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769A -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 - Google Patents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769A
KR20230144769A KR1020220043866A KR20220043866A KR20230144769A KR 20230144769 A KR20230144769 A KR 20230144769A KR 1020220043866 A KR1020220043866 A KR 1020220043866A KR 20220043866 A KR20220043866 A KR 20220043866A KR 20230144769 A KR20230144769 A KR 20230144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transfer unit
guided vehicle
work point
unmanned gu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진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오토매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오토매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오토매이션
Priority to KR102022004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769A/en
Publication of KR2023014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7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G05B19/4189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using automatic guided vehicles [AG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1/00Application
    • G05D2201/02Control of position of land vehicles
    • G05D2201/0211Vehicle in an office environment, e.g. for delivering mail or for videoconfere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는, 주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경로에 인접하도록 마련된 제1 확인수단을 인식하여 제조작업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를 이송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정렬을 수행하는 이송부; 및 대상체가 이송영역 내의 작업지점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대상체가 작업지점을 벗어난 경우에 이송부 상에서 대상체의 위치를 가변시켜 대상체를 작업지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정렬을 수행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이송부와 보정부는 대상체가 작업지점으로 이송되도록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long a given path, and a transfer unit that recognizes the first confirmation means provided adjacent to the route and performs first alignment to position the object that is the subject of manufacturing work in the transfer area. ; and a correc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s located at the work point within the transfer area and performs a second alignment to position the object to the work poin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on the transfer unit when the object deviates from the work point. The and correction uni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terconnected so that the object is transported to the work point.

Description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

본 발명은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무인운반차가 가지는 정렬 한계를 외부적 보상이 아닌 내부적 보상으로 극복하기 위한 무인운반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unmanned guided vehicle for overcoming the alignment limitations of conventional unmanned guided vehicles through internal compensation rather than external compensation.

무인운반차량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립라인이나 부품 가공라인과 같은 산업현장에는 소재나 반가공품 또는 부품 등을 운반하기 위한 다양한 대차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물류센터와 같이 대단위의 제품들을 취급하는 장소에 무인자동운반대차(Automated Guided Vehicle;AGV, 이하 무인운반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Unmanned guided vehicles are generally used in industrial sites such as automobile assembly lines or parts processing lines to transport materials, semi-finished products, or parts. Recently, they have been used in places that handle large quantities of products, such as logistics centers. Automated guided vehicles (AGVs) are widely used.

무인운반차는 지면에 설치된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 라인이 가이드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고서도 제품이나 부품과 같은 화물을 다른 장소까지 이동시키는 장치이며, 무인 운반차는 산업 현장에서 생산 물류 시스템도 함께 자동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의 증대와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전반적인 생산 시스템이 자동화 및 지능화되고, 물류 시스템의 자동화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An unmanned guided vehicle is a device that moves cargo such as products or parts to another location without the operator directly driving it. The unmanned guided vehicle move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movement line is guided. The unmanned guided vehicle is a production logistics system at industrial sites. As automation is also achieved, the overall production system is becoming more automated and intelligent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meet the diverse needs of customers, and is playing a key role in the automation of the logistics system.

예를 들어, 무인 운반차의 이동 제어 방식은 무인 운반차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마그네틱 마크가 형성되고, 마그네틱 마크를 감지하는 경로센서가 무인 운반차에 설치되어 경로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정해진 경로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in the movement control method of an unmanned guided vehicle, a magnetic mark is formed on the path along which the unmanned guided vehicle moves, and a path sensor that detects the magnetic mark is installed on the unmanned guided vehicle, so that the pat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path sensor. It is configured to be moved to .

이때 산업 현장에서 무인운반차는 컨베이어와 연계되어 작업을 수행하거나 이송영역으로 이동되고 로봇 지그와 같은 작업기계에 의해 작업지점에서 제조작업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의 용접 등과 같은 작업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컨베이어 또는 로봇 지그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상술한 대상체가 정해진 적재 및 작업지점에 정확하게 정지하여야 한다.At this time, in most industrial sites, unmanned guided vehicles perform work in conjunction with a conveyor or are moved to a transfer area, and work such as welding of objects subject to manufacturing work is performed at the work point by work machines such as robot jigs. , for interaction with conveyors or robot jigs, the above-mentioned object must stop accurately at the designated loading and working point.

그러나 상술한 대상체의 무게나 지면의 경사를 포함하는 지면상태 등의 외부조건에 따라 상술한 대상체가 정해진 작업지점에 정지하기 못하고 작업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0mm 이내에서 정지하게 되는 정지오차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이 정확하게 적재되거나 이송되지 않아 이를 보상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무인 운반차를 외부적으로 조작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epending on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object or the ground condition including the slope of the ground, the above-mentioned object cannot stop at the designated work point and stops within a radius of 10 mm based on the work point, causing frequent stopping errors.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reduced as products are not loaded or transported accurately, and workers directly manipulate the unmanned guided vehicle externally to compensate for this.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49951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전자석을 이용한 위치 제어 가이드 방식에 따라 무인 운반차의 정지 위치 오차와 이동 위치 오차를 최소화하고 있으나, 운행하는 무인운반차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부가적인 많은 장치들을 사용함에 따라 비용 및 환경적 조건에 대한 제약이 존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as publish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49951, the stopping position error and moving position error of the unmanned guided vehicle are minimized according to the position control guide method using electromagnets, but the position of the running unmanned guided vehicle is minimiz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cos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s many additional devices are used to check or contro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무인운반차가 가지는 정렬 한계를 외부적 보상이 아닌 내부적 보상으로 극복하기 위해 대상체를 이송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정렬을 수행한 후에 정지오차가 발생한 경우에 내부적으로 대상체의 위치를 작업지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정렬을 수행할 수 있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overcome the alignment limitations of conventional unmanned guided vehicles through internal compensation rather than external compensation, the stopping error is reduced after performing the first alignment for positioning the object in the transfer area. The task is to provide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that can internally perform a second alignment to position the object to the work point in the event of occurren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고정밀도 무인운반차는 주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경로에 인접하도록 마련된 제1 확인수단을 인식하여 제조작업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를 이송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정렬을 수행하는 이송부; 및 상기 대상체가 상기 이송영역 내의 작업지점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대상체가 상기 작업지점을 벗어난 경우에 상기 이송부 상에서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대상체를 상기 작업지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정렬을 수행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와 상기 보정부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작업지점으로 이송되도록 서로 연동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ccording to on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moves along a given path, recognizes the first confirmation means provided adjacent to the path, and moves the object that is the subject of manufacturing work to the transfer area. a transfer unit that performs a first alignment for positioning; and a second alignmen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is located at the work point within the transfer area and, when the object is outside the work poin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on the transfer unit to position the object at the work point. It includes a correction unit that performs correction, and the transfer unit and the correction unit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work point.

