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953A -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953A
KR20230144953A KR1020230043699A KR20230043699A KR20230144953A KR 20230144953 A KR20230144953 A KR 20230144953A KR 1020230043699 A KR1020230043699 A KR 1020230043699A KR 20230043699 A KR20230043699 A KR 20230043699A KR 20230144953 A KR20230144953 A KR 2023014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skin
clause
base memb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일
양휘석
강건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주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주빅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14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로서, 지지홀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지지홀에 구비되는 기저부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저부 일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외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동할 수 있는 가압부 및 상기 지지홀을 관통하며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기저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돌출된 필러부를 포함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간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가 상기 기저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Microneedle applica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을 효과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부로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은 경구 투여체계와 경피 약물전달체계가 있다.
경구 투여체계는 복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위장관 내 약물분해 및 간 대사에 의한 손실과 투여 후 약물의 제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경피 약물전달체계는 주사기와 같은 침습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체내로 약물을 전달하므로 경구 투여체계에 비해 효과적인 장점이 있으나, 심한 통증, 환자의 거부감, 피부 손상 및 숙련된 전문가에 의한 처치를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약제의 경피 전달을 위하여, 피부의 각질층을 파괴하여 상피로 약제의 전달을 도와주는 마이크로니들이 개발되어 왔다.
마이크로니들은 기존의 경구 투여체계와 경피 약물전달체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백 마이크로미터(μm, micrometer)의 길이를 가지는 바늘 형상의 미세 구조체로서, 체내로 직접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피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손쉽게 삽입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여 피부에 삽입하는 마이크로니들용 어플리케이터도 함께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일면에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된 패치 및 패치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여, 가압 장치가 패치의 타면을 가압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지 않아, 약물이 체내로 투여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깊이로 균일하게 삽입될 수 없으므로, 삽입 신뢰성 및 약물 전달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에 약물이 코팅되어 있다가 체내 삽입 시 약물만 용해된 후 남은 마이크로니들을 제거하거나, 마이크로니들이 체내 삽압된 후 모두 용해되어 흡수됨에 따라 약물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제조 과정 및 삽입 과정에서 마이크로니들에 탑재된 약물이 손실되거나 오염 또는 변형될 수 있어, 약물의 정량적 전달 및 유지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을 약물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삽입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균일한 깊이로 삽입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운반, 저장 또는 삽입 과정에서 마이크로니들에 탑재된 약물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운반, 저장 또는 삽입 과정에서 마이크로니들에 탑재된 약물이 변형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로서, 지지홀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지지홀에 구비되는 기저부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저부 일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외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동할 수 있는 가압부 및 상기 지지홀을 관통하며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기저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돌출된 필러부를 포함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간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가 상기 기저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간격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400μm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몸체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러부가 상기 지지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필러부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러부가 상기 지지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필러부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100μm 내지 400μm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러부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상기 지지홀 길이의 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부재는 상기 마이크로니들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홀 및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 상의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간격 부재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에 간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기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 방향으로 제 1 높이에서 제 1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에서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2 높이보다 높은 제 3 높이에서 상기 제 2 직경보다 작은 제 3 직경을 가지는 약물 수용 부분; 상기 약물 수용 부분의 연장 방향 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팁 부분; 및 상기 약물 수용 부분과 상기 기저부 사이에 구비되는 넥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직경은 150μm보다 크고 6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직경은 4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 높이는 300μm보다 크고 15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 높이는 9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러부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500μm보다 크고 25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러부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20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몸체부는 제 1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 1 물질과 다른 제 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러부가 상기 지지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러부가 상기 지지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상기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 사이의 비는 1:1 내지 3:1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홀 및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필러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저부는 상기 지지홀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필러부가 마이크로니들의 기저부를 직접 가압하여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삽입하므로,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약물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복수의 필러부가 개별적으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각각 가압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균일한 깊이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이 본체부 및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코어부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에 소정의 약물 또는 약학조성물이 탑재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운반, 저장 또는 삽입 과정에서 마이크로니들에 탑재된 약물이 손실되거나 변형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간격 부재가 피부를 마이크로니들 측으로 다소 볼록하게 돌출시키고, 피부의 표면에 소정의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간격 부재가 가이드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피부로부터 이격시켜, 가이드 부재 및 가압 부재가 피부와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부재 및 가압 부재를 수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내부에 마이크로니들이 배치될 수 있는 이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간격 부재가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니들의 삽입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의 형상, 필러부의 형상 및 간격 부재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의 삽입 신뢰성, 약물의 전달 신뢰성 및 피부 손상의 최소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때, 도 2에서 가이드 부재는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투시되는 구성들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때, 가이드 부재의 내부는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마이크로니들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가 피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제 2 직경을 가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부재의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필러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피부에 삽입되는 마이크로니들의 삽입 신뢰성과 마이크로니들에 탑재되어 체내로 흡수되는 약물의 전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때, 도 2에서 가이드 부재는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투시되는 구성들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는 가이드 부재(10), 가압 부재(20), 베이스 부재(30), 마이크로니들(40) 및 간격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니들(40)은 피부에 삽입되어 신체 내부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 부재(30)의 일면상에 형성 및 지지된다. 이때, 마이크로니들(4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0)는 마이크로니들(40)의 단부가 피부를 향하도록, 피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베이스 부재(30)의 일측에는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되는 피부가 위치되고, 베이스 부재(30)의 타측에는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의 상측에는 베이스 부재(30)가 배치되고, 베이스 부재(30)의 상측에는 가압 부재(2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부재(20)는 막대 형상의 필러부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40)을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가압 부재(20)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됨에 따라 필러부의 단부로 마이크로니들(40)을 가압하여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이 가압 부재(20)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직접 가압되므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에 약물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로 균일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때, 가이드 부재의 내부는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마이크로니들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는 가이드 부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는 후술하는 가압 부재(2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 부재(10)가 가압 부재(2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함으로써, 가압 부재(20)는 마이크로니들(40)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강한 힘을 정확하게 인가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측은 폐쇄되고 하측은 개방된 원통형의 본체부(12) 및 본체부(12)의 일측에 구비된 상측 결합부(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2)의 내부에는 본체부(12)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홀(13)의 상측부는 본체부(12)의 상면에 의하여 폐쇄되고, 하측부는 외부로 개방된다.
