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071A -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071A
KR20230144071A KR1020237030773A KR20237030773A KR20230144071A KR 20230144071 A KR20230144071 A KR 20230144071A KR 1020237030773 A KR1020237030773 A KR 1020237030773A KR 20237030773 A KR20237030773 A KR 20237030773A KR 20230144071 A KR20230144071 A KR 2023014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able
delivery system
aerosol delivery
display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러쉬포스
차란짓 난드라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0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Abstract

에어로졸(aerosol)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챔버(chamber)의 구멍을 통해 소모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포함한다. 사용자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기가 구멍 주위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aerosol) 제공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전달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고체, 액체 또는 겔(gel)의 일부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또는 활성 물질 및/또는 향미를 포함할 수 있는 소스(source) 액체의 저장소를 포함하고, 이로부터 예를 들어 열 기화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에어로졸 또는 증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전기 흡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챔버(chamber)에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aerosolisable) 재료(예를 들어, 담배와 같은 고체 재료)의 일부를 기화 또는 에어로졸화하도록 배열된 에어로졸 생성기, 예를 들어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가열 챔버 또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포함할 것이다.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에서 흡입하고 가열 요소에 전기 전력이 공급되면, 공기가 입구 홀(hole)을 통해 그리고 ― 공기가 기화된 전구체 재료와 혼합되어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 에어로졸 생성 챔버로 연결되는 입구 공기 채널을 따라 디바이스 내로 흡인된다. 출구 공기 채널은 에어로졸 생성 챔버로부터 마우스피스(mouthpiece)의 출구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상에서 흡입할 때 에어로졸 생성 챔버 내로 흡인된 공기는 출구 흐름 경로를 따라 마우스피스 출구로 계속 이동하여, 에어로졸을 함께 운반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는 또한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공기유동 경로에 추가적인 향미들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 요소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때때로 하이브리드(hybrid)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으며, 향미 요소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챔버와 마우스피스 사이의 공기유동 경로에 배열된 담배와 같은 고체 에어로졸 생성 및/또는 향미제 재료의 부분을 포함하여, 디바이스를 통해 흡인된 에어로졸/응축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로 빠져나가기 전에 고체 재료의 해당 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가열 요소와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cartridge) 또는 포드(pod)에 포함된 소스 액체를 포함하며, 카트리지는 사용을 위해 제어 유닛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어 유닛은 카트리지를 통해 가열 요소에 전력을 함께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 및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
일부 에어로졸 제공/전달 시스템들은 디바이스의 작동 또는 상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대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시각적 표시기(visual indicator)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피드백은 예를 들어 시스템의 켜짐 또는 꺼짐 여부, 선택된 작동 모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남아있는 전기 에너지/전하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 가열 요소의 온도, 또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에서 흡입하고 있는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상에서 퍼프(puff)를 취하기 전에, 그 동안 및/또는 그 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데 사용되는 시각적 표시기는 픽셀(pixel)들의 어레이(array)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들(LEDs)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명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기(본 명세서에서 시각적 피드백 표시기로도 지칭될 수 있음)는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하우징의 외부 부분 상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하우징 내에 배치된 것에 의해 방출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상에서 퍼프를 취하고 있는 동안, 및/또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상에서 퍼프를 취하기 직전 또는 직후에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이러한 시나리오(scenario)들에서, 본 발명자들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 상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배열들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상에의 배치의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있어 쉽게 보일 수 있는 또는 직관적인 수단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음을 인식했다. 본 명세서에는 위에서 논의된 문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거나 또는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다양한 접근 방식들이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챔버의 구멍(aperture)을 통해 소모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 및 구멍 주위에 배열된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이 제공되며, 여기서 소모품의 외부 부분은 구멍 주위에 배열된 시각적 표시기에 의해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챔버의 구멍을 통해 소모품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갖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시각적 표시기는 구멍 주위에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1 및 다른 양태들과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적절한 경우,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위에서 설명된 특정 조합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시예들과도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기를 도시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 단부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기를 도시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 단부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기를 도시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 단부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기를 도시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 단부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기를 도시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 단부 부분을 통한 종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기를 도시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 단부 부분을 통한 종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기를 도시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 단부 부분 및 시각적 피드백 수정 수단을 포함하는 소모품 부분을 통한 종단면의 개략도이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상세히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장치들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제공/전달 시스템들(증기 전달 시스템들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 전반에 걸쳐, "전기 흡연 시스템", "비연소식 가열(heat-not-burn)" 시스템, 또는 "담배 가열 제품"이라는 용어들이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용어들은 에어로졸 제공/전달 시스템/디바이스 및 전자 에어로졸 제공/전달 시스템/디바이스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및 "증기"라는 용어들, 및 "기화시키다", "휘발시키다" 및 "에어로졸화하다"와 같은 관련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 및 교체 가능한 '소모품' 부품을 모두 포함하는 모듈형(modular) 조립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전형적으로, 교체 가능한 소모품 부분은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할 것이고, 재사용 가능한 부분은 전원 공급기(예를 들어, 충전식 전력 소스), 제어 회로부, 및 재사용 가능한 부분에 결합될 때 소모품 부분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기(heater)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가열기로부터 소모품 부분의 일부로 열이 전달되어, 소모품 부분의 가열된 부분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에어로졸화/기화시키거나, 또는 소모품 부분에 전기 전력 또는 자기장이 전달되어 소모품 부분의 에어로졸 생성기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게 한다. 따라서, 소모품 부분은 일부 경우들에서 소모품 부분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열과 연관된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모품 부분은 소모품 부분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 내의 자기장 발생기/구동 코일 배열체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suscept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소모품 부분은 소모품 부분 및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이 사용을 위해 함께 결합될 때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과 소모품 부분 사이의 전기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으로부터 전기 전력을 수신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 부분은,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하우징 내에 위치된 에어로졸 생성 챔버 또는 가열 챔버를 포함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챔버/수용 오목부(recess) 내로 삽입됨으로써, 사용을 위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외부 케이싱(casing)에 배치된 구멍/개구부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주어진 소모품 부분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소진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갖는 상이한 소모품 부분으로 전환하고자 원하는 경우, 소모품 부분을 구멍을 통해 챔버로부터 후퇴시킴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교체용 소모품 부분이 그 위치에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모듈형 구성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들을 일반적으로 '두 부분' 디바이스들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디바이스들(및 이들을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들 및 소모품 부분들)은 일반적으로 세장형(elongate)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가열기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채용하는 이러한 종류의 일반적으로 세장형인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본 원리들은 상이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구성들, 예를 들어 단일 부분 디바이스들 또는 2 개 초과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모듈형 디바이스들, 리필 가능한(refillable) 디바이스들 및 단일-사용 일회용 디바이스들, 그리고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보다 박스형(boxy) 형상을 갖는 소위 '박스 모드' 고성능 디바이스들, 및 일반적으로 가열기 및 종종 액체 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공급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cartridge)를 포함하는 소위 '포드 모드(pod-mode)' 디바이스들 ― 카트리지가 챔버 내에 수용될 때,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들과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챔버 내에 배치된 전기 접점들의 맞닿음을 통해 카트리지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제어 회로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챔버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됨 ― 을 기초로 하는 다른 전체 형상들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을 기초로 하며,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의 구조적 양태들은 주요한 중요성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비연소식 가열 디바이스(1)를 통한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2 개의 주요 구성요소들, 즉,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및 교체 가능한 소모품/카트리지/카토마이저(cartomiser) 부분(4)을 포함한다.
정상적인 사용에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및 소모품 부분(4)은 가열기 챔버 구역/가열 구역(53)을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챔버(50) 내로 소모품 부분(4)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삽입함으로써 함께 해제 가능하게 결합/부착된다. 챔버(50)는,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포함된 가열기가 소모품 부분(4)을 가열하거나, 또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이 소모품 부분(4)에 포함된 가열기의 가열을 유발하기 위해 소모품 부분(4)에 에너지(즉,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챔버 내에 수용되는 동안 소모품 부분(4)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성된다는 의미에서, 가열/가열기 챔버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은 소모품 부분(4)이 챔버(50) 내로 부분적으로 수용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챔버(50)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외부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로 연장되는 원통형 튜브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챔버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그들의 손에 쥐고 있을 때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가장 상부 부분으로 규정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디바이스 내로 연장되며, 챔버(50)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장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구멍(51)은 챔버(50)와 디바이스의 외부 사이를 연통시킨다.
