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248A -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 - Google Patents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248A
KR20230144248A KR1020220043293A KR20220043293A KR20230144248A KR 20230144248 A KR20230144248 A KR 20230144248A KR 1020220043293 A KR1020220043293 A KR 1020220043293A KR 20220043293 A KR20220043293 A KR 20220043293A KR 20230144248 A KR20230144248 A KR 20230144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oor
stopper
roller
reinforc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덕희
Original Assignee
(주)하이원플러스
주식회사 하이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원플러스, 주식회사 하이빅 filed Critical (주)하이원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4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248A/en
Publication of KR2023014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248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보강 장치는, 방화문의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 장착되는 보강 장치로서, 화재 발생시 일정 온도 이상에서 녹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화재 발생시 스토퍼의 두께만큼 롤러 래치 볼트가 스트라이커 요홈 내에서 안쪽으로 더 이동하기 때문에, 방화문과 방화 문틀과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열이나 화염에 의해 방화문이 뒤틀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fire doors. The reinforc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more reinforcing device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fire door, and includes a stopper that melts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when a fire occurs. Due to this structure, in the event of a fire, the roller latch bolt moves further inward within the strike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opper, 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e door and the fire door frame can be maintained firml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solving the problem of fire doors being distorted by heat or flame from a fire.

Description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방화문이 화염이나 열에 의해 발생하는 뒤틀림 변형 현상을 억제하여 방화문의 기밀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a fire door that suppresses distortion and deformation caused by flame or heat in the event of a fire, thereby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fire door.

방화문(Fire door)는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염에 일정시간 이상을 견디도록 만들어진 출입기능이 있는 문을 의미한다. 즉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외부로 번지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현관 출입문 또는 비상문 등의 구조물이다.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막지 못하면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화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Fire door refers to a door with an entrance function designed to withstand flam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the purpose of minimizing casualties in the event of a fire. In other words, it is a structure such as an entrance door or emergency door that is installed to block an external fire from spreading indoors or to prevent a fire that occurs indoors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In the event of a fire, failure to prevent the spread of flames and smoke can result in significant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so the role of fire doors is very important.

이러한 방화문은 화재 발생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 출입문이나 비상문이 불에 타거나 변형되지 않아야 하는 물리적인 성질의 요건이 요구된다. 예컨대, 철판 재질로 소정 두께 이상 견고하게 제작하여 충분한 내구 및 내화성을 가지도록 한다. These fire doors require physical properties that ensure that the entrance or emergency door does not burn or deform due to strong internal heat in the event of a fire. For example, it is made of steel plate material with a certain thickness or more to ensure sufficient durability and fire resistance.

그러나 방화문 제조 시 정해진 규격을 만족하면서 원가 절감 차원에서 철판 소재의 두께를 기존보다 얇게 설계하고 있어 화재 발생시 변형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However, it is true that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material is designed to be thinner than before in order to reduce costs while meeting the standards set when manufacturing fire doors, increasing the risk of deformation in the event of a fire.

나아가 방화문의 내화성능시험 및 판정방법에 대한 방화규격도 점차 강화되면서 내화인증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내화인증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다시 테스트를 위해 방화문을 추가로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방화문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테스트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할 수밖에 없어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Furthermore, as fire standards for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s and judgment methods for fire doors are gradually being strengthened, cases of failing to pass fire resistance certification test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this way, if the fire resistance certification test is not passed, additional fire doors must be manufactured for retesting, which places a great burden on fire door manufacturers as the test cost and time inevitably increase.

등록특허 10-1721537호(2017. 03. 24)Registered Patent No. 10-1721537 (2017. 03. 2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에 화염이나 열에 의해 방화문이 뒤틀리는 변형을 방지하여 기밀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a fire door that prevents the fire door from being distorted by flame or heat in the event of a fire and maintains airtightness.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는, 방화문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화문의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 장착되는 보강 장치이고, 상기 방화문의 플레이트 외부로 출몰되는 롤러; 상기 롤러와 체결되는 상하부 이동프레임; 상기 상하부 이동프레임 내에 위치한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이격되며 상기 상하부 이동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한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상부 이동프레임 또는 하부 이동프레임의 일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장착된 가이드 핀; 상기 플레이트 내면과 상기 가이드 핀 사이에 위치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가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의 팽창력에 따라 상기 롤러 및 이동프레임을 상기 플레이트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a fir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inforcement device installed at one or more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ire door to prevent distortion and deformation of the fire door, and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late of the fire door. haunted rollers;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engaged with the rollers; a first support plate located within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a second support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and located at the rear of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a spring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a fix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upper movable frame or the lower movable fram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xture; A guide pin mounted on the through hole; It includes a stopper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guide pin, and when the stopper is removed, the roller and the moving frame ar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expansion force of the spring.