가이드 홀(13)에는 가압 부재(20)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0)는 가이드 홀(13) 내부에 가압 부재(20)를 수용하여, 가압 부재(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2)의 형상은 가압 부재(20)를 가이드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체부(12)는 상측부가 개방되거나 측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가압 부재(20)의 일측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체부(1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체부(12)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10)의 본체부(12)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30) 및 간격 부재(50)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2)의 하측 테두리부에는 전술한 상측 결합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측 결합부(14)는 가이드 부재(10)가 베이스 부재(30) 및 간격 부재(5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0)와 베이스 부재(30) 및 간격 부재(50) 중 어느 하나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결합부(14)에는 후크 구조(또는, 후크 구조가 결합될 수 있는 홀)이 구비되고, 베이스 부재(30) 및 간격 부재(50)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 구조가 대응 결합되는 홀(또는, 후크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가이드 부재(10) 및 가압 부재(20)는 베이스 부재(30)를 교체하며 수회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가이드 부재(10)는 베이스 부재(30) 및 간격 부재(50) 모두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10)의 상측 결합부(1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가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결합부(14)의 테두리부 내측는 베이스 부재(30)가 결합되고 테두리부 외측에 간격 부재(5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변형예에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는 1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30)는 가이드 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의 가압 부재(20)는 탄성부(22), 가압부(24) 및 필러부(26)로 이루어진다.
가압부(24)는 외부에서 가해진 외력을 마이크로니들(4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으로 전환하고, 동시에 가압력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압부(24)의 일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필러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러부(26)는 가압부(24)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하에서, 가압부(24)의 하면으로부터 필러부(26)가 돌출된 높이를 필러의 높이(HP)라 규정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러부(26)의 단부(26a)는 마이크로니들(40)에 균일한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평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필러부(26)의 단부(26a) 형상은 외측으로 다소 볼록하게 형성되는 등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필러부(26)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의 필러부(26)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에 대응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필러부(26)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을 개별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은 충분한 깊이로 균일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필러의 높이(HP)는 가압부(24)의 형상, 베이스 부재(30)의 두께, 마이크로니들(40)의 형상 또는 배치, 간격 부재(50)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필러부(26) 중 어느 하나와 다른 어느 하나는 서로 다른 높이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필러의 높이(HP)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24)는 가이드 홀(13) 내에 외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가압부(24)는 가이드 홀(13)의 내벽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24)의 수평 방향 단면은 가이드 홀(13)의 수평 방향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24)는 원형 단면을 가지나,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홀(13)의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가지고, 이에 대응하여 가압부(24)의 단면도 사각 형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압부(24)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필러부(26)가 마이크로니들(40)을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는, 가압부(24)에 별도의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고, 본체부(12)에는 이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가압부(24)가 가이드 부재(10)에 의하여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가압 부재(20)는 가압부(24)에 외력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0)는 가압부(24)의 상측에 구비되는 탄성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2)는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가압부(24)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 부재(10) 또는 가압 부재(20)에는 탄성부(22)가 외부 입력에 의하여 가압부(24)로 탄성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튼 및 걸림 돌기 등 공지의 구성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의 가이드 부재(10) 하측에는 베이스 부재(30)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0)는 후술하는 마이크로니들(4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32)는 소정의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플레이트부(32)는 얇은 막 형상의 필름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가 가이드 부재(10)의 상측 결합부(14)에 결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32)의 일측, 예를 들어 테두리부에는 상측 결합부(14)와 대응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2)의 하면(32b) 중앙 부분에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이 배치되는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32c)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32c)은 원형을 가지나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플레이트부(32)의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32c)에는 지지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홀(33)은 마이크로니들(40)이 구비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홀(33)은 가압 부재(20)의 필러부(26)가 관통하며 마이크로니들(4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필러부(26)의 직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홀(33)은 소정의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홀(33)의 길이(L)는 플레이트부(32)의 두께에 대응된다. 지지홀(33)의 길이는 마이크로니들(40)의 형상, 필러부(26)의 높이(HP)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지지홀(33)의 길이(L)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30)에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니들(40)은 기저부(42), 몸체부(44) 및 코어부(48)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저부(42)는 몸체부(44) 및 몸체부(44) 내부에 배치된 코어부(48)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저부(42)는 지지홀(33)의 하측 개구부 내측에 구비된다. 