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730A - the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 - Google Patents

the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730A
KR20230145730A KR1020220044455A KR20220044455A KR20230145730A KR 20230145730 A KR20230145730 A KR 20230145730A KR 1020220044455 A KR1020220044455 A KR 1020220044455A KR 20220044455 A KR20220044455 A KR 20220044455A KR 20230145730 A KR20230145730 A KR 2023014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drain pipe
pipe
drain
lowe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범종수
Original Assignee
범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종수 filed Critical 범종수
Priority to KR1020220044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730A/en
Publication of KR2023014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73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서 싱크대 하부관으로 연결된 배수구의 위치를 중앙에서 싱크대의 뒤쪽으로 옮긴 형태의 싱크대 설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싱크대의 하부관의 적제공간을 차지했던 배수구를 하부장 뒤쪽으로 옮겨, 수납 공간과 배수관을 분리시키고 오물이 바뀐 배수관 쪽으로 원활하게 모이도록 하기위해 개수대의 바닥면을 위치가 바뀐 배수관 쪽으로 경사지게 한 싱크대의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싱크대 하부장에서 사용되지 못했던 적재공간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하는 장점이 있고, 또한, 문틈 막대기의 위치 변화로 주방기구의 출입을 용이하게 돕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design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drain connected to the sink's lower pipe is moved from the center to the back of the sink. More specifically, the drain that occupied the loading space of the existing sink's lower pipe is replaced with a lower pipe. Moved to the rear, the sink features a design that separates the storage space from the drain pipe and slopes the bottom of the sink toward the relocated drain pipe to allow sewage to smoothly collect toward the changed drai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use all the loading space that was not used in the existing sink lower cabinet, and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entry and exit of kitchen utensil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oor gap bar.

Description

싱크대 하부장의 수납공간 확대를 위한 배수관 배치를 변동시킨 싱크대{the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A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

본 발명은 싱크대 하부장 수납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면서 수납시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게하는 배수관 위치를 변동시킨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의 위치를 싱크대 후면으로 배치하고 배수관 앞쪽에 추가로 문을 설치하여 수납공간 활용성의 향상과 주방의 능률을 더욱 높여줄 수 있도록 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with a changed drain pipe location that improves the usability of the storage space under the sink and makes it look neat when stored. More specifically, the drain pipe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ink and an additional doo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drain pipe. It is about a sink that improves storage space utilization and further increases kitchen efficiency.

사회가 점점 성장해가면서 사람들은 더 나은 주거 환경을 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주거환경에서의 생활 할 때의 편리함과 능률을 높이기 위해 주거가 따라서 발전해 왔고, 주거지 가장 핵심 역할이라고 할 수 있는 가사공간(주방) 역시 사용하기 편리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만드려는 시도는 계속 되고 있다.As society grows, people want better living environments. And housing has developed accordingly to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living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ttempts to make the domestic space (kitchen), which can be said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to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space are continuing. .

우리는 가사작업시에 주로 싱크대에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방에서 이루어지는 가사작업의 대부분이 싱크대와 부속 작업대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주방의 수납공간은 주방에서의 동선이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는 주방을 사용할 때에 냄비나 후라이팬 같은 무거운 조리 기구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싱크대를 중심으로 보다 효율적인 동선을 위한 수납공간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된다.Since we mainly use water from the sink when doing housework, most of the housework done in the kitchen is done at the sink and attached workbench. Additionally, the storage space in the kitchen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movement in the kitchen. Since we often use heavy cooking utensils such as pots and frying pans when using the kitchen,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storage space for more efficient movement around the sink.

하지만, 싱크대의 중앙에서 하부장까지 연결 되어있는 배수관은 하부장의 수납공간 면적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줄이는데 이와 함께 하부장 중간에 문틈 막대가 있는 경우는 입구의 면적을 반으로 줄여 부피가 큰 조리도구나 식기를 꺼낼 때에 걸려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However, the drain pipe connected from the center of the sink to the lower cabinet occupies a large amount of space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cabinet, reducing space utilization. Additionally, if there is a door gap bar in the middle of the lower cabinet, the area of the entrance is halved, reducing the volume. It gets caught when taking out large cooking utensils or dishes, causing discomfort.