상기 롤러 및 이동프레임은 스트라이커 요홈에서 상기 스토퍼의 두께만큼 더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ller and the moving fram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move further inward in the striker groove by the thickness of the stopper.

상기 스토퍼는, 화재 발생시 일정 온도 이상에서 녹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stopper is made of a material that melt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in the event of a fire.

상기 하우징 저면에는 스토퍼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안내공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hol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to discharge the stopper solution to the outside.

상기 하우징 저면에는 스토퍼 용액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 groove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stopper solut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방화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보강 장치의 롤러래치가 방화문틀의 스트라이커 요홈내로 더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방화문과 방화문들의 체결 상태를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the roller latch of the reinforcement devic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e door moves further into the striker groove of the fire door frame, which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fastened state of the fire door and the fire door more firmly.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방화문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화염이나 열, 연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방화문의 기능을 충실히 제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화재 발생한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의 생존성을 한 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re door from being twisted in the event of a fire, thereby faithfully providing the fire door function of blocking flame, heat, and smoke from escaping, and as a result, improving the survival of people on the other side of the fire. Further improved effects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의 장착 개소를 표기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장치의 외관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전 후방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 장치에 스토퍼가 장착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장치와 스트라이커와의 체결 상태를 보인 예시도면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a fir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are front and rear internal perspective views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reinfor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topper installed.
Figures 5a and 5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fastening state between a reinforcement device and a stri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lower), 위(above, 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 upper)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facilitate the correlation between one element or component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describ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element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below,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upper)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Elements can also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so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의 장착 개소를 표기한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a fir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문(10)은 사각 형상의 방화 문틀(20)에 설치된다. 방화 문틀(20)은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사각의 틀 구조이고, 방화문(10)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방화 문틀(20)의 내측면은 미도시하고 있지만 그 방화 문틀(20)의 전후 폭 방향으로 따라 1단 또는 2단으로 단차 구조를 구비하고, 이러한 단차 구조 내에 방화문이 수용되면서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1, the fire door 10 is installed on a square-shaped fire door frame 20. The fire door frame 20 is a square frame structure installed in a building structur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e door frame 20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e door 10 is not shown, but along the front and rear width directions of the fire door frame 20. It is provided with a step structure in one or two step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e door is accommodated within this step structure and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도 1에서 방화문(10)의 소정 위치(30, 40)에 본 발명의 내화보조 보강 장치(이하 '보강 장치'라 칭함)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30,40)는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방화문(10)의 뒤틀림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위치이고, 예를 들면 방화문(10)의 상/하단부 모서리 등이 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단 모서리 부분을 예시하였다. 즉 방화문(10)은 힌지 축과 그리고 도어 손잡이의 모티스 장치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어느 정도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그 이외 부분은 어떠한 지지도 받지 못하고 쉽게 뒤틀릴 수 있기 때문이다.In Figure 1, a fire-resistant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30 and 40 of the fire door 10. The positions 30 and 40 are positioned to effectively prevent distortion and deformation of the fire door 10 due to heat in the event of a fire, and may be,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the fire door 10. In the drawing, the upper corner is shown as an example. In other words, the fire door 10 can remain locked to some extent even if a fire occurs due to the hinge axis and the mortise device of the door handle, but other parts do not receive any support and can be easily distorted.

그리고 이러한 보강 장치는 방화문(10)에 반드시 1개소가 아닌 그 이상의 개소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방화문(10)의 사이즈에 따라 보강 장치는 복수 개가 일정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장치의 장착 개소(30, 40)와 대응하는 방화 문틀(20)에는 요입된 형상의 스트라이커(300, 도 4 참조)가 설치된다.And this reinforcement device may be installed in more places than just one place on the fire door 10. That i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re door 10, a plurality of reinforcing devices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location. And a striker (300, see FIG. 4) of a recessed shape is installed in the fire door frame (20)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ints (30, 40) of the reinforcement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장치의 외관 구성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전 후방 내부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a and 3b are front and rear internal perspective views of Figure 2.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장치(100)는 본체 케이스(101)와 플레이트(102)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101)는 방화 문틀(20)의 내부에 장착되며, 플레이트(102)는 방화 문틀(20)의 표면에 장착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inforcement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case 101 and a plate 102. The main case 101 is mounted inside the fire door frame 20, and the plate 102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fire door frame 20.

