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610A -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 Google Patents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610A
KR20230145610A KR1020237032453A KR20237032453A KR20230145610A KR 20230145610 A KR20230145610 A KR 20230145610A KR 1020237032453 A KR1020237032453 A KR 1020237032453A KR 20237032453 A KR20237032453 A KR 20237032453A KR 20230145610 A KR20230145610 A KR 20230145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oduct
beverage
sterilizing
val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셉 리시키
패트릭 놀란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 메틱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 메틱 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마이크로 메틱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claimed from US17/685,686 external-priority patent/US20220281734A1/en
Publication of KR2023014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61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분배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세척 밸브는, 밸브 개구(6B)를 구비하는 밸브 바디(6),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 바디를 제품 분배 위치와 살균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밸브 레버(6A), 상기 밸브 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료 제품과 살균제를 양자택일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품 포트(3A), 및 상기 살균제를 살균제 저장소로부터 수용하도록 구성된 살균제 포트(3B)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개구는,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의 상기 음료 제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제1 유체 연통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의 상기 살균제의 배출을 허용하는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제2 유체 연통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 cleaning valve for cleaning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The cleaning valve includes a valve body (6) having a valve opening (6B), a valve lever (6A) coupled to the valve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valve body between a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a sterilization position, the valve lever a product port (3A) configured to alternatively discharge beverage product and sterilan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roduct, and a sterilant port (3B) configured to receive the sterilant from a sterilant reservoir. The valve opening can be configured to create a first fluid communication path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llowing discharge of the beverage product from the product port, wherei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port. and be configured to create a second fluid communication path when in the sterilizing position allowing discharge of the sterilizing agent.

Description

세척 밸브를 구비한 음료 분배 장치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22년 3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규 특허출원 제17/685,686호와, 2021년 3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3/156,323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 특허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17/685,686, filed on March 3, 2022, and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3/156,323, filed on March 3, 2021, and these patent documents It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음료 경로의 보다 용이한 세척을 허용하는 음료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nd in particular to beverage dispensing devices that allow easier cleaning of the beverage path.

많은 음료 분배 장치는, 대개 시럽의 형태인 제품을, 물과 같은 베이스 액체와 혼합함으로써 음료를 만들어 내는 BIB(bag-in-box) 시스템이다. 대개 제품 시럽은 통상적으로 가요성의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백(bag)에 제공되고, 이 백은 판지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박스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펌프를 사용하여 시럽을 BIB의 밖으로 인출하고, 이 시럽을 액체 및/또는 기체와 혼합하여 유출 포트를 통해 분배되는 음료를 형성한다.Many beverage dispensing devices are bag-in-box (BIB) systems that create a beverage by mixing a product, usually in the form of syrup, with a base liquid, such as water. Typically the product syrup is presented in bags, typically made of flexible plastic or other materials, and the bags are housed within boxes, which may be made of cardboard or other materials. These devices typically use a pump to draw syrup out of the BIB and mix the syrup with liquid and/or gas to form a beverage that is dispensed through an outlet port.