보통 싱크대 하부장에 수납하는 주방기구들은 대부분 프라이팬과 냄비같은 무겁고 큰 기구들로 빼고 넣을 때 넓은 입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문틈 막대기는 하부장 중간이 아닌 문이나 상단에 설치하면 주방기구를 하부장에서 꺼낼 때 방해받지 않게 된다.Most kitchen utensils stored in the cabinet below the sink are heavy and large, such as frying pans and pots, and require a wide opening to remove and insert them. Therefore, if the door gap bar is installed on the door or top of the lower cabinet rather than in the middle of the lower cabinet, it will not be disturbed when taking out kitchen utensils from the lower cabinet.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되고있는 하부장은 싱크대에서 연결되어있는 배수관 때문에 수납장의 전체 면적에서 실제로 주방기구 수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은 적게는 16% 많아도 80%에 못미친다. 따라서 최소 20%이상의 공간 손실을 보게 되어있다.Because the lower cabinets used in most homes hav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ink, the area that can actually be used for kitchen utensil storage is at least 16%, or less than 80% at most, of the total area of the cabinet. Therefore, a space loss of at least 20% or more is expected.

싱크대 하부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수납공간의 손실을 줄이기위해선 위에 말했던 배수관과 문틈 막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수관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배수으로 오수가 원활하게 모이도록 하기위해서 개수대의 바닥면을 위치를 바꾼 배수관 쪽으로 경사지도록 설계했다.In order to reduce storage space loss 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under the sink, the space occupied by the drain pipe and door gap bar mentioned above must be reduc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drain pipe and allow sewage to smoothly collect through the changed dra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is designed to be inclined toward the relocated drain pipe.

또한 문틈 막대기를 하부장 상단에 배치하여 수납한 물건들을 꺼낼 때에 물건이 막대에 걸리는 불편함을 해소시켰다.In addition, the door gap bar was placed at the top of the lower cabinet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items getting caught on the bar when taking out stored items.

싱크대 싱크볼의 종류는 싱글과 더블 싱크볼이, 점보 싱크볼이 있는데 이 중 더블 싱크볼의 경우 하부장과 연결된 배수구가 2개가 생기게 된다.There are three types of sinks: single sinks, double sinks, and jumbo sinks. Among these, double sinks have two drains connected to the lower cabinet.

이것 역시 위에 설명된 방법대로 중앙에 배치된 배수구를 싱크대 뒷면이나 양쪽 측면에 배치 시키면 적제공간의 면적을 늘려 효율성을 높이며 측면 배치시 배수관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때에 뒷면에 있는 경우보다 편리하다.This also increases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sink by placing the centrally placed drain on the back or both sides of the sink as described above. When placed on the side, it is more convenient than when repairing or replacing the drain pipe on the back.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서 쓰이고 있는 싱크대는 중앙에 배수구가 위치해 있으며 연결된 배수관 역시 싱크대 하부관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많은 가정에서 주방 싱크대의 하부관에는 주방을 사용 할 때 동선을 고려하여 큰 조리도구 (후라이팬 냄비 등)을 보관하는게 대부분인데 큰 조리도구를 보관하기엔 싱크대 밑 배수관의 불필요한 면적차지와 문틈 막대기가 주방에서의 하부장 활용성을 떨어뜨려 불편함을 겪고있는 실정이다.The sink currently used in most homes has a drain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connected drain pipe is also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ipe of the sink. In many homes, large cooking utensils (frying pans, pots, etc.) are stored in the lower pipe of the kitchen sink in consideration of movement lines when using the kitchen. We are experiencing inconvenience due to reduced usability of the lower cabinet.

