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889A -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2 - Google Patents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889A
KR20230147889A KR1020220046799A KR20220046799A KR20230147889A KR 20230147889 A KR20230147889 A KR 20230147889A KR 1020220046799 A KR1020220046799 A KR 1020220046799A KR 20220046799 A KR20220046799 A KR 20220046799A KR 20230147889 A KR20230147889 A KR 2023014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website
appears
word
sib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환
Original Assignee
임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환 filed Critical 임채환
Priority to KR102022004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889A/ko
Publication of KR2023014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영어의 통사론(syntax)과 의미론(semantics)의 기본을 URL 주소가 http://newsai.cc인 웹프로그램 또는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 등에 접목시키고 실행함으로써 영어문장이 몇 가지 단계로 변환된 후에 최종적으로 도형으로 변환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웹프로그램들의 운용자는 의사소통 수단으로 영어문장인 텍스트 대신에 도형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URL 주소가 http://newsai.cc인 웹프로그램에 탑재된 영어문장 속의 구절들이 몇 단계의 중간 변환 절차를 경유한 후에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 인 웹프로그램에 탑재된 세계지도상에서 일정한 부호들로 구성된 여러개의 조합들인 도형으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동 도형의 개발로 인하여 영어문장의 길이가 축소되는 효과가 발생되고 세계공용문장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이 영어문장인 텍스트(Text)에서 도형으로 변형되었기 때문에 동 도형은 인류의 새로운 문화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동 영어문장을 대체하고 있는 동 도형은 URL 주소가 http://newsai.cc인 웹프로그램과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 인 웹프로그램에서 영어단어를 대체하고 있는 '온라인 도형단어'와 서로 연계되어 있다.