물론, 기저부(42)는 지지홀(33)의 개구부에 걸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니들(40)은 기저부(42)를 통하여 베이스 부재(30)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니들(40)은 기저부(42)가 베이스 부재(30)의 지지홀(33)에 삽입되거나 지지홀(33)의 내벽에 점착되어, 베이스 부재(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기저부(42)는 지지홀(33)을 관통하는 필러부(26)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저부(42)는 몸체부(44)와 필러부(26)가 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몸체부(44) 또는 피부가 필러부(26)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부(42)는 지지홀(33)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지지홀(33)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 방향 및 가압 방향이 지지홀(33)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된 필러부(26)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몸체부(44)는 기저부(42)의 일측부에 베이스 부재(30)의 일면 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몸체부(44)는 피부에 직접 삽입되어 체내로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몸체부(44)에는 약물(또는, 약학 조성물)이 탑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4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 상으로 돌출된다. 이때, 몸체부(44)는 캔들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도 5를 참조할 때, 몸체부(44)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약물 수용 부분(46), 기저부(42)와 약물 수용 부분(46)을 연결하는 넥 부분(45) 및 약물 수용 부분(46)의 일측에 뾰족하게 형성된 팁 부분(4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제척으로, 약물 수용 부분(46)은 기저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 방향 제 1 높이(HN1)에서 제 1 직경(DN1)을 가지고, 제 1 높이(HN1)보다 높은 제 2 높이(HN2)에서 제 1 직경(DN1)보다 큰 제 2 직경(DN2)을 가지고, 제 2 높이(HN2)보다 높은 제 3 높이(HN3)에서 제 2 직경(DN2)보다 작은 제 3 직경(DN3)을 가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직경(DN1,DN2,DN3)은 약물 수용 부분(46)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도 5에서 수평 방향으로 측정된 직경을 의미한다. 이때, 제 2 직경(DN2)은 약물 수용 부분(46)의 직경 중 가장 큰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높이(HN1,HN2,HN3)는 기저부(42)로부터 약물 수용 부분(46)의 연장 방향, 도 5에서 상하 방향으로 측정된 높이를 의미한다. 몸체부(44)의 높이(HN)는 기저부(42)로부터 몸체부(44)의 연장 방향, 도 5에서 상하 방향으로 측정된 높이를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팁 부분(47)은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를 절개하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약물 수용 부분(46)의 일측부에 외측 방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넥 부분(45)은 약물 수용 부분(46) 및 팁 부분(47)이 기저부(4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기저부(42)로부터 연장되어 기저부(42)와 약물 수용 부분(46)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40)은 몸체부(44)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약물 수용 부분(46)을 포함하여, 내부에 더 많은 양의 약물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고, 피부와 몸체부(44)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체액에 의한 용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니들(40)의 넥 부분(45)은 적어도 일부가 약물 수용 부분(46)의 제 2 직경(DN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40)은 피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약물 수용 부분(46)이 피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마이크로니들과 피부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40)의 기저부(42)와 몸체부(44)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저부(42)와 몸체부(44)는 각 부의 기능과 형상에 적합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42)는 마이크로니들(40)의 제조 공정을 고려하여, 베이스 부재(30)와 호환성이 좋으며, 지지홀(33)의 내벽에 점착될 수 있도록 높은 점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저부(42)는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에 삽입된 후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생체적합성 물질 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생체적합성 물질은 실질적으로 인체에 독성이 없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면역원성이 없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생분해성 물질은 생체 내에서 체액 또는 미생물 등에 의해서 분해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생체적합성 및/또는 생분해성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s), 폴리(α-하이드록시액시드), 폴리(β-하이드록시액시드), 폴리(3-하이드로식부티레이트-co-발러레이트; PHBV),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프리오네이트; PHP), 폴리(3-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PHH), 폴리(4-하이드록시액시드), 폴리(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4-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폴리(4-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co-글리코라이드; PLGA), 폴리디옥사논,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글리콜산-co-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포스포에스테르 우레탄, 폴리(아미노산), 폴리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폴리(타이로신 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타이로신 아릴레이트), 폴리알킬렌 옥살레이트, 폴리포스파젠스, PHA-PEG, 에틸렌비닐알코올코폴리머(EVOH),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이소부틸렌과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스틸렌-이소브틸렌-스틸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및 공중합체, 비닐 할라이드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리덴 할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플루오로알켄, 폴리퍼플루오로알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케톤, 폴리비닐 아로마틱스, 폴리스틸렌, 폴리비닐 에스테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체, ABS 수지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알키드 수지,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co-말레산, 키토산, 덱스트란, 셀룰로오스, 헤파린, 히알루론산, 알기네이트, 이눌린, 녹말 또는 글리코겐이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s), 폴리(α-하이드록시액시드), 폴리(β-하이드록시액시드), 폴리(3-하이드로식부티레이트-co-발러레이트; PHBV),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프리오네이트; PHP), 폴리(3-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PHH), 폴리(4-하이드록시액시드), 폴리(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4-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폴리(4-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co-글리코라이드; PLGA), 폴리디옥사논,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글리콜산-co-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포스포에스테르 우레탄, 폴리(아미노산), 폴리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타이로신 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타이로신 아릴레이트), 폴리알킬렌 옥살레이트, 폴리포스파젠스, PHA-PEG, 키토산, 덱스트란, 셀룰로오스, 헤파린, 히알루론산, 알기네이트, 이눌린, 녹말 또는 글리코겐이다.
