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329A - 줄자마커 - Google Patents

줄자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329A
KR20230146329A KR1020220045204A KR20220045204A KR20230146329A KR 20230146329 A KR20230146329 A KR 20230146329A KR 1020220045204 A KR1020220045204 A KR 1020220045204A KR 20220045204 A KR20220045204 A KR 20220045204A KR 20230146329 A KR20230146329 A KR 20230146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asure
marker
upper body
lower body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22004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329A/ko
Publication of KR20230146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84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 G01B3/1089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for marking, drawing or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자마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하는 줄자와 호환 가능하도록 줄자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저면에 구비된 마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줄자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몸체; 및 줄자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측몸체; 를 포함하되, 상기 하측몸체의 저면에 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몸체와 상기 하측몸체는 줄자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줄자마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줄자마커{Marker for Tape measure}
본 발명은 줄자마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줄자 상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측몸체과 하측몸체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몸체는 하측몸체의 저면에 구비된 마커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된 눈금확인홀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줄자 상에 상측마커와 하측마커를 결합하고, 눈금확인홀을 통해 마킹하고자 하는 위치를 확인하고 하방으로 상호 결합된 몸체는 누름으로써 마커에 의해 위치에 표시가 되는 줄자마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자로 잴수 있는 길이보다 긴 길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줄자는 일상생활 또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길이에 따라 수예용, 신체 치수 측정용 또는 산업현장용으로 나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쓰임에 따라 각각 형상이 다르나, 줄 형태로 형성되면서 끝단에 고리쇠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줄자는 사용함에 있어 한 손은 줄자 케이스를 파지하고 나머지 손으로 고리쇠를 잡아 당겨 줄자를 인출하여 원하는 지점에 위치 시킨뒤, 줄자 케이스에 구비된 고정구를 통해 줄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을 하고, 줄자 케이스를 파지했던 손으로 펜이나 분필 등과 같은 마커로 원하는 지점에 마킹을 하게되는데 이는 두 손을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초래하고, 반드시 줄자 케이스에 고정구가 구비되어야 사용자 혼자 마킹을 할 수 있으며, 고정구가 없는 경우에는 두 명이 작업에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줄자를 사용함에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127호(이하 '인용발명' 이라함)에서는 인출구의 일측에 구비된 마커장착부와 측정자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한 케이스를 통해 측정자를 고정하고 마커를 통해 측정자의 입구쪽에 마킹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측정자의 인출구와 인접한 위치에 마커가 구비되어 원하는 위치까지 줄자 케이스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고정구, 마커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를 통해서만 마킹을 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줄자에 호환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는 줄자와 호환이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마킹을 할 수 있는 줄자마커가 필요로 하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127호 '마커를 구비한 줄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사용하는 줄자와 호환 가능하도록 측정자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저면에 구비된 마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 가능한 줄자마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줄자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몸체; 및 줄자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측몸체; 를 포함하되, 상기 하측몸체의 저면에 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몸체와 상기 하측몸체는 줄자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몸체는 상기 마커와 대응하는 지점에 눈금확인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금확인홀은 폭 방향으로 내측에 눈금표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는 교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자는 줄자케이스로부터 전방을 향해 인출되며, 상기 상측몸체는 인접한 후방에 위치된 줄자케이스와 함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지는 제1 경사면과, 제1 경사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가지는 제2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줄자 케이스로부터 전방을 향해 인출되는 줄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줄자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몸체와 하측몸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줄자마커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하측몸체의 저면에 구비된 마커는 교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또는 재질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줄자마커의 정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줄마 마커의 회동 형상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상측몸체와 하측몸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하측몸체의 저면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줄자마커의 측면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줄자마커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눈금확인홀에 대한 사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는 줄자와 호환 가능하도록 줄자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저면에 구비된 마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줄자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몸체; 및 줄자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측몸체; 를 포함하되, 상기 하측몸체의 저면에 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몸체와 상기 하측몸체는 