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312A - 전기 자동차용 전동기와 보조 전기 부하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전동기와 보조 전기 부하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312A
KR20230145312A KR1020237019034A KR20237019034A KR20230145312A KR 20230145312 A KR20230145312 A KR 20230145312A KR 1020237019034 A KR1020237019034 A KR 1020237019034A KR 20237019034 A KR20237019034 A KR 20237019034A KR 20230145312 A KR20230145312 A KR 20230145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bus
voltage line
electric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르조 만토바니
알레산드로 베르나르디니
Original Assignee
알트라 에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트라 에스.피.아. filed Critical 알트라 에스.피.아.
Publication of KR2023014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3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32Control or regulation of multiple-unit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8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using diodes blocking reverse current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20, 50)으로,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를 통해 제1 전동기(22)에 연결된 제1 저장 유닛(24);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를 통해 제2 전동기(25)에 연결된 제2 저장 유닛(27);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기 부하(30)에 연결된 제3 저장 유닛(28)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는,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직류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또한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부터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의 역류를 금지하도록 구성된 제1 장치(40)를 통해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는,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직류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또한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부터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의 역류를 금지하도록 구성된 제2 장치(42)를 통해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와 연결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전동기와 보조 전기 부하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본 특허 출원은 2020년 11월 11일에 출원된 이탈리아 특허 출원 제102020000026954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상기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순수 전기 자동차(EV)에서는, 전동기가 차량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일한 에너지원이며; 하이브리드 자동차(HV)에서는, 전동기가 내연 기관에 추가되는 보조 에너지원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를 작동시키는 에너지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저장 배터리에 저장된다.
도 1에는 공지의 전기 자동차(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것에는 역시 공지된 배터리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4)이 구비하며, 단일 배터리 또는 모듈형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즉, 다수의 배터리를 병렬로 포함)를 포함한다. 배터리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4)은 메인 시스템 버스(13)(예컨대, DC-링크)에 결합되며, 이는 추가로, 보조 부하(10), 전동기의 파워 서플라이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인버터(미도시) 및 동일한 차축에 대칭적으로 작용하는 전동기들(2)(특히, 두 개의 전동기들)(우측 비퀴용 하나와 좌측 바퀴용 하나)에 연결된다,
보조 부하(10)에는, 작동을 위해, 예를 들어, 에어컨 시스템, 조명 시스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공기 압축기, 전기 PTO 등과 같은 전류를 사용하는 전기 차량의 일반 구성 요소들 또는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보조 부하(10)는, 도시되지 않은 DC-DC 컨버터를 통해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DC-링크(13)에 연결된다.
상기 구조는, 보조 부하 및 전동기에 의해 요구되는 모든 전력의 합과 동일한 전력을 처리하고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단일 DC-링크(13)를 사용하는 것을 수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아키텍처에서 발생하는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상기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를 통해 제공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따라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간주되는 유일한 요소를 갖는 공지의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전기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간주되는 구성요소들만 갖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시스템(20)은, (특히,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에 의해) 제1 전동기(2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예컨대, 특히 60V 이상의 고전압의 하나 이상의 전기 배터리들 24a를 포함하는) 제1 저장 유닛(24); (특히,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에 의해) 제2 전동기(2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예컨대, 특히 60V 이상의 고전압의 하나 이상의 전기 배터리들 27a를 포함하는) 제2 저장 유닛(27), 차량의 하나 이상의 보조 시스템들 또는 부하(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3 저장 유닛(28)((상기 보조 부하(30)는, 전류, 예를 들어, 에어컨 시스템, 조명 시스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시, 전기 자동차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 또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저장 유닛들(24, 27)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배터리 어레이를 포함하며, 이들은 사용시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호작용한다. 단, 본 발명은, 제1, 제2 저장 유닛(24, 27)의 각각이 하나의 단일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이다. 다른 가능한 기술로는, 납 배터리, NiMH 배터리, NiCd 배터리, ZEBRA 배터리 또는 일반적으로 공칭 전압이 동일한 전기화학적 배터리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1 저장 유닛(24)은 제1 파워 서플라이 라인 또는 버스(32)를 통해 제1 전동기(22)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파워 서플라이 라인 또는 버스(32)는, 제1 전동기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플러스 전압 라인 (32a) 및 마이너스 전압 라인(32b)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저장 유닛(27)은 제2 파워 서플라이 라인 또는 버스(34)를 통해 제2 전동기(25)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파워 서플라이 라인 또는 버스(34)는, 제2 전동기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각각의 플러스 전압 라인(34a) 및 각각의 마이너스 전압 라인(34b)을 포함한다. 제3 저장 유닛(28)은 제3 파워 서플라이 라인 또는 버스(36)를 통해 보조 부하(30)에 연결되며, 상기 제3 파워 서플라이 라인 또는 버스(36)은, 보조 부하(30)가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각각의 플러스 전압 라인(36a) 및 각각의 마이너스 전압 라인(36b)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의 플러스 전압 라인(32a)은, 제1 다이오드(40)를 통해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의 플러스 전압 라인(36a)에 연결된다. 제1 다이오드(40)는,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의 플러스 전압 라인(32a)에 연결된 애노드 단자 및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의 플러스 전압 라인(36a)에 연결된 캐소드 단자를 가지며, 이에 의해,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의 직류 전류를 허용하고,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부터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의 역방향 전류의 흐름을 금지하도록 한다.