본체 케이스(101)는 플레이트(21)의 외부로 출몰되어 스트라이커 요홈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구비된 롤러(또는 볼)(110)와 롤러(110)의 상단과 하단과 각각 볼트 체결되는 상하부 이동프레임(120, 130)을 포함한다. 상하부 이동프레임(120, 130)은 본체 케이스(101) 내부를 향해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main body case 101 includes a roller (or ball) 110 that protrudes from the outside of the plate 21 and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striker groove, and an upper and lower moving frame ( 120, 130).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and 130 are formed to have a certain length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101.

이처럼 본 실시 예의 보강 장치(100)는 롤러 형태의 래치 볼트를 사용한다. 이러한 롤러 래치 볼트는 요입된 형상의 스크라이커(200)에 물리거나 이탈되는 롤러(110) 및 이동프레임(120, 130)이 플레이트(102) 외부로 돌출되며, 이때 이동프레임(120, 130)은 전방의 롤러(110)가 스트라이커(200)의 요입된 형상에 물리거나 이탈됨으로써 방화문(10)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적절한 탄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요구된다. As such, the reinforcement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uses a roller-type latch bolt. In this roller latch bolt, the roller 110 and the moving frame 120, 130, which are engaged or separated from the striker 200 of the concave shape, protrude out of the plate 102, and at this time, the moving frame 120, 130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e door 10 is performed by the front roller 110 being engaged or separated from the recessed shape of the striker 200, it is required to protrude with appropriate elasticity.

본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장치(100)는 상하부 이동프레임(120,130)) 내에 위치한 제1 지지판(140)과, 제1 지지판(140)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하부 이동프레임(120, 130)의 후방에 위치한 제2 지지판(150)을 포함한다. 제1 지지판(140)은 상하부 이동 프레임(120, 130)과 체결되어 그 이동 프레임(120, 130)가 함께 이동하며, 제2 지지판(150)은 후면 케이스(103)에 고정된다.The reinforc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140 located within the upper and lower movable frames 120 and 1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14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located at the rear of the upper and lower movable frames 120 and 130.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plate 150 located. The first support plate 140 i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movable frames 120 and 130 so that the movable frames 120 and 130 move together,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50 is fixed to the rear case 103.

그리고 상기 제1 지지판(140)과 제2 지지판(150) 사이에 설치된 길이 변경되는 샤프트 바(160) 및 샤프트 바(160)의 외주면에 개재된 스프링(170)을 포함한다. 샤프트 바(160)은 이동프레임(120, 130)의 수평 방향 이동시 제2 지지판(150)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지지판(140)에 의해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170)은 샤프트 바(160)의 신축운동에 의해 압축되거나 팽창되는 텐션이 조절된다. 이에 따라서 롤러(110) 및 상하부 이동프레임(120, 130)은 스프링(170)에 의해 플레이트(102) 외부를 향한 탄력을 지속적으로 받는 구조이다.It also includes a length-changing shaft bar 16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14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50, and a spring 170 inter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bar 160. The shaft bar 160 may be lengthened or shortened by the first support plate 140 tha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50 when the moving frames 120 and 130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ension of the spring 170 is adjusted to be compressed or expanded by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shaft bar 160. Accordingly, the roller 110 and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and 130 are structured to continuously receive elasticity toward the outside of the plate 102 by the spring 170.

본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장치(100)는 고정편(200), 가이드 핀(210) 및 스토퍼(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화재 발생 시에 방화문(10)과 방화 문틀(20)과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reinforc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xing piece 200, a guide pin 210, and a stopper 220. This structure is designed to firmly maintain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fire door 10 and the fire door frame 20 in the event of a fire.

고정편(200)은 하부 이동프레임(130)의 하면에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하부 이동프레임(130)과 연결된다. 고정편(200)과 하부 이동 프레임(13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200)은 하부 이동 프레임(130)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됨을 예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반대로 상부 이동프레임(120)의 상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이는 스토퍼(220)의 제거로 인해 어느 하나의 이동프레임이 플레이트(102)의 전방에서 더 이동되는 구조이면 상관없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 상하부 이동 프레임(120, 130)을 롤러(110)와 체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면 나머지 이동 프레임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The fixing piece 200 is formed by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ovable frame 13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movable frame 130. The fixing piece 200 and the lower moving frame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assembled. Here, the fixing piece 200 is illustrated as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lower movable frame 130,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Conversely,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vable frame 120, as long as one movable frame is moved further in front of the plate 102 due to removal of the stopper 220. And in the embodiment, since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and 130 are fastened to the roller 110, when one moving frame moves, the remaining moving frames also move together.

