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577A - Atsc 3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스위칭 및 공유 - Google Patents

Atsc 3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스위칭 및 공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577A
KR20230144577A KR1020237030362A KR20237030362A KR20230144577A KR 20230144577 A KR20230144577 A KR 20230144577A KR 1020237030362 A KR1020237030362 A KR 1020237030362A KR 20237030362 A KR20237030362 A KR 20237030362A KR 20230144577 A KR20230144577 A KR 20230144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ervice
url
receiver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담 골드버그
브랜트 칸델로
그레이엄 클리프트
프레드 안스필드
로렌 에프 피네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489,708 external-priority patent/US11611799B2/en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4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4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broadcast system and non-broadcas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4349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extracting from data carousels, e.g. extraction of software modules from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차세대 방송 텔레비전 서비스들을 강건하게 전달함에 있어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텔레비전 프로토콜을 확장 및/또는 개선하기 위한 기술들이 설명된다. 모바일 수신기(300)가 2개의 브로드캐스터(304) 사이의 경계 지역을 통해 이동하고 있을 때와 같이, 제1 주파수(306) 상에서의 서비스 프레젠테이션으로부터 제2 주파수(308)로 자동으로 스위칭할 때, 현재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은 통지를 받고(804/904/1000), 및 컨텍스트에 따라 실행을 계속하거나(806) 새로운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906/1004).

Description

ATSC 3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스위칭 및 공유
본 출원은 필연적으로 컴퓨터 기술에 근원을 두는 기술적 진보들에 관련되고, 디지털 텔레비전, 더 구체적으로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에 관한 것이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표준 모음은 차세대 방송 텔레비전을 제공하기 위해 A/300에 표시된 것과 같은 12개 초과의 산업 기술 표준들의 세트이다. ATSC 3.0은 텔레비전 비디오, 대화형 서비스들, 데이터의 비-실시간 전달, 및 맞춤형 광고를 포함한 광범위한 텔레비전 서비스를, 초고화질 텔레비전들로부터 무선 전화들에 이르는 수많은 수신 디바이스들에 전달하는 것을 지원한다. ATSC 3.0은 또한 방송 콘텐츠("오버-디-에어(over the air)"라고 지칭됨)와 관련 광대역 제공 콘텐츠 및 서비스들("오버-더-톱(over the top)"라고 지칭됨) 간의 조정을 조율한다. ATSC 3.0은 유연하게 설계되므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임의의 관련 기술 표준의 완전한 정비를 요구하지 않고도 발전사항들이 쉽게 통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ATSC 3.0 수신기는 2개의 지역 ATSC 3.0 브로드캐스터 스테이션(broadcaster station)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들이 중첩되는 경계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등가의 서비스를 반송하는 2개 이상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수신 영역들 내를 포함하여 서비스들을 스캔한다. 이러한 경계 지역들은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multifrequency network)(MFN)에 존재한다.
여기서 추가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ATSC 3.0 수신기가 연관된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하나의 채널로부터 다른 채널로 서비스들(채널들)을 변경하고 있을 때, 수신기는 새로운 채널이 시그널링된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을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것이 존재하며 새로운 채널의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이 원래의 채널과 동일한 "컨텍스트 id" 또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ID"를 갖는다면, 원래의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은 중단 없이 계속 실행된다. 그러나, 본 원리들이 없다면,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은 오직 사용자 액션에 기인해서만 서비스 변경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두 개의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이 상이한 컨텍스트 id들(또는 동일한 컨텍스트 id, 그러나 상이한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URL)들)을 갖지만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이웃 영역들 내의 스테이션들이 협력함)인 경우, 나가는(outgoing)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은 들어오는(incoming)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ATSC A/344:2021 표준은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채널) 변경에 대한 통지들을 요청하고 수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지만, 본 원리들이 없으면, 이것은 컨텍스트 id, 사용자 액션 기원 액션들(user action originated actions), 및 애플리케이션 URL들에 대한 상당한 제한들을 갖는다. 본 원리들은 동일한 방송 영역 내의 협력하는 브로드캐스터들, 및 인접한 방송 영역들 내의 협력하는 브로드캐스터들 둘 다에 대해, 잘 통합된 시청자 경험을 용이하기 위해,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MFN) 내의 경계 지역을 횡단할 때와 같이 자동화 튜닝을 수행할 때,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조정(coordinating)의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가 적어도 제1 및 제2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어셈블리로부터 방송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방법은 제1 디지털 TV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제1 주파수로부터 제2 주파수로 자동으로 핸드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레젠테이션을 핸드오프하는 것에 응답하여, 방법은 프레젠테이션이 핸드오프될 것이거나 핸드오프되고 있다는 것을 제1 주파수에 연관된 제1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BA)에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2 주파수에 연관된 제2 BA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제1 BA에 연관된 컨텍스트 ID가 제2 BA에 연관된 컨텍스트 ID와 동일한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요구된다면, 제1 및 제2 BA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방법은 제1 디지털 TV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제1 주파수로부터 제2 주파수로 자동으로 핸드오프하는 동안 제1 BA를 계속해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BA는 제1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niform resource listing)(URL)에 연관되고 제2 BA는 제2 URL에 연관되며, 방법은 제1 및 제2 BA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제1 BA를 제1 URL로부터 제2 URL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들에서, 제1 BA는 제1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RL)에 연관되고 제2 BA는 제2 URL에 연관되며, 방법은 제1 및 제2 