Description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2{The method to convert English sentence into a figure and the process 2 to operate it}
유알엘(URL) 주소가 아래와 같은 웹프로그램들, IT 기술 등을 포괄하는 컴퓨터학, 컴퓨터 과학과 영어 통사론(syntax), 영어 의미론(semantisc) 등을 포괄하는 언어학을 융합(접목)시킨 융합과학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영어 의미론(semantics)과 통사론(syntax)의 기본을 IT 기술과 유알엘(URL) 주소가 아래와 같은 웹프로그램들에게 접목시키고 응용하는 기법이다.
- 유알엘(URL) 주소가 http://newsai.cc인 웹프로그램과 동 웹프로그램상의 데이터베이스
- 유알엘(URL) 주소가 http://wichijooso.com인 웹프로그램과 동 웹프로그램상의 데이터베이스
- 유알엘(URL) 주소가 http://cnnunesco3.com인 웹프로그램과 동 웹프로그램상의 데이터베이스
- 유알엘(URL) 주소가 http://cnnunesco.com인 웹프로그램과 동 웹프로그램상의 데이터베이스
- 유알엘(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과 동 웹프로그램상의 데이터베이스
- 유알엘(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주2.com인 웹프로그램과 동 웹프로그램상의 데이터베이스
저작권 등록 등 - 영어참고도서 'SLOPE'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03-000642호 - 영어참고도서 '인터넷(홈페이지) 주소'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04--006596호 - 자손의 대잇기와 직업의 세습화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10-007149호 - URL(유알엘) wichijooso.com(위치주소 닷컴) 인 홈페이지 프로그램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16-025841호 - URL(유알엘) wichijooso.com(위치주소 닷컴) 인 홈페이지 프로그램의 DB(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제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D-2016-000113호 - PC의 키보드상에 있는 알파벳을 이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검색하는 방법 등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17-013224호 - 문자를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프로그램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17-036827호 - 지도단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URL주소 http://cnnunesco.com)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8-012566호 - 지도단어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8-012504호 -지도단어의 운용 기법 설명서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8-026415호 - 웹 프로그램 상에서 지도단어의 운용 수단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8-020800호 - 온라인 도형단어 3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13471호 - URL(유알엘) 주소가 http://newsai.cc 인 웹프로그램의 실행방법과 온라인 도형단어 3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20788호 -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대한 보조 검색창 기능을 하는 온라인 도형단어 중 일부분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15396호 -보조 검색창과 온라인 도형단어의 개발 2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09434호 -온라인 도형단어를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SMS)의 문자 대체용으로 운용하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20321호 -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SMS)에서 온라인 도형단어를 문자 대체용으로 운용하는 방법 2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22291호 - U R L(유알엘) 주소가 http://cnnunesco3.com인 웹프로그램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20824호 - 온라인상에서 지도단어 또는 온라인 도형단어를 이용 포털사이트들, SNS들 사이를 서로 연계, 통합시키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 -2019-026937호 - P.C. 상의 한 개의 화면내에서 온라인 도형단어를 이용하여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 간의 연결을 설정(세팅)하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32457호 - 지도단어와 온라인 도형단어에서 적용되는 "임채환식 환산법"과 "임채환식 환산법2" 와 "임채환식 환산법3"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33297호 - 온라인 도형단어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32455호 - 단어주소 3-1과 단어주소 3-2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38949호 - 영어문장을 온라인상에서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0-006470호 - 온라인 도형단어의 개요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 C-2020-018515호 - 정육면체 단어와 온라인 도형단어, 온라인 도형단어 2, 온라인 도형단어 3, 온라인 도형단어 4의 비교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 C-2020-025506호 - P.C. 모니터상 1개의 화면 내에서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 등을 지도단어 또는 온라인 도형단어로 서로 연게, 통합시키는 기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1-046313호 - 지도단어의 개발과 실행 과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1-054623호 - 문장 1개를 '인터넷 문장'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1-056958호 - 제목: 영어문장을 특정한 웹프로그램상에서 부호들로 변환시키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0783호 - 제목: '임채환식 환산법'과 '임채환식 환산법 2'와 '임채환식 환산법 3'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1281호 - 제목: 온라인상에서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적용 절차 저작자 : 임채환 등록번호 : C-2022-001282호 - 제목: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전환시키는 방법과 각종 웹사이트에 링크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4143호 - 제목: '온라인 도형단어'를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전송서비스(SMS)'에 적용시키는 절차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4517호 - 제목: '온라인 도형단어'에서 '단어주소 3-1'과 단어주소 3-2'의 기능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5617호 - 특정한 웹프로그램상의 세계지도 내에서 영어문장을 조합된 부호들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방법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7573호 - 보조 검색창과 '지도단어'와 '온라인 도형단어'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11617호 - '지도단어'와 '온라인 도형단어'의 개발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13134호 - '온라인 도형단어 4'의 실행 과정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14710호 - '정육면체 단어', '온라인 도형단어 1', '협의 의미의 온라인 도형단어', '온라인 도형단어 3', '온라인 도형단어 4'의 비교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15242호
영어문장을 온라인상에서 도형들로 변환시킴으로써 전세계인이 동 도형들을 세계공용문장의 대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 URL주소가 http://newsai.cc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들이 필요하다.
2. 한국저작권위원회에 2010년 7월 12일에 등록된 '자손의 대잇기와 직업의 세습화'(등록번호: 제C-2010-007149호, 저작자: 임채환)의 저작물을 미리 숙지해야 한다.
가. 상기 저작물의 내용 중 '가문의 역사와 전통에 관한 나레이션'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방송국을 소유, 경영하고 있는 방송국 창업자인 A는 자녀들, 손자녀들, 증손자녀들을 두고 있으며 그들에게 주연기자, 조연기자, 액스트라 라는 직업인으로 고용 세습시키고 동 자녀를 기준으로 4촌에게는 분장사 또는 분장사 보조수 7촌에게는 분장사 또는 분장사 보조수와 연기자라는 겸업의 직업을 관행적으로 세습시키고 있다.
상기 4촌은 1인이 개별적으로 분장하는 경우와 4촌의 남매(들)끼리 서로 그룹을 지어 동시에 분업화로 분장하는 경우가 있다.
나. 상기 나레이션 중에서 "방송국 창업자인 A는 자녀들, 손자녀들, 증손자녀들을 두고 있으며"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방송국 창업자인 A는 자녀들만 둘 수도 있고 고손자녀들 이상을 둘 수 도 있다'라고 확대해석해야 한다
다. 상기 '가문의 역사와 전통에 관한 나레이션'은 하기 표1, 표2, 표3, 표4가 도출, 형성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라. 상기 나레이션의 특징으로는 방송국을 소유, 경영하고 있는 방송국 창업자인 A는 자녀들, 손자녀들, 증손자녀들 즉, 직계존비속에게 동 방송국의 소유와 경영을 상속할 수 있으나 연기자와 분장사 등의 직업에 대한 고용의 승계는 반드시 직계존비속에게만 이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A 뿐만 아니라 A 가문의 가족들은 인간의 평균 수명보다 훨씬 더 오래 산다.
라. 표1 : 하기와 같다.
하기 표1은 하기 '실시예' 중의 '영어문장 1'과 '영어문장 2', 하기 표3, 표4 그리고 표2를 서로 연결시키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구조(상황)이다.
단, 하기 표1 중에서 ③과 ⑤는 병치할 수 없고 ④와 ⑤도 병치할 수 없으며 ⑤와 ⑥도 병치할 수 없다.
하기 표1 중에서 4촌, 6촌, 8촌 내에서도 셋째와 다섯째는 병치할 수 없고 넷째와 다섯째도 병치할 수 없으며 다섯째와 여섯째도 병치할 수 없다.
하기 표1 중에서 아래 방향의 세대로 이동하면 결혼으로 인한 분가로 자녀들을 두는 현상을 의미하고 우측 방향의 촌수로 이동하면 4촌, 6촌, 8촌 등의 촌수가 발생함을 의미한다.
하기 표1의 2촌 내에서
첫째 = 제2 주연기자 = 주어
둘째 = 제1 주연기자 = 동사
셋째 = 조연기자 = 목적어
넷째 = 조연기자 = 간접목적어
다섯째 = 조연기자 = 주격보어
여섯째 = 조연기자 = 목적격 보어
양자 = 엑스트라 = 형식적으로 주어 자리를 대체(실질적으로는 부사)
하기 표1 중의 ① ② ③ ④ ⑤ ⑥ 중에서 각자의 관계는 서로 2촌인 남매들 관계 또는 형제들 관계 또는 자매들의 관계라고 간주한다.
남매 각자의 직업은 연기자라고 간주하고 4촌의 직업은 분장사 또는 분장사의 보조수 그리고 4촌의 조카인 7촌의 직업은 분장사이면서 연기자라고 간주한다.
분장사 중에서도 7촌들 사이의 태어난 순서별로 머리카락, 눈, 코, 입술, 턱, 의상, 모자, 신발, 안경, 엑서사리 등의 분장이나 치장, 정비 등의 역할 분담이 주어져 있다고 간주한다.
표1
상기 표1과 하기 표3, 표4 중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면 세대간의 이동이고 수평으로 이동하면 4촌 간의 이동이다"라고 간주한다.
상기 표1과 하기 표3, 표4 중에서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부호들의 조합이 이미 표기된 일정한 1개의 칸에서 수직방향으로 아래에 인접된 1개의 칸에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동 다른 영어단어가 조합된 구절이 동명사 구, 부정사구,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는 진술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인 경우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동명사 구, 부정사구,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는 진술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를 대체하는 경우
단, 동 다른 영어단어가 조합된 구절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상기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부호들의 조합속에 이미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탈되어 다른 칸으로 이동된다는 의미이다.
상기에서 '진주어'라는 용어는 '가주어'와 구별하기 위해 저작자가 만들어낸 신조어이고 '진목적어"도 신조어이다.
또한 '진술어'도 저작자가 만들어낸 신조어이다. '진술어'는 3가지 유형이 있는 데 'be 동사+전치사+명사' 인 경우 명사가 '진술어'이고 'be 동사 + 보어' 인 경우 보어가 '진술어'이고 'be동사 + 과거분사 + 전치사' 인 경우 과거분사가 '진술어'라고 간주하고 또한 과거분사형태의 형용사+전치사+명사인 경우도 동 과거분사형태의 형용사를 '진술어'라고 저작자는 호칭한다.
상기 표1과 하기 표3, 표4 중에서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부호들의 조합이 이미 표기된 일정한 1개의 칸에서 수평방향으로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동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가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인 경우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하는 경우
상기 표1과 하기 표3, 표4 중에서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부호들의 조합이 이미 표기된 일정한 1개의 칸에서 대각선방향인 우하측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1개의 칸에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동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이 형용사절(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 포함), 부사절,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현재분사구, 과거분사구, 부사구(전명구 제외)인 경우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형용사절(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 포함), 부사절을 대체하는 경우 그리고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현재분사구, 과거분사구, 부사구(전명구 제외)를 대체하는 경우
마. 표3은 하기와 같다.
표3
"표3의 ①란에서 "영어문장의 일부분(=주절) 중 성분들은 서로 남매간 관계(2촌 관계)이고 수식어와 일정한 성분 1개와의 관계는 서로 4촌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상기 성분들은 'are'와 'people'를 가르키고 수식어는 'some' 등을 가르킨다.
"표3의 ②란의 "절 중에서 성분들은 서로 남매간 관계(2촌 관계)이고 수식어와 일정한 성분 1개와의 관계는 서로 4촌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상기 성분들은 'who'와 'respond'를 가르키고 수식어는 'routinely'를 가르킨다.
"표3의 ①란의 문장의 일부분(=주절) 중에서 문장의 성분 1개와 표3의 ②란의 절 중에서 성분 1개는 서로 5촌 관계(4촌의 자녀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②란의 절 중에서 수식어와 동사는 서로 4촌 관계이다"라고 간주하고 ①란 중에서 문장의 성분 1개와 ②란 중에서 수식어의 촌수관계는 서로 9촌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③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와 명사는 서로 남매간 관계(2촌 관계)이나 모두 장애인이다"라고 간주하고 ①란 중에서 문장의 성분 1개와 ③란 중에서 전치사 또는 명사 중 1개와의 촌수관계는 서로 9촌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③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와 명사는 서로 남매간 관계인 2촌 관계이나 모두 장애인이다"라고 간주하고 "'③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 또는 명사 중 1개와 '④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 또는 명사 중 1개와의 관계는 서로 4촌의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④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와 명사는 서로 남매간 관계인 2촌 관계이나 모두 장애인이다"라고 간주하고 '④란' 중에서 전치사 또는 명사 중 1개와 '⑤란의 절' 중에서 성분 1개와의 관계는 서로 7촌의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⑤란의 절' 중에서 성분 1개와 '⑥란의 구' 중에서 성분 1개와의 촌수관계는 서로 삼촌과 조카와의 관계(3촌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②란 중에서 'who'와 'respond'는 연기자 그룹의 멤버이면서 분장사 그룹의 멤버이기도 하다.
표3의 ③란 중에서 'pages'는 분장사 그룹의 멤버이면서 분장사 조수 그룹의 도움을 받고있다.
표3의 ④란 중에서 'venom and nihilism'는 분장사 그룹의 멤버이면서 분장사 조수 그룹의 도움을 받고있다.
표3의 ⑤란 중에서 'that the other thoughts seem'는 연기자 그룹이면서 분장사 조수 그룹이다.
바. 표4는 하기와 같고 하기 '5항'의 '더 구체적인 수단'에서 설명된다.
표4
사. 상기 표4 중 각 란에 표기된 부호들은 하기 표5와 같이 각종 포털사이트의 로고들과 각종 SNS웹사이트의 로고들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고들은 아래한글 버전에서 문자로 취급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상에 업로드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제한이 따른다.
표5
상기 표5에서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흑백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줌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와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을 대체한다.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줌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아. "하기 '실시예' 중에서 Type A, Type B, Type C, Type D는 서로 형식은 다르지만 의미는 동일하다"라고 간주한다.
상기 4가지 Type을 운용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이 2가지 방법이 있다.
1. Type A → Type B → Type C → Type D
2. Type D → Type C → Type B → Type A
자. 하기 '실시예' 중 '영어문장 1' 중에서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은 하기 표2-1과 같은 방법으로 묘사된다.
차. 표2 : 하기와 같다.
표2는 아래의 표2-1, 표2-2, 표2-3, 표2-4, 표2-5, 표2-6이 종합된 것이다.
표2-1은 표3의 ①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2는 표3의 ②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3은 표3의 ③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4는 표3의 ④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5는 표3의 ⑤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6은 표3의 ⑥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다.
그러므로 표2는 표3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다.
표2 = '표2-1' + '표2-2' + '표2-3' + '표2-4' + '표2-5' + '표2-6'
표2-1
표2-2
표2-2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관계이다.
표2-2 중에서 수식어와 동사와의 촌수 관계는 4촌이다.
표2-2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다.
표2-3
표2-3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관계이다.
표2-3 중에서 수식어와 전치사의 목적어와의 촌수 관계는 4촌이다.
표2-3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다.
표2-4
표2-4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 관계이다.
표2-4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다.
표2-5
표2-5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 관계이다.
표2-5 중에서 수식어와 주어와의 촌수 관계는 4촌이다.
표2-5에 나타나지 않는 다섯째가 결혼 분가하여 표2-6에 나타난 남매(둘째와 다섯째)를 두었다고 간주한다.
상기 밑줄친 '나타나지 않는'의 의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이다"라는 의미이다.
표2-5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표2-6
표2-6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 관계이다.
표2-5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의 1명과 표2-6의 남매(둘째와 다섯째) 중의 1명은 서로 3촌 관계이다.
표2-6 중에서 수식어와 '보어와 유사'와의 촌수 관계도 4촌이다.
표2-6에 나타나지 않는 첫째와 셋째, 넷째, 여섯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 이다"라고 간주한다.
표2-6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3. 하기 '실시예'의 '영어문장 1'과 같은 영어문장이 표4로 변환된 도형을 URL주소가 http://newsai.cc과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들에 업로드시키는 방법과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에 연계시키는 방법 그리고 운용 절차는 하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과 '부호의 설명' 등에서 소개한다.
4. 사용자의 운용 순서
가. 1차적인 운용 순서
1차적인 운용 순서는 각 도면들 간의 운용 순서를 지칭한 것이다.
하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서 제시된 절차대로 URL 주소가 상기 3항과 같은 웹프로그램들을 운용하면 도8과 같이 완성된다.
(1) URL 주소가 http://newsai.cc/index.html?cols=397&rows=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1에서 사용자가 α를 클릭하면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팝업창으로 열린다.
(2) 도2의 A 중 표4의 1란 중에서 빨간색을 띤 ■을 클릭하면 도3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3의 ⓐ를 클릭하면 도4의 A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4의 A 중 ⓑ를 클릭하면 도5-1의 A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5-1의 A 중 ⓒ를 클릭하면 도5-2의 A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5-2의 A 중 ⓓ를 클릭하면 도6의 A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6의 A 중 ⓔ를 클릭하면 도7의 A의 화면으로 열린다.
(3) 상기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③란 중 ◐을 클릭하면 도17의 b인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79+176)이 나타난다.
상기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17 중에서 우측상단에 위치한 팝업창으로 변형하기 아이콘인 a을 클릭하면 동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화면이 팝업창으로 축소 변형되기 때문에 숨어있던 상기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인 도2의 A 또는 도16의 C가 다시 노출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③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89+281+392+337)이 나타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③란 중 빨간색을 띤 ◑를 클릭하면 도5-1의 A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39,row=282)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상기 웹프로그램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도 상기 빨간색을 띤 ◑와 동일한 부호가 나타남으로 동 부호의 위치는 좌표값을 의미함에 따라 동 좌표값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주소1'인 (339+402.1+434 282)을 추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빨간색을 띤 상기 ◑은 상기 세계지도상에서 추적된(색출된, 검색된) '단어주소1'인 (339+402.1+434 282)에 의해 이미 선택되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고 고정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④란 중 ◐를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10)이 나타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④란 중 ◑를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33)이 나타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④란 중 를 클릭하면 '네이버TV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20)이 나타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④란 중 빨간색을 띤 ◑를 클릭하면 도5-2의 A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7,row=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상기 웹프로그램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도 상기 빨간색을 띤 ◑와 동일한 부호가 나타남으로 동 부호의 위치는 좌표값을 의미함에 따라 동 좌표값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주소1'인 (397 481 343)을 추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빨간색을 띤 상기 ◑은 상기 세계지도상에서 추적된(색출된, 검색된) '단어주소1'인 (397 481 343)에 의해 이미 선택되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고 고정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4) 상기 URL 주소가 http://newsai.cc/index.html?cols=397&rows=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1에서 사용자가 β를 클릭하면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7,row=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8 중에서 네 번째 순서로 내려받기(다운로드)된 팝업창인 C에 업로드된 이미지(세계지도와 부호)가 열린다.
(5) 사용자의 상기 운용순서의 역순에 대한 로드맵
도7 도6 도5 도4 도3 도2의 A(표4 표3 영어문장 2 영어문장 1) 도1 도3의 ☜ 인 C를 클릭하면 상기 역순에 대한 로드맵 중에서 '도3 도2의 A'로 진행됨을 가르킨다.
(6) 도2의 A 중 표4에 업로드된 각종 부호와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과 포털사이트, SNS 웹사이트의 검색창과 검색어와의 관계
사용자가 주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동사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직접목적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간접목적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주격보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목적격보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트위터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전치사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전치사의 목적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수식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등위 접속사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접속사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관계대명사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나. 2차적인 운용 순서
2차적인 운용 순서는 도8 중에서 다섯번째 순서로 내려받기(다운로드)된 팝업창인 B 중 세계지도 내부에서만의 운용 순서를 지칭한 것이다.
(1) 사용자는 하기 '실시예'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인 (1 176+331+313+436)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76+331+313+436를 도8의 B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간주하고 마우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의 픽셀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13처럼 이 나타난다.
(2) 사용자는 하기 '실시예'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인 (1 385)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385를 도8에 B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간주하고 마우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의 픽셀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13처럼 ▶이 나타난다.
(3) 사용자는 하기 '실시예'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인 (347 282)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347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282를 도8의 B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간주하고 마우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의 픽셀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13처럼 ■이 나타난다.
(4) 사용자는 하기 '실시예'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인 (1 5)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5를 도8의 B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간주하고 마우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의 픽셀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13처럼 ★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상기 세계지도상에서 각종 부호들을 불러내기 위하여 상기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픽셀을 실행시키면(클릭하면) 도8 중에서 다섯 번째 순서로 내려받기(다운로드)된 팝업창인 B에 업로드된 이미지(세계지도와 부호 등)가 도13의 이미지(세계지도와 부호들 등)으로 변경된다.
5. 더 구체적인 수단
'영어문장 1'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에는 '영어문장 1'이 나타나 있다.
'영어문장 2'
URL 주소가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영어문장 2'가 업로드되어 있다.
상기 '영어문장 2'에 대한 예시는 아래와 같다.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 that the other thoughts seem
상기 '영어문장 2'에서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사용자가 검정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are가 동사이기 때문에 주절이다"라고 나타난다(1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respond'와 'are'가 동사임으로 서로 연결시킬 접속사가 필요하고 수식받는 people이 주절 중에서 문장의 성분인 주어의 역할을 하면서 선행사이고 'who = 접속사 + 대명사(they)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이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on these pages'가 전명구이기 때문에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가 될 수 있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세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with venom and nihilism'가 전명구이기 때문에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가 될 수 있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빨간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seem'와 'respond'가 동사임으로 서로 연결시킬 접속사가 필요하고 수식받는 'nihilism'이 대명사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선행사가 아님으로 형용사절이다"라고 나타난다(3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seem'이 자동사이기 때문에 동 구절은 문장의 성분인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한다"라고 나타난다(4세대를 상징).
상기 '영어문장 2'가 보유한 구절의 갯수 보다 더 많은 갯수를 보유한 다른 '영어문장 2' 중에서 검정색 바탕에 노란색을 띤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트위터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5세대를 상징).
초록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6세대를 상징).
파란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7세대를 상징).
남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8세대를 상징).
보라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9세대를 상징).
상기의 설명을 종합해보면 결국 3세대 이하를 상징하는 구절의 색상은 무지개 색상의 순서로 구별된다.
표3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는 표3이 업로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표3 중 ①란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남매들 중 각각 1명 마다 연기자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②란의 남매들은 분장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이고
동 ②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①란의 남매들 중 1명과 아래 세대의 7촌 관계이기 때문에 ①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을 경유한 후 동 1개의 칸을 기준으로 아래방향에 인접된 ②란에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③란의 남매들 중1명은 ②란의 남매들 중 1명과 4촌 관계이고 ③란의 남매들 중에는 둘째(=동사)가 없기 때문에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임으로 동 ③란의 남매들은 ②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만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에서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상기 "③란의 남매들은 단지 분장사(장신구 정비사) 그룹에 불과하며 연기자 그룹은 될 수 없다"라는 의미이고 자녀를 두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세대의 창출을 못함으로 아래쪽의 란으로 이동을 못한다.
사용자가 ④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④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③란의 남매들 중 1명과 4촌 관계이고 ④란의 남매들 중에는 둘째(=동사)가 없기 때문에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임으로 동 ④란의 남매들은 ③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만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에서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상기 "④란의 남매들은 단지 분장사(장신구 정비사) 그룹에 불과하며 연기자 그룹은 될 수 없다"라는 의미이고 자녀를 두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세대의 창출을 못함으로 아래쪽의 란으로 이동을 못한다.
사용자가 ⑤란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⑤란의 남매들은 분장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이고 동 ⑤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④란의 남매들 중 1명과 아래 세대의 7촌 관계이기 때문에 ④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을 경유한 후 동 1개의 칸을 기준으로 아래방향에 인접된 ⑤란에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⑥란의 남매 중 1명은 ⑤란의 남매 중 1명과 3촌 관계임으로 ⑤란의 남매들 중 나타나지 않는 다섯째인 주격보어(문장의 성분)가 결혼, 분가하여 ⑥란에 있는 자녀들을 두었기 때문에 동 자녀들은 연기자 그룹을 형성함으로 동 ⑥란에 있는 자녀들인 남매는 ⑤란의 기준에서 수직의 아래 방향으로 출발하여 인접된 1개의 란에서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 밑줄친 '나타나지 않는'의 의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이다"라는 의미이다.
상기 표3 중 ①란 = 1세대 =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
상기 표3 중 ②,③,④란 = 2세대 =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
상기 표3 중 ⑤란 = 3세대 =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
상기 표3 중 ⑥란 = 4세대 =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
표4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표4가 업로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표4 중 ①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①란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34+40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 중 '+■'을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5+331+313+436+176.20+250.5+41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 중 '◐'을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79+176)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 중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39+402.1+434 2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을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1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3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2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97 481 34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331+313+436)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85)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47 2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472 276 202)이 나타난다.
⑤란 중 빨간색을 띤 '♡'은 ⑥란을 대체하고 있다.
6. 도2의 A 중 표4에서는 아래와 같은 두 가지의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다.
첫 번째는 하기 '도15의 가항'과 같은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고 두 번째는 도3부터 도7까지와 같은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다.
7.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제시된 유알엘(URL) 주소가 http://cnnunesco3.com인 웹프로그램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유알엘(URL) 주소가 http://cnnunesco.com인 웹프로그램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주2.com인 웹프로그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영어문장이 표4와 도8과 같이 도형들로 전환됨으로써 전세계인이 동 도형들을 세계공용문장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 도형들은 전세계의 교육계에서 교양과목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각 도면별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1
URL 주소가 http://newsai.cc/index.html?cols=397&rows=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을 가르킨다.
동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1에서 ☞인 A를 클릭하면 도2의 A와 같은 데이터와 동 데이터와 관련된 3개의 데이터들이 업로드된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상기 4개의 데이터들은 하기 '실시예'에서 제시된 '영어문장 1', '영어문장 2', 표3, 표4를 합친 것과 동일하다.
도2
도2 중 표4의 좌측에 표시된 세로형 화살표인 Y는 동 표4의 ①란을 기준으로 수직의 아래방향으로 이동에 따라 세대의 변화와 촌수의 변화를 의미하며 상단에 표시된 가로형 화살표인 X는 동 표4의 ①란을 기준으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에 따라 촌수의 변화를 의미한다.
도2의 A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4개의 데이터들 중 1개의 데이터를 가르킨다.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상에서 우측에 소재한 스크롤 바를 상하로 이동시켜야 하기 '실시예'에서 제시된 '영어문장 1', '영어문장 2', 표3, 표4와 동일한 데이터들의 전체가 나타난다.
즉, 하기 '실시예 중'에서 '영어문장 1'과 '영어문장 2' 그리고 표3과 표4는 모두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데이터들과 동일하다.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데이터들 중 표4 중에서 ☞인 b를 클릭하면 도3과 같은 이미지가 업로드된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408)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도3의 A
도3의 A는 도2의 A 중 a인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에 탑재(업로드)된 표4 중 b에 연계(링크)되어 있고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408)인 웹프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이다. 다른 방법으로의 표현은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이다.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3에서 빨간색을 띤 ■인 ⓐ를 클릭하면 도4의 A와 같은 이미지가 업로드된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5,row=429)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도3은 다양한 부호들이 나타난 도10과 동일해야 하나 웹프로그램 개발의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상기 ■인 1개의 부호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웹프로그램상에서 하기 '실시예'의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의 구성요소들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의 조합은 좌표값에 해당되기 때문에 동 좌표값이 위치하고 있는 특정한 픽셀을 클릭하면 상기 도10과 같이 다양한 부호들이 탑재된 팝업창들을 불러올 수 있다.