개략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은, 전형적으로 챔버(50)의 가열 구역(53)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소모품 부분(4) 내의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을 가열함으로서, 또는 전기 에너지 또는 자기장을 소모품 부분(4) 내로 전송하여 소모품 부분(4) 내의 또는 소모품 부분(4) 상의 가열 요소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기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사용 시, 사용자는 구멍(51)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챔버(50) 내로 소모품 부분(4)을 삽입하고, 그 후 예를 들어 버튼(14)을 사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을 활성화함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이 전력 공급기/배터리(26)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요소로 전력을 공급하여 소모품 부분(4)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를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에어로졸화하게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의 구멍(51) 외부로 연장되는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41) 상에서 흡인하여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한다. 사용자가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41) 상에서 흡인하면, 공기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공기 입구(24) 내로, 공기 유입 채널(25)을 따라, 그리고 챔버(50)의 가열 구역(53) 내로 흡인되고, 여기서 공기는 소모품 부분(4)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42)로 유입되어, 소모품 부분(4)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43)의 일부의 에어로졸화/가열에 의해 발생된 증기/에어로졸을 동반한다. 구체적인 예를 위해,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챔버(50)의 가열 구역(53) 주위에 배열되어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를 포함하는 소모품 부분(4)의 일부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 요소(48)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동반된 증기/에어로졸은 소모품 부분(4)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이로부터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41)가 연장됨)를 향해 이동하고, 여기서 에어로졸 액적들이 응축되거나 또는 증기/에어로졸에서 추가로 응축되어,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하여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41)를 빠져나간다.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은 공기 입구(24)를 규정하는 개구부를 갖는 외부 하우징,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대한 작동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소스(26)(예를 들어, 배터리), 전자 시가렛(cigarette)의 작동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22), 선택적 사용자 입력 버튼(14), 선택적 디스플레이(16), 및 시각적 디스플레이/시각적 표시기(28)를 포함한다.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하우징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들 또는 금속 재료,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약 8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소모품 부분(4)은 챔버(50) 내로 삽입될 때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마우스피스 단부로부터 약 10 내지 30 mm 연장되므로, 소모품 부분 및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이 함께 결합될 때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전체 길이는 약 90 내지 110 mm이다. 소모품 부분(4)은 약 8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형상 및 규모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예에서의 전력 소스(26)는 재충전 가능하며, 통상적인 유형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연소식 가열 디바이스들, 담배 가열 디바이스들, 전자 시가렛들 및 비교적 짧은 기간들에 걸쳐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들의 제공을 필요로 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일 수 있다. 전력 소스(26)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 하우징 내의 충전 커넥터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USB 또는 USB-C 커넥터를 포함하며, 이는 또한 제어기(22)와 스마트폰 또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프로세싱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버튼(14)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예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은 통상적인 기계식 버튼으로서, 예를 들어, 전기 접촉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스프링 장착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버튼(14)은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들로 간주될 수 있으며, 버튼이 구현되는 특정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예를 들어, 용량성 터치 센서 및/또는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 이러한 복수의 버튼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버튼들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켜고 끄는 것, 및 전력 소스(26)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 공급되는 전력과 같은 사용자 설정들을 조정하는 것, 및/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모드들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기능들에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입력 버튼들을 포함하는 것은 선택 사항이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그러한 버튼들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디스플레이 유닛(16)은 일부 경우에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6)은, 포함되는 경우, 제어기(22)에 연결된 픽실레이티드(pixilated) 또는 넌-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유닛(예를 들어, 단일 LED, LEDs 어레이(array),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디스플레이,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e-잉크 디스플레이를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접근 방식들에 따라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사용에 대한 사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디스플레이 유닛(16)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사용 정보의 예시적인 형태들이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된다.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표시기/시각적 피드백 표시기(28)가 제공되며,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의 외부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 구역이 보이고, 시각적 표시기(28)는 디바이스의 작동 또는 상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대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각적 피드백은 예를 들어, 시스템이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 선택된 작동 모드, 시스템에 남아 있는 충전량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양, 가열 요소의 온도, 또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에서 흡입하는 강도(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기유동 센서로부터 도출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서 퍼프 또는 세션(session) 전에, 중에 및/또는 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표시기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CD, LED, OLED, AMOLED, ELD, PDP, e-잉크 디스플레이,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각적 표시기(28)는 하나 이상의 LEDs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넌-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기(28)가 하나 이상의 LEDs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LED의 색상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LED 색상들 세트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 초과의 색상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LEDs가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GB LEDs가 사용될 수 있음). 본 명세서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표시기(28)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시각적 피드백 요소들로부터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 표면 상의, 하우징 표면 내의 또는 하우징 표면을 통해 보이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구역들로 시각적 피드백 신호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광 파이프, 광섬유 또는 다른 투명 또는 반투명 광 전송 요소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광 안내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22)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되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확립된 기술들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종래의 작동 기능들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회로부)(22)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작동의 상이한 양태들과 연관된 다양한 서브 유닛들/회로부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어기(22)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력 소스(26)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공급 제어 회로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구성 설정들(예를 들어, 사용자 규정된 전력 설정들)을 확립하기 위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부,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 및 사용자 입력 검출 회로부와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의 통상적인 작동 양태들 및 여기에 설명된 원칙들에 따른 다른 기능 유닛들/회로부 연관된 기능성을 포함한다. 제어기(22)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래머블 컴퓨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회로부/칩(들)/칩셋(chipset)(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어기(22)는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NFC)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과 스마트폰 또는 개인용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외부 컴퓨팅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연관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2)는 또한 데이터 저장 및 전송을 위한 확립된 기술들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요소들(예를 들어, ROM 또는 RAM 요소와 같은 메모리 요소)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은, 제어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기 입구(24)와 마우스피스(41) 사이의 공기유동 경로의 일부와 유체 연통하는 압력 센서 또는 유량 센서(예를 들어, 열선 풍속계)와 같은 공기유동 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유동 센서(30)는 공기 유입 채널(25) 또는 챔버(50)의 벽에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공기 유입 채널(25) 또는 챔버(50)에 의해 규정된 공기유동 경로의 일부 내로 또는 공기유동 경로의 일부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합된 공기유동 및 온도 센서가 사용되어 디바이스 내의 공기유동 경로의 일부에서 공기유동의 온도가 결정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기유동 센서(30)로부터의 신호가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에서 퍼핑하는 시기를 검출하기 위해 제어기(22)에 의해 사용된다는 점에서, 공기유동 센서는 소위 "퍼프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제어기(22)가 공기 입구(24)와 마우스피스(41) 사이의 공기유동 경로에서 압력 및/또는 유량을 나타내는 공기유동 센서(30)의 신호를 검출하고, 이것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보다 높거나 또는 낮다고 결정함에 의한) 사용자 퍼프의 검출은 에어로졸 생성기/가열기(48)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22)에 의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어기(22)는 적어도 제어기(22)에 의해 공기유동 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존하여 전력 소스(26)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 전기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공기유동 센서(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제어기(22)에 의해 만들어진, 공기유동 센서의 정전용량, 저항, 또는 다른 특성의 측정치를 포함할 수 있음)가 전력 소스(26)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22)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방식은 (예를 들어, 공기유동 센서(30)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바와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통한 공기유동의 특성들(예를 들어, 압력, 유량 및/또는 속도)에 비례하는 전력량을 에어로졸 생성기(48)에 제공함으로써)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접근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즉, 에어로졸 생성기(48)가 '퍼프 활성화됨')는 제어기(22)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기(48)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켜고 및/또는 끄기 위해 사용된다(예를 들어, 공기유동 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공기유동 파라미터 값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의 일 측인 경우 전력을 공급하고, 공기유동 파라미터 값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의 다른 측인 경우 전력을 공급하지 않음). 다른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에 대한 전력의 공급은 다른 수단을 통해 (예를 들어, 버튼(14)에 의해) 제어되며, 전력의 전달은 제어기(22)가 공기유동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정된다(예를 들어, 공기유동 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공기유동 파라미터에 비례하여 변조됨). 그러나, 공기유동 센서를 포함하는 것은 선택적이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공기유동 센서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에 대한 전력의 공급은 버튼(14)에 의해 켜지고 꺼질 수 있거나, 또는 버튼(14)에 의해 켜지고,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기(22)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기(48)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2)가 미리 결정된 입력 신호(예를 들어, 버튼(14)을 통해 공급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소모품 부분(4)을 챔버(50) 내에 삽입한 것을 적절한 센서를 통해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함)를 검출하면, 제어기는 배터리(26)로부터 에어로졸 생성기(48)로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하고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타이머의 경과 시간/활성화 지속시간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210 초)에 도달하면, 제어기(22)는 에어로졸 생성기(48)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주어진 전력 레벨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의 활성화 지속시간은 에어로졸 생성기(48)가 소모품 부분(4)에서 미리 규정된 양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48)를 에어로졸화/휘발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적절한 활성화 지속시간(즉, 에어로졸 생성기(48)가 활성화된 후 제어기(22)가 에어로졸 생성기(48)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시간)은 실험 또는 모델링을 사용하여 주어진 소모품 부분(4)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모품 부분(4)이 챔버(50) 내에 삽입되게 하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의 구멍(51)은 도어(door)(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으며, 이 도어는 폐쇄 포지션(position)과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여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소모품 부분(4)을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어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으며,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의 축을 따라 슬라이딩(slide)되거나 또는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또는 자석은 사용자가 도어를 어느 포지션으로든 슬라이딩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면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 포지션 중 어느 하나에 보유하기 위해 도어의 개방 및 폐쇄 포지션들로 편향시킬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은 전형적으로 소모품 챔버(50)의 가열 구역(53) 부근에 로케이팅(locate)된 에어로졸 생성기(48)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기는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소모품 부분(4)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요소 또는 장치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는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열 에너지를 가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들을 방출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가열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는 가열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기(48)는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진동, 증가된 압력, 또는 정전기 에너지 중 하나 이상에 노출시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휘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 디바이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의 부분들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및/또는 소모품 부분(4) 중 어느 하나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소모품 부분(4)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에어로졸 생성기(예를 들어, 가열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의 에어로졸 생성기(48)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은 소모품 부분(4)이 챔버(50) 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될 때 소모품 부분(4)의 에어로졸 생성기를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4) 내의 전력 소스(26) 및 제어기(22)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챔버(50)에 배치된 전기 접점들을 포함하는 전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음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기(48)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를 포함하는 소모품 부분(4)이 가열을 위해 삽입되는 챔버/수용 오목부(recess)(50)의 가열 구역(53)에 열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사용 중에 구성되는 중공 내부 가열 챔버를 갖는 원통형 튜브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열 요소는 챔버(50)를 포함하는 튜브의 일부를 직접 형성하거나, 또는 챔버(50)를 포함하는 튜브의 가열 구역(53)의 주위에 또는 근접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기/가열기(48)에 대한 상이한 배열들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열기(48)는 단일 가열 요소(예를 들어, 저항 트레이스(trace), 트랙(track) 및/또는 권선)를 포함하거나, 또는 챔버(50)의 종축에 대해 종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예를 들어, 방사상으로) 정렬된 복수의 가열 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기(48)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 각각은 그의 원주 주위에 환형 또는 관형이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 환형 또는 부분 관형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하는 내열 기판 상에 하나 이상의 저항 트랙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박막 가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당업계에 알려진 접근 방식들에 따라 가열기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열 발생 층들로 적층 및 소결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질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 세라믹들을 포함하는 세라믹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가열기 배열들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요소들, 적외선을 방출하여 가열하는 적외선 가열기 요소들, 또는 예를 들어 저항성 전기 권선에 의해 형성된 저항성 가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저항성 권선은 세라믹, 금속 또는 내열성 폴리머(polymer) 튜브 주위에 배치되거나, 또는 이러한 튜브 내에 매립될 수 있으며, 튜브는 챔버(50)의 가열 구역(53)을 포함하거나, 또는 가열 구역(53) 내의 캐비티(cavity) 내로 열을 방출하도록 그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배터리(26)는 가열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필요할 때 전기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 회로부(22)의 제어 하에 소모품(4)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가열한다(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태우지 않고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를 휘발시킴).