BA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2 BA에 송신하고 제2 BA를 실행하여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방법은 제1 BA의 컨텍스트 ID가 제2 BA의 컨텍스트 ID와 동일한지에 상관없이, 그리고 제1 및 제2 BA가 공통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URL)를 갖는지에 상관없이, 프레젠테이션을 핸드오프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제2 BA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주파수들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은 제1 튜너에 의한 제1 신호의 손실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주파수들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은 제1 신호의 저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주파수들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은 제1 신호의 품질을 능가하는 제2 신호의 품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BA는 데이터가 제2 BA에 전달되어야 함을 수신기에 통지할 수 있으며, 그것이 발생할 필요가 있다면, 제1 BA는 데이터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거나, 주기적으로 API를 호출하여, 전달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해 수신기를 업데이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는 제1 주파수 상에서 제1 디지털 텔레비전(DTV) 서비스를 수신하고, 제1 DTV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프레젠테이션하고, 제2 주파수 상에서 제1 DTV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프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제1 DTV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으로부터 제2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제1 DTV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으로 스위칭하고, 제1 주파수에 연관된 제1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BA)에 스위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는 제1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제1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비디오(AV)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프레젠테이션하기 위해 제1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BA)을 실행하도록 프로세서를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들로 프로그래밍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제1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를 포함한다. 명령어들은 제1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을, 제2 BA에 연관된 제2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으로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제1 BA에 스위칭을 시그널링하도록 실행가능하다.
구조 및 동작 둘 다에 관한 본 출원의 세부사항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고,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보여진 디바이스들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특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디지털 TV 수신기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디지털 TV 수신기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원리들과 일치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형식으로 예시적인 송신기 로직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원리들과 일치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형식으로 예시적인 수신기 로직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원리들과 일치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형식으로, 도 7로부터의 자동 핸드오프에 따른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을 위한 기술들의 로직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텔레비전에서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의 기술적 진보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시스템은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와 ATSC 3.0 소스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도록 방송을 통해 및/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ATSC 3.0 소스 컴포넌트들 및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들은 휴대용 텔레비전들(예를 들어, 스마트 TV들, 인터넷 가능 TV들), 랩탑들 및 태블릿 컴퓨터들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들, 및 스마트폰들 및 아래에 논의되는 추가 예들을 포함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운영 환경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컴퓨터들 중 일부는 예를 들어 Microsoft의 운영 체제들, Unix 운영 체제, 또는 Apple Computer 또는 Google에 의해 제작되는 운영 체제들, 예컨대 Androi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 환경들은 Microsoft 또는 Google 또는 Mozilla에 의해 만들어진 브라우저, 또는 이하에 논의되는 인터넷 서버들에 의해 호스팅되는 웹 사이트들에 액세스할 수 있는 다른 브라우저 프로그램과 같은 하나 이상의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ATSC 3.0 간행물 A/344는 특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에 관련될 수 있다.
ATSC 3.0 소스 컴포넌트들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하거나 데이터를 방송하도록 소스 컴포넌트들을 구성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방송 전송 컴포넌트들 및/또는 서버들 및/또는 게이트웨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및/또는 로컬 ATSC 3.0 소스 컴포넌트는 Sony PlayStation®,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게임 콘솔에 의해 인스턴스화될 수 있다.
정보는 클라이언트들과 서버들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리고 보안을 위해, 서버들 및/또는 클라이언트들은 방화벽들, 로드 밸런서들, 임시 저장소들 및 프록시들, 및 신뢰성과 보안을 위한 다른 네트워크 기반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명령어들은 시스템에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단계들을 지칭한다. 명령어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임의의 유형의 프로그래밍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어드레스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제어 라인들과 같은 다양한 라인들, 및 레지스터들 및 시프트 레지스터들을 통해 로직을 실행할 수 있는 단일 또는 다중 칩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흐름도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설명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다양한 서브루틴들, 절차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고서, 특정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명시된 로직은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재분배되고/거나 단일 모듈로 함께 결합되고/거나 공유가능한 라이브러리에서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흐름도 형식이 사용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는 상태 머신 또는 다른 논리적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본 원리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 측면에서 제시된다.
