grain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033A
KR20230148033A KR1020220047160A KR20220047160A KR20230148033A KR 20230148033 A KR20230148033 A KR 20230148033A KR 1020220047160 A KR1020220047160 A KR 1020220047160A KR 20220047160 A KR20220047160 A KR 20220047160A KR 20230148033 A KR20230148033 A KR 2023014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washing
container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양태
김민수
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033A/en
Priority to PCT/KR2023/000204 priority patent/WO2023200077A1/en
Publication of KR2023014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0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Abstract

곡물세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곡물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용기에 각각 형성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를 포함하고, 제2배수구가 제1배수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for a grain washing device is disclosed.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ain and a second drain each forming a passage in the wash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water contained within the washing container in which grains are wash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and the second drain is located above the first drai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laced in .

Description

곡물세척장치{GRAIN WASHER}Grain washing device {GRAIN WASHER}

본 발명은 곡물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 등과 같은 곡물을 저장 및 세척하는 곡물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wash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grain washing device for storing and washing grains such as rice.

일반적으로, 쌀, 보리와 같이 낱 알갱이로 이루어진 곡물의 외피면에는, 먼지, 때와 같은 이물질이 묻어져 있거나 농약 등 인체에 해로운 액상의 물질이 코팅되어 있기 마련이다.In general, the outer surface of grains made of individual grains, such as rice and barley, is covered wi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dirt, or is coated with liquid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pesticides.

재배과정에서 뿌려진 농약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수확된 곡물에 여전히 남아 곡물의 외피면에 코팅될 수 있고, 먼지, 때와 같은 이물질은 재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곡물에 필연적으로 묻게 되는 것이다.Liquid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sprayed during the cultivation process may still remain in the harvested grain and coat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dirt inevitably become attached to the grain during the cultivation or distribution process.

이러한 쌀 또는 콩 등과 같은 곡물들의 대부분은, 세척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다. 따라서 가정, 식당 등에서 식사를 준비할 때, 상기 곡물은 적어도 한번 이상 물에 세척된 후 사용된다.Most grains, such as rice or beans, are sold unwashed. Therefore, when preparing meals at home, restaurants, etc., the grains are washed in water at least once before being used.

예컨대, 가정이나 식당에서 밥을 짓기 위해서는 쌀을 씻는 과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쌀 세척은, 바가지 또는 볼 형태의 세척용기에 쌀을 담은 후 물을 부어 씻은 후에 물을 버리는 과정을 반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cook rice at home or in a restaurant, the rice must first be washed. Washing rice is generally done by placing rice in a bowl-shaped washing container, pouring water into it, washing it, and then repeating the process of discarding the water.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곡물 세척 작업에 따르면, 세척 작업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은 물론, 곡물을 세척한 물을 따라 버리는 과정에서 곡물이 함께 씻겨져 내려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According to this manual grain washing operation, not only does the washing operation take a long time, but there are also frequent cases where the grains are washed away during the process of pouring out the water with which the grains were washed.

또한 상기 세척 과정에서 많은 양의 세척수가 사용되며, 과도한 힘을 주어 쌀을 세척할 경우에는 쌀눈이 떨어지거나 쌀알이 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쌀 세척 과정에서만의 문제가 아니라, 콩, 옥수수 등 다른 곡물의 세척 과정에서도 발생하는 문제이다.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is used in the washing process, and if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wash the rice, problems such as falling off the rice germ or breaking the rice grains may occur. This is not only a problem in the rice washing process, but also occurs in the washing process of other grains such as beans and corn.

또한 밥을 짓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쌀을 세척한 후, 세척된 쌀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져야 한다. 그런데 밥을 짓는데 익숙한 사람이 아닌 경우, 밥을 짓기에 적당한 양의 쌀을 계량하거나 적정량의 물을 채우기 어렵고, 결국 밥을 제대로 짓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Additionally, in order to cook rice, an appropriate amount of rice must be washed and then the washed rice must be fill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However, if you are not used to cooking rice,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right amount of rice or fill the right amount of water to cook rice, and you end up having a lot of trouble cooking rice properly.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285호)에는, 쌀통과 쌀세척기를 겸용한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Prior Document 1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3285) discloses a water purifier that combines a rice container and a rice washer.

선행문헌1에 개시된 장치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통(1)과 쌀세척기(10) 및 정수기(14)를 포함한다. 쌀통(1) 속에 있는 쌀들은, 개방된 제1개폐기(4)를 통해 쌀세척기(3) 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수돗물 또는 정수기(14)의 물이 개방된 제2개폐기(11) 또는 제5개폐기(15)를 통해 쌀세척기(3) 속으로 들어간다.The devic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1 includes a rice container 1, a rice washer 10, and a water purifier 14, as shown in FIG. 22. The rice in the rice container (1) enters the rice washer (3) through the open first opener (4). Then, tap water or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14) enters the rice washer (3) through the open second switch (11) or fifth switch (15).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기(7)가 회전하여 쌀세척기(3) 내부의 회전판(8)을 돌리면, 쌀이 씻겨지게 된다. 쌀 씻기가 끝나면, 물이 모두 물배출구(9)를 통하여 빠져나가고, 정수기(14)의 물이 세척기(3) 속으로 들어가 씻겨진 쌀과 함께 쌀배출구(6)로 나오게 된다.In this state, the electric motor 7 rotates to turn the rotating plate 8 inside the rice washer 3, and the rice is washed. When rice washing is finished, all the water drains out through the water outlet (9), and the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14) enters the washer (3) and comes out through the rice outlet (6) together with the washed r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1에는, 쌀세척기(3) 내부에서 쌀이 어떻게 세척되는지가 제대로 설명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1에는, 단순히 회전판(8)이 회전되어 쌀이 씻겨진다는 내용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회전판(8)이 어떠한 형태로 마련되는지, 회전판(8)의 회전에 의해 쌀이 어떻게 씻겨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in the preceding document 1, it is not properly explained how rice is washed inside the rice washer 3. Prior Document 1 only discloses that the rotary plate 8 is rotated to wash the rice, but it also explains what shape the rotary plate 8 is provided and how the rice is wash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8. No specific explanation is disclosed.

또한 선행문헌1에는, 쌀에서 씻겨져 나간 이물질이 어떻게 제거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다. 선행문헌1에는, 단순히 쌀 씻기가 끝나면 물이 모두 물배출구(9)를 통해 빠져나간다는 내용, 그리고 쌀세척기(3)와 물배출구(9) 사이가 망(10)으로 막혀 있어 물은 빠져나가도 쌀이 빠져나가지는 못한다는 내용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Additionally, in Prior Literature 1, there is no explanation at all on how foreign substances washed out of rice are removed. Prior Document 1 simply states that once rice washing is finished, all water flows out through the water outlet (9), and the space between the rice washer (3) and the water outlet (9) is blocked with a screen (10), so even if the water flows out, It only discloses that rice cannot escape.

쌀에서 씻겨져 나간 이물질이 쌀보다 현저히 작은 크기라면, 이 이물질은 물배출구(9)를 통해 물과 함께 빠져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이물질의 크기가 쌀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더 크다면, 이 이물질은 망(10)에 걸려 물배출구(9)를 통해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에 쌀과 분리될 수 없다.If the foreign matter washed out of the rice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rice, the foreign matter may be able to escape along with the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9). However, if the size of the foreign matter is similar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rice, the foreign matter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rice because it is caught in the net (10) and cannot escape through the water outlet (9).

즉 선행문헌1은, 쌀 세척을 위한 쌀세척기(3) 및 회전판(8)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며, 쌀과 이물질의 분리를 위한 해법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other words, Prior Document 1 does not clearly present th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ice washer 3 and the rotating plate 8 for washing rice, and does not properly present a solution for separating rice and foreign substances.

선행문헌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25414호)에는, 무수 세미기를 구비한 냉장 쌀통이 개시되어 있다.Prior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5414) discloses a refrigerated rice container equipped with an anhydrous rice washing machine.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보관실(111) 및 무수 세미기(130)를 포함한다. 쌀보관실(111)은 외부케이스(111) 내부에 구비되며, 쌀보관실(111)의 하부에는 무수 세미기(130)가 구비된다. 무수 세미기(130)의 하부에는, 쌀받이통(113)이 구비된다.The devic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2 includes a rice storage chamber 111 and an anhydrous water washing machine 130, as shown in FIG. 23. The rice storage room 111 is provided inside the external case 111, and an anhydrous water washing machine 13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ice storage room 111. A rice container 113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anhydrous rice washing machine 130.

무수 세미기(130)의 내부에는, 쌀을 세척하기 위한 도구로 브러쉬(132)가 구비된다. 무수 세미기(130)는, 물 없이 회전할 때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쌀을 세척하는 것으로, 브러쉬(132)를 이용하여 물 없이도 쌀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Inside the dry washing machine 130, a brush 132 is provided as a tool for washing rice. The anhydrous washing machine 130 washes rice using centrifugal force when rotating without water, and uses a brush 132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rice without water.

선행문헌2에도, 쌀이 어떻게 세척되는지가 명확히 설명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2에는, 단지 원심력을 이용한다거나 브러쉬(132)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한다는 내용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무수 세미기(130)와 브러쉬(132)가 함께 회전하는 것인지, 브러쉬(132)만 회전하는 것인지, 원심력에 의해 쌀의 세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가 명확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다.Even in prior literature 2, it is not clearly explained how rice is washed. Prior Document 2 only discloses washing rice using centrifugal force or using the brush 132. Whether the anhydrous washing machine 130 and the brush 132 rotate together, or the brush 132 It is not clearly disclosed whether rice is washed by rotation or by centrifugal force.

또한 선행문헌2에서도, 쌀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어떻게 쌀과 별도로 배출되는지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Also, in Prior Literature 2, it is not disclosed at all how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rice are discharged separately from the rice.

즉 선행문헌2 또한, 쌀 세척을 위한 무수 세미기(13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며, 쌀과 이물질의 분리를 위한 해법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other words, Prior Literature 2 also does not clearly present th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anhydrous rice washing machine 130 for washing rice, and does not properly present a solution for separating rice and foreign substances.

또한 선행문헌2는, 물 없이 단순히 쌀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그치므로, 쌀에 묻은 농약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갖는다.In addition, Prior Document 2 simp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rice without water, so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properly remove liquid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on rice.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285호Prior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3285 선행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25414호Prior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5414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곡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wash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wash grain using wa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의 품질 유지를 위해 선입선출 형태로 곡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washing device that can supply grain in a first-in, first-out manner to maintain grain qual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림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곡물의 투입 및 세척된 곡물의 수거가 용이한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washing device that has a slim appearance and is easy to input grain and collect washed grain.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곡물세척장치는, 곡물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용기에 각각 형성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를 포함하고, 제2배수구가 제1배수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ain washing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first drain and a second drain each forming a passage in the washing container through which water contain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in which grain is wash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It includes, and the second drain is disposed above the first drain.

또한 세척용기 내부에는 곡물이 제2배수구보다 낮은 높이로 채워지고, 세척용기 내부에 채워진 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제2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세척용기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may be filled with grains to a level lower than the second drain, and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washing container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water fill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이를 통해,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 이물질은 제1배수구를 통해 배출되고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은 제2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Through this, heavy foreign substances that settle in the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and light foreign substances floating in the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so that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grain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and discharged.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세척용기 내부에서 물과 함께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고, 이 세척부재는 회전 및 승강하며 곡물 및 물을 휘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member that washes grains with water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and this cleaning member rotates and moves up and down to stir the grains and water.

이를 통해, 곡물세척장치는 곡물을 물로 세척하면서 곡물에 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grain while washing the grain with wa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세척용기 내부에서 물과 함께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고, 이 세척부재를 통해 세척용기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되, 세척부재의 하단을 통해 물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member that washes grains with water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and water is supplied into the washing container through this washing member, an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of the wash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이에 따라,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의 상측 이동이 유도되고, 이 이물질의 곡물 표층 하부로의 이동은 억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ward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grain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is induced, and the movement of these foreign substances to the lower part of the surface layer of the grain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곡물을 수용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이 저장용기의 저면에 곡물배출구가 연결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저장용기의 저면에서 곡물배출구의 후방에 배치된 영역의 기울기가 곡물배출구의 전방에 배치된 영역의 기울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for accommodating grain, and a grain discharge por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slope of the area disposed behind the grain discharge port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inclined downward is the grain discharge por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arger than the slope of the area disposed in front of the outlet.

이를 통해, 저장용기에서는 곡물 투입이 이루어지는 저장용기의 전방측보다 저장용기의 후방측에 위치한 곡물이 배출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게 곡물의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ischarge of grains from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induced so that grain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are discharged first rather than on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where grains are inpu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곡물세척장치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곡물저장부와; 곡물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곡물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곡물저장부에 수용된 곡물을 상기 세척부로 공급하는 곡물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A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ain storage unit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grain is formed; a washing unit that washes grains suppli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with water; A grain supply unit that supplies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unit to the washing unit; and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ter to the washing unit.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곡물 및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세척용기와;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세척용기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젓는 세척부재; 및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각각 형성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unit includes a washing container that accommodates grain supplied by the grain supply unit and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a washing member that rotates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and agitates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And it may include a first drain and a second drain, each forming a passage in the wash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water contained within the washing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또한 상기 곡물공급부는, 곡물이 상기 제2배수구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채워지도록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in supply unit preferably supplies grains into the washing container so that the grains are fill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at a level lower than the second drain hole.

또한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배수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second drain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first drain.

또한 상기 곡물저장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곡물이 상기 곡물공급부 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저장용기에 형성하는 곡물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in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disposed above the grain supply unit; and a grain discharge port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forming a passage in the storage container through which the grain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is discharged toward the grain supply unit.

또한 상기 곡물배출구는 상기 저장용기의 최하단에서 상기 저장용기의 저면과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저면은 상기 저장용기의 가로방향 테두리로부터 상기 곡물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in outle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is preferably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edge of the storage container toward the grain outlet.

또한 상기 곡물배출구는, 상기 저장용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in discharge port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from the center of the storage contain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또한상기 저장용기의 저면에서, 상기 곡물배출구의 후방에 배치된 영역의 기울기가 상기 곡물배출구의 전방에 배치된 영역의 기울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pe of the area disposed behind the grain discharge port is greater than the slope of the region disposed in front of the grain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세척용기는, 상기 곡물배출구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washing container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rain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곡물공급부는, 상기 곡물배출구에서 배출된 곡물을 상기 세척부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in supply unit preferably moves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forward toward the washing unit.