도4의 A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5,row=429)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이다. 다른 방법으로의 표현은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이다.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4의 A에서 빨간색을 띤의 ★인 ⓑ를 클릭하면 도5-1의 A와 같은 이미지가 업로드된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39,row=282)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도4의 A는 다양한 부호들이 나타난 도11과 동일해야 하나 웹프로그램 개발의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상기 ★인 1개의 부호만 나타나고 있다.
도5-1의 A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39,row=282)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이다. 다른 방법으로의 표현은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이다.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5-1의 A에서 빨간색을 띤 ◑인 ⓒ를 클릭하면 도5-2의 A와 같은 이미지가 업로드된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7,row=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도5-1의 A는 다양한 부호들이 나타난 도12-1과 동일해야 하나 웹프로그램 개발의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상기 ◑인 1개의 부호만 나타나고 있다.
도5-2의 A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7,row=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이다. 다른 방법으로의 표현은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이다.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5-2의 A에서 빨간색을 띤 ◑인 ⓓ를 클릭하면 도6의 A와 같은 이미지가 업로드된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도5-2의 A는 다양한 부호들이 나타난 도12-2와 동일해야 하나 웹프로그램 개발의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상기 ◑인 1개의 부호만 나타나고 있다.
도6의 A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이다. 다른 방법으로의 표현은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이다.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6의 A에서 빨간색을 띤 ♡인 ⓔ를 클릭하면 도7의 A와 같은 이미지가 업로드된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472,row=276)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도6의 A는 다양한 부호들이 나타난 도13과 동일해야 하나 웹프로그램 개발의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과♡인 2개의 부호만 나타나고 있다.
도7의 A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472,row=276)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이다. 다른 방법으로의 표현은 상기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이다.
도7의 A는 다양한 부호들이 나타난 도14와 동일해야 하나 웹프로그램 개발의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인 1개의 부호만 나타나고 있다.
도8
도3과 도4의 A, 도5-1의 A, 도5-2의 A, 도6의 A, 도7의 A의 도면(이미지)이 종합되고 중첩되어 나타난 이미지이다.
도3을 제외한 도4의 A, 도5-1의 A, 도5-2의 A, 도6의 A, 도7의 A에 나타난 이미지들은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의 PC 화면상에 나타난 팝업창에 연계(링크)된 것들이며 도8은 PC의 화면상에서 나타난 동 도3, 도4의 A, 도5-1의 A, 도5-2의 A, 도6의 A, 도7의 A의 6개 도면들이 종합되고 중첩된 배치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8 중 6개의 세계지도들의 배치도는 도2의 A 중 표4의 배치도와 동일한 모형을 형성하고 있다.
도9
도9는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에 탑재된 표4 중에 배치된 특정한 부호와 포털사이트 또는 SNS 웹사이트의 검색창에서 검색어로 나타난 '단어주소1'과의 서로 1 : 1 매치(짝짓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특정한 부호와 포털사이트 또는 SNS 웹사이트의 검색창과의 1: 1 매치(짝짓기)는 하기 '실시예' 중 'Type D'에서 제시된 규칙에 따르기로 한다.
도10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①항에 표기된 부호들을 클릭하면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각종 SNS 웹사이트들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이 나타나고 동 '단어주소1'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도10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좌표값으로 활용하여 동 특정한 좌표값은 '임채환식 환산법'에 의해 '단어주소1'이 '단어주소2'로 환산됨에 따라 결국 특정한 위도와 특정한 경도을 대체함으로써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①항에 표기된 부호들 중 각각 1개씩은 도10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위도들로 형성된 위선과 특정한 경도들로 형성된 경선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11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②란에 표기된 부호들을 클릭하면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각종 SNS 웹사이트들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이 나타나고 동 '단어주소1'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도11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좌표값으로 활용하여 동 특정한 좌표값은 '임채환식 환산법'에 의해 '단어주소1'이 '단어주소2'로 환산됨에 따라 결국 특정한 위도와 특정한 경도를 대체함으로써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②항에 표기된 부호들 중 각각 1개씩은 도11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위도들로 형성된 위선과 특정한 경도들로 형성된 경선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12-1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③란에 표기된 부호들을 클릭하면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각종 SNS 웹사이트들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이 나타나고 동 단어주소1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도12-1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좌표값으로 활용하여 동 특정한 좌표값은 '임채환식 환산법'에 의해 '단어주소1'이 '단어주소2'로 환산됨에 따라 결국 특정한 위도와 특정한 경도를 대체함으로써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③란에 표기된 부호들 중 각각 1개씩은 도12-1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위도들로 형성된 위선과 특정한 경도들로 형성된 경선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12-2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④란에 표기된 부호들을 클릭하면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각종 SNS 웹사이트들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이 나타나고 동 단어주소1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도12-2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좌표값으로 활용하여 동 특정한 좌표값은 '임채환식 환산법'에 의해 '단어주소1'이 '단어주소2'로 환산됨에 따라 결국 특정한 위도와 특정한 경도로 대체함으로써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④란에 표기된 부호들 중 각각 1개씩은 도12-2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위도들로 형성된 위선과 특정한 경도들로 형성된 경선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13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⑤란에 표기된 부호들을 클릭하면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각종 SNS 웹사이트들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이 나타나고 동 단어주소1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도13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좌표값으로 활용하여 동 특정한 좌표값은 '임채환식 환산법'에 의해 '단어주소1'이 '단어주소2'로 환산됨에 따라 결국 특정한 위도와 특정한 경도를 대체함으로써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⑤란에 표기된 부호들 중 각각 1개씩은 도13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위도들로 형성된 위선과 특정한 경도들로 형성된 경선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14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⑥란에 표기된 부호들을 클릭하면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각종 SNS 웹사이트들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이 나타나고 동 '단어주소1'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도10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좌표값으로 활용하여 동 특정한 좌표값은 '임채환식 환산법'에 의해 '단어주소1'이 '단어주소2'로 환산됨에 따라 결국 특정한 위도와 특정한 경도을 대체함으로써 하기 '실시예' 중 표4의 ⑥란에 표기된 부호들 중 각각 1개씩은 도14의 세계지도상에서 특정한 위도들로 형성된 위선과 특정한 경도들로 형성된 경선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15
도15의 A = 도14, B = 도13, C = 도12-2, D = 도12-1, E = 도11, F = 도10 이다.
그러므로 도15는 도10부터 도14까지가 종합된 것이다.
가. 실행 절차는 아래와 같다.
표4의 ①란 중 사용자가 빨간색을 띤 ■을 클릭하면 열려진 도3 중 팝업창에 업로드된 빨간색을 띤 ■이 나타난다.
동 도3 중 빨간색을 띤 ■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열려진 도4의 A 중 팝업창에 업로드된 빨간색을 띤 ★이 나타난다.
동 도4의 A 중 빨간색을 띤 ★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열려진 도5-1의 A 중 팝업창에 업로드된 빨간색을 띤 ◑이 나타난다.
동 도5-1의 A 중 빨간색을 띤 ◑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열려진 도5-2의 A 중 팝업창에 업로드된 빨간색을 띤 ◑이 나타난다.
동 도5-2의 A 중 빨간색을 띤 ◑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열려진 도6의 A 중 팝업창에 업로드된 빨간색을 띤 ♡이 나타난다.
동 도6의 A 중 빨간색을 띤 ♡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열려진 도7의 A 중 팝업창에 업로드된 빨간색을 띤 이 나타난다.
상기 부호들의 색상은 모두 빨간색이다.
단, 상기 표4는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에 탑재(업로드)되어 있고 도3은 동 표4의 ①란 중 빨간색을 띤 ■에 링크(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도4, 도5-1, 도5-2, 도6, 도7은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상의 팝업창에 탑재(업로드)되어 있다.
나. 도면들과 표4와의 연관 관계는 아래와 같다.
도10 중의 팝업창에 업로드된 ★은 표4의 ①란 중 ★에 해당된다.
도11 중의 팝업창에 업로드된 +■은 표4의 ②란 중 +■에 해당된다.
도12-1 중의 팝업창에 업로드된 ▶은 표4의 ③란 중 ▶에 해당된다.
도12-2 중의 팝업창에 업로드된 ◐은 표4의 ④란 중 ◐에 해당된다.
도13 중의 팝업창에 업로드된 ■은 표4의 ⑤란 중 ■에 해당된다.
도14 중의 팝업창에 업로드된 은 표4의 ⑥란 중 에 해당된다.
단, 상기 표4의 ①란 중 빨간색을 띤 ■은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에 탑재(업로드)되어 있고 상기 '나항'의 도10부터 도14까지 중에서 제시된 부호들은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상의 팝업창에 탑재(업로드)되어 있으나 초기화면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동 초기 화면에서는 상기 '가항'에서 제시된 부호들만 나타난다.
다. 도2의 A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시스템이 도출된다.
'영어문장 2' 중에서 검정색을 띤 구절 = 표3의 ① = 표4의 ① = 도10
'영어문장 2' 중에서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 = 표3의 ② = 표4의 ② = 도11
'영어문장 2' 중에서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 = 표3의 ③ = 표4의 ③ = 도12-1
'영어문장 2' 중에서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세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 = 표3의 ④ = 표4의 ④ = 도12-2
'영어문장 2' 중에서 빨간색을 띤 구절 = 표3의 ⑤ = 표4의 ⑤ = 도13
'영어문장 2' 중에서 주황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 = 표3의 ⑥ = 표4의 ⑥ = 도14
그리고 도15 중 6개의 세계지도들의 배치도는 도2의 A 중 표4의 배치도와 동일한 모형을 형성하고 있다.
2. 하기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4의 A에서 운용(실행) 순서에 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는 우선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②란에 존재하는 빨간색을 띤 ★를 클릭하면 도4의 A와 같은 이미지가 열리고 동 이미지에도 동일한 빨간색을 띤 ★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②란에 존재하는 +■를 클릭하면 도16의 A인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린다.
상기 검색창인 A에 나타난 '단어주소1'인 (1 175+331+313+436+176.20+250.5+413)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75+331+313+436+176.20+250.5+413이
도4의 A 중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도2의 A 중 +■와 동일한 도16의 +■이 도16의 A에 나타난 '단어주소1'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75+331+313+436+176.20+250.5+413에 의해 도4의 A 보다 부호의 갯수가 늘어난 도11의 A의 위치로 이동된다.
즉, 상기 도16의 +■은 도11의 A의 위치와 동일한 도16의 B의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밑줄친 문장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4의 A 중에서 상기 좌표값을 보유하고 있는 위치 또는 상기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커서를 좌우 상하로 이동시키면 도4의 B가 변경되기 때문에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동 B가 나타남과 동시에 커서의 이동을 멈추면 동 커서의 위치가 도2의 A 중 +■이 이동되어야 할 위치가 된다. 정지된 동 커서의 위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인 픽셀들 중 1개이다. 사용자가 동 1개의 픽셀을 클릭함으로써 열리는 팝업창에 업로드된 도11의 A인 +■이 도4의 A 중에도 동 도11의 A가 업로드된 팝업창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팝업창에도 업로드되어 나타나야 하나 웹프로그램 개발 기술의 한계(제약성) 때문에 하기 '실시예'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 중 첫 번재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와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도2의 A 중 +■와 동일한 부호를 도4의 A 중에서 사용자가 찾아내어 도11에서 처럼 여러개의 부호들이 제시될 수 있다.
3. 도8과 하기 '실시예' 중 표4를 비교해보면 세계지도들의 배치 모형과 부호들의 조합들의 배치 모형이 서로 동일하다. 왜냐하면 하기 '실시예' 중 표4에서 부호들이 조합된 일정한 1개의 칸은 도8의 구성 요소들인 도3, 도4, 도5-1, 5-2, 도6, 도7 중에서 일정한 1개와 동일하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4. 도15와 하기 '실시예' 중 표4를 비교해보면 세계지도들의 배치 모형과 부호들의 조합들의 배치 모형이 서로 동일하다. 왜냐하면 하기 '실시예' 중 표4에서 부호들이 조합된 일정한 1개의 칸은 도15의 구성 요소들인 도10, 도11, 도12-1, 도12-2, 도13, 도14 중에서 일정한 1개와 동일하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영어문장 1'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에는 '영어문장 1'이 나타나 있다.
'영어문장 2'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에는 '영어문장 2'가 나타나 있다.
동 '영어문장 2'에 대한 예시는 아래와 같다.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 that the other thoughts seem
상기'영어문장 2'에서 ""와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사용자가 검정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are가 동사이기 때문에 주절이다"라고 나타난다(1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respond'와 'are'가 동사임으로 서로 연결시킬 접속사가 필요하고 수식받는 people이 주절 중에서 문장의 성분인 주어의 역할을 하면서 선행사이고 'who = 접속사 + 대명사(they)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이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on these pages'가 전명구이기 때문에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가 될 수 있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세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with venom and nihilism'가 전명구이기 때문에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가 될 수 있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빨간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seem'와 'respond'가 동사임으로 서로 연결시킬 접속사가 필요하고 수식받는 'nihilism'이 대명사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선행사가 아님으로 형용사절이다"라고 나타난다(3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seem'이 자동사이기 때문에 동 구절은 문장의 성분인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한다"라고 나타난다(4세대를 상징).
상기 '영어문장 2'가 보유한 구절의 갯수 보다 더 많은 갯수를 보유한 다른 '영어문장 2' 중에서 검정색 바탕에 노란색을 띤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트위터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5세대를 상징).
초록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6세대를 상징).
파란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7세대를 상징).
남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8세대를 상징).
보라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9세대를 상징).
상기의 설명을 종합해보면 결국 3세대 이하를 상징하는 구절의 색상은 무지개 색상의 순서로 구별된다.
표3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는 표3이 업로드되어 있다.
상기 표3 중 사용자가 ①란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남매(들) 중 각각 1명 마다 연기자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②란의 남매들은 분장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이고 동 ②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①란의 남매들 중 1명과 아래 세대의 7촌 관계이기 때문에 ①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을 경유한 후 동 1개의 란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인접된 ②란에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③란의 남매들 중1명은 ②란의 남매들 중 1명과 4촌 관계이고 ③란의 남매들 중에는 둘째(=동사)가 없기 때문에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임으로 동 ③란의 남매들은 ②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만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에서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상기 "③란의 남매들은 단지 분장사(장신구 정비사) 그룹에 불과하며 연기자 그룹은 될 수 없다"라는 의미이다.
사용자가 ④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④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③란의 남매들 중 1명과 4촌 관계이고 ④란의 남매들 중에는 둘째(=동사)가 없기 때문에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임으로 동 ④란의 남매들은 ③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에만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에서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상기 "④란의 남매들은 단지 분장사(장신구 정비사) 그룹에 불과하며 연기자 그룹은 될 수 없다"라는 의미이다.
사용자가 ⑤란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⑤란의 남매들은 분장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이고 동 ⑤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④란의 남매들 중 1명과 아래 세대의 7촌 관계이기 때문에 ④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을 경유한 후 동 1개의 란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에 인접된 ⑤란에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⑥란의 남매 중 1명은 ⑤란의 남매 중 1명과 3촌 관계임으로 ⑤란의 남매들 중 나타나지 않는 다섯째인 주격보어(문장의 성분)가 결혼, 분가하여 ⑥란에 있는 자녀들을 두었기 때문에 동 자녀들은 연기자 그룹을 형성함으로 동 ⑥란에 있는 자녀들인 남매는 ⑤란의 기준에서 수직의 아래쪽 방향으로 출발하여 아래쪽에 인접된 1개의 란에서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 밑줄친 '나타나지 않는'의 의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이다"라는 의미이다.
표4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 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표4가 업로드되어 있다.
상기 표4 중에서 사용자가 ①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①란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34+40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 중 '+■'을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5+331+313+436+176.20+250.5+41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487 5)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 중 '◐'을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79+176)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89+281+392+337)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을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1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3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2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97 481 34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331+313+436)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85)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47 2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79+450+44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472 276 202)이 나타난다.
⑤란 중 빨간색을 띤 '♡'은 ⑥란을 대체하고 있다.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
도2의 A 중 표4에서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의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다.
첫 번째는 하기 '도15의 가항'과 같은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고 두 번째는 도3부터 도7까지와 같은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다.
[실시예]
Type A = 영어문장 1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 who routinely respond on these pages with venom and nihilism that the other thoughts seem to be almost excluded.
Type B = 영어문장 2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 that the other thoughts seem
상기 '영어문장 2'는 '영어문장 1'을 몇 개의 구와 절들로 구분시킨 형태이다.
상기 '영어문장 2' 에서 ""와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Type c = 표 3
표3의 ①란에서 남매들 모두는 연기자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한다.
①란에서 남매들 중 1명을 기준으로 ②란의 남매들 중 1명은 서로 7촌 관계이다.
②란에서 남매들 중 1명과 ③란의 남매들 중 1명의 촌수관계는 서로 4촌이고 ③란의 남매들 중 1명과 ④란의 남매들 중 1명의 촌수관계도 서로 4촌이다. 그러므로 ②란의 남매들 중 1명과 ④란의 남매들 중 1명의 촌수관계는 서로 8촌이다.
①란에서 남매들을 기준으로 ②란의 7촌 남매들이 ①란의 남매들을 동시에 분장한다고 간주한다.
①란에서 남매들을 기준으로 ②란의 7촌 남매들의 직업은 분장사와 연기자 두 가지 직업을 겸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④란에서 남매들 중 1명을 기준으로 ⑤란의 남매들 중 1명은 서로 7촌 관계이다.
③란과 ④란에서 남매들은 분장사와 장신구 정비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
⑤란의 남매들은 분장사의 보조수이면서 연기자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
⑤란의 남매들 중에서 나타나지 않는 다섯째가 결혼, 분가하여 ⑥란에서 처럼 자녀들을 두었다고 간주한다.
그러므로 ⑤란에서 남매들 중 1명을 기준으로 ⑥란의 남매들 중 1명은 서로 3촌 관계이다.
⑥란의 자녀들(남매들)의 직업은 모두 연기자이다.
상기 밑줄친 '나타나지 않는'의 의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이다"라는 의미이다.
상기 표3에서 ""와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상기 표3에서 각각 1개의 란(칸)은 구 또는 절을 대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③란에 표기된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는 분장사 겸 장신구 정비사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②란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되었고
표3의 ④란에 표기된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도 분장사 겸 장신구 정비사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③란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되었고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는 동 전명구에 포함된 전치사 또는 전치사의 목적어가 비록 장애인이지만 연기자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다른 구절이 이미 표기되어 있는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된다.
표3의 ⑥란에 표기된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은 연기자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⑤란(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된다.
표3의 ②란과 ⑤란에 표기된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은 분장사 겸 장신구 정비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①란과 ④란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칸)을 경유한 후에 동 경유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된다.
상기 표3 중에서 구 또는 절이 표기된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1개의 란(칸)에 표기되는 다른 구 또는 절은 아래와 같은 구 또는 절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 동명사(구)
-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분사구
상기에서 '진주어'라는 용어는 '가주어'와 구별하기 위해 저작자가 만들어낸 신조어이고 '진목적어'도 신조어이다.
상기 표3 중에서 구가 표기된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칸)에 표기되는 다른 구는 아래와 같은 구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 구가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
상기 표3 중에서 구 또는 절이 표기된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칸)을 경유한 후에 동 경유한 1개의 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1개의 란(칸)에 표기되는 다른 구 또는 절은 아래와 같은 구 또는 절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즉, 상기 표3 중에서 구 또는 절이 표기된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우측 아래방향인 대각선 방향에 있어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1개의 칸에 표기되는 다른 구절이 아래와 같은 구절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 형용사절(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포함,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 포함)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분사구
- 부사 역할을 대체하는 부사절
- 부사 역할을 대체하는 부사구(과거분사형태의 형용사 + 전명구)
Type D = 표 4
상기 표4는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에 탑재(업로드)되어 있다.
상기 표4의 ①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②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③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④란 중에서 최 우측에 배치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⑤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⑥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아래 영어단어들에 대한 '단어주소1'의 배열 순서와 상기 표4 중의 ①란부터 ⑥란까지 나열된 부호들의 배열 순서는 서로 1: 1로 매치(짝짓기) 되어 있다. 그러므로 만약 상기 표4 중에서 스물 두 번째(22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아래에 배열된 '단어주소1'들 중에서 스물 두 번째(22번째) '단어주소1'인 (1 5)가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검색어로 나타난다.
there = (1 392+337)
are = (1 382)
some =(1 434+402)
very= (1 2)
cynical =(1 403+260)
hateful = (105 281)
bonkers = (1 324+2)
people (1 408)
who = (1 175+331+313+436+176.20+250.5+413)
routinely =(487 5)
respond =(395 429+331)
on = (1 279+176)
these =(1 289+281+392+337)
pages =(339+402.1+434 282)
with = (1 410)
venom = (1 533)
and =(1 176.20)
nihilism = (397 481 343)
that = (1 176+331+313+436)
the other = (1 385)
thoughts = (347 282)
seem = (1 5)
to be = (1 379+450+440)
almost = (1 4)
excluded = (472 276 202)
■ = 주어 = 한 가족의 남매 중 첫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가주어 = 양자
★ = 동사(서술어) = 한 가족의 남매 중 둘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직접목적어 = 셋째 남매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가직접목적어 = 양자 남매
= 간접목적어 = 넷째 남매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주격보어 = 다섯째 남매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가주격보어 = 양자 남매 → 영어단어로서는 존재하지 않으나 표4의 ⑤란 속에서는 빨간색을 띤 ♡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표4의 ⑤란에 배치된 ♡은 표4의 ⑥란을 대체한다.
♠ = 목적격 보어 = 여섯째 남매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트위터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가목적격보어 = 양자 남매
▶ = 수식어 = 4촌 남매 중 1명을 상징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네이트의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전치사 = 장애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전치사의 목적어 = 장애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수동태 중 과거분사 = 진술어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형용사 절을 이끄는 접속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빙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등위 접속사(and, or, but)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네이버 TV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관계대명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동명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부정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분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상기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 속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은 "구 또는 절'을 대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간주한다.
동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다음에 나열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할 경우 동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고
동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내부에 포함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할 경우 동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고
동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다음에 나열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을 대체할 경우 동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칸에 표기된다.
상기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내부에 포함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동명사 구를 대체할 경우
- 명사절을 대체할 경우
-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을 대체할 경우
-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to) 부정사 구,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to) 부정사 구를 대체할 경우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하는 경우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to) 부정사 구를 대체하는 경우
-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을 대체하는 경우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현재분사구를 대체하는 경우
상기에서 '진주어'라는 용어는 '가주어'와 구별하기 위해 저작자가 만들어낸 신조어이고 '진목적어'도 신조어이다.
상기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다음에 나열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하는 경우
상기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다음에 나열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부사절을 대체하는 경우
- 부사구(전명구는 제외)를 대체하는 경우
- 형용사절(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을 포함)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to) 부정사구를 대체하는 경우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현재분사구를 대체하는 경우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과거분사구를 대체하는 경우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과거분사 형태의 형용사 +전치사+명사'을 대체하는 경우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와 표3 중에서 ①항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와 표3 중에서 ②항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와 표3 중에서 ③항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와 표3 중에서 ④항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와 표3 중에서 ⑤항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와 표3 중에서 ⑥항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린다.
상기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상기 표4에 대한 사용자의 운용 순서
정식 순서
도1 도2의 A (영어문장 1 영어문장 2 표3 표4) 도3 도4 도5 도6 도7
역순
도7 도6 도5 도4 도3 도2의 A(표4 표3 영어문장 2 영어문장 1) 도1
상기 '영어문장 1'과 '영어문장 2' 그리고 표3과 표4는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되어 있고 도5는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7,row=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화면이 지칭된 것이다.
상기 표4 중 각 란에 표기된 부호들은 하기 표5와 같이 각종 포털사이트의 로고들과 각종 SNS웹사이트의 로고들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고들은 아래한글 버전에서 문자로 취급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상에 업로드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제한이 따른다.
표 5
상기 표5에서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흑백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줌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와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을 대체한다.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줌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총천연색를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영어문장이 표4와 도8과 같이 도형들로 전환됨으로써 전세계인이 동 도형들을 세계공용문장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 도형들은 전세계의 교육계에서 교양과목으로 사용될 수 있다.
■ = 주어 = 한 가족의 남매들 중 첫째를 상징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린다.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네이버 포털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 가주어 = 양자
★ = 동사(서술어) = 한 가족의 남매들 중 둘째를 상징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린다.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유튜브 웹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 직접목적어 = 한 가족의 남매들 중 셋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린다.
○ = 가직접목적어 = 양자
= 간접목적어 = 넷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린다.
♥ = 주격보어 = 다섯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린다.
♡ = 가주격보어 = 양자 →영어단어로서는 존재하지 않으나 표4 속에서는 ♡의 부호로 존재한다.
♠ = 목적격 보어 = 여섯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트위터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린다.
▶ = 수식어 = 4촌 남매 중 1명을 상징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네이트 또는 줌 또는 빙 등의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린다.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네이트 포털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 전치사 = 장애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린다.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 전치사의 목적어 = 장애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린다.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구글 포털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수동태 중 과거분사 = 진술어
= 형용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줌 포털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등위 접속사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네이버 TV 웹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관계대명사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줌 포털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동명사
= 부정사
도2의 A 중 표4에서 은 유튜브 웹사이트와 연계(링크)되어 있다.
= 분사