위에서 언급된 것에 더하여,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와 같은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기능들 및 방법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5, Java®/Javascript, C# 또는 C++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적절한 언어로 작성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래밍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와 같은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이동식 썸 드라이브들 등을 포함하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연결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확립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들은 예로서 광섬유들 및 동축 와이어들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및 트위스트 페어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하드와이어드 케이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거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은 다른 실시예들로부터 조합, 교환 또는 제외될 수 있다.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마찬가지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및 "A, B,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라는 기재는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를 함께, A와 C를 함께, B와 C를 함께, 및/또는 A, B, 및 C를 함께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보면, ATSC 3.0 소스 컴포넌트의 예는 "브로드캐스터 장비"(10)로 표시되어 있으며, 전형적으로 일-대-다 관계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통해, ATSC 3.0 텔레비전들과 같은 복수의 수신기(14)에 텔레비전 데이터를 무선으로 방송하기 위한 오버-디-에어(OTA) 장비(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신기(14)는 단거리에 걸쳐, 전형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저-에너지 블루투스(low energy Bluetooth), 다른 근거리 통신(NFC) 프로토콜, 적외선(IR)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링크(18)를 통해, 원격 컨트롤들(remote controls), 태블릿 컴퓨터들, 이동 전화들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패니언 디바이스(companion device)(16)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들(14) 중 하나 이상은 인터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링크(20)를 통해, 전형적으로 일-대-일 관계로 브로드캐스터 장비(10)의 오버-더-탑(OTT) 장비(22)와 통신할 수 있다. OTA 장비(12)가 OTT 장비(22)와 함께 위치될 수 있거나, 브로드캐스터 장비(10)의 양 측(12, 22)이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적절한 수단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든, 수신기(14)는 ATSC 3.0에 튜닝된 텔레비전 채널(tuned-to ATSC 3.0 television channel)을 통해 OTA로 ATSC 3.0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또한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관련 콘텐츠를 OTT(광대역)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모든 도면에 설명된 컴퓨터화된 디바이스들은 도 1 및 도 2의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해 제시된 컴포넌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보여진 컴포넌트들의 예들의 세부사항을 볼 수 있다. 도 2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브로드캐스터 측에 맞게 수정된 ATSC 3.0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터들은 하이브리드 서비스 전달을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요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여기서는 "광대역" 및 "오버-더-탑(OTT)"이라고 지칭됨)를 통해서는 물론, 무선 방송(여기서는 "방송" 및 "오버-디-에어(OTA)"라고 지칭됨)을 통해 전달된다. 도 2는 또한 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갖는 예시적인 스택을 도시한다.
브로드캐스터 장비(10)와 관련하여 도 2를 개시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임의의 메모리들 또는 저장소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202)에 액세스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0)는 최상위 애플리케이션 계층(204)에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204)은 예를 들어 런타임 환경에서 실행되는 HTML5/Javascript로 작성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 없이, 애플리케이션 스택(204) 내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선형 TV 애플리케이션들, 대화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 컴패니언 스크린 애플리케이션들, 개인화 애플리케이션들, 비상 경보 애플리케이션들, 및 사용 보고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은 전형적으로 비디오 코딩, 오디오 코딩, 및 런타임 환경을 포함하여, 뷰어가 경험하는 요소들을 나타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예로서, 사용자가 대화를 제어하고, 대체 오디오 트랙들을 사용하고, 정규화 및 동적 범위와 같은 오디오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는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204) 아래에는 프레젠테이션 계층(206)이 있다. 프레젠테이션 계층(206)은 방송(OTA) 측에서 미디어 처리 유닛들(MPU)(208)이라고 지칭되는 방송 오디오-비디오 재생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이는 수신기에서 구현될 때,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를 디코딩하고,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에서 재생하고, 무선으로 방송한다. MPU(208)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BMFF(base media file format) 데이터 표현들(210) 및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의 비디오를, 예를 들어 돌비 오디오 압축(AC-4) 포맷의 오디오와 함께 프레젠테이션하도록 구성된다. ISO BMFF는 "세그먼트들" 및 프레젠테이션 메타데이터로 분할된 시간 기반 미디어 파일들을 위한 일반 파일 구조이다. 파일들 각각은 본질적으로 각각 유형 및 길이를 갖는 중첩된 객체들(nested objects)의 모음이다. 복호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MPU(208)는 방송측 암호화된 미디어 확장(encrypted media extension)(EME)/공통 암호화(common encryption)(CENC) 모듈(212)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는 방송 측에서 프레젠테이션 계층(206)이 애플리케이션 계층(204)이 액세스할 수 있는 비-실시간(non-real time)(NRT) 콘텐츠(218)를 전달하기 위한MPEG(motion pictures expert group) 미디어 전송(media transport)(MMT) 프로토콜(MMTP) 시그널링 모듈(214) 또는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시그널링 모듈(216)을 포함하는 시그널링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NRT 콘텐츠는 저장된 교체 광고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대역(OTT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측에서, 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때, 프레젠테이션 계층(206)은 인터넷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디코딩 및 재생하기 위한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DASH) 플레이어/디코더들(220)을 통한 하나 이상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ASH 플레이어(220)는 광대역 측 EME/CENC 모듈(222)에 액세스할 수 있다. DASH 콘텐츠는 ISO/BMFF 형식의 DASH 세그먼트들(224)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방송 측의 경우에서와 같이, 프레젠테이션 계층(206)의 광대역 측은 파일들(226) 내에 NRT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재생 시그널링을 제공하기 위한 시그널링 객체들(22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 내의 프레젠테이션 계층(206) 아래에는 세션 계층(230)이 있다. 세션 계층(230)은 방송 측에서 MMT 프로토콜(232) 또는 ROUTE 프로토콜(234)을 포함한다. 여기에 보여지지는 않지만, ATSC 표준은 전송을 위해 MPEG MMT를 사용하는 옵션을 제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광대역 측에서, 세션 계층(230)은 HTTP 보안(HTTP(S))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HTTP 프로토콜(236)을 포함한다. 세션 계층(230)의 방송 측은 또한 HTTP 프록시 모듈(238) 및 서비스 목록 테이블(service list table)(SLT)(240)을 이용할 수 있다. SLT(240)는 기본 서비스 목록을 구축하고 방송 콘텐츠의 부트스트랩 발견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링 정보의 테이블을 포함한다. 미디어 프레젠테이션 설명들(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s)(MPD)은 ROUTE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UDP)을 통해 전달되는 "ROUTE 시그널링" 테이블들에 포함된다.