한편, 마이크로니들(40)의 형상(즉, 제 1 내지 제 3 직경(DN1,DN2,DN3), 제 1 내지 제 3 높이(HN1,HN2,HN3) 및 몸체부(44)의 높이(HN))은 필러부(26)의 형상, 베이스 부재(30)가 피부로부터 이격되는 거리(D)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44)의 내부에는 코어부(4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어부(48)는 몸체부(44)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부(48)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측이 소정의 두께(t)를 가지는 몸체부(44)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기준으로, 코어부(48)의 하측 단부와 기저부(42)의 상면 사이의 거리를 코어 높이(HC)라 규정한다.
이때, 코어부(48)를 둘러싼 몸체부(44)의 두께(t)는 코어부(48)에 탑재되는 물질의 종류, 용량 및 특성, 몸체부(44)에 포함된 물질의 종류 및 특성, 마이크로니들(40)이 적용되는 피부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코어부(48)는 몸체부(44)에 포함되는 제 1 물질과 다른 제 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부(48)는 제 2 물질로서 마이크로니들(40)이 체내에 투여하고자 하는 약물(또는, 약학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어부(48)는 몸체부(44) 중 가장 많은 체적을 차지하는 약물 수용 부분(46)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양의 약물을 코어부(48)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48)는 친수성 물질 또는 수소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부(48)는 히알루론산(HA; Hyaluronic Acid) 또는 PCL(Polycaprolactone)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코어부(48)는 분말 형태 또는 액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코어부(48)에 포함된 약물이 외부의 수분, 산소, 온도 변화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어, 온전한 형태를 가지는 약물을 체내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코어부(48)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마이크로니들(40)이 제조, 운반, 저장 또는 삽입되는 과정에서 코어부(48)에 포함된 약물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체내로 손상 또는 변형되지 않은 온전한 형태의 약물을 정량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약물 전달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높이(HC)는 몸체부(44)의 높이(HN), 지지홀(33)의 길이(L) 및 후술하는 이격 거리(D)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코어 높이(HC)에 대해서는 이격 거리(D)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필러부(26)가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을 개별적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니들(40)에 강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니들 또는 약물이 모든 부분에 탑재된 마이크로니들은 삽입되는 과정에서 탑재된 약물의 손실이나 변형 또는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약물 또는 약학 조성물이 수용된 코어부(48)가 몸체부(44)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므로, 필러부(26)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40)에 강한 힘이 인가되어도, 약물의 손실이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본 실시예에와 같이 마이크로니들(40)을 개별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필러부(26) 및 몸체부(44)와 코어부(48)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40)을 구성함으로써,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과 약물의 전달 신뢰성을 동시에 달성하였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어부(48)는 구 형상을 가지나,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더 많은 약물을 탑재하기 위하여 코어부(48)가 더 큰 체적을 가질 수 있도록,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의 베이스 부재(30)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30) 하측에는 간격 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간격 부재(50)는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을 피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간격 부재(50)는 베이스 부재(30)를 피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를 피부측으로 가압하더라도, 마이크로니들(40)이 가압 부재(20)가 작동하기 전에 피부에 눌려지거나 간섭되어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 부재(50)의 구체적인 기능은 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의 작동 과정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 부재(50)는 피부와 베이스 부재(30)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부(52)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간격부(52)를 이루는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간격부(52)는 베이스 부재(30)와 피부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을 만큼 강성을 가질 수 있다면, 외력에 의하여 다소 변형될 수 있는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간격부(52)는 베이스 부재(30) 하면(32b)에 구비된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32c)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부(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간격부(52) 내측에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이 배치될 수 있는 이격 공간(53)이 구비된다. 이격 공간(53)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접촉부(56)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간격부(52)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에는 하측 결합부(54)가 구비된다. 하측 결합부(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 부재(50)와 가이드 부재(10) 및 베이스 부재(30) 중 하나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는, 간격 부재(50)는 가이드 부재(10) 및 베이스 부재(30) 전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간격 부재(50)의 하측 결합부(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가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 결합부(54)의 테두리부 내측에 베이스 부재(30)가 결합되고 테두리부 외측에 가이드 부재(1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간격부(52)의 하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측에는 접촉부(56)가 구비된다. 접촉부(56)는 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가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피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부(56)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나, 접촉부(56)가 안착되는 신체의 특성에 따라 곡면을 포함하거나, 피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56)가 피부와 접하더라도 베이스 부재(30)와 피부 사이에 간격부(52)에 의하여 이격 공간(53)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격 공간(53)에 마이크로니들(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간격 부재(50)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이격 거리(D)라 한다. 이때, 이격 거리(D)는 접촉부(56)의 단부와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 사이의 거리로 규정될 수 있다.