또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작업지점이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영역을 벗어나는지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정렬을 통해 상기 대상체가 상기 작업지점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가 상기 작업지점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정렬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work point is outside a variable area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object, and if the object does not reach the work point through the second alignment, the object is moved to the work point. The first alignment can be adjusted to be transferred to .

또한 상기 보정부는, x-y-z의 3차원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을 x-y평면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서 상기 x-y평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이동하는 보정부재; 및 상기 보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체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unit is a correction member that moves along a plane parallel to the x-y plane at the top of the transfer unit, assuming that the virtual plane formed along the path is the x-y plane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of x-y-z. ; and a se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correction member to seat and secure the object.

또한 상기 보정부재는, 상기 이송부의 내부에서 상부에 안착된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측에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rrectio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so as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object mounted on the top inside the transfer unit.

또한 상기 보정부재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서 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부면에서 상기 x-y평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plate that is fix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and a second plate that is movable along a plane parallel to the x-y pla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may include.

한편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 대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간섭을 방지하기 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주면 사이에 간섭방지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second plat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an interference prevention sec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late.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대상체 및 상기 이송영역 내 작업지점에 위치한 제2 확인수단을 확인하기 위한 인식부재가 내부 중앙측에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ransfe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ecognition member at the center of the interior for identifying the object and a second confirmation means located at a work point within the transfer area.

한편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영역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3 확인수단에 접촉하여 제1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보정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정렬의 동작오차 발생을 방지하는 안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alignment of the transfer unit is completed, the first alignment is maintained by contacting a third confirmation means formed adjacent to the transfer area,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rrection unit to prevent an operation error in the second align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tabilizing part to prevent it.

구체적으로 상기 안정부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보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면에 상기 보정부가 제2 정렬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면에 상측면이 고정 형성되고, 상기 제1 정렬이 수행되면 하부면이 지면에 형성된 상기 제3 확인수단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확인수단을 인식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abilizing unit includes: a frame member formed between the transfer unit and the correction unit a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rrection unit so that the correction unit can perform a second alignment; and an upper surface is fixed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and when the first alignment is performed, the lower surface extends downward to contact the third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ground, thereby recognizing the third identification means. I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frame member to the ground.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경로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보다 긴 너비를 가지는 장방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rame member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longer than that of the transfer un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th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송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면 양단에 대칭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unit.

본 발명의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에 따르면, 상술한 정지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운행하는 무인운반차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부가적인 많은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고 정렬 한계를 외부적 보상이 아닌 내부적 보상으로 극복함으로써, 비용 및 환경적 조건에 대한 제약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limit is internally compensated rather than externally without using many additional devices to check or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unning unmanned guided vehicle to correct the above-mentioned stopping error. By overcoming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onstraints on cos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minimized.

또한 안정부를 통해 상술한 제1 정렬이 완료되면 이송영역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3 확인수단에 접촉하여 제1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며, 대상체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술한 작업지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보정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동작오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stabilizer, the first alignment state is maintained by contacting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formed adjacent to the transfer area, and a correction unit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and positioning it at the above-described work point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operation errors by providing suppor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가 경로상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가 경로상에 위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제1정렬의 정지오차 범위와 보정부의 제2 정렬 수행으로 인해 보정된 정지오차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보정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보정부와 간섭방지구간을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제2 플레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안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안정부와 고정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 하단에 전자석이 마련되어 제3 확인부재 주변에 마련된 영구자석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 양측 하단에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전자석이 마련되어 돌출구가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홈의 하단에 마련된 영구자석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안정부의 프레임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레일이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가상의 x-y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안정부의 고정부재가 프레임부재에서 인출되어 지면으로 회동되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above-described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arrangement and means shown.
1 is a diagram showing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located on a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located on a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opping error range of the first alignment of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opping error range corrected due to the second alignment performed by the correction unit;
Figure 4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rrection unit of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viewed from the top to explain the correction unit and interference prevention section of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a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of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bilizing part of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bilizing part and the fixing part of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n electromagne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lectively coupled to a permanent magnet provided around the third confirmation member;
Figure 10 shows that protrusions whose width narrows downward are formed at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ctromagne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s, which are coupled to a permanent magnet provided at the bottom of a guide groove provided to allow the protrusions to be retracted. floor plan;
Figure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a rail is formed between the fram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of the stab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fixing member can be moved in the virtual xy direction;
Figure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fixing member of the stab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out from the frame member and rotated to the ground.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가 경로상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가 경로상에 위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제1정렬의 정지오차 범위와 보정부의 제2 정렬 수행으로 인해 보정된 정지오차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보정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보정부와 간섭방지구간을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제2 플레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안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의 안정부와 고정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 하단에 전자석이 마련되어 제3 확인부재 주변에 마련된 영구자석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 양측 하단에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전자석이 마련되어 돌출구가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홈의 하단에 마련된 영구자석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안정부의 프레임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레일이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가상의 x-y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안정부의 고정부재가 프레임부재에서 인출되어 지면으로 회동되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located on a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located on a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opping error range of the first alignment of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opping error range corrected due to the second alignment of the correction unit. , FIG. 4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rrection unit of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orrection unit of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viewed from the top to explai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section, and FIG. 6 is a view to explain a sea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of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bilizing part of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bilizing part and the fixing part of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magne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lectively combined with a permanent magnet provided around the third confirmation member, and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an electromagne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selectively combined with a permanent magnet provided around the third confirmation member. A protrusion whose width narrows in the direction is formed, and an electromagne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which is coupled to a permanent magnet provided at the bottom of a guide groove provided to allow the protrusion to be inserted.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stabiliz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to explain a modified example in which a rail is formed between the fram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fixing member can be moved in the virtual x-y direction, and Figure 12 shows the fixing member of the stab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pulled out from the frame member.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a modified example that rotates to the groun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도 무인운반차(10)는 크게 이송부(100), 보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transfer unit 100 and a correction unit 200.