전송 계층(242)은 저-지연(low-latency) 및 손실-허용(loss-tolerating) 연결들을 확립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 내의 세션 계층(230) 아래에 있다. 방송 측에서, 전송 계층(242)은 UDP(244)를 사용하고, 광대역 측에서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246)을 사용한다.
도 2에 보여진 예시적인 비제한적 프로토콜 스택은 전송 계층(242) 아래의 네트워크 계층(248)을 또한 포함한다. 네트워크 계층(248)은 IP 패킷 통신을 위해 양 측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며, 멀티캐스트 전달은 방송 측에서 전형적이고 유니캐스트는 광대역 측에서 전형적이다.
네트워크 계층(248) 아래에는 양측에 연관된 각각의 물리적 매체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254) 및 방송 전송/수신 장비(252)를 포함하는 물리 계층(250)이 있다. 물리 계층(250)은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을 관련 매체를 통해 전송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고, 수신기에서의 에러 정정을 가능하게 하는 순방향 에러 정정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변조 및 복조 기능들을 통합하기 위한 변조 및 복조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장거리 전송을 위해서는 물론, 대역폭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트들을 심볼들로 변환한다. OTA 측에서, 물리 계층(250)은 전형적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방송하는 무선 방송 송신기를 포함하는 반면, OTT 측에서, 물리 계층(250)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컴퓨터 전송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스택 내의 다양한 프로토콜들(HTTP/TCP/IP)을 통해 송신된 DASH-IF(DASH Industry Forum) 프로파일은 광대역 측에서 사용될 수 있다. ISO BMFF에 기초하는 DASH-IF 프로파일의 미디어 파일들은 방송 및 광대역 전달 둘 다를 위한 전달, 미디어 캡슐화 및 동기화 형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수신기(14)는 전형적으로 브로드캐스터 장비의 프로토콜 스택에 상보적인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한다.
도 1의 수신기(14)는 도 2에 보여진 바와 같이, ATSC 3.0 TV 튜너(등가적으로, TV를 제어하는 셋톱 박스)(256)를 갖는 인터넷 가능 TV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4)는 Android® 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신기(14)는 컴퓨터화된 인터넷 가능("스마트") 전화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화된 디바이스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무관하게, 여기에 설명된 수신기(14) 및/또는 다른 컴퓨터들은 본 원리들을 수행하도록(예를 들어, 본 원리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고, 여기에 설명된 로직을 실행하고,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기능들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들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기(14)는 도 1에 보여진 컴포넌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14)는 고화질 또는 초고화질의 "4K" 이상의 평면 스크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들을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터치 가능형일 수도 있고 아닐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25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4)는 또한 본 원리들에 따라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피커(260), 및 예를 들어 수신기(14)를 제어하도록 수신기(14)에 가청 커맨드들을 입력하기 위한 예를 들어 오디오 수신기/마이크로폰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입력 디바이스(2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수신기(1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66)의 제어 하에서의 인터넷, WAN, LAN, PAN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264)는 제한 없이, Wi-Fi 트랜시버일 수 있고, 이는 메시 네트워크 트랜시버와 같은, 그러나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 무선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인터페이스(264)는 제한 없이 Bluetooth® 트랜시버, Zigbee® 트랜시버,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트랜시버, 무선 USB 트랜시버, 유선 USB, 유선 LAN, 파워라인(Powerline), 또는 MoCA(Multimedia over Coax Alliance)일 수 있다. 프로세서(266)는 예를 들어 그 위에 이미지들을 프레젠테이션하도록 디스플레이(258)를 제어하고 그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같이, 여기에 설명된 수신기(14)의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여, 본 원리들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기(14)를 제어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4)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모뎀 또는 라우터, 또는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무선 전화 트랜시버 또는 Wi-Fi 트랜시버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것에 더하여, 수신기(14)는 또한 다른 CE 디바이스에 (유선 연결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포트 또는 USB 포트, 및/또는 헤드폰들을 통해 수신기(14)로부터의 오디오를 사용자에게 프레젠테이션하기 위해 헤드폰들을 수신기(14)에 연결하기 위한 헤드폰 포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포트(26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포트(268)는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의 케이블 또는 위성 소스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소스는 별도의 또는 통합된 셋톱 박스, 또는 위성 수신기일 수 있다. 또는, 소스는 게임 콘솔이나 디스크 플레이어일 수 있다.