또한 상기 곡물공급부는, 상기 곡물배출구와 상기 세척용기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곡물배출구에서 배출된 곡물을 수용하는 연결용기; 및 상기 연결용기에 수용된 곡물을 세척용기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in supply unit includes a connecting container that forms a passage connecting the grain discharge port and the washing container and accommodates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and a transfer member that moves the grain contained in the connecting container toward the washing container.

상기 이송부재는, 입측이 상기 곡물배출구와 연결되고 출측이 상기 세척용기와 연결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fer member preferably includes a screw conveyor whose inlet side is connected to the grain discharge port and whose outlet side is connected to the washing container.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내부에 정수필터를 수용하는 정수부; 및 상기 정수부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세척용기에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unit that accommodate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therein; and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ter purified from the purification unit to the washing container.

또한 상기 곡물저장부 및 상기 세척용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곡물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ase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rain storage unit and the washing container, the grain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therein.

또한 상기 케이스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정수부의 좌우방향 길이와 상기 세척용기의 좌우방향 길이의 합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right length of the case is shorter than the sum of the left-right length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left-right length of the cleaning container.

또한 상기 곡물저장부의 하측에 상기 정수부 및 상기 세척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세척용기는 상기 정수부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urification unit and the washing container are disposed below the grain storage unit, and the washing container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urification unit.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형성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that forms a passage in the washing vessel through which grain and water contained within the washing vessel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vessel.

또한 상기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정수부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in front of the water purification portion.

또한 상기 세척용기는, 곡물과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용기부, 및 상기 제1용기부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용기부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제2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shing container includes a first container portion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grain and water is formed in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iner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first container portion together with the first container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container portion forming a space therein.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제2용기부에 형성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forming a passage in the second container unit for discharging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또한 상기 제2용기부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용기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ainer is preferably formed in a funnel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bottom, and the outle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또한 상기 제1배수구는 상기 제2용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용기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first drain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second drain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first container.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세척용기와 결합되는 용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ea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cover that covers the open top of the cleaning container and is coupled to the cleaning container.

상기 용기커버에는, 상기 곡물공급부와 상기 세척용기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곡물투입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iner cover is provided with a grain inlet that forms a passage connecting the grain supply unit and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세척용기와 결합되는 용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ea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cover that covers the open top of the cleaning container and is coupled to the cleaning container.

또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container cover.

또한 상기 세척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also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cleaning member.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척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용기커버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cleaning unit, and the cleaning member penetrates the container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는 세척봉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eaning member may include a rotating ro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rotated by the driving unit, and a cleaning rod connected to the rotating rod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또한 복수개의 상기 세척봉이 상기 회전봉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cleaning rods are arrang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또한 각각의 상기 세척봉은, 상기 회전봉의 하방 및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each of the cleaning rods preferably protrudes downward and centrifugally from the rotating rod.

또한 상기 회전봉 및 상기 세척봉에는, 상기 회전봉 및 상기 세척봉의 내부와 상기 물공급부를 연결하는 내부수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ternal water channel is formed in the rotating rod and the cleaning rod,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rotating rod and the cleaning rod and the water supply unit.

또한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이 상기 내부수로를 통해 상기 회전봉 및 상기 세척봉의 내부를 이동하고, 상기 세척봉에는, 상기 내부수로의 물이 상기 세척봉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봉에 형성하는 출수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moves inside the rotating rod and the cleaning rod through the internal water passage, and the cleaning rod has a passage for the water in the internal water passag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rod.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water outlet formed in the.

또한 상기 출수구는, 상기 세척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water outlet is preferab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rod.

또한 상기 세척봉은, 상기 회전봉으로부터 상기 회전봉의 하방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세척봉, 및 상기 제1세척봉으로부터 상기 회전봉의 하방과 구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세척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d includes a first cleaning rod extending from the rotating rod in a direction between the downward and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and a second cleaning rod extending from the first cleaning rod in a direction between downward and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곡물세척장치에 따르면, 곡물을 물로 세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곡물에 묻은 농약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부재의 회전 및 승강 동작을 이용하여 곡물을 휘저으며 세척함으로써 곡물에 붙은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liquid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on grains be effectively removed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ile washing grains with water, but also agitating the grains using the rotation and lifting motion of the washing member. By wash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grains can be removed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이곳저곳에 곡물을 골고루 투입하거나 투입된 곡물을 휘젓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선입선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erform first-in-first-out without the hassle of evenly distributing grains throughout the storage container or stirring the grains.

이러한 본 발명은, 번거로운 추가 작업 없이도 곡물저장부에 먼저 투입된 순서대로 곡물저장부로부터의 곡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곡물세척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곡물의 품질이 최적의 상태로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grains to be discharg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first introduced into the grain storage unit without any inconvenient additional work, so that the quality of grain supplied by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in an optimal state.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또한 본 발명은,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이 매끈하고 슬림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곡물의 투입 및 세척 완료된 곡물의 수거가 효율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effect of allowing the grain washing device to maintain a smooth and slim appearance while allowing the input of grain and the collection of washed grain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은,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 이물질은 제1배수구를 통해 배출되고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은 제1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heavy foreign substances that settle in the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and light foreign substances floating in the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drain, so that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grains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and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은, 잔여 곡물 배출 작업과 함께 취사에 필요한 물 보충 작업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가 세척이나 별도의 물 보충 없이도 취사 가능한 상태로 곡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grains to be supplied in a state ready for cooking without additional washing or separate water replenishment by allowing the discharging of remaining grains and the replenishment of water needed for cooking to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이러한 본 발명의 곡물세척장치는, 사람 손을 이용한 추가 작업 없이도 취사 가능한 상태로 곡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취사에 이용되는 곡물의 청결도 및 이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grain in a cookable state without additional work using human hands, effectively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grain used for cooking and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은, 잔여 곡물 배출 작업 및 취사에 필요한 물 보충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세척용기 및 세척부재의 세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용기 및 세척부재의 청결 상태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leaning container and cleaning member to be washed simultaneously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remaining grains and replenishing water required for cooking, thereby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cleaning container and clean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세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곡물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곡물저장부와 곡물공급부 및 세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곡물저장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세척부와 급수 및 배수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동작 관련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승강 관련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부의 배출구 개폐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급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2차세척단계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종래기술에 따른 쌀통과 쌀세척기를 겸용한 정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수 세미기를 구비한 냉장 쌀통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grain wash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grain wash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ain storage unit, grain supply unit, and washing unit shown in FIG. 4 separate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in storage unit shown in Figure 5.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sh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tructure shown in Figure 5 separated.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related structure of the cleaning member shown in Figure 7 in isolation.
Figures 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leaning member shown in Figure 8.
Figure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utlet of the washing unit shown in Figure 7.
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structur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9 are side views showing the grain washing operation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grain washing operation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cond washing step operation shown in FIG. 20.
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purifier combining a rice container and a rice wash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frigerated rice container equipped with an anhydrous ric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is example is provided solely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substitutes or adds to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as well as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ubstitutes.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equivalents, and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small in size or thicknes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due to thi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s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etc.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n other words,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etc.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top" or "below"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t only is it placed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곡물세척장치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곡물세척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세척부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세척부에서 정수부를 향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With the grain washing device placed on the flo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shing unit is installed is defined as forward based on the center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erefore, the direction from the washing unit to the purifying unit is backward.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facing forward and backward can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n, the front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ear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the direction of gravity can be defined as downward,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can be defined as upward.

그리고, 곡물세척장치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곡물세척장치의 세척부 앞에서 곡물세척장치를 바라볼 때 곡물세척장치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at is, when looking at the grain washing device from the front of the washing part of the grain cleaning device,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ain cleaning device can be referred to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or convenienc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Then, the right side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곡물세척장치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ain washing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the lateral direction. Then, the right side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And, the above-mentioned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third direction. Then, the upper direction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third direction.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bove-mentioned vertic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vertical direction. Then, it can be said to be a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ed to as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ed to as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there is one, it means that it is C or higher and D or lower.

[곡물세척장치의 외관][Exterior of grain wash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세척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곡물세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grain washing device shown in Figure 1. Additionally,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grain washing device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는, 지지부(10) 및 케이스(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ppearance formed by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case 20.

지지부(10)는, 곡물세척장치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0)는, 베이스(11) 및 지지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0 may form the framework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is support part 10 may include a base 11 and a support frame 13.

베이스(11)는, 곡물세척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1)는, 곡물세척장치의 최하측에 배치되며, 지지프레임(13)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후술할 물공급부(50; 도 4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은, 베이스(11)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베이스(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base 11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is base 11 is disposed at the lowest 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nd can support the support frame 13 from the lower 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50 (see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 and supported by the base 11.

지지프레임(13)은, 베이스(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3)은, 곡물세척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케이스(20)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3 may be placed on top of the base 11. This support frame 13 can form a framework for accommodating each part of the grain washing device inside the case 20.

또한 지지프레임(13)은, 곡물세척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후술할 곡물저장부(30) 및 세척부(100)는 지지프레임(13)과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frame 13 may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grain washing device. For example,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washing uni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3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3.

케이스(20)는, 지지부(10)의 외측을 덮으며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베이스(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3)의 외측을 덮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case 20 covers the outside of the support part 10 and can form the appearanc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e case 20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11 and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13.

상기 케이스(20)는, 곡물세척장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부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할 곡물저장부(30) 및 물공급부(50)의 대부분의 영역, 그리고 곡물공급부(4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case 20 can accommodate most of the parts that make up the grain washing device. For example, most areas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water supply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grain supply unit 40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20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지지부(10)에 의해, 곡물세척장치의 내부 부품들이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By the support portion 1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parts of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 and contamin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grain cleaning device can be maintained beautiful.

[곡물세척장치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grain washing device]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저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곡물저장부(30)는, 곡물을 저장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grain storage unit 30.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provided to store grain.

본 실시예에서는,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곡물저장부(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지지프레임(13)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at the top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t least a portion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3.

또한 곡물저장부(30)의 대부분의 영역은, 지지부(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곡물저장부(30)의 상단은 지지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된 곡물저장부(30)의 상단을 통해 곡물이 곡물저장부(3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Additionally, most of the area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support unit 10, more specifically, the case 20. And the top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unit 10. In this way, grain can be introduced into the grain storage unit 30 through the top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unit 10.

또한 곡물세척장치는, 세척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00)는, 곡물저장부(30)로부터 공급받은 곡물을 물로 세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부(100)는,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ain was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unit 100. The washing unit 100 is provided to wash the grain suppli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30 with water. This cleaning unit 100 may include a cleaning container 110 and a cleaning member 120.

세척용기(110)는 곡물 및 물을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용기(110)의 내부에는, 곡물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washing container 110 is provided to accommodate grain and water.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a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grain and water.

그리고 세척부재(120)는,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회전하며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저을 수 있게 마련된다. 세척용기(110) 내부로 물과 함께 공급된 곡물은,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세척부재(120)에 의해 세척된 후,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nd the washing member 120 is provided to rotate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stir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Grain supplied with water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be washed by the washing member 120 rotating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그리고 세척 과정에서 곡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곡물이 배출되는 통로와 다른 통로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nd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grains during the washing process may be discharged into a passage different from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grains are discharg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또한 곡물세척장치는, 곡물공급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물공급부(40)는, 곡물저장부(30)에 저장된 곡물을 세척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척용기(110)로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곡물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던 곡물은, 곡물저장부(30)의 동작에 의해 세척부(100)로 설정량만큼 공급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ain was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rain supply unit 40. The grain supply unit 40 is provided to supply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unit 30 to the washing unit 100, more specifically,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The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unit 30 can be supplied to the washing unit 100 in a set amount by the operation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아울러 곡물세척장치는, 물공급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부(50)는, 세척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척용기(110)로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물공급부(50)의 동작에 의해, 곡물의 세척,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의 세척, 그리고 취사에 필요한 만큼의 물이 세척용기(1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grain washing device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50. The water supply unit 50 is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washing unit 100, more specifically,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By operating the water supply unit 50, water as needed for washing grains, washing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cleaning member 120, and cooking can be supplied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한편,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받침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5)는, 세척부(100)의 하부측, 곡물세척장치의 전방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받침부(15)는 베이스(11)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베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15. The support unit 1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unit 100 an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s an example, the support portion 15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11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11.

받침부(15)의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받침부(15)의 상부면은 그릴(grille)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may be form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5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grille shape.

이러한 받침부(15)는,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밥솥이나 냄비 등과 같은 조리도구(P)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용기(110)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은, 받침부(15)에 의해 수거될 수 있다.This support portion 15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can support cooking utensils P, such as a rice cooker or pot, at the lower portion. And water droplets falling from the washing container 110 can be collected by the support unit 15.

[곡물저장부의 구조][Structure of grain storag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곡물저장부와 곡물공급부 및 세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곡물저장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ain storage unit, grain supply unit, and washing unit shown in FIG. 4 separated,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ain storage unit shown in FIG. 5.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곡물저장부(30)는 저장용기(31) 및 곡물배출구(32)를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grain storage unit 30 may include a storage container 31 and a grain outlet 32.

저장용기(31)는, 곡물을 저장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곡물저장부(30)의 내부에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31 is provided to store grains. Inside the grain storage unit 30,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grain may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용기(31)가 곡물세척장치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저장용기(31)의 적어도 일부분은, 지지프레임(13)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container 31 is illustrated as being placed at the top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31 may be supported on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13.

저장용기(31)는, 곡물공급부(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곡물배출구(32)는, 이러한 저장용기(3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31 may be placed above the grain supply unit 40. The grain discharge port 32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에 수용된 곡물이 곡물공급부(40) 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저장용기(31)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에 저장된 곡물은, 곡물배출구(32)를 통해 곡물공급부(4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grain discharge port 32 may form a passage in the storage container 31 through which the grain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31 is discharged toward the grain supply unit 40. That is, the grain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31 can be discharged to the grain supply unit 40 through the grain discharge port 32.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최하단에서 저장용기(31)의 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31)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은, 곡물배출구(32)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grain discharge port 32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Accordingly, the grain contain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31 can be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grain discharge port 32.

상부에서 봤을 때, 저장용기(3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저장용기는 측방향 길이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viewed from the top, the storage container 3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long front-to-back length compared to the lateral length.

저장용기(31)의 저면은, 저장용기(31)의 가로방향 테두리로부터 곡물배출구(3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의 저면은, 저장용기(31)의 각 측면으로부터 곡물배출구(3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edge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oward the grain discharge port 32. That is,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may be disposed to slope downward from each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oward the grain discharge port 32.