줄자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줄자마커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줄자마커(A)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줄자마커(A)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자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줄자(12)에 새겨진 치수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확인홀(120)이 구비된 상측몸체(100)와, 평면이 줄자(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저면에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마커(210)가 구비된 하측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측몸체(100)의 저면과 하측몸체(200)의 평면이 줄자(12) 상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줄자마커(A)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몸체(100)와 하측몸체(200)에 상호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측몸체(100)의 일 측면에 회동기둥(140)이 형성되고, 하측몸체(200)는 회동기둥(140)에 대응하는 일 측면에 회동홀(220)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하여 줄자(12) 상에 상측몸체(100)와 하측몸체(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측몸체(100)는 도 3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몸체(100)의 일 측면에 하측몸체(200)와 결합함에 있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회동기둥(140)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체결돌기(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측몸체(100)는 후술할 하측몸체(200)의 상측에 각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위치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상측몸체(100)와 하측몸체(200)가 결합함에 있어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하측몸체(200)는 판형으로 형성되면서 줄자(12)의 하측에 위치되고, 평면에는 각 모서리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고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위치고정 홀에 상측몸체(100)의 저면에 구비된 위치고정 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하측몸체(200)의 평면과 상측몸체(100)의 저면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측몸체(200)는 상측몸체(100)의 회동기둥(140)과 대응하는 측면에 회동홀(220)이 형성되어, 회동기둥(140)에 체결됨에 따라 상측몸체(100)와 하측몸체(200)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하측몸체(200)의 타 측면에는 상측몸체(100)에 형성된 체결돌기(150)와 대응하는 위치에 종단면이 'ㄱ' 자 형상을 가지는 체결고리(230)가 구비되어 상측몸체(100)에 형성된 체결돌기(150)의 상면에 체결고리(230)가 걸쳐짐에 따라 상측몸체(100)와 하측몸체(2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측몸체는 저면에 줄자(12)가 인출 가능하도록 줄자홈(110)이 형성되고, 하측몸체(200)의 저면에 구비된 마커(210)와 대응하는 지점 형성되는 눈금확인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확인홀(1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일 측면에서 타 측면을 향해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눈금표시구(121)가 형성되어, 줄자홈(110)을 따라 이동하는 줄자(12)에 새겨진 눈금을 눈금표시구(121)를 통해 확인하여, 줄자마커(A)를 원하는 지점에 위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눈금표시구(121)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몸체(200)에 구비된 마커(2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눈금확인홀(120)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을 향해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줄자(12)에 새겨진 눈금을 측정하기 위한 형상은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줄자(12)가 줄자케이스(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인출됨에 있어서, 상측몸체(100)는 인전한 후방에 위치된 줄자케이스(10)와 함께 사용자가 줄자마커(A)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파지부(130)는 상측 몸체의 후방측에 상방을 향해 돌출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30)는 눈금표시홀(120)의 후방에 줄자케이스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30)는 줄자마커(A)를 사용함에 있어 손가락이 지지되기 위하여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지는 제2 경사면(1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줄자케이스(10)에 구비된 고정구(11)가 동작함에 있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경사면(132)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가지는 제1 경사면(13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경사면(132)은 제1 경사면(131)의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는 줄자케이스(12)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가 줄자마커와 줄자케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하게끔 할 수 있다.
하측몸체(200)는 저면에 교체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마커(2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커(210)의 색상 또는 재질을 원활하게 변경시키기 위하여, 하측몸체(200)의 저면에 일 지점에 홀이 형성되고, 홀에 마커(210)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마커(210)가 하측몸체(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는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커(210)는 표시부와 체결부를 포함하고, 체결부는 하측몸체(200)의 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에 따라 마커(210)는 하측몸체(2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및 도 2 내지 도 10을 바탕으로 본 발명인 줄자마커(A)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줄자마커(A)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몸체(100)에 구비된 회동기둥(140)과 하측몸체(200)에 구비된 회동홀(220)이 결합됨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측몸체(100)와 하측몸체(200)를 회동시켜 분리시킨 후, 상측몸체(100)의 저면에 구비된 줄자홈(110)에 줄자(12)를 끼우고 상측몸체(100)의 저면과 하측몸체(200)의 평면을 맞닿도록 회동시키고, 상측몸체(100)에 구비된 체결돌기(150)에 하측몸체(200)에 구비된 체결고리(230)를 걸치게 함에 따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줄자마커(A)는 도 7 내지 고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자홈(110)의 높이는 줄자(12)의 일단에 결합된 고리쇠(13)는 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리쇠(13)가 줄자홈(110)의 입구에 걸리게 되며, 사용자는 줄자홈(110)을 따라 삽입된 줄자(12)를 전방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줄자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줄자마커(A)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확인홀(120)을 통해 줄자(12) 상에 대략적인 위치를 확인하고, 눈금표시구(121)를 통해 사용자는 마킹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맞춘 후, 줄자마커(A)를 가압함에 따라 하측몸체(200)에 구비된 마커(210)가 지정된 위치에 위치에 마킹될 수 있다.
A: 줄자마커
10: 줄자 케이스 11: 고정구
12: 줄자 13: 고리쇠
100: 상측몸체 110: 줄자 홈
120: 눈금확인홀 121: 눈금표시구
130: 파지부 131: 제1 경사면
132: 제2 경사면 140: 회동기둥
150: 체결돌기
200: 하측몸체 210: 마커
220: 회동홀 230: 체결고리