이격 거리(D)는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 높이(HN), 가압 부재(20)의 필러부(26) 높이(HP)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격 거리(D)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간격 부재(50)는 베이스 부재(30)와 피부 사이에 이격 공간(53)을 제공하여,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되기도 전에 피부와 간섭되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 부재(50)는 가이드 부재(10), 가압 부재(20) 및 베이스 부재(30)가 피부와 직접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회 사용될 수 있는 가이드 부재(10), 가압 부재(20) 및 베이스 부재(30)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간격 부재(50)는 피부가 이격 공간(53) 내측으로 다소 볼록하게 솟아오르도록 유도하고, 피부 표면에 소정의 장력을 발생시켜, 마이크로니들(40)이 보다 용이하게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간격 부재(50)의 간격부(52)는 베이스 부재(30)의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32c)의 둘레부 모든 구간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었으나, 간격부(52)는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32c)의 둘레 일부분만을 커버하도록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32c)의 둘레부 중 일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간격 부재(50)의 접촉부(56)에는 간격부(52)의 두께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피부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완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가 피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2)에 삽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를 피부(2) 표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 부재(50)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10), 가압 부재(20) 및 베이스 부재(30)가 피부(2)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가이드 부재(10), 가압 부재(20) 및 베이스 부재(30) 중 적어도 하나는 수회 반복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2)에 삽입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거나 그 힘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힘으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를 피부(2)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2)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가압 부재(50)의 접촉부(56)가 피부(2)를 누르면, 피부(2)의 일 부분(2a)이 이격 공간(53) 내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니들(40)과 피부(2)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20)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2)에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격 공간(53) 내측으로 솟아오르게 된 피부(2)의 일 부분(2a)은 피부(2) 표면을 따라 소정의 장력이 인가되므로, 가압 부재(20)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40)에 인가되는 힘에 보다 강하게 저항할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4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간격 부재(50)의 이격 공간(53)에 마이크로니들(40)이 배치하여 피부(2)로부터 마이크로니들(40)의 단부를 다소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2)에 의하며 마이크로니들(40)의 단부가 간섭되거나 눌려지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소정의 입력을 인가하여 가압 부재(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부재(20)의 가압부(24)는 가이드 부재(10)에 의하여 하측으로 가이드되고, 필러부(26)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베이스 부재(30)의 지지홀(33)을 관통하며 마이크로니들(40)의 기저부(42)를 각각 가압한다.
필러부(26)에 의해 가압된 마이크로니들(40)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피부(2)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필러부(26)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을 개별적으로 직접 가압하므로, 가압 부재(20)에 의한 힘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에 효율적이고 균등하게 전달될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40)의 균일한 삽입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필러부(26)의 단부(26a)가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가 피부(2)에 충분한 깊이로 삽입될 때까지 기저부(42)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몸체부(44)에 탑재된 약물이 체내에 흡수될 수 있는 충분한 깊이까지 마이크로니들(40)을 효과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때,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와 다른 구성을 중심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1)의 가이드 부재(110)는 본체부(112)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간격부(116)가 구비된다. 이때, 간격부(116)는 본체부(11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간격부(116)의 하측 단부에는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간격부(116)의 내측에는 이격 공간(117)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격 공간(117)의 상부는 가이드 홀(113)과 연통되고, 하부는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격 공간(117)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마이크로니들(40)이 구비된 베이스 부재(30)가 상측 결합부(1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 공간(117)에는 마이크로니들(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1)는 가이드 부재(110)가 간격부(116)를 포함하여, 별도의 부재 없이도 베이스 부재(30)를 피부로부터 이격시키고 베이스 부재(30)와 피부 사이에 이격 공간(117)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201)의 베이스 부재(230)는 플레이트부(232) 및 플레이트부(232)의 일측에 구비되는 간격부(2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부(23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232)의 하면(232b)상에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이 형성된 영역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이때, 간격부(234)는 플레이트부(23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간격부(234)의 하측 단부에는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간격부(234)의 내측에는 이격 공간(235)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 공간(117)에는 마이크로니들(4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232)와 간격부(234)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가이드 부재(10), 가압 부재(20) 및 플레이트부(232)는 필요에 따라 수회 반복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플레이트부(232)와 간격부(234)는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니들의 직경 및 높이, 필러부의 높이 및 간격 부재에 의한 이격 거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제 2 직경을 가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삽입되고 약물이 피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으로서 마이크로니들의 직경의 크기나 마이크로니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는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삽입하고 약물을 피부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니들(40)의 제 2 직경(DN2)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직경(DN2)은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장 두터운 부분의 직경을 의미한다.
마이크로니들(40)의 제 2 직경(DN2)이 클수록,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나 코어부(48)의 체적이 증가하므로, 더 많은 용량의 약물을 탑재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니들(40)의 제 2 직경(DN2)이 클수록, 몸체부(44)가 절개하고 밀어내야 하는 피부의 양이 많아지므로, 피부의 저항이 증가하여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나 코어부(48)에 탑재되는 약물은 소정의 농도로 농축되는 바, 상술한 점들을 고려하면 마이크로니들(40)의 제 2 직경(DN2)은 150μm보다 크고 6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되었을 때, 충분한 양의 약물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으면서도 삽입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1a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니들(40)의 제 2 직경(DN2)은 약 500μm이고,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 높이(HN)는 약 850μm이고, 필러부(26)가 가압부(24)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HP)는 약 1500μm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중 일부는 몸체부(44)의 일부가 피부(2)의 외측으로 다소 밀려나왔으나, 대부분의 마이크로니들(40)은 피부(2)에 적절하게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중 일부는 필러부(26)에 의하여 피부(2)에 삽입된 후, 피부(2)의 저항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다소 밀려나왔음을 시사한다.
도 11b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니들(40)의 제 2 직경(DN2)은 약 400μm이되, 몸체부(44)의 높이(HN) 및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는 도 11a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중 거의 대부분이 피부(2)에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는 넥 부분(45)의 일부분만이 피부(2) 외부로 다소 노출되어 있을 뿐이고, 약물 수용 부분(46) 및 팁 부분(47)은 완전하게 피부(2) 내측에 삽입 및 고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이크로니들(40)의 제 2 직경(DN2)이 약 400μm이거나 이보다 다소 작도록 형성되면, 되도록 많은 약물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으면서도,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마이크로니들(40)의 제 2 직경(DN2) 크기가 전술한 범위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로니들(40)에 탑재되는 약물의 종류 및 농도,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를 이루는 물질의 특성, 목표하는 흡수 속도 및 약물 전달률, 코어부(48)를 커버하는 몸체부(44)의 두께(t)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시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서는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니들(40) 몸체부(44)의 높이(HN)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44)의 높이(HN)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44)가 기저부(4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높이(HN)를 의미한다.