본 발명은 시중에서 흔히 쓰이는 싱크대 하부장의 문틈 막대기를 하부장 상단으로 위치시켜 하부장안에 적제된 물건들을 꺼낼 때 불편함을 줄였을 뿐만 아니라, 주방의 동선과 직결 되어있는 수납장의 활용도나 편리함을 싱크대의 배수구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대부분의 가정에서 활용되지 못하고있는 20% 이상의 싱크대 하부장 면적을 활용 가능하게 함으로서 주방기구들의 보관양을 늘릴 수 있도록 하며 후면에 배치된 배수관은 싱크대 하부장에 서랍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어 소형주방기구나 고무장갑 수세미등 소모품을 수납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올리는 싱크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reduces the inconvenience when taking out items stored in the lower cabinet by placing the door gap bar of the sink lower cabinet, which is commonly used on the market, at the top of the lower cabinet, but also improves the us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storage cabinet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kitchen's movement line through the sink's drain. By changing the loca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more than 20% of the under-sink area that is not utilized in most home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storage for kitchen utensils, and the drain pipe placed at the back creates space for installing a drawer in the under-sink cabinet. It provides a convenient sink where you can store consumables such as small kitchen utensils and rubber gloves and scrubbers.

일실시예로서, As an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는 싱크대의 배수관 위치를 변동 시킴으로서 싱크대 하부관의 공간활용도를 대폭 늘릴 수 있고, 적재 할 수 있는 공간의 증가는 단순히 조리도구를 많이 넣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을 쓰는 공간인 싱크대는 다른 장소보다 주방에서 가장 많이 머물고 쓰이는 곳이고, 그공간을 다른 서랍이나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새로운 형태의 보관함으로 쓸 수 있는등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또한 물건 수납시에 보이는 배수관을 뒤쪽으로 옮겨 보이지 않게하여 보다 깔끔해 보일 수 있고, 청소와 해충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문틈 막대기를 상단으로 위치시켜 조리도구를 꺼낼 때의 불편함을 감소시켜 주방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sink's lower pipe by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sink's drain pipe, and the increase in loading space allows for the storage of more cooking utensils. In addition, the sink, which is a space for water use, can significantly increase space utilization of the sink's lower pipe. It is the place where people stay and are used the most in the kitchen compared to other places, and there is a lot of potential for using that space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stalling other drawers or auxiliary equipment to use it as a new type of storage box. In addition, the drain pipe that is visible when storing items can be moved to the back so that it is not visible, making it look neater, and cleaning and pest issues can also be solved. In addition, by positioning the door gap bar at the top, you can achieve various effects, such as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kitchen 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when taking out cooking utensils.

도 1은 기존 싱크대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싱크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싱크대의 싱크볼 및 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작업대형 싱크볼을 장착한 싱크대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싱크대의 싱크볼의 좌,우측면에 배치된 배수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isting sink and an improved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ink bowl and workbench of an improved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of a sink equipped with the workbench sink of Figure 2.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drain pipe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nk bowl of an improved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separately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two different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of each embodiment can be merged and used interchangeably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싱크대 밑 하부관의 활용공간을 확보하여 활용성을 향상 시키면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싱크대 배수구, 배수관 구조, 문틈 막대기 위치의 변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erred implementa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ink drain, drain pipe structure, and door gap bar to improve usability and convenience by securing the space for use in the lower pipe under the sink.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example are explained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존 싱크대와 개선된 싱크대의 개념도, 도 2의 1은 싱크볼의 아래에서 배수관의 위치를 부각시킨 모습, 도 2의 2는 싱크볼의 좌측면, 도 3은 도 2의 작업대형 싱크볼을 장착한 싱크대의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xisting sink and an improved sink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view emphasizing the location of the drain pipe under the sink bowl, Figure 2 is a left side of the sink ball, Figure 3 is Figure 2 It is explained together with a drawing of a sink equipped with a workbench sink.

원래 싱크대의 개수대 (1)(싱크볼), 넘침방지관을 교체, 제거하며 원래 있던 배수관 (3)과 오물 거름망 (2)은 원래의 배치된 곳에서 위치를 변동시킨다. 또한 추가로 배수관을 가릴 문과 필요에 따른 도 4와 같은 서랍을 설치해야한다.The sink (1) (sink bowl) and overflow prevention pipe of the original sink are replaced or removed, and the original drain pipe (3) and waste strainer (2) are relocated from their original positions. Additionally, a door to cover the drain pipe and a drawer as shown in Figure 4 must be installed as needed.