에어로졸 생성기/가열기(48)에 의해 소모품 부분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기화되는 속도는 에어로졸 생성기(48)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기(48)에 전기 전력이 인가되어 소모품(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선택적으로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어기(22)의 제어 하에, 예를 들어 펄스 폭 및/또는 주파수 변조 기술들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기(48)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속도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소모품 부분(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챔버(50)의 벽의 일부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된 열 전도성 튜브에 의해 지지되고 이를 둘러싸고 있다. 적어도 가열 요소(들)에 근접한 튜브의 부분은 챔버(50)의 가열 구역(53)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챔버(50)를 포함하는 튜브의 내부 직경은 튜브에 삽입될 소모품 부분(4)의 직경에 비례하여 크기가 결정된다. 튜브는 구멍(51)의 더 넓은 직경으로부터 구멍(51)에 대해 원위에 있는 챔버의 베이스의 더 좁은 직경으로 약간 테이퍼(taper)질 수 있으므로(도시되지 않음), 소모품 부분(4)이 챔버(50) 내로 슬라이딩될 때, 소모품 부분(4)이 챔버(50) 내로의 그의 이동의 끝에 도달하면 마우스피스(41)에 대한 원위의 단부가 약간 방사상으로 압축되어, 소모품 부분(4)이 챔버(50) 내에 부드럽게 보유되게 한다. 이러한 배열은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4)이 사용 중에 뒤집어지는 경우 소모품(4)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4) 외부로 뜻하지 않게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버(50)는 소모품 부분이 챔버(50) 내로 쉽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멍 단부에서 약간 플레어(flare)되거나 또는 챔퍼(chamfer)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50)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 부분(4)을 사용 중에 지지하기 위한 세장형 지지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열 구역(53) 내의 챔버(50)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소모품 부분(4)의 직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선택되어, 소모품 부분(4)의 외부 표면과 챔버(50)의 가열 구역(53)의 내부 표면의 상당 부분 사이의 접촉을 보장하여, 에어로졸 생성기(48)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로부터 소모품 부분(4)으로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에어로졸 생성기(48)가 가열기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챔버(50)의 가열 구역(53)을 포함하는 튜브는 가열기(48)로부터 소모품 부분(4)으로 열을 전달하는 재료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금, 철, 니켈, 코발트, 전도성 탄소, 흑연, 강철, 보통 탄소강, 연강,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 몰리브덴, 구리, 및 청동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챔버(50)의 가열 구역(53)을 구성하는 튜브의 섹션(section)은, 열 전도성이 있는 한,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가열 요소들(48)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48)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2) 내에 배치된 구동 코일(coil)들(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자기장 발생기들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노출될 때 유도를 통해 가열되는 서셉터(susceptor)(예를 들어, 챔버(50)를 포함하는 튜브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생성기(48)가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기(48)는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분포와 관련하여 치수가 결정되어, 소모품(4)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삽입될 때, 소모품 부분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실질적으로 전부가 사용 중에 가열될 수 있다(예를 들어, 소모품 부분(4)이 사용을 위해 챔버(50) 내에 수용될 때, 챔버(50)의 축을 따라 내려가는 가열 구역(53)의 종 방향 범위는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43)의 분포의 종 방향 범위와 일치할 수 있음).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선택된 존(zone)들이 (예를 들어, 가열 구역(53)을 포함하는 챔버(50)의 길이를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가열 요소들을 분배함으로써) 원하는 대로,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차례로 또는 함께 (동시에) 독립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언급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는 챔버(50)의 가열 구역(53)을 포함하거나, 가열 구역(53)에 매립되거나, 또는 가열 구역(53)을 둘러싸는 중공 원통형 튜브의 형태이다. 가열 구역(53)을 포함하는 튜브의 내부 부분에 의해 형성된 챔버는 전형적으로 (팽창 구역/챔버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챔버(50)의 비-가열 구역(52)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의 구멍(51)과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비-가열 구역(52)은, 구멍(51)에 인접하거나 또는 구멍을 포함하는 제1 개방 단부 및 챔버(50)의 가열 챔버 구역(53)에 인접하는 제2 개방 단부를 갖는 관형 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가열 구역(52) 및 가열 구역(53)은 종단 간 배열되는 챔버(50)의 관형 부분들로 간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팽창 구역(52) 및 가열 구역(53)의 직경은 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일치되어, 소모품 부분(4)의 비-마우스피스 단부가 비-가열 구역(52)을 통과하여 가열 구역(53) 내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챔버(50)를 포함하는 튜브의 비-가열/팽창 구역(52) 및 가열 구역(53)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기계적 결합 프로세스들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열 구역(52)은 구멍(51) 상으로 개방됨에 따라 넓어지는 플레어 섹션(도시되지 않음), 및 가열 구역(53)과의 인터페이스에 근접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내부 직경의 섹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모품 부분(4)은, 소모품 부분(4)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삽입될 때 챔버(50)의 가열 구역(53) 내에 있는 소모품 부분(4)의 섹션에서, 마우스피스(41)에 대한 원위 단부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를 갖거나 또는 포함하는 원통형 로드(rod)의 형태이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소모품 부분(4)은 직경이 약 8 mm이고 길이가 약 84 mm이다.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챔버(50)의 깊이는,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 단부(41)가 전형적으로 소모품 부분(4)이 사용을 위해 챔버(50) 내로 삽입될 때 구멍으로부터 (예를 들어, 10 mm, 20 mm, 30 mm 또는 30 mm 초과만큼) 연장되도록 소모품 부분(4)의 길이에 대해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 단부는 전형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으로부터, 구멍(51) 밖으로 연장된다. 소모품 부분(4)은 마우스피스(41)와 에어로졸 생성 재료(43)의 구역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로졸을 필터링/냉각하기 위한 필터/냉각 요소(44)를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 부분(4)은 전형적으로, 종이 재료, 및/또는 금속 포일(foil), 및/또는 Natureflex(TM)와 같은 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는 래퍼/외부 층(도시되지 않음)으로 원주 방향으로 감싸진다. 소모품 부분(4)의 외부 층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로부터 가열된 휘발된 일부 성분들이 마우스피스(41)에 도달하기 전에 소모품 부분(2)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래퍼는, 유도 가열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를 가열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의 하나 이상의 자기장 발생기들/구동 코일들(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유도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3) 부근에 있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는 소모품(4)의 금속 래퍼의 유도 가열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자기장 발생기들/구동 코일들, 및/또는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43) 내에 매립된 하나 이상의 서셉터 요소들을 포함하여,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를 가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소모품 부분(4)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당업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접근 방식들에 따라 소모품 부분의 전체 구조를 수정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8)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제시되는 가열을 위한 접근 방식들에 따라) 소모품 부분(4) 내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및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제시되는 접근 방식들에 따라) 소모품 부분(4)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셉터 요소를 유도 가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 발생기/구동 코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는 복수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제1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에어로졸 생성기(48)로부터 소모품 부분(4) 내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고, 그 중 적어도 제2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소모품(4) 내에 또는 소모품(4)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셉터들에 의해 가열된다.