Claims (5)

  1. 줄자(12)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몸체(100);
    줄자(12)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측몸체(200); 를 포함하되,
    상기 하측몸체(200)의 저면에 마커(210)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몸체(100)와 상기 하측몸체(200)는 줄자(12)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마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몸체(100)는 상기 마커(210)와 대응하는 지점에 눈금확인홀(1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마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확인홀(120)은 폭 방향으로 내측에 눈금표시구(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마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210)는 교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마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자(12)는 줄자케이스(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인출되며,
    상기 상측몸체(100)는 인접한 후방에 위치된 줄자케이스(12)와 함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130)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를 가지는 제1 경사면(131)과, 상기 제1 경사면(131)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가지는 제2 경사면(1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마커.
KR1020220045204A 2022-04-12 2022-04-12 줄자마커 KR20230146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204A KR20230146329A (ko) 2022-04-12 2022-04-12 줄자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204A KR20230146329A (ko) 2022-04-12 2022-04-12 줄자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329A true KR20230146329A (ko) 2023-10-19

Family

ID=8850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204A KR20230146329A (ko) 2022-04-12 2022-04-12 줄자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3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27Y1 (ko) 2018-11-05 2019-09-27 신영측기(주) 마커를 구비한 줄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27Y1 (ko) 2018-11-05 2019-09-27 신영측기(주) 마커를 구비한 줄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853B2 (en) Picture hanger placement device
US6473983B1 (en) Leveling device
US6178655B1 (en) Marking attachment for measuring system
US5671543A (en) Tape measure mark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5829152A (en) Integrated measuring and marking system
US5477619A (en) Tape measure marking attachment
US3063157A (en) Marker for measuring tape
US20010042315A1 (en) Tape measuring device
US7191530B1 (en) Compass assembly
US5915807A (en) All-in-one drawing apparatus
GB2121178A (en) Tape measure
US9086265B2 (en) Tape measure multi-tool
US7676950B2 (en) Carpenters square with tape measure
US20150113821A1 (en) Marking Implement For Measuring Apparatus
US20070124950A1 (en) Measurement marking holes apparatus and method
US20030009899A1 (en) Easy measurement tape
US5050309A (en) Rolling ruler having a retractable and rotatable pivot pin
KR100964405B1 (ko) 제도용 줄자
KR20230146329A (ko) 줄자마커
US7080459B1 (en) Thread ruler and a multi-function drafting instrument
JP3174564U (ja) マーカー付き長さ測定器
JP3170409U (ja) 巻尺に付設する印字機構及び印字機構付き巻尺
CN211824163U (zh) 一种建筑设计用多功能尺
CN209166255U (zh) 一种便于携带的游标卡尺
KR101172425B1 (ko) 눈금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