BIB는 통상적으로 커플링과 제품 라인을 포함하는데, 상기 커플링에 의해 상기 BIB는 상기 펌프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품 라인을 통해 상기 제품 시럽은 믹서로 이송되며, 상기 믹서에서 제품 시럽은 베이스 액체와 혼합된다. 상기 BIB로부터 상기 유출 포트로의 상기 제품 시럽의 경로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자주 살균될 필요가 있다. 제품 경로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BIB는 살균 경로에서 분리되고, 살균 설비가 살균 경로에 연결된다. 그 후, 살균제는 제품 경로를 통해 순환되고 유출 포트를 통해 버려진다. 그러나, BIB를 분리하고 살균 설비를 연결하는 것은 불편하며, 여러 개의 BIB와 살균될 필요가 있는 관련 제품 경로를 가질 수 있는 분배 장치의 경우에 특히 불편하다. BIB를 분리하고 재연결하는 것은 골치 아프고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또한, 살균 설비는 대개 음료 분배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음료 분배 구성요소 이외에도, 살균제 용기, 어댑터 호스, 및 살균 설비를 제품 경로에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커플링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양한 제품을 분배함에 있어서 전술한 과제와 그 밖의 과제를 극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A BIB typically includes a coupling and a product line, by which the BIB can be coupled to the pump, and through the product line the product syrup is transferred to a mixer, where the product syrup is supplied to the base. mixes with liquid. The path of the product syrup from the BIB to the outlet port needs to be frequently sanitized to prevent bacterial growth. To sterilize the product path, the BIB is separated from the sterilization path and a sterilization facility is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path. The disinfectant is then circulated through the product path and discarded through the outlet port. However, separating BIBs and connecting sterilization facilities is inconveni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dispensing devices that may have several BIBs and associated product paths that need to be sterilized. Disconnecting and reconnecting the BIB can be a pain and time consuming. Additionally, the sterilization facility is usually separate from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and, in addition to the beverage dispensing components, requires components such as sterilant containers, adapter hoses, and various couplings to couple the sterilization facility to the product path.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and other challenges in distributing various products.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세척 밸브로서, 밸브 개구를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 바디를 제품 분배 위치와 살균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밸브 레버, 상기 밸브 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료 제품과 살균제를 양자택일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품 포트, 및 상기 살균제를 살균제 저장소로부터 수용하도록 구성된 살균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는 세척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 개구는,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의 상기 음료 제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제1 유체 연통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 개구는,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의 상기 살균제의 배출을 허용하는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제2 유체 연통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살균제가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음료 제품이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제품 분배 위치와 상기 살균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품 분배 위치는 상기 살균 위치에 대하여 약 90도 회전한 곳에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one or more exemplary embodiments, there is provided a cleaning valve, comprising: a valve body having a valve opening, a valve lever coupled to the valve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valve body between a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a sterilizing position; A cleaning valve is provided that can include a product port configured to alternatively discharge beverage product and sterila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alve lever, and a sterilant port configured to receive the sterilant from a sterilant reservoir. The valve opening may be configured to create a first fluid communication path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llowing discharge of the beverage product from the product port, the valve opening comprising: may be configured to create a second fluid communication path when in the sterilizing position allowing discharge of the sterilant from the product port.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the valve body may prevent the sterilant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product port.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the valve body may prevent the beverage product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product port. The valve body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etwee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the sterilizing positio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may be positioned approximately 90 degree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terilizing position.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음료 분배 장치로서, 음료 제품이 들어 있는 BIB(beverage-in-box)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셔틀, 살균제를 담도록 구성된 살균제 저장소, 상기 셔틀에 결합되고 상기 BIB 용기 및 상기 살균제 저장소와 유체 연통 관계인 세척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척 밸브는 제품 분배 위치와 살균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된 밸브 레버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인 음료 분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음료 분배 장치는 또한,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음료 제품이 배출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살균제가 배출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분배 장치는 또한,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있는 내부 격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틀은,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내부 격실 내의 제1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레버는,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 격실의 림 부분과 맞물리고, 상기 밸브 레버가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셔틀을 제2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 분배 장치는 또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틀과 상기 BIB 용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밸브 레버가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뚜껑이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셔틀은 상기 외부 하우징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one or more exemplary embodiments,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shuttle configured to receive a beverage-in-box (BIB) container containing a beverage product, a sterilant reservoir configured to contain a sterilant, coupled to the shuttle;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may include a cleaning valv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BIB container and the sterilizing agent reservoir, the cleaning valve having a valve lever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a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a sterilizing position. there is.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may also include an actuator configured to cause a beverage product to be dispensed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to cause a sterilizing agent to be dispensed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You can.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may also include an external housing and an internal compartment within the external housing. The shuttle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least partially in a first position within the interior compartment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The valve lever may be configured to engage a rim portion of the internal compartment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ation position and to maintain the shuttle in a second position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ation position. .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may also include a lid. The shuttle and at least one of the BIB containers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lid from being fully closed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The shuttle may be hingedly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and configured to rot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도 1a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제품 분배 위치에 있는 음료 분배 장치의 세척 밸브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1b는 도 1a의 예시적인 세척 밸브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a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살균 위치에 있는 음료 분배 장치의 세척 밸브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2b는 도 2a의 예시적인 세척 밸브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제품 분배 위치에 있는 음료 분배 장치의 세척 밸브의 저면도를 보여준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제품 분배 위치에 있는 음료 분배 장치의 세척 밸브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살균 위치에 있는 음료 분배 장치의 세척 밸브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의 다른 사시도를 보여준다.
1A shows a top view of a cleaning valve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in a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FIG. 1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exemplary flush valve of FIG. 1A.
2A shows a top view of a cleaning valve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in a sterilizing position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FIG. 2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exemplary flush valve of FIG. 2A.
3 shows a bottom view of a cleaning valve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in a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valve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in a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Figure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valve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in a sterilizing pos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ure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7 shows a top view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8 show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이제, 그 전반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첨부 도면에 예시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언급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본원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 잘 알려진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DETAILED DESCRIPTION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following exemplary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exemplary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clarity, explanations of well-known parts are omitted.