Claims (5)

1. 유알엘(URL) 주소가 http://newsai.cc, http://wichijooso.com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주2.com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들이 필요하다.
2. 한국저작권위원회에 2010년 7월 12일에 등록된 '자손의 대잇기와 직업의 세습화'(등록번호: 제C-2010-007149호, 저작자: 임채환)의 저작물을 미리 숙지해야 한다.
가. 상기 저작물의 내용 중 '가문의 역사와 전통에 관한 나레이션'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방송국을 소유, 경영하고 있는 방송국 창업자인 A는 자녀들, 손자녀들, 증손자녀들을 두고 있으며 그들에게 주연기자, 조연기자, 액스트라 라는 직업인으로 고용 세습시키고 동 자녀를 기준으로 4촌에게는 분장사 또는 분장사 보조수 7촌에게는 분장사 또는 분장사 보조수와 연기자라는 겸업의 직업을 관행적으로 세습시키고 있다.
상기 4촌은 1인이 개별적으로 분장하는 경우와 4촌의 남매(들)끼리 서로 그룹을 지어 동시에 분업화로 분장하는 경우가 있다.
나. 상기 나레이션 중에서 "방송국 창업자인 A는 자녀들, 손자녀들, 증손자녀들을 두고 있으며"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방송국 창업자인 A는 자녀들만 둘 수도 있고 고손자녀들 이상을 둘 수도 있다'라고 확대해석해야 한다
다. 상기 '가문의 역사와 전통에 관한 나레이션'은 하기 표1, 표2, 표3, 표4가 도출, 형성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라. 상기 나레이션의 특징으로는 방송국을 소유, 경영하고 있는 방송국 창업자인 A는 자녀들, 손자녀들, 증손자녀들 즉, 직계존비속에게 동 방송국의 소유와 경영을 상속할 수 있으나 연기자와 분장사 등의 직업에 대한 고용의 승계는 반드시 직계존비속에게만 이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A 뿐만 아니라 A 가문의 가족들은 인간의 평균 수명보다 훨씬 더 오래 산다.
라. 표1 : 하기와 같다.
하기 표1은 '청구항 3' 중의 '영어문장 1'과 '영어문장 2', 하기 표3, 표4 그리고 표2를 서로 연결시키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구조(상황)이다.
단, 하기 표1 중에서 ③과 ⑤는 병치할 수 없고 ④와 ⑤도 병치할 수 없으며 ⑤와 ⑥도 병치할 수 없다.
하기 표1 중에서 4촌, 6촌, 8촌 내에서도 셋째와 다섯째는 병치할 수 없고 넷째와 다섯째도 병치할 수 없으며 다섯째와 여섯째도 병치할 수 없다.
하기 표1 중에서 아래 방향의 세대로 이동하면 결혼으로 인한 분가로 자녀들을 두는 현상을 의미하고 우측 방향의 촌수로 이동하면 4촌, 6촌, 8촌 등의 촌수가 발생함을 의미한다.
하기 표1의 2촌 내에서
첫째 = 제2 주연기자 = 주어
둘째 = 제1 주연기자 = 동사
셋째 = 조연기자 = 목적어
넷째 = 조연기자 = 간접목적어
다섯째 = 조연기자 = 주격보어
여섯째 = 조연기자 = 목적격 보어
양자 = 엑스트라 = 형식적으로 주어 자리를 대체(실질적으로는 부사)
하기 표1 중의 ① ② ③ ④ ⑤ ⑥ 중에서 각자의 관계는 서로 2촌인 남매들 관계 또는 형제들 관계 또는 자매들의 관계라고 간주한다.
남매 각자의 직업은 연기자라고 간주하고 4촌의 직업은 분장사 또는 분장사의 보조수 그리고 4촌의 조카인 7촌의 직업은 분장사이면서 연기자라고 간주한다.
분장사 중에서도 7촌들 사이의 태어난 순서별로 머리카락, 눈, 코, 입술, 턱, 의상, 모자, 신발, 안경, 엑서사리 등의 분장이나 치장, 정비 등의 역할 분담이 주어져 있다고 간주한다.
표1

