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144A - 흉벽 진동 조끼 - Google Patents

흉벽 진동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144A
KR20230144144A KR1020220042790A KR20220042790A KR20230144144A KR 20230144144 A KR20230144144 A KR 20230144144A KR 1020220042790 A KR1020220042790 A KR 1020220042790A KR 20220042790 A KR20220042790 A KR 20220042790A KR 20230144144 A KR20230144144 A KR 2023014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hest wall
vest
unit
lu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144A/ko
Publication of KR2023014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61H23/0236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using sonic waves, e.g. using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에게 간편하게 착용시켜 환자의 흉벽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일으킴으로써 가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흉벽 진동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흉벽 진동 조끼는 흉벽을 덮는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피복은 어깨선 부위가 상기 후면 피복의 어깨선 부위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면 피복의 중앙선 부위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끼 몸체 및 상기 조끼 몸체의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흉벽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피커 진동부재로 구성된 진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흉벽 진동 조끼{CHEST WALL VIBRATING VEST}
본 발명은 흉벽 진동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래는 기도로부터 배출되어 뱉어 내는 담(痰)을 말하며, 객담(喀痰)이라고도 하며, 정상인에게서도 하루에 100ml정도 분비되지만 무의식적으로 삼키므로 가래를 느끼지 못하고 지내는 것이 보통이지만 여러 가지 폐질환으로 인하여 객담 분비량과 배출량이 증가하면 병적 증상의 하나로 기침과 동시에 배출 횟수와 배출량이 증가하게 된다.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기도의 분비물은 점액 섬모 운동과 기침 반사를 통해 제거될 수 있으나, 호흡기 관련 질환의 경우에는 처리하지 못할 정도로 분비물이 많아지거나 점성이 높아지게 되어 상기 분비물이 기도에 누적되며, 누적된 분비물은 세균 감염을 일으키게 되어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게 된다.
한편, 중증 폐렴이나 여러 원인에 의한 패혈증 환자의 경우와 같이 환자가 너무 쇠약하여 스스로 호흡을 하지 못하는 경우, 장기적으로 호흡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인공호흡기가 사용되는데, 만성 호흡기 부전이나 신경 근육 질환, 고위 척추 손상, 뇌손상, 기타 뇌병변 질환 등과 같은 환자의 경우, 인공호흡기를 오랫동안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호흡기로 인한 폐렴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공호흡기 치료를 위한 인공 기도는 기도의 섬모 운동을 방해하고 기침 반사를 억제하여 분비물의 정체를 가져오고, 이러한 분비물의 정체는 폐의 기능 장애를 초래할 분만 아니라 세균의 배지가 되어 폐렴이 유발되며, 심할 경우 폐실질 조직에 무기폐를 초래하여 폐유순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가래를 배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가래 배출의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체위배농법이다.
상기 체위배농법은 중력을 이용하여 기관지 내의 가래가 배출되는 것을 돕기 위해 기관지 내의 이상이 있는 부분에 따라서 각각 다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자세는 허리를 어깨보다 높이고 앞으로 웅크리거나, 옆으로 눕는 자세이다.
그리고, 중력만으로는 가래 배출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배출을 돕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10분 정도 등을 두드려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체위배농법은 하루에 약 3회를 실시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그리고, 가래 배출의 다른 방법으로는 호흡 운동과 기침, 안마기 등의 의료기를 이용한 진동 요법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상기한 요법들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진동 요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안마기 등을 사용하여 가래를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안마기는 근육의 피로도를 완화시키는 것이 주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환자에게 가해지는 진동이 너무 커서 가래 배출용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안마기는 부피가 크고, 전원 공급이 전원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이유로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573호(발명의 명칭: 흉벽 진동 조끼 및 이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장치, 2014. 08. 2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808호(발명의 명칭: 고빈도 흉벽 진동기, 2011. 12. 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환자에게 간편하게 착용시켜 환자의 흉벽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일으킴으로써 가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흉벽 진동 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는 흉벽을 덮는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피복은 어깨선 부위가 상기 후면 피복의 어깨선 부위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면 피복의 중앙선 부위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끼 몸체 및 상기 조끼 몸체의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흉벽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피커 진동부재로 구성된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끼 몸체의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의 양쪽 어깨선은 각각 서로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입이 부착되고, 상기 전면 피복의 중앙선은 각각 서로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입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피복에 설치되어 폐에서 나는 소리를 