수신기(14)는 일시적인 신호들이 아닌 디스크 기반 또는 고체 상태 저장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메모리(2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독립형 디바이스들로서 수신기 섀시의 내부에, 또는 오디오 비디오(AV) 프로그램들을 재생하기 위해 수신기 섀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개인용 비디오 리코딩 디바이스(PVR) 또는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로서, 또는 이동식 메모리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기(14)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위성 또는 셀폰 타워로부터 지리적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프로세서(266)에 제공하고/거나 프로세서(266)와 관련하여 수신기(14)가 배치되는 고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셀폰 수신기, 전지구적 측위 위성(GPS) 수신기, 및/또는 고도계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포지션 또는 위치 수신기(2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3차원 전부에서 수신기(14)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본 원리들에 따라 셀폰 수신기, GPS 수신기 및/또는 고도계 외의 다른 적절한 포지션 수신기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수신기(14)의 설명을 계속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기(14)는 본 원리들에 따라 픽처들/이미지들 및/또는 비디오를 수집하기 위해, 열 화상 카메라, 웹캠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 및/또는 수신기(14)에 통합되고 프로세서(266)에 의해 제어가능한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2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4)에는 각각 Bluetooth® 및/또는 NFC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Bluetooth® 트랜시버(276) 또는 다른 근거리 통신(NFC)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NFC 요소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요소일 수 있다.
더 추가하여, 수신기(14)는 프로세서(266)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보조 센서(278)(예컨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사이클로미터 또는 자기 센서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움직임 센서), 원격 컨트롤로부터 IR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IR) 센서, 광학 센서, 속도 및/또는 케이던스 센서, (제스처 커맨드들을 감지하기 위한) 제스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R 센서(280)는 무선 원격 컨트롤로부터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수신기(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컴패니언 디바이스(16)는 위에서 설명된 수신기(14)와 관련하여 도시된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들로서, 적절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 또는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모듈들로서, 또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편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은 CD ROM 또는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비일시적 디바이스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명령어들은 무선 또는 광학 신호와 같은 일시적인 배열로, 또는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를 통해 대안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ATSC 3.0 시스템과 같은 단순화된 디지털 TV 시스템이 보여진다. 도 3에서,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관련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는 ATSC 3.0 수신기(300)와 같은 모바일 또는 고정식 디지털 TV 수신기는 제1 및 제2 ATSC 3.0 방송국들 또는 어셈블리들(304) 사이의 경계 지역(302) 내에 위치되고, 방송국들(304) 둘 다로부터의 신호들은 지역(302) 내의 수신기(300)에 의해 픽업된다. 제1 ATSC 3.0 서비스("서비스 A")는 제1 주파수(306)를 통해 제1 방송국(304)으로부터 방송되는 반면, 동일한 서비스 A 또는 등가의 서비스 B는 제1 주파수(306)와 다른 제2 주파수(308)를 통해 제2 방송국(304)으로부터 방송된다. 수신기(300)는 주파수들 둘 다를 픽업하는데, 즉 수신기(300)는 방송국들(304) 둘 다로부터의 신호들을 픽업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관련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는 ATSC 3.0 수신기(400)와 같은 디지털 TV 수신기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ATSC 3.0 수신기(400)는 고정식 수신기, 예를 들어 가정 내부에 위치된 수신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ATSC 3.0 수신기(400)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 내에 구현되거나 이동하는 운송수단 내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모바일 수신기일 수 있다.
