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761A -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761A
KR20230145761A KR1020220044539A KR20220044539A KR20230145761A KR 20230145761 A KR20230145761 A KR 20230145761A KR 1020220044539 A KR1020220044539 A KR 1020220044539A KR 20220044539 A KR20220044539 A KR 20220044539A KR 20230145761 A KR20230145761 A KR 20230145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information
learning
content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창범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761A/en
Publication of KR2023014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76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강화시키고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하여, 학습자 맞춤형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to a technology that can provide customiz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to learn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and support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Description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쓰임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that can provide customized motivational content to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in a situation where the need for online education is increasing and its use is increasing. It relates to learne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최근들어 온라인을 통한 수업 진행이 늘어남에 따라,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강화 방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Recently, as the number of online classe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motivation-boosting measures to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is increasing.

이러한 학습자의 학습 동기 강화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 진도, 현재 동일한 온라인 콘텐츠를 학습하고 있는 다른 학습자와의 비교를 통한 성취 정도, 과거 동일한 온라인 콘텐츠를 학습한 다른 학습자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예상 성과 등을 종합하여 현재 학습자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to strengthen the learning motivation of such learners,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degree of achievement compared to other learners who are currently learning the same online content, expected performance based on data of other learners who have studied the same online content in the past, etc. It is necessary to support current learners by combining the above.

그렇지만, 종래에는 단순히 학습자의 온라인 콘텐츠를 청취하는 태도만을 분석하거나, 온라인 콘텐츠를 통한 학습 이력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질의응답을 통한 취약점을 분석하여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support learners' online learning by simply analyzing the learner's attitude toward listening to online content, or by identifying learning history through online content and analyzing vulnerabilities through question and answer accordingly.

즉, 종래의 기술들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른 학습자들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하는 학습자의 학습을 저해시키는 유혹을 차단하거나, 학습 결과에 따른 보상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conventional technologies block temptations that hinder the learner's learning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learners, or provide compensation based on learning results.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학습자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정보 제공을 수행하거나, 단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을 달성하고자 하나, 제공되는 데이터에 따라, 자기 주도적 학습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attempt to achieve self-directed learning by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or providing simple rewards without considering the learner's emotions, but depending on the data provided, they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re is a problem.

이와 관련해서, 국내공개특허 제10-2021-0034281호("MOOC와 플립러닝을 지원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율 제고를 위한 학습 관리 및 보상 시스템"에서는 MOOC와 플립러닝을 지원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학습 관리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학습 콘텐츠를 시청한 학습자의 학습정보를 저장하고, 과목별/목차별로 시청완료율과 학습완료율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자가 학습이 필요한 부분을 인지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차별화된 보상을 지급하여 학구열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34281 (“Learning management and reward system for increasing learner participation rate in social media platforms supporting MOOC and flipped learning” refers to social media supporting MOOC and flipped learning. By providing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on the platform, the learning information of learners who watched the learning content is stored, and the viewing completion rate and learning completion rate are analyzed by subject/subject and provided to the learner so that the learner can recognize the areas in which learning is needed. We are launching a technology to increase academic enthusiasm by providing differentiated compensation.

국내 공개 특허 제10-2021-0034281호 (공개일자 2021.03.30.)Domestic public patent No. 10-2021-0034281 (publication date 2021.03.3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정량적으로 계산하여,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for online learning provided to the learner, and based on this,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To provide a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customized motivational content to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연계되어 있는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송받는 학습자 정보 수집부,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 항목 별 기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는 상태 연산부,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부 및 추출한 상기 콘텐츠를 해당하는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a linked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 stat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learning state score for each learner using a preset weight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d a pre-stored motivational content database,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st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ent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content to strengthen motivation for each learner using the score, and a content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extracted content to a terminal owned by the corresponding learner.

더 나아가, 상기 상태 연산부는 온라인 수업에 따라, 각 항목 별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desirable for the state calculation unit to set different weights for each item depending on the online class.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생성되어 있으며,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의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는 그룹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그룹 대화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is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from a linked SNS server and further includes a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a group chat room in which a large number of learners of the corresponding online class participate. It is desirable to do so.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그룹 대화 수집부에 의한 대화 정보로부터 각 학습자 별 그룹 대화방에서의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extracts information related to conversation participation in the group chat room for each learner from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and includes it as the online learning related information.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 생성되는 개별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개별 대화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를 통해서 상기 개별 대화방을 생성하되, 상기 개별 대화방은 기입력된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와 온라인 수업을 관리하는 외부 관리자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질의 정보에 의한 응답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을 통해 상기 대화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further includes an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individual chat rooms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a linked SNS server, and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is linked to The individual chat room is created through an SNS server, and the individual chat room responds to inquiry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based on the online class-related data entered and the online class-related data updated from the external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online class. It is desirable for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to be generated through a chatbot that provides information.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개별 대화 수집부에 의한 대화 정보로부터 각 학습자 별 개별 대화방에서의 대화 참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extracts conversation participation information in an individual chat room for each learner from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and includes it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추출부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기 전, 기설정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수단을 통해서 입력되는 응답 정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를 분석하는 학습자 성향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transmits preset survey data to the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the learner before extracting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content extraction unit, and transmits the data in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a learner disposition management unit that analyzes response information and analyzes dis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더 나아가, 상기 콘텐츠 추출부는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점수 및 분석한 상기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content extraction unit preferably extracts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using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the learning status score, and the analyzed tendency information from a pre-stor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database.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성향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 전송부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로 추출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한 후, 상기 상태 연산부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 학습 상태 점수를 재연산하여, 재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learner tendency management unit transmits the content extracted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recalculates the learning state score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state calculation unit, and uses the recalculated learning state score. , it is desirable to update the tendency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수행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학습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 정보 수집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온라인 관리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송받는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 상태 연산부에서,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린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항목 별 상이하게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학습자 별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는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 콘텐츠 추출부에서,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에 의해 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에 따른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 단계(S300) 및 콘텐츠 전송부에서, 상기 콘텐츠 추출 단계(S300)에 의해 추출한 콘텐츠를 해당하는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단계(S400)를 포함하며, 각 온라인 수업 별 학습 진도에 따라,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using a learner management system performed on a computer, in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In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of receiving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the state calculation unit use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to preset differently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item. A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of calculating a learning state score for each learner by applying weights, and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by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using a pre-stored motivational content database in the content extractor. and a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of extracting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te score calculated by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and a content transmission unit extracting content by the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It includes a content transmission step (S400) of transmitting content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corresponding learner, and it is desirable to repeat the above steps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of each online class.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관리 방법은 그룹 대화 수집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생성되어 있으며,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의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는 그룹 대화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그룹 대화 전송 단계(S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상기 그룹 대화 전송 단계(S110)에 의한 대화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그룹 대화방에서의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generates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from a connected SNS server in the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and information about conversations taking place in a group chat room in which a large number of learners of the corresponding online class participate. It further includes a group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10), wherein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use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from the group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10)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conversation participation in the group chat room for each learner. It is desirable to extract and include it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관리 방법은 개별 대화 수집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로 생성되어 있는 개별 대화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상기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에 의한 대화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includes an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in which conversation information taking place in an individual chat room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is transmitted from the linked SNS server in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It further includes that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use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from the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to extract conversation participation-related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and include it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desirable.