에어로졸 생성기(48)가 소모품 부분(4)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기(48)의 일부, 및/또는 챔버(50)의 가열 구역(53), 또는 소모품 부분(4), 또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임의의 부분의 온도가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들을 사용하여 제어기(2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기(48)에 포함된 가열 요소는 온도에 따라 그의 저항이 변화하도록 저항 온도 계수 특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2)는 알려진 접근 방식들을 통해 가열 요소의 저항을 결정하고, 측정된 저항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기(48)의 온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 결과를 실험 또는 가열 요소 저항과 온도를 링크하는 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과 비교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서미스터(thermistor)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온도 감지 요소들은 가열 구역(53) 부근에 포지셔닝(position)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챔버(50)의 가열 구역(53)을 포함하는 튜브에 부착되거나 또는 매립됨), 상기 서미스터들은 제어기(22)에 연결되어 제어기가 소모품 부분(4) 및/또는 가열 구역(53)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공기 유입 채널(25)의 공기의 온도는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들(예를 들어, 조합된 온도 및 압력 센서 또는 서미스터)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가열기(48)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43)의 가열에 의해 생성된 가열된 휘발된 성분들에 대한 주 흐름 경로는 축 방향으로 소모품 부분(4)을 통과하고, 필터/냉각 요소(44(포함되는 경우))를 통과하며, 마우스피스(41)의 개방 단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 안으로 향한다. 그러나, 휘발된 성분들 중 일부는 소모품 부분(4)으로부터 그의 투과성 외부 래퍼를 통해 그리고 비-가열 챔버 구역(52)에서 소모품 부분(4)을 둘러싸는 공간(예를 들어, 비-가열/팽창 챔버 구역(53)의 플레어 부분에 있는 챔버(50)의 내부 표면과 소모품(4)의 외부 표면 사이에 선택적인 갭(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로 빠져나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라는 용어는 전형적으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의 형태의, 가열 시 휘발된 성분들을 제공하는 재료들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담배를 포함하지 않는 재료 또는 담배를 포함하는 재료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자체, 담배 파생품들, 팽화 담배, 재구성 담배, 담배 추출물, 균질화된 담배 또는 담배 대용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분쇄 담배, 각초 담배, 압출 담배, 재구성 담배, 재생 에어로졸 생성 재료, 액체, 겔, 비정질 고체, 겔 시트, 분말, 또는 응집물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또한 담배가 아닌 다른 제품들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 니코틴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아세틴,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하나 이상의 보습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43)는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대안적으로 "모놀리식 고체"(즉, 비섬유질), 또는 "건조 겔"로 지칭될 수도 있다. 비정질 고체는 액체와 같은 일부 유체를 그 안에 보유할 수 있는 고체 재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비정질 고체의 약 50 wt%, 60 wt% 또는 70 wt% 내지 비정질 고체의 약 90 wt%, 95 wt% 또는 100 wt%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비정질 고체로 구성되기도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비-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이고,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은 비-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한 것이다.
소모품 부분(4)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휘발성 성분(들)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가 소진되면, 사용자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1)에서 소모품 부분(4)을 제거하고 소모품 부분(4)을 폐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을 다른 소모품 부분(4)과 함께 재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개개의 실시예들에서, 소모품 부분(4) 및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휘발성 성분(들)이 소비된 후에 함께 폐기될 수 있다. 소모품 부분(4)은 단일 가열 사이클(예를 들어, 210 초의 활성화 지속시간)에 걸쳐 가열 및 소진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3)의 양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가열 사이클들에 걸쳐 소진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3)의 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소모품 부분(4)은 재사용 가능한 소모품 부분(4)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모품 부분(4)은 소모품 부분(4)을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과는 별도로 판매되거나, 공급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및 소모품 부분들(4) 중 하나 이상은 키트 또는 조립체와 같은 시스템으로서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세정 도구들과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기(22)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피드백 메커니즘들/표시기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1)의 상태 또는 사용에 대한 복수의 클래스(class)들의 정보가 존재한다. 이러한 정보는 '피드백' 또는 '사용 정보'로 불릴 수 있으며, 시각적 표시기(28)(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됨), 디스플레이 유닛(16), 청각적 피드백 메커니즘(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또는 햅틱 피드백 메커니즘(예를 들어, 편심 회전-질량 액추에이터)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햅틱 피드백 메커니즘들/표시기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피드백/사용 정보는 정보의 클래스들의 불-완전한 목록 중 임의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 배터리의 잔여 에너지(예를 들어, 완전 충전 시 배터리에 포함된 에너지의 백분율로 나타내어짐), 배터리의 출력 전압, 재충전 사이클들의 수, 배터리의 온도, 배터리(26)가 충전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 예를 들어, 완전 충전의 75 %, 50 %, 40 %, 30 %, 20 %, 10 % 또는 5 % 미만인지 여부, 최대 출력 전력, 배터리가 고갈될 때까지 남아있는 가열 사이클들의 수, 또는 배터리 내의 오류 상태의 표시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예를 들어 배터리(26)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들로 배터리(26)에 연결된 제어기(22)에 의해 결정 및/또는 추정될 수 있다.
· 퍼프 또는 세션 길이, 또는 퍼프 강도 또는 지속시간, 예를 들어, 사용자 흡입 중의 압력 강하, 사용자 흡입 중의 공기 유량 또는 공기유동 속도, 공기 입구(24)와 마우스피스(41) 사이의 공기유동 경로 일부에서의 공기 온도, 또는 사용자 퍼프의 경과 시간 또는 총 지속시간의 표시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공기유동과 관련된 정보. 이러한 정보는 공기유동 센서(3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어기(22)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들로 공기유동 센서(30)에 연결된 제어기(22)에 의해 결정 및/또는 추정될 수 있다.
· 현재 에어로졸 생성 요소(48)에 전달되고 있거나, 또는 이전 가열 사이클 동안 전달된 실제 전력의 표시; 현재 전력 설정(예를 들어, 기본값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제어기(22)에 저장되어, 다가오는 가열 사이클에서 에어로졸 생성 요소(48)에 적용되는 전력 레벨); 에어로졸 생성 요소(48)의 오류 상태의 표시; 에어로졸 생성 요소(48)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의 이진 표시; 또는 에어로졸 생성 요소(48)를 포함하는 가열기의 온도의 표시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에어로졸 생성 요소(48)의 작동 및 상태와 관련된 정보.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당업계에 알려진 기술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들로 에어로졸 생성 요소(48)에 연결된 제어기(22)에 의해 결정 및/또는 추정될 수 있다.
· 미리 규정된 시간 기간 내의 퍼프들의 횟수, 미리 규정된 시간 기간 내의 세션들의 횟수, 평균 퍼프 또는 세션 길이, 평균 퍼프 강도 또는 지속시간의 표시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 통계와 관련된 정보.
일반적으로, 피드백/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값들은 제어기(22)에 의해 시각적 표시기(28) 상에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현으로 변환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피드백/사용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표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값은 절대값으로 표현하거나, 또는 미리 규정된 범위에 대한 값의 포지션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기(48)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접근 방식들에 따라 제어기(22)에 의해 측정되는 가열 요소의 온도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200 ℃와 같은 절대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값은 또한 미리 규정된 값들 범위 내의 포지션으로 표현될 수도 있으므로, 예를 들어, 200 ℃는 150 ℃ 내지 250 ℃의 범위 사이의 중간, 또는 125 ℃ 내지 225 ℃ 범위 사이의 4 분의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의 예의 표현은 '1/2' 또는 '50 %' 또는 (50/100) 형식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고, 후자의 예의 표현은 '3/4' 또는 '75 %' 또는 (75/100) 형식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범위들은 또한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하나 이상의 클래스들에 매핑(map)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낮음'은 50<t≤150 ℃의 가열 요소 온도들(t)의 클래스로 규정될 수 있고, '중간'은 150<t≤250 ℃의 온도들의 클래스로 규정될 수 있으며, '높음'은 250<t≤350 ℃의 온도들의 클래스로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서, 제어기(22)에 의해 검출된 t=200 ℃의 온도는 제어기(22)에 의해 '중간' 클래스에 매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값은 미리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또는 미리 규정된 임계값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2 개의 클래스들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으며, 값에 대한 이진 분류(예를 들어, '1' 또는 '0', '켜짐' 또는 '꺼짐', 또는 '예' 또는 '아니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과 연관된 온도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는 사용 정보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것들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임의의 다른 형태의 사용 정보의 표현을 위해 유사한 접근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값은 하나 이상의 시각적 표현들을 사용하여 시각적 표시기(28)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구역을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기 상에서, 파라미터 값은 (예를 들어, 픽셀들의 어레이 상에 온도를 '200 ℃'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영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값 또는 값들의 클래스는 또한 (예를 들어, 미리 규정된 값들/클래스들 범위 내의 값들/클래스들에 색상들의 범위를 매핑하는 컬러맵을 사용하여) 미리 규정된 매핑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색상들에 할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래스들의 세트 각각에 고유한 색상이 할당될 수 있다(예를 들어, '낮음'에 대해 녹색, '중간'에 대해 주황색, '높음'에 대해 빨간색이 할당됨). 2 개의 클래스들만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파라미터 값이 속하는 클래스는 간단한 이진 표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기(28)가 하나 이상의 조명 요소들(예를 들어, 백라이트 LCD 디스플레이, 또는 하나 이상의 LEDs)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시각적 표시기(28)는 파라미터 값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초과인 경우 제어기(22)에 의해 조명되고, 파라미터 값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어기(22)에 의해 조명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파라미터 값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초과인 경우 디스플레이는 제1 색상을 나타내도록 제어되고, 파라미터 값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2 색상을 나타내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값 및/또는 값들의 클래스는 시각적 표시기(28)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패턴(pattern)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값 및/또는 값들의 범위는 시각적 피드백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밝기 및/또는 색상이 변조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에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낮음' 클래스는 3 Hz의 주파수에서 '온' 펄스(pulse)들의 패턴에 매핑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중간' 클래스는 6 Hz의 주파수에서 동일한 지속시간의 '온' 펄스들의 패턴에 매핑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높음' 클래스는 6 Hz의 주파수에서 동일한 지속시간의 '온' 펄스들의 패턴에 매핑될 수 있다. 각각의 '온' 펄스는 제어기(22)가 특정 펄스 지속시간 동안(예를 들어, 0.1 초 동안 단색 표시를 나타냄) 디스플레이 구역(281)에 미리 결정된 형태의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시각적 표시기(28)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각적 표시기(28)는 펄스들 사이에 상기 미리 결정된 형태의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281)은 온 펄스들 동안에는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되고 '온' 펄스들 사이에서는 광을 방출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음).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파라미터 값에 대한 값 또는 클래스와 연관된 패턴은 각각의 '온' 펄스 동안의 제1 색상과 '온' 펄스들 사이에서의 제2 색상 사이에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각각의 '온' 펄스 동안의 제1 밝기/광도와 '온' 펄스들 사이에서의 제2 더 낮은 밝기/광도 사이에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펄스 주파수들은 디스플레이될 사용 정보/피드백 파라미터에 대해 상이한 범위들에 매핑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복수의 클래스들 각각에 상이한 펄스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음), 또는 펄스 주파수는, f = x*c와 같은 함수에 따라, 파라미터 값이 변화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어기(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여기서 f는 펄스 주파수이고, x는 디스플레이될 파라미터의 값이고, c는 스케일링 상수(scaling constant)이다. 펄스 '온' 시간은 미리 결정된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파라미터 x의 함수로서 스케일링될 수도 있다.