계속해서, 고정편(200)에 관통공(201)이 형성되고, 관통공(201)에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핀(210)이 장착된다. 가이드 핀(210)은 일 단이 편평한 두부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고, 상기 관통공(20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핀(210)의 일 단은 플레이트(102) 내면과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Subsequently, a through hole 201 is formed in the fixing piece 200, and a guide pin 210 of a certain length is mounted on the through hole 201. The guide pin 210 may have a shape with one end having a flat head, and is fixedly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201. And one end of the guide pin 210 is position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102.

가이드 핀(210)의 일단과 플레이트(102) 내면 사이에는 스토퍼(220)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220)는 소정 두께(d)를 가지며, 상기 두께(d)는 바람직하게 방화 문틀(20)의 일면과 이와 마주보는 플레이트(102)의 일면 사이 간격만큼의 두께일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20)는 평상시에는 상하부 이동 프레임(120, 130)의 초기 설정 위치가 변동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면에 화재 발생 시에는 제거되어 상하부 이동 프레임(120, 130)이 플레이트(102)의 외측으로 더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하부 이동 프레임(120, 130)의 이동은 롤러(130)가 스트라이커 요홈(130)에 더 삽입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동작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도 방화문(10)이 방화 문틀(20)과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방화문(1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 stopper 220 is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guide pin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102. As shown in FIG. 4, the stopper 22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d, and the thickness d is preferab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one side of the fire door frame 20 and one side of the plate 102 facing it. It can be. This stopper 220 serves to ensure that the initial set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and 130 are fixed without change in normal times. On the other hand,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removed and serves to move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and 130 further to the outside of the plate 102. Th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and 130 means that the roller 13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striker groove 130, and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fire door 10 is firmly fastened to the fire door frame 20 even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re door 10 from being twisted.

스토퍼(220)는 화재 발생 시 소정 온도 이상 녹아 제거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220)의 녹는 시점은 방화문(10)의 규격 및 설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맞게 스토퍼(220)의 재질이나 성분은 상이하게 하여 설치할 방화문(10)의 규격에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stopper 2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removed by melting ov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event of a fire. Since the melting point of the stopper 2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and installation of the fire door 10,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stopper 220 may be different accordingly and customized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fire door 10 to be installed. You can.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토퍼(220)가 녹은 후에 고정편(200)의 이동이 제한을 받으면 안된다. 만약 스토퍼(220)가 녹은 상태에서 고정편(200)이 수평 전진 이동하지 못하면, 결과적으로 롤러(11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ovement of the fixing piece 200 should not be restricted after the stopper 220 is melted. If the fixing piece 200 does not move forward horizontally while the stopper 220 is melted, the position of the roller 110 does not change as a result.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고정편(200)이 본체 케이스(101)의 저면과 떨어지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는 스토퍼(220) 하부에 대응하는 본체 케이스(101)의 저면에 안내공이 마련될 수 있다. 안내공은 화재 발생시 녹아 제거되는 스토퍼 용액이 보강 장치(100) 내부에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는 안내공 대신에 스토퍼 용액을 수용하도록 본체 케이스(101)의 저면에 홈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몰론 본 발명은 스토퍼(220)가 녹아 제거될 때 하부 이동 프레임(130)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200)이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면 상기한 안내공이나 홈부 구성은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is embodiment, it is better to position the fixing piece 200 away from the bottom of the main case 101. Alternatively, a guide hol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se 101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220. The guide hole is designed to allow the stopper solution, which is melted and removed in the event of a fire, to be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device 100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groove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se 101 to accommodate the stopper solution instead of the guide hole.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ixing piece 200,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moving frame 130, can move smoothly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 102 when the stopper 220 is melted and removed, the above-described guide hole or groove configuration must be formed. It doesn't have to b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화문(10)에 롤러 래치 볼트 타입의 보강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이고, 이러한 구조를 통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토퍼(220)의 두께(d)만큼 롤러(110)가 스트라이커 요홈(300) 내부에서 더 이동되게 함으로써, 화염이나 열에 의해 방화문(1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roller latch bolt type reinforcement device 100 on the fire door 10, and when a fire occurs through this structure, the roller 110 is in the striker groove as much as the thickness d of the stopper 220. (300) By allowing it to move further inside, the fire door 10 is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by flame or heat.