몸체부(44)의 높이(HN)가 클수록, 마이크로니들(40)의 전체 크기가 증가하여 더 많은 양의 약물을 탑재할 수 있고, 피부의 더 깊은 부분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44)의 높이(HN)가 클수록, 몸체부(44)가 절개하고 밀어내야 하는 피부의 양이 많아지고, 삽입되어야 하는 깊이가 깊어지며, 또한, 구조적으로 강성이 약해지므로,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충분한 양의 약물이 체내의 목표한 부분인 진피층 내로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몸체부(44)의 높이(HN)는 300μm보다 크고 1500μm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2a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44)의 높이(HN)는 약 1000μm이고, 제 2 직경(DN2)은 약 300μm이고, 필러부(26)의 높이(HP)는 약 1500μm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중 일부는 몸체부(44)가 피부(2)의 외측으로 다소 밀려나오게 되어 넥 부분(45)이 외부로 조금 노출되었으나, 대부분의 마이크로니들(40)은 피부(2)에 적절하게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이크로니들(40)이 필러부(26)에 의하여 피부(2)에 삽입된 후, 피부(2)의 저항력이나 몸체부(44)의 변형에 의하여 외측으로 다소 밀려나왔음을 시사한다.
도 12b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44)의 높이(HN)는 약 900μm이되, 제 2 직경(DN2) 및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는 도 12a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도 12b를 참조하면, 모든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2) 표면에는 마이크로니들(40)의 기저부(42)만이 노출되어 있을 뿐이고,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는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 및 고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몸체부(44)의 높이(HN)가 약 900μm이거나 이보다 다소 작도록 형성되면, 되도록 많은 약물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고, 목표한 부분인 피부(2) 표피층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마이크로니들(40)의 강도가 충분하여 삽입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몸체부(44) 높이(HN)의 크기가 전술한 범위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로니들(40)에 탑재되는 약물의 종류 및 농도, 몸체부(44)를 이루는 물질의 특성, 마이크로니들(40)의 형태, 목표하는 약물의 흡수 속도, 투여 깊이 및 전달률, 코어부(48)를 커버하는 몸체부(44)의 두께(t)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압 부재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부재의 형상으로서 가압 부재가 베이스 부재의 일면을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부재의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는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간격 부재(50)가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을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거리(D)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D)(즉, 이격 거리)는 간격 부재(50)가 베이스 부재(30) 또는 가이드 부재(1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 상태에서 간격 부재(50)의 접촉부(56) 하단으로부터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까지 거리를 의미한다.
몸체부(44)의 높이(HN)가 이격 거리(D)보다 크도록 형성되면, 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가 피부(2)에 안착되었을 때, 마이크로니들(40)의 단부가 이격 공간(5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피부(2)와 간섭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부재(20)가 작동하기도 전에 마이크로니들(40)의 단부가 피부(2)에 눌려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거리(D)는 마이크로니들(40)의 몸체부(44)가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으로부터 연장된 높이(HN)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격 거리(D)가 길어질수록, 마이크로니들(40)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탑재되는 약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고, 또한, 마이크로니들(40)의 단부가 피부(2)에 의하여 간섭되거나 눌리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에 삽입되기 위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거리가 증가되어, 삽입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격 거리(D)가 지나치게 짧으면, 마이크로니들(40)의 단부가 피부(2)에 의하여 간섭되거나 눌려져 변형될 수 있어, 탑재된 약물이 손상되거나 마이크로니들의 삽입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피부(2)에 의한 마이크로니들(40)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이격 거리(D)는 100μm보다 크거나 같되 500μm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3a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 거리(D)는 약 300μm이고, 제 2 직경(DN2)은 300μm이고, 마이크로니들(40) 몸체부(44)의 높이(HN)는 900μm이고, 필러부(26)가 돌출된 높이(HP)는 1500μm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의 대부분은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으나, 나머지는 몸체부(44)가 다소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기저부(42) 및 몸체부(44)의 일부가 손상되어 형태가 변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중 일부는 단부가 피부(2)에 의하여 간섭되거나 눌려짐에 따라 변형되어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도 13b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 거리(D)는 약 400μm이되, 제 2 직경(DN2), 몸체부(44)의 높이(HN) 및 필러부(26)가 돌출된 높이(HP)는 도 13a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도 13b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거의 대부분이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으며, 몸체부(44)의 일부가 피부(2) 외측으로 다소 노출된 마이크로니들(40)이 있지만, 기저부(42)나 몸체부(44)가 손상되거나 변형된 마이크로니들(40)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2)에 의한 마이크로니들(40) 단부 손상이 최소화되면서도, 필러부(26)에 의하여 온전하게 힘을 받아 삽입되었음을 시사한다.
도 13c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 거리(D)는 약 500μm이되, 제 2 직경(DN2), 몸체부(44)의 높이(HN) 및 필러부(26)가 돌출된 높이(HP)는 도 13a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도 13c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거의 대부분이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으며, 몸체부(44)가 피부(2) 외측으로 노출된 마이크로니들(40)이 없고, 또한, 기저부(42)나 몸체부(44)가 손상되거나 변형된 마이크로니들(40)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2)에 의한 마이크로니들(40) 단부의 손상이 최소화되면서도, 필러부(26)에 의하여 온전하게 힘을 받아 삽입되었음을 시사한다.