더 나아가, 상기 개별 대화방은 기입력된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와 온라인 수업을 관리하는 외부 관리자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질의 정보에 의한 응답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을 통해 상기 대화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individual chat room is provided through a chatbot that provides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inquiry information input from learners based on online class-related data entered and online class-related data updated by an external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online class. It is desirable for conversation information to be generated.

더 나아가, 상기 콘텐츠 추출 단계(S300)는 학습자 성향 관리부에서, 기설정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수단을 통해서 입력되는 응답 정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를 분석하는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 및 콘텐츠 추출부에서,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에 의해 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 및 상기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에 의한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선별 단계(S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the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the learner propensity management unit transmits preset survey data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learner, analyzes respons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erminal, and determines the propensity of each learner. Information related to online learning in the learner tendency analysis step (S310) of analyzing information and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using the pre-stor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database in the content extraction unit. and a content selection step (S320) of extracting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using the learning state score calculated by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and the tendency information by the learner tendency analysis step (S310). ) is preferably included.

더 나아가, 상기 학습자 관리 방법은 상기 콘텐츠 전송 단계(S400)를 통해서 상기 콘텐츠 선별 단계(S320)에 의해 추출한 콘텐츠를 전송하고 난 후,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를 재수행하여, 새롭게 연산한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에 의한 성향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콘텐츠 선별 단계(S320)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transmits the content extracted by the content selection step (S320) through the content transmission step (S400), and then performs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and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content selection step (S320) by re-performing and updating the tendency information by the learner tendency analysis step (S310) using the newly calculated learning state scor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받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특히,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고, 학습 과정을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생성되는 대화방에서의 학습자 참여 태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 맞춤형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motes th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who receive online content and participates in online classes, especially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stops the learning process halfway. In order to help students complete the course without giving up,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customized motivational content to learners by utilizing learner participation attitude data in the chat room generated while the online class is in progress.

특히, 학습에 방해가 되는 유혹을 차단하는 형태의 기존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과는 달리, 현재 학습자의 학습 상태에 맞추어 적절한 담화,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하는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강화시켜, 학습자가 스스로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unlike existing self-directed learning methods that block temptations that interfere with learning, we provid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that includes appropriate discourse, images, and videos according to the learner's current learning status, thereby motivating the learner.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learners to proce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to the end without giving up midw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diagram showing a learn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dditionally,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ttached drawi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are omitted.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In addition, a system refers to a set of components including devices, mechanisms, and means that are organized and interact regularly to perform necessary fun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받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특히,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고, 학습 과정을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생성되는 대화방에서의 학습자 참여 태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 맞춤형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urage th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who receive online content and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especially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give up the learning process midway. This is about a technology that can provide customized motivational content to learners by utilizing learner participation attitude data in chat rooms generated while online classes are in progress, in order to complete the course without having to do so.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학습에 방해가 되는 유혹을 차단하는 형태의 기존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과는 달리, 현재 학습자의 학습 상태에 맞추어 적절한 담화,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하는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강화시켜, 학습자가 스스로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existing self-directed learning methods that block temptations that interfere with learning, provide appropriate discourse, images, and videos tailored to the learner's current learning state. By providing motivation-enhancing content that includes, you can strengthen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llowing the learner to proce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to the end without giving up midw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에 의한 타이밍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Figure 1 is an exampl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timing diagram of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를 통해서, 또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수자(강의자, 선생님 등)로부터,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 동기를 강화시키기 위한 학습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해당하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10)와 연계되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rough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learning content to learners, or from an instructor (lecturer, teacher, etc.) that creates learning content provided to learners. , when it is desired to receive a learner management service to strengthen the learner's motiv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10 that provides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 상태 연산부(200), 콘텐츠 추출부(300) 및 콘텐츠 전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성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통합 서버 등)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각 구성들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처리수단에 각각 또는 통합 포함되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 status calculation unit 200, a content extraction unit 300, and a content transmission unit 400.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configurations are operated by a server (integrated server, etc.) that provides a learner management servic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be individually or integratedly included in at least one operation processing means including a computer to perform the operation.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To learn more about each configuration,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되어 있는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preferably receives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a connected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이 때,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는 각 학습자에게 요청에 의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제공한 학습 콘텐츠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학습 콘텐츠 이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referably provides learning content upon request to each learner, analyzes the provided learning content, and generates learning content comple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는 연계되어 있는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되, 개인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로그인 과정 등을 수행한 후,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requests transmission of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to the connected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but since it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etc., after performing the login process, etc., for each online class, Each learner will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online learning.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는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로부터 학습자를 특정할 수 있는 ID, 이름,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 각 학습자 별 학습 콘텐츠 이수 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어떤 온라인 수업인지 특정할 수 있도록 온라인 수업 콘텐츠 제목, 교수자 이름 등도 전송받게 된다.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receives learn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D, name, age, and gender that can identify the learner, and learning content comple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from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It is desirable, and of course, you will also receive the online class content title and instructor name so that you can specify which online class it is.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는 상술한 정보들을 분석하여,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로, 출결 정보 및 과제 제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상태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alyzes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and derives learn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ttendance information and assignment submission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이 때, 동일한 학습자에 대해서 각 온라인 수업 별로 상기 학습 상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은, 모든 수업에 대해 흥미가 발생할 수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동일한 학습자라 할지라도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각 학습 상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deriving th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for the same learner may be interesting for all classes, but in reality, this is often not the case, so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even for the same learner It is desirable to deriv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상기 상태 연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부터 도출한 상기 학습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학습 상태 정보를 이루고 있는 각 항목 별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기반으로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status calculation unit 200 receives th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performs the learning It is desirable to calculate the learning status score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based on the preset weight for each item constituting the status information.