유사하게,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의 플러스 전압 라인(34a)은 제2 다이오드(42)를 통해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의 플러스 전압 라인(36a)에 연결된다. ㅅ상기 2 다이오드(42)는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의 플러스 전압 라인(34a)에 연결된 애노드 단자 및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의 플러스 전압 라인(36a)에 연결된 캐소드 단자를 가지며, 이에 의해,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의 직류 전류를 허용하고,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부터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의 역방향 전류의 흐름을 금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의 마이너스 전압 라인(32b)은, 특히, 상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4)의 마이너스 전압 라인(36b)에 직결되고;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의 마이너스 전압 라인(34b)은, 특히,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의 마이너스 전압 라인(36b)에 직결된다.
도 2의 전기적 구성은 시스템(20)의 구동 조건((즉, 저장 유닛(24, 27)이 각각의 전동기(22, 25)에 전력을 공급할 때)) 하에 시스템(20)의 사용시, 사용자는, 제1 및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2, 34)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즉, 제1 및 제2 저장 유닛(24, 27)에 의해 공급되는 에너지를 통해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을 자동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20)의 동작을 중요한 동작 조건의 예를 통해 이하에 기술한다. 특히, 이하에서는, 보조 부하(30)가 전력(Px)을 흡수하고; 제1 및 제2 전동기(22, 25)는, 흡수된 전력, 즉, 제1 전동기(22) 및 제2 전동기(25)가 각각의 전력(Py)을 흡수하는 것을 전제로 대칭 동작으로 작동한다.
제1 동작 조건
이 동작 조건에서, 제1, 제2 및 제3 저장 유닛(24, 27, 28)의 각각의 충전 상태는 동일하다. 사용시, 보조 부하는 소정 전력(Px)을 흡수하여 제3 저장 유닛(28)을 고갈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다이오드(40, 42)의 단부에는 전위차가 존재하며, 이는 보조 부하(30)의 전력 흡수에 의해 생성되는 언밸런스를 제조정시키고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고, 제1, 제2 및 제3 저장 유닛(24, 27, 28)의 충전 상태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다이오드(40, 42)를 통해 각각의 전류가 흐르며, 이는,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Px/2 이하의 전력을,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Px/2 이하의 전력을 전송하도록 한다.
하기 표 1은 전술한 동작 조건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여기서 기호 "="는 3개의 저장 유닛(24, 27, 28)이 공유하는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1 동작 조건에서, ((제3 저장 유닛(28)에 저장된 전하의 대응하는 사용을 포함하는) 보조 부하(30)의 소모를 보충하기 위해, 제1 및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2, 34) 모두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전류가 흐른다. 특히,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를 향해 흐르는 전력은, 다이오드(40, 42)의 단부에서의 실제 전위차에 비례하며, 그에 따라 자기 조절(self-regulate)된다.