이송부(100)는 제조작업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O)를 이송영역(G)에 위치시키기 위해 주어진 경로(P)를 따라 이동하며, 경로(P)에 인접하도록 마련된 제1 확인수단(P1)을 인식하여 제1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00 moves along a given path (P) in order to position the object (O), which is the object of manufacturing work, in the transfer area (G), and includes a first confirmation means (P1) provided adjacent to the path (P). The first alignment can be performed by recognizing .

여기서 제1 확인수단(P1)은 마그네틱으로 형성된 정지마크일 수 있으며, 이송부(100)에는 제1 확인수단(P1)으로부터 자기장을 감지하는 정지센서(S2)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firmation means (P1) may be a stop mark formed of magnets, and the transfer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stop sensor (S2) that detects a magnetic field from the first confirmation means (P1).

이때 이송부(100)에 구비된 정지센서(S2)에 의해 이송부(100)는 경로(P)상에서 미리 지정된 영역에 정지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때 경로(P)상에 이송부(100)가 위치하는 영역을 이송영역(G)이라 지칭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unit 100 stops at a pre-designated area on the path (P) by the stop sensor (S2)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unit 100 is located on the path (P). The area will be referred to as the transfer area (G).

상술한 이송영역(G)은 정지센서(S2)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정밀도의 한계로 인해 미리 지정된 영역을 기준으로 10mm반경의 오차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지점(W)에 대상체(O)가 위치하는 오차범위도 10mm반경을 가질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transfer area (G) may have an error range of 10 mm radius based on the pre-designated area due to the limit of precision in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stop sensor (S2), and accordingly, the object (O) at the work point (W) ) can also have a radius of 10 mm.

구체적으로 이송부(100)는 경로(P)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센서(S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경로센서(S1)는 경로(P) 상의 주행방향으로부터의 전자파를 감지하고, 경로센서(S1)가 감지한 전자파값에 따라 이송부(100)의 휠모터(328)(미도시)를 제어하여 이송부(100)의 주행방향을 결정하여 주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nsfer unit 100 may be equipped with a path sensor (S1) so that it can move along the path (P), and the path sensor (S1) detects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driving direction on the path (P), and the path sensor ( The wheel motor 328 (not shown) of the transfer unit 1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wave value detected by S1, thereby determining the travel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driving the transfer unit 100.

이때 이송부(100)의 전방 하단측에는 정지센서(S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확인수단(P1)이 지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장방형의 바형태로 마련되어 이송부(100)의 전방 하단측에 위치한 정지센서(S2)가 제1 확인수단(P1)의 마그네틱 정지마크를 인식하여 상술한 이송영역(G) 내에서 이송부(100)가 정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 stop sensor (S2)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the first confirmation means (P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r protruding upward from the ground and located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transfer unit 100. The stop sensor (S2) recognizes the magnetic stop mark of the first confirmation means (P1), allowing the transfer unit 100 to stop within the transfer area (G) described above.

이때 이송영역(G) 내에는 작업지점(W)이 위치할 수 있으며, 작업지점(W)은 구체적으로 로봇 지그와 같은 작업기계(M)에 의해 작업지점(W)에서 제조작업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O)의 용접이 이루어지거나 컨베이어와 연계되어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지점을 상술한 경로(P)상에 투영한 지점을 말하며, 경로(P)상에 제2 확인수단(Wa)을 배치하고 이송부(100)에 마련된 인식부재(120)가 제2 확인수단(Wa)을 인식하여 작업지점(W)이 확인될 수 있다.At this time, a work point (W) may be located within the transfer area (G), and the work point (W) is specifically the object of manufacturing work at the work point (W) by a work machine (M) such as a robot jig. It refers to a point projected on the above-mentioned path (P) at which the welding of the object (O) is performed or work is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conveyor, and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is installed on the path (P). ) is placed, and the recognition member 120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100 recognizes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so that the work point (W) can be confirmed.

예를 들어 이송부(100)는 대상체(O) 및 이송영역(G) 내 작업지점(W)에 위치한 제2 확인수단(Wa)을 확인하기 위한 인식부재(120)가 내부 중앙측에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fer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recognition member 120 on the inner center side to check the object (O) and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 located at the work point (W) in the transfer area (G). there is.

제2 확인수단(Wa)은 제1 확인수단(P1)과 마찬가지로 경로(P) 상에 형성된 마크일 수 있으며, 인식부재(120)는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모듈과, 이미지센서모듈에 연결되어 이미지센서모듈을 제어하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 및 영상처리모듈과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제2 확인수단(Wa)과 후술할 대상체(O)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may be a mark formed on the path (P) like the first confirmation means (P1), and the recognition member 120 is connected to an image sensor module that acquires an image signal and the image sensor module. It controls the image sensor module and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module that processes image signals and an image analysis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module and analyzes the image signals, a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and the location of the object (O),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You can check.

이때 이미지센서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mage sensor module may be either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sensor.

예를 들어, 이미지센서모듈은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카메라는 이송부(100)의 정지 시 제2 확인수단(Wa)이 촬영되도록 레일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제2 확인수단(Wa)의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2 확인수단(Wa)의 패턴에 기초하여 제1카메라에서 제2 확인수단(Wa)이 떨어진 거리를 인식함으로써 촬영된 영상 및 거리정보를 영상처리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module may include a first camera and a second camera, and the first camera is disposed toward the rail so that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is photographed when the transfer unit 100 stops, and the first camera 2 By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confirmation means (Wa) and recognizing the distance that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is from the first camera based on the recognized pattern of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the captured image and distance information are converted into an image It can be output to the processing module.