도 1a 및 도 3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의 세척 밸브의 평면도와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a 및 도 3을 참조해 보면,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세척 밸브는 밸브 베이스(5), 밸브 베이스(5) 내에 배치되는 밸브 바디(6), 밸브 베이스(5)의 외부로 연장되는 밸브 레버(6A), 밸브 바디(6)가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액슬(7), 및 2개의 볼트(9)와 2개의 볼트(9)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2개의 너트(8)를 통해 밸브 베이스(5)에 결합되는 밸브 커버(4)를 포함한다. 세척 밸브는 또한, 밸브 베이스(5)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밸브 베이스(5)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품 포트(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 포트(3A)는 농축 시럽과 같은 음료 제품이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포트(3A)는 음료 제품이 물과 같은 베이스 액체와 혼합될 수 있도록 음료 제품을 이송하는 펌프와 유체 연통 관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세척 밸브는 또한, 밸브 베이스(5) 내에 위치되는 제1 단부와 밸브 베이스(5)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살균제 포트(3B)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제 포트(3B)는 살균제 저장소와 유체 연통 관계일 수 있고, 액체 살균제와 같은 살균제가 통과하여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1A and 3 show top and bottom views, respectively, of a cleaning valve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1A and 3, the cleaning valv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valve base 5, a valve body 6 disposed within the valve base 5, and a valve lever extending outside of the valve base 5. (6A), an axle (7) that can rotate around the valve body (6), and two bolts (9) and two nuts (8)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two bolts (9), respectively. It includes a valve cover (4) coupled to the valve base (5) through. The cleaning valve may also include a product port 3A having a first end disposed within the valve base 5 and a second end extending outside the valve base 5 . Product port 3A may be configured to allow beverage product, such as concentrated syrup, to flow therethrough. For example, product port 3A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pump that transfers the beverage product so that the beverage product can be mixed with a base liquid, such as water. The flush valv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also include a sterilant port 3B having a first end located within the valve base 5 and a second end extending outside of the valve base 5 . The sterilant port 3B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terilant reservoir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sterilant, such as a liquid sterilant, to flow therethrough.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세척 밸브는 음료 제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료 커플러(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커플러(10)는 BIB로부터 음료 시럽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BIB 장비일 수 있다. 음료 커플러(10)는, 음료 커플러(10)의 바닥 부근에 위치될 수 있고 도 1b를 참조로 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료 제품이 음료 커플러(10)의 밖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음료 개구(1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ush valv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beverage coupler 10 configured to receive a beverage product. For example, beverage coupler 10 may be BIB equipment configured to receive beverage syrup from a BIB. Beverage coupler 10 may be positioned near the bottom of beverage coupler 10 and may allow beverage product to flow out of beverage coupler 10,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B. It may include a beverage opening (10A).

도 1b는 도 1의 예시적인 세척 밸브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개구(10A)는 채널(13)과 유체 연통 관계인데, 이 채널은 음료 제품이 하부 격실(12)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음료 제품은 펌프(도시 생략)에 의해 제공되는 진공력을 통해 하부 격실로부터 제품 포트(3A)를 통과하여 불출된다. 밸브 레버(6A)가 (도 1a, 도 1b,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바디(6) 내에 있는 밸브 개구(6B)가 음료 개구(10A) 및 하부 격실(12)과 유체 연통 관계로 되어, 음료 개구(10A), 채널(13), 밸브 개구(6B), 하부 격실(12) 및 제품 포트(3A)를 포함하는 제1 유체 연통 경로를 통과하여 음료 제품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펌프(도시 생략)는 하부 격실(12)의 밖으로 그리고 제품 포트(3A)를 통과하게 음료 제품을 인출할 수 있고, 그 후에 음료 제품은 물 또는 커피 등과 같은 베이스 액체와 혼합될 수 있으며 유출 포트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FIG. 1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exemplary flush valve of FIG. 1. As shown in Figure 1B, beverage opening 10A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channel 13, which allows beverage product to flow into lower compartment 12, where beverage product is pumped (not shown). It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compartment through the product port 3A through the vacuum force provided by . When the valve lever 6A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s shown in FIGS. 1A, 1B, 3 and 4), the valve opening 6B in the valve body 6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opening 10A and the beverage opening 10A.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compartment 12 and passes through a first fluid communication path comprising the beverage opening 10A, the channel 13, the valve opening 6B, the lower compartment 12 and the product port 3A. This allows the beverage product to flow. A pump (not shown) can withdraw the beverage product out of the lower compartment 12 and through the product port 3A, after which the beverage product can be mixed with a base liquid such as water or coffee, etc. and open the outlet port. It can be distributed through