제2 동작 조건
이 동작 조건에서는, 제2 및 제3 저장 유닛들(27, 28)의 각각의 충전 상태는 동일한 반면, 제1 저장 유닛(24)의 충전 상태는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 상태보다 작다. 제1 다이오드(40)의 양단에서의 전위차는 제1 다이오드(40)가 비활성화되고 그를 통한 전류의 흐름이 없도록 한다. 한편, 제2 다이오드(42)의 양단에서의 전위차는 제2 다이오드(42)를 통과하는 전류가 있도록 하며, 이는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의 Px와 같거나 적은 전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하기 표 2는 전술한 동작 조건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며, 여기서 기호 "="는 저장 유닛들(27, 28)이 공유하는 충전 상태를 나타내고, 기호 "-"는 제3 저장 유닛(28)보다 작은 제1 저장 유닛(24)의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2 동작 조건에서는, 보조 부하(30)의 소모를 보충하기 위해, 단독의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전류가 흐른다. 특히,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를 향해 흐르는 전력은 다이오드(42)의 양단에서의 실제 전위차에 비례하므로 자기 조절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것을 미러링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거동이 발생하는데, 제1 및 제3 저장 유닛들(24, 28)의 각각의 충전 상태가 동일한 반면, 제2 저장 유닛(27)의 충전 상태는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 상태보다 작다. 시스템(20)의 예상 거동은 하기 표 3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제3 동작 조건
이 동작 조건에서는, 제1 및 제2 저장 유닛(24, 27)의 각각의 충전 상태는 동일한 반면,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 상태는 제1(또는 제2) 저장 유닛(24)(또는 27)의 충전 상태보다 적다. 제1 및 제2 다이오드(40, 42)의 양단에서의 전위차는 제1 및 제2 다이오드(40, 42)를 통과하는 각각의 전류 흐름이 있도록 하며, 이는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Px/2 이상의 전력을,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Px/2 이상의 전력을 전송하도록 한다.
하기 표 4는 전술한 동작 조건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며, 여기서 기호 "="는 두 저장 유닛들(24, 27)이 공유하는 충전 상태를 나타내고, 기호 "-"는 더 작은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3 동작 조건에서는, 제1 및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2, 34) 모두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보조 부하(30)의 소모를 보충하고,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을 회복할 수 있다. 특히,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를 향해 흐르는 전력은 다이오드(40, 42)의 단부에서의 실제 전위차에 비례하므로 자기 조절된다.
제4 동작 조건
이 동작 조건에서, 제1 및 제2 저장 유닛(24), 27의 각각의 충전 상태는 동일한 반면,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 상태는 제1(또는 제2) 저장 유닛(24)(또는 제27)의 충전 상태보다 크다. 제1 및 제2 다이오드(40, 42)의 양단에서의 전위차는 양 다이오드(40, 42)가 모두 비활성화되어, 제1 및 제2 다이오드(40, 42)를 통해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를 향해 각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하기 표 5는 전술한 동작 조건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며, 기호 "="는 두 저장 유닛들(24, 27)이 공유하는 충전 상태를 나타내고, 기호 "+"는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제4 동작 조건에서, 제1/2 파워 서플라이 버스(24/26)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는 물론, 반대 방향으로도 의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브렉다운 현상은 적절한 다이오드(40), 42를 선택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제5 동작 조건
이 동작 조건에서, 제2 및 제3 저장 유닛들(27, 28)의 각각의 충전 상태는 동일한 반면, 제1 저장 유닛(24)의 충전 상태는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 상태보다 크다. 제1 다이오드(40)의 양단에서의 전위차는 제1 다이오드(40)가 도통 모드에 있고 Px와 같거나 큰 전력을 전송하도록 한다. 반면에, 제2 다이오드(42)의 양단에서의 전위차는 제2 다이오드(42)를 통한 전류 흐름이 없도록 한다.
하기 표 6은 전술한 동작 조건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며, 기호 "="는 저장 유닛들(27, 28)이 공유하는 충전 상태를 나타내고, 기호 "+"는 제3 저장 유닛(28)보다 큰 제1 저장 유닛(24)의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동작 조건에서, 보조 부하(30)의 소모를 보충하기 위해 단독의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전류가 흐른다. 특히,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를 향해 흐르는 전력은 다이오드(40)의 양단에서의 실제 전위차에 비례하므로 자기 조절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것을 미러링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거동이 발생하는데, 제1 및 제3 저장 유닛들(24, 28)의 각각의 충전 상태가 동일한 반면, 제2 저장 유닛(27)의 충전 상태는 제3 저장 유닛(28)의 충전 상태보다 크다. 이 경우, 시스템(20)의 예상 거동은 하기 표 7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20)의 모든 요소(동일한 참조 번호로 식별되고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또한 ("충전 입구"로서 공지된) 커넥터(54)를 더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50)을 도시하며, 이는 공지된 방식으로 전기/하이브리드 차량에 고정되고 제1, 제2 및 제3 전원 핀(54a, 54b, 54c)이 제공되며, 이들은, 충전을 목적으로 각각의 저장 유닛(24, 27, 28)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스위치를 통해, 제1, 제2 및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2, 34, 36)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고, 도 2 또는 도 3의 구조에 기초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스위치 또는 접촉기들도 있으며, 이들은, 전동기들(22, 25)과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 버스들(32, 34) 사이 및 보조 부하들(34)과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 버스(36)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 또는 접촉기들은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 라인들(32, 34)에 대해 또한 그로부터 전동기들(22, 25)을 전기적으로 결합/분리하고, 파워 서플라이 버스(36)에 대해 또한 그로부터 보조 부하들(30)을 전기적으로 결합/분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 라인(32, 34, 36)에 대해 또한 그로부터 저장 유닛(24, 27, 28)을 결합/분리하기 위해 유사한 스위치/접촉기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들은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는 서로 다른 작동 모드들을 구현하기 위해 스위치들을 개폐 상태로 시프트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유닛은, 차량의 복수의 작동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그 중 특히 "키 오프(key-off)" 모드, 전동기/보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모드 및 저장 유닛 충전 모드가 있다.