구체적으로, 저장용기(31)의 각 측면측에 인접할수록 저장용기(31)의 저면이 하측에 위치하고 곡물배출구(32)와 인접할수록 저장용기(31)의 저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저장용기(31)의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oser to each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he lower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is, and the closer it is to the grain outlet 32, the higher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i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3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즉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저장용기(31)의 각 측면과 연결되는 부분이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최상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곡물배출구(32)와 연결되는 부분이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최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connected to each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31 may form the uppermost part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connected to the grain discharge port 32 may form the lowest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대체적으로,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저면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측방향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전후방향 중심보다는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general, the grain discharge port 32 may be disposed on the center side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For example, the grain outlet 32 may be disposed at the lateral center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his grain discharge port 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rather than the front-to-back center of the storage container 31.

이처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저장용기(31)의 저면 최하단에 곡물배출구(32)가 배치됨으로써, 저장용기(31) 내부의 곡물이 곡물배출구(32)를 통해 원활하게 배치될 수 있다.As the grain outlet 32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ownwardly inclined storage container 31, the grains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31 can be smoothly disposed through the grain outlet 32.

상술한 바와 같이,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곡물배출구(32)를 기준으로, 저장용기(31)의 저면의 기울기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의 저면에서, 곡물배출구(32)의 후방에 배치된 영역(31a; 이하, "저면후방영역"이라 한다)의 기울기와 곡물배출구(32) 전방에 배치된 영역(31b; 이하, "저면전방영역"이라 한다)의 기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rain discharge port 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is biased toward the rear side from the front-to-back center of the storage container 31. And based on the grain discharge port 32, the slope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may be set differently. That is,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he slope of the area 31a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ttom rear area”) disposed behind the grain discharge port 32 and the area 31b disposed in front of the grain discharge port 32; Hereinafter, the slope of the "bottom front area") may be set differentl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용기(31)의 저면에서, 저면후방영역(31a)의 기울기가 저면전방영역(31b)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he slope of the bottom rear area 31a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slope of the bottom front area 31b.

즉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저면후방영역(31a)이 저면전방영역(31b)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bottom rear area 31a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may be formed with a steeper slope than the bottom front area 31b.

이에 따라, 저면전방영역(31b)에 위치한 곡물보다는 저면후방영역(31a)에 위치한 곡물이 곡물배출구(32) 측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즉 저면전방영역(31b)에 위치한 곡물에 비해 저면후방영역(31a)에 위치한 곡물의 배출이 좀 더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Accordingly, grains located in the rear bottom area (31a) can more easily approach the grain discharge port (32) than grains located in the front bottom area (31b). That is, the discharge of grains located in the rear bottom area (31a) can be induced more effectively than grains located in the front bottom area (31b).

통상적으로, 저장용기(31) 내부로의 곡물의 투입은 저장용기(31)의 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곡물의 투입이 이루어지되, 주로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저장용기(31)의 전방측을 통해 저장용기(31) 내부로 곡물이 투입될 수 있다.Typically, grains ar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31 at a location biased toward the front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hat is, grains are introduced through the open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31, but grains can be mainly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31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31,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the user.

따라서 저장용기(31) 내부에 새로 투입된 곡물은 저면전방영역(31b)에 주로 배치되고, 저장용기(31) 내부에 오래 저장된 곡물은 저면후방영역(31a)에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Therefore, grains newly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31 are mainly placed in the bottom front area 31b, and grains that have been stored for a long time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31 are likely to be placed in the bottom rear area 31a.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저면전방영역(31b)에 위치한 곡물에 비해 저면후방영역(31a)에 위치한 곡물의 배출을 좀 더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게 곡물저장부(30)의 구조가 설계된다.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designed to induce the discharge of grains located in the rear bottom area (31a) more effectively than grains located in the front bottom area (31b). do.

이에 따르면, 저면전방영역(31b)에 위치한 곡물에 비해 저면후방영역(31a)에 위치한 곡물의 배출이 좀 더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게 저장용기(31) 저면의 형상 및 곡물배출구(32)의 위치가 설정된다.According to this,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and the location of the grain outlet 32 are changed so that the discharge of grain located in the rear bottom area 31a can be induced more effectively than that of grain located in the front bottom area 31b. It is set.

이를 위해, 곡물저장부(30)에서는 곡물배출구(32)가 저장용기(31)의 저면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곡물배출구(32)의 후방측에 배치된 저면후방영역(31a)의 기울기가 곡물배출구(32)의 전방측에 배치된 저면전방영역(31b)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in the grain storage unit 30, the grain discharge port 32 is disposed biased rear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31, and the slope of the bottom rear area 31a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grain discharge port 32 It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slope of the bottom front area 31b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rain discharge port 32.

이에 따라 저면후방영역(31a)에 배치된 오래된 곡물이 곡물배출구(32)를 통해 곡물공급부(40) 측으로 먼저 공급되고, 저면전방영역(31b)으로 새로 투입된 곡물은 이보다 나중에 곡물배출구(32)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ld grain placed in the rear bottom area (31a) is first supplied to the grain supply unit (40) through the grain discharge port (32), and the newly introduced grain to the bottom front region (31b) is later supplied to the grain discharge port (32). may be discharged.

즉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저장용기(31)의 전방측을 통해 곡물을 투입하기만 하면, 곡물저장부(30)에 먼저 투입된 순서대로 곡물저장부(30)로부터의 곡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as long as grain is introduced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31,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the user, grain can be discharg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30 in the order in which it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grain storage unit 30. .

이에 따르면, 저장용기(31)의 이곳저곳에 곡물을 골고루 투입하거나 투입된 곡물을 휘젓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선입선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first-in-first-ou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ithout the cumbersome task of evenly distributing grains here and there in the storage container 31 or stirring the grains.

또한 번거로운 추가 작업 없이도 곡물저장부(30)에 먼저 투입된 순서대로 곡물저장부(30)로부터의 곡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곡물세척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곡물의 품질이 최적의 상태로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grain can be discharg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30 in the order in which it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grain storage unit 30 without any inconvenient additional work, the quality of grain supplied by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in an optimal state. It becomes possible.

저장용기(31)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저장용기(31)의 상단은, 상단커버(3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3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 top. And the top of the open storage container 3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top cover 33.

일례로서, 상단커버(33)는 저장용기(31)의 상단이 분리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단커버(33)는, 저장용기(31)와 결합되며 저장용기(31)의 상단을 폐쇄할 수 있고, 저장용기(31)와 분리되며 저장용기(31)의 상단을 개방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p cover 33 may be provided in a form where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31 is separated. This top cover 33 is combined with the storage container 31 and can close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31, and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31 and can open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31.

다른 예로서, 상단커버(33)는 케이스(20)의 상단이 분리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단커버(33)는, 저장용기(31)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케이스(20)의 상단이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단커버(33)는, 케이스(20)와 결합되며 저장용기(31) 및 케이스(20)의 상단을 폐쇄할 수 있고, 케이스(20)와 분리되며 저장용기(31) 및 케이스(20)의 상단을 개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top cover 33 may be provided in a form where the top of the case 20 is separated. That is, the top cover 3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op of the case 20, which covers the open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31, can be separated from the case 20. This top cover 33 is combined with the case 20 and can close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31 and the case 20, and is separated from the case 20 and covers the storage container 31 and the case 20. The top can be opened.

또 다른 예로서, 저장용기(31)의 상단 중 전방에 치우친 영역에 곡물투입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곡물투입구는, 저장용기(31)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31)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grain inle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an area biased toward the front of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his grain inlet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placed at a position biased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storage container 3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처럼 저장용기(31)의 상단 전방측에 마련된 곡물투입구를 통해, 저장용기(31) 내부로의 곡물 투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way, grain may be input into the storage container 31 through the grain inlet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31.

[곡물공급부의 구조][Structure of Grain Supply Department]

곡물공급부(40)는, 곡물저장부(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저장용기(3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공급부(40)는, 곡물저장부(30)에서 배출된 배출된 곡물을 세척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곡물공급부(40)는, 곡물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된 곡물을 세척부(100)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켜 세척용기(11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The grain supply unit 4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container 31. This grain supply unit 40 can supply grains discharg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30 to the washing unit 100. To this end, the grain supply unit 40 can move the grain discharged through the grain discharge port 32 forward toward the washing unit 100 and supply it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곡물공급부(40)는, 연결용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용기(41)는, 저장용기(3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용기(41)는, 곡물배출구(32)와 세척용기(11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수용할 수 있다.The grain supply unit 40 may include a connecting container 41. The connection container 41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31. This connection container 41 forms a passage connecting the grain discharge port 32 and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can accommodate grains discharged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32.

일례로서, 연결용기(41)는 측방향 및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용기(41)는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on container 4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 leng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that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container 41 may be formed in a reclining cylindrical shape.

일례로서, 연결용기(41)는 지지부(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프레임(13)과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용기(41)는 세척부(100)와 결합되며 세척부(100)에 의해 지지되거나, 후술할 제2개폐부(80)와 결합되며 제2개폐부(8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ng container 41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frame 13.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container 41 may be coupled to the cleaning unit 100 and supported by the cleaning unit 100, or may be combined with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80 to be described later and supported by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80. there is.

곡물공급부(40)는, 이송부재(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재(43)는, 연결용기(41)에 수용된 곡물을 세척용기(1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The grain supply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member 43. The transfer member 43 is provided to move the grain contained in the connecting container 41 toward the washing container 1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용기(110)는 곡물배출구(32)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배출구(32)와 세척용기(110) 사이를 연결하는 곡물공급부(40)는,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세척부(100)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be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grain discharge port 32. The grain supply unit 40, which connects the grain outlet 32 and the washing container 110, can move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outlet 32 forward toward the washing unit 100.

이를 위해, 연결용기(41)는 곡물배출구(32)와 세척용기(110)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용기(41)에 설치되는 이송부재(43)는,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nnection container 41 can connect the grain discharge port 32 and the washing container 1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transfer member 43 installed in this connection container 41 can move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32 to the front side.

일례로서, 이송부재(43)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 컨베이어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축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가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컨베이어의 입구측은 곡물배출구(32)와 연결되고, 스크류 컨베이어의 출구측은 세척용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ransfer member 43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screw conveyor. At this time, the screw conveyor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wings protruding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from an axis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rotate around the front-back axis. The inlet side of this screw conveyor may be connected to the grain discharge port 32, and the outlet side of the screw conveyor may be connected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곡물배출구(32)는 곡물저장부(3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세척용기(110)는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grain discharge port 32 is disposed in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in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disposed in a position biased forward in the grain washing device.

곡물배출구(32)는, 곡물의 선입선출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곡물저장부(3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용기(110)는, 세척부(100)에서 세척된 곡물을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 배출하기 위해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ain outlet 32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to effectively induce first-in-first-out of grain. In addition,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preferably disposed in a position biased forward in the grain washing device in order to discharge the grains washed in the washing unit 100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user.

이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곡물배출구(32)로부터 세척용기(110) 측으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해 곡물공급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공급부(40)는,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전방측으로 이송하여 세척용기(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In this way, a grain supply unit 40 may be provided to transport grain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32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This grain supply unit 40 can transport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32 to the front side and supply it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물공급부의 구조][Structure of water supply department]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세척부와 급수 및 배수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sh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tructure shown in Figure 5 separated.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물공급부(50)는 급수부(51,5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51,52)는, 곡물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물을 세척용기(110)에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Referring to FIGS. 4 and 7 , the water supply unit 50 may includ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are provided to supply water necessary for washing grains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급수부(51,52)는, 세척부(100)와 연결되는 관(Pip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부(51,52)는, 곡물세척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세척용기(110)의 내부로 이송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pipes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100. Thes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can transfer water supplied from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물공급부(50)는, 정수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부(53)는, 내부에 정수필터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부(53)는, 곡물세척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필터를 이용하여 정수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purification unit 53.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accommodate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therein. This water purification unit 53 can purify water supplied from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using a water purification filter.

정수부(53)는, 급수부(51,5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급수부(51,52)는, 정수부(53)와 세척부(100) 사이를 연결하며, 정수부(53)에서 정수된 물을 세척용기(110)에 공급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That is,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connect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and the washing unit 100, and can supply water purified in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상기 정수부(53)는, 곡물저장부(3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수부(53)는, 곡물공급부(4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정수부(53)는, 세척부(10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Additionally, the purification unit 53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ain supply unit 40. In addition, the purifying unit 53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washing unit 100.

바람직하게는, 정수부(53)는 곡물저장부(30)와 세척부(10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곡물세척장치의 후방 하측 공간에 정수부(53)가 배치된다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수부(53)는, 베이스(11)의 상부에 안착된 형태로 지지부(10)에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urification unit 53 may be plac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washing unit 100.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is disposed in the rear lower spac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is water purification part 53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10 in the form of being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11.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정수부(53)의 정수필터는, 곡물세척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필터가 곡물세척장치의 후면 및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water purification filter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arranged as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close to the rear or 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filter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close to the rear and 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이와 같은 위치에 정수필터가 배치됨에 따라, 정수필터로의 접근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이로써 정수필터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As the water filter is placed in such a location, access to the water filter can become easier,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allowing the water filter to be replaced easily and quickly.

한편 급수부(51,52)는, 제1급수관(51) 및 제2급수관(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급수관(51)은, 외부의 물공급원과 정수부(53)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급수관(52)은, 정수부(53)와 세척부(100)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may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pipe 51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52.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ing between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purification unit 53.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ing the purification unit 53 and the cleaning unit 100.

곡물세척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제1급수관(51)을 통해 정수부(53)로 이송될 수 있고, 정수부(53)에서 정수된 물은 제2급수관(52)을 통해 세척용기(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Water supplied from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be transferred to the purification unit 53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and water purified from the purification unit 53 is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can be supplied.

아울러 정수부(53)는, 급수밸브(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밸브(55)는, 제1급수관(51)과 제2급수관(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다.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unit 53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55. The water supply valve 55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at least one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일례로서, 급수밸브(55)는 제1급수관(51) 및 제2급수관(52)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급수밸브(55)는 제1급수관(51)을 개폐하여 제1급수관(51)을 통한 정수부(53)로의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고, 제2급수관(52)을 개폐하여 제2급수관(52)을 통한 세척용기(110)로의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water supply valve 55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the water supply valve 55 can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purification unit 53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b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b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The water supply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can be adjusted through (52).