도 13d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 거리(D)는 약 1000μm이고, 몸체부(44)의 높이(HN)는 약 830μm이고, 필러부(26)가 돌출된 높이(HP)는 약 2000μm이고, 지지홀(33)의 길이(L)는 약 500μm이고, 코어부(48)의 코어 높이(HC)는 약 250μm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격 거리(D)가 몸체부의 높이(HN)보다 크도록 형성되었다. 코어 높이(HC), 지지홀(33)의 길이(L)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3d를 참조하면, 마이크로니들(40)의 대부분이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으며, 몸체부(44)가 피부(2) 외측으로 노출된 마이크로니들(40)이 없고, 또한, 기저부(42)나 몸체부가 손상되거나 변형된 마이크로니들(40)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2)에 의한 마이크로니들(40) 단부의 손상이 최소화되면서도, 필러부(26)에 의하여 온전하게 힘을 받아 삽입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격 거리(D)가 전술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로니들(40) 단부의 강도, 적용되는 피부(2)의 상태, 확보되어야 하는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 마이크로니들(40) 및 간격 부재(50)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 거리(D)는 코어부(48)의 코어 높이(HC)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어부(48)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 부재(30)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이격 거리(D)보다 크거나 같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코어부(48)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 부재(30)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이격 거리(D) 사이의 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HP?L+HC ≥ D
이때, 상기의 [수학식 1]에서 ‘HP?L+HC’은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어부(48)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 부재(30)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이다.
이격 거리(D)를 상기와 같이 설정한 이유 중 하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부(48) 및 약물 수용 부분(46)은 마이크로니들(40)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부분이므로, 가압 부재(20)에 의한 가압력이 집중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성공률을 높이고 충분한 삽입 깊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압력이 집중되는 코어부(48) 및 약물 수용 부분(46)가 간격 부재(50)의 외측으로 빠져나올 때까지 가압 부재(20)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어부(48)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 부재로(30)부터 이격된 거리는 이격 거리(D)보다 크거나 같으면, 코어부(48) 및 약물 수용 부분(46)은 최소한 이격 거리(D)에 해당하는 길이 구간에서 가압 부재(20)에 의한 가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어부(48)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 부재(30)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이격 거리(D)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성공률을 높이면서도 충분한 삽입 깊이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어부(48)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이격 거리(D) 사이의 비는 1:1 내지 3:1일 수 있다. 왜냐하면, 코어부(48) 및 약물 수용 부분(46)이 지나치게 긴 길이를 가지는 구간동안 힘을 받으면, 피부에 과도한 자극이 인가되어 피부가 손상되는 등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 도 5 및 도 13d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서는,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어부(48)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 부재(30)로부터 이격된 거리(HP-L-HC)는 약 1750μm이고, 이격 거리(D)는 1000μm이다. 달리 표현하면,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어부(48)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이격 거리(D) 사이의 비는 1.75:1이다.
도 13d를 참조하면, 마이크로니들(40)의 대부분이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으며, 몸체부(44)가 피부(2) 외측으로 노출된 마이크로니들(40)이 없고, 또한, 기저부(42)나 몸체부가 손상되거나 변형된 마이크로니들(40)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코어부(48) 및 약물 수용 부분(46)이 최소한 이격 거리(D)에 해당하는 길이 구간에서 가압 부재(20)에 의한 가압력을 충분히 인가 받음으로써, 충분한 깊이로 삽입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필러부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러부의 형상으로서 필러부가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필러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는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2)에 효과적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필러부(26)가 돌출된 높이(HP)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필러부(26)가 돌출된 높이(HP)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러부(26)의 단부(26a)가 가압부(2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또는, 연장된) 높이(HP)를 의미한다.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가 높을수록, 필러부(26)가 마이크로니들(40)을 피부(2) 측으로 더 긴 구간동안 강하게 가압할 수 있으므로, 삽입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필러부(26)가 피부(2)를 강한 힘으로 깊게 누르게 되어 피부(2) 손상 및 고통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가 낮을수록, 필러부(26)에 의한 피부(2) 손상 및 고통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필러부(26)가 충분한 힘으로 마이크로니들(40)을 가압할 수 없어, 삽입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는 적절하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는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피부(2)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500μm보다 크되 25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a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러부(26)의 높이(HP)는 2000μm이고, 이격 거리(D)는 300μm이고, 제 2 직경(DN2)은 400μm이고, 몸체부(44)의 높이(HN)는 900μm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거의 대부분이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으며, 몸체부(44)가 피부(2) 외측으로 노출된 마이크로니들(40)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부(2)에는 과도하게 눌려진 부분이나 손상된 부분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필러부(26)나 마이크로니들(40)에 의한 피부(2)의 손상이 최소화되면서도,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도 14b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여 피부(2)에 마이크로니들(40)이 삽입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러부(26)의 높이(HP)는 2500μm이고, 이격 거리(D), 제 2 직경(DN2) 및 몸체부(44)의 높이(HN)는 도 14a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도 14b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40) 중 매우 적은 마이크로니들(40)만이 피부(2)에 완전하게 삽입되었고, 대부분의 마이크로니들(40)은 몸체부(44)가 피부(2) 외측으로 노출될 정도로 완전하게 삽입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40)의 주변에는 피부(2)가 강하게 눌린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필러부(26)에 의하여 피부(2)가 다소 손상되었음을 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서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가 상술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는 적용되는 피부(2)의 상태, 확보되어야 하는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 마이크로니들(40) 및 간격 부재(50)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피부(2)의 손상을 다소 수반하더라도 많은 양의 약물을 깊게 투여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라면, 필러부(26)의 돌출 높이(HP)는 2500μm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다른 예로서, 도 4 및 도 8을 참조할 때 필러부(26)의 높이(HP)는 이격 거리(D)와의 관계에서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할 때, 필러부(26)의 높이는 이격 거리(D) 및 지지홀(33)의 길이(L)(또는, 베이스 부재(30)의 두께)의 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도 8을 참조할 때,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2)에 