밸브 레버(6A)가 도 2a, 도 2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 경우, 밸브 개구(6B)는 살균제 포트(3B)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살균제 개구(11)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약 90도 이동하여 살균제 개구(11)와 유체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 (밸브 레버(6A)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 개구(6B)를 도 5에 도시된 살균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밸브 바디(6)는 음료 제품이 음료 개구(10A) 및 채널(13)을 지나 하부 격실(12)로 가는 것을 방지한다. 오히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개구(6B)는 살균제 포트(3B) 및 하부 격실(12)과 제2 유체 연통 경로를 생성하여 살균제가 살균제 포트(3B)로부터 하부 격실(12)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그 후에, 살균제는 추가적으로 하부 격실(12)로부터 제품 포트(3A)를 통해 밖으로 펌핑되어, 밸브 개구(6B), 하부 격실(12) 및 제품 포트(3A)를 살균한다.When the valve lever 6A is rotated as shown in FIGS. 2A, 2B and 5, the valve opening 6B is substantially aligned with the sterilant opening 11 disposed at the first end of the sterilant port 3B. Preferably, it moves about 90 degrees to form a fluid communication path with the sterilizing agent opening 11. By rotating the valve opening 6B (by rotating the valve lever 6A) to the sterilization position shown in Figure 5, the valve body 6 allows the beverage product to pass through the beverage opening 10A and the channel 13. Prevents passage into the lower compartment (12). Rather, as shown in FIG. 2B, valve opening 6B creates a second fluid communication path with sterilant port 3B and lower compartment 12 to allow sterilant to flow from sterilant port 3B to lower compartment 12. Allow entry. Thereafter, the sterilizing agent is further pumped out from the lower compartment 12 through the product port 3A to sterilize the valve opening 6B, the lower compartment 12 and the product port 3A.

도 4와 도 5는 밸브 레버(6A)가 제품 분배 위치와 살균 위치에 각각 있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세척 밸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레버(6A)는 밸브 커버(4) 및 밸브 베이스(5)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우측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밸브 개구(6B)는 음료 개구(10A)와 유체 연통 관계이고, 그 결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제품은 음료 커플러(10)에 결합된 BIB로부터 음료 개구(10A), 채널(13) 및 밸브 개구(6B)를 통하여 하부 격실(12)로 이송될 수 있다. 펌프(도시 생략)는 하부 격실(12)로부터 제품 포트(3A)를 통해 음료 제품을 인출하도록 진공력을 제공하고, 그 후에 음료 제품은 최종적으로 베이스 액체와 혼합되어 유출 포트를 통해 배출된다. 제품 분배 위치에서, 밸브 바디(6)는 살균제 포트(3B)로부터 하부 격실(12)로의 유체 연통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살균제가 제품 경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4 and 5 show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val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th valve lever 6A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the sterilizing posi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4, the valve lever 6A is rotated to the right so as to substantially contact the side surfaces of the valve cover 4 and the valve base 5. In this position, the valve opening 6B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beverage opening 10A, such that beverage product flows from the BIB coupled to the beverage coupler 10 to the beverage opening 10A, as shown in Figure 1B.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lower compartment 12 through (13) and valve opening (6B). A pump (not shown) provides vacuum force to withdraw the beverage product from the lower compartment 12 through the product port 3A, after which the beverage product is finally mixed with the base liquid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the valve body 6 blocks the fluid communication path from the sterilant port 3B to the lower compartment 12, thereby preventing sterilant from entering the product path.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레버(6A)는 밸브 커버(4) 및 밸브 베이스(5)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좌측으로 회전되어 있다. 밸브 레버(6A)가 이 위치에 있을 때, 밸브 개구(6B)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제 포트(3B)로부터 하부 격실(12)로의 유체 연통 경로를 제공한다. 이 위치에서, 살균제는 살균제 저장소로부터 살균제 포트(3B)를 통해, 그리고 추가적으로 밸브 개구(6B)를 통해, 하부 격실(12)로 제공될 수 있고, 이 하부 격실에서부터 제품 포트(3A)를 통해 펌핑된다. 살균제가 제품 포트(3A)를 빠져나간 후, 살균제는 음료 제품이 베이스 액체와 혼합되는 부분을 통과하게 제품 경로를 따라 계속 이동하고 유출 포트를 통해 분배된다. 따라서, 분배 중에 음료 제품이 접촉하는 전체 제품 경로를 살균제가 가로지르고 살균할 수 있다. 밸브 레버(6A)가 살균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바디(6)는 음료 개구(10A)(및 채널(13))와 하부 격실(12) 사이의 유체 연통을 차단함으로써 음료 제품이 제품 경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ure 5, the valve lever 6A is rotated to the left so that it extend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valve cover 4 and the valve base 5. When the valve lever 6A is in this position, the valve opening 6B provides a fluid communication path from the sterilant port 3B to the lower compartment 12 as shown in FIG. 2B. In this position, sterilant can be provided from the sterilant reservoir through the sterilant port 3B and additionally through the valve opening 6B into the lower compartment 12 and pumped from this lower compartment through the product port 3A. do. After the sterilant exits the product port 3A, the sterilant continues along the product path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beverage product mixes with the base liquid and is dispensed through the outlet port. Thus, the sterilant can traverse and sterilize the entire product path with which the beverage product comes into contact during dispensing. When the valve lever 6A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the valve body 6 blocks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beverage opening 10A (and channel 13) and the lower compartment 12, thereby allowing beverage product to enter the product path. prevent it from happening.