상기 표1과 하기 표3, 표4 중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면 세대간의 이동이고 수평으로 이동하면 4촌 간의 이동이다"라고 간주한다.
상기 표1과 하기 표3, 표4 중에서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부호들의 조합이 이미 표기된 일정한 1개의 칸에서 수직방향으로 아래에 인접된 1개의 칸에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동 다른 영어단어가 조합된 구절이 동명사 구, 부정사구,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는 진술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인 경우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동명사 구, 부정사구,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는 진술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를 대체하는 경우
단, 동 다른 영어단어가 조합된 구절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상기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부호들의 조합속에 이미 포함되어 있었으나 이탈되어 다른 칸으로 이동된다는 의미이다.
상기에서 '진주어'라는 용어는 '가주어'와 구별하기 위해 저작자가 만들어낸 신조어이고 '진목적어"도 신조어이다.
또한 '진술어'도 저작자가 만들어낸 신조어이다. '진술어'는 3가지 유형이 있는 데 'be 동사+전치사+명사'인 경우 명사가 '진술어'이고 'be 동사 + 보어' 인 경우 보어가 '진술어'이고 'be동사 + 과거분사 + 전치사'인 경우 과거분사가 '진술어'라고 간주하고 또한 과거분사형태의 형용사+전치사+명사인 경우도 동 과거분사형태의 형용사를 '진술어'라고 저작자는 호칭한다.
상기 표1과 하기 표3, 표4 중에서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부호들의 조합이 이미 표기된 일정한 1개의 칸에서 수평방향으로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동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가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인 경우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하는 경우
상기 표1과 하기 표3, 표4 중에서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부호들의 조합이 이미 표기된 일정한 1개의 칸에서 대각선방향인 우하측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1개의 칸에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동 다른 영어단어들이 조합된 구절이 형용사절(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 포함), 부사절,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현재분사구, 과거분사구, 부사구(전명구 제외)인 경우 또는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형용사절(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 포함), 부사절을 대체하는 경우 그리고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현재분사구, 과거분사구, 부사구(전명구 제외)를 대체하는 경우
마. 표3은 하기와 같다.
표3