이때 제2카메라는 이송부(100)의 정지 시 보정부에 위치한 대상체(O)가 촬영되도록 대상체(O)를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카메라와 마찬가지로 대상체(O)의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된 대상체(O)의 패턴에 기초하여 제2카메라에서 대상체(O)가 떨어진 거리를 인식하여 촬영된 영상 및 거리정보를 영상처리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camera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object O so that the object O located in the correction unit is photographed when the transfer unit 100 stops, and, like the first camera, recognizes the pattern of the object O and recognizes the recognized object O. Based on the pattern of the object 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amera to the object O can be recognized and the captured image and distance information can be output to the image processing module.

여기서 이미지센서모듈이 제2 확인수단(Wa)과 대상체(O)를 촬영하고 그 거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360도 회동이 가능한 하나의 카메라로 마련되어 제2 확인수단(Wa)을 촬영 후 대상체(O)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Here, if the image sensor module can photograph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and the object (O) and check the distance information, it is not divided into a first camera and a second camera, but is provided as one camera capable of 360-degree rotation. Even if it is arranged to photograph the object O after photographing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it will a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영상분석모듈은 영상 처리모듈로부터 수신된 제2 확인수단(Wa) 및 대상체(O)의 영상 및 거리정보를 통해 제2 확인수단(Wa) 및 대상체(O) 간의 거리를 연산하고, 보정부(200)의 기계원점을 기준으로 대상체(O)를 작업지점(W)으로 위치하기 위한 위치보정정보를 생성하여 보정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Next, the image analysis module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and the object (O) through the image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Wa) and the object (O)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module, and Based on the machine origin of the government 200, position correction information for locating the object O to the work point W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ction unit 200.

최종적으로 보정부(200)는 영상분석모듈을 통해 전달받은 위치보정정보를 이용하여 기계원점을 기준으로 지그에 안착된 대상체(O)를 작업지점으로 이송하는 보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Finally, the correction unit 200 can use the position correc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mage analysis module to perform a correction operation to transfer the object O placed in the jig to the work point based on the machine origin.

다시 말해 보정부(200)는 대상체(O)가 이송영역(G) 내의 작업지점(W)에 위치하는지, 대상체(O)가 작업지점(W)에서 이탈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대상체(O)가 작업지점(W)을 벗어난 경우에는 이송부(100) 상에서 대상체(O)의 위치를 가변시켜 대상체(O)를 작업지점(W)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rrection unit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O) is located at the work point (W) within the transfer area (G) or whether the object (O) has deviated from the work point (W), and whether the object (O) is located at the work point (W) ) is outside the work point (W), the position of the object (O) on the transfer unit 100 can be varied to perform a second alignment to position the object (O) at the work point (W).

이때 보정부(200)는, 작업지점(W)이 대상체(O)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영역을 벗어나는지를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정렬을 통해 대상체(O)가 작업지점(W)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대상체(O)가 작업지점(W)으로 이송되도록 제1 정렬이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rrection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work point (W) is outside the variable area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object (O),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O) is within the work point (W) through the second alignment. If it is not reached, the first alignment may be adjusted so that the object O is transferred to the work point W.

다시 말하면 보정부(200)는 제1 정렬이 끝나면 대상체(O)를 작업지점(W)으로 위치 시키기 위해 구동되어 제2 정렬이 수행되는데, 이송영역(G)의 오차범위 즉, 제1 정렬의 오차범위가 10mm반경을 가지게 되므로 제2 정렬의 수행을 위해 기구적으로 구동되는 범위인 가변영역 안에 작업지점(W)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the correction unit 200 is driven to position the object O to the work point W and performs the second alignment. The error range of the transfer area G, that is, the first alignment Since the error range has a radius of 10 mm,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work point (W) is not included in the variable area, which is the range mechanically driven to perform the second alignment.

이때 보정부(200)는 이송부(100)로 제1 정렬의 재수행요청을 전달할 수 있고, 제1 정렬의 재수행요청을 전달받은 이송부(100)는 제1 정렬을 재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rrection unit 200 can transmit a request to re-perform the first alignment to the transfer unit 100, and the transfer unit 100, which has received the request to re-perform the first alignment, can re-perform the first alignment.

상술한 제1 정렬이 재수행되면 다시 보정부(200)는 가변영역 안에 작업지점(W)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2 정렬을 수행하고,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이송부(100)로 제1 정렬의 재수행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first alignment is performed again, the correction unit 200 performs the second alignment again if the work point (W) is included in the variable area, and if it is not included, the correction unit 200 repeatedly performs the first alignment to the transfer unit 100. A request to re-perform sorting can be sent.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100)와 보정부(200)는 대상체(O)가 최종적으로 작업지점(W)으로 이송되어 작업기계(M)에 의해 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서로 연동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unit 100 and the correction unit 200 may be interconnected so that the object O is finally transferred to the work point W and the work can be performed by the work machine M.

도면을 참조하면 보정부(200)는 보정부재(220), 안착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rrection unit 200 may include a correction member 220 and a seating member 240.

본 발명에서 x-y-z의 3차원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경로(P)를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을 x-y평면이라고 가정하면, 보정부재(220)는 이송부(100)의 상부에서 x-y평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the virtual plane formed along the path P is the x-y plane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of x-y-z, the correction member 220 is a plane parallel to the x-y plane at the top of the transfer unit 100. It can be arranged to move along.

이때 안착부재(240)는 대상체(O)를 안착시키고 고정하여 작업기계(M)에 의해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보정부재(220)에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ing membe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ction member 220 to seat and secure the object O so that work can be performed by the working machine M.

여기서 안착부재(24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대상체(O)를 안착시키고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안착부재(240)의 형상으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안착시킨 대상체(O)가 상술한 인식부재(120)에 의해 확인될 수 있도록 중앙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Here, the shape of the seating member 240 may v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due to the shape of the seating member 240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role of seating and fixing the object O. However, it would be convenient to form a polygonal or circular frame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placed object O can be identified by the recognition member 120 described above.

보정부재(220) 또한 중앙측에 관통홀이 마련됨으로써, 이송부(100)의 내부에서 인식부재(120)가 상부에 안착된 대상체(O)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rrection member 220 can also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bject O on which the recognition member 120 is seated can be confirmed from inside the transfer unit 100.

구체적으로 보정부재(220)는 중앙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ㅁ'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rrection member 220 may be a 'ㅁ' shaped frame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정렬과 제2 정렬을 다시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gain as follows.