도 6은 도 1a~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세척 밸브를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600)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해 보면, 예시적인 음료 분배 장치(600)는 외부 하우징(605), 외부 하우징(605)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뚜껑(610), 외부 하우징(60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립 트레이(615), 외부 하우징(605)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유출 포트(625), 및 드립 트레이(615)와 복수의 유출 포트(625)의 사이에서 외부 하우징(605)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백스플래시(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분배 장치(600)는 또한, 복수의 유출 포트(625)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펌프를 작동시켜 음료 제품 또는 살균제를 세척 밸브의 하부 격실(12)로부터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액추에이터(655)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분배 장치(600)는, 음료 제품이 들어 있는 BIB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셔틀(640)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내부 격실(635)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세척 밸브의 음료 커플러(10)가 BIB의 배출 피팅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도 1a에 도시된 예시적인 세척 밸브와 같은 세척 밸브가 하나 이상의 셔틀(640) 각각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내부 격실(635)은 또한, 하나 이상의 튜브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세척 밸브의 살균제 포트(3B)에 제공될 수 있는, 액체 살균제와 같은 살균제를 담도록 구성되는 살균제 저장소(650)를 포함할 수 있다.FIG. 6 illustrates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600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that may include a flush valve according to the example embodiment shown in FIGS. 1A-5 . 6 , an exemplary beverage dispensing device 600 includes an outer housing 605, a lid 610 that can be hingedly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605, and a lid 610 that is releasably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605. a drip tray 615, a plurality of outlet ports 625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nal housing 605, and a front surface of the external housing 605 between the drip tray 615 and the plurality of outlet ports 625. It may include a backsplash 620 coupled to one side. Beverage dispensing device 60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actuators ( 655).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600 may include an internal compartment 635 configured to have one or more shuttles 640 each configured to receive a BIB containing a beverage product. A purge valve, such as the exemplary purge valve shown in FIG. 1A ,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of each of one or more shuttles 640 such that the beverage coupler 10 of each purge valve can be coupled to the discharge fitting of the BIB. Internal compartment 635 may also include a sterilant reservoir 650 configured to contain a sterilant, such as a liquid sterilant, which may be provided through one or more tubes to the sterilant port 3B of one or more flush valves.