상기 상태 연산부(200)에서 가중치를 기반으로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는 과정에 대해서 일 예를 들자면, 출결 정보(출석일수/수업일수), 과제 마감일 기준으로 과제 제출 기한 정보(마감일 전/마감일 당일/마감일 후/미제출), 과제 채점 점수 등에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되며, 각 항목별 가중치를 합산하여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게 된다.As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learning state score based on the weight in the state calculation unit 200, attendance information (number of days of attendance/number of class days), assignment submission deadline information based on the assignment deadline (before the deadline/on the day of the deadline/ After the deadline/not submitted), assignment grading scores, etc. are weighted according to importance, and the learning status score is calculated by adding up the weights for each item.

상기 가중치는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항목별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가중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의 난이도, 과제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weights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item depending on the online class, and it is most desirable for the instructor creating the learning content to set the weights by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the online class and the difficulty of the assignment.

상기 콘텐츠 추출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부터 도출한 상기 학습 상태 정보와, 상기 상태 연산부(200)에서 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extraction unit 300 extracts the information related to online learning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n a pre-stored motivational content database. It is desirable to extract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using learn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state score calculated by the state calculation unit 200.

이 때, 미리 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는, 학습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를 들자면, "A(특정 학습자 이름)는 온라인 수업 B를 이수하고 있는 학습자 중 C 번째로 과제 제출한 early bird입니다." 등과 같은 텍스트, 'early bird' 배지 이미지, 과제 제출 순서를 강조한 그래프, 사진, 영상, 다음 과제의 힌트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동기강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기강화 콘텐츠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수자로부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을 입력받거나, 과거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던 학습자들에게 가장 호응/반응이 좋았던 동기강화 콘텐츠를 별도로 관리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pre-stor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database may include text, images, and videos that can enhance learning motivation. For example, "A (specific learner's name) completes online class B. "I am an early bird who submitted the assignment C among the learners." It is desirable to includ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including text such as 'early bird' badge image, graphs emphasizing the order of assignment submission, photos, videos, hint data for the next assignment, etc. These motivation-enhancing contents receive text, images, and videos containing the message they want to provide to learners from the instructor who creates the learning content, or they select th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that was most popular/responsive to learners who have taken online classes in the past. It can be managed separately, but this is not limited.

상기 콘텐츠 전송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추출부(300)에서 추출한 상기 콘텐츠를 해당하는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400 preferably transmits the content extracted from the content extraction unit 300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corresponding learner.

이 때, 상기 콘텐츠 전송부(400)는 사전에 사용자로부터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이 가능한 단말수단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 추출부(300)에서 추출한 상기 콘텐츠(동기강화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특히,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 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400 receives information on a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synchronization content from the user in advance, and based on this, the content extracted by the content extraction unit 300 (synchronization content ) can be provided to learners to strengthen th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online classes, especially for self-directed lear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구성들을 통해서도 충분히 학습자 맞춤형 학습동기 강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나, 학습자의 상태를 보다 심도있게 분석하여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강화 뿐 아니라,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에 대한 교수자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생성되는 대화방에서의 학습자 참여 태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 맞춤형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provide learner-tailored learning motivation-reinforcing conte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but by analyzing the learner's status more in-depth, it not only strengthens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but also provides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n instructors to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learner-tailored motivational content can be provided by utilizing learner participation attitude data in chat rooms generated during online classe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대화 수집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500, as shown in FIG. 1.

상기 그룹 대화 수집부(500)는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20)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생성되어,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하고 있는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는 그룹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500 is generated for each online class from the linked SNS server 20 and transmits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a group chat room in which a number of learners learn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online class participate. It is desirable to receive it.

즉, 학습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통합 서버 등)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10)와 연계하여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SNS 서버(20)와 연계하여 관련 그룹 대화방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while an online class is in progress in connection with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10, a server (integrated server, etc.) providing a learner management service creates a related group chat room in connection with the SNS server 20.

상기 그룹 대화방은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라인 만남을 대신하여 생성되는 대화방으로서, 학습자들 간의 대화를 통해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group chat room is a chat room created in place of an offline meeting while an online class is in progress, and information is generally exchanged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learners.

일 예를 들자면, A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8주 동안 카카오톡을 통해서 A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10 명의 학생이 일명 '오픈 채팅방'에 참여하여, 온라인 수업에 관한 정보(과제 제출 기한, 현재 콘텐츠 진도, 다음 콘텐츠 예상 진도 등)에 대한 대화가 이루어지게 된다.For example, during the 8 weeks that online class A was in progress, 10 students participating in online class A participated in the so-called ‘open chat room’ through KakaoTalk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lass (assignment submission deadline, current content progress, etc.) , expected progress of the next content, etc.).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그룹 대화 수집부(500)는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하고 있는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는 그룹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대화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로 전송하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the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500 collect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a group chat room in which a number of learners learn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online class participate, and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will be transmitted to.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는 상기 그룹 대화 수집부(500)에 의한 상기 대화 정보로부터 상기 그룹 대화방에서 그룹 대화를 참여하고 있는 각 학습자 별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는 도출한 상기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시키고, 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로 전체 대화 정보 중 참여 대화의 비중 정보, 참여 대화의 학습 연관도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학습 상태 정보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erives conversation participation-related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participating in the group conversation in the group chat room from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500.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ncludes the derived conversation participation-related information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alyzes thi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oportion of participation conversations among the total conversation information and learning relevance information of participation conversations for each learner. It is desirable to derive it and include it as the learning state information.

일 예를 들자면, 상기 그룹 대화방이 온라인 수업에 의한 그룹 과제가 부여됨에 따라 생성되었을 때, 그룹 과제에 따른 대화 내용이 상이한 점을 고려하게 된다. 즉, 그룹 과제가 부여된 직후에는, 그룹 과제가 무엇인지,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관련 자료 조사 등에 대한 대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어느 정도 진행되는 시점에서는 문제 해결 방법, 실험 방법 등에 대한 대화 내용이 나타나게 되며, 그룹 과제 제출(발표) 직전에는, 과제 작성, 결과 내용 공유 등에 대한 대화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group chat room is created as a group task is assigned in an online class, the difference in convers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group task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ther words, immediately after a group task is assigned, the conversation is mainly about what the group task is, how to approach it, researching related data, etc., and at a certain point, the conversation is about problem solving methods, experiment methods, etc. Immediately before group assignment submission (announcement), conversations about writing assignments, sharing results, etc. appear.