키 오프 모드에서, 전기 차량의 모터는 저장 유닛을 통해 구동되지 않으며, 동시에, (예를 들어, 전기 차량이 주차되어 있을 때) 저장 유닛은 충전되지 않는다.
파워 서플라이 모드에서, 전동기는 (예를 들어, 주행 중) 각 저장 유닛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일부 동작 조건에서, 두 개의 전동기들 중 하나만 각 저장 유닛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면 된다.
충전 모드에서, 저장 유닛은 충전 스테이션을 고정하여 제공되는 충전 전압을 사용하여 충전된다.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작동 모드를 구현하도록 소프트웨어를 통해 적절히 구성된 전기/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위에서 언급한 작동 모드를 구현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되고 설계된 전기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 또는 범용 콘트롤러 외에 추가적인 제어 유닛으로 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60), 특히 도 2에 도시된 타입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20) 또는 도 3에 도시된 타입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5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요지의 장점들은 명백하다.
실제로, 본 발명이 보조 장치 뿐만 아니라 기계적 대칭으로 작동하는 각 전동기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3개 이상의 저장 유닛들을 구비하는 전기/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도 2 참조), 단락 전류를 감소시키고 여유도를 보장하며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배선과 퓨즈를 최적화할 뿐만 아니라 설계 용이성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 배터리(24, 27, 28)의 각각의 그룹에 연결된 3개의 서로 다른 파워 서플라이 라인들(32, 34, 36)을 사용하여 2개의 전동기(22, 25) 및 보조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며; 다이오드(40, 42)의 존재는 보조 라인(36)으로부터 파워 서플라이 라인(32, 34)으로의 역방향 전력 흐름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한다. 차량의 주행 중에, 3개의 파워 서플라이들 사이((즉, 전동기(22, 25)와 관련된 저장 유닛(24, 27)과 보조 부하(30)와 관련된 저장 유닛 28 사이))에 불균형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적인 제조정을 가능케하거나, 또는, 배터리 유닛(28)이 필요한 전원을 모두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보조 부하(30)의 작동이 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이 정지해 있을 때(본 발명의 주제에 포함되지 않음) 충전 단계 동안 모든 저장 유닛(24, 27, 28)의 완전한 제조정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요지 변경 및 변형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 명시된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다이오드(40)와 다이오드(42)는 유사한 능동 또는 수동 구성요소 또는 동등한 기능, 즉, 파워 서플라이 버스(32, 34)로부터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의 직류 전류를 허용하고,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부터 파워 서플라이 버스(32, 34)로의 역방향 전류 흐름을 금지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다이오드들(40, 42)은 사이리스터 또는 SCR(실리콘 제어 정류기)로 대체될 수 있다.