작동시, 밸브 레버(6A)가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도 4 참조), 뚜껑(610)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셔틀(650)은 내부 격실(635) 내에 끼워져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분배 장치는, BIB가 각각 들어 있는 복수의 셔틀(640)로서 뚜껑(610)이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내부 격실(635) 내에서 제1 위치로 각각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셔틀을 포함한다. 셔틀(640)은 내부 격실(635)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셔틀(64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격실(635)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655)가, 예를 들어 음료 분배 장치(600)를 향해 있는 사용자를 향하여 당겨짐으로써, 맞물리게 될 때, 음료 제품을 BIB(645)로부터 음료 커플러(10), 음료 개구(10A) 및 밸브 개구(10B)를 통해 하부 격실(12) 안으로 끌어당기는 진공력을 제공하도록 펌프가 작동된다. 추가적으로 진공력은 음료 제품을 제품 포트(3A)를 통해 불출하는데, 제품 포트에서 음료 제품은 베이스 액체와 혼합되고, 맞물려 있는 액추에이터(655)에 대응하는 유출 포트(625)를 통해 배출된다.In operation, one or more shuttles 650 are fitted within the internal compartment 635 so that the lid 610 can be closed when the valve lever 6A is in the product dispense position (see FIG. 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moves a plurality of shuttles 640, each containing a BIB, into a first position within the interior compartment 635 to allow the lid 610 to be close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huttles, each of which is arranged. Although shuttle 64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within” internal compartment 635,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shuttle 640 may not be completely surrounded by internal compartment 635 as shown in FIG. 8 . will be. When one or more actuators 655 are engaged, such as by being pulled toward a user toward beverage dispensing device 600 , the beverage product is moved from BIB 645 to beverage coupler 10 , beverage opening 10A and The pump is actuated to provide a vacuum force pulling the valve opening 10B into the lower compartment 12. Additionally, the vacuum force discharges the beverag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port 3A, where the beverage product is mixed with the base liquid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625 corresponding to the engaged actuator 655.

드립 트레이(615)는, 드립 트레이(615)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는 배수구에 과잉 음료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천공된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615)는, 외부 하우징(605) 내에 들어 있을 수 있는 배수 라인(도시 생략)으로서 과잉 음료를 싱크대 또는 다른 배수 라인 또는 리셉터클에 배출할 수 있는 배수 라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백스플래시(625)는 외부 하우징(605)의 전방면에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백스플래시(625)에 접촉하는 임의의 액체를 드립 트레이(615)로 안내하도록 외부 하우징(60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바닥 립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격실(635)은 또한, 내부 격실(635)의 바닥면에 위치될 수 있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격실의 배수구는 또한 외부 하우징(605) 내에 들어 있는 배수 라인에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내부 격실(635)과 그 안에 들어 있는 구성요소들이 보다 용이하게 세척되는 것이 허용된다.Drip tray 615 may include a perforated top that allows excess beverage to enter a drain that may be located in the bottom of drip tray 615 . The drip tray 615 may be removably coupled to a drain line (not shown), which may be contained within the outer housing 605 and which may drain excess beverage into a sink or other drain line or receptacle. The backsplash 625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ront face of the outer housing 605 and extends from the outer housing 605 to direct any liquid that contacts the backsplash 625 to the drip tray 615. It may include a bottom lip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ide. The interior compartment 635 may also include a drain that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interior compartment 635. The drain of the inner compartment may also be coupled to a drain line contained within the outer housing 605, thereby allowing the inner compartment 635 and the components contained therein to be more easily cleaned.

도 7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의 내부 격실(635)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레버(6A)는 살균 위치(도 5도 참조)에 있고, BIB(645)와 BIB(645)의 밑에 있는 세척 밸브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BIB(645)의 전방 단부가 위쪽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내부 격실(635)의 밖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셔틀(6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셔틀(640)은 내부 격실(635)의 뒷부분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밸브 레버(6A)가 살균 위치에 있을 때, 내부 격실(635) 내의 분배 위치로 셔틀(640)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격실(635)의 림 부분(660)과 밸브 레버(6A)가 접촉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레버(6A)는 셔틀(640)이 내부 격실(635) 안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뚜껑(610)이 닫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음료를 분배하려고 시도하는 사용자는, 뚜껑(610)이 개방되어 있고 셔틀(640)이 부분적으로 내부 격실(635)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밸브 레버(6A)가 제품 분배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아챌 가능성이 더 클 것이다.7 shows a top view of an internal compartment 635 of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 valve lever 6A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see also FIG. 5 ) and extend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BIB 645 and the flush valve beneath BIB 645 . Shuttle 640 is positioned in the inner compartment 635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BIB 645 can rotate to allow the shuttle 640 to be lifted, partially out of the inner compartment 635. It can be connected in a hinged manner at the back. When the valve lever 6A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the valve lever 6A contacts the rim portion 660 of the inner compartment 635, which prevents the shuttle 640 from lowering into the dispensing position within the inner compartment 635. . Th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valve lever 6A prevents shuttle 640 from lowering into interior compartment 635, thereby preventing lid 610 from closing. Accordingly, a user attempting to dispense a beverage will ensure that valve lever 6A is not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when lid 610 is open and shuttle 640 is positioned partially outside of interior compartment 635. You will be more likely to notice that it is not.