색상들 및/또는 이진 표시들(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조명함 또는 조명하지 않음)의 사용, 및/또는 파라미터 값을 나타내는 시간적 조명 패턴들의 사용은, (예를 들어, 단일 LED와 같은 넌-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광 파이프와 같은) 영숫자 디스플레이를 허용하지 않는 시각적 표시기(28)를 통해 파라미터가 표시되도록 허용하는 데 특히 유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파라미터 값들의 영숫자 디스플레이, 값을 나타내는 색상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값을 나타내는 이진 표시, 및/또는 시간 디스플레이를 허용하는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상에서, 영숫자 표현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패턴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구성들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과 연관된 시각적 표시기(28)의 배치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소모품 부분(4)이 수용되는 구멍(51) 주위로 배열되는/이 구멍(51)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구역(281)을 갖는 시각적 표시기/시각적 피드백 표시기(28)를 제공하는 것이 시각적 표시기(28)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 정보의 가시성 측면에서 특정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인식했다.
도 2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좌측 상부 부분에 대응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2는 소모품 부분(4)이 그 안으로 수용되는 구멍(51)이 배치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하우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소모품 부분(4)이 챔버(50) 내로 수용될 때 구멍(51)으로부터 연장되는 소모품 부분(4)의 일부가 해치 선들을 사용하여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구멍(51)을 둘러싸고 있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의 표면 구역(29)이 도시되어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구멍(51)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외부 하우징 상의 임의의 적절한 로케이션(location)에 배치될 수 있고, 구멍(51)을 둘러싸는 표면 구역(29)은 평평하거나 또는 곡선형이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많은 실시예들에서, 구멍을 둘러싸는 하우징의 표면 구역(29)은 소모품 챔버(50)의 장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어,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에서 퍼프를 취하기 위해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41)를 가장 상단에 두고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을 잡고 있을 때 사용자에게 보이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의 마우스피스 '단부'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은 구멍(51)을 둘러싸는 표면 구역(29)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장축에 수직으로 배향된 직사각형 표면 구역을 포함하도록 세장형 '박스'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표면 구역(29)을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은 원형, 타원형, 다면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으로,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은, 소모품 부분(4)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챔버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하우징의 표면을 포함할 것이고, 및/또는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은 소모품 부분(4)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하우징의 표면을 포함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29)의 외부 둘레는 그 길이의 상당 비율을 따라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할 것이다.
도 2는 구멍(51) 주위에 배열된 시각적 표시기(28)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각적 표시기(28)는,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고 제어기(22)의 제어 하에 시각적 피드백/사용 정보(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 정보의 표현)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역(281)을 포함한다.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구역(281)(그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에게 조명 신호와 같은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주변 표면 구역(29)의 표면 프로파일과 연속적일 수 있거나, 또는 그 내부로 오목부될 수 있거나, 또는 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변 표면 구역(29) 부근의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은, 시각적 피드백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281)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하우징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볼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의 반투명 또는 투명 부분은 시각적 표시기(28)의 가시적/디스플레이 부분(281)과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적 표시기의 '가시적 부분' 또는 '디스플레이 구역'은 사용자에게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구역을 포함하며,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구역, 및/또는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표면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시각적 표시기(28)의 가시적 부분/디스플레이 구역(281)(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구멍(51)을 둘러싸는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 구역(29)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구역(281)은 전형적으로 챔버(50)의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어, 사용자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를 챔버(50)의 축을 따라 바라볼 때 시각적 표시기(28) 상에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볼 수 있게 한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에서, 구멍(51)은 원형이고,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구역(281)은 구멍(51)을 완전히 둘러싸는 환형 형상(즉, 구멍 주위로 연속적으로 연장됨)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역(281)은 (시각적 표시기(28)가 구멍(51)을 에워싸는 폐쇄형 루프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구역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전형적으로 구멍을 중심으로 연속적일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들에서 그렇지는 않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는 구멍(51)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되고/구멍(51)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역(281)은 구멍(29)을 둘러싸고 있는 표면 구역(29)의 윤곽들을 따를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281)은 재사용 가능한 부분의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구멍(51)은 원형이지만, 다른 경우들에서 구멍(51)은 다른 형상들(예를 들어,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면체)을 포함할 수 있고, 구멍(51)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구역(281)의 적어도 내부 경계는 이에 연속되거나 또는 환형 하우징부에 의해 이로부터 이격되어 구멍(51)의 형상을 밀접하게 따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구역(281)의 내부 및 외부 경계들은 동일한 프로파일을 따를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에서, 표면 구역(29)의 평면에서 구멍(51)에 대해 규정된 내부 및 외부 경계들은 모두 원형이며, 표면 구역(29)의 평면에서 일정한 반경 방향 두께를 갖는 환형 2D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함).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역(281)의 내부 및 외부 경계들은 상이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경계는 원형일 수 있고, 구멍(51)과 연속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으며, 외부 경계는 직사각형일 수 있고, 챔버(50)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2)의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29)의 면적 범위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기(28)는 다양한 방식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기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e-잉크 디스플레이,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구역(2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각적 표시기는 하나 이상의 조명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픽실레이티드 LED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음), 또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구역(28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외부 조명에 의존할 수 있다(일부 e-잉크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경우와 같음). 전자의 클래스의 시각적 표시기들은 '능동 조명' 시각적 표시기들로 간주될 수 있고, 후자의 클래스의 시각적 표시기들은 '수동' 시각적 표시기들로 간주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멍(51)을 중심으로 배열된 피드백 메커니즘의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선택적으로 제어기(22)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챔버(50)의 종 방향 축에 평행하게 볼 때 구멍(51) 주위에 배열된 예시적인 시각적 표시기(28)의 가시적인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는 환형 형태를 취하며, 이 환형 형태는 4 개의 사분면들/디스플레이 구역들(281A, 281B, 281C 및 281D)로 세분화되고, 이 구역들 각각은 디스플레이의 원주 주위의 약 90 도 범위를 커버한다. 사분면들은 구멍 주위로 서로 연속되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다. 4 개의 사분면들 각각은 제어기(22)에 의해 개별적으로 활성화되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접근 방식들에 따라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치 화살표 방향으로) 연속적인 사분면들/디스플레이 구역들(281A 내지 281D)의 활성화 및/또는 조명은 각각의 사분면/디스플레이 구역과,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과 연관된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파라미터에 대한 미리 규정된 값들 범위 사이의 매핑에 기초하여,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의 값을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 정보가 미리 규정된 지속시간 T 초의 가열 사이클에서 경과된 시간(t)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기(22)는 t≤(T/4)일 때 사분면(281A)만을 조명하고, (T/4)<t≤(T/2)일 때 사분면들(281A 및 281B)을 조명하고, (T/2)<t≤(2T/3)일 때 사분면들(281A, 281B, 281C)을 조명하고, (T2/3)<t일 때 사분면들(281A, 281B, 281C 및 281D)을 조명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사용과 연관된 임의의 다른 파라미터(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온도, 유량, 또는 전력 레벨)를 디스플레이하는 데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는 4 개의 사분면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원칙적으로 시각적 표시기는 임의의 개수의 개별 디스플레이 구역들로 세분화되어 미리 규정된 값들 범위에 대해 각각 파라미터 값의 디스플레이에 더 미세한 세분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어진 파라미터에 대한 미리 규정된 값들 범위(예를 들어,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로 규정됨)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속되고 겹치지 않는 클래스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클래스들의 개수는 시각적 표시기에서 사용 가능한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개별 디스플레이 구역들(281)의 개수와 동일하다. 이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주어진 클래스에 할당될 수 있으므로, 순차적인 하위 범위들을 나타내는 클래스들이 구멍(51) 주위의 순차적인 포지션들에서 개별 디스플레이 구역들(281)에 매핑된다. 