도 4에 보여진 예시적인 ATSC 3.0 수신기(400)는 튜너가 하나 이상의 안테나(406)로부터 픽업하는 신호들을 복조기(404)에 송신하는 튜너(402)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수신기(400)는 단 하나의(one and only one) 튜너, 단 하나의 복조기, 및 단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도 5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관련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는 ATSC 3.0 수신기(500)와 같은 디지털 TV 수신기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ATSC 3.0 수신기(500)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 내에 구현되거나 이동하는 운송수단 내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모바일 수신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ATSC 3.0 수신기(500)는 고정식 수신기, 예를 들어 가정 내부에 위치된 수신기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ATSC 3.0 수신기(5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506)로부터 튜너들에 의해 픽업된 신호들을 각각의 복조기들(504)에 송신하는 복수의 튜너(502)를 포함한다.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ATSC 3.0 수신기(500)는 2개의 튜너 및 2개의 복조기를 갖지만, 수신기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튜너/복조기들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ATSC 3.0 수신기(500)는 4개의 안테나를 갖지만, 수신기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수신기(500)는 안테나 입력을 튜너들에 스위칭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 제1 튜너는 예를 들어 3개의 안테나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제2 튜너는 제4 안테나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스위치는 튜너들 간에서 안테나 입력을 스왑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2개의 안테나가 각각의 개별 튜너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4개의 안테나 전부가 단일 튜너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및 다른 안테나 튜너 구성들은 필요에 따라 동작 동안 즉석으로(on the fly) 변경될 수 있다. 안테나들은 수신기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RF 주파수들의 품질 메트릭은 여기에 논의되며, 식별되고 저장될 수 있다. 품질 메트릭은 예를 들어 신호 대 잡음비(SNR), 및 예를 들어 패킷 에러 수(packet error number)(PEN)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에러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품질 메트릭은 예를 들어 서비스가 고화질(HD)인지 또는 표준 화질(SD)인지와 같은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HD가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을 인식하여, 품질 메트릭은 또한 비트레이트 및 폼 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품질 메트릭은 서비스가 외국어들을 지원하는지, 액세스가능성 시그널링(예를 들어, 서명이 어디에서 수행되고 있는지), 오디오 설명, 및 다른 콘텐츠 양태들과 같은 콘텐츠 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품질 메트릭은 지역성 선호도를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제1 지역 채널이 강하지만 모든 광고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제2 지역에 대한 것이 아니라 제1 지역에 대한 것이므로, 제2 지역으로부터의 중복 서비스가 제1 지역에 비해 선호도를 부여받을 수 있음). 품질 메트릭은 서비스가 지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품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들에서, SNR은 각각의 수신된 주파수의 수신 신호 강도 및 해당 주파수에 수반되는 임의의 잡음 둘 다를 기록하고 그 비율(quotient)을 결정함으로써 스캔 동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러 레이트는 (누락된 패킷 번호들을 기록함으로써) 누락된 패킷들의 백분율을 결정함으로써 및/또는 에러 정정 알고리즘들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에러들을 갖는 수신된 패킷들의 백분율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6의 예에서 주파수 "A" 상의 서비스 "A"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주파수 상에서 서비스들을 송신하기 위해 OTA 송신기 또는 OTT 송신기와 같은 송신기에 의해 실행가능한 로직을 도시한다. 블록(602)으로 이동하면, 송신기, 또는 시스템 내의 다른 송신기는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 목록 테이블(SLT) 내의 서비스들의 서비스 목록 및 대응하는 RF 주파수들은 물론, 상이한 주파수들 상의 하나 이상의 중복 서비스를 또한 송신("시그널링")한다.
도 7은 본 원리들과 일치하는 수신기 로직을 도시한다. 블록(700)에서 시작하여, 브로드캐스터로부터 제1 주파수("A") 상에서 반송되는 제1 서비스가 수신되어 AV 디바이스 상에 프레젠테이션된다. 결정 상태(702)로 진행하여, 수신기는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품질 메트릭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전형적으로 경계 지역이 횡단되고 있을 때 상이한 송신기로부터 상이한 주파수("B") 상에서 수신된 제1 서비스의 중복, 부분, 등가 또는 선호 방송이 제1 주파수(A)보다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지를 결정하고, 수신기는 블록(704)에서 주파수 A로부터의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으로부터 주파수 B 상에서 수신된 해당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으로의 자동 핸드오프를 실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신기는 블록(700)에서 제1 주파수(A)로부터의 콘텐츠를 계속하여 프레젠테이션한다.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주파수들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은 제1 튜너에 의한 제1 신호(주파수)의 완전한 손실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주파수들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은 임계값 미만으로의 제1 신호의 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주파수들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은 제1 신호(주파수)의 품질을 능가하는 제2 신호(주파수)의 품질을 포함한다.
도 8-도 10은 도 7의 블록(704)으로부터의 자동 서비스 핸드오프에 따른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조건부 기술들을 도시한다.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BA)은 전형적으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ROUTE/DASH 또는 MMT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터들로부터 ATSC 3.0 수신기들에 의해 다운로드된다.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실행되고 상호작용성 또는 표적 광고 삽입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의도되는, 상호관련된 문서들의 다운로드된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문서들은 HTML, JavaScript, CSS, XML 및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일부가 아닌 다른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은 광대역 연결 없이, 지역화된 상호작용성(localized interactivity)을 지원하는 능력으로 인해 다른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 BA는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더 넓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클라이언트 측 기능을 나타낸다. 브로드캐스터는 클라이언트 측 문서들 및 코드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구별이 이루어진다.