도 2a, 도 2b, 도 6 및 도 7을 참조해 보면, 밸브 레버(6A)가 살균 위치에 있고 셔틀(640)이 부분적으로 내부 격실의 밖으로 들어올려져 있을 때, 밸브 개구(6B)는 살균제 포트(3B)와 하부 격실(12)의 사이에 유체 연통 경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액추에이터(655)를 외부 하우징(605)으로부터 멀어지게 당김으로써) 액추에이터(655)가 맞물리게 될 때, 살균제를 살균제 저장소(650)로부터 밸브 개구(6B)를 통과하여, 하부 격실(12)의 안으로, 제품 포트(3B)를 통과해 밖으로, 음료 제품이 통상적으로 베이스 액체(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혼합되는 곳인 혼합 위치를 통과하게, 그리고 유출 포트(625)를 통과해 밖으로 인출하는 진공력을 제공하기 위해 펌프가 맞물리게 된다. 음료 분배 장치(600) 내에 살균제 저장소(650)를 포함하고 음료 제품의 유동 허용과 살균제의 유동 허용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세척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음료 분배 장치를 살균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살균 설비를 연결하고 분리하지 않고서도 제품 경로를 살균할 수 있다.2A, 2B, 6 and 7, when valve lever 6A is in the sterilization position and shuttle 640 is partially lifted out of the interior compartment, valve opening 6B is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port. A fluid communication path is created between (3B) and the lower compartment (12). When actuator 655 is engaged (e.g., by a user pulling actuator 655 away from outer housing 605), sterilant is directed from sterilant reservoir 650 through valve opening 6B and into the lower portion. into compartment 12, out through product port 3B, through a mixing location where the beverage product is typically mixed with a base liquid (not shown), and out through outlet port 625. A pump is engaged to provide the drawing vacuum force. By including a sterilant reservoir 650 within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600 and having a cleaning valve switchable between allowing the flow of beverage product and allowing the flow of sterilant, the sterilization facility can be connected whenever it is necessary to sterilize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The product path can be sterilized without separation.

본 개시 내용의 독창적인 개념을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기술하고 예시하였지만, 상기 독창적인 개념은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독창적인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변경이 본원에서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exampl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the inventive concep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xampl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is can be carried out here.

Claims (10)