감지한 후, 상기 진동부에 신호를 보내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의 폐소리 감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폐소리 감지센서의 신호로 상기 스피커 진동부재를 동작시켜 흉벽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전면 피복 상에 환자의 심장 부위를 제외한 상태로 분포되어, 상기 스피커 진동부재의 진동이 심장 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기저장된 해당 환자의 폐 소리 데이터 및 정상 폐 소리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폐 증상의 호전 여부 및 정상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가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폐의 상중하 부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폐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비교회로에 기저장된 해당 환자의 폐 소리 데이터 및 정상 폐 소리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변화 정도 및 차이 정도를 산출하여, 폐 증상의 호전 여부 및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가래 유무에 따라 기저장된 표본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가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처리 데이터 저장하는 한편, 통신망을 통해 근거리 또는 원격지의 보호자단말기와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흉벽진단관리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의 ON/OFF와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시청각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의 ON/OFF와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과 상기 진동부의 진동 레벨을 설정하는 커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끼 몸체는 상기 센싱부와 진동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싱부와 환자의 흉벽에 점착 고정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는 신체의 굴곡에 따라 휨 성질을 갖는 경질의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면에 일측 면이 접착 고정되고, 타측 면은 환자의 피부에 착탈 가능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끼 몸체의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에 각각 폐 형상으로 진동을 가하는 부위를 구획하되, 상기 폐 형상은 우상엽, 우중엽, 우하엽, 좌상엽 및 좌하엽으로 구획되고,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은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상기 진동부를 구동하여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부위에 따라 진동 세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에서 발생되는 폐 소리를 감지한 상기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로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여 폐 형상의 각 부분에 진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에 따르면, 조끼 몸체의 어깨선과 전면 중앙선이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환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조끼를 입히거나 벗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진동을 가하는 부위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진동의 강도와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가래 배출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진동을 이용하여 진동발생 부위를 소형화하고, 환자의 폐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따라 진동 부위 및 진동 강도를 달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가래 배출을 유도하며, 폐의 구역을 나누어 환자에게 적합한 폐의 구역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가래 배출의 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진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진동부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통신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진동부와 센싱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를 통해 폐의 구역에 따라 진동을 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진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진동부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1)는 조끼 몸체(10)와 진동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부(20)의 진동을 환자의 흉벽에 전달하여 가래 배출을 도와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흉벽 진동 조끼(1)의 조끼 몸체(10)는 흉벽을 덮는 전면 피복(11)과 후면 피복(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피복(11)은 어깨선 부위(11a)가 상기 후면 피복(12)의 어깨선 부위(12a)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면 피복(11)의 중앙선 부위(11b)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흉벽 진동 조끼(1)의 진동부(20)는 상기 조끼 몸체(10)의 전면 피복(11)과 후면 피복(12)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흉벽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피커 진동부재(21)로 구성된다.
즉, 상기 흉벽 진동 조끼(1)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입히거나 벗기기 용이하도록 상기 조끼 몸체(10)의 전면 피복(11)과 후면 피복(12)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위해 상기 조끼 몸체(10)의 전면 피복(11)과 후면 피복(12)의 양쪽 어깨선(11a,12a)은 각각 서로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입(v)이 부착되며, 상기 전면 피복(11)의 중앙선 부위(11b)는 각각 서로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입(v)이 부착된다.
상기 흉벽 진동 조끼(1)는 후면 피복(12)에 대해 전면 피복(11)이 펼쳐질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환자를 후면 피복(12)에 눕힌 다음, 전면 피복(11)을 후면 피복(12)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조끼 몸체(10)의 어깨선 부위(11a,12a)와 전면 피복(11)의 중앙선 부위(11b)에 구비된 벨크로 테입(v)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함으로써 조끼를 환자에게 착용시킬 수 있다.