"표3의 ①란에서 "영어문장의 일부분(=주절) 중 성분들은 서로 남매간 관계(2촌 관계)이고 수식어와 일정한 성분 1개와의 관계는 서로 4촌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상기 성분들은 'are'와 'people'를 가르키고 수식어는 'some' 등을 가르킨다.
"표3의 ②란의 "절 중에서 성분들은 서로 남매간 관계(2촌 관계)이고 수식어와 일정한 성분 1개와의 관계는 서로 4촌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상기 성분들은 'who'와 'respond'를 가르키고 수식어는 'routinely'를 가르킨다.
"표3의 ①란의 문장의 일부분(=주절) 중에서 문장의 성분 1개와 표3의 ②란의 절 중에서 성분 1개는 서로 5촌 관계(4촌의 자녀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②란의 절 중에서 수식어와 동사는 서로 4촌 관계이다"라고 간주하고 ①란 중에서 문장의 성분 1개와 ②란 중에서 수식어의 촌수관계는 서로 9촌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③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와 명사는 서로 남매간 관계(2촌 관계)이나 모두 장애인이다"라고 간주하고 ①란 중에서 문장의 성분 1개와 ③란 중에서 전치사 또는 명사 중 1개와의 촌수관계는 서로 9촌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③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와 명사는 서로 남매간 관계인 2촌 관계이나 모두 장애인이다"라고 간주하고 "'③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 또는 명사 중 1개와 '④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 또는 명사 중 1개와의 관계는 서로 4촌의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④란의 구' 중에서 전치사와 명사는 서로 남매간 관계인 2촌 관계이나 모두 장애인이다"라고 간주하고 '④란' 중에서 전치사 또는 명사 중 1개와 '⑤란의 절' 중에서 성분 1개와의 관계는 서로 7촌의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⑤란의 절' 중에서 성분 1개와 '⑥란의 구' 중에서 성분 1개와의 촌수관계는 서로 삼촌과 조카와의 관계(3촌 관계)이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②란 중에서 who와 respond는 연기자 그룹의 멤버이면서 분장사 그룹의 멤버이기도 하다.
표3의 ③란 중에서 pages는 분장사 그룹의 멤버이면서 분장사 조수 그룹의 도움을 받고있다.
표3의 ④란 중에서 venom and nihilism는 분장사 그룹의 멤버이면서 분장사 조수 그룹의 도움을 받고있다.
표3의 ⑤란 중에서 that the other thoughts seem는 연기자 그룹이면서 분장사 조수 그룹이다.
바. 표4 : 하기와 같고 하기 5항의 '더 구체적인 수단'에서 설명된다.
표4

사. 상기 표4 중 각 란에 표기된 부호들은 하기 표5와 같이 각종 포털사이트의 로고들과 각종 SNS웹사이트의 로고들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고들은 아래한글 버전에서 문자로 취급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상에 업로드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제한이 따른다.
표5

상기 표5에서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흑백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줌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와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을 대체한다.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줌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아. '청구항 3' 중에서 Type A, Type B, Type C, Type D는 서로 형식은 다르지만 의미는 동일하다"라고 간주한다.
상기 4가지 Type을 운용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이 2가지 방법이 있다.
1. Type A → Type B → Type C → Type D
2. Type D → Type C → Type B → Type A
자. '청구항 3' 중 '영어문장 1'에서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은 하기 표2-1과 같은 방법으로 묘사된다.
차. 표2는 하기와 같다.
표2는 아래의 표2-1, 표2-2, 표2-3, 표2-4, 표2-5, 표2-6이 종합된 것이다.
표2-1은 표3의 ①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2는 표3의 ②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3은 표3의 ③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4는 표3의 ④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5는 표3의 ⑤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고
표2-6은 표3의 ⑥란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다.
그러므로 표2는 표3을 상세하게 분류한 것이다.
표2 = '표2-1' + '표2-2' + '표2-3' + '표2-4' + '표2-5' + '표2-6'
표2-1

표2-2

표2-2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관계이다.
표2-2 중에서 수식어와 동사와의 촌수 관계는 4촌이다.
표2-2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다.
표2-3

표2-3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관계이다.
표2-3 중에서 수식어와 전치사의 목적어와의 촌수 관계는 4촌이다.
표2-3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다.
표2-4

표2-4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 관계이다.
표2-4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다.
표2-5

표2-5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 관계이다.
표2-5 중에서 수식어와 주어와의 촌수 관계는 4촌이다.
표2-5에 나타나지 않는 다섯째가 결혼 분가하여 표2-6에 나타난 남매(둘째와 다섯째)를 두었다고 간주한다.
상기 밑줄친 '나타나지 않는'의 의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이다"라는 의미이다.
표2-5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표2-6