다른 예로서, 급수밸브(55)는 제2급수관(52)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밸브(55)는, 제2급수관(52)을 개폐하고, 이를 통해 세척용기(1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시기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water supply valve 55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This water supply valve 55 opens and closes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thereby controlling the supply timing and amount of water supplied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세척부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the washing department]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세척부(100)는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용기(110)의 내부에는 곡물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세척부재(120)는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회전하며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저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7 , the cleaning unit 100 may include a cleaning container 110 and a cleaning member 120.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to accommodate grains and water, and the cleaning member 120 rotates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can stir the grains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there is.

이 중 세척용기(110)는, 제1용기부(111) 및 제2용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세척용기(110)는 제1용기부(111)와 제2용기부(115)가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se,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include a first container portion 111 and a second container portion 115. As an example, the cleaning container 11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1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15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용기부(111)는, 세척용기(110)의 상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용기부(111)의 내부에는, 곡물과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용기부(111)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1 may form the upper half of the cleaning container 110. Inside the first container 111, a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grains and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

제2용기부(115)는, 제1용기부(11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세척용기(110)의 하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용기부(115)는, 제1용기부(111)의 하부측에서 제1용기부(111)와 연결되며, 제1용기부(111)와 함께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용기부(115)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second container 11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111 to form the lower half of the cleaning container 110. This second container 115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iner 111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111, and can form a receiving space inside together with the first container 111.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15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funnel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세척부(100)는, 배출구(1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110a)는, 세척용기(110) 내부, 즉 수용공간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2용기부(115)에 형성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110a. The outlet 110a may form a passage in the second container 115 through which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that is, the receiving space,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배출구(110a)는, 세척용기(1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은, 중력에 의해 배출구(110a)를 통해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110a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Accordingly,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a by gravity.

구체적으로, 배출구(110a)는 제2용기부(115)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2용기부(115)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구(110a) 측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즉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2용기부(115)는, 세척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의 이동을 배출구(110a)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let 110a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115.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tend to move toward the discharge port 110a along the slope of the second container 115 formed in a funnel shape. That is,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15 formed in a funnel shape may serve to guide the movement of grain and water contained within the washing container 110 toward the discharge port 110a.

상기 배출구(110a)의 적어도 일부분은, 정수부(53)의 전방에 배치되며,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용기(110)의 대부분의 영역 및 배출구(110a)가 곡물세척장치의 전방측에서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예시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110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cation part 53 a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0. In this embodiment, most of the area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discharge port 110a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0 on the front 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이에 따르면, 배출구(110a)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곡물세척장치의 전방측에서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배출구(110a)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된 곡물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discharge port 110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0 on the front 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the user, so that the washed grain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a are located at a location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the user. can be supplied.

즉 세척부(100)에서 세척된 곡물이 밥솥이나 냄비 등과 같은 조리도구(P)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서 배출구(11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세척된 곡물의 공급이 빠르고 편리하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grains washed in the washing unit 10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a at a location where cooking utensils P, such as a rice cooker or pot, are easily accessible, so that the washed grains can be supplied quickly, conveniently, and accurately. It can be accomplished.

한편 세척부(100)는, 제1배수구(1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수구(110b)는, 세척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용기(110)에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sh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rain hole 110b. The first drain hole 110b may form a passage in the cleaning container 110 through which water contained within the cleaning containe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container 110 .

또한 세척부(100)는, 제2배수구(1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수구(110c)는, 제1배수구(110b)와 마찬가지로, 세척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용기(110)에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ash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ain hole 110c. Like the first drain hole 110b, the second drain hole 110c may form a passage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which water contained within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배수구(110c)는, 제1배수구(110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rain 110b and the second drain 110c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drain 110c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drain 110b.

일례로서, 제1배수구(110b)는 제2용기부(115)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수구(110c)는, 제1용기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배수구(110b)는 제2용기부(115)의 경사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배수구(110c)는 그보다 상부측인 제1용기부(111)의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drain 110b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ontainer 115. And the second drain 110c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container 111. For example, the first drain 110b may be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115, and the second drain 110c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iner 111 above it. there is.

아울러 세척부(100)는, 용기커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커버(130)는, 세척용기(11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커버(130)는, 세척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세척용기(110)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cover 130. The container cover 130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eaning container 110. This container cover 130 covers the open top of the cleaning container 110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cleaning container 110.

용기커버(130)에는, 곡물투입구(130a)가 마련될 수 있다. 곡물투입구(130a)는, 곡물공급부(40)와 세척용기(110)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ntainer cover 130 may be provided with a grain inlet (130a). The grain inlet 130a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grain supply unit 40 and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일례로서, 연결용기(41)의 전방측 하단에는 배출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곡물투입구(130a)는 연결용기(41)의 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투입구(130a)는, 용기커버(13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결용기(41)의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As an example, an outlet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of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ng container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rain inlet 130a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connecting container 41. This grain inlet 130a is formed to penetrate the container cover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connecting container 41.

상기 용기커버(130)는, 곡물공급부(40)와 세척부재(120) 및 후술할 구동부(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The container cover 130 may support at least one of the grain supply unit 40,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driving uni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일례로서, 용기커버(130)는 곡물공급부(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용기(41)의 일부분은 지지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용기(41)의 다른 일부분은 용기커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용기(41)의 후방측은 지지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용기(41)의 전방측은 용기커버(1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용기커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ainer cover 130 may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grain supply unit 40.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connecting container 41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3, and another portion of the connecting container 41 may be supported by the container cover 130. For example,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ng container 4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3, and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ng container 41 is supported by the container cover 130 whil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30. You can.

또한 용기커버(130)는, 세척부재(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구동부(60)의 하부측에서 구동부(60)를 지지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tainer cover 130 may rotatably support the cleaning member 120 and may also support the driving unit 60 at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unit 60.

즉 용기커버(130)는, 세척용기(110) 내부로의 곡물 투입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 및 세척부(100) 및 그와 연결된 다른 부품, 즉 곡물공급부(40)와 세척부재(120) 및 구동부(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ainer cover 130 serves to form a passage for grain input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cleaning unit 100 and other parts connected thereto, namely the grain supply unit 40 and the washing member 120. and may play a role of supporting the driving unit 60.

세척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저으며 곡물을 세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부재(120)는,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ember 120 is provided to wash the grains by stirring the grains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as described above. This cleaning member 120 may include a rotating rod 121 and a cleaning rod 125.

회전봉(121)은,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회전봉(12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커버(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봉(121)은, 구동부(60)와 연결되어 구동부(6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ng rod 121 is provided to rotate around a vertical axis. The rotating rod 121 is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130. This rotating rod 12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60 and can be rotated by the driving unit 60.

또한 회전봉(121)은, 용기커버(130)에 회전 및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봉(121)은,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및 상하방향 이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형태로 움직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rotating rod 121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130 so as to rotate and move up and down. This rotary rod 121 can move in a manner that both rotation around the vertical axis and vertical movement occur together.

세척봉(125)은, 회전봉(121)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봉(125)은, 회전봉(121)의 하부측에서 회전봉(121)에 연결되어 회전봉(12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cleaning rod 125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rod 121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cleaning container 110. This cleaning rod 125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rod 121 at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rod 121 and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121.

세척부재(120)에는, 복수개의 세척봉(125)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세척봉(125)은, 회전봉(121)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세척봉(125)은, 회전봉(121)의 하방 및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eaning rods 125. The plurality of cleaning rods 125 may be arrang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21. Each cleaning rod 125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downward and centrifugally from the rotating rod 121.

세척부재(120) 중에서, 세척봉(125)은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곡물과 접촉되며 곡물을 휘젓는 부분이다. 복수개의 세척봉(125)이 회전 및 승강하며 곡물 및 물을 휘저음에 따라, 곡물에 붙어있던 이물질이 물에 씻겨 나가게 되고, 이처럼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제1배수구(110b) 또는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mong the cleaning members 120, the cleaning rod 125 is a part that substantially contacts the grains inside the cleaning container 110 and stirs the grains. As the plurality of cleaning rods 125 rotate and rise and fall to stir the grain and water,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grain is washed away in the water,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grain is discharged into the first drain 110b or the second drain.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110c).

[구동부 및 세척부재의 구동 관련 구조][Structure related to driving part and cleaning member]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동작 관련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승강 관련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related structure of the cleaning member shown in Figure 7 in isolation, and Figures 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lifting-related structure of the cleaning member shown in Figure 8.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구동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세척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60)는, 세척부재(120)를 회전 및 승강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60. The driving unit 60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120. Additionally, the driving unit 60 may be provided to rotate and elevate the cleaning member 120.

구동부(60)는, 세척부(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구동부(60)는 용기커버(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기커버(130)의 상부면에 안착된 형태로 세척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세척부재(120),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봉(121)은, 용기커버(1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6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unit 100 . As an example, the driving unit 60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cover 13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cleaning unit 100 in a manner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30. The cleaning member 120, more specifically the rotating rod 121, may penetrate the container cover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60.

구동부(60)는, 구동모터(61) 및 동력전달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61)는 세척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동력전달부(63)는 구동모터(6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세척부재(120)에 전달하며 세척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6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61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63. The drive motor 61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3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61 to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cleaning member 120. can be rotated.

일례로서, 동력전달부(63)는 복수개의 기어가 맞물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기어들 중 하나가 구동모터(61)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이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다른 기어가 회전봉(121)과 연결되어 회전봉(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3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gears are meshed. One of these gears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61 and rotates, and another gear that engages and rotates with this gea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rod 121 to rotate the rotating rod 121.

회전봉(121)은, 제1회전봉(122)과 제2회전봉(123) 및 연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rod 12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rod 122, a second rotating rod 123, and a connecting portion 124.

제1회전봉(122)은, 회전봉(121) 중에서 상부측에 배치되며,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회전봉(122)은 동력전달부(63)를 통해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rod 1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rod 12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60. Specifically, the first rotating rod 122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6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3.

일례로서, 제1회전봉(122)은 동력전달부(63)에 마련된 복수개의 기어 중 하나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회전봉(122)은, 구동부(6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rotating rod 122 may be connected to one of a plurality of gears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3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60 through this. This first rotating rod 122 can be rotated by the driving unit 60.

제2회전봉(123)은, 제1회전봉(122)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회전봉(12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봉(123)은, 세척봉(125)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봉(123)은, 제1회전봉(122)과 세척봉(125) 사이에 배치되어 세척봉(125)을 제1회전봉(122) 에 연결시킬 수 있다.The second rotating rod 123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rod 122 and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rod 123. Additionally, the second rotating rod 123 may be connected to the cleaning rod 125. For example, the second rotating rod 12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rod 122 and the cleaning rod 125 to connect the cleaning rod 125 to the first rotating rod 122.

제2회전봉(123)은, 연결부(124)를 매개로 제1회전봉(122)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4)는, 제1회전봉(122)과 제2회전봉(123) 사이에 배치되어 제1회전봉(122)과 제2회전봉(123)을 연결시킬 수 있다.The second rotating rod 12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rod 122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124. The connection portion 12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rod 122 and the second rotating rod 123 to connect the first rotating rod 122 and the second rotating rod 123.

연결부(124)는, 제2회전봉(123)이 제1회전봉(122)과 함께 회전되도록 제2회전봉(123)을 제1회전봉(122)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4)는, 제2회전봉(123)을 제1회전봉(122)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4)는, 제1회전봉(122) 및 제2회전봉(123)과 각각 결합되되, 제1회전봉(122)과 제2회전봉(123) 중 어느 하나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24 may connect the second rotating rod 123 to the first rotating rod 122 so that the second rotating rod 123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rod 122. Additionally, the connecting portion 124 may connect the second rotating rod 123 to the first rotating rod 122 to enable elevation. These connecting portions 124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rod 122 and the second rotating rod 123, and can be coupled to either the first rotating rod 122 or the second rotating rod 123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아울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제1동력변환부재(65) 및 제2동력변환부재(6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and a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과 함께 승강 및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제1동력변환부재(65)의 회전시 제1동력변환부재(65)의 상하방향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게 제1동력변환부재(65)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is provided to be able to lift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ng rod 123.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so as to chang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when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rotates. there is.

본 실시예에서,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에 설치되고,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용기커버(1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is installed on the second rotating rod 123,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is installed on the container cover 130.

구체적으로,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용기커버(13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설치되어 제1동력변환부재(65)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from the second rotating rod 123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30 and engage with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동력변환부재(67)가 용기커버(130)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동력변환부재(67)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동력변환부재(67)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30, and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to form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It is illustrated as being engaged with the power conversion member 67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례로서,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회전판 및 이 회전판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rotating plate protruding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from the second rotating rod 123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rotating plate.

복수개의 돌기는 회전판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 돌기 사이는 돌기 하나의 크기만큼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는 회전판으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 있으며, 회전판과 돌기 사이는 라운드지게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each protrusion may be spaced apart by the size of one protrusion. Each protrusion may protrude in a round shape from the rotating plate, and the rotating plate and the protrusion may be connected in a round shape.

그리고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제1동력변환부재(65)가 상하 대칭되게 회전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용기커버(130)에 고정되며,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의 회전시 제2회전봉(12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And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is rotated symmetrically up and down.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is fixed to the container cover 130, and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ry rod 123 when the second rotary rod 123 rotates.

제2회전봉(123)과 함께 제1동력변환부재(65)가 회전될 때, 제1동력변환부재(65)의 돌기와 제2동력변환부재(67)의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될 때에는, 제2회전봉(123)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0 참조).When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ng rod 123, when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and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rotating rod 123 can m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see Figure 10).

이러한 상태에서 제2회전봉(123)과 함께 제1동력변환부재(65)가 더 회전되어 제1동력변환부재(65)의 돌기와 제2동력변환부재(67)의 돌기가 엇갈릴 때에는, 제2회전봉(123)이 상부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도 9 참조).In this state, when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is further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ng rod 123 and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5 and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67 are crossed, the second rotating rod (123) can move upward again (see Figure 9).

이와 같이 회전봉(121)의 회전에 계속되는 동안 제2회전봉(123)의 상승과 하강이 교번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회전봉(121)과 연결된 세척봉(125)의 회전 및 승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il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od 121 continues, the second rotating rod 123 alternately rises and falls. As a result, the cleaning rod 125 connected to the rotating rod 121 can be rotated and raised and lowered simultaneously.

이에 따라 세척봉(125)은, 세척봉(125)이 휘저을 수 있는 범위를 상하방향으로 확장하여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전체를 골고루 휘저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회전 동작 및 승강 동작을 함께 수행하며 여러 방향으로 곡물을 휘저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leaning rod 125 not only expands the range that the cleaning rod 125 can sti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venly stir all the grains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but also rotates and lifts. By performing this together, you can stir the grain in several directions.