먼저 중앙에 배수관이 있는 구조를 변경하기 위해서 기존의 싱크볼 제거 후 싱크대 뒤쪽으로 경사진 (약 45도) 싱크볼을 설치한다. (기존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싱크볼은 대부분 중앙에 배수구가 있기 때문에 중앙 배수구쪽으로 경사가 있다. 하지만 배수구의 위치를 뒤쪽으로 옮길 것이기 때문에 뒤쪽으로 경사를 주어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준다.)First, to change the structure with the drain pipe in the center, remove the existing sink and install a sink bowl inclined (approximately 45 degrees) to the back of the sink. (Most sinks installed in existing sinks have a drain in the center, so there is a slope toward the center drain. However, since the location of the drain will be moved to the back, the slope to the back will facilitate the flow of sewage.)

도 1을 보면 기존의 싱크대 구조는 넘침 방지관 (4) 과 오물 거름망 (2), 배수관이 별도로 연결이 되어있는걸 볼 수 있다. 개선된 싱크대에서는 넘침 방지관 (4)을 없애고 배수관에 오물 거름망 (2) 을 직접 연결한다.Looking at Figure 1, you can see that in the existing sink structure, the overflow prevention pipe (4), the waste strainer (2), and the drain pipe are connected separately. In the improved sink, the overflow prevention pipe (4) is removed and the waste strainer (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in pipe.

이후 배수관과 싱크대 하부관의 수납공간과의 분리를 위해 배수관 앞쪽 (하부장 뒤쪽)에 추가로 문을 설치한다. (이때 더블 싱크볼이며, 배수관을 양쪽 측면에 배치할 경우 문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는다.)Afterwards, an additional doo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drain pipe (behind the lower cabinet) to separate the drain pipe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sink lower pipe. (In this case, it is a double sink, and if the drain pipes are placed on both sides, an additional door is not installed.)

이후 싱크대 하부장에 수납장을 설치하거나 보조적 수납장을 추가적으로 설치 한다.Afterwards, install a storage cabinet under the sink or additionally install an auxiliary storage cabinet.

이렇게 배수관을 싱크대의 후면에 설치하게 되면 싱크대 밑 하부관의 적재공간을 100% 모두 활용하여 싱크대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f the drain pip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ink, the usability of the sink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100% of the storage space in the lower pipe under the sink.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는 싱크대의 배수관 위치를 변동 시킴으로서 싱크대 하부관의 공간활용도를 대폭 늘릴 수 있고, 적재 할 수 있는 공간의 증가는 단순히 조리도구를 많이 넣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을 쓰는 공간인 싱크대는 다른 장소보다 주방에서 가장 많이 머물고 쓰이는 곳이고, 그공간을 다른 서랍이나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새로운 형태의 보관함으로 쓸 수 있는등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또한 물건 수납시에 보이는 배수관을 뒤쪽으로 옮겨 보이지 않게하여 보다 깔끔해 보일 수 있고, 청소와 해충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문틈 막대기를 상단으로 위치시켜 조리도구를 꺼낼 때의 불편함을 감소시켜 주방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lower pipe of the sink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rain pipe of the sink, and the increase in space that can be loaded can simply accommodate more cooking utensils. In addition, the sink, which is the space where water is used, is the place where water is used the most in the kitchen than other places, and there is the possibility of using that space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stalling other drawers or auxiliary devices to use it as a new type of storage box. many. In addition, the drain pipe that is visible when storing items can be moved to the back so that it is not visible, making it look neater, and cleaning and pest issues can also be solved. In addition, by positioning the door gap bar at the top, you can achieve various effects, such as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kitchen 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when taking out cooking utensils.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se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개수대 2...오물 거름망
3...배수관 4... 넘침 방지관
2...
1...sink 2...sewage strainer
3...drain pipe 4...overflow prevention pipe
2...