표2-6에 표시된 촌수는 표2-1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 1명을 기준으로 산출된 촌수 관계이다.
표2-5의 남매(첫째와 둘째) 중의 1명과 표2-6의 남매(둘째와 다섯째) 중의 1명은 서로 3촌 관계이다.
표2-6 중에서 수식어와 '보어와 유사'와의 촌수 관계도 4촌이다.
표2-6에 나타나지 않는 첫째와 셋째, 넷째, 여섯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 이다"라고 간주한다.
표2-6에 나타난 영어단어들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3. '청구항 3'의 '영어문장 1'과 같은 영어문장이 표4로 변환된 도형을 URL주소가 http://newsai.cc과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들에 업로드시키는 방법과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에 연계시키는 방법 그리고 운용 절차는 하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과 '부호의 설명' 등에서 소개한다.
4. 사용자의 운용 순서
가. 1차적인 운용 순서
1차적인 운용 순서는 각 도면들 간의 운용 순서를 지칭한 것이다.
하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서 제시된 절차대로 URL 주소가 상기 3항과 같은 웹프로그램들을 운용하면 도8과 같이 완성된다.
(1) URL 주소가 http://newsai.cc/index.html?cols=397&rows=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1에서 사용자가 α를 클릭하면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팝업창으로 열린다.
(2) 도2의 A 중 표4의 1란 중에서 빨간색을 띤 ■을 클릭하면 도3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3의 ⓐ를 클릭하면 도4의 A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4의 A 중 ⓑ를 클릭하면 도5-1의 A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5-1의 A 중 ⓒ를 클릭하면 도5-2의 A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5-2의 A 중 ⓓ를 클릭하면 도6의 A의 화면으로 열리고 동 도6의 A 중 ⓔ를 클릭하면 도7의 A의 화면으로 열린다.
(3) 상기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③란 중 ◐을 클릭하면 도17의 b인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79+176)이 나타난다.
상기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17 중에서 우측상단에 위치한 팝업창으로 변형하기 아이콘인 a을 클릭하면 동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화면이 팝업창으로 축소 변형되기 때문에 숨어있던 상기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인 도2의 A 또는 도16의 C가 다시 노출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③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89+281+392+337)이 나타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③란 중 빨간색을 띤 ◑를 클릭하면 도5-1의 A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39,row=282)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상기 웹프로그램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도 상기 빨간색을 띤 ◑와 동일한 부호가 나타남으로 동 부호의 위치는 좌표값을 의미함에 따라 동 좌표값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주소1'인 (339+402.1+434 282)을 추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빨간색을 띤 상기 ◑은 상기 세계지도상에서 추적된(색출된, 검색된) '단어주소1'인 (339+402.1+434 282)에 의해 이미 선택되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고 고정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④란 중 ◐를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10)이 나타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④란 중 ◑를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33)이 나타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④란 중 를 클릭하면 '네이버TV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20)이 나타난다.
도2의 A 중에서 표4의 ④란 중 빨간색을 띤 ◑를 클릭하면 도5-2의 A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7,row=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이 열린다.
상기 웹프로그램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도 상기 빨간색을 띤 ◑와 동일한 부호가 나타남으로 동 부호의 위치는 좌표값을 의미함에 따라 동 좌표값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주소1'인 (397 481 343)을 추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빨간색을 띤 상기 ◑은 상기 세계지도상에서 추적된(색출된, 검색된) '단어주소1'인 (397 481 343)에 의해 이미 선택되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고 고정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4) 상기 URL 주소가 http://newsai.cc/index.html?cols=397&rows=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1에서 사용자가 β를 클릭하면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7,row=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의 화면에 해당되는 도8 중에서 네 번째 순서로 내려받기(다운로드)된 팝업창인 C에 업로드된 이미지(세계지도와 부호)가 열린다.
(5) 사용자의 상기 운용순서의 역순에 대한 로드맵
도7 도6 도5 도4 도3 도2의 A(표4 표3 영어문장 2 영어문장 1) 도1 도3의 ☜ 인 C를 클릭하면 상기 역순에 대한 로드맵 중에서 '도3 도2의 A'로 진행됨을 가르킨다.
(6) 도2의 A 중 표4에 업로드된 각종 부호와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과 포털사이트, SNS 웹사이트의 검색창과 검색어와의 관계
사용자가 주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동사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직접목적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간접목적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주격보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목적격보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트위터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전치사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전치사의 목적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수식어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등위 접속사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접속사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관계대명사를 대체하는 ''을 클릭하면 영어단어의 '단어주소1'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나타난다.
나. 2차적인 운용 순서
2차적인 운용 순서는 도8 중에서 다섯번째 순서로 내려받기(다운로드)된 팝업창인 B 중 세계지도 내부에서만의 운용 순서를 지칭한 것이다.
(1) 사용자는 '청구항 3'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인 (1 176+331+313+436)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76+331+313+436를 도8의 B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간주하고 마우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의 픽셀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13처럼 이 나타난다.
(2) 사용자는 '청구항 3'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인 (1 385)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385를 도8에 B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간주하고 마우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의 픽셀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13처럼 ▶이 나타난다.
(3) 사용자는 '청구항 3'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인 (347 282)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347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282를 도8의 B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간주하고 마우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의 픽셀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13처럼 ■이 나타난다.
(4) 사용자는 '청구항 3' 중 'Type D'에서 제시된 단어주소1인 (1 5) 중에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1과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성요소인 5를 도8의 B에 해당되는 상기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1,row=5)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세계지도상에서 좌표값으로 간주하고 마우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동 좌표값과 일치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빨간색을 띤 미세한 직사각형의 픽셀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13처럼 ★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상기 세계지도상에서 각종 부호들을 불러내기 위하여 상기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픽셀을 실행시키면(클릭하면) 도8 중에서 다섯 번째 순서로 내려받기(다운로드)된 팝업창인 B에 업로드된 이미지(세계지도와 부호 등)가 도13의 이미지(세계지도와 부호들 등)으로 변경된다.
5. 더 구체적인 수단
'영어문장 1'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에는 '영어문장 1'이 나타나 있다.
'영어문장 2'
URL 주소가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영어문장 2'가 업로드되어 있다.
상기 '영어문장 2'에 대한 예시는 아래와 같다.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 that the other thoughts seem
상기 '영어문장 2'에서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사용자가 검정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are가 동사이기 때문에 주절이다"라고 나타난다(1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respond'와 'are'가 동사임으로 서로 연결시킬 접속사가 필요하고 수식받는 people이 주절 중에서 문장의 성분인 주어의 역할을 하면서 선행사이고 'who = 접속사 + 대명사(they)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이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on these pages'가 전명구이기 때문에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가 될 수 있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세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with venom and nihilism'가 전명구이기 때문에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가 될 수 있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빨간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seem'와 'respond'가 동사임으로 서로 연결시킬 접속사가 필요하고 수식받는 'nihilism'이 대명사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선행사가 아님으로 형용사절이다"라고 나타난다(3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seem'이 자동사이기 때문에 동 구절은 문장의 성분인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한다"라고 나타난다(4세대를 상징).
상기 '영어문장 2'가 보유한 구절의 갯수 보다 더 많은 갯수를 보유한 다른 '영어문장 2' 중에서 검정색 바탕에 노란색을 띤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트위터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5세대를 상징).
초록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6세대를 상징).
파란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7세대를 상징).
남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8세대를 상징).
보라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9세대를 상징).
상기의 설명을 종합해보면 결국 3세대 이하를 상징하는 구절의 색상은 무지개 색상의 순서로 구별된다.
표3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는 표3이 업로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표3 중 ①란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남매들 중 각각 1명 마다 연기자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②란의 남매들은 분장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이고 동 ②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①란의 남매들 중 1명과 아래 세대의 7촌 관계이기 때문에 ①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을 경유한 후 동 1개의 칸을 기준으로 아랫방향에 인접된 ②란에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③란의 남매들 중1명은 ②란의 남매들 중 1명과 4촌 관계이고 ③란의 남매들 중에는 둘째(=동사)가 없기 때문에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임으로 동 ③란의 남매들은 ②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만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에서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상기 "③란의 남매들은 단지 분장사(장신구 정비사) 그룹에 불과하며 연기자 그룹은 될 수 없다"라는 의미이고 자녀를 두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세대의 창출을 못함으로 아래쪽의 란으로 이동을 못한다.
사용자가 ④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④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③란의 남매들 중 1명과 4촌 관계이고 ④란의 남매들 중에는 둘째(=동사)가 없기 때문에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임으로 동 ④란의 남매들은 ③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만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에서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상기 "④란의 남매들은 단지 분장사(장신구 정비사) 그룹에 불과하며 연기자 그룹은 될 수 없다"라는 의미이고 자녀를 두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세대의 창출을 못함으로 아래쪽의 란으로 이동을 못한다.
사용자가 ⑤란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⑤란의 남매들은 분장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이고 동 ⑤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④란의 남매들 중 1명과 아래 세대의 7촌 관계이기 때문에 ④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을 경유한 후 동 1개의 칸을 기준으로 아랫방향에 인접된 ⑤란에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⑥란의 남매 중 1명은 ⑤란의 남매 중 1명과 3촌 관계임으로 ⑤란의 남매들 중 나타나지 않는 다섯째인 주격보어(문장의 성분)가 결혼, 분가하여 ⑥란에 있는 자녀들을 두었기 때문에 동 자녀들은 연기자 그룹을 형성함으로 동 ⑥란에 있는 자녀들인 남매는 ⑤란의 기준에서 수직의 아래 방향으로 출발하여 인접된 1개의 란에서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 밑줄친 '나타나지 않는'의 의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이다"라는 의미이다.
상기 표3 중 ①란 = 1세대 =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
상기 표3 중 ②,③,④란 = 2세대 =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
상기 표3 중 ⑤란 = 3세대 =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
상기 표3 중 ⑥란 = 4세대 =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
표4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표4가 업로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표4 중 ①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①란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34+40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 중 '+■'을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5+331+313+436+176.20+250.5+41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 중 '◐'을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79+176)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 중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39+402.1+434 2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을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1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3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2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97 481 34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331+313+436)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85)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47 2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472 276 202)이 나타난다.
⑤란 중 빨간색을 띤 '♡'은 ⑥란을 대체하고 있다.
6. 도2의 A 중 표4에서는 아래와 같은 두 가지의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다.
첫 번째는 하기 '도15의 가항'과 같은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고 두 번째는 도3부터 도7까지와 같은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다.
7. '청구항 1'의 '1항'에서 제시된 유알엘(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인 웹프로그램은 http://cnnunesco3.com인 웹프로그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의 '1항'에서 제시된 유알엘(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주2.com인 웹프로그램은 http://cnnunesco.com인 웹프로그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어문장 1'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에는 '영어문장 1'이 나타나 있다.
'영어문장 2'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이미지에는 '영어문장 2'가 나타나 있다.
동 '영어문장 2'에 대한 예시는 아래와 같다.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 that the other thoughts seem
상기'영어문장 2'에서 ""와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사용자가 검정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are가 동사이기 때문에 주절이다"라고 나타난다(1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respond'와 'are'가 동사임으로 서로 연결시킬 접속사가 필요하고 수식받는 people이 주절 중에서 문장의 성분인 주어의 역할을 하면서 선행사이고 'who = 접속사 + 대명사(they)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이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on these pages'가 전명구이기 때문에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가 될 수 있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들 중 세 번째 순서에 위치한 구절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with venom and nihilism'가 전명구이기 때문에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가 될 수 있다"라고 나타난다(2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빨간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seem'와 'respond'가 동사임으로 서로 연결시킬 접속사가 필요하고 수식받는 'nihilism'이 대명사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선행사가 아님으로 형용사절이다"라고 나타난다(3세대를 상징).
사용자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을 띤 구절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seem'이 자동사이기 때문에 동 구절은 문장의 성분인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한다"라고 나타난다(4세대를 상징).
상기 '영어문장 2'가 보유한 구절의 갯수 보다 더 많은 갯수를 보유한 다른 '영어문장 2' 중에서 검정색 바탕에 노란색을 띤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트위터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5세대를 상징).
초록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6세대를 상징).
파란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7세대를 상징).
남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8세대를 상징).
보라색을 띤 단어들로 구성된 구절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나타난다(9세대를 상징).
상기의 설명을 종합해보면 결국 3세대 이하를 상징하는 구절의 색상은 무지개 색상의 순서로 구별된다.
표3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는 표3이 업로드되어 있다.
상기 표3 중 사용자가 ①란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남매(들) 중 각각 1명 마다 연기자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②란의 남매들은 분장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이고 동 ②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①란의 남매들 중 1명과 아래 세대의 7촌 관계이기 때문에 ①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을 경유한 후 동 1개의 란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인접된 ②란에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③란의 남매들 중1명은 ②란의 남매들 중 1명과 4촌 관계이고 ③란의 남매들 중에는 둘째(=동사)가 없기 때문에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임으로 동 ③란의 남매들은 ②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만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에서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상기 "③란의 남매들은 단지 분장사(장신구 정비사) 그룹에 불과하며 연기자 그룹은 될 수 없다"라는 의미이다.
사용자가 ④란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④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③란의 남매들 중 1명과 4촌 관계이고 ④란의 남매들 중에는 둘째(=동사)가 없기 때문에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임으로 동 ④란의 남매들은 ③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에만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에서 "자녀들을 두지 못했다"는 의미는 상기 "④란의 남매들은 단지 분장사(장신구 정비사) 그룹에 불과하며 연기자 그룹은 될 수 없다"라는 의미이다.
사용자가 ⑤란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⑤란의 남매들은 분장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이고 동 ⑤란의 남매들 중 1명은 ④란의 남매들 중 1명과 아래 세대의 7촌 관계이기 때문에 ④란의 기준에서 수평의 우측방향으로 출발하여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을 경유한 후 동 1개의 란을 기준으로 아래방향에 인접된 ⑤란에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⑥란의 남매 중 1명은 ⑤란의 남매 중 1명과 3촌 관계임으로 ⑤란의 남매들 중 나타나지 않는 다섯째인 주격보어(문장의 성분)가 결혼, 분가하여 ⑥란에 있는 자녀들을 두었기 때문에 동 자녀들은 연기자 그룹을 형성함으로 동 ⑥란에 있는 자녀들인 남매는 ⑤란의 기준에서 수직의 아래 방향으로 출발하여 아래쪽에 인접된 1개의 란에서 안착(표기)되었다"라고 나타난다.
상기 밑줄친 '나타나지 않는'의 의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이다"라는 의미이다.
표4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 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표4가 업로드되어 있다.
상기 표4 중에서 사용자가 ①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①란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34+40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 중 '+■'을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5+331+313+436+176.20+250.5+41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②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487 5)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 중 '◐'을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79+176)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③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289+281+392+337)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을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1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3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20)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④란 중 두 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97 481 343)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176+331+313+436)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85)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347 282)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⑤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5)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379+450+440)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1 4)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⑥란 중 ''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단어주소1'인 (472 276 202)이 나타난다.
⑤란 중 빨간색을 띤 '♡'은 ⑥란을 대체하고 있다.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
도2의 A 중 표4에서는 아래와 같은 두 가지의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다.
첫 번째는 하기 '도15의 가항'과 같은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고 두 번째는 도3부터 도7까지와 같은 로드맵(실행 순서의 루트)이 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Type A = 영어문장 1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 who routinely respond on these pages with venom and nihilism that the other thoughts seem to be almost excluded.
Type B = 영어문장 2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 that the other thoughts seem
상기 '영어문장 2'는 '영어문장 1'을 몇 개의 구와 절들로 구분시킨 형태이다.
상기'영어문장 2'에서 ""와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Type c = 표 3

표3의 ①란에서 남매들 모두는 연기자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한다.
①란에서 남매들 중 1명을 기준으로 ②란의 남매들 중 1명은 서로 7촌 관계이다.
②란에서 남매들 중 1명과 ③란의 남매들 중 1명의 촌수관계는 서로 4촌이고 ③란의 남매들 중 1명과 ④란의 남매들 중 1명의 촌수관계도 서로 4촌이다. 그러므로 ②란의 남매들 중 1명과 ④란의 남매들 중 1명의 촌수관계는 서로 8촌이다.
①란에서 남매들을 기준으로 ②란의 7촌 남매들이 ①란의 남매들을 동시에 분장한다고 간주한다.
①란에서 남매들을 기준으로 ②란의 7촌 남매들의 직업은 분장사와 연기자 두 가지 직업을 겸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④란에서 남매들 중 1명을 기준으로 ⑤란의 남매들 중 1명은 서로 7촌 관계이다.
③란과 ④란에서 남매들은 분장사와 장신구 정비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
⑤란의 남매들은 분장사의 보조수이면서 연기자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
⑤란의 남매들 중에서 나타나지 않는 다섯째가 결혼, 분가하여 ⑥란에서 처럼 자녀들을 두었다고 간주한다.
그러므로 ⑤란에서 남매들 중 1명을 기준으로 ⑥란의 남매들 중 1명은 서로 3촌 관계이다.
⑥란의 자녀들(남매들)의 직업은 모두 연기자이다.
상기 밑줄친 '나타나지 않는'의 의미는 "A가 소유 경영하는 방송국 회사에 비고용인이다"라는 의미이다.
상기 표3에서 ""와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상기 표3에서 각각 1개의 란(칸)은 구 또는 절을 대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간주한다.
표3의 ③란에 표기된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는 분장사 겸 장신구 정비사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②란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되었고
표3의 ④란에 표기된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도 분장사 겸 장신구 정비사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③란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되었고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는 동 전명구에 포함된 전치사 또는 전치사의 목적어가 비록 장애인이지만 연기자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다른 구절이 이미 표기되어 있는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된다.
표3의 ⑥란에 표기된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은 연기자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⑤란(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된다.
표3의 ②란과 ⑤란에 표기된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은 분장사 겸 장신구 정비사 그룹이면서 연기자 그룹으로 비유됨으로 ①란과 ④란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칸)을 경유한 후에 동 경유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란(칸)에 표기된다.
상기 표3 중에서 구 또는 절이 표기된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1개의 란(칸)에 표기되는 다른 구 또는 절은 아래와 같은 구 또는 절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 동명사(구)
-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분사구
상기에서 '진주어'라는 용어는 '가주어'와 구별하기 위해 저작자가 만들어낸 신조어이고 '진목적어'도 신조어이다.
상기 표3 중에서 구가 표기된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칸)에 표기되는 다른 구는 아래와 같은 구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 구가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
상기 표3 중에서 구 또는 절이 표기된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1개의 란(칸)을 경유한 후에 동 경유한 1개의 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1개의 란(칸)에 표기되는 다른 구 또는 절은 아래와 같은 구 또는 절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즉, 상기 표3 중에서 구 또는 절이 표기된 일정한 1개의 란(칸)을 기준으로 우측 아래방향인 대각선 방향에 있어서 첫 번째 순서에 위치한 1개의 칸에 표기되는 다른 구절이 아래와 같은 구절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 형용사절(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포함,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 포함)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부정사구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분사구
- 부사 역할을 대체하는 부사절
- 부사 역할을 대체하는 부사구(과거분사형태의 형용사 + 전명구)
Type D = 표 4