먼저 이송부(100)의 제1 정렬에 의해 이송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대상체(O)가 이송영역(G)에 투영된 지점을 나타내는 초기위치를 Oa라 가정하면, 제1 정렬이 수행된 후 보정부(200)는 가변영역 내에 작업지점(W)이 포함되는 경우에 제2 정렬이 수행되어 대상체(O)가 최종위치 Ob로 이송될 수 있다.First, assuming that Oa is the initial position indicating the point where the object O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unit 100 by the first alignment of the transfer unit 100 is projected onto the transfer area G, after the first alignment is performed, When the work point W is included in the variable region, the correction unit 200 performs a second alignment so that the object O can be transferred to the final position Ob.

구체적으로 이송부(100)의 제1 정렬의 수행이 끝나면, 보정부(200)는 이송부(100)의 인식부재(120)를 통해, 인식부재(120)의 위치를 기준으로 확인한 작업지점(W)의 상대위치와 대상체(O)의 상대위치를 전달받고, 경로(P) 상 투영된 작업지점(W)과 대상체(O)의 최단거리 T1을 확인하고 보정부(200)를 경로(P)를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을 x-y평면을 따라 Y1만큼 이동하는 동시에 X1만큼 이동하여 대상체(O)를 작업지점(W)에 위치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alignment of the transfer unit 100 is completed, the correction unit 200 determines the work point (W)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ember 120 through the recognition member 120 of the transfer unit 100. Receive the relative position of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bject (O), check the shortest distance T1 between the work point (W) and the object (O) projected on the path (P), and set the correction unit 200 to the path (P). The object O can be positioned at the work point W by moving the virtual plane formed along the x-y plane by Y1 and simultaneously moving by X1.

이를 위해 보정부재(220)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22), 제2 플레이트(224)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rrection member 220 may include a first plate 222 and a second plate 224 as specifically shown in FIG. 4 .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222)는 이송부(100)의 상부면에서 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중앙측에 제1 관통홀(222a)이 형성된 'ㅁ'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plate 222 may be fixed by retracting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specifically, a 'ㅁ' shaped frame with a first through hole 222a formed on the center side. can be formed.

이때 제2 플레이트(224)는 상술한 x-y평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222)의 상부면에서 x-y평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late 224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moved along a plane parallel to the x-y pla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2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x-y plane movement.

제2 플레이트(224) 또한 구체적으로 중앙측에 제2 관통홀(224a)이 형성된 'ㅁ'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222)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관통된 중앙측을 통해 인식부재(120)가 대상체(O)를 확인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24 is also specifically formed as a 'ㅁ' shaped frame with a second through hole 224a formed on the central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222 so that it can be moved through the central side. The recognition member 120 can identify the object O.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24)를 제1 플레이트(222) 상에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재(226)가 제1 플레이트(222)와 제2 플레이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도3에서 설명한 최단거리 T1의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iving member 226 that allows the second plate 224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on the first plate 222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222. A connection is formed between the two plays so that movement of the shortest distance T1 described in Figure 3 can be performed.

이때 제2 정렬의 수행을 재확인하기 위해 일측에 변위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 displacement senso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to reconfirm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alignment.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부재(220)는 간섭방지구간(228)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an interference prevention section 228 may be formed in the correction member 220.

구체적으로 간섭방지구간(228)은 이송부(100)의 내주면과 제2 플레이트(224)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이송부(100)의 상부면에 대한 제2 플레이트(224)의 간섭을 방지하기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ference prevention section 228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24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second plate 224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You can.

즉 제2 정렬의 수행되는 경우에 보정부(200)와 이송부(100) 간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제2 정렬의 오차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alignment is performed, the error occurrence rate of the second alignment can be minimized by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correction unit 200 and the transfer unit 1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보정부(200)는 제2 정렬을 통해 제1 정렬만 수행할 경우 발생하는 오차범위 10mm반경을 2mm 내지 3mm반경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대상체(O)의 고정밀도의 이송이 가능해질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rrection unit 200 reduces the error range of 10 mm, which occurs when only the first align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alignment, to a radius of 2 to 3 mm, enabling high-precision transfer of the object O. It can happen.

또한 제1 플레이트(222)의 일측에는 안착부재(240)가 제1 플레이트(222)에 안착되면 서로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224b)가 구비되어 보정부재(220)와 안착부재(2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or 224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222 to automatically engage with each other when the seating member 240 is seated on the first plate 222, so that the correction member 220 and the seating member 2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예를 들어 커넥터(224b)는 제1 플레이트(222)의 상부면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안착부재(240)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or 224b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top of the first plate 222 and be connected to the seating member 2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이때 커넥터(224b)는 제1 플레이트(222) 상에서 결합되는 안착부재(2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안착부재(240)로 보정부재(220)측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or 224b no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ating member 240 coupled on the first plate 222, but also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compensation member 220 to the seating member 240.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10)는 안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bilizing unit 30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부(300)는 이송부(100)의 제1 정렬이 완료되면 이송영역(G)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3 확인수단(Wb)에 접촉하여 제1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보정부(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제2 정렬의 동작오차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first alignment of the transfer unit 100 is completed, the stabilizer 300 contacts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formed adjacent to the transfer area (G) to maintain the first alignment state. It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rrection unit 200 while performing its role, and can play the role of preventing operation errors in the second alignment.

다시 말해서 안정부(300)는 제1 정렬이 완료되면 제2 정렬이 수행되기 전에 이송영역(G)에 인접한 지면에 제3 확인수단(Wb)에 접촉하여 제3 확인수단(Wb)을 인식함으로써 제1 정렬 상태를 확인한 다음, 보정부(200)에 의해 제2 정렬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the stabilizer 300 recognizes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by contacting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on the ground adjacent to the transfer area (G) before the second alignment is performed. After confirming the first alignment state, the correction unit 200 may be arranged to perform the second alignment.

여기서 제3 확인수단(Wb)은 제1 확인수단(P1)과 마찬가지로 마그네틱 마크일 수 있으며 안정부(300)에는 제3 확인수단(Wb)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may be a magnetic mark like the first confirmation means (P1), and a sensor that can confirm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may be provided in the stabilizer 300.

