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887A -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887A
KR20230144887A KR1020220044168A KR20220044168A KR20230144887A KR 20230144887 A KR20230144887 A KR 20230144887A KR 1020220044168 A KR1020220044168 A KR 1020220044168A KR 20220044168 A KR20220044168 A KR 20220044168A KR 20230144887 A KR20230144887 A KR 2023014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workers
employer
platform serve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22004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887A/ko
Publication of KR2023014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폼 서버는 매장 근무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 및 상기 근로자에 대한 고용을 희망하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각각 근로자 및 고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S1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2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3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는 단계(S4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산출된 능력치에 따라 근로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500); 및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에게 지급된 코인의 양이 높은 순서대로 근로자를 배열하여 고용자에게 고용을 위한 우선순위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Method of matching worker and employer by using platform and employment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인을 위한 별도의 모집공고가 필요없고, 고용자에게 원하는 능력을 가지는 근로자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으며, 근로자에게 능력에 상응하는 급여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랫폼(Platform)이라 함은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특정 프로세서 모델과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는 운영체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환경을 통칭하여 말하는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에 의하여 모든 분야에서의 비대면 업무가 일반화됨에 따라 구인 및 구직활동에 있어서도 비대면에 의한 정보공유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플랫폼을 이용한 구인 및 구직 시스템은 먼저 고용자가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인공고를 등록하고, 근로자가 상기 구인공고에 대하여 지원서를 제출하면 고용자가 지원서를 검토하여 원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면접을 실시한 후 근로자를 채용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채용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능력을 정확히 알 수 없고, 근로자의 업무 파악 정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별도의 교육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근로매칭방법 및 작업자매칭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0099호는 "건설근로 매칭 방법 및 건설근로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매칭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건설근로 매칭 방법으로서, 건설 작업의 근로를 희망하는 건설근로자의 단말기; 및 건설 작업에 대한 근로자를 모집하고자 하는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 받아 등록하는 회원가입단계;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건설 작업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작업등록단계; 등록된 건설근로자 중 상기 건설 작업에 적합한 복수의 건설근로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건설근로자의 단말기로 건설 작업 공고를 전송하는 제1근로자매칭단계; 및 건설 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건설근로자의 단말기 및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서로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신하는 상호평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정보는, 상기 건설근로자 및 상기 관리자의 직접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기본정보; 및 응답자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성향평가설문 세트에 대한 상기 건설근로자 및 상기 관리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성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근로자매칭단계는 상기 기본정보, 상기 성향정보, 상기 평가정보, 및 상기 건설 작업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수행되고, 상기 제1근로자매칭단계는, 상기 건설 작업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건설근로자의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1차적으로 건설근로자를 필터링 하고, 필터링 된 상기 건설근로자에 대하여, 상기 관리자의 과거의 건설근로자들에 대한 평가정보 및 상기 건설근로자의 성향정보의 관계에 기초하여 도출된 상기 관리자의 선호성향정보; 및 상기 건설근로자의 과거의 관리자들에 대한 평가정보 및 상기 관리자의 성향정보의 관계에 기초하여 도출된 상기 건설근로자의 선호성향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제1매칭지수; 및 상기 관리자 및 상기 건설근로자의 과거 수행된 상호간의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제2매칭지수;를 고려하여, 2차적으로 건설근로자를 필터링 하고, 상기 상호간의 평가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관리자 및 건설근로자의 상기 제2매칭지수를 도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매칭서버에 저장된 관리자의 모든 건설근로자에 대한 평가정보, 평가를 수행한 관리자의 성향정보 및 평가를 받은 건설근로자의 성향정보에 의하여 기계학습된 관리자선호성향예측엔진에 의하여, 해당 관리자와 평가성향이 유사하면서 해당 건설근로자와 상호간의 평가정보가 존재하는 유사성향관리자를 판별하고, 상기 유사성향 관리자와 해당 건설근로자와의 상호간의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매칭지수를 도출하는, 건설근로 매칭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0099호에 따른 건설근로 매칭 방법 및 건설근로 매칭 시스템은 근로자의 정보 및 작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를 매칭하여 작업에 적합한 근로자를 용이하게 매칭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 단계가 복잡하고 별도의 모집공고를 전송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31357호는 "작업량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작업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작업 종합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 매칭 서버가 수행하는 작업자 매칭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작업에 대하여 복수의 작업자 각각의 일별 처리 가능한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작업 의뢰자 단말로부터 작업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작업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일별 처리해야할 작업량과 상기 복수의 작업자 각각의 일별 처리 가능한 작업량 간의 비를 이용하여 상기 일별 처리해야할 작업량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자의 수, 소요 비용 및 소요 기간을 산출하며, 산출결과 및 상기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복수의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상기 작업 의뢰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 의뢰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자 매칭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31357호에 따른 작업량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작업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작업 종합 설계 방법은 작업 의뢰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작업자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고용자에게 필요한 최선의 근로자를 제공하기 어렵고, 근로자에게 능력에 상응하는 보수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1757호는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커뮤니티 페이지에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업로드한 작성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해 상기 업로드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에 의해 투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과 투표시점을 매핑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소비 또는 투표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의 