세척 밸브로서:
밸브 개구를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 바디를 제품 분배 위치와 살균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밸브 레버;
상기 밸브 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료 제품과 살균제를 양자택일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품 포트; 및
상기 살균제를 살균제 저장소로부터 수용하도록 구성된 살균제 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의 상기 음료 제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개구는 제1 유체 연통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의 상기 살균제의 배출을 허용하는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개구는 제2 유체 연통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세척 밸브.
As a cleaning valve:
a valve body having a valve opening;
a valve lever coupled to the valve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valve body between a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a sterilizing position;
a product port configured to alternatively discharge beverage product and disinfecta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alve lever; and
A sterilant port configured to receive the sterilant from a sterilant reservoir.
wherein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llowing discharge of the beverage product from the product port, the valve opening is configured to create a first fluid communication path;
and wherein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allowing discharge of the sterilizing agent from the product port, the valve opening is configured to create a second fluid communication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살균제가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세척 밸브.The cleaning valve of claim 1, wherein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the valve body prevents the disinfectant from exiting the product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음료 제품이 상기 제품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세척 밸브.The cleaning valve of claim 1, wherein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the valve body prevents the beverage product from exiting the product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제품 분배 위치와 상기 살균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세척 밸브.The cleaning valve of claim 1, wherein the valve body is configured to rotate betwee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the sterilizing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분배 위치는 상기 살균 위치에 대하여 약 90도 회전한 곳에 위치되는 것인 세척 밸브.The cleaning valve of claim 4, where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is positioned approximately 90 degrees rotated relative to the sterilizing position. 음료 분배 장치로서:
음료 제품이 들어 있는 BIB(beverage-in-box)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셔틀;
살균제를 담도록 구성된 살균제 저장소;
상기 셔틀에 결합되고 상기 BIB 용기 및 상기 살균제 저장소와 유체 연통 관계인 세척 밸브로서, 제품 분배 위치와 살균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된 밸브 레버를 구비하는 세척 밸브; 및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음료 제품이 배출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살균제가 배출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장치.
As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 shuttle configured to receive a beverage-in-box (BIB) container containing a beverage product;
a disinfectant reservoir configured to contain a disinfectant;
a purge valve coupled to the shuttle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BIB container and the sterilant reservoir, the purge valve having a valve lever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a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a sterilizing position; and
An actuator configured to cause beverage product to be discharged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and to cause sterilizing agent to be discharged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있는 내부 격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제품 분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셔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내부 격실 내의 제1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음료 분배 장치.
7. The device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housing; and
additionally comprising an internal compartment within the external housing;
and wherein the shuttle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least partially in a first position within the interior compartment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product dispensing 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레버는, 상기 밸브 레버가 상기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 격실의 림 부분과 맞물리고, 상기 밸브 레버가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셔틀을 제2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음료 분배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alve lever engages a rim portion of the internal compartment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and maintains the shuttle in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izing position.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nfigured to: 제8항에 있어서, 뚜껑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셔틀과 상기 BIB 용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밸브 레버가 살균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뚜껑이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음료 분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lid;
an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huttle and the BIB container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lid from fully closing when the valve lever is in the sterile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은 상기 외부 하우징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음료 분배 장치.9.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shuttle is hingedly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and configured to rot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KR1020237032453A 2021-03-03 2022-03-03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KR2023014561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56323P 2021-03-03 2021-03-03
US63/156,323 2021-03-03
PCT/US2022/018683 WO2022187469A2 (en) 2021-03-03 2022-03-03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US17/685,686 2022-03-03
US17/685,686 US20220281734A1 (en) 2021-03-03 2022-03-03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10A true KR20230145610A (en) 2023-10-17

Family

ID=8082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453A KR20230145610A (en) 2021-03-03 2022-03-03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4508531A (en)
KR (1) KR20230145610A (en)
AU (1) AU2022231140A1 (en)
CA (1) CA3210438A1 (en)
WO (1) WO2022187469A2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8230A (en) * 1945-09-08 1949-01-04 Frederick J Warcup Cleaning means for beer dispensers
DE4321034A1 (en) * 1993-06-24 1995-01-05 Kundo Systemtechnik Gmbh Multiway valve
PL2444366T3 (en) * 2007-08-20 2016-07-29 Carlsberg Breweries As Modular pressure guarding unit for beverag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7469A2 (en) 2022-09-09
JP2024508531A (en) 2024-02-27
WO2022187469A3 (en) 2022-10-20
CA3210438A1 (en) 2022-09-09
AU2022231140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8467A (en) Cleaning and disinfecting machine for medical equipment and instruments, anesthetic tubes, catheters, and endoscopes
CA2187548C (en) Chemical solution filling system
US4137930A (en) Single operation normally closed coupling valve
EP07689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chemical solutions
JP43075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medical devices
US5259557A (en) Solution proportioner and dispensing system
CN102227370B (en) Method of cleaning and flushing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9423041B2 (en) Dispensing machine valve and method
JP2018526295A (en) Cleaning agent container
CN108778084B (en) Cap and tube set for use in medical procedures
MX20130015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anitizable mixing nozzle.
US20220281734A1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JP4223476B2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hose fittings
KR20230145610A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cleaning valve
KR101487078B1 (en) Flui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CN104487379B (en) Bag in box connector system capable of washing
CA2107112C (en) Solution proportioner and dispensing system
CN114431712A (en) Dual mode fluid connector switchable between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US5697132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ixing and delivery of embalming fluid to a cadaver
CN114794863B (en) Fluid raw material discharging machine
US5829108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ixing and delivery of embalming fluid to a cadaver
EP0558546B1 (en) Container supply caps
KR20090075981A (en) Hot-cold water purifier integrated dispenser discharging coffee and tea separately
JPH0471796B2 (en)
WO2002018265A1 (en) Dispensing nozzle for post mix beverage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