상기 흉벽 진동 조끼(1)를 환자에게서 벗기는 경우, 상기 전면 피복(11)과 후면 피복(12)의 어깨선 부위(11a,12a)를 서로 분리하고, 전면 피복(11)의 중앙선 부위(11b)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흉벽 진동 조끼(1)를 환자의 몸에서 펼쳐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20)를 이루는 스피커 진동부재(21)는 스피커의 진동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증폭기(앰프)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스피커 진동부재(21)가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흉벽 진동 조끼(1)는 전면 피복(11)에 설치되어 폐에서 나는 소리를 감지한 후, 상기 진동부(20)에 신호를 보내는 센싱부(30)를 포함하는 바, 상기 센싱부(30)는 복수개의 폐소리 감지센서(31)로 구성되고, 상기 폐소리 감지센서(31)의 신호로 상기 스피커 진동부재(21)를 동작시켜 흉벽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20)는 전면 피복(11) 상에 환자의 심장 부위를 제외한 상태로 분포되어, 상기 스피커 진동부재(21)의 진동이 심장 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환자의 심장에 무리가 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흉벽 진동 조끼(1)의 센싱부(30)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기저장된 해당 환자의 폐 소리 데이터 및 정상 폐 소리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폐 증상의 호전 여부 및 정상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가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20)를 동작시키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0)는 폐의 상중하 부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폐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폐소리 감지센서(31)를 통해 환자의 폐 소리를 감지하는 바, 상기 폐소리 감지센서(31)는 스피커 진동부재(21)와 함께 상기 전면 피복(11)과 후면 피복(12) 상에 설치되어 환자의 폐 소리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진동을 환자의 흉벽에 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통신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흉벽 진동 조끼(1)의 제어부(40)는 센싱부(30)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비교회로에 기저장된 해당 환자의 폐 소리 데이터 및 정상 폐 소리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변화 정도 및 차이 정도를 산출하여, 폐 증상의 호전 여부 및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가래 유무에 따라 기저장된 표본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가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20)를 동작시키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처리 데이터 저장하는 한편, 통신망을 통해 근거리 또는 원격지의 보호자단말기(100)와 관리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흉벽진단관리회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부(2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통신부(50), 출력부(60) 및 조작부(70)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50)는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60)는 전원의 ON/OFF와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시청각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70)는 전원의 ON/OFF와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과 상기 진동부(20)의 진동 레벨을 설정하는 커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자단말기(100)는 통신부(5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단말기(200)는 상기 통신부(5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킴과 동시에 긴급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의 진동부와 센싱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흉벽 진동 조끼(1)의 조끼 몸체(10)는 센싱부(30)와 진동부(20)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싱부(80)와 환자의 흉벽에 점착 고정시키는 밀착부(90)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90)는 신체의 굴곡에 따라 휨 성질을 갖는 경질의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면에 일측 면이 접착 고정되고, 타측 면은 환자의 피부에 착탈 가능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부(20)와 센싱부(30)가 하나의 케이싱부(80)에 함께 설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진동부(20)와 센싱부(30)가 함께 설치되는 부위는 폐의 상중하 부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폐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진동부(20)만 설치될 수 있다.
즉, 환자를 포함한 피검자의 폐가 위치한 피부에 상기 케이싱부(80)의 점착패드 부분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모니터링 및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환자 또는 피검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벽 진동 조끼를 통해 폐의 구역에 따라 진동을 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흉벽 진동 조끼(1)의 전면 피복(11)과 후면 피복(12)에 각각 폐 형상으로 진동을 가하는 부위를 구획하되, 상기 폐 형상은 우상엽(a), 우중엽(b), 우하엽(c), 좌상엽(d) 및 좌하엽(e)으로 구획되고,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즉,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은 제어부(40)의 신호로 진동부(20)를 구동하여 진동을 가할 수 있고, 상기 진동부(2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부위에 따라 진동 세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에서 발생되는 폐 소리를 감지한 상기 센싱부(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40)의 제어 신호로 상기 진동부(20)를 제어하여 폐 형상의 각 부분에 진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흉벽 진동 조끼(1)는 폐 형상의 각 부분을 구역에 따라 나누어 ON/OFF 할 수 있고, 상기 흉벽 진동 조끼(1)에 전체적인 진동을 가하거나 부분적인 진동을 가할 수 있으며, 진동의 세기 또한 각 구역에 따라 달리 설정하여 흉벽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흉벽 진동 조끼(1)에 의해 조끼 몸체(10)의 어깨선과 전면 중앙선이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환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조끼를 입히거나 벗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진동을 가하는 부위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진동의 강도와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가래 배출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진동을 이용하여 진동발생 부위를 소형화하고, 환자의 폐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따라 진동 부위 및 진동 강도를 달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가래 배출을 유도하며, 폐의 구역을 나누어 환자에게 적합한 폐의 구역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가래 배출의 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흉벽 진동 조끼 10: 조끼 몸체
11: 전면 피복 11a: 어깨선 부위
11b: 중앙선 부위 12: 후면 피복
12a: 어깨선 부위 20: 진동부
21: 스피커 진동부재 30: 센싱부
31: 폐소리 감지센서 40: 제어부
50: 통신부 60: 출력부
70: 조작부 80: 케이싱부
90: 밀착부 100: 보호자단말기
200: 관리자단말기
a: 우삽엽 b: 우중엽
c: 우하엽 d: 좌상엽