분배수익을 상기 작성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투표자 단말로 배분하여 기 설정된 가상화폐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1757호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 및 투표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가상화폐 채굴형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소비자가 서로 상생하는 수익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이점은 있으나, 고용자에게 최적의 근로자를 제공하여 시행착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인시 별도의 모집공고없이 상시 고용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고, 고용자에게 원하는 능력을 가지는 근로자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으며, 근로자에게 능력에 상응하는 급여를 제공할 수 있고, 노하우 제공을 통한 코인 채굴에 의해 고용자에게 별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인시 별도의 모집공고없이 상시 고용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고, 고용자에게 원하는 능력을 가지는 근로자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으며, 근로자에게 능력에 상응하는 급여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조건에 따라 근로자 및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여 근로자 및 고용자에게 별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은, 플랫폼 서버는 매장 근무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 및 상기 근로자에 대한 고용을 희망하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각각 근로자 및 고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S1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2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3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는 단계(S4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산출된 능력치에 따라 근로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500); 및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에게 지급된 코인의 양이 높은 순서대로 근로자를 배열하여 고용자에게 고용을 위한 우선순위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근로자 경력카드의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는 매장관리, 상품관리 및 고객관리의 대분류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로자의 업무범위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구분되고, 상기 업무별 능력치는 상기 소분류의 평가항목이 5단계의 평가순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은 상기 S600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고용자가 제1 코인획득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인획득조건은 상기 고용자가 플랫폼 서버를 통하여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 또는 상기 고용자가 매장 운영에 대한 노하우를 플랫폼 서버의 게시판에 공유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은 상기 S700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가 제2 코인획득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근로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인획득조건은 상기 근로자가 매뉴얼을 습득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상기 근로자가 플랫폼 서버를 통하여 고용자에게 고용되는 경우, 또는 상기 근로자가 매장 근무에 대한 노하우를 플랫폼 서버의 게시판에 공유한 후 고용자가 상기 공유된 노하우를 채택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고용시스템은,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저장,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한 근로자의 단말기(100);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저장,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한 고용자의 단말기(200); 및 상기 근로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근로자 경력카드 및 상기 고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매뉴얼을 저장 가능한 저장부(310); 및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능력치 및 충족되는 조건에 따라 근로자 또는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처리 가능한 처리부(320);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인시 별도의 모집공고없이 근로자에게 지급된 코인의 양만으로 근로자의 채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하여 상시 고용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고, 고용자에게 원하는 능력을 가지는 근로자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으며, 근로자에게 능력에 상응하는 급여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조건에 따라 근로자 및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여 근로자 및 고용자에게 별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고용시스템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고용시스템은,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저장,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한 근로자의 단말기(100);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저장,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한 고용자의 단말기(200); 및 상기 근로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근로자 경력카드 및 상기 고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매뉴얼을 저장 가능한 저장부(310); 및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능력치 및 충족되는 조건에 따라 근로자 또는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처리 가능한 처리부(320);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은, 플랫폼 서버가 매장 근무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 및 상기 근로자에 대한 고용을 희망하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각각 근로자 및 고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S100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S200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S300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는 S400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산출된 능력치에 따라 근로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S500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에게 지급된 코인의 양이 높은 순서대로 근로자를 배열하여 고용자에게 고용을 위한 우선순위 목록을 제공하는 S600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S100 단계는 근로자가 근로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플랫폼 서버에 근로자의 회원정보를 입력하고, 고용자가 고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플랫폼 서버에 고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하면, 플랫폼 서버가 상기 근로자 및 고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로, 상기 근로자의 단말기와 고용자의 단말기는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은 입력, 출력 및 통신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컴퓨터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S200 단계는,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로자 경력카드는 근로자의 사진, 성명, 자기소개, 주소, 희망근무일, 경력사항, 코인획득량 및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는 예를 들어, 매장관리, 상품관리 및 고객관리의 대분류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매장관리, 상품관리 및 고객관리의 항목은 문자, 도형 및 아이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S300 단계는,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매뉴얼은 고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현지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문서로, 매장이 편의점일 경우 본사 매뉴얼을 기초로 고용자가 자신의 노하우를 포함하여 현지 매장에 맞게 적용한 구체적인 플랫폼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사 매뉴얼이 "1+1; 2+1 등의 행사상품을 골든존에 모음진열한다."라는 내용일 경우 플랫폼 매뉴얼은 "1+1을 2+1보다 우선시하고, 행사상품 중 컵라면에 속하고 신제품일 경우 골든존에 우선 배치하며, 기존 물건은 최대한 카테고리가 비슷한 곳을 이동 배치한다."라는 내용으로 플랫폼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다.