일반적으로 과제는 특정 문제를 가지고 매 수업마다 반복 적용되기 때문에, 대화 정보의 분석을 토대로 학습 콘텐츠(그룹 과제 등)에 관련이 있는 대화를 하고 있는지, 다시 말하자면, 학습 콘텐츠에 연관이 있는 유의미한 내용의 대화 내용인지 판별(학습 연관도 정보 도출)하여 전체 대화 정보 중 참여 대화의 비중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화 정보에 대한 분석으로, 자연어 처리 또는, 형태소 분석 등을 통해, 그룹 대화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룹 대화를 구성하고 있는 단어를 추출하여 활용하게 된다.In general, assignments have specific problems and are repeatedly applied to each class, so based on the analysis of convers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conversations are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group assignments, etc.), or in other words, whether meaningful content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is being discussed. You can determine whether it is a conversation content (derive learning relevance information) and analyze the proportion of participating conversations among the total convers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by analyzing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the content of the group conversation is analyz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r morphological analysis, and the words that make up the group conversation are extracted and utilized.

또다른 예를 들자면, 상기 그룹 대화방이 온라인 수업에 의한 단순 오픈 채팅방일 경우, 특수한 목적이 있는 그룹 과제에 관한 질문이 아닌,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하고 있는 다수의 학습자가 학습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진행되는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로 전체 대화 정보 중 참여 대화의 비중 정보, 참여 대화의 학습 연관도 정보를 도출함에 있어서, 질의 정보에 대한 일부 응답 정보가 학습 콘텐츠 자체에는 연관이 있으나, 잘못된 정보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참여 대화의 비중 정보와 학습 연관도 정보를 높을 수 있으나, 이러한 도출 정보가 해당하는 학습자의 제대로 된 평가 점수로 이어지는 것은 신뢰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To take another example, if the group chat room is a simple open chat room for an online class, rather than asking questions about group assignments with a special purpose, many learners learning through the online class ask various opinions about the learning content. Giving and receiving is common. At this time, in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ongoing conversation and deriving information on the proportion of participatory conversation among the total conversation information and learning relevance information of the participatory conversation for each learner, som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question information is not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itself.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formation is incorrect, and in this case, the proportion information of participating conversations and the learning relevance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but there may be problems with reliability if such derived information leads to the correct evaluation score of the corresponding learner.

그렇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의 다양한 실험 결과, 학습 콘텐츠 자체에, 다시 말하자면, 온라인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려는 의지가 없는, 즉, 동기 부여가 되지 않은 학습자의 경우, 잘못된 정보를 응답 정보로 제공하는 대화 조차 참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그룹 대화의 참여 정도 분석을 통해서 충분히 해당하는 학습자에 대한 학습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as a result of various experiments with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content itself, that is, in the case of unmotivated learners who are not willing to participate actively in online classes, contains incorrect inform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did not even 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provided a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analyz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learner by analyz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group conversation.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대화 수집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600, as shown in FIG. 1.

상기 개별 대화 수집부(600)는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30)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로 생성되는 개별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600 receives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individual chat rooms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the linked SNS server 30.

이 때,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20)와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30)는 동일한 서버여도 무관하며,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linked SNS server 20 and the linked SNS server 30 may be the same server, and this is not limited.

상기 개별 대화 수집부(600)는 학습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통합 서버 등)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10)와 연계하여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SNS 서버(30)와 연계하여 관련 개별 대화방을 생성하게 된다.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10 on a server (integrated server, etc.) that provides learner management services and is connected to the SNS server 30 while an online class is in progress. An individual chat room is created.

상기 개별 대화방은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라인 만남을 대신하여 생성되는 대화방으로서, 질의응답을 위한 대화방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dividual chat room is a chat room created in place of an offline meeting while an online class is in progress, and is preferably a chat room for Q&A.

즉, 상기 개별 대화방은 미리 입력된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일 예를 들자면, 강의 계획 정보)와 온라인 수업을 관리하는 외부 관리자(교수자 등)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일 예를 들자면, 수업 진행에 의한 실제 수업 진도 정보, 발생한 과제 관련 정보 등)를 기반으로 챗봇 학습이 이루어지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질의 정보에 대응하여 챗봇이 응답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대화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chat room contains pre-entered online class-related data (for example, lesson plan information) and online class-related data (for example, class progress) updated from an external administrator (instructor, etc.) who manages the online class. It is desirable that chatbot learning is carried out based on actual class progress inform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asks that have occurred, etc., and that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chatbot providing response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quiry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일 예를 들자면, 상기 개별 대화방을 통해서 학습자는 수업에 관련된 질의 정보(과제 제출 마감일, 현재 출석 상황, 학습 진도, 학습 그룹 내에서 자신의 성취 정도 등)를 입력하게 되며, 챗봇이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대화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For example, through the individual chat room, learners enter inqui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ass (assignment submission deadline, current attendance status, learning progress, level of achievement within the learning group, etc.), and the chatbot provides response information.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is created by providing .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개별 대화 수집부(600)는 해당하는 개별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대화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로 전송하게 된다.Considering this,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600 collect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chat room and transmits it to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는 상기 개별 대화 수집부(600)에 의한 상기 대화 정보로부터 각 학습자 별 개별 대화방에서의 대화 참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extracts conversation participation information in individual chat rooms for each learner from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600 and includes it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이 후,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는 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로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의 적극도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학습 상태 정보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wa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alyzes this, derives information on the activity level of the online class corresponding to each learner, and includes it as th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물론, 상기 상태 연산부(200)는 상술한 참여 대화의 비중 정보, 참여 대화의 학습 연관도 정보, 적극도 정보 등에 대해서도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게 된다.Of course, the state calculation unit 200 calculates the learning state score for each learner using preset weights for the above-described weight information of participation conversations, learning relevance information of participation conversations, and activeness informati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트 추출부(300)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기 앞서서, 각 학습자 별 개인화된 동기강화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하여 성향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성향 관리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personaliz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for each learner prior to extracting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content extraction unit 300. information is analyzed.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earner tendency management unit 700.

학습자 성향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동기강화 콘텐츠라 할지라도 영상으로 제공할 때와 텍스트로 제공할 때의 동기강화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epending on the learner's tendency, even if th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is the same, th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may be different when provided as a video and as a text, so it is desirable to perform an analysis on this.

상기 학습자 성향 관리부(700)는 미리 설정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수단을 통해서 입력되는 응답 정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arner propensity management unit 700 transmits preset survey data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learner, analyzes respons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erminal, and analyzes propensity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상기 설문조사 데이터는 일종의 심리 분석으로, 학습자가 텍스트, 영상, 이미지 중 선호하는 콘텐츠 형태, 선호하는 콘텐츠 길이 등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rvey data is a type of psychological analysis, and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learner's preferred content type among text, video, and image, and preferred content length.