Claims (9)

  1.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20, 50)으로,
    -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를 통해 제1 전동기(22)에 연결된 제1 저장 유닛(24);
    -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를 통해 제2 전동기(25)에 연결된 제2 저장 유닛(27);
    -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기 부하(30)에 연결된 제3 저장 유닛(28)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는,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직류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또한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부터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로의 역류를 금지하도록 구성된 제1 장치(40)를 통해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는,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부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 직류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또한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로부터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로의 역류를 금지하도록 구성된 제2 장치(42)를 통해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 서플라이 버스(32)는 제1 플러스 전압 라인(32a) 및 제1 마이너스 전압 라인(32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서플라이 버스(34)는 제2 플러스 전압 라인(34a) 및 제2 마이너스 전압 라인(34b)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6)는 제3 플러스 전압 라인(36a)과 제3 마이너스 전압 라인(36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러스 전압 라인(32a)과 제3 플러스 전압 라인(36a) 사이에 제1 장치(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장치(42)는 제2 플러스 전압 라인(34a)과 제3 플러스 전압 라인(36a)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너스 전압 라인(32b)은 제3 마이너스 전압 라인(36b)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마이너스 전압 라인(34b)은 제3 마이너스 전압 라인(36b)에 직접 연결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40)는, 제1 플러스 전압 라인(32a)에 연결되는 애노드 단자와 상기 제3 마이너스 전압 라인(36b)에 연결되는 캐소드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장치(42)는 제2 플러스 전압 라인(32a)에 연결된 각각의 애노드 단자와 제3 마이너스 전압 라인(36b)에 연결된 각각의 캐소드 단자를 갖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 그룹(24)과 상기 제2 저장 그룹(27)은 동일한 양의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기(22)와 제2 전동기(25)는 사용 중 동일한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충전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에 연결가능한 커넥터(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54)는,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충전 전압을 각각 제1, 제2, 제3 축적 그룹(24, 27, 28)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1, 제2, 제3 파워 서플라이 버스(32, 34, 36)에 연결되는,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제1 다이오드(40)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제2 다이오드(42)인,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20, 50)을 포함하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자동차(60).
KR1020237019034A 2020-11-11 2021-11-11 전기 자동차용 전동기와 보조 전기 부하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KR20230145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0000026954 2020-11-11
IT102020000026954A IT202000026954A1 (it) 2020-11-11 2020-11-11 Sistema di alimentazione di motori elettrici e carichi elettrici ausiliari per un veicolo elettrico, e veicolo elettrico
PCT/IB2021/060455 WO2022101824A1 (en) 2020-11-11 2021-11-11 Power-supply system of electric motors and auxiliary electric loads for an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312A true KR20230145312A (ko) 2023-10-17

Family

ID=7485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034A KR20230145312A (ko) 2020-11-11 2021-11-11 전기 자동차용 전동기와 보조 전기 부하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44089A1 (ko)
KR (1) KR20230145312A (ko)
CN (1) CN116963930A (ko)
IT (1) IT202000026954A1 (ko)
WO (1) WO20221018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2912B2 (ja) * 2013-07-01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63930A (zh) 2023-10-27
IT202000026954A1 (it) 2022-05-11
EP4244089A1 (en) 2023-09-20
WO2022101824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72886B (zh) 混合动力车辆的电力系统
US8410755B2 (en) Fault tolerant modular battery management system
US8786132B2 (en) Power supply device
US6127798A (en) Electric power supply having two electrical battery storage means for vehicles and other applications
US11855472B2 (en) Mobile power system with bidirectional AC-DC converter and related platforms and methods
KR20120012661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1000A (ko) 다중 채널 dc 버스를 갖는 차량 추진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108419A1 (en) System, vehicle, and method
US20150108925A1 (en) Modular stacked dc architecture trac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20085641A1 (en) Power system an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US20170282723A1 (en) Electrical System For A Vehicle Which Can Be Electrically Driven
JP2013230003A (ja) 電源装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及び蓄電装置並びに組電池の放電方法
CN103818265A (zh) 用于动力交通工具上的电池管理装置
US20230226919A1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system and vehicle
US11046202B2 (en) Power supply and recharging assembly and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the power supply and recharging assembly
CN115158015A (zh) 一种功率转换装置和电动汽车
CN105393420A (zh) 用于将至少一个次级能源耦合到能量供应网络、尤其是车辆车载电网上的方法
KR20230145312A (ko) 전기 자동차용 전동기와 보조 전기 부하의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
ES2804468T3 (es) Vehículo ferroviario y procedimiento para el suministro de energía de un vehículo ferroviario
EP3689662A2 (en) Electrical power module device and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US11130413B2 (en) Arrangement of multiple electrical machines for a vehicle for improving the energy supply while reducing installation space and weight
JP7095612B2 (ja) 車両用電源回路
CN113859052A (zh) 电池加热系统及其电池加热方法
CN113871757A (zh) 电池加热系统及其电池加热方法
US20230241985A1 (en) Electric circuit for a high-voltage network of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