삽입되도록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필러부(26)의 단부(26a)가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으로부터 돌출된 높이(HP1)는 이격 거리(D)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러부(26)는 간격 부재(50)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40)을 더 긴 구간동안 강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니들(40)의 삽입 깊이 및 피부(2) 손상과 자극 등을 고려하여, 마이크로니들(40)이 피부(2)에 삽입되도록 필러부(26)가 지지홀(33)을 관통한 상태에서, 필러부(26)의 단부(26a)가 베이스 부재(30)의 하면(32b)으로부터 돌출된 높이(HP1)는 이격 거리(D)보다 100μm 내지 400μm 만큼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필러부가 마이크로니들의 일측을 개별적으로 강하게 가압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니들의 삽입 신뢰성을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이 몸체부 및 몸체부 내부에 구비된 코어부로 이루어지고, 코어부에 소정의 약물을 탑재할 수 있어, 제조, 운반, 저장 또는 삽입 과정에서 마이크로니들에 탑재된 약물이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약물 전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의 형상 및 크기, 간격 부재의 형상 및 이격 거리, 필러부의 형상 및 돌출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마이크로니들의 삽입 신뢰성, 약물의 전달 신뢰성 및 피부 손상의 최소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마이크로니들(40)에 탑재되는 물질은 약물 또는 약학조성물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마이크로니들(40)에 탑재되는 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 성분이나 항원-항체 반응의 검사를 위한 항원 등 신체 내부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물질이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101 201: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0 110: 가이드 부재 20: 가압 부재
30 230: 베이스 부재 40: 마이크로니들
50: 간격 부재

Claims (25)

  1.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로서,
    지지홀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지지홀에 구비되는 기저부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저부 일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외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동할 수 있는 가압부 및 상기 지지홀을 관통하며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기저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돌출된 필러부를 포함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간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부가 상기 기저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400μm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몸체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러부가 상기 지지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필러부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러부가 상기 지지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필러부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100μm 내지 400μm 크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부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상기 지지홀 길이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부재는 상기 마이크로니들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 및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 상의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간격 부재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분포 영역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에 간격 부재가 구비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기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 방향으로 제 1 높이에서 제 1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에서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2 높이보다 높은 제 3 높이에서 상기 제 2 직경보다 작은 제 3 직경을 가지는 약물 수용 부분;
    상기 약물 수용 부분의 연장 방향 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팁 부분; 및
    상기 약물 수용 부분과 상기 기저부 사이에 구비되는 넥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경은 150μm보다 크고 6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경은 4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 높이는 300μm보다 크고 15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 높이는 9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부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500μm보다 크고 25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부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2000μm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몸체부는 제 1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니들의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 1 물질과 다른 제 2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러부가 상기 지지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HP-L-HC)는 상기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D)보다 크거나 같은,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러부가 상기 지지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HP-L-HC)와 상기 상기 간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일면이 피부로부터 이격된 거리(D) 사이의 비는 1:1 내지 3:1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홀 및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필러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지지홀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KR1020230043699A 2022-04-08 2023-04-03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KR20230144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43931 2022-04-08
KR1020220043931 2022-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953A true KR20230144953A (ko) 2023-10-17

Family

ID=885577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698A KR20230144952A (ko) 2022-04-08 2023-04-03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KR1020230043699A KR20230144953A (ko) 2022-04-08 2023-04-03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698A KR20230144952A (ko) 2022-04-08 2023-04-03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4495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952A (ko)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592B1 (ko) 역 작동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주사 장치
KR101712413B1 (ko) 카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JP6402714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ユニット
US11964121B2 (en) Mono dose dermal patch for pharmaceutical delivery
US20180326195A1 (en) Microneedle array and microneedle sheet
US20220257916A1 (en) Microneedle assembly
JP2015116335A (ja) 経皮薬剤投与システム及び経皮薬剤投与システムの製造方法
KR20190080325A (ko) 마이크로 니들
KR20120119250A (ko) 단턱이 형성된 미세바늘
JP2012254952A (ja) 経皮吸収製剤
JP7324448B2 (ja) マイクロ構造体
KR102249513B1 (ko) 캔들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7477B1 (ko) 마이크로니들 구조체
KR20230144953A (ko)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US11213483B2 (en) Implantable solid dosage form
JP7108031B2 (ja) 高密度マイクロニードル
US20180200495A1 (en) Administration device
JP2019170690A (ja) マイクロニードル連続注入装置
US20210170154A1 (en) Perforated plate microstructure module
KR20180077879A (ko) 멀티형 마이크로 니들
KR20220106071A (ko)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CN116669702A (zh) 用于递送多种材料的微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