상기 설문조사 데이터의 일 예를 들자면, '과제 제출을 늦어본 적이 없다'에 대한 응답 문항을 유도하여, 해당하는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교과목 게시판을 통하여 학습 정보를 획득하는 편이다', 'SNS를 사용하여 학습 정보를 획득하는데 익숙한 편이다'에 대한 응답 문항을 유도하여, 해당하는 학습자의 학습 패턴에 대한 기본적인 성향을 파악/분석하게 된다.As an example of the survey data, basic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s self-direction can be analyzed by deriving a response to 'I have never been late in submitting an assignment', and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subject bulletin board'. By eliciting response questions such as 'I tend to acquire learning information using SNS' and 'I am accustomed to acquir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SNS', the basic tendency of the relevant learner's learning pattern is identified/analyzed.

뿐만 아니라, '백분위에 어이데 속하는지 관심이 있는 편이다'에 대한 응답 문항을 유도하여, 해당하는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 관심을 분석할 수 있으며, '문자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익숙한 편이다', '인포그래픽스를 선호하는 편이다'에 대한 응답 문항을 유도하여, 해당하는 학습자의 선호하는 동기강화 메시지의 종류(콘텐츠 형태 등)를 분석하게 된다.In addition, you can analyze the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achievement by deriving response questions such as 'I am interested in what percentile I belong to' and 'I am accustomed to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text.' ', 'I tend to prefer infographics' are derived to analyze the type of motivational message (content type, etc.) preferred by the corresponding learner.

물론, 상술한 설문조사 데이터의 질의 정보들은 일 예에 불과할 뿐, 학습자의 성향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질의 정보를 통해 응답 문항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question information in the above-mentioned survey data is only an example, and response questions can be derived through various question information to analyze the learner's tendency information, but this is not limited.

상기 콘텐츠 추출부(300)는 상기 학습자 성향 관리부(700)에서 분석한 상기 성향 정보까지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extraction unit 300 extracts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by using the tendency information analyzed by the learner tendency management unit 7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공된 동기강화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motivational content, but also determines changes in the learner's status with respect to the provided motivational content.

상세하게는,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전송부(400)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로 추출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한 후, 상기 상태 연산부(200)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재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자 성향 관리부(700)는 재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학습 상태 점수가 소정 기준치 이상이면서, 이전 학습 상태 점수를 유지하거나, 상승할 경우, 제공된 동기강화 콘텐츠에 의해 학습의 동기강화가 이루어짐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상태 점수가 소정 기준치 이상이지만 이전 학습 상태 점수보다 낮아졌을 경우, 제공된 동기강화 콘텐츠에 의해 학습의 동기강화가 역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학습자 별 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In detail,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preferably transmits the content extracted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400 and then recalculates the learning status score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status calculation unit 200. do. The learner propensity management unit 700 updates propensity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using the recalculated learning status score. In other words, if the learning state sco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he previous learning state score is maintained or increase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tivation for learning has been strengthened by the provid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and the learning state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tandard. However, if the score is lower than the previous learning status sc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inforcement of learning motivation by the provided motivation reinforcement content has had an adverse effect, and through this, the dis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is upda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 콘텐츠 추출 단계(S300) 및 콘텐츠 전송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방법은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3 is an exemplary sequence diagram showing a learn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learning It is comprised of a state calculation step (S200), a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and a content transmission step (S400). Additionally, in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step is performed by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To learn more about each step,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100)에서, 연계되어 있는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In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receives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a connected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이 때,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는 각 학습자에게 요청에 의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제공한 학습 콘텐츠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학습 콘텐츠 이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rovides learning content upon request to each learner, analyzes the provided learning content, and generates learning content comple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연계되어 있는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되, 개인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로그인 과정 등을 수행한 후,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requests transmission of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to the connected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but since it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etc., after performing the login process, etc., for each online class, Each learner will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online learning.

상세하게는,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로부터 학습자를 특정할 수 있는 ID, 이름,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 각 학습자 별 학습 콘텐츠 이수 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어떤 온라인 수업인지 특정할 수 있도록 온라인 수업 콘텐츠 제목, 교수자 이름 등도 전송받게 된다.In detail, it is desirable to receive learn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D, name, age, and gender that can identify the learner, and learning content comple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from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Of course, You will also receive the online class content title and instructor name so that you can specify which online class it is.

상술한 정보들을 분석하여,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로, 출결 정보 및 과제 제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상태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By analyzing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learn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ttendance information and assignment submission information is derived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이 때, 동일한 학습자에 대해서 각 온라인 수업 별로 상기 학습 상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은, 모든 수업에 대해 흥미가 발생할 수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동일한 학습자라 할지라도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각 학습 상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deriving th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for the same learner may be interesting for all classes, but in reality, this is often not the case, so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even for the same learner It is desirable to deriv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대화 전송 단계(S110)를 더 수행하여, 상기 학습 상태 정보를 도출함에 있어서, 대화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erforms a group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10) and uses conversation information in deriving th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상세하게는, 상기 그룹 대화 전송 단계(S110)는 상기 그룹 대화 수집부(500)에서,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20)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생성되어,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하고 있는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는 그룹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In detail, the group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10) is generated for each online class from the SNS server 20 linked to the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500, and the number of people learn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online class You will receive conversation information that takes place in the group chat room in which the number of learners is participating.

즉, 학습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통합 서버 등)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10)와 연계하여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SNS 서버(20)와 연계하여 관련 그룹 대화방을 생성하게 된다.That is, while an online class is in progress in connection with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10, a server (integrated server, etc.) providing a learner management service creates a related group chat room in connection with the SNS server 20.

상기 그룹 대화방은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라인 만남을 대신하여 생성되는 대화방으로서, 학습자들 간의 대화를 통해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group chat room is a chat room created in place of an offline meeting while an online class is in progress, and information is generally exchanged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learners.

일 예를 들자면, A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8주 동안 카카오톡을 통해서 A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는 10 명의 학생이 일명 '오픈 채팅방'에 참여하여, 온라인 수업에 관한 정보(과제 제출 기한, 현재 콘텐츠 진도, 다음 콘텐츠 예상 진도 등)에 대한 대화가 이루어지게 된다.For example, during the 8 weeks that online class A was in progress, 10 students participating in online class A participated in the so-called ‘open chat room’ through KakaoTalk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lass (assignment submission deadline, current content progress, etc.) , expected progress of the next content, etc.).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그룹 대화 전송 단계(S110)는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하고 있는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는 그룹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대화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group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10) collect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a group chat room in which a number of learners learn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online class participate.