e: 좌하엽 v: 벨크로 테입

Claims (15)

  1. 흉벽을 덮는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피복은 어깨선 부위가 상기 후면 피복의 어깨선 부위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면 피복의 중앙선 부위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끼 몸체; 및
    상기 조끼 몸체의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흉벽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피커 진동부재로 구성된 진동부; 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몸체의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의 양쪽 어깨선은 각각 서로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입이 부착되고, 상기 전면 피복의 중앙선은 각각 서로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입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진동 조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피복에 설치되어 폐에서 나는 소리를 감지한 후, 상기 진동부에 신호를 보내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개의 폐소리 감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폐소리 감지센서의 신호로 상기 스피커 진동부재를 동작시켜 흉벽에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진동 조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전면 피복 상에 환자의 심장 부위를 제외한 상태로 분포되어, 상기 스피커 진동부재의 진동이 심장 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진동 조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기저장된 해당 환자의 폐 소리 데이터 및 정상 폐 소리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폐 증상의 호전 여부 및 정상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가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폐의 상중하 부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폐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진동 조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비교회로에 기저장된 해당 환자의 폐 소리 데이터 및 정상 폐 소리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변화 정도 및 차이 정도를 산출하여, 폐 증상의 호전 여부 및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가래 유무에 따라 기저장된 표본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가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처리 데이터 저장하는 한편, 통신망을 통해 근거리 또는 원격지의 보호자단말기와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흉벽진단관리회로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10. 제 8 항에 있어서,
    전원의 ON/OFF와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시청각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11. 제 8 항에 있어서,
    전원의 ON/OFF와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과 상기 진동부의 진동 레벨을 설정하는 커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몸체는 상기 센싱부와 상기 진동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싱부와 환자의 흉벽에 점착 고정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신체의 굴곡에 따라 휨 성질을 갖는 경질의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면에 일측 면이 접착 고정되고, 타측 면은 환자의 피부에 착탈 가능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패드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조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몸체의 전면 피복과 후면 피복에 각각 폐 형상으로 진동을 가하는 부위를 구획하되, 상기 폐 형상은 우상엽, 우중엽, 우하엽, 좌상엽 및 좌하엽으로 구획되고,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진동 조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폐 형상의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부위에 따라 진동 세기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벽 진동 조끼.
KR1020220042790A 2022-04-06 2022-04-06 흉벽 진동 조끼 KR20230144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790A KR20230144144A (ko) 2022-04-06 2022-04-06 흉벽 진동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790A KR20230144144A (ko) 2022-04-06 2022-04-06 흉벽 진동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144A true KR20230144144A (ko) 2023-10-16

Family

ID=8850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790A KR20230144144A (ko) 2022-04-06 2022-04-06 흉벽 진동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1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808B1 (ko) 2010-06-22 2012-03-23 (주)서일퍼시픽 고빈도 흉벽 진동기
KR101470573B1 (ko) 2013-02-18 2014-12-10 주식회사 코러스트 흉벽 진동 조끼 및 이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808B1 (ko) 2010-06-22 2012-03-23 (주)서일퍼시픽 고빈도 흉벽 진동기
KR101470573B1 (ko) 2013-02-18 2014-12-10 주식회사 코러스트 흉벽 진동 조끼 및 이를 포함하는 흉벽 진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0712B2 (en) Respiration stimulation
US10016163B1 (en) Device for determing airway obstructions
US11562664B2 (en) Medical treatment simulation devices
EP2854918B1 (en) In-exsufflation therapy auto-adjustment
US200601458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WO2011082346A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alyzing, and/or adjusting sleep conditions
US20120101399A1 (en) Respiratory Monitoring System
WO2016176668A1 (en) Breathing disorder 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and methods
US20230148421A1 (en) Medical treatment simulation devices
CN111512319A (zh) 睡眠呼吸暂停装置的智能设置和推荐系统
CN107743373A (zh) 用于增加患者对与上呼吸道疾病有关的治疗的依从性的系统
EP3531996B1 (en) Ear therapeutic device
KR20220016112A (ko) 의료용 조끼 및 그 이용 방법
KR20130122822A (ko) 심폐소생술 장갑
US20170087050A1 (en) Bone-Conductive Arousal Induction Apparatus
KR20230144144A (ko) 흉벽 진동 조끼
KR102451746B1 (ko) 환자 폐 소리 모니터링을 통한 흉벽 자동 진동시스템
CN107773216A (zh) 用于监控且用于影响人的睡眠的仪器和运行该仪器的方法
CN111699015B (zh) 呼吸系统分泌物管理系统
US20230233173A1 (en) Pleural effusion pre-screening system
KR20230056992A (ko) 생체 신호 감지 장치와 연결되어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흉벽 진동 장치
JP2023143622A (ja) 呼吸支援システム
KR20240035831A (ko) 능동적 청진을 수행하고 음향 신호 및/또는 음파 에너지 측정값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14767128A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康复诊疗装置
AU2009100465A4 (en) Termination of sleep ev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