이로써 세척봉(125)은,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을 골고루, 그리고 더욱 깨끗하게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leaning rod 125 can effectively clean the grain contained in the cleaning container 110 evenly and more thoroughly.

아울러 세척부재(120)는, 탄성부재(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29)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한 제2회전봉(123)을 상부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탄성부재(129)는 하단이 용기커버(130)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제2회전봉(123)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12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129. The elastic member 129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second rotating rod 123, which has moved downward, to the upward direction. As an example, the elastic member 129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coil spring whos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ver 130 and whose upper end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rotating rod 123.

[배출구 개폐 구조][Outle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부의 배출구 개폐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ure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utlet of the washing unit shown in Figure 7.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세척부(100)에는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 및 배출구(110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1개폐부(70) 및 제2개폐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부(70)는, 제1배수구(110b)를 통한 물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폐부(80)는, 배출구(110a)를 개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11, the washing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rain hole (110b), a second drain hole (110c), and an outlet (110a). Additionally,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70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80.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70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water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8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10a.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10a)는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2용기부(115)의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110a)는, 제2개폐부(8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110a may form a passage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115 for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within the washing container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is outlet (110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80).

제2개폐부(80)는, 개폐부재(81)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81)는,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배출구(110a)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81)는, 지지프레임(13)에 설치된 세로지지대(8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80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member 8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10a. This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87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3.

일례로서, 개폐부재(81)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81)는, 세로지지대(8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8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지지대(87)에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 lateral axis. This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may include a rotating part 82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87. The rotating part 82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87 about a lateral axis.

회전부(82)의 전방측에는, 마개부(83)가 마련될 수 있다. 마개부(83)는, 회전부(82)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며, 세척용기(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용기부(115)의 하단에 밀착되어 배출구(110a)를 폐쇄할 수 있다.A stopper 8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rotating part 82. The stopper portion 83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portion 8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leaning container 11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15 to close the discharge port 110a. .

마개부(83)는, 회전부(82)의 회전 중심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개부(83)는, 회전부(82)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할 때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구(110a)를 개방할 수 있고, 회전부(82)가 상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구(110a)를 폐쇄할 수 있다.The stopper portion 83 may be disposed forward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portion 82. This stopper portion 83 moves downward when the rotating portion 82 rotates downward and can open the discharge port 110a, and moves upward when the rotating portion 82 rotates upward. The outlet (110a) can be closed.

즉 제2개폐부(8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배출구(110a)를 개폐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80 can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10a.

제2개폐부(80)는, 개폐구동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구동부(85)는, 개폐부재(8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8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actuating unit 85. The opening/closing actuator 85 may be provided to generate power to rotate the opening/closing member 81.

일례로서, 개폐구동부(85)는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구동부(85)는, 회전부(82)의 회전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회전부(82)와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closing actuator 85 may include an actuator that generates force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opening/closing actuating unit 85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82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unit 82.

이에 따르면, 개폐구동부(85)는 회전부(82)를 하부측으로 밀어내거나 상부측으로 잡아당기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구동부(85)는, 회전부(82)의 후방측 단부를 하부측으로 밀어 마개부(8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부(82)의 후방측 단부를 상부측으로 당겨 마개부(83)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85 can act to push the rotating part 82 toward the lower side or pull it toward the upper side. This opening/closing actuator 85 can move the stopper 83 upward by pushing the rear end of the rotary part 82 toward the lower side, and pull the rear end of the rotary part 82 toward the upper side. ) can also be moved downward.

즉 개폐구동부(85)는, 개폐부재(81)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배출구(110a)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closing actuator 85 can close or open the outlet 110a as needed by rotating the opening/closing member 81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81)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배출구(110a)를 개폐할 수 있다.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은, 그 자중에 의해, 그리고 세척용기(110)의 하단을 하부측으로 개방하는 배출구(110a)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can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10a). Grains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be discharge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an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a that opens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oward the lower side.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개폐부재(81)가 하부방향으로 회전되며 배출구(110a)를 개방함으로써, 큰 힘들이지 않고 배출구(110a)를 개방하여 세척된 곡물을 배출할 수 있다.Considering thi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rotates downward and opens the discharge port 110a, so that the washed grain can be discharged by opening the discharge port 110a without much effort.

또한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폐부재(81)는, 세척용기(110)의 하단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세척용기(110)와 밀착될 수 있다. 이처럼 개폐부재(81)가 세척용기(110)와 밀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개폐부재(81)와 배출구(110a) 사이의 기밀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which is provided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container 110 while pressing the lower end of the cleaning container 110 in the upward direction.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container 110, airtightness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and the discharge port 110a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이로써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 세척 과정에서의 곡물 또는 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can effectively prevent grain or water leakage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또한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에는, 조리도구(P)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이 필연적으로 준비되어야 한다. 즉 세척된 곡물이 배출구(110a)를 통해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으로 배출되므로, 배출된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조리도구(P)가 세척용기(110)의 하부에 배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리도구(P)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이하, "조리도구 배치공간"이라 한다)이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에 준비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pace required to place the cooking utensils (P) must necessarily be prepar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at is, since the washed grains ar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a, cooking utensils (P) to accommodate the discharged grains must be placed at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se cooking utensils The space required to place (P)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ing utensil placement space”) must be prepar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폐부재(81)의 대부분의 영역은, 이러한 조리도구 배치공간에 배치된다. 특히 마개부(83)는, 조리도구 배치공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구(110a)를 개폐하며, 이 과정에서 조리도구 배치공간을 벗어날 필요가 없다.Most area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that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in this cooking utensil arrangement space. In particular, the stopper 83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cooking utensil placement space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10a, and there is no need to leave the cooking utensil placement space in this process.

즉 마개부(83)는, 조리도구 배치공간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되, 특히 조리도구 배치공간의 측방향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stopper portion 83 can be mov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cooking utensil placement space, and in particular,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deviate laterally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utensil placement space.

이러한 개폐부재(81)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의 크기는, 배출구(110a) 개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증가될 필요가 없다.The siz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equipped with suc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does not need to be increased laterally to form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discharge port 110a.

즉 배출구(110a) 개폐를 위해 마련된 개폐부재(81)의 이동 범위가 조리도구(P)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 내로 제한되므로, 개폐부재(81)로 인해 곡물세척장치의 크기가 증가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movement ran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10a is limited to the space required for the cooking utensil (P) to be placed,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81. will be.

이로써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 세척 과정에서의 곡물 또는 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컴팩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prevent grain or water leakage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while maintaining a compact appearance.

[세척부의 급수 관련 구조][Structure related to water supply in the washing department]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급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structur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급수부(51,52)는 세척부재(120)와 연결될 수 있고, 급수부(51,5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척부재(120)를 통해 세척용기(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may be connected to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may be supplied to the clean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cleaning member 120. Can be supplied internally.

이를 위해, 세척부재(120)에는 내부수로(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수로(120a)는, 세척부재(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세척부재(120)의 내부와 물공급부(50)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서, 내부수로(120a)는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의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의 내부와 급수부(51,52)를 연결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n internal water conduit 120a may be formed in the cleaning member 120. The internal water conduit 120a is formed inside the cleaning member 120 and can connect the inside of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water supply unit 50. As an example, the internal water channel 120a is formed inside the rotating rod 121 and the washing rod 125, and can connect the inside of the rotating rod 121 and the washing rod 125 and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2. .

내부수로(120a)는, 제2급수관(52)과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부(50), 즉 제2급수관(52)에 의해 공급된 물은, 내부수로(120a)를 통해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The internal water conduit 120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50, that is,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can move inside the rotating rod 121 and the washing rod 125 through the internal water passage 120a.

세척부재(120)에는, 출수구(120b)가 마련될 수 있다. 출수구(120b)는, 세척봉(125)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구(120b)는, 내부수로(120a)의 물이 세척봉(125)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봉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출수구(120b)는 세척봉(125)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120b. The water outlet 120b may be provided on the washing rod 125. This water outlet 120b may form a passage in the cleaning rod 125 for the water in the internal water conduit 120a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rod 125. As an example, the water outlet 120b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rod 125.

제1급수관(51)을 통해 정수부(53)로 공급된 물은, 정수부(53)에 의해 필터링된 후 제2급수관(52)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급수관(52)으로 배출된 물은, 내부수로(120a)를 통해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의 내부를 이동한 후, 출수구(120b)를 통해 세척봉(125)의 하단에서 배출될 수 있다.The water supplied to the purification unit 53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51 may be filtered by the purification unit 53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The water discharg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52 moves inside the rotating rod 121 and the washing rod 125 through the internal water passage 120a, and then passes through the water outlet 120b to the bottom of the washing rod 125. can be discharged from

이와 같이 세척봉(125)의 하단에서 배출된 물은, 제2용기부(115)의 하단으로부터 점점 차올라 세척용기(110)를 채우게 된다.In this way,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bottom of the cleaning rod 125 gradually rises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115 and fills the cleaning container 110.

한편 세척봉(125)은, 제1세척봉(126) 및 제2세척봉(127)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eaning rod 125 may include a first cleaning rod 126 and a second cleaning rod 127.

제1세척봉(126)은, 회전봉(12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회전봉(123)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세척봉(126)은, 회전봉(121)으로부터 회전봉(121)의 하방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세척봉(126)은 제2회전봉(123)의 하단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cleaning rod 126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rod 121,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rotating rod 123. This first cleaning rod 126 may extend from the rotating rod 121 in a direction between the downward and centrifugal directions of the rotating rod 121. For example, the first cleaning rod 126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rotating rod 123 in a centrifugal direction.

제2세척봉(127)은, 제1세척봉(126)으로부터 회전봉(121)의 하방과 구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세척봉(126) 및 제2세척봉(127)은 제2회전봉(123)의 하단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cleaning rod 127 may extend from the first cleaning rod 126 in a direction betwee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21 and the centripetal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cleaning rod 126 and the second cleaning rod 127 protrude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rod 123, and may protrude in a “〉” shape.

일례로서, 제1세척봉(126)은 제1용기부(111)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세척봉(127)은, 제2용기부(115)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cleaning rod 126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area of the first container 111. And the second cleaning rod 127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area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15.

제2세척봉(127)은, 제1세척봉(126)으로부터 회전봉(121)의 하방과 구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제2용기부(115)의 저면이 형성하는 경사면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cleaning rod 127 extends obliquely from the first cleaning rod 126 in a direction between the downward and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21, and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115. can be extended in any direction.

출수구(120b)는, 이러한 제2세척봉(127)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부재(1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제2용기부(115)의 내부 영역,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출구(110a)와 인접한 위치에서 출수구(12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water outlet 120b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leaning rod 127. Accordingly, the water supplied into the cleaning member 12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b in the inner area of the second container 115, more specifically,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outlet 110a. .

이렇게 되면,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에 세척봉(125)이 파묻힌 상태일 때, 곡물이 채워진 영역의 상부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곡물이 채워진 영역, 그 중에서도 배출구(110a)와 인접한 하부 영역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cleaning rod 125 is buried in the grain contain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ain-filled area, but to the grain-filled area, especially the outlet 110a.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lower area adjacent to the.

이처럼 곡물이 채워진 영역으로 물이 공급되면, 세척봉(125)에서 토출되는 물의 수압이 곡물에 붙은 이물질을 곡물로부터 떨어뜨리는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area filled with grains in this wa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cleaning rod 125 can have the effect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grains from the grains.

즉 세척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에 의해 곡물이 휘저어지는 작용에 세척봉(125)에서 토출되는 물에 작용이 더해질 수 있게 됨으로써, 곡물 세척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가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cleaning rod 125 can be added to the action of stirring the grain by rotating and lifting the cleaning member 12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more effectively during the grain cleaning process.

[세척부의 배수 관련 구조][Structure related to drainage of washing part]

도 7을 참조하면, 세척부(100)는 제1배수구(110b) 및 제2배수구(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수구(110b)와 제1배수구(110b) 및 제2배수구(110c)는, 세척용기(110)에 각각 별도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washing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drain hole 110b and a second drain hole 110c. The first drain hole 110b and the second drain hole 110c may each form separate passages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배수구(110b)는 제2용기부(115)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구(110a)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수구(110c)는, 제1배수구(110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용기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rain port 110b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15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port 110a. And the second drain 110c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drain 110b and may be placed in the first container 111.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1배수구(110b)를 통한 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개폐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개폐부(70)는 제1배수관(71) 및 제1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70 that controls the discharge of water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As an exampl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70 may include a first drain pipe 71 and a first valve 73.

제1배수관(71)은, 제1배수구(110b)와 연결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수관(71)은,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세척용기(110) 내부로부터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은, 제1배수관(71)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drain pipe 7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hole 110b. This first drain pipe 71 may extend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rough the first drain pipe 71.

제1밸브(73)는, 제1배수관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다. 제1밸브(73)가 제1배수관(71)을 개방하면,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곡물과 분리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제1배수관(71)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valve 73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rain pipe. When the first valve 73 opens the first drain pipe 71,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grains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be discharged into the first drain pipe 71 together with water.

제1배수구(110b)가 세척용기(110) 중 하부측 영역, 즉 곡물 및 물이 채워진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1배수구(110b) 및 제1배수관(71)이 상시 개방되면 곡물 세척에 필요한 양의 물을 세척용기(110) 내부에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Since the first drain (110b)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area filled with grain and water, when the first drain (110b) and the first drain pipe (71) are always open, grain washing is possible. There is difficulty in securing the required amount of water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배수관(71)에 제1밸브(73)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1밸브(73)는 제1배수구(110b) 및 제1배수관(71)을 통한 배수를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Considering this, a first valve 73 is installed in the first drain pipe 71, and this first valve 73 controls drainage through the first drain port 110b and the first drain pipe 71. It can be used.

또한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2배수관(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수관(90)은, 제2배수구(110c)와 연결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배수관(90)은, 제1배수관(71)과 마찬가지로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세척용기(110) 내부로부터 제2배수구(110c)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은, 제2배수관(90)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ain pipe 90. The second drain pipe 9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hole 110c. This second drain pipe 90, like the first drain pipe 71, may extend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second drain hole 110c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90.

제2배수구(110c)가 세척용기(110) 중 상부측 영역, 즉 곡물 및 물이 채워진 영역보다는 높은 영역에 배치되므로, 제2배수구(110c) 및 제2배수관(90)이 상시 개방되더라도 제2배수구(110c) 및 제2배수관(90)을 통해 이루어지는 배수가 세척용기(110) 내부에 채워진 물의 양에 별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Since the second drain 110c is located in the upper area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at is, in an area higher than the area filled with grains and water, even if the second drain 110c and the second drain pipe 90 are always open, the second drain 110c Drainage performed through the drain hole 110c and the second drain pipe 90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수관(71)에만 제1밸브(73)가 설치되고, 제2배수관(90)에는 밸브가 별도로 설치되지는 않을 수 있다.Considering th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lve 73 may be installed only in the first drain pipe 71, and the valve may not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second drain pipe 90.