이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상기 그룹 대화 전송 단계(S110)에 의한 상기 대화 정보로부터 상기 그룹 대화방에서 그룹 대화를 참여하고 있는 각 학습자 별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Using this,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derives conversation participation-related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participating in the group conversation in the group chat room from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e group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10).

상세하게는, 도출한 상기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시키고, 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로 전체 대화 정보 중 참여 대화의 비중 정보, 참여 대화의 학습 연관도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학습 상태 정보로 포함하게 된다.In detail, the derived conversation participation-relate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d this is analyzed to derive information on the proportion of participation conversations among the total conversation information and learning relevance information of participation conversations for each learner, and thus the learning status. It is included as informati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를 더 수행하여, 상기 학습 상태 정보를 도출함에 있어서, 대화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erforms an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as shown in FIG. 3, and uses conversation information in deriving th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

상세하게는, 상기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는 상기 개별 대화 수집부(600)에서,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30)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로 생성되는 개별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이 때,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20)와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30)는 동일한 서버여도 무관하며,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detail, in the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600 collects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individual chat rooms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the linked SNS server 30. You will receive it. At this time, the linked SNS server 20 and the linked SNS server 30 may be the same server, and this is not limited.

상기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는 학습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통합 서버 등)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10)와 연계하여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SNS 서버(30)와 연계하여 관련 개별 대화방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개별 대화방은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라인 만남을 대신하여 생성되는 대화방으로서, 질의응답을 위한 대화방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is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NS server 30 while an online class is in progress in connection with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10 on a server (integrated server, etc.) providing a learner management service. An individual chat room is created. The individual chat room is a chat room created in place of an offline meeting while an online class is in progress, and is preferably a chat room for Q&A.

즉, 상기 개별 대화방은 미리 입력된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일 예를 들자면, 강의 계획 정보)와 온라인 수업을 관리하는 외부 관리자(교수자 등)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일 예를 들자면, 수업 진행에 의한 실제 수업 진도 정보, 발생한 과제 관련 정보 등)를 기반으로 챗봇 학습이 이루어지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질의 정보에 대응하여 챗봇이 응답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대화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chat room contains pre-entered online class-related data (for example, lesson plan information) and online class-related data (for example, class progress) updated from an external administrator (instructor, etc.) who manages the online class. It is desirable that chatbot learning is carried out based on actual class progress inform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asks that have occurred, etc., and that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chatbot providing response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quiry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일 예를 들자면, 상기 개별 대화방을 통해서 학습자는 수업에 관련된 질의 정보(과제 제출 마감일, 현재 출석 상황, 학습 진도, 학습 그룹 내에서 자신의 성취 정도 등)를 입력하게 되며, 챗봇이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대화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For example, through the individual chat room, learners enter inqui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ass (assignment submission deadline, current attendance status, learning progress, level of achievement within the learning group, etc.), and the chatbot provides response information.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is created by providing .

이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는 해당하는 개별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대화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Using this, the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collect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chat room.

이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상기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에 의한 상기 대화 정보로부터 각 학습자 별 개별 대화방에서의 대화 참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게 된다. 이 후,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로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의 적극도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학습 상태 정보로 포함하게 된다.Using this,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extracts conversation participation information in the individual chat room for each learner from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in the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and includes it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 Afterwards, in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this is analyzed to derive information on the activity level of the online class corresponding to each learner and included in th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상기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는 상기 상태 연산부(200)에서,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부터 도출한 상기 학습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학습 상태 정보를 이루고 있는 각 항목 별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기반으로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게 된다.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receives the learning stat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in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from the state calculation unit 200. , the learning status score for each learner is calculated for each online class based on the preset weight for each item constituting the learning status information.

일 예를 들자면, 출결 정보(출석일수/수업일수), 과제 마감일 기준으로 과제 제출 기한 정보(마감일 전/마감일 당일/마감일 후/미제출), 과제 채점 점수 등에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되며, 각 항목별 가중치를 합산하여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참여 대화의 비중 정보, 참여 대화의 학습 연관도 정보, 적극도 정보 등에 대해서도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게 된다.For example, attendance information (number of days of attendance/number of class days), assignment submission deadline information based on the assignment deadline (before the due date/on the day of the due date/after the due date/not submitted), assignment grading scores, etc. are weighted according to importance, and each item is weighted. The learning state score is calculated by adding up the star weights. Of course, the learning status score for each learner is calculated using preset weights for the above-mentioned proportion information of participation conversations, learning relevance information of participation conversations, and activeness information.

상기 가중치는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항목별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가중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의 난이도, 과제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weights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item depending on the online class, and it is most desirable for the instructor creating the learning content to set the weights by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the online class and the difficulty of the assignment.

상기 콘텐츠 추출 단계(S300)는 상기 콘텐츠 추출부(300)에서, 미리 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온라인 학습 관리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에 의해 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에 따른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게 된다.The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uses a pre-stored motivational content database in the content extractor 300, online learning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and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te score calculated by ).

상기 콘텐츠 추출 단계(S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 및 콘텐츠 선별 단계(S320)를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includes a learner tendency analysis step (S310) and a content selection step (S320).

이는,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기 앞서서, 각 학습자 별 개인화된 동기강화 콘텐츠를 추출하기 위하여 성향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즉, 학습자 성향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동기강화 콘텐츠라 할지라도 영상으로 제공할 때와 텍스트로 제공할 때의 동기강화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ior to extracting content to enhance motivation for each learner, the tendency information is analyzed to extract personalized motivation enhancement content for each learner.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learner's tendency, even if th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has the same content, th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may be different when provided as a video and as a text, so it is desirable to perform an analysis on this.

상기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는 상기 학습자 성향 관리부(700)에서, 미리 설정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수단을 통해서 입력되는 응답 정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설문조사 데이터는 일종의 심리 분석으로, 학습자가 텍스트, 영상, 이미지 중 선호하는 콘텐츠 형태, 선호하는 콘텐츠 길이 등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earner propensity analysis step (S310), the learner propensity management unit 700 transmits preset survey data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learner, analyzes respons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erminal, and analyzes each learner. Individual tendency information is analyzed. The survey data is a type of psychological analysis, and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learner's preferred content type among text, video, and image, and preferred content length.