상기 표4는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에 탑재(업로드)되어 있다.
상기 표4의 ①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②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③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④란 중에서 최 우측에 배치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⑤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상기 표4의 ⑥란 중에서 의 색상은 빨간색이다.
아래 영어단어들에 대한 '단어주소1'의 배열 순서와 상기 표4 중의 ①란부터 ⑥란까지 나열된 부호들의 배열 순서는 서로 1: 1로 매치(짝짓기) 되어 있다. 그러므로 만약 상기 표4 중에서 스물 두 번째(22번째) 순서에 위치한 ★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아래에 배열된 '단어주소1'들 중에서 스물 두 번째(22번째) '단어주소1'인 (1 5)가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검색어로 나타난다.
there = (1 392+337)
are = (1 382)
some =(1 434+402)
very= (1 2)
cynical =(1 403+260)
hateful = (105 281)
bonkers = (1 324+2)
people (1 408)
who = (1 175+331+313+436+176.20+250.5+413)
routinely =(487 5)
respond =(395 429+331)
on = (1 279+176)
these =(1 289+281+392+337)
pages =(339+402.1+434 282)
with = (1 410)
venom = (1 533)
and =(1 176.20)
nihilism = (397 481 343)
that = (1 176+331+313+436)
the other = (1 385)
thoughts = (347 282)
seem = (1 5)
to be = (1 379+450+440)
almost = (1 4)
excluded = (472 276 202)
■ = 주어 = 한 가족의 남매 중 첫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가주어 = 양자
★ = 동사(서술어) = 한 가족의 남매 중 둘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직접목적어 = 셋째 남매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가직접목적어 = 양자 남매
= 간접목적어 = 넷째 남매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카카오스토리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주격보어 = 다섯째 남매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가주격보어 = 양자 남매 → 영어단어로서는 존재하지 않으나 표4의 ⑤란 속에서는 빨간색을 띤 ♡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표4의 ⑤란에 배치된 ♡은 표4의 ⑥란을 대체한다.
♠ = 목적격 보어 = 여섯째 남매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트위터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가목적격보어 = 양자 남매
▶ = 수식어 = 4촌 남매 중 1명을 상징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네이트의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전치사 = 장애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인스타그램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전치사의 목적어 = 장애인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수동태 중 과거분사 = 진술어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형용사 절을 이끄는 접속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빙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등위 접속사(and, or, but)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네이버 TV 웹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관계대명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줌 포털사이트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동명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부정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 분사 → 사용자가 동 부호를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면서 '단어주소1'이 검색어로 나타난다.
상기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 속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은 "구 또는 절'을 대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간주한다.
동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다음에 나열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할 경우 동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고
동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내부에 포함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할 경우 동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고
동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다음에 나열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을 대체할 경우 동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1개의 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칸에 표기된다.
상기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내부에 포함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동명사 구를 대체할 경우
- 명사절을 대체할 경우
-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구절을 대체할 경우
- 진주어 역할을 대체하는 (to) 부정사 구, 진목적어 역할을 대체하는 (to) 부정사 구를 대체할 경우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하는 경우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 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to) 부정사 구를 대체하는 경우
- 주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절을 대체하는 경우
- 주격보어 또는 목적격보어 역할을 대체하는 현재분사구를 대체하는 경우
상기에서 '진주어'라는 용어는 '가주어'와 구별하기 위해 저작자가 만들어낸 신조어이고 '진목적어'도 신조어이다.
상기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다음에 나열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이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전명구를 대체하는 경우
상기 표4 중에서 일정한 1개의 칸에 표기된 부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동 부호들의 조합 다음에 나열될 다른 부호들의 조합은 수평방향의 우측에 인접된 칸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아래에 인접된 칸에 표기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부사절을 대체하는 경우
- 부사구(전명구는 제외)를 대체하는 경우
- 형용사절(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을 포함)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to) 부정사구를 대체하는 경우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현재분사구를 대체하는 경우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과거분사구를 대체하는 경우
- 수식어 역할을 대체하는 '과거분사 형태의 형용사 +전치사+명사'을 대체하는 경우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There are some very cynical, hateful, bonkers people"와 표3 중에서 ①항을 클릭하면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와 표3 중에서 ②항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와 표3 중에서 ③항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와 표3 중에서 ④항을 클릭하면 유튜브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와 표3 중에서 ⑤항을 클릭하면 다음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리고
상기 '영어문장 2' 중에서 ""와 표3 중에서 ⑥항을 클릭하면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검색창이 열린다.
상기 ""와 ""의 색상은 검정색 바탕에 흰색이고
"that the other thoughts seem"의 색상은 빨간색이고 ""의 색상은 주황색 바탕에 흰색이다.
상기 표4에 대한 사용자의 운용 순서
정식 순서
도1 도2의 A (영어문장 1 영어문장 2 표3 표4) 도3 도4 도5 도6 도7
역순
도7 도6 도5 도4 도3 도2의 A(표4 표3 영어문장 2 영어문장 1) 도1
상기 '영어문장 1'과 '영어문장 2' 그리고 표3과 표4는 URL 주소가 http://newsai.cc/view_detail2.html?no=3152&popwindow=13&1_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되어 있고
도5는 URL 주소가 http://구백년을돌려준다면-지도단어-소2.com/?point=(col=397,row=481)인 웹프로그램(웹사이트)에 업로드된 화면이 지칭된 것이다.
상기 표4 중 각 란에 표기된 부호들은 하기 표5와 같이 각종 포털사이트의 로고들과 각종 SNS웹사이트의 로고들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고들은 아래한글 버전에서 문자로 취급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상에 업로드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제한이 따른다.
표 5

상기 표5에서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흑백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네이트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줌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와 네이버 포털사이트의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인스타그램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구글코리아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을 대체한다.
네이버 TV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줌 포털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유튜브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페이스북 웹사이트의 총천연색을 띤 로고인 ()은 을 대체한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청구항 1'과 '청구항 3'에서 제시된 표3, 표4, 표5이다.
도1부터 도17까지이다.
KR1020220046799A 2022-04-14 2022-04-14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2 KR20230147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799A KR20230147889A (ko) 2022-04-14 2022-04-14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799A KR20230147889A (ko) 2022-04-14 2022-04-14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889A true KR20230147889A (ko) 2023-10-24

Family

ID=8851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799A KR20230147889A (ko) 2022-04-14 2022-04-14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7889A (ko)

Non-Patent Citation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P.C. 모니터상 1개의 화면 내에서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 등을 지도단어 또는 온라인 도형단어로 서로 연게, 통합시키는 기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1-046313호
- P.C. 상의 한 개의 화면내에서 온라인 도형단어를 이용하여 각종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 간의 연결을 설정(세팅)하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32457호
- PC의 키보드상에 있는 알파벳을 이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검색하는 방법 등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17-013224호
- U R L(유알엘) 주소가 http://cnnunesco3.com인 웹프로그램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20824호
- URL(유알엘) wichijooso.com(위치주소 닷컴) 인 홈페이지 프로그램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16-025841호
- URL(유알엘) wichijooso.com(위치주소 닷컴) 인 홈페이지 프로그램의 DB(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제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D-2016-000113호
- URL(유알엘) 주소가 http://newsai.cc 인 웹프로그램의 실행방법과 온라인 도형단어 3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20788호
- 단어주소 3-1과 단어주소 3-2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38949호
- 문자를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프로그램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17-036827호
- 문장 1개를 '인터넷 문장'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1-056958호
- 보조 검색창과 '지도단어'와 '온라인 도형단어'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11617호
- 영어문장을 온라인상에서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0-006470호
- 영어참고도서 '인터넷(홈페이지) 주소'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04--006596호
- 온라인 도형단어 3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13471호
- '온라인 도형단어 4'의 실행 과정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14710호
- 온라인 도형단어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32455호
- 온라인 도형단어의 개요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 C-2020-018515호
- 온라인상에서 지도단어 또는 온라인 도형단어를 이용 포털사이트들, SNS들 사이를 서로 연계, 통합시키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 -2019-026937호
- 웹 프로그램 상에서 지도단어의 운용 수단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8-020800호
- 자손의 대잇기와 직업의 세습화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10-007149호
- '정육면체 단어', '온라인 도형단어 1', '협의 의미의 온라인 도형단어', '온라인 도형단어 3', '온라인 도형단어 4'의 비교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15242호
- 정육면체 단어와 온라인 도형단어, 온라인 도형단어 2, 온라인 도형단어 3, 온라인 도형단어 4의 비교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 C-2020-025506호
- 제목: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전환시키는 방법과 각종 웹사이트에 링크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4143호
- 제목: 영어문장을 특정한 웹프로그램상에서 부호들로 변환시키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0783호
- 제목: '온라인 도형단어'를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전송서비스(SMS)'에 적용시키는 절차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4517호
- 제목: '온라인 도형단어'에서 '단어주소 3-1'과 단어주소 3-2'의 기능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5617호
- 제목: 온라인상에서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적용 절차 저작자 : 임채환 등록번호 : C-2022-001282호
- 제목: '임채환식 환산법'과 '임채환식 환산법 2'와 '임채환식 환산법 3'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1281호
- 지도단어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8-012504호
- 지도단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URL주소 http://cnnunesco.com) 등록권리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8-012566호
- 지도단어와 온라인 도형단어에서 적용되는 "임채환식 환산법"과 "임채환식 환산법2" 와 "임채환식 환산법3"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33297호
- '지도단어'와 '온라인 도형단어'의 개발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13134호
- 지도단어의 개발과 실행 과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21-054623호
- 특정한 웹프로그램상의 세계지도 내에서 영어문장을 조합된 부호들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방법 저작자 성명: 임채환 등록번호: C-2022-007573호
-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대한 보조 검색창 기능을 하는 온라인 도형단어 중 일부분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15396호
-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SMS)에서 온라인 도형단어를 문자 대체용으로 운용하는 방법 2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22291호
-보조 검색창과 온라인 도형단어의 개발 2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09434호
-온라인 도형단어를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SMS)의 문자 대체용으로 운용하는 방법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9-020321호
저작권 등록 등 - 영어참고도서 'SLOPE'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제 C-2003-000642호
-지도단어의 운용 기법 설명서 저작자: 임채환 등록번호: C-2018-026415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i et al. Text-to-viz: Automatic generation of infographics from proportion-related natural language statements
Shneiderman Reflections on authoring, editing, and managing hypertext
US7292243B1 (en) Layered and vectored graphical user interface to a knowledge and relationship rich data source
US6918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iterary and linguistic information about words
Do Design sketches and sketch design tools
Horák et al. Debvisdic-first version of new client-server wordnet browsing and editing tool
US200800378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literary macrame component referencing
Cooke Information acceleration and visual trends in print, television, and web news sources
Thimbleby Gentler: A tool for systematic web authoring
Xenia et al. Cognitive models in planimetric task text processing
Schmid A bucket or a searchlight approach to defining translation? Fringe phenomena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object of study
Nguyen et al. A two-phase approach for building vietnamese wordnet
KR20230147889A (ko)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변환시키는 방법과 운용 절차 2
Klosa-Kückelhaus et al. The Design of Internet Dictionaries.
KR20230007811A (ko) 영어문장을 도형으로 전환시키는 방법과 각종 웹사이트에 링크시키는 방법 그리고 운용 절차
Tarp et al. A necessary redefinition of lexicography in the digital age: Glossography, dictionography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perka et al. Graphic design in the age of interactive media
Du Plessis et al. Adapting a historical dictionary for the modern online user: the case of the dictionary of South African English on historical principles's presentation and navigation features
KR20230026709A (ko) Pc 모니터상 1개의 화면 내에서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을 1개의 영어단어로 연계 통합시키는 방법
Tanasescu et al. Literary Translation in Electronic Literature and Digital Humanities
KR20230044110A (ko) Pc 모니터상 1개의 화면 내애서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 등을 1개의 영어단어로 연계 통합시키는 원리와 실행 방법
Fiormonte et al. The text as product and process. History, genesis, experiments
KR20210104506A (ko) 특정한 웹프로그램 중 1개의 화면 내에서 sns 웹사이트들과 포털사이트들을 1개의 영어단어로 연계 통합시키는 방법
KR20240062173A (ko) Pc 모니터상 1개의 화면 내애서 포털사이트들과 sns 웹사이트들 등을 '지도단어' 또는 '온라인 도형단어'로 서로 연계, 통합시키는 기법 2
Benner A Tool for a High-Carat Gold-Standard Word Alig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