안정부(300)는 센서가 마그네틱 마크를 확인할 경우에 제2 정렬이 수행되게 하거나, 센서가 마그네틱 마크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송부(100)로 제1 정렬의 재수행을 요청하여 제1 정렬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tabilizing unit 300 causes the second alignment to be performed when the sensor confirms the magnetic mark, or requests the transfer unit 100 to re-perform the first alignment when the sensor does not confirm the magnetic mark, thereby maintaining the first alignment state. can be arranged to maintain.

구체적으로 안정부(300)는, 프레임부재(320), 고정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abilizing part 300 may include a frame member 320 and a fixing member 340.

프레임부재(320)는 상부면에 보정부(200)가 제2 정렬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송부(100)와 보정부(2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다.The frame member 320 may be formed and connected between the transfer unit 100 and the correction unit 200 so that the correction unit 200 can perform the second alignment on the upper surface.

이때 고정부재(340)는 프레임부재(320)의 하부면에 상측면이 고정 형성되고, 하측에 제3 확인수단(Wb)을 확인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member 34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320, and a sensor for checking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따라서 제1 정렬이 수행되면 하부면이 지면에 형성된 상기 제3 확인수단(Wb)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결과적으로 제3 확인수단(Wb)을 인식하는 동시에 프레임부재(320)를 지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alignment is performed, the lower surface extends downward to contact the third identification means (Wb) formed on the ground, and as a result, the third identification means (Wb) is recognized and the frame member 320 is placed on the ground. It can perform a fixing role at the same time.

구체적으로 안정부(300)가 더 포함된 경우에는 프레임부재(320)는, 경로(P)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송부(100)보다 긴 너비를 가지는 장방체 형태로 마련되어 이송부(10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 제2 플레이트(224)가 형성되고, 프레임부재(320)와 제2 플레이트(224) 사이에 구동부재(226)가 연결 형성되어 프레임부재(320) 상에서 제2 플레이트(224)가 x-y평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정렬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tabilizing unit 300 is further included, the frame member 32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longer than that of the transfer unit 10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th P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It can be fixed, and a second plate 224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a driving member 226 is connected between the frame member 320 and the second plate 224 to form a second plate on the frame member 320. It may be arranged that the second alignment is performed while 224 moves in the x-y plane direction.

즉 안정부(300)가 더 포함된 경우 보정부(200)는 제1 플레이트(222) 없이 안정부(300)의 상부에 제2 플레이트(224)가 마련되고, 그 사이에 연결된 구동부재(226)에 의해 x-y평면으로 이동하여 제2 정렬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tabilizer 300 is further included, the correction unit 200 has a second plate 224 provided on the top of the stabilizer 300 without the first plate 222, and a driving member 226 connected between them. ) can be arranged to move to the x-y plane and perform the second alignment.

이때 고정부재(340)는, 이송부(100)를 기준으로 프레임부재(320)의 하부면 양단에 대칭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34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320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unit 100.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40)는 프레임부재(320)의 하부면에 고정구가 결합되며, 고정구의 하부에 경로(P)에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실린더가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340 is a fixtur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320, and a cylinder that rises and fall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th P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xture.

이때 실린더의 하부면에 제3 확인수단(Wb)의 자기장을 인식하는 센서가 부착되어 제1 정렬이 완료되면, 프레임부재(320)의 하부면 가까이 승강된 위치에 있는 실린더가 하강하여 실린더의 하부면에 구비된 센서가 지면에 위치한 제3 확인수단(Wb)을 인식하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100)의 제1 정렬을 확인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by attaching a sensor that recognizes the magnetic field of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the cylinder in the raised position near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320 is lowered and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is lowered. A sensor provided on the surface recognizes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located on the ground, and the first alignment of the transfer unit 100 can be confirmed and maintained as described above.

뿐만 아니라 실린더가 경로(P)가 형성된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제2 정렬 전에 보정부(200)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게 되어 제2 정렬의 동작오차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ylinder contacts the ground on which the path P is formed, the correction unit 200 is supported against the ground before the second alignment, thereby reducing the operation error of the second alignment.

또한 상술한 고정부재(340)의 끝단에 전자석(EM)이 형성되고, 제3 확인수단(Wb) 주변에는 영구자석(Wc)을 형성시켜 고정부재(340)와 지면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결론적으로 제1 정렬이 끝난 직후에 지면에 대한 이송부(100)의 위치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magnet (EM) is formed at the end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member 340, and a permanent magnet (Wc) is formed around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so that the fixing member 340 and the ground are sel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 In conclusion,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ground can be strengthene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40)의 하부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전자석(EM)이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측에 제3 확인수단(Wb)의 자기장을 인식하는 센서(341)가 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an electromagnet (EM)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4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agnetic field of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may be placed on the center side. A sensor 341 that recognizes may be attached.

여기서 고정부재(34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만 있다면 전자석(EM)의 배치, 두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나, 전자석(EM)은 고정부재(340)의 하부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각형의 띠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Here, as long as the fixing member 340 can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the arrangement, thickness, and shape of the electromagnet (EM) may vary,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due to this, but the electromagnet (EM) is It would be convenient to provide a circular or square strip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예를 들어 제3 확인수단(Wb)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341)가 부착된 고정부재(340)는 추가적으로 지면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정부재 (340) 하부면의 테두리를 따라 전자석(EM)이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지면에 영구자석(Wc)이 형성되어 센서(341)가 제3 확인수단(Wb)을 인식하게 되면, 전자석(EM)에 전원을 인가하여 지면에 형성된 영구자석(EM)과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제1 정렬이 끝난 직후에 지면에 대한 이송부(100)의 위치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340 with the sensor 341 for recognizing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is attached with an electromagnet (EM)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40 to additionally strengthen the fixing force to the ground. ) is formed, and a permanent magnet (Wc) is formed on the ground opposing it, and when the sensor 341 recognizes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EM) to detect the permanent magnet (Wc) formed on the ground. By providing EM) and magnetic attraction to act,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ground can be solidifie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여기서 제1 정렬이 끝난 직후 지면에 대한 이송부(100)의 위치를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40)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구(342)와, 상술한 돌출구(342)가 인입될 수 있도록 지면에 가이드홈(GH)이 형성되더라도 모두 우리 발명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Here, if it can play a role in solidifying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groun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the protrusion 34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40 as shown in FIG. 10, Even if a guide groove (GH) is formed on the ground so that the above-mentioned protrusion 342 can be inserted, it will all be said to belong to our invention.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재(340)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구(342)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 즉 하향경사면을 가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34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40 may have a width that narrows downward, that is, it may have a downward sloping surface.