상기 콘텐츠 선별 단계(S320)는 상기 콘텐츠 추출부(300)에서, 미리 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온라인 학습 관리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에 의해 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 및 상기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에 의해 분석한 상기 성향 정보까지 이용하여, 이에 따른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게 된다. The content selection step (S320) includes online learning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and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in the content extraction unit 300 from a pre-stored motivational content database. The learning state score calculated by and the disposition information analyzed by the learner disposition analysis step (S310) are used to extract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accordingly.

이 때, 미리 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는, 학습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를 들자면, "A(특정 학습자 이름)는 온라인 수업 B를 이수하고 있는 학습자 중 C 번째로 과제 제출한 early bird입니다." 등과 같은 텍스트, 'early bird' 배지 이미지, 과제 제출 순서를 강조한 그래프, 사진, 영상, 다음 과제의 힌트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동기강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기강화 콘텐츠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수자로부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을 입력받거나, 과거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던 학습자들에게 가장 호응/반응이 좋았던 동기강화 콘텐츠를 별도로 관리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pre-stor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database may include text, images, and videos that can enhance learning motivation. For example, "A (specific learner's name) completes online class B. “I am an early bird who submitted the assignment C among the learners.” It is desirable to includ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including text such as 'early bird' badge image, graphs emphasizing the order of assignment submission, photos, videos, hint data for the next assignment, etc. These motivation-enhancing contents receive text, images, and videos containing the message they want to provide to learners from the instructor who creates the learning content, or they select the motivation-enhancing content that was most popular/responsive to learners who have taken online classes in the past. It can be managed separately, but this is not limited.

상기 콘텐츠 전송 단계(S400)는 상기 콘텐츠 전송부(400)에서, 상기 콘텐츠 추출 단계(S300)에 의해 추출한 상기 콘텐츠를 해당하는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특히,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 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In the content transmission step (S400),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400 transmits the content extracted through the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corresponding learner. Through this, th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online classes can be strengthened, especially for self-directed lear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관리 방법은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공된 동기강화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top at providing motivational content, but preferably determines changes in the learner's status with respect to the provided motivational content.

상세하게는, 상기 학습자 관리 방법은 각 온라인 수업 별 학습 진도에 따라, 상술한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면서 가장 최적화된 동기강화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In detail,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repeatedly performs the above-described steps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of each online class, updating the tendency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and providing the most optimized motivational content.

즉, 상기 콘텐츠 전송 단계(S400)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로 추출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한 후, 상기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재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he content extracted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content transmission step (S400) and then recalculate the learning state score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상기 콘텐츠 추출 단계(S300)는 재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학습 상태 점수가 소정 기준치 이상이면서, 이전 학습 상태 점수를 유지하거나, 상승할 경우, 제공된 동기강화 콘텐츠에 의해 학습의 동기강화가 이루어짐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상태 점수가 소정 기준치 이상이지만 이전 학습 상태 점수보다 낮아졌을 경우, 제공된 동기강화 콘텐츠에 의해 학습의 동기강화가 역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학습자 별 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In the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tendency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is updated using the recalculated learning state score. In other words, if the learning state sco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the previous learning state score is maintained or increase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tivation for learning has been strengthened by the provid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and the learning state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tandard. However, if the score is lower than the previous learning status sc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inforcement of learning motivation by the provided motivation reinforcement content has had an adverse effect, and through this, the dis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is upd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N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matter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is patent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
20, 30 : SNS 서버
100 : 학습자 정보 수집부
200 : 상태 연산부
300 : 콘텐츠 추출부
400 : 콘텐츠 전송부
500 : 그룹 대화 수집부
600 : 개별 대화 수집부
700 : 학습자 성향 관리부
10: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30: SNS server
100: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200: Status operation unit
300: Content extraction unit
400: Content transmission unit
500: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600: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700: Learner tendency management department

Claims (15)