시각적 표시기(28) 상에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 값의 주어진 현재 값에 대해, 제어기(22)는 먼저 파라미터 값이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지를 결정한 다음, 상기 클래스에 대응하는 개별 디스플레이 구역을 활성화하고, 선택적으로 주어진 현재 값 미만의 값들 범위를 커버하는 모든 클래스들에 대응하는 모든 개별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의 '활성화'는 (파라미터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역(281)을 조명하는 것 또는 조명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진 표시, 상이한 파라미터 값들에 대한 상이한 색상들의 미리 규정된 매핑에 기초한 특정 색상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파라미터 값의 함수인 변조 주파수로 디스플레이 구역(281) 상에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밝기 및/또는 색상을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여, 사용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접근 방식들 중 임의의 접근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와 유사하며 도 2로부터 이해될 것이고, 시각적 표시기(28)가 구멍(51)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내지 288)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구멍(51) 주위로 원형 경로를 따라 분포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28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멍(51) 주위에 배열되고/그 주위로 연장된다.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내지 288) 각각은 그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구역들에 연속되어, 시각적 표시기(28)는 구멍(51) 주위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들이 놓여있는 경로 주위로 이격되어 복수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1 mm, 2 mm, 3 mm, 4 mm, 5 mm, 또는 5 mm 초과만큼 이격됨).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내지 288)은 구멍(51)의 림(rim)과 연속되거나, 또는 구멍(51)의 에지(edge)로부터 특정 거리(예를 들어, 1 mm, 2 mm, 3 mm, 4 mm, 5 mm, 또는 5 mm 초과)만큼 방사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28)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내지 288)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디스플레이 구역들 각각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하우징에 매립되거나 또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LED를 포함하고, LEDs로부터의 광은 외부 하우징의 홀(hole)들 또는 외부 하우징을 통과하는 광 파이프들 또는 광섬유 요소들과 같은 광 전송 요소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송되며,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표면(29) 상에 보이는 광 전송 요소들의 부분들은 구멍(51) 주위에 배열된다.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가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내지 288)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기(22)는 도 3에 개략적으로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접근 방식을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의 디스플레이는 비-연속적인 방식으로 구멍(51) 주위에 배열되고/구멍(51) 주위로 연장된다. 도 4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내지 288)을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기(28)를 도시하는데, 이들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구멍을 중심으로 연속적인 경로 상에 배열되지만, 이로써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하우징의 부분들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인접한 디스플레이 구역들로부터 분리하여,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가 제어기(22)에 의해 시각적 피드백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표면(29)의 구역들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구별되는 가시적/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포함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4로부터 인식되는 도 5는 또한 구멍(51) 주위에서 비-연속적인 시각적 표시기(28)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시각적 표시기(2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이 아닌, 단일의 연속적인 디스플레이 구역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각적 표시기(28)의 가시적 디스플레이 구역은 컷아웃(cutout)(290)(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외부 하우징의 비-디스플레이 부분)이 환형 디스플레이 부분의 원주 주위로 일정 각도 범위로 연장되는 환형 디스플레이 부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컷아웃은 시각적 표시기(28)의 환형 디스플레이 부분의 원주 주위의 각도 범위의 50 % 미만을 차지할 것이지만, 그러나 임의의 적절한 값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구멍(51) 주위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는 구멍(51) 주위의 경로 주위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구역들(281)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는 구멍 주위의 각도 범위의 ≥ π 라디안(radian) 주위로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시각적 표시기들(28)은 원형 내부 및 외부 경계들을 갖는 환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멍(51)을 중심으로 배열된 시각적 표시기/디스플레이는 다른 기하학적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는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다른 다면체 프로파일을 갖는 구멍(51) 주위의 개념적 경로를 따라 연속적인 방식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는 자유 프로파일을 갖는 구멍(51) 주위의 개념적 경로를 따라 연속적인 방식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28)는 제어기(22)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2 개의 동심원으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포함하며, 제어기(22)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구역 상의 시각적 피드백/사용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정보의 상이한 인스턴스(instance)들(예를 들어,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값들의 상이한 표현들)이 제어기(22)에 의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구역 상에 동시에 또는 엇갈리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2 개 이상의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 정보는 동일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도 2로부터 인식되는 도 6은 구멍(5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시각적 표시기가 구멍 주위로 배열되는/구멍 주위로 연장되는 2 개의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282)을 포함한다. 2 개의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282)은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접근 방식들 중 임의의 접근 방식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예를 들어, 각각은 단일의 연속적인 디스플레이 구역, 또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구역(281, 28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51)을 중심으로 연속적이거나,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51)을 중심으로 비-연속적일 수 있음). 제1 디스플레이 구역(281)은 구멍(51) 주위의 제1 경로 주위로 배열되고(즉, 구멍(51) 주위로 연장됨), 제2 디스플레이 구역(282)은 구멍(51) 주위의 제2 경로 주위로 배열되고(즉, 구멍(51) 주위로 연장됨), 제2 경로는 제1 경로로부터 외측으로 놓인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및 제2 경로들은 원형이고,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은 모두 환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각적 표시기(28)의 복수의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 각각은 상이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부분들(281 및 282)의 내부 및 외부 경계들은 상이한 형상의 경로들을 따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28)의 제1 디스플레이 구역(281)(즉, 구멍(51)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구역)은 원형 환부(annulus)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구역(282)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외부 경계 및 원형 내부 경계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의 나머지 표면 구역(29)의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282)의 내부 경계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281)의 외부 경계와 연속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282)의 내부 경계와 제1 디스플레이 부분(281)의 외부 경계 사이에 배치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의 비-디스플레이 구역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2 개의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을 갖는 시각적 표시기(28)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을 통한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7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배열을 통한 단면을 도시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7은 챔버(50)의 축을 따라 내려온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구멍(51) 주위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을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기(28)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은 모두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표면을 갖는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스크린(screen)들(예를 들어, LCD 스크린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은 모두 제어기(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제어기(22)는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원칙들에 따라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그러나, 시각적 표시기(28)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282) 각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픽실레이티드 또는 넌-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기술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표시기(28)의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282)은 모두 환형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으며,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광범위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방식으로 챔버(50)의 구멍(51) 주위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시각적 표시기(28)는 제1 디스플레이 구역(281)을 통한 구멍의 직경이 (예를 들어, 튜브(54)의 마우스피스 단부에서) 개구부(51) 부근의 챔버(50)의 일부를 포함하는 튜브(54)의 외부 직경과 밀접하게 일치하도록(예를 들어, 이에 대한 슬라이딩 또는 헐거운 끼워맞춤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제2 디스플레이 구역(282)은 제2 디스플레이 구역(282)의 내부 직경이 제1 디스플레이 구역(282)의 외부 직경과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구멍(51) 및 제1 디스플레이 구역(281) 둘 모두의 주위에 배열된다. 따라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조립 중에, 시각적 표시기(28)는 챔버(50)의 일부를 포함하는 튜브(54)의 마우스피스 단부 위로 슬리브(sleeve)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외부 하우징은 전형적으로, 시각적 표시기(28)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장착될 때,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의 외부 표면들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의 표면 구역(29)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시각적 표시기(28)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구멍(51) 주위의 오목부된 채널, 또는 구멍(51) 주위의 컷어웨이(cutaway)로 형성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시각적 표시기(28)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의 외부 표면들은 또한 서로 동일 평면일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의 외부 표면들은, 이것들이 사용자에게 보이는 경우, 주변 표면(29)으로부터 연장되거나, 또는 그 안으로 오목부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역이 다른 디스플레이 구역 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네스티드(nested) 디스플레이 구역들이다.