이때 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GH)도 돌출구(342)와 동일한 하향경사면을 가짐으로써, 하강하는 고정부재(34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더라도 하향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홈(GH)에 대한 돌출구(342)의 인입을 통해 고정부재(340)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GH) formed on the ground also has the same downward slope as the protrusion 342, so that even if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fixing member 340 deviates from the preset position, the protrusion for the guide groove (GH) having a downward slope Through the retraction of 342, the fixing member 340 can be seated in a preset position.

즉 하향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홈(GH) 및 돌출구(342)를 통해 고정부재(340)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안착 시킴으로써, 완료된 제1 정렬을 기구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completed first alignment can be mechanically corrected by seating the fixing member 340 in a preset position through the guide groove GH and the protrusion 342 having a downward slope.

이때 돌출구(342)의 하단에는 전자석(EM)이 마련되고 가이드홈(GH)의 하단에는 영구자석(Wc)이 마련되어 제1 정렬이 끝난 직후에 지면에 대한 이송부(100)의 위치를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an electromagnet (EM)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342 and a permanent magnet (Wc)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groove (GH)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groun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It can be arranged to do so.

또한 가이드홈(GH)은 하강하는 고정부재(340)의 하부에 부착된 센서(341)가 지면에 설치된 제3 확인수단(Wb)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즉 지면에서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에만 상부가 개방되어 돌출구(342)가 인입되도록 마련되어 가이드홈(GH)으로 인해 이송부(100)의 이동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GH) is operated when the sensor 341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descending fixing member 340 reaches a preset distance from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installed on the ground, that is, a preset height from the ground. Only the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the protrusion 342 can be inserted,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100 due to the guide groove GH.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 양측 하단에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전자석이 마련되어 돌출구가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홈의 하단에 마련된 영구자석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Figure 10 shows that protrusions whose width narrows downward are formed at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ctromagne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s, which are coupled to a permanent magnet provided at the bottom of a guide groove provided to allow the protrusions to be retracted. floor plan;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40)는 프레임부재(320)의 하부에서 x축 또는 y축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x-y평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10, the fixing member 340 may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moved in either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or in the x-y plane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member 320.

예를 들어 제1 작업라인에 사용되던 본 발명의 고정밀도 무인운반차(10)를 다른 작업라인에 사용할 경우에는 제3 확인수단(Wb)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고정부재(340)는 프레임부재(320)의 하부에서 레일(344)에 의해 결합되어 x축 또는 y축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x-y평면으로 이동되어 다양한 작업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e first work line is used in another work line, the position of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Wb) may be changed, and correspondingly, the fixing member ( 340) is coupled by the rail 344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member 320 and can be moved in either direction of the x-axis or y-axis or moved in the x-y plane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work lines.

뿐만 아니라 안정부(300)의 고정부재(340)는 제1 정렬 수행 시 프레임부재(320) 및 고정부재(340)의 연장시 움직임으로 인해 고정도를 맞추기 오히려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이송 이후에 공간을 확인하여 연장되고, 최종적인 AGV 위치가 확인된 이후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fixation of the fixing member 340 of the stabilizer 300 due to movement during the extension of the frame member 320 and the fixing member 340 during the first alignment, so space must be maintained after transfer. It can be confirmed, extended, and arranged to be fixed after the final AGV position is confirmed.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320)는 고정프레임(322), 내부프레임(324)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frame member 320 may include a fixed frame 322 and an internal frame 324.

여기서 고정프레임(322)은 이송부(100)의 상부면의 폭과 동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으면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내부공간에서 내부프레임(324)이 인출되면서 연장되거나 다시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if the fixed frame 322 can be provided to be similar to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an internal space is provided, and the internal frame 324 is drawn out from the internal space and can be extended or retracted. You can.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322)의 내부에 내부프레임(324)의 인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볼스크류너트(326)가 구비되고 내부프레임(324)이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 ball screw nut 326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nal frame 324 is pulled out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xed frame 322 and the internal frame 324 may be coupled to it.

또한 볼스크류너트(326)의 일측에 모터(328)가 구비되어 모터(328)의 동작에 의해 내부프레임(324)이 고정프레임(322)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motor 328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ll screw nut 326 so that the inner frame 324 can be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322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328.

이때 고정부재(340)는 고정프레임(322)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다가 고정프레임(322)이 인출되는 경우에 회동하면서 인출되어 지면을 향해 하강하도록 마련되어 프레임부재(320) 및 고정부재(340)의 연장시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34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ing frame 322, and when the fixing frame 322 is pulled out, it is rotated and pulled out and is provided to descend toward the ground, so that the frame member 320 and the fixing member 340 Movement can be minimized when extending.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밀도 무인운반차에 따르면, 상술한 정지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운행하는 무인운반차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부가적인 많은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고 정렬 한계를 외부적 보상이 아닌 내부적 보상으로 극복함으로써, 비용 및 환경적 조건에 대한 제약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many additional devices to check or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unning unmanned guided vehicle to correct the above-mentioned stopping error, the alignment limit is internally compensated rather than externally compensated. By overcoming compens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straints on cos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minimized.