아울러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3배수관(9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배수관(95)은, 제1배수관(71) 및 제2배수관(90)과 연결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rain pipe 95. The third drain pipe 9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71 and the second drain pipe 90.

제1배수관(71) 및 제2배수관(90)은 제3배수관(95)과 연결되며, 제3배수관(95)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수관(71) 및 제2배수관(90)으로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은, 제3배수관(95)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drain pipe 71 and the second drain pipe 90 are connected to the third drain pipe 95, and may extend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through the third drain pipe 95. Accordingly,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pipe 71 and the second drain pipe 90 can be discharged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through the third drain pipe 95.

한편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1필터(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116)는, 제1배수구(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필터(116)는,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물체만이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되도록 세척용기(110)와 제1배수구(110b) 사이를 필터링할 수 있다.Meanwhile,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lter 116. The first filter 11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drain 110b. This first filter 116 can filter between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first drain 110b so that only objects smaller than the grain size ar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110b.

일례로서,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제1필터(116)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물과 함께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s an example, foreign matter smaller than the size of a grain may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116. As a result, foreign substances smaller than the size of grain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along with water.

제2배수구(110c)는, 제1필터(11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보다 더 큰 물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2필터(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ain 110c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objects larger than those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ilter 116 can pass. To this end,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lter 112.

제2필터(112)는, 제2배수구(110c)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필터(112)는 제1필터(116)가 통과시킬 수 있는 입자보다 더 큰 크기의 입자를 통과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필터(112)는, 제1필터(116)가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이물질보다 더 큰 크기의 이물질이 제2배수구(110c)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용기(110)와 제2배수구(110c) 사이를 필터링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112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drain 110c. As an example, the second filter 112 may be configured to allow particles larger than those that the first filter 116 can pass through. This second filter 112 is a cleaning container 110 and a second filter so that foreign matter larger than the size that the first filter 116 can pass through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110c. Filtering is possible between drains 110c.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밸브(73)가 제1배수구(110b)와 제3배수관(95)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밸브(73)는 제1배수관(71)에 설치되고 제3배수관(95)에 설치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lve 73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rain hole 110b and the third drain pipe 95. According to this, the first valve 73 is installed in the first drain pipe 71 and not in the third drain pipe 95.

이는 제1배수관(71)의 개폐 조절만이 필요하고 제2배수관(90)의 개폐 조절이 필요하지 않음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제1밸브(73)가 제3배수관(95)에 설치된다면, 제1배수관(71)과 제2배수관(90)의 폐쇄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제1배수관(71)이 폐쇄될 때 제2배수관(90)도 함께 폐쇄된다면, 제2배수구(110c) 및 제2배수관(90)을 통한 물과 이물질의 배출이 상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발생될 수 있다.This is the result of a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that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first drain pipe (71) is required and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second drain pipe (90) is not required. If the first valve 73 is installed in the third drain pipe 95, the first drain pipe 71 and the second drain pipe 90 are closed simultaneously. If the second drain pipe 90 is also closed when the first drain pipe 71 is closed, the result is tha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can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port 110c and the second drain pipe 90 at all times. It can happen.

후술하겠지만, 제1배수구(110b) 및 제1배수관(71)과 달리, 제2배수구(110c) 및 제2배수관(90)은 상시 개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밸브(73)가 제2배수관(90) 또는 제3배수관(95)에 설치되지 않고 제1배수관(71)에 설치되어 제1배수구(110b) 및 제1배수관(71)만을 개폐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unlike the first drain 110b and the first drain pipe 71, the second drain 110c and the second drain pipe 90 need to be always open.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lve 73 is not installed in the second drain pipe 90 or the third drain pipe 95, but is installed in the first drain pipe 71 to connect the first drain pipe 110b and Only the first drain pipe (71) can be opened and clo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배수구(110b)를 통해서는 곡물보다 크기는 작으면서도 물보다는 비중이 큰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즉 물에 가라앉을 수 있을 정도로 무겁고 제1필터(116)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제1배수구(110b)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maller than grains but have a great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That is, foreign substances that are heavy enough to sink in water and have particles small enough to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116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제2배수구(110c)를 통해서는, 물에 뜰 수 있을 정도로 비중이 작은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배수구(110b)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입자가 작지는 않지만 물에 뜰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운 이물질이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Foreign substances with a specific gravity small enough to float on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110c. That is, foreign substances whose particles are not small enough to pass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but are light enough to float on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second drain hole 110c.

제1배수구(110b)를 통한 이물질의 배출은, 제1밸브(73)가 제1배수관(71)을 개방할 때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배수구(110c)를 통한 이물질의 배출은, 제한 없이 상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척용기(110) 내부의 물이 제2배수구(110c)로 흘러 넘칠 때, 물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흘러 넘치는 물과 함께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only when the first valve 73 opens the first drain pipe 71. In comparison,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second drain 110c can occur at all times without limitation. That is, when the water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flows into the second drain hole 110c, foreign substances floating in the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second drain hole 110c along with the overflowing water. there is.

[곡물세척장치의 부품 배치 구조][Parts arrangement structure of grain washing devic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곡물세척장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부품이 지지부(10) 및 케이스(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곡물저장부(30) 및 물공급부(50)의 대부분의 영역, 그리고 곡물공급부(4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지지부(10) 및 케이스(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most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support part 10 and the case 20. For example, most areas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the grain supply unit 40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support unit 10 and the case 2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일례로서, 케이스(20)의 좌우방향 길이는 정수부(53)의 좌우방향 길이와 세척용기(110)의 좌우방향 길이의 합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곡물세척장치의 전체 형상은,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좌우방향 길이가 짧은 형상, 즉 좌우가 슬림한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eft-right length of the case 20 may be set shorter than the sum of the left-right length of the water purification part 53 and the left-right length of the cleaning container 110. According to this, the overall shap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be set to a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at is,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lim.

이러한 곡물세척장치는, 사용자가 곡물세척장치를 바라보는 방향, 즉 전방에서 봤을 때 매끈하고 슬림한 형상으로 보일 수 있게 된다.This grain washing device appears to have a smooth and slim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at is, in the direction from which the user is looking at the grain washing device.

이러한 곡물세척장치의 형상으로 인해, 정수부(53)는 세척용기(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좌우가 슬림한 곡물세척장치의 형상으로 인해, 정수부(53)는 세척용기(110)의 측방에 배치되기는 어렵다. 또한 세척용기(110)는 세척부(100)에서 세척된 곡물을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 배출하기 위해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정수부(53)는 세척용기(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Due to the shape of this grain washing device,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Due to the shap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w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lim, it is difficult for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to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In addition,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preferably disposed in a position biased forward in the grain washing device in order to discharge the grains washed in the washing unit 100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user.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또한 곡물저장부(30)는, 세척용기(110) 및 정수부(53)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곡물저장부(30)의 크기가 커질수록 곡물세척장치가 저장할 수 있는 곡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곡물세척장치가 저장할 수 있는 곡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곡물세척장치에 곡물을 투입하는 횟수가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purification unit 53. As the size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increases, the amount of grain that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store can increase. As the amount of grain that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store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grain is input into the grain washing device can be reduced,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이러한 곡물저장부(30)는, 곡물세척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가 슬림한 곡물세척장치의 형상으로 인해, 세척용기(110)나 정수부(53)의 측부에 곡물저장부(30)가 배치되기는 어렵다.This grain storage unit 30 is preferably placed at the top of the grain washing device. Due to the shap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w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lim,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grain storage unit 30 on the 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or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또한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하단에 배치된다면, 곡물저장부(30)에 저장된 곡물을 세척부(100)로 공급하기 위해 지나치게 길고 복잡한 이송장치가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Additionally, if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 problem arises in that an excessively long and complicated transport device must be added to supply the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section 30 to the washing unit 100.

또한 곡물저장부(30)가 정수부(53)의 후방에 배치된다면, 곡물저장부(30)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사용자가 곡물저장부(30)에 곡물을 투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될 뿐 아니라, 곡물저장부(30)의 크기로 인해 곡물세척장치의 전후방향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if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placed behind the purification unit 53, the distance between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user becomes large, which not only makes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put grain into the grain storage unit 30. , Due to the size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grain washing device becomes excessively long.

또한 곡물저장부(30)가 정수부(53)의 후방에 배치된다면, 곡물세척장치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각종 급수관과 배수관으로 인해, 곡물저장부(30)와 급수관 및 배수관의 배치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placed behind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difficulties may arise in arranging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water supply pipe and drain pipe due to various water supply pipes and drain pipes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grain washing device. You can.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곡물저장부(30)는, 정수부(53)의 전후방향 길이와 세척용기(110)의 전후방향 길이를 합친 만큼의 전후방향 길이를 갖는 곡물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Considering this, in this embodiment,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ly, the grain storage unit 30 can secure a grain storage space having an anteroposterior length equal to the sum of the anteroposterior length of the purification unit 53 and the anteroposterior length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또한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곡물세척장치의 전방 상단을 통해 곡물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상단에 배치됨으로써, 곡물저장부(30)로의 곡물 투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if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placed at the top of the grain washing device, grain can be input through the front top of the grain washing device,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the user. That is, by placing the grain storage unit 30 at the top of the grain washing device, grain input into the grain storage unit 3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곡물배출구(32)는 곡물저장부(3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세척용기(110)는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grain discharge port 32 is disposed in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in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disposed in a position biased forward in the grain washing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곡물배출구(32)는 곡물의 선입선출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곡물저장부(3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용기(110)는, 세척부(100)에서 세척된 곡물을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 배출하기 위해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grain discharge port 32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grain storage unit 30 in order to effectively induce first-in-first-out of grain. In addition,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preferably disposed in a position biased forward in the grain washing device in order to discharge the grains washed in the washing unit 100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user.

이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곡물배출구(32)로부터 세척용기(110) 측으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해 곡물공급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공급부(40)는,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전방측으로 이송하여 세척용기(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In this way, a grain supply unit 40 may be provided to transport grain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32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This grain supply unit 40 can transport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32 to the front side and supply it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즉 세척용기(110)가 곡물세척장치 중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 정수부(53)가 세척용기(11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 중 상단에 배치되는 것, 그리고 곡물저장부(30)에서 배출된 곡물을 전방측으로 이송하는 곡물공급부(40)가 곡물저장부(30)와 세척용기(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이 매끈하고 슬림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곡물의 투입 및 세척 완료된 곡물의 수거가 편리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That is,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placed at the front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e water purification unit 53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grain storage unit 3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e fact that the grain supply unit 40, which transports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30 to the front, is disposed between the grain storage unit 30 and the washing container 110 ensures that the grain washing device has a smooth appearance. This is the result of a design that allows the input of grain and the collection of washed grain to be carried out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while maintaining a slim shape.

[곡물세척장치의 세척 동작][Washing operation of grain washing device]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ures 13 to 19 are side views showing the grain washing operation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grain washing operation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rain washing operation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20.

도 12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 세척을 위해 먼저 세척용기(110)로 곡물을 공급할 수 있다(곡물공급단계; S10). 곡물 공급은, 곡물저장부(30)에서 배출된 곡물을 곡물공급부(40)가 세척용기(110) 측으로 이송한 후 세척용기(110) 내부로 투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2 and 20,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can first supply grain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for grain washing (grain supply step; S10). Grain supply may be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the grain supply unit 40 transfers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30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n inputs it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일례로서, 상기 곡물공급단계에서는 곡물이 제2배수구(110c)보다 낮은 높이로 세척용기(110) 내부에 채워지도록 세척용기(110) 내부에 곡물이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용기(110) 내부에 곡물이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 사이의 높이만큼 채워질 수 있다.As an example, in the grain supply step, grain may be supplied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so that the grain is fill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at a height lower than the second drain hole 110c. Preferably,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be filled with grains to the height between the first drain hole (110b) and the second drain hole (110c).

이와 함께, 세척용기(110)로 제1설정수량만큼 물을 공급할 수 있다(1차급수단계; S20). 일례로서, 곡물공급단계(S10) 완료 후 1차급수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1차급수단계(20) 완료 후 곡물공급단계(S10)가 진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곡물공급단계(S10)와 1차급수단계(S20)가 함께 또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진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물공급단계(S10) 완료 후 1차급수단계(S20)가 진행되는 경우가 예시된다.At the same tim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as much as the first set amount (first water supply step; S20). As an example,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20) may proceed after the grain supply step (S10) is completed. As another example, the grain supply step (S10) may proceed after the first water supply step (20) is completed. As another example, the grain supply stage (S10) and the first water supply stage (S20) may be carried out together or with a slight time difference.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20) is performed after the grain supply step (S10) is completed is exemplified.

본 실시예에서, 제1설정수량은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제2배수구(110c)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하는 수량인 것으로 정의된다. 즉 1차급수단계(S10)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제2배수구(110c)보다 낮게 유지될 정도로 세척용기(110) 내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t water quantity is defined as a quantity that maintains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lower than the second drain hole 110c. That is, in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10),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cleaning container 110 to the extent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cleaning container 110 is maintained lower than the second drain hole 110c.

바람직하게는, 1차급수단계(S10)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 사이로 유지될 수 있게 세척용기(110) 내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10), water is suppli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maintained between the first drain hole (110b) and the second drain hole (110c). You can.

좀 더 바람직하게는, 1차급수단계(S10)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세척용기(110) 내부에 채워진 곡물보다는 높고 제2배수구(110c)보다는 낮게 유지되도록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10), water may be supplied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grain fill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lower than the second drain hole 110c. .

세척용기(110) 내부에 곡물 및 제1설정수량만큼의 물이 공급된 후, 도 13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1차세척단계(S30)에서는,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세척부재(120)로 휘젓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After grains and a first set amount of water are supplied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the first washing step (S30)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S. 13 and 20. In the first washing step (S30),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be agitated using the washing member 120.

세척부재(120)는, 회전 동작 및 승강 동작을 함께 수행하며 여러 방향으로 골고루 곡물을 휘저을 수 있다. 이러한 세척부재(120)는, 휘저을 수 있는 범위를 상하방향으로 확장하여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전체를 골고루 휘저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회전 동작 및 승강 동작을 함께 수행하며 여러 방향으로 곡물을 휘저을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120 performs a rotating operation and a lifting operation together and can evenly stir grains in various directions. This cleaning member 120 not only expands the range that can be stir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venly stir the entire grain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but also performs rotating and lifting operations together to move in various directions. Grains can be stirred.