상태(800)는 결정 흐름 포맷으로 캐스트되며, 상태 로직은, 자동화된 프로세스의 결과로 채널 A로부터 채널 B로 튜닝할 때, 기존(핸드오프-전) BA(도 8의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 "A")가 새로운(핸드오프-후) BA(도 8의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 "B")와 동일한 컨텍스트 ID를 갖는 블록(704)으로부터의 서비스 핸드오프들에 도 8이 적용됨을 나타내기 위해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도 8의 로직은 상태(802)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상태(800)에서의 조건이 충족되면, 로직은 블록(804)으로 이동하여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 A에게 서비스가 변경되고 있음을 통지한다.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 A는 서비스를 새로운 주파수로 핸드오프하는 동안 및 그 후에 중단 없이 상태(806)에서 계속 실행될 수 있다.
컨텍스트 ID는 방송에서 시그널링되고 수신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관된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에 어느 리소스들이 제공되는지를 결정하는 고유한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URI)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리소스들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식별자에 연관될 수 있지만, BA는 단일 컨텍스트 ID에만 연관된다. 컨텍스트 ID들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는 DASH Industry Forum의 DASH-IF의 HTML 엔트리 페이지 위치 설명(HTML entry pages location description (HELD) 부분: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DASH-IF Interoperability Point for ATSC 3.0"에 추가로 명시될 수 있다.
도 9는 자동 서비스 핸드오프의 또 다른 조건을 도시한다. 도 9는 상태(900)에서 시작하여, 제2 옵션의 블록(902)으로 진행하거나 제1 옵션의 판정 다이아몬드(904)로 곧바로 진행한다("옵션들"은 "실시예들"을 의미함). 블록(902)에서, 제1 주파수 A에 연관된 BA는 제2 주파수 B에 연관된 제2(대체) BA에 전달할 데이터를 공급 및/또는 업데이트한다. 제2 옵션의 블록(902)으로부터 또는 제1 옵션의 시작 상태(900)로부터 곧바로, 로직은 다이아몬드(904)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BA가 모두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ID들 및 동일한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RL)을 갖는 것으로 시그널링되었는지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로직은 상태(906)에서 종료된다(본질적으로 도 8의 로직을 시사함).
한편, 제1 및 제2 BA가 동일한 컨텍스트 ID를 갖지 않거나 동일한 URL을 갖지 않는 경우, 제1 옵션(실시예)의 로직은 블록(908)으로 진행하여, 주파수 A에 연관된 제1 BA에게 튜닝될 주파수가 변경되고 있음을 통지한다. 블록(910)으로 이동하면, 이 옵션에서, 제2 BA, 즉 새로운(제2) 주파수 B의 BA에 전달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이 제1 BA로부터 수신된다.
제1 옵션의 블록(910)으로부터 또는 제2 옵션의 판정 다이아몬드(904)에서의 테스트의 부정적인 결과로부터 곧바로, 로직은 상태(912)에 도달하여 제1 BA를 종료한 다음, 상태(914)에서 제2 BA를 개시한다. 블록(916)에서, 제1 BA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은 블록(916)에서 제2 BA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로직은 상태(906)에서 종료된다.
도 10은 자동 서비스 핸드오프 동안 BA들을 관리하기 위한 또 다른 조건을 도시한다. 블록(1000)에서, 예를 들어 모바일 수신기가 2개의 송신기 사이의 경계 지역을 통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비스를 반송하는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그 동일한 서비스를 반송하는 다른 주파수로 자동으로 튜닝할 때, 원래의 주파수 상의 기존 BA("A")에는 임박한 핸드오프가 통지된다. 블록(1002)으로 이동하면, 원래의 BA("A")는 데이터를 수신기에 제공해야 하거나 제공할 수 있음(즉, 필수사항 또는 선택사항)을 통지받고, 다음으로 그것은 블록(1004)에서 해당 데이터를 제2 주파수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B")에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BA "A"의 컨텍스트 ID가 BA "B"의 컨텍스트 ID와 동일한지에 상관없이, 그리고 BA들이 서로 동일한 URL들을 갖는지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원리들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다양한 대안적인 배열이 여기에서 청구된 주제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가 적어도 제1 및 제2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어셈블리들로부터 방송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방법으로서,
    제1 디지털 TV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제1 주파수로부터 제2 주파수로 자동으로 핸드오프하는 단계;
    프레젠테이션을 핸드오프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레젠테이션이 핸드오프될 것이거나 핸드오프되고 있다는 것을 상기 제1 주파수에 연관된 제1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BA)에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주파수에 연관된 제2 BA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에 연관된 컨텍스트 ID가 상기 제2 BA에 연관된 컨텍스트 ID와 동일한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BA들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지털 TV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상기 제1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로 자동으로 핸드오프하는 동안 상기 제1 BA를 계속해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는 제1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niform resource listing)(URL)에 연관되고 상기 제2 BA는 제2 URL에 연관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BA들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BA를 상기 제1 URL로부터 상기 제2 URL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는 제1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RL)에 연관되고 상기 제2 BA는 제2 URL에 연관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BA들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제2 BA에 송신하고 상기 제2 BA를 실행하여 상기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의 컨텍스트 ID가 상기 제2 BA의 컨텍스트 ID와 동일한지에 상관없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BA들이 공통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URL)를 갖는지에 상관없이, 프레젠테이션을 핸드오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제2 BA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의 손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지털 TV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상기 제1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로 자동으로 핸드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의 저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지털 TV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상기 제1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로 자동으로 핸드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의 품질이 상기 제1 신호의 품질을 능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지털 TV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상기 제1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로 자동으로 핸드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제1 주파수 상에서 제1 디지털 텔레비전(DTV)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제1 DTV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프레젠테이션하고;