S400 단계는,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근로자의 업무범위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구분되고, 상기 업무별 능력치는 상기 소분류의 평가항목이 5단계의 평가순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00 단계는,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산출된 능력치에 따라 근로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업무범위에 따른 능력치가 '30'으로 산출되고, 각 능력치 당 10코인을 지급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경우 근로자는 300의 코인을 획득하게 된다.
S600 단계는. 상기 플랫폼 서버가 근로자에게 지급된 코인의 양이 높은 순서대로 근로자를 배열하여 고용자에게 고용을 위한 우선순위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에 등록된 근로자 A의 능력치가 '30'이고, 근로자 B의 능력치가 '20'이며, 근로자 C의 능력치가 '10'이고, 각 능력치 당 10코인을 지급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경우 근로자 A는 300, 근로자 B는 200, 그리고 근로자 C는 100의 코인을 각각 획득하게 된다. 이 경우 근로자 A에게 지급된 코인의 양이 가장 높기 때문에 근로자 A는 우선순위 목록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고용자는 근로자 A를 최우선으로 고용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가 증가할수록 근로자에게 지급된 코인의 양이 변동되고, 이에 따라 우선순위 목록이 갱신되기 때문에 고용자는 별도의 채용공고없이 우선순위 목록의 실시간 확인으로 원하는 근로자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은 상기 S600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고용자가 제1 코인획득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코인획득조건은 상기 고용자가 플랫폼 서버를 통하여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 또는 상기 고용자가 매장 운영에 대한 노하우를 플랫폼 서버의 게시판에 공유하는 경우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용자는 상기 제1 코인획득조건을 달성하는 경우 추가적인 코인을 획득하여 별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은 상기 S700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가 제2 코인획득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근로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코인획득조건은 상기 근로자가 매뉴얼을 습득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상기 근로자가 플랫폼 서버를 통하여 고용자에게 고용되는 경우, 또는 상기 근로자가 매장 근무에 대한 노하우를 플랫폼 서버의 게시판에 공유한 후 고용자가 상기 공유된 노하우를 채택하는 경우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근로자는 상기 제2 코인획득조건을 달성하는 경우 추가적인 코인을 획득하여 별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의 지급된 코인 양 상승으로 인하여 우선순위 목록에 반영되기 때문에 근로자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추후 더 우수한 구직 기회를 획득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고용시스템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고용시스템은 근로자의 단말기(100); 고용자의 단말기(200) 및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로자의 단말기(100)는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저장,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한 장치이고, 고용자의 단말기(200)는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저장,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한 장치이다. 상기 근로자의 단말기(100) 및 고용자의 단말기(200)는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이용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근로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근로자 경력카드 및 상기 고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매뉴얼을 저장 가능한 저장부(310); 및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능력치 및 충족되는 조건에 따라 근로자 또는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처리 가능한 처리부(320);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는 서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100 내지 S800 단계를 구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은 단순한 구성에 의하여 별도의 구인, 구직의 모집공고 및 복잡한 면접 절차없이 실시간으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근로자 및 고용자에게 별도의 코인을 통한 수익창출을 가능하게 하므로 상용성이 우수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시스템을 제공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근로자의 단말기
200: 고용자의 단말기
300: 플랫폼 서버
310: 저장부
320: 처리부

Claims (6)

  1. 플랫폼 서버는 매장 근무를 희망하는 근로자의 단말기; 및 상기 근로자에 대한 고용을 희망하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각각 근로자 및 고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S1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의 단말기로부터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2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고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3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는 단계(S400);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산출된 능력치에 따라 근로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500); 및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에게 지급된 코인의 양이 높은 순서대로 근로자를 배열하여 고용자에게 고용을 위한 우선순위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 경력카드의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는 매장관리, 상품관리 및 고객관리의 대분류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의 업무범위는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구분되고, 