이로써 세척부재(120)는,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을 골고루, 그리고 더욱 깨끗하게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ashing member 120 can effectively wash the grains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evenly and more cleanly.

상기와 같은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 도 14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용기(110)에 물을 더 공급하는 2차급수단계(S35)가 진행될 수 있다.While the first washing step (S30) as described above is in progress, as shown in FIGS. 14 and 20, a second water supply step (S35) in which more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be performed.

2차급수단계(S35)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세척용기(110)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2차급수단계(S35)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제2배수구(110c)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게 세척용기(110) 내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In the second water supply step (S35),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cleaning container 110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water inside the cleaning container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container through the second drain hole 110c. . In this secondary water supply step (S35),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cleaning container 110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cleaning container 110 can be raised higher than the second drain hole 110c.

상기 2차급수단계(S35)는,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 간헐적으로 복수회 진행될 수 있다. 즉 곡물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 제2배수구(110c)를 통한 물의 범람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물의 추가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water supply step (S35) may be performed intermittently multiple times while the first washing step (S30) is in progress. That is, while grain washing is in progress, additional water may be supplied so that water overflows through the second drain 110c intermittently.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 곡물에 붙어있던 이물질은 곡물을 휘젓는 세척부재(120)에 의해 곡물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들 중 물보다 가벼운 이물질은, 물 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물 위에 부유하게 된다.While the first washing step (S30) is in progres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grain may be separated from the grain by the washing member 120 that stirs the grain. Among these foreign substances, those lighter than water do not sink into the water but float on the water.

이와 같이 이물질이 물 위에 부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2차급수단계(S35)가 진행되어 추가 급수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2배수구(110c)를 통한 물의 범람이 이루어지게 되면, 물 위에 부유하고 있던 이물질이 물과 함께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is state, with foreign substances floating on the water, the second water supply step (S35) proceeds and additional water is supplied, and accordingly, when water overflows through the second drain (110c), the water floating on the water Foreign substance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second drain hole 110c along with water.

이처럼 제2배수구(110c)를 통해 배출된 물과 이물질은, 제2배수관(90) 및 제3배수관(95)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is way,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110c can be discharged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90 and the third drain pipe 95.

상술한 바와 같이, 2차급수단계(S35)는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에 진행될 수 있다. 즉 세척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추가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water supply step (S35) may be performed while the first washing step (S30) is in progress. That is, additional water can be supplied while the cleaning member 120 rotates and moves up and down.

세척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 제2배수관(90)을 통한 물의 범람이 좀 더 촉진될 수 있다. 즉 물의 추가 급수뿐 아니라, 세척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서도, 제2배수관(90)을 통한 물의 범람 및 이를 통한 이물질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By rotating and lifting the cleaning member 120, the overflow of water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90 can be further promoted. That is, not only the additional supply of water, but also the rotation and lifting motion of the cleaning member 120 can induce water to overflow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90 and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it.

한편 상기와 같은 급수는, 세척부재(120) 하단의 출수구(120b)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용기(110) 내부에 곡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세척부재(120)의 대부분의 영역이 곡물에 파묻힌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출수구(120b)도 곡물에 파묻힌 상태에 있게 된다.Meanwhile, water supply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b)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member (120). When grain is supplied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most areas of the cleaning member 120 remain buried in the grain, and accordingly, the water outlet 120b is also in a state buried in the grain.

그 결과, 세척부재(120)를 통한 물의 토출은 곡물 표층 상부가 아닌 곡물 하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곡물로 뒤덮인 영역, 그 중에서도 하부 영역에서 세척부재(120)로부터 물이 토출되는 형태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a resul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cleaning member 120 from the lower part of the grain rath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surface layer of the grain. That is, water may be supplied in the form of wa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cleaning member 120 in the area covered with grains, especially in the lower area.

이와 같이 곡물의 하부 영역에서 토출되는 물의 흐름은,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곡물 표층의 상부로 부유되도록 유도하는 한편, 곡물 표층의 상부로 부유한 이물질이 다시 곡물 표층 하부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low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lower area of the grain causes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grain to float to the upper part of the grain surface layer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while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loa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grain surface layer from entering the lower part of the grain surface layer again. It may have a suppressive effect.

또한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세척부재(120)의 승강 동작은,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곡물 표층의 상부로 부유되는 것을 촉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fting motion of the cleaning member 120 during this process may promote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grain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to float to the upper part of the surface layer of the grain.

상기와 같은 1차세척단계(S30) 및 2차급수단계(S35)가 설정된 시간 또는 횟수만큼 진행된 후, 도 15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배수단계(S40)에서는, 제1배수구(110b)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1차세착단계(S30)에서 곡물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fter the first washing step (S3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step (S35) as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for a set time or number of times, the draining step (S40)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S. 15 and 20. In the draining step (S40), the first drain (110b) is opened, and thus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grains in the first washing step (S3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110b) along with water.

제1배수구(110b)의 개방은, 제1밸브(73)가 제1배수관(71)을 개방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된 물과 이물질은, 제1배수관(71) 및 제3배수관(95)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drain 110b may be opened as the first valve 73 opens the first drain pipe 71.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110b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rough the first drain pipe 71 and the third drain pipe 95.

배수단계(S40)에서는, 곡물보다 크기는 작으면서도 물보다는 비중이 큰 이물질, 즉 물에 가라앉을 수 있을 정도로 무겁고 제1필터(116)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제1배수구(110b)를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draining step (S40),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maller than grains but have a great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that is, foreign substances that are heavy enough to sink in water and whose particles are small enough to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116,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drain (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through 110b).

즉 배수단계(S40)에서는, 곡물 하부로 가라앉은 이물질이 물과 함께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수단계(S40)에서 가능한 많은 물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in the drainage step (S40),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settled to the bottom of the grain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rain washing device along with water. Preferably, as much water as possible can be discharged outside the grain washing device in the draining step (S40).

배수단계(S40)에서 배수되지 않고 남은 물이 많을수록 이물질도 물과 함께 세척용기(110) 내부에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배수단계(S40)에서는 가능한 많은 물이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re water remaining without being drained in the draining step (S40), the more likely it is that foreign substances will remain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along with the water. Considering this, it is desirable that as much water as possible is discharged along with foreign substances in the draining step (S40).

즉 본 실시예의 배수단계(S40)에서는, 취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고려함 없이 이물질 배출 효율만을 고려하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n the drainage step (S40) of this embodiment, drainage can be performed considering only the efficiency of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without considering the amount of water needed for cooking.

상기 1차급수단계(S20) 내지 배수단계(S40)는, 곡물 세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과정들이다. 이러한 과정은, 필요에 따라 복수회 반복될 수 있다. 즉 필요한 곡물 세척 횟수에 따라, 1차급수단계(S20) 내지 배수단계(S40)가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supply step (S20) to the drainage step (S40) are processes directly related to grain washing. This process can be repeated multiple times as needed. That is, depending on the number of grain washings required,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20) to the drainage step (S40)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곡물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배출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1차배출단계(S50)에서는, 배출구(110a)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세척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배출구(110a)를 통해 배출된 세척된 곡물 및 물은, 배출구(110a) 하부에 배출된 조리도구(P)에 공급될 수 있다.After grain washing is completed, the first discharge step (S50) may proceed, as shown in FIGS. 16 and 20. In the first discharge step (S50), the discharge port 110a is opened, and thus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110 can be discharged. In this way, the washed grains an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0a can be supplied to the cooking utensil P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outlet 110a.

상기 1차배출단계(S50)에서, 세척용기(110) 내부의 곡물이 남김없이 조리도구(P)로 공급되기는 어렵다. 즉 1차배출단계(S50)에서 곡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는 상당량의 곡물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first discharge step (S50), it is difficult for all grains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to be supplied to the cooking utensil (P). That is, even if grains are discharged in the first discharge step (S50), a significant amount of grains may be attached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washing member 120.

또한 상기 배수단계(S40)에서는 취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고려함 없이 이물질 배출 효율만을 고려하여 배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세척된 곡물을 공급받은 조리도구(P)에는 취사에 필요한 물이 부족한 상태이다.In addition, in the drainage step (S40), since drainage was performed considering only the efficiency of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without considering the amount of water needed for cooking, the cooking utensil (P) supplied with the washed grains lacks the water needed for cooking.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2차세척단계(S60)가 추가될 수 있다. 2차세척단계(S60)는, 1차배출단계(S50)가 완료된 후 세척용기(110) 내부를 세척하는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Considering this, a secondary washing step (S60) may be adde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washing step (S60)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washing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after the first discharging step (S50) is completed.

2차세척단계(S60)에서는, 도 17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출구폐쇄단계(S61)가 진행될 수 있다. 1차배출단계(S40)가 완료된 후, 배출구폐쇄단계(S61)에서는 배출구(110a)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econdary washing step (S60), as shown in FIGS. 17 and 21, the outlet closing step (S61) may be performed first. After the first discharge step (S40) is completed, the discharge port (110a) may be closed in the outlet closing step (S61).

그런 다음, 세척용기(110)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3차급수단계(S62)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1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재동작단계(S63)가 진행될 수 있다. 세척부재동작단계(S63)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에 채워진 물을 세척부재(120)로 휘젓는 동작이 진행된다.Then, the third water supply step (S62) of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may proce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S. 18 and 21, the cleaning member operation step (S63) may proceed. In the cleaning member operation step (S63), the water filled inside the cleaning container 110 is stirred using the cleaning member 120.

이때 세척부재(120)는, 1차세척단계(S30)에서와 마찬가지로, 회전 동작 및 승강 동작을 함께 수행하며 물을 휘저을 수 있다. 그러나 1차세척단계(S30)서와 달리, 세척부재동작단계(S63)에서는, 곡물을 세척하는 동작이 아니라, 세척부재(120) 또는 세척용기(110)에 붙은 곡물을 세척부재(120) 또는 세척용기(110)로부터 떼어 내기 위한 수류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eaning member 120 may stir the water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a rotating operation and a lifting operation, as in the first washing step (S30). However, unlike the first washing step (S30), the washing member operation step (S63) does not involve washing the grains, but rather cleans the grains attached to the cleaning member (120) or the washing container (110) to the cleaning member (120) or the washing container (110). An operation may be performed to generate a water flow for removal from the cleaning container 110.

3차급수단계(S62)와 세척부재동작단계(S63)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3차급수단계(S62)가 완료된 후 세척부재동작단계(S63)가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3차급수단계(S62)가 먼저 시작된 후, 소정 시차를 두고 세척부재동작단계(S63)의 진행이 시작될 수도 있다.The 3rd water supply step (S62) and the cleaning member operation step (S63)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the cleaning member operation step (S63) may be performed after the 3rd water supply step (S62)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third water supply step (S62) may be started first, and then the cleaning member operation step (S63) may begin with a predetermined time lag.

또한 3차급수단계(S62)는, 적어도 1회 이상 진행될 수 있다. 1회 또는 복수회 진행된 3차급수단계(S62)에서 공급되는 물의 총량은, 제2설정수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3차급수단계(S62)의 실시 횟수와 상관없이, 3차급수단계(S62)서 공급되는 물의 총량은 제2설정수량으로 유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rd water supply step (S62) may be performed at least once. The total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third water supply step (S62) performed once or multiple times may be maintained at the second set water amount. That i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imes the third water supply step (S62) is performed, the total amount of water supplied in the third water supply step (S62) can be maintained at the second set amount.

본 실시예에서, 제2설정수량은 조리도구(P)에 공급된 세척된 곡물의 취사에 필요한 물의 양에서 1차배출단계(S50)에서 배출된 물의 양을 뺀 수량으로 정의된다. 1차배출단계(S50)에서 배출된 물의 양이 미미하다고 가정할 때, 제2설정수량은 조리도구(P)에 공급된 세척된 곡물의 취사에 필요한 물의 양과 거의 동일한 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et quantity is defined as the quantity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in the first discharge step (S50) from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the washed grains supplied to the cooking utensil (P). Assuming tha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in the first discharge step (S50) is insignificant, the second set water quantity can be set to be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a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the washed grains supplied to the cooking utensil (P).

3차급수단계(S62) 및 세척부재동작단계(S63)가 완료되면,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배출단계(S64)가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third water supply step (S62) and the cleaning member operation step (S63) are completed, the second discharge step (S64) may proceed, as shown in FIGS. 19 and 21.

2차배출단계(S64)에서는, 배출구(110a)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2차세척단계(S60)에서 세척부재(120) 및 세척용기(110)에서 떼어진 곡물이 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In the second discharge step (S64), the discharge port (110a) is opened, and thus the grains separated from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washing container 110 in the second washing step (S60) can be discharged together with water. .

즉 2차세척단계(S60)에 의해,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 부착된 잔여 곡물의 배출 작업,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 부착된 곡물의 제거 작업, 그리고 취사에 필요한 물 공급 작업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econd washing step (S60), discharge of remaining grains attached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cleaning member 120, removal of grains attached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cleaning member 120, And water supply work required for cooking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이로써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세척 후의 잔여 곡물 발생을 억제하며 취사에 필요한 세척된 곡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부(100)에 대한 별도의 세척 작업 없이도 곡물 세척 작업만으로 세척부(100)를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residual grains after washing and effectively provides washed grains necessary for cooking, but also enables the washing unit 100 to perform only the grain washing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washing operation for the washing unit 100.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allowing (100) to be kept clean at all times.

또한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하나의 작업으로 세척부(100) 내부의 잔여물 제거 작업 및 취사를 위한 물 공급 작업이 함께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세척부(100)의 청결을 쉽고 편리하게 유지하는 효과, 및 취사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allows the operation of removing residues inside the washing unit 100 and supplying water for cooking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one operation, thereby easily and conveniently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washing unit 100. It can provide both effectiveness and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cooking work.