    제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제1 DTV 서비스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프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DTV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DTV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1 주파수에 연관된 제1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BA)에 상기 스위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주파수에 연관된 제2 BA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BA에 연관된 컨텍스트 ID가 상기 제2 BA에 연관된 컨텍스트 ID와 동일한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및 제2 BA들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지털 TV 서비스의 프레젠테이션을 상기 제1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로 자동으로 핸드오프하는 동안 계속해서 상기 제1 BA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는 제1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RL)에 연관되고 상기 제2 BA는 제2 URL에 연관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및 제2 BA들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BA를 상기 제1 URL로부터 상기 제2 URL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는 제1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RL)에 연관되고 상기 제2 BA는 제2 URL에 연관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및 제2 BA들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제2 BA에 송신하고 상기 제2 BA를 실행하여 상기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BA의 컨텍스트 ID가 상기 제2 BA의 컨텍스트 ID와 동일한지에 상관없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BA들이 공통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RL)를 갖는지에 상관없이, 프레젠테이션을 핸드오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주파수에 연관된 상기 제2 BA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장치로서,
    명령어들로 프로그래밍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를:
    제1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제1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비디오(AV)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프레젠테이션하기 위해 제1 브로드캐스터 애플리케이션(BA)을 실행하고 - 상기 제1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를 포함함 -;
    상기 제1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을 제2 BA에 연관된 제2 주파수 상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는 것으로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1 BA에 상기 스위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제2 BA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는 제1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RL)에 연관되고 상기 제2 BA는 제2 URL에 연관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제1 및 제2 BA들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BA를 상기 제1 URL로부터 상기 제2 URL로 스위칭하도록 실행가능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A는 제1 유니폼 리소스 리스팅(URL)에 연관되고 상기 제2 BA는 제2 URL에 연관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제1 및 제2 BA들의 컨텍스트 ID들이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BA에 연관된 데이터를 상기 제2 BA에 송신하고 상기 제2 BA를 실행하여 상기 제1 서비스를 프레젠테이션하도록 실행가능한, 장치.
KR1020237030362A 2021-08-06 2022-08-05 Atsc 3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스위칭 및 공유 KR202301445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60020P 2021-08-06 2021-08-06
US63/260,020 2021-08-06
US17/489,708 US11611799B2 (en) 2021-08-06 2021-09-29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US17/489,708 2021-09-29
PCT/IB2022/057322 WO2023012749A1 (en) 2021-08-06 2022-08-05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577A true KR20230144577A (ko) 2023-10-16

Family

ID=8319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362A KR20230144577A (ko) 2021-08-06 2022-08-05 Atsc 3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스위칭 및 공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71306A1 (ko)
KR (1) KR20230144577A (ko)
WO (1) WO20230127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0293B2 (en) * 2005-09-15 2013-12-31 At&T Mobility Ii Llc Location-based transmitter selection and handoff
WO2016140477A1 (ko) * 2015-03-01 2016-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3751859A1 (en) * 2019-06-13 2020-12-16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from a first to a second transport stream of a same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1306A1 (en) 2024-05-22
WO2023012749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1799B2 (en)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CN113170222B (zh) 用于电视机和电子设备的电视接收器应用
JP2024506459A (ja) Atsc 3.0リアルタイム放送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高速チャネル変更を含む長期間誤り訂正
US11553245B1 (en) Techniques for receiving non-real time (NRT) data whilst traversing a multi-frequency network boundary
US11825155B2 (en) ATSC boundary condition fall over to internet
US202301886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 to unicast services
KR20230144577A (ko) Atsc 3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스위칭 및 공유
US11601707B2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US11838680B2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848716B2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US11711568B2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handing off between presentation and scanning
US11546650B1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with different numbers of antennae
CN116724554A (zh) Atsc 3应用上下文切换和共享
WO2023012732A1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WO2023012748A1 (en) Techniques for receiving non-real time (nrt) data whilst traversing a multi-frequency network boundary
WO2023012727A1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WO2023012746A1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US20240107111A1 (en) Digital tv reception using ott backchannel communication
US11611792B2 (en) ATSC 3 reception across boundary conditions using location data
WO2023012756A1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handing off between presentation and scanning
US11611790B2 (e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WO2023012747A1 (e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with different numbers of antennae
KR20230144573A (ko)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계 조건들에 걸친 atsc 3 수신의 개선
CN116868524A (zh) 使用位置数据改善跨边界条件的atsc 3接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