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은 서로 또는 구멍(51)과 연속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은, 그 사이에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하우징의 비-디스플레이 구역들을 삽입함으로써, 구멍(51)의 림으로부터, 그리고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7에는 2 개의 동심/네스티드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을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기(28)가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개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시각적 피드백 표시기(28)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광 안내 배열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광 안내 요소들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발광 요소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LEDs)로부터,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상에서 보이고 구멍(51) 주위에 배열된 디스플레이 부분/구역으로 광을 안내하도록 배열된다. 도 8은 도 7로부터 인식될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을 통한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시각적 표시기(28)의 제1 디스플레이 구역(281)이 도 7에서와 같이 구멍(51) 주위에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표시기(28)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 내의 조명 요소(2811)로부터,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표면 상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구역(281)으로 광 신호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환형 튜브의 형태로 배열된 제1 광 안내부를 포함한다. 광 안내부의 단부면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구역(281)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조명 요소(2811)(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LEDs)는 제어기(22)의 일부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PCB)(221) 상에 배치된다.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 시각적 표시기(28)의 부분은, 예를 들어, 조명 요소(2811)가 수용되는 오목부를 갖는 시각적 표시기(28)를 제공하고 상기 오목부는 조명 요소로부터 광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 표면, 및 PCB의 표면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접착 결합될 수 있는 오목부 주위의 정합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PCB(221) 상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조명 요소들(2811)이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이한 컬러 LEDs(또는 하나 이상의 RGB LEDs)와 같이, 시각적 표시기(28)에 의해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색상이 제어기(22)에 의해 변조될 수 있게 한다. 시각적 표시기(28)의 하나 이상의 광 전송 부분들/광 안내부들 각각은 폴리머(polymer) 또는 유리 재료와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를 포함하며, 이 재료를 통해 광이 조명 요소(2811)와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광 안내부의 외부 벽의 부분들은 조명 요소(들)(2811)로부터 디스플레이 구역(281)으로 광을 안내하기 위해 각질 수 있고/챔퍼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수광 표면 및 디스플레이 표면을 제외한 광 안내부의 표면들은 광 안내부 내에서 광의 반사를 촉진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조명 요소(들)(2811)와 구멍(51) 주위의 디스플레이 구역 사이의 시각적 표시기(28) 내의 경로(들)를 따라 광의 전체 내부 반사를 촉진하기 위해 공기 및/또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주변 재료들(예를 들어, 하우징 재료)에 대한 광 안내부의 굴절률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구역(281) 및 수광 표면을 제외한 모든 외부 표면들 상에 연마 및/또는 반사 코팅(예를 들어, 금속 코팅)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광 안내부의 표면 처리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기(28)의 광 안내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조명 요소(2811)로부터 수신된 광을 확산/산란시키기 위해 반투명일 수 있다. 광 파이프/광 안내부를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기(28)는 제어기(22)에 포함된 PCB(221)에 기계적으로 클램핑(clamp)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고, 및/또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하우징의 일부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및/또는 챔버(50)의 일부를 포함하는 튜브(54)의 일부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의 포지션에 하나 이상의 시각적 표시기들을 부착하기 위해 광범위한 기계적 고정, 접착제 결합, 열 용접 및 다른 고정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시각적 표시기(28)는 챔버(50)의 일부를 포함하는 튜브(54) 주위에 배열되어, 시각적 표시기의 적어도 디스플레이 구역(281)이 구멍(51) 주위에 배열되도록 한다. 도 8은 시각적 표시기(28)에 포함되는 선택적 제2 광 안내부를 추가로 도시하는데, 이는 제1 광 안내부와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제1 광 안내부와 동심원으로 배열되어, 두 개의 광 안내부들이 구멍(51) 주위에 배열된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을 포함하도록 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에서, 두 개의 광 안내부들은, 제1 광 안내부(해칭으로 표시됨)가 구멍(51)에 근접한 챔버(50)의 일부를 포함하는 튜브(54) 위로 슬리브되고 제2 광 안내부(점들로 표시됨)가 제1 시각적 광 안내부 위로 슬리브되도록 크기가 결정된 원형 단면의 튜브들을 포함하는 광 전송 구역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광 안내부들은, 하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하나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네스티드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을 제공하는 네스티드 광 안내부들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은 임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또한 챔버(50)의 방향으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로 연장되는 시각적 표시기의 광 안내부 부분의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역이 주위에 배열되는 구멍(51)에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구역(281)은 구멍(5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구역(281)은 구멍 림과 연속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구역(281)의 내부 에지가 사실상 구멍(51)의 둘레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광 안내부들/파이프들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또는 수지 성형 기술을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2 개 이상의 광 안내부들 각각 사이에 그 사이의 광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 재료 층이 배치될 수 있다. 단일의 광 안내부 내에서, 반사 및/또는 불투명 재료의 층들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조명 요소(들)(2821) 사이의 광 경로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 중에 광 안내부 내로 이들을 공동 성형함으로써) 이러한 층들을 제공하면 광 안내부가 개별적인 광 전송 구역들로 세그먼트화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조명 요소(들)(2821)의 복수의 하위 세트들 각각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 각각 사이에 별도의 광 경로가 규정된다. 따라서, 일 예에서, 광 안내부가 환형 단면의 관형 광 전송 구역을 포함하고, 단부면이 환형 디스플레이 구역을 포함하는 경우, 광 전송 구역은 튜브 중심선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광 전송 구역의 내부로부터 외부 환형 표면들로 방사상으로 반사/불투명 층들을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세그먼트화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안내부의 관형 광 전송 구역의 횡단면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배열과 유사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복수의 개별 사분면들/디스플레이 구역들이 규정된다. 하나 이상의 LEDs와 같은 별도의 조명 요소(또는 복수의 조명 요소들)를 (예를 들어, 조명 요소들 및 광 안내부를 PCB(221)에 장착함으로써, 또는 광 안내부에 조명 요소(들)를 매립하거나, 또는 광 안내부의 표면 상에 배치된 오목부들에 조명 요소(들)를 수용함으로써) 개별 광 전송 구역들 각각과 광 통신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제어기(22)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접근 방식들에 따라 시각적 피드백 요소(281)의 디스플레이 구역 상에 사용 정보를 나타내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패턴들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개별 광 전송 구역을 독립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모품 부분(4)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과 연관된 시각적 표시기(28)에 의해 방출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수정하는 구역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소모품 부분(4)에는, 소모품 부분(4)이 사용을 위해 내부로 수용되는 구멍(51) 주위에 배열된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방출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반사하는 반사 표면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도 8로부터 인식될 것이며, 광 안내부를 포함하는 단일의 시각적 표시기(28)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챔버(50)의 구멍(51) 주위에 제공되는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에서, 시각적 표시기(28)의 광 전송 튜브 부분(61)의 내부 직경은 챔버(50)의 마우스피스 단부를 포함하는 튜브(54)의 외부 직경에 꼭 끼워맞춤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소모품 부분(4)이 구멍(51)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며, 소모품 부분(4)이 사용을 위해 챔버(50) 내로 삽입될 때 구멍(51)으로부터 연장되는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 단부 상의 소모품 부분(4)의 표면에 배열된 외부, 광 수정 구역(4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품 부분(4)이 사용을 위해 챔버(50) 내로 삽입될 때, 광 수정 구역(44)은 챔버(50) 내부의 일부로부터 소모품 부분의 마우스피스(4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발광 요소(2811)에 의해 방출된 광은 시각적 피드백 요소(281) 내의 하나 이상의 경로들을 따라 반사되고/전송되고/확산된다. 광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소모품 부분(4)의 외부 표면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경로들(62)을 따라 시각적 피드백 요소의 디스플레이 표면/구역으로부터 시각적 피드백으로 방출된다. 경로들(62)을 따라 입사된 광 신호는 광 수정 구역(44)과 상호 작용하여 수정된 시각적 피드백(63)으로 반사되고/재방출된다.
소모품 부분(4)의 광-변조 구역(44)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 수정 구역은 (예를 들어, 은 또는 금 포일과 같은 금속 포일을 포함하는) 금속 표면과 같은 반사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 수정 구역(44)은 홀로그래픽 랩(holographic wrap)/필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 수정 구역(44)은, 하나 이상의 시각적 피드백 요소들로부터 광을 수신하여 이를 소모품 부분(4)의 일부를 통해 전송하고 그리고 소모품 부분(4)의 표면에서 재방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광 안내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광섬유 요소들 또는 광 파이프 요소들은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 단부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광 구역은 소모품 부분(4)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로 수용될 때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에 근접한 포지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섬유 요소들 또는 광 파이프 요소들의 발광 구역은 예를 들어, 소모품 부분(4)의 마우스피스(41)의 림 주위에 배치되어, 시각적 표시기(28)에 의해 방출된 광이 하나 이상의 광섬유 요소들 또는 광 파이프 요소들에 의해 수신되어 마우스피스(41)의 림 주위의 디스플레이 구역에서 재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소모품 부분(4)의 표면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 요소들 또는 광 안내부 요소들의 수신 구역에 광학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챔버(50)의 일부를 포함하는 튜브(54)의 내부 환형 표면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소모품 부분(4)이 구멍(51) 내로 수용될 때 시야로부터 가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각적 표시기(28)에 의해 방출되는 광 신호/시각적 피드백은, 하나 이상의 광섬유 요소들 또는 광 파이프 요소들이 신호/피드백을 수정된 시각적 피드백으로 재방출하는 소모품 부분(4)의 표면 구역들에서만 보이도록 한다.