[곡물세척장치의 작용, 효과][Action and effect of grain washing device]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세척부(100)에는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가 각각 배치되며, 제2배수구(110c)는 제1배수구(110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a first drain 110b and a second drain 110c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washing unit 100 of this embodiment, and the second drain 110c is located above the first drain 110b. can be placed in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 중 물보다 가벼워 물 위에 부유하는 이물질(이하. "부유 이물질"이라 한다)은,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mong the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grains during the first washing step (S30), foreign substances that are lighter than water and float on the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loating foreign substances”) are washed into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second drain (110c). )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2배수구(110c)는,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채워진 곡물의 표층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부유 이물질은,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채워진 곡물층을 통과할 필요 없이 곡물층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 110c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urface layer of grains fill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Accordingly, floating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second drain hole 110c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grain layer without having to pass through the grain layer fill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만약 세척부(100)에 제2배수구(110c)가 마련되지 않고 제1배수구(110b)만이 마련된다면, 부유 이물질은 제1배수구(110b)를 통한 배수가 이루어질 때에만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f the second drain 110c is not provided in the washing unit 100 and only the first drain 110b is provided, floating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only when drainage is made through the first drain 110b. may be discharged.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부유 이물질이 곡물층을 통과하여아 한다. 제1배수구(110b)가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채워진 곡물의 표층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However, for this to happen, floating foreign matter must pass through the grain layer. This is because the first drain hole 110b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urface layer of the grains fill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110.

그러나 부유 이물질이 곡물층을 제대로 통과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이 부유 이물질은 제1배수구(110b)를 통한 배수시 곡물층을 통과해 제1배수구(110b)로 배출되지 못하고 곡물 표층에 잔여하거나 다시 곡물 사이에 섞여 버리기 쉽다.However, because it is not easy for floating foreign matter to properly pass through the grain layer, these floating foreign materials cannot pass through the grain layer and be discharged to the first drain hole (110b) when draining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10b), and remain on the surface layer of the grain or return to the drain. It is easy to get mixed up among grains.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수구(110b)의 상부측에 제2배수구(110c)가 추가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배수구(110c)를 통해, 곡물로부터 분리된 부유 이물질이 매우 효과적으로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Considering this, in this embodiment, a second drain hole 110c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rain hole 110b. Through this second drain hole 110c, suspended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grain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very effectively.

또한 상기와 같이 부유 이물질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세척부재(120)를 통한 물의 토출이 곡물층 하부에서 이루어지고 세척부재(120)의 회전 동작과 함께 세척부재(120)의 승강 동작도 함께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floating foreign substances as described abov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cleaning member 120 from the lower part of the grain layer,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leaning member 120 is also performed along with the rotation motion of the cleaning member 120.

이에 따라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의 부유가 유도되고, 부유 이물질의 곡물 내부로의 진입은 억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loating of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grain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is induced, and the entry of floating foreign substances into the grain can be suppressed.

아울러 물에 가라앉을 수 있을 정도로 무거운 이물질은, 제2배수구(110c) 대신 제1배수구(110b)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heavy enough to sink in water may be discharged out of the wash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first drain 110b instead of the second drain 110c.

즉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를 통해,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과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 이물질 모두가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된 후 곡물과 별도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rough the first drain 110b and the second drain 110c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oth light foreign matter floating in the water and heavy foreign matter settling in the water are effectively separated from the grain during the grain washing process and then separated from the grain. may be discharged.

이로써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과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 이물질 모두를 곡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청결히 세척된 곡물을 취사 가능한 상태로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can effectively remove both light foreign substances floating in water and heavy foreign substances that settle in water from grains, and provide the effect of providing cleanly washed grains in a state ready for cooking.

또한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세척된 곡물을 1차로 배출한 후, 2차세척단계를 통해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 부착된 잔여 곡물의 배출 작업,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 부착된 곡물의 제거 작업, 그리고 취사에 필요한 물 공급 작업이 함께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in wash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first discharges the washed grains, and then discharges the remaining grains attached to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washing member 120 through a secondary washing step, washing the washing container 110. And the operation of removing grains attached to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operation of supplying water necessary for cooking can be performed together.

이러한 곡물세척장치는, 세척 후의 잔여 곡물 발생을 억제하며 취사에 필요한 세척된 곡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부(100)의 청결을 쉽고 편리하게 유지하는 효과, 및 취사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is grain washing device not only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residual grains after washing and effectively provides washed grains required for cooking, but also maintains the cleanliness of the washing unit 100 easily and conveniently, and improves the convenience of cooking work and It can also provide effects that can improve efficienc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 : 지지부
11 : 베이스
13 : 지지프레임
20 : 케이스
30 : 곡물저장부
31 : 저장용기
31a : 저면후방영역
31b : 저면전방영역
32 : 곡물배출구
33 : 상단커버
40 : 곡물공급부
41 : 연결용기
43 : 이송부재
50 : 물공급부
51 : 제1급수관
52 : 제2급수관
53 : 정수부
55 : 급수밸브
60 : 구동부
61 : 구동모터
63 : 동력전달부
65 : 제1동력변환부재
67 : 제2동력변환부재
70 : 제1개폐부
71 : 제1배수관
73 : 제1밸브
80 : 제2개폐부
81 : 개폐부재
82 : 회전부
83 : 마개부
85 : 개폐구동부
87 : 세로지지대
90 : 제2배수관
95 : 제3배수관
100 : 세척부
110 : 세척용기
110a : 배출구
110b : 제1배수구
110c : 제2배수구
111 : 제1용기부
112 : 제2필터
115 : 제2용기부
116 : 제1필터
120 : 세척부재
120a : 내부수로
120b : 출수구
121 : 회전봉
122 : 제1회전봉
123 : 제2회전봉
124 : 연결부
125 : 세척봉
126 : 제1세척봉
127 : 제2세척봉
129 : 탄성부재
130 : 용기커버
130a : 곡물투입구
10: support part
11: base
13: Support frame
20: Case
30: Grain storage unit
31: storage container
31a: bottom rear area
31b: Bottom front area
32: Grain outlet
33: Top cover
40: Grain supply department
41: Connection container
43: transfer member
50: water supply unit
51: 1st water supply pipe
52: 2nd water supply pipe
53: integer part
55: water supply valve
60: driving unit
61: driving motor
63: Power transmission unit
65: First power conversion member
67: Second power conversion member
70: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71: 1st drain pipe
73: 1st valve
80: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81: Opening and closing member
82: rotating part
83: stopper
85: Opening/closing drive eastern part
87: Vertical support
90: 2nd drain pipe
95: Third drain pipe
100: washing unit
110: Washing container
110a: outlet
110b: 1st drain
110c: 2nd drain
111: 1st container unit
112: second filter
115: 2nd container section
116: first filter
120: cleaning member
120a: internal waterway
120b: outlet
121: rotating rod
122: 1st rotating rod
123: 2nd rotating rod
124: connection part
125: cleaning rod
126: 1st cleaning rod
127: Second cleaning rod
129: elastic member
130: Container cover
130a: Grain input port

Claims (23)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곡물저장부;
곡물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곡물을 물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곡물저장부에 수용된 곡물을 상기 세척부로 공급하는 곡물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곡물 및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세척용기;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세척용기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젓는 세척부재; 및
곡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및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각각 형성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수구와 상기 제2배수구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A grain storage unit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grain is formed;
A washing unit that washes grains supplied from the grain storage unit with water;
A grain supply unit that supplies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unit to the washing unit; and
It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ter to the washing unit, and the washing unit,
a washing container accommodating grain supplied by the grain supply unit and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a washing member that rotates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and agitates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container; and
A first drain and a second drain respectively forming a passage in the wash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grains and water contained inside the washing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A grain wash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drain and the second drai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저장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곡물이 상기 곡물공급부 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저장용기에 형성하는 곡물배출구;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ain storage unit,
A storage container disposed above the grain supply unit; and
A grain washing device comprising: a grain discharge port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forming a passage in the storage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grain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toward the grain supply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배출구는, 상기 저장용기의 최하단에서 상기 저장용기의 저면과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저면은, 상기 저장용기의 가로방향 테두리로부터 상기 곡물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grain outle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A grain washing device wherei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edge of the storage container toward the grain discharge po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배출구는, 상기 저장용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grain discharge port is a grain washing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from the front-back center of the storage contai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저면에서, 상기 곡물배출구의 후방에 배치된 영역의 기울기가 상기 곡물배출구의 전방에 배치된 영역의 기울기보다 큰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grain washing device wherein,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the slope of the area disposed behind the grain discharge port is greater than the slope of the region disposed in front of the grain discharge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기는, 상기 곡물배출구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곡물공급부는, 상기 곡물배출구에서 배출된 곡물을 상기 세척부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washing container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rain discharge port,
The grain supply unit is a grain washing device that moves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forward toward the wash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공급부는,
상기 곡물배출구와 상기 세척용기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곡물배출구에서 배출된 곡물을 수용하는 연결용기; 및
상기 연결용기에 수용된 곡물을 세척용기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ain supply unit,
A connection container forming a passage connecting the grain discharge port and the washing container and receiving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discharge port; and
A grain washing device comprising a transfer member that moves the grain contained in the connecting container toward the washing contai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입측이 상기 곡물배출구와 연결되고 출측이 상기 세척용기와 연결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In clause 7,
The conveying member is a grain washing device including a screw conveyor whose inlet side is connected to the grain discharge port and whose outlet side is connected to the washing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내부에 정수필터를 수용하는 정수부; 및
상기 정수부에서 정수된 물을 상기 세척용기에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purification unit that accommodate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therein; and
A grain washing device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water purified from the purification unit to the washing contain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저장부 및 상기 세척용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곡물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정수부의 좌우방향 길이와 상기 세척용기의 좌우방향 길이의 합보다 짧고,
상기 곡물저장부의 하측에 상기 정수부 및 상기 세척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세척용기는, 상기 정수부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9,
Further comprising a case accommodating t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grain storage unit and the washing container, the grain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The left-right length of the case is shorter than the sum of the left-right length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left-right length of the cleaning container,
The water purification unit and the washing container are disposed below the grain storage unit,
The washing container is a grain washing devic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urified water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형성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정수부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washing unit further includes an outlet forming a passage in the washing container through which grain and water contained within the washing container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le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in front of the purified wa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기는, 곡물과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용기부, 및 상기 제1용기부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용기부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제2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제2용기부에 형성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shing container includes a first container portion in which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grain and water is formed, and a low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tainer and together with the first container portion in the receiving space. It includes a second container formed inside,
The washing unit further includes an outlet forming a passage in the second container unit for discharging the grain and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부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용기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formed in a funnel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bottom,
The outlet is a grain washing devic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구는, 상기 제2용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용기부에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first drain is disposed in the second container,
The second drain is a grain washing device disposed in the first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세척용기와 결합되는 용기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커버에는, 상기 곡물공급부와 상기 세척용기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곡물투입구가 마련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leaning unit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cover that covers the open top of the cleaning container and is coupled to the cleaning container,
A grain washing device wherein the container cover is provided with a grain inlet that forms a passage connecting the grain supply unit and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세척용기와 결합되는 용기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leaning unit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cover that covers the open top of the cleaning container and is coupled to the cleaning container,
The wash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and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container cov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세척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용기커버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cleaning member,
The driving unit is disposed above the washing unit,
The washing member is a grain washing device that penetrates the container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는 세척봉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세척봉이 상기 회전봉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세척봉은, 상기 회전봉의 하방 및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17,
The cleaning member includes a rotating ro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rotated by the driving unit, and a cleaning rod connected to the rotating rod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A plurality of the cleaning rods are arrang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Each of the washing rods is a grain washing device that protrudes downward and centrifugally from the rotating ro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 및 상기 세척봉에는, 상기 회전봉 및 상기 세척봉의 내부와 상기 물공급부를 연결하는 내부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이 상기 내부수로를 통해 상기 회전봉 및 상기 세척봉의 내부를 이동하고,
상기 세척봉에는, 상기 내부수로의 물이 상기 세척봉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봉에 형성하는 출수구가 마련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18,
An internal water channel is formed in the rotating rod and the washing rod,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rotating rod and the washing rod with the water supply unit,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moves inside the rotating rod and the washing rod through the internal water channel,
A grain washing device wherein the washing rod is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that forms a passage in the washing rod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internal waterway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ro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는, 상기 세척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19,
The water outlet is a grain washing devic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ro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봉은, 상기 회전봉으로부터 상기 회전봉의 하방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세척봉, 및 상기 제1세척봉으로부터 상기 회전봉의 하방과 구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세척봉을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18,
The cleaning rod includes a first cleaning rod extending from the rotating rod in a direction between the downward and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and a second cleaning rod extending from the first cleaning rod in a direction between downward and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Grain washing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공급부는, 곡물이 상기 제1배수구와 상기 제2배수구 사이의 높이로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채워지도록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rain supply unit is a grain washing device that supplies grain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so that the grain fills the inside of the washing container to a height between the first drain and the second drai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배수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According to clause 22,
The second drain is a grain washing device disposed above the first drain.
KR1020220047160A 2022-04-15 2022-04-15 Grain washer KR2023014803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160A KR20230148033A (en) 2022-04-15 2022-04-15 Grain washer
PCT/KR2023/000204 WO2023200077A1 (en) 2022-04-15 2023-01-05 Grai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160A KR20230148033A (en) 2022-04-15 2022-04-15 Grain 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033A true KR20230148033A (en) 2023-10-24

Family

ID=8851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160A KR20230148033A (en) 2022-04-15 2022-04-15 Grain wa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03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85Y1 (en) 2002-04-12 2002-07-26 김성연 rice box . rice washer and water cleaner
KR20040025414A (en) 2002-09-19 2004-03-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Grain-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85Y1 (en) 2002-04-12 2002-07-26 김성연 rice box . rice washer and water cleaner
KR20040025414A (en) 2002-09-19 2004-03-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Grain-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8382B (en) Intelligent cooker
KR10141388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EP2375957B1 (en) Pre-rinsing of dishes
CN106419786A (en) Draining and slagging structure for water tank
CN113365538A (en) Portable dish washing machine
CN108577508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cooking cabinet
KR20230148033A (en) Grain washer
KR20230148031A (en) Grain washer
KR20230148032A (en) Grain washer
KR20230148024A (en) Method for controlling grain washer
CN206239377U (en) Draining, slagging structure for tank
KR101974195B1 (en) Oil circulating type frying apparatus
KR101869599B1 (en) Dish-washer integrated food wastes disposal equipment having dish holder
JP2573552B2 (en) Dishwashing equipment
KR20130013781A (en) System for washing drainage and sink including the same
CN208909722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cooking cabinet
EP1316284B1 (en) Appliance for washing vegetables and molluscs
KR102350017B1 (en) Pre-dishwasher
KR102492152B1 (en) Grill grilling rod washer
CN218355663U (en) Cooking utensil
CN218390776U (en) Sewage tank and cooking utensil
CN213821294U (en) Dish washing machine
CN113413109B (en) Dish washer
AU714910B2 (en) Culinary utensil washing machine
JP3130516B2 (en) Dishwasher and kitchen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