뿐만 아니라 안정부를 통해 상술한 제1 정렬이 완료되면 이송영역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3 확인수단에 접촉하여 제1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며, 대상체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술한 작업지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보정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동작오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first align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stabilizer, the first alignment state is maintained by contacting the third confirmation means formed adjacent to the transfer area, and correction is mad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position it at the above-described work point. It is designed to support the unit,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operating error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P: 경로
S1: 경로센서
P1: 제1 확인수단
S2: 정지센서
G: 이송영역
W: 작업지점
Wa: 제2 확인수단
Wb: 제3 확인수단
O: 대상체
M: 작업기계
10: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100: 이송부
120: 인식부재
200: 보정부
220: 보정부재
222: 제1 플레이트
222a: 제1 관통홀
224: 제2 플레이트
224a: 제2 관통홀
224b: 커넥터
226: 구동부재
228: 간섭방지구간
240: 안착부재
300: 안정부
320: 프레임부재
322: 고정프레임
324: 내부프레임
326: 볼스크류너트
328: 모터
340: 고정부재
344: 레일
P: path
S1: Path sensor
P1: First verification method
S2: Stop sensor
G: transfer area
W: work point
Wa: secondary verification method
Wb: Third means of verification
O: object
M: Working machine
10: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100: transfer unit
120: Absence of awareness
200: Correction unit
220: Correction member
222: first plate
222a: first through hole
224: second plate
224a: second through hole
224b: connector
226: Driving member
228: Interference prevention section
240: Seating member
300: Stability unit
320: Frame member
322: Fixed frame
324: Internal frame
326: Ball screw nut
328: motor
340: Fixing member
344: rail

Claims (10)

주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경로에 인접하도록 마련된 제1 확인수단을 인식하여 제조작업의 대상이 되는 대상체를 이송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정렬을 수행하는 이송부; 및
상기 대상체가 상기 이송영역 내의 작업지점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대상체가 상기 작업지점을 벗어난 경우에 상기 이송부 상에서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대상체를 상기 작업지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정렬을 수행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와 상기 보정부는, 상기 대상체가 상기 작업지점으로 이송되도록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 transfer unit that moves along a given path, recognizes a first confirmation means provided adjacent to the path, and performs a first alignment to position the object that is the target of the manufacturing operation in the transfer area; and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located at the work point within the transfer area, and if the object deviates from the work point, perform a second alignment to position the object at the work point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on the transfer unit. It includes a correction unit that
The transfer unit and the correction uni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work point.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작업지점이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영역을 벗어나는지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정렬을 통해 상기 대상체가 상기 작업지점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가 상기 작업지점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정렬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rrection unit,
The second alignment determines whether the work point is outside a variable area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object, and if the object does not reach the work point through the second alignment, the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work point. 1 Characterized in that the alignment is controlled,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x-y-z의 3차원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상기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을 x-y평면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서 상기 x-y평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이동하는 보정부재; 및
상기 보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체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안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rrection unit,
When assuming that the virtual plane formed along the path is the xy plane, based on the 3-dimensional Cartesian coordinate system of xyz,
a correction member moving along a plane parallel to the xy plane at an upper part of the transfer unit; and
a se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correction member to seat and secure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재는,
상기 이송부의 내부에서 상부에 안착된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측에 관통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rrec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cent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bject seated at the top can be confirmed inside the transfer unit,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재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서 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부면에서 상기 x-y평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 대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간섭을 방지하기 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주면 사이에 간섭방지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rrection member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plate that is fix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and a second plate that is provided to be moved along a plane parallel to the xy pla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ference prevention section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late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second plat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대상체 및 상기 이송영역 내 작업지점에 위치한 제2 확인수단을 확인하기 위한 인식부재가 내부 중앙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transf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recogni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center side to identify the object and the second confirmation means located at the work point in the transfer are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영역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3 확인수단에 접촉하여 제1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보정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정렬의 동작오차 발생을 방지하는 안정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first alignment of the transfer unit is completed, the first alignment is maintained by contacting a third confirmation means formed adjacent to the transfer area,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rrection unit to prevent an operation error in the second alignment. Further comprising a stabilizing part,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부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보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면에 상기 보정부가 제2 정렬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면에 상측면이 고정 형성되고, 상기 제1 정렬이 수행되면 하부면이 지면에 형성된 상기 제3 확인수단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확인수단을 인식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In clause 7,
The stabilizing part,
a frame member formed between the transfer unit and the correction unit a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rrection unit so that the correction unit can perform a second alignment; and
An upper surface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and when the first alignment is performed, the lower surface extends downward to contact the third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ground, thereby recognizing the third identification means. A fixing member that secures the frame member to the ground;
A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경로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보다 긴 너비를 가지는 장방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ccording to clause 8,
The fram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longer than that of the transfer un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th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송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면 양단에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도 무인운반차.
According to clause 8,
The fix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unit,
High-precision unmanned guided vehicle.
KR1020220043866A 2022-04-08 2022-04-08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 KR202301447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866A KR20230144769A (en) 2022-04-08 2022-04-08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866A KR20230144769A (en) 2022-04-08 2022-04-08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769A true KR20230144769A (en) 2023-10-17

Family

ID=8855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866A KR20230144769A (en) 2022-04-08 2022-04-08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76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3950B2 (en) Cassette handling robot manipulator and automatic cassette transfer device
US4812666A (en) Position feedback enhancement over a limited repositioning area for a moveable member
KR100787704B1 (en) Carriage robot teaching device and its teaching method
US7788782B2 (en) Suspension assembly positioning method
US2002003578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positioning error of electric component held by suction nozzle, and method of mounting the electric component
CN109285803B (en) Wafer bonding method and device
CN112053985B (en) Wafer alignment device and alignment method thereof
EP3711908B1 (en) Calibration device for robot arm
US65195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cassette pod onto a loadport by an overhead hoist transport system
JP4815872B2 (en) Paste applicator
TW201841815A (en) Ceiling transport vehicle system and teaching unit
KR1023629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first object relative to a second object
KR20230144769A (en) Auto guided vehicle with high precision
CN113998626A (en) AGV attitude adjusting method applied to tray recognition/positioning
US5218550A (en) Apparatus for aligning a robot and a processing machine
KR20070030529A (en) automatic guided vehicle with automated position correcting technique and related method
JP2001135989A (en) Collision-preventing device for component-mounting apparatus
KR101905534B1 (en) Pallet lack apparatus applicable of pallet of various sizes
JP2506292Y2 (en) Work transfer device for automated guided vehicles
US20220410396A1 (en) System for component fastening system using cooperative robot and fastening method thereof
KR102614957B1 (en) Welding point position inspection tool and robot for automobile assembly line including the same
CN216235893U (en) Lifting device for transfer robot and transfer apparatus
EP4292975A1 (en)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and positioning and cargo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02840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landmark for agv
KR20230060597A (en) Automated Guided Vehicle Dock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