소모품 부분(4)의 광 수정 구역(44)은, 시각적 표시기(28)에 의해 방출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수정이 소모품 부분(4)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관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정 구역(44)은 시각적 표시기(28)에 의해 방출되는 입사 광 신호(62)의 색상을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색상의 수정은 소모품 부분(4)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43)의 유형을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시각적 표시기(들)(281)로부터 소모품 부분의 광 수정 구역(44)으로의 광 신호의 수송을 최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정 구역(44)이 소모품 부분(4)의 반사/홀로그램 표면 구역을 포함하는 경우,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디스플레이 구역의 표면 상의 주어진 지점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의 표면에 법선인 벡터가 광 수정 구역(44)의 일부를 향하도록 각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역이 구멍(51) 주위의 환형 디스플레이 구역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역은, 디스플레이 구역의 내부 둘레가 디스플레이 구역의 외부 둘레에 대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내로 오목부되는 챔퍼된 디스플레이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시각적 표시기(28)가 광 파이프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소모품 부분(4)의 광 수정 구역(44)에 광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표시기(28)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요소들 또는 LEDs를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이 복수의 디스플레이들/디스플레이 구역들이 제공되는 실시예들(예를 들어,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언급한 경우, 복수의 시각적 표시기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달리 당업자에게 알려진 상이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8은 2 개의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281 및 282)이 광 파이프 요소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광 파이프 요소들 중 하나가 픽실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또는 도 4 및 첨부 텍스트에 개략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구멍(51) 주위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LEDs, 또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구멍(51) 주위에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접근 방식들 중 임의의 접근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전형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기가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화시키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이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또는 에어로졸 프리(aerosol-free) 전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구멍(51) 주위에 하나 이상의 시각적 표시기들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된 접근 방식들은, 소모품 디바이스 부분(4)이 가열기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공급기(예를 들어, 액체 저장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카토마이저이고 그리고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의 챔버(50)는 카트리지/카토마이저(4)가 챔버(50) 내로 수용될 때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과 카트리지/카토마이저(4)의 가열기 사이에 전기적 경로를 형성하는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소모품'이라는 용어는 카트리지/카토마이저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카트리지/카토마이저가 재사용 가능하거나 리필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맥락에서 '소모품'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소모품 부분(4)이 나중에 새로운 공급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리필되어 재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소모품 부분(4) 내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공급이 에어로졸화된다는(예를 들어, '소비된다는') 사실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 및 첨부된 설명의 텍스트에서는 시각적 표시기(28)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 상에 배열되고,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소모품 부분(4)이 수용되도록 구성된 구멍을 중심으로 배열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접근 방식들은 수정된 구성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사용 중일 때, 별도의 마우스피스가, 구멍(51)으로부터 연장되는 소모품 부분(4)의 일부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식품 등급의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사용 중일 때 구멍(51)으로부터 연장되는 소모품 부분(4)의 일부 위에 압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별도의 마우스피스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 부분(4)은 챔버(50)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마우스피스는 (예를 들어, 챔버(50)의 구멍(51) 내로 스레딩(threading)되거나 또는 압입됨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우스피스는 소모품 부분들(4)의 삽입 및 제거를 위해 챔버(5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또는 힌지 연결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9는 시각적 표시기(28)의 디스플레이 구역이 소모품 부분(4)의 주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열된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 상에 배열됨), 시각적 표시기(28)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기하학적 구조가 상이하게 구성되는 다른 방식들로 구멍(51)을 중심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단부면에 배열되지 않고,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측벽 주위에/측벽을 중심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은 챔버(50) 내로 소모품 부분(4)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상당한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이 없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소모품 부분(4)이 수용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단부의 실질적으로 전부가 소모품 부분(4)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우스피스 부분은 (예를 들어, 구멍(51) 내로 압입 또는 스레딩됨으로써, 또는 압입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단부 위로 수용됨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연결된 재사용 가능한 부분(4)과 마우스피스가, 소모품 부분(4)을 포함하는 인클로저(enclosure)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면서) 마우스피스가 부착되면 소모품 부분(4)은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은폐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에 연결된 경우,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 및 마우스피스는 시각적 표시기(28)를 배열하기 위한 위치 상에서 소모품 부분(4)의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이 존재하지 않도록 서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예를 들어, 마우스피스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표면에서 임의의 상당한 각도 편차 없이 매끄러운 윤곽의 전이를 형성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4) 및 마우스피스는 함께 세장형 관형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마우스피스 단부 전체가 사용자의 입 안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별도의 마우스피스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소모품 부분(4) 및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은 여전히 상당한 마우스피스 단부 표면이 존재하지 않는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측벽들은 구멍(51)을 향해 테이퍼/챔퍼되어 구멍(51) 주위의 림에서 종결됨).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시기(28)는 디스플레이가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장축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시각적 표시기는, 소모품 부분(4)이 수용되는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포지셔닝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부분이 구멍(51)을 중심으로 링을 형성함), 또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하우징 재료의 일부에 의해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2)의 단부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소모품 부분(4)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저장소 및 가열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또는 포드를 포함하고, 위에서 언급된 마우스피스가 상기 소모품 부분(4)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경우에도 이러한 접근 방식이 취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청구된 특징들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로서만 제공되며, 완전한 및/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품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적절한 조합들을 적합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에는 현재 청구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Claims (30)

  1. 챔버(chamber)의 구멍(aperture)을 통해 소모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챔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챔버에 수용된 소모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구멍 주위에 배열된 사용자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기(visual indicator)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display)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상기 구멍의 둘레 주위에 배열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소모품을 위한 수용 오목부(recess)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는 중심 축을 가지며,
    상기 시각적 표시기의 평면 디스플레이 구역은 상기 수용 오목부의 상기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구역이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마우스피스(mouthpiece) 단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상기 구멍 주위의 경로 상에 배열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각각 상기 구멍 주위의 별도의 경로 상에 배열되는 2 개 이상의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디스플레이 구역들의 네스티드 세트(nested set)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동일 평면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5. 제9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요소로부터, 상기 구멍 주위에 배열된 디스플레이로 광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광 안내부(guide)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안내부는 상기 챔버 주위에 배열된 관형 광 전송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7. 제9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요소는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8. 제7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은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9. 제7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구역들 각각은 LED 디스플레이 구역, 액정 디스플레이 구역,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구역, 액티브 매트릭스(active-matrix)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구역,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구역,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anel) 구역, 또는 e-잉크 디스플레이 구역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0.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으로서,
    상기 소모품의 외부 부분이 상기 구멍 주위에 배열된 시각적 표시기에 의해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소모품의 상기 외부 부분은 상기 소모품의 외부 표면 상에 배열된 반사 코팅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2. 제20 항 또는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소모품의 상기 외부 부분은 상기 소모품의 외부 표면 상에 배열된 홀로그램(hologram)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3. 제20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소모품의 상기 외부 부분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구멍 주위에 배열된 시각적 표시기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수신하고 상기 광을 상기 소모품의 외부 부분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구역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광 안내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4. 제20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소모품의 상기 외부 부분은 상기 소모품의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된 방식으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소모품의 상기 외부 부분은 상기 소모품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유형에 따라 선택된 방식으로 상기 시각적 피드백의 외관을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6. 제20 항 내지 제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은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담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8. 제20 항 내지 제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은 액체 또는 겔(gel)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저장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소모품.
  29.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및 제20 항 내지 제28 항 중 어느 한 항의 소모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30.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챔버의 구멍을 통해 소모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챔버를 갖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챔버에 수용된 소모품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됨 ― ; 및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시각적 표시기는 상기 구멍 주위에 배열됨 ―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37030773A 2021-03-11 2022-02-18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20230144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2103376.6A GB202103376D0 (en) 2021-03-11 2021-03-11 Aerosol provision systems
GB2103376.6 2021-03-11
PCT/GB2022/050446 WO2022189766A1 (en) 2021-03-11 2022-02-18 Aerosol provision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071A true KR20230144071A (ko) 2023-10-13

Family

ID=7562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773A KR20230144071A (ko) 2021-03-11 2022-02-18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40138490A1 (ko)
EP (1) EP4304402A1 (ko)
JP (1) JP2024510123A (ko)
KR (1) KR20230144071A (ko)
CN (1) CN116963628A (ko)
BR (1) BR112023018389A2 (ko)
CA (1) CA3209536A1 (ko)
GB (1) GB202103376D0 (ko)
WO (1) WO2022189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7700A1 (en) * 2022-06-24 2023-12-28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n electrolytic capacitor and a visual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076812T3 (en) * 2013-12-03 2018-06-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OBJECTS AND ELECTRIC POWERED SYSTEM INCORPORATING A MARKER
CN108143006B (zh) * 2018-01-12 2023-12-29 深圳市康泓威科技有限公司 自动控制的加热不燃型电子烟具及其控制方法
KR102135794B1 (ko) * 2018-05-15 2020-07-20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 입자 발생 장치
CN115697110A (zh) * 2020-06-25 2023-02-03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视觉反馈装置的气溶胶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38490A1 (en) 2024-05-02
EP4304402A1 (en) 2024-01-17
CA3209536A1 (en) 2022-09-15
GB202103376D0 (en) 2021-04-28
CN116963628A (zh) 2023-10-27
WO2022189766A1 (en) 2022-09-15
BR112023018389A2 (pt) 2023-10-31
JP2024510123A (ja)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5455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Wirelessly-Heated Atomizer and Related Method
JP7086954B2 (ja) 誘導ベースのエアロゾル送達装置
RU2736106C1 (ru) Сред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индук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JP6636931B2 (ja) 照明付き外表面を備えるエアロゾル送達デバイス及び関連方法
US11013266B2 (en) Aerosol delivery device sensory system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and related method
KR20200069344A (ko) 제어 본체, 무화기 본체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장치, 및 관련 방법
KR20230144071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20230144059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RU28061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содержащее атомайзер с беспроводным нагревом,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KR20240009427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