상기 업무별 능력치는 상기 소분류의 평가항목이 5단계의 평가순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은 상기 S600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 서버는 고용자가 제1 코인획득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인획득조건은 상기 고용자가 플랫폼 서버를 통하여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 또는 상기 고용자가 매장 운영에 대한 노하우를 플랫폼 서버의 게시판에 공유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은 상기 S700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 서버는 근로자가 제2 코인획득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근로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인획득조건은 상기 근로자가 매뉴얼을 습득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상기 근로자가 플랫폼 서버를 통하여 고용자에게 고용되는 경우, 또는 상기 근로자가 매장 근무에 대한 노하우를 플랫폼 서버의 게시판에 공유한 후 고용자가 상기 공유된 노하우를 채택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6. 근로자가 매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를 기록한 근로자 경력카드를 저장,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한 근로자의 단말기(100);
    고용자가 요구하는 매장에 필요한 업무의 목록 및 내용이 기록된 매뉴얼을 저장,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한 고용자의 단말기(200); 및
    상기 근로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근로자 경력카드 및 상기 고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매뉴얼을 저장 가능한 저장부(310); 및 상기 고용자가 상기 매뉴얼에 대하여 근로자의 수행 업무를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의 업무범위와 업무별 능력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능력치 및 충족되는 조건에 따라 근로자 또는 고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처리 가능한 처리부(320);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한 고용시스템.
KR1020220044168A 2022-04-08 2022-04-08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 KR20230144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168A KR20230144887A (ko) 2022-04-08 2022-04-08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168A KR20230144887A (ko) 2022-04-08 2022-04-08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887A true KR20230144887A (ko) 2023-10-17

Family

ID=8855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168A KR20230144887A (ko) 2022-04-08 2022-04-08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8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ter Small firm adaptation: Responses of physicians' organizations to regulatory and competitive uncertainty
Rocheleau 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US20030208388A1 (en) Collaborative bench mark based determination of best practices
Lacity et al. Information systems sourcing: examining the privatization option in USA public administration
WO2001061948A9 (en) Improved database access system
KR20230144887A (ko) 플랫폼을 이용한 근로자와 고용자의 매칭방법 및 이에 대한 고용시스템
US20150074118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anaging and incentivizing data entry
Fernández-Macías et al. The platformisation of work
Fogg et al. A quantitative method for structuring a profitable sales force
Sever et al. Cutting red tape–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to promote SMEs
Dubinsky et al. Effects of organizational fairness on japanese sales personnel
Minjo Effects Of Owner Accounting Practice Competencie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enya. A Case Of Kasarani Sub County, Nairobi City County
Keene An Effective Onboarding Process: Decreasing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and Increasing Employee Acclimation to Increase Employee Job Satisfaction
Holden Manag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ederal government: New policies for an information age
US20220292435A1 (en) Web-based outsourcing system
Thomas et al. The Data
Kasire et al. E-services strategy and service quality of Kenya Civil Aviation Authority
DeMoras Modern Costing Strategies for Improved Profitability in Small-and Medium-Sized Businesses
Barclift et al. Impact of office automation: an empirical assessment
Groff et al. Strategic approaches to community safety initiative (SACSI): Enhancing the analytic capacity of a local problem-solving effort
CA2402498A1 (en) Collaborative bench mark based determination of best practices
Han et al. Does Employee Pay Variation Increase Government Performance? Evidence From a Cross-National Analysis
Widemark Optimizing assistant work in the restructured organization
Deaton Outreach: Obstacles to Hospital Outreach and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Woodward et al. Employee opinion surveys in work re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