본 실시 예의 보강장치의 구동 예는 도 5를 참조한다. Refer to FIG. 5 for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reinforcement device of this embodiment.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장치와 스트라이커와의 체결 상태를 보인 예시도면이다.Figures 5a and 5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fastening state between a reinforcement device and a stri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방화문(10)을 힌지를 축으로 하여 닫게 되면 기본적으로 미도시한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에 의해 도어 잠금상태가 된다. 이때 방화문(10)의 상단 모서리 측에 위치한 보강 장치(100)의 롤러(110)는 방화 문틀(20)의 외면과 접촉하면 방화문(10)의 회동력에 의해 롤러(110)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에 롤러(110) 및 롤러(110)와 체결된 상하부 이동 프레임(120, 130)은 보강 장치(10)의 본체 케이스(101)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내측으로 이동시 제1 지지판(140)도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스프링(170)은 압축된다.When the fire door 10 is closed with the hinge as the axis, the door is basically locked by a latch bolt and a dead bolt (not shown). At this time, when the roller 110 of the reinforcement device 100 located on the upper edge of the fire door 1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door frame 20, pressure is applied to the roller 11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e door 10. , Accordingly, the roller 110 and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and 130 coupled to the roller 110 move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case 101 of the reinforcement device 10. And when moving inward, the spring 170 is compressed because the first support plate 140 also moves together.

이후, 롤러(110)가 스트라이커(300) 요홈 내에 위치하면 롤러(1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스프링(170)은 다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170)의 팽창력에 의해 상하부 이동 프레임(120, 130)과 롤러(110)는 스트라이커(300) 요홈 내에 위치하게 되어 방화문은 도어 틀에 완전하게 수용되어 닫힘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roller 110 is located in the groove of the striker 30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oller 110 is removed, and the spring 170 expands again. Accordingly, due to the expansion force of the return spring 170,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130 and the roller 110 are positioned within the groove of the striker 300, so that the fire door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door frame and is in a closed state.

이러한 닫힘 상태는 도 5a와 같고, 사람들에 의한 인위적인 힘이 제공될 때까지 계속 유지된다.This closed state is shown in Figure 5a and remains until artificial force is provided by people.

한편, 도 5a의 방화문 닫힘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종래 방화문의 경우 화염에 의해 쉽게 뒤틀림 변형이 발생하여 반대쪽으로 화염이나 연기가 새어 나가 위험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보강 장치(100)의 롤러(110)가 스트라이커(300) 요홈 내측으로 더 이동하여 방화문(10)과 방화 문틀(20)과의 고정력을 더 향상시키게 되어 방화문(10)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fire occurs in the closed state of the fire door shown in Figure 5a, conventional fire doors are easily distorted by the flame, causing flame or smoke to leak to the other side, which is dangerous.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the roller 110 of the reinforcement device 100 moves further inside the groove of the striker 300 to further improve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fire door 10 and the fire door frame 20, thereby improving the fire door 10. Can prevent distortion.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보강 장치(100)에 구비된 스토퍼(220)는 녹아 제거된다. 도 5b에서 스토퍼(220)는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Looking 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and the temperature exceeds a certain level, the stopper 220 provided in the reinforcement device 100 melts and is removed. In Figure 5b, the stopper 220 is shown in a removed state.

그러면 플레이트(102)를 향해 작용하는 스프링(170)의 탄력을 제한하는 구성이 제거되기 때문에, 고정편(200)은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편(200)이 이동하면, 이와 일체로 연결된 하부 이동 프레임(130)도 이동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이동하는 거리는 스토퍼(220)의 두께가 된다. 따라서 보강 장치(100)의 플레이트(102)의 외측으로 돌출된 롤러(110) 및 상하부 이동프레임(120, 130)은 스토퍼(220)의 두께만큼 이동하게 되며, 결국 스트라이커(300)의 요홈에서 더 내측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n, since the configuration that limit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70 acting toward the plate 102 is removed, the fixing piece 200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 102. And when the fixing piece 200 moves, the lower movable frame 130 integrally connected with it will also move. Here, the moving distance becomes the thickness of the stopper 220. Therefore, the roller 110 and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20 and 13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late 102 of the reinforcement device 100 move by the thickness of the stopper 220, and eventually move further in the groove of the striker 300. It provides the effect of moving inward.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300) 요홈 내부로 롤러(110)가 더 이동하게 되면, 방화문(10)과 방화 문틀(20)과의 결합력은 더 향상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화염이나 열에 의해 방화문이 튀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the roller 110 moves further into the groove of the striker 300,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e door 10 and the fire door frame 20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the fire door being twisted by flame or heat. can be preven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0: 방화문 20: 방화 문틀
100: 본 발명의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장치
101: 본체 케이스
102: 플레이트 110: 롤러
120, 130: 상하부 이동프레임 140: 제1 지지판
150: 제2 지지판 160: 샤프트 바
200: 고정편 210: 가이드 핀
220: 스토퍼 300: 스트라이커
10: fire door 20: fire door frame
100: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fire d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main body case
102: plate 110: roller
120, 130: Upper and lower moving frame 140: First support plate
150: second support plate 160: shaft bar
200: fixed piece 210: guide pin
220: Stopper 300: Striker