Claims (6)

기존 싱크대 밑 하부장의 배수관으로 인한 적재공간 손실과 수납시의 번거로움을 막기위한 싱크대의 하부관으로 이어진 배수관의 위치를 싱크대 뒤쪽으로 바꾼 싱크대.A sink in which the drain pipe leading to the lower pipe of the sink was relocated to the back of the sink to prevent loss of storage space and inconvenience during storage due to the drain pipe in the lower cabinet under the existing sink. 기존 싱크싱크대 하부장의 수납공간 확대를 위해 배수관의 위치를 바꾸고 오수가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모이도록 하기위해 개수대 바닥면을 위치가 바뀐 배수관 쪽으로 경사지게 한 싱크대.A sink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drain pipe was changed to expand the storage space in the lower cabinet of the existing sink, and the bottom of the sink was sloped toward the repositioned drain pipe to allow sewage to flow smoothly into the drain pipe. 제 1항에 있어서,
더블 싱크볼 싱크대의 배수구와 하부관으로 이어진 배수관의 위치를 중앙이 아닌 양쪽 측면으로 옮겨 싱크대 밑 하부관의 적재 용량을 확보한 싱크대.
According to clause 1,
A sink that secures the loading capacity of the lower pipe under the sink by moving the location of the drain pipe connecting the sink's drain hole and lower pipe to both sides instead of the center.
제 1항에 있어서, 싱크대 밑 하부장의 문틈 막대기의 위치를 하부장 입구의 중앙이 아닌 상단으로 옮겨 조리도구의 출입이 용이하게한 싱크대.The sin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of the door gap bar of the lower cabinet under the sink is moved to the top of the lower cabinet entrance rather than the center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of cooking utensils. 제 1항에 있어서,
기존의 싱크대와 달리, 넘침방지관을 제거, 오물거름망을 싱크대 후면과 배수관에 직접 연결하여, 싱크대 밑 하부관의 적재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싱크대.
According to clause 1,
Unlike existing sinks, this sink is designed to secure the loading capacity of the lower pipe under the sink by removing the overflow prevention pipe and connecting the waste strainer directly to the back of the sink and the drain pipe.
제 1항에 있어서,
싱크대 배수구와 배수관을 중앙이 아닌 싱크대 뒤쪽으로 옮겨 문을 설치하여 하부장 뒤쪽에서 보이는 배수관과 하부장의 조리도구 적재공간과의 분리하여 수납시 기존의 복잡함을 없앤 싱크대.
According to clause 1,
A sink that removes the existing complexity of storage by moving the sink drain and drain pipe to the back of the sink instead of the center and installing a door to separate the drain pipe visible from the back of the lower cabinet from the storage space for cooking utensils in the lower cabinet.
KR1020220044455A 2022-04-11 2022-04-11 the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 KR202301457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55A KR20230145730A (en) 2022-04-11 2022-04-11 the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55A KR20230145730A (en) 2022-04-11 2022-04-11 the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730A true KR20230145730A (en) 2023-10-18

Family

ID=8850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455A KR20230145730A (en) 2022-04-11 2022-04-11 the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7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45730A (en) the sink that fluctuates the arrangement of drain pipes to expand the storage space of the bottom of the sink
JP5797943B2 (en) Kitchen cabinet
KR200449658Y1 (en) A draining device of sink maximizingutilization of room
JP2007136020A (en) Kitchen counter provided with electric appliance
JP2006043188A (en) Kitchen unit
CN213664340U (en) Assembled multifunctional waterproof cabinet
JP2019193689A (en) Kitchen table
JP2001008753A (en) Cabinet for kitchen furniture
CN211130287U (en) Cabinet with oil stain preventing function
JP3152158B2 (en) Corner sink
CN112089220A (en) Assembled multifunctional waterproof cabinet
CN215604178U (en) Integrated cabinet
CN216059781U (en) Cabinet table-board structure convenient to operate
CN215330255U (en) Water tank with hidden drainer
JP4993482B2 (en) System kitchen
US20080079339A1 (en) Drawer for sink cabinets
JP2003061766A (en) Sink cabinet
JP2001224450A (en) Kitchen cabinet
CN213664345U (en) Multifunctional integrated kitchen table
CN205267496U (en) Movable bottom plate basin cabinet
JP4652975B2 (en) Dishwasher installation structure
JP2021153760A (en) kitchen
CN210493984U (en) Kitchen ware with combined water tank and dish-washing machine
WO2015171069A1 (en) Filtering device
JP2005312844A (en) Drawer type dish draining bas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