연계되어 있는 온라인 학습 관리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송받는 학습자 정보 수집부;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 항목 별 기설정된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는 상태 연산부;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부; 및
추출한 상기 콘텐츠를 해당하는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A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the linked online learning management server;
a state calculation unit that analyze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 preset weight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d calculates a learning status score for each learner;
A content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from a pre-stored motivational content database using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status score; and
a content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extracted content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corresponding learner;
Including, learner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연산부는
온라인 수업에 따라, 각 항목 별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state operation unit is
A learner management system that sets different weights for each item depending on the online cla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생성되어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의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는 그룹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그룹 대화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is
A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conversation information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and occurring in a group chat room in which a large number of learners of the corresponding online class participate from the linked SNS server;
Learner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그룹 대화 수집부에 의한 대화 정보로부터 각 학습자 별 그룹 대화방에서의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In clause 3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A learner management system that extracts information related to conversation participation in a group chat room for each learner from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and includes it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로 생성되는 개별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개별 대화 수집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를 통해서 상기 개별 대화방을 생성하되,
상기 개별 대화방은
기입력된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와 온라인 수업을 관리하는 외부 관리자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질의 정보에 의한 응답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을 통해 상기 대화 정보가 생성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In clause 4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is
An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individual chat rooms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the linked SNS server;
It further includes,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is
The above individual chat room is created through a linked SNS server,
The individual chat room i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a chatbot that provides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the inquiry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based on the online class-related data entered and the online class-related data updated by the external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online class. Management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개별 대화 수집부에 의한 대화 정보로부터 각 학습자 별 개별 대화방에서의 대화 참여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In clause 5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A learner management system that extracts conversation participation information in an individual chat room for each learner from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and includes it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추출부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기 전, 기설정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수단을 통해서 입력되는 응답 정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를 분석하는 학습자 성향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In clause 6
The learner management system is
Before extracting content to strengthen motivation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content extraction unit, preset survey data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the learner, respons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is analyzed, and each learner Learner tendency management department that analyzes individual tendency information;
Learner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출부는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점수 및 분석한 상기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7
The content extraction unit
A learner management system that extracts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from a pre-stored motivational content database using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the learning status score, and the analyzed tendency inform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성향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 전송부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로 추출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한 후,
상기 상태 연산부를 통해서 각 학습자 별 학습 상태 점수를 재연산하여, 재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7
The learner tendency management department
After transmitting the content extracted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A learner management system that recalculates the learning state score for each learner through the state calculation unit and updates the tendency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using the recalculated learning state score.
컴퓨터에서 수행하는 학습자 관리 시스템에 의한 학습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 정보 수집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온라인 관리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를 전송받는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
상태 연산부에서,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린 정보에 대해, 각 온라인 수업 별, 각 항목 별 상이하게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학습자 별 학습 상태 점수를 연산하는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
콘텐츠 추출부에서,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에 의해 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에 따른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 단계(S300); 및
콘텐츠 전송부에서, 상기 콘텐츠 추출 단계(S300)에 의해 추출한 콘텐츠를 해당하는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단계(S400);
를 포함하며,
각 온라인 수업 별 학습 진도에 따라,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는, 학습자 관리 방법.
In the learner management method using a learner management system performed on a computer,
A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in which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i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online management server in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 the state calculation unit, a learning state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learner by applying different preset weights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item to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Operation step (S200);
In the content extraction unit, motivation is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by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and the learning state score calculated by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using a pre-stored motivation enhancement content database. A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of extracting content for; and
A content transmission step (S400) of transmitting, in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the content extracted by the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corresponding learner;
Includes,
A learner management method that repeatedly performs the above steps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of each online clas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관리 방법은
그룹 대화 수집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생성되며,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의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고 있는 그룹 대화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그룹 대화 전송 단계(S11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상기 그룹 대화 전송 단계(S110)에 의한 대화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그룹 대화방에서의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학습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The above learner management method is
A group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10) in which the group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receives conversation information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from a connected SNS server and is taking place in a group chat room in which a large number of learners of the corresponding online class participate (S110) ;
It further includes,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is
A learner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extrac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versation participation in a group chat room for each learner using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e group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10) and including it as the online learning related inform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관리 방법은
개별 대화 수집부에서, 연계되어 있는 SNS 서버로부터, 각 온라인 수업 별로, 각 학습자 별로 생성되어 있는 개별 대화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화 정보를 전송받는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상기 개별 대화 전송 단계(S120)에 의한 대화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학습자 별 대화 참여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로 포함하는, 학습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The above learner management method is
An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in which the individual conversation collection unit receives convers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individual chat rooms created for each online class and each learner from a connected SNS server;
It further includes,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is
A learner management method that extracts conversation participation-related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using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e individual conversation transmission step (S120) and includes it as the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대화방은
기입력된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와 온라인 수업을 관리하는 외부 관리자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온라인 수업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질의 정보에 의한 응답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을 통해 상기 대화 정보가 생성되는, 학습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The individual chat room i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a chatbot that provides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the inquiry information input from the learner, based on the online class-related data entered and the online class-related data updated by the external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online class. How to manage.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출 단계(S300)는
학습자 성향 관리부에서, 기설정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수단을 통해서 입력되는 응답 정보를 분석하여, 각 학습자 별 성향 정보를 분석하는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 및
콘텐츠 추출부에서,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저장된 동기강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에 의한 온라인 학습 관련 정보와, 상기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에 의해 연산한 상기 학습 상태 점수 및 상기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에 의한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 별 동기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선별 단계(S320);
를 포함하는, 학습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or 12,
The content extraction step (S300) is
A learner tendency analysis step (S310) in which the learner tendency management unit transmits preset survey data to a terminal owned by the learner, analyzes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erminal, and analyzes the tendency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S310). ; and
In the content extraction unit, onlin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by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using the pre-stored motivation-enhancing content database, and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A content selection step (S320) of extracting content for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each learner using the calculated learning state score and the dis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earner disposition analysis step (S310);
Including, learner management metho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관리 방법은
상기 콘텐츠 전송 단계(S400)를 통해서 상기 콘텐츠 선별 단계(S320)에 의해 추출한 콘텐츠를 전송하고 난 후,
상기 학습자 정보 수집 단계(S100), 학습 상태 연산 단계(S200)를 재수행하여, 새롭게 연산한 학습 상태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성향 분석 단계(S310)에 의한 성향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콘텐츠 선별 단계(S320)를 수행하는, 학습자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The above learner management method is
After transmitting the content extracted by the content selection step (S320) through the content transmission step (S400),
The learne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0) and the learning state calculation step (S200) are re-performed, the newly calculated learning state score is used to update the tendency information in the learner tendency analysis step (S310), and the content selection step is performed. Learner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ing (S320).
KR1020220044539A 2022-04-11 2022-04-11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301457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539A KR20230145761A (en) 2022-04-11 2022-04-11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539A KR20230145761A (en) 2022-04-11 2022-04-11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761A true KR20230145761A (en) 2023-10-18

Family

ID=8850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539A KR20230145761A (en) 2022-04-11 2022-04-11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76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281A (en) 2019-09-20 2021-03-30 (주) 스터디티비 Learning management and reward system for improving learner participation rate in social media platform supporting MOOC and flip lear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281A (en) 2019-09-20 2021-03-30 (주) 스터디티비 Learning management and reward system for improving learner participation rate in social media platform supporting MOOC and flip lear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sood et al. Adapting agile practices in university contexts
Fee et al. Teaching computer science through problems, not solutions
US20140120511A1 (en) TeachAtCafe - TeaChatCafe, Transparent Digital and Social Media as an Open Network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ol with User Driven Content and Internet Content Submission Capability for Educators and Their Students
US20190347954A1 (e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Interaction with Online Educational Programs
Lyon et al. Women in coding boot camps: an alternative pathway to computing jobs
Fowler et al. Virtual interprofessional learning
CN101218616A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s
Brower et al. A pedagogy of preparation: Helping underprepared students succeed in college-level coursework in community colleges
Doran et al. “It’s all about the ganas”: Incorporating a Multicultural Curriculum in Developmental Education
Topali et al. “Houston, we have a problem”: Revealing MOOC practitioners' experiences regarding feedback provision to learners facing difficulties
Millett et al. Accelerated nursing degree programs: Insights into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Almuhanna Participants’ Perceptions of MOOCs in Saudi Arabia
Maruta et al. Training-of-trainers: a strategy to build country capacity for SLMTA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lessons from the field
Black Understanding how perceptions of power and identity influence student engagement and teaching in undergraduate art history survey courses
Crozier Designing effective online orientation programs for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KR20230145761A (en) Learne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829509B1 (en) Learning support system and learning support method
Baryanto et al. Responding to Trends in Digital-Based Classroom Learning: Efforts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of Indonesian Millennial Students at Bengkulu University
Dove et al. The potential of simulation assessmen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Else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remote-working companies: enhancing company onboarding through gamification
Dutton et al. Law School Pedagogy Post-Pandemic
Sirisuthikul Building a RICH Brand in 10 Hours: Teaching Sustainability Concepts through Thai MOOC
Kegelman Online courses at a community college: A study of student characteristics
Alvarez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Programming Tutor Based on an Instant Messaging Interface
Smallwood et al. Teaching technology in libraries: Creative ideas for training staff, patrons and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