Claims (4)

방화문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화문의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 장착되는 보강 장치이고,
상기 방화문의 플레이트 외부로 출몰되는 롤러;
상기 롤러와 체결되는 상하부 이동프레임;
상기 상하부 이동프레임 내에 위치한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이격되며 상기 상하부 이동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한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상부 이동프레임 또는 하부 이동프레임의 일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장착된 가이드 핀; 및
상기 플레이트 내면과 상기 가이드 핀 사이에 위치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가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의 팽창력에 따라 상기 롤러 및 이동프레임을 상기 플레이트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
One or more reinforcing device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fire door to prevent the fire door from being distorted or deformed,
A roller that appears outside the plate of the fire door;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engaged with the rollers;
a first support plate located within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a second support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and located at the rear of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a spring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a fix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upper movable frame or the lower movable fram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xture;
A guide pin mounted on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 stopper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guide pin,
When the stopper is removed, the roller and the moving frame ar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expansion force of the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및 이동프레임은,
스트라이커 요홈에서 상기 스토퍼의 두께만큼 더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ller and moving frame are,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a fire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further inward in the striker groove by the thickness of the stop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화재 발생시 일정 온도 이상에서 녹는 재질로 형성되는,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is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a fire door, which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melt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when a fire occu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저면에는 스토퍼 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안내공이 형성되거나, 상기 스토퍼 용액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방화문용 내화보조 보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device for a fire door, wherein a guide hole for discharging the stopper solution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or a groove for receiving the stopper solution is formed.
KR1020220043293A 2022-04-07 2022-04-07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 KR202301442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293A KR20230144248A (en) 2022-04-07 2022-04-07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293A KR20230144248A (en) 2022-04-07 2022-04-07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248A true KR20230144248A (en) 2023-10-16

Family

ID=8850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293A KR20230144248A (en) 2022-04-07 2022-04-07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24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37B1 (en) 2014-12-26 2017-03-30 손창민 locker a fire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37B1 (en) 2014-12-26 2017-03-30 손창민 locker a fire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116B1 (en)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fire door
US7469944B2 (en) Vehicle door checker having a water management dam
JPH04153190A (en) Elevator hall door device
US20200181964A1 (en) Spring hinge base structure
KR100844525B1 (en) Fireproof and smoketight screen shutter
KR20230144248A (en) Fireproof auxiliary reinforcement apparatus for fire doors
US20060150512A1 (en) Emergency release assembly and sliding door incorporating the same
KR102094319B1 (en) Safety Pin For Fire Door
KR20100004361A (en) Automatic closing apparatus for fire door
KR101887644B1 (en) The oven with safety sliding opening door
KR101746737B1 (en) Damper for Out Door of Furniture
KR101232283B1 (en) A Door Hinge Unioned a Door shock-absorbing Unit
KR101668607B1 (en) Enerex auto door
KR101919082B1 (en) Adjustment Instrument for Door Opening/Closing Operation
KR101496614B1 (en) Connection Device between Window and Automatic open and close apparatus and Automatic open and clos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31393B1 (en) Brake system of sliding door
KR20230166313A (en) Fireproof structure for fire doors
KR102429098B1 (en) Open-closing apparatus for door
KR20150088711A (en) Connection Device between Window and Automatic open and close apparatus and Automatic open and close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8312262A (en) Device for guiding lower part of fireproof door
JP4437725B2 (en) Temporary barrier device for elevator hall
KR20180119838A (en) Thermal deforma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fire door
CN212406430U (en) Temperature control releaser for fireproof door and window
KR100852390B1 (en) Device of screen for fire and smoke prevention
JPH10102921A (en) Aseismatic spring damping device of doo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